일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 연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김영희
일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 지도교수김기경 이논문을석사학위논문으로제출함 2014 년 6 월일 연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김영희
감사의 글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으로, 논문을 쓰는데 영감을 주고 영향을 주고 크게 도움을 주고 기여해준 모든 사람에게 고맙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많이 부족한 저에게 항상 올바른 가르침을 주시고 따뜻하게 조언을 해주시며 이끌어 주신 김기경 교수님과 논문의 창의성과 논리성에 대해 정확하게 제시해 주시고 힘든 시기 에 깨달음을 얻게 해주신 김기연 교수님, 단어 하나하나 세심하게 살펴봐주시며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논문을 잡아주시고 논문 쓰는 가운데 어려운 결정의 시기에는 제 가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정수경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학문 적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던 서미혜 교수님, 안양희 교수님, 임영미 교수님, 허혜경 교수님, 신윤희 교수님, 박소미 교수님, 송희영 교수님, 최지혜 교수님 감사드 립니다. 석사과정 시작부터 항상 미숙했던 저에게 애정과 관심으로 많은 조언을 해준 정지 수 선생님, 동기라는 이유로 정말 많은 시간을 함께 해준 고마운 동기들 권현준 선생 님, 김석찬 선생님, 황윤정 선생님 우리 동기 선생님들 덕분에 대학원 공부를 정말 재 미있게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학위 과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관심과 격려로 지원해주시고 저의 연구에 지원을 아 끼시지 않은 김영신 간호국장님, 심재숙 간호부장님, 정혜경 간호부장님, 김연주 간호 부장님, 김앵도 간호부장님, 양희라 과장님 감사합니다. 병동의 어려운 상황에도 학문 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신 강은희 과장님과 허윤희 책임간호사님 51병동 동료 선생님들께도 감사함을 전합니다. 무엇보다도 오늘이 있기까지 항상 기도해주시고 사랑해주신 부모님, 고마움을 말로 표현할 수 없도록 필요한 것을 챙겨준 동생 미성이 가족들의 은혜는 잊을 수 없습니 다. 저의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차 례 Ⅰ. 서론 1 1. 연구의필요성 1 2. 연구의목적 4 3.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6 1. 환자안전문화 6 2. 안전이행 9 Ⅲ. 연구방법 1 2 1. 연구설계 1 2 2. 연구대상 12 3. 연구도구 1 3 5. 자료수집방법과절차 1 5 6. 자료분석 1 6 Ⅳ. 연구결과 1 7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1 7 2. 연구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및안전이행정도 1 9 3.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 2 2 4.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상관관계 2 8 5.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편상관관계 3 0 - i -
Ⅴ. 논의 3 2 Ⅵ. 결론및제언 3 7 1. 결론 3 7 2. 제언 3 8 참고문헌 3 9 부록 4 5 영문요약 5 8 - ii -
표차례 표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1 8 표 2. 환자안전문화영역별인식 2 0 표 3. 안전이행정도 21 표 4.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 2 3 표 5. 일반적특성에따른안전행위이행정도 2 5 표 6. 일반적특성에따른낙상예방활동정도 2 7 표 7.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분석 2 9 표 8.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편상관분석 3 1 - iii -
부록차례 부록 1. 연구참여동의서및연구도구 4 5 부록 2. 환자안전문화도구신뢰도 5 2 부록 3. 안전이행도구신뢰도 5 2 부록 4. 환자안전문화인식문항별점수 5 3 부록 5. 안전성과영역별인식점수 5 6 부록 6. 환자안전문화영역과안전성과영역간의상관분석 5 7 - iv -
국문요약 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 환자안전과의료서비스의질보장에대한사회적관심과요구가높아짐에따라환자안전증진에관한연구가의료계의중요한과제로떠오르게되었다. 최근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에대한연구가증가하고있으나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관련성에대한선행연구는미비한편이다. 이에본연구는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관계를확인할필요가있다고판단했다. 본연구의목적은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를평가하고,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차이를파악하는데있다. 그리고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파악하기위함이다. 연구도구로는환자안전문화인식측정은의료연구품질관리부 (AHRQ) 에서개발한설문도구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 를김정은등 (2007) 이번역한총 69개의문항으로구성된도구를본연구에서는총 69문항중예비조사결과내용이해가어렵다고판단된절차순응과관련된 1문항을제외한총 68문항으로설문지를구성하여이용하였다. 안전이행정도의측정은두가지측정도구를이용하였다. 전반적인안전행위이행을측정하기위한도구는 Hayers, Perander, Smecko와 Trask(1998) 가개발하고정수경 (2010) 이번안한도구를이용하였고, 낙상예방활동정도를측정하기위한도구는의료기관평가원에서개발한안전평가 9개의항목중낙상예방활동과관련된내용을평가도구를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일종합병원일반간호사를대상으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4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실시하였다. 수집된자료는 IBM SPSS 18.0 프로그램을이용하여서술적통계, t-test, one way-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로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 v -
첫째,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평균은 3.52점, 안전이행 정도는 평균은 3.87점이었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영역은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 동 영역 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인 대응 영역이었다. 둘째, 안전이행 중 안전행위 이행 정도는 3.53으로 보통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고, 낙 상예방활동은 4.22로 높은 이행 정도를 나타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교육정도, 통상근무 외 근무시간과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행위 이행 정도는 결혼상태, 교육정도, 통상근무 외 근무시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다. 낙상예방활동 정도는 결혼상태,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이행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환자안전 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안전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 인 식 12개의 하부영역 모두와 안전이행 정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을안전문화 (safety culture) 영역과안전성과 (safety outcome) 영역을구분하여안전이행과상관관계를평가한점에서의미가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의하부영역별강점과약점을파악한연구결과를통해안전이행을증진시킬수있는방안을모색할수있을것으로예상된다. 또한안전이행을구체적인안전이행지표뿐만아니라포괄적인안전이행에대한지표도함께측정한연구로의미가있다. 주요어 :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이행, 종합병원간호사 - vi -
I. 서론 1. 연구의필요성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환자와 가족들은 환자가 외래진료를 받거나 입원해 있는 동안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 받기를 기대하며 환자가 안전한 처치를 받는 것은 환자의 기본적 권리라 할 수 있다 ( 노이나, 2008). 의료현장에서의 각종 의료과오나 안전사고 는 재정적 손실, 재원기간 연장, 의료진과 병원에 대한 신뢰감 저하 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며, 환자 안전은 병원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영역 중의 하나이다 ( 박소정, 2008; 한남 주, 2012). 그러나 의료서비스의 전문화, 대형화 분업화됨에 따라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의 복 잡성 증가, 원활하지 못한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의료정보의 과잉과 환자의 치료결과 에 대한 기대치 증가, 환자 중증도 및 취약성 등은 환자의 안전 및 질적인 의료서비 스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 이나주, 김정희, 2011). 의료선진국인 미국에서도 병원 입 원 후 10% 정도의 위해사건이 발생하며 (Institute of Medicine, 2000), 의료사고로 연간 44,000 명에서 98,000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Institute of Medicine, 2000). 예방 가능한 안전사고로 인한 국가의 전체 손실 규모는 총 의료비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되었다 (Kohn, Corrigan, & Donaldson, 2000). 우리나라는 의 료과오의 유형이나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으나 의학적 치 료와 직접 관련이 없는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소송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 손유동, 2006). 이러한 환자 안전사고의 발생은 의료인 개인 보다는 병원 조직 문제로 야기되는 경 우가 더 많으므로 환자안전을 확보하려면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사후 처 리가 아닌 사전 예방에 중점을 둔 관리가 필요하다. 병원 내에서 환자안전을 증진시 키기 위한 방안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환자안전문화를 조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1 -
(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2007). 환자안전문화는의료서비스제공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환자의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공동의믿음, 가치, 그리고지속적인탐구를바탕으로한통합된개인과조직의행동으로 (AHRQ, 2004), 병원에서의환자안전문화정착을위해서는환자안전관리에관한규제나지침또는구조적시스템과같은기술적측면뿐만아니라병원의료종사자들의근본적인인식의변화를꾀하고이를강화시킬필요가있다. 특히간호사는 24 시간동안환자와밀접하게상호관계를맺고있으며의료기관에서환자안전과관련된문제점들에대처하는집단으로환자안전에대한인식이환자안전을증진시키는데중요한역할을담당할것으로생각된다 (Milligan & Dennis, 2004). 또한간호사는의료종사자중가장많은수를차지하고있으며환자를직접접촉하는업무로직접적인의료사고의빈도와매우밀접한관계가있어환자안전문화인식고취가매우중요하다 ( 김윤희, 2014). 환자안전을증진시키기위한방안중또다른대안은안전한의료환경을구축하는일이다. 안전한의료환경을구축하고자하는많은노력들중에서도안전이행에대한개념이관심을끌고있다 ( 황미숙, 2014). 안전이행은반복되는안전사고의원인을찾아이를개선하여사고를예방하는것으로의료사고의발생을감소시키고안전한진료환경을구축하고자하는다른접근법들보다환자안전사고예방에더효율적이라고알려져있다 (Griffin & Neal, 2006). 주로안전이행에대한연구는자가보고형태로제한적이긴하나안전관련결과지표로서유용한측정지표로이용되고있다 (DeJoy, Scaffer, Wilson, Vendenberg, & Butts, 2004). 구체적인안전이행을측정하고자했을때특히낙상예방활동은안전이행을평가하는지표로많이이용되고간호의질을평가하는대표적인지표로이용될수도있다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8). 그러므로안전이행이어느정도이루어지는지에대한현황을파악하고비효율성내지문제점이있는경우해결을위안방안을마련하는것은중요하다고생각된다. 국외선행연구를살펴보면조직의안전문화가안전이행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문헌에서언급되기시작하고조직의안전문화를안전이행의핵심요인으로인식하면서조직의안전문화에대한연구가증가하고있다 (Nieva & Sorra, 2003; 손명지, 2012). Nieva와 Sorra(2003) 는긍정적인안전문화가안전에대해긍정적인태도를보여주고, - 2 -
나아가안전이행에자발적으로참여하는자세를갖게함으로써안전이행에직접적인영향을미친다고하였다. 긍정적인안전문화를가진조직일수록긍정적인안전결과가나타난다고하였으며, 안전이행정도도높다고하였다 (Chen, Ng, & Li, 2011). Olsen(2010) 은직속상관이나관리자의환자안전에대한지원과기대, 행동이안전이행뿐만아니라학습과피드백, 개선활동까지강화시킨다고하였다. 그러나국내의경우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관련성대한선행연구는미비한편이며환자안전에대한연구는주로환자안전문화에대한의료인들의인식수준에대한연구가주를이루었다. 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간호활동간의상관관계를밝히는연구가증가하고있으나주로구체적인안전이행의지표만을측정한연구가대부분이었다. 이에본연구는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구체적인안전이행뿐만아니라포괄적인안전이행에대해서도상관관계를파악하고자한다. 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를파악하는것은병원의환자안전활동을위한조직문화의강점과약점에대한다양한정보를제공하기위함이다. 또한환자안전문화인식과간호사의포괄적인안전행위이행정도와구체적인안전행위지표인낙상예방활동정도와상관관계를밝히는것은안전이행에있어조직문화의중요성을확인하고, 안전이행을위한다양한전략을구상하는데필요한정보를제공하기위하여본연구를시도하였다. - 3 -
2. 연구의목적 본연구는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확인 하기위함이며, 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을파악한다. 2) 연구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를파악한다. 3)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의차이를파악한다. 4) 연구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파악한다. - 4 -
3. 용어정의 ( 1 ) 환자안전문화인식 이론적정의 : 환자안전문화는의료서비스제공과정에서발생할수있는환자의피 해를최소화하기위한공동의믿음, 가치, 그리고지속적인탐구를바탕으로한통합 된개별적이고조직적인행동패턴이다 (Kizer, 1999). 조작적정의 : 환자안전문화인식은 AHRQ(2004) 에서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hspsc) 를김정은등 (2007) 이번역한도구를이용하여측정한 점수를말하며, 점수가높을수록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이높음을의미한다. ( 2 ) 안전이행 이론적정의 : 안전이행은직무안전을유지하기위해개개인에의해수행되도록요 구되는주요안전활동으로 (Griffin & Neal, 2000) 의료기관의안전관련정책이나지 침을따르는행위를말한다. 조작적정의 : 본연구에서는 Hayers, Perander, Smecko와 Trask(1998) 가개발하고정수경 (2010) 이번안한안전행위이행측정도구를이용하여측정한점수와의료기관평가원 (2007) 에서개발한낙상예방활동평가도구를이용하여측정한점수의합을의미하며, 점수가높을수록간호사의안전이행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 5 -
Ⅱ. 문헌고찰 1. 환자안전문화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가치, 신념, 규범과 전통, 관습, 지식과 이 념, 습관과 기술, 행동과 언어, 정책과 운영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고유 의 운영방식이다 (Cooper, 2000). 조직문화는 독특한 무형의 자원으로서 좋은 조직문화 를 형성하는 것은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개발이나 새로운 의료시장 개척 이상의 중요 한 의미를 갖는다. 양질의 간호서비스와 성공적인 간호조직의 관리를 위해서는 간호 사들의 공통된 신념과 가치관을 공유하는 조직문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이명숙, 2005). 조직문화의 하부 개념으로 안전문화란 조직전체의 모든 사람들이 자신과 공공의 안 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영속적인 가치로 개인 및 집단이 안전을 위해 스스로 책임을 다하고,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행동하고 안전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화를 하며 배우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며 실수를 교훈삼아 행동을 수정 할 뿐 만 아니라 이러한 가치들이 일관성 있게 지속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문화를 말한다 (Wiegmann, Zhang, Thaden, Sharma, & Gibbons, 2003). 미연방보건복지성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 ) 의 의료연구품질 관리부 (AHRQ) 는 조직 내에서의 안전문화란 조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원의 헌신과 개인 또는 조직의 능력을 결정짓는 가치, 태도, 지각,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 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긍정적인 안전문화를 가진 조직은 의사소통에 있어 신뢰 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으며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개념과 효능이 검증된 예방 가 능한 척도를 공유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의료기관내에서의 안전문화는 의료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동의 믿음, 가치, 그리고 지속적인 탐구를 바탕으로 한 통합 된 개인적 행동과 조직적 행동 (Kizer, 1999) 을 말하는 것으로 환자안전문화가 의료현 - 6 -
장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전달되는지 실제로 의료전달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Hudson, 2003).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 면 환자안전문화가 형성되기 위해서 정준 (2006) 은 환자안전 문화와 관련하여 변수들 의 개별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병원에서의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이 안전문화 형성 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구성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또한 부서 내 의사소통과 직원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향 상시키고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경영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Feng, Bobay와 Weiss(2008) 는 소속구성원들의 다양한 신념과 가치가 발현되어 생성 되는 것이며 환자안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태도, 권력구조 내의 매일의 행위, 동료 집단의 태도와 행동의 지지를 받아 안전문화가 형성된다고 하였고, 의료기관의 조직 전반에 걸쳐 전체 구성원이 인식하고 모든 수행의 중심으로 받아들여 조직구성원과 시스템, 업무활동이 포함된 상호협동적인 노력이 안전문화를 형성하게 된다고 하였다 ( 김정은 등, 2007). Sextom, Thomas와 Helmreich(2000) 는 환자안전문화의 중요한 요 소로 효과적인 협조체계와 의사소통을 언급하였으며, 이는 의료팀의 사기를 진작시키 고 직무 만족도와 효율성 안전성을 증가시키며 나아가 환자의 만족도를 높인다고 하 였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김정은 등 (2007) 의 연구에 의하면 간호사의 50% 정도가 병원에 심각한 환자 안전문제가 있으며, 의료진간의 의 사소통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정은 등 (2007) 은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근무시간을 언급했다. 주당 45시간 미 만인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45시간 이상 일하는 간호사 보다 높았고, 근무시 간이 길어질수록 근무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면서 주의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은 환 자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강민아, 김정은, 안경애, 김윤과 김석화 (2005) 의 환자안전문화와 의료보고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연구에 의하면 응답자의 약 30% 이상이 환자에게 해를 미칠 수 있는 경우나 옳지 않은 행위를 보는 경우에도 자 신들의 의견을 말하지 않는다고 하여 병원 내 의사소통이 상당히 폐쇄적임을 보고했 다. 제우영 (2006) 은 병원의 조직문화에 대한 의료인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부서 내 - 7 -
의 전반적인 안전에 대해 61.4% 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부서 내 팀워크 영역이 81.2%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인 대응 영역에서 22% 만이 긍 정적으로 응답하여 가장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이나 (2008) 와 한남주 (2011) 의 연구에서는 병원종사자들이 직원배치에 대해 부정적이고 처벌적이 조직문화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Zhang과 Xu(2009) 의 연구결과에서도 중국 국립병원 간호사들이 인력이 부족하며 오류보고에 대해 부정적이고 처벌적인 환자안 전문화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미국 오하이오 26개 너싱홈에서 근무하는 간 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직원들은 오 류를 보고했을 때 개인을 비난하거나 처벌을 받는 느낌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응답자 의 50% 만이 실수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직원들과 의논한다고 보고하 였다 (Carmel & Kate, 2006). AHRQ(2010) 는 미국 885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 종사 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도 조사에서 부서 내 팀워크가 80% 로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 직속상관 및 관리자의 기대와 행동은 75% 에서 양 호하다고 하였으나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영역에서는 44% 로 가장 낮게 인식하 였다. Miligan과 Dennis(2004) 는 일반 간호사와 관리자와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것이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간호사의 안전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환자의 안전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Badir와 Herdman(2008) 의 연구에서는 병원의 환자안전 위원회와 오류보고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고, 오류보고를 격려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위해사건에 대해 41.3% 가 처벌과 부끄러움으로 인식하였으며 긴 근무기간을 환자안전의 심각한 위험요인으 로 보고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들을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조직 의 안전문제를 진단하고 안전문화와 관련된 문제점을 발견하여 대안을 마련하는데 많 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 고 있다. - 8 -
2. 안전이행 안전이행의정의는직무안전을유지하기위해개개인에의해수행되도록요구되는주요안전활동이며 (Griffin & Neal, 2000), 안전보호장구를착용하거나환자안전수행지침을따르는등병원의안전정책이나지침을따르는행위를의미한다 ( 정수경, 2010). 의료서비스제공과정중발생, 또는발생가능한문제를찾아개선하는일련의과정으로병원내의모든활동을안전이행이라고하였다 ( 이금옥, 2009). 이러한환자안전이행을위한전략에는병원의프로세스개선, 정보시스템구축, 지침이나가이드라인의개발및보급, 직원교육, 시설, 인력장비에대한적절한지원등이포함된다 ( 김은경등, 2011). 병원실무에서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JCI) 는정확한환자확인, 효과적인의사소통, 고위험약물투약의안전개선, 의료관련감염위험의감소및낙상으로인한환자의위험감소, 3W(wrong-site, wrong-patient, wrong-procedure) 의배제를포함한국제환자안전목표를달성하기위한안전이행을강조하고있으며, 대한병원협회 (2011) 도정확한환자확인, 효과적인의료진간의사소통, 고위험약물관리, 정확한수술 시술확인, 감염예방활동, 낙상예방활동등의안전이행을요구하고있으며간호표준에따른안전이행을하도록교육을강화하고있다. 안전이행의효과는안전관련행동규범의수준을보다높은차원으로향상시키는역할과사고율을줄이는데핵심적요인으로작용하며, 조직구성원들의죄책감, 스트레스, 자신감결여, 도덕성의손실과같은정서적문제로인한손실을줄일수있으며, 또한대기시간의감소와환자불만등사고로인한사회비용의발생을감소시킬수있다고하였다 (National Health Service, 2004). 안전이행은자가보고형태로제한적이긴하나안전관련결과지표로서유용한측정지표로이용되고있으며 (DeJoy, Scaffer, Wilson, Vendenberg, & Butts, 2004), 측정방법을살펴보면국내다수의연구들이안전이행을미국의의료기관신임위원회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Organization, JCAHO) 의국제환자안전관리표준이나의료기관평가지침에따른안전항목으로안전이행을측정하였다 ( 박소정, 2008; 박 - 9 -
현희, 2013; 정회진, 2013). 이는구체적인간호활동정도를확인하는것을알수있다. 즉안전이행에는낙상예방활동과대상자교육, 감염예방, 시설점검, 소방, 대상자식별, 의료진간의정확한의사소통, 투약수혈사고예방등이포함될수있다 ( 이금옥, 2009). 안전이행에대한선행연구를살펴보면환자안전문화와안전문화풍토의관련요인연구로안전간호활동이나안전이행을결과변인으로분석하는연구들이주를이루었다. 정수경 (2010) 은안전문화풍토는환경적 ( 안전관리체계, 근무환경체계 ), 조직적 ( 리더쉽, 의사소통, 팀워크 ), 개인적 ( 안전지식, 안전지각, 안전통제감, 역할스트레스 ) 요인의영향을받아결과요인으로써안전이행에영향을준다고하였다. 정준 (2006) 은간호사의병원내안전관리활동에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부서내의사소통, 경영진의태도, 환자안전인식수준이영향을미친다고하였으며, 인구학적특성에따른안전관리활동의차이는교육수준, 근무경력, 주당평균근무시간에따라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인다고하였다. 박소정 (2008) 은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과안전간호활동사이에는유의한양의상관관계가있음을보고하였고, 조직내의사소통이병원간호사의안전간호활동에가장큰영향을주는요인이라하였다. 최정화 (2010) 의연구결과에서도환자안전문화인식이높을수록안전간호활동정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안전간호활동은안전교육횟수, 병원근무환경, 직속상관 / 관리자라는 3가지변수의영향을받으며 3가지변수가대상자의안전간호활동을 58.2% 설명하는것으로나타났다. 남문희 (2010) 의연구에서는교육정도가높거나병원환경에대한인식점수가높을수록사고보고빈도점수가높을수록안전관리활동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손명지 (2012) 는안전이행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환자안전에대한전체적강조, 총임상경력, 안전을위한조직자원, 집단학습, 근무지의안전규범, 안전증진노력에대한인식과지지순으로안전이행에유의한영향을준다고하였다. 김혜영과이은숙 (2013) 은환자안전문화인식의하부영역중사고보고의빈도, 부서간환자전송, 근무부서의환자안전수준, 조직학습과개선활동, 부서간팀워크가긍정적으로인식할수록안전간호활동정도가높았음을보고하였다. 그러나대부분의연구에서간호사의안전이행을구체적인안전간호활동만을결과변인으로분석하는연구들이주를이루었다. 따라서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 - 10 -
과안전이행정도를포괄적인안전이행으로의접근과구체적인활동으로안전이행을접근하는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했다. 이를설명하기위하여환자안전문화인식을조사하고, 안전이행을포괄적인안전결과지표인안전행위이행정도와구체적인안전이행지표중발생빈도가가장많고발생시위해정도가심각한낙상사고예방을위해시행되는낙상예방활동정도에대해서도파악하고자한다. - 11 -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연구는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를조사하고 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파악하기위한서 술적상관관계연구이다. 2.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W시에위치한일대학병원을임의추출하였으며본연구의목적과방법, 기간등을설명하고연구참여에자발적으로동의하는간호사에게만연구설명문과연구동의서를배부하여연구참여에동의하고자필로서명을한간호사 148명이연구대상자로선정되었다. 근무부서는입원환자를간호하는부서로서지속적인간호과정에서의안전이행정도를보고자하여병동과중환자실에근무하는간호사를대상자로하였다. 입원환자의지속적인안전이행에대한평가가어려운외래부서와검사실, 응급실, 수술실등은제외하였다. 본연구의목적을성취하기위한대상자수는 G Power 3.1 프로그램을이용하여상관관계분석방법으로효과크기 (d) 0.3, 유의수준 (α).05, 검정력 (1-ß).95로산정한결과총표본수 138명으로산출되었고본연구에서표본의크기는 148명으로이를충족하였다. - 12 -
3. 연구도구 1 )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문화인식측정도구는환자안전에대한병원환경, 조직문화, 의료과오보고에대한의료인의조사를위하여 2004년미연방보건복지성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HHS) 의의료연구품질관리부 (AHRQ) 에서개발한설문도구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 를김정은등 (2007) 이번역한총 69개의문항으로구성된도구를저자의허락을구한후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는총 69문항중예비조사결과내용의이해가어렵다고판단된절차순응과관련된 1문항을제외한총 68문항으로설문지를구성하였다. 질문지는크게환자안전문화와안전성과영역으로구성되어있다. 환자안전문화의영역은 4개의영역과 12개의하부영역으로분류된다. 하부영역은병동내팀웍, 조직학습, 인력배치, 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 사건보고에대한규범, 직속상관 / 관리자의환자안전활동지원, 오류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의사소통개방성, 절차순응, 병원경영자의환자안전을위한지원, 병동간의팀웍, 병동간환자이송에대한내용이포함되어있다. 안전성과의영역은 3개의하부영역으로분류되며, 환자안전에대한전반적인식, 사건보고빈도, 환자의안전도에대한내용이포함되어있다. 각문항은 전혀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척도로되어있으며, 부정문항은역산으로처리하였으므로도구에의해측정된점수가높을수록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이높음을의미한다. AHRQ(2004) 에서개발당시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s α.77이었고, 김정은등 (2007) 의연구에서이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s α.90이었다.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hronbach's α.96이었다 < 부록 2>. 미연방보건복지성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 ) 의의료연구품질관리부 (AHRQ) 의도구사용을위한지침에의하면환자안전문화도구의타당성을확인하기위하여환자안전문화영역 (safety culture) 과안전성과영역 (safety outcome) 간의변수간상관관계 (intercorrelation) 분석을권고하고 - 13 -
있다. 이에따라환자안전문화영역 (safety culture) 의 12개의영역과안전성과영역 (safety outcome) 의 3개영역들과의상관관계를살펴본결과, 환자안전문화영역 (safety culture) 과안전성과영역 (safety outcome) 은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로 (r=.772, p<.01), 본환자안전문화도구의타당성을확인하였다 < 부록 6>. 2 ) 안전이행 간호사의안전이행정도는전반적인안전행위이행과낙상예방활동정도를측정하기위하여 2 개의도구를사용하였다. 안전행위이행을측정하기위한도구는 Hayers, Perander, Smecko 와 Trask(1998) 가개발하고정수경 (2010) 이번안하여사용한도구를이용하였다. 총 11 개의문항으로각문항은 5 점 Likert 척도로되어있다. 점수가높을수록안전이행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개발당시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s α.85 이었고, 정수경 (2010) 의연구에서이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s α.79 이었다.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hronbach's α.92 이었다 < 부록 3>. 낙상예방활동정도를측정하기위한도구는의료기관평가원에서개발한안전평가 9 개의항목중낙상예방활동과관련된내용을평가도구로이용하여사용하였다. 총 12 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각문항은 5 점 Likert 척도로되어있다. 점수가높을수록안전이행정도가높음을의미한다. 박현희 (2013) 의연구에서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 s α.91 이었고박소정 (2008) 의연구에서도구의신뢰도는 Chronbach s α.78 이었다.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hronbach's α.90 이었다 < 부록 3>. - 14 -
4. 자료수집방법과절차 연구의윤리적측면을고려하기위해 Y 대학교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2014년 3월 12일연구진행승인받은후연구를진행하였다 ( 승인번호 : YWNR-14-2-020). 2014년 3월 22일에서 23일까지 W시소재 Y 종합병원간호사 8명을대상으로환자안전문화인식도구와안전이행도구의이해되지않는문항이나문제점을점검하기위해예비조사를시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측정가능성과정확성을확인하였다. 본조사는 W시의 Y 종합병원간호국에방문하여연구의목적을설명하고자료수집의허가를받은후 2014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구조화된설문지로 W시의 Y 종합병원간호사를대상으로자료수집을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서면동의를한간호사에게만자료수집을하였으며자료수집전대상자에게공지한내용은연구목적, 자료수집내용및절차, 질문지의응답은자율적이며무기명으로조사됨을설명하였고또한응답한내용은연구목적으로만사용되며, 연구결과를분석한다음응답한설문지는폐기처분할것임을설명하였다. 응답한설문지는바로회수하였고, 회수후에는간호사들이궁금해하는내용에대해설명이나정보를제공하였다. 배부된총 150부의설문지에서수거된설문지는총 148부로본연구의설문지회수율은 98.6% 였다. - 15 -
5. 자료분석 수집된자료는 IBM SPSS 18.0 프로그램을이용하여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을위 한구체적인통계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서술적통계로분석하였다. 2)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는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구하였다. 3)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의차이를분석하기위해 t-test 와 one way-anova 로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로분석하였다. 4) 연구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관계를알아보기위해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로사용하였다. - 16 -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 < 표 1> 과같다. 본연구의분석에포함된대상자는일반간호사 148명이었다. 일반적특성에서성별은여성과남성이각각 142명 (95.9%), 6명 (4.1%) 으로나타났다. 연령별분포는 25~29세가 60명 (40.5%) 으로가장많은부분을차지하였으며평균연령은 31.57±7.68세였다. 결혼상태는미혼 89명 (60.1%), 기혼 59명 (39.9%) 으로미혼이많았으며, 교육정도는간호학사 93명 (62.8%), 전문학사 32명 (21.6%), 대학원이상 23명 (15.5%) 순으로나타났다. 근무부서는외과병동이 54명 (36.5%) 으로가장많은부분을차지하였으며, 근무경력은평균 8.49±7.96년이었다. 통상근무외근무시간이 1시간미만인간호사는 78명 (52.7%), 1시간이상근무하는간호사는 70명 (47.3%) 으로나타났다. 통상근무시간외근무시간은평균 1.35±.55시간이었다. 최근 1년간사건보고횟수는없다고응답한간호사는 111명 (70.0%), 1-2회이상보고한적이있는간호사는 37명 (30.0%) 으로나타났고, 의료분쟁경험은경험이없는간호사는 140명 (94.6%), 의료분쟁경험이있다고응답한간호사는 8명 (5.4%) 이었다. - 17 -
< 표 1> 일반적특성 N=148 특성구분실수 (%) 성별 남자 6(4.1) 여자 142(95.9) 연령 <25 21(14.2) 25~29 60(40.5) 30~34 24(16.2) 35~39 15(10.1) 40 28(18.9) 결혼상태 미혼 89(60.1) 기혼 59(39.9) 교육정도 전문학사 32(21.6) 간호학사 93(62.8) 대학원이상 23(15.5) 근무부서 내과병동 53(35.8) 중환자실 26(17.6) 외과병동 54(36.5) 소아청소년과병동 15(10.1) 근무경력 <2 23(15.5) 2~5 48(32.4) 5~10 29(19.6) 10 48(32.4) 통상근무 외 근무시간 <1시간 78(52.7) 1시간 70(47.3) 사건보고 횟수 없다 111(70.0) 평균 ± 표준편차 ( 범위 ) 31.57±7.68 (22-55) 8.49±7.96 1.35±.55 1~2회 이상 37(30.0) 의료분쟁 경험 없다 140(94.6) 있다 8(5.4) - 18 -
2. 연구대상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및안전이행정도 1 ) 환자안전문화인식 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 < 표 2> 와같다. 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 290점만점에평균 201.23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52±.46점이었다. 병동근무환경은본연구에서는 5개영역 ( 병동내팀워크, 조직학습, 인력배치, 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 사건보고에대한규범 ) 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병동내팀워크는 25점만점에평균 18.51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70±.54점이었다. 조직학습은 35점만점에평균 26.34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76±.52점이었다. 인력배치는 20점만점에평균 12.61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15±.57점이었다. 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은 25점만점에평균 14.32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2.86±.69점이었다. 사건보고에대한규범은 25점만점에평균 17.47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49±.57점이었다. 직속상관 / 관리자의환자안전증진활동지원은 25점만점에평균 19.80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96±.53점이었다. 의사소통과절차는본연구에서는 3개의영역 ( 오류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의사소통의개방성, 절차순응 ) 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오류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은 15점만점에평균 11.57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86±.53점이었다. 의사소통의개방성은 30점만점에평균 21.40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57±.59점이었다. 절차순응 20점만점에평균 14.20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55±.58점이었다. 병원환경은본연구에서는 3개의영역 ( 병원경영자의환자안전을위한지원, 병동간의팀워크, 병동간환자이송 ) 으로나누어분석하였다. 병원경영자의환자안전을위한지원은 25점만점에평균 15.59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12±.69점이었다. 병동간의팀워크는 20점만점에평균 13.65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41±.57점이었다. 병동간환자이송은 25점만점에평균 15.77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15±.60점이었다. - 19 -
< 표 2> 환자안전문화영역별인식 N=148 영역문항평균 ± 표준편차문항평균 환자안전문화 (safety culture) 병동 근무환경 병동내 팀워크 5 18.51±2.73 3.70±.54 조직학습 7 26.34±3.68 3.76±.52 인력배치 4 12.61±2.29 3.15±.57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5 14.32±3.49 2.86±.69 사건보고에 대한 규범 5 17.47±2.86 3.49±.57 소계 26 89.34±12.15 3.44±.46 직속상관 / 관리자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 지원 5 19.80±2.70 3.96±.53 소계 5 19.80±2.70 3.96±.53 의사소통과 절차 오류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3 11.57±1.62 3.86±.53 의사소통의 개방성 6 21.40±3.60 3.57±.59 절차 순응 4 14.20±2.33 3.55±.58 소계 13 47.17±6.66 3.63±.51 병원환경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 5 15.59±3.45 3.12±.69 병동간의 팀워크 4 13.65±2.31 3.41±.57 병동간 환자이송 5 15.77±3.02 3.15±.60 소계 14 45.03±7.90 3.22±.56 계 58 201.23±26.68 3.52±.46-20 -
2 ) 안전이행정도 간호사의안전이행정도는 < 표 3> 과같다. 전반적인안전행위이행정도는 55점만점에평균 38.83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3.53±.62점이었다. 낙상예방활동정도는 60점만점에평균 50.59점이었으며, 문항별평균은 4.22±.62점이었다. 안전행위이행의정도와낙상예방활동의정도를합한점수인안전이행은 115점만점에평균 89.12점이었고, 문항별평균은 3.87±.58점이었다. < 표 3> 안전이행 정도 N=148 영역 평균 ± 표준편차 문항평균 안전행위 이행 38.83±6.89 3.53±.62 낙상예방활동 50.59±7.53 4.22±.62 안전이행 ( 총점 ) 89.12±13.45 3.87±.58-21 -
3.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및안전이행정도의차이 1 )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의차이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의차이는 < 표 4> 와같다. 교육정도, 통상근무외근무시간에따라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교육정도에따라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대학원이상 (185.60±29.28) 그룹이가장높게나타났고, 전문학사 (167.04±17.40) 그룹이가장낮게나타났다 (F=4.336, p<.05). 이에대해사후검정을실시해본결과전문학사, 간호학사, 대학원이상의세그룹모두상호간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통상근무외근무시간은 1시간미만 (180.38±26.10) 으로근무하는간호사가 1시간이상 (168.78±16.24) 으로근무하는간호사에비하여환자안전문화인식은높은것으로나타났다 (t=3.069, p<.05). - 22 -
< 표 4>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 N=148 특성구분실수 ( n ) 평균 ± 표준편차 t o r F p 성별남자 6 176.32±12.18 여자 142 175.16±23.20 연령 <25 21 176.90±19.72.155.877 25~29 60 169.36±23.20 30~34 24 185.02±30.11 35~39 15 179.22±22.04 40 28 175.16±12.76 결혼상태 미혼 89 172.84±24.36 기혼 59 178.06±20.30 교육정도 전문학사 32 167.04 c ±17.40 간호학사 93 175.16 b ±21.46 대학원이상 23 185.60 a ±29.58 근무부서 내과병동 53 179.22±26.68 중환자실 26 171.10±16.82 외과병동 54 173.42±22.04 소아청소년과병동 15 175.16±23.20 근무경력 <2 23 178.06±20.88 2~5 45 168.2±23.78 5~10 29 181.54±28.42 10 48 176.32±17.98 통상근무 외 <1시간 78 180.38±26.10 근무시간 1시간 70 168.78±16.24 사건보고 횟수 없다 111 175.16±22.62 1-2회 이상 37 175.16±23.20 의료분쟁 경험 없다 140 175.16±23.20 있다 8 171.10±16.82 2.205.072-1.302.195 4.336 *.015.796.498 2.197.091 3.069 *.003.023.982.404.687 *p<.05, a>b>c: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23 -
2 ) 일반적특성에따른안전행위이행정도의차이 일반적특성에따른안전행위이행의정도에대한차이는 < 표 5> 와같다. 결혼상태, 교육정도, 통상근무외근무시간에따라안전행위이행의정도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결혼상태는미혼 (37.84±6.93) 이기혼대상자 (40.37±6.38) 에비하여안전행위이행정도가낮게나타났으며 (t=-2.251, p<.05), 교육정도에따라대학원이상 (41.47±8.25) 그룹이안전행위이행정도가가장높게나타났으며, 전문학사 (36.19±6.60) 그룹이안전행위이행정도가가장낮게나타났다 (F=4.170, p<.05). 이에대해사후검정을실시해본결과전문학사, 간호학사, 대학원이상의세그룹모두상호간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통상근무외근무시간은 1시간미만 (40.15±6.82) 으로근무하는간호사가 1시간이상 (37.29±6.60) 으로근무하는간호사에비하여안전행위이행정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t=2.564, p<.05). - 24 -
< 표 5> 일반적특성에따른안전행위이행정도 N=148 특성구분실수 ( n ) 평균 ± 표준편차 t o r F p 성별남자 6 38.26±5.06 여자 142 38.83±6.93 연령 <25 21 38.72±6.71 -.179.858 25~29 60 37.29±6.60 30~34 24 40.04±8.58 35~39 15 41.58±5.72 40 28 39.71±5.83 결혼상태 미혼 89 37.84±6.94 기혼 59 40.37±6.38 교육정도 전문학사 32 36.19 c ±6.60 간호학사 93 39.05 b ±6.27 대학원이상 23 41.47 a ±8.25 근무부서 내과병동 53 40.26±6.49 중환자실 26 37.84±6.38 외과병동 54 37.51±7.48 소아청소년과병동 15 40.37±6.05 근무경력 <2 23 39.38±7.15 2~5 48 36.74±6.71 5~10 29 39.05±7.59 10 48 40.48±6.05 통상근무 외 <1시간 78 40.15±6.82 근무시간 1시간 70 37.29±6.60 사건보고 횟수 없다 111 38.83±6.71 1-2회 이상 37 38.94±7.37 의료분쟁 경험 없다 140 38.83±6.93 있다 8 38.39±4.62 1.619.173-2.251 *.026 4.170 *.017 1.919.129 2.404.070 2.564 *.011 -.114.909.191.849 *p<.05, a>b>c: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25 -
3 ) 일반적특성에따른낙상예방활동정도의차이 일반적특성에따른낙상예방활동의정도에대한차이는 < 표 6> 과같다. 결혼상태, 교육정도에따라낙상예방활동의정도는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결혼상태는미혼 (49.56±7.92) 이기혼 (52.08±6.48) 에비하여낙상예방활동의정도가낮게나타났으며 (t=-2.007, p<.05), 교육정도에따라대학원이상 (52.08±7.44) 그룹이가장높게낙상예방활동정도를나타냈고, 전문학사 (47.64±8.04) 그룹이가장낮게나타났다 (F=3.463, p<.05). 이에대해사후검정을실시해본결과전문학사그룹이다른그룹들과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 26 -
< 표 6> 일반적특성에따른낙상예방활동정도 N=148 특성구분실수 ( n ) 평균 ± 표준편차 t o r F p 성별남자 6 49.32±4.68 여자 142 50.64±7.56 연령 <25 21 49.80±7.80 -.417.678 25~29 60 49.44±7.68 30~34 24 51.12±8.04 35~39 15 53.28±6.72 40 28 51.84±6.48 결혼상태 미혼 89 49.56±7,92 기혼 59 52.08±6.48 교육정도 전문학사 32 47.64 b ±8.04 간호학사 93 51.24 a ±7.08 대학원이상 23 52.08 a ±7.44 근무부서 내과병동 53 52.20±5.88 중환자실 26 50.88±8.52 외과병동 54 49.56±7.92 소아청소년과병동 15 49.92±7.92 근무경력 <2 23 49.92±7.92 2~5 48 48.84±7.92 5~10 29 51.36±7.44 10 48 52.20±6.72 통상근무 외 <1시간 78 51.72±6.96 근무시간 1시간 70 49.32±7.92 사건보고 횟수 없다 111 50.76±7.32 1-2회 이상 37 50.04±8.04 의료분쟁 경험 없다 140 50.64±7.56 있다 8 50.28±4.92 1.124.348-2.007 *.047 3.463 *.034 1.070.364 1.859.139 1.935.055.541.589.132.896 *p<.05, a>b>c: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27 -
4.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관계 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관계는 < 표 7> 과같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은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다 (r=.707,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전반적인안전행위이행은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으며 (r=.760,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낙상예방활동또한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다 (r=.559,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관계를살펴본결과각영역별상관관계는모두양 (+) 의관계를나타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이높을수록안전행위이행, 낙상예방활동, 안전이행이높게나타났다. 특히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중절차순응 (r=.668, p<.01), 조직학습 (r=.639, p<.01), 오류에대한피드백과의사소통 (r=.610, p<.01) 이안전이행과높은상관관계를나타냈다. - 28 -
< 표 7>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상관분석 안전이행 영역 안전행위 낙상예방 안전이행 이행 활동 ( 총점 ) 환자안전문화 인식.760 **.559 **.707 **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 지원.431 **.407 **.450 ** 조직학습.650 **.543 **.639 ** 병동내 팀워크.561 **.505 **.573 ** 의사소통의 개방성.615 **.513 **.606 ** 오류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576 **.556 **.610 **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대응.496 **.327 **.439 ** 인력배치.417 **.210 *.334 ** 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668 **.436 **.592 ** 병동간의 팀워크.593 **.404 **.532 ** 병동간 환자이송.584 **.296 **.467 ** 절차 순응.684 **.561 **.668 ** 사건보고에 대한 규범.655 **.465 **.600 ** ** p<.01, * p<.05-29 -
5.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편상관관계 통제변수로통상근무외근무시간, 교육정도, 결혼상태를설정후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편상관분석결과는 < 표 8> 과같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은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다 (r=.712,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행위이행은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으며 (r=.742,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낙상예방활동또한통계적으로유의한상관관계를나타냈다 (r=.577, p<.01).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살펴본결과상관관계는모두양 (+) 의관계를나타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이높을수록안전행위이행, 낙상예방활동, 안전이행이높게나타났다. 특히환자안전문화하부영역중절차순응 (r=.679, p<.01), 의사소통의개방성 (r=.624, p<.01), 조직학습 (r=.619, p<.01) 이안전이행과높은상관관계를나타냈다. - 30 -
< 표 8>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편상관분석 안전이행 영역 안전행위 낙상예방 안전이행 이행 활동 ( 총점 ) 환자안전문화 인식.742 **.577 *.712 **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 지원.419 **.404 **.445 ** 조직학습.626 **.518 **.619 ** 병동내 팀워크.520 **.522 **.564 ** 의사소통의 개방성.622 **.533 **.624 ** 오류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565 **.545 **.601 **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대응.472 **.287 **.406 ** 인력배치.422 **.197 *.334 ** 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645 **.406 **.567 ** 병동간의 팀워크.551 **.355 **.489 ** 병동간 환자이송.523 **.224 **.402 ** 절차 순응.675 **.580 **.679 ** 사건보고에 대한 규범.625 **.436 **.573 ** ** p<.01, * p<.05-31 -
Ⅴ. 논의 본연구는일종합병원간호사를대상으로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와의관련성을알아보고자실시하였다. 본연구의대상자는 W시에소재한 W종합병원일반간호사로제한되었으므로본연구결과를일반화할때는신중을기해야한다. 대상자는연령이평균 31.57세였고, 미혼자의구성이 60.1% 였으며근무경력은평균 8.49년이었다. 1일근무시간은평균 9.35시간으로주당 46.75시간이었다. 지난 1년간사건보고횟수는없음이 70%, 1-2회이상이 30% 인것으로나타났다. AHRQ(2011) 의사건보고횟수 53% 나박소정 (2008) 의결과 55.6%, 노이나 (2008) 의결과 44.9% 에비하면사건보고횟수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대부분의대상자가사건사고보고의필요성에대해서는높은인식을가지고있었으나실제로보고체계나대상, 방법에대한인식이낮았다. 의료과오에대한보고를체계화하고보고대상이나방법에대한교육및의사소통의활성화가요구됨을보여주고있다. 본연구에서의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 3.52점으로보통수준으로인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모든영역에서 그렇다 로표시되는명확한긍정인 4점에는미치지못하였다. 이는종합병원일반간호사를대상으로한연구정준 (2006) 3.26 점, 제우영 (2007) 3.58점, 박소정 (2008) 3.41점, 이나주와김정희 (2011) 3.32점, 김혜영과이은숙 (2013) 3.50점등으로결과가유사하였다. 최근들어안전문화에대한관심이높아지기는했지만해가지나도안전문화인식이크게높아지지않고있음을보여주고있다. 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을긍정적으로전환하기위하여더욱많은관심과노력이필요하며, 안전문화인식을높이기위해지속적이고다각적인노력이선행되어야할것이다. 환자안전문화인식하부영역중가장높은영역은직속상관 / 관리자의환자안전증진활동지원영역으로미국의환자안전문화연구 (AHRQ, 2011; 김혜영, 이은숙, 2013; 박소정, 2008) 결과와유사하였다. 이는같은부서에근무하면서간호사와직속상관이나관리자간에친밀감과상호관계가형성되고병원에서안전사고발생시직속상관이나관리자가해결과정에직접적으로참여하기때문인것으로생각된다. 안전한의료환경을위해리더의역할이강조되고있으며리더쉽을배양할필 - 32 -
요가있다고사료된다. 본연구에서부서의직속상관이나관리자의태도는 3.96점으로긍정적으로인식한반면병원경영자의환자안전을위한지원은 3.12점으로비교적부정적인견해를가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병원경영진이환자안전을개선하려는업무분위기는조성하지만환자안전보다는비용절약이나효율성을추구하는것으로인식하고있었으며, 환자안전문제에대해충분한관심이부족하다는것으로연구대상자들은인식하였다. 따라서경영진이우선적으로고려할점은환자안전에대한정책과표준을마련해야겠으며안전교육, 안전과관련된자원, 안전수행피드백등의지원이이루어져야하겠다 ( 박현희, 2013). 병원경영진은단기적인관점에서의비용절감노력이나효율성의추구로인해환자안전사고가발생할경우이후더큰비용의손실을가져옴을인식하고의료수준의질적수준의향상이장기적으로보다효율적인접근임을인식하는것이필요할것이다. 또한경영자가환자안전문제에관심을갖게하기위하여환자안전문화에투자함으로써얻어지는유인책마련이제도적으로필요하겠다. 하부영역중에서도특히인식이낮은영역은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영역으로가장낮은점수를나타났다. 의료과오발생시실수를용납하지않고개인의책임을묻는처벌적인조직문화로인식하고있음을알수있었다. 이는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을가장부정적으로인식하는국내연구들 ( 강민아등, 2005; 김혜영, 이은숙, 2013; 노이나, 2008) 의결과와도일치한다. 오류에대한비처벌적대응의인식이부족하다는점은사건사고보고를두려워하는문화로인식하는것을의미한다. 오류를범한사람을비난하는문화는환자안전문제가발생하더라도자발적으로문제를보고하고해결하려는의지를부족하게하고해결하기위안방안을학습하지못하게함으로써결국환자안전문화의형성과정착에가장큰장애요인이될수있다 (Nieva & Sorra, 2003). 비난처벌에대한두려움을줄이기위한긍정적안전문화에대한지속적인교육이필요하며, 이를통해비난과처벌의조직문화를변화시켜야하는노력이필요할것이다. 병원내에서는안전사고발생시담당간호사의책임으로전가하기보다는시스템적인문제가있는것은아닌지조사해서조치를취하는방법이필요하겠다. 본연구에서긍정적인점수가두번째로낮은영역은직원배치영역이었다. 직원배치는 AHRQ(53%) 결과보다현저히낮다. 국내연구들 ( 김혜영, 이은숙, 2013; - 33 -
노이나, 2008; 이나주, 김정희, 2011) 의결과와일치하며, 인력배치를부정적으로인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Schubert(2008) 의연구에서는간호사의인력수준이투약오류, 병원감염, 낙상, 욕창등에유의한영향요인이있는것으로보고하였고, 병원간호사회에서는간호사의과다한업무량이환자안전문제발생률을높이고간호사의윤리적소진을심화시키므로간호의질과환자안전을위해서충분한간호인력을확보해야한다고하였다 ( 조성숙, 강문희, 2013). 강민아등 (2005) 은병동내환자안전도영향요인으로직원배치가가장큰영향을미치는것으로보고하였는데, 업무량에비해간호사가너무많은환자를돌봄으로환자안전의잠재적인문제발생의가능성을지적하였다. 간호업무가점점전문화되고세분화됨에따라업무량이증가하면서바쁜업무로인해환자안전에소홀해질수있으므로환자안전사고예방을위해서충분한간호인력의확보가우선시되어야할것이다. 안전이행정도의문항점수는 5점만점에 3.87점으로중간이상의수준으로수행되고있었다. 선행연구들이안전이행정도를측정할때동일한도구를사용하지않았기때문에정확하게비교하기는어렵지만, 제우영 (2006) 의연구에서 3.41점, 손명지 (2012) 연구에서 3.63점, 황미숙 (2014) 의연구에서 3.62점인것에비하여안전이행정도가높은편이라고할수있다. 안전이행정도가높은이유는환자안전이문제가되면서국내에서는의료기관평가를시행하여환자안전간호에대해좀더관심을기울이고여러안전관리활동을늘리고있기때문이라고생각한다. 그리고주요평가항목들이안전이행에대한간호사들의경각심이나인식수준을향상시키는데긍정적인영향을주었을것이라생각한다. 낙상예방활동의문항점수는 5점만점에 4.22점으로높은수준으로이행되고있었다. 황점숙등 (2014) 의연구결과는 4.40점, 한남주 (2011) 의연구결과 4.40점, 남문자 (2012) 4.17점등으로결과가유사하였다. 낙상사고처럼발생빈도가높은안전사고에대해서는자체적인표준이나지침을마련하여교육및개선활동을지속적으로시행하고있어높은낙상예방활동을나타내는것으로판단된다.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의차이를분석한결과교육정도와통상근무외근무시간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교육정도는교육수준이높은그룹에서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가높았다. 통상근무외근무 - 34 -
시간은 1일 1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간호사가 1시간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에 비하여 인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소정 (2008), 김정은 등 (2007) 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는 근무경력에 따라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차이가 없 었던 것과 달리 선행연구들에서는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 이나주, 김정희, 2011; 제우영, 2007). 이는 최근 의료기관 안 전기준이 강화되면서 병원에서 실수나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신규간호사를 대상 으로 환자안전 교육을 강화시킨 결과로 안전사고 인식과 더불어 안전문화 인식이 높 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근무 경력이 짧은 간호사들은 반복적인 교육과 긴장감 속에 업무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스트레스로 인해 더욱 더 환자 안전에 힘쓰려고 하며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를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남문자, 201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행위 이행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상태, 교육정도 와 통상근무 외 근무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상근 무 외 근무시간은 1일 1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간호사가 1시간 이상 근무하는 간호 사에 비하여 안전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시간이 길수록 환자안전 문화 인식과 안전이행 정도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근무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면서 주 의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은 환자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는 ( 박 소정, 2008; 손명지, 2012; 정준, 2006; 황미숙, 2014) 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이행이 올바르게 시행 될 수 있도록 최적의 근무시간을 조성 해야하며 이를 위한 의료기관의 정책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이행 정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안전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소정 (2008), 이유정 (2011), 이나주와 김정희 (2011), 황점숙 등 (2014) 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와 일치한다. 환자안전문화 12개의 하부영역 모두와 안전이행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지원, 조직학습, 병동내 팀워크, 의사소통의 개방성, 오류에 대한 피트백과 의사소통,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인력배치, 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 병동간의 팀워크, 병동간 환자이 - 35 -
송, 절차순응, 사건보고에대한규범의영역점수가높을수록안전이행의정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편상관분석결과환자안전문화인식영역중특히절차순응과의사소통의개방성, 조직학습영역이안전이행과높은상관관계를보였다. 이에따라안전이행을높이기위해간호사들이개방적인의사소통을할수있는분위기의조성과교육의제공등방안모색이필요할것이다. 간호현장에서동료간의의사소통문제점들을파악하고의사소통을원활하게할수있도록제도적장치를마련하고실천해야할것이다. 의료과오에대하여개방적인의사소통을하는조직문화를조성함으로써의료과오의정확한원인을파악한다면의료과오의재발을상당히줄일수있을것이며 ( 김정은등, 2007), 동시에환자안전을위해병원환경과조직문화를개선해나가는데필요한근거자료를확보할수있을것이다 ( 김혜영, 이은숙, 2013). 또한조직학습문화를올바르게정착하면조직이주체가되어환자안전이행의목표와비전을실행할수있는조직학습을통하여조직행동의변화가일어날것이며이는나아가안전이행으로이어질것이다. 전반적으로환자안전문화에대한간호사의인식은긍정적으로변화되고있지만아직도미흡한점이많다. 그러므로병원차원의환자안전문화정착을위한지속적인개선이필요하다. 또한안전이행수준및환자안전문화인식을높이기위한업무환경개선과체계적인교육과평가등의노력을기울여야할것이다. 본연구결과를기반으로간호사의안전이행을향상시키기위해오류의가능성을인지하고수긍하는조직문화를확산시킴으로써자발적인사고보고체계를확립하고, 조직학습과열린의사소통을통하여환자안전문화영역이긍정적으로정착될수있도록구성원들의인식변화를위한모든관련자들의관심과노력이필요할것이다. 이러한노력들이안전이행으로이어지고결국환자안전증진과의료서비스의질향상으로이어질것이다. - 36 -
Ⅵ. 결론및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이행 정도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 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하고 있는 Y종합병원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은 2014년 3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환자안전문화 인식 측정도구는 의료연구품질 관리부 (AHRQ) 에서 개 발한 설문도구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 를 김정은 등 (2007) 이 번역한 총 6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본 연구에서는 총 69문항 중 예 비조사 결과 내용이해가 어렵다고 판단된 절차 순응과 관련된 1문항을 제외한 총 68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안전이행 정도 측정은 두 가지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안전행위 이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Hayers, Perander, Smecko와 Trask(1998) 가 개발하고 정수경 (2010) 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낙상예 방활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의료기관 평가원에서 개발한 안전평가 9개의 항목 중 낙상예방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평가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one way-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연구의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전반적인환자안전문화인식의문항평균은 3.52점으로환자안전문화인식중가장점수가높은영역은직속상관 / 관리자의환자안전증진활동영역이었으며, 가장낮은영역은오류에대한비처벌적인대응영역이었다. 둘째, 안전이행의문항평균은 3.87점이었다. 안전행위이행정도는 3.53점으로보통수준을유지하고있었고, 낙상예방활동정도는 4.22로높은이행정도를나타냈다. - 37 -
셋째, 일반적특성에따른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는교육정도, 통상근무외근무시간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으며, 일반적특성에따른안전행위이행정도는결혼상태, 교육정도, 통상근무외근무시간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나타냈다. 낙상예방활동정도는결혼상태, 교육정도에따라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나타냈다. 넷째, 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은양의상관관계를나타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이높을수록안전이행정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인식 12개의하부영역모두와안전이행간에는상관관계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2. 제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실시되어야 할 연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관리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높이기 위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정도를증진시킬수있도록안전교육프로그램개 발과이를반복적으로제공하여연구효과를확인할수있는사전사후연구를제 언한다. 3) 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의관련성, 환자안전문화인식이안전이행에미치 는영향을확인하기위하여다양한안전이행의변수를이용하여, 반복적이고지 속적인연구가필요하다. 4) 국외연구결과와비교할수있도록미국의 AHRQ 와같은환자안전문화에대한 대규모조사가국내에서실시하는것이필요하다. - 38 -
참고문헌 강민아, 김정은, 안경애, 김윤, 김석화 (2005). 환자안전문화와의료과오보고에대한 의사의인식과태도. 보건행정학회지, 15(4), 110-135. 김경자 (2012). Web site 를이용한환자안전문화증진프로그램이간호사의안전문화 인식, 태도및이행에미치는효과.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서울. 김윤희 (2014). 병원종사들이인식한환자안전문화와노인낙상예방활동.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은경, 이순교, 정연이, 조윤희, 최윤경, 황정해 (2011). 환자안전의이해. 서울 : 현문사.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2007). 환자안전과관련된병원문화와의료과오보고 에대한간호사의인식조사. 임상간호연구, 13(3), 169-179. 김혜영, 이은숙 (2013). 지방중소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이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9(1), 46-54. 김희래 (2012). 의료기관인증제가환자안전과의료의질향상, 조직문화및병원경영 활동에미친영향.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남문희 (2010). 부산지역간호사의환자안전과안전간호활동에대한인식.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상남도. 노이나 (2008). 병원근무직종별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한병원협회 (2011). 병원인증기준집. 서울. 박소정 (2008). 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과안전간호활동에관한연구. 동아대학교석사학위논문. 부산. 박현희 (2013). 간호사의환자안전관리활동에대한구조모형. 을지대학교대학원박사 학위논문. 대전. 보건복지부 (2011). 의료기관평가치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복지부 (2007). 의료기관평가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39 -
손명지 (2012). 종합병원간호사의안전분위기인식이안전이행에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손유동 (2006). 서울아산병원의전산화된환자안전프로그램의구축. 울산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울산. 이금옥 (2009). 간호관리자의리더십과환자안전관리활동에관한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이나주, 김정희 (2011). 중소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과안전간호활동수행정도. 간호행정학회지, 17(4), 462-473. 이명숙 (2005). 간호조직문화에따른직무만족과이직의사에관한연구. 순천향대학교석사학위논문. 순천. 이유정 (2011). 병원간호사가지각한환자안전문화및환자안전관리활동.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정수경 (2010). 병원조직구성원의안전문화풍토와안전이행에대한설명모형. 연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서울. 정준 (2006). 병원의환자안전관리활동영향요인연구 : 간호부서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정회진 (2013). 수술실간호사의안전문화인식과안전관리활동. 경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제우영 (2006). 환자안전문화에대한병원종사자들의인식 - 일개대학병원을중심으 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조성숙, 강문희 (2012). 신규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과안전간호활동. 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대전. 최동원 (2003). 안전분위기와안전행동에미치는변환적리더십의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부산. 최명희 (2009). 일개광역시병원종사자의환자안전문화인식및영향요인. 계명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대구. - 40 -
최정화, 이경화, 이경미 (2010). 병원간호사가지각하는환자안전문화와안전활동간의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7(1), 64-72 한남주 (2012). 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간호활동. 경북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황미숙 (2014). 의료기관종사자의안전분위기, 안전지식, 안전동기가안전이행에미치는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황점숙, 이순영, 전영주, 이현옥, 곽용녀, 이정옥 (2014). 군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에대한인식과안전간호활동에관한연구. 군진간호연구, 32(1), 92-104. 허정윤 (2007). 종합병원노인환자의낙상지식및태도.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s safety culture. AHRQ Publication. from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8). Nursing sensitive indicators. Retrieved from http://www.nursingworld.org//mainmenucategoris/the Aspden, P., Corrigan, J. M., Wolcott, J., & Erickson, S. M. (2004). Patient Safety: Achieve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Badir A. & Herdman EA. (2008).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in Turkey. J Nurs Care Qual, 23(4), 375-378. Carmel, M. H., & Kate, L. L. (2006). Nurse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8(4), 281-286. Cooper, M. (2000).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 111-136. Chen IC, Ng HF, & Li HH. (2011). A multilevel model of patient safety culture: cross-leve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patient safety behavior in Taiwan s hospital. - 41 -
DeJoy, D. M., Scaffer, B. S., Wilson, M. G., Vendenberg, R. J., & Butts, M. M. (2004). Creating safer workplace: accessing the determinants and role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5, 81-90. Feng, X., Bobay, K., & Weiss, M. (2008).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a dimensional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American Nursing, 2008, 310-319. Griffin, M. A., & Neal, A. (2000).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3), 345-358. Griffin, M. A., & Neal, A., & Hart. P. M. (2000).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34(1-3), 99-109. Griffin, M. A., & Neal, A. (2006). A study of the lagged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4), 946-953. Halbesleben, J. R., Wakefield, B. J., Wakefield, D. S., & Cooper, L. B. (2008). Nurse burnout and patient safety outcomes: Nurse safety perception versus reporting behavior.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0(5). 560-577. Hayes, N. (2004). Prevention of falls among older patient in the hospital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Nurse. 13(15), 896-901. Hudson, P. (2003). Applying the lessons of hing risk industries to health care. Qual Saf Health Care, 12, 7-12. Institute of Medicine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1). Front line of defense, the role of nurses in preventing sentinel event. Oakbrook Terrace: Author. - 42 -
Kizer, K. W. (1999). Large system change and culture of safety. In: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IL :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Kohn, L. T., Corrigan, J. M., & Donaldson, M, S. (2000).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Lura, G., & Rafaeli, A. (2008). Testing safety commitment in organizations through interpretations of safety artifacts. Journal of safety Research, 39, 519-528. Meterko M. (2004). Teamworks Cultur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Hospital. Medical care, 42, 492-497. Milligan, F., & S. Denni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19(7): 33-36. Nieva, V. F., & Sorra, J.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 17-23.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2003). Patient Safety. Retrived from http://www.npsf.org:p/au/. National Health Service (2004).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An overview guide for NHS staff. London: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Olsen E. (2010).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common structural model measuring associations between safety climate factors and safety behavior in health care and the petroleum sectors. Accid Anal Prev, 42(5), 1507-1516. Reason,J. T., & Hobbs, A. (2003). Managing maintenance error: A practical guide, Burlington, VT: Ashgate. Rosen, A. K., Rivard, P., Zhao, S., Loveland, S,. Tsilimingras, D., Christiansen, C. L., Elixhauser, A., & Romano, P. S. (2005). Evaluating the patient safety - 43 -
indicatiors : How well do they perform on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data. Medical Care. 43(9), 873-874. Schubert, M., Glass T. R., Clarke, S. P., & Aiken, L. H. (2008). Rationing of nursing care and its relationship to patient outcomes stuty. Interna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4), 227-237. Sextom, J. B., Thomas, E. J., & Helmreich, R. L.(2000)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 Cross Sectional Surveys. British Medical Journal, 320, 745-774. Wiegmann, D., Zhang, Z., Thaden, T., Sharma, G., & Gibbons, A. (2003).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safety culture survey for commercial avi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Technical Report. University of lllinois at Urbana-champain. WHO (2004). The launch of the world alliance for patient safety. Retrived from http://www.who.int/patientsafety/launch/en/index.html. - 44 -
부록 1. 연구도구 연구제목 : 일종합병원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 연구책임자성명 : 김영희 연락처 : 010-33**-**** 이메일 : kyh*****@hanmail.net 지도교수성명 : 김기경 소속연구실 : 연세대학교원주의과대학교간호학과연락처 : 033-741-**** 안녕하십니까? 저는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근무하는김영희입니다. 본연구는간호사의환자안전문화인식과안전이행간의관계를파악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입니다. 환자안전향상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기위해연구를진행하고자합니다. 작성까지는약 10-15분정도소요될것입니다. 이설문조사지의내용은무기명으로실시되고개인의인적정보는개인식별이가능하지않도록재코딩하여처리될것입니다. 개인의비밀이완전히보장되며오직본인의연구목적으로만사용될것입니다. 다소바쁘시더라도빠짐없이응답해주시면감사드립니다. 연구와관련하여궁금하신사항은아래에기재된연락처로연구자에게문의하시면언제라도성실하게답변해드리겠습니다. 귀하의귀중한시간을할애하여설문에참여하여주셔서감사드립니다. 연락처 이연구에관하여궁금한점이있거나연구와관련이있는문제가발생한경우에는연구자에게연락하여주십시오. 연구자성명 : 김영희전화 031-8**-**** 휴대전화 010-33**-**** 이메일 kyh*****@hanmail.net -연구참여동의서 - 나는연구자로부터본연구에대한목적과내용에대해충분히이해하였습니다. 본인은연구참여에동의하지않더라도전혀문제가되지않는다는것을알고있으며, 연구가진행되는도중언제든지자유롭게중단할수있으며이설문에응답한내용은비밀이보장될것을들었습니다. 이에본인은연구에자발적으로참여하는것에동의합니다. 2014년 월 일 참여자 : ( 인 ) - 45 -
S e c t i o n A. 병원 / 병동근무환경 이설문조사에서근무환경이란대부분의근무시간을보내시거나대부분의임상서비스를제공하고계시는부서또는병동을지칭합니다. 다음의문항에대하여동의하시는정도를표시하여주십시오. 1. 전혀그렇지않다 2. 그렇지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그렇다항목 1 2 3 4 5 1. 병동에서직원들은서로를도와준다. 2. 병동에서는주어진업무량을다해낼수있을정도의충분한인력이있다. 3. 많은업무를신속하게처리해야할때, 목표를달성하기위하여직원들이 3. 팀으로함께일한다. 4. 직원들은동일한실수가지속적으로발생할때, 변화가필요한지생각한다. 5. 이병동은실수로부터교훈을얻으려고하는분위기다. 6. 직원들은과실을저질렀을때, 보고하는것이중요하다고믿는다. 7. 병동에서직원들은서로를존중해준다. 8. 병동에서상황을개선시키고자노력하는일은거의없다. 9. 사고보고서를작성하는것이매우까다롭다. 10. 어떤종류의사고를보고해야하는지가명확하지않다. 11. 이병동에서는과실에의해서환자가손상을당하지않도록가능한모든. 조취를취하고있다. 12. 이병동의직원들은환자의안전을위해필요한최적의근무시간을. 초과해서일하고있다. 13. 환자의안전을위해필요한간호인력의부족한부분을임시직원으로. 대체하고있다. 14. 직원들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해적극적으로노력한다. 15. 직원들은실수가용납되지않는다고느낀다. 16. 이병동에서는 실수가 긍정적인변화를 초래한다. 17. 환자에게실질적으로 해가 되지않았을 때에도 과실을보고하게 되어. 있다. 18. 이병동에서 더 심각한실수가 일어나지 않은것은 순전히 우연이다. 19. 사고가보고 될 때는, 문제그 자체가 아니라문제와 관련된 직원이. 초점이 되는 것같다. 20. 이병동의 한 팀이바빠질 때는 다른팀이 도와준다. - 46 -
21. 과실의보고가 환자의 안전을개선시킨다. 22. 환자의 안전을 개선시키기 위해 변화를 시도한 경우에는 그 효과를 측정. 한다. 23. 직원들은실수를 저질렀을 때보고하는 것을 두려워하지않는다. 24. 직원들은너무나 많은 것을빨리 처리하기 위해서언제나 위기상황인것처럼 일하고 있다. 25. 일을더 많이 하기위해서 환자의 안전을해치는 일은 없다. 26. 직원들은그들이저지른실수가개인기록에남을까봐두려워한다. 27. 이병동에서의사와간호사는팀으로함께일한다. 28. 이병동은환자의안전에관련해서문제가있다. 29. 환자의치료와관련해서문제가있을때, 의사에게말하는것이어렵다. 30. 이병동의절차나시스템은과실예방에도움이된다. 31. 새로온직원이나실습생들은안전관리에대한지도를받는다. S e c t i o n B. 직속상관 / 관리자직속상관이나보고를하여야할대상에대하여다음의문항에대하여동의하시는정도를표시하여주십시오. 1. 전혀그렇지않다 2. 그렇지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그렇다 1 2 3 4 5 1. 나의 직속상관은 정해진 안전절차에 따라서 업무를 수행할 때는 격려의 말을 해준다. 2. 나의 직속상관은 환자의 안전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직원들이 제안하는 것을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3. 업무에 대한부담이 증가할 때마다, 나의직속상관은 지름길을 택해서. 라도 일을 빨리처리하기만을 원한다. 4. 나의 직속상관은 환자의 안전과 관련해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을 해도. 그냥 지나친다. 5. 나의 직속상관은이 병동에서 일어나는환자의 안전과 관련된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S e c t i o n C. 의사소통과절차근무하고있는병동에서얼마나자주다음과같은일이있습니까? 다음문항에대하여동의하시는정도를표시하여주십시오. 1. 전혀그렇지않다 2. 그렇지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그렇다 1 2 3 4 5 1. 직원들은사고보고서를근거로변화된사항들에대하여피드백을받는다. 2. 직원들은환자의치료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만한것을발견했을때는자유롭게의견을개진한다. - 47 -
3. 비록상관과의견이다른경우라도자유롭게이야기한다. 4. 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한직원들의의견이무시되는것같다. 5. 일을손쉽게처리하기위하여절차가무시되기도한다. 6. 병동에서일어난과실에대하여직원들에게알린다. 7. 직원들은상관의결정이나행동에대하여자유롭게의문을제기한다. 8. 이병동에서는과실이재발하지않도록하는방법에대하여직원들이. 의논한다. 9. 모든절차를철저히준수하지않아도업무가안전하게수행될수있다. 10. 무엇인가가 옳지 않다고보일 때에도 직원들은질문하기를 꺼린다. 11. 환자의 안전과 관련된 병동의 문제점을 직원들과 상관이 터놓고 이야기. 한다. 12. 동료직원이 절차를 따르지않는 것을 보았을때, 직원들은 서로 지적. 해준다. 13. 직원들은 자신들의 업무와 관계가 있을 때는 다른 직원들의 업무를 항상. 확인한다. S e c t i o n D. 사고보고의 빈도 근무하고 있는 병동에서다음과 같은 일이발생했을 때 얼마나자주보고가 됩니까? 1. 전혀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1 2 3 4 5 1. 환자에게해를끼친실수를저질렀을경우,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2. 실수를저질렀으나환자에게영향을미치기전에발견되고고쳤을때,.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3. 실수를저질렀으나환자에게해를끼칠가능성이없을때,.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4. 환자에게해를끼칠수있었으나, 사고가발행하지않은실수를저질렀을. 경우,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S e c t i o n E. 환자의안전도 근무하시는병동의안전관리에대해전박적인평가를해주십시오. A. 아주훌륭하다 B. 훌륭하다 C. 받아들일만하다 D. 나쁘다 E. 아주나쁘다 S e c t i o n F. 병원 근무하시는병원에관련해서다음의문항에대하여동의하시는정도를표시하여주십시오. 1. 전혀그렇지않다 2. 그렇지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그렇다 1. 병원경영진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한업무분위기를조성한다. 1 2 3 4 5 2. 병동들은서로협조가잘되지않는다. - 48 -
3. 환자를한병동에서다른병동으로전동시킬때누락되는부분들이있다. 4. 같이일을해야할때는병동간의협조가잘이루어진다. 5. 근무인수인계를할때, 환자진료에관한중요한정보가종종누락된다. 6. 병원경영진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보다는진료비삭감에더. 신경을쓰는것같다. 7. 다른병동에서파견온직원과일하는것이불쾌한경우가종종있다. 8. 병동간에환자를전동시키는일이매우원활하게진행된다. 9. 병동 간에 정보를교환할 때 문제가종종 발생한다. 10. 병원경영진은환자의 안전이 가장우선순위에 있다는 것을행동으로. 보여준다. 11. 병원경영진은잘못된 사고가 일어난후에야 환자안전에 관심을갖는 것. 같다. 12. 병원경영진은환자의 안전이라는 목표달성을위해 병원 직원들과의사. 소통을 성공적으로 하고있다. 13. 병동들은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제공하기 위해 협조를잘한다. 14. 환자의 안전측면을 고려해 볼 때, 우리 병원의 근무 인수인계는 문제가 있다. S e c t i o n G. 보고된 사고횟수 최근 1년동안선생님께서는몇회나사건사고를보고하셨습니까? 1. 없다 2. 1-2회 3. 3-5회 4. 6-10회 5. 10회이상과거의료분쟁에관여된경험이있으셨습니까? 1. 없다 2. 있다 S e c t i o n H. 응답자정보 선생님에관한정보는설문조사의분석에도움이됩니다. 응답해주신내용에대해서는철저하게익명성을보장합니다. 1. 귀하의성별 : 남 ( ) 여 ( ) 2. 나이 : 만 ( ) 세 3. 임상경력 : 총 ( ) 년 ( ) 개월 4. 이병원에서근무경력은얼마입니까? 총 ( ) 년 ( ) 개월 5. 이병동에서근무경력은얼마입니까? 총 ( ) 년 ( ) 개월 6. 통상근무시간 (8 시간 ) 외근무시간은 1 일평균얼마입니까? 평균 ( ) 시간 / 일 7. 결혼상태는? 1. 미혼 2. 기혼 3. 기타 8. 현재근무하시는부서는어디입니까?( 예 : 내과병동, 외과중환자실 ) ( ) 9. 교육정도는? (1) 전문학사 (2) 간호학사 (3) 대학원이상 - 49 -
2-1 안전행위이행 안전행위이행여부에관한다음질문들에대하여선생님의의견을표시해주시기바랍니다. 1. 매우그렇지않다 2. 그렇지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그렇다 문항 1 2 3 4 5 1. 나는간호업무를빨리마치기위하여안전지침을무시하는편이다 2. 나는내가처한상황에관계없이모든안전지침을따른다. 3. 나는안전사고가날가능성까지고려하여간호업무를수행한다. 4. 나는간호수행시지침에따라보호구를착용한다. 5. 나는간호수행시주위환경을청결하게유지한다. 6. 나는간호수행시동료들에게도안전수행을격려한다. 7. 나는간호수행시안전한환경을위하여안전보호장구를준비한다. 8. 나는간호업무를빨리마치기위하여안전지침중일부만을따른다. 9. 나는안전지침이나규정이불필요하다고생각하면지키지않는다. 10. 나는안전문제나문제발생가능한것을발견하면수간호사에게보고한다. 11. 나는사고가발생되지않도록안전문제를사전에교정하는편이다. - 50 -
2-2 낙상예방활동 낙상예방활동에 관한 다음질문들에 대하여 선생님의의견을 표시해 주시기바랍니다. 1. 전혀 수행하지않는다 2. 거의수행하지 않는다 3. 가끔 수행한다 4. 자주 수행한다 5. 항상 수행한다 문 항 1 2 3 4 5 1. 침대의 side rail을항상 올린다. 2. 이동침대 이용시 side rail을 항상올린다. 3. 휠체어로 환자를옮길 때는 잠금장치를이용한다. 4. 간호사 호출벨 (call) 이 울리면즉시 대응한다. 5. 보호자가 없는고위험군 환자의 이동시항상 동반한다. 6. 야간 근무시 취침등을 켜둔다. 7. 야간 근무시 복도등을 켜둔다 8. 낙상 위험이있는 환자에게 예방교육을시행한다. 9. 낙상 위험이있는 보호자에게 예방교육을시행한다. 10. 낙상위험환자의 사정도구가 비치되어있다. 11. 낙상의 위험환자는 도구를이용하여 모니터링 한다. 12. 낙상 위험환자는 간호기록에남긴다. - 51 -
부록 2. 환자안전문화도구신뢰도 영역 문항 신뢰도 환자안전문화 ( s a f e t y c u l t u r e )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 지원 5.784 조직학습 7.795 병동내 팀워크 5.750 의사소통의 개방성 6.850 오류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3.715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5.758 인력배치 4.458 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 5.817 병동간의 팀워크 4.667 병동간 환자이송 5.771 절차순응 4.626 사건보고에 대한 규범 5.690 안전성과 ( s a f e t y o u t c o m e ) 병동의 환자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5.699 사건보고 빈도 4.882 환자의 안전도 1 - 계 68.965 부록 3. 안전이행도구신뢰도 변수문항신뢰도안전행위이행 11.920 낙상예방활동 12.904-52 -
부록 4. 환자안전문화인식문항별점수 문항평균 ± 표준편차 1. 병동에서직원들은서로를도와준다. 4.05±.65 2. 병동에서는주어진업무량을다해낼수있을충분한인력이있다. 2.57±.75 3. 많은업무를신속하게처리해야할때, 목표를달성하기위하여직원들이.. 팀으로함께일한다. 3.78±.78 4. 직원들은동일한실수가지속적으로발생할, 때변화가필요한지생각한다. 4.07±.68 5. 이병동은실수로부터교훈을얻으려는분위기이다. 3.76±.90 6. 직원들은과실을저질렀을때, 보고하는것이중요하다고믿는다. 3.78±.72 7. 병동에서직원들은서로를존중해준다. 3.86±.73 8. 병동에서상황을개선시키고자노력하는일이거의없다. 3.99±.81 9. 사고보고서를작성하는것이매우까다롭다. 2.69±1.00 10. 어떤종류의사고를보고해야하는지가명확하지않다. 3.49±.95 11. 이병동에서는과실에의해서환자가손상당하지않도록가능한모든. 조취를취하고있다. 12. 이병동의직원들은환자의안전을위해필요한최적의근무시간을초과. 해서일하고있다. 13. 환자의안전을위해필요한간호인력의부족한부분을임시직원으로대체. 하고있다 3.96±.76 3.89±.82 3.45±.97 14 직원들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해적극적으로노력한다. 3.82±.72 15. 직원들은실수가용납되지않는다고느낀다. 2.71±.96 16. 이병동에서는실수가긍정적인변화를초래한다. 3.29±.83 17. 환자에게실질적으로해가되지않았을때에도과실을보고하게되어있다. 3.75±.79 18. 이병동에서더심각한실수가일어나지않은것은순전히우연이다. 3.85±.92 19. 사고가보고될때는, 문제그자체가아니라문제와관련된직원이초점이. 되는것같다 2.76±1.10-53 -
20. 이병동의한팀이바빠질때는다른팀이도와준다. 3.90±.71 21. 과실의보고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킨다. 3.74±.74 22. 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해변화를시도한경우에는그효과를측정한다. 3.62±.72 23. 직원들은실수를저질렀을때보고하는것을두려워하지않는다. 2.62±.88 24. 직원들은 너무나 많은 것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 언제나 위기상황인 것처럼 24. 일한다. 2.70±1.10 25. 일을더많이하기위해서환자의안전을해치는일은없다. 3.27±.96 26. 직원들은그들이저지른실수가개인기록에남을까봐두려워한다. 2.80±.98 27. 이병동에서의사와간호사는팀으로함께일한다. 2.93±.94 28. 이병동은환자의안전에관련해서문제가있다. 3.46±.84 29. 환자의치료와관련해서문제가있을때, 의사에게말하는것이어렵다. 3.43±.94 30. 이병동의절차나시스템은과실예방에도움이된다. 3.28±.81 31. 새로온직원이나실습생들은안전관리에대한지도를받는다. 3.79±.79 32. 나의직속상관은 정해진 안전절차에따라서 업무를 수행할때 격려의 말을. 해준다. 33. 나의직속상관은 환자의 안전을개선시키기 위해서 직원들이제안하는 것을.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34. 업무에대한 부담이 증가할때마다 나의 직속상관은일을 빨리 처리하기만을. 원한다. 35. 나의직속상관은 환자의 안전과관련해서 문제가 지속적발생 시 그냥지나. 친다. 36. 나의직속상관은 이 병동에서일어나는 환자의 안전과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3.82±.69 3.95±.63 3.81±.77 4.14±.78 4.09±.78 37. 직원들은사고보고서를근거로변화된사항들에대하여피드백을받는다. 3.90±.67 38. 직원들은환자의치료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만한것을발견했을때는. 자유롭게의견을개진한다. 3.72±.71 39. 비록상관과의견이다른경우라도자유롭게이야기한다. 3.40±.85 40. 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한직원들의의견이무시되는것같다. 3.83±.72-54 -
41. 일을손쉽게처리하기위하여절차가무시되기도한다. 3.59±.90 42. 병동에서일어난과실에대하여직원들에게알린다. 3.90±.68 43. 직원들은상관의결정이나행동에대하여자유롭게의문을제기한다. 3.33±.83 44. 이병동에서는 과실이 재발하지않도록 하는 방법에대하여 직원들이 의논. 한다. 3.77±.66 45. 모든절차를철저히준수하지않아도업무가안전하게수행될수있다. 3.43±.95 46. 무엇인가가옳지않다고보일때에도직원들은질문하기를꺼린다. 3.55±.81 47. 환자의안전과관련된병동의문제점을직원들과상관이터놓고이야기한다. 3.57±.79 48. 동료직원이절차를따르지않는것을보았을때, 직원들은서로지적해준다. 3.54±.74 49. 직원들은자신들의업무와관계가있을때는다른직원들의업무를항상확인. 한다. 3.63±.76 50. 환자에게해를끼친실수를저질렀을경우,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3.89±.82 51. 실수를저질렀으나환자에게영향을미치기전에발견되고고쳤을때,.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52. 실수를저질렀으나환자에게해를끼칠가능성이없을때,.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53. 환자에게해를끼칠수있었으나, 사고가발행하지않은실수를저질렀을. 경우, 얼마나자주보고가됩니까? 3.45±.93 3.34±1.00 3.28±1.04 54. 근무하시는병동의안전관리에대해전반적인평가를해주십시오. 3.39±.61 55. 병원경영진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위한업무분위기를조성한다. 3.49±.81 56. 병동들은서로협조가잘되지않는다. 3.47±.87 57. 환자를한병동에서다른병동으로전동시킬때누락되는부분들이있다. 2.99±.93 58. 같이일을해야할때는병동간의협조가잘이루어진다. 3.36±.72 59. 근무인수인계를할때, 환자진료에관한중요한정보가종종누락된다. 3.27±.87 60. 병원경영진은환자의안전을개선시키기보다는진료비삭감에더신경을. 쓰는것같다. 2.99±1.05 61. 다른병동에서파견온직원과일하는것이불쾌한경우가종종있다. 3.45±.92 62. 병동간에환자를전동시키는일이매우원활하게진행된다. 3.05±.79-55 -
63. 병동간에정보를교환할때문제가종종발생한다. 2.94±.78 64. 병원경영진은환자의 안전이 가장우선순위에 있다는 것을행동으로 보여. 준다. 3.12±.86 65. 병원경영진은잘못된사고가일어난후에야환자안전에관심을갖는것같다. 2.89±.98 66. 병원경영진은환자의안전이라는목표달성을위해병원직원들과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하고있다. 3.09±.79 67. 병동들은환자에게최상의진료를제공하기위해협조를잘한다. 3.36±.72 68. 환자의안전측면을고려해볼때, 우리병원의근무인수인계는문제가있다. 3.53±.78 부록 5. 안전성과영역별인식 N=148 영역문항평균 ± 표준편차문항평균 안전성과 (safety outcome) 환자안전에대한전반적인식 5 17.82±2.9 3.56±.58 사건보고빈도 4 13.97±3.3 3.49±.82 환자의안전도 1 3.39±.61 3.39±.61 계 10 34.80±6.7 3.48±.67-56 -
부록 6. 환자안전문화영역과안전성과영역간의상관분석 영역및차원 안전성과 (safety outcome) 환자안전에사건보고환자의안전성과대한전반적빈도안전도 ( 총점 ) 인식 환자안전문화 (safety culture) 직속상관 / 관리자의 환자안전증진 활동 지원.527 **.363 **.232 **.515 ** 조직학습.708 **.574 **.414 **.743 ** 병동내 팀워크.685 **.471 **.355 **.622 ** 의사소통의 개방성.637 **.487 **.359 **.709 ** 오류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575 **.575 **.437 **.677 ** 오류에 대한 비처벌적대응.510 **.470 **.249 **.561 ** 인력배치.456 **.279 **.271 **.428 ** 병원경영자의 환자안전을 위한 지원.607 **.519 **.354 **.650 ** 병동간의 팀워크.564 **.545 **.302 **.677 ** 병동간 환자이송.535 **.461 **.355 **.578 ** 절차 순응.642 **.573 **.460 **.716 ** 사건보고에 대한 규범.625 **.646 **.410 **.746 ** 환자안전문화 ( 총점 ).772 **.656 **.455 ** 772 ** **p<.01-57 -
A B S T R A C T T h e r e l a t i o n s h i p b e t w e e n n u r s e s g e n e r a l h o s p i t a l p a t i e n t s a f e t y c u l t u r e a n d s a f e t y c o m p l i a n c e Kim, Young Hee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P u r p o s e : The purposes of this descriptive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level of safety compliance of hospital nurse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mpliance in order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on patient safety in hospital. M e t h o d :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tudy using the survey tool for patient safety culture developed by AHRQ (2004) and the tool developed by Kim et al. (2007), which was modified to a 68-question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afety behavior compliance scale developed by Hayers et al. (1998) and Jung (2010) was used to measure safety compliance. For fall prevention activities, a tool of 12 questions that was developed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urses who worked in the hospital from March 24 to April 5, 2014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R e s u l t : The mean score for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compliance score on patient safety were 3.52(±.46) and 3.87(±.58), respectively. The perception levels of patient safety cul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work hours. Levels of safety behavior - 58 -
compli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work hours. Levels of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marital status.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compliance with patient safety were highly correlated (r=.760, p<.01), and all the subcategories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ores for compliance with patient safety. Especially the categories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uch as Procedure Compliance " Communication Openness "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d high correlation with compliance in patient safety. C o n c l u s i o 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culture is highly correlated with safety compliance in hospital nurses, and so may be utilized to develop strategies for improving safety compli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Key Words: Patient Safety Culture, Safety Compliance, Hospital Nurses - 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