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ML Comm 社會精神醫學第 17 卷第 2 號 2012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Vol 17, No 2 원저 하남시여성결혼이민자의정신건강에대한예비연구 조현정 * 연병길 * 한창환 * 류성곤 * 이상신 ** A Pilot Study on the Status of Mental Health in Marriage Immigrants Women in Hanam City Hyun Jung Jo, M.D., * Byeong Kil Yeon, M.D., * Chang Hwan Han, M.D., * Seong Gon Ryu, M.D., * Sang-Shin Lee, M.D. ** 국문초록목적 최근 결혼이민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로의 적응 문제와 함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상태와 이것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하남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명을 대상군으로 한국인 여성 명을 대조군으로 선정 하였다 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우울척도 불안 척도 자살의도척도 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 가족스트레스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과 우울감의 경우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동거인 수가 많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문화적 차이에 따른 주변의 이해 부족이 우울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소로 나타났다 불안감의 경우 인구학적 차이 보다는 외적 스트레스 요인이 악화 요인으로 조사 되었다 자살 의도의 경우 역시 인구학적 차이 보다는 우울 불안 등 정서적 불안적이 악화 요인으로 고려되었으며 특히 생활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가 자살 사고를 악화 시키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정착 후 적응 과정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외적 상황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 또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안정을 위한 대책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여성결혼이민자 정신건강살 사회정신의학 서 론 국제 노동시장의 구조적 분화와 지구화 시대로 인한 양극 화 현상으로 빈곤의 여성화 이주의 여성화 현상이 심화됨 으로써 여성의 이주는 세기말 지구화 시대의 주요 특징 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정신건강의학과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Corresponding author 의 하나가 되고 있다 국내의 보고에서도 국제 결혼에 의한 여성 결혼 이민자의 증가 원인을 1 자본주의 세계 체계에서 나라간의 불균등한 발전과 여성의 상품화 2 가난과 실업이 만연한 송출국 사회와 자국인의 여성 송출을 장려 또는 방관하는 정부정책 3 신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에서 여성을 충원하려는 유입국 사회와 그것을 묵인하는 정부정책 4 국제결혼을 성사시킴으로써 영리를 추구하는 국제결혼중개업체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 등으로 여성의 빈곤화가 심화될수록 여성이 국제결혼을 통해 이주하는 일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에서는 년대에 결혼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 108
조현정 연병길 한창환 류성곤 이상신 총각과 조선족 처녀들의 결혼을 시초로 년대 후반 이후 결혼을 통해서 한국에 이주 하는 여성결혼이민자 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현황을 통계청 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년 국제 결혼이 전체 결혼의 를 넘어선 이후 외국인 아내와 결혼하는 국제 결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년에서 년까지의 경우 총 결혼 건수 대비 국제결혼의 비율은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중 외국인 아내의 비중은 년 기준으로 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를 통해 한국사회가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진행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렇게 국제 결혼이 급격히 늘어나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년대 중반까지는 이들의 특성과 이주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만이 주로 진행되었고 최근에서야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 건강을 주제로 하는 연구들이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사회 적응과 관련된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인 상태에 대해 정신 건강 실태나 관련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고찰은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에서 발표된 연구 중 호주 남성과 결혼을 통해 이민을 오게 된 베트남 터키 필리핀 여성의 우울증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보면 언어능력 거주 기간 나이 거주지 근처의 친척 유무 등이 우울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기타 사회적 요인과 정신적 고통과의 관련성에 대한 대만의 연구를 보면 결혼을 통해 이주한 베트남 여성은 본인 또는 배우자의 직업 유무나 자녀의 수 거주 기간 등에 따라 심적 고통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혼을 통해 미국으로 이주한 멕시코 여성들의 우울증에 관한 연구에서는 교육 수준 거주 기간 수입 동거인 수 등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우울증이나 정서적 불안정 등에 국한되고 있으며 특히 자살 사고에 관한 연구나 정서적 회복 능력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는 없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이민자들은 많은 경우 국내에 적응할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민을 오게 된 경우가 많아 언어나 사회적 풍습에 익숙하지 않고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고립된 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회적 연대의 단절로 인하여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기타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국내 여성인구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 불안 자살 사고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상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줄수 있는 요인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정신건강의 학과 영역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접근방법과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 대상본 연구는 하남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나 국적의 소수성 등을 고려하여 중국과 베트남 국적의 여성을 선택하였고 이중 조사에 동의를 한 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하남시청에 외국인으로 등록된 중국 및 베트남 여성의 인적 사항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파악하였으며 전화 연락을 통하여 조사에 동의를 구한 뒤 각 가정을 방문하였다 베트남 여성의 경우 하남시청에 등록된 명 전수가 조사에 응하였고 중국인 여성의 경우 등록된 명단에서 조선족은 배제하였으며 대상자 명중 명이 조사에 응하여 의 응답율을 보였다 조사를 시행하지 못한 대부분은 거주지 불명이었고 조사 거부는 명이었다 대조군으로는 하남시에 거주하며 하남시 보건소에 영아 및 유아 예방 접종을 위해 내원한 여성 중 무작위로 선별한 대 한국인 여성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작위 추출은 예방접종 번호표에서 배수 번호로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거부시 다음 번호를 응답자로 선정하였다 2. 평가방법한국어와 자국어가 능통한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이주민을 조사 요원으로 평가자 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로부터 동의서를 취득 후 각각 중국어와 베트남어로 번역한 평가지로 평가를 시행하였고 면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번역은 한국어와 자국어에 능통하며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년 이상 자국에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 한국에서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는 이주민에 의해 시행되었다 3. 평가도구 1) 다문화가정결혼이민여성의인구사회학적특성성별 연령 입국 시기 거주 기간 국적 취득 여부 거주 형태 의료 보장 형태 결혼 상태 배우자 나이 자녀 현황 배우자 만남 방법 한국어 실력 지지 체계 교육 직업 종교 정신과 치료 경력 등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2) Beck 우울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우울척도는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109
하남시여성결혼이민자의정신건강에대한예비연구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년 개발한 이래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증상 정도를 리커트식 척도가 아니라 증상의 정도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진술문에 응답하게 함으로써 응답자들이 자신의 심리상태를 수량화 하는 데에서 오는 혼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번이 점 번이 점 번이 점 번에 점으로 채점하며 각 문항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한다 년 한국판 연구에서 성인 우울집단 선별을 위한 절단점으로 점을 제시한 바 있다 3) Beck 불안척도 (Beck Anxiety Inventory, BAI) 불안 척도는 정신과 집단에서 호소하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불안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영역을 포함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우울로부터 불안을 구별해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자기 보고식 검사로 지난 한 주일 동안 불안을 경험한 정도를 점 척도상에 표시한다 전혀 느끼지 않았다가 점 조금 느꼈다가 점 상당히 느꼈다가 점 심하게 느꼈다가 점이다 총점이 점에서 점으로 성인의 경우 점 이상부터는 관찰과 개입을 요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4)0 자살의도척도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자살에 대한 생각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등의 자살의도척도 가 많이 사용되나 는 원래 임상 면접을 통하여 임상가가 평정하는 점 척도로 된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많은 피험자들을 일일이 면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가능한 한 원래의 문항에 충실하게 자기 보고형 질문지로 변형시킨 한국어판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문항당 점에서 점까지의 대답으로 점의 점수로 나타난다 청소년에서는 점수가 점 이상인 경우 자살의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의 신뢰도 계수 α 는 이다 5) 문화적응스트레스척도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IS)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가 개발한 - 를 번안하여 유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측정한 이승종 의 척도를 사용하고자 한다 원 척도는 총 문항으로 향수병 두려움 문화적 충격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미워함 죄책감 기타 사화적 고립 열등감 귀국 문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문항 요인 죄책감 요인이 적절치 않아서 사용하지 않음 으로 구성하였고 원래의 점 척도 를 점 척도로 사용하였다 이승종의 연구에서 척도의 신뢰도는 α 이었다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편견이나 차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지각된 차별감 모국의 집이나 사람들을 그리워하는 향수병 다른 사람이 자신을 미워한다는 느낌 등을 나타내는 지각된 미워함 개인적인 안전문제 등을 포함한 두려움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데 불편함 등을 나타내는 문화적 충격 모국의 가족과 친구들을 두고 온 것에 대한 미안한 감정들을 나타내는 죄책감 그리고 언어적 차이나 열등감 사회적 고립 등을 포함한 기타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6)0 가족스트레스척도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FILE)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받는 가족관계에서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도구는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규범적 비규범적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최용식 이 재구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스트레스 인지수준을 측정하였다 가족스트레스 척도는 직업 재정 건강 부부 가사 자녀문제에 관한 영역으로 총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점 리커트 척도로 경험하지 않았다 는 점 경험했으며 대단히 마음이 상했다 는 점의 점수를 부여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스트레스 인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척도를 사용한 박근우 의 연구에서 척도의 신뢰도는 α 이었다 결과 1. 인구학적특성대상자의 나이는 한국인이 ± 중국이민자가 ± 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베트남 이민자가 ± 세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냈다 < 학력 별로는 한국인의 경우 대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졸 순이었으며 중국이민자의 경우 고졸이 가장 많았고 중졸 이하와 대졸자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중졸 이하의 학력이 가장 많았고 고졸 학력이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다문화 가정과 한국인 가정에서 배우자의 학력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인 가정에서 배우자의 학력은 가 대학이상의 학력을 보인 반면 중국 이주민 가정은 베트남 이주민 가정은 를 차지하였다 배우자와의 평균 연령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한국인 가정의 경우 배우자와의 평균 연령 차이는 세였으나 110 사회정신의학 2012 ; 17(2) : 108-115
조현정 연병길 한창환 류성곤 이상신 중국인 이민자의 경우 세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세의 연령차이를 보였다 가족 구성원의 소득에서도 다문화 가정과 한국인 가정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가정의 경우 월 만원 이상의 소득을 갖는 경우가 전체의 였던 반면 다문화 가정의 경우 중국인 이민자는 베트남 이민자 가정의 경우 에 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표 따라서 인구학적 분포를 보면 다문화 가정의 경우 한국인 가정에 비해 본인이나 배우자의 학력이 낮은 편이었으며 배우자와의 나이 차이도 많은 편이었고 가정 수입도 적은 편이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2. 우울, 불안, 자살사고의평가 1) 우울증상관련요인본 조사에서 사용된 우울 척도의 절단점인 점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인 가정의 경우 여성의 가 우울증상에 해당되었으며 중국이민자의 경우 베트남 이민자의 가 우울증상에 해당되었다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을 요인들을 분석해 보면 본인의 나이 학력 배우자와의 나이차이 자녀수 구성원의 소득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 외모의 차이 등의 요인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반면 동거인 수 결혼 이후 경제적 변화 결혼 이후 사회 활동의 자유로움 여부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평가 되었다 기타 결혼 이후 문화적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 요인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 표와 같다 표 2) 불안증상관련요인 불안 척도에서 점 이상인 경우는 한국인의 경우 명 중국인 이민자의 경우 명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명 로 조사 되었다 즉 외국 이민자에 비해 한국인의 불안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여성에서 불안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해 보면 나이 학력 배우자 나이 배우자 학력 거주기간 결혼기간 동거인수 가구당 소득 자녀수 외모차이 등 인구학적 요인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불안 정도는 외적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특히 문화적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의 총합 이나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총합 이 특히 불안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측정 되었다 문화적 변화와 불안감과의 관련성은 우울감에 미치는 요인과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특히 불안감과 관련이 높았던 요인으로는 음식에 대한 적응 < 사회적 활동 참여의 제한 < 이민 이후의 고통 < 본인의 가치 Table 1. Demographic data of subjects Nationality Mean Age China N 35 Vietnam N 41 Korea N 41 Total 32.2±5.5 24.8±4.5 32.8±3.0 Age gap between spouse 9.12±4.74 16.68±5.07 2.43±3.94 Educaion subject Middle school 5 24 1 30 High school 22 15 17 54 University 5 2 22 29 >University 2 0 1 3 Total 34 41 41 116 Educaion spouse Middle school 7 2.0% 5 12.2% 1 2.4% 13 High school 17 48.% 29 70.7% 13 31.7% 59 Graduate 11 31.4% 7 17.1% 24 58.5% 42 Graduate 0 0% 0 0% 3 7.3% 3 Total 35 41 41 117 Monthly income \ 100million 5 3 0 8 100 300 million 23 37 17 77 300 500 million 6 1 14 21 500 1,000 million 0 0 5 5 Total 34 41 36 111 111
하남시여성결혼이민자의정신건강에대한예비연구 Table 2.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r p 1. 집에 대한 그리움 향수병 이 나를 괴롭힌다..193.095 2. 새로운 음식들에 적응하느라 불편하다..294.010 3. 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다르게 취급된다..213.065 4. 한국 사람들은 내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가치에 대해 비웃는다..236.041 5. 나는 한국어로 의사소통 하려면 신경이 쓰인다..080.490 6. 나는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이 슬프다..206.074 7. 내가 가진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나는 개인적 안전을 두려워한다. 0180.378 8. 나는 한국에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데 소심 ( 주저 ) 하다..378.001 9. 한국 사람들은 나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150.119 10. 나는 나의 가족과 친구들을 뒤로 하고 한국에 온 것에 대해 슬프다..267.020 11. 한국에서는 나에게 많은 기회들이 주어지지 않는다..310.006 12. 한국에서 나와 같이 외국에서 온 사람들은 뭔가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에 대해 화가 난다..340.003 13. 한국에 온 이후 나에게 여러 가지 고통들이 있다..513.000 14. 나는 한국에서 불공평한 취급을 받고 있는 듯 하다..365.001 15. 한국 사람들은 말을 하지는 않지만 나를 미워하고 있다..222.054 16. 한국 사람들이 나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지 않을 때 속이 상한다..206.076 17. 한국에서는 나의 가치가 부정된다..445.000 18. 나는 한국 사람들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해 자주 혼자 앉는다..397.000 19. 나는 내가 가진 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위축됨을 느낀다..380.001 20. 한국 사람들은 나의 문화적 가치를 바르게 평가하지 않는다..242.037 21. 나는 내가 온 곳과 그곳 사람들을 그리워한다. -.028.808 22. 새로운 문화적 가치에 적응하느라 불편하다..274.017 23. 한국에서 나와 같은 외국에서 온 사람들을 다르게 취급한다고 느낀다..305.008 24. 한국 사람들은 행동으로 나를 미워함을 나타낸다..115.325 25. 나의 문화적 배경으로 인하여 한국사회에서 나의 신분 ( 지위 ) 은 낮다고 느낀다..405.000 26. 나는 한국 사람들과 다른 말투 ( 억양 ) 로 인해 다르게 취급받는다..223.053 27. 한국은 안전하지 못한 것 같다..524.000 28. 나와 같이 외국에서 온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꼼꼼히 생각하면 슬픔을 느낀다..294.010 29. 나는 한국 사람들이 나를 외국인으로 여기기 때문에 나와 사귀지 않는다고 느낀다..416.000 30. 한국에 온 후 나는 두려움으로 인하여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421.000 31. 나는 한국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011.925 32 한국사람들은 언어로 나를 미워하고 있음을 드러낸다..028.031 33. 나는 한국에 머물러야 할지 고국으로 돌아가야 할지 결정할 수 없으므로 미래가 걱정된다..393.000 문화 적응 스트레스 척도 합.438.000 에 대한 부정 문화적 배경으로 인한 위축감 외국인에 대한 차별 안전에 대한 위협 < 다른 이주민에 대한 동정 등이었다 3) 자살사고관련요인본 조사에서 사용된 자살 의도 척도의 경우 국내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본 조사에서 자살 사고의 평균은 ± 로 를 기준으로 하여 절단점 점 이상을 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한국인의 경우 명 중 국인 이민자의 경우 명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명 가 자살사고의 위험군으로 분류 되었다 자살 사고와 인구학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보면 배우자의 학력 과 한국어 구사 능력 만이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타 본인의 학력 배우자의 학력 배우자와의 나이차이 자녀수 한국 거주 기간 결혼 기간 동거인 수 구성원의 소득 등은 특별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우울감 < 과 불안감 < 등이 자살사고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으나 문화적 적응에 의한 스트레스는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일상 생활 스트레스와는 뚜렷한 양적 관련성 112 사회정신의학 2012 ; 17(2) : 108-115
조현정 연병길 한창환 류성곤 이상신 Table 3. Differences of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scale Nationality Sum of Depression scale 을 보였다 < 특히 일상 생활 스트레스의 개 모든 항목이 자살사고와 뚜렷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3. 척도에서나타난민족간차이본 조사에서 우울감 불안감 자살 사고는 모두 한국인 가정의 여성이 가장 높게 조사 되었고 다음으로 중국인 이민자 베트남 이민자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불안 척도와 자살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대상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를 보였다 표 특히 민족간 생활 스트레스 척도에서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 중국 ± 이나 한국인 ± 에 비해 훨씬 적은 정도의 스트레스 지수를 나타내었다 < 고 본 연구에서는 하남시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여성을 중심으로 우울 불안 자살 사고를 살펴보고 이와 연관된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조사 결과를 보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인 가정에 비해 남편과의 연령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학력이나 가정 수입 등에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 이민자의 경우 중졸 이하의 학력이 가장 많았고 연령의 분포 또한 다른 집단에 비해 나이가 적은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베트남 여성이 저학력인 상태로 한국 여성에 비해 일찍 결혼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사회적인 배경으로는 년 월 결혼 알선 기관의 설립이 허가제에서 신고 찰 Sum of Anxiety scale Sum of Suicidal idea scale China Mean 8.14 8.89 2.97 N 35 35 35 SD 8.193 11.292 5.020 Vietnam Mean 4.98 5.56 1.17 N 41 41 41 SD 5.126 5.509 2.257 Korea Mean 7.88 11.00 3.80 N 41 41 41 SD 8.313 11.111 5.216 Total Mean 6.94 8.46 2.63 N 117 117 117 SD 7.394 9.783 4.450 F 2.29, p 106 F 3.35, p 0.04 F 3.92, p 0.02 제로 바뀌면서 국제 결혼 정보 업체가 급증하였고 년경부터 국제 결혼 정보 업체가 급증하면서 베트남 여성들의 국제 결혼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던 배경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우울감이나 불안감 자살 사고의 경우 모두 한국인 가정의 여성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내의 기존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가 주로 결혼이민자의 우울 불안감 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지만 기존 연구가 대조군 없이 결혼이민자 자체 특성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국내 연구와의 절대적인 비교는 어렵다 와 은 이민자들에게 정서장애가 낮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고 와 은 우울증은 이민자들에게 더 낮게 나타나는 반면 불안은 더욱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고 하는 등 이민자들의 정서문제에 대한 결과는 연구마다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우울이나 불안 등은 민족적인 차이뿐만이 아니라 여러 사회 경제적인 요소 또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추후 여러 변인을 통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사회 경제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는 이주민 보다 한국인의 우울감과 불안감 및 자살사고가 높게 평가된 것은 현재 국내 자살 예방 사업의 정책 방향인 사회 경제적 지원외에도 정신건강 지표의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울감의 경우 동거인의 수 결혼 이후 경제적 변화 사회적 활동의 위축 등이 우울감을 악화 시키는 요인으로 조사 되었다 등 에 따르면 이민자의 정신건강은 이민 과정과도 관련성이 높은데 이주 후 단계 에서 이민자의 법적 사회적 지위가 주요 정신건강 영향 요인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소득 수준이나 사회적인 지위와 관련한 스트레스 요인들이 우울감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나와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이민 후 스트레스 요인을 볼 때 주된 어려움이 이민자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기존 이민자의 문화적 배경을 무시하는 태도가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결혼이민자의 경제 활동의 여건 개선이나 사회 구성원들이 타 문화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변화가 요망된다고 판단되었다 불안의 경우 인구학적 요인에 의한 영향은 특별히 발견되지 않았으나 생활 스트레스와 문화적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이민자에 대한 연구에서도 문화 충격을 겪으면서 갑작스런 불쾌감과 상실감 기존 사회로부터의 거부 역할의 혼란 등을 경험하면 공통적으로 놀람 불안 혐오 등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취약성 및 지지기반의 부재가 이민자를 더 불안하게 하고 혼란을 느끼는 상황을 야기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전반적인 불안감의 정도가 한국인에 비해 이민자에게서 낮게 평가되었지만 소 113
하남시여성결혼이민자의정신건강에대한예비연구 수의 불안감을 호소하는 이민자들이 국내 환경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체계에 대한 변화의 노력 및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역할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자살 사고는 우울감 불안감과 뚜렷한 관계를 보이는 반면 문화적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정서적 변화와 달리 문화 적응에 따른 영향보다 직접적인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 사고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살사고의 경우 정서 장애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사망으로 이어지는 만큼 정신보건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 동안 이민자들의 정서문제를 새로운 문화로의 적응상의 문제로 초점을 맞추어 개입하던 사회복지영역에서 보다 전문적인 정신보건 서비스로의 개입이 필요함을 유추해볼 수 있다 즉 단순한 복지적 측면에서의 개입보다는 질병으로써 우울과 불안 등의 정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하남시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자여성으로 제한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결혼이민자에게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조사 대상자를 중국인 이민자와 베트남 이민자 만으로 한정 하였기 때문에 소수 국가의 상황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겠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여성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표본을 가지고 설계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대조군으로 보건소에 예방 접종을 위해 내원한 대 여성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검사 하였기 때문에 한국인 여성에서 대상자 선정의 오류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의 경우 육아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있어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심리적인 요인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대상자 선정 및 조사 방법에서 일부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연구는 국내 정신과영역에서 결혼이민자 정신건강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결혼이민자들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의 조사 방법을 살펴보면 간이정신진단검사 중 우울 항목만 추출하여 조사하거나 - 을 사용 하는 등 관련 영역의 연관성만을 확인하거나 비전문가가 간편히 시행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영역에서 신뢰도가 잘 알려진 척도를 이용함으로써 결과의 타당성을 더욱 높였다 결혼이민자는 더 이상 사회 소수자가 아니나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연구 및 대책에 있어서는 여전히 소외의 영역에 남아있어 추후 위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한 조사를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내 여성의 사회적 안정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근우 (2007) : 생태체계적 요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 ). 목포대학교 2)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정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3) 통계청 (2011) : 국제결혼이주자 현황 4) 정기선, 한지은 (2009) :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 32 : 87-114 5) 임혁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34 : 189-221 6) 임수진, 오수성, 한규석 (2009)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4(4) : 515-528 7) 윤황, 이영호 (2010) :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9(3) : 659-684 8) 이선혜 (2011) :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정신건강 실태와 인식 ( 박사학위 ). 한양대학교 대학 9) Small R, Lumley J, Yelland J(2003) : Cross-cultural experiences of maternal depression: associations and contributing factors for Vietnamese, Turkish and Filipino immigrant women in Victoria, Australia. Ethn Health 8(3):189-206 10) Yang YM, Wang HH, Anderson D(2010) : Immigration distres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Vietnamese women in transnational marriages in Taiwan. Kaohsiung J Med Sci 26(12): 647-657 11) Vega WA, Kolody B, Valle R, Hough R(1986) :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correlates among immigrant Mexic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Soc Sci Med 22(6):645-652 12) Lee YH, Song JY(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 10(1) : 98-113 13)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RA(1988) :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 56 : 893-897 14) Yook, SP, Kim ZS(1997) :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 16(1) : 185-197 15) Beck AT, Kovacs M, Weissman A(1979) :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 343-352 16) Sandhu DS, Asrabadi BR(1994):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 Rep Aug;75(1 Pt 2) : 435-448 17) 이승종 (1996) :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 석사학위 ). 연세대학교 대학원 18) 정기선, 한지은 (2008)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 : 71-104 19) Cochrane R, Stopes-Roe M(1981) : Psychological symptom levels in Indian immigrants to England-a comparison with native English. Psychological Medicine 11 : 319-327 114 사회정신의학 2012 ; 17(2) : 108-115
조현정 연병길 한창환 류성곤 이상신 20) Maveras V, Bebbington P(1988) : Greeks, British Greek Cypriots and Londoners. Psychol Med 18 : 433-442 21) Lindert, J., M. Schouler-Ocak, A. Heinz, S. Priebeb(2008) :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of migrants in Europe. European Psy- chiatry 23 : 14-20 22) Bhugra D(2004) : Migration and Mental health.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9 : 243-258 ABSTRACT J Korean Assoc Soc Psychiatry Vol 17, No 2, November, 2012 A Pilot Study on the Status of Mental Health in Marriage Immigrants Women in Hanam City Hyun Jung Jo, M.D., Byeong Kil Yeon, M.D., Chang Hwan Han, M.D., Seong Gon Ryu, M.D., Sang-Shin Lee, M.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Objectives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in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nd it s relating factors. Methods 76 immigrant women (41 Vietnamese, 35 Chinese) and 41 Korean wom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Anxiety Inventory, Scale for Suicide Ideatio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to examine mental health. Results Immigrant women had more family members feel more depressed.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differences is related to feel depressed. Anxiety has more connection with external stress factors more than demographic differences. Suicidal intention also has more relation with emotional unstabilitiy than demographic factors. Especially life stress seems to aggravate suicidal ide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factors related immigrant women s mental health is not only adaptational problem, but also external stress factors. KEY WORDS Marriage immigrants women Mental health.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