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ISSN 1015-4817 www.knpa.or.k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에서뉴로피드백치료의효과에대한예비연구 서울대학교의과대학정신건강의학교실, 1 대전지정신과 2 김혜리 1 김재원 1 홍순범 1 조정혜 2 김붕년 1 신민섭 1 조수철 1 Effects of Neurofeedback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 Preliminary Study Hye Lee Kim, MD 1, Jae Won Kim, MD, PhD 1, Soon Beom Hong, MD 1, Jeong Hye Cho, MD 2, Bung Nyun Kim, MD, PhD 1, Min Sup Shin, PhD 1 and Soo Churl Cho, MD, PhD 1 1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 Chee Psychiatric Clinic, Daejeon, Korea ObjectivesZZThe slow cortical potential (SCP) training is one of the methods of neurofeedback which is considered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CP training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ZZSubjects were consisted of 12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years and all of the subjects have completed neuropsychological tests to assess their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ing, before and after their neurofeedback training. Their parents have completed the Korean- ADHD Rating Scale (ARS). Each subject was given 30 sessions of SCP training. Received April 25, 2012 Revised July 27, 2012 Accepted August 13, 2012 Address for correspondence Jae Won Kim,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1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3040 Fax +82-2-747-2471 E-mail adore412@paran.com ResultsZZThe inattention scores and total ARS scores of the subjects have decreased (Z=-2.54, p<0.05, Z=-2.26, p<0.05, respectively) after training, but the hyperactivity/impulsivity scores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ommission error scores for both the visual and auditory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a trend toward improvement after training (p=0.053, p= 0.092, respectively). The larger improvement of positive task of feedback trial,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SCP training, was associated with the larger reduction of ARS total scores (p<0.05) and the larger improvement of negative task of transfer trial was associated with a larger reduction of omission error scores of auditory ADS (p<0.05). ConclusionZZ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P neurofeedback program may improve ADHD symptoms and assumes that SCP training is a viable treatment option for ADHD treatmen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KEY WORDSZZNeurofeedback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low cortical potentials. 서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이하 는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 그리고 충동성을 주된 증상으로 보이는 장애로 미국정신의학회의 - 진단기준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정도가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는 현재 신경생화학적인 조절이상에 기초한 약물적인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약물에는 중추신경자극제인 계열의 약물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약물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최근까지 나온 연구들에서 아동의 정도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약물적인 접근 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 행동요법으로 부모 및 교사가 함께 참여 하게 되며 약물 치료와 함께 사용할 경우 다각적인 치료적 접근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년 시행된 연구에서는 행동 요법만으로는 약물 요법 단독에 비해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며 약물 요법과의 병행 요법이 약물 단독 요법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았다 또한 일상적인 상황에서 활용하기가 어렵고 교 326 Copyright 2012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서의뉴로피드백치료 : 예비연구 HL Kim, et al. 사와 부모의 높은 수준의 협력이 필요하며 약물 치료와 마찬가지로 치료가 중단되면 기존의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아동들의 뇌파연구에서는 환아들이 정상 아동들에 비해서 중추신경계의 저각성 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었다 전두엽은 외부의 자극에 반응해서 정보를 해석하고 각각 다른 상황에서 다른 방법으로 대처하고 규칙을 따를지 혹은 따르지 않을지 등을 결정하는 뇌의 고위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등 은 로 진단받은 남자 아동들이 전두엽 부위에서 파와 같은 서파가 더 많이 관찰되고 반면에 파와 같은 집중력에 관여하는 뇌파가 적게 관찰된다고 보고하였다 파의 경우 주로 집중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활성화된다 - 가 아닌 아동에서는 주의집중력을 요하는 상황 예를 들어 책을 읽거나 계산 및 경청을 할 때에는 전두엽 부위 특히 우측 전두엽 부위의 파가 증가하게 되는데 그와는 반대로 가 있는 아동에서는 전두엽 부위의 파와 같은 서파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뇌파를 이용한 생체되먹임치료 에 대한 연구도 진행이 되어 왔으며 그 중 일부 연구에서는 이 치료법이 - 의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와 장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생체되먹임치료는 이전부터 불안장애 및 우울증상 신체화 증상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뇌파를 이용한 생체되먹임치료를 뉴로피드백 혹은 뉴로테라피 - 뇌전도 바이오피드백 - 이라 명명하고 있다 과 가 년도에 시행한 연구에서 시각 및 청각적 자극을 통해서 피험자의 뇌파 변화를 보고한 이래로 이후 년 와 가 시행한 연구에서도 뉴로피드백 치료가 약물 치료와 같은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뉴로피드백이 환아의 뇌파를 변화시켜 집중력 및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과잉행동을 조절하는 등에 대한 장기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보고가 나오고 있다 등 의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 연구에서 증상의 개선 및 신경심리학적인 검사에서 지능의 변화를 보고하였으며 등 의 연구에서는 뉴로피드백을 받은 환자군이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군에 비해서 가정 및 학교에서 보이는 행동문제 및 집중력 문제의 개선이 더 많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뉴로피드백을 받은 군에서는 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대조군이 없거나 있더라도 적절하지 못한 대조군이거나 평가 척도의 변화만을 강조하고 실 제 뇌파의 변화에 대해서는 보고를 하지 못하는 등의 방법론적인 제한점을 지적받았다 등 은 느린 피질 전위 이하 를 이용한 연구에서 처음으로 행동변화와 특정 신경생리학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느린 피질 전위 란 사건유발 전위 의 일종으로 상층 뇌피질 - 에서 기원하여 에서 수 초의 잠복기 이후 관찰되는 전위이다 이 느린 피질 전위의 경우 평상시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주로 외부 혹은 내부 자극에 반응해서 나타나게 되며 뇌피질의 활성도 를 반영하는 것이라 알려져 있다 이 전위가 음의 방향으로 가게 되면 피질세포들의 탈분극화가 일어나게 되어 흥분 역치가 떨어지게 된다 간질 환자의 경우 간질증상을 보이기 수 초 전 이러한 음의 탈분극이 이뤄지며 간질증상이 멈춘 후에는 양의 탈분극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음의 는 어떤 행동을 준비하는 상태에서 관찰되며 양의 는 행동을 억제하는 동안 관찰된다고 하며 음의 는 뇌의 중앙 후배측 전전두엽 - 두정엽 과 기저핵 의 광범위한 활성화 와 관련이 있고 양의 는 중앙 측두 해마 부위 - 의 광범위한 비활성화 및 전두엽과 두정엽 섬 조가비핵 의 몇몇 부분에서의 활성화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등 은 뉴로피드백을 통하여 스스로 를 조절할 수 있었다는 연구를 보고하였고 등 은 약물에 반응을 하지 않는 간질 환자에서 뉴로피드백을 통해 뇌파를 조절하여 간질발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와 관련된 느린 피질 전위 에 대한 연구는 등 이 시행하였다 그들은 주의력 문제가 있는 아동과 정상 아동이 스스로 이 전위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보았으며 주의력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느린 피질 전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등 은 느린 피질 전위 훈련을 한 후 시행한 연속수행검사 - 이하 에서 충동조절문제와 평가 척도 상의 행동문제가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 아동의 경우 뇌의 흥분 역치를 조절하는 것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가 있으며 느린 피질 전위 를 조절함으로써 주의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예측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뉴로피드백이라는 치료에 대한 임상적인 자료가 아직 부족하며 객관적인 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임상적 평가와 표준화된 진단도구인 - www.knpa.or.kr 32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방법 대상 - - - 임상평가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korean version(k-sads-pl-k) 부모용 ADHD 평가척도 (Korean ADHD Rating Scale-IV, 이하 ARS) - 파탄적행동장애평정척도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according to DSM-IV, 이하 DBDS) 한국판웩슬러아동용지능검사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이하 KEDI-WISC) - 328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서의뉴로피드백치료 : 예비연구 HL Kim, et al. 을 우리 문화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세부터 세까지의 연령을 대상으로 한다 전체 지능지수 언어성 지능 및 동작성 지능 점수가 산출되며 언어성 척도에는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이해 및 숫자 소검사가 포함되며 동작성 척도에는 빠진 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 기호 쓰기 및 미로 하위 검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주의력장애진단시스템 (ADHD Diagnostic System, 이하 ADS) 주의력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화 된 연속수행검사 로 주의집중 및 충동조절 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며 등 에 의해 한국어판의 개발 및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검사를 통하여 부주의 증상을 측정하는 누락횟수 인지 및 행동적 충동성을 측정하는 오경보 횟수 과제처리 속도를 측정하는 반응시간 평균 주의집중의 일관성을 측정하는 반응시간 표준편차 - 등의 가지 지표가 산출된다 아동색선로검사 (Children s Color Trails Test, 이하 CCTT) 와 이 문화 및 언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를 수정 및 보완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아동 색 선로 검사 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과 - 로 구성되어 있는데 은 단순히 숫자를 순서대로 이어나가는 과제이며 는 숫자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동시에 색깔도 번갈아 가면서 연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은 정신운동속도와 순차적 처리 능력을 측정하며 는 앞의 두 가지뿐 아니라 인지적 융통성 및 지속적 분할 주의력과 관련이 있다 스트룹검사 (Stroop test) 억제 과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과 이 한국판 아동용 스트룹 색상 단어 검사를 표준화한 것으로 단어 읽기 단어 점수 색상 명명하기 색상 점수 읽기 반응 억제하고 색상 이름 말하기 색상단어 순으로 진행된다 임상호전의평가임상 호전은 이하 를 사용하여 치료 전과 후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평가하였다 는 점 에서 점 의 범위이다 뉴로피드백프로그램 (Slow Cortical Potential Training, 이하 SCP Training) 본 연구진이 시행하려고 하는 뉴로피드백 훈련은 사건유발 전위 의 일종인 느린 피질 전위 를 이 용한 자가 뇌파 훈련법이다 느린 피질 전위 측정은 전극 - 을 아동의 머리 정중앙 에 부착하여 측정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서 피드백 신호를 읽게 된다 양쪽 유양 돌기 부위의 전위가 참고 전위 - 가 되어 정중앙 에서 발생하는 전위의 크기를 보정 해주게 된다 아동에게는 이 훈련을 컴퓨터 게임이라고 소개 하였으며 검사자는 아동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서 집중 에 필요한 뇌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아동은 훈련 과 정에서 점수를 많이 얻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아동의 모니터에 뇌파에 의해 움직이는 비행기가 나타나 는데 전위를 음의 방향으로 조정하면 비행기가 위로 올 라가며 이를 음성 과제 라고 명명하였다 전위를 양의 방향으로 조정하면 비행기가 아래로 내려가며 이를 양성 과제 라고 명명하였다 각 과제를 시 행할 때마다 총 전위가 기본 전위 와 비교 - 합산 되어 아동이 과제를 성공하였는 지를 판별하게 된다 성공 유무에 따라 모니터에 성공했을 때 는 웃는 아이콘이 나타나며 실패한 경우에는 엑스표 로 피 드백을 받게 된다 그림 피드백 시도 와 달 리 전이 시도 에서는 비행기는 나오지 않고 원하 는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만 제공된다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전이 시도를 통해서 아동이 뉴로피드백에서 습득한 기 술을 일상생활에서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 그램에 참여하는 아동은 지속적인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는 를 잘 조절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 는 전이 시도 에서는 를 체계적으로 조절하 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에게 보여지는 자극신호는 번 시도 라고 하며 초의 자극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회 시도가 회 시행 을 구성하게 되며 회의 진행이 치료 회기 에 해당 된다 번의 치료 단계 는 회기를 진행하 며 번의 치료 단계를 시행하면 훈련을 마치게 된다 본 연구 에서는 일주일에 회 외래를 방문하여 방문시 회기씩 진행 을 하였으며 주 동안 총 회기를 마치도록 하는 프로토 Negative task Positive task : Pass, X : Fail Fig. 1. Schematic diagram of Slow Cortical Potential (SCP) neurofeedback training. www.knpa.or.kr 329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콜을 사용하였다 그림 본 연구에서는 뉴로피드백을 진행하며 의 변화가 실제로 있는 지를 측정하기 위해 회기 중 번째 회기를 치료 초기 회기를 치료 중기 회기를 치료 후기 를 대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이 회기 중 각각 전이 시도와 피드백 시도의 양성 과제와 음성 과제의 한 시도 에서의 초 동안의 평균 전위값 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훈련 프로토콜 및 결과 분석은 등 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R 라는 뉴로피드백 훈련 기기를 사용하였다 연구진행과정처음 방문시 에 연구 참여 선정 기준에 합당한지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을 통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신경심리검사 지능 검사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 스트룹 검사 아동 색 선로 검사 와 부모 설문지 부모 평가 척도 파탄적 행동장애 평정척도 를 시행하였다 이후에 뉴로피드백 훈련을 진행하고 전체 훈련이 끝난 이후에 주 이내에 다시 한 번 방문하여 신경심리검사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 스트룹 아동 색 선로 검사 와 부모 설문지 부모 평가 척도 파탄적 행동장애 평정 척도 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군의인구학적특성 명의 환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였으나 명은 심리평가를 마친 후 참여를 거부하여 총 명의 공존 장애가 없는 환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명은 남아 명은 여아 였으며 평균 연령은 ± 세였다 언어성 지능의 평균은 ± 점이었으며 동작성 지능은 ± 점이었고 총 지능은 ± 점이었다 참가자 모두가 한국어판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평정 척도에서 점 이상의 점수 ± 점 를 받았다 약물은 명의 환아 중 명이 복용하였고 그 범위는 이었으며 약물의 평균 사용 기간은 개월 최소 개월부터 최대 개월 이었다 명의 아동은 뉴로피드백 시작 직후 - 에서 으로 증량하였고 이 아동을 제외하고는 연구에 참여하는 기간 내내 용량이 유지되었다 약물을 복용한 아동의 기준치 총점은 ± 총 지능은 ± 는 ± 였으며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아동의 기준치 총점은 ± 총 지능은 ± 는 ± 이었다 치료전후평가척도의변화 자료분석뉴로피드백 시행 전후의 신경심리평가 부모용 설문지의 평균 점수의 변화에 대해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을 시행하였다 결과에 대해서는 전체 회기 중 초기 중기 후기 의 평균 전위값 변화에 대해서는 프리드만 검정 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결과와 부모용 설문지 결과 및 신경심리평가 검사 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와 후기의 의 변화와 치료 전후의 의 변화에 대하여 스피어만 연관 분석 - 을 시행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용 을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 로 하였다 부모용평가척도의변화 치료 전후 시행한 변화에서는 주의력결핍 부분 점수 < 와 총 Table 1.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outcome variables by parents Pre Post Mean SD Mean SD p-value ARS-i 15.33 3.87 11.78 2.4 0.01 ARS-h 7.11 4.43 5.88 3.55 0.20 ARS-t 22.44 7.05 17.67 7.8 0.02 DBDS 6.56 2.13 6.22 5.21 0.68 Pre : Pre-training vist, Post : Post-training visit, SD : Standard deviation, ARS-i : ADHD Rating Scale, inattention subscale score, ARSh : ADHD Rating Scale, hyperactivity/impulsivity subscale score, ARS-t : ADHD Rating Scale, total score, DBDS :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Beforstart 1 session 1 treatment phase Finish Pre-treatment evaluation 8 seconds 1 trials 39 trials 1 run 4 runs 1 session 10 sessions 3 treatment phase Post-treatment evaluation Fig. 2. Schematic diagram of procedures. 33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서의뉴로피드백치료 : 예비연구 HL Kim, et al. 점 <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표 약물을 복용한 아동은 총점이 평균적으로 점 감소하였고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아동은 점 감소하였다 과잉행동 충동성 부분 점수 - 와 파탄적 행동장애 평정 점수 에서는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각 신경심리검사의변화 시각 및 청각 검사에서 치료 전과 비교하였을 때 오경보 횟수 에서 치료 후에 호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타났다 각각 이외에 누락횟수나 반응시간 평균 반응시간 표준편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스트룹 검사 및 아동 색 선로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표 임상호전의평가치료 전과 후의 의 점수 변화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여 보았을 때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표 약물 치료를 병행한 군의 평균값은 에서 으로 호전되었고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군에서는 에서 으로 호전되었다 SCP의변화 훈련에 대한 결과는 표 에 제시하였다 프리드만 검정 으로 각 과제의 시도 마다의 초기 중기 후기의 값을 비교하였을 때 세 시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후 각 과제의 시도마다 초기와 중기 중기와 후 기 초기와 후기의 차이에 대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 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이 시도의 양의 과제를 시행할 때 초기와 중기에서 그 변화가 유의한 차 이 < 를 보여주었다 그림 또한 아동들은 전반적으로 전이 시도 보다 피드백 시도 - 에서 후기로 갈수록 양의 과제에서는 양의 방향성 의 전위 음의 과제에서는 음의 방향성의 전위를 더 잘 수행 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림 피드백 시도의 초반 회기에 Table 3. Changes in mean SCP amplitudes during neurofeedback program Mean (µv) Early Tr+ 3.19 21.74 SD Tr 3.98 15.51 Fb+ 8.43 23.28 Fb 4.99 39.65 Middle Tr+ 13.30 26.45 Tr 8.07 19.76 Fb+ 14.54 27.45 Fb 4.32 30.87 Latter Tr+ 1.13 14.02 Tr 2.01 23.28 Fb+ 13.61 26.21 Fb 9.01 22.72 Early : Mean SCP amplitude of session 2 4, Middle : Mean SCP amplitude of session 14 16, Latter : Mean SCP amplitude of session 27 29, SCP : Slow cortical potential, Tr+ : Transfer trial positive task, Tr : Transfer trial negative task, Fb+ : Feedback trial positive task, Fb : Feedback trial negative task, SD : Standard deviation Table 2. Changes in neuropsychological outcome variables and CGI-S scores Pre Post Mean SD Mean SD ADS-V Omission error 63.6 21.44 70.1 20.02 0.35 p-value Comission error 70.6 33.84 62.1 24.02 0.09 Mean reaction time 50.2 58.3 56.3 19.75 0.22 Sd of reaction time 57.3 16.58 64.6 16.7 0.14 ADS-A Omission error 65.6 29.07 58.9 16.79 0.87 Comission error 81.3 48.42 62.1 21.39 0.05* Mean reaction time 50.4 16.32 55.4 16.6 0.24 Sd of reaction time 78.8 46.06 71.4 19.88 0.88 Stroop Word 44.09 13.11 47.55 21.39 0.37 Color 50 8.34 49.9 9.07 0.96 Word-color 49.7 17.82 51.82 11.89 0.6 Interfere 49.3 10.78 51.2 6.39 0.73 CCTT-1 47.18 15.04 49.82 6.06 0.61 CCTT-2 44.73 8.65 45.82 10.68 0.95 CCTT-interfere 45.7 12.15 45.82 10.68 0.93 CGI-S 4.38 0.92 3.86 0.64 0.04* * : p<0.05. Pre : Pre-training vist, Post : Post-training visit, SD : Standard deviation, ADS-V : Visual ADHD diagnostic system, ADS-A : Auditory ADHD diagnostic system, CCTT : Children s Color Trails Test, CGI-S : Clinical Global Improvement-Severity www.knpa.or.kr 331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5 * Positive task Negative task 누락횟수가 더 많이 호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0 Latter 고 찰 µv Fig. 3. Mean amplitudes in positive and negative trials with transfer during the early, the middle, and the latter sessions. * : p<0.05. µv 5 10 15 15 10 5 0 5 10 15 20 Early Early Fig. 4. Mean amplitudes in positive and negative trials with feedback during the early, middle, and latter sessions. 서 음의 과제에서 양의 전위 가 관찰되었 고 후반으로 갈수록 음의 과제를 잘 수행하는 전체적인 경향 성은 관찰되었으나 유의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그림 또한 전이 시도를 하였을 때는 초반 회기에는 양의 과제에서 음의 전위가 음의 과제에서는 양의 전위가 관찰되는 등 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후반 회기에서는 보다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바를 잘 수행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연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Middle Transfer trial Middle Feedback trial Positive task Negative task Latter 임상적 호전을 측정하는 부모용 평가 척도 결과 및 신경심 리평가 결과 점수와 변화와의 연관 관계를 알아 보고자 스피어만 연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와 후기의 피드백 시도의 양의 과제에서 차이가 클수록 뉴로피 드백 시행 전후의 점수가 더 많이 호전된 것으로 관찰 되었다 < 또한 초기와 후기의 전이 시도의 음의 과제에서 차이가 클수록 청각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뉴로피드백의 아동에 대한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에서는 등 이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이 아닌 뉴로피드백 훈련을 이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 방법 중 하나인 은 뇌파의 주파수 의 차이인 톤 의 활성화 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하면 은 뇌파의 위상 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노 등의 연구에서는 대상을 아동과 부모의 선택에 따라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군 포함하여 약물 치료만 시행한 군 뉴로피드백 및 약물 치료 모두 병행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집단에서 약물 치료만 시행한 집단에 비해 부주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같은 연구에서 세 군 모두에서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가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으나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는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의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지 않은 것과 대조된다 등 의 연구에서 뉴로피드백 방법 간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을 그룹과 으로 나누어 훈련을 시행하였다 부모용 척도를 비교한 결과 의 경우 년 후 추적 관찰시 부주의 및 과잉행동 충동성 모두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나 그룹에서는 부주의 영역에서만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 국내 연구의 - 호전도의 결과가 차이가 나는 것은 서로 다른 방법의 뉴로피드백을 시행한 결과로 추측해 볼 수도 있겠으나 아직은 이러한 추론을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아 향후 두 뉴로피드백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에서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명의 아동과 약물 치료를 병행한 명의 아동 모두 총점과 각 부분 점수가 호전되었으나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아동이 점수의 차이를 더 보였다 그러나 연구가 끝난 뒤 뉴로피드백만 시행한 명의 아동 중 명이 증상 조절을 위하여 약물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약물 치료와 뉴로피드백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부모 보고용 평가 척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아직 약물 치료와 뉴로피드백의 결과를 비교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 선행 연구 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부모의 각 치료에 대한 기대를 설문지로 조사하여 반영하 33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서의뉴로피드백치료 : 예비연구 HL Kim, et al. 결론 중심단어 Acknowledgment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94. 2)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1990. 3) Volkow ND, Wang G, Fowler JS, Logan J, Gerasimov M, Maynard L, et al. Therapeutic doses of oral methylphenidate significantly increase extracellular dopamine in the human brain. J Neurosci 2001;21:RC121. 4) Solanto MV. Neuropsycho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stimulant drug action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review and integration. Behav Brain Res 1998;94:127-152. 5) MTA, A Novel Multitargeted Antifolate: from preclinical to phase I and beyond. Proceedings of a meeting. Ixtapa, Mexico, March 13-15, 1998. Semin Oncol 1999;26(2 Suppl 6):1-110. 6) Barabasz M. Trichotillomania: a new treatment. Int J Clin Exp Hypn 1987;35:146-154. 7) Barry RJ, Johnstone SJ, Clarke AR. A review of electrophysiology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I. Event-related potentials. Clin Neurophysiol 2003;114:184-198. 8) Mann CA, Lubar JF, Zimmerman AW, Miller CA, Muenchen RA. Quantitative analysis of EEG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ntrolled study with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 Neurol 1992;8:30-36. 9) Lubar JF. Discourse on the development of EEG diagnostics and biofeedback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Biofeedback Self Regul 1991;16:201-225. 10) Linden M, Habib T, Radojevic V. A controlled study of the effects of EEG biofeedback on cognition and behavior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ies. Biofeedback Self Regul 1996;21:35-49. 11) Monastra VJ, Monastra DM, George S. The effects of stimulant therapy, EEG biofeedback, and parenting style on the primary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02;27:231-249. 12) Thompson L, Thompson M. Neurofeedback combined with training in metacognitive strategies: effectiveness in students with ADD.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1998;23:243-263. 13) Lubar JF, Swartwood MO, Swartwood JN, O Donnell PH.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EG neurofeedback training for ADHD in a clinical setting as measured by changes in T.O.V.A. scores, behavioral www.knpa.or.kr 333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326-334 ratings, and WISC-R performance. Biofeedback Self Regul 1995;20: 83-99. 14) Rossiter TR, La Vaque TJ. A comparison of EEG biofeedback and psychostimulants in treating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J neurotherapy 1995;1:48-59. 15) Lubar JF, Shouse MN. EEG and behavioral changes in a hyperkinetic child concurrent with training of the sensorimotor rhythm (SMR): a preliminary report. Biofeedback Self Regul 1976;1:293-306. 16) Heinrich H, Gevensleben H, Freisleder FJ, Moll GH, Rothenberger A. Training of slow cortical potential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vidence for positive behavioral and neurophysiological effects. Biol Psychiatry 2004;55:772-775. 17) Gevensleben H, Holl B, Albrecht B, Vogel C, Schlamp D, Kratz O, et al. Is neurofeedback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ADHD? A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9;50:780-789. 18) Heinrich H, Gevensleben H, Strehl U. Annotation: neurofeedback-train your brain to train behaviour.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7;48:3-16. 19) Rockstroh B, Birbaumer N, Elbert T, Lutzenberger W. Operant control of EEG and event-related and slow brain potentials. Biofeedback Self Regul 1984;9:139-160. 20) Flor H, Birbaumer N, Roberts LE, Feige B, Lutzenberger W, Hermann C, et al. Slow potentials, event-related potentials, gamma-band activity, and motor responses during aversive conditioning in humans. Exp Brain Res 1996;112:298-312. 21) Kotchoubey B, Strehl U, Uhlmann C, Holzapfel S, König M, Fröscher W, et al. Modification of slow cortical potentials in patients with refractory epilepsy: a controlled outcome study. Epilepsia 2001;42:406-416. 22) Rockstroh B, Elbert T, Birbaumer N, Lutzenberger W. Biofeedbackproduced hemispheric asymmetry of slow cortical potentials and its behavioural effects. Int J Psychophysiol 1990;9:151-165. 23) Kim YS, Cheon KA, Kim BN, Chang SA, Yoo HJ, Kim JW,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orean version (K- SADS-PL-K). Yonsei Med J 2004;45:81-89. 24) So YK, Noh JS, Kim YS, Ko SG, Koh YJ.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283-289. 25) Shin MS, Cho S, Chun SY, Hong KEM.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standardzation of ADHD diagnostic system.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11:91-99. 26) Koo HJ, Shin MS. A standardization study of Children s Color Trails Test (CCTT). J Kor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8;19:28-37. 27) Shin MS, Park MJ. A Standardization Study for Korean Version of the Stroop Color-Word Test Children s Version. Seoul: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2006 28) Strehl U, Leins U, Goth G, Klinger C, Hinterberger T, Birbaumer N. Self-regulation of slow cortical potentials: a new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2006;118: e1530-e1540. 29) Roh OB, Son CN, Park TW, Park SK.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in children with ADHD. Korean J Clin Psychol 2011;30:397-418. 30) Gania C, Birbaumera N, Strehla U. Long term effects after feedback of slow cortical potentials and of theta-beta-amplitude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ternational J Bioelectromagnetism 2008;10:209-232. 31) Leins U, Goth G, Hinterberger T, Klinger C, Rumpf N, Strehl U. Neurofeedback for children with ADHD: a comparison of SCP and Theta/ Beta protocols.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07;32:73-88.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