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 documents
KFKYPCNHWTKF.hwp

면에대한공간적위치로옮겨진다. Hanau Modular 는후방기준점으로 arbitrary hinge axis 를, 전방기준점으로 orbitale 를이용하며, orbital indicator 의높이를 arbitrary hinge axis 보다 7 mm 높게설정함으로써 FH

ISSN eissn Original Article Evaluation of Bonwill triangle using cone beam computerize


CASE REPORT 불규칙한하악운동을하는환자의 treatment denture 를이용한총의치수복증례 김준엽 박찬 방몽숙 양홍서 임현필 박상원 *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Fa

DFEMGNPTKPMK.hwp

Lumbar spine

DBPIA-NURIMEDIA

16_이주용_155~163.hwp

1) 측두하악관절장애 (TMD) 환자에게초음파와근막이완술이측두하악관절및경부의기능적회복에미치는영향, 1 The Effect of Ultrasound and Myofascial Release on a Functional Recovery of Neck in Patients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기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 과거 병력 및 초진 검사 본 환자는 68세 남성으로 상악 좌, 우측 어금니를 상실하여 전 반적인 치료를 받고 싶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의과적 병력은 고혈압 약을 복용 중 이었으며 턱관절 및 기타 저작근 장

Case report anterior controlling factors and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TMJs) are considered the posterior controlling factors. The posterior teeth

CASE REPORT 편측성안면신경마비환자에서의총의치수복증례 최은영 이지현 최순영 * 한일병원치과보철과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a fully edentu

12이문규

1..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서론 34 2

제 4장 치과보철물 제작 관련 용어

<372E20B9DABFB5BBF32E687770>

ZMVIVZDSCGNO.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Kbcs002.hwp

ISSN eissn Case Re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 with severe tooth w

( ) Jkra076.hwp

상악측절치(dh)


CASE REPORT 강한교합력과과도한마모를보이는환자의전악수복증례 박지희 방몽숙 양홍서 박상원 윤귀덕 임현필 *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Case report: Full mou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Shin JH Fig. 1. Preoperative photograph: intraoral view. () Occlusal view of maxilla, () Lateral view (right side), () Frontal view, () Lateral view (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ISSN eissn Case Report Neutral zone approach and external impression for rehabilitati

DBPIA-NURIMEDIA

CASE REPORT 마모를동반한비심미적인상, 하악전치부비율을가진환자에서 체계적인진단및치료과정을통해기능및심미성이개선된보철수복증례 정해용 최유성 * 단국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Functiona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 )Jksc057.hwp


WSAVA dental guideline 1차 번역 수정

untitled

012임수진

42(2)-06(이효경).fm

<303120C0CCC0BAC1D B1C72034C8A32E687770>

슬라이드 1

Digital Abutment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DOI: /jkaoms Le Fort I 골절단술에서 posterior impaction의양과 occlusal plane angle, incisor inclination의변화관계에관한연구 김복주 김민구 김정한 김철훈동아대학교의료원치과

소아일반영상의학검사에서의 환자선량권고량가이드라인 - 두부, 복부, 골반 -

CASE REPORT 임시치아 double scanning 을이용한전악임플란트수복증례 양동헌 양홍서 박상원 임현필 윤귀덕 방몽숙 *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Full mouth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한국현대치의학의발전 년논문, 증례보고, 종설및학술강연회연제를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저자저널명발행기관 NDSL URL 신유석 ; 신재의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

김범수

CASE REPORT 구강스캐너를이용한임플란트보철물제작증례 강병길 김희중 정재헌 * 조선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Implant prosthesis using intraoral scanne

CASE REPORT 1 급지적장애환자에서임플란트와단일구조지르코니아를이용한완전구강회복증례 정기원 김성훈 * 한중석 여인성 윤형인서울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Full mouth rehabili

±èÇ¥³â

ISSN Implantology 2014; 18(2): 140~146 디지털 3 차원영상을이용한무피판절개임플란트식립 : 증례보고 백장현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Flapless Implant Placement with Digital Thr

Microsoft Word - KSR2012A021.doc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 2014 ISSN (print) ISSN (online) Treatment of Transpo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기에 pin을삽입하여내관과 pin의활성화에의하여유지를조절할수있는특징을가지고있다. 6



DBPIA-NURIMEDIA

ISSN eissn Case Report Full mouth rehabilitation utilizing implant-assisted removab

109~120 õÃʾàħ Ä¡·á

A B Fig. 1. Initial photo (frontal view). Loss of VD, supraeruption of #15, dento-alveolar protrusion and severe resorption of mandibular molar region

Microsoft PowerPoint - evaluation(창원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9(3) 2012 기능성반대교합을가진초기혼합치열기어린이에서 FR Ⅲ 를단기간장착했을때의효과 우세은 남순현 김영진 김현정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소아치과학교실 국문초록기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2) 2008 Horseshoe Appliance 를이용한 Ⅲ 급부정교합의치험례 홍한영 박재홍 * 최영철 * 김광철 * 경희대학교치과대학소아치과학교실, * 구강생물학연구소 국문초록 성장기아동의치열은대부분혼합치열로,


01

41(4)-00(서누리).fm

증례 1. 초진시검사 본증례는 20 여년간무치악상태였으며잘맞지않는기존의치를오랫동안사용한 77 세남자환자로의치의재제작을위해본원에내원하였다. 내원당시아플때마다본인의의치를직접갈아서사용하여의치의변연이매우짧아진상태였으며심한잔존치조제의흡수및상악전방부의연조직증식 (flabby ri


1. 복근치로옳게연결된것은? 가. 상악제1소구치-협 설로분지나. 하악제1소구치-근 원심으로분지다. 하악제1대구치-근 원심으로분지라. 상악제 1대구치-협 설로분지 1 가, 다 2 가, 나, 다 3 가, 다 4 나, 라 5 가, 나, 다, 라 2. 제 3 대구치를제외한영구

CASE REPORT CAD/CAM 의복제기법을이용한전방유도의재현증례 배지철 1 김원희 2 전영찬 1 정창모 1 윤미정 1 허중보 1 * 1 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2 굿윌

ORIGINAL ARTICLE CAD-CAM 을이용하여디자인한금관의치과직업군에따른형태비교 김태현 1 김종은 1 이아름 1,2 박영범 1,2 * 1 연세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2 연세대학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4) 2011 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어린 나이의 아동에서 하악 제1대구치의 설측 맹출로 인하여 상악 제1대구치와 교합이 되 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저작력으로 인하여 더욱 구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환자의나이, 성별은치과차트기록에서얻었으며추가결손부의수, 주연결자의종류, 직접유지장치의수와종류, 간접유지장치의사용, 후방연장국소의치에서레스트의위치가기록되었다. 결과 1. 나이와성별분포 63 명의환자중남자가 35 명, 여자가 28 명이었다. 40 대이후의환자가주를이루었고평

09권오설_ok.hwp

(

ISSN eissn Case Report Neutral zone approach and external impression for rehabilitati

exp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43, No. 2, 2005 한국인의상악유치악치열및무치악치조제에관한삼차원적연구 고려대학교의과대학원의학과 김형섭 신상완 Ⅰ. 서론치아가상실되면잔존치조제의높이와폭의감소가수행되며잔존치조제의크기와형태는인종과개인에따라매우다양하게나타난다. Poetrk

연구에따르면, 골격성고정원을이용한경우상악치아의이동이거의없는반면에, 구내장치를구강내고정원으로이용한경우유의하게상악구치의근심이동및상악전치의전방경사가동반된다고하였다. 이상적인 facemask의치료결과는순수한상악의전방견인효과를얻는데있기때문에이러한불필요한상악치아의이동은고정원소실로

CASE REPORT eissn Clin J Korean Assoc Orthod 2019;9(1): 양악전방분절골절단술을이용한성인과개교합환자의치험례 이영준, 1 장나영,

Microsoft PowerPoint - ch02-1.ppt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A 617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프로그램 목차 들어가는 말 9 문전성시 문화시장 프로그램 99선 지역 공동체 10 시장 공동체 44 내발적 문화 74 예술의 역할 106 지역활성화 축제 150 여행지로 변신 182 문화중심 216 문화복지 258 문화예술학교 296 새로운 시장 개척 332 마치는 말

CASE REPORT 상아질형성부전증환자에서 CAD/CAM 단일구조지르코니아를이용한완전구강회복증례 김민규 1 김성훈 1 * 이재봉 1 한중석 1 여인성 1 하승룡 2 1 서울대학교치과대학치

DOI: /jkaoms 축모형수술시뮬레이터의정확도에관한연구 전재호 이형철 1 지현진 2 전영진 3 김용일 손우성 박수병 김성식 황대석 4 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교정학교실, 1 예쁜미소바른이치과의원, 2 국방과학연구소, 3 이루

CASE REPORT 장기간사용한이중관의치의실패원인및 자연치와임플란트를이용한이중관의치수복증례 서정교 조진현 * 경북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Causes of failures of long-t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139~144 ¿À°ø¾àħ


CASE REPORT CAD/CAM Denture 를이용한완전무치악환자수복증례 박준호 조인호 * 신수연 최유성단국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The treatment of an edentulo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Transcriptio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 31 No. 4, 1993 - 하악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의운동궤적에관한컴퓨터분석 경희대학교치과대학치과보철학교실 이동현ㆍ최대균ㆍ박남수 < 목차 > Ⅰ. 서론 Ⅱ. 연구대상및방법 Ⅲ. 연구성적 Ⅳ. 총괄및고안 Ⅴ. 결론참고문헌영문초록 I. 서론 하악의 3차원적운동은측두하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치열 (Dentition) 그리고근신경계에의해조절된다. 따라서오랫동안수복치의학 (Restorative dentistry) 에서는이들요소들간의기능적관계를얻는것을목표로하여왔다 (1, 2). 종전부터하악의운동에관해서는치열을전방조절요소로, 악관절을후방조절요소로생각하여중요시해왔으며 (3, 4), 보철학분야에있어서하악운동특히전방및측방활주운동은교합면의형태구성요소로서중요한연구대상의하나로서많은사람들에의해조사, 연구되어져왔다 (5, 6, 7). 이러한여러가지연구결과, 전방조절요소로서의절치점부분의운동양상과교합면과의상호관계는상세하게알려지고있으나과두의움직임에관하여는, 악관절의해부적, 생리적특수성때문에여러종류의연구방법을이용한다수의발표가있었으나지금까지명확하게알려져있지는않다. 약관절의형태와기능에대한연구들로는 1700년대 의해부학적연구를비롯하여과두위치를관찰하기위해 Cephalometric roentgenogram을이용한 Higley와 Logan (8) 의연구, 건조두개골을이용해악관절의해부학적형태분석을한 Angel (9) 의연구, 악관절방사선사진을이용하여관절융기의해부학적형태와과두운동의상호관계를연구한 Craddock (10) 의연구등이있다. 하악운동에관하여도여러가지방법을이용한연구가있는데 Photographic method를이용해하악운동을기록한 Luce의연구 (11), Facial clinometer를사용해하악운동을계측한 Walker의연구 (12), 과두맞은편에위치한 light의경로를 tracing한 Bennett (13) 의연구, Cineradiographic method를이용한 Berry와 Hoffman (14) 의연구, Condylar thesiography를이용해하악운동을분석한 Zola와 Rothchild (15) 의연구, 3-dimensional motion picture photography를이용해과두와치아의연관된기능에관한정보를얻은 Hickey (16) 의연구, Air-turbine drill과 plastic block을이용한 Lundeen (17) 의연구, 두부규격단층방사선사진 (sectogram) 의컴퓨터처리에의한방법을이용한 Takahashi (5, 6, 7) 의연구등이있으며, 본교실에서도이등 (18), 한등 (19), 권등 (20), 배등 (21) 그리고이등 (22) 에의해한국인에대한연구도보고되었다. 그러나한국인에있어서컴퓨터를이용한측방운동시의분석은드문것같기에, 저자는측사위경두개촬영법 (Transcranial radiography) 와컴퓨터를이용하여관절융기경사도, 측방운동시평형측의시상과로경사도그리고과두의운동양상을분석한결과약간의지견을얻었기에보고하는바이다. 549

Ⅱ. 연구대상및연구방법 A. 연구대상 본연구의대상은 K대학교치과대학재학생중교합에이상이없으며, 저작계에이상이없고악관절에병력을갖고있지않은 21~30세 ( 평균 23세 ) 의남, 여 30 명 ( 남 25명, 여 5명 ) 을선정하여좌우측합계 60개의악관절을대상으로하였다. B. 연구방법 1. Gothic arch tracing 피검자의상 하악알지네이트인상을채득하여모 형제작후안궁을이용하고, 중심교합위로반조절성교합기에부착하였다 (Fig. 1). 다음트레이용레진 (Ostron, G.C.Co.,JAPAN) 으로상하악모형에서치아의설면을덮도록레진상을만들었으며, 하악에는레진판을만들어기존의교합평면에수평이되도록하악레진상에부착하였고, 상악에는정중선을따라상악제2소구치부위에묘기침을부착하였다 (Fig. 2). 피검자의수직고경의중가는좌, 우측방운동시상하악치아교두간의간섭이일어나지않는범위내에서최소한이되도록하였다 (Fig. 3). 이와같이제작된구내묘기장치를피검자구강내에장착하여충분히전후방및좌우측방운동을연습시킨후구내묘기를시행하고 (Fig. 4), 하악레진판에묘기된 Gothic arch apex 를기시점으로하여좌, 우측방운동경로를따라 1.5 Fig. 1.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casts are mounted on semiadjustable articulator. Fig. 2. The gothic arch tracer is attached to the maxillary and mandibuar casts by the resin plated using tray resin. Fig. 3. The gothic arch tracer in position. The amount of vertical increasing is minimized without teeth contact during lateral movement. Fig. 4. Apearance of gothic arch tracing. 550

mm간격으로묘기침의직경과같은직경 1mm의구멍을각각 5개씩형성하였다 (Fig. 5). 2. 방사선사진 1) 촬영장치및촬영방법촬영조건을규격화하기위하여 Accurad- 200(Denar Co., U.S.A.) 을사용했으며, 촬영방법으로는피검자는직립상태에서정면을바라보게하고, 외이공상연과안와의최저점을연결한선이 Frankfort horizontal plane( 이하 F-H plane) 이지면과수평이되게한후두부를고정하기위해양쪽외이도에 Accurad-200의 ear rod를삽입하고전방은 nasion aliner로고정하였다 (Fig. 6). 촬영은관전압 60Kvp, 관전류 10mA, 조사시간 3-5초로하고필름은 Konica Ax로했으며, Lanex rare earth증감지가내면에부착된 cassette에넣어사용했다. 그리고중심방사선조사각도는수직각 25, 수평각 0 로하고측사위경두개촬영법 (Transcranial projection) 으로측두하악관절의측면방사선사진을촬영하였다 (Fig. 6). 2) 촬영악위피검자는구내묘기장치의레진판에형성된구멍을이용하여중심위에서부터좌 우측방이동경로를따라 7.5mm까지이동간격을 1.5mm로하여각각 6회, 총 12회촬영하였다 (Fig. 7). 3) 확대율본연구를위해사용된 Accurad-200의확대율을검정하기위하여건조두개골의측두하악관절부위에 Fig. 5. 5holes were made at an interval of 1.5 mm from centric relation along the lateral pathway of stylus. Fig. 6. Accurad-2000(Denar Co. U.S.A) Fig. 7. Transcranial projection radiograph A : centric relation - lateral movement(7.5 mm ) on Rt. TMJ(balancing side B : centric relation - lateral movement(7.5 mm ) on Rt. TMJ(balancing side) 551

10mm의 wire를부착시킨후 3회촬영을한다음, 각각의사진에대하여 10회트레이싱을하고 disitzer(wacom Co.) 를이용하여거리를계측하였다. 본실험군에서의확대율은평균치 10.3751, 표준편차는 0.18이었다. 따라서이번연구에서는확대율에대한보정은하지않았고, 자료처리분석은방사전필름상을기준상으로해서사용하였다. 3. 분석방법 1) 컴퓨터입력촬영된양측의방사선사진에대해중심위상태의측두하악관절의형태를아세테이트루사지 (RMO Co. U.S.A.) 로트레이싱하였다 (Fig. 8). 과두의최전연, 최상연, 최후연을지나는접선의접점에서접선에수직으로내린선들이교차한점을과두의중심점 (O) 으로표시하고과두의회전운동양상을기록하기위해서과두의최상점과과두의중심점을연결한선을따라중심점하방 5mm에한점 (O ) 을더표시하였다 (Fig. 9). 이것을 disitizer(wacom Co.) 위에올려놓고중심위에서관절와의형태를입력한뒤각위치의과두의중심점 (O) 와 5mm거리의점 (O ) 을연속하여입력하였다. 이연구를위하여사용된 digitizer의정확도는배등 (21) 이 10mm의두점을연속 50회계측하여평균 9.9991mm와표준편차 0.0603mm의정확도를검증한바있어저자는이 digitizer를이용하였다. Fig. 8. Tracing of transcranial radiograph Fig. 9. Marked centric point E-P Line : articular eminence-posglenoid process line 2) Computer operated superimposition method에의한분석컴퓨터프로그램으로과두가이동한위치, 방향, 거리를산출함과동시에 computer graph로나타내어과두의움직임을연속적인곡선으로표현하도록하였다. 즉트레이싱된것을컴퓨터에입력한후제작된프로그램을이용하여그래픽으로나타내고, 과두가이동하는상태를중심위에서부터전방이동한수평거리를각각 1mm, 0.5mm, 0.2mm,0.1mm로분할이동하도록하여정적인상태의과두를동적인상태로나타냈다 (Fig. 10). 과두가이동하는상태의모습을단계별로나누어분석한뒤관절융기경사도와측방운동시평형측시상과로경사도를측정하였다. 관절융기경사도와시상과로경사도는 digitizer와컴퓨터를이용해계측하였다. 이때촬영된방사선사 진의트레이싱은관절융기와관절후돌기의정점을연결한관절융기-관절후돌기 plane(articular eminence-postglenoid process plane, 이하 E-P plane) 을기준으로하였으며, 컴퓨터에의해계측된각경사도를최종적으로 F-H plane을기준으로나타낼수있도록하기위하여배등 (21) 의연구결과를이용하였다. 배등은촬여된방사선사진상에서의기준평면인 E-P plane과 F-H plane사이의차이를얻기위하여모든피검자를측사위경두개촬영시와동일한조건하에서측두부 X-선규격사진을촬영하고, 이사진에서 E-P plane과 F-H plane사이의각을계측하여그차이를 E-P plane에더하여최종기준선이 F- H plane이될수있도록하였다. 552

Fig. 10. Computer graphics A : initial images of program B : condyle in centric relation and condylar path C : condyla in centric relation and lateral movement to 7.5 mm D : sequential image of condyle lateral movement(0.1 mm interval) E : sequential image of condyle lateral movement(0.1 mm interval) F : sequential image of condyle lateral movement(0.1 mm interval) G : sequential image of condyle lateral movement(0.1 mm interval) 553

하악운동시에있어서부동측요소로서중요하게생각되는관절융기경사도에대해서는두가지종류의방법을사용해측정했다. 우선관절와와관절융기의정점을연결한선과 E-P plane사이의각을계측하여후경사면증가장직선적인부분을연결한선과 E-P plane사이의각을계측하여 관절융기경사도 B 로하였다 (Fig. 11). 측방운동시평형측시상과로경사도는하악이중심위에서부터측방으로 7.5mm이동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시상과로경사도를계측하여 시상과로경사도 A 로하였고, 상하악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시상과로경사로계측하여 시상과로경사도 B 로하였다 (Fig. 12). 관절와고경은기준평면인 E-P plane에대한관절융기와관절와의정점사이의수직거리를계측하였다 (Fig. 13). 과두의이동거리에관해서는실제이동거리와기준평면에대한수평이거리를계측하였는데, 실제이동거리에서는하악이중심위에서부터측방으로 7.5mm까지이동시의실제적인이동거리를계측하여 실제이동거리 A (TD-A) 라고하였으며, 상하악의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실제적인이동거리를계측하여 실제이동거리 B (TD-B) 라고하였으며 (Fig. 14), 기준평면에대한수평이동거리에서도하악이중심위에서부터측방으로 7.5mm까지이동시의, E-P plane에대한수평이동거리를계측하여 Fig. 11. The angle of the posterior slope of articular eminence Fig. 12. The sagittal condylar guidance angle Fig. 13. The fossa height Fig. 14. The total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554

수평이동거리 A (HD-A) 라고하였으며, 상하악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수평이동거리를계측하여 수평이동거리 B (HD-B) 라고하였다 (Fig. 15). 과두가이동하는모습은과두내두점을선정하여측방운동시에수평전방운동외에도회전운동이함께나타나도록하여정확한이동양상을얻도록하였다. Ⅲ. 연구성적 A. 관절융기경사도관절와와관절융기의정점을연결한선과 E-P plane사이의각을계측한관절융기경사도 A의방법에의한좌측관절융기경사도는평균 38.30 이었고최고치는 56.44, 최소치는 24.58 ( 표준편차 6.54) 였다. 우측관절융기경사도는평균 38.79 였으며최고치는 49.44, 최소치는 24.36 ( 표준편차 5.43) 였다. 좌, 우측의평균치는 38.55 ( 표준편차 5.97) 였다. 관절융기의후경사면중가장직선적인부분을연결한선과 E-P plane사이의각을계측한관절융기경사도 B의방법에의한좌측관절융기경사도는평균 55.61 이었고최고치는 65.85, 최소치는 40.42 ( 표준편차 7.86) 였다. 우측관절융기경사도는평균 55.64 였고최고치는 67.88, 최소치는 38.05 ( 표준편차 6.59) 였다. 좌, 우측의평균치는 55.62 ( 표준편차 7.19) 였다 (Fig. 11, Table 1). B. 시상과로경사도하악이중심위에서부터측방으로 7.5mm이동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시상과로경사도를계측한시상과로경사도 A에서는좌측에서는평균 41.14 였으며최고치는 55.01, 최소치는 22.40 ( 표준편차 7.86) 였고, 우측에서는평균 39.77 였으며최고치는 55.89, 최소치는 23.98 ( 표준편차8.03) 였다. 상하악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시상과로경사도를계측한시상과로경사도 B에서는좌측에서는평균 45.96 였으며최고치는 61.09, 최소치는 27.80 ( 표준편차 7.58) 였고, 우측에서는평균 43.22 였으며, 최고치는 66, 최소치는 25.23 ( 표준편차 9.67) 였다 (Fig. 12, Table 1). Fig. 15. The horizontal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C. 관절과고경좌측에서는평균 8.23mm였으며, 최대치 10.23mm, 최소치 5.3mm ( 표준편차 1.08) 였고, 우측에서는평균 7.80mm였으며, 최대치 9.95mm, 최소치6.46mm ( 표준편차 0.98) 였다. 좌우측의평균치는 8.01mm ( 표준편차는 1.04) 였다.(Fig. 13, Table 2). D. 과두이동거리 1. 실제이동거리하악이중심위에서측방으로 7.5mm이동시의평형측과두의실제이동거리 (TD-A) 는좌측에서평균 7.86mm였으며, 최대치 10.25mm, 최소치 4.87mm ( 표준편차 1.33) 였고, 우측에서평균 8.10mm였으며, 최대치 10.69mm, 최소치 5.87mm ( 표준편차 1.30) 였고, 좌우측의평균치는 7.98mm ( 표준편차 1.31) 였다. 상하악의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과두의실제이동거리 (TD-B) 는좌측에서평균 4.55mm였으며, 최대치 6.44mm, 최소치 2.96mm ( 표준편차 0.77) 였고, 우측에서평균 4.78mm였으며, 최대치 7.05mm, 최소치 3.46mm ( 표준편차 0.95) 였고, 좌우측의평균치는 4.66mm ( 표준편차는 0.87) 였다 (Fig. 14, Table 2). 555

Table 1. The angle of the posterior slope of articular eminence and sagittal condylar guidance angle 556

Table 2.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and fossa height 557

2. 수평이동거리 하악이중심위에서측방으로 7.5mm이동시의과두의수평이동거리 (HD-A) 는좌측에서평균 6.10mm였으며, 최대치 8.03mm, 최소치 3.65mm ( 표준편차 1.27) 였고, 우측에서평균 6.30mm였으며, 최대치 9.30mm, 최소치 4.07mm ( 표준편차 1.24) 였고, 좌우측의평균치는 6.20mm ( 표준편차 1.25) 였다. 상하악의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의과두의실제이동거리 (HD-B) 는좌측에서평균 3.16mm였으며, 최대치 4.09mm, 최소치 2.09mm ( 표준편차 0.55) 였고, 우측에서평균 3.52mm였으며, 최대치 5.98mm, 최소치 1.93mm ( 표준편차 0.95) 였고, 좌우측의평균치는 3.34mm ( 표준편차는 0.97) 였다 (Fig. 15, Table 2). Fig. 16. Patterns of condylar path in mandibular lateral movement E. 과두이동양상 과두의이동양상은오목형, 볼록형, S 자형, 역 S 자형의 4가지유형으로분류하였다 (Fig. 16). 상하악의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평형측의과두이동양상은좌우합계 60예중오목형 30 예 (50.00%), 볼록형 16 예 (26.67%), S자형 5 예 (8.33%), 역 S자형 9 예 (15.00%) 였으며 (Fig. 17), 하악이중심위에서측방으로 7.5mm이동시평형측의과두이동양상은좌우합계 60예중오목형 27 예 (45%), 볼록형 11 예 (18.33%), S자형 13 예 (21.67%), 역 S자형 9 예 (15.00%) 였다 (Fig. 18). Fig. 17. condylar movement patterns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 from C.R. to canine to canine relation on both TMJs Ⅳ. 총괄및고안 약관절의형태와기능에대한이해는치의학의각분야에있어서커다란의의를가지며, 과두운동에관한지식은교합, 측두하악관절장애의치료, 치주조직의건강에대한교합의영향, 치과수복물에있어서치아형태의발달에대한이해에필수적이다 (16). 보철학적인영역에서환자의구강내에장착된보철물이원활한기능을하기위해서는교합면형태및절치유도가악관절의기능과조화를이루는형태, 과로와조화를이루는형태를가져야한다 (20, 23). 즉악관절은치열, 근신경계와함께하약운동의결정요소이며, 교합을정확하게형성하려면후방결정요소인악관절의여러기하학적인요소와이들의관계에대한이해가필 Fig. 18.. condylar movement patterns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 from C.R. to 7.5 mm on both TMJs. 558

요하다 (3). 악관절의해부학적형태와과로및절치로각상호간의관계에관한형태학적하악운동분석에관한연구방법은여러가지가있지만저자는하악운동, 특히과두의이동분석을함에있어중심위를포함한 6악위에있어측방운동시평형측측두하악관절의측면방사선사진촬영을하고, Computer operated superimposition method에의해각악위를분석하고과두중심점이이동곡선을그렸다. 과두의움직임을연속적인곡선으로표현하는방법에는 Pantograph법과 Multiflash법등이있지만모두전방요소로서의상, 하악교합면간의관계를투사시키고, 또한외측으로부터얻어진측정이며, 악관절의이동을직접묘기하여기록한이동곡선이아니기때문에저자는과두내임의의점, 즉과두중심점의이동로에관한분석을근거로하여악관절방사선규격촬영상에서의과두전체의이동을재현하였다. 관절융기의해부학적형태와과로의상호관계에대한보고에서 Angel (19), Craddock (10, 24), Lundberg (25), Stallard와 Stuart (26), Corbett (27), Ingervall (28) 그리고이등 (22) 은전방운동시과로는관절융기의해부학적형태를정확히따른다고하였으나, Jankelson (29), McLeran (30) 등은전방운동시과로는관절융기의후면의외형과일치하지않으며, joint space와인접관절낭, 안대, 근육들의한계내에서어디로든지자유로운이동을한다고하였다. 1. 관절융기경사도관절융기경사도 A에있어서배등 (21) 에의한연구에서는 E-P plane을기준으로하여좌측이 36.67, 우측이 37.85 이었으며, Takahashi (5) 는 F-H plane을기준으로하여좌측이 41.35, 우측이 39.36, 평균 40.41 라고보고하였으며, Angel (9) 은관절융기의최저점에서관절융기-관절와의이행부위에접선을그리고 F-H plane사이의각을구했으며좌우평균 37.03 로보고하였다. 관절융기경사도 B에있어서는 Lawther (31) 가 F-H plane을기준으로하여좌우평균 56.50, 이동 (18) 은좌우평균 54, 배등 (21) 은 E-P plane을기준으로하여좌측 50.44, 우측 50.45, Costas (32) 가좌우평균 51 라고보고하였으며, Takahashi (5) 는유사한방법을사용하여평균 55.18 라고보고하였다. 한편무치악자 에대한연구보고를보면 Costas (32) 는유치악자보다무치악자가크게나타난다고하였으나이등 (22) 은뚜렷한차이가없었다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관절융기경사도 A에서우측에서평균치 38.79, 좌측에서평균치 38.30, 좌우측에서는평균 38.55 ( 표준편차 5.97) 였으며, 관절융기경사도 B에서는우측에서평균치 55.64, 좌측에서평균치 55.61, 좌우측에서 55.63 ( 표준편차 7.19) 였다 (Table 1). E-P plane과 E-P plane과의차이를구한배등 (21) 의연구결과를고려할때, 여러선학들의결과와유사한것으로나타났으며, 좌, 우측간의관절융기경사도는유의성의차이를인정할수없었고, 좌, 우측의각도는거의유사하다고사료되어이들의해부학적대칭성이인정되었다. 2. 시상과로경사도전방운동시또는측방운동시평형측의시상과로경사도는여러가지방법으로측정되어왔는데 Posselt와 Nevstedt (33) 가구내법에의하여교합기에서 F-H plane을기준으로전방운동시우측 39.1, 좌측 40.4 로측정하였고, 권등 (20) 은 checkbite법을이용하여교합기에서측정하였을때전방운동시좌우평균 35.18 였으며, Lundeen (17) 은 Lee Pantograph System을이용하였을때 F-H plane을기준으로 5mm전방운동시중간이약 40 이었으며, 5mm측방운동시중간이 45~50 이었다. Isaacson (34) 은 Gnathograph를이용하여좌우평균 35.64 라고하였으며양 (35) 은 Pantronic을이용하여측정하였을때 protrusive path의각은좌우평균 35.75, orbiting path의각은 43.15 라고하였다. 또이등 (18) 은악관절방사선사진에서 F-H plane을기준으로전방운동시 46.22, 악관절 X- 선사진을이용한배등 (21) 은 E-P plane을기준으로전방운동시좌측 37.36, 우측 36.47 로보고하였으며, 두부규격단층사진을이용한 Takahashi (5) 는 F-H plane을기준으로전방운동시평균 47.02, 측방운동시평형측에서는 46.26 로서전방운동시와측방운동시의시상과로경사도는유의차가없고강한상관관계가존재한다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중심위에서부터측방으로 7.5mm까지정량측방운동을시켰으며, 따라서 7.5mm까지이동시켰을때의시상과로경사도와상하악견치교두정이서로가장근접할때까지이동했을때의시상과로경사도 559

를측정하였다. 7.5mm까지이동하였을대시상과로경사도 A는좌측평균 41.14 ( 표준편차 7.86), 우측평균 39.77 ( 표준편차 8.03), 좌우평균 40.45 ( 표준편차 7.91) 였으며, 상하악견치교두정이서로가장근접할때까지의시상과로경사도 B는좌측평균 45.96 ( 표준편차 7.58), 우측평균 43.22 ( 표준편차 9.67), 좌우평균 44.59 ( 표준편차 8.73) 였다.(Table 1). Kornfeld (36) 에의하면하악의전방운동과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이동로의경사에의해형성되는각이 Fischer s angle이며대부분의경우에서측방운동시의과두의이동이전방운동시보다더하방에서이루어지며, 약간의경우에서양자의경우가같아서 Fischer angle이형성되지않으며, 아주드물게반대의경우가나타나고이것을 inverted Fischer anlge 이라고하였다. 그리고 Hobo (37) 에의하면 Fischer angle은약5 라고하였다. 본연구의결과는기준평면과계측방법의차이등을고려할때여러선학들의연구결과와유사하였으며, 특히상하악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의시상과로각을측정한시상과로경사도 B에서더욱 Lundeen (17), 양 (35) 그리고 Takahashi (5) 등의연구와유사하였다. 이것은시상과로경사도 B의경우에서의하악이동량이이들의연구조건과유사하였으며, 본연구에서의하악의이동양상을고려할때많은부분을차지하는오목형의경우하악이견치절단교합의관계를넘어설대는시상과로경사도가감소하기때문으로생각된다. 3. 관절와고경관절과고경에대한이등 (18) 의연구에서는 F-H plane을기준으로할때 6.23mm, McLeran (30) 은 7.4 mm라고보고하였으며, 이등 (39) 은 E-P plane을기준으로평균 7.52mm라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좌측에서평균치 8.23mm ( 표준편차 1.08), 우측에서평균치 7.80mm ( 표준편차 0.98), 좌우평균 80.1mm ( 표준편차 1.04) 였다 (Table 2). 이것은선학들의보고와는다소차이가있는데이것은기준평면의차이, 촬영방법과계측방법의차이등이복합되어나타난것으로사료된다. 4. 과두이동거리평형측과두의이동거리는실제이동거리와기준평 면에대한수평이동거리를계측하였는데, 하악이중심위에서측방으로 7.5mm이동시평형측과두의실제이동거리는좌측평균7.98mm ( 표준편차 1.31) 였으며, 상하악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의하악이이동시의실제이동거리는좌우평균 4.66mm ( 표준편차 0.87) 였다. 하악이중심위에서측방으로 7.5mm이동시평형측과두의수평이동거리는좌우평균 6.20mm ( 표준편차 0.87) 였고, 상하학견치교두정이가장근접할때까지의수평이동거리는좌우평균3.34mm ( 표준편차 0.97) 였다 (Table 2). 이러한과두의이동거리에대한범위와평균차등은병적인상태의악관절과정상악관절을비교하는기준으로사용될수있는계측치가될수도있을것으로생각된다. 5. 과두이동양상과두이동양상에대하여 Angle (19), Beck (40), Pipko (41) 등은직선형태나곡선형태를보인다고하였으며, Berry와 Hoffman (42), McLeran (30) 등은직선이나곡선형태보다는 Zig-Zag형태를보인다고하였다. 또한한등 (19) 은시상과로의양태를단순만곡형태, 분산단순 S자형태, 직선형태등 3가지로구분하였으며그중단순만곡형태가가장많았다고하였고, Omiya (4) 는정상인과치주병이환자의과두이동경향의차이에대하여연구하여측방운동시정상자는직선형이며, 치주병이환자는 Zig-Zag형이라고하였으며, 이것은오랜기간에걸친교합조건의변화가악관절의형태에변화를주며, 즉하악운동에서전방요소로서의교합면의조건이후방요소로서의악관절특히관절와및과두의형태와그운동양식에영향을주고있다는것을시사한다고하였다. 본연구에서는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의이동양상을 Ⅰ형 ( 오목형 ), Ⅱ형 ( 볼록형 ),Ⅲ형(S자형),Ⅳ형( 역S 자형 ) 의 4가지유형으로분류하였는데 (Fig. 16), 상하악견치의교두가가장근접할때까지하악이이동시좌우합계 60예중 Ⅰ형 30예, Ⅱ형은 16예, Ⅲ형은 5 예, Ⅳ형은 9예이었으며 (Fig. 17), 하악이 7.5mm이동시에는 60예중 Ⅰ형 27예, Ⅱ형은 11예, Ⅲ형은 13예, Ⅳ형은 9예이었다 (Fig. 18). 이는다까하시 (5) 나배등 (21) 의연구결과와도유사하였으며, 악간관계를결정시, 즉반조절성교합기를사용함에있어편심위교합기록을이용하여과로각을설정할때, 하악의이동량을어느정도로하여기록하 560

는것이임상적으로유리한지에대하여는보다많은연구가필요하다고하겠다. Ⅴ. 결론 저자는교합관계가정상이고저작계에이상이없으며악관절에병력을갖고있지않은 21~30세 ( 평균23 세 ), K대학교치과대학재학생 30명의 60개악관절을대상으로 Accuard-200(Denar Co., U.S.A) 을이용하여두부고정을하고경두개측사위촬영법 (Transcranial projection) 으로측두하악관절을촬영하여얻어진방사선사진을트레이싱하여컴퓨터에입력한후관절융기의경사도, E-P평면에대한측방운동시평형측시상과로경사도그리고과두의이동양상과고로각의변화양상을비교분석하여이들의상관관계를서로비교검토한결과다음과같은결론을얻었다. 1. 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의실제이동거리는상하악견치의교두가가장근접할때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4.55mm, 우측에서평균 4.78mm였으며, 7.5mm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7.86mm, 우측에서평균 8.10mm였다. 2. 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의수평이동거리는상하악견치의교두가가장근접할때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3.16mm, 우측에서평균 3.52mm였으며, 7.5mm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6.10mm, 우측에서평균 6.30mm였다. 3. 측방운동시평형측의시상과로경사도는상하악견치교두가가장근접할때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45.96, 우측에서평균 43.22 였으며, 7.5mm까지이동시에좌측에서평균 41.14, 우측에서평균 39.77 였다. 4. 관절와의고경은좌측에서평균 8.23mm, 우측에서평균 7.80mm였고, 관절융기와관절와의정점을연결한선과관절융기-관절후돌기평면과의각도는좌측에서평균 38.30, 우측에서평균 38.79 였으며, 관절융기의후경사면중가장직선적인부분을연결한선과관절융기-관절후돌기평면과의각도는좌측에서평균 55.61, 우측에서평균 55.64 였다. 5. 측방운동시평형측과두의이동양상은상하악견 치의교두가가장근접할때까지이동시에좌우합계 60예중오목형 (Ⅰ형) 이 30예, 볼록형 (Ⅱ형) 이 16예, S 자형 (Ⅲ형) 이 5예, 역 S 자형 (Ⅳ형) 은 9 예였으며 7.5mm까지이동시에오목형 (Ⅰ형) 이 27 예, 볼록형 (Ⅱ형) 이 11예, S 자형 (Ⅲ형) 이 13예, 역 S 자형 (Ⅳ형) 은 9예였다. References 1. Posselt, U. : Range of movement of the mandible. J.Am.Dent.Assoc., 56 : 10-13, 1958. 2. Schult, J.K., Wang, S.H., Erdman, A.G. and Anderson, G.C. :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cusp travel during a nonworking mandibular movement. J.Prosthet. Dent.53 : 839-843, 1985. 3. Guichet, N.F. : Occlusion. 2nd ed., The Denar Co., 1977. 4. Omiya, N. : Comparative studies of condylar movements of adult men and periodontal patients during quantitative lateral movement. J. Jpn. Prosthodont Soc. 34 : 372-384, 1990.(in Japanese) 5. Takahashi, K. : Research of condylar movements on protrusive and lateral jaw positions(1st report. J. Jpn. Prosthodont Soc. 31 : 631-645, 1987(in Japanese) 6. Takahashi, K. : Research of condylar movements on protrusive and lateral jaw positions(2nd report) J. Jpn. Prosthodont Soc. 31 : 791-804, 1987(in Japanese). 7. Takahashi, K. : Research of condylar movements on protrusive and lateral jaw positions(3nd report) J. Jpn. Prosthodont Soc. 31 : 1077-1090, 1987,(in Japanese). 8. Higley, L.B., and Logan R.A. : Roentgenographic interpretation of certain condlye and menton movements. J.Am.Dent,Assoc. 28 : 779-785, 1941. 9. Angel, J.L. : Factors in temporomandibualr joint form. American J. of Anatomy, 83 : 223-241, 1948. 561

10. Craddock, F.W. : Radiograp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of Dent. Res., 32 : 302-321, 1953. 11. Sastebo, H.R. : C.E. Luce s recording of mandibular movements. J.Prosthet. Dent. 11 : 1068-1073, 1961. 12. Sastebo, H.R. : Walker s improvements of Bonwell s system. J.Prosthet.Dent. 11 : 1074-1079, 1961. 13. Bennett, N.G. :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movements of the mandible. J.Prosthet.Dent. 8 : 41-45, 1958. 14. Berry, H.M. and Hofmann, F.A. : Cineradiographic ofservations of temporomandibular joing function. J.Prosthet. Dent. 9 : 21-33, 1959. 15. Zola, A. and Rothschild, E.A. : Condyle positions in unimpeded jaw movements. J. Prosthet.Dent., 11 : 873-881, 1961. 16. Hickey,J.C., Allison, M.L., Woelfel, J.B., Boucher, C.O. and Stacy, R.W. : Mandibualr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J. Prosthet. Dent. 13 : 72-92, 1963. 17. Lundeen, H.C. and Wirth, C.G. : Condylar movement patterns engraved in plastic blocks. J.Prosthet. Dent. 30 : 866-875, 1973. 18. 이정만, 최부병 : 악관절규격사진에의한관절융기와과로의관계에관한비교연구, 경희치대논문집, 2 : 105-113,1980. 19. 한만형, 최부병 : 시상과로의경사도와양태에관한연구, 경희치대논문집, 2 : 255-261, 1980. 20. 권긍록, 우이형, 최대균 : 정상한국인의하악전방운동시시상과로각과절치로각에관한연구. 경희치대논문집, 11 : 509-534, 1989. 21. 배일환, 최대균, 박남수 : 하악전방운동시과두의운동궤적에관한컴퓨터분석, 경희치대논문집, 12 : 613-626, 1990. 22. 이연수, 박남수, 최대균 : 무치악자의하악전방운동시관절융기와과두운동로에관한컴퓨터분석. 경희치대논문집, 13 : 619-635, 1991. 23. Okeson, J.P. : Fundamentals of occlusio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2nd edi., C.V.Mosby Co., 1989. 24. Craddock, F.W. : The accuracy and practical value of records of condyle path inclination. J.Am. Dent. Assoc., 38 : 697-710, 1949. 25. Lundberg, M. : Movement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cta. Radiol, suppl. Suppl., 220 : 38-51, 1963. 26. Stallard, H. and Stuart, C.E. : Concepts of occlusion. Dent. Clin. North Am., pp. 591-606, 1963. 27. Corbett, N.E., Devincenzo, J.P., Huffer, R.A. and Shryock, E.F. : The ralation of the condylar path to the articular eminence in mandibular protrusion. Angle Orthodont., 41 : 286-292, 1971. 28. Ingervall, B. : Range of sagitt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condyles and inclination of the condyle path in children and adults. Acta. Odont. Scand. 30 : 67-87, 1972. 29. Jankelson, B. : Dental occlusion and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ent. Clin. North Am., pp 51-62, 1962. 30. McLeran,J.H., Montgomery, J.C.and Hale,M.L. : A Cinefluorographic analy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Am.Dent. Assoc., 75 : 1394-1401, 1967. 31. Lawther, W.L. : A roentgenographic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using a special head positioner. Angle Othodont., 26 : 22-33, 1956. 32. Costas G. Hatjigiorgis, Richard J. Grisius, Robert K.Fenster and Peter A. Neff : A tomographic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f edentulous patients. J. Prosthet. Dent. 57 : 354-358, 1987. 33. Posselt, U.and Nevstedt, P. : Resigtration of the condyle path inclination by intraoral wax records, Its practical value. J.Prosthet. Dent., 11 : 43-47, 1961. 34. Isaacson, D. : A clinical study of the condyle path. J. Prosthet. Dent., 9 : 927-935, 1959. 35. 양재호 : Pantronic을이용한하악과두운동로측정에관한연구 (Ⅰ). 대치협회지, 23 : 1045-1052, 1985. 36. Kornfeld, M : Mouth rehabilitation, 2nd ed., The 562

C.V Mosbt company, pp. 686-688, 1974. 37. Hobo, S. : The color atalas of oral rehabilitation. The Shorin Ltd., p.77,1974. 38. Rickette,R.M. : Various condit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s revealed by cephalometric laminography. Am.J.Ortho., 22 : 98-115, 1952. 39. 이상훈, 이상래 : 하악과두의형태및위치에관한방사선학적연구, 경희치대논문집, 10 : 635-644, 1988. 40. Beck, H.O. and Morrison, W.E. : A method for reproduction of movements of the mandible, A rearch progress report, J. Prosthet. Dent., 12 : 873-883, 1962. 41. Pipko, D.J. : Evaluation of validity of condyle path curvature. J. Prothet. Dent., 21 : 626-638, 1969. 42. Berry, H.M and Hofmann, F.A. : Cineradiographic analy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physiology. J Prosthet. Dent., 14 : 174-190, 1964. 563

=Abstract= A COMPUTER ANALYSIS ON THE CONDYLAR PATH OF BALANCING SIDE IN MANDIBULAR LATERAL MOVEMENT Dong-Hyun Lee, Dae-Gyun Choi, Nam-Soo Par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ondylar path and the anterior angle of glenoid fossae and classify the patterns of condylar path. Thirty male and female dental students with mormal occlesion and masticatory system ranging in age from 21 to 30, without present symptoms and any history of TM joint disturba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ranscranial radiographs of TM joints under mandibular lateral movement were obtained. By the computer analysis on the radiographs, the angle of posterior of aricicular eminance, the sagital condylar guidance angle, conylar movement patterns and the height of glenoid fossa was measured respectively, and studied their interrelationship compara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of balancing side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 was 4.55mm for Lt. And 4.78mm for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to canine to canine relation and 7.86mm for the Lt. And 8.10mm for the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to 7.5mm. 2. The horizontal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on balancing side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s was 3.16mm for the Lt. And 3.52mm for the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to canine to canine relation and 6.10 mm for the Lt. and 6.30mmfor the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to 7.5mm. 3. The sagittal condylar guidance angle on balancing side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s was 45.96 for the Lt. and 43.22 for the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from canine to canine relation and 41.14 for the Lt. and 39.77 for the Rt. When mandible moved from C.R. to 7.5mm. 4. The height of glenoid fossa was 8.23mm for the Lt. and 7.80mm for the Rt. And the angle of posterior slope of articular eminence was 38.30 for the Lt. and 38.79 for the Rt. by method-a and 55.61 for the Lt. and 55.64 for the Rt. by method - B. 5. The sequence of the frequency of condylar movement patterns on balancing side during mandibular lateral movement were concave type(30 cases), convex type(16 cases), reverse S shape curve(9 cases) and S shape curve(5 cases) when mandible from C.R. to canine relation and concave type(27 cases), S shape curve(13 cases), convex type(11 cases) and reverse S shape curve(9 cases) when mandible moved from C.R.to 7.5mm.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