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6: 34( 5) : 565-569 자기공명영상에서의요천추부척수경막낭의정상변이 1 박성진 최우석 김의졸 오주형 윤엽 2 목적 : 자기공명영상에서정상성인의요천추부척수경막남 ( I umbosacra l thecal sac) 의형태및종말위치의다양성을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요추자기공명영상을시행한환자중정상소견을보인 11 2 명의성인을대상으로하였으며, 얻어진요천추부자기공명영상으 1 Tl 강조정중시상단면에서척수경막낭의종말위치와그형태를분석하였다. 대상의연령은 17-53세 ( 평균 : 29.7) 이었고, 남자 6 9 명여자 43명이었다. 종말위치는각척추체를근위부, 중앙부, 원위부로삼등분하고또한추간판에위치하는것으로분류하였다. 척수경막낭종말부는서서히점감하여예리한종말면을보이는점상종말 ( 1 ), 서서히점감하나끝이둥근난원형 ( 11 ), 그리고점감없이둥근면으로종말하는원형 ( 111 ) 으로나누었고, 또한각형의중간형으로난원상점상종말형 ( I V) 과원상점상종말형 (V) 의형태로나누었다. 결과 : 형태는 형이가장많은 43예 (38. 4%), 11 형 3 1 여 1 ( 27.7 %). I V형 2 7 여 1(24.1 %), 111 형 8 여 1 (7. 1 %), V형 3여 1 (2.7 %) 의빈도를보였다. 전예의종말위치는저 1 5요추저 11 천추추간판에서저 13천추체근위부사이에서관찰되었다. 각위치의빈도는저 1 2천추체근위부 33예 (2 9. 5%), 저 1 2천추체중간부 28예 (25. 0%), 저 11 천추체원위부 1 6 예 ( 14.3%), 제 1-2 천추추간판부위 14 예 ( 1 2.5%) 순이었다. 결론 -요천추부척수경막낭은저 15요추-제 1 천추추간판에서저 1 3천추체사이에서다앙한형태의종말위치를보이는데, 저 12천추체근위부종말이가장흔한위치이며, 점상종말형 ( 1 형 ) 이가장흔한형태 01 다. 서 요추자기공명영상에서다양한구조물을관찰할수있는 데, 임상적으로많은관심을갖는추간판, 척추체, 척수등 료응 - 과더불어, 척추인대구조물, 경막냥등이있다. 이중경막 낭의경우척수조영술상에서관찰되는정상형태와위치 에대한보고들이있다. 그러나경막냥이다양한형태학적 변이와종말하는위치를보임에도, 최근요추부영상의가 장중요한영상인자기공영영상에서의형태학적분류와 다양성에관하여보고된바가없었다. 이전척수조영술에 서의분류는명확하지는않으나, 대부분의경막냥은원형 또는점상종말의형태를가지며이외에도다양한정상적 인형태학적변이를보이는것으로알려져왔고, 그종말위 치는제 5 요추 - 제 1 천추추간판위치에서제 4 천추체사이로 다양한위치를보이며특히제 2 천추체에가장많은종말을 보인다고알려져왔다 (1, 1 경희대학교의과대학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경막냥의관찰은경막냥내의 이논문은 1996 년 2 월 13 일접수하여 1996 년 5 월 31 일에채택되었음 F 1 J αω뇌척수액과경막외지방이가장큰대조도를갖는 T 1 강조 영상에서가장용이하며시상단면에서그형태를가장잘 관찰할수있는것으로보고되었다 (3, 4). 저자들은 T1 강 조영상시상단면상에서의경막냥의형태를분류하고종 말위치를분석하여그다양성과빈도를알아보고자하였 다. 대상및방법 1993 년 8 월부터 1995 년 4 월까지본원에서요추자기공 명영상을시행한환자중정상소견을보인 112 명의성언을 대상으로하였으며, 이행성척추, 선천성이상, 퇴행성변화 등이있어척수경막낭의형태나종말위치에변화를주는 경우는대상에서제외하였다. 환자의연령은 17-53 세 ( 평 균 : 29.7) 이었고, 남자 69 명여자 43 명이었다. 1.5 T unit 인 200/FX II (Toshiba, Japan) 와 Magnetom Vision(Sie mens, Germany) 을이용하여얻어진요천추부자기공명 영상의 T1 강조정중시상단면에서척수경막냥의종말위 치와그형태를관찰하였다. 종말위치는각척추체를근위 부, 중앙부, 원위부로삼등분하고또한추간판에위치하는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6; 34(5) ; 565-569 것으로분류하였다. 척수경막냥종말부는서서히점감하여예리한종말면을보이는점상종말형을 I 형, 서서히점감하나끝이퉁근난원형을 n 형, 그리고점감없이둥근면으로종말하는원형을 m 형으로나누었다. 그리고각형의중간형으로난원상점상종말형과원상점상종말형을각각 W 형과 V 형으로형태에근거하여냐누었다 (Fig. 1). 이와같은분류방법을이용하여대상의요천추부경막냥의종말위치와형태의빈도를알아보았다. 의종말은제 3천추체근위부에서각각 3예 (2.7%) 씩관찰할수있었다 (Fig.3b). 요천추부경막냥의형태는정상종말형태의 I 형이 43예 (38.4%) 에서관찰되어가장많았고, 난원형종말인 H 형 31 예 (27.7%) 과난원상점상종말형인 W 형 27예 (24.1%) 이다음으로많은형태이였다. 원형의종말을보이는 m 형과원상정상종말형인 V 형은각각 8예 (7.1%), 3예 (2. 7%) 에서관찰되어그빈도가낮았다 (Fig.2). 결 과 고 찰 종말위치와그형태의빈도는표로요약하였다 (Table 1, 2). 종말위치는제 5요추-제 1 천추추간판위치에서제 3천추체근위부사이에서전예의종말이관찰되어종말위치를총 10군으로나눌수있었다. 빈도순으로보면제 2천추체근위부 33예 (29.5%), 제 2천추체중간부 28예 (25.0%), 제 1 천추체원위부 16 예 (1 4.3%), 제 1-2천추추간판 14 예 (1 2. 5%) 순으로많았으며제 1 천추체원위부와제 2천추체중간부사이에서 91 예 (8 1. 3%) 로많았고, 이외제 2천추원위부 6예 (5.3%), 제 l 천추중간부 5예 (4.4%), 제 1천추근위부 3 예 (2.7%), 제 2-3천추추간판 1 예 (0.9%) 이었고, 최근위부의 척수는세겹의수막에의해둘러싸인다. 가장바깜층언경막은치밀섬유조직으로구성되며중간층인지주막은경막에느슨하게붙어경막냥을구성하며, 유막은척수를감싼다. 지주막과경막은아주앓은경막하공간에의해분리되며이콧은적은양의뇌척수액으로차있다. 이러한척수막은척수의형태와밀접히연관되며, 지주막하공간의형태는척수의형태에의해결정된다. 흉추부에서는좁고둥근형태로보이고, 경추와요추부에서는흉추부보다넓고삼각형의형태를갖는다 (2). 그러나척수가끝나는제 1-2 요추추간판위치이하의경막낭의형태는척수없이유동적 종말은제 5 요추 - 제 l 천추추간판에서 (Fig. 3a), 최원위부 인뇌척수액으로만차있게되어척수강의크기, 형태나경 막외조직 ( 주로지방조직 ), 또는발생과정상의경막낭의 형태형성에의해영향을받는것으로생각된다. 그간접적 I 11 111 IV V 인예로경막외지방종증에서척수강내의경막외지방의 증식에따라경막냥의형태가 y- 형태를갖는경우가있다 (5 ). 요천추부경막냥은근위요추부에서는척수의뾰족한끝부분인척수원추를포함하며, 그이하에서는뇌척수액과함께마미, 종사를포함한다 (6). 척수의끝부분인척추원추의끝에서연막은종사라는섬유성구조물로이루어지는데이것은제 2천추위치에서경막과함쳐진후경막낭밖으로나간뒤계속이어져미골의배면에부착한다 (6,7). 척수와부속기관의발달을보면, 척수는제태 3개월까지 Fig. 1. Schematic diagram 01 thecal sac types at lumbosacral level Type 1, pointing shape;type 11, ovoid shape;type 111, round shape; type IV, oval pointing shape; type V, round pointing shape Table 1. Shape 01 Lumbosacral Thecal Sac Ty.pe Case Number(%) 1 pointing 43(38.4) Ilovoid 31(27.7) 111 round 8( 7.1) IV ovaf pointing 27(24.1) V round pointing 3( 2.7) Table 2. Distal End Level 01 Lumbosacral Thecal Sac Level Case Number(%) L5-S1 intervertebral disc 3( 2.7) S1 proximal 3( 2.7) middle 5( 4.4) distal 16(14.3) S1-S2 disc 14(12.5) S2 proximal 33(29.5) middle 28(25.0) distal 6( 5.3) S2-3 disc 1 ( 0.9) S3 proximal 3( 2.7) Total 112(100) Total 112(100) %
박성진오 1 : 자기공명영상에서의요천추부척수경막낭의정상변이 척주길이전체에뻗어있으나, 이후척주보다척수의성장속도가상대적으로느려져두조직간의불균형이나타난다. 정상발달에서뇌와척수의연접부는두개골대공에고정되어있기때문에척수의상대적단축이척수의미부가척수강내에서상승하여, 출생시제 3요추체까지, 성언에서제 1-2 요추추간판위치에놓이게된다. 이러한척추체와척수그리고부속기관의성장의불균형에의해경막낭의위치의다양성이나타나는것으로유추할수있다. 자기공명영상에서경막낭은경막과지주막으로구분되지않아한겹으로관찰되고, T1 과 T2강조영상모두에서 저신호강도의앓은막구조물로관찰된다. 내부의뇌척수액은 T1강조영상에서는저신호강도로 T2강조영상에서는고신호강도로관찰된다. 경막낭의외측으로는경막외공간으로주로지방으로구성되어 T1 강조영상에서내측의뇌척수액은저신호강도를외측의경막외지방은고신호강도를보여척수 - 뇌척수액-경막냥의구분이분명하여경막냥의경계가명확하게관찰되어그형태나위치를알아보기용이하다. 경막냥의형태분류에서척수조영술에서는점감행또는원형의형태로요천추부경막냥의종말이보인다고하였으 a b c Fig. 2. Variable shapes of lumbosacral thecal sac on T1W sagittal image Type 1, pointing shape; most common type of lumbosacral thecal sac(a). Type 11, ovoid shape; tapering of thecal sac with round end, second common type of lumbosacral thecal sac(b). Type 111, round shape(c). Type IV, oval pointing shape(d) Type V. round pointing shape(e) d e -567 -
대한방사섣의학회지 1996 ; 34(5) : 565-569 Fig. 3. On the T1 weighted sagittal image, thecal sac is seen as marked hypointense thin stripe between hypointense subarachnoid cerebrospinal Iluid and hyperintense epidural lat. Thecal sac terminates at 83 proxi mal one third, that is most lar distal location 01 distal end(a) and m ost near proximal location 01 distal end at L5-81 intervertebral disc(b) a b 나 (1), 본연구에서한국성인의경막낭의형태는중간형태인난원형의예가많았다. 또한점감형의형태중난원형또는원형과의중간형태를관찰할수있었다. 이에대한빈도를살펴보면, 점상종말행이가장많았고, 난원형, 난원상점감종말형순 로나타나점감의형태가대부분 (90. 2% ) 에서관찰되었다. 그러나점감없이급작스런종말을보이는둥근형태의종말은그빈도가낮았다 ( 9.8% ). 요추부자기공명영상에서기술적인측면에서이상적인시상단떤영상은상부로는척추원추를포함하고, 하방으로는경막냥의끝이모두나오도록하는것이다. 그하방은대체로제 2천추체정도라고알려져왔고이를기준으로요추자기공명영상을얻는다 (3). 이러한경막냥의종말위치는제 5요추제 1천추추간판위치에서제 4 천추체근위부까지로알려져왔고, 제 2천추체에서종말하는것이가장많다고한다 (2, 3). 본연구에서는제 5요추제 l 천추추간판에서제 3천추체근위부까지위치하였고, 80% 이상의예가제 1 천추체원위부와제 2천추중간부에서종말하여서약척추체한개의범위내에서경막낭의종말이가장많은빈도로관찰되였다. 결론적으로, 요천추부척수경막냥은다양한형태와종말위치를가지며, 특히 Tl 강조영상시상단면에서척수경막낭과주변의지방조직등과의구분이명확하여그형 태와종말위치의파악에유리하고, 본연구에서제시한요 천추부경막낭형태분류는척수강빛척수경막낭종말부 의정상해부학적변이를이해하는데도움을줄것으로사 료된다. ~~ = 고 1. Bernard SE. The spine 4th ed. Lea & Febiger, 1976 : 102-105 2. Anatomy Robert S. Myelography 4th ed. Year book medi cal publisher 1984:98-11 8 3. Louis W, Stanley MP. M 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normal spine. In Rich ard EL, ed. MR and CT im agi ng 01 th e head, neck and spine 2nd ed. St. Louis : Mosby, 1991 : 11 00-1107 4. Thomas JB, William TC, Yuh CJ, Calvin Y, David HS. Spinal subarachnoid tumor seedi ng Irom intracranial metastasis MR C 그 ~ 헌 lindings. J Comput Assist Tomogr 1987; 11 :242-244 5. Matthew Jk, Hisham TY, Timothy LS, Li nda CS. Lumbar epidural lipomatosis: The y " sign 01 thecal sac compression Comput Med Imag Graph 1994 ; 18:367-372 6. GJ Romanes The central system. In GJ Romanes, ed Cunningham s textbook 01 anatomy. 11 th ed. London: Oxlord university press, 1972: 596-598 7. Peter LW, Roger W. Gray s anatomy. 36th ed. W. B. Saunders company:churchill Li vingstone, 1980 : 864-867 - 568 -
박성진오 1 : 자기공명영상에서의요천추부척수경막낭의정상변이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1996: 34(5) : 565-569 Normal Variation of Lumbosacral Thecal Sac on MR' Seong Jin Park, M.D., Woo Suk Choi, M.D., Eui Jong Kim, M.D., Ju Hyung Oh, M.D., Yup Yoon M.D. 1 Department of Díagnostic Radíology, Kyung Hee Universíty Hospítal Purpose : To evaluate the shape and distal end level of the lumbosacral thecal sac in normal subjects on MR Imaglng.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elve normal lumbar MRls were reviewed. The shape and distal end level of the lumbosacral thecal sac on T1-weighted midline sagittal image were evaluated. The thecal sac was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shape and defined as follows: type I(pointed shape) : tapering contour, with rat tail appearance ; type II(ovoid shape) : tapering smoothly, with round end ; type 111(round shape) : not tapering, with round end ; type IV(pointed ovoid shape) : ending in papillae; type V(round pointed shape) : ending in papillae. The levels of the distal end of the thecal sac were also evaluated. Results : Type 1 was the most common(43/112, 38.4 %) and the second most common form was type 11(31/112, 27.7%). With regard to the distal end level of the sac, 33 cases were located at the distal one third of the S2 body and 28 were at the middle one third; 16 cases were at the distal one third of the S1 body, and 14 were at the S1-S2 intervertebral disc level. AII lumbosacral thecal sacs terminated between the L5-S1 intervertebral body and the distal one third of the S3 body. Conclusion: Lumbosacral thecal sacs ended between the L5-S1 intervertebral disc and the S3 spinal body Most commonly, the sac terminated at the proximal one third of the S2 body. The pointed shape(type 1) was most common. Index Words: Spine, MR Spine, anatomy Address r eprint r equests to : Seong Jin Park, M.D., Depar 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 1, H oe ki 겁 ong, Dongdaemun-ku, Seou1130-702, Korea. Tel. 82-2-958-8622, Fax.82-2- 958-8611 - 569
랩썽요 하 내Oγ. 꽃늠름를제출 l.~ E근 2. 장 시 1 996 년 10 월 17 일 ( 목 ) - 19 일 ( 토 ) 소. 호델롯데월드 3 층크리스탈볼룸 ( 서울시송파구잠실소재압 (02)419-7000) 3. 초록및전시작품제출마감일 초록 : 1996년 8월 17 일 ( 토 ) 까지 ( 구연초록, 전시초록포함 ) 전시작품 : 1996년 10월 1 6 일 ( 수 ) 20: 00 - 이후학술대회장의에머럴드룸학술전시장에직접부착 4. 접수처 : 본학회사무국 (TEL 579-8003, 8005, FAX 529-7113) 서울시서초구양재동 121-8번지 PC통신을통해서초록을접수할수있습니다. ( 학회 PC통신 10, 천리안 : KKRS) 5. 호델예약 : 호텔객실을이용하실분은 9 월 30 일까지호텔롯데월드 ( 전화 02-411-7777 객실예약과윤기자 ) 로직접예약하시기바랍니다. 객실료는정상가에서약 26% 할인된금액으로이용하실수있습니다. i? 앙안찌-v본학회에서는학술대회일정및각종공지사항등을컴퓨터통신을통해공개하고있습 니다. 많은이용있으시길바랍니다. @ 이용방법 @ 데이콤에접속후 1. 직접찾아가는방법 : Go INFOMEET Enter J I 2. 메뉴에서찾아가는방법 : 3. 게시판 1. 나눔터 7. 행사 / 모임안내로가시면학회자료를볼수있습니다. πf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