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학회지 1 o f C o r n t M o o o l 1 0 N o 2 1 9 9 8 四 象 人 耳 目 壘 口 의 퓨Z 態 學 的 特 徵 짧 究 洪 錫 喆 高 炳 熙 宋 - 炳 A M o r p h o r l o g i c a l S t u d y o f E a r, E y e, N o s e a n d M o u t h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H o n g S u c k - c h u / l K o h B y u n g - h e e S o n g l l - b y u n g O피 g 짜 r e 까 l i s r e s e a r c h i s a s t u d y a b o u t c o n s t i t u t i o n a l d i a g n o s i s t h r o u g h t h e e 자 e m a l a p p e a r a n c e s a s a 뼈 S I C p 꺼 n c i p l e, a n d i t i s f o r n d i n g s h a p e d i f f 많 n c e s o f t h e e a r, e y e, n o s e, m o u t h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M e t h o d W e h a v e c o l l e c t e d 2 0 9 때 s e s o f p a t i e n t s o f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a l [ 농뼈 r t m e n t, i n c l u d i n g e m p l o y e e s o f t h e K y u n g - H e e M e d i c a l C e n t e r a n d t, k p i c t u r e s o f t h e I T o n t a l v i e w, l a t e r a l v i e w, o b l i q u e v i e w o f f a c e a n d m e a s w 벼 h e i g h t s, d e a p t h, b r e a 뼈 1 5 o f e a r, e y e, n o s e, m o u t h w i t h M e a s u r e m e n t o f R M a r t i n ' W e a n a l y z e d s h a p e d i f f e r e n c e s o f t h e f a c e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w i t h c e r t a i n r e s u l t s R e s u l t s W e g o t t h e m o r p h o l o g i c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않 r, e y e, n o s e a n d m o u t h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a s T a b l e 3 - T a b l e 1 0 T h e C o n c l u s i o n : I 끼 l e m o r p h o l o g i c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E a r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서! 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2 2 1 -
- 사상의학회지 저1 1 0 권 저 1 2 호 1 9 9 8 - φ M o r p h o l o g i c 않 l e n g t h, P h y s i o g n o m i c e a r l e n g t h, 닮 r l o b 비 e l e n g t h i s 1 0맨 e r i n T a e u m i n t h a n S o e u m i n ( 2 P h y s i o g n o m i c e a r b r e a d t h i s w i d e r i n T a e u m i n t h a n S o e u m i n C I D P h y s i o g n o m i c 않 l e n g t h, l o b 비 e l e n g t h r a t i o i s h i g h e r i n T a e u m i n t h a n S o y a n g i n 2 깨 e m o r p h o l o g i c c h a r a α e r i s t i c s o f E y e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C D I n n e r P a l 야 b r a l f i s s u r e w i d t h, 5 t h P ;외 p e b r a l f i s s u r e l e n g t h, B i z y g o m a t i c b r 때 t h - O u t e π a n t h 외 d i s t a n c e i s t h e l o n g e s t i n T a e u m i n ( 2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i n c l i n a t i o n i s w i d e s t i n S o e u m i n C I D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I e 뺑 h i s l o n g e r i n T a e 빼 n t h a n S o e u m i n @ P u p i l l ad ri ya m e trea rt i oi s t h el o w e si nt T a e u m i n ( 5 P a l p e b fr ia sl s u Ir e뺨 e h, w i d t h r a t i o i s h i g h e r i n S o e u m i n t h a n T a e u m i n C I D B i z y g o m a t i c b r e 때 t h, B i z y g o m a t i c b r, 빼 t h - O u t e π a n t h 떠 d i 앙 a n c e r a t i o i s t h e h i g h e r i n T a e u m i n t h a n S o e w 피 n 3 T h e m o r p h o l o g i c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N o s e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C D N a s i o n d e p t h i s d e e 없 t i n S o y a n g i n ( 2 N a s i o n t o p u p i l l 없 y d e p t h i s d e e p e r S o y a n g i n t h a n T a e u m i n C I D N a s a l t i p d e p t h, N o s 미 I t o N a s a l a l a r d e p t h i s d e e p e r S o y a n g i n t h a n T a e u m i n @ S u b n a s a l e t o N a s a l a l a r d e p t h i s t h e s 뼈 H o w e s t i n T a e w 피 n ( 5 N a s a l 외 a r h e i g h t i s l o w e s t i n S o e w 피 n C I D N a s a l a l a r t o N o s t r i l d i s t a n c e i s d e e p e r T a e u m i n t h a n S o e w 피 n ( j N a s a l t i p d e p t h, N a s a l d e p t h r a t i o i s t h e h i g h e s t i n T a e 삐삐 < I D N a s a l d e p t h N a s a l a l a r h e i g h t r a t i o i s l o w e s t i n S o e 띠띠 n @ M i d f a c e h e i g h t, N a s a l t i p d e p t h r a t i o i s 피 g h e r S o y a n g i n t h a n T a e u m i n 4 T h e m o r p h o l o g i c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m o u t h a c c o r d i n g t o t h e S a s a n g c o n s t i t u t i o n C D L o w e r m i d l i p h e i g h t, L o w e r p h i l t r u m h e i g h t, Lρ w e r q 띠 r t e r l i p h e i g h t, T o t a l m i d d l e l i p h e i g h t, T o t a l p h i l t r u m h e i g h t, T o t a l q 뻐 r t e r l i p h e i g h t i s t h e s h o t t e s t i n S o y a n g i n ( 2 U p p e r m i d l i p h e i g h t, U p p e r p h i l t r u m h e i 뱅 t i s l o n g e r i n T a e u m i n t h a n S o y a n 휠 n - 2 2 2 -
; ; ; - 四 象 人 耳 텀틀 口 의 形 態 뭘 的 햄에U f f 究 - Q L i p i n c l i n a t i o n i s h i g h e r i n S o e u r n i n t h a n S o y a n g i n @ I n t e r c h e i l i o n b r e a d t h, t o t a l h e i g h t r a t i o i s l o w e s t i n S o y a n g i n ( 5 T o t a l l i p h e i g h t, U p p e r p h i l π u r n h e i g h t r a t i o i s h i g h e r i n S o y a n g i n t h a n S o e u r n i n ( 6 L ρ w e r l i p h e i g h t L o w e r q 띠 I t e r l i p h e i g h t r a t i o i s h i g h e r i n S o y a n g i n t h a n T a e u r n i n C I D T o t a l l i p 따 - e a i s w i d e r i n T a e u r n i n t h a n S o y a n g i n I 績 論 1 8 9 4 년 束 武 쭈 濟, I서는 r * 醫 힘 U t i 짜 元 을 저술하 여 A 體 內 部 滅 멜의 t u 對 的 체질을 太 陽 A 少 짖λ 太 陰 A { 댐쏟를 근거로 인간의 少 陰 A으로 구분하 였다 I 때 象 A은 生 맹 및 病 P I! 현상에 차이를 나타 낼 뿐만 아니라 짧 生 상 및 治 機 法 에서도 각기 다른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2 따라서 따l 象 醫 델의 입상적 적용에서는 體 質 빼끊이 우선된 후 體 質 病 證 을 辦 證 하게 된다 3 짜파는 때 象 A 샤 1 ;짚의, 珍 짧I 指 얹를 外 J r J 心 性 I찮 등을 제시하였고 후가들은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체질진단의 객관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즉 각 體 質 別 特 徵 을 중심으로 작성된 값 問 紙 를 이 용한 방법 4 外 形 의 特 徵 을 I T / - 量 化 한 방법 5 生 化 6 學 的 物 質 分 析 法 등이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없 問 紙 에 대한 보완적 연구 유전자의 체질별 특성 에 대한 연구 7 각종진단기를 이용하여 체질별 특성 을 찾는 연구 8 등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四 象 體 質 珍 斷 의 객관화를 위한 때 象 A 의 형태학적 특정을 규명하는 연구로서 특별히 統 面 部 의 구성요소인 耳 텀 :짧 口 의 外 形 을 대상으로 하였 다 r 束 醫 壽 世 保 元 에서는 廠 I 되의 太 小 에 따른 A 쁨의 J : - 下 의 偏 差 를 비교한 體 形 氣 像 과 心 1 " 1 의 총체 적 外 願 이라고 볼 수 있는 容 짧꾀 l 氣 등 두 요소를 빼 證 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1 A 낼 械 理 有 四 不 同 뼈 太 而 府 小 者 名 더 太 A! I f 大 而 뼈 小 者 名 日 太 l 陰 A n 에! 人 而 휩 小 홈 名 티 少 陽 A 뽑 大 而 뻐 ' / j 者 名 R 少 陰 A r 東 醫 흙 世 保 7 [ ; 四 端 論 2 全 國 障 醫 科 大 짧 四 象 醫 쩔 敎 室 : 며 象 醫 學 서울, 集 文 堂 ; 5 0 1 9 9 7 3 明 知 其 A 而 又 明 知 其 펌 Q l j 應 用 之 藥 必 無 可 疑 東 훌훌좀 世 保 元 四 象 A웰-꿇 論 4 홉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辦 뽑에 대한 小 考 ( 1 9 8 5 年 및 며 象 體 質 方 法 論 m 究 ( 1 9 8 7 年 金 迷 來 說 問 紙 를 이용한 體 質 짧 5 ] I J 方 法 의 { 듬 賴 度 에 관한 f 究 ( 1 9 9 4 年 金 딱 豪 外 四 象 體 質 分 類 檢 훌의 쫓 當 化 뻐 究 ( 1 9 9 3 年 ; 및 四 象 體 質 分 했 檢 3 훌훌좋 標 準 { r * 1 : ( 1 9 9 6 年 金 樹 凡 四 象 體 質 짧꺼 I j 을 위한 專 門 家 시스템의 知 識 베이스 構 集 을 위한 찜 究 ( 1 9 9 0 年 추 廷 燦 外 四 象 體 質 分 쨌 檢 흉 誌 의 앓 當 { r m 究 ( 1 9 9 6 年 等 5 高 炳 熙 外 : ( 며 象 體 質 別 J i i i l l 部 의 形 態 짧 的 特 徵 1 9 9 6 年 f f F 英 植 며 象 體 質 짧 5 ] 1 1 $ 에 대하여 ( 1 9 7 3 年 R 쑤 萬 會 外 : 四 象 A 의 形 態 學 的 룹! 式 化 에 관한? i f f 究 0 9 9 1! f 녕 6 쌓 基 相 : 類 型 體 質 짧었 I J 의 免 홉 血 淸 學 e J j j J f ( 1 9 9 3 年 7 조동욱 外 : 四 象 뽑짧의 홈 f t 1 化 를, { 위한 遺 빵힘 ] 分 析 i 1 J f ( 1 9 9 6 i f - 8 판 錫 옮 東 짧 E뜸 世 { 똥π에 나타난 ( 體 質 別 服 狀 과 1 1! 능겸융에 의한 體 徵 I J 服 波 의! t, 較 1 9 9 5 年 金 웰 原 外 : E A 의 i l / I J 定 置 와 四 象 體 質 類 型 및 中 風 과의 相 關 性 에 관한 % 究 ( 1 9 9 5 年 풍 m
f - 사상의학회지 저 1 1 0 권 저1 2 호 1 9 9 8 - j 이러한 外 μ을 동한 니 象 A의 빼좁은 까i 짧쉰 I! U C 에서도 특별히 강조된 부분 9 이지만 이를 객관화 하여 체질진단자료로 연구된 예가 회소하여 이에 대 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1 9 9 6 년 i 치 연 q Q 에 의하여 l 루어진 니 象 體 젤 J J I J w @ j 쩨의 1 m i 현 I 섯 的 특정과 동일한 연구 방법을 취하고 있으나 위의 논문이 뼈뼈 部 의 외곽 앨 등을 중심 선 및 구조물들의 l치암과 없없 및 J i t 으로 분석 연구한데 비하여 본 논문은 統 m i 삐의 구 성요소인 耳 1 7 J 파 L I 의 형태를 분석 연구하였다 이 를 통하여 씨 醫 ι i 띠 j 에서 제시된 장 %폐쳐의 이 론을 규명하는 단서와 體 質 珍 斷 指 앉로의 활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I I 빠 究 方 法 본 연구는 니 象 A에 따른 耳 R 파 n 의 형태학적 특 성을 파악하기 위한 통계 조사 연구이다 먼저 체질 진단설문지 및 임상적 관찰을 통하여 체질진단을 시 행한 후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統 때 部 의 正 때 때 I i 4 5 도 엠 r j 등의 f 핑현을 통하여 耳 뎌따 口 의 i훈 쩔 $ 넓짧 i t J 및 f 쉰따를 측정하여 四 象 A에 따른 형태학적 차이를 연구하였다 1 연구재료의 수집 1 9 9 7 년 1 월부터 1 9 9 7 년 1 2 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한방병원 나 象 쩔 I 컴 科 에 내원한 외래환자 직원, 학생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체질경향성 이 모호하거나 형태가 특이하여 전체 통계치에 영향 을 줄만한 경우를 제외하고 2 0 9 례를 대상으로하였 다 대상자의 니 象 體 젤 5 1 I J 분포는 少 陽 A이 7 2 명 ( 3 4 4 5 % 少 陰 A이 6 9 명 ( 3 3 0 0 % 太 陰 A 이 6 8 명 ( 3 2 5 5 % 이었으며 太 껑 A은 대상자를 찾을 수 없었다 1 연구대상자의 배 象 A 5 1 I J C o n s t i t u t i o n 1 " 1 죄 I j 分 자 j 연구대상자의 에커I J 분포는 남자가 1 0 0 명 ( 4 7 8 4 % 여자가 1 0 9 명 ( 5 2 1 6 % 이었으며 f ' l 끼 j 에 따른! - l 象 A 5 1 I J 분포는 T a b l e 1 에 제시하였다 T a b l e 1 T h e D i s t r i b u t i o n o f S e x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2 5 3 0 4 5 Male ( 2 5 0 0 % ( 3 0 0 0 % ( 4 5 0 0 % ( 3 6 7 6 % ( 4 3 4 8 % ( 6 2 0 0 % T o t a l 1때 ( 4 7 8 4 % F e m a l e 4 3 3 9 2 7 ( 2 4 7 7 % ( 3 5 7 7 % ( 3 9 4 4 % 1 0 9 ( 5 2 1 6 % ( 6 3 2 3 % ( 5 6 5 2 % ( 3 7 5 0 % T o t a l 6 8 6 9 7 2 2 0 9 ( 3 2 5 5 % ( 3 3 0 0 % ( 3 4 4 5 % 0 0 0 µl % T a b l e 2 T h e D i s t r i b u t i o n o f A g e C o n s t i t u t i o n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T o t a l 2 0-2 9 5 2 7 1 6 4 8 0 0 4 % ( 5 6 3 % ( 3 3 3 " " " ( 2 2 9 % ( 6 9 % ( 3 9 1 % ( 2 3 5 % 3 0-3 9 7 1 4 6 ( 2 5 9 % 2 7 ( 5 1 9 % ( 2 2 2 % 0 2 9 % ( 9 7 % ( 2 0 0 % ( 8 8 % 1 2 9 9 4 0-4 9 ( 4 0 0 % ( 3 0 0 % ( 3 0 0 % 0 6 7 % 0 3 0 % 0 3 2 5 3 0 0 4 1 % 9 A 物 形 容 f 검뻐 商 m 再 三 쇄 移 如 有 迷 냈 則 參 효 病 펌 r 東 뽑캄 世 保 元 四 象 A빠 n캘 J 1 0 高 炳 熙 外 8 A : 며 象 體 質 예 J J f t U I D 部 의 形 態 짧홈 j 特 徵, 四 家 짧 學 會 즙훌 8 ( 1 ; 1 0 1-1 8 6 1 9 9 6-2 2 4 -
- 四 象 A 耳 텅훌 口 의 形 態 學 的 特 徵 찜 究 - 2 5 5 2 4 5 0-5 9 ( 4 6 3 % ( 9 3 % ( 4 4 4 % ( 3 4 7 % ( 7 3 % ( 3 5 3 % 1 8 1 2 1 1 6 0-6 9 ( 4 3 9 % ( 2 9 3 % ( 2 6 8 % ( 2 5 0 % ( J 7 4 % 0 6 2 % 5 4 ( 2 5 9 % 4 1 0 9 6 % 7 0-8 0 5 2 2 9 ( 5 5 6 % ( 2 2 2 % ( 2 2 2 % ( 4 3 % ( 6 9 % ( 2 9 % ( 2 9 % T o t a l 7 2 6 9 6 8 2 0 9 ( 3 4 5 % ( 3 3 0 % ( 3 2 5 % ( 1 0 0 0 % 2 연구대상자의 四 象 A 別 年 敵 分 布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5 0 대가 전체 2 0 9 명중 5 4 명 으로서 2 5 9 % 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배 象 A 別 로는 少 陽 A은 5 0 대가 2 5 명으로 3 4 7 % 少 陰 A은 2 0 대가 2 7 명으로 3 9 1 % 이며, 太 陰 A은 5 0 대가 2 4 명으로 3 5 3 % 로서 각 체질별로 높은 빈도를 차지하 였다 연령에 따른 때 象 A 別 분포는 T a b l e 2 에 제 시하였다 2 체질진단 및 활염방법 1 체질진단방법 밟 質 珍 斷 을 위하여 四 象 體 質 設 問 紙 ( I 1 1 象 { 뿔 質 분류검사 ( Q S C C I 1 2 藥 珍 및 針 쓸 쌓 臨 ' * 的 檢,값 1 3 을 통한 四 象 6월 質 양 斷 을 거쳐 四 象 醫 젠을 전공한 전문의의 판정에 의하여 體 質 을 확정 하였다 및 四 2 촬영방법 陽 뻐 部 형태의 특징을 최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3 차원적 영상을 얻는 것이 필요하며 계측의 정확성 과 편리성을 위하여는 촬영방법을 同 一 化 하여 표준 화된 조건을 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 기 위하여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 및 방향 설정, 노출정도, 셔터타임 등을 최적조건이라 판단되는 다 음 조건에 맞추어 시행하였다 Q 촬영거리 및 각도와 기법 : 피사체와 1 8 2 c m 의 거리에서 i f 때 하; 빼 9 0 度 1 i 測 4 5 1 풍 料 i 떠 등의 방향에서 촬영하였으며 촬영시 피검자의 뼈 面 部 를 耳 眼 水 平 線 에 맞추었다 @ 촬영조건 : 영상촬영 조건은 셔터시간 1 / 6 0 초 노출 5 6 에 일반 후레쉬를 사용하여 촬영 하였다 @ 실측거리를 환산하기 위하여 比 率 을 환산할 수 있는 스케일을 만들어 피검자로 하여금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여 들고 있게 한다 @ 촬영용 카메라는 니콘 F M 2 1 0 5 m m 망원렌 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사용한다 3 측정방법 및 측정항목 1 측정방법 측정은 확대한 사진상을 이용한 간접측정을 원칙 으로 했다 측정시 특별히 규정되어 있는 경우 외에 는 左 빼 부위의 I 주폐화 I ] 를 측정하였다 1 1 수 義 柱 I힘 炳 熙, 宋 - 炳 : 四 象 級 옆 內 容 說 問 調 훌 紙 ( I 의 앓 當 化 f? E 四 象 醫 學 會 誌 7 ( 1 ; 8 9-1 0 0 1 9 9 5 1 2 金 " t v 1, : :!효 高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分 했 檢 훌 ( Q S C C I 의 쫓 當 化 % 究 띠 象 醫 짧 會 끓 5 ( 1 ; 6 1-8 0, 1 9 9 3 1 3 대상자 대부분은 경회의료원 사상의학과 외래에서 치료 받는 사람 중, 약물 및 칩의 반응이 양호한 경우를 선택하였다 낌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사진상의 측정에는 D i g i m a t i c C a l i p e r ( M i t u - t o y o C o J a p a n 를 사용하였고 1 / 1 0 0 m m 까지의 정 밀도를 지키파 노력하였다 2 측정항목 측정항목은 마틴식계측법 1 4 을 준용 및 개변하여 한 사랍당 4 8 7 H 항목을 설정하였고 이 항목을 이용 하여 3 7 개의 뼈 式 1 5 을 제작하였다 일부 측정항목 은 高 양 1 6 의 논문에서 인용하였다 ( 이하 高 의 M 面 部 뼈 I J 定 項 겐이라 칭함 이들 항목은 다음과 같다 ( 1 폐의 짧뼈i 部 빼 定 項 R 3 5 6 m m 잉 마 마 바 안 와 내 비 동 안 구 않 정정 고 간정 고 하정 고 최대 폭 안각 칸 안각 간 근포 간 공 포 중정 포 표 각 포 간 포 0 5 미정점고 ( 眉 없 點 高 : 턱하점과 미두 ( 眉 頭 의 최상단 사이의 정중앙정을 잇는 수직선 을 시상연에 투영한 길이 0 6 미간점고 ( 탬돼 l엔 高 : 턱하점과 미간점을 잇는 수직선을 시상연에 투영한 길이 1 8 비하점고 ( 따 下, 힌힘 : 턱하점과 비하점을 잇는 수직선을 시상연에 투영한 길이 5 1 안최대폭 ( 觀 꿇 大 福 : 좌우 광대뼈의 가장 바깥 곡각정간을 잇는 직선을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직거리 5 8 외안각간폭 ( 外 眼 角 間 福 : 좌우 눈의 가장 바깥쪽을 잇는 직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길이 5 9 내안각간폭 ( 內 眼 角 問 福 : 좌우 눈의 가장 안쪽을 잇는 직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길 이 6 0 비근폭 ( 짧 根 없 : 앞머리뼈와 윗 코뼈의 봉 합점에 해당하는 좌우 사이를 잇는 직선을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평거리 6 2 동공접간폭 ( 睡 孔 력 間 福 ; 좌우 동공 중앙 점을 잇는 직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명 : 거리 6 6 인중폭 인중의 가장 아래 넓이를 잇는 직 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평거리 6 8 구각간폭 ( I J 쩌 問 福 : 좌우의 [ : J 角 默 의 뾰 족한 점을 잇는 직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명거리 / 밍 l / 짧 M u n n n s n vn m r ol % % % % % % 버 1 4 A 짧 學 해 座 編 짧 委 a : A 體 計 i J l l J i t 東 京 雄 山 開 出 版 社 1 9 9 1 年 1 5 歡 式 중 - 數 의삶 名 은 특별히 정하여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基 準 이 되는 변수를 언저 명명하고 比 較 변수를 後 에 명명하기로 하였다 예를 들면 I I!! 高 뼈밟 X I O O 은 I I!! 밟 高 짧 數 라 영하기로 한다 1 6 高 炳 熙 外 8 A : 四 象 體 質 었 I J i m i I i i 部 의 形 態 學 的 特 徵, 四 象 뽑짱 會 誌 8 ( 1 } : 1 0 1-1 8 8 1 9 9 6-2 2 6 -
- 四 象 A 耳 텀훌 口 의 形 態 學 的 特 徵 究 - ( 2 耳 부위 측정항목 및 수식 2 0 l 상이개고 ( J : 耳 蓋 펀 : 상이저점에서 이상 점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 2 0 2 형태이장 ( 形 態 耳 長 : 이주점에서 이상점 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 2 0 3 용모이장 ( 容 劉 耳 長 : 이하점에서 이상점 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 2 0 4 이폭 ( 耳 福 : 이륜의 최외각점에서 상 2 0 5 이저점과 하이저점을 이은 가상적 직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투영적 수평거리 이수장 ( 耳 훌 長 : 대주점 최상 윤곽선에 서 이수 하단 또는 이수가 약한 경우 하 이저점까지의 투영적 직선거리 ι 3 ' J :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0 8 형태이장 ( 形 態 耳 長 지수 : 형태이장 용 모이장 X I O O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0 9 상이개고 ( J : 耳 蓋 담 지수 : 상이개고 용 모이장 X I O O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l 0 이수장 ( 耳 훌 長 지수 : 이수장 용모이장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l 1 4 5 도사연 1 7 이폭지수 : 4 5 도사연 이폭 - 7-4 5 도사연 용모이장 X 1 0 0 의 수식에 의 하여 얻었다 2 1 2 4 5 도사연 형태이장지수 : 4 5 도사연 형태 이장 - 7-4 5 도사연 용모이장 X 1 0 0 의 수식 이다 2 1 3 4 5 도사연 상이개고지수 : 4 5 도사연 상이 개고 - 7-4 5 도사연 용모이장 x l O O 의 수식 이다 2 1 4 4 5 도사연 이수장지수 : 4 5 도사연 이수장 - 7-4 5 도사면 용모이장 X I O O 의 수식에 의 하여 얻었다 ( 3 目 부위 측청항목 및 수식 2 1 5 눈썽길이 : 눈캡의 가장 외측점과 내측점 사이를 잇는 직선을 앞머리 변에 투영한 2 0 1 상이개고 2 0 2 형태이장 2 0 3 용모이장 2 0 4 이폭 2 0 5 이수장 2 0 6 이주간철혼폭 ( F i g 2 M e a s u r i n g p o i n t o f E a r 2 0 6 이주간절흔폭 ( 耳 짜 問 總 폈랩 : 이주점과 대주점 사이의 투영적 수명거리 2 0 7 이폭 ( 耳 없 지수 : 이폭 용모이장 x 1 0 0 수평거리 2 1 6 눈캡폭 : 동공중앙점을 지나는 시각적 수 직선을 그어 눈캡의 상단과 하단이 만나 는 사이의 거리를 앞머리변에 투영한 수 직거리 2 1 7 눈캡의 기울기 : 미정점고 ( 5-7 -미간점 고 ( 6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l 8 안미고 ( [ J R 眉 高 : 동공중앙정을 지나는 시 각적 수직선상에서 눈캡의 하단점과 하안 1 7 4 5 도 사연은 대상자의 좌측 4 5 도 사변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였다 - - 2 2 7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검열점과의 직거리 거리를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 2 l 9 상안검추벽 ( 上 뻐 險 짧짧 높이 : 동공점을 지나는 시각적 수직선상에서 상안검추벽 의 상단과 하안검열과의 거리를 앞머리면 에 투영한 수직거리 鐵 뚫뿔 : " f " ' " : : : : ', ', :,, : c,, " 커 4 좋룰깐 " " 2 1 5 눈생길이 2 1 6 눈썽폭 2 1 8 안미고 2 1 9 눈쌍거풀높이 2 2 0 눈내측높이 2 2 1 동공내측높이 2 2 2 동공중앙높이 2 2 3 동공외측높이 2 2 4 제 1 안폭 2 2 5 제 2 안폭 2 2 6 제 3 안폭 2 2 7 제 4 안폭 2 2 8 제 5 안폭 2 2 9 안장 2 3 0 동자직경 2 3 1 상안검추벽폭 2 3 2 눈두덩이 높이 ( F i g 3 M e a s u r i n g p o i n t o f E y e 2 2 0 눈내측높이 내안각에서 동공내측단까지 수평거리의 중심부에서 상안 검열과 하안 검열 사이의 거리를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직거리 2 2 1 동공내측높이 : 동공내측단에서 상안검열 과 하안검열 사이의 거리를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직거리 2 2 2 동공중앙높이 ; 동공중앙에서 상안검열과 하안검열 사이의 거리를 앞머리면에 투 영한 수직거리로서 이를 안고경 ( 眼 l 하찜 으로한다 2 2 3 동공외측높이 : 동공외측단에서 상안검열 과 하안검열 사이의 거리를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직거리 2 2 4 제 1 안폭 내안각에서 눈내측높이 측정접 까지의 거리를 앞머리변에 투영한 수평거리 2 2 5 제 2 안폭 : 눈내측높이 측정점에서 동공내 측까지의 거리를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평 거리 2 2 6 제 3 안폭 : 동공내측단에서 동공중앙점까 지를 거리를 앞머리연에 투영한 수평거리 2 2 7 제 4 안폭 : 동공중앙점에서 동공외측단까 지 잇는 거리를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평 거리 2 2 8 제 5 안폭 : 동공외측단에서 외안각간까지 의 거리를 앞머리연에서 투영한 수평거리 2 2 9 안장 ( 眼 長 : 정면에서 본 눈의 길이로서 내안각점과 외안각점 간의 거리를 앞머리 면에 투영한 수평거리 2 3 0 동자직경 : 동공내측단에서 동공중앙을 지나 동공외측뺀 l 이르는 거리를 앞머리 면에 투영한 수명거리 2 3 1 상안검추벽폭 ( 上 眼 險 數 짧 樞 : 위 눈꺼풀 의 정면에서 보이는 쌍꺼풀의 두께를 앞 머리면에 투영한 수직거리 2 3 2 눈두덩이 높이 ; 동공점을 지나는 시각적 수직선을 그어 눈썽하단과 만나는 점과 상안검열 혹은 상안검추벽상단 ( 쌍꺼풀이 있는 경우 까지의 거리를 앞머리면에 투 영한 수직거리 2 3 3 안장고지수 ( 眼 長 휩 指 數 : 동공중앙높이 안장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시 - 2 2 8 -
비익심 억 - 四 象 人 耳 텀훌 口 의 形 態 훨 的 特 웠 맑 究 - 각적으로 눈이 퉁근가 가는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2 3 4 동자직경지수 : 동자직경 안장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3 5 동자노출지수 : 동공중앙높이 동자직경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상안검의 하수정도를 알 수 있으며 검은눈동자 직 경에 대하여 세로로 노출되는 정도를 살 펴보았다 2 3 6 외안각간외측폭 : 안최대폭 ( 5 1 짧 最 太 福 - 외안각간 ( 5 8, 外 眼 角 間 거리의 수식 에 의하여 얻었다 2 3 7 비폭 동자직경지수 : 동자직경 ( 障 子 I 표 짧 7 비폭 ( 월 福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3 8 비폭 안장지수 안장 ( f i N 長 7 비폭 ( 싹 랩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3 9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비 : 외안각간외 측폭 ( 外 限 角 間 外 에 福 7 안최대폭 ( 願 最 大 福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4 0 눈두덩이 넓이 : 눈두덩이 높이 눈캡길 이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4 1 눈연적 : ( 제 1 안폭 눈내측높이 7 2 + ( 눈 내 측높이 + 동공내 측높이 7 2 X 제 2 안폭 + ( 동공내측높이 + 동공중앙높이 h 2 X 제 3 안폭 + ( 동공중앙높이 + 동공외 측 높이 + 2 X 제 4 안폭 + ( 동공외측높이 제5 안 폭 + 2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4 2 안각 ( 眼 角 : 좌우 눈의 내안각 사이를 잇는 수평선과 좌측 내안각에서 좌측 외 안각까지의 연장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 ( 4 월부위 측정항목 및 수식 2 4 3 중안고 ( 中 짧힘 : 미간점 ( 6, 眉 間 J멘 에 2 4 4 비근 서 비하점 ( 1 8, 훌 下 i맥 까지의 거리를 앞머리변에 투영한 수직거리 동공심 ; 비근점 ( 웰 根 / 과 동공정 ( 睡 孔 펴 을 연결하는 직선을 시상연에 투 영한 수평거리 2 4 5 비첨심 ( 훌솟 深 : 시각적수직선 1 8 각으로 교차하여 비첨 ( 휩솟 에 이르는 직 선을 시상연에 투영한 수명거리 2 4 6 비심 ( 흉 深 : 비하점에서 비첨까지의 거 2 4 7 비공 리를 시상연에 투영한 수평거리 에 직 : 시각적수직선에서 직각으 로 교차하여 비공 ( 항 孔 의 전연을 연결하 는 직선을 시상면에 투영한 수평거리 2 4 3 중안고 2 4 4 비근동공싱 2 4 5 비청싱 2 4 7 비공 비익심 2 4 8 비하비익싱 2 4 9 비고 2 5 0 비익 비공거리 2 5 1 비근싱 2 5 2 비하 외비공거리 2 5 3 바폭 2 5 4 비익고 2 5 5 비저각 유짧 - ( F i g 4 M e a s u r i n g p o i n t o f N o s e 1 8 止 때을 응시한 i E f l 씨때 사진상에서 율짧쁘을 지나는 수직선을 그어 이를 시각적 수직선이라 칭한다 - 2 2 9 -
비첨심지수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저 1 2 호 1 9 9 8-2 4 8 비하 비익심 : 시각적수직선에서 직각으 로 교차하여 비하 ( 흉 下 에 이르는 직선을 시상면에 투영한 수평거리 2 4 9 비고 ( 항침 : 코의 비근부 가장 낮은 곡 각점에서 비하점까지의 투영적 수직거리 2 5 0 비익 비공거리 : 비익정 ( 광짧쁘 에서 비 공 ( 광 孔 의 최외측 지점에 이르는 최단거 리를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평거리 2 5 1 비근심 ( 파 根 않 : 비익점에서 시각적 수 2 5 2 비하 직선에 직각으로 교차하여 비근점에 이르 는 최단거리를 시상면에 투영한 수직거리 외비공거리 : 정연상에서 비하중앙 점 ( 혜 下 中 央 펴 에서 외비공 ( 外 흉 孔 에 르는 최외점까지 거리를 앞머리연에 투영 한 수명거리 2 5 3 비폭 ( 향 福 : 좌우의 콧날개 넓이점 사이 를 잇는 수직선을 앞머리면에 투영한 수 평거리 2 5 4 비익고 ( 륭짧되 : 비익상점에서 비악하점 에 이르는 거리를 시상연에 거리 이 투영한 수직 2 5 5 비저각 ( t 월 低 角 : 비중격 ( 륭 中 隔 을 기준 으로 수평선을 긋고 비익의 최하단과 만 나 이루는 각 2 5 6 중안고 : 비첨심 중안고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5 7 비심 비폭지수 : 비폭 비심 x 1 0 0 의 수 식에 의하여 얻었다 2 5 8 비심 비익고지수 : 비익고 ( 광짧 高 h - 비 심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5 9 비청심 비심지수 : 비심 ( 항 深 - : - 비첨심 ( 깃않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6 0 안최대폭 비폭지수 : 비폭 ( 랩 - : - 안최 대폭 ( 5 1 願 最 大 뼈 x 1 0 0 의 수식에 의 하여 얻었다 2 6 1 내안각간폭 비근폭지수 : 비근폭 ( 6 0 흉 根 없 - : - 내안각간폭 ( 5 9 內 I 1 R 角 돼 樞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6 2 동공점간폭 비폭지수 : 비폭 ( φ랩 - : - 동 공정간폭 ( 6 2 뼈 孔 펴 問 뼈 x 1 0 0 의 수 식에 의하여 얻었다 2 6 3 구각간폭 비폭지수 비폭 ( 광 福 - : - 구각 간폭 ( 6 8 J ] 角 間 없 x 1 0 0 의 수식에 의 하여 얻었다 2 6 4 코정연 면적 : [ 비폭 + 비근폭 ( 6 0 ] - : - 2 x 비고 ( 2 4 9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6 5 코측면 면적 : ( 비청심 + 비근심 > + 2 x 비고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 5 J ] 부위 측갱항목 및 수식 2 6 6 상순중앙 ( 土 府 中 央 높이 : 정면에서 본 상순 중앙부 상단에서 구열점까지의 투영 적 수직거리 2 6 7 하순중앙 ( 下 府 中 央 높이 : 정연에서 본 하순 중앙부 하단에서 구열 ( I ] 짧 정까지 의 투영적 수직거리로서 하순고 ( 下 鳳 덴 라한다 2 6 8 상순인중외측융기부 ( 上 層 A 中 外 測 隆 起 빼 높이 : 인중구 ( A 中 隔 를 형성하는 좌측 의 융기선과 상순 ( 上 빼 이 만나는 점에서 구열점까지의 투영적 수직거리로서 상순 고 ( 上 빠 高 라 한다 2 6 9 하순인중외측융기부 ( 下 혐 A 中 外 에 隆 起 部 높이 : 인중구를 형성하는 좌측 융기선에 수직선을 그어 구열점에서 하순 하단까지 의 투영척 수직거리 - 2 3 0 -
- 四 象 A 耳 텅훌 口 의 形 뺀흉 的 4힘웠 맑 究 - 2 7 0 상순연 4 분높이 : 구열수직 4 등분 연장선의 2 6 6 상순중앙높이 상순연 교차점까지의 투영적 수직거리 2 6 8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2 7 0 상순연 4 분높이 2 7 2 제 1 순폭 2 7 4 제 3 순쪽 튿 - l S S r 2 6 7 하순중앙높이 2 6 9 하순인중외촉융기부높이 2 7 1 하순연 4 분높이 2 7 3 제 2 순폭 2 8 5 순각 ( F i g 5 M e a s u r i n g p o i n t o f L i p 2 7 1 하순연 4 분높이 : 구열수직 4 동분 연장선의 하순연 교차점까지의 투영적 수직거리 2 7 2 제 1 순폭 상순중앙부에서 상순의 인중외 측융기부까지 투영적 수평거리 2 7 3 제 2 순폭 : 상순 인중외측융기부에서 상순 연4 분부까지 투영적 수평거리 2 7 4 제 3 순폭 ; 상순연 4 분부에서 구각점까지 투영적 수평거리 2 7 5 순폭고지수 :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 하순중앙높이 - : - 구각간폭 x 1 0 0 의 수식에 의옵얘 얻었다 2 7 6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 : 상순인중 외측융기부높이 - : - ( 상순인중외측 융기부높 이 + 하순중앙높이 x 1 0 0 의 수식에 의하 여 얻었다 2 7 7 상순연 4 분높이지수 : 상순 4 연분높이 상 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x 1 0 0 의 수식에 의 하여 얻었다 2 7 8 하순연 4 분높이지수 : 하순연 4 분높이 하 순중앙높이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 다 2 7 9 구각간 인중폭지수 : 인중폭 ( 6 6 - : - 구 각간폭 ( 6 8 x 1 0 0 의 수식에 의하여 얻 었다 2 8 0 전순중앙높이 : 상순중앙높이 + 하순중앙 높이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8 1 상순중앙높이지수 : 상순중앙높이 전순 중앙높이 x l O O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8 2 전순인중외측융기부 ( 全 빠 A 中 外 에 隆 起 部 높이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 하순인중 외측융기부높이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8 3 전순연 4 분높이 : 상순연 4 분높이 + 하순연 4 분높이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8 4 입술연적 : [ ( 상순중앙높이 제 1 순폭 +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제2 순폭 + ( 상 순연 4 분높이 제 3 순폭 - : - 2 + ( 하순중앙높 이 제 1 순폭 + ( 하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제2 순폭 + ( 하순연 4 분높이 제 3 순폭 - : - 2 ] x 2 의 수식에 의하여 얻었다 2 8 5 순각 ( 혐쩌 : 구열점의 중앙부를 수평으 4 통계및분석 로 연결한 연장선과 구열점의 중앙에서 구각점까지 수평선과 이루는 각 피검자의 體 質 진단 결과와 없 i회 部 계측 수치 자료 중 체질변증 및 영상자료로서의 가치가 적절한 2 0 9-2 3 1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예를 S A S 6 1 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체질 별 측정치 및 지수는 O n e w a y A N O A 검정을 시 행하여 사상인에 따라 유의성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 유의수준 P ( O 0 5 집단간 유의성 있 는 차이가 인정된 경우 사후검정 ( D u n c a n t e s t 을 실시하였다 m 鼎 뿔 結 果 저자는 때 象 A 耳 폐 I 그의 형태를 정량화하기 위하 여 마틴식 계측법을 준용하여 생체계측학적 연구를 시행한 후 각 부위별 실측치 및 수식별로 제시하였다 象 A 別 로 비교 분석한 각 항목별 계측치 및 비교지 수의 평균 표준편차 F -검정결과를 T a b l e 3 및 T a b l e 4 에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결과는 별첨 1 에 제시하였다 2 0 2 ( 형태이장 은 太 除 A이 少 陰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0 5 2 0 3 ( 용모이장 은 太 陰 A이 少 陰 A 어 l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0 4 ( 이폭 은 太 陰 A이 少 陰 A에 비하여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0 5 ( 이수장 은 太 陰 A이 少 陰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1 四 훌 A 어 따른 耳 部 의 계혹치 및 비교지수 변량분석 결과 耳 部 에서 측정된 6 개 항목과 수식 8 개 항목을 四 이러한 측정치를 이용뼈 용모이장에 대한 각각 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이폭지수 형태이장지수 상 이개끄1 수 및 4 5 도 사면에서 나타난 각각의 항목에 서 四 象 A 別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T a b l e 3 T h e M e a s u r e m e n t s o f E a r U n i t : m m 걱끓뚫X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S c h e f f e ( 6 8 a ( 6 9 ( 7 2 R a t i o e r i f i c a t i o n M o r p h o l o g i c T a e u m i n S o e u m i e a r l e n g t h 3 8 9 0 : t 7 1 1 b 3 6 5 0 : t 3 6 4 3 8 7 9 : t 4 6 2 4 5 0 ' 2 0 2 n (형태이장 P h y s i o g n o m i c, T a e u m i n S o e u m i e a r l e n g t h 6 7 6 4 : t 8 6 8 6 2 5 6 : t 5 6 4 6 6 3 5 : t 8 3 0 5 5 4 2 0 3 n (용모이 장 P h y s i o g n o m i c T a e u m i n S o e u m i e a r b r e a d t h 3 3 6 8 : t 3 5 4 3 0 3 9 : t 3 0 3 3 2 2 2 : t 3 7 4 7 0 6 " 2 0 4 n (ÇtÓí 2 0 E a r l o b u l e l e n g t h 2 4 4 5 : t 5 3 0 2 1 9 7 : t 3 1 1 2 2 8 0 : t 4 1 6 5 9 7 " (이수장 a : N u m b e r b : M e a n : t S D, :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 p ( O O l a n d, : p ( O O O O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2 3 2 -
- 四 象 A 耳 目 훌 口 의 形 態 學 的 特 m O f f - T a b l e 4 T h e C o m p o s i t i o n R a t i o o f E a r U n i t : % ~ 4À Ó o u p - - - 2 0 7 2 0 8 2 1 0 P h y s i o g n o m i c e a r l e n g t h b r e a d t h 4 9 8 7 : 1 : 5 2 9 r a t i o b (이폭지수 P h y s i o g n o m i c l e n g t h, M o r p h o l o g e a r i c b r e a d t h r a t i o (형태이장지수 P h y s i o g n o m i c e a r l e n g t h l e n g t h l o b u l e r a t i o (이수장지수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S c h e f f e ( 6 8 a ( 6 9 ( 7 2 - R a t i o e r i f i c a t i o n 4 8 7 8 : 1 : 4 7 8 4 8 9 2 : 1 : 5 7 0 0 8 7 5 7 6 3 : 1 : 3 1 7 5 8 3 6 : 1 : 2 9 0 5 8 6 0 : 1 : 3 3 3 1 8 0 3 6 0 9 : 1 : 3 3 0 3 5 0 8 : 1 : 3 4 4 3 4 2 5 : 1 : 3 6 8 4 8 3 "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a : N u m b e r b : M e a n : 1 :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p ( o o n 2 1 0 ( 이수장지수 는 太 陰 A 이 용모이장에 대한 이수장의 비가 평균 3 6 0 9 로서 少 셨 A의 평 균 3 4 2 5 에 비하여 높은 비율로 나타나서 太 陰 A은 少 陽 A에 비하여 이수장지수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四 象 A 어 따른 目 部 의 계혹치 및 비교지수 변량분석 결과 눈에서 측정된 1 9 7 R 항목과 수식 9 개 항목을 四 象 A 5 J j 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집단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들 항목의 계측치 및 비교지수의 평균 표준편차 F - 검정결과를 T a b l e 5 및 T a b l e 6 에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결과는 별 첨 1 에 제시하였다 2 2 0 ( 눈내측높이 은 太 陰 A이 少 陽 A 및 少 陰 \ 에 비 하여 높 게 나 타났 2 2 8 ( 제 5 안폭 은 太 陰 A 이 少 陽 A 및 少 陰 A에 다 ( p ( o o n 비하여 넓게 나타났다 ( p ( o o o n ( ( 0 0 5 2 3 6 ( 2 2 9 ( 안장 은 太 陰 A 이 少 陰 A 에 비하여 넓게 나타났다 P 외안각간외측폭 은 太 陰 A이 少 陽 A 및 少 陰 A에 비하여 넓게 나타났다 ( P ( O O U 2 4 2 ( 안각 은 少 陰 A이 少 陽 A 및 太 陰 A에 비 하여 높게 나타났다 ( p ( o o o n 2 3 3 ( 안장고지수 는 少 陰 A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 p ( o o n 2 3 4 ( 동자직경지수 는 少 陰 A 및 少 陽 A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 다 ( p ( o o o n 2 3 9 (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비 는 太 陰 A이 少 ( ( 陰 A어l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 다 P O O U 깅 껴
- 사상의학회지 저1 1 0 권 제 2 호 1 9 9 8 - T a b l e 5 T h e M e a s u r e m e n t s o f E y e 걱삶짧안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 S c h e f f e ' ( 6 8 3 ( 6 9 ( 7 2 R a t i o e r i f i c a t i o n 2 2 0 2 2 8 2 2 9 I n n e r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w i d t h 5 2 3 : t 1 0 6 0 1 4 6 7 : t 0 9 3 4 7 7 : t 1 1 2 5 6 9 " (눈내측높이 5 t h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l e n g t h 1 0 4 4 : t 1 5 9 9 1 6 : t 1 6 3 8 9 8 : t 1 6 2 1 6 5 1 " (제 5안폭 T a e u m i n {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 T a e u m i n {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l e n g t h 3 0 2 2 : t 3 1 4 2 8 9 3 : t 2 1 1 2 9 3 2 : t 3 1 8 3 6 2 T a e u m i n S o e u m i n (안장 B i z y g o m a t i c b r e a d t h - O u t e r T a e u m i n 5 4 5 5 : t 4 7 0 4 8 5 1 : t 4 9 6 5 1 7 0 : t 5 7 8 6 7 6 " 2 3 6 c a n t h a l d i s t a n c e {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 (외안각외측폭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S o e u m i n i n c l i n a t i o n 4 1 1 : t 3 1 0 6 8 7 : t 3 2 1 4 4 6 : t 3 1 7 1 5 3 6 " 2 4 2 {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 (안각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i n c l i n a t i o n u n i t ( a n g l e O t h e r s u n i t : m m a : N u m b e r b : M e a n : t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p ( O O l a n d p ( o o o n T a b l e 6 T h e C o m p o s i t i o n R a t i o o f E y e U n i t : % ~강끓뚫Eξ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S c h e f f e ' ( 6 8 3 ( 6 9 ( 7 2 - R a t i o e r i f i c a t i o n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l e n g t h w i d t h r a t i o 3 1 2 7 : t 6 3 6 0 1 3 4 2 5 : t 4 8 0 3 1 9 3 : t 4 9 7 5 7 8 " S o e u m i n T a e u m i n 2 3 3 (안장고지 수 2 3 4 2 3 9 P a l p e b r a l f i s s u r e l e n g t h P u p i l l a r y 3 8 3 4 : t 3 0 5 4 0 2 2 : t 2 7 9 4 0 0 1 : t 2 5 3 9 3 0 I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d i a m e t e r r a t i o T a e u m i n (동자직경지수 B i z y g o m a t i c b r e a d t h - O u t e r c a n t h a l d i s t a n c e r a t i o 3 6 3 7 : t 2 4 0 3 4 6 2 : t 2 7 7 3 5 5 3 : t 2 9 7 6 6 1 T a e u m i n S o e u m i n (안최대 외안각간외 측폭지수 a : N u m b e r b : M e a n : t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p ( O O l a n d p ( o o o n - 2 3 4 -
- 四 象 A 耳 텀훌 口 의 形 感 뭘 的 特 m 究 - T a b l e 7 T h e M e a s u r e m e n t s o f N o s e u n i t ; m m : p ( 걱끓원안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 6 8 a ( 6 9 ( 7 2 - R a t i o S c h e f f e ' e r i f i c a t i o n N a s i o n t o p u p i l l a r y 2 4 4 d e p t h ( t J ] % 근동 i i - { J ¾D공섬 5 8 H 2 8 1 b 6 9 6 : 1 : 2 3 4 7 1 1 : 1 : 2 5 2 5 2 8 "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N a s a l d e pttjh p( t J ] 2 4 5 ( t J 첨 { J 심 2 3 1 0 : 1 : 5 3 0 2 4 2 7 : 1 : 3 3 8 2 5 1 6 : 1 : 3 3 5 4 4 5 '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N o s t r i l t o N a s a l a l a r d e p t hâì 1 3 8 6 : 1 : 3 7 7 1 5 1 6 : 1 : 2 8 3 1 6 1 4 : 1 : 2 6 0 2 4 7 9 4 4 (비공 비익 S o y a n g i n T0 a e¼ u m i n S u b n a s a l e t o {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 N a s a l a l a r d e p t hâñ 7 5 1 : 1 : 3 1 1 9 2 9 : 1 : 2 7 1 9 5 2 : 1 : 2 3 4 2 4 8 1 1 1 4 ' " (비하 T a e u m i n 비익 N a s a l a l a r t o N o s t r i l d i s t a n c e 2 5 0 (비익 비공거리 6 7 1 : 1 : 1 2 8 6 1 0 : 1 : 1 0 3 6 5 1 : 1 : 1 4 3 4 1 8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N a s i o n d e p t h 4 4 5 : t 3 5 6 6 4 7 : 1 : 3 1 5 {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 6 0 4 : 1 :3 3 1 2 5 1 6 8 7 " (비근심 T a e u m i n N a s a l a l a r h e i g h t (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 1 7 1 5 : 1 : 2 3 9 1 5 7 5 : 1 : 1 8 9 1 6 8 3 : 1 : 2 1 3 2 5 4 (비익고 8 0 7 ' " S o e u m i n a : N u m b e r b : M e a n : 1 :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O O O O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p ( O O l a n d T a b l e 8 T h e C o m p o s i t i o n R a t i o o f N o s e U n i t : % 걱짧뚫ξ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F ( 6 8 Çt ( 6 9 ( 7 2 - R a t i o S c h e f f e e r i f i c a t i o n M i d f a c e h e i g h t N a s a l t i p d e p t h 2 5 6 r a t i o ( 중안고 3 3 6 6 : 1 : 7 7 8 D ' 3 4 4 5 : 1 : 4 0 8 3 6 4 0 : 1 : 4 7 0 4 1 1 '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비챔심지수 N a s i o n d e p t h N a s a l a l a r h e i - 2 5 8 g h t r a t i o (비 심 비익고지수 N a s a l t i p d e p t h, (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 4 4 4 7 : 1 : 7 6 9 3 9 5 4 : 1 : 5 0 4 4 2 3 3 : 1 : 5 9 3 1 0 5 0 ' " S o e u m i n T a e u m i n 6 8 3 9 : 1 : 9 1 5 6 2 3 5 : t 8 2 4 6 2 4 2 : 1 : 6 5 0 1 2 8 7 ' " { S o y a n g i n S o e u m i n } N a s a l d e p t h 2 5 9 r a t i o (비첩싱 비심지수 a ; N u m b e r b ; M e a n :! :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 p ( O O l a n d ; p ( O O O O - 2 3 5 -
- 사상의학회지 저1 1 0 권 저1 2 호 1 9 9 8-3 四 훌 A 어 따른 톨 部 의 계측치 및 비교지수 변량분석 결과 4 四 象 A 머 l 따른 口 部 의 계측치 및 비교지수 변량분석 결과 i 피해에서 측정된 1 3 7 " 의 항목과 1 0 개의 수식 항 목을 니 象 A끼로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항목 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다 각 항목별 계측치 및 비교지수의 평균 표준편차 F - 검정결과를 T a b l e 7 및 T a b l e 8 에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결과는 별 첩 1 에 제시하였다 입술에서 측정된 1 0 7 " 항목과 수식 1 0 7 " 항목을 각 체질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다 각 항목별 계측치 및 비교 지수의 평균 표준편차 F - 검정결과를 T a b l e 9 및 T a b l e 1 0 에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결과는 별첨 1 에 제시하였다 2 4 4 ( 비근 동공심 은 少 陽 A이 太 陰 A에 비하 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4 5 ( 비첨심 는 少 陽 A 이 太 陰 A 어 l 비하여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0 0 5 2 4 7 ( 비공 비익심 은 少 陽 A이 太 陰 A에 비하 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4 8 ( 비하 비익심 2 5 0 ( 비익 은 少 陽 A 및 少 陰 } l 太 陰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비공거리 는 太 陰 A이 少 陰 / \에 비 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0 0 5 2 5 1 ( 비근심 는 少 陽 A과 少 陰 A 이 太 陰 A에 비 하여 갚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5 4 ( 비익고 는 太 陰 A 및 少 1 W i } " 이 少 陰 A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5 6 ( 중안고 비첨심지수 는 少 陽 A 이 太 陰 A 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 P ( 0 0 5 2 5 8 ( 비심 벼익고지수 는 치않 人 및 少 셨 A이 少 陰 A에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 다 ( P ( O O O U 2 5 9 ( 비첨심 바심지수 는 太 陰 人 이 少 陽 A 및 少 陰 A 어 l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 다 ( P ( 0 0 0 U 2 6 6 ( 상순중앙높이 는 太 陰 A이 少 陽 A에 비하 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6 7 ( 하순중앙높이 는 太 陰 A 및 少 월 A o ] 少 易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6 8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는 太 陰 A o l 少 陽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U 2 6 9 ( 하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는 少 陰 A 및 太 陰 A이 少 1 場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 다 ( P ( O O O l J 2 7 1 ( 하순연 4 분높이 는 太 않 A 및 少 陰 A o ] 少 陽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8 0 ( 전순중앙높이 는 太 陰 A 및 少 陰 / \ l 少 陽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8 2 ( 전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는 太 陰 A 및 少 陰 A이 少 陽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 다 ( P ( O O O l J 2 8 3 ( 전순연 4 분높이 는 太 除 A 및 少 陰 A o l 少 陽 A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다 ( P ( O O O U 2 8 5 ( 순각 은 少 陰 A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은 각도로 나타났다 ( P ( 0 0 5 2 7 5 ( 순폭고지수 는 太 陰 A 및 少 쩔 A o l 少 陽 / \ 에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 P ( O O O U - 2 3 6 -
- 四 象 A 耳 텀훌디의 形 뿔웰 的 特 꺼잇i f - T a b l e 9 T h e M e a s u r e m e n t s o f L i p s L i p i n c l i n a t i o n u n i t ( a n g l e o t h e r s u n i t : m m (ÀÁÂÇxÉ - - - - - h e i g h t {ÕXÂÇxÉ U p p r p h i l t r u m 8 L o w e r 9 G r o -u -p- -- -a- r i a b l e s 2 6 6 2 6 7 2 6 8 h 2 6 9 U p p e r m i d l i p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S c h e f f e ' F - R a t i o ( 6 8 a ( 6 9 ( 6 9 e r i f i c a t i o n h e i g h t 6 7 6 : t 1 4 2 b J 6 4 8 : t 1 4 5 5 9 4 : t 1 6 2 5 3 5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상순중앙높이 L o w e r m i d l i p h e i g h t 9 7 6 : t 2 1 9 9 5 5 : t 2 0 3 7 9 8 : t 2 3 3 1 3 8 8 " (하순중앙높이 외측융기부높이 p h i l t r u m 외측융기부높이 6 0 : t 1 5 9 8 3 3 : t 1 6 1 7 6 9 : t 1 8 9 5 2 4 3 7 : t 2 0 2 9 5 9 : t 1 9 8 8 1 0 : t 2 0 9 1 1 0 6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S o y a n g i n 2 7 1 2 8 0 2 8 2 L o w e r q u a r t e r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h e i gl i hp t {ÈÂÇxÉ h e i g h t 6 8 2 : t 1 3 7 6 7 I I 1 6 6 5 9 2 : t 1 5 4 7 2 7 (하순연4분높이 S o y a n g i n T o t a l m i d d l e l i p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h e i g h t 1 6 5 2 : t 3 0 7 1 6 0 3 : t 2 9 7 1 3 9 2 : t 3 5 7 1 2 9 1 " (전순중앙높이 S o y a n g i n T o t a l p h i l t r u m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1 7 9 7 : t 3 0 2 1 7 9 2 : t 3 1 1 1 5 7 9 : t 3 6 1 1 0 2 5 " S o y a n g i n 외측융기부높이 T o t a l q u a r t e r { T a e u m i n S o e u m i n } l i p h e i g h t 1 2 2 6 : t 2 0 4 1 1 9 9 : t 2 3 1 1 0 8 6 : t 2 5 2 7 3 5 " 2 8 3 (전순연4분높이 S o y a n g i n L i p i n c l i n a t i o n 2 8 5 (순각 - 3 3 1 : t 4 7 4-1 0 2 : t 3 8 8-2 4 5 : t 5 4 2 4 0 6 S o e u m i n T a e u m i n a : N u m b e r b : M e a n : t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p ( o o o n ( : p ( 0 0 5 : p ( O O l a n d - 2 3 7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T a b l e 1 0 T h e C o m p o s i t i o n R a t i o o f L i p s ~ ÇÅS p - - - 2 7 5 I n t e r c h e i l i o n b r e a d t h, t o t a l 3 8 8 4 : t 7 6 8 h e i g h t r a t i o b (순폭고지수 T o t a l l i p h e i g h - t o U p p e r p h i l t r u m T a e u m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S c h e f f e F - R a t i o ( 6 8 a ( 6 9 ( 7 2 e r i f i c a t { T a e u m i n 3 8 5 7 : t 7 9 1 3 2 6 6 : t 8 7 9 1 2 9 9 ' " S o e u m i n } S o y a n g i n h i g h t r a t i o 4 7 1 2 : t 5 9 5 4 6 7 5 : t 4 7 5 4 9 4 4 : t 5 5 1 5 1 2 " 2 7 6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 2 7 8 r 이지수 L o w e r m i d d l e l i p h e i g h t L o w e r q u a a t i o (ÕXÂÅð 4½ ± Çt 지 - r t e r l i p h e i g h t 9 6 7 8 : t 9 6 8 1 0 1 1 9 : t 1 0 7 5 1 0 3 7 8 : t 1 5 4 8 5 7 5 " 수 T o t a l l i p a r e a 2 8 4 (입술연적 T o t a l l i p a r e a u n i t : m여 o t h e r U n i t : % 6 0 6 5 3 : t 1 3 8 5 9 5 5 9 : t 1 3 1 5 4 2 0 3 : t 1 6 3 a : N u m b e r b : M e a n : t S D, S t a t i s t i c a l l y s i g n i f i c a n t c o m p a r e d w i t h g r o u p d a t a ( ' : p ( 0 0 5 " : p ( O O l a n d : p ( o o o n 3 9 7 ' S o y a n g i n S o e u m i n S o y a n g i n T a e u m i n T a e u m i n S o y a n g i n 2 7 6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 는 少 陽 A이 少 陰 A 어 l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 p ( o o n 2 7 8 ( 하순연 4 분높이지수 는 少 陽 人 이 太 陰 A 어 l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 p ( o o n 2 8 4 ( 입술연적 은 太 陰 A o ] 少 陽 A 이 비하여 넓 은 입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 P ( O 0 5 N 考 察 짜 1 9 은 짜파 수 濟 I f ' 는 r 끼 i 醫 l잔띠: j 내 에서 서 태 的 으로는 K니 象 A의 뼈 깨 U i l l 를 완성하고 外 J f 3 i ' 얘 으로는 밟 J f 3 J t \ \ 保 을 제시하여 네 채질의 니 象 A을 규정하고 있다 고 하여 g 象 醫 덴이 쩌훌 形 짚의 정 신에 입각하여 완성되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깨 象 A빼1끊은 인체의 外 部 로 발현되는 外 J 1 " 1 젤 材 짧 등을 근거로 內 뻐 廠 맹를 t t f : 6 U 하는 것이다 그간 때 象 體 質 珍 짧I 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 1 9 송일병 四 象 A 의 病 깜훨 理 의 成 立 過 程 과 그 速 쏠 精 神 四 象 뽑 學 會 찮 8 ( 1 : 1-1 6 1 9 9 6-2 3 8 -
- 四 象 A 耳 엄훌 口 의 形 뿔뿔 的 特 m i I - 지만 外 M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보아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外 形 중 級 벼i 염패 배 象 A 別 형 태학적 특정인 장꼈I ' J 폐쩌에 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얼굴에는 ; t k 풍 格 I 센흉 I ] 의 위치관계 피부 색, 주름 등의 변화가 적은 부분과 입술 눈, 표정 등 변화가 많은 부분들의 신호로 이루어지는데 前 者 를 통하여는 A핸, 年 敵 性 別 f ' l 格 A 格 뼈 f ' 1 健 밟 狀 態 등의 정보를 얻으며 後 者 인 표정을 통하여 感 허, 벼 絡 心 맹 狀 態 둥을 읽을 수 있다 2 0 고 하였 으며, K r e t c h m e r 2 1 는 얼굴은 사랍의 체질을 반영 하는 명함과 같으며 일상생활에 있어 상호간의 이 해를 돕기위한 색인 으로 사용되며 또한 얼굴은 體 델 및 해 l뼈의 형태를 알 수 있는 표지라고 하였 다 2 2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얼굴에 대한 연구는 醫 E설 外 에도 갖 術 뺑 2 3 心 理 I 캠 2 4,!옆 質 / \ 類 젠 등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까 i 파는 少 陰 A의 容 혔 5꾀쩌를 體 任 뎌 然 而 簡 易 I J 巧 하고 太 陰 A은 起 居 有 嚴 修 整 J f 大 하며 太 陽 A은 없 i t 광 之 勢 가 I I I 하고 少 陽 A은 剩 銀 H 勇 하다 2 5 고 하였다 械 2 6 은 양 露 而 해 者 는 太 陰 A o ] 많으 며, I U t 휩, I l 에 剩 짧한 기운이 많은자는 少 陽 A이 많으며, I ] 가 人 하고 턱이 뺑한 者 는 少 陰 A o ] 많다 고 하였으며, 센 2 7 은 太 쏠 A은 耳 티따 口 가 크고 입 술이 두럽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때 象 A 別 外 形 的 特 徵 을 제시함에 있어 定 옮 化 를 통한 客 減 化 과정을 거치지 못한 솟뼈 的 인 것들이 많아 이를 l장 斷 指 웬로 이용하는데 限 界 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논문 역시 형태를 정 량화하기 위하여 생체계측 학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그 한계를 인정할 수 밖 에 없었다 즉 體 形 과 容 鏡 는 정량화가 가능한 인체 의 靜 的 특정이나 氣 除 과 R 5 J 氣 는 그 형태속에 활동 하는 動 的 기운이라고 사려되는바 이 두가지 조건을 모두 계량화하기에는 곤란함이 있어 단지 耳 目 짧 口 의 길이 폭 넓이 각도 둥의 요소만을 한정하여 체 질별 형태학적 특정을 규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1 耳 의 四 훌 A 別 形 顧 學 的 特 徵 귀는 청각기관으로서 겉으로 보이는 부분이 이개 ( 耳 蓋 이다 본 연구는 귀의 내부 형태 및 구조를 보는 것이 아니고 겉으로 드러난 이개 ( 耳 蓋 부분에 대한 四 象 A 別 형태학적 특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한 정하였다 귀는 두연부의 측연상에 달려 있으며 귀 의 전면이 향하고 있는 각도가 개인마다 일정치 않 다 따라서 폭경의 경우는 사진을 찍는 각도에 따라 그 계측치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귀가 향하고 2 0 박철하 : 3 차원 형상 모텔을 이용한 얼굴 영상의 분석과 합성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 1 1 9 9 3 2 1 獨 進 의 精 i f r 牌 과 體 c m 로서 1 9 2 1 年 精 神 身 體 醫 짧 的 觀 웰에서 A 問 을 비만형 세장형, 투쟁형으로 분류하여 각 體 質 의 外 形 的 特 性 과 氣 質 및 發 病 이 쉬운 ; @ 精 빡꽤낀 f X 思 을 나누었다 2 2 주민숙 인물화에 표현된 얼굴의 미 연구 고려대학교 미술교육과 석사학위논문 : 1 1 9 9 4 2 3 권순철 障 國 美 術 에 나탄난 얼굴 形 態 에 관한 考 察 ( 1 9 8 5 年 김태미 : 障 國 A 의 얼굴 이미지 表 現 쩌 究 ( 1 9 9 2 年 송세진 ; 햄 國 젊은이의 1 I i i 美 i 앓 t f t J { 向 에 관한 R 究 ( 1 9 9 2 年 주민숙 : A 物 짧에 表 現 된 얼굴의 美 연구 ( 1 9 9 4 年 2 4 이은경 얼굴의 두가지 감 性 과 性 格 빼- 論 問 의 關 係 ( 1 9 8 9 年 2 5 추 濟 馬 東 빼좀 世 保 i t, 흙 林 出 版 i 섬 -, 서울 ; 9 4-9 5 1 9 8 6 2 6 橋 英 植 四 흉 體 質 짧 別 法 에 관하여 짧 林 9 7 호 : 1 7, 1 9 7 3 2 7 供 淳 用 추김싼 四 象 醫 學 原 論 서울, 쭉 林 出 版 社 : 3 8 1 1 9 8 5-2 3 9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있는 방향의 정면에서 영상을 얻어야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마다 이를 보정하여 사진을 얻 기가 어려워 좌측 이개 ( 耳 蓋 의 정측면과 4 5 도 사면 에서 찍은 사진을 계측하였다 정측면에서 찍은 사 진은 귀의 고경과 폭경의 실측거리를 재었고 이들 측정항목을 비교하였으나 4 5 도 사면에서 측정한 것 은 실측거리를 계산하기 어려워서 항목별 비교 지수 만을 분석하였다 太 陰 A은 少 陰 A에 비하여 耳 長 O 態 耳 長 容 耳 R 耳 꿇 I 중 이 길고 耳 l밟이 넓다 따라서 太 陰 A의 귀는 少 陰 A에 비하여 길고 넓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 % 耳 않에 대하여 耳 훨가 차지하는 비는 太 陰 A 0 1 少 陽 A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어 太 陰 A은 이수의 구성비가 높고 少 陽 A은 낮은 것을 알 수있다 耳 활는 사람만의 특정으로서 짐승들은 귀의 윗부 분이 뽀족한 대신 파꿇가 없다 또한 예로부터 동양 에서는 A 物 을 논할 때 귀가 크고 두꺼우며 耳 활가 길게 늘어진 꺼를 으뜸으로 보았으며 미술작품에서 도 耳 꿇가 강조된 귀의 묘사에서는 대개 A싼, 德 性 의 부여를 보이고 J 주 蓋 部 가 강조된 경우에는 이 와 반대로 野 1 " 1 默 性 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2 8 따라서 이수장지수의 결과로 보아 太 陰 A의 꺼를 보 면 A 1 " 1 과 德 1 " 1 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고 少 陽 A 의 귀에서는 야성적, 수성적 인상을 형성하게 된다 고 볼 수 있는데, 이는 太 陰 A의 용모와 말하는 기 운은 의젓하고, 少 陽 / \은 날카롭고 용기를 좋아한 다 2 9 는 니 象 人 / J I J 상 H i i J { 의 특성과 어느 정도 일 치하고 있다고 사려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耳 꿇부위의 체질별 형태학 적인 특정은 다음과 같다 Q 太 陰 A의 특징 劉 I ; 뚱 J 態 耳 長 J 훨 長 : I t 뼈 쌓이 少 陰 A에 비하여 우세하며 耳 훨 長 指 뼈는 少 陽 A에 비하여 높 아서 耳 훌가 길게 보인다 @ 少 陽 / \으 특징 耳 훨융 } 읍 數 가 太 l양 A 어l 벼하여 낮아서 耳 훨의 비 가작다 @ 少 陰 / \의 특징 形 態 I 長, 容 짧 I t! 륙 耳 활 長 이 太 陰 A어 l 비하여 짧으며, 耳 福 역시 太 陰 A에 비하여 좁다 2 目 의 맥훌 A 別 形 顧 學 的 特 徵 눈은 시각기관으로서 본 연구는 겉으로 보이는 부 분인 외안부의 체칠별 형태학적 특정에 국한하여 연 구하였다 I l & 長 高 指 數 의 분석결과 少 陰 A의 눈은 太 陰 A에 비하여 둥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3 0 U훨 了 파쟁 } 읍 數 의 분석결과 少 양 A 및 少 陽 A은 검은 눈동자가 두드러지게 많이 나타나는 반면 太 陰 A은 흰자위가 많은 눈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 이 러한 太 陰 A의 흰자위는 눈내측높이 및 제 5 안폭에서 2 8 超 짧 珍 : 現 代 훼 國 A 의 耳 종 * 選 好 { 없 向 서울 뿔 文 한 ; 6 1 9 9 0 2 9 太 陰 A 의 容 쩌 詞 웠는 起 居 有 f꿇 修 쨌 正 - 人 하고 少 陽 A 의 융 i t 3 리 氣 는 필 爾 好 勇 하다 - 3 0 眼 長 高 指 數 는 시각적으로 느끼는 둔의 크기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이 指 數 가 높은 경우는 눈이 둥글게 보이며 낮으면 가늘게 보인다 3 1 뼈 子 直 씬 指 歡 는 동자의 直 깐이 眼 長 에서 차지송 } 는 비를 분석한 것으로서 이 지수가 높으연 검은 눈동자가 두드러진 눈이며 낮으연 흰자위가 많은 눈이라 할 수 있다 - 2 4 0 -
- 四 象 A 耳 엄훌 口 의 形 훌훌훌 的 챔 微 O f f 究 - 각 체질에 비하여 높은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봐서 이 부위에서 두드러지게 흰자위가 많이 나타날 것임 을알수있다 B e r r y & M C A r t h u r 3 2 에 의하면 크고 둥근 눈 은 동안 ( B a b y f a c e 으로 자각되어 순진성 정직성 친절성, 복종성, 온화성의 인상 형성을 증가 시킨다 고 하였으며 L o r e n z 3 3 는 유아들은 얼굴 크기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동공이 크고 퉁근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B e r r y & M C A r t h u r 및 M C A r t h u r & A p a t o w 3 4 에 의하면 성인의 얼굴에서 눈의 크기가 증가할 때 그 사람에 대한 추정된 나이 는 감소한다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또한 M C A r t h u r & A p a t o w는 성인 남녀의 도식적 얼굴에 서 눈의 크기가 증가할 때 자극 인물의 신체적 허약 지적인 순진성, 사회적 복종성 온전성, 그리고 정직 함에 대한 지각을 증가 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고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눈이 크고 둥글수록, 동공이 클수록 어린아이의 인상이 형성되고 그 반대의 경우 는 어른 인상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I 하 指 數 및 圖 子 면쩔 指 數 의 결과 少 陰 A 혹은 少 A 은 太 陰 A에 비하여 어린이의 얼굴에서 원을 수 있는 순진성 정직성 친절성 복종성, 온화성 및 신 체적 허약의 인상적 특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웰 3 5 는 한국인의 f f i H 혐의 명균은 7 도정도이며 서양 인은 4 도로 동양인에 비하여 처저 있는 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李 3 6 는 1 9 8 8 년 8 0 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얼굴의 특성과 성격 추론과의 관계를 연구 한 결과 눈꼬리의 형태가 위로 올라간 형일 때 지배 적이고 독립적이며, 인정이 없고, 불친절한 인상이 며 눈꼬리의 형태가 아래로 처진 형일 때 복종적이 고 의존적이며 인정이 많고 친절한 것으로 지각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眼 角 의 결과를 보연 少 陰 A의 경우는 명란 6 8 7 도이며 少 陽 A의 경우는 4 4 6 太 陰 A은 4 1 1 로서 ; 少 陰 A은 한국인의 각均 眼 角 에 가까우며 少 陽 A과 太 陰 A은 서양인의 n뼈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단간 비교에서는 少 陰 A은 少 陽 A 및 太 陰 / \에 비하 여 높은 차이를 나타내서 少 陰 / \은 少 陽 A 및 太 陰 A에 비하여 지배척이고 독립적이며 인정이 없고 불 친절한 인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안고지수나 동 자직경지수에 따른 각 체질별 인상형성과 상반된 것 으로 나타나서 의외의 결과라고 생각되어 진다 3 7 太 陰 A의 외안각외측폭 3 8 은 각 체질에 비하여 넓 으며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지수는 太 陰 A 이 少 陰 A에 비하여 높아서 太 陰 A은 少 陰 A 혹은 少 陽 A에 비하여 兩 眼 의 위치가 爾 面 의 內 測 으로 몰려 있는 집 3 2 B e r r y, D S & M c A r t h u r, L Z s o m e c o m p o n e n t s a n d c o n s e q u e n c e s o f a b a b y f a c e J o f P e r s o n a l i t y a n d S o c i a l P s y c h o l o g y, 4 8 ; 3 1 2-3 2 3 1 8 9 5 이은경의 얼굴의 두가지 묶성과 성격 추론간의 관계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1 9 8 9 년 에서 인용 3 3 L o r e n z, K D i e a n g e b o r e n e n F o r m e n m o g l i c h e r A r f a h r u n g [ T h e i n n a t e f o r m s o f p o t e n t i a l e x p e r i e n c e Z i e t s c h r i f t f u r T i e r p s y c h o l o g i e, 5 ; 2 3 4-4 0 9 1 9 4 3 3 4 M c A r t h u r, L Z & A p a t o w, K : I m p r e s s i o n s o f b a b y - f a c e d a d u l t s, S o c i a l C o g n i t i o n, 2 ; 3 1 5-3 4 2, 1 9 8 4 3 5 짧짧 珍 우리옴과 美 j I ( 文 化 서울, 美 術 敎 育 社 : 9 7, 1 9 9 3 3 6 이은경 얼굴의 두가지 將 性 과 性 格 빼경닮 間 의 關 係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3 7, 1 9 8 9 3 7 안장고지수 및 동자직경지수에 의하연 少 陰 A 및 少 陽 A 은 太 陰 A 어 l 비하여 어린이의 얼굴에서 읽을 수 있 는 순진성 정직성, 친절성 복종성, 용화성 및 신체적 허약의 인상적 특성을 갖고 있다 3 8 외안각외측폭은 안최대폭외안각간폭의 수식에 의히여 유도된 것으로 외안각외측폭이 넓으연 눈이 얼굴의 안쪽으로 몰려 있어 눈사이가 좁게보이며, 좁으연 눈사이가 넓게 보인다 - 2 4 1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저1 2 호 1 9 9 8 - 듯한 인상을 갖게 되는 반면 少 앓 A 및 少 陽 A은 외측으로 분산되어 있는 인상으로 지각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눈부위의 四 象 A 別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C D 太 陰 A 의 특징 각 체질에 비하여 눈내측 높이, 제 5 안폭 등이 우 세하나 동자직경지수는 낮다 따라서 흰자위가 많게 지각되며 특히 눈내측 및 제 5 안폭에서 흰자위가 강 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두눈의 위치가 가운데로 몰려 있는 인상을 갖고 있으며 少 陰 A에 비하여 눈은 가늘고 안장이 길다 少 陰 A에 비하여 안장고지수가 낮아석 가는 눈을 가지고 있으며 안각이 낮다 @ 少 陽 / \으 l 특징 太 陰 A에 비하여 눈동자가 큰 비율을 가지고 있고 눈내측높이 제 5 안폭 등이 작다 또한 외안각간외측폭이 좁아서 양눈의 위치가 외 측으로 분산되어 있는 인상을 갖게 된다 少 陰 A 어 l 비하여 안각은 낮다 @ 少 陰 A 의 특징 太 陰 A 어 l 비하여 눈내측높이가 낮고 제 5 안폭, 안 장 외안각간폭둥이 짧으며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 지수가 낮다 안장고지수가 높아서 눈이 둥글게 보 이며 동자직경지수가 높아서 눈동자가 큰 눈으로 보이고 안각이 높다 3 훌의 四 훌 A 別 形 u 훌 的 特 徵 코는 후각기관이며 호홉기의 문호로서 중요한 생 리기능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코의 내부형태나 기 능이 아닌 外 웰의 체질별 형태학적 특정을 연구하였 다 훤 3 9 에 의하면 코의 모양과 인상이 다른 것은 코의 형태 형성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소들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코의 길이가 길고 짧음 넓이의 넓고 좁 음, 높이의 높고 낮음이다 코의 길이가 길고 넓으연 큰 코로서 성인 특정이 강조되어 강해보이고 길더 라도 좁으면 t i : t 寶 의 생기가 약해 보이므로 지성적으 로 보인다 짧고 좁으면 작으므로 귀엽게 보이고 낮 고 길면 천박하게 보이고 짧고 낮으면 우둔하게 보 인다 " 고 하여 코의 길이와 넓이 및 높이에 따른 인 상을 말하고 있다 비근 동공심과 비근심은 비근부의 돌출 및 함몰 의 형태학적 특정을 알 수 있는 항목이다 少 陽 A 및 少 陰 A의 비근심 및 少 陽 A의 비근 동공심은 太 陰 A에 비하여 길다 따라서 少 A 혹은 少 陰 A은 비근부가 돌출되어 있으나 太 陰 A은 비근부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비첨부의 돌출은 중안 ( 中 짧 이 돌출형인지 함몰형 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少 陽 A의 비첨심 및 중안고 비첨심지수는 太 陰 A에 비 하여 우세하여 少 l 傷 A은 太 陰 A에 비하여 중안부 특 히 비첨부가 돌출된 형태학적 특정을 가지고 있음을 알수있다 비의 끝단인 버첨부를 구성애 하는 요소의 비교에 서 비심은 체질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비첨심은 3 9 趙 짧 珍 : 우리몸과 美 術 文 化 서울 美 術 敎 育 j 납 ; 1 0 4 1 9 9 3 4 0 비의 끝단인 비첨부의 깊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비청에서 비하점까지의 거리인 비심 비하점에서 비익점 까지의 거리인 비하 비익싱 이 둘을 합한 비첨심으로 분류가 된다 - 2 4 2 -
- 四 象 A 耳 目 훌 口 의 形 態 훌 的 特 없 i j f 究 - 太 l앓 人 에 비하여 少 굉 A o ] 길었으며, 비하 비익심 은 太 陰 A 이 각 체질에 비하여 짧았다 비첨섬 심지수는 太 陰 A o ] 각 체질에 비하여 높은 지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太 陰 A의 비하비익심이 짧 은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少 陽 A은 비첨에서 비익까지의 길이가 길어서 코가 돌출되어 있는 형이라면 太 陰 A은 비첨에서 비하까지의 거리 가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코형 임을 알 수 있다 판 깜 4 ] 의 연구에서 少 陽 A은 각막점방사경에 대한 비첩점방사경의 비가 太 陰 A에 비하여 높아서 비첨 부가 돌출된 형태로 나와서 동일한 결과로 볼 수 있 다 비익의 발달 정도를 알기 위하여 비익상점에서 비 익하점까지의 거리를 비익고라고 정의하고 이를 체 질별로 비교한 결과 少 陰 A은 각 체질에 비하여 짧 게 나타나고 있으며, 소음인의 비심 비익고지수 역 시 각 체질에 비하여 낮다 또한 少 陰 A은 정면에서 비익 비공거리가 太 陰 A에 비하여 좁다 따라서 少 l장 A은 각 체질에 비하여 비익의 발달이 약하여 정 면에서 볼 때 비익이 약한 좁은 코형임을 알 수 있 으며 少 陽 A 및 太 陰 人 은 비익이 발달된 코임을 알 수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코부위의 체질별 형 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비 少 陰 A에 비하여 비심 비익고지수 높으며 비익 고 및 비익 비공거리가 길다 따라서 측연상에서 太 陰 A은 비근부가 낮으며 비첨부가 높아서 비근부 에서 비첨부로 급격한 상승을 하는 코 형이며 비첨 부에서 비심이 두드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정변 에서 보연 비익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비청 부위가 발달된 인상을 가지고 있다 @ 少 陽 A 의 특징 측면상에서 太 陰 A에 비하여 비근부가 갚으며 비 첨부가 높다 중안에서 비첩이 太 陰 人 에 비하여 돌 출되어 중안이 돌출된 형이다 太 陰 A에 비하여 비 첨심에 대한 비심의 비가 낮다 비하 비익심이 太 陰 A에 비하여 김으며 少 陰 A에 비하여 비익고 및 비심 비익고지수가 높다 따라서 비근부 및 비첨부 가 돌출되어 있으며 少 陰 A에 비하여 비익이 발달되 어 있다 @ 少 陰 A 으 특징 太 陰 A에 비하여 비근심이 높고, 비하 비익심이 짧으며 버첨심 비심지수가 낮다 비익고가 짧고, 비심 비익고지수가 낮다 4 口 의 四 象 A 別 形 짧뿔 的 特 徵 C D 太 陰 A 의 특징 비근심 비근동공심이 짧아서 비근부가 낮다 비하 비익심이 짧고, 비첨심 비심지수가 높아서 비첨부에서 비심의 비가 높은 편이다 少 陽 A에 비하여 비첨의 돌출이 적으며 중안을 기 준으로 비청의 돌출 정도도 낮은 편이다 口 部 의 계측치를 四 象 A 別 로 비교한 결과 少 陽 人 의 상순중앙높이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는 太 陰 A 에 비하여 앓으며, 少 陽 A의 하순중앙높이 하순인중 외측융기부높이 하순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 인중외측융기부높이 전순연 4 분높이 등은 각 체질에 비하여 앓다 4 1 高 炳 熙 外 四 象 體 質 예 H A W 部 의 形 態 핑 的 特 웠 四 象 뽑 學 會 誌 8 0 : 1 0 1-1 8 6 1 9 9 6-2 4 3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입술이 넓게 보이는지 앓게 보이는지는 구각간폭 과 } 란 i 페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 하순중앙높이 의 비로도 설명한다 이를 순폭펴수라핸데 이 지수 가 클 수록 입술이 두터운 것이다 결과에서 少 陽 A 은 타 체질에 비하여 낮은 지수를 가지고 있어서 입 술이 앓게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가지고 있을 것이 다 少 陽 A은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가 少 陰 A 에 비하여 높아서 少 I! b A 은 이부위의 입술이 少 陰 A 에 비하여 발달된 형태이다 평균치를 보면 순고에 대한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의 비가 少 陽 A의 경우 는 4 9 4 4 ] 며 少 陰 A은 4 6 7 5 로서 少 陽 A의 입술 은 거의 상하가 비슷한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순연 4 분높이지수 결과로 보아 少 陽 A은 太 陰 A 에 비하여 Jr 건 입술 4 등분점의 만곡 부위가 넓은 형이라고 볼 수 있다 평균치를 보연 少 陽 A은 1 0 3 7 8 % 이며 太 陰 A은 9 6 % 로서 少 A 의 경우 하 순중앙높이에 비하여 하순연 4 분높이 지점이 더 두퉁 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少 陽 人 은 이 부위가 두 툼한 입술이며 반대로 太 陰 A은 하순중앙 부위가 하 순연 4 분높이 부위에 비하여 두툼한 형이라 볼 수 있 다 4 2 입술의 면적은 太 陰 A o ] 少 陽 A에 비하여 넓은 것 으로 나와서 少 陽 A은 앓은 입술이며 太 陰 A은 두 퉁한 입술임을 알 수 있다 순각은 少 陰 A o ] 太 윷 A에 비하여 높아서 少 陰 A 은 太 陰 A에 비하여 웃는 상냥한 인상이며 太 陰 A 은 무뚝뜩한 인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는 太 陰 A이 少 陰 A에 비하여 턱이 발달한 소치라고 볼 수 있다 4 3 4 4 이상의 결과에서 橋 의 안비구 < n a 행 I J 에 표예 ( 劉 짧 한 기운이 있는자와 순박 ( 합짧 자는 少 陽 A이 많으며 용모가 후중 ( 맹힌 한 자는 太 陰 A o ] 많다는 주장과 일치하며 센 4 5 의 少 캉 A은 입술이 앓으며 太 陰 A의 입술은 두럽다 한 것과 일치하는 것을 볼 수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입술부위의 체질별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Q 太 陰 A 의 특징 상순중앙높이 및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가 少 陽 A에 비하여 높다 하순중앙높이 하순인중외측융기 부높이, 하순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측 융기부높이 전순연 4 분높이 등이 少 陽 A에 비하여 높다 순폭고지수가 少 陽 A에 비하여 높으며 입술연 적이 넓으며, 순각이 少 陰 A에 비하여 낮다 따라서 太 陰 A은 少 陽 A에 비하여 입술이 대체로 두툼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少 陰 A에 비하여 무뚝 뚝한 인상을 가지고 있다 @ 少 陽 A 의 특징 상순중앙높이 및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가 太 陰 4 2 趙 짧 珍 ( 現 代 隊 國 A 의 입술 選 好 { 없 向 集 文 함 : 1 2 1 9 9 0 은 下 합은 번전 정도에 의한 팽륜도 순연 윤곽 선의 모양에 의하여 그 형태가 결정된다 중앙부에 만곡이 있는 뾰족한 형과 좌우구연 4 등분점에 만곡이 있 는 넙적한 형으로 대별될 수 있다 4 3 趙 짧 珍 ( 함 國 A 의 얼굴 國 立 民 f 삼 1 헨 物 館 : 1 4 5 1 9 9 4 은 턱이 크연 아울러 광대뼈도 커지기 때문 에 입술이 아래로 처저서 무뚝뚝한 인상이 된다고 하였다 4 4 隔 英 植 : 四 家 體 1 ' l 짧껴 I J $ 에 관하여 훌 林 9 7 호 : 1 7 1 9 7 3 4 5 供 淳 用 추ζ i 싼 ; 四 象 혐짱 原 論 서울 후 林 出 版 社 : 3 8 1-3 8 2 1 9 8 5-2 4 4 -
- 四 象 A 耳 텀훌 口 의 形 뺀뭘 的 함께잇q f f - A에 비뼈 낮다 하순중앙높이 하순인중외측융기 부높이, 하순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측 융기부높이, 전순연 4 분높이 둥이 각 체질에 비하여 낮으며 순폭고지수가 각 체질에 비하여 낮다 상순 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가 少 陰 A에 비하여 높으며, 하순연 4 분높이지수는 太 陰 A에 비하여 높다 입술연 적이 太 陰 A에 비하여 좁다 따라서 少 陽 A의 입술은 앓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 少 陰 A 으 특징 하순중앙높이 하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하순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전 순연 4 분높이 등이 少 陽 A에 비하여 높다 순각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으며 순폭고지수가 少 陽 A에 비하 여 높다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가 少 陽 A에 비하여 낮다 따라서 少 陰 A은 少 혜 A에 비하여 두툼한 입술을 가지고 있으며 太 陰 A에 비하여 미소 띈 상냥한 인 상을 가지고 있다 5 耳 엄훌 口 형태의 며 象 A 別 比 較 이상의 결과에서 때 象 A 別 로 구별되는 차이를 보 면 다음과 같다 @ 太 陰 人 은 벼청섬 및 비하 비익심이 낮고 비첨 심 비심지수가 높다 @ 太 陰 A은 중안고 비심지수가 낮다 @ 太 陰 A은 상순중앙높이, 하순중앙높이, 상순인 중외측융기부높이, 인중외측융기부높이 하순 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측융기부 높이, 전순연 4 분높이가 높다 @ 太 陰 A은 순폭고지수가 높다 @ 太 陰 A은 하순연4 분높이지수가 낮다 @ 太 陰 A은 입술연적이 넓다 2 少 陰 A과 太 陰 A O I 비교되는 형태학적 특징 @ 少 陰 A은 형태이장 용모이장 이폭 이수장이,, 짧다 @ 少 陰 A은 눈내측높이가 낮고 제 5 안폭 안장 외안각외측폭이 짧다 @ 少 陰 人 은 안각이 높다 @ 少 陰 A은 안장고지수, 동자직경지수가 높다 @ 少 陰 A은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지수가 낮다 @ 少 陰 A은 비하 비익심 비근심이 높으며 비 비익고가 짧다 익 비공거리 @ 少 陰 A은 비심 비익고지수 및 비첨심 수가낮다 @ 少 陰 A은 순각이 높다 비심지 1 太 陰 A과 少 陽 A 이 비교되는 형태학적 특징 @ 太 陰 A은 耳 활 長 指 數 가 높다 @ 太 陰 A은 눈내측 높이가 높다 @ 太 陰 A은 제 5 안폭이 넓다 @ 太 除 A은 외안각간외측폭이 넓어 눈이 가운데 로 몰려 있는 인상이다 밍 太 l깜 A은 동자직경지수가 낮다 @ 太 깔 人 은 비근 동공심 비근심이 낮다 3 少 陽 A과 少 陰 A O I 비교되는 耳 目 壘 口 의 특징 C D 少 陽 A은 안각이 낮다 @ 少 陽 A은 비익고가 길다 @ 少 陽 A은 비심 비익고지수가 높다 @ 少 혜 A은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가 높다 4 각 체질집단에 비교되는 耳 目 훌 口 의 특징 @ 太 陰 人 은 눈내측높이 제 5 안폭이 넓다 - 2 4 5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 - @ 太 陰 A은 동자직경지수가 낮다 @ 太 陰 A은 비하 비익심지수가 낮다 @ 太 除 A은 비근심이 낮다 @ 太 l양 A은 비첨심 비심지수가 높다 @ 少 윷 A은 안각이 높다 @ 少 닷 A은 비익고가 낮다 @ 少 陰 A은 비심 비익고지수가 낮다 @ 少 陽 A은 하순중앙높이 하순인중외측융기부높 @ 이 하순연 4 분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 측융기부높이 전순연 4 분높이가 짧다 少 陽 A은 순폭고지수가 낮다 v 結 論 체질진단의 객관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四 象 A 別 형태학적 특징을 정량적으로 찾아보기 위하 여 마틴식 계측법을 준용하여 2 0 9 명 ( 少 陽 A 7 2명 少 陰 A 6 9명 太 않 A 6 8명 대상자들의 I 目 행 口 에 대하여 생체계측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 四 象 A에 따른 각 부위별 계측치 @ 때 象 A에 따른 각 부위별 각도 @ 때 象 A에 따른 각 부위별 비교지수 등을 분 석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耳 部 의 며 象 A 別 形 뺑뿔 的 特 徵 C D 형태이장, 용모이장, 이수장은 太 陰 / 이 少 陰 A에 비하여 길다 @ 이폭은 太 陰 1 \ 1 少 陰 A 어 l 비하여 넓다 @ 이수장지수는 太 陰 人 이 少 陽 A에 비하여 높다 이 각 체질에 비하여 길다 @ 안각은 少 陰 1 \ @ 안장은 太 陰 1 \ @ 동자직경지수는 太 陰 1 \ 1 각 체질에 비하여 높다 1 少 陰 A에 비하여 길다 1 각 체질에 비하여 낮 다 @ 안장고지수는 少 陰 A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다 @ 안최대 외안각간외측폭지수는 太 陰 A이 A에 비하여 높다 3 톨 部 의 四 훌 A 別 形 顧 뿔 的 特 徵 @ 비근심은 太 陰 1 \ 1 각 체질에 비하여 짧다 少 陰 @ 비근 동공심은 少 陽 A이 太 陰 A에 비하여 길 다 @ 비청심 비공비익심은 少 陽 A이 太 陰 A 어 l 비 하여 길다 @ 비하 비익섬은 太 陰 A o 1 각 체질에 비하여 짧 다 @ 비익고는 少 陰 A이 각 체질에 비하여 짧다 @ 비익 비공거리는 太 陰 A 이 少 陰 A에 비하여 길다 @ 비청심 비심지수는 太 陰 1 \ 1 각 체질에 비하 여 높다 @ 비심 비익고지수는 少 陰 A이 각 체질에 비하 여 낮다 @ 중안고비첨심지수는 少 陽 A이 太 陰 A에 비하 여 높다 4 홈 部 의 四 象 A ] I J 形 隱 學 的 特 徵 2 目 部 의 四 象 A 別 形 願 學 的 特 微 C D 눈내측높이 제 5 안폭 외안각외측폭은 太 陰 A @ 하순중앙높 1 전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 하순 연4 분연높이 전순중앙높이 전순인중외측융 기부높이 전순연 4 분높이는 少 陽 A이 각 체질 - 2 4 6 -
- 四 象 A 耳 텀훌 口 의 形 얄흉 的 特 께U f f 究 - 에 비하여 짧다 @ 상순중앙높이 상순인중외축융기부높이는 太 l깜 A 이 少 A 에 비하여 길다 @ 순각은 少 陰 A이 太 陰 A에 비하여 높다 @ 순폭고지수는 少 陽 A이 각 체질에 비하여 낮 다 @ 상순인중외측융기부높이지수는 少 陽 A이 少 陰 A에 비하여 높다 @ 하순연 4 분높이지수는 少 陽 人 이 太 陰 A에 비하 여 높다 @ 입술연적은 太 陰 A이 少 쳐 A에 비하여 넓다 I 參 考 文 廠 1 國 立 民 倚 博 物 館 : 韓 國 A의 얼굴 서울 신유사 ; 1 4 5, 1 9 9 4 2 성태제 :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서 울 양서원 : 3 7 7-4 3 0, 1 9 9 5 3 宋 一 炳 : 알기쉬운 四 象 醫 學 서울 하나미디어 : 6 6-7 0 1 9 9 3 4 李 炳 幸 : 針 道 遠 流 重 廳 서울 否 林 書 院 3 4 7-3 4 8 1 9 7 4 5 李 濟 馬 : 東 醫 뚫 世 保 元, 서울 홈 林 폼 院 9 4-9 5, 1 9 6 3 6 A 類 學 講 座 編 獲 委 員 會 : A 體 計 뼈 I J 法 東 京, 웅 산각출판사 : 2 9-6 6, 1 9 9 1 7 全 國 짧 醫 科 大 쩔 四 象 醫 學 敎 室 四 象 醫 學, 서 울, 集 文 堂 ; 1 3 3, 1 9 9 7 8 趙 鋼 珍 : 우리몸과 美 術 文 化 서울 美 術 敎 育 社 ; 9 7-1 0 5 3 4 7-3 4 8, 1 9 9 3 9 趙 짧 珍 : 現 代 짧 國 A 의 耳 蓋 形 選 好 뼈 向 서 울 集 文 堂 : 4-6, 1 9 9 0 1 0 趙 짧 珍 : 現 代 짧 國 A 의 眼 形 選 好 { 없 向 서울 集 文 堂 ; 9-1 5 1 9 9 0 1 1 趙 짧 珍 : 現 代 짧 國 A 의 짧 形 選 好 { 煩 向 서울, 集 文 堂 : 6-1 3, 1 9 9 0 1 2 趙 鍵 珍 : 現 代 輪 國 A 의 입술 選 好 順 向, 서울 集 文 堂 : 1 2-1 3, 1 9 9 0 1 3 中 國 治 邊 朝 蘇 民 族 醫 學 R 究 所 : 朝 蘇 民 族 四 象 醫 學 서울 麗 江 出 社 : 5 6-5 8 1 9 9 1 1 4 幹 東 錫 : 東 醫 꿇 世 保 元 註 釋 서울 性 理 會 出 J 社 : 3 4 9-3 5 0 1 9 6 7 1 5 洪 淳 用 李 ζ 浩 : 四 象 醫 學 原 論 서울 否 林 出 版 社 : 3 8 1 1 9 8 5 1 6 高 炳 熙, 宋 一 炳 : 四 象 體 質 辦 證 에 對 한 小 考, 大 障 韓 醫 學 會 誌 6 ( 1 : 4 0-4 7 1 9 8 5 1 7 高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辦 證 方 法 論 r i f f 究 ( 第 二 報, 大 韓 韓 醫 學 會 誌, 8 ( 1 : 1 3 9-1 6 0, 1 9 8 7 1 8 高 炳 熙 趙 짧 珍 崔 昌 錫 洪 錫 喆 金 鍾 頂 李 義 柱 李 相 龍 徐 靜 淑 宋 一 炳 : 四 象 體 質 別 頭 面 部 의 形 態 學 的 特 徵 四 象 醫 學 會 誌 8 ( 1 1 0 1-1 8 6 1 9 9 6 1 9 應 純 哲 : 韓 國 美 術 에 나타난 얼굴 形 態 에 關 한 考 察 서울 大 學 校 大 學 院 續 畵 科, 碩 士 學 位 論 文 1 9 8 5 2 0 權 英 植 : 四 象 體 質 짧 } J 1 j 法 에 대하여 醫 林 9 7 호 ; 1 5-2 0, 1 9 7 3 2 1 金 達 來 : 設 問 誌 를 이용한 體 質 짧 別 方 法 의 信 R 度 에 관한 r i f f 究 四 象 醫 學 會 誌 6 ( 1 8 9-9 4 1 9 9 4 2 2 金 善 豪, 高 炳 熙 宋 - 炳 四 象 體 質 分 類 檢 죠 ( Q S C C 의 횟 當 { 뻐 f 究 며 象 醫 學 會 誌, 5 ( 1 : 6 1-8 0, 1 9 9 3 2 3 金 善 豪 高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分 類 檢 효 紙 ( Q S C C ] ] 의 標 準 化 빠 究 四 象 醫 學 會 誌 - 2 4 7 -
; ; - 사상의학회지 제 1 0 권 제 2 호 1 9 9 8-8 ( 1 ; 2 4 7-2 9 4 1 9 9 6 2 4 金 樹 凡 며 象 體 質 짧 別 을 훌한 專 門 家 시스템 의 知 識 베이스 樞 集 을 흙한 i f 究 慶 熙 大 學 校 大 챙 院 1 9 9 0 2 5 金 행 元 高 炳 熙 宋 - 炳 : E A 의 뻐I J 定 個 와 四 象 體 質 했훨 j 및 中 風 과의 相 關 性 에 관한 맑 究, 四 象 醫 學 會 誌 7 ( 2 : 5 9-8 8 1 9 9 5 2 6 김태미 : 짧 國 A 의 얼굴 이미지 表 現 R 究 찢 花 女 子 大 學 院 生 活 美 術 科 碩 士 學 位 짧 文 1 9 9 2 2 7 박철하 : 3 차원 형상모델을 이용한 얼굴영상 의 분석과 합성, 明 知 大 學 校 大 學 院 電 子 工 學 科 碩 t 學 않해 文 : 1 1 9 9 3 2 8 宋 世 律 : 幹 國 젊은이의 顆 面 美 選 好 뼈 向 에 관 한 R 俊, 中 央 大 횡 校 大 學 院 碩 土 學 位 論 文 1 9 9 2 2 9 宋 - 炳 : 四 象 A의 病 證 藥 理 의 成 立 過 程 과 그 運 營 f r! f 神 四 象 醫 챙 會 誌 8 ( 1 ; 1-1 6 1 9 9 6 3 0 梁 基 相 : 類 型 體 質 짧 別 의 免 授 血 淸 學 的 i f 究, 서울 慶 熙 짧 醫 大 論 文 集 6 ( 1 ; 3 3-4 5 1 9 8 3 3 1 이은경 : 얼굴의 두가지 特 性 과 性 格 推 論 問 의 關 係 延 캔 大 學 校 ' L 理 뺑 l 합 土 쩔않햄 文 1 9 8 9 3 2 李 義 柱 高 炳 熙 宋 一 炳 : 며 象 辯 證 內 容 設 問 調 3 호 紙 ( I 의 1 當 化 i f 究 四 象 醫 學 會 誌 7 ( 2 : 8 9-1 0 0 1 9 9 5 3 3 李 廷 燦 高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分 類 檢 호의 i 훌 據 뚱 當 化 i f 究 ( 性 格 要 因 檢 쪼 1 6 P F - 와의 比 較 分 析 L 며 象 醫 學 會 誌 5 ( 1 : 8 1-9 8 1 9 9 3 3 4 李 廷 燦 高 炳 熙 宋 - 炳 : 四 象 體 質 分 類 檢 훌 紙 ( Q S C C I I 의 윗 當 化 R 究 四 象 醫 學 會 誌 8 ( 1 ; 2 4 7-2 9 4 1 9 9 6 3 5 후 世 圭 : 四 象 體 質 分 했 檢 효 ( Q S C C 評 價 方 法 의 쭉 當 性 i f 究 熙 大 챙 校 大 學 院 碩 土 學 位 論 文 1 9 9 4 3 6 조동욱, 이창수 고병희 홍석철 이의주, 조 황성 : 며 象 醫 學 의 客 觀 化 를 위한 遺 빼 的 分 析 9 f t 究 후후 國 훌후 醫 學 * 究 f i f r 論 文 集 2 ( 1 ; 4 0 2-4 0 6 1 9 9 6 3 7 趙 짧 珍 顧 面 形 態 와 美 術 解 왜 學 의 R 究 東 京 훨 術 大 學 院 美 術 9 f t 究 科 t t ' J 士 쩔않해 文 1 9 9 3 3 8 주민숙 A 物 옮에 表 現 된 얼굴의 美 빠 究 麗 大 學 校 敎 育 大 學 院 美 術 敎 育 科 碩 士 學 힘 $ 文 1 9 9 4 3 9 輸 周 錫 宋 一 炳 : E A 의 뼈 I J 定 치와 病 證 類 型 과의 相 關 性 에 관한 R 究 內 科 學 會 誌 1 5 ( 1 ; 3 8 3-4 1 5 1 9 9 4 4 0 許 萬 會 宋 i E 模 金 達 來 高 炳 熙 高 四 象 A 의 形 態 學 的 띔1 式 化 에 관한 R 究 며 象 醫 學 會 誌 4 ( 1, 1 0 7-1 4 8 ; 1 9 9 2 4 1 洪 錫 喆 東 醫 꿇 世 保 元 에 나타난 體 質 別 9 따 狀 과 H I K 캡융에 의 한 體 質 別 H I K 波 의 比 較 大 짧 H I K 該 學 會 誌 1 ( 1 : 7 9-1 0 0 1 9 9 5 4 2 B e r r y D S & M c A r t h u r : s o m e c o m p o n e n t s a n d C o n s e q u e n c e s o f a b a b y f a c e J o f P e r s o n a l i t y a n d S o c i a l P s y c h o l o g y 4 8 : 3 1 2-3 2 3 1 9 8 5 4 3 J A n a l : u r g i l i o F F e r r a r i o C H i a r e l l a S f o r z a, J o h a n n e s H S c h m i t z A l e s s a n d r o m i a n i J r a n d G i a n l u c a T a r o n 5 9 3-6 0 2 1 9 5 5 4 4 L o r e n z K D i e a n g e b o r e n e n F o r m e n m o g l i c h e r A r f a h r u n g [ T h e i n n a t e f o r m s o f p o t e n t i a l e x p e r i e n c e Z i e t s c h r i f t f u r T i e r p s y c h o l o g i e 5 2 4 3-4 0 9 1 9 4 3 4 5 M e A r t h u r L Z & A p a t o w K I m p r e s s i o n s o f b a b y - f a c e d a d u l t s S o c i a l C o g n i t i o n 2 : 3 1 5-3 4 2 1 9 8 4-2 4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