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Similar documents
2003report hwp

CC hwp

II. 기존선행연구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33BFF9B0EDBFEBB5BFC7E22E687770>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hwp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11민락초신문4호

<322EC6AFC1FD315F B3E220B3EBB5BFBDC3C0E5C6F2B0A1B9D B3E220C0FCB8C15FB5BFC7E2BAD0BCAEC6C02E687770>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입장

CC hwp

화해와나눔-여름호(본문)수정

화해와나눔-가을호(본문)

주택시장 동향 1) 주택 매매 동향 2) 주택 전세 동향 3) 규모별 아파트 가격지수 동향 4) 권역별 아파트 매매 전세시장 동향 토지시장 동향 1) 지가변동률 2) 토지거래 동향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시장동향 15 준공업지역 부동산시장 동향

No Title

< B3E25FBBE7B8C1BFF8C0CEC5EBB0E85FB0E1B0FA5F76332DBCF6C1A42E687770>

#³óÃÌ°æÁ¦ 64È£-Ä®¶ó¸é

¾Èµ¿±³È¸º¸ÃÖÁ¾

¾Ë±â½¬¿îÀ±¸®°æ¿µc03ÖÁ¾š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유형간중복을제거한비정규직규모는 < 참고 2> 를참조

노인의경제활동특성과정책과제 (5) 그림 1. 노인 (65 세이상 ) 의노인경제활동참여현황 최장기일자리퇴직 42.8% 점진적퇴직 17.6% 평생일한적없음 10.7% 현재일하고있음 28.9% 최장기일자리종사 16.3% 가교일자리종사 12.6% 농림어업 56.0%, 단순노무

ºñÁ¤±ÔħÇغ¸°í¼�.hwp

성인지통계

국제 보건복지 정책 동향 1 OECD 지표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의 양성 격차와 일 가정 양립 Korea's Gender Gaps and work life Balance on OECD Indicators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1. 들어가며 1970년대부터 저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C1A4C3A5B8AEC6F7C6AE C8A3202D20BCF6C1A4322E687770>

제 출 문 본 보고서를 OECD 회원국의 노동시장 지표 비교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12월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 박 종 희 책임연구원: 유병홍 연구원: 이정훈 보조원: 박선진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¼Òâ¹Ý¹®Áý¿ø°í.hwp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규정집(2015ver11).hwp

½Å¹®319È£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1,2,3,

학력별로는대졸이상고학력취업여성의수요가상대적으로높게 나타났다 미취업여성이시간선택제로일할경우희망하는근로시간은 일평균 시간주 시간이며 시간선택제일자리로일하기를원하는기간은 기간의정함이없는상용형인경우가가장높게나타났다 시간선택제근로를희망하는이유로는 자녀보육 교육 개인시간활용 등의

< BCBAC2FBB1B3BDC7BFEEBFB5BBE7B7CAC1FD2E687770>

src.hwp


<C1A634C2F720BAB8B0EDBCAD20C1BEC6ED20BDC3BBE720C5E4C5A920C7C1B7CEB1D7B7A5C0C720BEF0BEEE20BBE7BFEB20BDC7C5C220C1A1B0CB20C1A6C3E22E687770>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일러두기 노사정위원회합의문중관련내용은부록참조 예 ) 일정수준임금이하또는이상의근로자를기준으로저 ( 최저 ) 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또는고임금근로자규모 ( 비중 ) 등을산출하는경우

수도권과비수도권근로자의임금격차에영향을미치는 집적경제의미시적메커니즘에관한실증연구 I. 서론

08질병-건강하게-10.7

<C6EDC1FD20B0F8C1F7C0AFB0FCB4DCC3BC20BBE7B1D420B0B3BCB120BFF6C5A9BCF32E687770>

09³»Áö


레이아웃 1

< B3E220C0AFBFACB1D9B9ABC1A620C8B0BFEBC7F6C8B220C1FDB0E8B0E1B0FA20BAB8B5B5C0DAB7E12E687770>

µðÇÃ24-Ç¥Áö´Ü¸é

<5BC6EDC1FDBABB20345D E20B1B9B9CCBED6202D20BCADBFEFBDC320BFA9BCBAC0CFC0DAB8AE20C1BEC7D5B0E8C8B920BCF6B8B320BFACB1B82E687770>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국제보건복지정책동향 å 2. 스웨덴공공부조의역사 ä 보건복지

서울 노동시장구조와 동향

< C7D0B3E2B5B520B9FDC7D0C0FBBCBABDC3C7E820C3DFB8AEB3EDC1F528C8A6BCF6C7FC29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355FC0CCBDB4BAD0BCAE5FBCBAC0E7B9CE E687770>

°£È£ 1~8 1È£š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이슈분석 제37 호(16-04) 발행인 발행일 발행처 한옥자 2016년 6월 3일 ( 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수원시장안구경수대로 Tel. 031) Fax. 031) ( 파장동) 인쇄지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 2 -

<5BB1E2BABB D20BFA9BCBAC0CEB7C2B0FCB7C320BBE7C8B8B0E6C1A6C1A4C3A5C0C720C8BFB0FABAD0BCAEB0FA20B0FAC1A6202D20B1E8C5C2C8AB2E687770>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이슈분석 최근 고용추이와 2016년 고용전망 박진희*, 이시균** <요 약> 201년 1~6세 핵심 연령계층의 고용률은 여성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나아져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취업자 증가는 천 명 증가하여 전년에 비해 둔화되었다. 최근 취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0616¾ËÄÄÁî_±¹¸³µµ¼Ł°ü À¥¿ë.PDF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歯3-한국.PDF


LG Business Insight 1307

Print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歯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Transcription:

ISS 2092-7117 (2012-37) 발행일 : 2012. 09. 14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기혼 남녀 20~49세 연령층에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약 8배에 달하며, 취업자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는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에 달하 지만, 일요일에는 여성이 남성의 3배로 감소 기혼여성의 경우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은 감소하고,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의 가사노동시간은 더 많고,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 보다 자녀가 있는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이 주관적인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은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커지고, 미취학자녀가 1명씩 증가 할 때마다 약 2배 더 높아짐 박종서 부연구위원 1. 머리말 사회정책과 관련하여 근로시간과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관심은 점차 확대되고 있고, 한국인의 생활시간 활용에서 장시간 근로와 저조한 남성의 가사참여는 특징적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음 OECD의 국가별 시간통계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근로시간은 2,193시간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멕시코(2,242시간) 다음으로 높게 기록되었으며 1), 남성의 1일 가사노동시간은 하루 24시간 중 4.3%로 OECD 24개 회원국 중 최저를 기록 2) 시간에 주목하는 이유는 하루 24시간이라는 시간적 약에서 놓여 있는 현대인이 일상 생활에서 시간의 체계적인 관리 및 통 전략을 고민해야할 뿐만 아니라, 시간 자체를 이용 가능한 주요 자원으로 인식 하기 때문임 근로시간과 가사노동시간은 일상생활을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자녀의 출산과 양육, 그리고 가족돌봄 영역에서 양성평등의 쟁점이 되고 있음 이런 맥락에서 시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확대할 필요성이 기됨 자녀의 출산과 양육, 그리고 가족돌봄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성별, 경활동 특성별 시간활용의 긴장을 완화 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 1) OECD.Stat, 2012년 9월 5일 2) OECD(2011), OECD Family Database, OECD, Paris.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출산과 양육의 관점에서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주관적인 시간부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 4) 2. 남녀의 가사노동시간 우리나라 여성(20~49세)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20~49세)의 약 8배 평일 기준으로 남성은 33.5분 여성은 276.1분을 가사노동에 쓰고 있어, 여성이 남성의 약 8배에 달하는 가사 노동을 하고 있음 평일과 달리 토요일과 일요일은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량 보다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량이 더 크지만, 시간 총량은 여전히 여성이 절대적으로 많음 2 - 여성은 평일 271.6분에서 일요일 284.2분으로 12.6분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남성은 평일 33.5분에서 일요일 86.4분으로 52.9분 증가 - 남성이 일요일에 평일보다 2.6배 많은 시간을 가사노동에 사용한다는 사실은 남성의 가사참여가 시간 가용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줌 [그림 1] 요일별 남녀의 가사노동시간 차이 ( 분 ) 350.0 300.0 276.1 289.8 284.2 250.0 200.0 150.0 100.0 64.6 86.4 50.0 33.5 0.0 남성 여성 평일 토요일 일요일 주: 분석대상은 20~49세 기혼자이며, 시간량은 하루 24시간 중 가사노동의 시간임 미취학자녀 유무에 따라서 평일과 일요일의 가사노동시간 변화량을 비교해보면, 여성에 비해서 남성의 경우 일요일 가사노동시간이 크게 증가 3) 이 글에서 사용하는 가사노동시간은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가정관리 (24개) 항목과 가족돌봄 (15개) 항목을 합한 시간의 총량을 의미하며, 동 시행동 은 외하고 주행동 만 분석하였음 4)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고, 주 출산연령층에 해당하는 20~49세 기혼자의 시간일지 14,860건을 표본으로 분석하였고, 여성만 분석한 경우에는 남성을 외한 8,124건을 표본으로 함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 미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평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49.5분, 여성은 400분이며, 일요일 남성의 가사 노동시간은 126.7분(77.2분 증가), 여성은 377.2분(22.8분 감소)으로 남성이 크게 증가함 취업자 남녀의 가사노동시간의 차이는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에 달하지만, 일요일에는 여성이 남성의 3배로 감소 취업자 남성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29.3분, 여성은 178.6분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가사노동을 149.3분 더 하고, 일요일에는 남성이 86.4분 여성이 247.5분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가사노동을 161분 더 투여 다른 한편 남녀의 가사노동비율은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 일요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3배로써 일요일 남녀의 가사노동 비율에서 남성의 가사노동 비율이 증가한 것이 특징임 [그림 2] 취업여부에 따른 남녀의 가사노동시간 차이 취업자 비취업자 ( 분 ) 300.0 ( 분 ) 450.0 247.5 250.0 226.6 200.0 178.6 150.0 100.0 86.4 63.0 50.0 29.3 0.0 남 여 400.8 368.0 332.0 300.0 250.0 200.0 150.0 124.1 102.6 88.6 100.0 50.0 0.0 남 여 주: 분석대상은 20~49세 기혼자이며, 시간량은 하루 24시간 중 가사노동의 시간임 400.0 350.0 3 남녀 모두 주당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은 감소 평일 기준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39시간 이하인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55.6분, 주당 근로시간이 40~48 시간인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31.1분, 주당 근로시간이 49~57시간인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27.2분으로 나타나, 남성의 주당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평일 기준으로 주당 노동시간의 증가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감소 경향은 여성도 동일한 추세 <표 1> 주당 근로시간별 남녀의 가사노동시간 차이 평일 토요일 일요일 남 여 남 여 남 여 39시간 이하 55.6 256.2 62.7 277.2 64.2 277.8 1,562 40~48시간 이하 31.1 166.0 82.6 258.5 95.8 272.5 4,224 49~57시간 이하 27.2 151.7 60.5 161.8 91.8 239.1 2,112 58시간 이상 23.7 126.2 44.4 139.3 77.4 168.9 3,228 주: 분석대상은 20~49세 기혼자이며, 시간량은 하루 24시간 중 가사노동의 시간임

보건 복지 Issue & Focus 직종에 따라서 관리자 및 전문가와 사무종사자 남성의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에 비해 토요일과 일요일 가사노동시간이 크게 증가함 관리자 및 전문가 집단에서 남녀의 가사노동시간을 비교하면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6.5배, 일요일 기준 으로 여성이 남성의 2.5배 더 많은 가사노동을 함 관리자 및 전문가 집단 남성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28분, 사무종사자 남성은 27분이었으나, 일요일에는 각각 102.8분(3.7배)과 110.4분(4.1배)으로, 평일보다 일요일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함 <표 2> 직종별 남녀의 가사노동시간 차이 평일 토요일 일요일 남 여 남 여 남 여 비취업 124.9 400.8 105.1 368.0 88.6 332.0 3,730 관리자전문가 28.0 183.5 76.0 248.1 102.8 265.0 2,454 사무종사자 27.0 165.5 88.8 274.3 110.4 296.4 2,034 서비스판매종사자 28.4 173.5 47.3 197.6 70.5 213.8 2,762 농립어업기능원 기계조작단순노무 등 31.6 191.4 48.1 213.7 71.1 242.0 3,880 주: 분석대상은 20~49세 기혼자이며, 시간량은 하루 24시간 중 가사노동의 시간임 4 3. 여성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 20~49세 기혼여성의 취업상태에 따른 가사노동시간은 평일 기준으로 비취업여성이 취업여성에 비해 2.2배 더 많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 [그림 3] 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차이 ( 분 ) 450.0 400.0 350.0 400.8 368.0 332.0 300.0 250.0 226.6 247.5 200.0 178.6 150.0 100.0 50.0 0.0 취업 비취업 평일 토요일 일요일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취업여성은 평일 178.6분, 일요일 247.5분, 비취업여성은 평일 400.8분, 일요일 332분의 가사노동을 함 취업여성은 평일에 비해 일요일에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하지만, 비취업여성은 평일에 비해 일요일에 가사 노동시간이 감소함 - 비취업여성은 일요일에 남편의 가사참여에 따라 가사노동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취업여성은 남편의 가사참여에도 불구하고 여성에게 요구되는 가사노동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일요일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됨 미취학자녀수가 증가하면 여성의 취업여부와 요일에 관계없이 모두 가사노동시간이 많아짐 취업여성은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160.1분, 자녀가 1명인 경우 239.2분, 자녀가 2명인 경우 266.3분까지 증가했다가 자녀가 3명인 경우 약간 감소하여 238분으로 증가하고, 일요일 가사 노동시간은 자녀가 없는 경우 229.1분에서, 317.7, 344.3분, 540.6분까지 증가 비취업여성은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332.4분에서 자녀수 증가에 따라서 495.4분, 523.7분, 499.9분까지 증가하고, 일요일 가사노동시간은 277.2분에서 503.8분까지 증가 <표 3> 미취학자녀수별 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차이 취업 비취업 미취학자녀 0명 160.1 200.5 229.1 332.4 304.0 277.2 5,716 미취학자녀 1명 239.2 299.7 317.7 495.4 406.5 386.6 1,646 미취학자녀 2명 266.3 379.0 344.3 523.7 488.5 434.5 722 미취학자녀 3명 238.0 532.2 540.6 499.9 547.1 503.8 40 5 직종에 따라서 해 보면 사무종사자가 평일에 비해 일요일 가사노동시간의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남 사무종사자는 미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179.6분에서 일요일 334.5분으로 1.9배 많아 지고,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243.8분에서 일요일 278.6분으로 1.7배 많아져 다른 직종보다 가장 큰 폭으로 변화함 <표 4> 여성 직종별 미취학자녀 유무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차이 미취학자녀 있음 미취학자녀 없음 관리자전문가 241.0 308.8 329.4 158.4 218.9 239.1 914 사무종사자 179.6 343.3 334.5 159.6 243.8 278.6 830 서비스판매종사자 267.9 318.7 334.1.3 172.2 200.1 1,750 농립어업기능원 기계 조작단순노무 등 321.3 301.9 294.9 167.4 200.8 234.6 1,178 비취업 503.9 438.1 406.2 332.4 304.0 277.2 3,452

보건 복지 Issue & Focus 주당 근로시간이 증가하면 미취학자녀 유무와 요일에 관계없이 대체로 가사노동시간 감소 미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평일 기준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39시간 이하인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337.4분 에서 주당 근로시간이 58시간 이상인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185.1분으로 감소하고, 일요일에는 358.2분에 서 256.2분으로 감소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 평일 기준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39시간 이하인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227.2분 에서 주당근로시간이 58시간 이상인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118.5분으로 감소하고, 일요일에는 259.2분에 서 161.0분으로 감소 <표 5> 여성의 주당 근로시간별 미취학자녀 유무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차이 미취학자녀 있음 미취학자녀 없음 39시간 이하 337.4 362.7 358.2 227.2 249.9 259.2 1,146 40~48시간 이하 215.8 342.6 329.6 152.1 229.7 255.3 1,826 49~57시간 이하 178.8 239.5 317.7 143.6 144.5 218.9 690 58시간 이상 185.1 208.7 256.2 118.5 127.9 161.0 1,006 6 임금근로자와 자영자의 가사노동시간은 미취학자녀 유무에 관계없이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지만, 평일 기준으로 무급가족종사자의 가사노동시간이 임금근로자보다 더 많음 다른 지위에 비해 고용주의 가사노동시간이 미취학자녀 유무에 관계없이 대체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표 6> 여성 종사상지위별 미취학자녀 유무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평균 미취학자녀 있음 미취학자녀 없음 임금근로자 233.2 319.5 329.6 151.4 200.5 238.9 3,246 고용주 227.4 278.9 210.9 129.8 151.8 169.1 192 자영자 252.9 318.5 339.3 178.0 214.3 223.7 664 무급가족종사자 375.3 332.7 322.7 199.9 201.3 201.2 570 비취업 503.9 438.1 406.2 332.4 304.0 277.2 3,452 4.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결정요인 및 주관적 시간부족 인식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근로시간, 종사상지위, 미취학자녀 유무, 미취학자녀 여부가 가사노동의 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을 통했을 때,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이 감소하고,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자와 무급 가족종사자의 가사노동시간이 더 많고,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자녀가 있는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더 많게 나타남

남녀의 경활동 특성별 가사노동시간의 차이 주관적인 시간부족 인식 5)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결과 근로시간, 종사상지위, 미취학자녀 유무, 미취 학자녀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연령 그리고 취업상태를 통한 상태에서,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남(모델 1) -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자가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은 1.5배 더 높으며,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임금 근로자가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은 30% 높고, 비취업여성에 비해 임금근로자가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 성은 32% 높게 나타남(모델 2) -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미취학자녀가 있는 경우가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이 2.9배 더 높게 나타남(모델 3) -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미취학자녀가 1명인 경우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이 2.6배 높고, 미취학 자녀가 2명인 경우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이 3.4배 높게 나타남(모델 4) 자녀의 출산과 양육이 시간을 자원으로 적극 투입해야 하는 행위결정이기에, 주관적인 시간부족의 가중 요인은 출산과 양육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표 7> 20~49세 기혼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및 주관적 시간부족 인식 영향요인 가사노동 시간의 영향요인(회귀분석) 시간부족 인식의 영향요인(로짓분석) 모델 1 모델 2 모델 3 모델 4 모델 1 모델 2 모델 3 모델 4 연령 -4.041*** -4.205*** 0.419 0.458 0.957*** 0.957*** 0.996 0.995 취업 -65.999*** 1.472** 7 비취업 근로시간 -2.581*** -2.585*** -2.387*** -2.370*** 1.030*** 1.030*** 1.032*** 1.032*** 임금근로자 고용주 -5.592-10.897-11.071 1.343 1.269 1.273 자영자 20.285*** 24.266*** 24.331*** 1.462* 1.525* 1.524* 무급가족종사자 47.532*** 45.160*** 44.104*** 0.705* 0.686* 0.684* 비취업 73.390*** 66.950*** 67.228*** 0.683* 0.659** 0.662** 미취학자녀있음 2.874*** 미취학자녀없음 -125.765*** 미취학자녀 0명 미취학자녀 1명 115.067*** 2.592*** 미취학자녀 2명 149.998*** 3.364*** 미취학자녀 3명 143.635*** 2.863 상수 537.614*** 470.382*** 377.135*** 249.273*** R2 0.373*** 0.378*** 0.455*** 0.457*** 8,142 8,142 8,142 8,142 주: 종속변수인 주관적 시간부족인은 긍정(예, 항상/예, 가끔)을 1 로, 부정(아니오, 거의/ 아니오, 전혀)를 0 으로 재분류하였음; 로짓분석의 결과는 승산비로 시하였음 5) 시간부족 인식은 생활시간조사의 평소 바쁘거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까 라는 문항으로 측정함

보건 복지 Issue & Focus 5. 요약 및 정책적 함의 200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주 출산연령에 해당하는 20~49세 기혼 남녀의 가사 노동시간을 분석한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이 절대적으로 많았음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남성의 약 8배에 달하며, 취업자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 차이는 평일 기준으로 여성이 남성의 약 6배에 달하지만, 일요일에는 여성이 남성의 3배로 감소 남녀 모두 주당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은 감소하며, 전문직 및 사무종사자 남성의 경우 평일 가사노동시간에 비해 토요일과 일요일 가사노동시간이 크게 증가함 기혼여성의 경우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은 감소하고, 임금근로자에 비해 자영자와 무급가 족종사자의 가사노동시간은 더 많고, 미취학자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자녀가 있는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여성이 주관적인 시간부족을 느낄 가능성은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커지고, 미취학자녀가 1명씩 증가 할 때마다 약 2배 더 높아짐 이상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의 일상생활이 시간이라는 삶의 형식으로 구조화되고 있음 8 시간의 관리와 통 방법에 따라 일상생활이 약받고 있는 상황에서, 자녀의 출산과 양육을 위해 시간은 필수적으로 동원해야 할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음 따라서 시간에 대한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요컨대 남성의 평일 가사노동참여가 저조하고, 토요일과 일요일의 가사노동시간이 늘어나는 이유는 장시간 근로하는 근무환경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며, 여성의 시간부족 인식은 자신의 근로시간과 종사상지위 및 미취학자녀수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향후 남성의 가사참여를 보장하고 여성의 시간압박을 완화하기 위하여 정부가 근무시간의 단축 및 유연화를 강화하고 휴가 휴직도를 더욱 활성화하면, 자녀의 출산과 양육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집필자Ⅰ박종서(저출산고령사회연구실 부연구위원) 문의Ⅰ02-380-8190 발행인 Ⅰ 최병 발행처 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35(122-705) Ⅰ TEL 02)380-8000 Ⅰ FAX 02)352-9129 Ⅰ http://www.kihasa.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홈페이지의 발간자료에서 온라인으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cus/list.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