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탁연구6)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보고서-최종.hwp



Similar documents
학위논문홍승아.hwp


13Åë°è¹é¼Ł

iOS ÇÁ·Î±×·¡¹Ö 1205.PDF


untitled

<BEC6BFF4BCD2BDCCBAB8B0EDBCAD28C3D6C1BE E687770>

CC hwp

<5BC6EDC1FD5DBEEEBEF7C0CCC1D6B3EBB5BFC0DAC0CEB1C7BBF3C8B2BDC7C5C2C1B6BBE7C3D6C1BEBAB8B0EDBCAD28BAB8C0CCBDBABEC6C0CC292E687770>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xviii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수능시험에 연계되기 때문이라는 응답 이 학생 61.7%, 학부모 73.2%로 가장 많았고, EBS 수능강의 서비스를 활용하 지 않는 이유는 학생의 경우 사교육 때문이라는 응답이 26.9%, 혼자 공부하는 것으로 충분하

untitled

PDF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æÁ¦Àü¸Á-µ¼º¸.PDF



hwp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 2 -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2008 다문화가족의중장기전망및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및사회ㆍ경제적효과분석을중심으로 ㆍ ㆍ 2009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국내외 장애인 텔레비전 방송 현황 연구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2006

¾Æµ¿ÇÐ´ë º»¹®.hwp

ad hwp

Microsoft PowerPoint 지성우, 분쟁조정 및 재정제도 개선방향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090626_미디어발전위(민주당).hwp

2003report hwp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_ 전체 최종 1223.indd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5BB1E2BABB5D5FB0F8B0F8BACEB9AE5FBDC3B0A3C1A6B1D9B9ABBFCD5FC0B0BEC6C8DEC1F7BFA15FB5FBB8A55FB4EBC3BCC0CEB7C25FC8B0BFEBB0FAC0C75FBFACB0E8B9E6BEC85F2D5FB9AEB9CCB0E62E687770>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정책연구개발사업 2010-위탁 대학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송동섭(단국대학교) 이동규(충남대학교) 이창세(재능대학) 한창근(인하공업전문대학) 연 구 협 력 관 장미란(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이 연구는 201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0CFB9DDB9E8C6F7BFEB292DC3D6C1BE2E687770>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사본

CC hwp

< D3238C2F728C1A4B1E22920B9DFBEF0B3BBBFEB28B0F8B0B3292E687770>

< C3E2C6C7BEF7B5EEC3D6C1BEBAB8B0EDBCADC0CEBCE2BFEB312E687770>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2002report hwp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광고 시장의 변화와 미디어 노동

INDUS-8.HWP

CONTENTS.HWP


<4D F736F F D20BACEB1B3C0E75FB5F0C1F6C5D0B6F3C0CCC7C15F3232C2F7BDC32E646F63>

_1.hwp

성인지통계

2 조선 동아 `대통령 선거 개입' 두둔 중앙일보의 < 새누리 150석은 건지겠나 청와대 참모들 한숨뿐>(3/14, 6면) 보도 역시 집권 4년차에 접어든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 주도권을 쥐려면 4 13 총선에서 새누리 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필수적 이라는 분석과

XXXXXXXXXXXXX XXXXXXX


<B9E6BCDBBFB5BBF3C4DCC5D9C3F7BBEABEF7BDC7C5C2C1B6BBE728352E37C1F8C2A5C3D6C1BE292E687770>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BXVGZWLJOWKT.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2005 중소기업 컨설팅 산업 백서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13-08.hwp

KBI......_ hwp

<C0FCB9AE20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분 기 보 고 서 (제 22 기) 사업연도 2014년 01월 01일 2014년 03월 31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4년 5월 15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와이티엔 대 표 이 사 :

연구요약 1. 서론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교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과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 난 15년간의 청소년 교육 환경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15년간 의 청소년 교육 환경


<C1DFB1DE2842C7FC292E687770>

CR hwp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유료방송 디지털 전환 활성화 정책방향.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197

TV&MO or PC&MO 이용자전연령층에서증가 3S TV&MO or PC&MO TV&PC IS 15% 16% 22% 58% 55% 82% 83% 72% 75% 39% 45% 7~18 세 19~34 세 35 세 ~50 세 50 세이상 그러나매체를이용해방송프로그램을시청한

정치

untitled

2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BAD2B9FDBAB9C1A620BAB8B0EDBCAD5FC5EBC7D55F FB9DFB0A3BBE7C6F7C7D45F33C2F720B1B3C1A428B1D7B8B22020C3DFC3E2292E687770>

¿©±âÀÚ-À¥¿ë.PDF

세계 비지니스 정보

< B9AEC8ADBFB9BCFA20C6AEB7BBB5E520BAD0BCAE20B9D720C0FCB8C128B1E8C7FDC0CE292E687770>

<BBE7B8B3B4EBC7D0B0A8BBE7B9E9BCAD28C1F8C2A5C3D6C1BE E687770>

< 그림 2> 를살펴보면, TV 콘텐츠소비자의 95.2% 가 TV수상기를통해프로그램을시청하고있으며, 소비자의절반정도 (51.8%) 는 TV수상기이외의기기를통해서프로그램을시청하고있다. TV 콘텐츠소비자는 PC보다스마트기기 (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 를통해방송프로그램을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접속을 위한 사용자인증 시스템_교열(박세환, ).hwp


Version 7.0 ID ( 1 )?.. 33 ( ) 34 ( ),.. ID# ( ) ( ) / ( ) ( ) ) (,,, ) 2) (,,,,,, ) SQ1. 3) (,,,,,,, ) 4) (,,,,, ) SQ2. 1) 2) SQ3. : ( ) 18, 59

C o n t e n t s 낮은 곳을 향한 연대 비정규노동자의 목소리 격월간 비정규노동 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인 수많은 비 정규노동자들의 가슴이 되고자 합 니다. 격월간 비정규노동 은 2001년 5월 창간 이후 지금까지 차별과 고용불 안이 일상화된 노동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 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s p e c ial 한 것이다. 2001년 무렵엔 국내에서 활동하는 독립형 동영상의 중심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시민 저널리즘 인터넷방송사 추산 수치가 1,200개 수준에 이르렀다. 기반 인터넷 방송의 가능성에 큰 기대를 걸게 했다. 물론 이들 중 절반 가량이 3년 내

2 조중동 `친노 운동권 배제' 종용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정청래 의원 등 구체적 인물을 특정 하며 노골적 낙천여론을 조장해왔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그저 감정적인 이유만을 들이대며 악의적 주장을 퍼부은 것 에 불과하다. 이들이 제시하는 기준이 친노 운동권, 막말,

슬라이드 1

Transcription:

이 보고서는 2014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정책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공식 입장은 아닙니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연 구 진 연 구 수 행 기 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책 임 연 구 원 : 김미경(청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공 동 연 구 원 : 민병현(청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공 동 연 구 원 : 정세일(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목차 v 목 차 요약문 xvii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 목표 7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8 1. 연구의 구성 및 내용 8 2. 연구 방법 10 제 2 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13 제1절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에 관한 기존 문헌 검토 15 1. 기존 문헌 검토 15 2. 시사점 20 제2절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규정 및 유형 정립 22 1.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규정 22 2.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유형 구분 24 제 3 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현황 조사 31 제1절 서비스 제공현황 33 1. OTT형 3 2. 인터넷 홈페이지형 46 3.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60 4. 애플리케이션형 62 5. IPTV형 66 6. 모바일 IPTV형 72

v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7. 팟캐스트형 74 8. 인터넷방송형 77 9.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80 제2절 서비스 경쟁상황 현황분석 82 1. 분석 개요 82 2. 주요 지표 평가 84 3. 평가지표 종합 94 제 4 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인식 97 제1절 조사개요 99 1. 조사설계 99 2. 설문구성과 조사 항목 99 3. 주요 용어의 정의 102 4. 표본구성 104 5. 조사 수행 방안 105 6. 응답자 구성 107 제2절 조사결과 분석 108 1.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이용 경험율 108 2.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시간 108 3.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목적 130 4.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143 5.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171 6.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174 7.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 176 8.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인식 179 9.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인식 180 10. 주이용 프로그램 유형 181 11. 민원제기 방식에 대한 인식 199

목차 vii 제 5 장 정책적 함의 도출 및 제언 203 제1절 연구결과의 함의 205 제2절 정책적 제언 211 참고 문헌 213 부록 215 <설문지> 217

vi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표 목차 <표 1-1> 국내 주요 N스크린서비스 사업자 4 <표 1-2> N스크린 이용률 추이 4 <표 1-3> 융합 고도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관련 규제공백과 규제불균형의 개념 6 <표 1-4> 연구목표 7 <표 1-5> 연구수행 단계별 목표와 내용 및 범위 9 <표 1-6> 연구 추진 단계별 연구방법 01 <표 2-1>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의 조작적 정의 32 <표 2-2> 조사대상 서비스 유형 및 주요 사례 24 <표 3-1> 푹(pooq)의 주요 연혁 43 <표 3-2> 푹(pooq)의 주요 이용 요금 63 <표 3-3> 푹 채널 편성 현황 37 <표 3-4> 티빙(tving)의 주요 연혁 39 <표 3-5> 티빙(tving)의 주요 이용 요금 43 <표 3-6> KBS 콘피아 의 주요 이용 요금* 50 <표 3-7> imbc 다시보기 정액 이용 요금 53 <표 3-8> sbs 방송보기 자유이용권S 56 <표 3-9> JTBC VOD이용권(다시보기) 95 <표 3-10>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현황 06 <표 3-11> 모바일 실시간 방송 제공 중인 종합편성채널 16 <표 3-12>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는 방송사 16 <표 3-13> KBS의 K 플레이어 26 <표 3-14> SK B tv 요금제별 실시간 방송 채널 07 <표 3-15> SK Btv 다시보기(VOD) 주요 이용요금 07 <표 3-16>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경쟁상황 현황분석 개요 38 <표 3-17>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 이용률 조사 결과 48 <표 3-18> 지상파 방송사 3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회원수(2012년 12월 기준) 6 8 <표 3-19> 주요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인터넷 홈페이지 페이지뷰 성과(2012년 12월 기준) 7 8 <표 3-20> 스마트미디어기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1순위 8 <표 3-21> 지상파 방송사 3사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건수(2012년 12월 기준) 8 8 <표 3-22> IPTV 3사 사업자별 가입자수(단자 기준) 98 <표 3-23> IPTV 실시간 가입자 추이 98 <표 3-24> 팟캐스트 전체 순위(팟빵. 2014년 9월 20일 기준) 09

표 목차 ix <표 3-25> 라디오 청취 방식 19 <표 3-26> 연령별 다시 듣기 청취 방식 19 <표 3-27> 엔터테인먼트분야 인터넷 서비스 웹사이트 순방문자수 순위(2014년 8월 기준) 29 <표 3-28> 방송사업자의 유튜브 계정 현황(2012년 12월 기준) 2 9 <표 3-29> 국내 전체 도메인별 웹사이트 순방문자수 순위(2014년 8월 기준) 49 <표 3-30>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평가지표 종합 95 <표 4-1> 조사설계 9 <표 4-2> 조사 문항 10 <표 4-3> 주요 용어의 정의 103 <표 4-4> 잠정 모집단 설정 104 <표 4-5> 표본 구성 105 <표 4-6> 응답자 구성 107 <표 4-7> 성별에 따른 모바일 전용 인터넷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14 <표 4-8> 거주지역에 따른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14 <표 4-9> 가족구성원에 따른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6 <표 4-10> 가족구성원에 따른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6 <표 4-11>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8 <표 4-12>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8 <표 4-13>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9 <표 4-14>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9 <표 4-15> 가족구성원에 따른 모바일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1 <표 4-16> 가족구성원에 따른 모바일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1 <표 4-17>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3 <표 4-18>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4 <표 4-19>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4 <표 4-20>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5 <표 4-21> 가족구성원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6 <표 4-22> 가족구성원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7 <표 4-23> 성별에 따른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이용시간 차이 129 <표 4-24> 성별에 따른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이용시간 차이 129 <표 4-25> 연령에 따른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실시간서비스 주말 평균 이용시간 차이 129 <표 4-26> 거주지역별 인터넷 홈페이지형 비실시간 서비스 이용목적(교차분석) 132 <표 4-27> 연령별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비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교차분석) 134 <표 4-28> 직업별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교차분석) 135 <표 4-29> 직업별 IPTV형 서비스 비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교차분석) 137 <표 4-30>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비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에 대한 연령별 차이(교차분석) 141

x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표 4-31>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에 대한 가구소득별 차이(교차분석) 141 <표 4-32>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에 대한 가구구성원별 차이(교차분석) 142 <표 4-33>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주이용 시간대 비교 14 <표 4-34> 성별에 따른 OTT형 서비스 평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46 <표 4-35> 연령별 OTT형 서비스 평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46 <표 4-36> 가족구성원별 OTT형 서비스 평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47 <표 4-37> 성별에 따른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48 <표 4-38> 연령별 인터넷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49 <표 4-39> 가족구성원별 인터넷 홈페이지형 평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0 <표 4-40> 직업별 인터넷 홈페이지형 평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1 <표 4-41> 직업별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평일 비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2 <표 4-42> 가구소득별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3 <표 4-43> 가구소득별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4 <표 4-44> 가족구성원별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4 <표 4-45> 직업별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 <표 4-46> 연령별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7 <표 4-47> 직업별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8 <표 4-48> 직업별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59 <표 4-49> 가구소득별 IPTV형 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1 <표 4-50> 가구소득별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1 <표 4-51> 성별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2 <표 4-52> 연령별 모바일 IPTV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3 <표 4-53> 연령별 팟캐스트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5 <표 4-54> 성별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 <표 4-55> 연령별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7 <표 4-56> 연령별 인터넷 방송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7 <표 4-57> 가구소득별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8 <표 4-58> 직업별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9 <표 4-59> 가족구성원별 인터넷 방송형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교차분석) 169 <표 4-60>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172 <표 4-61>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172 <표 4-62> 가구소득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173 <표 4-63> 직업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173 <표 4-64>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175 <표 4-65>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175 <표 4-66> 가족구성원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176

표 목차 xi <표 4-67> 직업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176 <표 4-68>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폭력적 표현 허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17 <표 4-69>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폭력적 표현 허용에 대한 인식 178 <표 4-70> 직업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적 표현 허용에 대한 인식 178 <표 4-71>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공정성 및 객관성 강화 필요성 인식 차이 179 <표 4-72> 성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필요성 인식 차이 181 <표 4-73> 각 서비스별 민원제기방식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20 <표 5-1> 규제 공백과 비대칭 규제 사례 206 <표 5-2>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과 유사한 정보의 심의 규정 210

x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그림 목차 [그림 1-1] 방송통신 융합 고도화 환경에서의 콘텐츠 이용행태 5 [그림 1-2] 연구추진단계의 구성 8 [그림 2-1] 대표적인 OTT서비스 pooq의 온라인 홈페이지 25 [그림 2-2] 인터넷 홈페이지 기반 서비스인 KBS의 자사 홈페이지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26 [그림 2-3] MBC모바일 전용 홈페이지의 주요 방송프로그램 제공 기능 26 [그림 2-4] KBS가 제공 중인 애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K> 72 [그림 2-5] 팻캐스트형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대표적 사례 손석희의 JTBC뉴스9 28 [그림 2-6] 인터넷방송 아프리카TV의 프로야구 중계 실시간 및 비실시간 제공 서비스 29 [그림 2-7] 포털사이트 다음이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동영상 서비스 TV팟 29 [그림 3-1] 푹(pooq)의 실시간 방송 중 타이머신 기능 34 [그림 3-2] 푹(pooq)의 다시보기 서비스 35 [그림 3-3] 푹(pooq)의 실시간 라디오 방송 36 [그림 3-4] 티빙(tving)의 가입자 추이 38 [그림 3-5] 티빙(tving)의 TV 콘텐츠의 전체 편성표 40 [그림 3-6] 티빙(tving)의 방송VOD 서비스 41 [그림 3-7] 티빙(tving)의 방송 서비스 채널 예시 42 [그림 3-8] 에브리온TV 어플리케이션 초기 화면 4 [그림 3-9] 에브리온TV 방송 시작 전 광고 화면과 상세 광고 이동 버튼 45 [그림 3-10] 에브리온TV 방송 채널 구성 일부 46 [그림 3-11] KBS 홈페이지의 실시간 방송 채널 선택 47 [그림 3-12] KBS 홈페이지의 실시간 방송 48 [그림 3-13] KBS 홈페이지의 라디오 방송 다시 듣기 48 [그림 3-14] KBS의 시청자상담실 49 [그림 3-15] imbc의 온에어 서비스(실시간 방송) 51 [그림 3-16] imbc의 온에어플러스+ 서비스(실시간 방송) 15 [그림 3-17] imbc의 온에어플러스+ 서비스(실시간 방송) 25 [그림 3-18] imbc의 라디오 방송 다시듣기(무료) 53 [그림 3-19] sbs.co.kr의 온에어(실시간 방송) 서비스 5 [그림 3-20] sbs.co.kr의 온에어(실시간 방송) 서비스 5 [그림 3-21] JTBC ON-AIR(실시간 방송) 서비스 75 [그림 3-22] JTBC 썰전의 다시보기 메뉴 58 [그림 3-23] JTBC의 콘텐츠 구성 59

그림 목차 xiii [그림 3-24] KBS의 K 플레이어 메뉴 및 재생 화면 63 [그림 3-25] MBC의 라디오 전용 어플리케이션: mbc mini 64 [그림 3-26] mbc mini의 서비스 65 [그림 3-27] SBS 고릴라 65 [그림 3-28] 올레TV 채널 구성 및 이용 요금 67 [그림 3-29] 올레TV 부가서비스 이용요금 68 [그림 3-30] SK B tv 이용요금 69 [그림 3-31] LG U+ TV G 이용요금제 17 [그림 3-32] LG U+ TV G 이용요금제 72 [그림 3-33] Btv mobile 73 [그림 3-34] U+ HDTV 74 [그림 3-35] 팟빵의 팟캐스트 순위 노출 75 [그림 3-36] 팟빵의 팟캐스트 카테고리 순위 노출 75 [그림 3-37] 팟빵의 실시간 라디오 방송 서비스 76 [그림 3-38] 팟빵의 팥 후원시스템 7 [그림 3-39] 유튜브의 KBS drama 채널 78 [그림 3-40] 아프리카TV의 다시보기 방송권 79 [그림 3-41] 곰TV 서비스 이용 80 [그림 3-42] 다음TV팟 TV존 81 [그림 3-43] 네이버TV캐스트 81 [그림 3-44] IPTV 실시간 가입자 증가 그래프 89 [그림 4-1] 방송 콘텐츠 서비스별 이용 경험율 108 [그림 4-2]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시간 비교 109 [그림 4-3] 각 서비스별 하루 평균 이용시간 비교 109 [그림 4-4] OTT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실시간/다시보기) 10 [그림 4-5] OTT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 [그림 4-6]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 [그림 4-7]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2 [그림 4-8]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3 [그림 4-9]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3 [그림 4-10]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5 [그림 4-11]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5 [그림 4-12] IPTV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7 [그림 4-13] IPTV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7 [그림 4-14] 모바일 IPTV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20 [그림 4-15] 모바일 IPTV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20

xiv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그림 4-16] 팟캐스트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2 [그림 4-17] 팟캐스트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123 [그림 4-18]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25 [그림 4-19]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평균 이용시간 비교 126 [그림 4-20]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평균 이용시간 비교 127 [그림 4-21]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평균 이용시간 128 [그림 4-22] OTT형 서비스 이용목적 130 [그림 4-23]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이용목적 131 [그림 4-24]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 이용목적 133 [그림 4-25]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이용목적 134 [그림 4-26] IPTV형 서비스 이용목적 136 [그림 4-27] 모바일 IPTV형 서비스 이용목적 138 [그림 4-28] 팟캐스트형 서비스 이용목적 139 [그림 4-29]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이용목적 140 [그림 4-30]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이용목적 143 [그림 4-31] OTT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145 [그림 4-32]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148 [그림 4-33]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152 [그림 4-34] 앱(애플리케이션)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156 [그림 4-35] IPTV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비교 160 [그림 4-36] 모바일 IPTV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비교 162 [그림 4-37] 팟캐스트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비교 164 [그림 4-38]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비교 165 [그림 4-39]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주이용 시간대 비교 170 [그림 4-40]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비교 171 [그림 4-41] 서비스별 선정성에 대한 인식 비교 174 [그림 4-42] 서비스별 폭력성에 대한 인식 비교 17 [그림 4-43] 서비스별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인식 비교 179 [그림 4-44] 서비스별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인식 비교 180 [그림 4-45] OTT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2 [그림 4-46] OTT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별 유형별 시청 빈도 183 [그림 4-47] 인터넷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4 [그림 4-48] 인터넷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5 [그림 4-49]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6 [그림 4-50]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7 [그림 4-51] 앱(애플리케이션)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

그림 목차 xv [그림 4-52] 앱(애플리케이션)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89 [그림 4-53] IPTV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0 [그림 4-54]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1 [그림 4-55] 모바일 IPTV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2 [그림 4-56] 모바일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3 [그림 4-57]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4 [그림 4-58] 팟캐스트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5 [그림 4-59] 인터넷방송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6 [그림 4-60] 인터넷방송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7 [그림 4-61]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8 [그림 4-62]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별 시청 빈도 199

요약문 xvii 요 약 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의 심의규제체제가 변화된 융합환경에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체제로 재구성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융합형 플랫폼에 기반을 둔 방송콘텐츠 서비스의 제공 실태와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행태에 대한 현황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송사업자 및 이종사업자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비실시간 으로 제공 중인 모든 융합형 플랫폼 기반 방송콘텐츠 서비스를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현황과 이용자 이용실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급격하게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방송콘텐츠 심의규제체계 마련을 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시장경쟁상황과 이용자 인식 및 이용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 하는 것이다. <연구목표> 사업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조사 및 시장경쟁 상황 분석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 행태 및 인식 조사 분석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본 연구는 연구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 사업자의 융합형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시장경쟁상황 조사와 분석 -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이용행태 및 인식 조사와 분석 - 정책적 함의 도출 및 제언 등 총 4단계 체계로 구성된다.

xvi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연구추진단계의 구성>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사업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시장경쟁상황 조사와 분석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인식 조사와 분석 정책적 함의 도출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 추진단계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별로 문헌연구 및 2차 데이터 분석, 사업자의 서비스 플랫폼 홈페이지 분석, 이용자 패널 대상 설문조사, 연구진 브레인스토밍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연구 수행 단계 1단계 :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2단계 : 사업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과 서비스의 시장경쟁상황 조사 및 분석 3단계 :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인식 조사 4단계 : 정책적 함의 도출 및 제언 <연구 추진 단계별 연구방법> 연구 방법 - 문헌연구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화 및 유형구분을 위해 기존 문헌 분석 기존 문헌 분석결과와 서비스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 서비스 플랫폼 온라인 사이트 분석 각 서비스 유형별 사업자의 플랫폼 홈페이지 분석을 통해 서비스 현황 및 실태 조사와 분석 - 문헌연구(2차 데이터 분석) 국내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사업자 및 현황에 대한 동향 및 전망 지료와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 등 경쟁상황 관련 평가 보고서 및 실태조사 결과 활용 - 이용자 패널 대상 설문조사 조사지역 : 전국(제주 포함) 조사방법 : 구조화 된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개별면접 조사(외부 전문 조사기관을 통한 조사로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 표본크기 및 표본추출방법 : 이용자 1,000명(지역 및 인구 구성비율별 층화 후 다단계층화집략추출방법을 통한 표본 추출) - 연구진 브레인스토밍 조사결과에 기초한 연구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규제 및 심의 정책에 대한 함의 및 제언 도출

요약문 xix 제2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 정립 제1절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및 유형에 관한 기존 문헌 검토 존 문헌 고찰 결과 본 연구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개념 및 유형 규정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많은 전통 연구들이 EU가 2007년 발표한 시청각미디어서비스지침의 계층구분모델에 기초하 여 각 국의 상황에 맞는 제도적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집중하였기 때문에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을 규정하는데 소홀하였다. 또한 융합형 콘텐 츠 서비스와 관련한 주무 부처 및 기관이 추진한 융합형 콘텐츠 발전계획 및 연구들 에서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의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기존 문헌 검토 결과는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발전 현실을 보다 잘 반영하고 정책 공백 및 불균형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창출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 및 유형 규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검토 결과 도출된 시사점에 근거하 여 본 연구의 목표 달성에 적합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 규정을 시도하고자 한다. 제2절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 규정 및 유형 정립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은 현재의 국내 서비스 상황 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며, 조사를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과 이용 및 인식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에 활용하기에는 전통 연구에서 제시된 개념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정립한 다. 본 연구에서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를 통한 방송콘텐츠 제공 및 이용 고도화에 따른 심의규제 공백과 불균형 상황에 대응하여

xx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실태 및 경쟁상황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현황 및 인식을 파악이라는 연구 목적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송콘텐츠 심의규제의 공백과 불균형 상황을 낳고 있는 방송사업자와 이종사업자의 실시간/비실시간 방송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실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방송콘텐츠 서비스가 제공 및 이용되고 있는 플랫폼도 융합형 콘텐츠의 개념에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을 현행 방송법에 규정된 방송사업자나 또는 이종사업자가 방송(텔레비전 방 송, 라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이동멀티미디어방송)에 해당하지 않는 형태로 방송 콘텐츠(방송법 제2조 13항에 규정된 방송편성의 단위가 되는 방송내용물인 방송프 로그램)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체적으로는 IPTV 팟캐스트 인터넷방송 N스크린 서비스(OTT, 인터넷홈페이지 기반 서비스,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기반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포털의 자체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및 비실시 간으로 방송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개념의 조작적 정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조작적 정의 현행 방송법에 규정된 방송사업자나 또는 이종사업자가 방송(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이동멀티미디어방송)에 해당하지 않는 형태로 방송콘텐츠(방송법 제2조 13항에 규정된 방송편성의 단위가 되는 방송내용물인 방송프로그램)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체적 으로는 IPTV 팟캐스트 인터넷방송 N스크린 서비스(OTT, 인터넷홈페이지 기반 서비스, 모바 일 전용 홈페이지 기반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포털의 자체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앞 장에서 제시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에 기초하여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의 유형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는 전통 방송사업자는 물론 다양한 이종사업자에 의해서도 제공되고 있다. 이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각각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실시간 및 비실시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유형으로는 OTT형, 인

요약문 xxi 터넷 홈페이지형과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애플리케이션형, IPTV형 및 모바일 IPTV형, 팟캐스트형, 인터넷 방송형, 인터넷 포털사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등이 있다. 서비스 사업자 및 서비스 유형 OTT형 (Over The Top) 인터넷 홈페이지형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애플리케이션형 <조사대상 서비스 유형 및 주요 사례> 전통 방송 사업자 대표적 사례 이종사업자 실시간 비실시간 실시간 비실시간 티빙(TVing), 푹(pooq) 등의 실시간 방송 보기 www.kbs.co.kr 실시간(on-air) 방송 보기 www.m.imbc.com 실시간 (on-air)방송 보기 KBS 애플리케이션 K 의 생방송 서비스 티빙(TVing), 푹(pooq)의 다시 보기 서비스 www.kbs.co.kr 다시보기 서비스 www.m.imbc.com 다시 보기 서비스 KBS 애플리케이션 K 의 다시시청 서비스, 각 방송프로그램 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IPTV형 - - 모바일 IPTV형 - - 팟캐스트 (Podcasting)형 인터넷 방송형 - - 인터넷 포털사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 - - tvmobile.olleh. com 실시간 서비스 B tv mobile 애플리케이션 실시간 보기 서비스 올레TV의 실시간 채널 서비스 올레TV 모바일의 실시간 채널 서비스 - - 팟빵TV - - 아프리카TV의 JTVClive 다음 tv팟 생중계, 네이버 생중계 sk btv.co.kr의 VOD다시보기 tvmobile.olleh. com 다시보기 서비스 B tv mobile 애플리케이션 VOD 서비스 올레TV의 VOD서비스 올레TV 모바일의 지상파 무제한 다시보기 서비스 팟빵의 손석희의 JTBC 뉴스9 아프리카TV의 프로야구 주요장면 다음 tv팟, 네이버 TV캐스트

xx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제3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현황 조사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를 공통적인 지표를 통해 비교분석할 수 있는 2차 데이터 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주요 서비스들 에 대한 이용률과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의 이용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각 각의 평가지표를 종합하면 아래 표와 같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평가지표 종합>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OTT형 서비스 인터넷 홈페이지형 애플리 케이션형 IPTV형 팟캐스트형 인터넷 방송형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평가지표 -티빙은 2014년 7월 21일 기준 가입자 660만 명을 달성(2014년 4월 기준 디지털 케이블 TV방송 가입자 수 6,435,423명, KT IPTV서비스의 2014년 8월 기준 가입자인 548만 명 보다 많은 규모) - 푹은 2013년 2월 무료 가입자 140만 명, 유료가입자 12만 명 확보 -지상파 방송사 3사(SBS, MBC, KBS)의 인터넷 홈페이지 회원수 합계는 6천7백만 명 (2012년 12월 기준) -지상파 3사 중 가장 적은 MBC의 회원수는 티빙의 2014년 7월 21일 기준 가입자 660만 명, KT IPTV서비스 2014년 8월 가입자 548만 명,2014년 4월 기준 국내 디지털 케이블 TV방송 가입자 6,435,423명 보다 많음 - 지상파 3사 인터넷 홈페이지 월평균 페이지뷰 수는 KBS 인터넷 홈페이지가 1,650,770,226회, SBS의 인터넷 홈페이지가 180,000,000회, 문화방송 인터넷 홈페이 지가 38,748,016회 등의 순(2012년 12월 기준)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인터넷 홈페이지 월평균 페이지뷰의 경우 4백만 회 이상인 사업 체도 9개 업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홈쇼핑 제외, 2012년 12월 기준)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지상파 방송사 3사가 운영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수는 한국방송공사 14,217,717회, SBS 12,000,000회, 문화방송 3,288,235회를 기록 -2014년 8월 16일 기준 IPTV 서비스 가입자 수는 1,000만 명을 넘어섬(KT 548만 명, SK브로드밴드 250만 명, LG유플러스 202만 명) -방송통신위원회(2013)의 <방송매체이용행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응답자 중 3.3%만이 팟캐스트를 포함한 다시듣기를 통해 라디오를 듣는다고 응답 -전체 응답자 중 다시듣기 청취(팟캐스트 포함)를 한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10~30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유튜브의 2014년 8월 순방문자 수는 엔터테인먼트분야 1위에 해당하는 12,454,000명, 곰TV와 판도라TV가 각 각 2014년 8월 기준 순방문자수 3,973,000명과 2,765,000명을 기록. 2014년 2월 기준 아프리카TV의 월간 순이용자는 2,400,000만 명 - 2014년 8월 네이버와 다음의 순방문자수는 각 각 30,885,000명과 26,841,000명 - 코리아클릭의 국내 동영상 서비스 순방문자 수(2014년 1월~6월) 분석결과 이 기간 동안 유튜브가 가장 많은 순방문자수를 기록하였고 다음TV팟, 네이버TV캐스트, 곰TV, 판도라TV, 엠군, 아프리카TV, 티빙 등으로 순으로 순방문자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요약문 xxiii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비해 팟캐스트형 서비스를 통한 방송콘텐츠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팟캐스트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콘텐츠의 대부분이 라디오 비실시간 (다시듣기)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방송통신위원회(2013)의 <방송매체이용행태조 사>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응답자 중 3.3%만이 팟캐스트를 포함한 다시듣기를 통해 라디오를 듣는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서비스나 인터넷방송을 통한 방송콘텐츠 이용률에 비해 OTT를 통한 방송콘텐츠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코리 아클릭의 국내 동영상 서비스 순방문자 수(2014년 1월~6월) 분석결과 국내 최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OTT서비스 티빙의 순방문자수는 인터넷방송 서비스인 유튜브, 곰TV, 판도라TV, 엠군, 아프리카TV 등에 비해 적었고,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인 다음TV팟, 네이버TV캐스트에 비해서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TT서비스 이용률은 디지털 케이블TV 이용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국내 최대 OTT서비스 티빙만의 2014년 7월 21일 기준 가입자는 660만 명으 로 2014년 4월 기준 국내 전체 디지털 케이블TV방송 가입자 수 6,435,423명보다 많았다. 넷째, IPTV가 유력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바일 및 가정형 IPTV의 가입자는 2014년 8월 16일을 기준으로 KT 548만 명, SK브로드밴드 250만 명, LG유플러스 202만 명 등 1,000만 명을 넘어섰 다. 이러한 규모는 가입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선 것이기 때문에 최대 온라인 동영 상 서비스 유튜브의 2014년 8월 전체 순방문자수인 12,454,000명과 비교해도 적지 않은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섯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부문에서 인터넷방송에 속하는 유튜브의 높은 점 유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리아클릭의 국내 동영상 서비스 순방문자 수(2014년 1월~6월) 분석결과 해당 기간에 유튜브가 가장 많은 순방문자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xxiv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제4장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인식 제1절 조사개요 본 조사의 대상은 만 13세 이상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자로 한정한다. 표본 틀은 통계청(2010)의 <2010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인구수에 2013년 인터넷 이용률 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유효표본은 1,000명을 확보하여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0%p를 확보하며, 조사기간은 2014년 7월~8월이며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에 기초한 면접원 활용 1:1면접조사를 활용한다. <조사설계> 구 분 조사대상 표본틀 표본수 및 표본오차 조사기간 조사방법 설계 내용 만13세 이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자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인구수에 2013년 인터넷이용률 적용 1,000명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0%p) 2014년 7월~8월 구조화된 설문지에 기초한 면접원 활용 1:1면접조사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전통 방송 서비스 이용 경험, 전통 방송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전통 방송 서비스의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 경험, 각 유형별 융합 형 콘텐츠 서비스(실시간/비실시간)의 이용 행태 및 인식(서비스 이용 이유, 서비스 이용 빈도, 서비스를 통한 콘텐츠 장르별 이용 빈도, 서비스 주요 이용 시간대, 서비스 주요 이용 장소,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는 콘텐츠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 전통 TV 및 인터넷 이용행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면접원을 선발/운용하며, 적절한 관리 방안을 도입하여

요약문 xxv 조사 동기를 고취시켜 진행한다. 진행률 및 데이터 품질에 따른 인센티브 및 면접원 평가 가산점 제도를 도입하여 면접원들의 본 조사에 대한 참여 동기 유발을 한다. 또한, 전담 연구원에 의한 아래와 같은 교육을 수료한 면접원에 한해 조사에 투입하 여 조사 품질향상을 도모한다. 구성항목 구성 목적 구성형태 전통 방송서비스 이용 경험 전통 방송서비스 영향력에 대한 인식 전통 방송 서비스의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 경험 각 유형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실시간 /비실시간)의 이용 행태 및 인식 전통 TV 및 인터넷 이용행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조사 문항> 전통 방송서비스 이용 경험 유무 파악 후 각 방송서비스 이용자별로 그 영향 력과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 및 비교분석하기 위해 구성 전통 방송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 식을 파악하고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기 위 해 구성 전통 방송서비스에 대한 심의 수준 인 식 파악 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 기 위해 구성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이용 경험 자 선별하고 파악하기 위해 구성 각 융합형 콘텐츠의 실시간/비실시간 이용행태 및 심의 수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서비스별/전통 방송 등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구성 전통 TV와 인터넷의 이용행태를 융 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행태와 비교 하고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파악하 고 이에 기초하여 융합형 콘텐츠 서비 스 이용 행태 및 인식의 차이를 인구 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파악하기 위해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지상파방송, DMB 이용 경험 유무 질문 국민의 가치관, 여론 형성, 문화창달, 공중도덕 및 사회윤리 형성과 변화, 국민의 인력형성, 아동 및 청소년 보 호 등에 관한 전통 지상파 방송의 영 향력을 질문 선정성, 폭력성 등 방송심위의 기본 적 사항들에 해당되는 묘사 및 표현을 지상파 방송에서 어느 정도 허용하여 야 하는지 질문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어떤 단말기 를 활용하여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경 험을 질문 서비스 이용 이유, 서비스 이용 빈도, 서비스를 통한 콘텐츠 장르별 이용 빈 도, 서비스 주요 이용 시간대, 서비스 주요 이용 장소, 서비스를 통해 이용 하는 콘텐츠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심 의 수준에 대한 인식 등을 질문 전통 방송 및 인터넷 이용시간, 인터 넷 이용 숙련도 등을 질문 직업, 연령, 소득, 성별, 가족구성, 거 주지역 등을 질문

xxv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며, 논리적 검증, 빈도 분석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데이터 클리닝을 진행한다. 데이터 분석은 빈도분 석, 교차분석 등을 비롯해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다. 한편 본 조사 응답자 수는 1,000명이며 응답자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구성> 성별 연령 거주 지역 월 평균 가구소득 가족 구성원 직업 구 분 사례수 (명) 비율 (%) 전 체 1,000 100.0 남성 500 50.0 여성 500 50.0 10대 192 19.2 20대 189 18.9 30대 206 20.6 40대 209 20.9 50대 이상 204 20.4 수도권 334 33.4 비수도권 666 66.6 300만원 미만 346 34.6 300-500만원 미만 357 35.7 500만원 이상 297 29.7 독신가구 100 10.0 1세대가구 89 8.9 2세대가구 730 73.0 3세대가구 68 6.8 기타 13 1.3 학생 253 25.3 직장인(공무원 포함) 441 44.1 전업주부 117 11.7 자영업 및 사업 85 8.5 프리랜서 38 3.8 무직 49 4.9 기타 17 1.7

요약문 xxvii 제2절 조사결과 분석 1. 전통 방송서비스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이용 경험율 전통 방송과 케이블TV방송, DMB, 지상파방송의 이용 경험율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 경험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통 방송 중 위성방송의 경우 방송사 인터넷 홈페이지, 인터넷 방송, 포털사이트 자체적인 동영상 서비스, IPTV 등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보다 이용 경험율이 낮았다. 조사 결과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중 케이블TV방송의 이용 경험율이 8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DMB(85.0%), 지상파방송(78.4%) 등의 전통 방송역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에 비해 이용 경험율이 높았다. 한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에는 방송사 인터 넷 홈페이지 66.7%, 인터넷 방송 66.3%, 포털사이트 자체적인 동영상 서비스 61.1% 등의 순으로 이용 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 2.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시간 전통 방송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통 방송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292.6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257.4분으로 조사되었다. 각 서비스별 하루 평균 이용시간을 살펴보면, 전통 방송의 경우 케이블 TV방송을 이용하는 시간이 118.1분 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IPTV가 103.1분으로 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에 비해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모든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서 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평일보다 주말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을 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주말과 평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스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서,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서

xxvi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났다. 성별에 따른 모바일 전용 인터넷 홈페이지형 실시간서 비스 평일 이용시간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45.24분)이 여성(26.23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수도권(67.78분)이 비수도권 (41.00분)보다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앱형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을 실시간서 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주말과 평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가족구성원에 따라 비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과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앱형 비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 차이 검증 결과 독신가구(137.31분)가 2세대 가구(42.25분)와 3세대 가구(37.74분)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구성원에 따른 앱형 비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 차이 검증 결과 유의확률 0.014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형 비실시간서비 스 주말 이용시간의 경우 독신가구(143.1분)가 2세대 가구(53.6분)보다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IPTV형 실시간서비스 및 비실시간서비스의 평 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과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족구성 원에 따라 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평일과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25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세부적으로는 IPTV형 실시간 서비스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의 경우 독신가구(113.87분)가 2세 대 가구(56.20분)와 3세대 가구(30.82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 에 따른 IPTV형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11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IPTV형 실시간 서비스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 의 경우 독신가구(161.13분)가 1세대 가구 (74.99분), 2세대 가구(76.58분), 3세대 가구(44.88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비실시간서 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의 경우 독신가구(170.68분)가

요약문 xxix 1세대 가구(102.67분), 2세대 가구(70.56분), 3세대 가구(93.36분)보다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IPTV형 서비스 비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PTV형 비실시간서비 스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의 경우 독신가구(192.44분)가 2세대 가구(87.19분)보 다 많았으며, 1세대 가구 (148.32분)가 2세대 가구(87.19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모바일 IPTV형 서비스의 이용시간 차이를 검증 한 결과 가족구성원에 따라 비실시간서비스의 평일과 주말 평균 이용시간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모바일 IPTV형 비실시간서비 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6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39.50분)가 1세대 가구(49.53분), 2세대 가구(48.96분), 3세대 가구(41.65분)보다 많았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모바일 IPTV형 서비스 비실 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14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고,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42.43분)가 1세대 가구(28.15분), 2세대 가구(56.12 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팟캐스트형 서비스 이용시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족구성원에 따라 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평일 하루 평균 이용 시간과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 의확률 0.003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27.28분) 가 1세대 가구(40.23분), 2세대 가구(31.55분), 3세대 가구(44.35분)보다 많은 것 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 용시간은 유의확률 0.002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는 독신가구(138.11분)가 1세대 가구(28.23분), 2세대 가구(33.74분), 3세대 가구 (47.42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는 많지 않은 상황인데, 이에 비해 조사 결과 나타난 실시간서비스 이용시간 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원의 충분한 설명에도 불구하

xxx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고 응답자가 팟캐스트 비실시간서비스와 실시간서비스의 이용 경험에 대한 인식 착오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형 비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5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50.76분)가 1세대 가구(56.38분), 2세 대 가구(40.99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팟캐스트형 비실 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40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36.89분)가 1세대 가구(33.11분), 2세대 가구(44.29 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이용시간 차이를 검증 한 결과 가족구성원에 따라 실시간서비스에서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과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4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93.66분)가 1세대 가구(48.99분), 2세 대 가구(34.82분), 3세대 가구(31.26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원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00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독신가구(133.94분)가 1세대 가구(40.00분), 2세대 가구(41.83분), 3세대 가구(29.44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의 이용시간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과 가족구성원에 따라 실시간서비스의 평일과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라서는 실시간서 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포털사이 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 차이에 대한 검증 결과 유의확률 0.01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의 평일 하루 평균 이용시간의 경우 남성이 45.12분, 여성이 30.71분으로 남성의 이용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

요약문 xxxi 역시 유의미한 차이(유의확률 0.03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64.14분)이 여성(37.86)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포털사 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의 주말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유의확률 0.03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10대(86.42분)가 20대(33.23분), 30대(40.35분), 40대(48.02분), 50대 이상(38.08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목적 모든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서 서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못 본 방송프로그램(재방송 포함)을 보기 위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이용목적의 차이 를 검증한 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비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비실시간서비스 이용 목적의 차이를 살펴보면 못 본 방송프로그램을 보기위해(재방송 포함)라는 응답이 모든 지역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수도권지역 응답자의 응답률은 43.8%, 비수도권지역 응답자의 응답률은 54.5%로 비수도권지역 응답자의 응답률이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앱형 서비스 이용목적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비실시간서비스에서, 직업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스에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비실시간서비스의 이용목적에 대해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위해(재방송 포함)라 는 응답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나 40대의 경우 이동 시간 남는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가 36.3%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직업별로는 실시간서비스의 이용 목적 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위해라는 응답은 모든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프리랜서(66.7%)와 학생(62.3%)에서 응 답률이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IPTV형 서비스 이용목적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업에 따라 비실시간서비스 이용목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xxx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다. 모든 직업군에서 비실시간서비스의 이용목적은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위 해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전업주부의 경우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위해 라는 응답의 응답률이 90.3%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이용목적의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연령별로는 비실시간서비스에서, 가구소득과 가족구성원별로는 실시간서 비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령별로는 비실시간서비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모든 연령에서 못 본 방송프로그램을 보기위해(재방송 포함) 이용한다는 비율이 동일하게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30대가 53.7%로 응답률 이 가장 높았고 40대가 33.3%로 가장 낮았다. 가구소득별로는 실시간서비스에서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이용목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 득 기준 모든 집단에서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라는 응답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이러한 응답은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원 미만에서 81.0%로 가장 높았 다. 가족구성원별로도 실시간서비스에서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 이용목적에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모든 가족구성원별 집단에서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라는 응답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가족구성원별 집단 중 기타집단의 경우 못 본 방송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라는 응답의 응답률이 88.9%로 가장 높았으나 응답사례수가 9개로 적었다. 4.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주이용 시간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서비스가 평일/주 말과 상관없이 18:01~02:00에 이용한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말의 경우 각 서비스별 실시간 주이용 시간대가 14:01~02:00로 평일 대비 상대적 으로 넓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주이용 시간대가 대부 분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평일 오전 7시~오전 9시, 오후 1시~오후 10시/토요일 공휴일 방학기간의 경우 오전 7시~오후10시/유료채널의 경우 오후 6시~오후 10 시)에 포함됨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OTT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보

요약문 xxxiii 면 성별, 연령별, 가족구성원에 따른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14, 0.038, 0.037)의 차이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집단별 OTT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에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인터넷 홈페이지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별, 가족구성원에 따른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 대(P=0.002, 0.000, 0.021)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에 따라서는 평일 실시간서비스와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주이용 시간대(p=0.001, 0.000)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집단별 인터넷 홈페 이지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서비스의 주이용 시간 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비실시간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경우 가구소득은 평일(P=0.025)과 주 말(P=0.009) 모두에서, 가족구성원과 직업에 따라서는 평일 주이용 시간대 ((P=0.010, 0.001)에 각 각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앱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보면 실시간서비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비실시간서비스의 경우 연 령에 따라 평일(P=0.001)에, 직업에 따라 평일(P=0.000)과 주말(P=0.005)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IPTV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 보면 다른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가구소득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 스 주말(P=0.049)과 비실시간서비스 평일(P=0.049) 주이용 시간대에 각 각 유의 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도 비실시간서비스 평일(p=0.015, 0.049) 주이용 시간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모바일 IPTV형 서비스의 주이용 시간대 차 이를 살펴보면 연령별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42)에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이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없었다.

xxxiv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팟캐스트형 서비스 주이용 시간대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른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연령에 따른 실시간서 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43)에서만 유의미 차이가 나타났다.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콘텐츠는 많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결과 나타난 실시간서비스 이용시간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원의 충분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응답자가 팟캐스트 비실시간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의 이용 경험에 대한 인식 착오가 다소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방송형 서비스의 주이용 시간대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21)에, 연령에 따라서는 실시간과 비실시간서비스 모두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02, 0.010)에, 가구 소득에 따라서는 실시간서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03)에, 가족구성원 에 따라서는 비실시간서비스 주말 주이용 시간대(P=0.033), 직업별로는 실시간서 비스 평일 주이용 시간대(P=0.000)에 각 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5.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여론형성, 사회통합, 문화창달, 국민의 가치관과 인격형성, 공중도덕 및 사회윤리형성 등)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응답 자들은 전통방송(3.75점)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3.53점)에 비해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영향력의 크기에 대한 인식은 비교해보면 IPTV(3.59점),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58점), 인터넷 홈페이 지(3.57점)에서 다른 서비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팟캐 스트(3.55점), 모바일 IPTV(3.54점)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다.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가구소득,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집단별 영향력에 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문 xxxv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 (3.58점)이 남성(3.47점)에 비해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의 확률 0.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50대 이상(3.64점)이 영향 력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0대(3.31점)가 영향력이 가장 작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확률 0.00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 세부적으로는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3.62점)인 경우 300만원 미만(3.44점)보 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영향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확률이 0.003으로 직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학생 (3.40점)이 직장인(3.60점), 전업주부(3.67점)보다 영향력이 작다고 인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업주부(3.67점)의 경우 무직(3.40점)보다 영향력이 크다 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에 대한 인식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전통방송(2.90)보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 스(3.13)에 대해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전통방송에 비해 높다는 이용자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세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로 선정성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보면, 선정적 표현 및 묘사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23점), 인터넷 홈페이지(3.21점), 포털 사이트 자체 동영상(3.17점) 등 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선정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성별, 연령, 가족 구성원,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

xxxv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이 0.05 이상으로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선정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유의확률 이 0.000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여성 (3.31점)이 남성(2.95점)보다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 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적 표현 및 묘사 허용 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유의확률이 0.000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40대(3.25점)가 10대(3.01 점), 20대(3.01점), 30대(3.02점) 보다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 이상(3.34점) 또한 10대, 20대, 30대 보다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적 표현 및 묘사 허용 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직장인(3.15점)이 학생(3.03점)보다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업주부(3.40점) 의 경우 학생(3.03점), 직장인(3.15점), 자영업 및 사업(3.02점), 무직(3.02점)보다 선정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 전통 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성(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 는 안 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통 응답자들은 전통방송(3.03) 보다 융합형 콘텐츠(3.23)에 대해 폭력적 표현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더 강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 방송에 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누구나 쉽게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이용 자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 정도를 비교해보면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32점), 인터넷 홈페이지(3.32점), 포털 사이트 자체 동영상(3.25점) 등의 순으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약문 xxxvii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적 표현 및 묘사 허용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별,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폭력적 표현 및 묘사의 허용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유의확률이 0.000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여성(3.37점)이 남성(3.09점)보다 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융합형 콘텐 츠 서비스의 폭력적 표현 및 묘사 허용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유의 확률이 0.000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40대 (3.36점)가 10대(3.06점), 20대(3.12점), 30대(3.15점) 보다 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대 이상(3.34점) 의 경우에도 10대, 20대, 30대 보다 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폭력적 표현 및 묘사 허용정도에 대한 인식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학생(3.07점)이 직장인(3.25점), 무직(3.19점)보다 폭 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업주부(3.53점)의 경우 학생(3.07점), 직장인(3.25점), 자영업 및 사업 (3.22점), 무직(3.19점)보다 폭력적 표현 및 묘사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8.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인식 전통 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공정성 및 객관성(강화 필요성)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면 이용자들은 전통방송(2.97점)보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3.15 점)에 대해 공정성 및 객관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로 공정성 및 객관성이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OTT(3.21점),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21점), 인터넷 홈페이지

xxxvi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3.18점), 앱(애플리케이션)(3.18점) 등의 순으로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공정성 및 객관성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유의미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공정성 및 객관성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 며, 세부적으로는 여성(3.26점)이 남성(3.04점)보다 공정성 및 객관성 강화 필요성 에 대한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9.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인식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보호 필요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해보면 전통방송(3.13점)에 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3.25점)에 대해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로 프라이버시 보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면 OTT(3.29점), 인터넷 홈페이지(3.26점),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25점) 등의 순으 로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스 보호 강화 필요성 인식을 비교해보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집단에서는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성별에 따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이 검증 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 으로는 여성(3.34점)이 남성(3.17점)보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주이용 프로그램 유형 OTT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요약문 xxxix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4.4%)였고,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13.5%)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 이 가장 높은 유형은 애니메이션(32.9%),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영화(33.6%)였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 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0.8%)로 나타났다. OTT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4.3%) 였고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인포테인먼트 (14.6%)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 은 코미디(23.1%),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음악쇼 (37.3%)였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다큐멘터리(43.0%)로 나타났다. 인터넷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9.9%),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14.6%)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 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영화(20.5%)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 이 가장 높은 유형은 생활정보(30.0%)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 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7.1%)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7.4%),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드라마(14.6%)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퀴즈 및 게임쇼(23.4%)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30.9%)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인포테인먼트(41.3%)로 나타났다.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 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6.7%),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버라이티어티쇼(15.2%)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코미디(21.5%)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

xl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30.3%)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45.3%)로 나타 났다.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7.2%),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영화(17.1%)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 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버라이어티(25.9%)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한 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음악쇼(33.1%)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39.0%)으로 나타났다. 앱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7.2%),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드라마(15.8%)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영화(24.6%)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34.1%)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 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애니메이션(40.0%)으로 나타났다. 앱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 (17.3%),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애니메이션 (16.4%)로 나타났다. 또한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 은 생활정보(23.4%)였고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32.7%)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퀴즈 및 게임쇼(36.6%)로 나타났다. IPTV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 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22.2%)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 중이 가장 높은 유형 역시 뉴스(18.0%)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인포테인먼트(21.9%)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33.6%)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 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37.1%)로 나타났다. IPTV형 비실 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요약문 xli 유형은 뉴스(32.7%)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드라마(17.9%)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 은 유형은 버라이어티쇼(25.3%)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34.1%)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1.4%)이었다. 모바일 IPTV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 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8.6%)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음악쇼(18.8%)와 스포츠(18.8%)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생활정보(29.8%)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드라마(34.0%)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36.4%)이 었다. IPTV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7.9%)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15.7%)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드라마(23.4%)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다큐멘터리(32.0%)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 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4.4%)이었다. 팟캐스트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6.3%)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14.9%)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인포테인먼트(29.5%)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 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다큐멘터리(40.2%)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1.5%)이었다. 팟캐스트형 실시간 서비스로 제공되는 방송콘텐츠는 많지 않은 상황에 비해 조사 결과 나타난 실시간서 비스 이용시간이 많은 것으로 보이며 응답자가 팟캐스트 비실시간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의 이용 경험에 대한 인식 착오가 다소 반영된 것으로 분석 가능하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팟캐스트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xl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20.5%)로 나타났다. 1주일 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인포테인먼트(18.2%)로 나타났 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버라이어티쇼(25.5%) 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코미디(33.0%)와 생활정보(33.0%)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49.5%)이었다. 인터넷방송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4.2%)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 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5.0%)와 드라마(15.0%)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 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애니메이션(23.8%)이었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게임 및 퀴즈쇼(36.5%)로 나타났 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다큐멘터리(41.7%)였 다. 인터넷방송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7.7%)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스포츠(16.3%)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 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음악쇼(23.5%)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 및 문화예술(30.8%)로 나타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37.4%)이었다.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2.1%)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버라이어티쇼(14.2%)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생활정보(20.0%)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시사보도(30.5%)로 나타 났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토론(48.9%)이었 다.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비실시간서비스를 통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중 매일 이용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뉴스(18.3%)로 나타났다. 1주일에 5~6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영화(14.1%)로 나타났고 1주일에

요약문 xliii 3~4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다큐멘터리(23.1%)였다. 1주일에 1~2일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교육/문화예술(35.8%)로 나타났 고 한 달에 3일 이하 이용한다는 응답비중이 가장 높은 유형은 코미디(36.8%)였다. 11. 민원제기 방식에 대한 인식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제공되는 방송콘텐츠의 내용에 불만(폭력성, 선정성, 객관성 및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과 관련한)이 있을 경우의 민원제기 방식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서 사업자방송 통신심의위원회에 민원을 요구 및 제기할 수 있다는 응답이 할 수 없다는 응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콘텐츠 내용의 선정성, 폭력성, 객관성 및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과 관련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해 야 한다는 응답이 심의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중 제공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불만(폭력성, 선정성, 객관성 및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과 관련한)이 있을 경우 사업자에게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는 응답은 앱형 실시간 서비스가 77.8%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방송형 비실시간 서비스가 69.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중 제공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불만(폭력성, 선정성, 객관성 및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과 관련한)이 있을 경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에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는 응답은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가 78.7% 로 가장 높았고, 포털 사이트 자체 동영상 서비스형 실시간서비스가 68.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콘텐츠 내용의 선정성, 폭력성, 객관성 및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과 관련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해 야 한다는 응답은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실시간서비스가 79.1%로 가장 높았고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형 비실시간서비스가 6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xliv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제5장 정책적 함의 도출 및 제언 제1절 연구결과의 함의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점을 제시한다. 첫째, 기존 방송서비스의 이용 경험의 결과, 유료방송인 케이블 방송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는데, 지상파 방송도 케이블 방송을 통해 시청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방송분야에서 케이블 방송의 영향 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융합서비스는 방송사 인터넷홈피> 인터넷 방송> 포털사이트 자체 동영상> IPTV> 애플리케이션> 방송사모바일전용 홈피> 모바일 IPTV> 팟캐스트> OTT 순으로 나타났는데 방송의 보조적인 역할로서 융합 서비스 의 위상이 나타났다. 즉 방송이용 중 놓친 콘텐츠나 보완이 필요한 장면을 충족시키 기 위해 직접적으로 방송사 홈피에 접속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종합적으 로 이용매체를 보면 다양한 매체를 대체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평균 이용시간 측면에서 보면 전통방송(292.6분, 약 4시간 53분)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240.4분, 약 4시간)의 이용 총량이 유사하다. 수용자의 전체 미디어 이용 시간을 최대 7시간 정도로 가정한다면 전통방송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대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방송의 경우 3~5시간미만(32.7%),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 1시간미만(31.1%)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높게 나온 점에 서 보면, 전통방송은 아무래도 고정형 미디어로서 린백(lean back)수용자의 이용 태도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경우에는 전통미디어를 보조하 고 선택과 집중이 가능한 미디어(lean forward)로서 수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청 지속 시간이 짧을 것이다. 둘째, 각 유형 별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실시간/비실시간)의 이용행태 및 인식을 보면, 실시간 방송에서는 주로 못 본 방송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봤던 방송프로그램 을 다시 보기 위해, 원하는 시간에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이용한다는 답변이 주로 나왔고, 비실시간 방송에서는 못 본 프로그램, 봤던 방송 다시 보기, 이동시간 남는 시간 활용 등이 대다수 답변의 내용이었다. 실제 각 매체별로 답변의 순서는 약간 차이가 있었지만, 실시간 방송에서는 이 세 답변 내에서 순위 차이가 있었고, 비실시

요약문 xlv 간 방송은 이동형 매체 이용을 이용할 시에 이동시간 남는 시간 활용 등의 답변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매체 이용 목적을 살펴보면, 융합형 콘텐츠가 실시간이든 비실 시간이든 콘텐츠 수용에 목적이 있으며 매체의 성격에 따라 콘텐츠의 성격을 달리 판단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심의 규제에 관한한 콘텐츠 내용 그 자체를 겨냥해야하며 콘텐츠 서비스 유형에 따른 불균형 규제는 콘텐츠 공공성을 유지시킬 수 없음을 시사한다. 셋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주이용 시간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서비스가 평일/주말과 상관없이 18:01~02:00에 이용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 다. 또한, 주말의 경우 각 서비스별 실시간 주이용 시간대가 14:01~02:00로 이용하 는 시간대가 평일 대비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로 나타났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평일 주말 상관없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방송통신 융합환경 에서 미디어의 이용이 다원화되고 주어진 시간에 여가생활을 위한 매체가 아니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미디어 이용과 충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넷째, 방송서비스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면, 융합형 콘텐츠 대비 전통방송이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 방송서비 스가 콘텐츠 파워가 있음을 나타내며, 원 소스인 콘텐츠를 전통방송서비스에서 제 공하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멀티 유즈 하는 것처럼, 창구 효과적 측면에서 융합 형 콘텐츠 서비스가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콘텐츠 내용면에서의 영향 력은 콘텐츠가 실시간이든 비실시간이든 그 자체의 스토리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적 측면에서 동일하며, 콘텐츠의 중요도와 인기도에 따라 시청 선호도는 달라 질 것이다. 그러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내에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IPTV(3.59점) 와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3.58점), 인터넷 홈페이지(3.57점)에서의 영향력이 높았 으며, 팟캐스트(3.55점), 모바일 IPTV(3.54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IPTV는 케 이블 TV와 동일 서비스로서 가입자가 많기 때문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기존 방송서비스와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 폭력성, 공정성 객 관성,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 비교 결과, 전통방송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선정

xlv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성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면 전통방송 대비 융합형 콘텐츠의 선정성에 대해 규제해 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방송 대비 융합형 콘텐츠의 폭력성에 대해 규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방송 대비 융합형 콘텐츠 의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해 규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방 송 대비 융합형 콘텐츠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해 규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선정성, 폭력성, 공정성 객관성, 프라이버시에 대한 규제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기존 방송서비 스이든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이든, 실시간이든, 비실시간이든 콘텐츠가 우리의 가 치와 정신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콘텐츠의 내용에 대해 규제되어야함을 제시하고 있는 결과이다. 여섯째, 각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이용 프로그램 조사 결과, 대체로 실시간은 뉴스, 드라마, 버라이어티 등이 이용되었고, IPTV는 드라마와 뉴스의 순으로 나타 났으며 팟캐스트는 뉴스 시사보도, 포탈사이트는 뉴스와 스포츠 등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주로 보도와 오락 프로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도 는 공정성 객관성이 위배될 경우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사회적 영향력이 부정적으로 확장될 위험이 상존해 있으며, 오락의 경우에 는 선정성, 폭력성 콘텐츠의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유형에 상관없 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콘텐츠의 내용의 심의가 필요할 것이다. 일곱째,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별 민원제기 방식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 의 서비스에서 사업자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민원을 요구 및 제기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방송통신 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해야 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 다. 현행 방송법에 따르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심의규정이 적용되는 방송심 의 내용규제의 대상은 방송사업자가 행하는 방송(방송법 제2조, 제32조, 제10조)인 지상파, SO, 위성, PP, DMB, 중계유선방송, 전광판방송 등이다. 또한 방송과 유사 한 정보 : 방송사업자ㆍ중계유선방송사업자 전광판방송사업자가 전기통신회선을 통해 방송, TV, 라디오 등의 명칭으로 일정한 편성계획에 따라 유통시키는 정보(방송법시행령 제21조)도 심의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사업자가 직접 운영하는

요약문 xlvii 인터넷사이트나 모바일 플랫폼에서 유통시키는 정보에 대해서이다. 이러한 규정에 따르면 서비스별 심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 방송법에 규정된 방송사 와 방송사 직접 운영 사이트에 대해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심의할 수 있지만 다른 서비스에 대해서 민원이 제기된다고 해도 심의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용자들 이 서비스별 문제가 발생했을 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게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방송사 모바일 인터넷 홈페이지, 방송사 인터넷 홈페이지, 애플리 케이션의 경우 타 서비스 대비 높게 나타났으며, 방송통신 심의위원회에 시정조치 및 민원을 제기 할 수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방송사 인터넷 홈페이지, 방송사 모바일 인터넷 홈페이지, 모바일 IPTV, 포털사이트 자체동영상의 경우에 높게 나타 났다. 또한, 방송통신 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해야 한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방송사 인터넷 홈페이지, 방송사 모바일 인터넷 홈페이지, 모바일 IPTV등에서 높게 나타났 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유추해볼 수 있는 사실은 이용자들이 IPTV를 방송과 유사한 공기업으로 인지한다는 것인데, IPTV의 경우 방송과 똑같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하기 때문에 기존 방송과의 차별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IPTV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심의되어야 함을 상식처럼 느끼고 있는데, 현실은 불균형 적으로 규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통일적인 규제가 필요함을 직시할 수 있다. 제2절 정책적 제언 본 연구의 조사 시사점을 통해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망을 통한 비실시간 프로그램 서비스와 방송프로그램의 인터넷 다시보 기서비스, IPTV의 실시 간 및 비실시간 프로그램에 대한 규제 공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방송법시행령 제21조 1항의 방송유사정보 의 범주에 특 정 요건을 갖춘 비실시간 프로그램이 포함되도록 규정 개정할 필요가 있다. 방송유 사정보 에 방송, TV, 또는 라디오 뿐 만 아니라 방송사업자의 계열사, 자회사, 제휴 사 등 특수한 이해관계가 있는 사업자가 포함되고 일정한 편성계획 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여 편집 요건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IPTV의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다른 유료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기준에서 규제할 필요가 있다.

xlviii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둘째, 방송과 방송유사정보의 개념을 분명히 함으로써 규제의 혼란을 방지해야할 것이다. 또한 시정권고 조항의 모호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즉 방송심의규정에 규제 대상이 되는 사업자뿐만 아니라 방송유사정보 제공자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 다. 시정권고의 내용과 절차 또한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수평적 규제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방송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방송서비스를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로 분류하여 개념을 확대 적용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IPTV와 전통방송간의 통합을 위한 통합방송법 제정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콘텐츠 이용방식이 실시간이든 비실시간이든 그 의미가 상실되고 실제로 이용자들은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연구결과를 보면 규제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해외의 선진사례(영국, 호주 등)의 조사를 통해 단순화된 수평적인 규제모델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제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제1장 서론 3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1. 연구의 필요성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고도화되면서 방송 콘텐츠(프로그램)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제공 플랫폼, 서비스 제공 형태(실시간/비실시간),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 등이 다변화 되고 있다. 먼저 방송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다변화 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고도화 되면서 방송콘텐츠 서비스는 방송법에 규정된 방송사업자들(지상파방송사업자, 종합유 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 공동체라디오방송사업자)뿐만 아 니라 IPTV(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 아프리카TV와 같은 인터넷방송 사업자, 팟빵과 같은 팟캐스트 포털서비스 사업자, 네이버나 다음 등 인터넷 포털서비스 사업자 등 다양한 이종사업자들에 의해서도 제공되고 있다. 즉, 방송법에 규정된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IPTV(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 팟캐스트 포털서비스 사업자, 인터넷 포털서비스 사업자, 인터넷방송사업자 등 다양한 이종사업자 들에 의해서도 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플랫폼이 다변화 되고 있다. 방송콘텐츠 방송법상 방송으로 규정 된 텔레비전방송, 라디오방송, 데이터방송, 이동멀티미디어방송 등의 플랫폼에서 제공되 고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IPTV,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홈페이지, 모바일 전용 온라인 홈페이지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서도 서비스 되고 있다. 한편 방송콘텐츠 서비스 제공 형태도 다변화 되고 있다. 방송콘텐츠의 제공 형태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이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 한 변화는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 및 IPTV사업자들에 의해 활성화되고 있는 N스크린 서비스(OTT 서비스 형태를 포함한)가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래 <표 1>과 같이 핵심 방송사업자뿐만 아니라 통신 및 IPTV 사업자 등 이종사업자들

4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또한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를 통해서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N스크 린 서비스를 적극 추진 중에 있다. <표 1-1> 국내 주요 N스크린서비스 사업자 방송 사업자군 구분 주요 사업자 N스크린 서비스 브랜드 명 통신 및 IPTV 사업자군 지상파 방송 사업자 종합유선 방송 사업자 KT SK텔레콤 (SK플래닛, SK브로드밴드) LG 유플러스 KBS MBC SBS CJ헬로비전 현대HCN (판도라TV합작) 올레TV모바일 호핀(SK플래닛), Btv모바일(SK브로드밴드) 유플러스 HDTV K플레이어 푹(pooq) 티빙 에브리온TV 또한 N스크린 서비스의 경우 이용률도 지속적으로 상중 중인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의 조사에 따르면 이용률이 2011년 15.9%에서 2013년 18.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표 1-2> N스크린 이용률 추이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N스크린 이용률 15.9% 18.5% 18.4% 자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3). N스크린 이용행태 및 추이. N스크린 서비스의 활성화 등과 같은 변화에 따라 방송콘텐츠 서비스 제공 형태도 실시 간 제공 형태와 더불어 다시보기 및 VOD 서비스 등 비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 고도화로 방송콘텐츠 서비스는 콘텐츠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던 선형적 인 체제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비선형 적인 체제로 급속히 전환 중에 있는 것이다.

제1장 서론 5 [그림 1-1] 방송통신 융합 고도화 환경에서의 콘텐츠 이용행태 이러한 변화에 의해 이용자들의 방송콘텐츠 이용 행태도 시간적으로는 실시간 이용과 비실시간 이용으로 언제나 항상 이용하는 형태로 변화하였고 공간적으로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에릭슨 컨슈머랩(Ericsson Consumerlab, 2013)이 한국을 포함한 15개국을 대상으로 시행한 온라인 인터뷰 조사결과 영화나 TV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녹화 시청방식은 2011년 38%에서 2013년 29%로 급감한 반면 VOD 및 온라인 스트리밍서비스 이용률은 2011년 61%에서 2013년 63%로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콘텐츠 이용자들 은 이제 스스로 방송 콘텐츠 이용에 관한 자기 시간 통제 환경을 체험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의 방송콘텐츠 이용이 프로그램 편성에 종속되었다면, 이제는 온디맨드 시청 환경이 구현됨으로 해서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환경의 도래에 따라 몰아보기(Binge-viewing) 이용행태 대두되고 있다. VUBIQUITY(2012)가 미국 내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몰아보기 시청 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가구의 절반이 넘는 56%가 드라마나 TV쇼 전체 시리즈를 몰아보기 시청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으로도 이용자의 시청 공간의 통제 가능성 강화되어 텔레비전과 같은 고정형 빅 스크린(big screen) 중심에서 핸드폰 등 다양한 공간에서의 활용이 가능한 모바일 퍼서널 스크린(personal screen)으로 콘텐츠 이용의 중심이 이동 중에 있다. 지상파방송사업자 등 전통 방송사업자들까지도 핸드폰 및 태블릿

6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실태 조사 연구 PC 등 모바일 단말기로의 콘텐츠 이용이 가능한 인터넷 홈페이지,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제공 플랫폼, 서비스 제공 형태, 이용자들 의 이용 행태 등이 다변화되면서 방송콘텐츠에 대한 전통 규제의 실효성이 급격히 약화되 고 있다. 방송사업자와 방송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이종사업자 들과 이종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경향이 고도화 되면서 <표 3>과 같이 방송콘텐츠에 대한 전통 심의규제의 공백과 불균형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콘텐츠에 대한 규제의 실효성이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표 1-3> 융합 고도화에 따른 방송콘텐츠 관련 규제공백과 규제불균형의 개념 개념 규제공백 규제불균형 내용 동일한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에 대해 실시간 콘텐츠에만 <방송법>상의 규제를 준용하면서 비실시간 콘텐츠는 이 법의 적용에서 제외하는 것 동일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사업주체(사업자)의 법적 지위에 따라 방송법과 전기통신사업법상의 규제를 각각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 이처럼 현행 심의규제 제도는 변화하는 방송통신 융합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여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실시간/비실시간 서비스 여부 및 서비스 사업주체의 법적 지위 에 따라 전통 <청소년보호시청시간대>나 <등급제>를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심의규제체제가 변화된 융합환경에서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체제로 재구성되 기 위해서는 이러한 융합형 플랫폼에 기반을 둔 방송콘텐츠 서비스의 제공 실태와 이용자 들의 서비스 이용 행태에 대한 현황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의 융합형 플랫폼에 기반을 둔 방송콘텐츠 서비스 제공 및 이용 실태에 대한 조사 자료는 부재한 상황이다. 전통에 연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방송산업실태조사>, <방송매체이용 행태조사>,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콘텐츠산업통계조사> 등은 IPTV등 일부 융합형 플랫폼에 기반을 둔 방송콘텐츠 서비스만을 조사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어 융합환경에 대응한 심의규제체제 개선의 기초적 현황분석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미흡 하다. 급변하고 있는 융합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송콘텐츠 관련 심의규제체

제1장 서론 7 제 구축을 위해서는 현실에서 구현되고 있는 모든 융합형 플랫폼에 기반을 둔 방송콘텐츠 서비스 유형을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송사업자 및 이종사업자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비실 시간으로 제공 중인 모든 융합형 플랫폼 기반 방송콘텐츠 서비스를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현황과 이용자 이용실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융합형 플랫폼 기반 방송콘텐츠 서비스를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로 명명하였다. 융합형 플랫폼 기반 방송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전통 연구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융합형 서비스, 또는 미디어 융합형 서비스,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 유사방송 및 기타 융합형 시청각콘텐 츠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하고 있다(김희경 차영란 봉미선, 2010;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3; 유세경 김숙, 2008).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방송콘텐츠가 전통의 방송개념을 넘어 융합형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들 중 하나로 제공 및 이용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 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 규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의 개념 및 유형은 기존 문헌의 검토 결과와 서비스 현실을 종합하여 제2장에서 규정하였다. 2. 연구 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가 급격하게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방송콘텐츠 심의규제체계 마련을 위해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시장경쟁 상황과 이용자 인식 및 이용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표를 보다 구체화 하면 <표 4>와 같다. <표 1-4> 연구목표 사업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조사 및 시장경쟁 상황 분석 이용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이용 행태 및 인식 조사 분석 본 연구는 먼저 사업자의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및 시장경쟁상황을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