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06-18-수정).hwp



Similar documents
Journal of Life Science 2011, Vol. 21. No μ μ

untitled

untitled

104 이윤종 이진우 정교성 Tble 1. Annul chnge in the number of licensed orgniztions Yer Industry Public Medicl School Institute Militry Totl

J Korean Soc Food Sci Nut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3), 404~410(2014) 탄수화물분해효소처리에의한배과피와과심의항산화생리활성증대효과 이평화 1 박수연 1 장태

α α α α α

μ

제 출 문 경상북도 경산시 농업기술센터 귀하 본 보고서를 6차산업수익모델시범사업 농산물가공품개발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1 월 19 일 주관연구기관명 : 영남대학교 총괄연구책임자 : 한 기 동 연 구 원 : 김 상 욱 이 수 형 이 상

hwp


20 (04-16-수정).hwp


γ

fm

수해양학회지(24-6호)_완성본.hwp

01 (06-14-OK).hwp

한수지 50(6), , 2017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50(6), ,2017 암모니아급성노출에의한바이오플락사육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의혈액학적성상및항산화반응의변화 김준

Lumbar spine

°ø±â¾Ð±â±â

개최요강

表紙(化学)

명세서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차 전지로부터 유가( 有 價 )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폐( 廢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불량품에 함유되는 코발트를 회수하는 리튬 이온 전지내의 코발트 회수 방법 및 코발트 회수 시스템에 관한

2003_KR piv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72) 발명자 김창욱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 (공세동) 박준석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 (공세동) - 2 -

(72) 발명자 이승원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정동호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이호생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PMS235A 부처명 국토해양부 연구사업명 해양자원개발 연구과제명

α 경성대학교식품응용공학부식품생명공학전공 년 월 일접수 년 월 일승인 α α α α α 활성산소종 은 체내의산화촉진물질 과산화억제물질 의불균형으로인해생성되는수퍼옥사이드라디칼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라디칼 등의산소화합물을 경성대학교식품응용공학부식품생명공학전공학사과정 주저자

139~144 ¿À°ø¾àħ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01) hwp

???춍??숏

2004math2(c).PDF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03-서연옥.hwp

A C O N T E N T S A-132

untitled

Jkbcs016(92-97).hwp

2 Ⅰ 서 론 (, XRF 1992), 2, (Lithrge; led oxide), (, 1999),, Ⅱ 연구대상및방법, -1 연구대상및 시기 -,, 6,, 1, , 12 75,,,, 6,, 6, ( ( ) ), ( ), 2 (PCB),, 1 2,

한수지 51(4), , 2018 Original Article Korean J Fish Aquat Sci 51(4), ,2018 해조류첨가가쌀코지제조와효소활성에미치는영향 전준영 이미향 1 정인학 1 정민정 김병목 * 한국식품연구원, 1 강릉원주대

Microsoft PowerPoint - ch4note

04 (01-23-수정).hwp

09-감마선(dh)

012임수진

03이경미(237~248)o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BSF BSF. - BSF BSF ( ),,. BSF -,,,. - BSF, BSF -, rrna, BSF.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82-01.fm


01 (04-03-OK).hwp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2.대상 및 범위(계속) 하천 하천 등급 하천명 연장 (km) 연장 (km) 시점 금회수립현황 종점 지방 하천 함안천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경남 함안군 함안면 함안천(국가)기점 검단천 경남 함안군 칠북면 검단리 칠원천 6.70

Kor J Fish Aquat Sci 44(6), DOI : 44(6), , 2011 순치기간에따른육봉형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 의해수적

12 (09-13_Fig 4,5 칼라-OK).hwp

04 (02-15-수정).hwp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한수지 47(6), , 2014 Original Article Kor J Fish Aquat Sci 47(6), ,2014 RAW 세포에서의미역 (Undaria pinnatifida) 뿌리에탄올추출물의항염증활성 강보경 안나경 최연욱 김

½Ç°ú¸Ó¸®¸»¸ñÂ÷ÆDZÇ(1-5)¿Ï

<C7A5C1F620BEE7BDC4>

(00-1) Journal of Life.hwp

2004math2(a).PDF

?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DBPIA-NURIMEDIA

Jkafm093.hwp


06ƯÁý

<C7D1BDC4BFAC20B1E8B5BFBCF6B9DABBE7B4D4676C75636F20C3D6C1BE5B315D2E687770>

14.531~539(08-037).fm

Product Description Apoptosis 혹은 necrosis등에의하여죽거나손상된세포에서방출되는 Lactate dehydrogenase(ldh) 의양을고감도로측정함으로써 cytotoxicity/cytolysis를간단하게측정할수있는 kit 입니다. Cytot

12.077~081(A12_이종국).fm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농림수산식품부장관귀하 이보고서를 팥의대사성질환개선및기능성규명 에관한연구의최종보고서로제출 합니다 년 2 월 11 일 - 1 -

- 2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Kju269.hwp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692E E EB4EBB1E2BFC0BFB0C5C2B5BF5FB9FDB7C9BAAFC3B55FC0FCB8C12E687770>

(001~006)개념RPM3-2(부속)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KGM 부처명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연구사업명 전북분원운영사업 연구과제명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한 바이오매스/에너지 개발 주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기간 2009년 01월 01일 ~ 2009년 12월

23 (09-20-수정).hwp

Chapter 14

항산화-2

<C4A3C8AFB0E6B3F3C0DAC0E7C0DAB0A1C1A6C1B6B9FD DC4AEBDB72DB7F9C1BEBFF82E687770>

hwp

16(1)-3(국문)(p.40-45).fm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수도권대기환경청 소식] 1. 제10차 수도권 대기환경정책 연구회 년도 1/4분기 직장교육 26 제5절 환경용어 해설 교토메카니즘(Kyoto Mechanism) 라돈(Rn) 배출가스 재순환장치(EGR, Exhaust G

한국전지학회 춘계학술대회 Contents 기조강연 LI GU 06 초강연 김동욱 09 안재평 10 정창훈 11 이규태 12 문준영 13 한병찬 14 최원창 15 박철호 16 안동준 17 최남순 18 김일태 19 포스터 강준섭 23 윤영준 24 도수정 25 강준희 26

23 (11-17-수정).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hwp

03-2ƯÁý -14š

(72) 발명자 오인환 서울 노원구 중계로 195, 101동 803호 (중계동, 신 안동진아파트) 서혜리 서울 종로구 평창14길 23, (평창동) 한훈식 서울 강남구 언주로71길 25-5, 301호 (역삼동, 영 훈하이츠)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untitled

13장문현(541~556)ok


Transcription:

J Koren Soc Food Sci Nut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10), 1525~1532(2013) http://dx.doi.org/10.3746/jkfn.2013.42.10.1525 tert-butyl Hydroperoxide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성호 함현미 성지혜 김영화 남궁슬기 정헌상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Antioxidnt Activities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ginst Oxid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in HepG2 Cells Seong Ho Yeon, Hyeonmi Hm, Jeehye Sung, Younghw Kim, Seulgi Nmkoong, Heon-Sng Jeong, nd Junsoo Lee Dept. of Food Science nd Technology, Chungbuk Ntionl University, Chungbuk 361-763, Kore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s to investigte the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oxidtive stress in HepG2 cells. Genertion of rective oxygen species (ROS), concentrtions of cellulr lipid peroxidtion products nd reduced glutthione, nd ntioxidnt enzyme ctivity were used s biomkers of cellulr oxidtive sttus. Cells pretreted with CWE (25~200 μg/ml) showed n incresed resistnce to oxidtive stress in dose-dependent mnner, s reveled by higher percentge of surviving cells compred to control cells. ROS genertion induced by TBHP ws significntly reduced when cells were pretreted with 200 μg/ml CWE for 4 h. Pretretment with CWE (5~50 μg/ml) prevented the decrese in reduced glutthione nd the increse in mlondildehyde nd ROS evoked by TBHP in HepG2 cells. Finlly, CWE pretretments prevented the significnt increse of glutthione peroxidse, ctlse, glutthione reductse, nd superoxide dismutse ctivities induced by TBHP. These results show tht CWE hs significnt protective bility ginst TBHP-induced oxidtive insult nd tht the modultion of ntioxidnt enzymes by CWE my hve n importnt ntioxidnt effect on TBHP-induced oxidtive stress in HepG2 cells. Key words: ntioxidnts, HepG2 cell, tert-butyl hydroperoxide, Cornus wlteri Wnger, oxidtive stress 서 인간을 비롯한 산소를 이용하는 모든 생명체들은 공기 중 의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활성산소종(re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한다(1). 활성산소는 광범위한 생체 현상에 관여하여 직 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체의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해산소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인 superoxide rdicl(o 2- ), hydrogen peroxide(h 2O 2), hydroxyl rdicl( OH), singlet oxygen( 1 O 2) 등은 가장 안정한 형태인 삼중항 산소(triplet oxygen, 3 O 2)가 환원되면서 생성되어 진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매우 강하여 주위의 화합 물과 쉽게 반응하여 높은 반응성을 갖는다(2,3). 이렇게 발 생된 활성산소는 자기방어기구인 생체 내 제거 기작에 의해 대부분 몸속에서 저절로 없어지거나 각종 감염을 막는 면역 기능도 하지만, 생체 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론 Received 17 June 2013; Accepted 29 July 2013 Corresponding uthor. E-mil: junsoo@chungbuk.c.kr, Phone: 82-43-261-2566 물리적 화학적 요인에 의해 세포 내 항상성이 깨지면서 활 성산소의 생성이 증가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초래한다. 이러 한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하 고,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 산화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비롯한 동맥경화, 뇌졸중, 당뇨병, 종양의 생성과 같 은 여러 가지 질병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4-7). 말채나무(Cornus wlteri Wnger)는 우리나라 전국 각 지의 습기가 비교적 많은 계곡 주변이나 궁궐, 왕릉에서 많 이 볼 수 있는 나무로 층층나무과(Corncee), 층층나무속 (Corn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활엽수이다(8). 한방에서는 말채나무의 가지와 잎을 모래지엽( 毛 棶 枝 葉 )이라 하여 설사 를 멈추거나 옻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는 말채나무를 달여 먹으면 살이 빠진다 하여 신선목 또는 빼빼목 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말채나무에 관한 연구로는 Choi 등(9)이 말채나무껍질에서 gllic cid, (+)-glloctechin, (+)-ctechin, quercetin, quercitrin, rutin, isoquercitrin, hyperoside와 같은 8종의 phenol성 화합물을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그중 gllic cid와

1526 연성호 함현미 성지혜 김영화 남궁슬기 정헌상 이준수 (+)-glloctechin의 함량이 0.054%, 0.022%인 것으로 보 고하였고, Lim 등(10)은 말채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마우스 에 투여한 결과 α-mylse의 활성이 저해되어 식후 혈당상 승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체중 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rk과 Ch(11)는 고지방식이를 8주간 투여한 후 비만으로 유도된 동물에게 모래지엽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한 결과 모래지엽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지질강하효과를 보였으며, 간장 내 항산화효소 및 항염증활성에 효과를 나타내어 비만으로 인 한 고지질 및 이와 관련된 대사성질환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보고했다. 그러나 말채나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력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 서는 다량의 phenol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말채나무에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말채나무를 열 수 추출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HepG2 세포에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세포 생존율 및 세포독성 보호 효과와 ROS 생성 억제효과, 지질과산화물 의 측정지표인 mlondildehyde(mda)의 농도, 그리고 세 포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주요 효소들의 활성 및 체내 비 효소적 항산화물질인 glutthio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말채나무는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자생 하는 것으로 2011년 4월 승맥가(Yeongwol, Kore)로부터 구입하였으며 구입한 시료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세척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추출물 제조 환류 냉각관을 부착한 3 L 플라스크에 세절한 말채나무 가지 300 g을 넣은 후 2 L 가량의 물을 넣고 100 C의 수욕 상(Tokyo Rikkiki Co., Tokyo, Jpn)에서 5시간 추출 하였다. 추출물은 Whtmn No. 5(Whtmn Interntionl Ltd., Midstone, UK)로 감압 여과한 다음, 회전진공 농축 기(EYELA N-1000, Tokyo Rikkiki Co.)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freeze dryer, FD5508, Ilshin Lb Co., Dongducheon, Kore) 하여 -20 C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 였고 최종 추출수율은 5.4%로 나타났다. 기기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인 2',7'-dichlorofluorescin dicette(dcfh-da), thiobrbituric cid(tba), tert-butyl hydroperoxide(tbhp), trichlorocetic, reduced glutthione(gsh), oxidized glutthione, β-nadph, glutthione reductse(gr), peroxidse, 1-chloro-2,4-dinitrobenzene(CDNB), hydrogen peroxide(h 2O 2), 5,5'-dithiobis-2-nitrobenzoic cid(dtnb), ethylenediminetetrcetic cid(edta), xnthine, xnthine oxidse, 3- (4,5-dimethylthizol-2-yl)-2,5-diphenyl-teyrzolium bromide(mtt), 1,1-diphenyl-1-picrylhydrzyl(DPPH), 2,2'-zino-bis-(3-ethylbenzothizoline-6-sulfonic cid(abts)와 표준물질인 gllic cid, (+)-ctechin hydrte는 Sigm-Aldrich Co.(St. Louis, MO, USA)의 제품 을 사용하였으며, 4-(3-(4-diophenyl)-2-(4-nitrophenyl)- 2H-5-tetrzolio)-1,3-benzene disulfonte sodium slt (WST-1)는 Roche(Mnnheim, Germny)에서 구입하였고, fetl bovine serum(fbs), Dulbeco's modified Egle's medium(dmem), trypsin-edta, penicillin-streptomycin은 Gibco-BRL(Grnd Islnd, NY, USA)에서 구입하 였으며 HepG2 세포는 Kore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Dejeon, Kore)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항산화 성분 측정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Folin- Cioclteu phenol(fc) regent가 추출물의 phenolic compounds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을 청색으로 발색 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12). 즉 추출물 100 μl에 2% N 2CO 3 용액 2 ml를 가한 후 3분간 방치하여 50% FC regent 100 μl를 가하고 3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spectrophotometer(uv-1650, Shimdzu, Kyoto, Jpn) 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gllic cid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은 시료 100 g 중의 mg gllic cid로 표시하였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물 250 μl에 증 류수 1 ml와 5% NNO₂75 μl를 가한 다음, 5분 후 10% AlCl 3 6H 2O 150 μl를 가하여 6분 방치하고 1 N NOH 500 μl를 가하고 11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510 nm에서 측정하였다(13). 표준물질인 (+)-ctechin hydrte를 사용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100 g 중의 mg (+)-ctechin hydrte로 표시하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 였다. 즉 DPPH 라디칼을 0.2 mm이 되도록 94% 에탄올에 용해시킨 반응액 800 μl에 추출물 200 μl를 첨가한 후, 520 nm에서 정확히 30분 후에 흡광도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14).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ABTS 7.4 mm과 potssium persulphte 2.6 mm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반응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1.4~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 =3.6 10 4 M -1 cm -1 )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 석된 ABTS 용액 1 ml에 추출액 50 μl를 가하여 60분 후에

말채나무의 항산화 활성 1527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15).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환원력은 추출물 250 μl에 0.2 M sodium phosphte buffer(ph 6.6) 250 μl, 1% potssium ferricynide(k 3Fe (CN) 6) 250 μl를 각각 혼합하여 50 C에서 20분 동안 반응 시킨 후 1% trichlorocetic cid(ccl 3COOH, w/v)를 가하 였다. 위 반응액을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 500 μl에 증류수 500 μl를 혼합하고, 0.1% ferric chloride(fecl 3 6H 2O) 100 μl를 가하여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00 nm에서 측정하였다(16). 세포배양 HepG2 세포는 75 cm 2 culture dish에서 10% FBS, 100 unit/ml penicillin, 50 μg/ml streptomycin을 함유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CO 2가 공급되는 incubtor (Snyo Electric Biomedicl Co., Ltd., Osk, Jpn)에서 37 C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및 TBHP에 의한 시료의 보호효과 HepG2 세포는 96-well plte에 1 10 4 농도로 각 well 에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배양세포 표면을 PBS 용액으로 세척 후 같은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말채 나무 열수추출물 25, 50, 100 및 200 μg/ml를 각 well에 처리 하였다. 4시간 후 세포는 200 μm TBHP로 4시간 동안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말채나무 시료의 보호효과는 MTT 방법으로 micro plte reder(biotek Inc.,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의 측정에 의해 절대 세포 생존율을 수량화 하였으며 3회 반복 실험하 였다. ROS 생성 억제효과 ROS는 fluorescent probe DCFH-D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세포를 96-well plte에 5 10 4 의 농도로 각 well에 분주하고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을 다양한 농도 (25, 50, 100 및 200 μg/ml)로 전 처리하였다. 4시간 후, 250 μm DCFH-DA를 37 C에서 1시간 동안 각 well에 첨가 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1 mm TBHP를 첨가하였 다. 세포간에 상응하는 ROS는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perkin-elmer, Norwlk, CT, USA)로 100분 동 안 여기파장(excittion wvelength) 485 nm와 방출파장 (emission wvelength)을 530 nm에서 fluorescent intensity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측정 MDA 측정은 thiobrbituric cid (TBA) 방법(17)으로 측정하였다. 즉, 상등액 0.4 ml에 TBA solution(tba 0.375%, trichlorocetic cid 15%, HCl 0.25 N) 0.4 ml를 첨가한 후 15분간 수욕상에서 가열하였다. 10,000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535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시료의 MDA 농도는 1.56 10 5 M -1 cm -1 의 흡광계 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단백질 mg당 MDA의 nmol로 표현하였다. GSH 함량 및 항산화 효소 활성 HepG2 세포는 6-well plte에 1 10 6 농도로 각 well에 분주하였다. 48시간 후 배지는 다양한 농도(5, 10, 25 및 50 μg/ml)의 말채나무 물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4시간 배양 후 1 mm TBHP로 3시간 동안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처리 후 세포는 rubber policemn으로 취하여 얼음에 보관 하였다. 세포는 Vibr-Cell VCX 750 sonictor(sonic & Mterils, Inc., Newtown, CT, USA)를 사용하여 10초간 용해하였으며, 용해물은 4 C에서 10분간 10,000 g로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은 즉시 GSH 및 항산화 효소 활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세포 내의 총 GSH는 Bker 등(18)의 변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세포 용해물에는 단백질을 침전시 키기 위해 5% sulfoslicylic cid를 첨가한 후 4 C에서 10 분간 10,000 g로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 20 μl에 3 mm 5,5'-dithiobis(2-nitrobenzoic cid), 400 units/ml glutthione reductse(gr) 그리고 2.5 mm NADPH가 포함된 반응 혼합물(180 μl)을 첨가하여 412 nm에서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2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세포 용해물에서 GSH의 농도는 표준 곡선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단백질 mg당 GSH의 nmol로 표현하였다. GR의 활성은 5,5'-dithiobis(2-nitrobenzoic cid)를 사용하여 결정하였고, thiobenzoic cid 형성 때문 에 412 nm에서 흡광도 증가를 측정하였다. Glutthione peroxidse(gsh-px)의 활성은 GSH-Px에 의한 GSH의 산화에 근거하여 GR에 의한 NADPH의 소멸에 결합하는 기 질로서 cummen hydroperoxide를 사용하였다(19). 세포 내 ctlse(cat) 활성은 Fossti 등(20)의 방법을 변형하 여 측정하였으며, superoxide dismutse(sod)는 Uked 등(2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실험의 결과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실험군 간의 비교분석은 SAS version 8.1(SAS Institute, Cry, NC, USA)을 이용하여 one-wy nlysis of vrince 분 석 후 각 농도의 평균차의 통계적 유의성을 P<0.05 수준에 서 Duncn's multiple rnge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성분으로서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in vitro 항산 화활성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측 정한 결과는 Tble 1과 같다.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

1528 연성호 함현미 성지혜 김영화 남궁슬기 정헌상 이준수 Tble 1. Phenolic compounds contents nd ntioxidnt ctivities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Anlysis items Phenolics content (mg GAE/100 g) 1) Totl flvonoid content (mg CE/100 g) 2) DPPH (mg TEAC/100 g) 3) ABTS (mg TEAC/100 g) Reducing power (A 700) 4) Estimted vlues 1,455.82±52.49 5) 948.49±13.51 853.41±22.31 238.41±81.50 0.70±0.00 1) Men of triplicte determintion expressed s mg gllic cid equivlents per 100 g of CWE. 2) Men of triplicte determintion expressed s mg ctechin equivlents per 100 g of CWE. 3) Men of triplicte determintion expressed s mg TEAC per 100 g of CWE. 4) Reducing power ctivity of wter extrcts expressed s opticl density t 700 nm. 5) Vlues represent the men±stndrd devition of three replictions. 이드 함량은 각각 1,455.82±52.49 mg GAE/100 g과 948.49±13.51 mg CE/100 g으로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항산화 성분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녹차의 경우 Jeong 등(22)은 녹차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의 함량을 각각 85.62 mg GAE/g과 242.74 mg/100 g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 정하기 위해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Trolox equivlent ntioxidnt cpcity(teac)로 측정한 결과 각 각 853.41±22.31 및 238.41±81.50 mg TEAC/100 g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원력에 대 한 흡광도 값을 300 μg/ml의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0.70으 로 나타났다. Ju 등(23)은 약용식물인 오가피를 열수로 추출 하여 1.0 mg/ml의 농도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 0.71 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고 Joo(24)는 에탄올로 추출한 오가 피와 헛개나무 추출물의 흡광도를 1.0 mg/ml의 농도에서 측정한 값을 각각 1.63, 1.1로 보고하였다. 세포생존율 및 세포독성 보호효과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해 MTT ssy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25, 50, 100 및 200 μg/ml로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별로 처리한 구간 내 세포 생존율은 90.54~97.97%로 측정됨에 따라 200 μg/ml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1).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이 세포 생존율에 Cell vibility (%). 120 100 80 60 40 20 0 Smple (μg/ml) control 0 25 50 100 200 Fig. 1. Cytotoxicity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in HepG2 cells. HepG2 cells were treted with different concentrtion of CWE (25~200 μg/ml) for 4 hours. Cell vibility ws determined by MTT ssy.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때 세포독성에 대한 추출물의 보 호효과를 알아보았다. 세포에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을 농도 별(25~200 μg/ml)로 전 처리한 후, TBHP 200 μm을 4시 간 동안 세포에 노출시킨 결과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이 처리 되지 않은 세포에서는 대조군인 정상세포에 비해 세포 생존 율이 53.98%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Fig. 2). 그러나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이 전 처리된 세포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200 μg/ml에 서는 95.50%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TBHP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 보호효과가 있 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OS 생성 억제효과 ROS는 free rdicl 및 1 O 2, O 2-, H 2O 2, OH 등 다양한 형태의 활성화된 산소로, 생명체의 항상성 유지기작을 통해 조절된다(25). 하지만 노화 및 산화 스트레스로 조절능이 불안정화되면 ROS의 양이 많아져 세포막지질의 산화, 세포 단백질의 변성 및 DNA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며, 결국 노화 의 촉진 및 각종 성인병을 발병시켜 인간의 수명을 단축시키 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26). 그러므로 세포 내 ROS의 축적은 살아있는 세포에 산화적 손상의 좋은 지표이다. 세포 Protective effect (%). 120 100 80 60 40 20 e 0 TBHP (200 μm) - + + + + + Smple (μg/ml) - - 25 50 100 200 d Fig. 2. Protective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cytotoxicity. HepG2 cells were treted with different vrious concentrtion of CWE (25~200 μg/ml) for 4 hours nd then exposed to TBHP (200 μm) for 4 hours. Cell vibility ws determined by MTT ssy. -e Different letters bove the brs indicte significnt difference (nlysis of vrince nd Duncn's multiple rnge test, P<0.05). c b b

말채나무의 항산화 활성 1529 내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ROS 생성에 대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억제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DCFH-DA probe를 이용하여 ROS의 양에 따른 형광발생 정도를 측정 하였다. DCFH-DA는 비극성, 비이온성구조를 가짐으로써 세포막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과한 DCFH- DA는 세포질에서 세포 내 esterse에 의해 비형광물질인 DCFH로 가수분해된다. ROS 존재 시에 DCFH는 산화되어 형광을 띠는 DCF로 전환된다. 따라서 세포 내 ROS의 양이 많을수록 측정되는 형광값이 커지므로 추출물 내에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항산화물질에 의한 ROS 생성이 억제 되어 DCF 형광도가 감소되는 것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27,28). 실험결과 TBHP 1 mm을 4시간 동안 처리하여 산 화 스트레스를 유발한 세포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아 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세포에 비해 ROS의 생성이 빠르 게 증가하였다(Fig. 3). 그러나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을 25, 50, 10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에 TBHP 를 처리한 결과 ROS는 농도에 따라 생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HepG2 세포에 포도씨에서 분리한 tocotrienol-rich frction(trf)을 10~500 μg/ml의 농도로 전 처리한 후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결과 농도 의존 적으로 ROS 생성을 억제하였다고 보고한 Choi 등(29)의 연 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경 우 2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ROS의 생성은 정상세포보 다 더 낮은 수치를 보여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산화 스트레 스에 의한 ROS 생성 억제에 강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지질과산화 측정 지질과산화는 free rdicl에 의해 지질성분인 불포화지 방산의 methylene(-ch 2-)기로부터 수소원자가 탈취됨에 따라 개시되는데, 이때 주로 관여하는 free rdicl은 hydroxy group이며 수소탈취에 의해 생긴 lkyl rdicl(rㆍ) 은 다시 산소와 결합하여 peroxy rdicl을 형성한다. Peroxy rdicl은 다시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부터 수소를 탈취함으로써 일종의 chin rection이 진행된다. 이때 연 쇄 반응의 부산물로 MDA가 생성되며 MDA는 지질과산화 물의 지표로 사용된다(30). 이와 같은 현상은 불포화지방산 구성성분이 많고 인지질함량이 풍부한 미토콘드리아, 마이 크로좀, 적혈구, 혈소판 등의 막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과산화지질은 세포나 조직막을 손상시켜 노화 현상 촉진,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 한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알아 보기 위해 HepG2 세포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세포 의 MDA 농도를 측정한 결과 1.66 nmol/mg protein이었다 (Fig. 4). 그러나 TBHP 1 mm을 단독으로 4시간 동안 세포 에 처리하였을 때 MDA 농도는 2.74 nmol/mg protein으로 정상세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HepG2 세포가 TBHP 에 의해 지질과산화가 진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P<0.05). 그러나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이 5, 10, 25 및 50 μg/ml의 농도로 전 처리된 세포에 TBHP 1 mm을 동일하게 처리한 결과 지질과산화 반응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어 세포의 MDA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추출물이 25, 50 μg/ml로 처리된 세포에서의 MDA 농도는 각각 2.25 nmol/mg protein 및 2.05 nmol/mg protein으로 TBHP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세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Kim 등(31)은 HepG2 세포에 TBHP 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증가한 MDA를 탈지된 포도씨 에서 추출한 oligometric procynidin frction(opf)과 polymetric procynidin frction(ppf)을 10~20 μg/ml 의 농도로 전 처리하였을 때 모든 용량에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고 앞서 TRF의 ROS의 생성억제를 연구한 Choi 등(29)도 TRF가 50~100 μg/ml의 농도에서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Fluorescence intensity. 350 300 250 200 150 100 50 Control TBHP + 25 TBHP + 50 TBHP + 100 TBHP + 200 TBHP (1mM) MDA (nmol/mg protein). 3.5 3 2.5 2 1.5 d b bc c 0 0 20 40 60 80 100 Time (min) Fig. 3.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the intrcellulr rective oxygen species (ROS) formtion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HepG2 cells were treted for 4 hours with the indicted concentrtions of CWE before tretment with 1 mm TBHP. Intrcellulr ROS were mesured by monitoring the fluorescence increse for 100 minutes. 1 TBHP (1 mm) - + + + + + Smple (μg/ml) - - 25 50 100 200 Fig. 4.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lipid peroxidtion. HepG2 cells were treted for 4 hours with the indicted concentrtions of CWE before tretment with 1 mm TBHP. -d Different letters bove the brs indicte significnt difference (nlysis of vrince nd Duncn's multiple rnge test, P<0.05).

1530 연성호 함현미 성지혜 김영화 남궁슬기 정헌상 이준수 GSH (nmol/mg protein). 45 40 35 30 25 20 15 10 5 0 d TBHP (1 mm) - + + + + + Smple (μg/ml) - - 25 50 100 200 cd Fig. 5.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cellulr redox stte impirment. HepG2 cells were treted for 4 hours with the indicted concentrtions of CWE before tretment with 1 mm TBHP. -d Different letters bove the brs indicte significnt difference (nlysis of vrince nd Duncn's multiple rnge test, P<0.05). GSH: reduced glutthione. GSH 함량 측정 GSH는 glutmte, cysteine, glycine으로 결합된 트리 펩타이드로서 환원형태(GSH)와 산화형태(GSSG)로 존재한 다. GSH는 85~90% 정도가 cytoplsm에 존재하면서 생체 내의 산화, 환원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산화 성분으 로서의 GSH의 중요성은 외부로부터의 산화 스트레스나 생 체 내 free rdicl을 제거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H 2O 2와 지질과산화를 대사시키는 GSH-Px, GST에 전자공 여체로 세포방어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2). 이는 GSH 가 체내에서 산화 스트레스가 발생할 경우 항산화제의 조절 자로 기능하는 물질임을 알 수 있는데 간세포에서 TBHP로 유도된 독성의 첫 번째 기작중의 하나가 GSH level의 감소 이다(29). 따라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세포보호효과를 포함한 항산화 기전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세포 내 GSH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 HepG2 세포에 TBHP 1mM 을 단독으로 처리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세포에서 GSH의 농도는 8.32 nmol/mg protein으로 아무것도 처리 하지 않은 정상세포의 39.11 nmol/mg protein에 비해 현저 하게 감소하였다(P<0.05, Fig. 5). 이는 TBHP로 산화 스트 레스를 유발시켰을 때 세포 내 GSH가 GSSG로 전환되면서 bc b GSH의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말채나무 열 수추출물을 5, 10, 25 및 50 μg/ml의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에 TBHP를 4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GSH의 농도는 추 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말채 나무 열수추출물의 농도를 10 μg/ml 이상으로 처리한 세포 에서의 GSH 농도는 TBHP로 손상된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으며(P<0.05), 추출물의 최고 처리농도인 50 μg/ ml일 때 GSH의 농도는 정상세포와 거의 유사한 수준인 35.43 nmol/mg protein이었다. 이는 말채나무 열수추출물 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세포내 GSH가 GSSG로 전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적으 로 GSH의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Lim 등(33)은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때 GSH 의 농도가 정상세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약용식물로 알려 진 세이지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GSH의 농도가 증가한다 고 보고하였으며 Jio 등(34)도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ctechin으로 실험을 한 결과 TBHP에 의해 감소된 GSH의 농 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 다. 항산화 효소 활성 항산화효소들의 체내 방어기전은 소량의 Mn, Cu, Zn, Se 과 결합하여 O 2로부터 일차적인 rdicl의 형성과 증가를 억제한다(28). 항산화 효소인 SOD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 내 과잉으로 생성되는 O - 2 를 H 2O 2와 산소로 변환시키 고 CAT는 H 2O 2를 산소와 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GSH-Px는 지질과산화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GR은 GSSH를 다시 환원시켜 GSH로 전환시키는 효소로서 GSH 의 산화 환원 사이클(redox cycle)은 세포질 내 과산화물의 환원반응에 핵심적 기전이다. 따라서 이들 효소는 지질과산 화의 개시단계에서 지질산화를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35).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 스를 유도했을 때 이에 대응하는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알아 보고자 CAT, GSH-Px, SOD, GR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ble 2와 같다. 세포에 TBHP 1 mm을 4시간 동안 처리했을 경우 CAT, SOD, GSH-Px, GR의 활성은 아 Tble 2. Effect of hot wter extrct from Cornus wlteri Wnger (CWE) on ntioxidnt enzyme in HepG2 cells Tretment CAT 1) SOD 2) GR 3) GSH-Px 4) Control TBHP only TBHP+CWE 5 TBHP+CWE 10 TBHP+CWE 25 TBHP+CWE 50 35.88±2.82 c5) 55.20±2.06 53.10±2.03 46.16±1.87 b 43.10±2.32 b 32.11±1.18 d 52.97±6.97 b 103.86±15.71 68.44±16.25 b 67.46±11.83 b 65.56±14.69 b 64.96±6.51 b 1.10±0.08 d 2.79±0.16 2.58±0.42 2.17±0.02 b 1.88±0.20 bc 1.75±0.11 c 5.84±0.67 d 22.80±1.32 19.20±1.53 b 18.66±2.56 b 16.56±1.44 b 13.32±1.35 c 1) Antioxidnt enzyme ctivity of ctlse (CAT) (µmol/minute/mg of protein). 2) Superoxide dismutse (SOD) (units/minute/mg of protein). 3) Glutthione reductse (GR) (nmol/minute/mg of protein). 4) Glutthione peroxidse (GSH-Px) (nmol/minute/mg of protein) were evluted in HepG2 cells treted with 1 mm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for 4 hours. Vlues represent the men±stndrd devition of three replictions. 5) Vlues with the sme letter in the sme column re not significntly different (P<0.05).

말채나무의 항산화 활성 1531 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세포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였는데 이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방 어시스템의 반응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말채나무 열수추출 물을 5, 10, 25 및 50 μ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경우 증가된 SOD, GSH-Px, CAT 및 GR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 μg/ml에서는 모든 효소의 활성이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특히 GSH-Px의 활성은 최저 농도인 5 μg/m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li 등(36) 은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때 GSH-Px, CAT, SOD, GR과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유 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양파와 같은 다양한 식이에 존재하 는 flvonol 중 하나인 quercetin으로 처리하였을 때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고, Kim 등(31)도 탈 지된 포도씨의 OPF와 PPF의 항산화 효소 활성시험에서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경우 GSH-Px, CAT, SOD의 활성이 증가하였지만 PPF와 OPF를 20 μg/ml 농도 로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앞에서 연구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 제활성 및 GSH의 농도 증가는 GSH-Px 및 GR의 활성으로 인한 GSH의 산화 환원 사이클의 기전으로 사료된다. 이로 써 말채나무는 HepG2 세포 내에서 질병과 노화의 원인물질 인 활성산소에 대해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요 약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말채나 무 열수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ROS 생성억제, 지질과산화 억제 및 GSH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말채 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 를 유도한 뒤 나타나는 세포독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보호효과를 보였으며, ROS 생성과 과산화물 에 대한 지표로서 측정한 MDA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P<0.05). 또한 항산화 성분으 로 생체 내에서 산화 및 환원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 산화 효소인 GSH-Px, GST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하는 GSH 의 생성촉진 효능에서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산화 스트 레스로 감소된 GSH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시켰다 (P<0.05).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이 증가된 항산화 효 소(CAT, SOD, GSH-Px, GR)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처 리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말채나무 열수 추출물은 인체 내에서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 는 원인 물질인 활성산소에 대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 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과제번호 2012R1A1A4A0105273)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 드립니다. REFERENCES 1. Beckmn KB, Ames BN. 1998. The free rdicl theory of ging mtures. Physiol Rev 78: 547-581. 2. Gutteridge JMC, Hlliwell B. 1994. Antioxidnts in nutrition, helth, nd dises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143. 3. Hlliwell B, Gutteridge JM, Aruom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simple "test-tube" ssy for determintion of rte constnts for rections of hydroxyl rdicls. Anl Biochem 165: 215-219. 4. Pellegrini M, Bldri CT. 2009. Apoptosis nd oxidtive stress-relted diseses: the p66shc connection. Curr Mol Med 9: 392-398. 5. Byr H. 2005. Rective oxygen species. Crit Cre Med 33: 498-501. 6. Mlle E, Mrsche G, Arnhold J, Dvies MJ. 2006. Modific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by myeloperoxidse-derived oxidnts nd regent hypochlorous cid. Biochim Biophys Act 1761: 392-415. 7. Kmt JP. 2006. Peroxynitrite: potent oxidizing nd nitrting gent. Indin J Exp Biol 44: 436-447. 8. Lee SH, Yoon KR, Lee E, Ch YY. 2011. Anti-inflmmtory effect of Cornus wlteri. Koren J Orientl Physiol & Pthology 25: 982-988. 9. Choi WH, Prk WY, Hwng BY, Oh GJ, Kng SJ, Lee KS, Ro JS. 1998.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 brk of Cornus wlteri Wnger. Kor J Phrmcogn 29: 217-224. 10.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lteri extrct ginst α-mylse. J Kore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11. Prk WH, Ch YY. 2009. Effect of stem brk extrcts of Cornus wlteri Wnger on the lipid lowering, nti-oxidtive ctivity nd concentrtion of proinflmmtory cytokines in rt fed high ft diet. J Orientl Rehb Med 19: 59-78. 12. Dew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s higher ntioxidnt 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3. Kim HY, Woo KS, Hw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t tretments on the ntioxidnt ctivities of fruits nd vegetbles. Kore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14. Blois MS. 1958. Antioxidnt determintions by the use of stble free rdicl. Nture 181: 1199-1200. 15. Murrnt CL, Reid MB. 2001. Detection of rective oxygen nd rective nitrogen species in skeletl muscle. Microsc Res Tech 55: 236-248. 16. Kong SH, Choi YM, Kim YW, Kim DJ, Lee JS. 2009. Antioxidnt ctivity nd ntioxidnt components in methnolic extrct from Geumjong rice. J Koren Soc Food Sci Nutr 38: 807-811. 17. Bueqe JA, Aust SD. 1978. Microsoml lipid peroxid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18. Bker MA, Cernigli GJ, Zmn A. 1990. Microtiter plte ssy for the mesurement of glutthione nd glutthione disulfide in lrge numbers of biologicl smples. Anl

1532 연성호 함현미 성지혜 김영화 남궁슬기 정헌상 이준수 Biochem 190: 360-365. 19. Flohé L, Günzler WA. 1984. Assys of glutthione peroxidse. Methods Enzymol 105: 114-121. 20. Fossti P, Prencipe L, Berti G. 1980. Use of 3,5-dichloro-2- hydroxybenzenesulfonic cid/4-minophenzone chromogenic system in direct enzymic ssy of uric cid in serum nd urine. Clin Chem 26: 227-231. 21. Uked H, Kwn D, Med S, Swmur M. 1999. Spectrophotometric ssy for superoxide dismutse bsed on the reduction of highly wter-soluble tetrzolium slts by xnthine-xnthine oxidse.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485-488. 22. Jeong CH, J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K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ntioxidnt effect nd cetylcholinesterse inhibitory ctivity of Koren commercil green, puer, oolong, nd blck tes. Koren J Food Preserv 16: 230-237. 23.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tive ctivity of hot wter extrcts from medicinl plnts. J Koren Soc Food Sci Nutr 35: 7-14. 24. Joo YJ. 2013. Antioxidnt ctivities of medicinl plnt extrcts. J Koren Soc Food Sci Nutr 42: 512-529. 25. Hlliwell B, Gutteridge JM. 1990. Role of free rdicls nd ctlytic metl ions in humn disese: 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26. Aruom OI. 1998. Free rdicls, oxidtive stress, nd ntioxidnts in humn helth nd dise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27.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t tretment on the ntioxidnt ctivities 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8. Kim MJ, Prk EJ. 2011. Feture nlysis of different in vitro ntioxidnt cpcity ssys nd their ppliction to fruit nd vegetble smples. J Koren Soc Food Sci Nutr 40: 1053-1062. 29. Choi Y, Lee SM, Kim Y, Yoon J, Jeong HS, Lee J. 2010. A tocotrienol-rich frction from grpe seeds inhibits oxid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in HepG2 cells. J Med Food 13: 1240-1246. 30. Suttnr J, Másová L, Dyr JE. 2001. Influence of citrte nd EDTA nticogulnts on plsm mlondildehyde concentrtions estimted by high-performnce liquid chromtogrphy. J Chromtogr B Biomed Sci Appl 751: 193-197. 31. Kim Y, Choi Y, Hm H, Jeong HS, Lee J. 2013. Protective effects of oligomeric nd polymeric procynidin frctions from deftted grpe seed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tive dmge in HepG2 cells. Food Chem 137: 136-141. 32. Zhng XH, Choi SK, Seo JS. 2009. Effect of dietry grpe pomce on lipid oxidtion nd relted enzyme ctivities in rts fed high ft diet. Koren J Nutr 42: 415-422. 33. Lim CF, Vlento PC, Andrde PB, Sebr RM, Fernndes- Ferreir M, Pereir-Wilson C. 2007. Wter nd methnolic extrcts of Slvi officinlis protect HepG2 cells from t- BHP induced oxidtive dmge. Chem Biol Interct 167: 107-115. 34. Jio HL, Ye P, Zho BL. 2003.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 polyphenols on humn HepG2 cells ginst oxidtive dmge of fenofibrte. Free Rdic Biol Med 35: 1121-1128. 35. Bobek P. 1999. Dietry tomto nd grpe pomce in rt: effect on lipid in serum nd liver, nd on ntioxidnt sttus. Br J Biomed Sci 56: 109-113. 36. Alí M, Rmos S, Mteos R, Grndo-Serrno AB, Brvo L, Goy L. 2006. Quercetin protects humn heptom HepG2 ginst oxid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oxicol Appl Phrmcol 212: 11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