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06. 12 디스플레이산업, 향후 성장동력은? 유 준 위 평가 4 실 책임연 구 원 02) 368-5403 jwyoo@korearatings.com Summary 디스플레이산업은 그 동안 CRT(Cathod Ray Tube)에서 FPD(Flat Panel Display)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산업 생태계가 급변, 소비자로 하여금 기존과는 다른 색다른 경험을 가능케 함으로써 견조한 수요를 창출하였고, 이러한 강한 수요 성 장세를 기반으로 공급자 주도의 수급 및 가격 조절이 가능하였다. 기술혁신에 따른 CRT에서 FPD로의 변화를 대 ( 大 )진화 로 명명해본다면, 대진화 이후에도 디스플레이산업의 진화는 계속되었는데, 이를 편의상 소( 小 )진화 과정이라 하겠다. 소진화 과정은 LCD라는 울타리 내에서 세 가지 측면으로 진행되었는데, 크게 1 화질개선, 2 대형화, 3 디자인 개선 으로 요약된다. 화질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 공급자는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면서 수요를 촉진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이러한 기술진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으로 완성품 및 패널 수급조절이 일정 수준 가능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 대형 및 중소형 패널 대형화가 진행 중인데, 이러한 대형화로 인해 수요자는 고화질의 컨텐츠 향유 가능성이 증대되며, 공급자는 제품믹스 개선에 따른 실적 향상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디자인 개선을 통 한 수요 촉진 시도가 지속되는데, 슬림한 디자인을 선보이기 위한 기술개발이 주요 트렌드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2013년 차별화된 포인트로 곡면(Curved) 디자인이 등장하여 화면왜곡 현상 및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 등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시청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소진화 과정에서의 기술 진보에 따른 수요 촉진 효과가 제한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최근 디스플레이산업은 성장기를 지 나 성숙기 산업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1 낮은 시장성장률, 2 공급과잉 기조 지속에 따른 가격 하락세, 3 패널업체들의 보수적인 설비투자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대형 및 중소형 패널 출하량 추이를 살펴 보면 성장률이 둔화되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2010년 이후 디스플레이산업의 수급상황은 공급과잉기조가 유지되고 있어 전반적인 패널가격 하향 압력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최근 3개년 주요 패널업체들이 CAPEX 규모 자체 축소, 매출액 대비 CAPEX 수준 하락 등을 통해 보수적인 투자활동을 전개하여 왔는데, 이는 디스플레이산업 이 성숙기에 진입했음을 간접적으로 유추해볼 수 있는 현상으로 파악된다. 디스플레이산업이 견조한 성장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강하게 유인할 수 있는 제품 출시가 필요한데, 현재 시장 내 이러한 반향을 불러 일으킬만한 성장동력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Flexible 및 투명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며 이것 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제품 안정성과 가격적인 매력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한편 Flexible OLED 는 중소형 패널 내 교체수요 중심으로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는 바, 폭발적인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기대를 받고 있는 것은 이를 대체할만한 재료가 없으며, Flexible 및 투명 디스플레이의 영향력이 과거 소진화 과정의 기술개발보다는 강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향 후 이러한 성장동력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앞선 기술력,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영업변동 성 및 투자지출 부담 등을 커버할 수 있는 재무완충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 디스플레이산업 진화 과정 CRT FPD로의 대진화 후 소진화 과정 진행 중 1990년대 중반부터 FPD(Flat Panel Display)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에는 디 스플레이산업이 CRT(Cathod Ray Tube)에서 FPD(Flat Panel Display)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산업 생태계가 급변하였다. PDP, TFT-LCD 등의 FPD 기반의 기술혁신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기존과는 다른 색다른 경험을 가능케 함으로써 견조한 수요를 창출하였고, 이러한 강한 수요 성장세를 기반으로 공급자 주도의 수급 및 가격 조절이 가능하였다. CRT 대( 大 )진화 과정 대진화 FPD PDP TFT-LCD OLED 주) PDP(Plasma Display Panel),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기술혁신에 따른 CRT에서 FPD로의 변화를 대( 大 )진화 로 명명해본다면, 대진화 이후에 도 디스플레이산업의 진화는 계속되었는데, 이를 편의상 소( 小 )진화 과정이라 하겠다. FPD시장이 형성된 이래 LCD 주도의 시장흐름을 유지하여 왔으며, 최근 OLED의 적용이 확장되는 추세이나 여전히 LCD가 전반적인 FPD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어 소진화 과정 을 살펴봄에 있어 LCD시장 내 변화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소진화 과정은 LCD라는 울타리 내에서 다양한 각도로 진행되었는데,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2. 현재까지의 성장동력 소진화 중심으로 1) 화질측면 1 화질개선에 따른 수요증가 LCD의 경우 대형 패널과 중소형 패널의 화질 개선 속도 차이는 존재하지만 전반적인 화질 개선 추이는 유사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다. LCD부문 내 대형 화질개선 추이를 살펴보면, 2000년대 초중반에 HD(High Definition)급 화질이 등장하기 전까지 SD(Standard Definition)급이 보편적이었다. 2000년대부터 HD급이 확산되었고 2000년대 후반 FHD(Full High Definition)가 시장에 전파되는 등 HD기반의 화질이 대중화되어 화질 측면에서의 디스 플레이산업의 기술 진보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화질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TV, 휴 대폰 등의 전자제품 공급자는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면서 수요를 촉진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이러한 기술진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으로 완성품 및 패널 수급조절이 일정 수 준 가능할 수 있었다. 2
[화질 개선 추이] 대형 패널 해상도 화소 주사 방식 화질 SD 720 x 480 35만 480p HD 1280 x 720 100만 720p FHD 1920 x 1080 200만 1080i, 1080p UHD 3840 x 2160(4K) 800만 2160p 중소형 패널 해상도 화소 주요 적용 PPI 화질 WVGA 480 x 800 38만 대략 250~300 WXGA 720 x 1080 80만 300이상 FHD 1920 x 1080 200만 350이상 QHD 2560 x 1440 370만 500이상 주) UHD(Ultra High Definition), QHD(Quad High Definition), PPI(Pixel Per Inch). 시점 2000년대 이전 2000년대 초중반 2000년대 후반~ 차세대 대형 화질 SD HD FHD UHD 중소형 화질 HVGA WVGA WXGA FHD QHD 2) Size측면 2 대형화에 따른 수급개선 및 판가상승 최근 LCD TV의 주력 제품 크기는 30인치에서 40인치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지 속적인 가격인하에 따라 향후에는 UHD TV 출시와 더불어 50인치 이상의 대형TV가 주력 제품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소형 패널에서도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 진적인 크기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제품의 대형화가 이루어지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요자 측면에서 제품 이 대형화 될수록 고화질의 컨텐츠 향유 가능성이 증대되며, 공급자 측면에서는 대형제품이 프리미엄으로 간주되어 제품믹스 개선에 따른 실적 향상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패널업체의 경우 제품에 소요되는 패널면적 증가로 이어져 수급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 으로 패널이 대형화 될수록 판매가격이 높아져 전반적인 판매가격 상승 요인도 될 수 있다. 이처럼 제품 대형화는 부가가치 제고를 가능하게 하여 향후에도 Size측면에서의 지속적인 기 술 진보의 방향성은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3
LCD TV Size측면에서의 변화 추이 100% 90% 80% 70% 60% 50% 40% 60"+ 55"-59" 50"-54" 45"-49" 40"-44" 35"-39" 30"-34" 30" 이하 30% 20% 10% 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3) 디자인 측면 3 슬림화, 곡면 등의 디자인 개선을 통한 수요 촉진 TV, 휴대폰, 태블릿 등의 제품 공급자는 끊임없는 디자인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수요를 촉진하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LCD 기반의 디스플레이 시장이 형성된 이후 제품의 두께에 초점을 두어 보다 얇은 디자인을 선보이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왔 다. TV의 경우 LED BLU(Back Light Unit)의 출시 초기에 Direct BLU 방식을 적용하다가 이 후에 Edge BLU 방식이 소개되면서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휴대폰은 BLU 두께 최소화를 위한 공정 개선, OLED 패널 기판 슬림화 등으로 제품을 얇게 만들기 위 한 기술개발이 지속되어 왔다. TV제품 개발에 따른 상대적 두께 차이 LED TV (10) UHD TV (7~8) 곡면(Curved) 도입 OLED TV (1) 자료) 한국기업평가. 그리고 2013년 디자인 측면에서 기존과는 차별화된 포인트로 곡면(Curved) 제품이 등장하였 다. TV, 휴대폰 등에 곡면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화면과 시청자와의 거리를 일률적으로 유 지하여 화면왜곡 현상 을 최소화하였고, 시야각 끝부분이 흐려지는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 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시청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곡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폭발적인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되나, 침체되어 있 는 TV시장 수요를 촉발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3. 디스플레이산업의 구조적 변화 디스플레이, 성숙기 진입 CRT에서 FPD로의 대진화 이후 FPD시장 내에서 LCD 중심의 디스플레이 산업 성장이 이루 어지는 과정에서 과거의 가파른 수요 증가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소진화 과정에서의 기술진보는 일정 수준 수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크게 자극할만 한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최근 디스플레이산업은 성장기를 지나 성숙 기 산업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성숙기 산업에 진입했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1 낮은 시장성장률, 2 공급과잉 기조 지속에 따 른 가격 하락세, 3 패널업체들의 보수적인 설비투자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낮은 시장성장률 대형패널 출하량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까지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유지하였으나, 2011년 부터 한 자릿수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2013년에는 역성장하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다. 2000년 이후 성장률은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유지하였으나, 2000년대 후반 TV제품의 화질 개선, 슬림화 등의 수요 촉진 요인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대형 패널의 성장세가 회복되는 양상이 나 타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기술진보는 수요를 지속적으로 견인할만한 힘을 발휘하지는 못하 였고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TV패널의 성장이 정체되면서 전반적인 대형 패널 성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소형 패널 출하량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휴대폰 패널 출하량 변화에 따라 성장률이 좌우되고 있는데 2010년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역성장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다 만 2013년 들어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아이폰5 출시 영향, 중남미 등 신흥국 내 교체수요 증가 및 태블릿 PC 성장 등에 힘입어 출하량이 전년대비 11.3% 성장하였다. 패널출하량 및 성장률 추이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백만대) 대형패널 출하량 성장률 70% 60% 50% 40% 30% 20% 10% 0% -10% 2,700 2,600 2,500 2,400 2,300 2,200 2,100 (백만대) 중소형패널 출하량 성장률 15.0% 10.0% 5.0% 0.0% -5.0% -10.0% 0 2001 2005 2009 2013-20% 2,000 2009 2011 2013-15.0% 공급과잉 기조에 따른 가격하향세 2010년 이후 디스플레이산업의 수급상황은 공급과잉 기조가 유지되고 있어 전반적인 패널가 격 하향 압력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공급과잉 기조가 시작된 이유는 중국의 공격적인 설비 투자, 수요정체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최근까지 중국이 설비투자를 지속하는 가운데 수요회 복이 지연됨에 따라 이와 같은 수급상황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양상이다. 5
이에 따라 패널업체들은 고부가제품 비중을 확대하여 제품믹스를 개선함으로써 가격측면에서 의 하락 기조를 방어하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패널면적 수급 추이 180,000 (천m2) 35,000 (천m2) 160,000 140,000 120,000 100,000 80,000 30,000 25,000 20,000 15,000 총공급 총수요 공급-수요 60,000 40,000 20,000 10,000 5,000 0 2010 2011 2012 2013 - 대 대형 패널가격 추이 중소형 패널가격 추이 40인치 LED TV 패널가격 55인치 LED TV 패널가격 Mobile Phone Mobile PC 1,000 900 800 (달러) 60 50 (달러) 700 600 40 500 30 400 300 20 200 100-1Q10 1Q11 1Q12 1Q13 10 0 1Q11 1Q12 1Q13 패널업체들의 보수적인 투자활동 최근 3개년 주요 패널업체의 설비투자 활동을 살펴보면 CAPEX 규모 자체도 축소되는 경향 을 나타내고 있으며, 매출액 대비 CAPEX 수준도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디 스플레이산업이 공급과잉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TV 등 대형 패널 수요회복이 지연되고 있 어 과거와 같은 공격적인 투자활동을 지양하고 보수적인 투자전략을 수행함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러한 업체들의 보수적인 투자활동을 통해서 산업 사이클이 성숙기에 진 입했음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6
주요 패널업체 설비투자 경향 CAPEX 추이 CAPEX/매출액 추이 6,000 (십억원) 25% 5,000 20% 4,000 3,000 2,000 LG디스플레이 AUO Innolux 15% 10% LG디스플레이 AUO Innolux 1,000 5% - 2010 2011 2012 2013 주) 1. 삼성디스플레이는 시계열 자료 불충분하여 생략. 2. Innolux는 2010년의 경우 합병 후 법인 실적만 공시되어 1분기 실적 누락. 자료) 각사 감사보고서 및 Annual report. 0% 2010 2011 2012 2013 4. 향후 성장동력 향후 성장동력: Flexible 및 투명 디스플레이 지금까지 살펴본 디스플레이산업의 변화 과정을 통해서 대진화 이후 소진화로 분류되는 기술 개발에 따른 수요 촉진은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강하고 지속적으로 자극하기에는 한계가 존재 하여 산업 사이클이 성숙기 산업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디스 플레이산업이 현재와 같은 저성장기조를 탈피하여 제2의 성장기를 맞이하기 위해서 어떠한 성장동력이 필요할까? 디스플레이산업이 강력하고 지속적인 수요기반을 확보하여 견조한 성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는 소비자를 강하게 유인할 수 있는 제품 출시가 필요하다. CRT에서 FPD로의 혁신처럼 폭발적으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불러일으켜 시장의 반향을 유도할 수 있는 제품력이 요구된 다. 즉 공급자가 주도하여 수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이러한 시장의 반향을 불러 일으킬만한 성장동력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Flexible OLED 에 기반한 Bendable, Rollable, Foldable 제품과 투명 디스플레이 등이 존재한다. 대 Flexible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자료) 업계 자료. 7
선결조건: 제품 안정성 및 가격 매력도 Flexible OLED는 유연하고 가벼운 기판으로 제작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이 우수하고 정보기 기로서 디자인 변형이 자유로우며, 외부 충격에 대한 방어력이 우수하여 현재의 유리기판 중 심의 Portable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Flexible OLED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판으로 성능, 신뢰성, 가격 등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 이다. 기판에 적용가능한 여러 소재가 존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이 예상 되고 있어 Flexible OLED를 Plastic OLED로 부르기도 한다. 2013년 Flexible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이 시장에 출시되었으나, 이는 곡면 형태를 유지한채 잘 휘어지지 않는 제품이어서 소비자의 호응이 약했던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소비자의 긍정적인 호응과 더불어 구매욕구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기판, 배터리 등 부품까지 Flexible하여 완전한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제품 안정성을 구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Backlight 대신 외부광을 활용해야 하는데, 기존 LCD 에서는 불가능하여 OLED의 적용이 필수불가결하다. 투명 디스플레이 역시 Flexible OLED 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주변 소재까지도 투명성을 확보해야 하기에 OLED에 대한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은나노 등을 이용한 투명전극 개발도 동시 에 진행 중이다. Flexible, 투명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제품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가격상의 매력도 갖춰야 한다. OLED가 현재까지는 이런 부분에서 LCD 대비 약점이 존재하여 시장에서 주력화되지 못하고 있으나, 향후 연구개발, 공정 개선 등을 통해 OLED의 생산단가가 하락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경우 Flexible, 투명 제품 상용화에 더욱 근접하게 될 것이다. 한계점: 중소형, 교체 수요 중심의 전개 전망 한편 Flexible OLED가 가져올 수요 증대에 따른 디스플레이 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감과 더 불어 우려의 관점도 존재한다. 우선 Flexible OLED를 대형 패널까지 적용하기에는 기술적 한계, 상용화 가치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여 중소형 패널 중심의 제한적인 도입 가능성이 전 망되어 전반적인 패널 수급상황 개선을 견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 또한 CRT에서 FPD로의 전환이 패널의 교체수요뿐만 아니라 신규 수요를 창출하면서 전체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면, Flexible OLED는 중소형 패널 중심의 교체수요 창출에 제한될 가능성이 있어 신규 수요 측면에서는 기여도가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현재 디스플레이산업 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 을만한 것 중 Flexible, 투명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존재하지 않아 이에 대한 우 려보다는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이는 비록 대진화라고 명명할만큼의 강력한 성장동력은 되 지 못하더라도 소진화 과정의 기술개발과는 차별화될 수 있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8
5. 향후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필요조건 Bendable, Foldable 등의 유연성을 장착한 제품 출시는 디스플레이산업 전반에 걸쳐 중대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여 향후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에는 무엇이 있을까? 크게 기술력, 재무완충력 두 가지로 요약된다. 1 기술력 향후 시장선점을 위한 기술력 필요 기존의 고정화되어 있는 제품모델에 유연성, 투명성을 가미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소진화에 해당되는 기술개발과는 구별되는 혁신적인 기술력이 요구된다. 여기서 요구되는 기술은 과거 에 존재하는 기술들의 연장선상에서 시작하면서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야 하기에 높은 창의성이 필요하며, 가격 등을 고려한 상용화 단계까지 추진하기 위해서는 여러 공조활동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기술개발의 중심에 패널업체가 위치하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OLED 기반의 IT제품 의 경우 BLU가 필요없어 제품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 가운데 패널의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며, 주변 소재업체 대비 패널업체가 축적한 자원(기술, 인력, 자금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의 경우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선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Flexible,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에서도 여타 경쟁사 대비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향후 성장동력을 구비하기 위한 기술 확보에 있어 국내 패널업체의 선점이 기대된다. 2 재무완충력 지속적인 연구개발 위한 재무완충력 확보 필요 향후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끊임없는 기술개발, 설비투자 등에 따른 비용 부담이 존재한다. 특히 OLED 관련 연구개발의 경우 거액의 투자자금이 소요됨에 따라 이를 감당하기 위해서 는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창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면서도 충분한 재무적 완충력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 국내 패널업체들은 기존 LCD 관련 설비투자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며, 재무적 완충력 을 보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마치 거대한 벽을 관통하기까지 계속해서 발사하기 위한 총알을 장전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보여지며, Flexible 및 투명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 는 시점까지 이러한 재무완충력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향후 시장지위를 결정함에 있어 중 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용평가 시 디스플레이업체를 평가하는 요소로 기술력, 투자의 적시성 등의 사업항목, 레버 리지 및 커버리지 지표 등의 재무항목을 감안하고 있어 위에서 언급한 필요조건에 대한 분석 적 의견이 일정 수준 신용도에 반영되고 있다. 국내 패널업체의 경우 이런 측면에서 높은 수 준의 사업 및 재무적 역량을 겸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에도 끊임없는 연구개발, 선순환적인 투자패턴 등에 기초하여 우수한 수준의 사업 및 재무역량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된다. 9
[유의사항] (1) 신용등급은 특정 금융상품, 금융계약, 발행자 등의 상대적인 신용위험에 관한 현재 시점에서의 한국기업평가 의 의견입니다. 신용등급 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신용위험을 제외한 다른 위험(금리나 환율변동 등에 따른 시장가치 변동위험, 해당 증권의 유동성위험, 내부 절차나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영위험)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습니다. 특히, 구조화금융상품의 신용등급은 법령 조세제도의 변경 등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또한 신용평가는 현재 또는 과거 사실에 관한 진술이 아니라, 당사 고유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대상의 미래 상환능력에 대해 예측한 독자적인 의견으로, 이러한 예측정보는 실제 결과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환 경변화 및 당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2) 본 보고서상 모든 정보는 평가대상회사 또는 기관이 제출한 자료와 함께 각종 공시자료 등의 자료원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고 있 습니다. 평가대상회사 또는 기관이 제출한 자료의 경우 제출자료에 거짓이 없고 중요사항이 누락되어 있지 않으며 중대한 오해를 불러일 으키는 내용이 들어 있지 않다고 전제하고 있으며, 이용하는 정보에 대해 별도의 실사나 감사를 실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공된 정보의 오류 및 사기, 허위에 따른 결과에 대해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3) 보고서 작성에 사용된 정보에 대해 별도의 검증절차를 거치지 않았고, 분석자 분석도구 또는 기타요인에 의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당사는 본 보고서 내용의 정확성 및 완전성을 보증하거나 확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기인한 사항을 제 외하고 본 보고서상 정보의 이용으로 발생하는 어떠한 손해 및 결과에 대해서도 당사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4) 당사는 금융상품의 매매와 관련한 조언을 제공하거나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신용등급은 특정 유가증권의 매수, 매도 혹은 보유를 권유하는 정보가 아니며 시장 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정보도 아닙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으로 이용자의 투자결정을 대신할 수 없고 금융 상품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보이용자들은 스스로 투자대상의 위험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각자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여야만 합니다. (5)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의견으로 당사의 공식의견이 아닙니다. Copyright 2014: Korea Ratings.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대표전화: 368-5500 FAX: 368-5353. 본 보고서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의 저작권은 한국기업평가 의 소유입니다. 따라서 어떠한 정보도 당사의 서면동의 없이 무단으로 전재되거나 복사, 인용(또는 재인용), 배포될 수 없습니다. KRIR 2014-020, 2014-06-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