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6): 729-736, 2008 729 KOREAN J. FOOD CULTURE 23(6): 729-736, 2008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한식 식자재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이은정 1 김태희 2 * 김두라 3 1 신흥대학 호텔외식경영과, 2 경희대학교 외식산업학과, 3 한북대학교 국제관광경영학과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Korean Food Items Promotion -Focus on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Food Items- Eun-Jung Lee 1, Tae-Hee Kim 2 *, Doo-Ra Kim 3 1 Department of Hotel & Restaurant Management, Shinheung College 2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3 Department of Global Tourism Management, Hanbuk University Abstract The study sought ways to promote the global recognition of Korean food items. The Korean cuisine is one of the healthiest and well-balanced in the world. But, in contrast to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France, China, Japan, Thailand and Australia that have adopted food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Korea lacks a similar strategy. Development of indigenous sauces by Korean food manufacturers and processors is one route in the promotion of Korean cuisine. Korean restaurant franchising could also aid in export of Korean food items. The food manufacturing/processing sectors must work in concert with the Korean government to globalize the Korean cuisine. Brand chefs, Korean cuisine seminars and promotional efforts in foreign countries and foreign cooking schools (such as the Taste Korea campaign) are prudent actions. Key Words: Korean cuisine, Korean food item, marketing strategy, Taste Korea I. 서 론 한류에 이어 한식세계화 필요성 인식 증대 및 민 관 학 차원에서의 한식세계화 붐이 일고 있다. 특히, 21세기에 들 어서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민족음식(ethnic food)을 가지고 어떻게 전략적으로 세계화 할 것인가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각 나라마다 경제 전략의 한 방편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도 음식을 두고 사회, 경제,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시각에서 음식을 바라보고, 새롭게 인식하고, 다루고 있기 도 하다. 그러나 한국음식은 우리에게는 너무도 일상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이어서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다른 식 문화 등과 비교해서 차이점들에 대해서는 등한시 해 왔던 것 이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서구를 중심으로 경제 발전 속 에서 음식산업의 발전은 긍정적적인 면과 함께 효율성이란 측면에서 패스트푸드와 같은 부정적인 면을 탄생시키면서 우리가 먹는 것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소리가 생겨나고 있 다. 이러한 영향으로 아시아 음식이 건강식으로 부상되고 있 으며, 그 중에서도 발효식품(간장, 고추장, 된장, 김치)이 중 심이 되는 우리나라 음식이 웰빙 트렌드 영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웰빙(well-being), 로하스(LOHAS), 슬로우푸드 (slow food) 등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국음 식은 아시아 음식 중에서도 우수성에 비해서 해외에서 알려 져 있는 경우가 미미하며, 우리음식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 는 외식업체의 세계진출과 성공적인 운영도 저조하다(김 & 김 2008). 태국, 일본, 이태리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자국 음식 및 외식업 브랜드를 관광자원으로 인식하고 해외에 전 략적으로 수출하여 음식과 식문화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 출하고 있는데(한국외식연감 2006; 박 2007) 비해 우리나 라는 우리의 음식을 상품화하지 못하고 마케팅 전략이 부족 한 실정이다. 정부에서도 한국음식 세계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2007년 4월 농림부의 한식( 韓 食 ) 세계화 사업 추 진을 위한 공청회 를 시작으로 한식 세계화 사업이 본격적 으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장 2007). 외국의 경우, 자국의 음식과 요리법, 음식문화 등을 세계 화 하는 경우, 이와 같은 식문화 전반을 함께 소개하면서 자 *Corresponding author: Tae-Hee Kim, Kyunghee University, 1 Hoegi-dong, Dongdaemun-gu, Seoul 130-701, Korea Tel: 82-2-961-9388 Fax: 82-2-964-2537 E-mail: thkim33@khu.ac.kr
730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Vol. 23, No. 6 (2008) 국의 대표적인 식자재(육가공품, 소스류, 향신료, 치즈류, 면류 등)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소개되어 있 는 프랑스, 이태리, 일본, 태국, 인도 등의 외국음식들은 자 국의 식재료를 국내에 소개하고, 유통망을 개척함으로써 소 비자들에게 한층 가까운 확대 전략을 펼쳐가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식자재의 외국 진출은 미비한 실정으로, 한인마켓 에서 한인들이 구입하는 정도로만 유통되고 해당 그 나라의 본 시장에는 진출하지 못한 실정이다. 한국음식의 우수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고 있으나, 우 수한 음식이란 잣대나 가치 기준만으로는 세계화를 추진하 기에는 역부족이다. 한식세계화의 진정한 의미는 세계 속에 서 한국 음식이 대중화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 음 식을 외국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어야 하고, 가정에서도 쉽 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간편화, 편리화 하는 조리프로세스 의 혁신이 선결되어야 한다. 즉 우리음식을 외국인들의 식 탁에서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가공 식자재의 개발 및 보급, 가공양념의 개발로 인한 한식요리의 조리법 단순화 등 이 필요하다. 즉, 우리음식의 생산과 소비에 직접 관여하는 우리의 식자재, 조리법, 조리사까지도 함께 연계되어 있을 때 진정한 한식 세계화의 틀이 잡혀진다고 할 수 있다. 성 공적인 한식 세계화를 위해서는 정부, 외식업계, 식품업계 가 모두 함께 협력하여 해외 시장의 고객 욕구를 정확히 파 악하고 이들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식자재 개발 및 마케팅 활동을 함께 실행해 나감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하고 한식 세계화의 기대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우리는 식품업계, 외식업계가 따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세 계 시장을 공략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지금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가능한 상황에서 이제는 전략적인 협력이 절 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세계 선진국들은 식자재의 해외 수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요리학교나 요리학원을 만들 어 외국인들에게 음식을 소개하거나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해외 수출을 통해 자국의 농식품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최근 들어 한식 세계화 관련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 어 오고 있으나(Kim 2005; Na 2007; Kim 2007), 식품 업계의 식자재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의 논의는 미흡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들이 실행하고 있는 다양한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음식 세계화 사례를 살펴보고, 한 식 세계화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여 한식세계화 방안 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 을 통한 한식의 세계화 전략 방안은 실질적인 세계화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I. 한국음식과 한국 가공식자재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한국음식은 약식동원( 藥 食 同 原 )에서 비롯하여 양념사용과 조리방법에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음식이다. 특히 식물성 식품과 동물성 식품의 비율이 8:2로 최고의 황금비율을 이 루고 있고, 한국음식의 대표음식인 김치는 열량이 낮고, 고 섬유소 식품으로 비만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Chung 2008), 사스(Sars)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사스로 인해 아시아가 피해를 입고 있을 때 김치를 먹 는 한국인은 사스에 걸리지 않는다는 내용이 세계에 알려졌 고, 미국 영부인을 비롯한 건강을 중요시 여기는 백인들도 김치를 먹고 있다는 보도가 되기도 했다(중앙일보 2008년 8월6일). 저장 발효의 과정을 거치면서 숙성 중의 자가소화 및 발효작용으로 곰삭은 맛, 즉 아미노산의 조화로운 맛은 세계에 자랑할 만한 우리음식의 장점이자 외국음식과의 차 별성을 주는 특징이다. 또한 조리법도 수분으로 익히는 습열조리법(찜, 끓이기)이 발달했고, 조미료의 사용에도 열량이 많은 서양의 버터나 생 크림과 같은 고지방 고열량 양념류의 사용이 거의 없어 음 식의 열량이 대체로 낮은 편이다. 이런 영양적으로 우수한 한국음식이 세계 시장으로 진출 하기 위해서는 한국음식의 세계상품화를 위한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우리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세계 인의 입맛에 맞춤하는 현지화가 필요하다. 음식의 현지화란 우리나라 음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원초적인 맛을 살 리면서 동시에 현지인의 입맛에도 부합하고 제공되는 음식 의 형태나 서비스 등 세계의 현지인들에게 그들의 정서에서 풀어낸 우리음식의 정서를 보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외 국인들 입장에서 한국음식을 평가하고, 한국음식을 새롭게 해석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몇 해 전부터 진행되 어오고 있는 한식의 표준화 단순화 작업은 세계화를 위한 기 초 작업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특히 음식 맛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양념류의 세계 상품화는 가장 우선적으로 접근해야 할 부분이다. 음식의 세 계화 과정에서 식재료의 한계는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에 독 특한 특징과 맛을 전해주는 양념의 상품화, 즉 조화미를 강 조한 우리의 양념을 서양식의 소스와 같은 상품으로 개발하 여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의 질 좋은 쇠고기에 우리의 불 고기 양념장을 넣어 그들의 기호에 맞는 조리법으로 먹게 될 때 우리음식의 현지화 및 세계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식품산업 중 가공식자재 산업은 내수용이 대 부분이며, 해외 진출이 활발하지 않다. 한국의 양념과 소스 개발 시장은 도입기 단계로 국내 소비용으로만 개발되고 있 고, 식품회사에서는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양식 드레싱류 (시저드레싱, 프렌치드레싱, 1000드레싱 등)와 소스류를 개 발해서 판매하고 있다. 반면 외국인들을 타겟으로 하는 소 스류 개발에는 고추장 소스, 인삼소스의 연구를 해 오고 있 으나, 적극적 판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Hong 2004; Han 2006). 반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영국의 A1소스, 우 1)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731 스터소스(Worcestershire sauce, Worcester sauce) 2), 미 국의 타바스코 소스(Tabasco sauce) 3) 는 우리나라 가정 식 탁에서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한국식품회사에서도 우리 전 통 식품을 이용하여 이런 국제적인 소스류를 개발하고 홍보 해야 한다. 해외의 경우, 미국식품회사 심플롯은 튀김용 냉동감자류, 한번 익힌 후에 냉동시킨 통감자류, 감자가루에 육수를 넣 으면 으깬 감자(mashed potato)가 되는 제품, 각종 냉동 채소류를 세계 각국에 수출하여 해동 후 소비자들이 쉽게 조 리할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http:// simplot.co.kr/). 이태리의 세계적인 파스타 생산업체인 Barilla(바릴라)사는 파스타 제품뿐만 아니라 손쉽게 가정에 서 이용할 수 있는 이태리 대표 파스타 소스를 제품화하여 파스타 판매량도 함께 높이는 상승효과를 보았다(http:// www.barilla.co.kr/bar/int/sauc_deft_idx.jsp). 소스류를 비롯한 식자재의 개발과 더불어 마케팅 또한 중 요한 세계상품화의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 식품회사들 의 마케팅 활동의 한계점은 외국 식품회사들의 공격적 마케 팅과 비교할 때, 극히 소극적이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다각도로 현지인과 현지의 외식업체 및 유통업체와 연계하 여 프로모션을 실시하거나 외국의 식품박람회, 외국 요리학 교 등과 밀착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다. 또한 한식 레스토랑의 해외 수출도 음식상품의 세계화 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한식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해 외진출에 성공할 경우, 우리나라에 진출해 있는 많은 외국 외식브랜드가 자국의 맛을 알리는 역할을 한 것처럼 외국에 서 우리 맛을 알리는 홍보대사 역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한식 식자재를 수출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III. 외국 식자재의 마케팅 현황 세계 각 국에서 그들의 식문화를 알리려는 노력과 각 국 가의 정부, 그리고 식품회사, 외식업계의 역할을 나누어 어 떤 유기적 협력을 이루어 성과를 극대화했는지 살펴봄으로 써 한국 정부, 한국의 식품회사, 한국의 외식업계가 한식 세 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1. 미국의 식품 마케팅 현황 미국남부무역협회(SUSTA, Southern United States Trade Association)는 2001년 이래 세계 각 국의 조리사 들을 미국 남부(루이지애나 주)에 초대하여 2주간 조리와 식 문화 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2001년부터 매년 남미, 인 도, 영국, 덴마크, 중미, 타이, 말레이시아, 캐나다, 일본, 스리랑카, 한국 5) 등의 젊은 쉐프들을 초청해 미국 남부의 식문화 교육을 실시했다(http://www.susta.org/). 교육을 받은 각 나라의 조리사들은 미국남부의 식자재를 이용하여 자국의 음식을 만드는 파티(gala night)를 하여 미국의 식 문화를 자연스럽게 각 나라에 전파하게 한다. 교육을 받게 된 조리사들은 자국에 돌아가 미국 남부 식자재를 이용하여 메뉴개발을 하여 양 나라 간의 조리, 음식 교류의 계기를 마 련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대사관 농업무역관(ATO) 6) 과 CIA 동문회는 2005년 이래 컬리너리 캠프(culinary camp) 7) 를 매년 실시하여 미국 식재료(소고기, 가금류, 냉동채소류, 소 스류 등)를 이용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메뉴개발을 한 후, 요리책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미국 식재료를 한국 조리사들 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행사를 해 왔다(그레이 트 어메리칸 컬리너리 캠프 가이드북 2006, 2007, 2008). 또한 미국육류협회 8) 는 미국산 육류 구매 안내서를 각 나라 언어(영어, 중국어, 한글, 일본어, 불어 등)로 만들어 구매 자들의 구입에 편이를 주고 있고(미국산 육류 구매 안내서 2007), 미국의 식자재 회사인 심플롯은 각종 냉동 채소류를 세계 각 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한국 내 소비자들의 요구도 에 맞는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http://simplot.co.kr/). 미국은 4개의 수출협회에서 미국 식품회사의 제품들을 효 과적으로 외국에 알리기 위해 요리캠프, 요리대회를 실시하고 이에 필요한 요리책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미국 외식업계(패 밀리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피자업 등)의 한국진출은 자국 음식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공격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 미식가였던 영국의 조지4세는 요리사에게 종종 새로운 소스를 만들게 했는데 어느 날 간장, 식초, 안초비에 샬로트를 섞은 스테이크를 맛본 순간, 이 소스는 A1이야! 하고 소리쳤다. A1은 당시 런던 로이드 보험회사의 선박 보험에서 가장 비싼 보험액이 지정된 최고의 배를 <A의 1번> 이라고 한 데서 나왔다. 그 뒤 A1은 가장 좋은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2) 19세기 중엽, 영국 우스터셔주의 우스터에서 만들어져 발매된 식탁용 소스. 양파 당근 샐러리 토마토 등을 삶아 익힌 국물에다 후추 육계( 肉 桂 ) 정향 등 향신료와 초 소금 캐러멜 등을 첨가하여 6 12개월 동안 숙성시킨다. 이 계통의 소스는 서양 요리의 보급으로 점차 널리 애용되며, 바비큐 소스 등도 생산되고 있다. 3) 타바스코 소스(Tabasco Sauce)는 핫소스 중에서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 에이버리아일랜드에 있는 매킬러니사의 핫소스 상품을 일컫는 등록상표이다. 명칭은 멕시코의 타바스코 주에서 유래했다. 서양식 매운 소스류 중에서 타바스코는 가장 유명한 상표이다. 타바스코 소스는 타바스코 고추를 소금과 섞 어 참나무통에 넣어 3년 이상 숙성시킨다. 이러한 타바스코 소스는 매우 맵고 시큼한 향을 낸다. 4) 미국의 식량수출협회는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SUSTA, WUSATA(Western United States Agricultural Trade Association), MIATCO(Food Export Association of the Midwest USA), Food Export USA Northeast이다(http://www.miatco.org/us_food/). 5) 고대식, 최재석, 이은정, 조용철, 김대연, 루지애나 리포트 보고서, 2006 6) http://korean.seoul.usembassy.gov/agricultural.html 7) 2005년도 미국 식자재 설명회, 2006년 9월 미국지역 음식 소개, 2007년 3월 뉴욕 레스토랑과 메뉴 트렌드 소개, 2007년 10월 Tex-Mex 음식소 개, 2008년 9월 이태리 및 멕시코 풍미의 재해석 이란 주제로 그레이트 어메리칸 컬리너리 캠프(Great American Culinary Camp)를 해 왔다. 8) http://www.usmef.co.kr/
732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Vol. 23, No. 6 (2008) 2. 프랑스의 식품 마케팅 현황 프랑스 소펙사(SOPEXA, 프랑스 농식품 진흥공사) 9) 에서 는 한국 특급호텔 총주방장에게 프랑스 식문화를 알리는 행 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프랑스 각지를 다니면서 프랑스 의 농수산 시장 견학, 와인공장 견학, 치즈공장 견학, 프와 그라 농장 견학 등을 통해 자국의 식자재의 우수성을 알리 고, 지속적인 식자재 구입을 권장하고 있다. 총주방장들은 견학 후, 프랑스 식자재를 이용하여 프랑스 메뉴개발을 하 고, 식자재를 구매하게 된다. 또한 소펙사에서는 프랑스 와 인, 돼지고기, 치즈를 홍보하기 위한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있는데, 와인세미나, 소믈리에 대회, 돈육세미나, 치즈세미 나, 치즈를 이용한 요리대회 등이 해당된다. 양식조리사들 에게 필수적인 디존머스터드(dijon mustard)는 프랑스 디 존 지역의 겨자소스로 양식조리에 필수적인 소스로 인식되 어 대량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프랑스는 이런 기관을 통 해서 프랑스 식자재, 식품회사를 홍보하고 있고, 프랑스 지 역의 멋진 레스토랑은 관광객들에게 프랑스 음식을 최고의 음식으로 인식시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르 꼬르동 블루 10) 에서 김치를 사용하여 프랑스 요리를 개 발하여 20가지의 김치 프랑스 요리를 개발하여 요리책을 발 간하였다(김치와 르 꼬르동 블루 2005). 2005년 중순에는 영어와 불어로 출판하였고, 2006년 초에는 한글과 영어, 한 글과 일어로 번역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였다(한국외 식연감 2006). 3. 이탈리아의 식품 마케팅 현황 이탈리아의 요리학교 알마(Alma)는 이탈리아 농림부 와 교육 및 과학 기술부 의 후원 및 파르마(Parma)시의 적극 적인 지원으로 설립된 학교이다. 파르마 시는 이탈리아 식 료품 메이드 인 이태리 최고의 요람이며 이탈리아 레스토 랑에 있어 가장 권위 있는 도시이고 파르마 시의 농산물과 그 가공품은 이탈리아 최고라는 평판을 듣고 있다. 파르마 시는 음식과 식품 생산의 중심지이며 지역 농산물과 농식품 을 프로모션하기 위해 해외 유명 조리학교(스위스의 호텔학 교, 프랑스의 꼬르동 블루, 미국의 CIA 등)를 벤치마킹한 후에 알마를 세웠다. 알마에서는 이탈리아 전문 요리사를 양 성하면서 이탈리아 내 모든 농산물과 농식품을 체계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알마는 전문 이탈리아 요리사를 양성하여 이 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요리를 전 세계에 전파하며 동시에 질 좋은 이탈리아 식재료를 홍보하고자 전략적으로 만든 요리 학교이다(김 & 김 2008). 이탈리아 정부는 이탈리아의 식자재를 홍보하기 위해 요 리학교를 통하여 이탈리아 음식과 식자재를 알리고 있다. 이 탈리아의 현지 레스토랑은 이탈리아 음식을 최고의 음식으 로 인식시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직 간접적으로 홍보된 이탈리아 음식의 소개로 한국에서는 이 태리 파스타, 토마토소스류, 올리브유, 올리브, 각종 치즈류 등을 현지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지중해 건강식이 란 홍보마케팅의 효과로 이태리 요리 관련 식자재 수요량이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4. 중국(홍콩) 이금기 소스의 마케팅 현황 이금기 소스류 11) 는 중국, 아시아 뿐 아니라, 미국, 유럽시 장에도 폭넓게 진출하고 있다. 이금기 소스회사는 CIA(뉴욕 의 조리대학, http://www.ciachef.edu/)에서 이금기 소스 류를 미국학생들에게 알리는 프로모션을 실시했고(2007년 8월 14일), 장차 브랜드쉐프(brand chef)를 꿈꾸는 미국 요 리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요리에 아시아 소스류를 이용해 창 작메뉴를 개발하고자 열심히 참여했다. 이금기 소스에는 간 장, 굴 소스(oyster sauce), 두반장, XO소스, 해선장 등 여 러 제품들이 있고, 국내에서의 사용빈도가 높다. 특히 굴 소 스는 상업용 주방 외에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 다. 국내에서 이금기 소스는 오뚜기에서 판권을 가지고 판 매하고 있어서 일반 소매슈퍼, 마트 등에서도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이금기 소스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요리책 소 책자도 무료로 같이 배포하고 있다. 또한 조리사의 역할도 음식의 세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예로 다양 한 국적의 학생들이 요리를 배우고 있는 미국의 조리대학 CIA에는 중국, 일본, 한국, 태국, 인도, 베트남 음식을 수 업하는 동양요리를 담당하는 쉐프가 중국인인데, 한국의 불 고기를 가르칠 때에도 중국간장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 고 있어, 한국음식의 세계상품화를 진행하는 우리들에게 시 사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5. 일본의 식품 마케팅 현황 일본의 경우 노부(Nobuyuki Matsuhisa) 12) 라는 브랜드 쉐프는 본인의 이름으로 소스를 만들어 상품화에 성공했다. 노부라는 브랜드는 핫 소스(hot sauce)에 걸맞은 명성으로 지금 해외 시장에서 많이 알려졌고, 판매되고 있다(Nobuyuki Matsuhisa 2001). 노부가 일본 된장을 이용하여 생선요리 9) http://www.sopexa.co.kr/ 1961년에 설립된 소펙사는 프랑스산 식품 및 농산물 판매촉진을 위한 기관(Société pour l'expansion des Ventes des Produits Agricoles et Alimentaires Français)의 약자이다. 한국을 비롯하여 총 35개국에 진출하여 41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소펙사는 프랑스 농식품의 전 세계적인 진흥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특히 관련 업체들의 해외진출 시작 단계에서 제품 판매에 이르기까지 컨설턴트 역할을 하고 협조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소펙사는 각 지역 협회(연합회, 직업연맹, 공공기관)를 연계시켜 프랑스 시장과 전 세계에 방송 및 미디어를 통해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10) 1895년 파리에 문을 연 요리학교로 전 세계 15개국에 26개의 분교를 운영하고 있다. 11) http://korea.lkk.com/ 12) 세계 속의 일본음식(다큐멘터리), 일본 NHK 제작, ETN에서 상영, 2006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733 (Nobu s Black Cod with Miso, 2002년도) 13) 와 채소요리 (Japanese eggplant with miso(nobu-style Saikyo Sweet Miso), 2007년도) 14) 를 소개하자 서양의 조리사들과 요리 연구가들이 일본된장을 이용하여 메뉴를 개발하였고, 그 결과 일본된장의 소비가 증가하였다. 일본의 간장 회사인 기꼬망(kikkoman) 간장은 간장 생 산 업체로서 성공하였고, 간장이라는 제품을 변혁시키는 전 략으로 세계시장을 점령했다. 기꼬망은 하와이, 캘리포니아 를 중심으로 미국 거주 일본인을 대상으로 수출하였고, 3가 지 현지화 방법을 통하여 미국시장에 웰빙음식으로 인식하 는데 성공했다. 1차 현지화는 미국 음식에 접목하기 위해 대 형마켓, 무역박람회 등을 통해 대규모 시식행사를 추진했 고, 2차 현지화는 현지 요리 전문가와 요리전문서적을 통해 마케팅 및 대중 요리책을 출간했고, 간장을 이용한 조리법 소책자를 같이 제공했다. 3차 현지화는 현지 생산 단계의 product of USA 장기 프로젝트를 완료해서 현지 입맛에 맞는 다양한 간장 소스를 개발했다. 일본 양념으로의 간장 을 다용도 양념장(all-purpose seasoning)으로 재포지셔 닝(repositioning)한 사례이다. 기꼬망 브랜드의 성공으로 Teriyaki, sweet&sour, stir-fried 등 다양한 간장 기반 소 스를 개발하였다(일본간장시장 경쟁 환경 분석 및 대응전략 (kikoman) 2005). 미국 뉴욕에서는 김치의 인기가 많은데, 일반인들이 김치 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 뉴욕에서 김치엑기스(kimchi extract) 가 판매되고 있는데, 김치엑기스는 일본 식품회사 와 중국 식품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다(http:// www.qy6.net/trade/80194/sell_kimchi_extract.html). 외국인들은 김치의 국적보다는 김치의 효과에 더 많은 관심 이 있다. 6. 태국의 식품 마케팅 현황 태국은 kitchen of the world 와 Thai kitchen goes international 이라는 국가 정책으로 세계화에 성공한 나라 이다. 태국의 스위트칠리소스(sweet chili sauce), 오징어 액젖(Thai fish sauce) 등은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한국에 서 조리사와 일반 소비자들도 사용하게 되었다. 스위트칠리 소스는 고기, 햄버거, 해산물, 채소 등의 양념에 많이 쓰이 고 있는데, 새콤한 단맛으로 인해 젊은 층에게 인기가 많다. 태국만의 독특함이 풍겨져 나오는 양꿍, 사테, 팟타이 등 에 오징어액젖을 사용하는 태국음식이 많이 알려지면서 피 쉬소스의 사용량과 인지도가 급격하게 높아졌다. 피쉬소스 똠 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태국음식을 통하여 태국 식재료가 동 시에 알려진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http://www. thaitable.com/thai/ingredients/fish_sauce.htm). 7. 호주 청정우 마케팅 현황 세계 최고 쇠고기 수출 국가 중 하나인 호주의 소고기는 광우병 파동 이전까지만 해도 국내 시장 점유율이 8%에 불 과했었으나, 광우병 파동 이후 미국 소고기 수입이 금지되 면서 그 틈새시장에 안전성에 초점을 둔 마케팅 전략인 Clean & Safe 을 내세워 한국 시장을 공략했다. 이는 깨 끗한 자연에서 생산된 호주산 소고기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 한 것으로 Clean & Safe라는 마크를 붙여 소비자들에게 깨 끗하고 안전한 이미지를 부각시켜서 국내 소고기 시장 점유 율 40%를 차지하게 되었다(한국경제 2007년 7월 11일). 호 주는 올해 국제수역사무국으로부터 광우병 안전 1등급 국가 인증을 획득하였고, 그 외에도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다. 호주 축산공사 15) 는 매년 열리는 블랙박스(black box) 요리경연대회 16) 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펜슬박스(pencil box) 요리경연대회를 통해 호주 현지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세계 블랙박스 요리대회에 출전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런 다양한 프로모션 행사를 통해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조 리사에게 호주 축산물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전략으로 한국 시장 진출에 성공했다(호텔앤레스토랑 2007). IV. 한식 식자재 홍보를 통한 한국 음식의 세계화 방안 1. 한식 세계화를 위한 한국음식 홍보 현황 및 문제점 지금까지 농림부와 문광부에서 시행해 온 한식세계화는 대 부분 해외 박람회나 국내 박람회에 참가해 부스를 만들고 한 국전통 음식을 보여 주는 전시음식과 시식회를 하는 형태였 다. 또한 지금까지 해외에서 한국음식을 알리는 행사는 주 로 한국의 궁중요리, 반가요리를 알리고 시식할 기회를 주 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우리의 문화와 역사가 깃든 음식 을 소개하는 입장에서는 의의가 있는 행사이지만, 대중적인 일상식으로 그들의 가정에서 도입할 수 있고, 그들의 레스 토랑에서 신개발 메뉴로 등장할 수 있는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부분이었다. 2007년 10월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에서 한 식을 알리는 행사(광주요 조태권회장)는 한국음식과 한국의 도자기를 함께 선보이며 한국음식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효 과적인 행사였지만,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파급효과 측면에 13) http://www.recipezaar.com/32270, 14) http://steamykitchen.wordpress.com/2007/05/05/japanese-eggplant-with-miso/ 15) http://www.ilovebeef.co.kr 16) 블랙박스요리대회는 호텔, 레스토랑, 단체급식, 항공사 케이터링 등의 업종에 속한 만 32세 이하의 젊은 요리사들에게만 자격이 주어지는 요리대회 인데, 대회 당일에 식재료를 공개하며 그 재료를 이용해 24시간 안에 네 가지 코스의 요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식재료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창의성과 요리사의 진정한 실력을 검증받는 대회이다.
734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Vol. 23, No. 6 (2008) 서는 일부 특수층을 대상으로 한 소수만을 위한 행사였다는 점에서 역시 한계점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해외에서의 한식의 노출은 새로운 기 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둘 수 있지만 그 동안의 한국음식의 홍보나 마케팅이 우리들만의 잔치는 아니었는지, 얼마나 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진행되었는지, 국가적인 차 원에서 통일감 있고 효과적인 한식 마케팅 전략이 진행되었 는지를 진단해 볼 필요성이 요구된다. 2008년 7월 3일, 4일 양일 동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Vladivostok) 손니치문화센터에서 손니치문화센터와 한국 관광공사의 주최로 한국음식세미나를 개최하였다. 17) 한국의 발효식품인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한국의 김치와 장아찌류를 홍보한 후, 김치체험, 비빔밥고 추장 만들기 시연이 있었다. 행사 후, 발효음식을 이용한 한 국음식 뷔페를 통하여 한국의 맛 을 러시아인들에게 소개했 다. 오신 귀빈들, 학생들에게 한국 식품회사에서 협찬해 준 아침간장(300 ml), 고추장(170 g), 쌈장(170 g)의 샘플을 선물했고, 이런 장류를 이용하여 현지 식자재(쇠고기, 돼지 고기, 생선류, 채소류 등)를 이용한 한국 음식을 만드는 러 시아어 레시피를 같이 제공하였다. 이 행사에 참여한 러시 아인들은 참가 소감에서 한국음식이 건강에 좋다, 한국 음식을 먹으면 날씬해진다 는 인식을 갖게 되었으며, 앞으 로 자주 한국음식을 먹고, 한국 음식점을 찾아가는 기회를 많이 갖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현재 러시아에는 국내 장류전문회사인 주식회사 샘표가 아침간장 이라는 브랜드로 진출해 있고, 러시아 고급 슈퍼 마켓에 러시아어로 적힌 주식회사 오뚜기의 마요네즈가 진 열되어 러시아에서 최고의 마요네즈로 인식되어 판매되고 있었다. 러시아처럼 한국의 발효 식품을 비롯한 식자재들이 각 나라의 한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통업체에만 국한되어 판매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나라 언어로 새롭게 씌어져 그 나라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유통 라인으로 접근해 들 어가야 한다. 더불어 향후 외국에서 한국음식을 알리는 기회가 있을 때 면 그 나라 현지의 식자재를 미리 파악하여 우리의 대표적 인 양념류인 간장, 고추장, 된장 등이 그 지역 식자재와 어 떻게 조화를 시켜야 할지 미식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다양 한 정보의 수집과 방법을 연구한 후 메뉴를 개발하여 소개 하는 것도 꼭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한국음식과 함께 한국 식품회사의 소스류도 같이 홍보되어져 외국인들이 향후 보 다 편리하고 쉽게 구매하고 그들의 식탁에서 한국음식을 보 다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어야 할 것이다. 2.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식 세계화 방안 한식세계화를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식품기업들의 가 공식자재를 연구 개발해야 하고, 외식기업들의 프랜차이즈 외식브랜드 개발 및 해외 수출 활성화, 한식 조리사들의 한 식 조리에 대한 인식전환 및 정부-식품기업-외식기업 협력 관계 구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 홍보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한식세계화를 위한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방안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에 한국음식을 알릴 경우 한국어가 아닌 자국 언어로 된 한국의 식자재를 같이 소개하면서 한국음식을 알 리도록 해야 한다. 여기에 우리음식을 알리는 자국 언어의 요리책, 요리가이드북을 같이 제공하도록 한다. 식품회사와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통회사도 같이 협력해서 나가야 한다. 또한 불고기를 알리기 위해서 불고기 소스류를 그 나라 언 어로 상품화하여 쉽게 불고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양고기가 발달한 나라일 경우, 양고기에 어울리는 소스류(간 장소스류, 된장소스류 등)를 개발하여 새로운 양고기 바비 큐를 소개해야 한다. 둘째, 외국의 유수 요리학교에 한국음식의 우수성을 알리 고, 우리나라 식자재(발효식품, 소스류 등)의 사용법을 알려 서 중국의 이금기소스, 일본의 기꼬망 간장과 같이 알려져 야 한다. 전통적인 발효식품 외에도 한국 음식의 이미지를 각인 시킬 수 있는 소스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장류 중에서 간장과 된장은 이미 일본이 세계적인 시장을 선 점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한국의 간장과 된장이 일본의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야 하며, 간장이나 된장과는 다르게 일본이나 중국에 없는 고추장을 이용한 소스를 개발 하고 육류 소비량이 높은 서양음식의 특징을 고려하여 Korean style B.B.Q소스를 개발하여 세계 속의 소스를 만 들어야 한다. 셋째, 쉐프(Chef)를 통한 전략으로 식재료와 가장 연관성 이 높은 쉐프들을 통해 한식 식재료를 알리는 방법이다. 지 금 세계 속의 유명 쉐프들은 새로운 조리법 개발에 한계에 부딪힌 상태로, 어떤 쉐프가 새로운 재료, 최고의 재료를 찾 아서 먼저 사용하는지에 관심이 몰려 있다. 스페인의 El Bulli 의 오너 쉐프인 훼란 안드레아(Ferran Adria) 18) 나 프랑스 요리계의 거목인 알랭 뒤카스(Alain Ducasse) 19) 외에도 유 명한 쉐프들이 더 이상 주방을 지키는 것에 연연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재료를 구하려고 전 세계를 찾아다니는데 많 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식재료에 대한 관 심은 이미 세계 속의 식탁에 화두로 올라와 있다고 할 수 있 17)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155966 18) http://www.elbulli.com/ 19) http://www.alain-ducasse.com/public_us/en_ce_moment/fr_encemoment.htm
한식 식자재 프로모션을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735 다. 쉐프를 통한 식자재를 알리는 방법으로는 첫째, 해외에 진출한 한국인 쉐프를 통한 방법, 둘째, 세계적인 유명한 쉐 프들에게 한국 식재료를 알리는 방법, 셋째, 한국에 있는 외 국인 쉐프들을 통한 방법으로 전략을 세워야 한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인 쉐프에게는 한국음식 프로모션을 실시할 경우 현지에서 구하기 힘든 한국 식자재와 소스 등을 지원하는 방 법으로 식재료를 알려야 한다. 그리고 세계적인 브랜드쉐프 들에게 한국 식재료를 알려서 그 쉐프들이 한국 식재료를 사 용하게 될 때의 파급 효과는 상당히 크다. 한 예로 스페인의 최고 레스토랑으로 꼽히는 엘 불리(El Bulli)에서는 한국산 김을 사용하고 있고, 이 레스토랑에서 발간한 El Bulli 2004 (ISBN 84-7871-674-2)에는 사용한 재료 목록 중에 한국 산 김의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세계적인 브랜드쉐프가 사용 한 김이 한국제품이라는 것이 알려질 경우, 최고의 레스토랑 엘 불리에서 사용하는 재료라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홍보 효 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외국인 쉐프들에게는 한국 음식을 접해보지 않은 다른 해외 쉐프들에 비해 한식의 이해 도가 높은 점을 이용하여 요리대회, 메뉴개발 대회를 통해 한국의 발효식품을 이용하여 양식메뉴를 개발하도록 하고, 이의 보급에 힘써야 한다. 외국인 쉐프들도 세계 각 국의 음 식을 접목하여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는데 힘쓰고 있는데, 여 기에 한국의 간장, 고추장, 된장을 이용하여 메뉴개발을 하 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간장을 이용하여 생선 요리를 하 게 되면 외국인들에게는 참신하게 받아들여지게 된다. 한국 의 식품회사들이 이런 대회를 개최하여 우리 식품들이 외국 에 나갈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해외 진출을 하는 식품회사에 유통구조 의 개선이나, 관련 제도 및 법령 적용 등 해외 진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더불어 실질적으로 한국음식과 조리법, 한국식자재를 홍보할 수 있 는 종합적인 한국식문화를 전달할 수 있는 한국요리학교의 육성도 필요하다. 다음 <Table 1, 2>에서 한국음식 세계화를 위한 SWOT 분석과 이를 통한 전략을 도출해 보았다. V. 결 론 앞서, 미국, 프랑스, 이태리, 호주, 중국, 일본, 태국 등 전 세계에 잘 알려진 음식문화를 가진 나라들의 자국의 식 자재를 알리기 위한 마케팅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도 해외 진출을 꾀하는 다국적 식품회사 들이 있고, 국내식품회사들의 식자재도 세계수준으로 발전 해 있다. 발효식품, 소스류 등 대표적인 한국의 식재료를 알 리는 일은 한국인, 한국조리사들, 한국요리연구가들이 해야 할 몫이다. 음식으로 그 나라의 문화를 알리는 일은 곧 그 나라를 알리는 일이고, 그 나라의 외식산업을 비롯한 포괄 적인 관광산업을 홍보할 수 있는 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식 식자재를 통한 한국 음식 세계화 방 안으로 한국음식 세미나 개최, 외국 요리학교에 한국 음식 과 식자재 홍보, 쉐프들을 통한 방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 다. 또한 정부의 역할, 식품회사의 역할, 조리인의 역할을 나누어 제시하였다. <Table 1> 한국음식 세계화를 위한 SWOT 분석 강점 [Strength] 건강식 발효식품(간장, 고추장, 된장, 김치)의 우수성 외국에 진출하는 한국 조리사들이 많아짐 한식의 독창성은 세계 ethnic foods 시장에서 가치 인정받음 기회 [Opportunity] 웰빙, 로하스, 슬로우푸드, 한류의 열풍 세계화에 따른 ethnic foods에 대한 수요 증가 정부의 한식 세계화 정책 외국에 한국음식 홍보하는 기회가 많아짐 약점 [Weakness] 식품회사의 마케팅 전략의 미비 한국 가공 식자재 산업의 미진 한국식자재를 홍보하는 요리학교 부재 한식 프랜차이징 기업의 해외진출 미약 한식 세계 상품화를 위한 메뉴 개발 부진 위협 [Threat] 한식세계화에 대한 정확한 컨셉 및 이해 부족 일본의 전략적인 한식 상품화 추진 ethnic foods에 대한 경쟁 심화 일본의 발효식품(간장, 된장), 태국 소스류의 선점 <Table 2> 한식 세계화를 위한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도출 SO전략 ST전략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한국음식 홍보 외국에 진출하는 한국조리사들과의 연계 외국에 한국음식 세미나시 발효식품 홍보 ethnic foods에서 한식독창성을 강조 WO 전략 식품회사의 마케팅 전략 한국 가공 식자재 산업의 발전 한국식자재를 홍보하는 요리학교 양성화 한식 프랜차이징 기업의 해외진출 활성화 외국에 new Korean cuisine의 소개 한식 레스토랑의 프랜차이즈화, 브랜드화 한국발효식품과 일본발효식품의 차이점 설명 동양에서 한국음식 고유의 독특함을 차별적 홍보 WT 전략 한국 소스류를 이용한 양식 메뉴개발 일본 기꼬망간장과 같은 브랜드상품 개발 및 홍보 한국 가공 식자재 산업의 개발 한국 전통소스류의 개발
736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韓 Vol. 23, No. 6 (2008) 우리들이 한식 식자재의 우수함을 깨닫고 소중히 여기고 이를 외국에 홍보하는 것이 한국음식 세계화의 기틀이 된다 고 본다. 앞으로는 한국의 식품회사들이 주도적으로 식자재 를 알리는 일들을 기획하고, 한국음식 세미나를 실시하고, 유 통과 같이 나가야만 한다. 또한, 한국적 엔터테인먼트를 개 발해야 한다. 한국음식을 알리면서 조리사들의 난타 공연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aste Korea (한국 의 맛을 알리는 일)는 한국음식을 통해 韓 브랜드(한국 자동 차, 한국 IT제품, 한국문화 등)를 알리는 거점이 될 수 있다. 한국음식은 맛있고 건강하고 과학적으로 우수성을 강조하 여, 외국 현지 판촉 및 전시행사를 하고, 현지 전문가나 식 당, 유통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야 한다. 농수산물 유 통공사(aT센터)나 관광공사, 한국 문화원 등을 중심으로 우 리 농산물과 식품의 프로모션을 강화하고, 현지 식당, 호텔, 음식전문가를 초청하여 시식회를 실시하면서 우리의 식자재 를 홍보해야 한다. 한국식품회사는 외국 현지 유통업체와 전 략적 제휴를 통하여 해외 시장에 한국 식자재 코너를 확보 해야 하고, 한국 음식 소개를 자국어로 소개하면서 표준화 된 설명을 해야 한다. 한식세계화는 정부-식품기업-외식기업 협렵 관계의 구축 과 함께 한식조리사들과 양식조리사들에 의한 한식소스류를 활용한 양식메뉴개발, A1소스, 우스터소스, 타바스코소스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 소스류의 개발과 홍보, 기꼬망 간장과 같은 브랜드화가 이뤄질 때, 또 해외 각 국 슈퍼마켓에 한 식 식재료와 한식 소스류가 판매되어질 때 한식세계화가 가 능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고대식, 최재석, 이은정, 조용철, 김대연, 루지애나 리포트 보고 서, 2006. 김재수, 한국음식 세계인의 식탁으로, 백산 출판사, 2006. 김치와 르 꼬르동 블루(한국의 맛과 프랑스 요리의 만남), 르 꼬 르동 블루/aT농수산물유통공사, 2005. 김태희, 김은경, 세계적 한식 요리 아카데미 육성모델 개발, 농림 수산식품부/aT농수산물유통공사, 2008. 로라 부시 김치는 건강식...나도 잘 먹어, 중앙일보 2008년 8월 7일, 오종택기자. 미국농업무역관(USATO), 그레이트 어메리칸 컬리너리 캠프 가 이드북, 2006, 2007, 2008. 박형희, 우리 음식 세계화 전략의 문제점과 그 대책, 한국식생활 문화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7.5. 세계 속의 일본음식(다큐멘터리), 일본 NHK 제작, ETN에서 상 영, 2006. 일본간장시장 경쟁 환경 분석 및 대응전략(kikoman), 2005. 장승진, 한식 세계화 사업 추진계획, 한식세계화 공청회 자료집, 농 림부, 2007. 한국경제 2007년 7월 11일 한우 호주산 경쟁력 키우기 고심. (주)한국외식정보, 한국외식연감, 2006, pp 428-429. 한식( 韓 食 ) 세계화 꿈꾸는 조태권 광주요 회장, 한 상 떡하니 차 려내니 세계 부호들이 까무러칩디다, [김서령이 쓰는 이 사람의 삶], 2008.6.20. 호텔앤레스토랑 12월호, 2007 우리 업장에 맞는 것으로 골라 쓰 자 -Beef, 어떤 것을 쓸까? Chung HK, 한국음식 오디세이, 생각의 나무, 2008. Ferran Adria, El Bulli 2004 (ISBN 84-7871-674-2) Han KS, Seo KM, Lee YH, The Development of Various Ginseng Sauce Applying for Norminal Group Technique, 2006, J. of Foodservice Management. 9(1):109-131. Hong SP, Kim EM, Cho KH, Preparation of Gochujang Sauce and its Characteristics, 2004, Korean J. Food Culture, 19(2): 239-249. Kim JS, Universalizing Korean Food, 2005, Korean J. Food Culture, 20(5):499-507. Kim HS, Future food and the role of food cookery Science, 2006, Korean J. Food Cookery Sci 22(4):552-562. Kim TH, Lee EJ, Choi J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Brand chefs -Focused on the Examples of Success in Japan-, 2007, Korean J. Food Culture, 22(6):682-689. Na JK. 2007.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J. of Foodservice Management. 10(2):155-179. Nobuyuki Matsuhisa, Nobu Now, October 11, 2005. Nobuyuki Matsuhisa, Nobu the cookbook, September 10, 2001, pp.170-173. U.S. Meat Export Federation, 미국산 육류 구매 안내서, 2007. http://www.alain-ducasse.com/public_us/en_ce_moment/ fr_encemoment.htm http://www.barilla.co.kr/bar/int/sauc_deft_idx.jsp(바릴라) http://www.elbulli.com/ http://www.ilovebeef.co.kr http://korea.lkk.com/(이금기소스) http://korean.seoul.usembassy.gov/agricultural.html(미국대사관 농 업무역관) http://www.maf.go.kr/index.jsp(농림부) http://www.nobumatsuhisa.com http://www.qy6.net/trade/80194/sell_kimchi_extract.html http://www.recipezaar.com/32270 http://simplot.co.kr/(심플롯코리아) http://www.sopexa.co.kr/(소펙사, 프랑스 농식품 진흥공사) http://steamykitchen.wordpress.com/2007/05/05/japanese-eggplantwith-miso/ http://www.susta.org/(미국남부무역협회) http://www.thaitable.com/thai/ingredients/fish_sauce.htm http://www.usmef.co.kr/(미국육류수출협회) (2008년 10월 22일 신규논문접수, 12월 3일 수정논문접수, 12월 3 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