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630355F35C2F7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12033342E687770>



Similar documents
본문01

<303220B0EDC7F5C1D82CC0AFBFACBBF3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아태연구(송석원) hwp

pdf 16..

30이지은.hwp

10¿ÀÁ¤ÁØ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BFACBCBCC0C7BBE7C7D E687770>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Ȳ¿ë¼®

KD hwp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Discussions 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DBPIA-NURIMEDIA

KD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내지4월최종

<31342D3034C0E5C7FDBFB52E687770>

歯1.PDF

DBPIA-NURIMEDIA

< FC3D6C1BEBCF6C1A45FB1E2B5B6B1B3B1B3C0B0B3EDC3D E687770>

DBPIA-NURIMEDIA

,,,,,, ),,, (Euripides) 2),, (Seneca, LA) 3), 1) )

삼교-1-4.hwp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1) 음운 체계상의 특징 음운이란 언어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작은 언어 단위이다. 즉 의미분화 를 가져오는 최소의 단위인데, 일반적으로 자음, 모음, 반모음 등의 분절음과 음장 (소리의 길이), 성조(소리의 높낮이) 등의 비분절음들이 있다. 금산방언에서는 중앙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歯3-한국.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A Critical Review

<30322D28C6AF29C0CCB1E2B4EB35362D312E687770>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04 형사판례연구 hwp

DBPIA-NURIMEDIA

<C1A63236B1C72031C8A328C6EDC1FDC1DF292E687770>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cls46-06(심우영).hwp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Vol.257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¼�È«¼® Ãâ·Â


216 동북아역사논총 41호 인과 경계공간은 설 자리를 잃고 배제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근세 대마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주로 영토와 경계인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 대마도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을 살펴볼 때는 근대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탈피할

서론 34 2

퍼스널 토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DBPIA-NURIMEDIA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歯kjmh2004v13n1.PDF

<C5F0B0E8C7D032352D3030B8F1C2F C1FD292E687770>

11¹Ú´ö±Ô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DBPIA-NURIMEDIA

44-6대지.07전종한-5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07_Àü¼ºÅÂ_092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학습영역의 Taxonomy에 기초한 CD-ROM Title의 효과분석


2. 박주민.hwp

<3136C1FD31C8A35FC3D6BCBAC8A3BFDC5F706466BAAFC8AFBFE4C3BB2E687770>

Transcription: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259-283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ol. 34.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6. 3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이미지 착오와 편견극복을 위한 교육적 대안- 오성주(감리교신학대학교) osj@mtu.ac.kr / 010-8903-6914 <요 약> 지금까지 한국에서 많은 청소년 연구 학자들이나 전문가들은 청소년 왕따와 폭력문제, 그리고 자살문제에 관한 해결책을 위해 다양한 접근들을 시도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 연 구가들은 청소년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특정한 청소년 시기를 정하고 그들의 생물학적 특 징이나 발달 심리학적 특성들과 같은 단편적인 주제들에 대해 연구해 왔다. 이러한 청소 년 이해를 비추어 청소년의 문제들을 특정한 청소년기 에 발생하는 내적특성으로 폄하하 는 경향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 원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청소년기의 단기 적이고 횡적인 연구방법뿐만 아니라 청소년 발달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들과 관련 된 장기적이며 다양한 관계적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오늘날 한국에서 청소년 문제란 포스트모던의 사회문화의 경향성과 별개로 구별하여 생각할 수 없다. 포스트모던 사회문 화에 중심에 있는 청소년들은 이전 모던 사회문화와 다른 색다른 삶의 표현양식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먼저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한국 청소년 이해의 필요성 을 찾아 볼 것이다. 그리고 오늘날 청소년의 문제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 가운데 포 스트모던 시대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 생성된 요인들로 인터넷 게임과 스마트폰의 영 향을 지적하고자 한다. 특히 초등학교 때부터 영상매체에 의한 이미지와 기호에 익숙한 청소년들은 의미를 상실한 표면적 이미지 모방이나 재현을 통해 현실의 착오와 편견작용 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글의 목적은 청소년 문제의 중요한 요인으로 이미지 착오와 편견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편견극복을 위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주제어: 청소년 문제(폭력/왕따/자살), 포스트모던 사회문화, 인터넷 게임, 스마트 폰, 이미지, 기호(기표), 편견. 교육적 대안

260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Ⅰ. 들어가는 말 우리 사회의 가장 가까운 미래에 희망이 되는 오늘날 청소년들은 학 교교육의 불만과 스트레스 그리고 경쟁중심의 교육제도로 말미암아 함 께 배우고 격려해 줘야할 학교생활에서 희망을 찾지 못하고 서로 경쟁 과 차별로 말미암아 청소년들 가운데 왕따,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가 심각할 정도로 수위가 높아져가고 있다. 1) 전국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에서 심의한 보고에 따르면 학교폭력 처리 건수는 2008년 8,813건, 2009년 5,605건, 2010년 7,823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민 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학교폭력 관련 민원 건수 역시 2009년 2,017건, 210년 3,237건, 2011년 4,269건으로 점점 급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는 경향이다(관계부처합동, 2012, 1). 특히 학교폭력 가해 10명중 7명이 중학생이라는 보고와 함께, 소위 중2병 (중학교2학년 또래의 청소년들 이 자아형성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불만, 일탈행위 등을 일컫는 말)이 유행어처럼 있을 정도다. 2) 더욱이 학교폭력의 발생특징의 하나로 최초 로 경험한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는 추세로 초등학교 단계에서 학교폭 력에 대한 집중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형편이라고 본다(한국연구재단, 2012, 14). 이를 대처하기 위해 정부나 학교차원에서 대안을 내놓고 있 지만 조정과 통제를 강화시킬 뿐 이렇다 할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 는 형편이다. 지금까지 많은 청소년 연구 학자들이나 전문가들은 청소년 왕따와 폭력문제, 그리고 자살문제에 관한 해결책을 위해 다양한 접근들을 시 1)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출판한 학교폭력실태조사 보고에 따르면 2008년도 28.6%에서 2011년 41.7%로 급증하고 있는 형편이다. 2) 한국청소년 상담원이 전국 10만2141명의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청소년 위기 실태 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 폭력10건 중 7건은 중학생이 가해자였으며, 2008년~2010년 전국 초중고교 폭력사건도 전체 2만2241건 중 1만5311건(69%)이 중학교에서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다(중앙일보, 2013년 4월6일 토요일 14면).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61 도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가들은 청소년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특 정한 청소년 시기를 정하고 그들의 생물학적 특징이나 내적 심리적 특 성들과 같은 단편적인 주제들에 대해 단기 횡적인 방법 으로 연구해 왔다. 이러한 이해는 청소년의 문제를 청소년기 에 발생하는 특성으로 폄하하는 경향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 원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종단적 연구 뿐만 아니라 청소년 발달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들과 관련된 계열적 연구를 통한 장기적 연구와 같은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2-3: Schaie와 Baltes, 1975에 서 재인용). 또한 청소년 문제란 오늘날 포스트모던의 사회문화의 경향 성과 별개로 구별하여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늘날 청소년의 문제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 가운데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 생성된 요인들로 인터넷 게임과 스마 트폰의 영향을 지적하고자 한다. 특히 영상매체에 의한 이미지와 기호 에 의한 고정관념화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착오와 편견작용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한국 청소년 이해의 필요성을 찾아보고, 이미지와 기호에 의 한 편견작용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한국 청소년 이해의 필요성 오늘날 한국 사회문화 속에서 대부분 청소년 이해는 아직 모던 사회 문화적 삶의 패턴과 관련된 청소년 이해를 하는 경향이다. 그러나 오늘 날 한국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은 다른 어떤 시대의 청소년들보다 이해 하기 힘든 복잡한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청소년 이해 다. 여 기서 한국 사회문화의 포스트모던 상황이란 정확히 한마디로 설명하기 란 어렵다. 그러나 단지 이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바는 과거의 사회문

262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화와 다른 차원에서 포스트 란 형용사를 붙여 이해함으로써 이전 사회 문화의 청소년 삶의 패턴과 구별하여 살펴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러한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구별은 단순히 시간적 차원을 넘어 비 판과 단절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하고자 하는 포스트모 던 적이란 한편으로 이전 세대의 청소년 삶의 스타일에 대한 논리적 연장이며 계승일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이전 세대의 청소년 삶의 스타일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며 단절 로 의미한다(김욱동, 1998, 23.). 이러한 이해로부터 한국 포스트모던 사회문화 속에서 청소년들이란 연 속적으로 계승해 온 기성세대의 사회문화에 대한 반작용이며 단절 속 에서 그들 자신들만의 새로운 삶의 모습들을 말해준다. 특히 한국 사회문화 속에서 새로운 청소년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이주아는 현대 한국 사회 청소년 문제의 특징에 대해 지적하기를 사회문화적으로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 용하고 있는 결과 로 보면서 한국 사회 청소년들의 문제 원인에 대해 하나의 요인이나 한정된 대상에 집중하여 청소년 문제의 원인이나 효 과적인 대책을 논하기보다 거시적이고 원론적인 시각으로 청소년기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과제를 논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방안 을 창출할 것 을 주장한다(이주아, 2012, 352). 거시적이고 원론적인 시 각이란 청소년의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표층적으로 나타난 사건적 문 제분석이라기 보다 좀 더 심층적으로 관계된 다양한 원인들을 재고해 야함을 말해준다. 예를 들면, 오늘날 한국 청소년들을 이해할 때 생물학적인 연대기적 연령과 함께 법적이며 제도적인 사회적 연령층 구별로 보는 청소년이 해로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접근함에서 있어서 정확한 원인분석하기에 한계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는 독일의 슈바이처의 말처럼 모던 청소년(modern-adolescence) 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모던 사회문화에서 청소년이해를 더 이상 어린이가 아니며 그러나 아직 성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63 인이 아닌 상태 (Friedrich L. Schweitzer, 2004, 48)로 보는 경향이 일반 적이다. 이 경우 청소년들의 연령을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 등학생으로 구별하여 청소년들의 특성을 발달과업중심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을 법적 제도적 연령적으로 청소년의 시기를 십대들 (teenages)로 제한시켜 이해하기도 한다. 이것은 너무 협소한 청소년에 대한 이해이다. 그러나 요즘 많은 학자들은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에서 청소년을 30에서 40대 연령까지 확대하여 보는 경향이며 이를 소위 포스트청소년기 (post-adolescence)라 칭하고 연구한다. 시기적으로나 생 애주기에 대해 다양한 다른 각도에서 오늘날 포스트청소년들을 연구하 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Friedrich L. Schweitzer, 49). 왜냐하면 과 거에 비해 변화된 한국 사회문화 속에서 오늘날 청소년들 이해의 특성 들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10대들의 연령기 특성을 신체적 심리적으로 국한시켜 청소년기의 특성을 주장하는 것 또한 너무 협소한 이해다. 물론 생물학 적 통계에 따른 각 시기별 신체적 심리학적 특성들은 어느 정도 상당 한 부분에 있어서 객관적인 사실들로 인정할 만한 요소들이 있다. 그러 나 그 연령대의 특성들은 생물학적인 결정론으로 이해보다 더 깊은 사 회문화적 요소들에 따라 얼마든지 상호작용하며 그 특성들이 시간과 공간 속에서 변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이해해야 한다. 어떤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성장하느냐에 따라 청소년의 연령의 특성들은 다르게 나타난 다. 따라서 청소년시기에 대한 주장들도 가변적이다. 십대보다 이하 혹 은 그 이상에서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과거 서구 사회문화를 중심으로 청소년을 연구 한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 론이나 사회심리적 발달론에서 본 에릭슨(Erick H. Erikson)의 정서발달 론 혹은 콜벅(Lau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론, 그리고 제임스 파울로 (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론은 어느 정도 청소년들을 보편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오늘날 한국이라는 특수

264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한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포스트모던 청소년들의 특징으로 한국 청소 년들을 이해하는데 다를 수 있다. 오늘날 한국 청소년들의 삶의 상황은 지난 과거의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들과 전혀 다르다. 특히 과거의 사회문화 생활의 영역에 따라 성인 문화와 청소년 문화를 유사성과 상이성으로 구별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단지 구별된 나이와 역할로 그리고 장소라는 지형적인 학교라는 울타리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라는 이유만으로 청소년들의 사회문화로 규정할 수 없다. 합리적 이성에 기초한 단일성, 통일성, 균형성, 안정성 을 강조했던 모던사회의 기계론적 패러다임과 달리 차이와 다양성 그 리고 개별성과 관계성을 중요시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일본홀리스틱교육 연구회 지음/송민영&김현재 옮김, 2000, 42)에서 청소년과 성인의 사회 문화의 경계는 무의미하다. 푸코(Michel Foucault)는 한 문화의 기본적인 코드들, 예를 들면 언어, 사고방식, 교환, 기술, 가치, 실천의 계층적 질서를 지배하는 것들은 인 간에게 안락함을 주는 경험의 질서를 정립하기 위해 보편적 법칙과 원 리를 통해 특정한 질서를 세우기 위해 과학적 이론이나 철학적 해석이 실재한다고 본다. 그러나 그 질서로부터 분리된 문화는 본래의 투명성 을 상실케 하며 더욱 혼란스럽고 불명확하며 아마도 분석하기가 더 어 렵다는 주장을 한다(푸코/이광래 옮김, 1995, 서론 17). 다시 말해 오늘 날 한국 청소년들의 삶은 기존의 질서로부터 분리된 사회문화 속에 살 고 있다. 성인들의 모던 사회문화보다도 오히려 새로운 포스트모던 사 회문화의 중심에 서 있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회문화 속에서 청소년들의 삶과 놀이문화는 과거의 것과는 현격히 다른 모습들을 보 여준다. 그것은 빅토 터너(Victor Turner)의 분석과 같이 무질서하고 혼 돈된 상태로 보이기까지 한다. 왜냐하면 아직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 간한 상태( liminal space and time 혹은 betwixt and between )로서 혼 돈된 위기적 상황으로 표출된다(Victor Turner, 1957, 41). 푸코에 따르면,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65 이 상태를 코드화된 시선과 반성적 인식 사이에 질서 자체를 해방시 키는 중간 영역 이 실재하며, 이 중간 영역이 질서의 존재 양태를 명확 하게 해주는 것으로 항상 기존의 질서에 대해 비판적인 역할 을 담당 한다(푸코/이광래 옮김, 1995, 서론 18). 따라서 이전의 패러다임으로는 더 이상 효력을 발생하지 않는 이런 위기로부터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 화를 가져온다(Thomas S. Kuhn, 1996, 65). 오늘날 한국의 사회문화가 과거의 것과 무엇이 다른가에 대한 물음 을 묻게 될 때 우리는 스테판 툴민(Stephen Toulmin)의 지적에 귀를 기 우리게 된다. 그의 가정에 따르면 포스트모던 사회문화란 창조성과 비 결정론을 강조하는 현대과학 (Stephen Toulmin, 1982, 서문)의 세계관이 지배하는 사회를 지칭한다. 오늘날 한국 청소년 사회문화 생활을 고려 해 볼 때 컴퓨터나 스마트 폰 사용이 중심을 이룬다. 아날로그 문화로 부터 분리되어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한국 청소년들은 성인들보다 더 많이 컴퓨터나 스마트 폰을 선호하고 있다. 이미 한국의 청소년들은 초 등학교 때부터 컴퓨터나 스마트 폰을 통해 자유롭게 얼마든지 학교의 벽을 넘어 성인문화를 접하며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는 과학시 대에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청소년들의 문화와 성인들의 문 화 사이에 정체성의 혼란과 방황을 겪고 있는지도 모른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은 현실세계와 이미지를 통한 가상의 세계 사이를 넘나들며 과거와 다른 독특한 청소년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런 면에서 박은진 인제대 정신과 교수의 주장과 같이, 인터넷 게 임이나 스마트폰 등에 온종일 노출되면서 성인들의 나쁜 문화도 빨리 습득하게 되고 또래의 자살 소식이나 왕따를 모방하는 것도 쉬워졌으 며, 여기에 학업 스트레스까지 더해지면서 무기력증이나 우울증, 폭력 적 성향이나 극단적 선택이 늘어나고 있는 것(중앙일보, 2013년 4월6일 토요일 14면) 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는 진단으로 보여 진다. 이 러한 진단은 현 한국 청소년 문제들(폭력/왕따/자살)을 접근하는데 핵심

266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적 주제가 되어야함을 말해준다. 그 한 예로 일진 과 빵 셔틀 문화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었던 일진이란 말은 학생들 간에 패싸움을 할 때 최 전방에 나설 수 있을 정도로 싸움을 가장 잘하는 아이들 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 말의 뜻은 다소 다른 의미에서 소위 노는 아이들, 잘 나가는 아이들 을 말하며 일진회 란 공부도 잘하고 싸움도 잘하고 잘 노는 아이들의 모임 을 일컫는다(문재현 외, 2012, 165). 문제 는 일진회를 통해 귀족(일진), 평민, 노예(왕따) 등으로 계급적 신분사회 를 형성하여(한국연구재단, 6) 왕따와 소외, 더 나아가 폭력행위로 이어 지며 극단적으로 자살로 몰고 가는 원인이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일진 문화는 인증 샷 놀이, 동전놀이, 기절놀이, 캠퍼스 놀이, 왕따놀이 등은 텔레비전이나 다른 영상매체를 통해 방영된 폭력영화나 유행하는 코미 디 프로그램의 내용을 흉내 내거나 따라하며 형성된다. 특히 대부분이 청소년들이 즐기는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게임 프로그램을 모방하는 경우들이 그 대표적인 예다. 소위 빵셔틀 이란 유행어가 그것을 말해준 다. 빵셔틀 이란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에 등장하는 수송비행선 이름인 셔틀 에 빵 이라 단어를 합쳐서 만들어진 신조어로서 힘 센 학생들에 게 빵심부름 을 강요당하는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가리킨다(문재현 외, 39). 이처럼 어려서(초등학생 때)부터 영상매체에 익숙한 문화에 살고 있는 한국 청소년들은 아날로그보다 디지털을 통해 이미지 영상과 기 호가 더 익숙한 생활을 하고 있다. Ⅲ. 이미지 착오와 편견 필자는 이글을 통해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관계란 엄밀히 서로 상반 되는 것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게임이나 영상매체를 통한 이미지의 역기능적 문제에 대해 논하고자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67 한다. 아날로그나 디지털은 모두 음소들, 다시 말해 이진법 단위의 결 합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 이상 상호 의사소통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미지란 언어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이미지를 의미에 저항하는 요소로 간주하기 도 한다. 이미지란 이미타리(imitari)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서 이 말의 뜻은 모방하다 라는 단어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언 어학자들은 모방이란 뜻을 가진 이미지란 재생 (re-presentation)을 의미 하며 관념적인 것이 체험된 것에 상반되는 것 으로 보기 때문에 모방 이란 의미가 결여된 것으로 여겨진다(김인식 편역, 1997, 86). 그러나 한 편으로 이미지가 언어에 비해 매우 초보적인 체계 로 볼 수도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풍요로운 이미지의 의미작용을 간 과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이미지란 의미의 경계로 본다(김인식 편역, 87). 이미지란 각자의 바라보는 시각 에서 의미를 다양하게 전달해 준다. 이미지란 실체와 형상 사이를 구별 시켜주는 것은 의미의 경계다. 토머스 웨스트(Thomas West)의 경우 아날로그보다 디지털 문화의 시 각적 차원을 통한 교육방식을 더 강조한다. 그는 과거 전통적인 학업 능력 측정방식이나 교육방식이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지나치게 협소하 게 바라보는 개념으로 구성됐다 는 비판과 함께 최신의 컴퓨터 정보 시각화를 이용한 학습방식을 긍정적으로 본다. 시각적 사고 가 창조적 사고를 키우는 길로서 최첨단의 기술을 이용해 이미지로 학습과 이해 의 새로운 재탄생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토머스 웨스트 지음/ 김성훈 옮김, 2011, 13). 이와 같은 주장은 오늘날 청소년들이 즐기는 이미지나 기호들은 새로운 시각적 사고를 주는 중요한 대체언어의 작 용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는 포스트모던 문화현상의 특성을 시뮬라시옹의 질서 로 설명한다. 즉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되면서 과

268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학기술의 혁명으로 말미암아 시뮬라시옹의 질서로 변하게 되는데, 이 시뮬라시옹이란 시물라크르(simulacres)의 동사형으로 시뮬라크르란 실 제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 놓은 인공물 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실제보다 더 실제적인 것 (장 보드리야르 지음/하 태환 옮김, 2001, 각주 1)을 말한다. 이것은 전통적 개념으로서 현실 혹 은 사실을 의미하는 실재 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보드리야르는 오늘날 포스트모던 문화란 시뮬라시옹의 문화, 즉 원본도 사실성도 없는 실재, 즉 파생(초)실재의 모델들을 가지고 산출하는 작업 으로 설명한다(장 보드리야르 지음/하태환 옮김, 12.). 그러나 보드리야르의 주장에 따르면, 재현적(representation) 상상의 세계는 시뮬라시옹 속에서 사라진다 고 주장한다(장 보드리야르 지음/ 하태환 옮김, 15.). 즉 하태환의 역주에서 볼 수 있듯이, 어떠한 사물을 재현하고 있는 것이 이미지이고 이러한 이미지를 생산하는 힘이 상상 력이며, 이미지에 의해 구성된 세계가 상상의 세계이다. 이미지가 모방 할 혹은 재현할 실체가 없고 이미지가 실체인 세계에서는 상상세계는 존재를 상실한다 (장 보드리야르 지음/하태환 옮김, 각주 9). 이 말의 뜻은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이 자신을 인식하고 다른 개체와 관계를 맺는 방식이란 기호와 이미지의 시뮬라시옹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주장이다. 이 러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시뮬라시옹 질서를 하이퍼리얼리티(hyperreality/ 초실재)개념으로 설명하는데 오늘날 포스트모던 시대는 시뮬라시옹의 이미지를 통해 실재보다도 더욱 실재적인 초실재로 나타난다는 사실이 다. 그래서 현상 뒤의 본질적인 의미가 사라져 부유하는 기표 만이 떠 다니게 된다는 주장이다. 다른 한편으로 언어학자 바흐찐(M. Bakhtine)의 주장은 기호란 외적 세계의 작용으로 외부 경험 속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해 기호란 사회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서로 합의에 의한 산물이다. 그리고 기호의 기능은 의미창출에 있다. 그 의미란 기호를 넘어서 존재할 수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69 없다. 더욱이 모든 기호는 이데올로기적인 평가, 예를 들면 참 그 기호 는 참인가, 거짓인가, 올바른가, 정당한가, 좋은가 등 기호가 발견되는 곳에 이데올로기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미지나 기호는 개인의식 에 사회-이데올로기적 성격 을 지니고 있다(이병주, 1993, 26-7). 그러나 오늘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이모콘티나 기호들은 개인주의적 성격으 로 나타난다. 자기들만의 혹은 자기 그룹만의 소통문화를 만들어 사용 함으로 이기주의적이고 차별적 소통문화를 형성하는데 문제가 있다. 아 무런 도덕적 혹은 윤리적 판단과 상관없이 필요에 따라 즉흥적으로 사 용한다. 이미지나 기호가 내포한 사회적 의미성과 다양한 해석보다 표 면적이고 단편적이며 때로 일방적이다. 오늘날 한국에서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의 특성들은 청소년들로 하여 금 삶의 의미와 가치보다도 부유하는 기표 만을 즐김의 문화에 심취하 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미지나 기호를 사용함으로 단순한 개인적 의 사소통을 위해 즐기고 사용할 뿐 깊은 생각과 다양한 의미성을 기피하 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 사회문화는 아날로그 보다는 디지털문화가 청소년들에게 더 쉽게 다가온다. 특히 흥미진진하 고 자극적이며 도박적인 이미지 영상을 통한 인터넷게임문화 더욱 청 소년들에게 자극이 되고 있으며 자신을 조정하거나 통제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폭력적인 인터넷게임문화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현 실과 이미지를 통한 가상세계의 착오로 깊은 의미성을 추구하는 노력 보다도 즉흥적이고 감각적인 태도를 보이는 특성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필자는 청소년들 사이에 왕따와 폭력문제 그리고 자살문제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 그 한 예로서 여기서 이미지 착오로 말미암아 빚어지는 문제를 다음 의 고전( 古 典 ) 이야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이야기는 열자( 列 子 ) 속에 설부편( 說 符 篇 )에 있는 내용이다.

270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양자, 혹은 양주( 揚 朱 )의 동생을 양포( 揚 布 )라고 불렀다. 양포는 어느 날, 흰 옷을 입고 외출했다가 비를 만나서 흰 옷을 벗고 검은 옷으로 갈 아입고 돌아왔다. 그러자 집의 개가 알아보지 못하고 뛰어나와서 짖었기 때문에 양포는 화가 나서 개를 때려주려고 했다. 그때 양자는 그것을 말 리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때리는 일을 그만둬라. 너도 같을 거야. 만일 이 개가 흰 개로 나갔다가 검을 개로 돌아오면 역시 의심하지 않을 수 없을 거야. 이 짧은 글에서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는다. 첫째, 단지 흰 옷을 입었다가 검은 옷으로 갈아입어도 사물의 판단에는 착오( 錯 誤 ) 가 생긴다는 아주 평범한 이야기로 세상사를 신중하게 다루라는 교훈 이 담겨있다. 그리고 둘째로 개가 착오를 일으키는 것과 같이 사람도 또한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역지사지( 易 地 思 之 )의 교훈을 담고 있다. 평상시 흰 옷을 입은 주인을 보던 개가 어느 날 갑자기 검은 옷을 입은 주인에게 짖는 것은 감각적이며 본능적인 즉흥적 반응으로 착오 를 일으킨 반응이다. 그러나 잠시 후 주인을 알아차린 개는 꼬리를 흔 들며 주인에게 다가 온 것이다. 감각 후 인식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그 것은 인간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동물과 같이 본능적이며 즉 흥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감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때로 자 극에 대해 즉각적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감각적인 즉흥적 반응은 때 로 생각할 기회도 없이 착오를 일으켜 화와 분노를 초래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에서 위험한 상황에서 즉흥적인 반응은 신변을 보호해주 거나 안전을 지켜주는 중요한 보호 본능적 작용이기도 하다. 일상생활에서 종종 우리는 외적인 이미지로만 판단을 내릴 때 착오 를 일으킬 때가 많다. 이미지에 대한 착오를 일으키는 경우는 주어진 여건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오( 錯 誤 )란 뒤섞여져 그릇된 판단을 하다 라는 뜻이 담겨있다. 섞여져 혼돈되거나 혼탁해 짐으로 원 래의 것을 구별하기 어렵게 되어 주관적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다. 사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71 물이나 사건이 복잡해지면 복잡해질수록 혹은 습관적인 생각과 태도로 말미암아 혼돈하여 원래의 것을 찾는데 착오를 일으킬 확률이 크다. 주 로 근거 없이 주관적 판단을 하거나 자신의 지나친 확신으로 말미암아 사물이나 사건을 서둘러 판단내리는 경우로 착오나 편견에 빠질 우려 가 있다. 따라서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 선 듯 다가오는 감각적인 이미지를 다시 재고할 기회를 얻어 실재와의 관계성 속에서 객관적 사 실에 접근하여 실재대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판단해야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객관적 사실이라 할지라도 또한 그것을 고정 관념화시켜 유 사한 경우를 지나게 일반화시킴으로 다시 이미지를 즉흥적으로 판단하 여 더 무서운 집단적 편견을 낳기도 한다. 이러한 다의적인 의미성을 배제한 고정관념화 된 편견은 차이성을 고려하기보다 즉흥적이며 서열 적인 차별을 가져오고 이러한 차별을 통해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편견과 차별은 불확실한 상황이나 불안전한 상황에서 더욱 왕성하게 발생한다. 편견이란 무엇인가? 라틴어의 어원으로 살펴본다면, 편견이란 프래주 디치움(praejudicium)이란 단어이다. 이 단어의 뜻은 단순히 성급한 결정 이나 경험에 기초한 판단 혹은 미리 앞선 판단을 의미한다. 영어에서 prae(before)-judicium(judgment)라는 말에서 유래하는 프레줘디스(prejudice) 는 충분한 근거가 없이 서둘러 앞서 판단하다 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편견이란 충분하고 타당한 지식이나 기타 근거를 갖추지 못한 상태에 서 사람들의 집단에 대하여 성급한 판단을 내리는 경향을 말한다 (Gordon W. Allport, 1958, 6-7). 이와 같이 어원적으로만 볼 때, 충분한 근거가 없이 서둘러 앞서 판단하다 라는 영어의 뜻이나 온전히 이해하 지 않은 상태에서 사물이나 상대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변별하는 경우 로 보는 한문의 뜻은 모두 생각과 관련된 인지적 차원에서 정의를 내 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물이나 대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판단하 는가에 관한 인식의 문제이다. 그러나 편견이 인식의 문제라고 할 때,

272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그것은 단순하지 않다. 사물(대상)의 인식과정은 외부 세계(환경)와 내 부 인체기관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좀 더 기술적인 말로 표현해서 편 견이란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일 수 있다. 긍정적 편견은 타당한 이 유 없이 한 집단에 대해 좋아하는 경향을 의미할 것이다. 그러나 더 흔 히 편견이란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는데, 어떤 사람이 그 집단의 일원이 되기 때문에 또 다른 집단이나 특별한 사람에게 근거 없는 반감을 가 지고 있는 경우다(오성주, 2002, 29-43). 우리말의 편견이란 한문의 편( 偏 )과 견( 見 )이 합해진 것으로, 치우치 다 한쪽 반 절반 등을 뜻하는 편( 偏 )과 보다 눈으로 보다 생각해 보다 돌이켜 보다 변별( 辨 別 )하다 등의 뜻을 지닌 견( 見 ) 이 합하여진 단어이다. 이 단어의 뜻은 치우쳐보다 한쪽 눈으로 보 다 절반만 보다 라는 뜻이다. 즉 온전히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 물이나 상대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변별( 辨 別 )하는 경우 이다. 편견은 중대한 문제다. 그러나 그 편견은 어떤 동기로 말미암아 유발 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배우게 되는가? 더욱이 또 다른 가장 중 요한 질문은 우리가 어떻게 가정, 학교, 교회 그리고 직장에서 편견의 영향을 좁히거나 제거할 수 있겠는가라는 문제다. 이것은 어려운 질문들 이며, 우리가 이 질문에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간단히 요약해 말하자면 이러한 즉흥적이고 섣부른 외적 기호나 이 미지로만 판단을 내릴 때 인간관계 속에서 부적절한 결과를 낳는다. 따 라서 기호나 이미지의 표면적 의미로 본질을 왜곡시키는 경우를 초래 한다. 장 보드리야르의 말처럼 이미지가 모방할 혹은 재현할 실체가 없 고 이미지가 실체인 세계에서는 상상세계는 존재를 상실하게 된다. 또 한 자신의 주장만을 고정 관념화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일반화시킨 절 대적 신념은 상호 배타적 분리주의를 발생시킨다. 우리는 오늘날 청소 년의 왕따문제나 폭력문제, 그리고 자살문제에 대해 편견을 일으키는 이미지와 착각이라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고려해 볼만 한다. 아직 가치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73 관이 온전히 성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년들은 인터넷과 스마트 폰 과 같은 가상 이미지를 통해 현실의 다양한 상황들을 고려해보지 않은 채 일방적이고 단편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 배후에 숨겨진 본질적인 의미가 사라지고 부유하는 기표 만을 심취하게 만듦으로 때로 지나치 게 일반화시키거나 절대화시킴으로 사회적 기호와 이미지에 대한 비판 은 사라지고 개인적 흥미와 관심만을 나타냄으로 상호 배타적 분리주 의의 태도로 말미암아 왕따와 폭력 혹은 자살의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을 제공해 준다. 혼돈된 상태에서 혹은 들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하게 판단을 내 리기기 위해서 우리는 사물과 대상에 대한 이미지 판단에 있어 착오를 줄이거나 사물과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동물 과 달리 인간의 이성적 사고란 바로 사물과 대상에 대한 판단에 있어 착오를 줄이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특히 그것은 언어를 통해 표현하 는 훈련을 통해 발휘된다. 언어에 의한 깊은 반성적 사고를 통한 반복 적인 실험과 검증을 통한 확실성 탐구가 필요하다. 그것은 변화된 상태 에서 곧 바로 반응하여 착오를 일으키기보다 언어적 사고를 통해 사태 를 바로 파악하여 정확한 대처를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착오를 줄일 수 있는 길은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비판적 인식능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인식능력은 언어적 표현에 의한 확실성 탐구에 있다. 특히 무엇보다 일상생활에서 착오가 일어나는 경우는 사물과 대상으 로부터 드러나는 왜곡된 이미지를 섣불리 판단하여 내리는 경우와 함 께 그 이미지를 표현하는 습관적 언어사용과 깊은 관련이 깊다. 습관이 란 일상생활에서 경험된 사고나 행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몸에 익힌 사 고와 행동양식이다. 개인적 습관들이 사회집단 속에서 공유된 생활패턴 이 될 때 그것은 관습 혹은 사회문화가 된다. 언어는 공유된 사고와 행 동의 문화적 패턴이다. 때로 언어의 습관적 사고와 행동의 패턴은 무의

274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식적으로 즉흥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습관적 언어의 사고와 행동 양식은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유익하고 필요하기도 하지만 종종 공동체 생활에서 상대의 상황과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습관적 언어를 사용함 으로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가 발생한다. Ⅳ. 이미지 착오에 의한 편견극복의 교육적 대안 어거스틴은 그의 사춘기시절 카르타고 유학시절에 쾌락을 추구한 자 신의 생활을 회상한다. 특히 연극관람에 사로잡힌 자신의 모습을 그리 면서 그 연극은 자신의 비참한 모습을 그린 장면으로 가득 차 있어 내 욕정의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것 같았다고 고백한다(Augustine/선한용 옮 김, 2002, 96). 다만 가상의 연극의 소리를 듣고 봄으로써 내 감정의 표면을 가볍게 긁어 스쳐가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그러나 긁어 주던 손 톱자국은 유독한 손톱으로 긁은 듯이 부풀고 염증이 생겨 썩고 있었습 니다. 오 나의 하나님, 이것이 그 때 나의 삶이었으니 어찌 그것이 참 다운 삶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Augustine/선한용 옮김, 98) 성 어거스 틴은 안목의 정욕 에 대해 호기심의 유혹 으로 설명한다. 그의 고백에 따르면, 그것은 우리 영혼이 육욕의 쾌락을 얻으려고 하기보다 는 감 각을 통해 어떤 경험을 얻으려고 하는 허망한 호기심 이다(Augustine/선 한용 옮김, 361). 이러한 호기심의 유혹은 오늘날 청소년들에게도 마찬 가지로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과거보다 더 상업화되고 자본주 의화 된 사회에서 자아를 속이는 기호와 이미지를 통한 호기심의 유혹 이 더 강하게 청소년들에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 2011 에 소개된 연구보고를 보면, 하 루에 800번, 심지어는 하루에 1,500번 기호나 이미지를 통한 광고가 우 리에게 자신도 모른 채 보이고 들린다. 그곳에서 끊임없이 세상의 질 서, 욕망,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그렇게 하루 종일 1년 365일 반복적으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75 로 광고를 통해 학습해야만 물건이 팔리고 유지된다(박삼종, 2013, 35). 오늘날 한국 사회문화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도 모르게 스마트 폰이 나 인터넷 게임 혹은 매스컴을 통한 영상매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자 극적인 자본주의 소비문화와 맹신적 이미지와 기호에 고정관념화 혹은 스테레오타입(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 많은 청소년들이 무비판적 으로 상업적 기호나 이미지들을 그대로 모방하여 수용함으로 자신을 기호화 혹은 이미지화하여 동일시함으로 본질적인 자아를 왜곡 표방함 으로써 대리적 만족을 얻는 경우들을 본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문화적 상황은 청소년들에게 차별과 편견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문화 속에서 포스트모던 청소년 들 가운데 심각한 차별과 편견으로 왕따,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가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또한 편견이 그 다양한 원인들 중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까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적은 형편이다. 특히 편견을 교육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단순히 사회문화적 문제의 원인으 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편견에 대한 접근함에 있어서 사회문화 적 시각으로 편견의 정체와 원인과 결과를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교육적 접근 또한 중요한 접근방법이라 생각한다. 그 것은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 교육이란 지식을 넓히고 바람직한 태도와 가치를 형성하도록 도와 줌으로써 그것은 종종 사회를 존속시키고 무지와 바람직하지 못한 문 제들에 대해 교육을 통해 정화시켜 더 건전한 민주사회를 이룩하기 위 한 가장 좋은 미래적 희망이 된다. 따라서 편견의 극복은 교육을 통해 이해를 증진시키며 책임 있는 시민의식과 신체적, 사회적 환경 조성에 민감하도록 증진시키려는 노력할 때 성취된다. 만일 편견극복이나 축소하는 일이 교육적 사안이라고 할 때 우리는 교육자로서 편견을 분석하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육자들에게

276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편견의 문제가 얼마나 무섭고 심각하며, 편견극복 혹은 축소하는 일이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깨닫는 기 회가 주어져야 한다. 반면에 그 과제(편견극복 혹은 축소)를 수행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수업과정들을 제공하고 편견주제에 대한 다양한 교 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문화는 이기주의적이고 비인간적인 자본주의 상업 화를 목적으로 매스컴의 영상매체를 통해 같음을 절대화 하며 서로 다 른 상대를 무시하고 차별하며 동일화시키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청소년들 사이에 무비판적 수용을 통해 문화적 차별, 계 급차별 등 많은 갈등과 분열(왕따), 그리고 폭력과 자살 등을 충동적으 로 일으킨다. 게임과 폭력에 의한 이미지와 기호에 우상화된 청소년들 은 자신의 것만을 정당화하며 자신만을 절대적 기준으로 삼아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다름을 소외시키고 배제시키며 차별화시키고 주변화시 킴으로 같음을 정당화시킨다. 자신을 정당화하며 정치적 세력을 통일시 키려는데 온갖 에너지를 쏟는다. 결국 자기와 같은 것만을 절대적 진리 로 간주하고 자기와 다른 것은 무조건 틀리다는 식으로 상대를 무시하 고 제거해야한다는 이와 같은 생각은 편견의 산물이다. 즉 이러한 편견 은 어떤 사실이나 정책을 지나치게 일반화 혹은 객관화시킴으로 발생 하게 된다. 상대를 무시하는 비인격적인 이러한 지나친 객관주의적 생 각과 태도는 개체성과 독특성을 무시하며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 고 차별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학교사회와 청소년 세계는 두 려움과 협박을 행하는 모임으로 볼 수 있는 공동체( 恐 動 體 ) 혹은 내 실이 없어서 공허한 모임이 되는 공동체( 空 洞 體 ) 로 변화하고 있다. 존 듀이(John Dewy)의 주장에 따르면 편견극복이란 확실성 탐구를 통해 착오를 줄이는 일이다. 즉 듀이는 위험한 세계를 살고 있는 사람 은 확실성을 추구하도록 강요받는다. 다시 말해 위기적 삶을 살고 있 는 사람들은 안전성을 추구하며 살아간다. 는 주장을 전제로 삼는다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77 (John Dewy, 1929, 3). 이 주장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편견이 발생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위험하거나 불안정한 상황에서 신변의 안전을 위해 근거 없이 서둘러 판단하거나 착오를 일으킴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의미 를 담고 있다. 자신의 안전을 위해 근거 없는 잘못된 판단을 강요하거 나 일반화시키거나 절대시함으로 편견이 발생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오늘날 우리사회문화는 의미성이 상실된 이미지와 기호에 의해 쉽게 생각하고 판단하는 이미지문화로 점점 바뀌어 지고 있다. 이런 문화는 깊은 의미성이 담긴 내용이나 형식을 기피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실제 로 청소년들의 경우 단문의 기호적 문자로 생각하고 대화하기를 좋아 한다. 장문의 글이나 내용이 담긴 책을 읽거나 강의 듣기를 회피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다보니 우리 사회문화는 부모는 물론 교사와 청 소년 사이에 함께 의사소통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좀 더 깊은 생각을 이끌어내기 위해 기호와 이미지로 만들어진 개념과 문장들의 다양한 의미들을 깨닫기 위해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많이 읽고 많이 생 각하고많이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다양하고 복잡한 의미를 파 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대화가 필요하다. 대화를 통해 내면 적 느낌이나 다양한 생각들을 타자에게 표현하도록 도와줌으로 그것을 다시 상대로부터 들음으로 자신을 발견하고 더 깊고 다양한 생각으로 전개해야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생각하기 어렵거나 복잡하거나 다차원적 의미를 담고 있는 말과 글을 회피하는 경향이다. 오히려 쉽고 짧고 단순하며 직설적인 표현들을 선호한다. 또한 반복적이거나 규범적인 것보다 일회 적인 것이나 일시적인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 결과 긍정적인 의사소 통의 측면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상대방의 입장을 깊게 고려하며 신 중하게 판단을 내려야할 것을 때로 쉽게 그리고 단편적으로 속단하여 결정을 내리거나 판단함으로 착오를 범하기 쉽다. 특히 청소년들이 즐 기고 있는 인터넷 게임들 가운데 고도의 기술과 논리적 사고를 요구하

278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는 게임들도 있겠지만 대부분 오락을 즐기는 감각적이고 즉흥적이고 폭력적인 게임들의 경우 단순한 사고를 유발시키며 적과 아군 혹은 선 과 악이란 이원론적 사고를 심어주는 게임들을 쉽게 즐기는 경우들이 많다. 이러한 게임문화에 젖어든 청소년들은 게임을 통해 습관화된 나 쁜 이미지와 고정관념들을 무의식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게임문화의 경 우들과 유사한 환경이나 상황 속에서 반성적 사고나 가치판단의 여과 없이 즉흥적으로 대처하거나 발동하여 위기 혹은 위험한 상황에 처하 거나 일을 저지르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보다 첫째, 포스트모던 사회문화를 읽기 위한 문법적 문자읽기 교육이 필요하다. 단순하고 이 해하기 쉬운 암호화, 기호화, 이미지화를 통해 상업적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이용하려는 자들의 의도를 파악하고 암호화된 숨겨진 본질적 의 미와 의도성을 찾고 가치관을 평가할 판단능력, 즉 비판적 사고의 능력이 요청된다. 이 비판적 사고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우리는 다시 포스트모던 사회문화 속에서 파울로 프레어리 비판적 의식화(critical consciousness) 교육론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Paulo Freire, 1993, 44-45). 이미지화, 암 호화, 기호화를 통해 억압과 소외, 그리고 비인간화시키는 오늘날 자본 주의 사회문화는 더욱 교묘한 방법으로 포스트모던 사회문화의 소비대 상자로서 청소년들의 삶 속에 깊이 파고들어가 그들의 삶을 조정하고 통제하며 디지털 노예화를 일삼고 있다. 교회와 학교교육은 다시 문법 적 읽기와 쓰기 언어교육으로 의식화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자아의 식을 일깨워야 할 것이다. 둘째, 역지사지의 도 -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 이니라(마태복음7:2) 그리고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 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이요 선지자니라(12) - 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상대를 잘 이해하야 한다. 상대를 잘 이해하기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79 위해서는 상호 진실 된 만남과 대화를 통해 상대의 본질적 의미를 찾 고 가치관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한편으로 진실 된 만남 과 대화 속에서 상호 깊은 이해를 통해 착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체 생활에서 습관화 된 공격적 언어사용과 편협 된 생각과 행동양 식을 무의식적이고 즉흥적인 반응하기보다는 다시 한 번 비판적 사고 를 통해 의미를 찾기 위해 상대의 입장과 바꾸어 놓고 생각해 보는 태 도가 필요하다. 즉 역지사지의 실천이다. 양자의 말과 같이 너도 같을 거야. 라는 생각이 필요하다. 결국 편견극복이란 확실성 탐구를 통한 착오를 없애거나 줄이는 길이다. 또한 착오를 줄이기 위해 다른 노력의 하나로 고정관념화 되고 일반화된 이미지와 기호에 대한 비판적 인식 과 더불어 자아 성찰이 중요하다. 마지막 셋째, 청소년의 교회공동체 적응적 특성들, 예를 들면 현실 대처를 통한 자기조절 긍정적 만족성 공감성 인간관계 그리고 우호적 자기표현 (김난예/이창옥, 2012, 78-82) 등을 위한 교회교육 프 로그램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 청소년들이 위기 상황이나 스트레스 상 황에서 신앙적으로 기도를 통해 자기조절 능력을 할 수 있는 믿음을 키워주고, 말씀을 통해 주어진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하며 아무리 어려 운 처지에서도 긍정적인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성령의 교통 하심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긍휼히 여기는 마음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일과 예수 그리스도 사랑 안에서 코이노 이아(친교)를 통해 친밀한 관계형성을 이루어 참된 만남과 대화가 이루 어지는 개방성 과 경계 와 환대 (파커 팔머/이종태 옮김, 2006, 160-66) 의 장을 열어주어 우호적으로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감정이 정직하게 표현되는 배움의 공간 (파커 팔머/이종태 옮김, 187)이 창조되 어야 할 것이다.

280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참고문헌 김난예/이창옥(2012). 청소년의 교회공동체 적응성 측정도구. 한국기독교교육학 회. 기독교교육논총(32집) 71-100. 김욱동(1998). 전환기의 비평논리. 서울: 현암사. 김인식 편역(1997). 이미지와 글쓰기-롤랑 바르트의 이미지론. 서울: 세계사. 이병주 편저(1993). 언어사회학 서설: 이데올로기와 언어. 서울: 까치. 이주아(2012). 한국 청소년의 위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대안 모색-모바일 미디 어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83집), 351-375. 문재현 외(2012). 학교폭력,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서울: 살림터. 박삼종(2013). 교회생각. 서울: 홍성사. 오성주(2002). 문화편견교육. 다산글방. 일본홀리스틱교육연구회 지음/송민영&김현재 옮김(2000).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도서출판 책사랑. 토머스 웨스트 지음/김성훈 옮김(2011).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 는 사람. 서울: 지식갤러리. 파커 팔머/이종태 옮김(2006).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서울: Ivp. 푸코/이광래 옮김(1995). 말과 사물-인문과학의 고고학. 민음사. Augustine/선한용 옮김(2004). 고백론. 대한기독교서회. 한국연구재단 (2012). 교대용 맞춤형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재 개발. 관계부처합동(2012).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서울: 관계부처합동 중앙일보, 2013년 4월6일 토요일 14면 Allport, Gordon W.(1958). The Nature of Prejudice. New York: Doubleday Anchor Books. Dewey, John(1929). The Quest for Certainty: A Study of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New York: G. P. Putnam s Sons. Freire, Paulo(199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New York: Continuum. Kuhn, Thomas S. (199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chweitzer Friedrich L. (2004). The Postmodern Life Cycle. St. Louis,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81 Missouri: Chalice Press. Toulmin, Stephen(1982). The Return to Cosmology. Berkeley: Unversity of California Press. Turner, Victor(1957). Schism and Continuity in an African Society: A Study of Ndembu Village Life.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82 기독교교육논총 제34집 Abstract Teenage Bullying,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 Suicide Issue -An Educational Suggestion for Overcoming Image Distortion and Prejudice- Sung Joo Oh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There have been many approaches to resolve the issues on teenage bullying,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 suicide problems by professionals, authorities and scholars in Korea. However most studies on these issues are fixated on specific adolescent period and discuss only on biological peculiarities or psychological attributes fragmentally. These studies tend to lead people to denigrate the problems as a distinct internal characteristic of adolescence. To comprehend more accurate account of the issues, we should undertake more diverse and relational approaches and long term studies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period instead of other disconnected and restricted short term approaches. In fact, today s issues on Korean adolescen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general tendence of current post-modern culture. Korean teenagers are right in the middle of the influence of current post-modern culture and they have their unique expression of lif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odern culture. For that reason, this paper focuses on the demand of apprehend Korean adolescence with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post-modern

10. 청소년 왕따와 폭력 그리고 자살문제 283 sociocultural attributes on them. Moreover, this paper points out the significant effects of internet games and smart phone amongst many other post-modern sociocultural attributes upon Korean adolescence. From the early elementary school life, most adolescences are excessively exposed to formulate artificial images that don t include any original meanings and mimic the performance of those fake images by mess media. Those formulating and mimicking false images plays significant role to create the distorted images and prejudice within adolescence. In this paper, the author deliberates the image delusion and prejudice as the most critical factors of Korean adolescence and suggests the alternative educational approach to resolve those issues. Key words Korean adolescence, adolescent violence, teenage bullying adolescent suicide, post-modern socio-culture, internet game, smart phone, images, signs, prejudice 원 고 접 수 : 2013. 04. 30 게 재 승 인 : 2013. 05. 31 논 문 심 사 : 2013. 0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