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B1C731C8A3BABBB9AE2E687770>



Similar documents
untitled

<C1DF3320BCF6BEF7B0E8C8B9BCA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04-07도현수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BFCFBCBA30372DC3B5BCB1C8F12E687770>

서론 34 2

.,,,,,,.,,,,.,,,,,, (, 2011)..,,, (, 2009)., (, 2000;, 1993;,,, 1994;, 1995), () 65, 4 51, (,, ). 33, 4 30, (, 201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C0CEC5CFBCF6B7C3B1B3C0B0C1F6C4A7BCAD2D28C3D6C1BEC3E2B7C2C8AEC0CE292D312DC3D62E687770>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歯1.PDF

歯kjmh2004v13n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16_이주용_155~16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서론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005송영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

KD hwp

03-ÀÌÁ¦Çö

16(1)-3(국문)(p.40-45).fm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hwp

04 형사판례연구 hwp


DBPIA-NURIMEDIA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2012북가이드-최종교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139~144 ¿À°ø¾àħ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Research Subject

한국현대치의학의발전 년논문, 증례보고, 종설및학술강연회연제를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저자저널명발행기관 NDSL URL 신유석 ; 신재의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

레이아웃 1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노인의학 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5차 편집).hwp

<31342DC0CCBFEBBDC42E687770>

intro

부산교육 311호

03-17홍정석

레이아웃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한국교양교육학회/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최 2015 추계전국학술대회 프로그램 주제 교양교육의 : 당면과제와 전망 일시 : 2015년 11월 20일(금) 14:00~19:00, 21일(토) 09:00~17:00 장소 : 경남대학교 1공학관(공과대학 6층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step 1-1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04_이근원_21~27.hwp

<35BFCFBCBA2E687770>

,,,,,,, ,, 2 3,,,,,,,,,,,,,,,, (2001)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황지웅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untitled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ePapyrus PDF Documen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Discussions on

Àå¾Ö¿Í°í¿ë ³»Áö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Jkcs022(89-113).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발간사 반구대 암각화는 고래잡이 배와 어부, 사냥하는 광경, 다양한 수륙동물 등 약 300여점의 그림이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세계적 암각화입니다. 오랜 기간 새겨진 그림들 가운데 고래를 잡는 배와 어부모습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큽

Transcription:

한국의학교육 : 제 17 권 제 1 호 2005 원 저 부산지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의학교육실 1, 생명의료정보학실 2, 외과학교실 3, 응급의학교실 4 및 1339 응급의료센터 5 오인호 이상엽 1 민홍기 김영주 임지향 김형회 2 전태용 3 김윤진 조석주 4 배석주 5 = Abstract = The Experience of Teaching Emergency Managemen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o Medical Students in Busan In-Ho Oh, MD, Sangyeoup Lee 1, MD, Hong-Gi Min, MD, Young-Joo Kim, MD, Jie-Hyang Lim, MD, Hyoung Hoi Kim 2, MD, Tae Yong Jeon 3, MD, Yun-Jin Kim, MD, Suk-Ju Jo 4, MD, Suk-Ju Bae 5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edical Education Unit 1, Bio-medical Information Unit 2, Department of Surgery 3,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4,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1339 Emergency Medical Service Communicating System 5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teaching emergency managemen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o medical students in Busa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59 medical students in Busan. An eight-day curriculum in the emergency managemen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developed. They completed all class sessions and two drill/practical examinations taught by our interdisciplinary team from July 21 through 30, 2003. Each class is approximately 2 hours and reading assignments are given at the end of each class. Also included are practical, table-top and team-building exercises.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the education. Results: About establishment and environment of the education, respondents answered with `very good' were 14%. About overall theoretical lecture, respondents answered with `very helpful' were lower than 40%. Especially, favorable evaluation for the medical lectures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lectures. Students generally enjoyed their emergency medicine experience as it is often their first opportunity to assume primary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About overall practices, respondents answered with 'very helpful' were higher than 60%. Conclusion: The authors found that medical students prefer opportunities to hone procedural skills than to hear theoretical lectures. Also, medical students are welcome to hear theoretical lectures that consists of emergency management related contents, not academically medical contents. This curriculum should be tailored to fulfill learner's requirements. Key Words: Education, Emergency manageme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dical students 교신저자: 이상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부산 서구 아미동 1가 10번지 Tel: 051)240-7834, Fax: 051)242-8671, E-mail: saylee@pnu.edu - 29 -

부산지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서 론 순환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과 교통사고 및 각종 재해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면서 응급의료의 중요성 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중 대부분은 목격자에 의한 응급조 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순환기계통 질환 중 에서도 뇌혈관 질환과 허혈성 심장 질환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역시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한 상황이 많다. 이와 같은 불의의 사망과 사고 의 예방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응급의료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사회교육과정 중 응급구조에 관한 교육을 포함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워 야 한다는 보고가 증가되고 있다(이경자 등, 1995). 초기 응급처치의 중요성을 일찍 깨달은 선진국에서 는 심폐소생술을 포함한 응급처치법 교육에 대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사망과 불구의 예방에 커 다란 공헌을 하고 있다(황정연 등, 2000). TableⅠ. Emergency Management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Day Lesson (hour) Subject covered 1 Introduction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1 Mass disaster 1st 1 Introduction to emergency medical system 3 Using a triangle bandage 1 Bone, joint and soft tissue injury 2nd 2 Introduction of splinting 3 Practical skill lab: splinting 1 Poisoning 2 Dressing and bandaging: knowledge and skills 3rd 1 Digestive emergency 1 Respiratory emergency 1 Inspection tour: 1339 emergency medical system 3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knowledge and skills 4th 1 Rabies and environmental injury 2 Emergency preparedness exercise (fire, traffic accidents) 1 Cardiac emergency 5th 1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3 A mock lecture 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knowledge and skills 6th 1 Emergent case 3 Artificial breathing skills: one-rescuer 7th 7 Artificial breathing skills: two-rescuer 1 Burns 2 Trauma 8th 1 Stroke 3 Rescue training and general approach to prehospital patient - 30 -

한국의학교육 : 제 17 권 제 1 호 2005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의사나 간호사, 양호교 사, 구급대원이나 구급기사를 대상으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과정을 실시하고 이를 보고한 적은 있 지만 (강경희 등,1997; 박규남 등,1999), 저자 등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과정을 교육한 경험에 대해 보고된 것은 거의 없다. 이에 저자 등은 예비 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 본적인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을 의과 대학생에게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점 및 보 완점을 알아봄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과정이 되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 21일부터 2003년 7월 30일까지 총 48 시간 동안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을 실 시하였으며, 참가자는 총 59명으로 부산지역 의과대 학 의학과 학생 48명, 간호학과 학생 11명이었다. 참가자 모집은 각 대학에 공문서를 보내 자발적으 로 참여하겠다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강사진은 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전공의, 응급실 수간호사, 현장응급의료소 운영단장, 한국해 양연수원 해상안전팀 교수, 그리고 정형외과 전문 의, 일반외과 전문의, 1339응급센터 안전교육 전문 교수, 내과 전문의, 1급응급구조사, 응급처치강사, 심폐소생강사로 구성하였다. TableⅠ에 기술된 다양한 내용의 교육과정이 시 행되었으며, 이론과 실기실습을 병행하였다. 이론 강의는 의학과 3학년 수준으로 맞추었으며, 그 내용 으로는 대량 재해, 응급 의료체계의 이해, 골 관절 및 연부조직 손상, 중독 환자의 평가 및 응급처치, 소화기계 응급질환, 호흡기계 응급 질환, 응급의료 정보센터 각종 시설 견학, 광견병, 환경적 손상, 위 급 상황에서의 행동요령, cardiac emergency, 각종 응급질환자 평가 및 처치, 응급환자 사례, 화상 환자 의 치료, 각종 외상환자 평가 및 치료, 뇌졸중 환자 의 응급처치와 치료 등으로 구성하였다. 실기내용은 삼각건 사용법, 각종 부목 고정법, 드레싱 및 각종 붕대 사용법, 심폐소생술, 인공호흡법 이론 및 기관 삽관 실습, 제세동기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사용법, 인공호흡법 실기 실습 (Fig 1), 심폐소생술 실기 실습 (Fig 2), 기도폐쇄 실기실습 및 구조훈련 및 종합응급처치 실기 실습 (Fig 3) 등 응급처치 기 본에 충실하도록 구성하였다. 첫 4일간의 교육프로 그램 종료 후 중간평가를 하고 총 8일간의 교육프로 그램 종료 후 다시 최종평가를 시행하였다. 피교육생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 육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강의 및 Table Ⅱ. Learner Assessment of Practical Skills Classes in Emergency Management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 very useful useful average useless very useless no response Using a triangle bandage 66 34 0 0 0 0 Splinting 60 40 0 0 0 0 Dressing and bandaging 64 34 0 0 0 2 Tracheal intubation 72 28 0 0 0 0 AED 40 46 10 2 0 2 Artificial breathing: two-rescuer 86 12 0 0 0 2 CPCR 86 12 0 0 0 2 Artificial breathing: one-rescuer 68 28 0 0 0 4 Rescue training 64 28 4 0 0 4 CPCR,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A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 31 -

부산지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의 평가를 바탕으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에 대한 개선점 및 보완점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 과 Fig. 1. Artificial breathing skills Fig. 2.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skills Fig. 3. Rescue training 실습이 끝날 때마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와 강의에 참여한 모든 강사들 교육 대상자 59명 중 의학과 학생 2명이 중도에 탈락하여 전체 교육 과정 수료 인원은 57명이었다. 이들 중 의과대학 의학과 학생이 46명, 간호학과 학 생이 11명이었다. 모든 교육 대상자들은 이전에 다 른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에 참가한 경 험이 없었다.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인 교육에 대한 준비에 대 해서는 매우 좋다 가 28%, 좋다 가 70%, 보통이 다 가 2%였다. 교육장 시설과 환경에 대해서는 매 우 좋다 가 14%, 좋다 58%, 보통이다 가 26%, 좋지 않다 가 2%였다. 교육장비에 대해서는 매우 충분하다 가 9%, 충분하다 가 57%, 보통이다 가 30%, 충분하지 않다 가 2%, 매우 충분하지 않다 가 2%로 나타났다 (Table Ⅳ). 강사들의 태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매우 좋 다 가 38%, 좋다 가 58%, 보통이다 가 4%로 전반 적으로 강사들의 교육 열정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전체 강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 가 36%, 도움이 되었다 가 58%, 보통이다 가 4%, 도움이 되지 않았다 가 2%였다 (Table Ⅳ). 실기 실습에 대한 설문지 결과를 보면 삼각건 사용 법, 각종 부목 고정법, 드레싱 및 각종 붕대 사용법, 심폐소생술, 인공호흡법 이론 및 기관 삽관 실기 실 습, 인공호흡법 실기 실습, 심폐소생술 실기 실습, 기도 폐쇄 실기 실습, 구조 훈련 및 종합 응급처치 실기 실습 등 실제 경험할 수 있는 강의 내용들에서 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 가 모두 60%이상으로 높게 나왔으며, 매우 도움이 되었다 와 도움이 되었다 라고 응답한 수를 합치면 90%이상이었다 (Table Ⅱ). Fig. 1과 Fig. 2에서와 같이 인공호흡법 실기 실습과 심폐소생술 실기 실습과정의 실기 실습에 대한 설 문조사는 둘 다 매우 도움이 되었다 라고 응답한 수가 무려 8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제세 - 32 -

한국의학교육 : 제 17 권 제 1 호 2005 Table Ⅲ. Learner Assessment of Knowledge Classes in Emergency Management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 very useful useful average useless very useless no response Mass disaster 30 48 20 2 0 0 Introduction to EMS 36 52 12 0 0 0 Bone, joint and soft tissue injury 36 34 26 2 2 0 Poisoning 14 48 34 4 0 0 Digestive emergency 6 32 52 6 4 0 Respiratory emergency 6 38 46 6 4 0 Inspection tour: 1339 emergency medical system 32 64 4 0 0 0 Rabies and environmental injury 9 75 16 0 0 0 Emergency preparedness exercise 42 52 4 0 0 0 Cardiac emergency 22 42 32 4 0 0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28 60 8 2 0 2 Emergent case 42 50 6 0 0 2 Burns 12 54 26 4 0 4 Trauma 8 54 28 4 2 4 Stroke 8 26 44 14 4 4 EMS, emergency medical system Table Ⅳ. Learner Assessment of General Satisfaction about Emergency Management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 very good good average bad very bad no response Preparing the lecture 28 70 2 0 0 0 Educational facilities 14 58 26 2 0 0 General program contents 36 58 4 2 0 0 동기 사용법에 대해서는 매우 도움이 되었다 가 40%, 도움이 되었다 46%로 나타났다. 개개의 이 론 강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실기 실습에 비해 매우 도움이 되었다 보다는 도움이 되었다 란 응답이 더 많이 있었으며, 보통이다 라고 응답 한 수도 상당수가 나왔으며, 일부에서는 도움이 되 지 않았다 라는 의견도 있었다 (Table Ⅲ). 그리고 Table Ⅲ을 보면, 중독 환자의 평가 및 응급처치, 소 화기계 응급질환, 호흡기계 응급질환, 광견병, 환경 적 손상, 응급 심장질환 (cardiac emergency), 화상 환자의 치료, 각종 외상 환자의 평가 및 치료, 뇌졸 중 환자의 응급처치 및 치료 등의 이론 강의에 설문 조사 결과는 다른 이론 강의에 비해서 매우 도움이 되었다 라고 응답한 수가 낮게 나타났다. 고 찰 의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현대적인 심폐소생술 - 33 -

부산지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은 1960년대 초 Kouwenhoven에 의해 소개되었다 (Jude et al, 1961). 이 후 1966년에는 Safar와 Winchell 에 의해 일반인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가 인정되면서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Safar et al, 1966). 미국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 하여 하루 평균 1000여명의 생명을 구하고 있다. 이 러한 기본인명구조술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대 상으로 한 성인 전문적 심장구조술 교육과정은 심 정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 응급상황에 있는 환자를 적절하게 치료하여 사망률 과 장애의 정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1974년에 미국의학회 (ameriacn medical association)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미국의 거의 모든 의 료단체와 지역응급의료체계에서 매년 전문적 심장 구조술 교육과정을 실시하여 병원 및 응급의료체계 에 종사하는 대다수의 의료인을 교육시켜 수많은 생명을 구하고 있다. 초기 심폐소생술 교육은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 을 비롯하여 군인, 경찰, 구급대원이 집중 교육 대상 자였다 (kaye et al, 1986; Wynne et al, 1987). 그 후 고위험군 영아의 부모, 심장 질환 환자들의 가족 등 교육동기가 높은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심폐소 생술 교육의 효과가 인정되면서 교육 대상자가 일 반인에게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다 (Parakos, 1991). 이러한 추세로 우리나라에서도 응급처치 및 심폐소 생술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이지만, 문헌으로 보고된 것은 그 대상을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의사 나 간호사, 응급구조사, 119 구급대원이 대부분이었 다 (강경희 등, 1997; 박규남 등, 1999). 의과대학생 을 대상으로 일부 의대에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 술 교육을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저자 등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교육과정을 보고한 것은 거의 없다. 본원에서는 부산지역의 의학과와 간호학과 학생 을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 을 경험하였다. 본원에서 경험한 바에 의하면, 이론 강의의 수준을 의학과 3학년 정도로 맞춘 결과로 이 론 강의가 너무 어려워 진 것 같다. 게다가, 이론 강 의의 내용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이 기 보다는 오히려 병원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어서 전반적으로 이론 강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좋 지 않게 나타난 것 같다. 특히, 중독 환자의 평가 및 응급처치, 소화기계 응급질환, 호흡기계 응급질환, 광견병, 환경적 손상, 응급 심장질환, 화상 환자의 치료, 각종 외상 환자의 평가 및 치료, 뇌졸중 환자 의 응급처치 및 치료 등의 설문 조사 결과는 다른 이론 강의에 비해서 매우 도움이 되었다 라고 응답 한 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이론 강의 중에서 도 응급 처치 실기 실습과는 연관이 없는 의학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기 실습에 관해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실기 실습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좋은 편이었는데, 이 에 비해 제세동기에 대한 결과는 다른 실기 실습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보다 다소 좋지 않게 나타났는 데, 제세동기 사용법과 같은 것은 일상생활에서 직 접 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비가 피교육생에 비 해 부족해서 직접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적었기 때 문이라 여겨진다. 실기 실습 중 인공호흡법이나 심 폐소생술에 관한 실기 실습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 른 것에 비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은 일상 생활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생명과 직접 연관되는 중요한 내용이기 때문인 것 같다. 교육의 추후 효과에 대해서는 3시간의 집중 교육 에도 불구하고 6개월 후에는 교육대상자의 심폐소 생술에 대한 인지능력과 실기 능력이 거의 유지되 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다 (Safar et al, 1981). 또 3개 월 간격의 실기평가를 통해 1년의 재교육시간은 적 절하지 않다는 주장과 특히 교육내용 중에서도 인 지능력보다 실기능력의 보유율이 낮다는 조사결과 를 바탕으로 재교육시 실기 실습에 대한 중점교육 을 강조하고 있다 (Berden et al, 1993; Latman and Wooley, 1980). 이렇듯 본원에서 실시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과정에 참여한 피교육생들에게도 한 번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일정기간 동 한 재교육할 필요성이 있는 것 같다. 앞으로는 응급 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을 실시할 경우, 학습자의 의학지식 수준을 고려하여 이론 강의의 내용과 수준을 조절하고, 강의 내용도 - 34 -

한국의학교육 : 제 17 권 제 1 호 2005 병원에서 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이기 보다는 일상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의 비중을 높이고, 의 학적인 내용보다는 응급처치 실기 실습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이론 강의의 효과를 더 높 일 수 있을 것이다. 실기 실습을 위해 충분한 장비 와 시설까지 갖춘다면, 한 단계 더 발전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이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경희, 한영수, 황정연(1997). 심폐소생술 교육과정 에 대한 고찰-양호교사와 구급 기사를 중심으로. 대한응급의학회지, 8(3), 353-361. 남철현, 박용억, 노병의, 신중규, 이말순, 유왕근, 최 연희(1998). 건강과 생활. 서울:계축문화사. 박규남, 최세민, 박승현, 유은영, 김세경(1999). 임상 증례중심 성인 전문적 심장구조술 교육과정에 대 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0(2), 191-197. 이경자, 이정렬(1995). 한국의 사고발생실태와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5(2), 362-369. 황정연, 강경희, 이승한(2000). 응급처치와 심폐소생 술. 서울:한미의학. Berden HJ, Willems FF, Hendrick JM, Pijls NH, Knape JT(1993). How frequently should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e repeated to maintain adequate skills? BMJ. 306(12), 1576-1577. Jude JR, Kouwenhoven WB, Knickerbocker GG(1961). Cardiac arrest. Report of application of external cardiac massage on 118 patients. JAMA, 178, 1063-1070. Kaye W, Mancini ME(1986). Reten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by physicians, registered nurses, and the general public. Crit Care Med, 14(7), 620-622. Latman NS, Wooley K(1980).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of emergency care attendants, EMT-As, and EMT-Ps. Ann Emerg Med, 9(4), 183-189. Paraskos JA(1991). Educating the population at risk. Cardiology, 79(2), 81-83. Safar P, Winchell SW(1966). Teaching and testing lay and paramedical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esth Anag. 45(4), 441-449 Safar P, Berkebile P, Scott MA, Esposito G, Medsger A, Ricci E, Malloy CL(1981). Education research on life-supporting first aid (LSFA) and CPR selftraining systems (STS). Crit Care Med. 9(5), 403-404. Wynne G, Marteau TM, Johnston M, Whiteley CA, Evans TR(1987). Inability of trained nurses to perform basic life support. Br Med J (Clin Res Ed), 294(6581), 1198-1199. -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