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D322D3620B9DABCADBEE728C3D6C1B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 ) ( )3) ( ) ( ) ( ) 4) 1915 ( ) ( ) ) 3) 4) 285

7 1 ( 12 ) ( 1912 ) 4. 3) ( ) 1 3 1, ) ( ), ( ),. 5) ( ) ). ( ). 6). ( ). ( ).

CR hwp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歯kjmh2004v13n1.PDF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나하나로 5호

141(26) () ( ( ) () () () ) 2) 1932 ()()3) 2 1) ( ) ( ) () () () 4) ( ) 5) 6) ) ) ( ) () 42 () )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152*220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PARK Yunjae : A Study on the Anti-smallpox Policy of Joseon Government-General 하다 고 평가했다. 3) 우두는 인류에게 글자 그대로 축복이었다. 그러나 우두법이 전세계로 확산되던 19세기는 제국주의의 시대이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³»Áö_10-6


<3429BFC0C1F8BCAE2E687770>

Microsoft Word - km doc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토픽 31호( ).hwp

sme_beta[1](류상윤).hwp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92E687770>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4302E687770>

01¸é¼öÁ¤

<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62E687770>


A 목차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2ÀåÀÛ¾÷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Çѹ̿ìÈ£-197È£

CB hwp


<B1E8BCF8BCAE2DC3D6C1BE312E687770>

DBPIA-NURIMEDIA

178È£pdf

내지-교회에관한교리

88 家 族 法 硏 究 第 23 卷 1 號 것은 1995년에 손꼽는 학자들이 함께하여 <고 정광현 박사 추모 논문집> 으로 법학교육과 법학연구 를 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4) 여기에서는 그 동안의 법학 발전을 뒤돌아보는 여러 글들과 함께 정광현의 업적을 되새기 는

#39-0 머리말외.indd

º´¹«Ã»Ã¥-»ç³ªÀÌ·Î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빈면

¾ÕµÚ


coverbacktong최종spread

안동교회 90년사(pdf).PDF

한국현대치의학의발전 년논문, 증례보고, 종설및학술강연회연제를중심으로 Development of modern dentistry in Korea 저자저널명발행기관 NDSL URL 신유석 ; 신재의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

untitled


- 2 -

<C3E2B7C25F C8A320B0F8BAB85F E687770>

지 않은 상태이고, 그러한 시도도 찾아 보기 힘 든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 론 最 近 에 들어 國 內 國 녔3 學 界 나 i1îi 會 經 濟 史 學 界 에서 당시의 政 治 社 會 經 濟 文 化 의 諸 現 象 에 對 한 昭 究 가 활펠허 이루어지고

한국 시장경제체제의 특질에 관한 비교제도분석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pdf..

<313620BFE4BDC3C4ABBFCD20BEC6BEDFC4DA2E687770>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930년대 조선형특수회사 조선압록강수전(주)의 연구( 경제사학회 발표논문).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박광현발표.hwp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8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다. 2) 김종필 오히라 합의에 이르는 청구권 문제의 해결에 관해서는, 한국 측이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한국 측의 요구에 근접한 금액을 일본 정부가 경제 협력 으로서 무상, 유상(정부 차관)의 방식으로 공여하는, 일본 정부가

September 1st (Thu) 5th (Mon) ~ 7th(Wed) 19th (Mon) 20th (Tue) ~ 22th (Thu) Fall Semester Begins Add/Drop Courses Finalize Fall Semester Attendance Sh

醫藥分業 實施에 따른 院外 電子處方傳達시스템 構築 方案


Transcription: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006년 12월 Korean J Med Hist 15ː237-250 Dec. 2006 C 大 韓 醫 史 學 會 ISSN 1225 505X 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박형우 *, 홍정완 ** 1908년 6월 3일 제중원의학교를 제1회로 졸업한 학생들이 한국 의학사에 우뚝 서게 될 수 있었던 것은 이들이 충분한 기간 동안 이론 및 실제 경험을 쌓아 당시 미국이나 캐나다의 의과대학 졸업생과 비교해 전혀 손색이 없는 정도의 실력을 쌓은 상태에서 졸업했고, 더구 나 조선 정부로부터 우리나라 최초의 의술개 업인허장( 醫 術 開 業 認 許 狀 ) 1) 1~7번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의료선교사들에 의해 우리나라에 도입된 서양의학을 비로소 우리의 힘으로 발 전시킬 바로 그 출발점에 서게 된 것이다. 이들 7명 중 박서양은 백정의 아들로 태어 나 의사가 된 입지전적인 인물로, 그 일화는 기독교 계통의 문헌이나 설교 등에서 아버지 박성춘과 함께 흔히 언급되어 왔다. 2) 그러나 아쉽게도 박서양에 관해 알려져 있었던 사실 은 제중원의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에서 후진 그림 1. 박서양(1917년 세브란스의학교 졸업앨범)(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 박물관 소장). * (교신저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및 의사학과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1) 1899년 醫 學 校 規 則 과 1900년 醫 士 規 則 에 따라 의술개업면허장 혹은 인허장의 발급, 의사명부 작성 등 의료인에 대한 국가관리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규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방 차원에서 의료인의 자격을 시험하고 신상을 파악하는 등 행정적으로 실행되기도 하였다. 다만,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중앙정부가 공식적으로 발급한 최초의 의사면허는 1908년 박서양을 비롯한 제중원의학교 제1회 졸업 생들에게 부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大 韓 예수 敎 長 老 會 勝 洞 敎 會 : 勝 洞 敎 會 百 年 史. 1996, 79, 105쪽 - 237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을 양성하다가 간도 지방으로 이주하여 병원, 교육, 교회 사업에 진력했다는 정도의 것뿐이 었다. 3) 이렇게 박서양에 관해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었던 것은 1917년 이후 그가 간도로 이주함에 따라 그의 활동을 추적할 자료를 쉽 게 접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최근 독립운 동사 관련 자료에 대한 활용이 보다 용이해짐 에 따라 그의 간도에서의 활동을 개략적이나 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을 통해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의사가 된 한국 개화기의 상징적 인물로서, 그리고 한 편으로는 일제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자 간도 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던 인물로서, 박서양의 생애를 정리해 보려고 한다. 4) 가족 배경 및 에비슨과의 만남 으로 취급받던 백정( 白 丁 )이었다. 박성춘은 1862년 지금의 종로구 관철동에 해당하는 관 자골에서 태어나 원래 이름이 없었지만, 1895 년 4월 20일 곤당골교회 6) 에서 무어(S. F. Moore) 선교사로부터 백정으로서는 최초로 세례를 받고 나서 새봄을 맞아 새사람이 되었 다 는 뜻의 성춘( 成 春 ) 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7) 박서양이 의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 박성춘과 에비슨의 만남 때문이었다. 8) 1893년 9월 한국에 갓 도착한 에비슨(O. R. Avison) 은 무어 목사로부터 장티푸스에 걸려 사경을 헤매고 있는 백정 박성춘의 왕진 요청을 받았 다. 9) 에비슨은 무어의 통역으로 구리개 제중 원에서 가까웠던 관자골의 백정 구역을 여러 번 왕진 치료했다. 박서양은 1885년 9월 30일 박성춘( 朴 成 春 ) 과 조( 趙 )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5) 그 의 아버지 박성춘은 당시 광대, 무당, 기생, 갖 바치, 고리장, 포졸 등과 함께 사회의 최하층 집은 가난한 사람의 것이 아니었으나 대부 분의 다른 집과 유사하게 작았다. 병자가 누워 있는 방은 7X7피트이었으며 높이도 거의 같았 다. 두꺼운 장판지로 덮인 바닥은 9월이었으나 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백년 편찬위원회: 의학백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6, 59-60쪽.; 박형우: 세브란 스의학교 1회 졸업생들의 활동. 연세의사학 2(2): 299-319, 1998.; 이만열: 한국기독교의료사. 아카넷, 2003, 358~363쪽. 4) 뒤늦게나마 박서양의 생애 전반을 구체적인 자료로서 조명할 수 있게 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이 논문 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2005년 박서양의 손자 박연수 씨로부터 호적등본 등 여러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지 면을 통해 다시금 감사를 드린다. 5) 박서양의 출생 년도에 대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적부와 호적등본의 기록이 다르다. 각각 1885년과 1887 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1900년 제중원의학교에 입학하고 1908년 졸업한 것을 고려한다면 1885년에 출생 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박서양의 어머니 조( 趙 )씨가 사망하자 이한갑( 李 漢 甲 )과 강( 姜 )씨 사 이에서 태어난 1870년생 이신심( 李 信 心 )이 계모로 들어 왔지만 이복형제는 없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적 부; 박서양의 호적등본. 6) 곤당골교회는 지금의 을지로 롯데호텔 근처에 있었으며, 1905년 이래 승동교회로 발전하였다. 7) 전택부: 관작골의 朴 哥 成 春. 기독교사상. 1961년 10월호, 76~77쪽. 8) 에비슨과 박성춘의 만남은 에비슨이 1940년 타자본으로 엮은 그의 회고록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회고 록은 여러 본이 있으며, 대구대학교에서 舊 韓 末 秘 錄 이란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판된 바 있다. 이곳에서는 동 은의학박물관 소장본(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을 활용하였다. 9)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16쪽.; 에비슨은 1893년 7월 16일 부산에 도착해 6 주 정도 머물다 서울로 왔으며, 10월 알렌으로부터 어의를 인계 받았고,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에 의해 1893 년 11월 1일자로 제중원의 책임을 맡았다. - 238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더웠고 부엌 불의 연기가 굴뚝에 도달하기 전 에 방바닥 밑의 통로를 통해 지남으로써 난방 이 된다. 환자는 얇고 푹신한 이불 위에 누워 있어 방바닥의 열기가 기분 좋게 느껴졌다. 나 는 서양 사람에게 편하지 않고 병자를 진찰할 때 의사가 매우 불편하게 다리를 교차해 방바 닥에 앉았다. 10) 박성춘은 신분을 차별하지 않고 자신의 집 에 몇 번에 걸쳐 왕진을 와서 성실하게 치료해 준 에비슨으로부터 감명을 받았다. 그리하여 천주교 신자였던 박성춘은 기독교 신자가 되 었다. 11) 박성춘은 세례를 받은 후 1898년까지 무어 목사와 함께 백정의 해방 운동, 계몽 운 동 및 전도 운동을 적극 전개했다. 주지하듯이 갑오개혁를 통해 驛 人 倡 優 皮 工 並 許 免 賤 事 라 하여 천인들의 해방이 선포되었지만, 당시 상황에서 신분 차별은 제도적 관습적으로 여전 하였다. 특히 백정( 白 丁 )은 직역을 지칭하는 피공( 皮 工 )과 등치시킬 수 없는 측면이 있었을 뿐 아니라 그들에 대한 사회적인 천대 습속은 뿌리 깊었기 때문에 신분 차별 철폐를 향한 그 들의 운동은 끊이질 않았다. 12) 1895년부터 1896년까지 박성춘을 비롯한 서울의 백정층은 그들에게 우호적이었던 무어 목사, 에비슨 등 서양 선교사들과 힘을 합하여 백정의 신분해방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여러 차례 조정에 냈다. 13) 당시 에비슨과 관련된 한 사례를 살펴보자. 1895년 6월 콜레라가 만연 하기 시작하자 조선 정부는 에비슨을 방역 책 임자로 임명하였다. 에비슨을 중심으로 전개한 방역 활동의 결과 대략 1만 명의 사망자를 내 고 콜레라가 지나갔지만, 조선 정부로서는 체 계적인 방역과 경찰력까지 동원한 강력한 법 체계에 의해 콜레라가 어느 정도 수습될 수 있 다는 가능성을 얻었다. 14) 콜레라가 거의 퇴치 되었을 때 조선 정부는 내부대신 유길준을 통 해 에비슨에게 사의를 표했고, 이를 놓치지 않 고 에비슨은 1895년 10월 내부대신 유길준에 게 지방 백정들의 해방을 진정했다. 15) 이와 같 이 박성춘을 비롯한 백정들과 무어, 에비슨 등 선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1896년 2월 백정[ 屠 漢 ]들에게도 면천( 免 賤 )이 허용되어 평 민들과 같이 갓[ 漆 笠 ]을 착용할 수 있었으 며, 16) 1896년 9월 백정들도 호적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 17) 10)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16쪽. 11) S. F. Moore: A Gospel Sermon Preached by a Korean Butcher. Church at Home and Abroad Aug., 1896, 116쪽. 12) 김정미: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기에 있어서의 백정( 白 丁 ). 한국 근대 사회와 사상. 중원문화사, 1984, 195-201쪽. 김중섭: 형평운동연구. 지식산업사, 1994, 제1부 2장 참조. 13) 임순만: 기독교 전파가 백정공동체에 미친 영향. 형평운동의 재인식. 솔, 1993, 80-97쪽. 옥성득: 무어의 복 음주의 선교 신학. 불상 파괴 사건과 황제 알현 요청 서신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19: 31-76, 2003. 14) 박형우: 제중원. 몸과마음, 2002, 252-257쪽. 15) 이광린: 올리버 알 에비슨의 생애. 한국 근대 서양 의학과 근대 교육의 개척자.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143-144쪽. 16) 黃 玹 : 梅 泉 野 錄. 光 武 4 年 庚 子. 17) 舊 韓 國 官 報. 建 陽 元 年 9월 4일. 9월 8일. 그러나 당시 발표된 戶 口 調 査 規 則 과 戶 口 調 査 細 則 이나 현재 남아 있는 光 武 戶 籍 에 따르면 驛 人 倡 優 皮 工 등은 모두 일반 호적에 차별 없이 등재되었으나, 백정[ 屠 漢 ]과 승려[ 僧 徒 ]는 별도로 작성된 특수호적에 등재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때의 개혁조치 또한 백정에 대한 제도적 차별을 완전히 해소한 것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성윤: 갑오개혁기 개화파정권의 신분제 폐지정책. 한국 - 239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이후 박성춘은 1898년 일어난 독립협회 운 동에 적극 참여하여 66명의 총대위원 중 한 사람이 되었으며, 1898년 10월 29일 서울 종 로에서 열린 만민공동회에서 관민합심을 요구 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 18) 박성춘은 후에 은 행가가 되었고, 1911년 12월에 비로소 승동교 회의 장로가 되었다. 이후 오랫동안 경충노회 의 재정위원으로 활약하다가, 1922년 6월 12 일 사망하였다. 19) 박성춘의 다른 아들 박대양 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1931년도에 졸업 하였다. 20) 그리고 딸 박양빈은 세브란스의학 전문학교 제4회 졸업생 신필호와 결혼하였다. 당시 박서양의 본적 겸 주소는 종로구 낙원 동 152번지이었으며, 어렸을 때 이름은 봉주 리 혹은 봉출 이었지만 상서러운 태양이 되 라 는 뜻에서 이름을 서양( 瑞 陽 )으로 바꾸었 다. 21) 박서양은 사숙( 私 塾 )을 하다가 무어가 세운 곤당골 예수교학당에 잠시 다녔다. 22) 어 느 날 에비슨은 박성춘으로부터 무어 목사의 주례로 열리는 박서양의 결혼식에 참석해 달 라는 요청을 받고 참석하여 축하해 주었다. 23) 결혼식이 끝난 후 박성춘은 박사님, 이제 제 아들놈을 장가보냈으니 병원으로 데려가셔서 사람 좀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하 여 에비슨을 놀라게 하였다. 한편 박서양은 3남 3녀를 두었다. 1922년 11월 세브란스병원 구내의 남대문 교회에 유 치원이 설립된 후 에비슨 부인이 원장으로 선 출되었을 때 아이의 부모들이 젊은 여자를 원 장에게 데려와 교사로 추천하였다. 원장은 면 밀히 검토한 끝에 그녀를 교사로 임명했는데, 후에 원장은 그녀가 박서양의 딸임을 알았 다. 24) 서울로 올라온 그녀는 아버지가 첫 학생 이었던 의학교 및 병원과 함께 발전해 온 교회 에서 봉사했던 것이다. 제중원 입학 얼마 후 에비슨은 박서양을 병원으로 데려 왔고, 그의 사람됨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에는 병원 바닥 청소와 침대 정리를 시켰고 이외에 도 의학 공부를 할 자질이 있다는 확신을 줄 근현대의 민족문제와 신국가건설. 지식산업사, 1997, 128쪽. 오환일: 한말 백정에 대한 수탈과 백정층의 동향. 사학연구 54: 174-177, 1997. 18) 鄭 喬 : 大 韓 季 年 史, 광무 2년 戊 戌 條. 19) 박서양의 호적등본. 20) 의학백년 에는 박서양의 두 아들이 세브란스에 입학했다고 되어 있으나 학적부에서 확인할 수 없었으며, 입 학했더라도 졸업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기록은 에비슨의 자서전에 적힌 것을 인용한 것 같은데, 에비 슨이 박성춘의 두 아들(박서양과 박대양)을 박서양의 두 아들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 학 의학백년 편찬위원회: 의학백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6, 59-60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적부.;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37쪽. 21) 전택부: 토박이 신앙산맥. 한국교회 사도행전. 대한기독교출판사, 1977, 38쪽. 2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적부; 옥성득: 무어의 복음주의 선교 신학: 불상 파괴 사건과 황제 알현 요청 서신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19: 31-76, 2003.; 정준모: 사무엘 F. 무어 선교사 생애와 사상. 은혜기 획, 2000, 82~85쪽. 23) 박서양이 언제 결혼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에비슨의 자서전에 12-13세 경이 결혼 적령기라는 언급이 있 는 것으로 보아 1897-8년경으로 추정되며, 장인은 이성옥(경주 이씨), 장모는 김씨였다. 호적에 부인은 이씨 라고만 기록되어 있으며, 1883년생으로 박서양보다 두 살이 많았다.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27쪽; 박서양의 호적등본. 24)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36-337쪽. 유치원의 교사가 된 젊은 여자는 1901 년 5월 출생한 박서양의 장녀 박인애로 추정된다. - 240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수 있는 모든 일을 시켰다. 25) 박서양이 힘든 모든 일을 아무 불평 없이 거뜬히 처리하자 에 비슨은 그에게 책을 읽게 했고, 1900년 8월 30일 정규 과정으로 입학시켜 학년을 부여했 는데, 1901년 9월 현재 박서양은 2학년이었 다. 26) 1900년 안식년에서 돌아온 에비슨은 학생 들에게 학년을 부여하는 등 의학 교육을 강화 했는데, 박서양은 다음과 같은 강의와 실습을 받았다. 27) 우선 1900~1년에는 휠드(Eva Field) 여의사가 그녀의 조선어 선생을 통해 수학을 강의했고, 쉴즈(Esther L. Shields) 간 호사는 김필순과 함께 영어를 강의하는 동시 에 간호, 붕대 감는 법, 외과적 드레싱의 준비, 수술방 준비와 관리 등을 강의했다. 에비슨은 화학, 약물학 및 해부학을 강의했다. 물론 이 때는 가르치는 사람이 적었고 환자를 봐야 했 기에 실제 강의 시간은 많지 않았고 불규칙적 이었다. 1901~2년에는 동료 학생 6명 중 한 명이 능력이 없어 학교를 떠났고, 두 명은 에비슨이 강의에 소홀함에 실망하여 떠남으로써 박서양 을 포함하여 3명만 남게 되었다. 28) 박서양을 제외한 2명도 떠나기 일보 직전이었으나, 일본 인 간호사 2명이 합류하여 에비슨이 강의할 여유를 갖게 됨으로써 가까스로 이들을 붙잡 을 수 있었다. 1901~2년에 에비슨으로부터 매주 토요일 화학 강의를 받았는데, 의학생뿐 아니라 다른 여학교 상급반이나 중학교의 남 학생 및 몇몇의 외부 학생들도 참여해 대략 15명 정도가 강의를 들었다. 강의는 일본 화학 책을 번역한 것으로 받았다. 강의와 함께 실습 도 병행했는데, 기구가 다소 조잡했지만 과학 의 원리를 이해하기에는 충분했다. 에비슨은 학기말 시험 결과 많은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매우 잘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회고 하였다. 휠드 여의사로부터는 수학을 배웠다. 강의는 점차 기본 틀을 갖추기 시작했는데 1903년에는 해부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등의 강의를 들었고, 1903-4년에 이르러 정규적으 로 해부학, 화학, 생리학 강의를 들었다. 29) 강 의가 안정되면서 학생들이 더 많은 관심을 나 타내게 된 것은 물론이었다. 1904년에는 세브 란스병원의 건립 때문에 어수선했지만 허스트 교수가 부임하면서 더욱 강의가 알차게 되었 고, 더구나 1905년부터는 많은 한국어 교과서 가 출판되어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다. 30) 이후 주현칙, 홍석후, 홍종은이 편입해 들어오면서 학생 수가 증가했다. 1906년 초 현재 여러 명 의 학생들과 해부학, 생리학, 화학, 세균학, 병 리학 등의 기초 학문을 이수 받았다. 31) 동시에 실제 내과와 외과에서 임상 실습을 했으며, 박 서양을 포함한 학생들은 모든 종류의 작은 수 술과 외국인 선생의 감독 하에 독자적으로 절 단술(amputation) 같은 일부 큰 수술을 할 수 있는 정도로 훈련되어 있었다. 한 예로 박서양 25)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30쪽. 26)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적부; 박형우, 이태훈: 1901년도 제중원 연례보고서. 연세의사학 4: 227, 2000. 27) 박형우, 이태훈: 앞의 글, 228쪽. 28) Annual Report of Seoul Station to the Korea Mission, October, 1902. Records of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U.S.A. Korea, Letters and Reports No. 81. 29) Annual Report of Seoul Station Presented to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t its Annual Meeting, September, 1904 at Seoul. 30) 교과서 출판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이 참고가 된다. 박형우: 우리나라 초창기 의학서적. I. 제중원-세브란스에 서 간행된 초창기 의학교과서. 의사학 7(2): 223-238, 1998. 31) O. R. Avison: Severance Hospital. Korea Review 6: 62-67, 1906. - 241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그림 2. 세브란스병원에서 에비슨과 허스트의 수술을 보조하는 의학생 박서양. 두 선교사 사이에서 탕건을 쓰고 있는 사람이 박서양이다(1904년경)(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 소장). 은 난산을 겪는 산모의 처치를 위해 허스트와 왕진을 가기도 했다. 32) 1907년이 되자 학생들은 언제 졸업하여 의 사가 되는가를 궁금해 하기 시작했고, 일부는 에비슨이 졸업 기한을 확실히 말해주지 않으 면 중도에 포기할 뜻을 비치기도 했다. 33) 이에 에비슨은 학생들이 공부에 더 힘쓰고 실습하 는 시간을 늘린다면 1년 안에 졸업시키겠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1908년 졸업 직전 각 과목 별로 100개의 문제로 시험을 보아 모두 합격 했다. 34) 이들이 받은 졸업시험의 평균 성적은 92, 87.5, 87.5, 85.5, 82, 74.5, 72점이었으 며, 전체 평균은 83점이었다. 35) 필기나 구두시 험과 함께 치룬 실기시험은 점수가 훨씬 더 좋 았다. 박서양은 1908년 6월 3일 김필순, 김희영, 신창희, 주현칙, 홍석후, 홍종은 등과 함께 제 중원의학교를 제1회로 졸업하였다. 졸업식 다 음 날 졸업생들은 내부( 內 部 ) 위생국에서 의술 개업을 허락하는 의술개업인허장( 醫 術 開 業 認 許 狀 )을 받았는데, 36) 그 내용은 는 제 중원의학교에서 의학 수업의 전 과정을 이수 하고 동 기관에서 충분한 시험을 통과한 사실 로 보아 의료를 행할 권리를 부여한다 는 것이 32) 대한매일신보 1907년 10월 23일자(관훈클럽 영인본). 33) 魚 丕 信 博 士 小 傳 ( 二 六 ). 조선의료교육의 시작( 三 ). 기독신보 제868호, 1932년 7월 20일. 34) Editorial. Korea Mission Field 4: 72-73, 1908. 35) Graduation exercises. Korea Mission Field 4: 123-127, 1908. 36) 에비슨은 이미 1906년 곧 배출될 졸업생들에게 정부의 공인된 자격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인허장 - 242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었다. 이 의술개업인허장은 번호가 1번부터 7 번까지였으며, 박서양은 4번을 받은 것으로 추 정된다. 37) 졸업 전인 1906년 박서양은 동기생인 홍석 후 등과 함께 1903년 10월 28일 창설된 황성 기독청년회(Y.M.C.A)에서 학생 교육을 담당하 는 등 계몽운동에 참여하였고, 중앙학교, 휘문 학교, 오성학교 등에서 화학과 생물학을 가르 치기도 하였다. 38) 1906년 황성기독청년회 학 생 교육 부문에서 부학감을 맡기도 하였는 데, 39) 1908년 발행된 大 韓 皇 城 鐘 路 基 督 靑 年 會 畧 史 에 따르면 청년회 중앙조직 내의 교사 부에 박서양을 비롯하여 김규식, 홍석후, 이교 승 등이 함께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었다. 40) 이와 함께 박서양은 일찍부터 서양 선교사 와의 교류 속에서 창가( 唱 歌 ) 등 성악에도 능 하여 당시 언론에 자주 언급되고 있었는데, 41) 이와 같은 그의 활동은 애국가 작사에 관한 김 인식( 金 仁 湜 ) 작사설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42) 또한 그는 1909년 2월 승동학교( 勝 洞 學 校 )에 음악과를 설치하고 운영하기도 하였다. 43) 이 때 그가 설치한 음악과를 한국 음악사 학계에 서 한국 근대 최초의 음악 전문 교육기관 이 라 평가하기도 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44) 박 서양은 서양음악의 수용 및 발전 과정 속에서 도 남다른 위치를 차지한다. 45) 이와 같은 그의 음악적 역량은 이후 간도에서 선교 활동이나 교육, 계몽 운동을 펼치는 데도 큰 도움을 주 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박서양은 제중원의학교에 입학 하여 처음에는 병원 바닥 청소와 침대 정리 등 허드렛일부터 시작하여 수학이나 화학 같은 기초 학문은 물론 해부학, 내과, 외과 등 의학 전반을 배웠고, 특히 임상 실습을 통해 작은 수술뿐 아니라 큰 수술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훈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훈련의 은 1908년 5월 말에 내부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당시는 이미 을사늑약이 체결되어 일본 통감부의 허락이 필 수적이었기 때문에 에비슨은 당시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 伊 藤 博 文 )를 찾아가 협조를 부탁하였고, 이토는 직접 졸업식에 참가하여 졸업장을 수여하였다. 즉, 선교부에 의해 이루어진 의학교육이 통감부 권력의 지원으로 공 식성을 인정받게 되었던 것이다. 에비슨(O. R. Avison)이 브라운(A. J. Brown)에게 보낸 1906년 6월 8일자 편지(Records of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U.S.A. Korea, Letters and Reports. 48권, Korea Letters 1906, 73번 편지); 皇 城 新 聞 1908년 5월 31일, 6월 7일; 의슐허가. 大 韓 每 日 申 報 1908년 6월 6일. 참조. 37) 박형우: 세브란스와 한국 의료의 여명. 청년의사, 2006, 178쪽. 38) 황성신문 1906년 10월 6일, 10월 12일. 이때 박서양의 출신을 문제 삼아 학생들이 천시하는 태도를 보이 자, 그는 내 속에 있는 오백년 묵은 백정의 피만 보지 말고, 과학의 피를 보고 배우라 고 하며 학생들을 일 깨웠다고 한다. 전택부, 앞의 글(1961), 78쪽. 39) 만세보 1906년 11월 7일. 1906년 후반 학감은 황성기독청년회 부총무(혹은 공동 총무) 브로크만(F. M. Brockman, 巴 樂 滿 )이었고, 박서양은 부학감이었다. 40) 전택부: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 범우사, 1994, 101쪽 41) 만세보 1906년 11월 7일; 황성신문 1909년 4월 11일. 박서양은 1913년 2월 16일 승동교회가 신축되어 헌 당식을 거행할 때 찬송가를 독창하기도 하였다. 大 韓 예수 敎 長 老 會 勝 洞 敎 會 : 勝 洞 敎 會 百 年 史, 1996, 126쪽. 42)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애국가 작사자에 관한 몇 가지 설 중 박서양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 면 다음과 같다. 1908년 진명학교 창립 기념식에 쓰기 위해서 김인식(1885~1962)은 세브란스 출신 박서양 이 부르는 작자 불명의 황실가 를 듣고 이에 힌트를 얻어 애국가를 작사했다고 한다. 박서양이 불렀다는 황 실가 의 가사 등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張 師 勛 : 黎 明 의 東 西 音 樂. 寶 晉 齋, 1974, 67~68쪽 참조. 43) 대한매일신보 1909년 2월 16일. 44)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 1. 한길사, 1995, 603~605쪽. 45) 만세보 1906년 11월 7일; 황성신문 1909년 4월 11일. - 243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결과 1908년 6월 한국 최초로 의술개업인허 장을 받아 서양의학의 개척자 중 한 사람이 되 었다. 아울러 박서양은 교회와 제중원의학교 등에서 익힌 다양한 재능과 신학문을 가지고 황성기독청년회 등을 매개로 각종 계몽운동을 전개하였고, 서양음악의 수용 및 발전에도 선 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백 정의 아들이라는 신분의 제약을 넘어 근대 문 명을 적극적으로 습득, 전파하는 새로운 엘리 트로서 한국 근대 변혁기에 등장했던 상징적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모교 교수 박서양은 졸업 후 모교인 제중원의학교 (1909년 7월 세브란스병원의학교로 조선 정부 에 등록함)의 전임 교수로서 화학을 맡아 강의 를 했는데, 1910~11년도의 경우 2학년의 화 학을 일주일에 6시간 강의하였다. 학교와 후진 양성을 위해 동서분주한 박서양은 1911년 6 월 2일에는 제2회 졸업식에서 김필순, 홍석후 와 함께 후배들을 이끌고 졸업식장까지 행진 했으며 진급하는 제자들에게 진급증서를 수여 하였다. 제2회 졸업생을 배출한 후 1911년 12 월 31일 동기생 김필순이, 곧 이어 후배 이태 준이 중국으로 망명하여 한국인 교수진에 큰 공백이 생겼다. 46) 또한 이 시기에는 학교 교사를 신축 중이었 기 때문에 1912년 1월부터 학교가 폐쇄되었 다. 1912년 10월 다시 문을 연 학교는 여러 교파에서 선교의사들이 교수로서 합류하면서 1913년 세브란스연합의학교로 개칭되었으며, 박서양은 감리회의 후원을 받았다. 47) 박서양 은 주로 화학을 가르쳤지만 1913년부터 간도 로 가기 전까지 외과학교실의 조교수와 부교 수를 역임하였고, 48) 1914-15년도에는 2학년 학생들에게 소외과( 小 外 科 )를 가르쳤다. 49) 또 병원 외과에서 부의사(assistant surgeon)로 근무하면서 임상 경험도 쌓았고, 해부학을 가 르치기도 했다. 50) 박서양은 1917년 3월 15일 세브란스가 의학전문학교로 승격할 당시 외과 학교실의 조교수로 근무하면서 병원에서 러들 로 과장 및 제2회 졸업생 강문집과 함께 외과 환자를 진료하였다. 한편 1909년 9월 콜레라가 유행하자 박서 양은 김필순, 김희영, 안상호, 이석준, 박용남, 장기무, 한경교, 정윤해 등과 함께 방역에 나 서겠다고 정부에 청원하였고, 이것이 받아들여 지자 방역집행위원과 보조원 등과 공동으로 적극적인 방역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51) 간도에서의 활동 이와 같이 한국 서양의학의 개척자로서 모 교에 남아 후진을 양성하며 환자를 보던 박서 양은 세브란스연합의학교가 의학전문학교로 46) O. R. Avison, Report of the Severance Hospital Plant. Seoul, Korea. For the year 1910-1911.; Notes and Personals. Seoul. Korea Mission Field 7(8): 210, 1911. 47) Lera C. Avison이 미국 선교부로 보내는 1914년 6월 8일자 편지지. 48) 박서양이 외과를 담당하게 된 데에는 동기생으로 외과 분야에서 큰 역할을 맡았던 김필순의 망명이 크게 작 용한 것으로 보인다. 世 富 蘭 偲 聯 合 醫 學 專 門 學 校 校 友 會 : 校 友 會 員 住 所 及 名 簿, 1934, 11쪽. 49) 1917년 졸업생 김기형의 3학년 진급증서(1915).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50) What are the graduates of the Severance Medical College doing? Korea Mission Field 18: 159-160, 1922. 51) 防 疫 美 擧. 皇 城 新 聞 1909년 9월 20일자 3면 1단. - 244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승격된 직후 갑자기 학교를 사직하고 간도로 떠났다. 52) 동기생 김필순이나 주현칙 등과 달 리 그가 독립운동을 위해 간도로 건너가기 전 국내에서 어떠한 독립운동 조직과 연계되어 있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알려 주는 자료는 없 는 상황이다. 다만, 그가 간도로 떠나기 전에 보여 주었던 서울에서의 활동이나 간도로 이 주한 후의 활동을 통해 몇 가지 측면에서 그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우선, 그의 종교와 연관하여 볼 때 그가 건 너가 활동했던 북간도 지역의 특성을 들 수 있 다. 당시 북간도 지역은 1902년 이래 캐나다 장로회 선교부를 중심으로 교회, 병원, 학교 등이 설립되는 가운데 적극적인 선교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후 이동휘( 李 東 輝 ), 정 재면( 鄭 載 冕 ) 등 기독교 계열의 독립운동 세력 들이 활발히 진출하면서 주로 장로교 계통의 민족 교육 운동과 독립운동 기지 건설 운동이 왕성했던 지역이었다. 53) 그리고 이와 관련하 여 박서양이 1900년대 중, 후반 적극적으로 황성기독청년회에서 활동함으로써 1900년대 말 만주, 연해주 등으로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해 뛰어들었던 상동청년회( 尙 洞 靑 年 會 ), 신 민회( 新 民 會 ) 등 주요 독립운동 세력들과 인적 으로 연결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54) 1917년 간도로 이주한 박서양은 병원을 세 우고 의사로서의 진료 활동을 계속하는 가운 데 민족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이를 토대로 교 육 운동을 비롯한 항일 독립운동에 나섰다. 55) 우선 의사로서 박서양은 간도( 間 島 ) 연길현( 延 吉 縣 ) 용지향( 勇 智 鄕 ) 국자가( 局 子 街 )에 구세 병원( 救 世 病 院 )을 개업하였다. 의료 환경이 극 도로 열악했던 당시 상황에서 박서양의 의사 로서의 역할은 막중한 것이었다. 구체적인 자 료가 남아 있는 1924년 12월 말의 상황을 살 펴보자. 당시 연길현에는 한국인 156,029명, 일본인 1,42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런데 의 사는 한국인 46명, 일본인 6명뿐이었고, 한국 인 의사 46명 중 거의 대부분은 한의사였다. 일제의 조사자료에 파악된 의료시설 중 연길 현에서 한국인이 경영하는 병원은 박서양의 구세병원뿐이었다. 이 해에 박서양은 연인원으 로 시료환자 3,315명, 유료 환자 6,416명을 치료하였다. 56) 이와 같이 의사로서 활동하면서 박서양은 52) 세브란스 교우회원 주소록에는 박서양이 1918년까지 근무한 것으로 되어 있어, 저자도 이전 논문에서 이를 인용한 바 있다. 그러나 박서양이 1917년 6월 30일 숭신학교( 崇 信 學 校 )를 설립하고 교장에 취임했다는 분명 한 기록이 남아 있다. 世 富 蘭 偲 聯 合 醫 學 專 門 學 校 校 友 會 : 校 友 會 員 住 所 及 名 簿, 1934, 11쪽.; 박형우: 세브 란스의학교 1회 졸업생의 활동. 연세의사학 2(2). 299-319, 1998.; 國 史 編 纂 委 員 會 : 日 帝 侵 略 下 韓 國 三 十 六 年 史 ( 三 ). 1968, 860쪽. 53) 徐 紘 一 : 1910 年 代 北 間 島 의 民 族 主 義 敎 育 運 動 1. 基 督 敎 學 校 의 敎 育 을 中 心 으로. 白 山 學 報 29, 백산학회, 1984.; 徐 紘 一 : 1910 年 代 北 間 島 의 民 族 主 義 敎 育 運 動 2. 基 督 敎 學 校 의 敎 育 을 中 心 으로. 白 山 學 報 30 31, 백산학회, 1985.; 李 明 花 : 北 間 島 地 方 에서의 民 族 主 義 敎 育 과 植 民 主 義 敎 育. 실학사상연구 1, 무악실학회, 1990.; 박주신: 간도한인의 민족교육운동사. 아세아문화사, 2000, 241-252쪽. 54) 1900년대 후반 황성기독청년회, 상동청년회, 신민회의 진용과 그들의 국권회복운동 노선의 분화에 대해서는 장규식: 일제하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연구. 혜안, 2001, 제1장; 조동걸: 일제하 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 연구. 지식산업사, 1989를 참조할 것. 55) 간도로 이주한 이후 박서양의 행적에 관해 일제가 작성한 각종 기록의 원문은 http://www.koreanhistory. or.kr 참조. 56) 機 密 제193호 在 滿 朝 鮮 人 槪 況 作 成 에 관한 件. 1925년 6월 12일 鈴 木 要 太 郞 ( 間 島 總 領 事 ) 발송, 1925년 6월 23일 幣 原 喜 重 郞 ( 外 部 大 臣 ) 수신. - 245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1917년 6월 30일 숭신학교( 崇 信 學 校 )를 설립 하고 교장에 취임하였다. 57) 숭신학교는 국자 가 하시장( 下 市 場 )에 위치한 장로교 계통의 초 등교육기관( 小 學 校 )으로서 58) 산술, 한문, 일본 어, 조선어 등을 가르쳤다. 숭신학교는 소속 재산이 없는 상태에서 학부형 및 기독교 신자 의 갹출로 학교 운영을 유지했다. 59) 1922년에 는 여러 독지가들의 기부금으로 교사를 건축 하기도 했지만, 60) 그 운영이 전반적으로 순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1927년 에는 그동안 교장으로 활동하면서 재정을 지 원하던 박서양이 더 직접적으로 학교 운영에 참여키로 하였고, 이화여전 출신의 유자격 교 원을 증원하고 수 천원의 기부금을 모금하여 학교 운영에 일대 전기가 이루어지는 듯 했 다. 61) 하지만 1928년의 흉작에 이어 1929년 에도 경제 상태가 좋지 않아 학교의 존폐 문제 까지 거론되자 10월 25일 전 국자가의 시민대 회를 열어 유지회( 維 持 會 )를 조직하여 학교 유 지의 전책임을 지기로 결의하였다. 62) 학교의 규모를 보면 1917년 6월 말 교사 5명에 학생 28명, 63) 1921년 말 교사 5명에 4학급이 있었 고 생도는 남자가 25명, 여자가 15명이었다. 박서양은 지역 사립학교의 연합에 관심을 가져 1917년 6월 말에 열린 연길현의 27개 학교의 연합운동회에 적극 참여하였고, 64) 1923년 8월 21일에는 자신의 숭신학교에서 간도 지역의 조선인 학교 운영자들과 모임을 갖고 간도교육협회를 조직하였다. 이 모임에서 협회의 위원장에는 김영학이 선임되었고, 박서 양은 집행위원 중 1인으로 활동하였다. 65) 1924년 6월에 열린 연합운동회에는 간도 전 체의 48개 학교가 참석하여 초유의 성황을 이 루기도 했다. 66) 당시 일본의 간도총영사 대리 영사는 특히 숭신학교를 불령선인( 不 逞 鮮 人 )이 건립한 배일학교( 排 日 學 校 )로 지목하여 본국에 보고하기도 하였다. 67) 이렇게 일제 측이 숭신학교를 주시하는 가 운데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이 보 내는 재외동포에게 라는 문건이 1924년 6월 57) 國 史 編 纂 委 員 會, 日 帝 侵 略 下 韓 國 三 十 六 年 史 ( 三 ), 1968, 860쪽. 58) 機 密 제292호 間 情 제27, 52, 53호. 1920년 11월 9일 堺 與 三 吉 ( 間 島 總 領 事 代 理 領 事 ) 발송, 1920년 11월 18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59) 機 密 受 제19호- 機 密 제2호 間 島 地 方 日 本 側 施 設 및 朝 鮮 人 經 營 私 立 學 校 調 査 의 건. 1922년 1월 7일 堺 與 三 吉 ( 間 島 總 領 事 代 理 領 事 ) 발송, 1922년 1월 17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60) 間 島 局 子 街 崇 信 學 校 校 舍 新 築 을 決 定. 동아일보 1922년 4월 2일자 8면.; 崇 信 校 舍 建 築 着 手. 동아일보 1922년 8월 14일자 4면. 61) 經 營 者 變 更 되어 爲 先 內 部 充 實 校 舍 新 築 有 資 格 敎 員 招 聘 局 子 街 崇 信 校 曙 光. 동아일보 1927년 6월 15일 자 4면. 62) 間 島 崇 信 校 維 持 會 를 組 織, 금년 흉작에 유지가 곤난해 局 子 街 市 民 大 會 열고. 동아일보 1929년 11월 3일 자 7면. 63) 朝 憲 機 제206호 朝 鮮 人 經 營 私 立 學 校 聯 合 運 動 會 의 건. 1917년 7월 10일 朝 鮮 駐 箚 憲 兵 隊 司 令 部 발송, 1917년 7월 13일 長 谷 川 好 道 ( 朝 鮮 總 督 ) 수신. 64) 朝 憲 機 제206호 朝 鮮 人 經 營 私 立 學 校 聯 合 運 動 會 의 건. 1917년 7월 10일 朝 鮮 駐 箚 憲 兵 隊 司 令 部 발송, 1917년 7월 13일 長 谷 川 好 道 ( 朝 鮮 總 督 ) 수신. 65) 機 密 受 제293호- 機 密 제283호 要 注 意 鮮 人 의 間 島 敎 育 協 會 組 織 에 관한 건. 1923년 9월 18일 鈴 木 要 太 郞 ( 間 島 總 領 事 ) 발송, 1923년 10월 2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66) 全 間 島, 陸 上 競 技, 參 加 校 四 十 八 校, 間 島 初 有 盛 況. 시대일보 1924년 6월 18일자 4면. 67) 機 密 제292호 間 情 제27, 52, 53호. 1920년 11월 9일 堺 與 三 吉 ( 間 島 總 領 事 代 理 領 事 ) 발송, 1920년 11월 18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 246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숭신학교를 통해 주변 지역 조선인에게 배포 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68) 1929년에는 11월의 광주학생운동의 여파가 간도까지 밀려 왔는데, 숭신학교가 그 중심에 있었다. 1930년 2월 19 일 숭신학교 학생 50여명이 시내 중심가에서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손에 적 기를 들고 과격한 격문을 발표하고 유인물을 배포했는데, 이중 이십 여명이 경찰에 연행되 었다. 69) 이에 대해 만주 요령성 정부 주석은 1930년 3월 다음과 같은 훈령을 내려 보냈 다. 70) 最 近 延 吉 縣 在 住 鮮 人 의 經 營 하는 各 學 校 生 徒 等 은 鮮 內 에 있어서의 光 州 學 生 事 件 反 日 運 動 에 刺 戟 되어 各 所 에 排 日 運 動 을 行 하고 特 히 延 吉 本 街 私 立 鮮 人 崇 信 學 校 男 女 生 徒 120 餘 名 은 各 自 朝 鮮 獨 立 萬 歲 旗 를 携 하고 市 內 一 帶 를 遊 行 하며 排 日 檄 文 을 撒 布 하는 等 形 勢 不 穩 의 現 狀 이라 하니 中 國 에 있어서 此 種 鮮 人 等 의 反 日 運 動 은 延 하여 今 後 의 中 日 關 係 에 惡 影 響 을 齎 來 할 것이므로써 各 地 官 憲 은 居 住 鮮 人 의 狀 況 을 常 히 視 察 하고 反 日 運 動 等 의 擧 에 出 하지 아니하도록 嚴 히 取 締 를 要 함. 이와 같이 간도 지방에서 반일 운동의 중심 이 된 숭신학교는 결국 1932년 6월 불온사상 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일본 영사관 경찰에 의 해 강제로 폐교 당했다. 71) 박서양은 한국인을 위한 진료 및 교육 활동 과 함께, 대한국민회의 일원으로서 조국의 독 립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대한국민회 ( 大 韓 國 民 會 )는 국내의 3 1운동에 호응하여 간 도 지역에서 일어난 3월 13일 만세 운동 결과 조직된 조선인 자치기구 겸 독립운동 단체였 다. 대한국민회는 종래 간도 지역 한인 자치 기구였던 간민교육회( 墾 民 敎 育 會, 1909), 간민 회( 墾 民 會, 1913)의 주도세력을 주축으로 간 도 지역 연길현, 왕청현, 화룡현 등 3개 현에 10개의 지방회와 133개의 지회를 두고 있던 북간도 최대의 독립운동 조직이었다. 대한국민 회는 단순히 자치기구에 한정된 조직이 아니 라 대한국민회 군사령부( 大 韓 國 民 會 軍 司 令 部 ) 라는 직할 군사조직도 갖추고 있었다. 72) 이후 대한국민회는 간도 주변 지역에서 활동하던 독립군 부대들과의 연합 정책을 전개하여 대 한국민회 군사령부는 1920년 5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최진동의 북로독군부 등과 연합하 기도 하였다. 박서양과 대한국민회의 관계를 보여 주는 것으로 대한국민회의 문서 수발 기 록 중에 1920년 6월 11일자로 대한국민회 회 장이 박서양에게 赤 十 字 醫 師 에 관한 件 을 68) 機 密 제231호 李 承 晩 의 聲 明 書 配 布 에 관한 건. 1924년 9월 12일 鈴 木 要 太 郞 ( 間 島 總 領 事 ) 발송, 1924년 9 월 24일 幣 原 喜 重 郞 ( 外 部 大 臣 ) 수신. 69) 間 島 崇 信 學 生 又 復 萬 歲 示 威, 피금된 학생 이십여명, 中 日 警 總 出 動 警 戒. 동아일보 1929년 11월 3일자 7 면. 1922년 이후 간도지역에도 좌익세력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반종교운동 이 일어나는 등 기독교계통의 민족 주의세력과 갈등이 커져 가고 있었다. 朴 州 信 : 間 島 韓 人 의 民 族 敎 育 運 動 史. 아세아문화사, 2000, 5장 3절 참 조. 70) 國 史 編 纂 委 員 會 : 韓 國 獨 立 運 動 史 五. 學 生 의 反 日 運 動 은 對 日 關 係 를 惡 化 함. 중판, 정음문화사, 1983, 675쪽. 71) 間 島 崇 信 校 를 不 穩 타고 閉 鎖, 二 백여 학생 學 路 를 일허, 領 警 分 署 에서 命 令. 동아일보 1932년 6월 16일자 4면. 72) 북간도지역 大 韓 國 民 會 의 조직, 주도세력, 이념 등에 대해서는 박환: 북간도 대한국민회의 성립과 활동. 윤병 석 교수 화갑 기념 한국근대사논총, 윤병석 교수 화갑 기념 한국근대사논총 간행위원회, 1990.; 宋 友 惠 : 北 間 島 大 韓 國 民 會 의 組 織 形 態 에 관한 硏 究, 한국민족운동사 연구 1, 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 1986.; 박창욱: 국민 회를 논함. 1919-1920년 국민회의 역사 작용을 위주로 하여. 국사관논총 15, 국사편찬위원회, 1990을 참조 할 것. - 247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통지한 기록이 있다. 73) 또한 박서양은 대한국 민회 군사령부의 유일한 군의( 軍 醫 )로 임명되 어 군진 의료를 담당하였다. 74) 1925년 중반 이후 박서양은 한족노동간친 회(혹은 한족간친회)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한족노동간친회가 어떠한 성격의 조직이었는 지는 명확히 파악하기는 힘드나, 남만청년총동 맹( 南 滿 靑 年 總 同 盟 )과 연락하고 있었음을 볼 때 사회주의적 성향의 조직이었던 것으로 추 측되는데, 그는 1925년 12월 개최된 총회에서 강연부장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75) 이외에도 1924년 2월 이후 동아일보 간도지국의 총무 겸 기자로도 활동하였으며, 76) 국자가에 교회 를 설립하여 이끌었고 얼마 후에 장로로 피선 되었다고 한다. 77) 박서양은 1936년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78) 그 이유는 확실치 않으나 자신이 세웠던 숭신 학교가 1932년 폐교되고,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제의 만주에 대한 직접적 지배가 이루 어지게 됨에 따라 간도 지역에서 조선인의 활 동이 크게 위축되었던 사정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신도 이미 50대가 되었으며 스 승 에비슨 선생도 자신의 조국으로 돌아갔으 니 79) 여생을 고향에서 보내고 싶었을 것이다. 박서양은 귀국 직후 황해도 연안읍에서 개업 을 하다가 1940년 수색역 앞으로 이사하였 다. 80) 박서양은 1940년 12월 15일 오전 6시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 165번지에서 55세의 나이로 영면하였다. 81) 맺음말 스승 에비슨은 1935년 영구 귀국을 앞두고 캐나다 선교부가 있는 간도를 방문하였고, 자 73) 機 密 제358호 間 島 地 方 宗 敎 團 體 의 動 向 및 民 會 設 置, 洪 範 圖 의 活 動 등에 관한 건. 1920년 12월 23일 堺 與 三 吉 ( 間 島 總 領 事 代 理 領 事 ) 발송, 1921년 1월 6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74) 受 20669호- 公 제259호 朝 鮮 側 警 察 이 朝 鮮 人 金 順 등을 拘 引 시킨 것에 관한 건. 1921년 6월 27일 吉 田 伊 三 郞 ( 在 中 國 臨 時 代 理 公 使 ) 발송, 1921년 7월 2일 內 田 康 哉 ( 外 部 大 臣 ) 수신. 75) 外 務 省 文 書 課 受 第 55 號 不 逞 鮮 人 行 動 에 關 한 件. 1926년 2월 13일 川 越 茂 ( 吉 林 總 領 事 ) 발송, 1926년 2월 14일 幣 原 喜 重 郞 ( 外 部 大 臣 ) 수신.; 機 密 第 53 號 不 逞 鮮 人 의 行 動 에 關 한 件. 1925년 6월 15일 川 越 茂 ( 吉 林 總 領 事 ) 발송, 1925년 6월 25일 弊 原 喜 重 郞 ( 外 務 大 臣 ) 수신.; 남만청년총동맹에 대해서는 신주백, 앞의 책, 69~75쪽. 채영국: 1920년대 중후반 南 滿 地 域 韓 人 社 會 主 義 단체의 성립과 動 向. 忠 北 史 學 11 12합집, 2000, 참조. 76) 間 島 支 局 管 內 局 子 街 分 局 職 員 變 更, 分 局 長 金 祥 鎬 總 務 兼 記 者 朴 瑞 陽 顧 問 金 永 學. 동아일보 1924년 2월 3일자 3면. 77) 교회의 명칭이나 소재 등 구체적인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What are the Graduates of the Severance Medical College Doing? Korea Mission Field 18: 159, 1922. 78) 1935년 말 혹은 1936년 초에는 박서양이 아직 국자가에 있었다. 세브란스교우회보 25: 68, 1936년 2월 1 일.; セブランス 聯 合 醫 學 專 門 學 校 一 覽, 113쪽, 1936년 7월 20일. 79) 1935년 박서양은 만주를 방문한 스승 에비슨을 만나지 못했다.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pp. 337-338. 80) セブランス 聯 合 醫 學 專 門 學 校 一 覽, 117쪽, 1939년 5월 18일; セブランス 聯 合 醫 學 專 門 學 校 一 覽, 122쪽, 1940년 8월 20일. 81) 박서양은 사망 직전인 1940년 8월 1일 성을 植 野 로 개명하였다. 박서양의 장손 박연수에 의하면 수색에 있던 박서양의 묘지는 1960년대 도시 개발과 함께 어디론가 이장하였다고 한다. 박서양의 사망 소식은 모교 에 전해지지 않아 1943년의 동창회 명부에는 아직 수색에 살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부인 이 씨는 1949년 4월 19일 중구 인현동에서 사망하였다. 박서양의 호적등본, 종로구청.; 박서양의 장남 박경철의 호적 등본, 종로구청.; 旭 醫 學 專 門 學 校 同 窓 會 : 同 窓 會 名 簿, 1943, 19쪽. - 248 -

박형우 홍정완ː박서양의 의료활동과 독립운동 신의 첫 제자 중의 한 사람인 박서양을 만나기 로 하였다. 그러나 폭우가 내리는 바람에 문제 가 생겼다. 이 당시 상황을 에비슨 자신은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 82) 우리가 마지막 선교지부인, 만주 국경에서 약 30마일 정도 떨어진 용정에 도착했을 때 우리 는 자연스럽게 그곳에서 10마일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박 의사의 집과 기관(병원, 교회)을 방문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여러 날 지 속된 호우로 길이 진창길로 변해 우리들은 가 기 힘들었고 매우 아쉽게도 우리는 이를 포기 했는데 한 사람의 생애가 우리의 삶과 그렇게 밀접하게 연관된 사람을 다시 볼 수 없을 것이 기에 우리는 애석했다. 그러나 이 호우의 중간에서 하루는 박씨 부인 이 우리가 머무는 집에 나타났다. 우리가 그녀 를 본 것이 여러 해 되었지만, 나의 아내는 나 보다 먼저 그녀를 알아보았다. 그녀는 기쁨의 눈물이 그녀의 뺨에 흘러내리며 우리들의 목에 기대었다. 우리는 박 의사를 물었고 진흙을 통 과해 오는 것이 에비슨 부부에게 너무 힘들 것 임을 알고 함께 오려 했으나 마지막 순간 다른 방향의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환자로부터 왕 진 요청이 오자 마지못해서 그의 임무로서 환 자 집으로 갔다고 대답했다. 왕진 요청을 했던 환자의 상태가 어떠했는 지는 알 길이 없다. 하지만 지금의 자신을 있 게 했던, 그리고 고향으로 돌아가면 영원히 만 나지 못할 75세의 스승에게 자신이 배운 대로 환자에 충실했던 의사 박서양의 자세를 엿볼 수 있다. 나아가 19세기 말~20세기 초 근대 문명을 수용하고 그에 매몰되었던 수많은 조선의 엘 리트들이 근대 지상주의의 미명 하에 일제의 침략을 용인했던 것과는 달리 전통 사회에서 억압받던 신분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박서 양은 식민 지배 하의 민족적, 사회적 모순을 외면하지 않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종교, 의 료, 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름의 실천적 모색을 했던 인물이 아닐까 한다. 색인어 : 박서양, 에비슨, 박성춘, 제중원의학 교, 황성기독교청년회, 간도, 구세 병원, 숭신학교, 대한국민회 투고일 2006. 12. 4. 심사일 2006. 12. 5. 심사완료일 2006. 12. 13. 82) O. R. Avison: The Memoir of Life in Korea. 1940, 337-338쪽. - 249 -

醫 史 學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37-250, 2006년 12월 = Abstract = Suh Yang Park, who Became a Doctor as a Son of a Butcher PARK Hyoung Woo*, HONG Jung Wan** Dr. Suh Yang Park was born in 1885 as a son of a butcher, which was the lowest class at that time in Korea. However, contact with western missionaries, including Dr. O. R. Avison, provided him with an understanding of western civilization. After entering Chejungwon Medical School in 1900, Dr. Park learned basic sciences, basic medical sciences like anatomy and physiology, and other Western medical specialties such as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He graduated from medical school in 1908 and received Government Certificate from Home Office, the first in Korea in this field, which granted the right to practice medicine. His certificate number was 4th overall. As both a doctor and a talented musician, Dr. Park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enlightenment movement. He was quite progressive in his time, having surpassed the social limitations as a son of a butcher, as well as actively propagating his knowledge of Western civilization onto others. After graduation, he had served as a professor at the school he graduated from, until he went into exile in Manchuria( 間 島 ) in 1917 due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n 1910. There, he opened a hospital( 救 世 病 院 ) and provided medical treatment for Koreans. He also established a school( 崇 信 學 校 ) for young Koreans, inspiring them with a sense of nationalism. Also, Dr. Park was an active member of various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大 韓 國 民 會, 間 島 敎 育 協 會, 韓 族 勞 動 懇 親 會 ) in Manchuria. Then in 1932, at the time when Japan took control of Manchuria, his school was closed down. As a result, Dr. Park couldn't help but stop his anti-japanese activities. In 1936, he returned to his homeland and passed away in 1940, just five years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occupation. Key Words : Suh Yang Park, O. R. Avison, Sung Chun Park, Chejungwon Medical School, YMCA, Manchuria * Department of Anatomy & Medical Histo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134 Shinchon-dong, Seodaemun-gu, Seoul, 120-752, Republic of Korea -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