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27 1. 서 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은 의 료기관의 정보화로 이어져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사용이 활성화되 면서 의료정보 공유 및 교환 문제가 지



Similar documents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 (, 2010). (, 2007).,,, DMB, ,, (, 2010)., LG., (, 2010) (, ,, ) 3, 10, (, 2009).,,. (, 2010)., (, 2010). 1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DBPIA-NURIMEDIA


1..

DBPIA-NURIMEDIA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31342EBCBAC7FDBFB52E687770>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DBPIA-NURIMEDIA


<30365FB0E6C1A4C0CD2C20C0CCB1B9C3B62C20B0ADBAB4B1E22E687770>

歯1.PDF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Ȳ¿ë¼®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정보화정책 제14권 제2호 Ⅰ. 서론 급변하는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공공기관과 기업 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의 성 패는 기관과 기업, 나아가 고객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통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NCS : G * The Analy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102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C1A63238B1C731C8A328C6EDC1FDC1DF292E687770>

<C3D6C1BEBFCFBCBA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1C8A3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Æ÷Àå½Ã¼³94š

untitled


DBPIA-NURIMEDIA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126,865 43% (, 2015).,.....,..,.,,,,,, (AMA) Lazer(1963)..,. 1977, (199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nalysis on the E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7, Number 2, September 2018 : pp. 1~29 정책 용도별특성을고려한도시가스수요함수의 추정 :, ARDL,,, C4, Q4-1 -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31372DB9DABAB4C8A32E687770>

정진명 남재원 떠오르고 있다. 배달앱서비스는 소비자가 배달 앱서비스를 이용하여 배달음식점을 찾고 음식 을 주문하며, 대금을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서비 스를 말한다. 배달앱서비스는 간편한 음식 주문 과 바로결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 연령층에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반면,

서론 34 2

歯14.양돈규.hw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 ) * 1) *** *** (KCGS) 2003, 2004 (CGI),. (+),.,,,.,. (endogeneity) (reverse causality),.,,,. I ( ) *. ** ***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52E20BAAFBCF6BCB1C5C320B1E2B9FDC0BB20C0CCBFEBC7D120C7D1B1B920C7C1B7CEBEDFB1B8C0C720B5E6C1A1B0FA20BDC7C1A120BCB3B8ED D2DB1E8C7F5C1D62E687770>

<30322DC8ABBBEFBFAD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DBPIA-NURIMEDIA

00내지1번2번

서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30352DB3EBB9CCC1F82EC8B2BAB8C3E62DC3D6C1BE2E687770>

04_이근원_21~27.hwp


04서종철fig.6(121~131)ok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012임수진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11¹ÚÇý·É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 1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SungGeon Park 1 & Soowo

Transcription: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ISSN 2287-3708(Print) ISSN 2287-3716(Onli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3; 38(1): 26-38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고인석 1), 장혜정 2)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Development of Extended Technology ance Model on the Intention of Using PHR InSeok Ko 1), Hyejung Chang 2) 1)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2) School of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ing factors to the intention to use of personal health records (PHR) and developed study model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Methods: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PHR based on TAM and survey researches on the PHR,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intention to use PHR were identified. The survey consisted of 3 questions per each construct: healthcare innovation (HI), health literacy (HL), perceived security (PS), perceived ease of use (PEU), perceived usefulness (PU), and intention to use (IU) and was question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 data of survey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HI and HL had a positive effect on PEU and PS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U and PU. In addition, PEU had a positive effect on PU and the combination of PEU and PU were positively related to IU of PHR. Conclusions: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direct effect of HI and HL on PU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HI and HL of PEU take on more significance and PS on PEU, PU also was significant. Keywords: Personal health record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ntion, Use [접수일: 2013년 03월 13일, 수정일: 2013년 04월 12일, 게재확정일: 2013년 05월 21일] Corresponding Author: Hyejung Chang, PhD School of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130-701, Korea. Tel: +82-2-961-9432 E-mail: hjchang@khu.ac.kr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27 1. 서 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은 의 료기관의 정보화로 이어져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사용이 활성화되 면서 의료정보 공유 및 교환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했고, 더 나아가서 개인건강기록 (personal health records, PHR)이 주요 관심사 로 부각되었다 [1]. 미국의학협회(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와 Markle Foundation [2] 에서 공동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인 5명 중의 4명이 온라인 개인건강기록의 사용 이 개인의 건강과 의료서비스를 관리하는데 큰 혜택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86% 이상 이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하면 중복검사 방지, 의 사에게 정확한 정보전달, 의사간의 정보교환 용 이, 기록의 정확한 작성 확인, 그리고 개인건강 비용의 추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18세 이상 1,848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Consumer Health Forum survey [3]에 서도 최근 2년 동안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이 7%에서 14%로 두 배 증가하 였다고 한다. 이와 비슷하게 국내에서도 개인건강기록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건강기록 이용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태도를 조사한 설문조사 [4] 에서는 전반적으로 86%가 넘는 소비자의 대부분 이 개인건강기록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른 설문조사 [5]에서는 응답한 사람 중 59.8% 가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하겠다고 하였고, 그 중 27.8%는 유료로 제공되더라도 이용하겠다고 응 답하였다. 이와 같이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관심 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실제로 개인건강기 록을 사용해 본 이용자는 거의 없다.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선행 연구로 개인건강기 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건강기 록 시스템 적용 및 평가, 개인건강기록 소비자 수요도 조사, 개인건강기록 소비자 인식 및 필 요도 조사가 있었으며 [4-7], 개인건강기록 사 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외부변수를 제시 한 연구도 있었다. Whetstone [6]의 연구에서 는 개인건강기록을 상호작용적 건강관리도구이 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건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도구로 정의하여 조사하였으며, 대상자가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기술수용모델에서 인지된 용이성이라는 매개변 수를 제외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Chan et al. [7]은 개인건강기록시스템의 도입과 평가에 대 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개인건강기록의 도입률 은 약 5%로 아주 낮으며, 웹으로 제공되는 개인 건강기록은 기존의 의료산업을 변화시킬 수 있 다고 하였다. 개인건강기록을 도입하기 전에 시 장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사전에 면 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시한 연구도 있으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연 구도 있었다 [7]. 국내에서는 개인건강기록 소비자 수요도 조 사에서 소비자 특성별로 PHR을 이용한 평생건 강관리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해서 조사하였는데, PHR 이용에 대한 의료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 형태에 따른 요인을 제 시하였다 [4]. 또 다른 연구로, 개인건강기록 인 식 및 필요도 조사가 있었는데, 이는 2008년에 20세 이상의 서울과 수도권에 살고 있는 일반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개인건강기록 에 대한 인식과 필요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5].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중 8.5%만이 개인 건강기록에 대해서 알고 있었고, 이것은 아직 한 국에서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 수준이 아주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28 고인석, 장혜정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개인건강기록의 경우 대 부분이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 인에서 발생하는 많은 정보 중에서도 개인정보 와 관련된 내용이 온라인 전자상거래와 같이 인 터넷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네트워크의 보안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웹 보안 기술이 발 전하면서 인지된 웹 보안이라는 개념이 기술수 용모델에도 적용되었는데, Salisbury [8]는 웹에 서의 구매 의도를 인지된 웹 보안이라는 측면에 서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 구매 행위 가 이루어지는데 있어 웹에서의 신용카드 번호 와 같은 민감한 정보의 전송에 대한 위험과 같 은 인지된 웹 보안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된 웹 보안 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인지된 웹 보 안의 정도에 따라 웹에서 제품을 구입하는 의도 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는 온라 인으로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하는 이용자도 정보 를 적절히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신뢰가 있 어야 이용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 를 위해서는 철저한 보안 관리가 중요하다. 또 한, 개인건강기록에 관련된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 진료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진료나 연구 목적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할 때 는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개인정보보호와 보안의 개념을 포함하여 인 지된 보안성(perceived security)이라는 변수를 적용하여 개인건강기록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기술수용모델은 Davis [9]가 사용자의 정보기 술 수용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델로, 인지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이라는 개념을 이 용하여 사용 태도(attitude toward use)에 영향 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하였고, 사용 태도 는 사용 행동 의도(behavioral intention to use) 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 행동 의도는 실제 행동 (actual system use)을 결정한다고 하였다. 기 존의 기술수용모델은 지나치게 단순하며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만을 강조한다는 단점이 지 적되면서 이를 보완하고자 Venkatesh [10]는 기 술수용모델에 외부변수를 추가시켜 확장한 모델 인 확장기술수용모델(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정보시스템 작업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 계점을 인식하고 새로운 정보기술에 적용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을 토대로 다양한 변수를 추 가하고 모델을 확장하면서 개인의 동기적 요인 들이 정보기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 인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최 근에는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을 확장하여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변수 들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이 기술 수용모델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11]. 기술수용모델은 사용의도에 중요한 요인을 측 정하기에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개인건강기록 사 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개인 건강기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수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PHR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Davis는 정보시스템 사용의 주요 관련 변수로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 변수를 사용하여 정보 기술수용모델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의 특성이 나 분석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외부변수들이 존 재하며 이러한 외부변수들이 새로운 정보시스템 의 사용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 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10,12].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개인건강기록은 의료정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29 보 시장의 미래를 이끌 새로운 IT 정보기술이며 효율적인 개인건강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기술이 다. 그러나 의료정보 시장에서는 얼마나 많은 의 료인과 환자들이 참여할지에 대한 수요적 측면과 개인정보보호와 같은 보안적 측면에서 개인건강 기록 성공에 대한 회의적인 부분도 없지 않아 있 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요적인 측면에서 개인적인 성향, 능력과 관련된 요인과 보안적 측 면에서 개인정보보호,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요 인을 포함한 변수에 대해서 개인건강기록의 사용 의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선행 연구를 분석함으로 써 개인건강기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확인하여 Figure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구성 하였다. Health Literacy Security <변수의 조작적 정의> - Health 의료혁신성(healthcare Literacy 0.162** innovation) 0.666*** 개인건강기록과 0.184** 같은 Use 새로운 의료서비스나 건강관리도구를 0.387*** 개인 스스로 이용해 보려고 Security 0.044 0.186*** -0.041 0.322*** 하는 정도 -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건강 정보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지 0.190*** 에 대한 개인적 능력의 정도 - 인지된 보안성(perceived security) Health Literacy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 개인 신상 정보에 대 0.171** Use 한 본인동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이라는 내 0.313*** 용으로 Security 구성 Ease of Use Figure 1. Study model. 0.385*** Ease of 0.180** Ease of 0.497*** 0.482*** 0.674*** - 인지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 기가 어렵지 않다고 믿는 정도 -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 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정도 2) 연구가설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제시하는 외부변수(의 료혁신성, 건강정보이해능력, 인지된 보안성), 그리고 매개변수(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대 한 선행 연구의 개념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연 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가설> - H 1.a 의료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1.b 의료혁신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2.a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2.b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3.a 인지된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3.b 인지된 보안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4.a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4.b 인지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 5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연구자료 연구자료로 사용하게 된 설문지는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던 연구들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항목을 참 Health Literacy 0.322*** 0.184** 0.044 0.186*** -0.041 Journal 0.497***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0.162** Ease of 0.666***

30 고인석, 장혜정 고하여 설정한 변수에 해당하는 설문 문항을 발 췌하고 개인건강기록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개 발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 된 변수들은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설문조사 선 행 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 의료혁신성 [6,12-16] - 건강정보이해능력 [12,17,18] - 인지된 보안성 [8,19] -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사용 의도 [20-25] -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계 소득 수준, 직업,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 과거 개인건강기록 사용 경험, 건강 상 태(만성 질환) [4,5,26] 4) 조사대상 설문조사는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하게 될 20 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대면 조사와 e-mail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총 350부를 배부하여 2011 년 5월 6일~5월 14일까지 9일간 조사하였다. 총 34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340부 중에서 응 답이 누락되어 있거나 충실하게 작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설문지(33부)를 제외한 307부 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 서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의도의 3 가지 개념을 가져왔으며, 의료혁신성, 건강정보 이해능력, 인지된 보안성의 3가지 개념을 외부 변수로 설정하여 총 6개의 개념으로 각 3문항씩 측정하였다. 이 모든 측정 항목은 질문형식으로 구성하였고,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1: 매우 그렇지 않다, 2: 약간 그렇지 않다, 3: 보 통, 4: 약간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5) 분석방법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 사용 경험, 건강 상태에 대해 기술통 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개인건강기록 설문 문항에 대해 탐색요 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 결과로 도출된 변수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Win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과 AMOS 18.0을 사용 하였다. 3.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과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 사용경험, 건강상태 본 연구에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의 일반적 특 성과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 사용 경험, 건 강 상태는 Table 1과 같다.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3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oncern, awareness, past experience, and health status of survey respondents Variable Category N % Gender Male 147 47.9 Female 160 52.1 Age (year) 20~29 114 37.1 30~39 84 27.4 40~49 69 22.5 50~ 40 13.0 Education status High school graduates and below 38 12.4 University (college) 126 41.0 University (college) graduates 103 33.6 Graduate school and above 40 13.0 Household income (unit: 10,000won/month) Less than 100 23 7.5 100 to 199 55 17.9 200 to 299 80 26.1 300 to 399 43 14.0 400 to 499 48 15.6 More than 500 58 18.9 Occupation Managerial worker 22 7.2 Professional worker 102 33.2 White-collar worker 50 16.3 Salesman/services 43 14.0 Blue-collar worker 2 0.7 The unemployed 10 3.3 Other 78 25.4 Health concern High 124 40.4 Moderate 179 58.3 Low 4 1.3 PHR awareness Yes 59 19.2 No 248 80.8 Past PHR experience Yes 16 5.2 No 291 94.8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Yes 49 16.0 No 258 84.0 Total 307 100.0 2) 측정도구의 평가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개념대로 설문 문항 요인들 이 묶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탐색요인분석을, 확인 된 요인들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하고 내재된 요 인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12번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 의 표준 적재치가 0.5 이상으로 나왔다. 표준 적 재치가 0.5보다 작은 12번 요인을 제거하고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 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Table 2). 판별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각 개념 요인 사 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각 개념 사이의 분산 추출지수가 다른 개념 사이의 상관계수 제곱, 결 정계수(r 2 )보다 모두 크기 때문에 판별 타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Table 3).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변수와 경로를 대상으로, 가설을 검정하고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 였고, 검증 결과를 토대로 수정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같은 분석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32 고인석, 장혜정 을 실시하였다 (Figure 2). 연구 모형에 대한 적합성 평가에서 카이제곱 통 계량이 275.71, 자유도가 110, p<0.00(<α=0.05)으 로 나왔다. 그리고 GFI, RMR (0.08 이하일 때에 도 어느 정도 적합한 모델이라고 봄), NNFI 수치 가 모두 적합 수준을 만족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성 평가에서는 카이제곱 통계량이 279.11, 자 유도가 112, p<0.00(<α=0.05)으로 나왔다. 그리고 GFI, RMR (0.08 이하일 때도 어느 정도 적합한 모 델이라고 봄), NNFI 수치가 모두 적합 수준을 만 족하였으나, AGFI와 NFI 수치가 적합 기준에 조 금 못 미치게 나왔다. Table 2.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No. innovation security Health literacy Estimates of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Error 1 0.92-0.00 0.05 0.88 0.27 2 0.92-0.00 0.05 0.92 0.20 3 0.85 0.06 0.16 0.75 0.55 4 0.18-0.06 0.79 0.68 0.53 5-0.05 0.20 0.78 0.62 0.52 6 0.11 0.06 0.81 0.75 0.37 7-0.03 0.83 0.16 0.72 0.16 8 0.04 0.86 0.02 0.81 0.09 9 0.04 0.87 0.02 0.81 0.11 Eigen value 2.79 2.25 1.60 Variance 31.03 24.96 17.81 Cumulative variance 31.03 55.99 73.81 Reliability 0.86 0.94 0.75 Variance extracted 0.68 0.84 0.05 No. Intention to use usefulness ease of use Estimates of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Error 10 0.06 0.08 0.93 0.69 0.35 11 0.46 0.07 0.74 0.83 0.02 13 0.13 0.74-0.09 0.54 0.37 14 0.20 0.85 0.08 0.86 0.11 15 0.11 0.83 0.23 0.79 0.13 16 0.87 0.02 0.23 0.91 0.10 17 0.89 0.15 0.08 0.83 0.24 18 0.88 0.17 0.16 0.86 0.15 Eigen value 3.63 1.50 1.09 Variance 45.41 18.78 13.65 Cumulative variance 45.41 64.19 77.85 Reliability 0.93 0.89 0.81 Variance extracted 0.82 0.73 0.68 Cronbach s α 0.851 No.: survey question number. 1~3: healthcare innovation, 4~6: health literacy, 7~9: perceived security, 10~12: perceived ease of use, 13~15: perceived usefulness, 16~18: intention to use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Health Literacy Security 0.044 0.186*** -0.041 0.322*** 0.184** 0.387*** 0.162** Ease of 0.497*** 0.666*** Use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33 Table 3. Correlation coefficient and variance extracted HI HL PS PEU PU IU HI 0.190*** 0.68* 0.482*** HL 0.22 0.05* PS 0.04 0.19 0.84* 0.313*** 0.180** PEU 0.38 0.51 0.42 0.68* Ease of 0.674*** PU 0.171** 0.26Use 0.02 0.29 0.53 0.73* IU 0.36 0.28 0.25 0.65 0.77 0.82* Health Literacy Security 0.385*** *Average variance extracted. HI: healthcare innovation, HL: health literacy, PS: perceived security, PEU: perceived ease of use, PU: perceived usefulness, IU: intention to use Health Literacy Security Health Literacy Security 0.322*** 0.184** 0.044 0.186*** 0.171** -0.041 0.387*** 0.190*** 0.313*** 0.385*** 0.162** Ease of Use 0.180** Ease of Use 0.497*** 0.666*** 0.482*** 0.674*** Figure 2.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tudy model (top) and modified study model (bottom). *model fit index of study model χ 2 =275.71, Df=110, p<0.000, Q=2.51, GFI=0.91, AGFI=0.87, RMR=0.06, NFI=0.89, NNFI=0.92 *model fit index of modified study model χ 2 =279.11, Df=112, p<0.000, Q=2.49, GFI=0.91, AGFI=0.87, RMR=0.07, NFI=0.89, NNFI=0.92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에 대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 면 Table 4와 같다. 외부변수 중 의료혁신성과 건 강정보이해능력은 인지된 용이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인지된 유용성에는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지된 보안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사용 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 과 사용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인지된 유용성도 사용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 모형과 수정 모형의 외부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인과효 과 분해는 Table 5와 같다. Table 4. Summary of hypothesis test result Hypothesis innovation H 1.a (HI PEU) H 1.b (HI PU) Health literacy H 2.a (HL PEU) H 2.b (HL PU) security H 3.a (PS PEU) H 3.b (PS PU) ease of use H 4.a (PEU PU) H 4.b (PEU IU) usefulness H 5 (PU IU) HI: healthcare innovation, HL: health literacy, PS: perceived security, PEU: perceived ease of use, PU: perceived usefulness, IU: intention to use Result Reject Rejec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34 고인석, 장혜정 Table 5.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casual effect of study model and modified study model Study model Modified study model Variable HI HL PS PEU PU PEU Direct effect 0.19*** 0.32*** 0.39*** - - Indirect effect - - - - - Casual effect 0.19*** 0.32*** 0.39*** - - PU Direct effect 0.04-0.04 0.18** 0.16 - Indirect effect 0.03 0.05 0.06 - - Casual effect 0.08** 0.01 0.25** 0.16 - IU Direct effect - - - 0.67*** 0.50*** Indirect effect 0.16** 0.22** 0.38** 0.08 - Casual effect 0.16** 0.22** 0.38** 0.75*** 0.50*** PEU Direct effect 0.19*** 0.31*** 0.39*** - - Indirect effect - - - - - Casual effect 0.19*** 0.31*** 0.38*** - - PU Direct effect - - 0.17** 0.18*** - Indirect effect 0.03** 0.06** 0.07** - - Casual effect 0.03** 0.06** 0.24** 0.18*** - IU Direct effect - - - 0.67*** 0.48*** Indirect effect 0.14** 0.24** 0.38** 0.09** - Casual effect 0.14** 0.24** 0.38** 0.76** 0.48*** HI: healthcare innovation, HL: health literacy, PS: perceived security, PEU: perceived ease of use, PU: perceived usefulness, IU: intention to use **p<0.05, ***p<0.01 4. 고찰 및 결론 연구 모형에서는 기존의 기술수용모델과 달리 종속변수로 사용의도만을 채택하여 단순화하였 다. 이는 개인건강기록이 아직 정부에서 글로벌 u-health 시범 사업을 통해 도입되고 있는 초 기 단계에 있으며,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사람들 의 인지도와 사용 빈도가 아주 낮기 때문이다. 최근의 선행 연구에서도 이와 같이 모형을 단 순화하여 사용의도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6,7,27-30]. 본 연구에서는 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개인건강기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변 수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PHR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검증한 연구모형의 연구 가설과 설문 문항 의 결과에 따르면, 의료혁신성과 건강정보이해 능력은 모두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며,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도 간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 인건강기록과 같은 최신 의료정보 기술에 대해 서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알고자 하는 사람일수 록, 의료인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건강정 보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능력이 높은 사람일수 록 개인건강기록에 대해 느끼는 사용의 편리함 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Whetstone [6]의 연구에서는 의료에 대한 혁신성이 개인건강기록 생성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의료혁신성이 인지된 용이성 과 유용성을 통해 사용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정보이 해능력과 관련된 문항 중 의사와 아무런 어려움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35 없이 의사소통할 수 있다 라는 문항에 그렇지 않다 고 응답한 사람이 64명이었다. 이를 통해 서 환자가 느끼는 진료환경의 실태를 알 수 있었 다.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에게 편안한 진료환경 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도 의사 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무엇보다 의료인과의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이는 개인건강기록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도 중 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개인건강기 록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온라인으로 의사와 의사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또한 의사의 적극적인 권유도 개인건강 기록의 사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의사의 지시대로 투약할 수 있다 라는 문항에 그렇다 고 응답한 사람은 201명으로 의 료인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하지 않지만 의사 지 시에 대한 이해도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지된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 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인지 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건강기록과 관 련된 환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개인신상정 보에 대한 본인 동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인증 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인지 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통한 사용의도가 높아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MR 도입 특성이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31]에서도 인 지된 보안성이 인지된 용이성과 사용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EMR 사용에 대한 인지된 보안성을 높일수록 사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처럼 개인건강기록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 다. 인지된 보안성에 관련된 모든 문항(개인정보 보호, 개인신상정보에 대한 본인 동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인증)에 대해 그렇지 않다 고 응답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를 통해서 일반 이용자 들이 느끼는 건강정보에 대한 보안의 현황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 모두가 개인의 건강정보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필 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앞으로 개인건강기 록을 사용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보안이 중요하 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도 사용의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술수용모델에 서 제시한 인지된 용이성이 인지된 유용성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이 사용의도 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더불어 인지된 용이 성이 사용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이용자들이 개인건강기록을 사 용하는 데 있어 느끼는 사용 방법이 쉬워야 하 고 이용이 편리해야 한다. 그리고 개인건강기록 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보장되어 야 한다. 개인건강기록을 사용하면 중복검사와 처방이 감소할 것이다 라는 문항에서 그렇지 않 다 고 응답한 사람이 5명이 있었으며, 이는 의료 기관에서 진료의 수익을 위해 중복 검사와 처방 을 할 것이라는 개인건강기록의 이익에 대한 부 정적인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개 인건강기록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료 기관의 적극적이고 양심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인지의 결 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19.2%만이 개인건강 기록에 대해서 알고 있었으며, 5.2%가 개인건강 기록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보다 흥미로운 결과는 개인건강기록을 모르고 있었지만 이를 사용해 본 사람이 2명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설문조사의 설명을 보고 개인건강 기록에 대해서 알게 되었으며, 과거에 개인건강 기록에 대해서 확실히 인식하지 못하고 수동적으 로 진료를 받으면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국내에서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36 고인석, 장혜정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홍보가 많이 부족하고 이를 사용하기 위한 교육도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그리고 개인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의 결과 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40.4%가 상(관심이 높 다) 이라고 응답하였고, 1.3%만이 하(관심이 낮 다) 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이용자의 절반 가까 이 되는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개인건강기록에 적 용하여 일반 이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에 대해서 확인하고 의료 혁신성, 건강 정보이해능력, 인지된 보안성에 대해 실증적으 로 검증할 수 있는 확장기술수용모델을 개발하 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개인건강기록 시 스템 또는 서비스를 도입하고 사용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홍보를 통해 일반 이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개인건강기 록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교육과 의료인과 의 의사소통 활성화를 통해 개인적 능력을 향상 시키고,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과 건강정보에 대 한 보안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으로 실제 개인건강 기록의 도입률이 낮고 사용해 본 사람의 수도 적 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많아진 시점에서 다시 조 사해 볼 필요성이 있으며, 연구에서 다룬 개인적 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Kim et al. [32] 연구와 같이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살펴볼 수 있 다. 뿐만 아니라, 사회,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연 구해 볼 필요도 있다. 참고문헌 [1] Shin S, Chung C. A futur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hospital-oriented personal health recor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9; 52(11): 1115-1121. (Korean) [2] AMA & Markle Foundation Present PHR Survey Research at HIMSS. MARKLE. accessed online on 2011 at http://www.markle.org/newsevents/media-releases/ama-markle-foundationpresent-phr-survey-research-himss [3] Personal health record (PHR) use raising in U.S. PHR-Reviews. accessed online on 2011 at http://www.phrreviews.com/personal-healthrecord-phr-use-raising [4] Kim J, Kwak M, Kim E, Kwon C, Kim Y. A survey of health consumers attitude of personnel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PH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8; 14(4): 329-343. (Korean) [5] Kim S, Kim H, Bae J, Kim Y. The consumers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for personal health record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9; 15(3): 273-384. (Korean) [6] Whetstone M, Goldsmith R.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personal health record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Marketing 2009; 3(1): 8-25. [7] Chan L, Amer M, Aldhaban F. Adoption & evalu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 (PHR) system.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Engineering & Technology (PICMET) 2009, pp.2986-2999. [8] Salisbury W D, Pearson R A, Pearson A W, Miller D W. security and World Wide Web purchase intention.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2001; 101(4): 165-177. [9] Davis F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5.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자 사용의도에 대한 확장기술수용모델 개발 37 [10] Venkatesh V, Davis F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2000: 186-204. [11] Lee W, Lee C, Kim T, Paik T. User acceptance of the mobile internet service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004; 14(2): 61-86. [12] Igbaria M, Guimaraes T, Davis GB. Testing the determinants of microcomputer usage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95; 11(4): 87-114. [13] Taylor S, Todd P. Assessing IT usage: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1995: 561-570 [14] Venkatesh V, Davis FD.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1996; 27(3): 451-481. [15] Agarwal R, Prasad J.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998; 9(2): 204. [16] Agarwal R, Karahanna E. Time flies when you 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2000: 665-694. [17] Amoako-Gyampah K, Salam AF.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n ERP implement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 Management 2004; 41(6): 731-745. [18] Li C Y, Lee O, Shin G S, Li X W.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of Korean-Chinese elderly people living in Yanbian, Chin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 39(3): 386-392. (Korean) [19] Kim J, Kim G, Na G.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curity on the intention of using internet shopping mall.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04: 380-390. (Korean) [20] Tang PC, Ash JS, Bates DW, Overhage JM, Sands DZ. Personal health records: definitions, benefits,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barriers to adop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006; 13(2): 121. [21] Davis F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1989: 319-340. [22] Dixon DR. The behavioral sid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1999; 56(1-3): 117-123. [23] Deng X, Doll WJ, Hendrickson AR, Scazzero JA. A multi-group analysis of structural invariance: an illustration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2005; 42(5): 745-759. [24] Marchionini G, Rimer BK, Wildemuth B. Evidence base for personal health record usability. Final Report to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 [25] Hossain MM, Prybutok VR. Consumer acceptance of RFID technology: an exploratory study.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2008; 55(2): 316-328. [26] Statistics Korea.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7. (Korean) [27] Kwon O, Choi G. User acceptance of contextaware information system: self-efficacy, user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sensitivity on contextual pressure.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2005: 347-354. [28] Nah S, Hwang H, Kang M.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2013

38 고인석, 장혜정 of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the u-commerce adoption: an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006; 15(4): 73-98. (Korean) [29] Suh C, Seong 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user`s intention to use internet shopping mall.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004; 14(3): 1-22. (Korean) [30] Chau PY.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CASE by systems developers. Information & Management 1996; 30(6): 269-280. [31] Im H, Shim J, Lee S. The study on impact of introduction characteristics factor of EMR system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2009; 14(2): 32-50. (Korean) [32] Kim D, Chang H. Key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esigning and operating health information websites for user satisfaction: an application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07; 76(11-12): 790-800.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