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석사학위 논문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 Expression of Gender Image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2006년 8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의류학 전공) 최 나 리
이학석사학위 논문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 Expression of Gender Image According to Sex i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2006년 8월 지도교수 우 주 형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이 논문을 최 나 리 의 석사학위논문으로 인정함. 2006년 8월 일 주심 부심 위원 (인) (인) (인)
국문 초록 옷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요소로서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복식은 지역과 신분 등 다양한 차이와 구별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 하였는데 복식형태의 가장 크고 오래된 차이는 바로 신체적 성에 따른 구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8세기 일어난 산업혁명은 기존에 있었던 성의 고정관념을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산업의 발달로 여성 역시 남성과 같은 일 을 하기 시작했고 여성들의 복식은 남성의 것과 비슷해지기 시작했다. 이러 한 의복의 변화는 기존의 성 개념을 조금씩 무너뜨리기 시작했고 20세기 들 어 신체적 성의 구별인 남성과 여성 외에 사회적 성인 젠더의 개념이 생겨났 다. 젠더는 신체적 성에 의해 나타났던 여성성, 남성성과 두 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양성성, 성적 특성이 없는 중성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성 개념의 변화는 20세기의 특징적인 사회현상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 개념의 변화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이 에디토리얼 패션사진 속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하였다. 2005-2005년 사이 국내에 서 발행된 여성 잡지 Vogue, Harper's Bazaar와 남성 잡지 GQ, Esquire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젠더 이미지 분류 기준을 만들 고 사진을 분류 한 후, 신체적 성에 따른 젠더 이미지를 복식의 표현방법과 모델과 사진특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에 나타나 여성의 젠더 이미지는 여성성이 90%, 남성 성 5%, 양성성 2%, 중성성 3% 로 나타났고, 남성의 젠더 이미지는 여성성 4%, 남성성 94%, 양성성과 중성성이 1%로 나타났다. - i -
여성성을 표현의 경우 여성은 신체 노출과 장식, 얇은 눈썹과 붉은 입술, 부 드럽고 온화한 이미지, 다소곳하고 정적인 포즈를 강조하였고, 남성은 여성 적 색상과 문양 사용, 에로틱한 신체노출, 긴 머리스타일로 여성성을 표현하 였다. 공통적으로는 붉은 입술, 꽃 식물의 자연적 배경, S라인 강조하고 있었 다. 남성성을 표현하기 위해 여성과 남성 모두 남성성이 강한 아이템을 사용 하였고, 짧은 헤어스타일과 짙은 눈썹, 각진 턱 선과 어깨를 강조하였다. 특 히 여성은 부드러운 신체 곡선을 은폐하기 위해 직선적인 실루엣 사용하였 다. 양성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 화려한 복식과 메이크업을 하 는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여성의 경우 남성성을 보여주기 위해 남성적인 얼 굴을 강조하였고 남성은 모피 등의 풍성한 소재의 의복을 통해 부드러운 이 미지를 표현하였다. 두 성 모두 중성성을 표현하기 위해 신체곡선과 얼굴을 은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외부로 드러나는 몸과 얼굴의 특징을 의복으로 가려 성의 구분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의복의 특징만큼 모델과 조명 배경 등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복식을 통한 성적 이미지 표현은 대중매체를 통해 급속도로, 극적으로 나타 나기 시작했고, 과거의 비해 각 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비중이 커지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패션사진에 나타난 신체적 성에 따른 젠더 이 미지를 고찰한 결과 남성잡지와 여성잡지라는 특성과 역사 이래 지속되어온 성적 이미지가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성과 남성 모두 여성성, 남성성, 양성성, 중성성을 모두 표현하고 있고, 그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미래에는 신체적 성보다는 젠더에 따른 의복 선택이 더욱 중요하게 될 것이다. - ii -
목 차 국문 초록 ⅰ 표 목차 ⅴ 그림 목차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5 Ⅱ. 성( 性 )과 패션사진에 관한 이론적 배경 8 1. 성( 性 ) 8 1) 신체적 성(sex)과 젠더(gender)의 개념 8 2) 성( 性 )개념의 변화와 원인 14 3) 복식사에 나타난 성( 性 )이미지 표현 19 2. 패션사진 37 1) 사진과 패션사진의 개념 37 2) 패션사진의 역사 39 3) 에디토리얼 패션사진 45 Ⅲ. 복식에 나타난 성( 性 )이미지 48 1. 여성적 이미지(feminity) 50 2.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52 3.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54 4. 중성적 이미지(sexless) 58 - iii -
Ⅳ.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61 1. 여성(female) 61 1) 여성적 이미지(feminity) 66 2)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69 3)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72 4) 중성적 이미지(sexless) 75 2. 남성(male) 79 1) 여성적 이미지(feminity) 84 2)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86 3)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88 4) 중성적 이미지(sexless) 91 Ⅴ. 결론 95 참고문헌 101 Abstract 105 그림 출처 108 - iv -
표 목차 <표 1> 시대별 복식에 나타난 성의 표현 : 고대에서 근대까지 27 <표 2> 시대별 복식에 나타난 성의 표현 : 현대 36 <표 3> 패션사진의 흐름 44 <표 4> 복식에서의 성 이미지 분류 기준 49 <표 5> 성역할 정체감 측정문항별 점수-여성성 문항 50 <표 6> 여성적 이미지(femininity) 분류 기준 51 <표 7> 성역할 정체감 측정문항별 점수-남성성 문항 52 <표 8>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분류 기준 53 <표 9>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분류 기준 56 <표 10> 중성적 이미지(sexless) 분류 기준 58 <표 11>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연도별 여성의 젠더 이미지(페이 지 수) 62 <표 12> 패션사진에서 보이는 여성의 젠더 이미지 78 <표 13>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연도별 남성의 젠더 이미지(페이 지 수) 81 <표 14> 패션사진에서 보이는 남성의 젠더 이미지 94 <표 15> 패션사진에서 보이는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100 - v -
그림 목차 <그림 1> 본 연구의 구성 7 <그림 2>, <그림 3>, <그림 4> 고대 이집트의 의상 20 <그림 5> 그리스의 의상 20 <그림 6> 로마의 의상 26 <그림 7>, <그림 8> 중세 초기의 의상 22 <그림 9>, <그림 10> 중세 중기의 의상 22 <그림 11>, <그림 12>, <그림 13> 중세 말기의 의상 22 <그림 14>, <그림 15> 근세 초기의 의상 24 <그림 16>, <그림 17> 근세 중기의 의상 24 <그림 18>, <그림 19>, <그림 20> 근세 말기의 의상 24 <그림 21> 블루머 26 <그림 22>, <그림 23> 19세기 남성복 상의와 비슷해진 여성복 상의 26 <그림 24> 테니스 복 26 <그림 25>, <그림 26>, <그림 27> 19세기 남성들의 복식 26 <그림 28> 높은 허리선과 헐렁한 형태의 튜닉 드레스 30 <그림 29> 1910년대의 밀리터리 룩 30 <그림 30>, <그림 31> 보이쉬한 가르손느 스타일 30 <그림 32> 슈트를 착용한 디트리히 30 <그림 33> 디올의 뉴룩 30 <그림 34> 그레페의 색 드레스 30 <그림 35>, <그림 36> 모즈 룩을 유행시킨 비틀즈 34 <그림 37> 미니스커트 34 <그림 38> 히피 스타일 34 - vi -
<그림 39> 유니섹스 스타일 34 <그림 40> 이브 생 로랑의 팬츠 슈트 34 <그림 41> 유니섹스 룩 34 <그림 42> 양성적인 모습의 데이빗 보위 34 <그림 43> 스포티한 의복 34 <그림 44> 1980년대 다이애너비 35 <그림 45> 과장된 어깨의 남성적인 슈트 35 <그림 46> 앤드로지너스적인 모습 35 <그림 47> 비구조적인 재패니즈 룩 35 <그림 48> 힙합 스타일 35 <그림 49> 여성스럽게 치장한 남성의 모습 35 <그림 50> 스타킹과 힐을 착용한 남성 35 <그림 51> 여성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 63 <그림 52> 여성잡지에 나타난 월별 젠더 이미지(월별 누적) 65 <그림 53> 여성잡지에 나타난 월별 젠더 이미지 -남성성, 양성성, 중성성(월별 누적) 65 <그림 54>, <그림 55> 긴 머리와 신체 노출 67 <그림 56> 신체 노출과 장식 67 <그림 57> 밀착을 통한 신체 곡선 노출(S라인 강조) 67 <그림 58> 다소곳한 포즈와 붉은 입술 강조 67 <그림 59> S라인 강조와 신체 노출 67 <그림 60>, <그림 61> 긴머리와 화려한 꽃 장식 67 <그림 62> 슈트를 입고 중절모를 착용한 모델 71 <그림 63> 턱 선과 어깨를 강조한 포즈 71 <그림 64> 슈트와 시가 71 - vii -
<그림 65> 어깨가 강조된 군복 71 <그림 66> 마린 룩 71 <그림 67> 신체 곡선이 드러나지 않는 코트 71 <그림 68> 거친 운동을 끝낸 듯한 모습 71 <그림 69> 인위적으로 그린 수염 71 <그림 70> 긴 머리를 하고 신체적 특징을 은폐 73 <그림 71> 굵은 얼굴선과 여성적인 액세서리 착용 73 <그림 72> 과장된 어깨의 상의와 스커트 73 <그림 73> 짧은 머리와 바지, 여성적인 장식 73 <그림 74> 과도한 머리 장식과 어깨를 강조한 액세서리 73 <그림 75> 신체를 감추는 화려한 의복 73 <그림 76> 남성적인 재킷과 가슴노출, 비구조적인 형태의 하의 73 <그림 77> 꽃으로 머리장식, 가슴노출, 무표정한 얼굴과 몽환적인 분위기 73 <그림 78>, <그림 79> 기하학적 문양을 사용하여 신체 곡선 은폐 76 <그림 80> 신체를 가리는 큰 옷 76 <그림 81> 얼굴을 감추고 큰 옷을 입어 신체적 특징을 가림 76 <그림 82>, <그림 83>, <그림 84> 얼굴과 신체를 의복으로 감춤 76 <그림 85> 가면을 사용하여 얼굴을 은폐 76 <그림 86> 남성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 81 <그림 87> 남성잡지에 나타난 월별 젠더 이미지(월별 누적) 83 <그림 88> 남성 잡지에 나타난 월별 젠더 이미지 -여성성, 양성성, 중성성(월별 누적) 83 - viii -
<그림 89> 긴 머리와 노란색의 셔츠 85 <그림 90> 치마 같아 보이는 통이 넓은 빨간 바지 85 <그림 91> 에로틱한 신체 노출과 분홍색 바지 85 <그림 92> 화려한 문양의 스카프와 상의 85 <그림 93>, <그림 94> 가슴 노출과 꽃무늬 상의 85 <그림 95>, <그림 96> 밝은 색상의 의상과 목의 액세서리 85 <그림 97>, <그림 98> 전통적인 슈트 87 <그림 99> 강인한 군인의 모습 87 <그림 100> 슈트에 중절모와 총 87 <그림 101>, <그림 102> 남성성이 강한 검도와 권투 87 <그림 103> 사냥을 즐기는 모습 87 <그림 104> 가죽소재의 의상과 모터사이클 87 <그림 105>, <그림 106>, <그림 107>, <그림 108> 풍성한 소재의 의복 과 화려한 액세서리를 착용한 모습 89 <그림 109> 화려한 머리 장식과 스카프로 장식 89 <그림 110> 긴 머리와 긴 스카프 89 <그림 111> 가는 얼굴선과 얌전한 포즈 89 <그림 112> 여성스러운 화장과 신비로운 조명 연출 89 <그림 113> 헬멧으로 얼굴을 가리고 큰 옷을 입음 93 <그림 114> 얼굴을 보여주지 않고 형태가 확실하지 않은 의복 93 <그림 115>, <그림 116> 의도적인 얼굴의 은폐 93 <그림 117> 과장된 코와 화려한 색상의 재킷과 바지 93 <그림 118>, <그림 119> 과장된 머리 형태와 신체왜곡 93 - ix -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감정적, 섬세함, 부드러움 등 기존의 여성들을 대변하던 이미지들이 남 성에게도 옮겨지고 있다. 21세기 초 꽃미남 열풍이 일며 남성 고유영역에 대한 고정관념이 이미 사라지면서 조금 더 스타일리시하고 감각적으로 꾸 미려는 남성들의 고민이 시작되었다. 최근 메트로섹슈얼, 위버섹슈얼로 남성의 이미지가 새롭게 포장되며 패션의 핫 코드로 자리 잡게 됐다. 그 리고 현재는 강한 남성이나 여성 혹은 중성 이미지 등 다양한 스타일들을 혼합된 일명 크로스섹슈얼(Cross sexual)이라는 새로운 코드가 등장했 다. 1) 이러한 변화는 기존에 여성에게만 한정되었던 장식( 裝 飾 )이 남성에 게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남성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자신들의 내면에 숨겨졌던 여성성을 찾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쉽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복식이라 할 수 있다. 의( 衣 )는 식( 食 ), 주( 住 )와 함께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 로 인류의 탄생과 더불어 생겨나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며 역사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그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러한 의복은 한 개인이 다른 사람의 역할을 확인하고 특정한 역할과 자기 자신을 동일시하게 하는 명백한 시각적인 상징이며, 특정한 역할과 관계 에서 선택된다. 역할의 변화는 흔히 의복의 변화를 동반하고, 의복의 변 화는 착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2) 복식은 지역과 신분 등 다양한 차 1) 이정민. Fashionbiz. 2006년 2월호, p. 64. 2) 강혜원(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293. - 1 -
이와 구별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 하였는데 복식형태의 가장 크고 오래된 차이는 바로 신체적 성에 따른 구분이라 할 수 있다. 지난 역사를 통해 인간은 신체적 차이에 따라 남성(male)과 여성(female) 두 가지로 구분하 였다. 신체적 성에 따른 이 구분은 남성과 여성이 자라면서 행동 등에 많 은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지난 세기동안 계속되어져 남성은 남성다워야 하 고 여성은 여성다워야 한다고 학습되어졌고 신체적 성에 따라 서로 다른 복식을 착용하게 되었다.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는 기존의 성 개념은 남성 과 여성, 모두의 사고와 행동을 제한함으로써 삶의 영역을 축소시켰으며, 남, 여를 구분 짓는 수단으로 사용된 복식은 이러한 구속을 더욱 강화시 키는 역할을 하였다. 3) 그러나 18세기 일어난 산업혁명은 이러한 성의 고 정관념을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산업의 발달로 여성 역시 남성과 같은 일 을 하기 시작했고 여성들의 복식은 기능적인 목적에서 남성의 옷과 비슷 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의복의 변화는 기존의 성 개념을 조금씩 무너뜨 리기 시작했고 20세기 들어 신체적 차이에 따른 성의 구별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성인 젠더(gender)에 따라 성을 구분하자는 의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젠더는 사회적, 심리적 성 개념으로 여성성 (femininity), 남성성(masculinity), 양성성(androgynous)과 중성성 (sexless)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성 개념의 변화는 20세기의 특징적 인 사회현상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성 개념의 변화를 가장 잘 표현해주고 있는 문화요소로 사진을 꼽을 수 있다. 패션사진은 20세기 초의 급속한 인쇄 미디어의 발전으로 문화의 한 구성요소로 발전하게 되었다. 당시의 많은 예술가들이 패션사 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예술성과 착장성이 돋보이는 패션사진들은 3) 채수진, 김혜연(1999).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04. - 2 -
인쇄매체를 통하여 당시의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4) 사진 형식은 광고표현 수단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품의 특성 및 이미지를 소비 자에게 전달하기가 용이하고 제작과정이 간편하고 5) 이차원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인간의 기억능력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6) 이러한 패션 사진은 복식 뿐 만 아니라 당시의 문화와 사회적 욕구들을 한 장에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매체로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에디토리얼 패션사진(editorial fashion photography)은 에디터와 사진작가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지고 독자들에게 패션 정보를 제공하는 점 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세기의 특징적인 사회현상인 성 개념의 변화는 복식을 통해서 가장 잘 나타나고 있다. 과거의 이성의 복식을 차용하는 수준의 이미지 변화에 서 현재는 신체적 성에 관계없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치장( 治 裝 )의 수단으로 다양한 의복과 액세서리 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 이래로 남성과 여성으로 유지되어 오던 성 개념이 복식을 통해 표현되고 있고 이것이 패션사진에 가장 잘 반영되 고 있음을 알고 현대의 다양한 젠더 이미지가 복식에 어떠한 방법으로 나 타나고 있는지, 신체적 성과 젠더가 복식에 미치는 영향을 패션사진을 통 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의 패션 디자인에 있어 성 개념의 표현 에 관한 인식을 새로이 하고 그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4) 조세현(2000). 조세현 패션사진. 서울: 김영사, pp. 10-11. 5) 홍주표(2002).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현대사진영 상학회논문집. 5, p. 62. 6) 최군성(1996). 국내 패션사진의 표현과 시대적 고찰-1960년 이후 국내패션사진의 변 화를 중심으로. 디자인연구. 4(1), p. 38. - 3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라는 특정 분야 에서 신체적 성에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이 복식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 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복식사와 선행연구에서 성별에 따라 다른 젠더 이미지가 나타나는가? 2. 젠더 이미지 표현과 계절과 연관성이 있는가? 3. 젠더 이미지 표현에 있어 복식의 표현방법과 모델과 사진특징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4.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서 성별 따른 젠더 이미지 표현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 문화적 요인은 무엇인가? 제시한 연구 문제 해결을 통해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 른 성 이미지 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4 -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 방법은 복식사와 사진, 성에 대한 단행본과 선행 연구 논문들을 토 대로 신체적 성과 젠더, 패션사진, 복식사에 나타난 의복의 성 역할에 대 한 이론적 정리를 했다. 복식사 고찰은 현대 이전에는 고대, 중세, 근세, 근대로 나누어 살펴보았 으며 20세기 이후 현대는 패션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유행의 흐름이 빨라지고 다양한 스타일들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10년 단위로 나 누어 살펴보았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나는 성에 따른 젠더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 해 선행 자료들을 참고로 1)실루엣, 2)복식 아이템과 액세서리, 3)색상, 4)의복의 소재, 5)무늬와 문양 6)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총 6가지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젠더 이미지를 여성적 이미지 (femininity),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중성적 이미지(sexless)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에디토리얼 패션사진 을 4가지 젠더 이미지로 분류한 후, 각 이미지를 복식의 표현방법과 모델 과 사진특징으로 나누어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기존의 남성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를 탈피하여 자신을 치 장하는데 열중하는 현상이 국내에 나타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05년 까지로 설정하였다. 대상은 2000~2005년 사이 국내에서 발행된 잡지 중 패션전문지인 여성 패션 잡지인 보그(Vogue)와 하퍼스 바자(Harper's Bazaar)와 남성 패션 잡지 지큐(GQ)와 에스콰이어(Esquire)에 실린 에디 토리얼 패션사진으로 하였다. 여성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젠더 이미지 연 구를 위해 국내에서 발행되고 있는 여성잡지 중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 5 -
보이고, 패션전문지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보그와 바자를 선택하였다. 남성의 경우 남성전문지를 나타내는 잡지가 에스콰이어와 지큐가 유일하 게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 두 잡지를 선택하였다. 단, 지큐의 경우 2001년 3월호가 국내 창간호이므로 창간호부터 살펴보았다 - 6 -
<그림 1> 본 연구의 구성 - 7 -
Ⅱ. 성( 性 )과 패션사진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성( 性 ) 1) 신체적 성(sex)과 젠더(gender) 의 개념 (1) 신체적 성(sex) 성( 性 )을 말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른 개념인 생물학적 성 개념인 섹스 (sex)는 신체적 성을 말하며 구체적인 해부학적 생김새를 기준으로 한 남 녀 구분을 말한다. 이것은 태어나면서부터 획득되는 생득적인 것으로 라 틴어 'Sexus'가 변화된 형태로 19세기 이전까지 이 용어는 어원 그대로 'section'의 의미, 즉 인류를 크게 남, 여로 나누는 의미로 주로 사용 7) 되 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그 의미가 크게 변하여 남녀 간의 성행위를 가리키 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성(sex)은 같은 종의 생물의 암수의 구별이 있는 것으로 유성생식에서는 각 개체로부터 생식에만 관여하는 특별한 세포, 즉 생식세포가 형성되며 암컷과 수컷이 서로 다른 배우자를 생성한다. 난자와 정자가 수정하여 접 합자가 되면 양친과는 유전적으로 질이 다른 새 개체로 된다. 8) 세포형태 학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구별은 전신의 세포 속에 있는 염색체의 차이에 있다. 9) 사람의 염색체수 46개 중, 2개가 남녀 각각 다르며, 남성은 XY, 여성은 XX인 점이 생물학적인 차이점이다. 10) 7) 김희정(2003).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적 일탈 연구-1970년 이후를 중심으로.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8) 두산동아 백과사전 연구소 편저(2002). 두산 세계 대 백과사전 15권. 서울: 두산동아, p. 202. 9) 두산동아 백과사전 연구소 편저(2002). 두산 세계 대 백과사전 18권. 서울: 두산동아, p. 527. 10) 두산동아 백과사전 연구소 편저. 앞의 책. 18권, p. 527. - 8 -
(2) 젠더(gender) 젠더는 1995년 9월 5일 북경 제4차 여성대회 GO(정부기구)회의에서 성 ( 性 )에 대한 영문표기 섹스(Sex) 대신 새로 쓰기로 한 용어이다. 젠더와 섹스는 우리말로 성 이라는 같은 뜻이지만 원어인 영어로는 미묘한 어감 차이가 있다. 젠더는 사회적인 의미의 성이고, 섹스는 생물학적인 의미의 성을 뜻한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다수 국가가 주장하는 젠더는 남녀 차별적인 섹스보다 대등한 남녀 간의 관계를 내포하며 평등에 있어서도 모든 사회적인 동등함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11) 사회적인 차원에서 남성이냐 여성이냐를 구분하는 데에는 젠더라는 용어 를 사용하는데, 이는 개인이 태어난 이후에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환 경에 의하여 학습되어진 후천적인 성을 의미 한다. 12) 젠더는 생물학적 차 이를 나타내는 성(male: female)과는 달리 사회적으로 만들어지고 문화 적으로 정의되는 남녀 간의 사회적 의미와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성역할 등과 관련되어있다. 성역할 개념은 개인이 성과 관련된 전통적인 고정관 념을 수용하는 정도로서 전통적인 개념과 이를 부정하는 평등한 성역할 개념 차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성역할 차이는 의복 및 외모의 차이 로 나타나기 때문에 남녀 간의 성역할 차이가 줄어들면 의복에서도 남녀 간의 성차가 줄어들게 된다. 13) 또 이것은 특정한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에 게 다르게 기대된 혹은 연합된 특징들과 행동들의 집합체로 특정한 사회 가 규정한 여성성, 남성성의 개념들을 일컫는다. 14) 11) http://100.naver.com/100.nhn?docid=728861(6/15) 12) 김희정. 앞의 책, p. 8. 13) 안소현, 이경희(2000). 20세기 후반 패션에 나타난 성 개념 변화추이 분석. 한국의류 학회지. 24(5), p. 87. 14) Vivien Burr, 황정은 옮김(2002). 사회적 성별과 사회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p. 13. - 9 -
프로이드는 고대인들은 본능 그 자체에 강조점을 두었다면, 오늘날 우리 들은 본능의 대상에 강조한다고 했다. 15) 성의 역사에 있어서 18세기말은 페미니즘이 제기된 결정적 전환기로 평가된다. 이때부터 성에 관한 논의 의 근저에는 이것이 과연 자연, 즉 생물학적 영역에 귀속되는 것인가 아 니면 사회화 또는 양육의 결과인가 하는 양자택일적 입장을 취하게 되고, 따라서 성은 암수의 결합에 의하여 종족보존을 뜻하는 명사형으로 부각되 기 시작하였으며, 생물학적 차원의 성과 달리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남녀 를 구분하는 경우 젠더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젠더를 성과 동의어 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젠더는 출생 이후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환경에 의하여 학습되어진 후천적으로 주어진 남녀의 특성을 의미한다. 철학이나 언어학에서만 사용되던 이 용어는 1955년 Money가 외부 생식기가 불분명한 상태로 태어난 사람들의 남성 또는 여 성적인 상태를 기술하는데 사용하면서 심리학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성( 性 )은 남성, 여성, 또는 중성으로서의 신분을 의미하고, 젠더는 신체적 이고 행동적인 기준에 따른 개인의 남성 또는 여성적 특성을 의미하는 방 향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16) 성적 취향들이 하위분화 되면서 세분화된 취향이 만들어지고 있고, 특정 한 습성이나 욕구들이 여러 가지 젠더 정체성의 바탕이 되었다. 17) 정체성 (identity)이란 인간이 속해 있는 사회에서 습득하는 행동양식, 태도, 가치 및 인성과 관련된 것이므로, 성( 性 )의 의미를 해부학적으로 남성인가 여 성인가를 구분할 때는 성 정체성(sexual ident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고, 그 사회에서 통용되는 여성성(femininity)이나 남성성(masculinity)을 15) 김희정. 앞의 책, p. 11. 16) 윤가현(1998). 성문화와 심리. 서울: 학지사, p.17. 17) 정세희(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과정청구논문, p. 10. - 10 -
나타낼 때에는 젠더 정체성(gender identity)을 사용한다. 18) (3) 성차(sex difference)와 성역할(sex role) 원시시대 이래 성역할은 남녀의 근본적인 신체적 차이로 인하여 생겼으 며, 일반적으로 육체적으로 힘이 우세한 강건한 남성은 사냥과 목축을 하 는 반면, 여성은 자녀출산과 양육 및 가사를 돌보던 역할의 차이가 사회 문화구조를 통하여 영속되어 왔다. 19) 성차(sex difference)는 보통 남성 과 여성간의 자연적인 그리고 심리적인 차이에 대한 것들이고, 성역할 (sex role)은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행동할 것이라는 우리의 기대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역할은 서로 상호적이다. 20) 우리가 보통 남성은 어떻고 여성은 어떻다고 말할 때 그것은 역사 속에 서 드러난, 사회적 통념으로 굳어진 여성관, 남성관이다. 사람들이 흔히 남자답다든가 여자답다고 말할 때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관념도 남성과 여 성에 대한 집단적인 견해이다. 그것은 시대와 집단사회에 따라 그 강조점 이 바뀔 수 있는 관념이다. 21) 일반적으로 성 역할 개념에는 일정한 사회 적 가치가 부여되며,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여성 인 인간은 여자로 키워지고, 생물학적으로 남성인 인간은 남자로 키워진 다. 즉 생물학적 기준에 의해 성 역할이 고정되었고, 이에 부여된 사회적 가치에 의해 사회적 상하관계가 형성됨으로서 남녀의 지배-피지배의 패 턴이 생겨났다. 성 역할에는 남녀가 자신의 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특성 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러한 성에 따른 이미지는 사회와 시대마다 서로 다르다. 성 역할 이미지와 성 역할의 서 18) 정세희. 앞의 책, p. 8. 19) 강혜원(1995). 앞의 책, p. 297. 20) Vivien Burr. 앞의 책, p.13. 21) 이부영(2002). 아니마와 아니무스. 파주: 한길사, pp. 34-35. - 11 -
열 구조는 학습을 통하여 다음 세대에 문화의 일부로 계승되고 강화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 정체성과 젠더 정체성과 일치하므로, 사회 문화적 으로 적절하다고 정의되는 합당한 남성적 행동과 여성적 행동의 영역에서 일탈하는 것은 극단적 위반 행동으로 여겨졌다. 22) 성역할의 사회적 성별 분화(gender differentiation)는 자연적으로 존재 하지 않는 남녀의 차이에 대한 과장이나 창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색깔로 구분되는 아기 옷, 머리 스타일, 남성과 여성의 것으로 일컬어지 는 개인적인 소품들을 말한다. 23) 또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의 차이는 노동 에서도 나타나는데 노동에서의 사회적 성별 분할(gender division of labour)은 또한 그 노동의 영역이 가정인지 아니면 공적인 장소인지도 의 미한다. 보통 여성은 가정에서 그리고 남성은 공적인 장소에서 일하는 것 으로 생각된다. 24) 기존의 성역할 이미지와 성역할의 서열구조는 가정에서 의 교육과 학교교육, 사회의 관습 등을 통하여 학습되고 다음 세대에 문 화의 일부로 계승되고 강화된다. 25) 성(sex)에 따른 차이에 따른 성역할의 구분은 역사적으로 남성이 여성보 다 우위에 존재하면서 성역할에 따른 차이가 차별로 바뀌기 시작했다. 성 차별(sex discrimination)이란 성별(sex)에 따라 사람들을 다르게 대접하 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이것은 여성에 대한 차별을 의미한다. 26) 성에 의한 사회적 불평등을 말할 때 성역할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성 역할에는 남녀가 자신의 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 22) 정세희. 앞의 책, p. 8. 23) Vivien Burr. 앞의 책, p. 14. 24) 위의 책, pp. 13-14. 25)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NONE&articleID=b12s0600b#T2 26) Vivien Burr. 앞의 책, p. 14. - 12 -
라는 고정관념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러한 성에 따른 이미지는 사회와 시 대마다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회에서 여성적인 것으로 여기 는 '부드러움' 같은 특성은 다른 사회에서는 남성성의 하나로 취급될 수 있다. 자녀 양육과 취사 등 일반적으로 여성의 역할로 간주되는 것들은 출산이라는 여성의 생물학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출산기능과의 관련 은 강하지만 전혀 대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27) 오래된 사고에 의하면 여성들은 남성들과 같은 생식기를 가지고 있는데 단지 그 생식기들이 몸의 바깥이 아닌 내부에 있는 점이 다를 뿐이라는 하나의 성과 하나의 육체(one sex, one flesh) 모델로 생각되었기 때문 에 남녀의 구분과 차별은 사회적 해석에 의해 부여된 것이었고 영구적으 로 몸에 내재한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18세기에 사회적 불평등 모 델은 남녀가 엄청나게 다른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 에 근거한 것으로 바 뀌었는데, 이는 18,19세기에 전개된 사회 자연 과학에 의해 학문적으로 합리화되었다. 즉 남성의 우월성과 여성의 종속은 남녀의 생물학적 몸 차 이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남녀의 사회적 차이가 불변하는 생물학적 차이 에 기인한다는 자연주의적 몸 개념은 여성의 성징을 열등하고 병리적 현 상으로 간주함으로써 남성의 우월성과 여성의 종속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합리화시키는데 이용되었다. 28) 27)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NONE&articleID=b12s0600b#T2 28) 김은희(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13. - 13 -
2) 성( 性 )개념의 변화와 원인 남성과 여성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원초적이며 보편 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으로서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원형에 속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나 시대가 바라는 남성과 여성으로서 외적 인격, 즉 페 르소나에 속하는 것이다. 29) 사람의 외부세계와 내 가 모르는 더 깊은 마 음인 무의식이 있다. 사람이 외적인격(페르소나, Persona)을 가지고 외부 세계와 관계를 맺는 것처럼 우리의 내면세계에도 외적 인격과 매우 대조 되는 태도와 자세, 성향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내적 인격이라 부른다. 아니마(anima), 아니무스(animus)는 바로 이 내적 인격을 말하는데 30) 아니마는 남성 속의 여성, 아니무스는 여성 속의 남성을 말한다. 아니마 와 아니무스는 남성으로서 또는 여성으로서의 페르소나에 대응하는 무의 식의 내적 인격이다. 그것은 태초로부터 인류가 남성과 여성에 대해 상상 하고 체험한 모든 것에서 우러나온 원형의 조건을 토대로 하는 시대와 사 회를 초월한 인류공통의 보편성을 지닌다. 31) 남성과 여성은 심리적으로 서로 다른 관심과 특성을 나타내고 사회적으 로도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되어 왔다. 그렇게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가는 가운데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과 여성의 외적인격인 페르소나와에 대응하는 또 하나의 내적 인격이 생겨났다. 남성의 무의식 에는 여성적 인격이, 여성의 무의식에는 남성적 인격이 내적 인격으로 자 리 잡게 되는데 이는 원초적 조건인 생물학적인 토대에서 남성이 남성 호 르몬뿐 아니라 여성 호르몬을 가지고 있고 여성에게도 남성 호르몬에 있 29) 이부영. 앞의 책, p. 34. 30) 위의 책, p. 30. 31) 위의 책, p. 35. - 14 -
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32) 이를 통해 인간은 외부로 나타나는 신체적인 성 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신체적인 차이가 내부의 심리적인 차이와는 연관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 이래로 서구 역사 속에서 성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도 덕적 관심의 대상이었고 33) 남성과 여성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전통적인 가치체계에 의해 착용하는 복식이 분명히 달랐다. 성경 신명기 22장 5절 에 의하면 여자는 남자의 의복을 입지 말 것이다. 남자는 여자의 의복을 입지 말 것이다. 이같이 하는 자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 가증한 자니라. 라 는 구절이 있다. 이 말은 남성과 여성은 옷차림만으로도 구분이 가능해야 한다는 뜻이다. 복식은 공동체의 사회적 도덕적 질서 안에서 착용자의 적 합한 지위를 보호받기 위해 채택되었다. 34)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 회의 급속한 변화는 이러한 힘을 무너뜨리기 시작하였고 남성과 여성의 복식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더불어 의복이 가지고 있던 성 역할과 그것이 주는 정체성에 혼돈이 나타났다. 성에 부여된 의미가 조직 전개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전환기가 있었다. 첫 번째 계기는 서기 1세기경 기독교화 된 서구가 고개를 들기 전으로 일련의 혁신을 가져왔다. 순전히 쾌락만을 탐닉하는 성을 점차 부인하였 고 성의 목적은 생식이었고 혼외정사는 분명 쾌락을 위한 것이지 때문에 죄악으로 간주되었다. 두 번째 계기는 12-13세기 첨예한 논란과 종교적 투쟁이 끝난 후에 나타났는데 이 결과 결혼 문제는 기독교 전통이 승리하 였다. 마지막 계기는 18-19세기에 이르러 이성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32) 이부영, 앞의 책, p. 31. 33) 김희정. 앞의 책, p. 11. 34) 채금석, 이화정(2002).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1990년대 여성복 을 중심으로. 복식 52(1), p. 108. - 15 -
성적 정상성의 정의가 점차 증가하였고, 그 결과 다른 형태의 관계들이 성적 도착으로 범주화되었던 결정적 시기였다. 이로 인해 변태나 도착 같 은 새로운 유형이 나타났으며, 새로운 성적 정체성들이 증대되었다. 과거 에는 동성애를 죄악으로 보았으나 현재에는 동성애를 더 이상 죄악으로 보는 범주에서 점차 변모하여 동성애를 더 이상 금기할 수 없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고, 음성적으로 활동하던 동성애 단체들은 전 세계적인 집단 으로 성장하여 새로운 성적 형태로 점차 인정되어가는 계기를 마련하였 다. 18세기 무렵 남색가(sodomites)라는 특별한 인간형이 인식되기는 했 지만, 그 역시 인성적 특성이 아닌 행동 성격에 따라 정의된 것이다. 그 러나 19세기 중반부터 동성연애자는 점차 특수한 종별적 특징을 갖는 존 재가 되었다. 19세기 말 동성애라는 범주가 나타나면서 복장 도착자, 사 도-마조키즘, 양성애자, 성전환자, 소년애자 등 20세기의 새로운 성적 유 형과 정체성들이 범람하였다. 35) 1960년대 이후 무한한 자유에 대한 욕구는 성에 대한 기존 규범을 벗어 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한 성의식 해방은 여성해방과 남성해방의 동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60년대와 70년대의 페미니즘은 20세기 초반의 여성운동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물론적 페미니즘은 남 녀평등을 주장하였지만 여성의 억압을 규명하기 위해 경제적 문제 및 계 급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여 성억압의 기초가 성에 기인한다고 보아 임신, 출산과 같은 본질적 한계를 극복하고 평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36) 35) 김희정. 앞의 책, pp. 11-13. 36)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 208. - 16 -
20세기 후반 문화현상을 대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화적 다원주의를 표방함으로서 모든 양식과 주제에 대한 열린 태도를 견지하여 다양한 요 소를 한 단위 안에 혼합한다. 이러한 맥락은 양면가치를 증가시키게 되는 데 성 개념과 관련된 양면가치의 표출은 남성적인 이미지와 여성적인 이 미지의 요소를 혼합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기존의 성 고정관념에서는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가 대립구도 속에 놓여 있었지만 오늘날은 남녀 간의 힘과 속도의 차이의 중요성이 감소되고 여 성의 사회진출이 당연시되면서 성역할 고정관념의 존재 이유가 사라짐에 따라 한쪽 성에 바람직한 모든 특성이 다른 성에게도 바람직한 것으로 여 겨져 양성의 특성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37) 1966년에 나타난 해체주의는 모든 텍스트들에 대한 해체로서 전통적으 로 인정되고 있는 모든 것을 뒤집어엎고 기존개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으로서 개체의 존엄성과 자유, 소외된 타자, 차이 등을 인정하여 기존 의 이성중심주의에 종말을 고하고 새로운 인식의 장을 열게 하였다. 해체 주의는 남성/여성, 정신/육체, 문화/자연, 이성/감성 등 이분법적 대립을 근본개념으로 하는 로고스중심주의적 형이상학을 부정함으로써 새로움을 창조하는 것이다. 타자를 수용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지적탐색인 해체주 의에서는 절대적 논리란 있을 수 없고 끊임없이 와해되며 자리바꿈을 하 므로 남녀라는 이분법은 남자 속의 여자, 여자 속의 남자라는 내적 차이 로 해체될 수 있다. 이처럼 문화적 범주들의 내적 긴장 또는 양면가치를 억제하지 않고 그대로 표출하기 때문에 남성, 여성이라는 성의 하위문화 를 패션을 나누는 이분법이 사라지고 양쪽성을 공유하거나 이성의 복식을 착용한 양성적 이미지의 복식 및 성을 배제한 중성적 이미지의 복식이 나 37) 안소현, 이경희. 앞의 책, p. 87. - 17 -
타나게 된다. 38) 90년대 중반 이후 패션의 중요한 흐름으로 등장한 젠더리스 (genderless)는 21세기 사회는 인종과 성, 연력에 구애받지 않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전개될 것이라는 분석들을 반영한다. 39) 따라서 앞으로의 사회 문화적 상황 속에서 신체적 성과 젠더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다양한 접 근이 필요하다. 38) 안소현, 이경희. 앞의 책, p. 89. 39) 위의 책, pp. 86-87. - 18 -
3) 복식사에 나타난 성( 性 ) 이미지 표현 (1) 고대(이집트, 그리스, 로마) 고대 이집트인들은 벌레나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화장을 남녀 모두 필수적으로 하였고 40) 재단이나 봉재를 거의하지 않은 상태의 드레이프형 복식을 입어 41) 복식을 통한 성 구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 다. 그러나 남자의 복식은 보다 활동적인 형태를 띠고, 여자는 몸에 꼭 끼고 유방을 노출하는 비활동적인 형태를 이룸으로써 성차가 표현되었 다. 42) 그리스 로마 인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치장을 하고 거의 같은 형태의 의복을 입었다. 고대 아테네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에는 커다란 감정적 차 이가 없었고, 아크로폴리스에서 성을 구별하는 것은 어려웠으며, 이와 유 사한 경향이 로마까지 계속되었다. 43) 그리스 로마 의복은 남녀의 구별 이 아니라, 주름 잡혀 드리워진 의상과 봉재에 의한 의상간의 구별이었 다. 44) 로마의 경우 여자보다 남자의 의상이 더 발달하였다. 45)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정신적 이데아의 세계를 추구하여 이데아의 반영 으로서 완벽한 조화를 이룬 인체를 재현하고자, 복식에 있어서 남성적 이 미지나 여성적 이미지의 강조보다는 인체의 조화적 비례에 주안점을 두고 이를 드레이퍼리로 묘사함으로써 중성적 이미지를 이루었다. 46) 40) 김명자(1991). 의상학총론. 서울: 학문사, p. 273. 41) Horn, Marylin J & Gurel, Lois M(1981). The Second Skin.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p. 43. 42) 이민선(1993). 복식에서 성의 가시적 불일치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6. 43) 위의 책, p. 17. 재인용. Winik, Charles (1970). Time. October, 12, p. 29. 44) Wilson, Elizabeth(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 17. 45) 김명자. 앞의 책, p. 278. 46) 이민선. 앞의 책, p. 19. - 19 -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 복식에서는 넓은 천을 이용하여 신체를 가 리는 드레이프형의 의복이 주를 이루고 있어 신체적 성의 차이가 의복에 서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그림 3>, <그림 4> 고대 이집트의 의상 <그림 5> 그리스의 의상 <그림 6> 로마의 의상 - 20 -
(2) 중세(5세기 후반~15세기) 게르만족의 대 이동과 서로마 제국의 멸망으로 서양사는 중세로 접어들 면서 급격한 변화와 함께 봉건제도가 시작되었다. 봉건제도는 신분과 계 층이 안정적으로 분류된 고정된 계급사회이다. 5-11세기의 전 유럽은 전형적인 기독교적 금욕주의에 의해 지배되었으 며 그 영향으로 튜닉형의 복식이 착용되어 복식에서 성에 대한 표현이 이 루어 지지 않았다. 47) 14세기 들어 지난 세기 동안 거의 없었던 남녀 의 상의 성차가 처음으로 뚜렷해졌는데, 남자의 의상은 짧아지고 여자의 의 상은 몸에 꼭 끼게 되어 몸의 윤곽이 들어났으며 화려한 장식을 하였 다. 48) 이는 재단과 봉제 기술이 개발되고 십자군 전행 이후 종교와 인체 에 대한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나타났다. 이는 나아가 바지는 남성용, 치 마는 여성용이라는 고정관념을 만들어 냈다. 49) 기독교의 금욕주의로 인하여 복식에서 성과 관련한 표현은 나타나지 않 았으나 십자군 전쟁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중세 후기에는 인체의 선에 맞는 의복이 등장하였다. 이로 인해 신체적 성에 따라 고정된 의복생활이 시작되었다. 47) 이민선. 앞의 책, p. 21. 48) 김명자. 앞의 책, p. 284. 49) 이민선. 앞의 책, pp.21-22. - 21 -
<그림 7>, <그림 8> 중세 초기의 의상 <그림 9>, <그림 10> 중세 중기의 의상 <그림 11>, <그림 12>, <그림 13> 중세 말기의 의상 - 22 -
(3) 근세(16~18세기) 봉건제가 붕괴되고 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1700년경부터 의복과 패션 에 대한 경직된 코드가 사라지고, 패션의 변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50) 르네상스 시대의 남녀 복식의 형태의 차이가 더욱 뚜렷해졌고 인체미를 변형시켜 과장된 모습을 표현하면서 관능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데 치 중했다. 여성은 X형의 실루엣을 더욱 강조하고 남성은 가슴과 어깨에 패 드를 넣어 Y형의 실루엣을 만들어 냈다. 이때의 남성들은 러프, 슬래쉬 장식 등 여성 못지않게 화려한 복식을 입고 장식을 하였다. 남, 여 모두 바로크와 로코코 시대를 걸치면서 복식은 더욱 더 화려하고 장식적으로 변하였다. 17세기 의상변화의 추세는 과거 궁정과 귀족중심의 패션에서, 시민 계급 의 급성장으로 부유해진 상인과 중상층이 의상 선택과 스타일 변화에 참 여하여 근대 시민복의 발달을 가져와 의상사상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 었다. 그 결과 남성의상이 국가적인 것에서 국제적인 모드로의 전환이 이 루어졌다. 51) 1780년대에는 중세 이래 남자바지가 무릎 길이었던 것이 발 목까지 내려가는 판탈롱으로 변하여 현대 남성복에 가까워졌다. 여성복은 파니에(panier)가 작은 사이즈로 궁정에만 남고 일반사회에서는 서서히 축소됨에 따라 버슬 스타일(bustle style)이 출현하였다. 52) 남, 여 모두 바로크와 로코코 시대를 걸치면서 복식은 더욱 더 화려하고 장식적으로 변하였다. 특히 남성복의 경우 넓은 어깨를 강조하고 코두피 스의 사용은 남성성을 강조하는 한편으로는 화려한 장식을 하는 여성성의 모습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 정세희. 앞의 책, p. 11. 51) Payne, Blanche(1965). History of Costume, from the ancient Egyptians to the twentieth century. Harper&Row: New York, chapter12-14. 52) 김명자. 앞의 책, p. 289. - 23 -
<그림 14>, <그림 15> 근세 초기의 의상 <그림 16>, <그림 17> 근세 중기의 의상 <그림 18>, <그림 19>, <그림 20> 근세 말기의 의상 - 24 -
(4) 근대(19세기) 19세기말 산업발전의 결과, 여성들도 가정생활 외에 사회진출을 통하여 의상문화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직장여성의 증가로 인해 거추장스 런 드레스 대신 테일러드슈트(tailored suit)가 인기 있게 되었다. 53) 이 시기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상류계층에서는 계절 따 라 산이나 해변으로 놀러 다니는 풍습이 생겨나고 등산, 경마, 스케이트 등 운동을 즐겼으며 이로써 스포츠용 의상이 발달하였다. 특히 여성들의 권리 주장과 교육 균등의 기회를 주장하는 여성운동이 활발해지고, 1851 년 블루머 여사가 그 당시 여성들의 비활동적인 의상의 개선을 주장하고 블루머 스타일의 여성개량복을 권장함으로써,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의 상징으로 삼았다. 54) 파리 여성들은 자전거를 탈 때 재킷과 블루머를 입었 고, 남성복을 한 벌의 슈트로 매치시키면서 조끼와 넥타이로 악센트를 주 고 편리한 옷으로 발전해 갔다. 55) 이 시기에는 오늘날 남자 복식으로 일 반화된 일상복을 비롯해 예복으로서 프락 코트(frock coat)와 모닝 코트 (morning coat) 등은 영국에서 확립이 되었다. 56) 근대로 넘어오면서 의복은 실용적으로 변해 나갔다. 특히 여성복식이 변 화가 크게 나타났던 시기로 이때 여성들은 바지를 입게 되어 여성복의 남 성성이 강화되었다. 53) Payne, Blanche. 앞의 책, chapter18. 54) 김명자. 앞의 책, p. 295. 55) 위의 책, p. 297. 56) 정흥숙(2002).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p. 351. - 25 -
<그림 21> 블루머 <그림 22>, <그림 23> 19세기 남성의 상의와 비슷해진 여성복 상의 <그림 24> 테니스 복 <그림 25>, <그림 26>, <그림 27> 19세기 남성들의 복식 - 26 -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드레이프 형의 의복을 입어 복식을 통한 성 구별은 이루어 지지 않음 주름 잡혀 드리워진 의상과 봉재에 의한 의상간의 구별 중세 (5세기 후반-15세기) 5-11세기 : 튜닉형의 복식 착용으로 성에 대한 표현 없음 14세기 : 남녀 의상의 성차가 나타남 바지는 남성용, 치마는 여성용이라는 개념이 나타남 근세 (16-18세기) 르네상스 시대 남녀 복식의 형태차이가 더욱 뚜렷해짐 여성은 X형, 남성은 Y형 실루엣을 만듦 관능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남녀 모두 장식성이 강 하고 화려한 의복 착용 근대 (19세기) 실용적인 의복 선호로 장식성이 줄어듦. 여성복에 테일러드슈트와 블루머의 도입으로 여성의 남성성 을 강화 <표 1> 시대별 복식에 나타난 성의 표현 : 고대에서 근대까지 - 27 -
(5) 현대(20세기 이후) 1908년 여성복은 놀라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전까지 여성들의 가 슴과 허리를 압박했던 코르셋이 폴 푸아레(Paul Poiret)에 의해 사라지고 어깨나 하이 웨이스트라인에서 부드러운 주름이 유연하게 흐르는 디자인 이 발표 되었다. 57) 또 여성들은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기능적이고 활 동적이 복장을 하게 되었으며, 여성들의 상의는 남성용과 거의 같은 형태 로 변해 갔다. 58) 이때의 여성복은 기존의 S-실루엣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나타나게 된다. 1918년 세계 1차 대전 말기에는 스커트는 발목길이이며, 재킷에 넓은 벨트를 하고 속에 셔츠와 타이를 맨 밀리터리 룩(military look)이 유행하 였다. 59) 전쟁으로 인하여 여성들이 남성들을 대신하여 사회활동에 참여하 게 되었고 이로 인해 모든 의복은 장식성보다는 실용성을 극도로 추구하 게 된다. 이때의 여성의 복식과 남성 복식은 거의 일치하였다. 1920년대는 1차 대전 후 여성들의 경제적인 지위향상과 여성해방의 운 동의 자유로운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짧은 머리와 납작한 가슴, 로우 웨 이스트에 짧은 스커트의 직선적인 보이쉬 스타일(boyish style)과 가르손 느 스타일(garçonne style)이 유행하면서 섬세한 장식물은 모두 없어지고 기능적인 여성복의 근대화가 이루어졌다. 60) McJimsey에 의하면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되어 직업적 역할 수행으로서의 활 동성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여성의복이 남성의복과 유사하게 되기 시작 하였다고 하였다. 61) 57) 정흥숙. 앞의 책, p. 359. 58) 위의 책, p. 363. 59) 김명자. 앞의 책, p. 301. 60) 위의 책, p. 301. - 28 -
1930년대 다시 허리선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스커트의 길이가 길어 졌다. 장식이 많고 곡선미를 띤 여성적인 의상이 나타났지만, 1939년 세 계 2차 대전이 일어나자 스커트 길이는 다시 짧아지고 어깨는 각진 밀리 터리 룩이 유행하였다. 62) 20세기 남성복 요소의 도입은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였고 1930년대 할 리우드의 영화배우 그레타 가르보(Greta Garbo)와 마를린 디트리히 (Marlene Dietrich)는 남성적 이미지가 섞인 여성성을 에로티시즘으로 창 조해냈다. 가르보는 크고 넓은 어깨, 납작한 가슴, 좁은 엉덩이의 체형으 로 당시 스타들의 곡선적인 풍성함은 없었지만 신비스런 눈과 우수에 찬 표정, 매혹적인 얇은 입술은 남성성이 내재된 여성 이미지로 성적 매력을 발산했다. 1933년 디트리히가 탑 햇과 테일러드슈트를 입고 나타났을 때 패션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했고 많은 사람들은 그녀의 남성적 모습에 묘한 매력을 느꼈다. 이후 여성이 착용한 매니쉬 룩이나 앤드로지너스 룩 은 남성과 여성의 양성성이 혼재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와 성적인 느낌을 암시하였다. 심리적으로 여성이 남성복을 입었을 때, 페미닌한 느낌과 매 니쉬한 느낌이 공종하게 되면 그것은 새롭고 매력적으로 인식된다. 63) 종전( 終 戰 )이후 디올(Dior)이 1947년 '뉴룩(new look)'을 발표했고, 여성 들은 전쟁 속에서 잊혀 버린 여성성을 다시 찾게 되었고 다양한 실루엣들 이 등장하였다. 때를 같이 하여 할리우드에서는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 엘리자베스 테일러(Elizabeth Taylor)와 같은 글래머 스타들이 탄생하였고 이들은 여성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였다. 64) 61) McJimesey, Harriet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2nd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p. 34. 62) 김명자. 앞의 책, pp. 301-302. 63) 김은희. 앞의 책, p. 66. 64) 정흥숙. 앞의 책, p. 381. - 29 -
2차 대전 후에는 여성들의 바지 착용이 일반화되고, 65) 테디보이즈, 모 즈, 히피 등 많은 청소년 하위문화집단들에게 남성의 성 관념에 대한 부 정이 시도되었는데 이는 펑크에 이르러 가장 강력하고 극단적인 방법으로 가시화 되었다. 66) 1958년 유행된 그리페(Griffe)의 색 드레스(sack dress)는 허리선이 완전히 사라진 형태로 이는 뉴 룩 이후 계속되어 왔던 라인의 시대를 마감하였다. 67) <그림 28> 높은 허리선과 헐렁한 형태의 튜닉 드레스 <그림 29> 1910년대의 밀리터리 룩 <그림 30>, <그림 31> 보이쉬한 가르손느 스타일 <그림 32> 슈트를 착용한 디트리히 <그림 33> 디올의 뉴 룩 <그림 34> 그레페의 색 드레스 65) 김명자. 앞의 책, pp. 304-305. 66) 안소현, 이경희. 앞의 책. pp. 88-89. 67) 정흥숙. 앞의 책, p. 386. - 30 -
1960년대에 등장한 비틀즈(Beatles)는 젊은이들의 문화를 확장시켜, 그 들의 젊고 활발한 대중음악과 춤, 패션이 전 세계를 휩쓸었다. 68) 1965년 에는 마리 퀀트(Mary Quant)에 의해 미니스커트가 등장하였고 이는 여성 들에게 있어 젊음의 상징이었으며, 그 동안 억제 되었던 여성들의 자유의 지를 표현하였다. 1960년대 후반 패션은 히피, 학생-젊은이들이 주동이 된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69) 1968년에는 이브 생 로랑이 팬츠 슈트(pants suit)를 발표하였고, 이는 스포츠 웨어가 아닌 정장과 캐주얼 웨어로 널리 보급되었다. 70) 여성들이 바지를 착용하는 것이 마침내 존경 받을 만한 것일 뿐만 아니라 우아하게까지 생각되었다. 71) 히피들의 의상 과 액세서리, 헤어스타일의 자유로운 코디네이션은 20세기 이후 처음으로 같은 아이템을 가지고 남녀의 구별 없이 사용되는 모습을 실제적으로 확 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청소년 하위문화의 특징인 남, 녀의 성 관념에 대한 변화는 이후 외모의 혼동을 초래하였다. 72) 이때에 유니섹스 (Unisex)란 말이 파생되어 복장 뿐 아니라 사고와 생활자체를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73) 1960년대의 패션의 성 구별이 사라지고 다양성이 주목받기 시작한 시기 로 급속도로 발전한 과학의 발전과 자유롭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전후 베이비 붐 세대들이 창조적이면서도 역동적인 패션을 이끌어 나갔다. 1970년대는 사람들이 복잡한 사회에서 편안함을 원하게 되어 그에 맞춰 이상이 전반적으로 헐렁하며 입기 쉬운 옷으로 변하였다. 특히 경제적인 68) 정흥숙. 앞의 책, pp. 389-390. 69)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 210. 70) 김명자. 앞의 책, pp. 304-305. 71) Lurie, Alison. 유태순 옮김(1986). 의복의 언어. 고양: 경춘사, p. 212 72)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 210. 73) 정흥숙. 앞의 책, p. 393. - 31 -
수준의 향상으로 모두 여가를 즐기게 되어 스포티한 의상이 인기를 얻게 되었다. 74) 이 시대 미래에 대한 관심은 미래지향적인 패션으로 나타나기 도 하였고, 독특한 스타일이 가미된 민속풍의 에스닉 룩도 유행하였다. 또 섹시함을 강조하는 스타일과 복고적인 우아함을 나타내는 여성 패션이 동시에 나타났다. 75) 70년대 중반 이후 뉴웨이브 패션이 주류를 이루면서 글리커 락커들이 남녀 복식을 자유롭게 자신의 개성에 따라 혼합하여 입 음으로서 앤드로지너스 룩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76) 이러한 성의 혼합에 따른 앤드로지너스 룩이 등장하여 패션에서 성의 한계가 없음을 보여준 다. 1980년대는 여러 가지의 상반된 요소들이 공존하였다. 스포티하고 남성 적인 의상, 드레이프지며 여성적인 의상, 클래식한 의상, 전위적인 의상 또는 스커트의 길이가 짧은 것과 긴 것이 공존한 특징을 들 수 있다. 77) 1981년 찰스 황태자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약혼식 발표와 함께 낭만적인 르네상스 스타일이 등장하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스포츠 웨어 의 일상복화가 이루어졌다. 또 일본 디자이너들의 의하여 남녀 구분 없이 입을 수 있는 빅 룩 형태의 복식이 등장하고, 포스트 모더니즘적 조형성 에 의해 다양한 이미지들이 절충된 절충주의, 성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 고의 해체에 의한 앤드로지너스 룩, 초현실주의기법을 매개로 하는 은유 와 상징 기법, 복고풍, 장식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78) 74) 김명자. 앞의 책, p. 306. 75) 정흥숙. 앞의 책, pp. 395-398. 76) 안소현, 이경희. 앞의 책, pp. 88-89. 77) 위의 책, p. 306. 78) 정흥숙. 앞의 책, pp. 400-404. - 32 -
1990년대 패션의 주요 키워드는 스타일보다는 세계화로, 79) 80년대에 다양한 복식 현상들이 세련되게 정돈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90년대 중반 여성들은 노출을 통해 페미니즘적 표현을 하였고, 이는 여성의 성을 에로틱하게 표현했다. 80) 다른 한편에서는 영국의 밴드 스파이스 걸즈 (Spice Girls)나 게임 툼 레이더(Tomb Raider)의 여주인공 라라 크로프 트의 등장으로 이들이 표현하는 여성스러운 외모의 여전사 이미지는 걸파 워(Girl power)를 사회적으로 인정하였으며, 남성과 같은 여성들을 만들 어냈다. 또 거리의 젊은이들로부터 시작되어 남녀를 불문하고 배기팬츠 (baggy pants)를 입고 헐렁한 상의에 큰 사이즈의 신발을 신은 힙합 패 션과 미니멀리즘 패션이 유행하였다. 81) 90년대의 남성복은 기존의 각진 실루엣에서 벗어나 신체의 형태가 과장 되지 않고 몸에 꼭 맞는 정장이 유행하였다. 또 남성다움 을 새롭게 해석 한 화려한 디자인과 치마바지 등의 등장으로 앤드로지니가 남성 패션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82) Jane Grove가 20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혁명적 복식 중하나로 성의 가시적 불일치를 이룬 복식을 언급하여 현대에 와서 성과 복식의 고 정관념이 깨어지고 있음을 말하였듯이 83) 복식사를 통해 살펴본 성에 따 른 젠더 이미지 표현은 현대에 와서 급속도로 변하고 다양해 졌음을 알 수 있다. 79) 현대패션100년편찬위원회(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295. 80) 김이은(1994). 복식의 BISEXUALITY에 관한 연구-196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34. 81) 현대패션100년편찬위원회. 앞의 책, pp. 297-299. 82) 위의 책, pp. 303-304. 83) 이현구(1998). 현대 복식에 나타나는 성의 혼돈 양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20. 재인용. Grove, Jane(1971). Fashion.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 33 -
<그림 35>, <그림 36> 모즈 룩을 유행시킨 비틀즈 <그림 37> 미니스커트 <그림 38> 히피 스타일 <그림 39> 유니섹스 스타일 <그림 40> 이브 생 로랑의 팬츠 슈트 <그림 41> 유니섹스 룩 <그림 42> 양성적인 모습의 데이빗 보위 <그림 43> 스포티한 의복 - 34 -
<그림 44> 1980년대 다이애너비 <그림 45> 과장된 어깨의 남성적인 슈트 <그림 46> 앤드로지너스적인 모습 <그림 47> 비구조적인 재패니즈 룩 <그림 48> 힙합 스타일 <그림 49> 여성스럽게 치장한 남성의 모습 <그림 50> 스타킹과 힐을 착용한 남성 - 35 -
현대 (20세기 이후) 1900 1910 1920 1930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코르셋이 사라짐 여성복이 기능적이고 활동적으로 변화함 여성들의 테일러트 슈트 착용이 잦아짐 밀리터리 룩의 유행 보이쉬 스타일과 가르손느 스타일의 유행 여성복의 기능적인 근대화가 이루어짐 밀리터리 룩의 유행 여성들의 바지착용이 생활화 디올의 뉴룩 등장 글래머 영화스타들이 패션을 주도 색 드레스의 등장으로 라인의 시대 마감 테디보이즈, 모즈 등 남성의 성 관념에 대한 부정 이브 생 로랑이 팬츠 슈트 발표 히피의 영향으로 남녀 외모의 혼동을 초래 유니섹스 모드가 등장 스포티한 의상이 인기 뉴웨이브 패션의 영향으로 개성에 따라 복식을 혼 합하여 입음 앤드로지너스룩 등장 다양한 패션요소들의 공존 낭만적인 르네상스 스타일 신체를 가리는 빅 룩 힙합과 미니멀리즘의 유행 남성 패션에 앤드로지니의 영향 <표 2> 시대별 복식에 나타난 성의 표현 : 현대 - 36 -
2. 패션사진 1) 사진과 패션사진의 개념 사진의 백과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사진( 寫 眞, photography) : 가시광선 적외선 감마선 자외선 등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층 위에 물체의 반영구적인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다. 사진은 회화의 복제 수단으로 발명의 실마리를 잡게 되었다. 레오나 르도 다빈치는 오늘날 사용하는 카메라의 원형인 카메라 옵스 큐라 (camera obscura: 어둠상자)를 그림을 정확하게 그리기 위한 복제도구 로 썼다. L.G.M. 다게르(1787-1851)에 의해 발명된 은판사진이 프랑스 의 과학 아카데미에서 1839년 8월 19일 정식으로 발명품으로 인정받고 공포된 후, 맨 처음에 찍은 것이 풍경사진들이었으나 얼마 후에 인물사진 이 획기적으로 유행하였다. 84) 존 버거(John Burger)는 사진으로 기록된 순간을 보존하기 위해 선택된 순간 이라고 하였으며, 사진의 의의는 상황에 대한 의식을 순간의 선택 속에 표현하는데 있다 고 했다. 85) 현대사회가 뉴미디어의 다매체 시대에 노출됨에 따라 대중의식이 날로 변화하게 되었다. 패션은 다양화, 차별화, 고급화되어 가고 그 영향권 내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기 때문에 사회, 문 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여러 가지 표현매체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게 된 다. 86) 즉,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순간의 시간을 기록하여 사회적 현상을 84) 두산동아 백과사전 연구소 편저(2002). 두산 세계 대 백과사전 14권. 서울: 두산동 아, p. 69. 85) 김희정. 앞의 책, p. 5. 재인용. 한정식(2000). 사진예술개론. 서울: 열화당, p. 33. 86) 정세희. 앞의 책, p. 14. - 37 -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패션사진은 그 시대 이상형과 유행 패션에 관해 그대로 전해주는 하나의 매개체이자 사회상이 변모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잣대이기도 하 다. 패션사진은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표현 기능은 패션을 표현하는 적절 한 수단으로 계속 이용되고 있으며, 패션사진이 신체를 예술의 주제로 부 활시켰다고 할 수 있다. 87) 패션사진이란 주로 모델을 이용하여 의상을 소개하는 사진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의상뿐만 아니라, 화장이나, 헤어스타일, 액세 서리 등을 소개하기 위해 모델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도 일종의 패션사 진으로 간주한다. 88) 패션사진은 단순히 그 상황을 찍는 것이 아니라 편집 자와 사진가가 원하는 스타일을 연출한 후 그것을 사진 속에 담는 것이 다. 패션사진은 광고와 홍보를 비롯한 산업 사회속의 정보전달 매개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패션 디자이너의 창작물인 의상을 이미지로 재 창조하는 2차원적인 조형 예술로서도 존재한다. 패션사진은 문화이면 우 리 사회 속에 깊숙이 자리 잡은 산업이기도 하다. 패션사진의 역할은 단 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광고로서의 기능만을 하고 있지는 않다. 미디어를 이용한 패션사진은 직접적인 광고의 역할과 정보나 문화로서의 기능도 하 고 있다. 89) 패션사진은 20세기 초의 급속한 인쇄 미디어의 발전으로 문 화의 한 구성요소로 발전하게 되었다. 당시의 많은 예술가들이 패션사진 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직접 제작한 예술성과 창작성이 돋보이는 패션 사진들은 인쇄매체를 통하여 당시의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 87) 김희정. 앞의 책. p. 29. 88) 최군성. 앞의 책, p. 37. 89) 조세현. 앞의 책, p.10. - 38 -
후 매스 미디어는 오늘날까지 패션사진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존재하고 있 다. 패션사진은 매스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속도로 사회 에 끼치는 영향력을 확대해왔으며, 산업이 급속한 발전과 특히 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비재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개편되면서, 패션산업이 고속 성장을 하게 되는 과정 속에 패션사진의 역할은 실로 엄청난 발전과 변화를 겪어왔다. 90) 사진은 산업의 첨병이며 창조적인 문화의 기능을 담 당하고 있으며, 역사성과 대중성 및 예술성을 골고루 갖추고 있는 현대 패션사진은 미래의 대표적인 문화의 중심이 될 것이다. 91) 2) 패션사진의 역사 19세기에 등장한 카메라에 의해 사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역사적으로 는 1856년 드레스를 입은 가스띨리오네 백작부인의 288장으로 된 사진 앨범이 최초의 패션사진이다. 92) 패션사진은 다른 사진과 달리 인쇄 매체 에 실리는 것을 목적으로 촬영되었기 때문에 인쇄술의 발달에 영향을 받 을 수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일반 사진과 달리 뒤늦게 전문화된 사진 분야 로 나타나게 되었다. 1892년 보그에 패션사진이 처음 실리게 되면서 본 격적인 패션사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93) 1914년 '보그'와 '베니티 페어'의 수석 사진가로 임명된 바론 아돌프 디 메이어(Baron Adolphe de Meyer)로부터 패션사진가의 계보가 시작된다. 그러나 당시 패션사진의 양식은 여전히 회화의 포츠레이트(portrait) 94) 적 90) 조세현. 앞의 책, pp. 10-11. 91) 위의 책, p.11. 92) 김희정. 앞의 책, p. 18. 93) 조세현. 앞의 책, p. 12. 94) 포츠레이트(portrait) : 전신이나 인물을 찍는 방법으로 인물의 외면에 나타나는 용모 - 39 -
인 수준에 불과하였다. 95) 이때 패션사진가의 등장은 패션 일러스트의 대 안으로 생각되었던 패션사진이 하나의 장르로서 발전의 틀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예술형식의 관점에서 사진은 초기단계였지만, 패션 일러스트 레이션을 대체할 유연성 있고 저렴한 대안으로 1920년대를 통해 다양한 패션지와 카탈로그, 점포에는 일러스트레이션과 함께 사진이 나란히 전시 되었다. 96) 1920년대와 30년대는 모더니즘, 사실주의, 초현실주의가 패션사진의 기 틀을 형성하고 있었다. 97) 또 휴대용 소형 카메라의 급속한 발전으로 포트 레이트 형식을 탈피하여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의 패션사진을 촬영하게 되 었다. 1930년대 예술의 한 사조였던 초현실주의는 패션사진에 영향을 주 게 되었고, 만 레이(Man Ray), 세실 비튼(Cecil Beaton), 안드레 더스트 (Ander Durst)의 작품에서 이러한 경향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98) 1930년대 컬러필름의 등장은 패션 잡지의 대중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패션 디자이너들은 예술적 스타일의 왜곡 없이 의상의 솔기와 형태, 디테 일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사진의 가치를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은 거의 사라졌고, 패션사진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소비 자들에게 많은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면서 패션 잡지도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흥미와 정보를 줄 수 있는 패션 페이지를 만들려고 노력하면서부터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전문 영역이 나타났다. 99) 와 특성을 포착하여 사진적 화면의 미에 중점을 둔다. 95) 홍주표. 앞의 책, p.62. 96) 김희정. 앞의 책, p. 19. 97) 위의 책, p. 20. 98) 조세현. 앞의 책, p.12. 99) 홍주표. 앞의 책, p. 63. - 40 -
1950년대는 패션사진은 다양하고 전문화된 발전을 하게 된다. 보그의 아트디렉터 알렉산더 리버만(Alexander Liberman)을 중심으로 어빈 펜 (lrving Penn)과 하퍼스 바자의 아트디렉터 알렉시 브로도비치(Alexey Brodovitch)를 중심으로 한 리처드 아베던(Richard Avedon)은 패션의 양대 산맥으로서 패션을 주도하였고, 동시대에 활동한 윌리엄 클라인 (William Klein)은 끊임없는 기술적인 혁신과 독창적인 시각을 패션에 도 입하여 패션사진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영국에서는 노먼 파킨슨(Norman Parkinson), 프랭크 호바트(Frank Horvat)와 앤소니 암스트롱 존스 (Anthony Armstrong-Jones) 화려하고 새로운 영국 스타일의 패션사진 을 만들었다. 100) 1950년대는 현대 패션사진으로의 시작을 알리고 더욱 그 양식과 기술이 발전된 시기로 이때의 패션사진은 여성의 탁월한 아름다움과 욕구를 주제 로 표현하였다. 101) 1960년대는 세계가 새로운 창조력과 역동적인 발전을 이룬 시대로 잡 지, TV, 영화 등 대중매체의 발달로 대중문화가 급속히 발달했으며 과학 혁명을 이룬 시기였다. 더불어 여성들의 사회적 진출에 따라 사진에서 표 현되는 여성들의 이미지가 좀 더 동적으로 묘사되었는데, 과거 고전적이 며 정숙한 여성상에서 벗어나 시대 부흥에 맞는 활동적 여성이나 움직임 이 있는 여성들을 사진에 담았다. 102) 1960년대는 혁명적이며 현대적인 패션사진이 여러 사진가를 통해 다양 한 스타일과 표현 방법으로 선보였다. 아트 케인(Art Kane), 제리 스차쯔 버그(Jerry Schatzberg), 빌 실라노(Bill Silano), 프란체스코 스카불로 100) 조세현. 앞의 책, p. 13. 101) 김희정. 앞의 책, p. 22. 102) 위의 책, p. 24. - 41 -
(Francesco Scavullo)는 과감한 앵글을 통해 지금까지 보여주었던 패션 사진의 구도를 많이 변화시켰고, 히로(Hiro), 제임스 무어(James Moore), 멜빈 스콜스키(Melvin Sokolsky), 듀안 마이클(Duane Michale)은 다양한 실험 정신을 패션사진에 도입하였다. 밥 리처드슨(Bob Richardson)은 패 션사진에 성적인 암시를 표현하여 관능적인 이미지를 패션사진에 담았지 만 시대적 상황에 맞지 않아 크게 수용되지는 못했다. 103) 이때의 패션사 진의 에로틱한 이미지는 1970년대에 들어 더욱 발전하게 된다. 1970년대는 그 이전의 환상적인 분위기가 사라지고 보다 현실적인 분위 기와 남녀 평등화가 도래하였고 또한 패션사진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대 한 논쟁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헬멋 뉴튼(Helmut newton), 가이 보딘(Gut Bourdin), 크리스 폰 웬겐하임(Chris von Wangenheim), 데보라 터베빌(Deborah Turbeville), 사라 문(sharah Moon) 등의 일련 의 역사적인 사진가들이 패션사진을 매우 관능적으로 촬영함으로써 현실 적인 논쟁이 시작되었고 이때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경향은 현재까지도 패 션사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당시에 에로티시즘의 경향과 대조적으 로 아서 엘코트(Arthur Elgort), 마이크 레인하츠(Mike Reinhardt) 등은 라이프스타일 형식의 자연스러운 패션사진을 촬영하였다. 104) 1970년대에 패션사진은 야수적 사실주의와 에로틱한 감각을 대담하게 도입하여 패션사진에 있어 시각적 스캔들을 불러일으켰다. 105) 1970년대 와 1980년대에 걸쳐 사라 문(Sarah Moon), 데보라 터버빌(Deborah Turbeville)과 같은 여성 사진작가들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106) 103) 조세현. 앞의 책, p. 13. 104) 위의 책, p. 14. 105) 김희정. 앞의 책, p. 25. 106) 위의 책, p. 26. - 42 -
1980년대는 그 이전의 스타일이 다시 새롭게 부활하여 다양한 스타일이 혼재하는 시기였다. 1980년대의 에로티시즘을 대표하는 브루스 웨버 (Bruce Weber)와 1990년대를 대표하는 엘렌 폰 언워스(Ellen von Unwerth), 조형적인 누드의 에로티시즘을 보여주었던 허브 리쯔(Herb Ritts), 관능성의 이미지를 대표한 세인트 디오라지오(Sante D'Orazio) 등 은 에로티시즘이 강한 패션사진을 꾸준히 추구하고 발전시켰다. 특히 브 루스 웨버는 성에 대한 의식이 무르익던 80년대에 실제로 남성 누드를 패션사진에 도입하여 기존에 존재하였던 에로티시즘의 성향을 바꾸어 놓 았고 로버트 메이플도프(Robert Mapplethorpe)와 신디 셔먼(Cindy Sherman)은 기존의 형식과 다른 패션의 범위를 넘어선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패션사진을 작품집과 패션 카탈로그를 통해 보여주었다. 107) 1980년대 전반기에는 성을 발산하고 여전히 남성들의 성적환상으로 여 성의 신체를 그려 여성에게 남성의 속옷을 입히는 도착적 사진, 그리고 남녀 두 모델에 의한 성행위 암시와 같은 직접적으로 표현된 패션사진도 나타나 이 시대 패션사진의 주요 코드가 성임을 말해주고 있다. 108) 1990년대에는 모델의 개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그 역할이 점점 더 커지 게 되었다. 1990년대 대부분의 패션사진은 라이프스타일과 에로티시즘을 엄격히 구분하기보다는 라이프스타일 속에서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는 경향 이 많아졌다. 109) 1990년대 들어 패션사진은 더욱 비대해지고 컴퓨터 그 래픽, 포르노그래피, 다큐멘터리, 컬러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 그리고 사 진이 가진 요소 모두를 수용하면서 성장했다. 110) 107) 조세현. 앞의 책, p. 14. 108) 김희정. 앞의 책, p. 27. 109) 조세현. 앞의 책, p. 14. 110) 김희정. 위의 책, p. 28. - 43 -
1910년 이전 1910-1920년대 1930-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최초의 패션사진은 1856년 드레스를 입은 가스띨오네 백작부인의 사진앨범 -최초의 인쇄된 패션사진은 1880년 프랑스 알 에 모드 -1892년 보그 에 패션사진이 처음 실림 -1914년 보그 와 베니티 페어 의 수석사진가로 바론 아돌프 디 메이어 가 임명 -단독장르로서 발전의 틀 마련 -패션일러스트의 대안으로 떠오름 -모더니즘, 사실주의, 초현실주의가 패션사진의 기틀을 형성 -컬러필름의 등장으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대신함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전문영역이 나타남 -여성의 아름다움과 욕구를 주제로 표현 -전후 현실주의가 유행 -초현대적인스타일, 자연주의, 르포르타주 형식 등이 등장 -현대 패션사진의 시발점이고 왕성한 패션사진의 시대 -활동적이고 움직임이 있는 여성 표현 -관능적인 이미지의 패션사진 등장 -실험적이고 다양한 스타일의 표현방법 도입 -현실적인 분위기와 남녀 평등화 -야수적 사실주의와 에로틱한 감각의 도입 -라이프스타일 형식의 자연스러운 패션사진 등장 -여성 사진작가들의 활약 -다양한 스타일의 혼재 -에로티시즘이 강한 패션사진의 발전 -실제 남성누드를 패션사진에 도입하여 기존의 에로티시즘 성향을 바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모델의 개성이 나타나고 그 역할이 커짐 -라이프스타일 속에서 에로티시즘을 표현 -컴퓨터 그래픽, 다큐멘터리, 컬러 등 사진이 가진 요소를 모두 수용하며 발전 <표 3> 패션사진의 흐름 - 44 -
3) 에디토리얼 패션사진(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1)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특성 패션사진은 크게 사진의 촬영 콘셉트에 따라 애드버타이징 사진 (advertising photography), 카탈로그 사진(catalogue photography)과 에디토리얼 패션사진(editorial fashion photography)과 같이 3가지로 분 류할 수 있다. 그 중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란 기본적으로 잡지를 위한 패션사진으로서 잡지에 기사 내지 화보화 되어 게재되는 것을 전제로 촬 영한 사진을 말한다. 111)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다양한 잡지의 성격처럼 재미있는 기획과 충분한 상상력을 가지고 사진을 제작해야 한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저널과 매거진의 성격을 균형 있게 갖추어야 하고, 항상 독자들에게 흥미가 있는 주제를 선택해야 하며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도 전달해야 하고 시대를 앞서가는 시각적인 표현력으로 만든 멋진 이미지들을 독자들에게 보여줌 으로써 독자들을 즐겁게 혹은 경이롭게도 해야 한다. 대중잡지의 에디토 리얼 패션사진은 최근의 패션 경향을 보여주고, 독자들로 하여금 이러한 트렌드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을 둔다고 112) 할 수 있다. 패션사진을 위한 주된 공간이 상업 잡지라고 제시되면서 중요하게 구별 해야 할 것은 패션잡지의 애드버타이징과 에디토리얼의 양상이다. 1945 년 이후 보그 나 하퍼스 바자 에서 애드버타이징과 에디토리얼 부분을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지만 1945년 이전의 패션 잡지를 살펴보면 애드버 111) 조세현. 앞의 책, pp. 20-21. 112) 김성민(2005). 대중 잡지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 독자들의 몸 이미지와 수용 선 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12, p. 157. - 45 -
타이징에 할당된 공간이 더 유리하게 기울어져 있었다. 하지만 1940년대 이후로 패션 잡지의 대중화가 가속화되면서 보그 와 하퍼스 바자 는 경 쟁적으로 에디토리얼 부분을 늘려 독자들을 유혹해 나갔다. 현대 패션사 진이 태동하기 시작한 1950년대 보그 와 하퍼스 바자 는 경쟁적으로 각 각 어빙 펜(Irving Penn)과 리차드 아베던(Richard Avedon)을 스카우트 하면서 본격적인 에디토리얼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113) (2)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구성요소 에디토리얼 사진은 잡지에 등장하는 패션사진에 텍스트로 된 기사로 이 루어져 있다. 이 부분에서 패션 에디터의 콘셉트와 견해를 엿볼 수 있으 며 독자들에게 시기에 알맞은 패션에 관한 정보 등을 소개한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은 일정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홍주표(200 2) 114) 는 주제(Theme), 컨셉(Concept), 크레디트 라인(Credit line), 사진 (Photography)의 4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에디토리얼 사진의 주제는 여행이나 레저, 일상생활과 같은 라이프스타 일(life style), 특정 아이템, 영화나 소설의 내용, 독특한 무늬나 패턴, 소 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주제는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첫 페이지에 눈에 잘 뜨일 수 있게 쓰인 것으로 뒤이어 보일 패션사진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함축하고 있다. 주제 밑에는 주제의 콘셉트를 보충 설 명하는 내용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고 그 아래 사진작가의 이름이 쓰인 다. 뒤를 이어 패션사진이 나오는데 여기에는 모델이 등장한다. 사진의 여백에 패션 아이템과 기타 소품, 메이크업 등에 대한 설명과 모델의 이 름이 보이고 기사가 함께 있기도 하다. 113) 홍주표. 앞의 책, p. 63. 114) 위의 책, pp. 64-65. - 46 -
사진은 에디토리얼 페이지 구성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진은 패션과 모델이 함께 포함되어 촬영될 경우 가장 시선이 많이 가는 부분이 며 배경, 소품 등은 콘셉트를 풀어나가는 데 중요한 도구들이다. 한국과 미국 광고의 구성유형에서 75%이상이 사진으로만 이루어져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사진으로만 이루어진 패션사진이 언어권이 다른 지역에서 도 공통된 언어로서 가장 효과적인 광고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패션 광고의 특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결국 패션사진이라는 특성을 생각 해 볼 때 에디토리얼 페이지 역시 사진만으로도 독자들에게 충분히 소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115) 115) 홍주표. 앞의 책, pp.64-65. - 47 -
Ⅲ. 복식에 나타난 성( 性 ) 이미지 표현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속성이 단정 지어지면, 그에 따른 특정 색상과 의복 유형이 일반화된다. 성을 기호화하는 것이 신체에서 의복으로 바뀌 어가면서, 신체는 의복을 통하여 자신이 바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 다. 116) 의복과 외모는 착용자를 다른 성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허 용하므로,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것 사이의 엄격한 구분에 따라 이분된 의 복과 외모에 관한 관행을 파괴하여 왜곡된 성을 표현하는 것은 젠더와 의 복에 관한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관찰자에게 쾌락과 유희를 전달한다. 117) 남성적-여성적 성격은 처음에 Terman과 Miles(1936)에 의하여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성격특성이며, 양극에 남성적-여성적 성격특질을 둔 연속체의 개념이다. 실제로는 환경의 영향에 의해서 많은 사람이 자신 과는 반대되는 성의 성격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남향성-여향성을 시대와 문화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당시의 성역할 기대의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118) 본 연구에서는 복식사에 나타난 복식의 이미지와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젠더 이미지를 여성적 이미지(femininity), 남성적 이미지(masculine), 양 성적 이미지(androgynous), 중성적 이미지(sexless)의 4가지로 나누어 실루엣,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색상, 의복의 소재, 헤어스타일과 메이크 업, 무늬와 문양을 기준으로 정리했다. 116) Finkelstein, Joanne(1998). Fashion an introduction. New York Univ. Press: New york, p.32. 117) 정세희. 앞의 책, p. 12. 118) 강혜원(2001).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208. - 48 -
1. 실루엣 2.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3. 색상 4. 의복의 소재 5. 무늬와 문양 6.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패션디자인에서 실루엣은 단지 라인을 칭하는 경우도 있으며 외형선으로 발전하여 복장 정체의 형, 모습 등 의 총체를 의미. 실루엣은 복장의 특징을 단적으로 표 시하는 대표적인 기호적 표시로, 모든 패션디자인의 귀 결점은 미적인 실루엣의 창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성의 대표적 복식 아이템은 바지, 여성은 치마가 있 다. 이 외에 각 성을 대표하는 아이템과 액세서리를 통 해 그것이 주는 성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다. 색에는 남성적 혹은 여성적인 감정효과가 있어 남성적, 여성적 느낌을 주는 색상이 존재한다. 또 중성적인 이 미지의 색도 있다. 의복에서의 소재는 기술에 의해 형을 부여받고, 복식 표면 위에 표현된 질감은 미적 효과를 갖고 있다. 이러 한 질감은 사물의 표면적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촉감을 연상케 하면서 우리의 시각에 와 닿기에 남성적 이미지 와 여성적 이미지의 표현을 나타낸다. 문양은 일반적으로 무늬를 말한다. 문양은 인간의 생활 중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므로,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 계를 가지고 있다. 문양은 이것이 나타난 물체와 밀접 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인간의 생활감정의 표현이기도 하다. 때문에 같은 시대의 양상의 특징들이 모여서 한 시대양식을 창조한다.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은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 지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짧은 머리는 남성적 이미지로 긴 머리와 메이크업을 하는 것은 여성 적 이미지로 고정 관념화되어 왔다. <표 4> 복식에서의 성 이미지 분류 기준 - 49 -
1. 여성적 이미지(femininity) 여성적 이미지는 사회가 여성(female)에게 부여한 특정한 이미지로 여성 의 인체 특성과 기존 사회의 요구에 따라 결정되었다. 여성성을 나타내는 말로는 섬세하다, 상냥하다, 감정적이다 등의 표현이 있다. 다음은 여성적 이미지의 어휘를 표현한 것이다. 여성적 이미지의 문항 섬세하다, 어질다, 친절하다, 온화하다, 부드럽다, 상냥하다, 감정이 풍부하다, 깔끔하다, 따뜻하다, 인정이 많다, 다정다감하다, 차분하다, 알뜰하다, 유순하다, 민감하다, 순종적이다, 꼼꼼하다, 얌전하다, 여성적이다, 싹싹하다. <표 5> 성역할 정체감 측정문항별 점수-여성성 문항 : 안은숙, 이금재, 김은하(2001) 남성과 여성 의복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실루엣이라 할 수 있다. 옷이라는 것은 몸 위에 입혀지는 것으로 신체의 특징을 나타낼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성의 의복은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신체적 특징인 가슴과 가는 허리에서 풍만한 엉덩이까지 이어지는 모래시계형의 실루엣을 특징 으로 한다. X형 실루엣이라고도 하는 이 형태는 여성인체의 곡선미를 가 장 잘 나타내는 부드럽고 완만한 자연적인 곡선미를 특징으로 한다. 여성복식의 대표적인 아이템은 치마(skirt)이고, X형 실루엣을 더욱 돋보 이게 하기 위한 코르셋과 풍성한 페티코트가 있다. 또 부드럽고 곡선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러플, 자수, 레이스 장식등을 하였다. 의복의 소재는 부 드럽고 얇고, 섬세한 직물이 주를 이루고 이에 어울리는 색상으로는 한국 표준색을 기준으로 보라(5P), 붉은보라(10P), 자주(5RP), 연지(10RP), 빨 - 50 -
강(5R), 다홍(10R), 주황(5YR), 귤색(10YR), 노랑(5Y), 노랑연두(10Y)와 흰색이 주로 사용되었다. 색상들의 명도와 채도는 높다. 의복은 문양은 꽃과 식물과 같이 곡선적인 자연적 무늬가 많고, 머리카락은 길고 서양의 경우 금발을 선호하고 화장을 해야 한다. 선행연구와 복식사를 통해 사회적으로 통용된 여성적 이미지는 다음 표 의 내용과 같이 나타난다. 실루엣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색상 의복의 소재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무늬와 문양 가슴과 허리, 엉덩이를 강조한 X형 곡선, 얇은 보풀 있는, 짧은, 절단된, 수평의, 위쪽으로 움직이는 선 형과 형태(실루엣)-부팡 스커트, 작은 허리, 곡선으로 된 바디스, 우아하고 흘러내리는 듯 한 스커트, 볼레로에 의 해 창출되는 짧고 절단된 선, 짧은 케이프, 페플럼, 러플, 작은 버슬, 퍼프소매, 어깨가 드러나는 목둘레선, 부드러 운 보풀이 인 칼라 하이힐, 스커트, 코르셋, 스타킹, 구슬달린 셔츠, 자수 장식, 러플장식 살색, 더스티로즈, 스칼렛, 달걀색, 주황, 러스트, 금색, 노랑, 민트 그린, 푸셔, 와인색, 흰색 명도-근접한 명도대비 채도-부드러운 흐릿한 채도 화려한 유채색, 중간에서 밝은 채도의 색 미끄러운, 부드러운, 유연한, 나긋한, 얇은, 고운, 가는, 보풀이 인, 흐릿한, 곱슬곱슬한, 비치는, 다공의, 섬세한, 가벼운/ 레이스, 오간디, 네트, 타프타. 부드럽고 얇은 모 직, 잔물결이 이는 면, 실크 가볍고, 부드러운, 얇고, 바삭거리고, 비치는 직물 긴머리, 화장, 금발머리 꽃 식물 모티프, 배경과 밀접하게 어우러진 흐릿한 음영 의 추상, 기하학적 패턴, 작은 크기의 고상한 모티프 꽃무늬, 추상화된 무늬 <표 6> 여성적 이미지(femininity) 분류 기준 - 51 -
2.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남성적 이미지는 여성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쓰여 여성이 감정적이면 남성은 이성적이라고 여겨진다. 다음은 남성적 이미지의 어휘를 나타낸 것이다. 남성적 이미지의 문항 믿음직스럽다, 과묵하다, 남성적이다, 강하다, 자신감이 있다, 털털하다, 박력이 있다, 독립적이다, 씩씩하다, 야심적이다, 근엄하다, 의욕적이다, 신념을 주장하다, 의지력이 강하다, 대범하다, 집념이 있다, 의리가 있다, 지도력이 있다, 결단력이 있다, 모험적이다. <표 7> 성역할 정체감 측정문항별 점수-남성성 문항 : 안은숙, 이금재, 김은하(2001) 남성의 실루엣은 여성과 달리 어깨와 가슴을 강조하는 Y형이나 T형이 주를 이룬다. 복식아이템은 테일러드슈트와 셔츠, 넥타이를 입고 중절모 를 쓴다. 기타 아이템으로는 담배, 총, 차 등이 있다. 색상은 여성과는 달 리 파랑(5B), 감청(10B), 남색(5PB), 갈색(Brown) 검정(Black)이 주로 사용되었다. 저명도, 저채도의 색상이 쓰였다. 여성적 색상과 비교하여 사 용폭도 좁음을 알 수 있다. 의복의 소재 또한 무겁고 두꺼운 것이 주로 사용되었고 문양은 직선적이고 기하학적인 문양의 체크, 스트라이프 등이 보인다. 또 남성은 짧은 머리에 수염이 있고 화장을 하지 않는다. 선행연구와 복식사를 통해 사회적으로 통용된 남성적 이미지는 다음 표 의 내용과 같이 나타난다. - 52 -
실루엣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색상 의복의 소재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무늬와 문양 선-직선, 각진, 두꺼운, 견고한, 날카로운, 긴, 절단되지 않은, 수직의, 사선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선 형과 형태-V형이나 T형 실루엣이 있는 두 갈래진 실루엣 어깨와 가슴을 강조하는 Y형 테일러드슈트, 매니쉬 팬츠, 넥타이, 셔츠, 중절모, 담배, 총, 차 헌터그린, 베이비블루, 로열블루, 네이비블루, 로열 퍼플, 베이지, 갈색, 검정 명도-저명도 색상과 극단적인 명도대비 채도-선명한 채도 단순하고 세련된 무채색, 중간 채도의 색 재질-벌키, 두꺼운, 밀폐된, 올이 굵고 거친, 무거운, 뻣 뻣한, 풍부하고 광택이 있는 사치스러운/ 모, 무거운 트 위드, 견고한 양복지 무겁고, 거칠고, 양감 있고, 딱딱한 직물 짧은 머리, 수염, 화장 하지 않음. 무늬-줄무늬, 격자무늬, 동물모티프, 가하학적 모티프, 날 카로운 가장자리의 대담한 모티프, 큰 크기의 디자인, 바 탕과의 윤곽이 뚜렷, 인공물 스트라이프, 체크, 기하학적 무늬 혹은 무지 <표 8> 남성적 이미지(masculinity) 분류 기준 - 53 -
3.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양성( 兩 性 )이란 남성과 여성을 동시에 말하는 것으로 고대 그리스의 철 학자 플라톤은 "인간은 원래 남녀 한 몸이었으나 신이 이를 둘로 분리한 이래 그 각각은 이전에 한 몸이었던 상대를 열심히 찾고 몸을 합함으로써 원초의 상태를 복원하려고 한다."고 했다. 이에 따르면 양성적인 인간이야 말로 완전하고 이상적인 인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 그리스의 조각 등에는 유방과 페니스를 함께 가진 모습이 많이 나타난다. 119) 양성을 의미하는 앤드로지니(Androgyny)는 희랍어의 남성 andro 와 여 성 gyn 으로 구성되었다. 120) 양성체는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에로스와 같은 신, 그리고 동양의 보살 등의 양성적 형태에서 존재의 완전한 상태 를 의미하는 모든 상징적인 것으로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앤드로지니의 개념은 그리스에서 헬레니즘 이전 시기에 여족장제에서 남족장제로 변하 는 동안 그 개념이 의식적으로 제도화 되었다. 신성한 왕은 위대한 여신 을 숭배하기 위해 모든 자웅동체적 존재로 대신하며, 그것을 인위적인 가 슴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성체의 존재는 이 밖에도 오르페우스교 의 우주창조론 등 원초적인 신화 속에 등장하고 또 고대 헤브루 문구에는 아담은 처음에 양성체 그 자체였으나, 신은 그를 두 쪽으로 가르셨다. 고 적혀 있다. 121) 119)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NONE&articleID=b12s0600b#T2 120) 강혜원(2001). 앞의 책, p. 302. 121) 김이은. 앞의 책, p. 52. - 54 -
앤드로지니는 인간이 두 성으로 나누어지기 전에 인간의 속성으로 자율 성, 강인함, 전체성의 상징 즉 궁극적인 존재를 상징하였다. 그노시스 신 앙에서는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두 성이 분리되었으며, 천국으로 돌아가 는 것은 본래의 상태인 앤드로지니로 돌아오는 것이라 하였다. 천국에서 의 인간은 모두 성이 없어지며 영원불멸의 존재로 나타난다. 122) 앤드로 지니는 남녀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양성적인 존재로 두 성의 장점을 가진 완벽한 존재로 그려진다. 왕이나 샤먼과 같이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던 이들은 복식을 통해 양성성을 나타냄으로 그들의 권위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패션에 타나난 최초의 앤드로지너스는 샤머니즘 문화에서 제사나 주술 행사를 주관했던 사제의 복장이다. 그들은 신의 신성함과 힘을 얻기 위해 이성의 복식을 착용했다. 그러나 패션에 있어 앤드로지너스라는 용어의 출현은 먼저 19세기 로맨틱 시대의 문학과 예술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앤 드로진이란 단어가 잘못하여 멋부린 옷을 입은 무능력하게 된 젊은 남자 또는 보이쉬한 외관을 가진 여자들에게 적용되었다. 123) 양면적 성정체감의 성취는 남성성 대 여성성을 제시하는 아이템들 또는 표식들을 반대적으로 채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여성성 표식들은 긴머 리, 손지갑, 목걸이, 팔찌, 무늬 있는 의상 등이며, 남성성을 나타내는 표 식들은 짧은 머리, 바지, 남성슈트와 셔츠 스타일, 장식 못 박은 가죽점 퍼, 넥타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별의 양면성이 옷차림에 나타난 122) 김이은. 앞의 책, p. 51. 123) Singer, June (1976). Androgyny: Toward a New Theory of Sexuality. Garden City: Doubleday, pp. 32. - 55 -
예를 들면 직장여성이 겉옷에는 남성성으로 자신의 직업적 경력을 나타내 고 속옷에서는 섹시함으로써 자신의 여성성을 나타내어 양면성의 미묘한 조화를 성취하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이 19세기 이후 의복에서의 성정체감 은 반대 성별의 의복상징을 도입함으로 인해 모호해지고 있다. 124) 선행연구와 복식사를 통해 나타난 양성적 이미지는 다음 표의 내용과 같 이 나타난다. 실루엣 신체 특성을 드러내는 몸에 꼭 맞는 라인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바지, 남성슈트, 셔츠스타일, 가죽점퍼, 넥타이 손지갑, 팔찌, 귀걸이 등 의 액세서리 색상 원색 계열의 화려한 색채 의복의 소재 얇고 가벼우면서도 광택이 있고 사치스러운 소재 사용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남성의 긴 머리와 여성의 짧은 머리 화장 무늬와 문양 화려하고 대담한 무늬 <표 9> 양성적 이미지(androgynous) 분류 기준 현대의 앤드로지너스룩(androgynous look)은 1984년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여성과 남성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부정하지 않고 여성이 남성의 복식을 착용하고, 반대로 남성이 여성의 복식을 착용함으로써 여 성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을 교차(cross over)시켜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 이다. 여성이 매니쉬(mannish)현상과 1980년대 들어 다이애나 황태자비 에 유행된 짧은 머리의 헤어스타일, 록(rock)가수들의 여장이나 남성의 메이크업과 남녀의 구별 없이 자유롭게 걸쳐 입은 무대의상 등에서 앤드 124) 강혜원(2001). 앞의 책, p. 145. - 56 -
로지너스 룩을 찾아볼 수 있다. 125) 유럽의 컬렉션에서 지배적인 스타일로 제시되는 호모 섹슈얼리즘의 이미지는 남성복에서 보이는 지극히 여성스 러운 분위기 즉 화려한 색상과 몸에 꼭 맞는 라인, 여성들만의 전유물인 변형된 스커트와 여성스런 액세서리로 충분히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으며 반대의 개념으로 여성복에는 직선적인 슈트의 남성적 이미지, 중 절모와 터프한 느낌의 액세서리로 남성화되어가는 여성의 모습을 단적으 로 제시하여 패션에서 이미 성의 차별은 사라지고 그러한 옷을 통해 다른 성의 느낌을 충분히 느끼고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 126) 앤드로지너스 룩 은 남녀 구별 없이 마음대로 옷을 입음으로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성 역할의 차이가 사라지고 있는 오늘날 성별을 초월한 하나의 개성적인 존 재로서의 인간의 이미지를 부각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127) 앤드로지너스 룩은 여성성과 남성성이라는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이성 ( 異 性 )의 복식 요소를 공유함으로써 남자와 여자가 지니는 특성을 부정하 지 않고 자유롭게 융합시키는 표현방식이다. 앤드로지너스 룩은 한 가지 성위에 다른 성의 요소를 공유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완전한 존재 에 접근하려는 노력을 시도하며, 성을 초월하여 보다 완전한 존재가 되고 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반영한 것이다. 앤드로지너스는 양성의 특징 결합 이라는 명목으로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부정하지 않고 융합시켜 나타내는 것으로 자유로운 조화는 앤드로지너스에 있어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었 다. 128) 125) 정삼호, 김영숙(1996). 현대패션모드. 서울: 교문사, pp. 188-189. 126) 이현구. 앞의 책, p. 53. 127) 정삼호, 김영숙. 앞의 책, pp. 188-189. 128)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p. 213-214. - 57 -
4. 중성적 이미지(sexless) 중성적 이미지란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가 거의 같은 비율로 결 합되어 어떠한 성도 느낄 수 없는 상태로 129) 두 성을 동시에 타나내는 양성적 이미지와는 다른 개념이다. 중성적 이미지는 젠더리스 이미지라고 도 할 수 있는데 젠더리스란 남녀의 성 구분이 없는, 즉 무성이라는 의미 이다. 이러한 경향은 60년대 후반의 모노섹스(mono sex)나 유니섹스 (unisex)라 불리던 넌 섹스(non sex) 패션과 통하는 것이 있다. 다시 말 해서 젠더리스 룩은 성의 구별이 아예 없는 스타일이다. 130) 선행연구와 복식사를 통해 사회적으로 통용된 중성적 이미지는 다음 표 의 내용과 같이 나타난다. 실루엣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신체의 윤곽선을 드러내지 않는 실루엣 튜닉형의 비구조적인 형태 T-셔츠, 헐렁하고 캐주얼한 재킷, 운동화, 모자 색상 검정, 흰색, 회색의 무채색 의복의 소재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너무 가볍거나 무겁지 않은 소재 가공하지 않은 소재 짧은 머리 무늬와 문양 스트라이프 등의 직선적이며 기하학적인 무늬 <표 10> 중성적 이미지(sexless) 분류 기준 129)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 221. 130) 이현구. 앞의 책, p. 41. - 58 -
중성적 이미지를 가지는 복식의 특징으로는 신체의 윤곽선을 보여주지 않고, 남녀 모두 입을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하면서 전형적이지 않는 디자 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무성패션의 원조는 직사각형의 천을 그대로 둘러 입은 드레이프형 복식으로 남녀 복식에 별 차이가 없었던 그리스,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실 서양복식에서 성의 차이가 나타난 것 은 십자군 전쟁 이후 재단기술과 봉제기술이 발달되면서부터이며 남자는 바지, 여자는 치마로 엄격한 구분을 갖게 된 것은 르네상스 시대이다. 131) 중성적 이미지를 주기 위해 남녀의 체형에 근거해 인위적으로 제작된 Y 형이나 X형의 윤곽선을 피한 신체를 은폐하는 드레이퍼리나 튜닉형의 평 면형의 비구조적인 형태로서 실루엣, 재질, 무늬 등에서도 두드러진 여성 적 혹은 남성적 특질을 배제한 중립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어 남성, 여성의 이미지가 아닌 인간자체의 통합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132) 1960년대 후반부터 진(jean)과 T-셔츠, 헐렁하고 캐주얼한 재킷, 운동 화, 남녀의 비슷한 헤어스타일 등으로 시작된 유니섹스 의상은 여성의 남 성화, 남성의 여성화 경향을 보이며 유니섹스 모드로 발전되었다. 유니섹 스 룩이 선보이기 시작한 것은 1969년 보그 잡지에서 똑같이 차려입은 일가족의 사진이 실린 후였는데, 이 사진을 통하여 본래의 디자인이 남성 을 위한 것인지 여성을 위한 것인지는 더 이상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는 다고 평하였다. 히피패션에서 시작된 유니섹스 룩은 1970년대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33) 유니섹스 룩의 전개는 여성다움 과 남성다움 을 초월하 여 중성적 또는 성 개념이 사라진 성( 性 )의 혁명이었다. 134) 131) 이현구. 앞의 책, p. 41. 132)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p. 219-220. 133) 정삼호, 김영숙. 앞의 책, p. 175. 134) 위의 책, p. 176. - 59 -
80년대 일본디자이너인 이세이 미야키(Issey Miyake), 레이 가와쿠보 (Rei Kawakubo), 요지 야마모또(Yohji Yamamoto)는 걸치기, 두르기, 휘 감기로 의복을 코디네이트하여 기존의 전형적인 패턴을 완전히 파괴한 비 구축주의로의 과감한 시도로 패션의 한계에 도전하였다. 그들의 자유로운 디자인과 패턴에는 성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거기에는 다만 인간 이 있을 뿐이었다. 135) 일반적으로 복식은 착용자의 성을 표현하고, 성은 복식에 의해 역사적으로 구분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복 식의 독특한 기능은 두 성의 특징을 강조하여 이들을 구분 짓기도 하지 만, 두 성의 특징을 은폐하여 이들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 하다는 점이다. 136) 135) 김이은. 앞의 책, p. 81. 136) 채수진, 김혜연. 앞의 책, p. 214. - 60 -
Ⅳ.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젠더 이미지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분류는 <표 4>를 기준으로 한 복식을 통한 표현 (실루엣, 복식아이템과 액세서리, 색상, 의복의 소재, 무늬와 문양, 헤어스 타일과 메이크업)과 사진이 가지고 있는 전체적인 이미지를 토대로 여성 성, 남성성, 양성성, 중성성으로 나누었다. 패션 잡지에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이 차지하는 비중과 2000년에서 2005 년까지 나타난 젠더 이미지 표현빈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 계절에 따 라 다른 복식아이템이 등장하는 것을 고려하여 젠더 이미지 표현과 계절 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 분석 은 첫째, 복식을 통한 표현방법과 둘째, 모델과 사진특징으로 나누어 연 구하였다. 1. 여성(female) 의복의 규범에 있어서 여자는 남자보다 좀 더 많은 자유가 허용되므로 개성과 동조성과의 균형을 미묘하게 맞출 수 있다. 137) 의복의 변화는 사 회적 역할 변화와 관계되었으며 성역할의 차이가 감소될수록 여성의 의복 과 외모는 더 남성적이 되어 남성의 외모와 유사해졌는데, 이는 여성들이 그들의 외모에 남성적 요소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 남성들은 그들의 외모에 여성적 요소를 여성만큼 많이 채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역 할 변화와 의복 변화의 관계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극적이었으며, 이 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 변화가 남성의 사회적 역할의 변화보다 더 역동적 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었다. 138) 사회적으로 여성들의 지위가 향상 137) 강혜원(2001). 앞의 책, p. 111. 138) 이현구. 앞의 책, p. 10. - 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