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7E3BDC2B4F62E687770>

Similar documents
<C3BBBCBAB3FAB0A3C0AFB9DFB9DDC0C020C0E7C7F6BCBAC0BB20C0CCBFEBC7D120BBE7C3BB20B0A8BAB02D312E687770>

Kbcs002.hwp

Lumbar spine

???? 1

( )Kjhps043.hwp

139~144 ¿À°ø¾àħ

1..

<37B1C733C8A3202E687770>

Ot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6):281-6 / pissn / eissn Sho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12): 하는 반면 등 소음 자체를 얼마나 수용할 수 있는지 측정하는 것도 임상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용소음레벨 은 목표 이야기 와 배경 화자 잡음 을 들려주어 청취

Can032.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황지웅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012임수진

00유발전위-부속

04_이근원_21~27.hwp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44-4대지.07이영희532~

< C3D6C1BEC0FC295FC5C2B9CEBCF6C1A45FC7F6C1A42E687770>

433대지05박창용

09구자용(489~500)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DBPIA-NURIMEDIA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노영남

<C0FCC3BC20C6E4C0CCC1F620C6D1BDBA20C0CEBCE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1-16 DOI: * A Study on Good School

Microsoft Word doc

,......


KISEP Reviews Korean J Audiol 6(1):9-13, 2002 TEOAE 를이용한신생아청각선별검사의의의 문성균 1 박홍준 2 박기현 1 Significance of Newborn Hearing Screening Program Using TEOAE S

<30372EC0CCC0AFC1F82E687770>

Crt114( ).hwp

005송영일

12이문규

의사소통장애(1~7)

<35335FBCDBC7D1C1A42DB8E2B8AEBDBAC5CDC0C720C0FCB1E2C0FB20C6AFBCBA20BAD0BCAE2E687770>

<35BFCFBCBA2E687770>

개인용전기자극기의 안전성및성능평가가이드라인

±èÀº¿µ³»Áö9-191š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

<313020C1A4BFECBAC03433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Microsoft Word doc

45-51 ¹Ú¼ø¸¸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5B D B3E220C1A634B1C720C1A632C8A320B3EDB9AEC1F628C3D6C1BE292E687770>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Jksvs019(8-15).hwp

16(2)-7(p ).fm

( )Jkstro011.hwp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Jkcs022(89-113).hwp

DBPIA-NURIMEDIA

본문

서론 34 2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30322EBABBB9AE2E687770>

03이경미(237~248)o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Microsoft Word - LAB_OPamp_Application.doc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Jkbcs016(92-97).hwp


04조남훈


M Chae et al. ASR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청각 장애인은 말 산출 기관의 기질적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건청인과는 다른 말 산출의 특성을 보인다 첫째 청각 장애인은 말 산출 시에 흡기와 호기류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즉 발화시 건청인에

DBPIA-NURIMEDIA

16(1)-3(국문)(p.40-45).fm

- 2 -

歯1.PDF

이용석 박환용 -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 변화 연구.hwp

09È«¼®¿µ 5~152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03-서연옥.hwp

<B7CEC4C3B8AEC6BCC0CEB9AEC7D B3E23130BFF9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Transcription: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동아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 제 12 권, 제 3 호, 532-543. 배경및목적 : 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에서자극잡파는유발전위분석에가장큰방해요인이다. 그러나자극특성을직접적으로표현하기도한다. 따라서자극잡파양상은인공와우전극의상태를예측하는데아주좋은단서가될수있다. 이연구는전극상태예측에있어서자극잡파의유용성을알아보고자한다. 방법 : 대상은인공와우이식후다양한평가에서정상을보였던소아 1 명과전극고장으로재수술한소아및성인 1 명, 전극 - 조직저항에서일부이상을보인소아 2 명과성인 1 명으로하였다. 이연구는자극잡파를청신경유발전위및전극 - 조직저항과비교하여전극상태를후향적으로분석하였다. 결과 : 자극잡파는청신경활동전위가기록되지않거나비정상전극 - 조직저항에서전극고장유무확인, 전극삽입위치확인, 그리고와우관내이물존재등을확인할수있었다. 논의및결론 : 자극잡파는, 전극 - 조직저항이나청신경유발전위로는확인할수없는전극의상태를알수있게해준다. 따라서, 인공와우이식후청각적수행력이낮은환자들에게, 집중적평가도구로활용할수있을것이라기대한다. 핵심어 : 인공와우, 전극고장, 전극상태, 자극잡파, ECAP, EABR, NRT, ART Ⅰ. 서론 인간의청각기관은공기압력의변화인소리를뇌가수용할수있는생체전기에너지형태로변환하고증폭한다. 청각기관에서에너지형태는중이의이소골에서공기압력이기계적인에너지로일차변환하고내이에서수력에너지로변환한후, 유모세포에서다시생체전기에너지로변환한다. 감각성난청은유모세포의손상으로생체전기에너지를만들지못하는데서오는것이다. 청력손실의보상은보청기가일반적이나그정도가심할경우인공와우를시술하고있다. 인공와우는일정한간격으로배열된여러개의전극을림프로가득찬와우관내부고실계에삽입하여청신경에직접전기를자극하는장치이다. 전극에서발생한구형파전류는청신경말단에서자극잡파와활동전위를발생하여구심성경로를통해신경정보를뇌로전달한다. 청각전기생리학적측면에서는구형파에 게재신청일 : 2007년 7월 22일 ; 최종수정일 : 2007년 9월 5일 ; 게재확정일 : 2007년 9월 17일 교신저자 : 허승덕, 동아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부산광역시서구동대신동3가 1번지, e-mail: audiolog@donga.ac.kr, tel.: 051-240-5422 c 2007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http://www.kasa1986.or.kr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의한자극잡파보다구심성경로에서발생하는유발전위에관심을두고있다. 유발전위는청신경의상태를예측하여어음처리기조절에유용한정보로사용할수있다. 자극잡파는청성유발반응에서청신경전달경로에서유발되는전위가나타나기직전진폭이매우큰파형으로기록할수있으나청성뇌간유발반응의파형분석과정에서는고려하지않고분석에방해요인으로본다. 그러나자극잡파의위상과진폭을이용하면전극에서출력되는구형파에대한특성을알수있어서전극의전반적상태를예측할수있다. Almqvist, Harris & Jönsson (1993) 은자극잡파를이용하여 Nucleus 22 (Cochlear Ltd., Australia) 의전극이상을보고하였고, 허승덕외 (2007) 는전극의고장평가에자극잡파를이용할것을제안하였다. 이연구는인공와우시술후시행하는여러가지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와전극-조직저항그리고자극잡파를서로비교분석하여전극의상태를평가하고그유용성을알아보고자한다. Ⅱ. 연구방법 대상자는남아 1명, 여아 3명, 성인남자 1명, 성인여자 1명등모두 6명으로하였다. 대상자들은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에서이상이관찰되지않았던소아 1명 ( 남, 3세 7개월 ; 이하 N), 고장으로재수술을받은소아 1명 ( 여, 11세 ; 이하 M1) 과성인 1명 ( 남, 39세 ; 이하 M2) 그리고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에서부분적이상이관찰되었던성인 1명 ( 여, 53세 ; 이하 S1) 과소아 2명 ( 여, 5세 3개월 ; 이하 S2; 여, 4세 1개월 ; 이하 S3) 등이었다. 소아 4명은모두언어습득이전부터고도이상의난청이있었고, 보청기를통한청각재활에서수행력개선이나타나지않아인공와우를이식받았다. 대상자 S2는와우기형으로 11개의전극만삽입되었다. 이들대상자중에서 M1의경우첫수술은 5세 8개월에받았으며, 이후 4년 3개월째전극고장이발생했다. M2는초등학교 4학년경청력손실을자각한진행성난청으로외부기관에서이식한인공와우는 9개전극만삽입된상태로있다가 11년 7개월째고장을확인했다. 성인여자는언어습득후난청으로 11년동안보청기를이용하여제한적인도움을받다가인공와우를이식받았다. 청각학적평가는어음처리기상태, 전극-조직저항 (electrode-tissue impedance telemetry), 전기자극청신경복합활동전위 (electrical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 이하 ECAP), 자극잡파, 전기자극청성뇌간유발반응 (electrical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EABR, 이하 EABR) 등을대상자에따라선택적으로시행하였고, 재수술을받은두명의대상자들은술전및술후언어평가를추가로시행하였다. 어음처리기상태는 3번부터 22번전극의저항이 5kΩ이하 ( 범위 : 1.02~2.44), 1, 2번전극은단선으로표시되는 Implant Emulator (Cochlear Ltd., Australia) 와 Impuls Detector (Medel Medical Electronics, Austria) 로평가하였다. 전극-조직저항과 ECAP는 Cochlear 사 MAP 프로그램 Custom Sound Ver. 1.3 과 Programming Pod N530 (Cochlear Ltd., Australia), Medel사 MAP 프로그램 Maestro Ver. 1과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532-543 Diagnostic Interface Box Ⅱ(Medel Medical Electronics, Austria) 를이용하였다. 자극잡파와 EABR 은 Cochlear사프로그램 WinDPS Ver. R116.02 및 CPS와 IF5+PCI (Cochlear Ltd., Australia) 로전기를자극하고유발전위검사장치 Viking Select (Nicolet, USA) 로기록하였다. 전기자극은 11 Hz의빈도로 1초씩자극하고대기하는방식양위상구형파를어음처리기 SPrint (Cochlear Ltd., Australia) 로주었고, 방식으로자극잡파와 EABR을, CG 방식으로자극잡파를기록하였다. 자극강도는 방식의경우지속시간이각각 25 μs인 100 current level (CL, 75.8 μa ), CG 방식의경우지속시간이각각 50 μs인 100~130 CL (~139.2 μa ) 를사용하였고, 같은조건의 MP1 + 2를 100 CL부터 10 CL씩올려가며 EABR의 V파출현을확인한후, 이보다 30 CL 높은강도까지자극하였다. 이때이식된전극-조직저항은모든전극에서 4~16 kω범위, 기록전극의피부접촉저항은 5kΩ이하였고자극반대쪽에서전위를수집하였다. 수집한전위는 150 Hz에서 3,000 Hz범위의대역필터를통과시켜자극전 1ms부터자극후 9ms까지 20회전후로평균가산하였다. Ⅲ. 연구결과 어음처리기상태평가는대상자 S2에서시행하지못했으며, 대상자 M2를제외한대상자모두에서그림 1과같이정상결과를얻었다. 대상자 M2는고장확인과정에서정상으로작동하는어음처리기를이용하여교차점검하였고, 재수술후시행한어음처리기상태는 Impuls Detector를이용하여육안으로정상을확인하였다. 전극-조직저항에서대상자 S1은시술중및시술후 4주째평가에서단선및합선으로추정되는반응이일부전극에서관찰되었으나 (< 그림 -2> 상단 ) 같은날시행한평가에서모두 4~12 kω범위로나타났다 (< 그림 -2> 하단 ). 대상자 S3은술후 4 주째평가에서 9번전극이 100 kω이상을보여단선으로추정할수있었으나술후 2개월부터낮아지기시작하여 6개월째 11.5 kω으로낮아졌다 (< 그림 -4>). 나머지대상자는모두 4~16 kω에서나타났다 (< 그림 -2> 하단및 < 그림 -3> 상단 ). < 그림 - 1> 정상어음처리기의평가결과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 그림 - 2> 대상자 S1 의술후 4 주째반복시행한전극 - 조직저항 Intra OP switch ON < 그림 - 3> 대상자 M2 의술중 ( 상단좌측 ) 및술후 4 주째 ( 상단우측 ) 전극 - 조직저항과전도전압 ( 하단 ) < 그림 - 4> 대상자 S3 의술후전극 - 조직저항변화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532-543 Number of electr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MP1 2, current level 100, PW 25 CG, current level 130, PW 50 50 0.5 < 그림 - 5> 재수술전시행한 M2 의 및 CG 방식에서자극잡파 Number of electr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MP1 2, current level 100, PW 25 CG, current level 130, PW 50 50 0.5 < 그림 - 6> 재수술후시행한 M1 의 및 CG 방식에서자극잡파 Number of electr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MP1 2, current level 100, PW 25 50 CG, current level 130, PW 50 < 그림 - 7> S2 의 및 CG 방식에서자극잡파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ECAP는대상자 M2의재수술전검사에서두대의어음처리기를교차사용하여도관찰할수없었으나재수술후관찰되었으며, 대상자 S2의 1번부터 11번전극과대상자 S3의 9번전극을제외한모든대상자와전극에서관찰할수있었다. 방식자극잡파는대상자 M1, M2 모두재수술전기록되지않았고 (< 그림 -5>), 재수술후정상으로기록되었다 (< 그림 -6>). 나머지대상자들은 < 그림 -6> 과같이모두정상으로기록되었다. CG 방식자극잡파는대상자 N과 S1, 그리고대상자 M1, M2의재수술후정상으로기록되었으나 (< 그림 -6> 의하단 ) 대상자 S2는 < 그림 -7> 의하단과같이 10번과 11번전극에서급격한위상반전이나타났다. EABR은대상자 M1, M2의재수술전평가에서모두기록되지않았으나 Cochlear사인공와우를이식받은대상자 M1은재수술후 Ⅴ파가명확하게기록되었다 (< 그림 -8>). Medel사인공와우를이식받은 M2는 EABR은시행하지못하고 ECAP로청신경반응을정상으로확인하였다. 대상자 S2 는 1번부터 11번사이의전극에서 EABR 파형이관찰되지않았으나나머지전극에서는잘관찰되었다 (< 그림 -9>). 다른대상자의 EABR은파형이모두기록되었다. M1의언어평가결과는고장을발견하기전마지막평가에서 Ling 6 Sound 감지는가능하였으나변별은 음 과 아 만가능했고, PB-K 음소성적은 13%, 단어성적은 0% 였다. 재수술직전의성적은 Ling 6 Sound 감지와 쉬, 스 의변별이가능했고, PB-K 음소성적은 22 %, 단어성적은 0% 였으나재수술후 1년째성적은 Ling 6 Sound 감지와변별이모두가능했고, PB-K 음소성적은 56%, 단어성적은 28 % 를보였다. M2의언어평가성적은재수술직전 Ling 6 Sound 감지에서 아 와 우, 변별에서 아 만가능했고, PB-K 음소성적은 15%, 단어성적은 0% 였으나재수술후 6개월째성적은 Ling 6 Sound 감지와변별이모두가능했고, PB-K 음소성적은 76%, 단어성적은 50% 를보였다. Electrode No. 22 Electrode No. 6 250 CL Electrode No. 12 240 CL 240 CL 220 CL 200 CL 220 CL 220 CL 180 CL 180 CL 180 CL 150 CL < 그림 - 8> M1 의재수술후전기자극청성뇌간유발반응결과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532-543 Electrode No. 5 Electrode No. 10 200 CL Electrode No. 12 120 CL 150 CL 230 CL 210 CL 230 CL 170 CL 250 CL 250 CL 190 CL Electrode No. 16 110 CL 130 CL Electrode No. 20 120 CL Electrode No. 22 110 CL 150 CL 150 CL 130 CL 170 CL 150 CL 180 CL 170 CL 170 CL < 그림 - 9> S3 의전기자극청성뇌간유발반응결과 Ⅳ. 논의및결론 인공와우전극은어음처리기가분석하여보내온음성정보를청신경말단에전기로자극하며, 전극의상태는어음처리기조절과청각적수행력에크게영향을미친다. 만약, 이식자의청각적수행력이낮아지거나전기자극에대한역치와쾌적강도가자주변하면전극의고장을의심할수있다 (Medell et al., 2004). 인공와우전극고장은우리나라의경우 2.1% (9/430) 정도 (Kim et al., 2004) 이며, 재수술을통하여전극을교환해야하고, 재수술후에는청각및언어수행력이고장전의상태로되돌아오거나수술전보다좋아지는것으로보고하고있다 (Fayad et al., 2006; Kim et al., 2004; Oghalai, 2005). 전극고장은이식자에대한재수술을결정하여야하기때문에객관적이고고도로합리적이고타당한평가도구를사용하여야한다. 전기자극은신경원의안정막전압을순간적으로크게변화시키면서활동전위를발생한다. 자극잡파는신경전도와무관하게자극수용체에서발생하는전위로자극에의해안정상태전위가자극과동일한양상으로변하면서발생한다. 또기록과정에서는자극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잡파가발생한부위로부터생체전위를기록하기위해두피에부착한전극까지의전도매질의특성에의해서도달라진다 ( 정동근 서덕준, 2004). 따라서자극이직사각형모양의사각구형파일지라도유발전위기록장치에서는 < 그림 -6> 과같은파형으로나타난다. 청각전기생리학적전위들은자극강도에따라잠복시간과진폭은변화가나타난다 ( 허승덕외, 2005; Chatrain et al., 1984; Zimmer, 2002). 이들전위는자극강도를높일수록잠복시간은짧아지고진폭은높아진다. 자극잡파의잠복시간과진폭도자극강도에영향을받는다. 그러나수μs이내에나타나는자극잡파는잠복시간보다진폭이유용하다 ( 허승덕 최아현 강명구, 2006). 또전기자극강도가피검자의반응역치에이르지않더라도발생하기때문에가급적낮은것이좋다. 특히, 자극잡파특성을보고자할때는역치하자극이좋다. 선행연구에서전기자극에대한청신경의반응역치는폭이 75 μs인구형파를와우축신경을자극하였을때 150 μa (Badi et al., 2002) 이며, 이연구에서사용한자극강도는폭 25 μs의 100 CL (75.8 μa ) 와폭 50 μs의 130 CL (139.2 μa ) 로충분히낮은강도를자극하였다. 전극의상태을확인할수있는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도구들로는전극-조직저항검사, 전도전압검사, 신경반응원격검사등이있다 ( 허승덕 최아현 강명구, 2006). 이들검사에서전극-조직저항검사와전도전압검사는전극과와우관내조직과의접촉저항등을통해전극의비틀림이나단선, 합선등을알수있으나출력파형의특성을확인할수없어서정확한고장원인파악에는다소의어려움이따른다 (Medell et al., 2004). 또신경반응원격검사는부적절하더라도구형파가자극되면청신경복합활동전위가유발되고, 신경반응역치가높으면전극상태평가에한계가있다. 이연구의전극-조직저항에서대상자 S1의 12번전극의단선과 3번전극의합선은같은날반복검사하여정상으로관찰하였고 (< 그림 -2>), 대상자 S3의 9번전극의단선은 6개월까지추적하여정상범위인 11.5 kω까지낮아졌다 (< 그림 -4>). 이런변화들은수술과정에서와우관내부에발생한이물이나공기방울등이림프의생리적기능으로청소되었거나와우관내부에서전극의상태가전반적으로안정화되고있음을의미한다. 즉, 전극-조직저항만으로전극의단선이나합선을판단하는데한계가있고, 전도전압검사도전극-조직저항에의존하므로대상자 M2의술중결과처럼전압한계를이르더라도 (< 그림 -3> 하단좌측 ) 지속적인추적이필요하다. 대상자 S2의전극-조직저항과 방식자극잡파는정상적으로기록되었으나 CG 방식자극잡파는 10번과 11번전극에서위상이급격하게반전되어나타났다. 방식은와우관외부에이식된구형및디스크형전극과쌍을이루어전류를자극하기때문에고장이아니라면모든전극에서위상과진폭이같은잡파가나타난다. 그러나 CG 방식은인공와우전극중하나를활성전극으로하면나머지전극들이기준전극으로하여전류를자극한다. 대상자 S2처럼전극이부분삽입되면일부전극이절개 (cochleotomy) 한와우골면에위치한다. 이로인하여활성전극과기준전극의역할이제한되고급격한위상변화가나타난다. 또 1번부터 11번전극에서 ECAP와 EABR가나타나지않은것은활성전극이와우관외부에위치하여와우축신경으로부터멀어지고, 전기전도저항이서로다른조직이나뼈등이전류흐름을방해하기때문으로해석할수있다 (< 그림 -7, 9>). 대상자 M1의

언어청각장애연구 2007;12;532-543 재수술후 CG 자극잡파는 4번전극에서위상의변화가있었으나대상자 S2와달리진폭이점차낮아지면서위상이바뀌고, 위상이바뀐후에는진폭이점진적으로커지는점에서차이가있다 (< 그림 -6> 의하단 ). CG 방식자극잡파의진폭은대상자 M1의 6번이후 (< 그림 -6> 의하단 ) 처럼 1μV전후를보인다. 그러나공동관 (common cavity) 등과같이와우기형이있거나전극이와우형태를따르지않고직선으로배열되면대상자 S2 (< 그림 -7> 의하단 ) 와같이진폭이높아지고진폭변화가커진다. 대상자 M2의재수술전 CG 방식자극잡파에서 11번전극이 100 CL의낮은전류에서허용전압을초과하는것은 (< 그림 -5>) 와우로삽입된전극은 22번부터 14번까지 9개이나인공와우전극사이의간격과와우골벽두께그리고절개부위를밀봉하면서생긴두께변화등을고려하면 13번과 12번이절개된와우골면에닿아있고, 11번이와우외부에서조직과접촉되지않았거나제한적인접촉만하고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고장으로재수술하였던 M1과 M2의언어평가성적은술전에비해현저한개선이나타났으며, 이결과는전극의고장평가과정에서자극잡파기록및분석을포함한전기생리학적검사가매우유용함을시사한다. 인공와우이식에서자극잡파를포함한청각전기생리학적평가는어음처리기조절에필요한청각전기생리학적단서뿐만아니라전극의전반적인상태를예측하는데유용하다. 그러나일부검사결과만을이용하는것보다모든결과들을종합하여판단하는것이좋다. 특히, 전극-조직저항이높거나낮으면 방식자극잡파를이용하여합선또는단선여부를판단하는것이좋고, 와우기형이있거나전극이부분삽입되었다면 와 CG 방식자극잡파를이용하여전극의상태를평가하는것이좋다. 결론적으로자극잡파는전극에서출력한구형파자극특성을그대로표현하는것으로펄스폭 25 μs 100 CL (75.8 μa ) 또는 50 μs의 130 CL (139.2 μa ) 이하로역치하자극인매우낮은전류강도를사용하며, 수면등의특별한처치가필요하지않고, 빠르고쉽게기록할수있는장점이있다. 이에비하여전극의고장이나뒤틀림, 삽입위치또는수술과정에서발생한이물에의한일시적장애등을판단하는데매우유용한정보를얻을수있다. 따라서청각적수행력이낮아진인공와우이식자에대한집중적평가과정에서는전기자극으로유발되는청신경전위와자극잡파를함께이용하는것이유용하다. 참고문헌 정동근 서덕준 ( 공역 )(2004). 생명과학을위한인체물리. 서울 : 한승. 허승덕 김상렬 안중기 정동근 강명구 (2007). 인공와우이식자에서자극잡파를이용한고장평가. 음성과학, 14(2), 35-42. 허승덕 정동근 서덕준 김광년 김기련 강명구 김리석 (2005). 정상성인에서청성유발피부전위. 음성과학, 12(2), 81-88.

허승덕 강명구 박영덕 이현직 최아현 / 인공와우이식후전극상태평가 허승덕 최아현 강명구 (2006). 재활청각학-인공와우, 보청기, 양이청취. 서울 : 시그마프레스. Almqvist, B., Harris, S., & Jönsson, K. E. (1993). Electrical brain stem responses in cochlear implant patients. Advances in Otorhinolaryngology, 48, 130-135. Badi, A. N., Hillman, T., Shelton, C., & Norman, R. A. (2002). A technique for implantation of a 3-dimensional penetrating electrode array in the modiolar nerve of cats and humans. Archives of Otolaryngology, 11, 449-454. Chatrain, G. E., Wirch, A. L., Edward, K. H., Lettich, E., & Snyder, J. M. (1984). Cochlear summating potential recorded from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of normal humans: Amplitude-intensity function and relationship to auditory nerve action potential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59, 396-410. Fayad, F. N., Eisenberg, L. S., Gillinger, M., Winter, M., Martinez, A. S., & Luxford, W. M. (2006). Clinical performance of children following revision surgery for a cochlear implant.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34, 379-384. Kim, C. S., Chang, S. O., Oh, S. H., & Lee, H. J. (2004). Complications in cochlear implantatio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3, 145-148. Madell, J., Hoffman, R., Sislian, N., Ozdamar, S., Franck, K., Parisier, S., & Kessler, M. A. (2004). Soft failures with cochlear implants.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3, 162-166. Oghalai, J. S. (2005). Revision cochlear implantation after device failure. Operative Techniques i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6, 146-148. Zimmer, H. (2002). Habituation and recovery of a slow negative wave of the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43, 225-235.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532-543 ABSTRACT Evaluation of Stimulus Artifacts to Determine the Electrode Statu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Seung-Deok Heo, Myung-Koo Kang, Young-Deok Park, Hyun-Jik Lee, Ah-Hyun Choi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Background & Objectives: In an auditory neuroelectrophysiologic study, a stimulus artifact can be one of the biggest interferences in evoked potential analysis, however, the stimulus artifact is individually represented b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Accordingly, the patterns of a stimulus artifact can provide an indication for the prediction of the electrode array status in cochlear implant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evaluating the electrode array status by analyzing a stimulus artifact after cochlear implantat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a normal child with respect to electrophysiological status, a girl and an adult with re-implantation, and two children and one adult with a partially abnormal finding in an electrode-tissue impedance evaluation. This study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stimulus artifacts with the patterns of auditory evoked potential and electrode-tissue impedance. Results: Stimulus artifacts were related to the action potentials in the auditory nerve, to the detection of electrode breakdown in abnormal electrode-tissue impedance, and to the electrode position and existence of a foreign body in the cochlear duct. Discussion & Conclusion: The type of stimulus artifact could determine the electrode status in cases of abnormal electrode-tissue impedance that lacks confirmation with auditory evoked potentials. We expect that the stimulus artifact will be a useful audiological evaluation tool for a patient who shows poor audiological performance with their impla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07;12;532-543) Key Words : cochlear implant, device failure, stimulus artifact, ECAP, EABR, NRT, ART References Almqvist, B., Harris, S., & Jönsson, K. E. (1993). Electrical brain stem responses in cochlear implant patients. Advances in Otorhinolaryngology, 48, 130-135. Badi, A. N., Hillman, T., Shelton, C., & Norman, R. A. (2002). A technique for implantation of a 3-dimensional penetrating electrode array in the modiolar nerve of cats and humans. Archives Received July 22, 2007; final revision received September 5, 2007; accepted September 7, 2007. Correspondence to Seung-Deock Heo, PhD, Departmaent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ongdaeshin-dong-3ga 1, Seo-gu, Busan, Korea, e-mail: audiolog@donga.ac.kr, tel.: +82 051 240 5422 c 2007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http://www.kasa1986.or.kr

Heo et al. / Evaluation of Stimulus Artifacts to Determine the Electrode Statu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of Otolaryngology, 11, 449-454. Chatrain, G. E., Wirch, A. L., Edward, K. H., Lettich, E., & Snyder, J. M. (1984). Cochlear summating potential recorded from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of normal humans: Amplitudeintensity function and relationship to auditory nerve action potential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59, 396-410. Fayad, F. N., Eisenberg, L. S., Gillinger, M., Winter, M., Martinez, A. S., & Luxford, W. M. (2006). Clinical performance of children following revision surgery for a cochlear implant.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34, 379-384. Heo, S. D., Choi, A. H., & Kang, M. K. (2006). Rehabilitative audiology: Cochlear implant, hearing aids, binaural hearing. Seoul: Sigma Press. Heo, S. D., Jung, D. K., Suh, D. J., Kim, G. N., Kim, G. R., Kang, M. K., & Kim, L. S. (2005). Auditory evoked skin potential in normal subjects. Speech Sciences, 12(2), 81-88. Heo, S. D., Kim, S. R., Ahn, J. K., Jung, D. K., & Kang, M. K. (2007). Evaluation of the device failure using stimulus artifact in the cochlear implantee. Speech Sciences, 14(2), 35-42. Jung, D. K., & Suh, D. J. (2004). Physics of the body. Seoul: HanSeung. Kim, C. S., Chang, S. O., Oh, S. H., & Lee, H. J. (2004). Complications in cochlear implantatio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3, 145-148. Kim, C. S., Chang, S. O., Oh, S. H., & Lee, H. J. (2004). Complications in cochlear implantatio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3, 145-148. Madell, J., Hoffman, R., Sislian, N., Ozdamar, S., Franck, K., Parisier, S., & Kessler, M. A. (2004). Soft failures with cochlear implants.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73, 162-166. Oghalai, J. S. (2005). Revision cochlear implantation after device failure. Operative Techniques i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6(2), 146-148. Zimmer, H. (2002). Habituation and recovery of a slow negative wave of the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43, 225-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