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패러다임을변화시키고있다. 그러나이러한스마트폰의순기능적인측면의또다른면에는음란 유해애플리케이션접촉, 허위정보유포, 게임중독, 스마트폰중독과같은역기능적인측면들이대두되고있다 [2]. 스마트폰중독은특정한행위나활동에의존하는행위중독의일종으로스마트폰사용에몰

Similar documents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서론 34 2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歯14.양돈규.hwp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DBPIA-NURIMEDIA


untitle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DBPIA-NURIMEDI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색및일반적인웹서핑등의 자료및정보습득 (99.0%), 메신 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등의 커뮤니케이션 (97.5%), 게임, 비디오, 음악플레이등


1..


歯5-2-13(전미희외).PDF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2382D3320C1F6BFAABBE7C8B8B0A3C8A320B3EDB9AE2DC3D6C1BE2E687770>

<33345FC0FCC7D8BFC12DBCBABAB0BFA120B5FBB8A520B4EBC7D0BBFDC0C72E687770>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 ), (,,,, ),,. 559 ( 205, 203, 151; 132, 427).,,,.,.,,,,.,,,,..,. :,, ( )

,......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5): Print ISSN 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 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35BFCFBCBA2E687770>

교육치료연구 SNS : SNS SNS SNS SNS, SNS, SNS. SPSS MACRO SNS., SNS SNS. SNS, SNS,. SNS SNS,. (2016) (Corresponding Author) : / / 608 / Te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A Study on the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공공기관임금프리미엄추계 연구책임자정진호 ( 한국노동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구원오호영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연구위원 ) 연구보조원강승복 ( 한국노동연구원책임연구원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정책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된것으로서, 본연구에서제시된의견이나대안등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012임수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A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5차 편집).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Lumbar spine

05_최운선_53~67,68.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서론

139~144 ¿À°ø¾àħ

<332EC0E5B3B2B0E62E687770>

<30322DC8ABBBEFBFAD2E687770>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DBPIA-NURIMEDIA

KIM Sook Young : Lee Jungsook,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Nurse during the 이며 나름 의식이 깨어있던 지식인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을 받은 간 호부들은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직업적 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04_이근원_21~27.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02Á¶ÇýÁø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3 pp. 1632-1640, 201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632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조규영 1, 김윤희 1* 1 부경대학교간호학과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Gyoo-Yeong Cho 1 and Yun-Hee Kim 1* 1 Department of Nurs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요약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규명하여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한효과적인중재프로그램을개발하는데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수행되었다. 자료는 2013년 4월 29일부터 5월 16일까지대학생 354명으로부터수집되었으며수집된자료는 t-test와다중회귀분석으로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고위험사용자군은 6.2%, 잠재적위험사용자군은 21.2% 로스마트폰중독률이 27.4% 로나타났다. 대학생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조사해본결과, 일반적특성에는성별, 주중및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유무,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 주요변수에서는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으로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 (β=0.149, p<.001),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β=0.292, p=.001),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β=0.390, p<.001),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이있을수록 (β=0.148, p<.001), 스마트폰사용중사고가있을수록 (β=0.133, p=.002), 사회성이낮을수록 (β=-0.099, p=.029), 충동성이높을수록 (β=0.211, p<.001), SNS 중독정도가높을수록 (β=0.376, p<.001) 대학생스마트폰중독가능성이높은것으로예측되었으며모형설명력은 43.3% 였다. 따라서대학생스마트폰중독을효과적으로예방하기위해서는이러한영향변인들을고려하여중독정도에따른차별화된중재전략을개발 적용하는것이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4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smartphone addiction rate was 27.4%, which the high risk group rate was 6.2% and potential risk group rate was 21.2%. The significant 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were gender(β=0.149, p<.001),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β=0.292, p=.001),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end(β=0.390, p<.001), wrist pain in using smartphone(β=0.148, p<.001), accident in using smartphone(β=0.133, p=.002), sociality(β =-0.099, p=.029), impulsiveness(β=0.211, p<.001), SNS addiction(β=0.376,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3.3% of the variance in smartphone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considering thes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Key Words : Smartphone addiction, Ego-resilience, Sociality, Impulsiveness, SNS addiction. 1. 서론 정보통신및디지털미디어기술의발달은우리사회에커다란변화를가져왔다. 이중스마트폰은 2009년에처음도입된이후 3년만에가입자수가 3,000만명을넘 어서는폭발적인성장세를보이고있으며, 특히 20-30대에서스마트폰사용률이높은것으로알려져있다 [1]. 언제어디서나사용가능하여생활의일부가되고있는스마트폰은검색, 교통, 정보획득, 업무수행, 사회적관계형성, 여가활동등을동시에해결하면서일상생활전반의 * Corresponding Author : Yun-Hee Kim(Pukyong National Univ.) Tel: +82-51-629-5783 email: soohappy@pknu.ac.kr Received January 29, 2014 Revised (1st February 14, 2014, 2nd February 21, 2014) Accepted March 6, 2014 1632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패러다임을변화시키고있다. 그러나이러한스마트폰의순기능적인측면의또다른면에는음란 유해애플리케이션접촉, 허위정보유포, 게임중독, 스마트폰중독과같은역기능적인측면들이대두되고있다 [2]. 스마트폰중독은특정한행위나활동에의존하는행위중독의일종으로스마트폰사용에몰입하여이에대한통제력을상실함으로써부정적인결과에도불구하고지속적으로사용하는것을말한다 [3]. 시간과장소에관계없이사용자취향에맞춰기능을확장할수있는스마트폰의인터페이스특성을고려할때스마트폰중독은앞으로더심화될가능성이높다 [4]. 스마트폰사용에있어학교와가정에서어느정도규제가있는청소년기와는달리성인초기에진입하면서이러한제재들이많이완화된대학생의경우특히스마트폰중독에대한문제는더심각할것이라고생각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만 10세 -49세스마트폰이용자를대상으로실시한 2012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에따르면전체스마트폰중독률은 11.1% 로전년대비 2.7%p 증가하였고, 대학생이포함된 20대의스마트폰중독률은 13.6% 에달하는것으로나타났다 [2]. 대학생시기의스마트폰중독은우울, 불안, 음란물탐닉과같은정신건강문제 [4,5], 부정적인대인관계형성및사회성발달저해 [6] 와함께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증후군, 상지통증, 척추측만증의신체적문제를야기하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가능성도높이는것으로나타났다 [8]. 이러한문제점과함께모바일게임이나 SNS(Social Network Service) 가스마트폰몰입도를더욱높이고있는상황에서, 자신의생활을스스로조절해야하는대학생시기가인터넷을비롯한매체중독에노출될위험이높다는것과중독의습관성을감안한다면 [9], 대학생들이스마트폰을올바르고안전하게사용하여성인초기의발달과업을잘이룰수있도록스마트폰중독을예방하는대책마련이시급한실정이다. 그러나대학생의스마트폰사용률이급증함에따라많은문제점이발생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스마트폰중독에관한연구는아직시작단계에있어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한중재전략을펼치는데어려움이있다. 이에스마트폰중독을예방하기위한실천적방안을모색하기위해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어떤요인들이영향을미치는지에대한탐색적접근이필요하다고본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선행연구들을살펴보면, 자기통제력이스마트폰의중독에영향을미칠수있는요소로나타났다 [9,11]. 중독적인행동성향을가진사람들의공통적인특성으로높은충동성을들수있으며 [12], 자기통제력이낮다는것은충동 성이높은것을의미하는것으로, 청소년의경우충동성이스마트폰중독을설명하는중요한성격적요인으로나타났다 [13]. 또한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성향이강할수록대인관계가좋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6,11]. 이와같은맥락으로청소년의스마트폰중독이높을수록사회성발달이낮은것으로보고되고있어 [10,13], 대학생의경우도사회성이스마트폰중독에유의한영향을미칠것으로생각된다. 자아탄력성은심각한위험에노출되었음에도불구하고성공적으로다시회복하는능력으로자아탄력성이인터넷중독과유의미한부적상관관계를나타내고있으므로 [14], 자아탄력성과스마트폰중독의관련성을규명함으로써스마트폰중독을예방하는데있어자아탄력성을강화시키는중재전략개발에요구되는근거자료를확보할수있다고본다. 그리고스마트폰을이용하는주목적이모바일메신저와 SNS 사용임을고려해볼때 [2], SNS 중독이스마트폰중독과밀접한관계가있을것으로유추해볼수있다. 그러나지금까지의대학생을대상으로한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과관련된연구들을살펴보면, 대부분의스마트폰중독에관한연구들이청소년을대상으로하고있으며 [10,13,14], 대학생을대상으로한연구도일부정서적변수들에국한되어있어 [6,11]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어떠한요인들이영향을미치는지에대하여포괄적으로파악한연구가부족한실정이다. 이에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자아탄력성, 충동성, 사회성, SNS 중독의측면에서규명함으로써스마트폰중독을실제적으로예방할수있는중재프로그램개발에필요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수행되었다. 본연구의구체적인목적은첫째, 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스마트폰중독의차이를파악하고, 둘째, 대상자의스마트폰중독과주요변인과의상관관계를파악하고, 셋째, 대상자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는것이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규명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2.2 연구대상본연구의대상자는 B광역시에소재한 2개의 4년제대학교에재학중인대학생을대상으로편의추출하였다. 163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3 호, 2014 연구대상자선정기준은의사소통이가능하여본연구의목적을이해하고연구에참여하기를동의한자중스마트폰을사용하고있는자로하였다. 본연구대상자의크기는회귀분석에필요한수를산출하였다. G*Power (3.1.5) 프로그램을이용하여유의수준 α=.05, 중간정도인효과크기 =.12, 검정력 =.95, 독립변수 11개를포함하였을때 233명으로산정되었다. 설문지회수율을고려하여 380명에게설문지를배부하였으며이중자료가미비한경우 26명의자료를제외한 354명이최종분석에포함되었다. 2.3 연구도구 2.3.1 스마트폰중독스마트폰중독척도는 2011년에한국정보화진흥원의인터넷중독대응센터에서개발한성인용스마트폰중독진단척도를이용했다 [15]. 스마트폰중독척도는일상생활장애 5문항, 가상세계지향성 2문항, 금단 4문항, 내성 4문항의총 4요인 15문항으로 4점 Likert 척도로구성되어있다. 스마트폰중독도구개발당시의신뢰도 Cronbach s α는.88이었으며본연구에서 Cronbach s α는.88이었다. 2.3.2 자아탄력성자아탄력성은 Block, Kermen[16] 이개발한척도를 Yoo, Hong, Choi[17] 가번역하고수정한도구를사용하였다. 나는갑자기놀라는일을당해도금방괜찮아지고그것을잘이겨낸다 등의 14개문항으로구성되었고, 전혀그렇지않다 는 1점, 매우그렇다 는 4점으로 4점 Likert 척도로점수범위는 14점에서 56점까지분포되어있으며점수가높을수록자아탄력성이높은것을의미한다. Yoo, Hong, Choi[17] 의연구에서는신뢰도 Cronbach's α는.67이었고본연구에서의신뢰도 Cronbach s α는.78이었다. 2.3.3 사회성사회성은 Suh, Hwang[18] 이개발한심리사회성숙측정도구중사회적성숙성에관한 25문항으로측정하였다. 이척도는대인관계 7문항, 자신감 8문항, 사교성 10문항으로각문항에대하여 전혀그렇지않다 는 1점, 매우그렇다 는 5점으로 5점 Likert 척도로구성되어있으며점수의범위는최저 25점에서최고 125점으로점수가높을수록사회성이높은것을의미한다. Suh, Hwang[18] 의연구에서신뢰도 Cronbach s α는.77이었고, 본연구의신뢰도 Cronbach s α는각요인별로.78,.76,.78, 전체는.83이었다. 2.3.4 충동성충동성은 Barratt, White[19] 가개발한충동성척도 (Barratt Impulsiveness ScaleⅡ, BISⅡ) 를 Lee[20] 가번안한것으로측정하였다. 무계획충동성 9문항, 운동충동성 8문항, 인지충동성 7문항으로총 23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각문항에대해 전혀그렇지않다 1점, 매우그렇다 4점의 4점 Likert척도로점수가높을수록충동성이높음을의미한다. Lee[20] 의연구에서신뢰도는각요인별 Cronbach s α가무계획충동성.66, 운동충동성.74, 인지충동성.59, 전체.84이었으며본연구에서는각요인은.72,.73,.72이었으며전체는.86로나타났다. 2.3.5 SNS 중독 SNS 중독은 Oh[21] 가 Young[22] 의인터넷중독척도와한국정보화진흥원 [23] 이만든인터넷중독척도인 K척도에서 SNS와관련성이적은문항을삭제하고유사질문들을통합해만든척도로측정하였다. 모두 11문항으로각문항들은 전혀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4점까지의 4점척도로구성되어있다. 각문항의점수를합산하여점수가높을수록 SNS 중독정도가높은것을의미한다. Oh[21] 의연구에서 Cronbach's α는.89였고, 본연구에서는 Cronbach's α가.91이었다 2.4 자료수집방법자료수집은 2013년 4월 29일부터 5월 16일까지이루어졌다. 자료수집에앞서책임연구자가연구보조원을대상으로연구목적, 비밀보장등연구대상자에게설명해야할내용과서면동의서와관련된자료수집절차에대하여교육하였다. 연구보조원이연구대상자에게본연구의목적, 익명성, 비밀보장그리고학문적목적이외의사용금지와언제라도본인이원하지않으면설문응답을하지않을수있음에대한설명을하고연구에자발적참여를동의한대상자를중심으로서면동의서를받은후설문지작성요령을안내하였다. 연구대상자의윤리적측면을고려하여설문지는무기명으로하였으며, 대상자가작성한설문지를봉투에넣어연구자가직접회수하였다. 2.5 자료분석방법수집된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이용하여유의수준 5% 에서양측검정하였고구체적인자료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첫째, 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주요변수인자아탄력성,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은백분율, 평균과표준편차를이용하여파악하였다. 둘째, 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스마트폰중독정도의차이는 t-검증 1634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Table 1] Smartphone Addi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N=354) Variables Categories n(%)/m±sd Smartphone Addiction t p M±SD Gender Male 129(36.5) 28.35±6.41 4.668 <.001 Female 225(63.5) 33.58±6.86 Grade 1-2 172(48.6) 34.01±6.76 2.777.006 3-4 182(51.4) 31.96±7.10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 5hours 257(72.6) 32.29±7.39 2.966.003 >5hours 97(27.4) 34.74±5.50 4.18±3.18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end 5hours 196(55.4) 31.23±7.16 5.351 <.001 >5hours 158(44.6) 35.10±6.19 5.09±3.59 Wrist pain in using smartphone Yes 185(52.3) 34.69±6.84 5.302 <.001 No 169(47.7) 31.05±6.71 Visual disturbance in using smartphone Yes 155(43.8) 34.30±6.90 3.232.001 No 199(56.2) 31.91±6.92 Accidents in using smartphone Yes 117(33.1) 36.11±6.32 6.249 <.001 No 237(66.9) 31.40±6.81 Smartphone addiction score 39 257(72.6) Average use group 40-43 75(21.2) Potential risk group 44 22(6.2) High risk group 으로분석하였고, 셋째, 스마트폰중독과자아탄력성,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과의상관관계는피어슨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로분석하였고, 넷째, 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에따른스마트폰중독의차이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일반적특성에따른스마트폰중독의차이는 Table 1과같다. 연구대상자중여학생은 63.5% 였으며 1-2학년은 48.6%, 3-4학년은 51.4% 였다. 주중에일평균스마트폰을사용하는시간이 5시간초과하여사용하는경우는 27.4% 이며평균 4.18±3.18시간사용하였다. 주말에는평균 5.09±3.59시간사용하고일평균 5시간미만사용하는경우는 55.4% 였다. 스마트폰사용중에손목통증이있는경우가 52.3% 였으며, 스마트폰사용중시력장애가있는경우는 43.8% 였으며사고가난경험이있는경우는 33.1% 였다. 스마트폰중독점수가 39점이하인일반사용자군은 72.6% 이며, 40점에서 43점까지의잠재적위험사용자군은 21.2%, 44점이상의고위험사용자군은 6.2% 로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따른스마트폰중독의차이를보면, 여학생이남학생보다 (t=4.668, p<.001), 1-2학년이 3-4학년보다 (t=2.777, p=.006),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은군이적은군보다 (t=2.966, p=.003),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은군이적은군보다 (t=5.351, p<.001),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이있는군이적은군보다 (t=5.302, p<.001), 스마트폰사용중시력장애가있는군이적은군보다 (t=3.232, p=.001), 스마트폰사용중사고를경험한적이있는군이사고를경험한적이없는군보다 (t=6.249, p<.001) 스마트폰중독이유의하게높았다. 3.2 주요변수의기술통계 자아탄력성은 56점만점에평균 39.49±45.07점이었고, 사회성은 125점만점에평균 82.83±10.99점이었다. 충동성은 92점만점에평균 53.02±7.74점이었으며, SNS 중독은 44점만점에평균 18.94±6.09점이었다. 스마트폰중독은 60점만점에평균 32.96±7.00점이었다 [Table 2].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Main Variables (N=354) Variables Min. Max. M±SD Ego-resilience 24 56 39.49±45.07 Sociality 45 111 82.83±10.99 Impulsiveness 25 74 53.02±7.74 SNS addiction 11 39 18.94±6.09 Smartphone addiction 15 55 32.96±7.00 163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3 호, 2014 3.3 스마트폰중독과주요변수와의상관관계 대상자의스마트폰중독과주요변수의상관관계는 Table 3과같다. 스마트폰중독은자아탄력성 (r=-.083, p=.040), 사회성 (r=-.139, p=.005) 과는통계적으로유의한부적상관관계를나타내었고, 충동성 (r=.378, p<.001), SNS 중독 (r=.497, p<.001) 과는통계적으로유의한정적상관관계를보였다. [Table 3] Correlations between Main Variables and Smartphone Addiction (N=354) Variables Smartphone addiction r p Ego-resilience -.083.040 Sociality -.139.005 Impulsiveness.378 <.001 SNS addiction.497 <.001 3.4 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기위하여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는 Table 4와같다. 일반적특성에서스마트폰중독의유의한차이를보인변수인성별, 학년, 주중및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및시력장애유무,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와주요변수인자아탄력성,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을독립변수로설정하고스마트폰중독을종속변수로설정하였으며각변인의순수한영향력을볼수있도록일괄투입방식의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일반적특성에서명목척도인변수는가변수로처리하여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의기본가정인잔차의정규분포성, 선형성, 등분산성 을검증하기위하여잔차의정규 P-P도표, 산점도를확인하였다. 잔차의정규분포성을검증한결과, 잔차가 45도직전에근접함으로정규분포를나타내었으며, 잔차의부분산점도를분석한결과, 잔차들이모두 0을중심으로고르게분포하고있어서잔차의선형성및등분산가정이입증되었다. 변수에대한공차한계는 0.58에서 0.89로 0.1이상이었으며분산팽창계수는 1.31에서 1.74로 10보다작아다중공선성의문제는나타나지않아회귀분석의기본가정은모두충족되었다. 회귀분석결과, 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회귀모형은통계적으로유의하였으며 (F=25.528, p<.001), 모형의설명력은 43.3% 였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성별 (β =0.149, p<.001),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β =0.292, p=.001),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β =0.390, p<.001),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유무 (β =0.148, p<.001),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 (β=0.133, p=.002), 사회성 (β=-0.099, p=.029), 충동성 (β=0.221, p<.001), SNS 중독 (β=0.376, p<.001) 으로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사회성이낮을수록, 충동성이높을수록, SNS 중독정도가높을수록스마트폰중독가능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의회귀방정식은다음과같다. 스마트폰중독 =10.269+3.229* 성별 +0.825* 학년 +0.641*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0.760*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1.944*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유무 +0.028* 스마트폰사용중시력장애유무 +1.974*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 +0.092* 자아탄력성-0.063* 사회성 +0.191* 충동성 +0.432*SNS중독 [Table 4]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N=354) Variables B SE β t p Adj. R 2 F(p) Constant 10.269 4.113 2.497.013 Gender* 3.229 0.911 0.149 3.547 <.001 43.3 25.528(<.001) Grade* 0.825 0.586 0.059 1.406.161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 0.641 0.196 0.292 3.280.001 Average daily using time in weekend 0.760 0.173 0.390 4.395 <.001 Wrist pain in using smartphone* 1.944 0.553 0.148 3.516 <.001 Visual disturbance in using smartphone* 0.228 0.595 0.016 0.383.702 Accident in using smartphone* 1.974 0.634 0.133 3.111.002 Ego-regilince 0.092 0.062 0.067 1.487.138 Sociality -0.063 0.029-0.099-2.194.029 Impulsiveness 0.191 0.041 0.211 4.662 <.001 SNS addiction 0.432 0.049 0.376 8.855 <.001 * Dummy variables: Gender (Male: 0, Female:1), Grade(3-4: 0, 1-2:1), Wrist pain in using smartphone(no:0, Yes:1), Visual disturbance in using smartphone(no:0, Yes:1), Accident in using smartphone(no:0, Yes:1) 1636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4. 논의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규명하여스마트폰중독을위한효과적인중재전략을개발하는데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수행되었다.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고위험사용자군이 6.2%, 잠재적위험사용자군은 21.2% 로전체스마트폰중독률이 27.4% 로나타났다. 이는최근발표된 2012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에서본연구와동일한도구로측정한 20대의스마트폰고위험사용자군과잠재적위험사용자군이각각 2.9%, 10.7%, 전체가 13.6% 로본연구의중독정도가더심한것으로나타났다 [2]. 이러한결과는본연구의대상자는 20대초반이고, 기존조사의경우 20대연령전체를포함하고있기때문이라고생각된다. 이러한결과로보건대, 효과적인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해서는스마트폰중독정도에따라차별화된중재전략을마련하는것이필요하다고본다. 스마트폰중독정도가매우높은고위험사용자군에게는관련기관의전문적지원과집중치료를제공하고, 잠재적위험사용자군에게는중독과관련된정신건강분야의전문적인상담개입이필요하다고생각된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관련요인을파악하기위하여다중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 일반적특성에서는성별,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유무,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 주요변수에서는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는여학생이남학생보다스마트폰중독정도가유의하게높아성별이대학생스마트폰중독과관련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이러한결과는대학생 525명을대상으로스마트폰중독을파악한연구 [7] 와청소년의휴대폰중독을규명한선행연구 [24] 에서도여학생의스마트폰중독률이높게나타나본연구와일치하였다. 이는여성이남성에비하여스마트폰을통한지인들과의감정공유를중요시여기며, 스마트폰을도구적으로사용하기보다는정서적, 사회적교류관계에서스마트폰을타인과의의사소통을통한관계유지및형성의수단으로사용하는경향이높게작용하기때문이라는선행연구들 [7,24,25] 의해석을통해설명될수있다. 그러므로여학생들의경우관계유지의주요수단으로스마트폰을대체할수있도록동아리활동, 사회봉사활동등의직접적인사회적관계망을형성할수있는환경을조성하는것이필요하다고본다. 본연구에서주중및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이많을수록스마트폰중독정도가높게나타났다. 이는 2012년인터넷중독실태조사 에서전체적으로는일평균 4시간, 스마트폰중독자는일평균 7.3시간을이용한다는결과 [2] 와함께서울시가초, 중, 고, 대학생 1,600명을대상으로스마트폰중독현황을조사한결과에서도스마트폰중독사용자군의주말스마트폰사용시간이 9.8 시간으로일반사용자군의 5.6시간보다높게나타나 [26] 본연구와같은결과를보였다. 스마트폰사용시간을줄이기위하여스마트폰잠금기능을활용함으로써대학생스스로통제를시도하고친구를만나거나운동을하는등의대안활동을할수있는환경이요구된다.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이있는경우와스마트폰사용중사고가있는경우가스마트폰중독에유의한영향요인으로나타났다. 손목터널증후군은빈번하게나타나는스마트폰중독의후유증으로, 손목을구부린상태에서장시간스마트폰을사용하거나반복적으로화면을터치하면서손가락과손목을과도하게사용할경우발생하는것으로알려져있어 [7] 본연구와유사한맥락을보였다. 또한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를조사한선행연구가없어직접적비교가어려우나교통안전공단 [27] 의스마트폰사용이보행안전에미치는위험성에대한연구에서보행중스마트폰사용시사고위험이 76% 증가하는것으로나타나본연구결과를지지하였다. 이에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한교육프로그램구성시스마트폰사용에따른올바른자세와스마트폰사용중발생할수있는사고유형및예방 대처법에대한내용이포함될필요가있다고본다. 본연구에서사회성은스마트폰중독에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스마트폰과사회성의관련성을규명한기존연구들 [6,7,10,13] 에서도스마트폰중독정도가높은집단이그렇지않은집단에비해낮은사회성발달을보여본연구와같은결과를보였다. 스마트폰의중독적사용은대학생의직접적인대면상호작용을감소시킬수있다는점에서사회성발달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가능성이크다 [23]. 그러나이미스마트폰을통한관계형성이하나의문화로자리잡았기때문에대학생시기의사회성발달을증진시키기위한노력은온라인상에서뿐만아니라실생활에서대인관계기술및의사소통기술을향상시킬수있도록다양한기회를통해서도제공되어야할것이다. 본연구에서충동성은스마트폰중독에유의하게영향을미치는변수로나타났는데, 이는스마트폰중독수준이높은고등학생들에게서충동성이높게나타난연구 [13] 와일치하였고스마트폰중독수준이높은대학생의경우자기통제력이낮게나타난연구들 [6,11] 과는유사한 163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3 호, 2014 결과를보였다. 충동성이높을수록자기통제력이낮아져스마트폰중독으로의부정적인결과를초래한다는측면에서볼때, 대학생을위한스마트폰중독예방프로그램으로충동성을조절하고자기조절력을향상시킬수있는중재프로그램이효과적이라고본다. 본연구의 SNS 중독은스마트폰중독에있어중요한영향변수로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자의 77% 가스마트폰주이용목적이채팅, 트위터, 페이스북등의 SNS 이용으로나타나 [2] 본연구결과와같은맥락을보였다. 이러한현상은 SNS에글을올리거나문자메시지를주고받으며스마트폰사용에더몰입하게되어 SNS 중독이되면서 2차적으로는스마트폰중독으로이어져악순환이지속되기때문이라고본다. 그러므로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해절대적인시간에대한관리와함께내용적인측면에서의관리와교육이절실함을알수있다. 본연구에서는자아탄력성이스마트폰중독에유의한영향요인으로나타나지는않았다. 대학생의자아탄력성이스마트폰중독에미치는영향을파악한연구가없어직접적인비교는힘드나, 청소년을대상으로한연구 [14,28] 에서자아탄력성이인터넷중독과휴대폰과다사용에유의하게영향을미친다는연구결과와는차이가있어향후대학생의자아탄력성과스마트폰중독의관련성에대한심도깊은연구가필요한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는편의추출에의한일도시의 2개대학교에재학중인대학생을대상으로조사한자료이므로본연구결과를일반화시키는데는한계가있다. 또한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어떠한변수들이영향을미치는지에초점을둔것이므로변수간의정확한인과관계를고려하지않은점에제한점을둘수있다. 향후스마트폰의중독과관련이있는주요변수의하부영역을고려하여인과관계를명확히규명할수있는좀더총제적인연구를할것을제언한다. 그럼에도불구하고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신체적문제와심리정서적문제측면에서포괄적으로접근하였다는점에그연구의의가있다. 5. 결론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기위하여수행되었다.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고위험사용자군은 6.2%, 잠재적위험사용자군은 21.2% 로스마트폰중독률이 27.4% 로나타났다. 대학생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조사해본결과, 일반적특성에는성별, 주중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유무, 스마트폰사용중사고유무, 주요변수에서는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스마트폰중독의관련요인으로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 주중및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과주말일평균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스마트폰사용중손목통증이있을수록, 스마트폰사용중사고가있을수록, 사회성이낮을수록, 충동성과 SNS 중독정도가높을수록대학생스마트폰중독가능성이높은것으로예측되었다. 따라서대학생스마트폰중독을효과적으로예방하기위해서는이러한영향요인들을고려하여중독정도에따른차별화된중재전략을개발 적용하는것이필요하다. 본연구결과를토대로다음과같이제언하고자한다. 첫째, 대학생의특성을고려한스마트폰중독예방프로그램을개발하여적용한후그효과를검정하는연구를제언한다. 둘째, 스마트폰의중독과관련이있는주요변수를개인적인부분, 환경적인부분등의다각도측면에서규명할수있는총체적인연구를제언한다. References [1]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tatistics of smartphone users", http://www.itstat.go.kr/stat.it?no=1149, 2013. [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The survey of internet addiction",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4071, 2013. [3] Seo, C. M., Lee, J. H., Choi, T. Y., Kim, J. H., Shin, I. H., Woo, J. M., Study for 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nd Korea youth self report,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8(2), pp. 223-230, 2012. [4] Oh, K. T., Lee, J. E., The smart life revolu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ternal and Information Security, 3(4), pp. 21-43, 2012. [5] Han, J. L., Hur, G. 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8(6), pp. 138-165, 2004. [6] Choi, H. S., Lee, H. K., Ha, J. C.,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pp. 1005-1015, 2012. 1638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DOI: http://dx.doi.org/10.7465/jkdi.2012.23.5.1005 [7] Hwang, K. H., Yoo, Y. S., Cho, O. H.,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2(10), pp. 365-375, 2012. DOI :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8] Kim, D. H., Lee, K. E., Lee, Y. J., Cha, S. H., Lim, S. H., Won, C. Y.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ciety Maternity Child Health, 17(1), pp. 105-112, 2013. [9] Kim, B. N., Ko, E. J., Choi, H. 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pp. 67-98, 2013. [10] Kim, B. N.,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youth's sociality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3(4), pp. 208-217,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4.208 [11] Kim, N. S., Lee, K. E.,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pp. 72-83, 2012. [12] Jang, H. J., Chae, K. M.,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technological addiction: Cellular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pp. 839-852, 2006. [13] Kang, Y. H., Park, S. H.,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pp. 2013-2116, 2013. [14] Jang, J. N., Choi, Y. H., Pathways from family strengths and resilience to internet addiction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tres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pp. 375-388, 2012.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375 [1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16] Block, J., Kremen, A. M., "IQ and ego-resiliency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pp. 349-361, 1996. DOI : http://dx.doi.org/10.1037/0022-3514.70.2.349 [17] Yoo, S. K., Hong, S. H., Choi, B. Y.,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ttach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family risks and adap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pp. 393-408, 2004. [18] Suh, B. Y., Hwang, S. M., "Study on psychosocial maturi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Research of Student, 28(1), pp. 1-13, 1993. [19] Barratt, E. S., White, R.,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44, pp. 604-607, 1969. [20] Lee, H. S., "Impulsiveness test guide", Seoul: Hankook guidance, 1992. [21] Oh, Y. K., "A study on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essertation of Korean Counselling University, 2011. [22]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3, pp. 173-177, 1996. [2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youth and adult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6. [24] Koo, H. Y., Park, H. S., "Factors influencing cell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3), pp. 56-65, 2010. DOI :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1.56 [25] Kim, N. S., Lee, K. E.,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7(2), pp. 72-83, 2012. [2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survey of smartphone usage and addiction in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3. [27]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The study of walking safety in using smartphone", http://www.ts2020.kr/education/safety/safety/perform_sta tus.jsp, 2013. [28] Han, H. J., Yoon, M. S., "Influence of the stressors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mobile-phone overuse",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4, pp. 81-100, 2009. 163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5 권제 3 호, 2014 조규영 (Cho Gyoo-Young) [ 정회원 ] 1999년 8월 : 부산대학교대학원 ( 간호학석사 ) 2004년 2월 : 부산대학교대학원 ( 간호학박사 ) 2005년 9월 ~ 2010년 8월 : 마산대학간호과조교수 2010년 9월 ~ 2013년 8월 : 영산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2013년 9월 ~ 현재 : 부경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 관심분야 >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김윤희 (Kim Yun-Hee) [ 정회원 ] 1999년 8월 : 부산대학교교육대학원 ( 간호교육학석사 ) 2007년 8월 : 부산대학교대학원 ( 간호학박사 ) 1996년 7월 ~ 2011년 2월 : 금정구보건소및부산시청주무관 2011년 3월 ~ 현재 : 부경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 관심분야 > 지역사회간호학, 건강증진 1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