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껑. 서론봄으로써고혈압및심혈관질환발생의조기발견, 최근우리나라에서도경제수준의향상과식생활의는데도움이되고자한다. 서구화로인하여과거와는달리질병의양상이변화되 진단, 효율적인치료및예방과위험요인을감소시키 고있으며, 2)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Similar documents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 제 29 권제 1 호 고지혈자의바만도, 혈압및혈청지질양상의벼교 원광보건전문대학임상병리과 보건위생과 * 진복회 검주영 * 전주영동병원임상병리과 채윤미 서영실 송덕희 박혜자 박은정 Comparison of obesity, blood pre

다이어트마침표_1부 :24 PM 페이지2 BMI지수의 진실 비만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BMI 지수다.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이다. 몸무게를 키의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kafm093.hwp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concentratlon. In this stud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may ha ve been accompanied by good management of daily living habit. In this study,

012임수진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01) hwp

서론 34 2


Kjcg007( ).hwp

590호(01-11)

<5B32325DC7F7BED0BAAFB5BF2DC1F8BAB9C8F12E687770>

Microsoft Word doc



1..

<31312D30362D C2F7C0E7B0FC2DC1B6C8F1BFB D37342E687770>


<39BFF9C8A328C3D6C1BE292E687770>

°íµî1´Ü¿ø

<BAF1B8B8C3DFB0E8C7D0BCFAB9D7BFACBCF62D E E687770>

학술연구용역과제최종결과보고서 과제번호 색인어 과제명 주관연구기관 국문 영문 고혈압연구를통한안산 안성코호트자원활용연구모델구축사업 기관명소재지대표 서울대학병원서울시종로구오병희 성명소속및부서전공 주관연구 책임자 이해영서울대학병원내과 연락처 이메일 발주부서 부서명 생물자원은행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SG프랜-한남점 지노영수정.QXP

심장2.PDF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α α α α α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untitled

주제발표 식품소비구조의변화가국민건강에미치는영향 연구책임자맹원재 ( 자연제 2 분과 ) 공동연구자홍희옥 ( 상명대학교겸임교수 ) - 2 -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20 호 연구단신, Brief report 고혈압진단기준의최근동향 대한고혈압학회손일석, 강석민, 조명찬 1) 질병관리본부심혈관질환과임남규, 김원호 2) * 교신저자 : ), j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안경아등 : 한국인의허혈성심질환발생률을과대추정 세인구는 20,499명 ( 남자 : 9,918명, 여자 : 10,581) 이었고, 중풍및뇌혈관질환, 협심증, 심장질환, 심부전, 심근경색증 ( 국제표준질병사인분류번호 : I60-I69, I20, I30-I52, I50, I

untitled

<30332D D BCADBFB5C1D62DB0A3BBE7B1B3C1A4B9DDBFB52E687770>


<31332EBCADBCF8C6C82E687770>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 제 23 권제 2 호 2003 Korean J Lab Med 2003; 23: 임상화학 균질법에의한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측정및 Friedewald 계산법과의비교 허미나 김창수 박민정 곽인숙 1 이규만 한림대학교의과대학진단검사의학교실,

歯1.PDF

Microsoft PowerPoint - XUOBWSQUNNWX.pptx

대한엄상병리사회지 : 제 25 권 1 호 1993 Low Density Lipoprotein 의실측치와계산치에관한조사 서울의과학연구소서울임상병리검사센터 김언규, 정재련, 이경옥, 셔덕규, 이규범 Key wods : LDL, Calculated value, Determi

<B0A3C3DFB0E828C0DBBEF7292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Lumbar spine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by Daily Intake of Alcohol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Review 1 뇌혈관질환 전문병원 지 정기념 <2012 뇌졸중 심 포지엄> 성료 국내외 석학들 한 자리에, 뇌졸 중 치료의 의학적 진보 모색 보건복지부 지정, 국내 유 일한 뇌혈관질환 전문병 원으로 선정된 기념으로 명 지성모병원이 <2012 뇌졸 중 심포지엄>을 3월

( )Kju269.hwp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 C1B6BFB5C3A42DC1A6C1B6BEF720B1D9B7CEC0DAC0C720B0F8BAB920BDC320C7F7B4E7B0FA2E687770>

주간건강과질병 제 11 권제 4 호 1998년에는 1% 미만이었으나, 21년에는 2.5% 수준으로빠르게증가하고있다 [5]. 심혈관질환의발생률은동일한방법으로지속적으로모니터링하지않으면그변화를알기더욱어려우며, 이때문에질병예방대책을수립하고그효과를평가하기도어렵다. 다만건강보험청

보고서_pdf로.hwp

γ

<B4EBC7D1C0D3BBF3B0C7B0ADC1F5C1F8C7D0C8B C3DFB0E820C7D0BCFAB4EBC8B828BDC9C6F7C1F6BEF62CBCBCB9CCB3AA292DC3D6C1BE2E687770>

untitled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35BFCFBCBA2E687770>

황지웅

국민건강지식센터와 함 께 하 는 허리둘레 -5% 줄이기 대사증후군이란? l 0 0 l P R O J E C T 주간의 식이/운동요법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 내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자 본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대사증후군이란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Microsoft PowerPoint - YEMNQZEWSOVU.pptx


Current Controversies in Blood Pressure Assessment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03이경미(237~248)ok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BFCFBCBA30332DC3D6C0CEC8F12E687770>

untitled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J Nutr Health) 2014; 47(3): 186 ~ pissn / eissn R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歯14.양돈규.hwp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30335F D B9DABFEBBCF85FC0FAC0DAB1B3C1A4B9DDBFB5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CXBTUEOAPVQY.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303920BFF8C0FA B1E8B5BFB9CE2DC0CCB8EDBFEB35302D35372E687770>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an association between small LDL and the presence of CAD and also suggest that LDL-PPD may be associated with t


<35325FC0CCC1BEBCAE2D4C444C2DC4DDB7B9BDBAC5D7B7D1C0C C6420B0E8BBEAB0AA2E687770>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B1DDBFACC5ACB8AEB4D02DC6EDC1FD28C3D6C1BE292DB1B3C1A4BFCFB7E128BABCB5E5BBE8C1A6292E687770>

Jkbcs016(92-97).hwp

<C0CCBBF3C1F6C1FAC7F7C1F520C4A1B7E1C1F6C4A C0FCC3BCBABB292E687770>

<C1F6C1FAB5BFB8C6B0E6C8ADC7D0C8B8C1F62034B1C732C8A32E687770>

김범수

임상병리검사과획외 ^I: 저 134 뀐저 12 호, , 2002 체중변동에의한맥박, 혈압및섬전도양상의변화 원광보건대학임상병리과 연세대학교생제공학협동과정 l 진복희 박선영 1 Changes of Pulse Rate, Blood Pressure and Elec

hwp


fm

untitled


Transcription:

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 제 27 권제 호 995. 고혈압환자와정상인의혈청지질농도및체질량지수의비교연구 원광보건전문대학임상병리과 보건위생과 * 진복회 검주영 * 원광의료원내과 전민재 김현주 김진회 Relation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and Body Mass Index Betwee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Jin, Bok Hee., Kim, Joo Young* Dept. 0 Clinica Pathology, Wonkwang Puhlic Heath College Dept. 0 Heath Hy훨ene, W onkwang Public heath College* Jeon, Min Jae., Kim, Hyun Joo., Kim, Jin Hee Dept. olinterna Medicine, Wonkwang Medica Center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ipid concentration and hypertension, case control study were conducted. Hypertensive subjects(n = 5) and normotensive subjects(n = ) were selected randomly from persons visited to the department of cardiac internal medicine, Wonkwang medical center between September 99 and February 995. Body surface area(bsa), bodymass index(bmi) and percent ideal body weight(pib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uric acid and urine protein concentration between two groups. In hypertensive group, serum triglyceride, VLDL cholesterol concentration,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and LDL-cholesterol/HDL-cholesterol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ve group, but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normotensive group.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ifference of serum lipid concentration betwee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 was determined by HDL cholesterol and VLDL cholesterol concentratjon. Key words: hypertension, obesity, serum lipid concentrations -- A l

Total 27 27 22 9 껑. 서론봄으로써고혈압및심혈관질환발생의조기발견, 최근우리나라에서도경제수준의향상과식생활의는데도움이되고자한다. 서구화로인하여과거와는달리질병의양상이변화되 진단, 효율적인치료및예방과위험요인을감소시키 고있으며, 2)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등성인 II. 연구대상및방법 병이증가하고있다. 그중관상동맥질환의빈도가증 가하고있으며허혈성심질환에의한사망역시증가. 연구대상 하고있는추세이다 3, ) 관상동맥질환의경우에고혈압 과고지혈증은중요한위험인자로인식되고있으며많저자들은 99 년 9 월부터 995 년 2 월까지원광의료 은역학적연구에서고혈압환자의발생빈도가증가하원순환기내과에내원한남자 9 명 (5. 58 %), 여자 고있어최근우리나라에서도큰문제로대두되고있 6 명 (8. 2 %) 총 95 명을연구대상으로하였다. 고혈 다 5-7) 압환자는수축기혈압이 60 mmhg 이상이거나이완기 고혈압은복잡한현대사회를사는성인들에게잘발혈압이 90mmHg 이상인자로하였고, 정상자는수축 생하는혈관의만성퇴행성질환으로 0 대이후에가기혈압이 20mmHg 이하이고이완기혈압이 80 장빈도가높으며관리가잘안되는질병이다. 구미의 mmhg 이하인자로구분하였다. 이중고혈압환자는 경우전인구의 5-20 % 가고혈압환자인것으로알 5 명 (56.82 %), 정상혈압자는 명 (3. 6 %) 이었으며, 려져있으며국내에서는아직정확한유병률은알수이들의성별, 연령별분포는 Table 과같다. 고혈압 없으나, 성인인구의 5 % 내외가고혈압을가지고있환자와정상자의분포는남녀모두 50 대에서많았고, 는것으로추정되고있다 8, 9) 고혈압은뇌혈관질환과각각의평균연령은 55 세와 50 세였다 (Table.). 허혈성심질환모두위험요인으로서 0) 우리나라에서 뇌혈관질환으로입원한환자의 80.5 % 가고혈압을나 타내고있으며, 심혈관질환에의한사망율이 970 년에 전체사망원인중뇌혈관질환 2 위, 고혈압성질환 위 를차지하고있다 ) 고혈압은유전적소인과식염섭 취량, 비만, 사회, 자연환경변화에따르는수질문제, 지역상의특성, 신경정신및사회문화적배경과관 련성이있으며, 고혈압및심질환의예방적차원에서 향후관련질병의추이변화에대한역학적연구가시 급히진행되어야할문제라고생각된다 2) 의학의발전 과소득증대에의해국민평균수명이연장되고, 식생 활의변화에따라비만이증가하는추세에있다. 특히 고혈압은연령과밀접한관계가있는만큼지금부터라 2. 연구방법 도혈압에대한관리및조절이제대로이루어지지않 T able. Distribution age and sex Hypertensive patients Normotensive subjects Men Women Men Women 20-29 3 30-39 2 5 3 0-9 2 7 50-59 2 0 7 60-69 6 5 6 3 70-79 3 2 는다면인구의고령화및과체중, 비만의증가와더불적어도 2 시간이상금식시킨후아침공복시혈액을 어심각한국민보건상의문제를야기시킬것으로예상채취하여응고시킨후혈청을분리하여생화학자동 된다. 분석기인 Spectrum EPX(Abbott, Texas, USA) 로측정 따라서본연구에서는최근문제가되고있는혈청하였다. 혈청총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uric acid 는 지질농도및비만도와혈압과의상호관련성을비교해효소법, HDL-cholester 이은 MgClz 및 dextran sulfate,

로 LDL 을침전시킨후효소법으로측정하였으며, 의한차이가없었다. LDL - cholesterol 은 Friedwald 공식에의해 3), VLDLcholesterol 은 triglyceride /5 로계산하였다. 요단백은요 자동분석기인 Clinitek 00(Ames, Tokyo, Japan) 에의 해시험지법으로측정하였다. 신장과체중을측정하여다음의공식에의해비만지 수인이상체중의백분율 (percent ideal body weight, 이 하 PIBW 라약함 ) 과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이 하 BMI 라약함 ) 를구하였다. Body weight(kg) PIBW( %) = rrl:~~:"/ ':~"E>";~'r:;E>~, (H' X 00 - [Height(cm) -00J _/_2\ Body weight(kg) BMI(kg/m 2 ) 5/" I - [Height(cm) J2 혈압은채혈하기전에 0 분이상안정상태를유지시 킨후표준수은압력계로수축기혈압과이완기혈압 을측정하였다. 체지방량과관계가갚은 BMI 는일반적으로 20--2. 9 범위는정상, 25--30 사이는과체중, 30 이상은비 만으로구분되며 l), 정상자에게서 23.9 J: 3.5 kg/m 2, 고혈압환자에게서 2.99 J: 3.56 kg/m 2 로나타나두군 모두정상범위에포함되었으며통계학적으로유의한 차이가없었다. PIVW 는많은연구자들이 90 % 이상 0% 이하인 경우를정상, 0-- 20 % 를과체중, 남자의경우는 20 % 이상을여자의경우는 30 % 이상을비만으로 분류하고있다 5, 6) 본연구대상자중정상자에게서 2.5 J: 6.93 %, 고혈압환자에게서 8.9 J: 7.8 % 로나타나두군 모두과체중범위에포함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유의 한차이가없었다 (Table 2). 2. 대상자의임상적특성 3. 자료분석및통계처리 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심박동수 (heart rate, HR) 는 각각 65.87 J: 2. 회 / 분, 70.79 J: 3.76 회 / 분으로고혈 측정된자료의통계는 SPSS/PC+ package 를이용하압환자에게서증가된경향이있으나, 통계학적으로유 여분석하였고, 모든측정치는평균 ± 표준편차로나의한차이는없었다. 타냈다. 수축기혈압은각각 9.27 J: 6.79 mmhg, 58.52 J: 각군간의측정치의유의성을평가하기위해서 stu- 9.66 mmhg(p<o.ool), 이완기혈압은각각 7.7 J: 9. dent t-test 를하였으며, 검정시에 P value 가 0.05 미만 이면통계학적으로유의하다고판정하였다. 두그룹간의상관성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를구하였다. 6 mmhg, 98.5 J: 2.30 mmhg(p<o.ool), 동맥경화 지수 (atherogenic index, A I) 는각각 3.32 J:.6,.7 J: 2.00(P<0.0) 로나타나고혈압환자에게서통계학적 으로매우유의하게증가하였다 (Table 3). III. 결과 3. 혈청지질농도의변화. 대상자의일반적특성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총 cholesterol ( 이하 total ch 이로약함 ) 은각각 90.5 J:.98 mg/dl, 207.57 J: 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평균연령은각각 50.5 J: 9. mg/dl, LDL-cholesterol 은각각 6.8 J: 35..89 세, 55.87 J:. 0 세였고, 신장은각각 65.09 J: 35 mg/dl, 30.02 J:.83 mg/dl, 요산 (uric acid) 은각 9.07 cm, 60.92 J: 8.55 cm, 체중은각각 65.39 J: 2. 각 3.2 J: 3.0 mg/dl, 25.3 J: 53.38 g/dl 및요단백 02 kg, 6.92 J:.05 kg, 체표면적은각각. 70 J: O. (urine protein) 은각각 6.05 J: 2.7 mg/dl, 2.39 J: 9 m 2,.68 J: 0.7 m 2 로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유 03.53 mg/dl 로나타나고혈압환자에게서증가된경향 m 패

Table 2. Comparisons of anthropometric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Hypertensive patients Normotensive subjects (n = 5) (n = ) Sex (men/ women) 22/9 Mean age(yrs) 55.87 :l:.0 50.5 :l:.89 Height(cm) 60.92 :l: 8.55 65.09 :l: 9.07 Body weight(kg) 6.92 :l:.05 65.39 :l: 2.02 BSA(m 2 ).68 :l: 0. 7.70 :l: 0.9 BMI(kg/m2) 2.99 :l: 3.56 23.9 :l: 3.5 PIBW(%) 8.9 :l: 7.8 2.5 :l: 6.93 Value are mean :l: S. D. NS ; Not significant BSA(body surface area) = Body weight(kg)o 25 X Height(m)O 725 x K BMI(body mass index) = Body weight(kg)/[height(m) J2 PIBW(percent ideal body weight) = [Body weight(kg)/{height(cm) - 00} x 0.9 x 00 P NS NS NS NS NS Table 3. Compariso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Hypertensive patients Normotensive subjects P (n = 5) (n = ) Heart rate(beats/min) 70.79 :l: 3.76 65.87 :l: 2. NS Systolic BP(mmHg) 58.52 :l: 9.66 9.27 :l: 6.79 <0.00 Diastolic BP(mmHg) 98.5 :l: 2.30 7.7 :l: 9.6 <0.00 A therogenic index.7 :l: 2.00 3.32 :l:.6 <0.0 Value are mean :l: S. D. NS ; Not significant Atherogenic index 二 (Total-cholesterol- HDL -cholesterol)/hdl - cholesterol T able. Comparison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Hypertensive patients Normotensive subjects (n = 5) (n = ) Total-cholesterol(mg/dl) 207.57 :l: 9. 90.5 :l:.98 NS Triglyceride (mg/ dl) 8.9 :l: 06.83 32.65 :l: 82.73 <0.05 HDL - cholesterol (mg/ dl) 0.8 :l: 0.53 7.28 :l: 2.67 <0.05 LDL - cholesterol (mg/ dl) 30.02 :l:.83 6.8 :l: 35.35 NS VLDL - cholesterol (mg/ dl) 36.90 :l: 2.37 26.53 :l: 6.55 <0.05 Uric acid(mg/dl) 25.3 :l: 53.88 3. 2 :l: 3.0 NS Urine protein(mg/dl) 2.39 :l: 03.53 6.05 :l: 2.7 NS Value are mean :l: S. D. NS ; Not significant LDL-cholesterol = Total-cholesterol-HDL-cholesterol-TG/5 VLDL-cholesterol = Triglyceride/5 μp l i

을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는보이지않는체중과체표면적, PIBW 는체중, 체표면적, BMI, 그 았다. 리고체표면적은신장, 체중과양의상관성이있었다. 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중성지방 ( triglyceride, 이하그러나신장, 체중, 체표면적, BMI 는 HDL-chol 과음 TG 로약함 ) 은각각 32.65 :I: 82.73 mg/dl, 8.9 :I: 의상관성이있었다. 06.83 mg/dl(p<0.05), VLDL-cholesterol 은각각 26. 혈청지질농도와그비율에대한상관성올보면 53 :I: 6.55 mg/dl, 36.90 :I: 2.37 mg/dl(pmo.05) 로나 total-chol, TG, VLDL-chol, total-chol/hdl-chol, 타나고혈압환자에게서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증가하 LDL -chol/hdl - ch 이은동맥경화지수 (AI) 와양의상 였다. 그러나 HDL-ch 이 esterol 은각각 7.28 :I: 2.67 관성이있었으나, HDL-chol, HDL-chol/total-chol, mg/dl, 0.8 :I: 0.58 mg/dl(p<0.05) 로나타나고혈압 HDL-chol/LDL-chol 과는음의상관성이있었다. 환자에게서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감소하였다 (Table Total-chol, TG, LDL-chol, VLDL-chol, total-chol/ ). HDL-chol 은 LDL-cho l/hdl-ch 이과양의상관성이. 혈청지질농도에대한비율의변화 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 HDL-cho l/ total-chol 의비 는각각 0.26 :I: 0.09, 0.20 :I: 0.06(P<0.0), HDL-ch 이 /LDL-chol 의비는각각 0.6 :I: 0.2, 0.3 :I: O.l2(P< 0.0) 로나타나고혈압환자에게서통계학적으로매우 유의하게감소하였다. 따라서역으로 total-chol/hd L - chol 의비는.32 :I:.6, 5.7 :I: 2.00(P<0.0), LDL-chol/HDL-chol 의 비는각각 2.7 :I:.3, 3. :I:. 67(P<0.05) 이어서고 혈압환자에게서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증가하였다 (Table 5). 5. 검사항목들간의상관관계 고혈압환자군에서신체지수간의상관성을보면, BMI 있었으나, HDL-chol/total-chol, HDL-chol/LDL-chol 과는 - 음의상관성이있었다. HDL-chol/LDL-chol 은 HDL~cho l/total-ch 이과양 의상관성이있었으나, total-chol, LDL-chol, totalcho l/hdl-ch 이과는음의상관성이있었다. 한편 HDL-cho l/total-chol 은 total-chol 과 VLDL chol 과음의상관관계가있었으나, LDL-chol 은 total 다. ch 이과 VLDL-ch 이은 TG 와양의상관관계가있었 N. 고찰 980 년대에들어서우리나라의질병별사망률은선 진국에가까운양상으로급변하고있으며, 고혈압을 포함한순환기계질환에의한사망률이제 위를차지 하게되었고 7), 992 년우리나라국민의사망원인통 계에의하면뇌혈관질환, 고혈압, 동맥경화증등순환 기계질환에의한사망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8, 9) Table 5. Comparisons of serum lipid ratio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Hypertensive patients Normotensive subjects (n = 5) (n = ) HDL-chol/Total-chol 0.20 ::!:: 0.06 0.26 ::!:: 0.09 <0.0 Total-chol/HDL-chol 5.7 ::!:: 2.00.32 ::!::.6 <0.0 HDL - chol/ldl - chol 0.3 ::!:: 0.2 0.6 ::!:: 0.2 <0.0 LDL-chol/HDL-chol 3. ::!::.67 2.7 ::!::.3 <0.05 Value are mean ::!:: S. D. 때P l

이와같이순환기계질환에의한발병율이높은것은 여러역학적연구를종합해볼때고지혈증, 비만, 당 뇨병, 음주, 흡연, 운동부족, 식습관및스트레스등일 상생활습관과매우관련성이높다고보는견해가지 배적이다. 고혈압은순환기계통질환중전세계적으로발생 빈도가가장높고흔한성인병중의하나이며, 관상동 맥질환, 뇌혈관질환의주요위험인자로서 20.2) 최근우 리나라에서도증가하고있는추세에있어중요한공 중보건문제로대두되었다 22) 앞으로도이러한추세대 로라면이들질병은더욱증가할것이예상되므로이 에대한효과적인대처가국민의보건향상에매우중 요한과제임을알수있다. 이에본연구에서는정상자와고혈압환자의신장, 체중을통해얻어지는비만지수, 혈청지질농도와그 비율및이들의상호관련성을통해심혈관계질환의 주요위험요인으로서의고혈압의조기발견과예방및관리, 효율적인치료를통해위험인자를감소시키기위한자료를제시하고자하였다. 본연구에서정상자와고혈압환자두군모두비만 인보다 2 배나높게나타나는것으로보고되었으며 9),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및관상동맥질환과관계가 깊고위험인자가첨가될수록심각한문제를초래할수 있으므로사전에위험요인을경감시킬수있는방안이 마련되어야할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에서동맥경화지수 [ ( total-chol-hdl - chol) / HDL-choIJ 는정상자의 3.32 ::t:. 6 에비해고혈압환 자의.7 ::t: 2.00 으로통계학적으로매우유의하게증 가한것으로나타났다 (P<0.0) 동맥경화지수는관상 통맥질환발생의가장유효한예측인자로알려져있으 며동맥경화지수가.5 이상인예에서관상동맥질환 발생률이높고 3.5 이하가되도록혈청지질농도를 개선하면관상동맥질환의발생을예방할수있어기 존의동맥경화증의진행을정지시키거나지방종의크 기를줄일수있어관상동맥질환의수술적요법후에 재발의방지에도도움이된다고한다 9, 25-28) 그러나관상동맥질환발생과관련하여위험하다고 인정되는고지혈증의정량적정의를내리기는쉽지않 다. 또한동맥경화지수는고혈압환자에게서.5 이상 으로나타나정상자에비해더관상동맥질환을잘일 지수인체질량지수 (BMI) 는정상이었고, 이상체중의으킬수있는위험인자로생각된다. 동맥경화지수는 백분률 (PIBW) 은과체중으로나타났으나, 두군모두지금까지알려진혈청지질위험지표들, 즉 total-chol, 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었다. BMI 는체중, 체 TG, VLDL-chol, total-chol/hdl-chol, LDL-chol/ 표면적과는양의상관성이있었으나, HDL-chol 과는 HDL-chol 과도잘상관하고있다. 음의상관성이있었고, PIBW 는체중, 체표면적, BMI 한편동맥경화지수는 HDL-chol, HDL-chol/total 와는양의상관성이있었다 chol, HDL-chol/LDL-chol 과는음의상관성이있어 체중과고혈압과의관계는이미오래전부터알려져 왔으며 232), 비만, 체중, 신장, 체표면적이혈압에영향 을준다는보고도있다 25) 또한비만과고혈압과의사 이에는밀접한관계가있으며, 많은연구에서체중이 증가하면혈압도상승한다는사실등이말해주듯이 이들도관상동맥질환위험요인예측인자로서좋은지 표로생각된다. 오래전부터관상동맥질환과지질의관련성에관한 여러연구가활발히진행되어왔으며, total-chol 농도 가관상동맥질환과연관성이있어 29) 동맥경화증의가 표준체중보다 0 % 이상증가한체중을다시줄이면장위험한인자로혈중 total-chol 이증가하면관상동 고혈압환자의혈압이하강한다는보고도있다 7) 그러맥질환에의한사망율이증가한다는사실이 Framing- 나본연구에서고혈압환자가정상체중 ~ 과체중범위 ham Stud y 30) 를비롯한많은역학조사결과 5) 잘알려 에있어비만이라고볼수없으며, 비만에대한연구진일이다. 결과와의관계를보는것은무리라고생각된다. 그렇혈청 total-chol은가장기본적인지표로관상동맥지만비만증은허혈성심장질환의발생과유의한관질환의선별검사, 고지혈증환자의치료방침및치료계가있고순환기질환의발생율은비만자에게서정상효과판정에널리사용되어왔으며 3), 992 년개정된 m 뼈

NCEP A TPII Report 32 ) 에의하면모든성인에대한선과진행에중요한역할을한다고믿어진다 2 엉 ). LDL- 별검사로서 total-ch 이과 HDL-chol 을동시에실시하 chol 은 total-chol 이높고 HDL-chol 이낮으면상승하 는것으로되어있고, 혈청 total-chol 농도가증가할지만역시전자와관계가많으며 20) 혈청 chol 과그주 수록 HDL-chol 농도가감소할수록관상동맥질환의요운반체인 LDL-chol 의증가는주요위험인자로알 위험도가증가한다고한다 33, 3) 본연구에서총 cholesterol 은고혈압환자군이정상자 군에비해증가되는경향은있으나, 통계학적으로유 의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한등 8) 은고혈압군이대조군보다유의하게높았다 고 (P<O.Ol) 보고하였고, 박등 9) 은관상동맥질환군이 정상대조군보다유의하게높았다고보고하여다른결 려져있으며, HDL-ch 이은음성지표내지보호인자로 알려져있다 2 때 9 λ 써 μ 찌 씨 ) 본연구에서 LDL-chol 은고혈압환자군이정상자군 에비해증가된경향을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유의 한차이는보이지않았다. 또한 LDL - chol/hdl - chol 과는양의상관성을 HDL-cho l/ldl-chol 과는음의 상관성을보였다. 과를보여주었으나, 조등 50) 은고혈압을포함한관상이 53) 는 50"'59 세남자의관상동맥질환군과대조군 통맥질환군과대조군간에는차이가없다고보고하여에서두군간에유의한차이가없었다고하였으나, 여 본연구와일치된결과를보였다. 자에게서는관상동맥질환군이유의하게증가하였다고 Total-ch 이 esterol 은 LDL-chol, total-chol/hdl- 보고하였다 (P<O.Ol). 그러나조등 50) 은관상동맥군과 ch 이, LDL-chol/HDL-chol, AI 와는양의상관성을, 대조군간에는유의한차이가없었다고보고하여본 HDL-chol 은역상관관계 ( 즉 anti -risk factor) 가있음결과와잘일치된결향을보였다. 이확인되었으며 20, 35-3 끼 HDL-ch 이은 Framingham 연구한편비만은 LDL-chol 농도의상승과관계가있으 38) 에서관상동맥질환의예측에총 ch 이, TG 의예측능므로고위험 LDL-chol 혈증환자는체중을감소시켜 력을증대시키는독립적인역할을한다고알려졌으며, 이상체중을유지하게하면 LDL-ch 이과 TG 치가정상 또한낮은 HDL-ch 이농도에서 0 mg/dl 의차이로관화되고 HDL-chol 치가증가될수있다고권고하고있 상동맥질환의위험요소는 2 배나증가한다고한다. 다. 최소한의치료목표는 LDL-chol 치를 60 mg/dl 본연구에서 HDL-ch 이은고혈압환자군이정상자군이하로낮추는것이며, 관상동맥질환이나위험인자가 보다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감소했다 (P<0.05). 이와있는경우에는 30 mg/dl 이하로낮추도록하고있다 5) 같은결과는송등 5) 은고혈압환자군이정상대조군에 LDL-chol 이 30mg/dl 이하에서는위험률이 2 배였던 비하여유의하게낮았다고보고하였고, 박등 9) 은관상것이 60 mg/dl 이상에서는관상동맥질환이있는환 동맥질환군이정상대조군보다유의하게낮았다고 (P< 자에게서없는사람보다사망률이 5 배로증가하였다. 0.05) 보고하여본연구와일치된결과를보여주었다. 혈청중성지방이관상동맥질환과상관성이있다고 본연구에서 HDL-ch 이은 BMI 와음의상관성을보보고한바있으며최근우리나라에서뇌혈전증에서 였는데 Avogaro 등 52) 은체중의감소에따라상대적으중성지방이중요한위험인자의하나라고보고된바있 로 HDL-ch 이농도가증가한다고하여잘일치하는다 6) 것으로생각된다. 본연구에서 TG 는고혈압환자군이정상자군에비해 HDL-ch 이은 TG clearance 에관여하고조직으로부터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증가하였으며 (P<0.05), VLDL chol 을운반해나가므로 29, 0, ) 많을수록이로워오히려 -chol, total-chol/hdl-chol, LDL-chol/HDL-chol, AI 35"'0 mg/dl 이상이면관상동맥질환의저위험군에와는양의상관성을, HDL-cho l/total-ch 이과는음의 속한다고주장하는사람도있다. 상관성을나타냈다. 관상동맥질환의가장중요한위험인자는혈청이 53) 는고혈압환자에게서대조군에비해 total-ch 이 LDL-ch 이농도의증가이며, 이것은동맥경화의시작과 TG 가유의하게높았다고하였으며, 특히관상동맥 l i A l

질환자에게서 7) 혈청 TG 가현저하게증가되어동맥경 화성심질환발생에혈청 TG 도중요한요인이될수 있다고보고하고있다. Tivil 등 5) 과정둥 55) 은뇌졸중 환자에게서정상인에비해 TG 가유의하게높다고보 고하였다. 고 TG 혈증이 HDL-chol 의감소를동반할때 TG 를 많이포함하고있는지단백분해저하에의해 HDLchol 농도감소를가져올수있고또 VLDL-ch 이생산 이증가되어고중성지방혈증이나타날수있다고하 였다. Assmann 등 56) 은혈청 TG 와연령, 체중, 혈압, 혈당, 요산, 총 chol, LDL-chol 등과의밀접한관계를보고 한바있다. 본연구에서 HDL-cho l/total-ch 이의비율은고혈압 환자군이정상자군에비해매우유의하게감소했다 (P <0.0) 이 53) 는 50"-'59 세남자관상동맥질환자에게서매우 유의하게감소했다고보고한결과와 Schmidt 등 57) 이 보고한결과와비슷하며, HDL-cho l/total-chol 이관상 동맥질환의가장좋은예견인자로 LDL-ch 이농도나 LDL-ApoB 농도보다의의가있다고주장하였다. 본연구에서 HDL-cho l/ldl-ch 이의비율은고혈압 환자군에서정상자군에비해매우유의하게감소 (P< 0.0) 하였으며, 이와같은결과는관상동맥질환자의 남녀모두낮았다는결과와일치하는것이다. 본연구에서 total-cho l/hdl-chol 의비율은고혈압 환자군에서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증가 (P<0.05) 되었 으며, 박등 58) 의연구에서남녀모두환자군이유의하 게높게나타났다는 (P<0.05) 결과와일치된것이다. 박등 9) 도관상동맥질환군에서정상대조군에비해유 의하게높았다고보고하였다. Barboriak 등 59) 은 total-chol/hdl-chol 치가관상동 맥폐쇄의빈도와가장밀접한비례관계를보인다고 하였으며, 5 보다크면위험하다고경고하고있으며, 고 혈압환자군에서 5.7 ::!:: 2.00 으로나타나 5 보다컸다. LDL-chol/HDL-chol 의비율은고혈압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증가하였으며, 3.5 보다크면위 험하다고하여, 고혈압군에서 3. ::!::. 67 로거의비슷 했다. V. 걸론 본연구의대상은 99 년 9 월부터 995 년 2 월까지 원광의료원순환기내과에내원한총 95 명으로서남자 는 9 명 (5. 58 %), 여자는 6 명 (8. 2 %) 이었으며, 고 혈압환자는 5 명 (56.82 %), 정상자는 명 (3. 6 %) 이 었으며, 이들을대상으로신장, 체중, 혈압을측정하고 혈청지질농도를구하여상호관계를검토하고다음과 같은결론을얻었다.. 고혈압환자와정상자의신장, 체중과체표면적, 체질량지수및이상적인체중의비율은유의한 차이가없었다. 2. 고혈압환자와정상자의심박동수는유의한차이 가없었으나, 고혈압환자에서는수축기혈압, 이 완기혈압, 동맥경화지수가매우유의하게높았 다 (P<O.OO l). 3. Total-chol, LDL-chol, 요산및요단백농도는두 군간에유의한차이가없었으나, 고혈압환자는 TG, VLDL-chol 이유의하게높았고 (P<0.05), 정 상자는 HDL-ch 이이유의하게높았다 (P<0.05). 고혈압환자는 total-chol/hdl - ch 이의비율이매 우유의하게높았고 (P<O.Ol), LDL-chol/HDLch 이의비율은유의하게높았다 (P<0.05). 정상자 의 HDL-chol/total-chol, HDL-chol/LDL-chol 의 비율은매우유의하게높았다 (P<O.Ol). REFERENCES. 김정순 : 우리나라사망원인의변천과현황. 대한 의학협회지, 36(3) : 27-28, 993. 2. 이웅구 : 관상동맥질환. 대한의학협회지, 35(6): 732-737, 992. 3. 허갑범 : 영양과관련된질환의현황과대책. 한국 영양학회지, 23(3) : 97-207, 990.. 이응구 : 허혈성심장병, 과연증가하고있는가? 세종의학, 6: 9-52, 989. 5. Castelli WP : Epidemi 이 ogy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Am J Med, 76 : Suppl 2A : -2, 98. _ AQ _

m 많6. 유언호 : 내분비와고혈압. 대한의학협회지, 2(3) : 79-82, 978. 7. 손의석등 : 한국인고혈압증의역학적연구. 대한 내과학회지, 3(2) : 23-27, 970. 8. 허갑범 : 내분비및대사이상과고혈압. 대한의학 협회지, 35(2) : 86-92, 993. 9. 강지용, 곽정옥 : 고혈압예방을위한지역사회영 양교육자료에관한연구. 한국농촌의학회지, 8() : 2-30, 993. 0. 박종구 : 우리나라심혈관질환연구의현황. 한국 역학회지, 5 () : 7-55, 993.. 이원희, 김정순 : 우리나라에서연구발표된뇌혈 관질환에관한문헌고찰. 한국역학회지, 3() : 87-93. 98. 2. 이정균 : 역학및한국의현황. 대한의학협회지, 35 (2) : 6-68, 99. 3. Fried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8 : 99-502, 972.. 이양자외 인 : 한국정상성인의혈청지질농도, 체 질량지수, 혈압및식습관과일상생활습관과의관 계에관한연구 - 혈청 Triglyceride 를중심으로 한국지질학회지, 2 () : -5, 992. 5. Frank IK, William DM: Obesity in nutrition, Weight control and exercise. 3rd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988. 6. 김영설 : 비만증의분류및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3 : 337-30, 990. 7. 유언호 : 고혈압의평가와치료. 한국의과학, 26() : 203-2. 99. 8. 김일순 : 질병발생의변화와식습관 - 질병예방과식 생활 - 대한의학협회지, 32(5) : 7-8, 989. 9. 경제기획원조사통계국 : 사망원인통계연보 ( 인구 동태신고에의한집계 ), 990. 20. 이방헌 : 관상동맥질환의예방. 대한의학협회지, 35(6) : 738-75, 99. 2. 류호준 : 고혈압의진단과분류. 한국의과학, 26() : 67-70, 99. 22. WHO : Primary Prevention of Essential Hypertension Report of a WHO scientific group. Technical Report Series, 686, 983. 23. Blair, D, et al : Evidence for an Increased Risk for Hypertension with Centrally Located Body Fat and the Effect of Race and Sex on This Risk. Am. J. of Epidemiology, 99() : 526, 98. 2. James, J. Short: An Evaluation of Influence of Overweight on Blood Pressure of Healthy Men. Am. J. of Med. Sci, 98 : 220, 939. 25. 박종구 : 고혈압의역학. 한국농촌의학회지, 8() : 3-20, 993. 26. 이성국, 천병렬, 박경민, 노윤경, 정진욱, 예민해 : 장기체중변동과관상동맥질환위험요인과의관련 성. 한국역학회지, 5(2) : 32-8, 993. 27. 김일순, 지선하, 오희철, 서일 : 한국인의 0 대사 망. 한국역학회지, 2(2) : 9-209, 990. 28. 조정관 : 고혈압의진단과치료. 한곡농촌의학회지, 8( )-2, 993. 29. Kannel WB, Castelli WP, Gordon T, Mac Namara PM : Serum cholesterol, lipoprotein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 The Framingham study. Ann Intern Med 7:, 97. 30. Ornish D, Brown SE, Scherwitz LW et al : Can lifestyle changes reverse coronary heart disease? The Lifestyle Heart Trial. Lancet, 326 : 29-33, 990. 3. 조재화, 남문석, 이은직, 오세창, 김경래, 임승길, 이현철, 허갑범, 이상인, 이관우 : 정상한국성인에 서혈청총콜레스테롤및중성지방치. 한국지질학 회지, (2) : 82-89, 99. 32.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 Summary of the Secon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 JAMA, 269(23) : 305-3023, 993. 33. Castelli WP, Garrison RJ, Wilson PWF, Abbott RD, Kalousdian S, Kannel WB: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 2835-2838,

986. 3. Gordon DJ, Kmok J, Probstfield JL, Superko R, Tyroler HA: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hypercholesterolemic men, the lipid research clinics coronary primary pre vention trial. Circulation, 7(6) : 27-225, 986. 35. Barr DP, Russ EM, Eder HA : Protein -lipid relationships in human plasma. II. In atherosclerosis and related conditions. Am J Med, 2 : 80, 95. 36. 서일, 지선하, 김일순 : 한국에서심혈관계질환의 변천양상. 한국역학회지, 5 () : 0-6, 993. 37. 김진규, 송정한, 조한익, 박영배, 이홍규, 채범석, 김상인 : 한국인에있어서의죽상경화발병위험군 의분별을위한혈청콜레스테롤의정상기준치산 정에관한연구. 한국의학협회, 33 (2): 338-3, 990. 38. Epstein FH : Role of HDL in individual prediction and communit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 ease. In: Atherosclerosis V. Gotto AM Jr, Smith LC, Allen B(eds) Springer. Verlag, New York, Heidelberg, Berlin, 8, 980. 39. 김영설, 유언호 : 동맥경화증의개요. 제 3 차동맥경 화증과고지혈증 Workshop, 한국지질학회지 : - 53, 99.. Miller GJ, Miller NE : Plasma - high -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schemci heart disease. Lancet, : 6, 975. 5. 김태화 : 고지혈증의치료. 제 2 차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S-37 "-'S-, 993. 6. 안재훈, 강민수, 김범생, 김영인, 이광수, 정성우, 유고명 : 열공경색과피질경색에있어서의혈청지 질에관한연구. 대한의학협회지, 3 : 78, 82, 99. 7. 최윤식 : 혈청지질의변화에관한연구. 대한순환기 학회지, 5() : -7, 975. 8. 한성현, 이성수, 김량호 : 우리나라일부농촌지역 사회에서고혈압의위험인자및환자관리상태에관한연구 ( ). 한국역학회지, 8() : 23-26, 986. 9. 박정의외 3 인 : 관상동맥질환환자, 운동선수및 정상대조군에서혈청지질및 A polipoproteins 에 대한연구. 대한내과학회잡지, 0(5): 603-63, 985. 50. 조재화, 권헥문, 임상욱, 박현영, 이은직, 장양수, 김경래, 김현승, 김정호, 송경순 : 관상동맥질환에서 Lipoprotein(a). 대한내과학회잡지, (): 35-39, 993. 5. 송옥평, 김기홍 : 고혈압증환자에서의혈청지질에 관한연구 : HDL-cholester 이과 Apolipoprotein A I 을중심으로. 한양의대학술지, 3() : 7, 983. 0. Gordon T, Castelli WP, Hjortland MC, Kannel WB, 52. Avogaro P, Cazzalato G, Bittolo Bon G, Quinci GB, Dawber TR : High -density lipoprotein as a protec- Chinelo M : H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A and tive factor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The B, age and index body weight. Atherosclerosis, 3 : Framingham Study. Am J Med, 62 : 707, 977. 85-89, 978.. Berg K, Borrenen : Serum high -density lipoprotein 53. 이정균 : 한국인의혈청지질에관한연구. 대한순환 and 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Lancet, : 99, 기학회지, (2) : 05-25, 97. 976. 5. Tilvis RS, Erkinjintti T, Sulkava R, Farkkila N, 2. Zavaroni, Bonord E, Pagliara M, et al : Risk fac- Miettinen TA : Serum lipids and fatty acids in ische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 healthy persons mic strikes. Am Heart J, 3 : 65-69, 987. with hyperinsulinemia and normal glucose tolerance. 55. 정현희, 박현서, 신현대 : 정상인과뇌졸중환자에 N Engl J Med, 320 : 703-706, 989. 서혈청지질조성과식습관의비교에관한연구. 3. Joseph, L W : Current approaches to drug therapy 한국영양학회지, 20(6) : 22-3, 987. for the hyper cholesterolemic patient. Circulation, 80 56. Assmann G : Lipid methabolism and Atherosclero- : 0-05, 989. sis. Schattauer-Verlag, Stuttgart, Germany, 982., %

57. Schmidt BS, Wasserman GA, Muesing AR, 식이섭취양상, 한국지질학회지, 3(2): 50-59, Schlesselman ES, Larosa CJ, Ross MA : Lipoprotein 993. levels in angiographically defined coronary athero- 59. Barboriak JJ, Anderson AJ, Rimm AA, Kin JF : scleosis. AmJ Cardiol 55 : 59, 985.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coronary 58. 박혜순, 신오수, 김숙영 : 고콜레스테롤혈증환자의 artery occulusion. Metabolism, 28 : 735, 979. --A F υ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