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5권제2호 (201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ol. 5, No. 2. 2010 주요용어 : 요실금, 자기효능프로그램, 자기효능감, 삶의질 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및삶의질에미치는효과 김양순 * 강경숙 **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요실금은불수의적으로요의유출이있는것 (Parnell, Marshall, & Vaughan, 1982) 을말하며, 중년기이후노년기에이르기까지여성의만성적건강문제를초래하므로지속적으로관리해야할건강문제이다. 우리나라여성의요실금은발생빈도가높고유형에따라다양한유병율 (20.2%~62.2%) 을보이고있는데 ( 주영희와김정순, 2000; 강경자, 1996), 특히노년기여성의경우에는유병율이매우높아약 65% 가요실금을경험하고있다 ( 백성희, 1998). 요실금을효과적으로관리하기위한행동요법은신체적안녕과삶의질등의사회심리적안녕차원에서그특성상지속적으로관리하지않으면재발하게되며, 효과도미미하여지역사회측면의지속적관리프로그램이필요하다. 대표적인행동요법에는골반저근육운동과바이오피드백요법, 방광훈련요법이있다. 이중골반저근육운동은경증요실금치료에서 36~95% 의성공률을보이고있으며 ( 박은영, 2001), 복압성요실금, 절박성요실금그리고혼합성요실금이있는모든대상자들에게효과적인중재로보고되고있다 ( 이영숙, 1994; Dougherty, Bishop, Mooney, Grimoptty, & Williams, 1993). 방광훈련은배뇨간격을점차로늘려가며절박성요실금이나빈뇨, 절박요의를동반한혼합성요실금에효과적이 며, 복압성요실금에도효과가있다고보고하고있다 ( 윤혜상, 1998). 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대상자의신체적, 사회 심리적기능및안녕감향상에영향을미치게되는효과적인간호중재전략으로매일실시하는골반저근육운동과배뇨간격을늘이기위해수의적으로요의를참는방광훈련을통해요도주변근육을조임으로서질회음근육의비대화가이루어져최대질수축압을증가시키고 (Cheater, 1992) 요실금을조절하는효과적인방법이다. 만성질환자에게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적용하여자기효능감이증진되었음을보고하는선행연구들을보면, 요실금환자 ( 주영희, 2001), 복막투석환자 ( 박미화, 2004; 이명은, 2002; 송미령, 2000) 당뇨병환자 ( 김춘길과김정희, 2002), 고혈압환자 ( 박영임과전명희, 2000), 뇌졸중환자 ( 최은정, 2003; 유수정, 송미순과이윤정, 2001) 등의연구가있으며, 골반저근육운동을복압성요실금이나복압성및혼합성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실시한연구 ( 윤혜상, 1998; 최영희, 성명순과홍재엽, 1999; 김소영과박정숙, 2000; 주영희, 2001; 김미경, 2003) 가있다. 요실금은효율적으로관리하면충분히증상을성공적으로완화시킬수있음에도불구하고대상자들의참여와적극성이결여되어효과적으로관리하기에어려운점이많다. 이에적극적이고지속적인요실금관리를하기위해서는동기부여가중요한데, 이를위한중요한인자로 * 남부대학교지역사회건강증진센터연구원 ** 남부대학교간호학과교수 ( 교신저자 E-mail: rkdrudtnr2@nate.com) - 92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 5 권제 2 호 자기효능감을들수가있으며 (Bandura, 1977), 자기효능감을증가시키는것이효과적인방법으로보고되고있다. 선행연구를보면,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제공받은요실금이있는여성은프로그램을제공받기전보다자기효능감이유의하게증가하였고, 자기효능감이높은대상자가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수행하는능력이높으며,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잘수행한대상자는요실금증상의완화또는소실을가져오게되어인간이전반적으로느끼는주관적인생에대한만족의정도인삶의질이높아진다고하였다 (Wyman et al., 1997; Andrews, 1976; 주영희, 2001; 김미경, 2003). 그러나중년여성들은가정내가족원의건강관리에대한책임의식과돌봄제공자등다중역할을하면서도정작자신의건강문제인요실금관리에는적극적이지못하여자기효능감과삶의질이저하되어있다. 이에본연구는중년이후여성요실금대상자들의신체적요인뿐만아니라사회심리적, 정서적지지를도모하기위해요실금관리프로그램을개발, 적용하여그효과를검증함으로써자기효능감과삶의질을향상시키고자시도하였다. 3) 제 3가설 :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삶의질이향상될것이다. 4. 용어정의 1)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 Bandura(1982) 가주장한자기효능이론을근거로하여요실금증상의완화및예방을위한계획된중재 ( 주영희, 2001) 로본연구에서는자기효능정보자원을이용한요실금교육, 골반저근육운동, 비디오시청, 방광훈련, 집단토의, 개별상담활동등으로구성된 6주간의프로그램을의미한다. 2) 요실금정도요실금은불수의적요유출이있는것을말하며 (Parnell, Marshall & Vaughan, 1982), 본연구에서는 2주에 1회이상불수의적요유출이있는경우를의미하며, 요실금정도는요실금횟수와요실금량, 요실금상황점수, 최대질수축압, 평균질수축압, 질수축지속시간, 배뇨빈도및야뇨빈도로측정하였다. 2. 연구의목적본연구의목적은요실금이있는여성을대상으로 6 주간의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적용하여요실금정도, 자기효능감, 삶의질의변화를파악함으로서프로그램의효과를검정하기위한것으로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1)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있는여성의요실금정도에미치는효과를규명한다. 2)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있는여성의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규명한다. 3)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있는여성의삶의질에미치는효과를규명한다. 3. 연구가설본연구의가설은다음과같다. 1) 제 1가설 :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요실금정도가완화될것이다. 2) 제 2가설 :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자기효능감이증진될것이다. 3) 자기효능감개인이결과를얻는데필요한행동을성공적으로수행할수있다는신념을의미하며 (Bandura, 1977), 본연구에서는 Sherer 등 (1983) 에의해개발된자기효능척도를오현수 (1993) 가번역한도구로측정한점수를의미한다. 4) 삶의질인간이전반적으로느끼는주관적인생에대한만족의정도이다 (Andrews, 1976). 본연구에서는이정주 (1999) 가요실금대상자의삶의질을측정하기위해개발한삶의질측정도구로측정한점수를의미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본연구는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개발하고, 이를적용함으로써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 삶의질에미치는효과를규명하기위한단일군전후조사 (pretest-posttest) 를사용한원시실험연구이다. - 93 -
2. 연구대상본연구는광주광역시 S구에위치한 B요양원에근무중인직원, 자원봉사자들중 30세이상이며, 현재 2주에 1회이상불수의적인요유출을경험하고있는여성들을임의표출한 40명중본연구목적에동의하여참여를수락하고연구대상자선정기준에적합한여성 22명을대상으로하였다. 구체적인연구대상자선정기준은다음과같다. 1) 연구목적을이해하고연구에참여할것을동의한여성 2) 배뇨일지와운동일지를작성할수있는자 3) 과거요실금으로치료및수술을받지않고, 연구기간중다른치료법을병행하지않는자 4) 호르몬제제투여받지않는자 5) 당뇨, 단백뇨가없는자. 6) 혈압이정상인자 7) 기동성장애가없는자 8) 산부인과질환으로현재치료받고있지않는자 9) 분만경험이있는여성 pty Ltd) 을이용하여복부, 둔부, 대퇴근육을사용하지않고질회음근육만을수축했을때의수축압정도를측정하였다. 본연구에서는항문을 1부터 10까지세는동안최대로오므린후다시천천히이완하게하여 3회측정후최대수축압과지속시간의평균값을구하였다. (4) 배뇨및야뇨빈도 1일배뇨및야뇨빈도는자가보고식설문지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2) 자기효능감본연구에서는 Sherer 등 (1982) 에의해개발된 17 문항으로 5점척도로이루어져있는일반적자기효능척도를오현수 (1993) 가번역한것으로행동의시작에관한 2문항, 노력에관한 6문항, 의지에관한 5문항, 성취에관한 2문항, 확신에관한 2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점수의범위는 17점에서 85점으로점수가높을수록자기효능감이높고일상경험이성공적임을예측할수있으며, 도구개발당시신뢰도는 Cronbach's α=.80이었으며,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ronbach's α=.88 이었다. 3. 연구도구 1) 요실금정도 (1) 요실금횟수와요실금량요실금횟수와요실금량은자가보고식설문지를이용하여측정하였다. (2) 요실금상황점수 Hendrickson(1981) 이개발한요실금측정도구를이영숙 (1993) 이수정보완한요실금상황점수도구로측정된점수를사용하였다. 18문항으로구성되어있으며, 각각의문항은 0점에서부터 4점까지로총점수는최저 0점부터최고 72점까지이다. 0~24 점은경증요실금, 25~48 점은중간요실금, 49~72 점은중증요실금을의미한다. 이영숙 (1993) 의연구에서신뢰도는 Cronbach s α=.83이었으며,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ronbach's α=.95였다. (3) 최대질수축압및질수축지속시간최대질수축압은 peritron 9300(Cardio degine 3) 삶의질김재식과이정주 (1999) 가요실금대상자의삶의질을측정하기위하여개발한도구를주영희 (2001) 가사용한것으로서신체적정신적사회경제적영역을포함한 12개항목으로개인이지각하는점수를 4점척도로측정하였다. 점수의범위는 12점에서 48점이며점수가높을수록삶의질정도가높음을의미하고, 주영희 (2001) 의연구에서는신뢰도가 Cronbach's α=.93 이었으며, 본연구에서의신뢰도는 Cronbach's α=.88 이었다. 4. 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성취경험에근거한운동시행, 기록지작성, 방광훈련, 배뇨일지작성과대리경험을위해비디오 ( 박효정, 2001) 시청및집단토의, 언어적설득에근거한교육및상담, 정서적이완으로는스트레칭체조와경험나누기로구성하였다. 본연구자가개발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주 1회, 1시간씩 ( 교육 20분, 운동 30분, 집단토의및상담 10분 ) 6주간제공하였다. - 94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 5 권제 2 호 < 표 1>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대상자선정제1주제2주제3주제4주제5주제6주제7주 프로그램내용 1. 자기소개및 warm-up 2. 사전조사 3. 요실금교육 ( 원인및증상 ) 4.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1~2 set) 5. 방광교육훈련 6. 비디오시청 7. 자가훈련과제제시 1. 요실금예방-충분한수분섭취 2.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3~4 set) 3. 토론및상담-문제점, 경험이야기하기, 자가훈련결과에따른강화 1. 요실금예방-방광염의예방 2.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5 set, 방광훈련 ) 3. 토론및상담-경험이야기하기, 자가훈련결과에따른강화 1. 요실금예방-질염의예방 2.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1~5set, 방광훈련 ) 3. 토론및상담-경험이야기하기, 자가훈련결과에따른강화 1. 요실금예방-변비의예방 2.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1~5set, 방광훈련 ) 3. 토론및상담-경험이야기하기, 자가훈련결과에따른강화 1. 요실금예방-체중조절 2. 요실금행동요법교육및실시 ( 골반저근육운동 1~5set, 방광훈련 ) 3. 토론및상담-경험이야기하기, 자가훈련결과에따른강화사후측정 구체적인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 < 표 1> 과같다. 용에 8 회참여하였다. 5. 자료수집기간및방법본연구는 2005년 9월 21일부터 11월 2일까지대상자에게측정변수에대한사전조사와실험처치및사후조사순으로실시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1) 요실금관리를위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의개발선행연구와문헌고찰을기초로자기효능정보자원을이용하여요실금관리프로그램을개발하였으며, 내용은골반저근육운동, 비디오상영, 방광훈련, 요실금교육, 집단토의및상담으로구성하였다. 그외골반저근육운동체위를코팅한 manual, 유인물, 파워포인트교육자료등을제작하였다. 3) 사전조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실시하기전대상자들에게일반적인특성, 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및삶의질을측정하였다. 4) 실험중재대상자를중심으로 6주동안주1회, 1시간씩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실시하였다. 골반저근육운동과방광훈련은매일실시하여골반저근육운동카드, 배뇨일지, 방광훈련카드에매일의운동내역을기록하게하였으며, 비디오를이용한요실금교육및집단토의는주 1회씩총 6회실시하였고, 상담은주 2회씩 6주간총 12회실시하였다. 2) 연구자훈련과정연구자는문헌고찰을통해요실금에대한이론을습득하고, N대학건강증진센터에서실시하는요실금관련프로그램에참여하여골반저근육운동및방광훈련방법교육, 상담및집단토의에대한훈련을받았으며, 실제적 5) 사후조사 6주간의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끝난직후 7주째대상자들에게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및삶의질을측정하였다 - 95 -
6. 자료분석방법 SPSS/win 12.0 을이용하여전산통계처리하였으며, 각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1) 대상자의일반적인특성은빈도와백분율을이용하였고, 평균과표준편차로분석하였다. 2) 자기효능프로그램적용전후요실금정도, 자기효능감, 삶의질의차이에대한분석은표본수가적어비모수적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s test 로분석하였다. 3) 사용도구의신뢰도는 Cronbach s α를이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일반적특성본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 < 표 2> 와같다. 평균연령은 56.6 세이고, 그중 40대가 35% 로가장많았으며, 60대이후가 30%, 50대가 25% 순이었다. 교육정도는초졸이하가 35%, 중졸 25%, 고졸 25%, 대졸이상이 15% 순으로나타났고, 대상자모두가기혼자였다. 또한흡연자는없었으나대상자의 50% 에서음주를하는것으로나타났다. 대상자의 80% 가커피를일상적으로섭취하고있었고, 하루커피섭취량은평균1.7 잔으로나타났다. 평균분만횟수는 2.9회였고, 그중회음절개술을받은대상자는 50% 였다. 월경상태는폐경 50%, 정상 35%, 비정상 15% 였고, 대상자중 5% 는과거에자궁질환을앓았었다고응답하였으나자궁수술을받은경험이있는자는없었다. 2. 가설검정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의효과를검정하기위해 6주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에게프로그램을시작하기전과끝마친후에요실금정도, 자기효능감, 삶의질의차이를분석하였다. 1) 요실금정도제 1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요실금정도가완화될것이다 는요실금정도에포함된변수들중배뇨빈도를제외하고는모두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가설이부분적으로지지되었다 < 표 2> 대상자의일반적특성 (N=20) 특성 구분 N(%) Mean±SD 30-39 1( 5.0) 연령 ( 세 ) 40-49 7(35.0) 50-59 5(25.0) 56.6±15.8 60세이상 7(35.0) 혈압 (mmhg) 최고혈압 122.3±14.4 최저혈압 76.5±10.1 체중 (Kg) 56.9± 8.3 키 (cm) 155.9± 8.3 교육정도 결혼여부 음주여부 초졸중졸고졸전문대졸이상예아니오예아니오 7(35.0) 5(25.0) 5(25.0) 3(15.0) 20(100) 0 10(50.0) 10(50.0) 음주횟수 ( 월 / 회 ) 1.5± 2.2 음주량 ( 잔 / 회 ) 1.3± 1.7 예 16(80,0) 커피아니오 4(20.0) 커피섭취량 ( 잔 / 일 ) 1.7± 0.4 예 0 흡연여부아니오 20(100) 1 3(15.0) 2 5(25.0) 분만횟수 2.90±1.59 3 7(35.0) 4회이상 5(25.0) 예 10(50.0) 회음절개 1.15±1.31 아니오 10(50.0) 예 10(50.0) 월경상태아니오 10(50.0) 유 1( 5.0) 과거자궁질환무 19(95.0) 유 0 과거자궁수술무 20(100) 요실금기간 ( 개월 ) 61.5±65.6 < 표 3>. 요실금횟수는사전이주 3.2회, 사후가주 1.3회로나타나유의한차이를나타냈으며 (Z=-3.3, p=0.01), 요실금량은사전측정량은 1.3, 사후측정량은 0.5로측정되어차이를검정한결과유의하게나타났다 (Z=-3.2, p=0.01). 또한요실금상황점수는사전점수 29.3 점에서사후점수 24.6 점으로감소하여유의한차이를나타내었다 (Z=-2.9, p=0.004). 최대질수축압은사전 23.6 cmh 2O, 사후 40.0cmH 2O로나타나차이를검정한결과유의하게나타났으며 (Z=-3.0, p=0.03), 평균질수축압은사전 15.6cmH 2O, 사후 26.7 cmh 2O로나타나차이 - 96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 5 권제 2 호 < 표 3> 대상자의요실금정도 (N=20) 특 성 사전사후 Mean±SD Mean±SD Z p 요실금횟수 ( 회 / 주 ) 3.2± 2.7 1.3± 1.9-3.3.010 요실금량 ( 티스푼 / 회 ) 1.3± 0.8 0.5± 0.5-3.2.010 요실금상황점수 29.3±12.9 24.6± 8.5-2.9.004 최대질수축압평균질수축압질수축지속시간 23.6±19.3 15.6±15.6 6.8± 3.4 40.0±18.6 26.7±12.8 9.2± 1.9-3.0-2.8-2.2.003.005.029 배뇨빈도 ( 시간 ) 8.4± 3.3 7.5± 1.4-1.7.097 야뇨빈도 ( 회 / 일 ) 2.4± 1.1 1.6± 0.9-3.3.001 를검정한결과유의하게나타났다 (Z=-2.8, p= 0.005). 질수축지속시간은사전 6.8초에서사후 9.2초로증가하여유의한차이를보였다 (Z=-2.2, p=0.03). 배뇨빈도는사전 8.4회, 사후 7.5회로평균 0.9회가감소하기는하였으나사전사후차이검정에서는유의한차이는없었으며 (Z=-1.7, p=0.097), 야뇨빈도는사전 2.4회에서사후 1.6회로감소하여유의한차이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Z=-3.3, p=0.001). 2) 자기효능감제 2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자기효능감이증가할것이다 는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가설이지지되었다 (Z=-2.3, p=0.023) < 표 4>. 프로그램실시전자기효능점수는 57.3 점, 프로그램실시후 63.5 점으로증가하여자기효능감이증진되었음을알수있었다. 3) 삶의질제 3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삶의질이향상될것이다 는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가설이지지되었다 (Z=-2.4, p=0.017) < 표 4>.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대상자들의삶의질에미치는효과를비교한결과사전에는 45.8 점에서사후에는 47.5 점으로증가하여삶의질이향상되었음을알수있었다. < 표 4> 대상자의자기효능감, 삶의질차이 특성 사전사후 Mean±SD Mean±SD Z p 자기효능감 57.3±11.8 63.5±9.5-2.3.023 삶의질 45.8± 3.5 47.5±1.1-2.4.017 Ⅳ. 논의 본연구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있는여성의요실금정도, 자기효능감, 삶의질에미치는효과에대해파악하고자시도되었다. 연구결과를살펴보면요실금이있는여성의요실금정도, 자기효능감, 삶의질이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수행한후통계적으로유의하게나타나가설은채택되었다. 본연구에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정도에미치는효과를분석해본결과프로그램에참여한 20명의대상자중 55%(11 명 ) 가주당요실금횟수가 0회 / 주를보여요실금증상이소실되었음을알수있었고, 25%(5명 ) 에서는호전되어전체대상자의 80%(16명 ) 가증상의소실또는호전된결과를가져왔다. 이는복압성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 6주간골반저근육운동을실시한후요실금빈도가감소하였다고보고한최영희, 성명순및홍재엽 (1999) 의연구와, 6주간골반저근육운동을시행한후요실금빈도가유의하게감소하였다는김소영과박정숙 (2000) 의연구, 복압성및혼합성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 6주간의자기효능정보자원을이용한프로그램에서골반저근육운동과방광훈련을시행한결과 89% 가완치혹은호전의결과가나타났다고보고된주영희 (2001) 의연구와일치하였다. 또한 9주간의통합적요실금관리프로그램에서골반저근육운동과방광훈련을시행한후 5주째부터요실금의빈도가감소하였다고보고한김미경 (2003) 의연구와도일치하였다. 또한본연구에서는프로그램전과후의요실금횟수와요실금상황점수가유의하게감소되었는데요실금횟수는주당 3.20 회에서 1.25 회로나아졌고, 요실금상황점수역시전체평균 29.3 점에서 24.6 점으로낮아졌다. 이는선행연구인 8주간골반저근육운동을시행한윤혜상 (1998) 의연구와김미경 (2003) 의연구와일치한결과로나타났다. 또한본연구에서는바이오피드백요법은실시하지않았음에도불구하고골반저근육운동과바 - 97 -
이오피드백요법을함께훈련시킨주영희 (2001) 의연구와도그결과가일치하였다. 이러한결과들을볼때프로그램마다약간의차이들은있지만자기효능정보자원을활용하여골반저근육운동과, 방광훈련을병행또는단독으로실시한연구들에서프로그램에골반저근육운동이핵심적인중재로자리하고있음을알수있었다. 따라서간호중재로골반저근육운동을실시한다면요실금상황점수는유의하게낮아질것이며, 그밖에요실금관련증상들을완화시키는데도효과적이라고할수있다. 특히본연구의중재인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자기효능정보자원활용과골반저근육운동, 방광훈련등으로중재하여주영희 (2001) 연구의자기효능정보자원활용, 골반저근육운동, 바이오피드백훈련, 방광훈련등과김미경 (2003) 의골반저근육운동, 방광훈련등과중재내용은각각조금씩의차이가있으나결과적으로는대상자들의요실금관련신체증상이유의하게완화되었고, 자기효능감과삶의질은유의하게향상되었으므로지역사회의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는반드시필요한중재프로그램이라고할수있다. 한편으로바이오피드백요법을골반저근육운동과병행하지않는다고해도자기효능감증진정도의차이는있을수있으나요실금의완화효과에는큰차이가없을것으로생각된다. 또한본연구에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적용한대상자들에게서최대질수축압과질수축지속시간이유의하게증가되었는데이는주영희 (2001) 의연구, 윤혜상 (1997) 의연구, 최영희, 성명순및홍재엽 (1999) 의연구결과와일치하였다. 이와같은결과는매일실시한골반저근육운동과, 배뇨간격을늘이기위해수의적으로요의를참는방광훈련으로요도주변근육을조임으로서질회음근육의비대화가이루어져최대질수축압이증가하게되었다고 (Cheater, 1992) 볼수있다. 본연구에서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결과배뇨빈도가사전에는일평균 8.4회사후에는일평균 7.5회로줄었으나유의한차이는없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야뇨빈도는사전이일평균 2.4회에서사후에는일평균 1.6회로줄어요도주변근육이강화되었다고사료된다. 이는주영희 (2001) 의배뇨횟수감소에는미치지못하였으나일평균약 0.9회정도감소하였고, 야뇨횟수는유의하게감소하여주영희 (2001) 의연구, 6주간의골반저근육운동을실시한결과요실금이있는여성의야뇨빈도가유의하게감소되었다는김미경 (2003) 의연구와일부분일 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야뇨빈도는이상의모든연구들과마찬가지로유의한감소를보였는데반해총배뇨빈도는프로그램기간동안대상자전원에게매일 2000~2500ml의수분섭취를장려하였던것과측정시기가사전측정은 9월21, 사후측정은 11월2일에하여쌀쌀해진날씨때문에전체적배뇨횟수가줄어들긴했으나유의한차이를보이지못한것으로사료된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제공받은요실금이있는여성은프로그램을제공받기전보다자기효능감이유의하게증가하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있는여성의자기효능감을증가시키는데유의한효과가있음이확인되었다. 이는만성질환자에게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적용하여자기효능감이증진되었음을보고하는선행연구들, 요실금환자 ( 주영희, 2001), 복막투석환자 ( 박미화, 2004; 이명은, 2002; 송미령, 2000) 당뇨병환자 ( 김춘길과김정희, 2002), 고혈압환자 ( 박영임과전명희, 2000), 뇌졸중환자 ( 최은정, 2003; 유수정등, 2001) 등의연구에서자기효능감을증진시켰다는결과와일치하였다. 요실금은효율적으로관리를하면충분히증상을성공적으로완화시킬수있음에도불구하고대상자들의참여와적극성이결여되어효과적으로관리기에어려운점이많다. 이에적극적으로요실금관리를하기위해서는자기효능감을증가시키는것이효과적인방법이라사료되어선행연구인주영희 (2001) 의연구를토대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개발하여요양원직원들, 자원봉사들에게적용시켜실시하였다. 골반저근육운동은매일숙제를주어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등으로구분하여직원및자원봉사자들이함께물리치료실이나사랑관거실에모여하도록하였으며, 매주집단토의시간에과정을잘수행하는대상자를선정하여박수와선물을주어대리경험을가질수있게하였다. 또한자신의배뇨시간을기록하는배뇨일지를스스로기록하게함으로써자신들의배뇨습관이나형태를인식하게하여더욱적극적으로참여하게하였으며, 대상자전원에게매일충분한수분섭취 (2000~2500ml) 를하게하여방광훈련에도움이될수있도록지지하였다. 또한자신의배뇨간격을점차적으로늘려갈수있도록주 2회상담을통해언어적설득및지지를제공하였는데이러한프로그램들은대상자들이늘같은장소에모여있기때문에더욱효과적으로수행되었다. 한편본연구에서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요실금이 - 98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 5 권제 2 호 있는여성의자기효능감과삶의질에미치는효과를검정하였는데자기효능감, 삶의질모두에서유의한차이를보였다. 자기효능감은주영희 (2001) 의연구와, 복막투석환자에게자기효능프로그램을중재했던박미화 (2004) 의연구와결과가일치하였으며, 삶의질은주영희 (2001) 의연구와, 김미경 (2003) 의연구와일치하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Wyman 등 (1997) 의연구에서도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 6주간의방광훈련결과삶의질이향상되었다고보고되어본연구의결과와일치하였다. 따라서자기효능감이높은대상자가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수행하는능력이높으며,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잘수행한대상자는요실금증상의완화또는소실을가져오게되어삶의질이높아지는것으로사료된다. 결론적으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요실금이있는여성의신체적, 사회 심리적기능및안녕감향상에영향을미치게되므로효과적인간호중재전략임을알수있었다. Ⅴ. 결론및제언본연구는요실금관리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개발하고, 이를적용함으로써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 삶의질에미치는효과를규명하기위해시도되었으며, 연구를통해얻은결과는다음과같다. 1. 제 1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요실금정도가완화될것이다 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실시후요실금정도에포함된변수들중배뇨빈도를제외한요실금횟수 (Z=-3.3, p=0.01), 요실금량 (Z=-3.2, p=0.01), 요실금상황점수 (Z=-2.9, p=0.004), 최대질수축압 (Z= -2.9, p=0.004), 평균질수축압 (Z=-2.9, p= 0.004), 질수축지속시간 (Z=-2.2, p=0.029), 배뇨빈도 (Z=-1.7, p=0.097), 야뇨빈도 (Z=-3.3. p= 0.001) 에서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가설이대부분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참여하기전보다자기효능감이증진될것이다 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전후의자기효능점수가사전 57.3점에서사후 63.5점으로증가하였고, 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 (Z=-2.3, p=0.023) 가설이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에참여한대상자는 참여하기전보다삶의질이향상될것이다 는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전후의삶의질사전점수가 45.8 점에서사후점수는 47.5 점으로증가하여유의한차이를나타내어 (Z=-2.4, p=0.013)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본연구의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요실금이있는여성의신체적기능과사회 심리적안녕감을향상시키는데효과적인간호중재전략임을알수있었고, 향후지역사회보건기관을중심으로확대, 적용해야할것으로사료된다. 본연구의결과를근거로다음과같이제언하고자한다. 1.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은요실금환자의요실금정도와자기효능감및삶의질에미치는영향에대해효과적으로나타났으나이들간의상관관계및인과관계를밝히기위해대조군및표본수를확대한연구가필요하다. 2.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을지역사회내요실금이있는여성에게반복적용하여효과적인간호중재프로그램으로정착시키는것이필요하다. 3. 여성의요실금관련요인에대한포괄적인연구를통해현재의다양한중재프로그램을통합한타당성있는요실금중재전략의모색이필요하다. 참고문헌강경자 (1996). 노인여성의긴장성요실금에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 김미경 (2003). 통합적요실금중재프로그램이여성의요실금에미치는효과.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대학원, 인천. 김소영, 박정숙 (2000). 요실금량및최대질수축압에미치는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2(2), 267-277. 김재식, 이정주 (1999). 양로원거주여성의요실금유병률. 대한비뇨기학회지, 40(8), 1019-1023. 김춘길, 김정희 (2002). 전화상담프로그램이당뇨병환자의자기효능과자가간호에미치는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4(2), 306-314. 박미화 (2004).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복막투석환자의자가간호행위와신체, 심리적기능에미치는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전남. 박영임, 전명희 (2000). 일부농촌지역고혈압환자의 - 99 -
자가간호증진과혈압조절을위한자기조절프로그램의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5), 1303-1317. 박은영 (2001). 요실금에대한골반근육운동효과검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서울. 박효정 (2001). 여성요실금교육비디오프로그램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서울. 백성희 (1998). 한국노인여성의요실금에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서울. 송미령 (2000). 혈액투석환자의자가간호를위한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개발및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4), 1066-1077. 오현수 (1993). 여성관절염환자의건강증진과삶의질. 대한간호학회지, 23(4), 617-630. 유수정, 송미순, 이윤정 (2001). 자기효능증진교육프로그램이고혈압노인의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및혈압에미치는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3(1), 108-122. 윤혜상 (1998). 여성요실금에대한방광훈련과질회음근운동의효과비교.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서울. 이명은 (2002). 복막투석환자의자가간호이행에영향을미치는요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 이영숙 (1993). 요실금여성의질회음근육운동의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서울. 이영숙 (1994). 여성의긴장성요실금에관한연구. 모자간호학회지, 4(1), 12-23. 이정주 (1999). 양로원거주여성의요실금유병율.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부산. 주영희 (2001). 여성요실금관리프로그램의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부산. 주영희, 김정순 (2000). 지역사회거주노인의요실금에관한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1(2), 441-452. 최영희, 성명순, 홍재엽 (1999). 한국여성의복압성요실금에대한골반저근육운동과바이오피드백법의효과비교. 대한간호학회지, 29(1), 34-47. 최은정 (2003). 자기효능강화와뇌졸중재활프로그램의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 Andrews, F. M.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 Plenum Press.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Cheater, F. M. (1992). Nurses Educational Preparation and Knowledge Concerning Continence Cromo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7, 328-338. Dougherty, C. M., Bishop, R, K., Mooney, R., Grimoptty, P. and Williams, B. (1993). Grade Pelvic Muscle Exercise. The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38(9), 684-9. Hendrickson. S. L. (1981).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in Wome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n Exercise Program. Issues in Health Care of Women. 3. 81-92. Parnell, J. D., Marshall, V. F., & Vaughan, E. D. (1982). Primary Manag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by Marshall-Marchetti-Krantz Vesicourethropexy. Journal of Urology. 127(4), 697-682.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3)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Wyman J. F., Fantle J. A., McClish, D. K., Harkins, S. W., Ueberax, J. S., Ory M. G. (1997). Qualty of Life Following Bladder Training in Olde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Urogynecol Journal Pelvic Floor Dysfunct, 8(4), 223-229. - 100 -
한국농촌간호학회지제 5 권제 2 호 - Abstract - Effects of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Manag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on the Degrees of Incontinenc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Kim, Yang Soon* Kang, Kyung Sook**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Method: The study used a pre-experimental design. Twen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nursing home located in Gwangju City and included residents, employees, and volunteer workers with urinary incontinence. Participants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21 to November 2, 2005. The program treatment was provided to participants once a week for 6 weeks. Results: Frequency, amount, and situation scores for urinary incontinence, maximum and mean vaginal constriction pressure, vaginal constriction time, and nocturnal frequenc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preand posttest difference in frequency of daily urination (p=0.097). The degree of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for participants in the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at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can be implemented fo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or nursing homes in order to reduce their incontinence symptoms, and increas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Key words : Urinary Incontinence,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 Community Health Promotion Center Researcher, Nambu University ** Nambu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 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