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45FC0FCC7D8BFC12DBCBABAB0BFA120B5FBB8A520B4EBC7D0BBFDC0C72E687770>

Similar documents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The Structural Rel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歯14.양돈규.hwp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DBPIA-NURIMEDIA

DBPIA-NURIMEDIA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DBPIA-NURIMEDIA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

歯5-2-13(전미희외).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untitled

Lumbar spine


다문화 가정의 부모

서론


DBPIA-NURIMEDIA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패러다임을변화시키고있다. 그러나이러한스마트폰의순기능적인측면의또다른면에는음란 유해애플리케이션접촉, 허위정보유포, 게임중독, 스마트폰중독과같은역기능적인측면들이대두되고있다 [2]. 스마트폰중독은특정한행위나활동에의존하는행위중독의일종으로스마트폰사용에몰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 1

1..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35BFCFBCBA2E687770>

< 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DBPIA-NURIMEDIA


(5차 편집).hwp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세종대 요람

<352EC7E3C5C2BFB55FB1B3C5EBB5A5C0CCC5CD5FC0DABFACB0FAC7D0B4EBC7D02E687770>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35332DB9DABACEB0E62DB4EBC7D0BBFDB5E9C0C720534E53C1DFB5B6B0E6C7E2BCBA2E687770>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ÀÌÁÖÈñ.hwp

380 Hyun Seok Choi Yunji Kwon Jeongcheol Ha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이론연구 (Ki, 2010; Lee, 2012), 단순통계분석 (Lee, 2008), 회귀분석 (Kim, 2012)과 요인분석 (Chung, 2012), 경로분석 (Ku,

Rheu-suppl hwp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 ( 황수경 ) ꌙ 127 노동정책연구 제 4 권제 2 호 pp.127~148 c 한국노동연구원 WHO 의새로운국제장애분류 (ICF) 에대한이해와기능적장애개념의필요성황수경 *, (disab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30322DC8ABBBEFBFA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K * The Analysis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유한표지F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hwp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Transcrip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6 pp. 269-277, 2016 http://dx.doi.org/10.5762/kais.2016.17.6.269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 전해옥청주대학교간호학과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Hae Ok Jeon Department of Nursing, Cheongju University 요약본연구의목적은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기위함이다. 4년제대학에재학중인 1-4학년남녀대학생을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구조화된설문지에자가보고식으로작성하도록하였으며, 총 130부의설문지가최종분석에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성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던, 연령,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대한인식을통제한상태에서, 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 (β=-.41, p=.009) 만이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으며, 약 16%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F=2.26, p=.049). 여자대학생의경우,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β=.42, p<.001) 과긍정학업정서 (β=.27, p=.010) 가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으며, 약 28%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F=5.19, p<.001). 그러므로남녀대학생의 SNS 중독과관련된심리 사회적건강문제를해결하기위해, 성별에따른차이를고려할필요가있다. 이를위해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을향상시키는전략이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경우 SNS 사용시간을줄이고긍정학업정서를지지해줄수있는전략이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influence of a college student's academic emotions and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30 college student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2015.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in the case of male college students, only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β=-.41, p=.009) was understood as a variable with an influence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having approximately 16% power of explanation (F=2.26, p=.049) after controlling for age,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NS, subjectively-perceived level of dependence on SNS, and one's own level of using SNS. In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t was understood that the daily average duration of using SNS (β=.42, p<.001) and positive academic emotions(β=.27, p=.010) were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having approximately 28% power of explanation (F=5.19, p<.001). Accordingly, to solve the psycho-social health problems rela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SNS addic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might be helpful for planning a program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Keywords : Addictive behavior,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Students 1. 서론 전 세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SNS) 의사용자가 16억명을넘어섰고, 한국전 1.1 연구의필요성 체국민의 54.4% 가 SNS를즐겨사용하고있다 [1]. 2015 * Corresponding Author : Hae Ok Jeon (Cheongju Univ.) Tel: +82-43-229-8993 email: beaulip@hanmail.net Received March 10, 2016 Accepted June 2, 2016 Revised April 5, 2016 Published June 30, 2016 26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7 권제 6 호, 2016 년한국인터넷진흥원의조사결과에의한한국의모바일 SNS 이용자의연령대별분포는 20대 (94.8%), 30대 (88.6%), 10대 (86.5%) 순으로 20대의이용률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모바일 SNS 이용자의 67.1% 가개인적관심사공유를위해서 SNS를이용하고, 취미 / 여가활동을위한목적이 65.2%, 일상생활에대한기록을위한목적으로이용하는것이 55.4% 로조사되었다 [2]. SNS는특정한관심이나활동을공유하는사람들사이의관계망을구축해주는온라인서비스를의미하는데, 전체연령대중 20대의 SNS 이용률이가장높은것은다른연령대에비해비교적시간적여유가있고, 스마트기기에친숙하고, 특히대학생시기는우정이나친구의반응등에민감하고, 사회적관계를중시하는특성으로인해 SNS 이용률이높은것으로파악된다. 이러한상황으로인해 SNS 사용은대학생의일상생활과문화에중요한영향을주는요인으로작용할가능성이있다. 스마트폰의대중화와 SNS 이용의일상화로인한사회적변화는소통과사회참여의확대를가져왔으나, 프라이버시의침해, 사이버폭력, 소통의양극화, 허위정보의확산, 정보의과부하라는부작용도있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3]. 특히 SNS 중독경향성이높은대학생은불안과우울수준이높으며, 낮은자아존중감을가지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4]. 뿐만아니라대학생의대인관계지향성은사회불안및 SNS 몰입에정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으며, 사회불안은 SNS 몰입을증가시키는요인이되는것으로보고되었다 [5].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수준은성별에따라차이가있고, 스마트폰중독성향이강할수록학업성적과자기통제력이낮은것으로파악되었고, 스마트폰중독정도가높을수록신체활동량과자기조절학습능력및수면의질이낮은것으로나타나, 선행연구를통해대학생의스마트폰과다사용으로신체적건강과학습능력이저하될수있음이보고되고있다 [6]. 선행연구에의하면, 대학생의학교생활적응은 SNS 중독및대학생활스트레스에의해영향을받는것이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학업문제가가장영향력이큰변수로확인되었다 [7]. 대학생은청소년기에이어학업수행및전공에따른직업의준비로인해많은시간을공부에할애하는시기이다. 특히, 학업수행에있어즐거움, 희망과같은긍정적인학업정서가노력, 자기조절, 심층적인지몰두와같은동기과정과관련이있으며, 긍 정적인정서를많이지각할수록부적합한사고를덜하는것으로보고되어, 학업정서가실제적으로학업성취와도관련이있음을알수있다 [7]. 실제한국대학생의스마트폰과잉사용률은 29% 로중고생보다높으며, 스마트폰을소지한대학생의 73% 가스마트폰을사용하지못할때불안감이나답답함을느끼는일종의금단증상을보인다고하여대학생들의스마트폰과잉사용을예방하고건강한스마트폰사용을돕는효과적인접근방법의모색이필요하다 [8,9]. 대학생의스마트폰사용수준에따라자기통제력과의사소통간의차이를분석한연구에서, 스마트폰과잉사용군에서는불안, 우울등정신건강이스마트폰과잉사용과정적인상관을보였으나, 스마트폰비과잉사용군에서는자기통제력과의사소통이스마트폰과잉사용과부적관련이있는것으로결과에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10]. 대학생시기는확대된사회적관계속에서다양한학문과경험을쌓아가며자신의정체성을분명히하고미래를계획해야하며, 대인관계가더욱중요한시기이다. 이시기는 Erikson[11] 의심리 사회적발달단계중자아개념과자아정체감을다지는계기가되기도하지만, 새로운과업인친밀감형성을시도하면서고립감도경험하는단계이다. 친밀감형성은성숙한대인관계를기반으로친구관계, 이성관계, 가족및사회구성원으로서의사회적관계를형성하고유지하는것을의미하는데, 이러한발달과업의이수가원만하지못할경우, 심리적혼란을경험하게된다. 선행연구에서대학생의정서인식은대인관계에직접적인영향을주기도하고, 정서표현이정서인식과대인관계에매개적인영향을주는것으로파악되었는데, 정서표현은학교와같은사회생활에서대인관계를형성하고유지하는데중요한요인이된다 [12]. 그리고대인관계지향성은청소년을대상으로한연구에서 SNS 중독성을조절해주는효과가있는것으로보고되기도하였다 [13]. 이처럼대학생시기에중요한변수인학업정서및대인관계능력을 SNS 중독경향성과연관지어대학생의성별에따라이에차이가있을것이라는가정하에, 대학생의 SNS 사용관련특성을파악하고, 성별에따른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여, 이를근거로대학생의학업및 SNS 중독관련심리적, 정신적건강향상을위한간호중재의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한다. 270

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 1.2 연구목적 1) 성별에따른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특성의차이를파악한다. 2)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 SNS 중독경향성의차이를파악한다. 3)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본연구는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기위한서술적상관관계조사연구이다. 2.2 연구대상 A시소재의일개 4년제간호학과에재학중인간호대학생을대상으로성별과학년별분포를고려하여편의표집하였다. 본연구에서필요한대상자수는 Linear multiple regression을기준으로 G*power program[14] 에의해유의수준.05, 효과크기.15(medium) 로예측변수 7개를포함하였을때, 검정력.95를유지하기위한최소한의표본수는 89명으로나타나, 본연구대상자인 130명은충분한것으로파악되었다. 2.3 연구도구 2.3.1 학업정서학업상황에서발생하는정서를측정하고자 So[15] 가개발한학업정서척도를사용하였다. 본도구는학생들이주로경험하는학업정서를학습상황별로나누어측정하며, 부정적정서와긍정적정서로구분되며, 부정정서에는지루함, 분노, 불안이있고, 긍정정서에는즐거움, 희망, 긍지가있다. 문항수는각하위요인당 6개씩총 36문항으로 확실히아니다 1점에서 확실히그렇다 6 점까지 Likert 척도로구성되어있다. 가능한점수범위는 36-216점이며, 도구개발당시 Cronbach's α는.77-.89로나타났으며, 본연구에서 Cronbach's α는.62-89로나타났다. 2.3.2 대인관계능력대인관계능력을측정하기위해 Schleine 등 [16] 이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Moon[17] 이번안한도구를사용하여측정하였다. 본도구는대인관계능력을측정하기위해만족감, 민감성, 의사소통, 개방성, 신뢰감, 친근감, 이해성의 7개의하위요인으로구성되어있으며, 전혀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척도로총 25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가능한점수범위는 25-125점으로점수가높을수록대인관계능력이높음을보여준다. Moon[17] 의연구에서의 Cronbach's α=.86이었고, 본연구에서의 Cronbach's α =.79이었다. 2.3.3 SNS 중독경향성 SNS 중독경향성을측정하기위하여, Oh[18] 의 SNS 중독경향성척도를사용하였다. SNS 중독경향성은 SNS 과다사용에따른금단과내성을갖게되면서스트레스와우울증, 의존증, 집중력저하, 강박등의정신적피로와신체적질환을가져와개인의적응및일상생활에지장을초래하는것을의미한다 [18]. 본도구는총 11 문항으로, 전혀그렇지않다 1점에서 매우그렇다 4 점까지의 Likert 척도로구성되어있으며, 점수가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수준이높음을의미한다. 가능한점수범위는 11-44점이며, Oh[18] 의연구에서신뢰도는 Cronbach's α=.89로보고되었고, 본연구에서의 Cronbach's α=.77이었다. 2.4 자료수집방법본연구는구조화된설문지를사용하여, 본연구의목적을설명하고, 자발적으로연구참여를동의한대상자에게서면연구참여동의서를받은후자가보고식으로설문지를작성하도록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9 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으며, 배포된 150부의설문지중총 143부가수거되었으며, 설문내용이미흡한 13 부를제외한 130부를최종분석에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본인의의사에따라언제든지철회할수있으며, 연구목적이외에는사용하지않을것임과개인정보의비밀이보장됨이사전에설명되었고, 설문조사를완료한대상자에게는소정의선물이제공되었다. 27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7 권제 6 호, 2016 2.5 연구의윤리적고려본연구에서는대상자의윤리적고려를위해, 자료수집전, 서면으로작성된연구설명서에연구의목적, 설문소요시간, 설문의익명성보장, 설문중원치않을경우본인의의사에따라언제든지철회할수있음과어떠한불이익이없음에대해자세히공지되었으며, 자발적으로설문에응하는대상자에한해서면으로참여동의서를받은후자가기입방식으로설문조사를시행하였다. 작성된설문의내용은코드화하여연구자가열람할수있는곳에만보관하였고, 익명으로코드화한자료와설문결과는연구종료와함께폐기될것이다. 설문을완성한모든대상자에게는소정의선물을제공하여답례를 하였다. 2.6 자료분석방법수집된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을사용하여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분석방법은다음과같다. 1) 성별에따른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특성의차이를파악하기위해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χ 2 -test로분석하였다. 2)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 SNS 중독경향성의차이를파악하기위해 t-test로분석하였다. 3)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 Table 1. Differences of Demographic and SNS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130) Gender Characteristics/categories Male (n=52) Female (n=78) t or χ 2 p n or M±SD Age(years) 22.73±2.02 21.65±1.24 3.44.001 Grade Grade 1 16(30.8) 16(20.5) 2.40.493 Grade 2 13(25.0) 21(26.9) Grade 3 10(19.2) 22(28.2) Grade 4 13(25.0) 19(24.4) SNS using time (an average day) None & <30 minutes 17(32.7) 9(11.5) 21.71 <.001 30minutes-1 hour 14(26.9) 9(11.5) 1-2 hours 12(23.1) 26(33.3) 2-3 hours 6(11.5) 10(12.8) 3 hours 3(5.8) 24(30.8) Reasons of SNS using (multi choices) To pass the time 23 23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17 28 For pleasure 13 35 For a life of a society 6 3 Force of habit. 4 12 In order to express yourself 0 2 To not be excluded 1 2 Subjective dependency of SNS using <10% 17(32.7) 15(19.2) 15.71.015 20% 10(19.2) 6(7.7) 30% 15(28.8) 16(20.5) 40% 3(5.8) 9(11.5) 50% 2(3.8) 7(9.0) 60% 2(3.8) 11(14.1) 70% 3(5.8) 14(17.9) Self perception for SNS using Very little use 11(21.2) 12(15.4) 8.82.032 Use a little bit 21(40.4) 18(23.1) Make appropriate use 20(38.5) 43(55.1) Heavy users 0(0.0) 5(6.4) Sleep disturbance due to SNS Yes 16(30.8) 31(39.7) 1.09.297 No 36(69.2) 47(60.3) 272

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 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기위해남녀각각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시행하였다. 위계적회귀분석 1단계로성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던, 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변수를회귀모형에투입하였고, 2단계로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을추가적으로투입하여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변인을통제한상태에서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였다. 한다 고응답한비율이남성은 40.4% 로가장많았으며, 여성은 적당하게사용한다 고응답한비율이 55.1% 로가장많은것으로나타났다. SNS을사용하는이유를다중응답으로조사한결과, 남성은 시간을보내기위해 (23건), 다른사람과소통하기위해 (17건), 즐거움을위해 (13건) 순으로조사되었으며, 여성은 즐거움을위해 (35건), 다른사람과소통하기위해 (28건), 시간을보내기위해 (23건), 습관적으로 (12건) 순으로조사되었다 [Table 1]. 3. 연구결과 3.1 성별에따른대상자의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특성의차이본연구에서대상자의연령 (t=3.44, p=.001),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χ 2 =21.71, p<.001),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 (χ 2 =15.71, p=.015),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대한인식 (χ 2 =8.82, p=.032) 에있어성별에따른유의한차이를나타냈다. 남성이여성에비해연령이높았으며,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에있어, 남성에서 3시간이상사용하는비율이 5.8% 인것에비해여성에게있어서, 3시간이상사용하는비율이 30.8% 로높고전반적으로 1시간이상사용하는비율이여성에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에있어서도여성이남성에비해높은의존도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으며, 70% 이상의의존도를보이는경우도 17.9% 로여성이남성에비해유의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대한인식에있어 적게사용 3.2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의차이본연구에서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의차이를분석한결과, 학업정서중부정정서의불안이여성에게서유의하게높게나타났으며 (t=-2.72, p=.008), SNS 중독경향성에있어여성이남성에비해유의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t=-2.44, p=.016)[table 2]. 3.3 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기위해남녀각각위계적회귀분석을시행하였다. 1단계에서성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던, 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변수인연령,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대한인식을회귀모형에투입하였고, 2단계로학업정서, 대인관계 Table 2. Difference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N=130) Gender Characteristics/categories Male (n=52) Female (n=78) t p M±SD M±SD Academic emotions Negative academic emotions 66.12±10.90 65.62±10.75 0.25.800 Boredom 20.94±5.54 21.17±3.63-0.28.781 Anger 16.62±8.63 17.14±4.85-0.44.658 Anxiety 22.00±4.69 24.57±5.56-2.72.008 Positive academic emotions 59.60±12.93 62.88±10.51-1.58.118 Pleasure 19.62±3.21 18.94±3.25 1.17.244 Hope 22.57±4.85 21.88±4.69 0.80.426 Pride 23.56±5.06 24.86±4.94-1.46.148 Interpersonal relations 91.76±11.93 91.27±12.14 0.23.822 SNS addiction tendency 17.81±6.28 20.38±5.57-2.44.016 27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7 권제 6 호, 2016 능력을추가적으로투입하여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변인을통제한상태에서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였다. 명목변수에해당하는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 본인의 SNS 사용정도에대한인식은더미변수로전환하여분석을실시하였다. 남성의경우 1단계모형은유의한설명력을가지지않았고, 2단계모형에서대인관계능력 (β=-.41, p=.009) 만이유의한영향요인으로나타났고, 이는성별에따라유의한차이를보였던일반적특성및 SNS 사용관련변수를통제한상태에서 SNS 중독경향성을약 16% 설명하는것으로나타났다 (F=2.26, p=.049). 여성의경우 1단계에서하루평균 SNS 사용시간이 3시간이상인경우그렇지않은경우에비해 SNS 중독경향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 (β=.45, p<.001), 여성의 SNS 중독경향성의약 24% 를설명하는것으로나타났다 (F=6.95, p<.001). 2단계모형에서하루평균 SNS 사용시간 (β=.42, p<.001) 과긍정학업정서 (β=.27, p=.010) 가유의한영향요인으로나타났고, 이들변인은인지기능을약 28% 설명하였다 (F=5.19, p<.001) [Table 3]. 4. 논의본연구는성별에따라대학생의 SNS 사용관련특성및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하여, 이를근거로대학생의 SNS 사용과관련된심리적, 정신적건강향상을위한프로그램의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시도되었다. 본연구에서하루평균 SNS를 3시간이상사용하는비율이남성의경우 5.8% 인것에비해여성은 30.8% 로나타났으며, 주관적으로인식한 SNS 의존도에있어서도여성의경우 70% 이상의의존도를보이는사람의비율 Table 3.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SNS Addiction Tendency by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N=130) SNS addiction tendency Variables Male Model 1 Model 2 β t p β t p Age.12 0.75.456.28 1.73.091 SNS using time(an average day)(1= 3 hours)*.16 1.07.291.12 0.78.440 Subjective dependency of SNS using(1= 70%)*.22 1.39.170.24 1.58.122 Self perception for SNS using (1= Use a little bit)*.17 1.07.275.26 1.78.083 Negative academic emotions.09 0.59.562 Positive academic emotions.20 1.41.165 Interpersonal relations -.41-2.73.009 F (p) 1.32 (.276) 2.26 (.049) R 2 ( R 2 ).11.28 (.17) Adjusted R 2.03.16 SNS addiction tendency Variables Female Model 1 Model 2 β t p β t p Age -.01-0.08.937.02 0.23.815 SNS using time(an average day)(1= 3 hours)*.45 4.09 <.001.42 3.82 <.001 Subjective dependency of SNS using(1= 70%)*.08 0.76.451.08 0.71.481 Self perception for SNS using (1= Use a little bit)* -.12-1.11.270 -.09-0.88.381 Negative academic emotions -.01-0.07.947 Positive academic emotions.27 2.64.010 Interpersonal relations.01 0.11.914 F (p) 6.95 (<.001) 5.19 (<.001) R 2 ( R 2 ).28.35 (.07) Adjusted R 2.24.28 * Dummy coded. 274

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 이 17.9% 에달하는것으로나타나, 여성이남성에비해높은 SNS 사용시간과의존도를보이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여성의 55.1% 에서본인은 SNS를적당하게사용한다 고인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 실제 SNS 사용수준과인식에있어차이가있음을알수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의조사결과에서도남학생 (28.6%) 에비해여학생 (42.6%) 이스마트폰사용에있어잠재적위험군이거나고위험군에해당하는비율이높았으며, 스마트폰중독에있어, 내성이가장높게나타났고, 일상생활장애, 금단, 가상세계지향순으로문제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남학생에비해여학생은친교와즐거움을목적으로스마트폰을이용하였으며, 남학생은주로새로운사람을만나거나전문적인지식을가진사람을찾기위해스마트폰을이용하는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에서도남자대학생의 SNS 사용의주된이유는 시간을보내기위해, 다른사람과소통하기위해, 즐거움을위해 로조사되었으며, 여자대학생은 즐거움을위해, 다른사람과소통하기위해, 시간을보내기위해, 습관적으로 순으로조사되었다. 이렇듯성별에따라 SNS사용수준과의존도, 사용이유에있어차이가있음을알수있다. 대학생을대상으로한 Park[20] 의연구에의하면, 정보추구, 자긍심표출, 추억공유가 SNS 사용의주요동기요인으로파악되었으며, 대학생이자신을표현할수있는 SNS의도구적기능때문에 SNS 중독에영향을주게되며, 이로인해시간내성, 생활장애, 금단 / 불안, 중단실패와같은중독성향요인들이대학생들에게나타나고있는것으로보고되었다. Kim[5] 의연구에의하면, 대학생시기에나타나는대인관계지향성은 SNS 몰입도를증가시키는것으로나타났지만, SNS를과잉사용할경우, 자기통제력과의사소통에부정적인영향을주며 [10], 신체적건강과학습능력에부정적인영향을줄수있다고보고하였다 [6]. 그러므로 SNS의사용량과의존도가높은여자대학생의 SNS 사용관련특성을고려하고, SNS의부정적인영향을최소화할수있도록중독경향을조기에인지하고, 문제를해결할수있도록하는대책이필요할것으로파악된다. 본연구에서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 대인관계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의차이를분석한결과, 학업정서중부정정서의불안이여자대학생에서유의하게높게나타났으며, SNS 중독경향성도여자대학생이유의하게높은것으로나타났다. Kim[21] 은청소년과대학 생들의스마트폰사용의가장부정적측면이학생들의학습에미치는영향이라고언급하고있다. 이시기의 SNS의높은사용은정신적, 신체적으로건강문제를유발할수있어스마트폰사용에대한자가조절은매우중요하다. Pekrun 등 [22] 은학업수행에있어, 즐거움, 희망과같은긍정적인학업정서가노력, 자기조절, 심층적인지몰두와같은동기과정과관련이있으며, 긍정적인정서를많이지각할수록부적합한사고를덜하게된다고보고하였다. 그러므로 SNS 중독경향성이높은여자대학생의신체적 심리적건강향상을위해불안과같은부정적학업정서를긍정적인정서로전환될수있도록학습상황별대처전략을마련하고, 이를대학차원에서다양한프로그램을통해지지해줄필요가있다. 본연구에서성별에따른대상자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한결과, 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만이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으며, 약 16%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여자대학생의경우,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과긍정학업정서가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으며, 약 28% 의설명력을갖는것으로나타났다. Lee와 Cho[23] 의연구에서도불안, 1일 SNS 이용시간, SNS 이용목적, 성별이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파악되었으며, SNS 중독경향성에대한이들변수의설명력은 31.7% 로나타나, 본연구결과처럼, 성별, SNS 이용시간, 불안과같은심리적요인이 SNS 중독경향성에중요한영향을미치고있음을알수있다. Park과 Jeong[24] 은학습전략과학업적응은성별에관계없이모두성적에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으나, 여성에게서만부정적정서가성적에영향을주었으며, 남성에게서만사회적적응이성적에유의한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나성별의조절효과를확인할수있었다. 그러므로남녀대학생의 SNS 중독과관련된심리 사회적건강문제를해결하기위해, 성별에따른차이를고려할필요가있다. 이를위해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을향상시키는전략이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경우 SNS 사용시간을줄이고긍정학업정서를지지해줄수있는전략이요구됨을알수있다. Cho와 Kim[25] 의연구에의하면, 대학생의사회성이낮을수록, 스마트폰사용시간이많을수록, 충동성이높을수록, 스마트폰중독가능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Park[20] 의대학생의심리적특 27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제 17 권제 6 호, 2016 성과 SNS 중독에관한연구에서도외로움과감각추구성향과같은심리적특성이 SNS 중독성향에영향을주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즉, 외로움을많이느낄수록대안적기능으로 SNS을이용하고있었으며, 감각추구성향이높은사람일수록중독경향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Lee 와 Cho[23] 의연구에서도불안및우울수준이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낮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높은것으로나타나심리적요인이 SNS 중독경향에영향을주고있음을알수있다. 그러므로 SNS 사용관련성별의차이, 대인관계능력, 학업정서를포함하여, 대학생의심리적인건강이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관련이있음을고려하여관련문제를해결하고자하는노력이필요하다. 또한대학생들이 SNS 중독조절을위한프로그램참여하기위해위험도가높은그룹을선정하기위한스크리닝에참여할수있게하여야하며, 중독경향을개선하고자하는의지가있는학생에게의학적, 심리적인전문가의도움을받을수있는환경을조성해야한다. 이상의논의를종합하여볼때,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요인이성별에따라차이가있음을반영하여, 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을향상시키는전략이요구되며, 특히 SNS 중독경향성이높은여자대학생의경우 SNS 사용시간을줄이고긍정학업정서를지지해줄수있는전략이필요한것으로사료된다. 이를위해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에서발생할수있는문제는무엇인지우선적으로파악할필요가있으며, 여자대학생의경우학업정서에서부정적정서에영향을줄수있는다양한요인에대한파악이필요하다. 그리고 SNS 중독의심각성에대해개인뿐만아니라, 사회적으로도공감대를형성하고, 이에대한폐단을미연에방지하기위해대학차원의사회적지지프로그램을제공할필요가있으며, 이에대한참여를적극권장하여대학생스스로 SNS 사용을조절할수있도록해주어야하며, SNS 사용과관련한신체적, 사회 심리적건강문제를해결할수있도록사회적, 의학적관심이요구된다. 마지막으로본연구는일개 4년제간호학과에재학중인대학생을대상으로편의표집하여연구하였기때문에, 결과를일반화함에제한점이있다. 이에추후연구에서는보다과학적인표본추출방법을활용하여이에대한문제점을보완하여연구를계획할필요가있다. 5. 결론 본연구에서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을파악한결과, 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으며, 여자대학생의경우, 하루평균 SNS 사용시간과긍정학업정서가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변수로파악되었다. 그러므로남녀대학생의 SNS 중독과관련된심리 사회적건강문제를해결하기위해, 성별에따른차이를고려할필요가있다. 이를위해남자대학생의경우대인관계능력을향상시키는전략이요구되며, 여자대학생의경우 SNS 사용시간을줄이고, 긍정학업정서를지지해줄수있는전략이요구된다. 본연구결과에근거하여성별에따른영향요인의차이를반영한 SNS 중독조절프로그램을개발 적용하여지속적인효과를파악한후속연구를제언한다. 무엇보다 SNS 중독경향성에영향을주는대인관계능력향상및불안과같은학업정서를조절하여, 대학생의신체적, 심리적건강향상을위해대학차원의치료적관심이요구된다. 그리고대학생의음주, SNS 및인터넷, 게임중독과같은중독성향을조절하기위해이와관련된다양한사회 심리적변수를포함한대학생의중독성성향을예측하는모형을구축하여, 관련변수의구조적관계의파악및포괄적인이해와탐색의기회를제공할수있는후속연구를제언한다. References [1] emarketer. Number of SNS Users Around the World. Available From: http://www.itworld.co.kr/news/84806, 2013. [2] Mis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Executive Summary. 2015. [3] Y. H. Lee, Utilization of SNS and Analysis of Important Issues of SNS in Korea, Internet & Security Focus, 2014. [4] I. S. Lee, J Y. Cho,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5, pp.2623-2633, 2012. [5] H. Kim,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n SNS Commitment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Vol.35, No.2, pp.11-26. 2014. 276

성별에따른대학생의학업정서와대인관계능력이 SNS 중독경향성에미치는영향 [6] D. Choi,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 pp. 429-43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29 [7] H. Lee, H. Kim, The Effect of Intoxication in SNS and Stress of University Life on the Adaption of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6, pp.3944-395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44 [8] W. K. Park, The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47, No.2, pp.250-281, 2003. [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 Survey for the Status of Mobile Phone Addiction. 2011. [10] H. Jang, Y. Kwag, Comparis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 Phone Over-usage: Focusing on Self-Control, Mental Health and Inter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 pp.146-154,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46 [11]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London, Vintage, 1995. [12] H. W. Lee, D. M. Yeum, M. H. Lee, Impact of College Students Mood Aware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cu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30, No.2, pp.415-433. 2014. [13] H. E. Hwang, H. S. Kim, Influences of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on the Tendency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22, No.9, pp.233-253, 2015. [1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5] Y. S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Emotions Scale. Unpublished master 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6] S. Schlein, B. G. Jr. Guerney, L. Stov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IRS). In J. Touliatos, B. F. Perlmutter, & M. A, Strauss (Eds.), Handbook of Family Measurement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1990. [17] S. M. Moon,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Vol.19, No.2, pp.195-203, 1980. [18] Y. K. O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 s thesis, Korea Counseling University, 2012. [19]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Study on Policy Measures to Protect Youths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 Available From: http://www.nypi.re.kr/ contents/sitemain.do, 2013. [20] W. K. Park, An Explorative Study o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Using Psychological Variables as Predictors, Social Science Research, Vol.27, No.1, pp.95-125, 2014. [21] E. K. Kim, Self Control of Mobile Phon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High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07. [22] R. Pekrun, T. Goetz, W. Titz, R P. Perry,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7, No.2, pp.91-105, 2002. DOI: http://dx.doi.org/10.1207/s15326985ep3702_4 [23] I. S. Lee, J. Y. Cho, Factor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5, pp.2623-2633, 2012. [24] W. Park, G. Jeong,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Negative Affect, and Academic 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3, pp.490-499,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3.490 [25] G. Cho, Y. Kim,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3 pp.1632-1640,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632 전해옥 (Hae Ok Jeon) [ 정회원 ] < 관심분야 > 성인건강간호, 만성질환, 대학생의우울 2002 년 2 월 : 이화여자대학교간호과학과 ( 간호학사 ) 2007 년 2 월 : 이화여자대학교간호과학과 ( 간호학석사 ) 2010 년 8 월 : 이화여자대학교간호과학과 ( 간호학박사 ) 2011 년 3 월 ~ 현재 : 청주대학교간호학과조교수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