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색및일반적인웹서핑등의 자료및정보습득 (99.0%), 메신 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등의 커뮤니케이션 (97.5%), 게임, 비디오, 음악플레이등

Similar documents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DBPIA-NURIMEDIA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歯14.양돈규.hwp

DBPIA-NURIMEDIA

歯5-2-13(전미희외).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DBPIA-NURIMEDIA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DC1A4BFB5C3B62E687770>

대학생스마트폰중독의영향요인 패러다임을변화시키고있다. 그러나이러한스마트폰의순기능적인측면의또다른면에는음란 유해애플리케이션접촉, 허위정보유포, 게임중독, 스마트폰중독과같은역기능적인측면들이대두되고있다 [2]. 스마트폰중독은특정한행위나활동에의존하는행위중독의일종으로스마트폰사용에몰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03-서연옥.hwp


DBPIA-NURIMEDIA

Lumbar spin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hwp

012임수진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31362DB1E8C7FDBFF82DC0FABFB9BBEA20B5B6B8B3BFB5C8ADC0C720B1B8C0FC20B8B6C4C9C6C32E687770>

DBPIA-NURIMEDIA

고등학생의정신 사회건강과 SNS 중독경향성 하도록특화된온라인서비스플랫폼을의미한다 (Kelsey, 2010). 특히모바일기기를이용해 SNS에접속함으로써실시간으로자신의상태와의견을표명하고여러인간관계를새로맺거나유지하며정보를빠르게공유할수있게되었다. 청소년들은 SNS를통해자신의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DBPIA-NURIMEDIA

untitled

< D3920C1A4BDC5B0A3C8A320B3BBC1F62DC3D6C1BE2E687770>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5차 편집).hwp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

Rheu-suppl hwp

DBPIA-NURIMEDIA


<BAB8B0C7B1B3C0B0B0C7B0ADC1F5C1F8C7D0C8B8C1F632392D31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03-ÀÌÁ¦Çö

<32382D3320C1F6BFAABBE7C8B8B0A3C8A320B3EDB9AE2DC3D6C1BE2E687770>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139~144 ¿À°ø¾àħ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A study on the sports educational zeal through the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mothers of student athletes Byung-Goo Lee & Han-Joo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지난 2009년 11월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대중화에 접어든 국내 스마트폰의 역사는 4년 만에 ‘1인 1스마트폰 시대’를 눈앞에 두면서 모바일 최강국의 꿈을 실현해 가고 있다

03이경미(237~248)ok

교육치료연구 SNS : SNS SNS SNS SNS, SNS, SNS. SPSS MACRO SNS., SNS SNS. SNS, SNS,. SNS SNS,. (2016) (Corresponding Author) : / / 608 / Tel: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 ** *** ****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332EC0E5B3B2B0E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구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Kang & Lee, 2001). 이에 대한 결과로 1990 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만성신부전환자의 혈액투석경험 (Shin, 1997), 신장이식 체험(Lee, 1998) 과 만성질환자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Ko, 1999)등 만성질환

<33345FC0FCC7D8BFC12DBCBABAB0BFA120B5FBB8A520B4EBC7D0BBFDC0C72E687770>

433대지05박창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 - Qualitative Met

04_이근원_21~27.hwp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歯1.PDF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Parents Perception

<30312DC1A4BAB8C5EBBDC5C7E0C1A4B9D7C1A4C3A528B1E8C1BEB9E8292E687770>

online ML Comm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5): Print ISSN 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Transcrip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Korean J Adult Nurs) Vol. 27 No. 6, 634-643, December 2015 ISSN 1225-4886 (Print) / ISSN 2288-338X (Online) http://dx.doi.org/10.7475/kjan.2015.27.6.634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장인순 1 박승미 한국성서대학교간호학과 1, 호서대학교간호학과 2 2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A Focus on Self-control Jang, In Sun 1 Park, Seungmi 2 1 Department of Nursing, Korea Bible University, Seoul 2 Department of Nursing &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ersity, Asan,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elf-control. Methods: A sample of 242 colleg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was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for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elf-control scale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in smartphone addiction-risk group was 66 (27.3%). This study had 17.5% of the explanatory power, including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β=.330, p=.007), and instant self-control (β=-.281, p=.028) in addiction-risk group. Whereas, in non-risk group, the affecting factors included gender (β=.194, p=.004), self-awareness of addiction (β=-.290, p<.001), and instant self-control (β=-.281, p<.001) with 31.3% of the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of smartphones and to improve self-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Key Words: Smartphone, Student, Addictive behavior, Self-control 1. 연구의필요성 서 국내의스마트폰이용은 론 2010년을전후로해서컴퓨터와 휴대전화의기능을동시에구현하게되었다. 2014년인터넷 이용실태조사결과에따르면국내스마트폰기기보유율은 2011년 31.3% 에서매년증가하여 2014년에는 78.6% 로급증 하며, 이에따른과다사용으로스마트폰중독위험군도 2011 년 8.4% 에서 2014년 14.2% 로지속적으로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1].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14 모바일인터넷이용 실태조사 결과에따르면, 하루평균스마트폰이용시간은 2013년 2시간 13분에비해 2시간 51분으로 38분정도증가한 것으로나타났고, 특히 3시간이상이용자비율이 45.7% 로증 가하였고, 그중 20대의증가폭이전년대비 22.5% 로타연령 대에비해상대적으로높았다. 또한주이용목적으로정보검 주요어 : 스마트폰, 학생, 중독, 자기통제력 Corresponding author: Park, Seungmi Department of Nursing, Hoseo University, 79-20 Hoseo-ro, Baebang-eup, Asan 336-795, Korea. Tel: +82-41-540-9533, Fax: +82-41-540-9558, E-mail: seungmipark@hoseo.edu Received: Aug 6, 2015 / Revised: Dec 10, 2015 / Accepted: Dec 11, 201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634 2015 Korean Korean Society Journal of of Adult Adult Nursing Nursing http://www.ana.or.kr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색및일반적인웹서핑등의 자료및정보습득 (99.0%), 메신 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등의 커뮤니케이션 (97.5%), 게임, 비디오, 음악플레이등의 여가활동 (89.1%) 순으로조사되어일상생활전반에서이용 이확대되고있는것으로설명하였다 [2]. 스마트폰이용자들이습관적으로스마트폰을수시로쳐다 보고, 길거리, 지하철, 버스안등에서도, 뿐만아니라잠깐화 장실을갈때도스마트폰을가지고다닐정도로스마트폰에 의존하는모습들을자주보게된다. Hwang, Sohn과 Choi[3] 는스마트폰중독과관련된스마트폰기능을모바일서비스, 멀티미디어,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로설명하며, 특히스마 트폰의인터페이스는터치스크린으로작동되며자신에게맞 는유용한애플리케이션설치등으로개인에게맞춤형스마트 폰을만들어가고있다고하였다. 이렇듯스마트폰을통해생 활에많은편리함이제공되면서사용자들이스마트폰에너무 의존하여과다사용을하는경향이일어날수있으며, 이로인 해다양한정신적인, 신체적장애등이나타날수있다. 선행연 구에서도스마트폰의사용과관련된근골격계질환자각증상 호소[4], 엄지손가락관절의가동성과손목과상지근육의활 동정도에영향[5], 어깨통증 [6] 등을보고하였다. 이와같은신 체적증상이외에도강박증, 우울, 정신증, 불안, 대인예민증 등과같은정신건강문제도 [6,7] 보고되었다. 또한스마트폰의 사용은근육이나눈의망막, 또는세포들에영향을미치어신 체 생리적인각성을유발함으로써수면을방해할수있다 [8,9]. 또한스마트폰중독은정신건강, 스트레스반응, 대인관 계, 학교생활에도문제를발생시키는것으로보고되고있으며 [10-12], 특히자기통제력이낮은대학생의경우스마트폰중 독이대학생활적응에유의하게부정적인영향을미치는것으 로보고하였다 [13]. 따라서스마트폰에대한자기통제력은스 마트폰의긍정적이고바람직한이용을유도함에있어중요한 역할을한다고볼수있다[14]. 자기통제력은외부의지시나 감독없이도사회적 상황적요구에적합한행동을하거나미 래의더좋을결과를얻기위해즉각적인만족을자제하고인 내하는자기조절능력을의미한다 [15]. 선행연구에서도낮은 통제력은인터넷중독이나휴대전화중독, 스마트폰중독등 미디어중독으로이어질수있으며, 중요한예측변수로보고 하고있었다[13,14,16,17]. 그러나자기통제력이인터넷중독, 사이버비행에유의한영향을미치지않는연구결과도있었다 [18,19]. 일부이지만자기통제력이인터넷중독에미치는영향 이일정하지않았고, 스마트폰중독과관련된연구가진행된 기간이길지않은시점에서자기통제력이중독수준에따른 미치는영향에대한지속적인연구가요구된다. 2014년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서 20대의스마트폰중독위 험군은 19.6%, 대학생은 20.5% 로성인의중독위험군 11.3% 에비해상대적으로높은위험상태를나타내고있으나[1], 스 마트폰이용과건강문제를다룬대부분의기존연구는고등학 생이나성인을주로대상으로하고있었다[12]. 대학생을대상 으로한연구는스마트폰중독과신체적건강문제, 생활스트 레스, 정신건강과관련된논문들로스마트폰중독과관련된 요인을탐색하는연구들이보고되고있는실정이다 [6,10,11]. 하지만선행연구들은주로스마트폰중독과관련된요인및 영향요인의효과를스마트폰중독수준에따른차이를고려 하기보다는일괄적으로검토한결과들로이들차이를고려한 구체적인예방과치료방안을제시하는데한계가있었다. 또 한대학생은초기성인기로자율성이요구되는시기로자기통 제력이그어느때보다필요한시기인데, 대학생의자기통제 력과스마트폰중독과의관계를검증한연구가많지않은실 정이다 [13,16,20]. 이에본연구는대학생을대상으로스마트폰중독정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중독의예방및치료를중재하기위해대 상자를중독위험군과일반사용자군으로구별하여일반적특 성, 스마트폰이용실태및자기통제력의차이를파악하고, 이 들변수들이스마트폰중독을어느정도예측할수있는지확 인하고자한다. 이는스마트폰중독수준에따른차별화된프 로그램개발의기초자료제공에기여할것이다. 2. 연구목적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에따른중독에 영향을미치는요인을파악하고자하는것이다. 이를위한구 체적인연구목적은다음과같다. 대학생의일반적특성, 스마트폰중독정도, 스마트폰이 용실태를파악한다. 대학생의일반적특성, 스마트폰이용실태에따른스마트 폰중독정도에차이가있는지파악한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에따른자기통제력에차 이가있는지파악한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정도와자기통제력과의상관관 계를파악한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주는요 인을파악한다. Vol. 27 No. 6, 2015 635

장인순 박승미 1. 연구설계 연구방법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 을주는요인을파악하기위한서술적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및자료수집 본연구의대상자는일개대학의재학생으로본연구의목 적을이해하여연구참여에동의한자들이다. 대상자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이용하여산정하였고, 다중회귀분 석검정을위해중간정도의효과크기.15, 유의수준.05, 검 정력 95%, 독립변수 20개로설정하였을때최소대상자수는 총 222 명이었는데, 10% 정도의탈락률을고려하여 250명을 대상으로자료를수집하였고, 자료가불충분한 8부를제외하 고최종 242 부가본연구의분석에사용되었다. 자료수집기 간은 2014년 9월 17일부터 19 일까지였으며, 비슷한시간대 에구성된교양수업과목담당교수를방문하여본연구의목 적및내용을소개하고설문조사협조의동의를얻은후구조 화된설문지를배부하여자가기입식방법으로조사하였다. 설문지작성에소요된시간은 10~15 분정도이었고, 조사후 연구에참여한모든대상자에게감사의표시로간단한선물 을제공하였다. 3. 연구도구 1) 스마트폰중독정도 본연구에서는스마트폰중독을측정하기위해한국정보화 진흥원에서개발하고신뢰도와타당도를검증한성인용스마 트폰중독자가진단척도를사용하였다 [21]. 이척도는총 15문 항으로, Likert식 4점척도로구성되어있으며총점수가높을 수록스마트폰중독이높은것을의미한다. 스마트폰중독정 도분류기준에따르면고위험사용자군은원점수총점 44점 이상또는일상생활장애 15점이상과금단 13점이상과내성 13 점이상인집단으로, 잠재적위험사용자군은원점수총점 40~43점또는일상생활장애 14 점이상으로, 나머지 39점이 하는일반사용자군으로구분하였다. 본연구에서는적극적인 예방적접근을위해고위험사용자군과잠재적위험사용자군 을중독위험군으로분류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 [21] 에서 스마트폰중독진단척도개발당시의신뢰도 Cronbach s 는.81 이었고, 본연구에서는.90 이었다. 2) 자기통제력 본연구에서는 Nam과 Ok[22] 가 Gottffedson 과 Hirschi [23], Kim[15] 의연구결과를참고하여재구성한자기통제력 척도를사용하였다. 해당척도는장기적인만족을추구에대 한 10문항과즉각적인만족을추구에대한 10문항으로구성 된 5점 Likert 척도이며, 총점수의합이높을수록, 자기통제력 이높은것을의미한다. 즉청소년의자기통제력이높을수록, 청소년이일시적인충동에의하거나즉각적인만족을주는문 제행동을회피하고인내하는능력이크다고볼수있다. Nam 과 Ok[22] 의연구에서신뢰도 Cronbach's 는.78 이었고, 본연구에서는.82 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자료는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의일반적특성, 스마트폰중독정도, 스마트폰이용 실태를실수, 백분율, 평균과표준편차로분석하였다. 대학생의일반적특성, 스마트폰이용실태에따른스마트 폰중독위험군과일반사용자군간에차이가있는지파악 하기위해교차분석을실시하였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위험군과일반사용자군간에자기 통제력에차이가있는지파악하기위해 t-test를실시하였다.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정도와자기통제력과의상관관계 를파악하기위해서 실시하였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를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주는요 인은다중회귀분석으로확인하였다. 5. 윤리적고려 본연구의목적, 방법및절차에대하여 K대학교생명윤리 심의위원회 ( 승인번호제KBUIRB-201409-SB-011-02) 의승 인을받았다. 학생들에게연구의목적과응답의비밀보장과 참여의자발성과탈퇴의자유의지와동의를요청하는내용이 포함된피험자설명문이포함된서면으로된연구동의서를받 은후사본 1 부를대상자에게주었다. 수집한자료에는개인을 식별할수있는정보를최소화하였고연구가종료된후모두 폐기할것을충분히설명하였다. 636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연구결과 1. 일반적특성, 스마트폰중독정도, 스마트폰이용실태 조사대상자의인구학적특성을살펴보면, 여자가 59.9% (145 명) 이었고, 학년별로는 3학년이 28.5%(69 명), 2학년이 26.0%(62 명), 1 학년, 4학년이각 22.7%(55 명) 순으로나타났 다. 학과는신학과와간호학과가각 25.2%(61 명), 영유아보 육학과 12.4%(30 명), 사회복지학과 16.7%(11 명), 컴퓨터소 프트웨어학과 9.9%(24 명) 의순으로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 도, 가정생활만족도모두 만족 으로응답한경우가 48.3% (117 명), 44.6%(108 명) 로가장많았다. 스마트폰중독정도는일반사용자군 176 명(72.7%), 잠재 적위험사용자군은 50 명(20.7%), 고위험사용자군은 16명 (6.6%) 순으로나타나, 본연구에서정의한중독위험군은 27.3 % 였다. 스마트폰사용동기는 주변사람들과폭넓은커뮤니케이션 을위해 가 56.6%(137 명) 으로가장많았고, 그다음으로 뉴 스등각종정보를검색하기위해서 12.8%(31 명), 최근유행 이어서 12.4%(30 명), 학업에도움이되어서 3.7%(9 명) 순 이었다. 하루사용시간은 2~4 시간미만 이 38.0%(92 명) 로 가장많았고, 그다음은 4~6 시간미만 26.4%(64 명), 8시간 이상 만 17.8%(43 명), 2 시간미만 9.5%(23 명), 6~8시간미 8.3%(20 명) 순이었다. 대상자가지각하고있는스마트폰 의필요성은 비교적필요 가 66.8%(161 명) 로가장많았고, 매우필요 24.9%(60 명), 거의필요없음 8.3%(20 명) 순이 었다. 스스로스마트폰에중독되었다고생각하는경우는 37.6 %(91 명) 으로나타났다 (Table 1). 2. 일반적특성및스마트폰이용실태에따른스마트폰중독 차이 일반적특성에서성별, 즉여학생이중독위험군에속한경 우가 72.1%(48 명) 로남학생 27.3%(18 명) 에비해많은것으 로나타났다 (x 2 =6.201, p=.013). 스마트폰이용실태에따른스마트폰중독차이를비교한결 과, 하루사용시간에서중독위험군은 8 시간이상 이 36.4% (24 명), 4~6 시간미만 25.8%(17 명) 인반면, 일반사용군에 서는 2~4 시간미만 43.8%(77 명), 4~6 시간미만 26.7%(47 명) 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나타내었다 (x 2 =26.206, p<.001). 대상자가지각하고있는스마트폰의필요성은중독위 험군에서 매우필요, 비교적필요 항목에서모두 50.0%(33 명) 이었고, 일반사용자군에서는 비교적필요 73.1%(128 명 ), 매우필요 15.4%(27 명), 거의필요없음 11.4%(20 명) 로통계적으로유의한차이를보였다 (x 2 =34.392, p<.001). 스스로스마트폰에중독되었다고생각하는경우가중독위험군 은 68.2%(45 명), 일반사용자군은 26.1%(46 명) 로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를보였다 (x 2 =36.165, p<.001). 그외변수에는 유의한차이가없었다 (Table 2). 3.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정도에따른자기통제력의차이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사용정도에따른자기통제력의차 이를살펴본결과, 중독위험군의자기통제력은 3.33±0.38 점 으로일반사용자군 3.62±0.38 점에비해통계적으로낮게나타 났다 (t=5.113, p <.001). 자기통제력의하위요인으로장기적 만족추구 (t=2.452, p =.015), 즉각적만족추구 (t=4.696, p<.001) 모두에서중독위험군에서더낮게나타났다 (Table 3). 4.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정도와자기통제력과의상관관계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사용정도와자기통제력과의관계 를파악하기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로분석 한결과,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사용정도는자기통제력과 통계적으로유의한음의상관관계를나타내었고 (r=-.472, p<.001), 하위요인인장기적자기통제력 (r=-.276, p<.001), 즉 각적자기통제력 (r=-.448, p<.001) 과도모두음의상관관계 를나타내었다 (Table 4). 5.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 요인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에따른중독에영향을미치는 요인을알아보기위해대상자의일반적특성과스마트폰이용 실태에서유의한차이를나타낸성별, 사용시간, 자가중독인 식, 지각된스마트폰필요성과스마트폰중독정도와유의한 상관관계가나타난장기적자기통제력, 즉각적자기통제력변 수를가능한영향요인으로선정하였다. 독립변수에대해회귀 분석의가정을검정하기위하여독립변수들간상관관계를분 석하여변수간다중공선성을공차한계와 VIF ( 분산팽창요인 ) 값등을검토하였다. 자기상관 ( 독립성 ) 을나타내는 DubinWat- son 통계량이 1.86 로자기상관의문제는없었고, 공차한계는 Vol. 27 No. 6, 2015 637

장인순 박승미 Table 1. The General & Smartphone U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242)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Gender Male Female 97 (40.1) 145 (59.9) Grade 1 2 3 4 55 (22.7) 63 (26.0) 69 (28.5) 55 (22.7) Majo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f family life Theology Social welfare Child care Computer software Nursing Highly unsatisfied Unsatisfied Indifferent Satisfied Highly satisfied Highly unsatisfied Unsatisfied Indifferent Satisfied Highly satisfied 62 (25.6) 65 (26.9) 30 (12.4) 24 (9.9) 61 (25.2) 2 (0.8) 12 (5.0) 80 (33.1) 117 (48.3) 31 (12.8) 3 (1.2) 5 (2.1) 51 (21.1) 108 (44.6) 75 (31.0)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risk No-risk group 176 (72.7) Addiction-risk group Possible risk group High risk group 50 (20.7) 16 (6.6) Motivation of smartphone usage No special reason For internet search For academic help For SNS 30 (12.4) 31 (12.8) 9 (3.7) 137 (56.6) Smartphone using time per day (hours) <2 2~ <4 4~ <6 6~ <8 8 23 (9.5) 92 (38.0) 64 (26.4) 20 (8.3) 43 (17.8)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Self-awar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Very necessary Necessary Almost no need Yes No 60 (24.9) 161 (66.8) 20 (8.3) 91 (37.6) 151 (62.4).83~.91, VIF ( 분산팽창요인 ) 값은 1.10~1.20 로다중공선성의 위험이없는것으로나타나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 인을전체대상자와중독위험군, 일반사용자군으로나누어다 중회귀분석을실시한결과는다음과같다. 전체대상자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친요인으로는성 별 (β=.166, p=.001), 사용시간 (β=.160, p=.002), 지각된스 마트폰필요성 (β=.169, p =.001), 자가중독인식(β=-.320, p<.001), 즉각적자기통제력 (β=-.336, p<.001) 로나타났 다. 이들요인의스마트폰중독영향변인에대한설명력은 48.9 % 였다. 중독위험군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친요인으로는지 638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Table 2. Differences in General & Smartphone Use-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N=242) Characteristics Categories Addiction-risk group (n=66) Non-risk group (n=176) n (%) n (%) x 2 (p) Gender Male Female 18 (27.3) 48 (72.7) 79 (44.9) 97 (55.1) 6.201 (.013) Grade 1 2 3 4 12 (18.2) 21 (31.8) 20 (30.3) 13 (19.7) 43 (24.4) 42 (23.9) 49 (27.8) 42 (23.9) 2.460 (.482) Major Theology Social welfare Child care Computer software Nursing 17 (25.8) 11 (16.7) 8 (12.1) 23 (10.6) 23 (34.8) 45 (25.6) 54 (30.7) 22 (12.5) 17 (9.7) 38 (21.6) 6.907 (.141) Satisfaction of school life Highly unsatisfied Unsatisfied Indifferent Satisfied Highly satisfied - 5 (7.6) 28 (42.4) 24 (36.4) 9 (13.6) 2 (1.1) 7 (4.0) 52 (29.5) 93 (52.8) 22 (12.5) 7.156 (.128) Satisfaction of family life Highly unsatisfied Unsatisfied Indifferent Satisfied Highly satisfied 1 (1.5) 2 (3.0) 14 (21.1) 30 (45.5) 19 (28.8) 2 (1.1) 3 (1.7) 37 (21.0) 78 (44.3) 56 (31.8) 0.621 (.961) Motivation of smartphone usage No special reason For internet search For academic help For SNS 13 (19.7) 11 (16.7) - 35 (51.5) 17 (9.7) 20 (11.4) 9 (5.1) 103 (58.5) 9.091 (.059) Smartphone using time per day (hours) <2 2~ <4 4~ <6 6~ <8 8 3 (4.5) 15 (22.7) 17 (25.8) 7 (10.6) 24 (36.4) 20 (11.4) 77 (43.8) 47 (26.7) 13 (7.4) 19 (10.8) 26.206 ( <.001)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Very necessary Necessary Almost no need 33 (50.0) 33 (50.0) 0 (0.0) 27 (15.4) 128 (73.1) 20 (11.4) 34.392 ( <.001) Self-awar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Yes No 45 (68.2) 21 (31.8) 46 (26.1) 130 (73.9) 36.165 ( <.001)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Table 3. Differences in Self-control by the Groups Variables Addiction-risk group (n=66) M±SD Non-risk group (n=176) M±SD Self-control 3.33±0.38 3.62±0.40 5.113 ( <.001) - Long-term satisfaction pursuit 3.14±0.53 3.32±0.49 2.452 (.015) - Instant satisfaction pursuit 3.51±0.64 3.92±0.50 4.696 ( <.001) t (p) (N=242) Vol. 27 No. 6, 2015 639

장인순 박승미 각된스마트폰필요성 (β=.330, p=.007), 즉각적자기통제력 (β=-.281, p=.028) 으로나타났고, 이들요인의스마트폰중 독영향변인에대한설명력은 17.5% 였다. 일반사용자군의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친요인으로는 성별 (β=.194, p=.004), 자가중독인식(β=-.290, p<.001), 즉각적자기통제력 (β=-.281, p<.001) 으로나타났고, 이들요 인의스마트폰중독영향변인에대한설명력은 (Table 5). 논 의 31.3% 였다 본논문에서는대상자중고위험사용자군 6.6%(16 명), 잠 재적위험사용자군 20.7%(50 명) 로이들을합친중독위험군 이 23.7%(66 명) 로나타났다. 이는 2014년인터넷이용실태조 사[1] 에서대학생의중독위험군 20.5% 와 Kim, Ko, Choi[17] 에서고위험사용자군 7.4%, 잠재적위험사용자군 20.4% 와 Ju[13] 의연구에서는고위험사용자군 5.2%, 잠재적위험사 용군 29.2% 와는비슷한결과로사료된다. 성별에따른스마트폰중독위험군에서여자대학생이남자 대학생보다많았는데, 이는다수의선행연구와일치하는결 과이었다 [3,6,7,9,13,14,24]. 특히일부연구에서는인터넷중 독은남자가높고, 스마트폰 ( 휴대전화 ) 중독은여자가높게나 타나차이가있음을보여주었다 [16,24]. 여학생의경우스마 트폰이용동기에서정보획득, 오락/ 여가, 서비스, 즉시성이 높았고, 중독에있어서도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과내성모두높게나타났으며 [4], 휴대전화에대한강박적사 고와사용중단및감소에대한불안정도가높은것으로설명 하였다[16]. 또한본연구에서중독위험군의스마트폰사용목 Table 4. Correlation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control Variables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1 Self-control Self-control -.472 ( <.001) 1 Long-term satisfaction pursuit (N=242) Instant satisfaction pursuit r (p) r (p) r (p) r (p) Long-term satisfaction pursuit -.276 ( <.001).745 ( <.001) 1 Instant satisfaction pursuit -.448 ( <.001).806 ( <.001).207 (.001) 1 Table 5. Factors Affecting the Smartphone Addiction Characteristics Total (n=242) Addiction-risk group (n=66) Non-risk group (n=176) β t (p) β t (p) β t (p) (N=242) (Constant) 15.424 ( <.001) 9.534 ( <.001) 12.956 ( <.001) Gender.166 3.377 (.001).110 0.869 (.388).194 2.934 (.004) Smartphone using time per day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Self-awareness of smartphone addiction.160 3.166 (.002).100 0.836 (.406).115 1.712 (.089).169 3.344 (.001).330 2.815 (.007).058 0.867 (.387) -.320-6.406 ( <.001) -.129-1.078 (.286) -.290-4.336 ( <.001) Self-control: long-term -.080-1.589 (.113).070 0.559 (.578) -.120-1.678 (.095) Self-control: instant -.336-6.935 ( <.001) -.281-2.259 (.028) -.281-4.195 ( <.001) R 2.502.251.337 Adj. R 2.489.175.313 F (p) 39.082 ( <.001) 3.295 (.007) 14.127 ( <.001) 640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적은약 60% 가 SNS 사용으로나타났다. 이는선행연구와비 슷한결과로간편한스마트폰기기의특성과여성이남성보다 타인과의관계형성을위해카카오톡이나페이스북등 SNS를 이용하며감정을공유하며의사소통하는행태와관련된다 [6,14]. 또한주관적으로인지하는 SNS 사용시간은실제사용 시간보다적게느껴지기에 [7] 스마트폰중독으로연결될수 있다. 따라서여대생에게스마트폰중독이더많다는사실을 인지시키는홍보나교육, SNS 사용과관련된중독예방프로 그램의개발이필요하다. 그러나 Kim과 Suh[12] 의연구에따 르면스마트폰앱의사용은남학생이더많고이에따른스마 트폰남용, 부작용의경험도많은것으로보고되고있으므로, 남학생도스마트폰중독예방프로그램의대상자에서배제해 서는안될것이다. 본연구에서하루사용시간은전체대상자에서 2~4시간 미만 사용자가가장많으며, 중독위험군에서는 8시간이상 사용자가가장많았는데, 이는사용시간이길수록스마트폰에 중독되는것으로나타난선행연구와비슷한결과이다 [6,7]. 그 러나일반사용자군의사용시간이 Park[7] 의연구에서는하위 집단의 2시간미만사용자가 68.3% 였으나, 본연구의일반사 용자중 2시간미만사용자는 11.4% 이고, 6시간이상사용자 또한 25.6% 나되어일반사용자군또한중독위험군만큼스마 트폰사용시간이많은것으로나타났다. Hwang, Yoo와 Cho [6] 의연구에서도대학생의스마트폰을하루 8시간이상사용 하는경우가전체대상자의과반수가넘는것으로보고한경 우도있어스마트폰사용시간조절기능이매우필요한것으 로사료된다. 또한 Cho[14] 의연구에서는통화보다문자를많 이쓰는학생들의중독점수가높게나타났는다. 이는스마트 폰사용이컴퓨터사용처럼동일한자세로지속적인사용을 하는것은아니지만, 스마트폰의장기간사용으로인한목, 어 깨의통증이나바르지않은자세등에대한관심이필요하며, 스트레칭, 바른자세등에대한교육과계속적인추후연구가 요구된다. 본연구에서스마트폰중독위험군일수록장기적, 즉각적 자기통제력모두낮았는데, 이는다수의선행연구와일치한다 [13,14,17]. 즉, 즉각적인사용의장점을선호하는사람들은 스마트폰이시간과장소에상관없이메시지를보내고즉시적 반응을기다리는등불확실한상황에서인내심을가지고기다 리는것이어려우며, 지연되는것을참고더큰강화를선택하 는일을더이상원치않게되므로지금당장의오락/ 여가, 게 임, 검색등의중독에서벗어날수없게되는경우가많다 [13,14,17]. Nam[16] 의연구에서도자기통제력의하위변인인 집중력이낮고, 충동성이높은집단에서인터넷과휴대전화 중독수준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는인터넷중독이나게 임중독과마찬가지로스마트폰중독도스스로의행위조절이 안되어서나타나는현상으로자기통제력과높은관련성이있 음을보여준다. Kim과 Kim[18], An[19] 의연구에서는자기통 제력이유의한변수가아니었는데이는연구대상자가중학생 으로, 선행연구 [16] 와같이본연구의대상집단이대학생으로 인한차이로볼수있겠다. 따라서중독을예방하기위한차원 에서자기통제력수준을진단하는것이필요하며, 자기통제력 이낮은학생들은스트레스와인터넷중독수준에유의한개선 이보고된자기통제훈련의하나로적용되었던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프로그램 [25], 집단상담프로그램 [26] 과같은특화된 프로그램개발및적용이요구된다. 또한자기통제력이적정 수준인경우도지속적인진단및다양한예방프로그램참여 를유도하는노력이필요하다. 다른한편으로는스마트폰사 용시간을점검하고절제하는것을돕는애플리케이션설치및 사용안내도포함되어야할것이다. 중독분류군별로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을살 펴본결과, 중독위험군은일상생활비중과즉각적자기통제력 만이유의한영향요인으로나타났고, 17.5% 의낮은설명력을 보였다. 좀더많은중독위험군을대상으로다양한요인을포 함한반복연구를통해스마트폰중독예측요인을규명하는 추후연구가요구된다. 일반사용자군은성별, 자가중독인식, 즉각적자기통제력이유의한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 31.3% 의설명력을나타냈다. 즉, 스마트폰중독점수가낮은집단은 성별을고려한예방프로그램과자가중독인식을돕는프로 그램등을고려할필요가있다. Kim, Ko와 Choi[17] 의연구 에서도중독위험군은부모양육경험, 대인관계지지와같은 환경적요인이, 일반사용자군은우울과같은개인적요인이 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미친다고설명하였다. 이렇듯스마트 폰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이각중독분류군별로차이가 있기에, 스마트폰중독예방을위한프로그램개발을위해서 는중독위험군과일반사용자군에대한서로다른특성을고 려한접근이필요함을알수있다. 또한낮은즉각적자기통제 력은중독위험군과일반사용자군에공통적으로스마트폰중 독에영향을주는요인으로나타나, 스마트폰중독프로그램 개발시고려해야할중요한요인임을시사한다. 즉, Nam[16] 의연구에서도휴대전화중독에서자기통제력의충동성이가 장큰영향요인으로나타났고, Ju[13] 의연구에서도자기통제 력의수준에따라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과대학생활적응의 영향이달라질수있음을, Kim과 Choi[20] 는과보호적부모 Vol. 27 No. 6, 2015 641

장인순 박승미 양육태도의증가는대학생자녀의자기통제력을낮춰스마트 폰중독적사용가능성을높이는것으로나타나, 자기통제력 이스마트폰중독예방차원에서중요한보호요인임을알수 있다. 이렇듯스마트폰사용에대하여무조건적인규제와억 제보다는스스로행동에대한목표와그중요성을지속적으로 인식할수있도록다양한상담및지도프로그램을통해자발 적으로자기통제력을향상시킬수있도록접근하는것은매우 의미있는중재가된다. 또한스마트폰사용시기가점차낮아 지고있기에대학생때가아니라초등학생부터적용될수있 도록가정, 학교, 지역사회등다양한차원의제도와정책이마 련되어야할것이다. 스마트폰은이미여러분야에서널리사용되고있지만심각 성보다는생활의편리성, 네트워크관리의효율성등을강조 하면서사용자들의중독성향과관련된신체적, 정신적, 사회 적문제들은아직적극적인관심사가되고있지않은경향이 있다. 특히대학생들은갑자기주어진자유로운시간들을다 양한목적과편리함으로스마트폰사용중독위험군으로쉽게 전환될수있다. 이들을조기선별하고, 다양한중독예방프로 그램을적용하는것이필요할것인데, 이에본연구가기초자 료로활용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그러나자료수집이일 개대학으로한정되었기에, 연구결과를일반화하는데제한점 이있다. 또한단면조사연구로스마트폰중독에미치는영향 요인들간의인과관계와상호작용을명백하게분석하지못하 는한계가있다. 결론및제언 본연구는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정도를파악하고, 스마 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주는요인을파악하기위 한서술적조사연구로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 242명중고위험사용자군과잠재적위험군을 합친중독위험군은 23.7% 였다. 일반적특성으로여학생, 하 루스마트폰사용시간이긴경우, 일상생활에서스마트폰이 차지하는비중이큰경우, 스스로스마트폰에중독되었다고 생각하는경우스마트폰중독위험군이높았다. 또한스마트폰 중독사용정도가높을수록자기통제력이낮았다. 스마트폰중 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서중독위험군은일 상생활비중, 즉각적자기통제력이, 일반사용자군은성별, 자 가중독인식, 즉각적자기통제력이유의하게영향을미치는것 으로나타났다. 본연구결과를토대로다음과같은제언을하고자한다. 첫 째, 스마트폰중독예방및중재프로그램개발시중독분류군 별, 성별및 SNS 와같은주사용동기등을고려한구체적이고, 특화된프로그램이필요하다. 특히일반사용자군도 1/4 이상 이 6시간이상스마트폰을사용하는것으로나타나중독위험 군으로전환될가능성이있으므로예방적차원의다양한애 플리케이션설치및적극적인예방프로그램이함께고려되어 야할것이다. 둘째, 자기통제력이스마트폰중독예방및치료 를위한중요한목표가될수있기에, 이를높일수있는다양 한프로그램개발및적용과그효과연구들이계속적으로요 구된다. 셋째, 스마트폰중독에영향을줄수있는다양한변인 을포함하며, 중독위험군, 일반사용자군별충분한대상자를 확보할수있도록대상자를확대한반복연구가필요하다. REFERENCES 1. Kwon MS, Lam KW, Seo BK.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Annal Report.: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2014. Report No.: NIA V-RER-14112. 2. Lim JM, Jang SJ, Kim MY, Lee JH.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Annal Report.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4 [Cited 2015, July 29]. Available from: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000&bbsid =7&itemId=807&pageIndex=2 3. Hwang HS, Sohn SH, Choi YJ.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2011;25(2):277-313. 4. Eom SH, Choi SY, Park DH.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amount of smartphone usage.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3;15(2):113-20. http://dx.doi.org/10.12812/ksms.2013.15.2.113 5. Kim DS, Che WS. Biomechanical analysis of a smartphone task with different posture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12;22(2):253-9. http://dx.doi.org/10.5103/kjsb.2012.22.2.253 6. Hwang KH, Yoo YS, Cho OH.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0):365-7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7. Park YM. A study on adults'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aster's thesis]. Gangwon: Sangji University; 2011. 8. Lemola S, Perkinson-Gloor N, Brand S, Dewald-Kaufmann JF, Grob A. Adolescents' electronic media use at night,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smartphone ag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15;44(2):405-18. http://dx.doi.org/10.1007/s10964-014-0176-x 642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대학생의스마트폰중독분류군별중독에영향을미치는요인 : 자기통제력을중심으로 9. Kim MJ, Lyoum YE, Jeon JE, Jo HJ, Choy SM, Gye HM, et al.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4;48:99-112. 10. Choi HS, Lee HK, Ha JC.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2;23(5):1005-15. http://dx.doi.org/10.7465/jkdi.2012.23.5.1005 11. Lm JG, Hwang SJ, Choi MI, Seo NR, Byun JN.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3;26(2):124-31. 12. Kim BY, Suh KH. Mobile phon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tress response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depriv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2;17(2):385-98. 13. Ju SJ.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2015;42:98-127. 14. Cho MK.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5):311-23. http://dx.doi.org/10.14400/jdc.2014.12.5.311 15. Kim HS.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16. Nam C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ternet, and mobile 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11;22(4):5-32. 17. Kim BN, Ko EJ, Choi HG.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 (3):67-98. 18. Kim JH, Kim KS.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variances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yber-related delinquency in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03;5(1):85-97. 19. An S. A study on the addictive usage of the interne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20. Kim BN, Choi HI. Effects of study over protective parent s raising attitude on university student s smartphone-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3;29(1):1-25. 21. Shin KW, Kim DI, Jeong YJ.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22. Nam HM, Ok SW.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1;39(7):37-58. 23. Gottffedson M, Hirschi T.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4. Mok JY, Choi SW, Kim DJ, Choi JS, Lee J, Ahn H, et al. Latent class analysis on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Neuropsychiatr Disease and Treatment. 2014; 20(10):817-28. http://dx.doi.org/10.2147/ndt.s59293 25. Jeong ES, Son CN. Effects of mindful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level, anxiety, and stress of college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1; 30(3):723-45. 26. Jeong SR, Yu HK, Nam SI.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event addiction to smart-phones in a potential risk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4;15(3):1145-62. Vol. 27 No. 6, 2015 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