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 Vol. 20 No. 4, 1227-1241.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최명선구남웅 동신대학교 본연구는군부대내에서부하가지각하는 1차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는부하의군생활적응과어떠한관계가있는지에대해밝혀보는것을목적으로한다. 연구대상은육군예하전방및후방각 3개사단예하 75개소대의병사 300명을대상으로연구를실시하였고, 본연구의자료분석은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이사용되었다. 본연구를통해나타난결과는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는군생활적응의하위변인모두에유의한영향을미쳤고, 이어공감능력은친밀도에높은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 친밀도와공감능력의상대적영향력에서는친밀도가공감능력보다부하의군생활적응에상대적으로높은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어떠한경로로영향을미치는지분석한결과, 공감능력의군생활적응에대한직접효과보다친밀도를매개한간접효과가더높게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군생활적응의하위변인중심신의상태와직책및직무만족에대하여친밀도의완전매개효과가, 임무수행의지와조직환경에대한태도에대해서는친밀도의부분매개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를통해본연구의결과가군리더십과관련하여갖는의의및시사점과제한점에관하여논의하였다. 주요어 : 직속상관, 리더십, 공감능력, 친밀도, 부하, 군생활, 적응 교신저자 : 구남웅, 동신대학교상담심리학과석사과정, 육군교육사령부리더십센터상담교관 (305-153) 대전광역시유성구추목동 ( 사 ) 78-100호육군리더십센터상담처 Tel : 042-878-675-6762, E-mail : leaderku@hanmail.net - 1227 -
인간이전생애적발달을거치는동안끊임없이고민하게되는문제는바로새로운환경에대한적응문제일것이다. 특히나자신의의지와는관계없이찾아오는새로운환경에적응해야한다는것은참으로어려운일이다. 하지만변화에적응하지않고서는생존과성장을할수없는것은분명한이치이다. 특히, 대한민국의남자들은군대라는급격한환경의변화에적응해야만하는과제를가지고태어난다. 자신의바램과는상관없이한국국적을가지고살고있는건강한 20대남성이라면반드시군대라는집단에서의적응과정을경험해야만하는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병역제도는세계유일의분단국가라는현실과재정적인문제등으로병역법에의한의무복무제도를채택하고있기때문이다. 하지만의무적인군복무지원은동원되는자들의능력과잠재력을조직목표달성에집중시키는것을어렵게한다. 비자발적인피동원자들은군복무를국방의의무에대한존중과개인적부담이상충하는문제로인식하며군복무로인한개인적고충과부담은국방의의무에대한존중감을희석하고군조직의목표달성에상당한장애로작용하기때문이다. 또한, 가족계획으로저출산시기에태어나급속한경제성장과더불어물질적인풍요를누리며자유분방하고자기중심적으로성장한 20대초반의병사들을이른바신세대병사라고칭하는데이들은과거와는다른성향을갖고있다. 이들은이기적이고편안한것만을추구하며체력이약하고인내심이결여되어단체생활에적응을잘하지못하는모습을많이보이고있다. 국방부 (2007) 에서발표한 3년간군대의사고통계에서도과거에비해적응상의문제로인해발생하는자살, 탈영과같은사고의비율을갈 수록늘어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이는신세대병사들이주관적인욕구충족의수준과질이과거보다높아져서일반사회에비해상대적으로낙후된군부대의생활여건과자율성이통제받는환경하에서의적응을더욱힘들어한다는것을의미하며, 신세대병사의군생활적응에대한보다많은연구가필요함을의미한다. 적응이란환경에대한자발적창조적행동이며그필요조건으로행동의결과가개인에게안정감을주고사회의가치, 규범, 질서에동조하는상태이다 (Allport, 1977). 자신이속한사회또는조직환경에조화를이루고심리적, 육체적으로안정되고보람된삶을영위한다면그구성원은그사회에적응하였다고할수있으며, 심리학측면에서는적응된사람이란다른사람에게해를끼치거나자기자신을손상함이없이현실적으로융통성있게자기의욕구를잘충족시켜나가는사람을뜻한다 (Roger, 1951). 지금까지군에서의적응과관련된선행연구를살펴보면직업군인, 병사의스트레스정도와유발요인에관한연구, 자살등정신건강에대한연구, 사기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직무만족과리더십, 의사소통에관한연구, 부대에서의갈등과적응에관한연구들이수행되어왔다 ( 서병민, 1997; 김주영, 1999; 진석범, 2000; 신언필, 1999; 구남웅, 2002; 김헌수, 1998). 이종호 (1996) 는환경적보전요인즉정서적환경에대한만족도가군생활내에서의스트레스를감소시키며군생활적응을촉진시킨다고하였는데, 군대는단체생활을하고있기때문에임무수행간응집성, 단결력, 공감등의정서적환경의요소가중요하게작용한다는것이다. - 1228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여기서군조직의정서적환경에많은영향을미치는대상이바로직속상관이다. 그이유는군이민간사회의조직에비해리더에게많은책임과권한을부여하고있으며, 부대의모든활동과운영이리더의지휘를중심으로이루어지고있기때문이다. 본연구에서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개념은해당병사와 3개월이상함께근무한장교소대장을의미하며, 병사에게있어서지휘계통상의 1차직속상관에해당한다. 이러한군의직속상관은조직의구성원들이목표의달성을위해자발적이고헌신적인자세로능력을발휘할수있도록그들을자극하고영향력을미친다 ( 조영철, 1994). 그렇기때문에군에서직속상관의역할을수행하는리더는부하들의욕구, 기대, 태도를이해하고충족시켜구성원간공감대를형성하고, 리더가당면하는유동적이며급변하는상황에적합하게리더십을발휘할수있어야한다 ( 정영용, 2001). 하지만점차군대가민주화되고전문화됨에따라군지휘관이가지는합법적 강제적권력만으로지휘효과를발휘하기가힘들다. 그러므로부하들의긍정적인사고와자발적인참여정신없이는효율적인부대지휘를생각할수없게되었다. 우리군의병사들에게비추어지고있는군조직의권력유형중에서가장비중이크게받아들여지고있는것은지휘관의인품에근거를둔지휘관과부하들간의인간적인유대관계를통하여형성되는준거권력이라고할수있다 ( 조남국 이재윤, 1989). 인품의사전적의미 ( 이기문, 2005) 는 사람의됨됨이 이며, 사람의됨됨이를종합적으로측정할수있는척도는현재까지개발되어있지않지만인간적인유대관계형성정도를측정해볼수있는척도는개발되어있으며, 공감능력, 친밀도, 인기 도등의척도들이바로그것이다. 이중에서공감능력은군부대직속상관의인품과부하와의관계형성의정도를측정해볼수있는척도로서, 미국코넬대학교의존슨경영대학원에서도앞으로 10년안에리더들에게가장중요하게요구될덕목중하나가 타인에대한공감능력 이라고발표한바있다 ( 이종선, 2004). 공감이란타인의감정이나심리상태그리고그의내적인경험을이해하고함께느낄수있는능력에기초를둔내적인현상이다. 그래서공감은가능한상대의입장에서바깥세계를보는과정과두사람이더불어느끼고서로의사소통하는관점이포함된복합적인행동이다 (Barnett, 1987; Bryant, 1987; Duam & Hill; 1996; Eisenberg & Miller, 1987). 또한공감은타인의역할을취해보고대안적인조망을취해볼수있는능력으로사회적상호작용을촉진시켜주는중요한요소이다 (Mead, 1934). 이러한공감에대해선행연구자들은대인관계능력, 협동성, 사회성, 이타행동등과같은친사회적행동과상당한수준의정적상관을갖는다는연구결과 (Batson, 1987; Batson & Coke, 1981; Eisenberg & Miller, 1987; Howard & Barnett, 1981) 와공격적인행동과는부적인상관을갖는다는연구결과 (Miller & Eisenberg, 1988) 를보고한바있다. Clark(1980), Eisenberg와 Strayer(1987) 등은대인관계에서공감이서로간에보다친밀한관계를구축해나가는데촉진작용을한다고했다. 그리고넓은의미에서공감은대인관계를형성하는기본바탕이라고하였다. 그러므로공감능력은단체생활을하는군대에서직속상관과부하간의친밀한관계형성과장병들의적응과관련이있는중요한요소라는것을예측해볼수있다. 지금까지공감능력과적응에관한최근의 - 1229 -
선행연구를살펴보면, 홍기묵 (2004) 은청소년의공감능력이높을수록사회적인상황에서사회적유능성을더잘발휘하는것으로나타났다고보고하였고, 박경환 (2005) 은상급자의공감이클수록하급자의자아존중감이높아져능력발휘를촉진시킨다고하였다. 이는공감능력이본인뿐만아니라부하의적응에도영향을미치는변인이라는것을예측하게한다. 또한공감능력과친밀도에관한선행연구를살펴보면, 공감능력이높은사람일수록갈등해결을위해협력의방식을많이쓰며, 친구관계의질이높고 ( 이준희, 2007), 어머니와자녀간의관계에서도어머니의공감능력의정도에따라부모 -자녀관계의친밀도가차이를나타냈다 ( 오진아, 2007). 즉, 공감능력의정도에따라친밀도가영향을받는다는것이다. 친밀도는적응에영향을미치게되는데, 구남웅 (2002) 의연구에서직속상관에대한부하의친밀도가부하의직무만족과조직몰입의정도에유의한영향을미친다고밝혀진바있다. 이러한공감능력과친밀도가적응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들을살펴보면, 김효철 (2002) 은초등학생이지각한담임교사의공감적의사소통수준높을수록교사에대한인식과학생의학교학습태도가긍정적이라고하였고, 오진아 (2007) 는공감능력이높은집단이낮은집단에비해친밀도와사회적지지가높은것으로보고한바있다. 하지만이러한아동들에대한연구결과가군대라는집단에서과연그대로적용될지에대해서연구된바는찾아보기어렵고, 지금까지병사의적응에관한연구는병사의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불안, 우울, 스트레스, 가치관 ( 서혜석, 2006; 장경숙, 2007; 신태수, 이종훈 조주연, 1999; 김성식, 2003; 1981; 손희락, 2000; 신언필, 1999) 등의병사의개인적요인위주로초점을맞춰왔으며, 병사들의적응에영향을미치는직속상관의리더십자질과관계형성차원의연구 ( 구남웅, 2002; 원제윤, 2004; 황용주, 2001; 권승미, 2003; 김혜정, 2007) 가활성화되지않았다. 하지만이러한초등학생에대한연구결과는신세병병사와연령의측면에서는차이가있지만새로운환경에대한적응측면에서는상당한연관이있다. 즉, 비자발적으로새로운변화에적응한다는측면과그들이배치된소사회안에서몇몇의교사나상관과같은교수적인리더가강력한영향을미친다는점, 그리고그리더에의해자신의적응적인잠재성을개발시킬수있다는점등이유추할수있는공통점이다. 달리말해아동이학교라는새로운집단에서잘적응하기위해서와군인이군대라는새로운환경에잘적응하기위해서는교사나상관과의관계가너무나중요하다는것이다. 최근들어방송에서초등학생에대한교사의체벌동영상이이슈가되며체벌을가하는교사가더이상교직에몸담고있을수없는환경으로변화하였음을다시한번실감할수있게하였다. 이러한시대의흐름은군대라고피해가지는않아군에서도폭언 / 욕설, 구타 / 가혹행위는절대교정의수단이될수없다며엄금하고있다. 아직도부하교정을위해이러한인격모욕적조치가필요하다고생각하는리더들은이제더이상군대에서몸담고있을수없는환경으로변해있는것이다. 따라서이제군의리더에게요구되는능력은강압적 모욕적행위를하지않아도, 부하스스로조직의목표에동참할수있도록마음을움직일수있는능력이며, 그러한능력이 - 1230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무엇인가를밝히고자하는취지에서본연구는기존군대의연구에서다루어지지않았던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라는변인을통하여부하의군생활적응요인을밝히고, 아울러직속상관의리더십유형과조직유효성사이에서매개효과를보였던친밀도에대한추가연구가필요하다고했던구남웅 (2002) 의연구를보완하여, 공감능력과군생활적응간에서도친밀도가매개효과를보이는지를살펴봄으로써친밀도가조직적응차원에서어떻게작용하는지밝히고자하는것이다. 이를통해군부대의지휘관들에게부하들과의친밀한관계형성을바탕으로부하들이조직의목표에자발적으로참여케하는리더십분야에대한시사점을제시하고자한다. 본연구의결과는병사들의군생활적응을위한간부들의리더십및상담교육프로그램개발, 병영복지정책수립의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따라서본연구에서살펴보고자하는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가? 둘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와의친밀도에영향을미치는가? 셋째, 친밀도는부하의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가? 넷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는어떠한경로로부하의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가? 방법연구대상 표 1. 연구대상병사의계급별분포 (N=300) 계 급 사례수 (N) 퍼센트 (%) 이 병 75 25.0 일 병 73 24.3 상 병 76 25.3 병 장 76 25.3 표 2. 연구대상병사의연령별분포 (N=300) 연령사례수 (N) 퍼센트 (%) 평균 (M) 표준편차 (SD) 19세 28 9.3 20세 66 22.0 21세 84 28.0 22세 80 26.7 23세 30 10.0 21.22 1.37 24세 5 1.7 25세 3 1.0 26세 4 1.3 육군병사들을구성하고있는대표집단이라고 할수있는육군예하전방및후방사단각 3 개사단의병사들을표집하였다. 표집인원은 총 312명으로서표집방법은 1개소대에 4명씩 ( 병사계급별 1명 ), 78개소대에대하여질문 지를받았으며, 대상자중응답이불성실하거 나, 직속상관과함께복무한기간이짧은대 상자의자료 12개 (3개소대분량 ) 를제외한 300 개의질문지를연구에사용하였다. 연구대상 병사의평균연령은 21.2세이며계급별, 연령별 분포는표 1, 표 2와같다. 본연구는군에서의무적으로복무하고있는육군병사들을대상으로하였다. 따라서 측정도구 - 1231 -
직속상관의공감능력본연구에서의공감능력은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적이해정도 로정의하고, 이와같은공감능력을측정하기위하여 Barrett 와 Lennard(1962) 가개발한척도를이은경 (1989) 이한국어로번안하고, 이은순 (1991) 이사용한내용을군실정에맞게수정하여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는.93이었다. 친밀도친밀도는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과의친밀감정도 로정의하고, 이와같은친밀도를측정하기위해 John-George & Swap(1982) 가제시한신뢰에관한질문지, Taui & Barry(1986) 가제시한좋아함에관한대인정서척도등의국외질문지의문항들중에서임인수 (1998) 가발췌및수정하여사용한질문지를군실정에맞게수정하여사용하였다. 본연구에서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는.90이었다. 군생활적응군생활적응을측정하기위해 Stuffer(1949) 가 제작한군생활적응검사를이윤희 (1963) 가번역하고신태수 (1981) 가한국군실정에맞게추가및수정한도구를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의구성은 4개로서심신의상태, 임무수행의지, 직책및직무만족, 조직환경에대한태도를측정하는문항이다. 각척도는 전혀그렇지않다 (1점) 에서 매우그렇다 (5점) 까지의 5점척도로구성되어있다. 점수가높을수록적응이잘되는것으로측정된다. 신태수의연구에서척도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는.88이었으며본연구에서의내적합치도 (Cronbach α) 는표 3과같다. 연구절차본조사를실시하기에앞서필요한기초정보인문항에대한이해정도와소요시간, 문항의적절성, 자료수집방법의적절성등을파악하기위해육군예하부대 3개소대를선정하여예비조사를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통해최종질문지와자료수집방법 (1개소대별병사 4명, 계급별 1명씩측정 ) 을확정하였으며, 본조사는예비조사후약 2주간의기 표 3. 군생활적응의하위요인과하위요인별문항및신뢰도 하위요인 문항의의미 문항수 신뢰도 1. 심신의상태 정신적, 육체적건강과정신적생활상태 3.75 2. 임무수행의지 군인의사명감인역할면, 자발성, 자신감, 임무수행 4.85 3. 직책및직무만족 직책만족, 능력발휘인식여부, 업무의중요성, 업무의가치여부, 업무에대한관심도, 타보직희망정도, 직무관여도 7.90 조직운영면, 대우의공정성, 조직활동면, 훈련정도및군 도, 군에대한인상 4. 조직환경에대한기상태, 부사관능력, 부사관과의일체감, 간부에대한인태도식, 장교의리더십, 진급제도면, 후생복지면, 명령의수용 8.88 전 체 22.94-1232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간동안에진행하였다. 선정된각사단의실무자에게연구자가전화통화를통해연구취지와조사대상, 질문지응답방법을설명하고, 사단의실무자가 E-Mail 로받은질문지를출력하여조사대상에대하여질문지를수집하였고, 우편발송을통해연구자에게보내주는식으로자료를수집하였다. 자료분석본연구에서수집된자료는 SPSS WINDOWS 용 12.0K로처리하였다. 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 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상관과영향력을알아보기위해군생활적응을종속변인으로하고,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독립변인, 친밀도는매개변인으로하여분석하였다. 자료의분석방법으로는각측정도구의신뢰도검증을위해 Cronbach α 계수를산정하고, 연구대상병사들이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직속상관과의친밀도, 병사들의군생활적응의하위변인의상관분석을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인과매개변인이부하의군생활적응에미치는상대적영향의경로를알아보기위해중다회귀분석과변인간의경로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공감능력이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공감능력이부하의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에대한결과를표 4에제시하였다. 표 4에의하면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부하의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공감능력이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을 39% 설명하고있다. 하위요인별로살펴보면, 공감능력은심신의상태 (B=.11, p<.001), 임무수행의지 (B=.22, p<.001), 직책및직무만족 (B=.31, p<.001), 조직환경에대한태도 (B=.45, p<.001) 모두에유의한영향을미쳤으며, 특히, 조직환경에대한태도 (B=.45, p<.001) 에영향이높았다. 공감능력이친밀도에미치는영향공감능력이부하와의친밀도에미치는영향표 5. 공감능력이친밀도에미치는영향친밀도 공감능력.39*** R².56 F 382.61*** ***p<.001 표 4. 공감능력이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심신의상태 임무수행의지 직책및직무만족 조직환경에대한태도 군생활적응 ( 전체 ) 공감능력.11***.22***.31***.45*** 1.09*** R².18.26.27.35.39 F 67.33*** 103.45*** 108.04*** 163.00*** 191.34*** ***p<.001-1233 -
에대한결과를표 5에제시하였다. 표 5에의하면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부하와의친밀도형성에유의한영향을미쳤으며, 설명률은 56% 였다. 유의한영향을미쳤다. 공감능력과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경로 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에대한결과를표 6에제시하였다. 표 6에의하면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에대한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친밀도가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을 54% 설명하고있다. 하위요인별로살펴보면, 친밀도는심신의상태 (B=.27, p<.001), 임무수행의지 (B=.44, p<.001) 등군생활적응의 4개하위변인모두에 공감능력과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경로를그리는데필요한공감능력과친밀도의군생활적응에대한상대적영향결과를표 7에제시하였다. 표 7에의하면공감능력과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공감능력과친밀도가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을 55% 설명하였다. 하위요인별로살펴보면, 공감능력 (β=.17, p<.01) 과친밀도 (β=.61, p<.001) 모두가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 표 6. 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심신의상태 임무수행의지 직책및직무만족 조직환경에대한태도 군생활적응 ( 전체 ) 친밀도.27***.44***.74*** 1.01*** 2.46*** R².29.29.40.49.54 F 121.58*** 121.46*** 202.05*** 283.58*** 351.34*** **p<.001 표 7. 공감능력과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심신의상태 임무수행의지직책및직무만족 조직환경에 군생활적응 ( 전체 ) (β) (β) (β) 대한태도 (β) (β) 공감능력.06.24**.09.16**.17** 친밀도.49***.36***.57***.58***.61*** R².29.31.40.50.55 F 61.03*** 68.08*** 102.17*** 147.99*** 184.09*** VIF 2.284 **p<.01, ***p<.001-1234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쳤다. 공감능력은임무수행의지 (β=.24, p<.01), 조직환경에대한태도 (β=.16, p<.01) 의군생활적응 2개하위변인영역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친밀도는심신의상태 (β=.49, p<.001), 임무수행의지 (β=.36, p<.001), 직책및직무만족 (β=.57, p<.001), 조직환경에대한태도 (β=.58, p<.001) 의군생활적응 4개하위 변인모두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회귀분석을하면서독립변수들간에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 이높지않아야하며오차항간에자기상관이없어야하는데, 공감능력과친밀도는상관계수가높아서다중공선성여부를함께살펴보았다. 분석결과 VIF 계수가 2.284이어서다중공선성은없는것으로나 그림 1. 공감능력과친밀도가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경로분석결과 표 8. 군생활적응에대한설명변인들의직 간접효과 설명변인직접효과간접효과전체효과 심신의상태임무수행의지직책및직무만족조직환경에대한태도군생활적응 ( 전체 ) 공감능력.37.37 친밀도.49.49 공감능력.24.27.51 친밀도.36.36 공감능력.43.43 친밀도.57.57 공감능력.16.44.60 친밀도.58.58 공감능력.17.46.63 친밀도.61.61-1235 -
타났다. 각설명변인들이군생활적응에어떠한경로를통하여영향을미치는가를알아보기위하여경로분석결과를모형으로그림 1과같이제시하였다. 그림 1에의하면공감능력은친밀도에유의한영향을미쳤으며, 군생활적응의하위변인인심신의상태와직책및직무만족에대해서직접효과는없었으나, 임무수행의지와조직환경에대한태도에는유의한직접효과가있었다. 공감능력으로부터영향을받은친밀도는군생활적응의하위변인전체에대하여유의한직접효과가있었다. 이러한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설명변인들간의직접효과, 간접효과, 그리고전체효과를계산하여표 8과같이제시하였다. 표 8을통해직속상관의공감능력의영향력을분석해보면첫째, 심신의상태와직책및직무만족에대하여직접효과는없으나, 친밀도를통한간접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임무수행의지와조직환경에대한태도에대하여직 간접적인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군생활적응에대하여직 간접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직접효과보다친밀도를매개한간접효과가더높게나타남을알수있었다. 또한, 전체효과를보면공감능력의직 간접효과는부하의군생활적응전체에대하여친밀도의직접효과보다높게나타났다. 논의본연구에서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 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와독립변인들이부하의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과경 로에대해조사해보고자하였다. 본연구에서밝혀진결과를요약하고논의하면다음과같다. 첫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고, 특히,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직책및직무만족과조직환경에대한태도에상대적으로높은영향을미쳤다. 이러한결과는박경환 (2005) 의상급자의공감은자아존중감을매개로하여하급자의능력활용에유의한영향을미친다는보고와의미를같이한다. 또한, 공감능력이높은사람일수록갈등해결을위해협력의방식을많이쓴다는이준희 (2007) 의연구및공감능력이높은청소년일수록사회적인상황에서사회적유능성을더잘발휘한다는홍기묵 (2204) 의연구와비교하여, 본연구에서의직속상관도공감능력이높을수록부하와의갈등상황도긍정적인교류를통해원만하게해결하고, 사회적유능성을잘발휘하여부하의군생활적응을촉진시킬수있음을예측하게한다. 따라서부하의군생활적응도를높이기위해서는직속상관이부하에게공감적으로지각되는것이필요하다. 둘째, 공감능력은친밀도에유의한영향을미쳤으며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와의친밀감형성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것을의미한다. 이는 Clark(1980), Eisenberg & Strayer (1987) 가보고한대인관계에서공감이서로간에보다친밀한관계를구축해나가는데촉진작용을한다는연구결과와일맥상통하며, 이춘희 (2007), 오진아 (2007) 의연구결과와의미를같이한다. 그러므로, 친밀감은부하와상관간의중요하고가치있는관계의표시이며, 신뢰와만족을예언하는척도가된다고볼수있다. 그러나, 군대에서병사들은그들의직속상 - 1236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관들과친밀감형성을어려워하고있는데, 그이유는계급구조라는군대의특성으로인해상 하거리감이기본적으로존재하며, 직속상관은조직의임무완수와목적달성을위해부하에게임무를부여하고, 평가와상 벌을해야하는입장에놓여있어, 부하를힘들게만드는존재로인식되는경향때문이다. 이러한이유등으로조성된직속상관과부하간의친밀감의결핍은부하가심리적인어려움이있어도직속상관을찾아가도와달라고하는행동이나, 직속상관이부하에게어려움이없는지물어볼때어려움을호소하는행동을억제하는데작용하고있으며, 이러한직속상관과부하와의교류단절이직속상관으로하여금부하의군생활적응을돕고싶어도돕지못하게하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군대에서이러한부하와상관과의교류의결핍을해소시켜주는친밀감을형성하는데중요한요인이바로직속상관의공감능력인것이다. 셋째, 친밀도는부하의전체적인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으며이러한결과는직속상관에대한친밀도가높은부하일수록군생활적응을더잘할가능성이높다는것을의미한다. 선행연구와비교해보면직속상관에대한친밀도가부하의직무만족도와조직의유효성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구남웅 (2002) 의연구와일맥상통한다. 넷째, 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어떠한경로로영향을미치는지알아본결과,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심신의상태와직책및직무만족에대하여직접효과는없었으나, 친밀도를매개한간접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고, 부하의임무수행의지와조직환경에대한태도에는친밀도의직접효과보다높은수준의직 간접효 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즉, 부하가직속상관에대하여공감능력이있다고지각하는것만으로는부하자신의심신의상태나직책및직무만족에대한영향이없지만, 이러한공감능력을통해직속상관에대한친밀감이형성되었음을부하스스로지각하였을때에는직속상관이의지할수있는존재라고인식하여심신의상태나직책및직무만족에영향을받는친밀도의완전매개효과가나타났고, 부하의임무수행의지와조직환경에대한태도는친밀도의부분매개효과가나타났는데, 이는직속상관이공감능력이있다는것을지각하는것만으로도자신의임무수행정도나어려움을잘알아줄것이라는기대심이작용하기때문이라고해석되며, 물론직속상관의공감능력의영향을받아직속상관에대한친밀도가형성되었음을지각할경우이러한기대심과조직환경에대한긍정성은더욱증가한다는것을본연구에서밝히고있다. 이는친밀도가공감능력과매우높은상관이있음을확인하게해주는결과이며, 부하가직속상관에대하여친밀감을형성하는데필수적인요소가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며, 이러한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부하의군생활적응전체에직 간접적으로긍정적인효과가있다는것을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직속상관의공감능력은부하의군생활적응에유의한영향을미쳤다. 특히, 공감능력의직접효과보다, 공감능력에의해형성된친밀도가부하의군생활적응에영향을미치는간접효과가더욱높게나타남을알수있었다. 이러한결과는부하에대한직속상관의영향력이얼마나큰지실감하게해주며, 직속상관이부하에게공감적으로다가갈때부하는직속상관에게친밀감을느껴신뢰 - 1237 -
관계를형성하고, 부대생활에보다긍정적이고적극적으로참여하게되어건강하고행복하게군생활을할수있게된다는것을의미한다. 따라서군대의리더는자신이부하에게미치는영향력의책임감을느끼고, 자신의공감능력향상과부하와의긍정적인친밀감형성을위해노력해야할것이며, 정책적으로는군리더의공감능력향상프로그램개발과교육의필요성이강조된다. 이러한결과를이끌어낸본연구에서는다음과같은제한점을가진다. 우선연구대상을육군에서근무하고있는병사를대상으로하였기때문에육군의소대급을초과하는상위제대와상위제대직속상관과부하간의관계에대한일반화는곤란하다는것이다. 둘째는부하가측정한직속상관의공감능력과친밀도의정도에는직속상관과부하와의다른관계적인요소가개입될여지가있다. 즉, 학연, 지연, 종교등의관계적인요소에의해측정결과가영향을받을수있다는것이다. 셋째, 부하의군생활적응을 27년전에제작된척도로측정함으로써시대적적절성이다소떨어지는제한점이있다. 하지만, 이상과같은연구의제한점에도불구하고본연구의의의를밝히면다음과같다. 본연구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이병사와의친밀도형성과병사의군생활적응을설명하는변인임과부하의군생활적응에친밀도가중요한매개역할을하고있음을밝혔다는점에서유의미하였다. 이는기존의군상담및리더십관련연구들을보충하는기초자료로서후속연구에시사점을제시할수있을거라고생각되며, 향후시대변화를고려한신세대병사및군간부군생활적응척도개발과친밀도와관련된직속상관의또다른리더십자질은 무엇이있는지추가적으로밝히는것, 그리고군간부들을연구대상으로선정하는것도의미있는연구라고생각된다. 본연구의결과는군상담및리더십교육프로그램개발과군부대지휘관들이보다효과적으로리더십을발휘하는데참고할수있을것이다. 참고문헌공중기 (1993). 사병들의군생활적응도에관한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구남웅 (2002). 직속상관의리더십이조직유효성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구승신 (2004). 신세대병사의군생활적응에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권승미 (2003). 병사들의스트레스와사회적지지가정서적상태에미치는영향.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권태일 (2001). 신세대병사의복지향상방안연구. 대전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성식 (2003). 군병사들의불안및그관련요인에관한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주영 (1999). 병사들의스트레스와자살생각에대한연구. 서울신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헌수 (1998). 신세대사병의사기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관한연구. 정신전력연구, 520(22), 195-227. 김혜정 (2007). 병사들의사회적지지와자아존중감이임파워먼트및군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효철 (2002). 초등학생이지각한담임교사의공 - 1238 -
최명선 구남웅 / 부하가지각하는직속상관의공감능력, 친밀도와부하의군생활적응과의관계 감적의사소통수준과학교학습태도와의관계. 선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박현철 (2001). 군인의삶의질향상에관한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병민 (1997). 직업군인의스트레스정도와유발요인에관한연구.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손희락 (2000). 신세대장병의스트레스가부대적응도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송경재 (2007). 개별성-관계성과군생활적응의관계.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신언필 (1999). 신세대장병의가치관에다른군리더쉽적용방안연구. 대전대학교석사학위논문. 신태수 (1981). 군대조직구성원의자아정체성과군대생활에의적응과의관계연구.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심덕규 (1998). 신세대병사의갈등관리방안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안재영 (2007). 청소년의유머감각및유머스타일과대인관계기술과의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97-108. 이은순 (1991). 상담실습자교육에서의공감훈련효과의분석.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종선 (2004). 따뜻한카리스마. 서울 : 랜덤하우스중앙. 이종훈, 조주연 (1999). 육군병사들의복무기간에따른불안, 우울및충동성에대한연구. 정신보건사회사업학, 38(5), 966-972. 이춘희 (2007). 청소년의공감능력과친구관계 : 갈등해결방식의매개효과. 경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임인수 (1998). 리더-하위자관계유형에따른리더십스타일및리더십유효성에관한연구. 광운대학교석사학위논문. 오진아 (2007). 어머니의성인애착및공감능력에따른부모-자녀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원제윤 (2004). 초급지휘관리더십이신세대병사들의사기에미치는영향. 한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정화영 (2003). 입대전사회화환경이군생활의적응에미치는영향. 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 정민화 (1998). 신세대현역병사들의군생활적응력향상요인에관한연구. 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정영용 (2001). 군간부의리더십에대한연구. 수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조남국, 이재윤 (1989). 군지휘관의권력유형에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및조직, 2(1), 121-128. 조영철 (1994). 군지휘관의자질. 한국군사학회, 1(1), 252-253. 진석범 (2000). 군장병들의스트레스요인과정신건강에관한연구.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최건용 (1999). 신세대장병의병영생활적응을위한발전방안. 한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최문구 (1999). 신세대병사의직무만족에관한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한현주 (2003). 놀이치료자의공감능력과내담아동이지각한치료자와의정서적유대.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홍기묵 (2004). 청소년의공감능력과사회적유능성과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 - 1239 -
논문. 황용주 (2001). 신세대병영생활에부합된효율적인리더십연구.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Barnett, M. A. (1987). Empathy and related responses in children. In N. Eisenberg & J. Strayer(Eds.), Empathy and its development(pp.146-16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Batson, C. D. (1987). Prosocial motivation: Is it ever truly altruistic? In L. Berkowitz(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20). New York: Academic press. Batson, C. D., & Coke, J. S. (1981). Empathy: A source of altruistic motivation for helping. In J. P. Rushton, & R. M. Sorrentino(Eds.), Altruism and helping behavior: Social, Personality,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Hillsdale, NJ: Eribaum. Bryant, B. K. (1987). Mental health, temperament, family and friends. In M. Eisenberg & J. Strayer(Eds) Empathy and its development(pp. 245-2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Duan, C., & Hill, C. E. (1996). The current state of empathy resear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3, 261-274. Eisenberg, N., & Miller, P. A. (1987).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 Psychological Bullentin, 101(1), 91-119. Hartup, W. W., & Laursen, B. (1991). Relationships as developmental contexts. In R. Cohen, & A. W. Siegel(Eds.), Context and development, 253-279. Howard J. A., & Barnett, M. A. (1981). Arousal of empathy and subsequent generosity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8, 307-318.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ller, P. A., & Eisenberg, N. (1988).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3, 324-344. Roger, C. R. (1951). Client 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Co. Rogers, C. R. (1975). Empathy: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Counseling Psychologist, 5, 2-10. Warning, E. M., Schsefer, B., & Fry, R. (1994). The influence of therapeutics, self-disclosure on perceived marital intimscy.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0(2), 원고접수일 : 2008. 8. 9 수정원고접수일 : 2008. 9. 25 게재결정일 : 2008. 11. 10-1240 -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 Vol. 20 No. 4, 1227-1241.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ic Abilities, Intimacy with Senior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cognizable to the Subordinate Myungseon Choi Namwoong Ku D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ic abilities, intimacy with one s senior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hich are recognizable to the subordinate. We sampled 300 soldiers in the Korea army. The instruments used were as follows: An empathy scale, an intimacy scale, and a military life adjust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s, as well a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athic abilities and intim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empathic abilities and intimacy had an impact upon on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ie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ere mediated by intimacy. Key words : the direct control senior, leadership, intimacy, empathic abilities, subordinate, adjustment - 1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