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22DC0D3C1F6C7E22CBEC8C0B1C1F62CBDC5C1F6C7F D E687770>

Similar documents
- 89 -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The Participant Expe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 이논문은제 1 저자의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초등특수교육전공석사학위논문임. ** 주저자 : 진주장재초등학교교사 *** 교신저자 : 진주교육대학교교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레이아웃 1

<3635B1E8C1F8C7D02E485750>

1)2)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2003report hwp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DBPIA-NURIMEDIA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Meta Analysis : T

서론 34 2

CC hwp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DBPIA-NURIMEDIA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B9ABBFEBB1B3C0B0C7D0C8B8C1F D32C8A32E706466>

2002report hwp

치의학석사학위논문 치의학대학원학생의장애환자에 대한인식조사 년 월 서울대학교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박상억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 pb61۲õðÀÚÀ̳ʸ

<323020B0ADB0E6C8AF2DB5BFB1E2C0AFB9DFC7C1B7CEB1D7B7A520C2FCBFA9BFA120B5FBB8A52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3355 flow 글로벌파트너십 Ÿ W( 국제적감각을지닌글로벌역량 ) ( ) Ÿ E( 종합적사고력과융통성 ) ( ) Ÿ S( 영성윤리의식 ) ( ) Ÿ L( 대인관계역량인화 ( 人和 ) ( ) Ÿ E( 자기관리 ) ( ) Ÿ Y( 의사소통과자원정보기술의활용능력 )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歯14.양돈규.hwp

Compass Online School Pack 1

4. 수업의 흐름 차시 창의 인성 수업모형에 따른 단계 수업단계 활동내용 창의 요소 인성 요소 관찰 사전학습: 날짜와 힌트를 보고 기념일 맞춰보기 호기심 논리/ 분석적 사고 유추 5 차시 분석 핵심학습 그림속의 인물이나 사물의 감정을 생각해보고 써보기 타인의 입장 감정

±â¾÷ ³» ÀÎÀûÀÚ¿ø°³¹ß.hwp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5차 편집).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CC hwp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S L T 자기조절학습검사대학생용 Self-regulated Learning Test 검사결과분석표 검사일 성명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¾ç¼ºÄÀ-2


<BBEAC0E7B1D9B7CEC0DA20BBE7C8B8C0FBC0C0C7C1B7CEB1D7B7A52DC3D6C1BEC6C42E687770>


통계연구 (2010), 제 15 권제 2 호, 한국의일상생활에서남녀의수면시간과관련요인탐색 은기수 1) 차승은 2) 요약 수면은생물학적현상으로하루 24시간의일상생활중단위활동으로는가장많은시간을차지하는활동가운데하나이다. 그러나현대사회가 24/7 사회로진전되고개인

한국교육문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CR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도비라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152*220

T hwp

연구노트

지각된 부모-자녀 관계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31322DC0CCC0E7BDC5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5B DB1B3C0B0C0DAB8A65FC0A7C7D15FB5F0C0DAC0CEBBE7B0ED5FC5F8C5B62E706466>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Microsoft Word - PLC제어응용-2차시.doc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2013 년 Maker's Mark Academy 추석 Program 2013 ~ 2014 년 ACT Test 일정 2013/09/ /10/ /12/ /04/ /6/14 9 월 21 일 ACT 대비추석특강반 ( 이이화 / Jo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Transcription: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4, No. 3, pp. 427~448, 2015.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 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임지향 * ㆍ안윤지 ** ㆍ신지현 *** < 요약 > 본연구의목적은고등학생을대상으로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를실시하여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알아보는것이다. 연구대상은경기도 D시에위치한고등학교 2학년학생 12명으로서, 실험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주 1회로 2012년 1월부터 2012년 4월까지총 14회에걸쳐약 120분씩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실시하였다. 치료적효과를알아보기위하여프로그램실시전ㆍ후로학습동기척도와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검사를실시하였다. 결과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사용하여실험집단과통제집단과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의사전, 사후결과를 t- test 로분석하였다. 본연구결과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고등학생의학습동기의향상과학업적자기효능감의향상에효과적임을알수있었다. 핵심어 : 몰입을활용한미술치료, 고등학생,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 대구사이버대학교휴먼케어대학원교수 ( 교신저자 : possible@dcu.ac.kr) Department of Art Psycological Counselling, Graduate School of Human Care Daegu Cyber University ** 경기도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We센터전문상담사 Dongducheon Yanju Office of Education Gyeonggi Province Wee-Center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사회복지상담학과교수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ling, Graduate School of Seoul Venture University

42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 우리나라청소년들은그어느나라보다치열한입시경쟁속에서학업과관련하여많은시간을투입하도록요구받고있으며, 그로인하여많은스트레스와방황을겪고있는실정이다. 이렇듯학업에관해부모나교사사회로부터의기대와요구가커지면서높은수준의성취를요구하는것이커다란압박으로다가오고있다. 2009 년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ㆍ중ㆍ일고교생의학습환경및학업태도에관한국제비교조사. 에의하면, 한국은싫어도해야한다 (65.2%), 중국은인격형성에필요하다 (62.2%), 일본은사회인으로기본이다 (48.2%) 가각각 1위를차지하였다. 그리고 2011 년통계청자료에의하면, 청소년의가장많은스트레스는공부 (38.6%), 직업 (22.9%) 의순으로나타났다. 그밖에 2007 년에는 대학가는법만배우고있는현실 에대한절망을담은자살학생의유서가발견되어서안타까움을자아내기도했다. 이러한사회적인현실로인하여, 학업에대하여과도한스트레스를받고학습에대하여방어적이거나무기력한형, 낮은성적에만족해하거나불안해하는형으로학습에집중하지못하는학생들이많이나타나고있음을볼수있다. 그뿐만아니라이러한학생들은학업에대한불안증을해소하기위하여다른곳에몰두하기도하는데이러한현상은낮은자아개념을형성하게할뿐만아니라내재적인학습동기를방해하는요인으로도작용할수있다. 최근많은학생들이인터넷을하거나, 핸드폰을하고, TV를보는것이심각한문제로떠오르고있을뿐만아니라우울증과불안장애등과같은신경증도점점늘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우울증을치료하는 10대청소년이 2006 년도보다 15.3% 증가하였다고한다. 이는청소년들이삶에제대로몰입하지못하고불안해하며, 방황하는이들의숫자가늘어나고있다는사실을확인시켜준다. 이렇게청소년들이삶에제대로몰입하는법을배우지못한채자라서성인이되었을때그들은여전히방황하고살수밖에없다 ( 손지희, 2009). 최근수년간몰입이인간에게미치는긍정적인영향에대한관심이높아지면서몰입에대한논의가다양하게이루어지고있다. 이러한몰입에대한논의들은사람들이어떤활동을몰입하였을때얼마나큰즐거움을얻을수있는지, 그것이얼마나신비한체험이었는지혹은활동에몰입함으로써어떤효율성을얻었는지에대해알려준다. 이를통해많은사람들은몰입의중요성과긍정적인영향을새롭게인식하면서주목하였고, 자신들도몰입을경험하여놀라운학습효과를얻고, 좋아하는어떤일을하면서깊이빠져들기를기대하게되었다 ( 손지희, 2009).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29 Csikszentmihalyi(1975) 는스포츠, 등산, 예술활동등과같은분야에서탁월한능력을발휘하는사람들을대상으로심층면접한결과, 이들은현재행하고있는일에자신의능력을최대한발휘하고있을뿐만아니라일을하면서즐거움과유능감을동시에경험하고있음을발견하였으며, 이러한상태를몰입이라고명명하였다. 따라서몰입이란현재주어진삶의장면에서개인이느끼는최적의심리적경험을말하는것으로써, 개인이직면한과제를수행함에있어서자신이가지고있는잠재적능력을최대한발휘하면서느끼는주관적인만족감이나행복감을만드는것을의미한다 ( 이창호, 2002). 최근몇몇연구들 ( 김창대, 2002; Chan, 1999; Csikszentmihalyi, 1990) 에의하면이러한몰입은학습, 여가, 직업등다양한삶의장면에서나타날수있으며, 무엇보다도명확한목표, 구체적이고즉각적인피드백, 기술수준에적절한도전적인과제등몰입현상이발생하기쉬운조건을만듦으로써몰입을촉진시킬수있다. 그리고그결과로사람들은과제에몰입하면서즐거움과함께자신이하고있는일에대한만족감이나유능감도동시에증가된다고한다 ( 이태정, 2003). 학습몰입은학습자가학습이라는특정한상황에서의미있는학습경험을하며, 학습활동에완전히몰두하여시간감각을잃어버리고주변상황을의식하지못하는등학습에흥미와즐거움을수반하는주관적인심리상태를말한다. 이렇듯이학습상황에서즐거움을느끼고적극적인학습활동을가능하게하는심리적특성으로교육학및심리학분야에서다양한성취욕구와자기결정성및자기효능감등과밀접한관계가있음을밝히고있다 ( 이숙정, 2011; Csikszentmihalyi & LeFevre, 1989). 그리고 Astin(1993) 은목표지향적인행동을학습동기의가장중요한속성이라고하였다. 결과적으로뚜렷한성취목표를가지고학습활동에얼마나능동적으로참여하는가는학습효과즉, 학습몰입에차이가있다고할수있다 ( 김희정, 2012). 본연구에서는이러한이론에입각하여서, 고등학교학생을대상으로몰입을활용한미술치료가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어떠한효과를미치는지알아보고자한다. 이연구의목적은미술치료프로그램을통한몰입경험을학습활동에적용함으로써학습자가명확한목표를세우고적극적으로학습에참여하며과제수행에집중할수있는능력을최대한발휘할수있도록돕는것이며, 그결과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을높여줄수있는방안을탐색하고자한다. 2. 연구문제 첫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에어떠한효과를미치는가? 둘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에어떠한효과를

43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미치는가? 셋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나타난집단원들의단계별질적변화는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연구의조사대상은경기도 D시에위치한 2개의고등학교 2학년에재학중인남녀학생들중에서 2012 년 10월에실시하였던전국모의고사성적이하위 30% 인학생들로하였다. 대상자들중에서학교선생님의추천을받고미술치료프로그램에참여를희망하는 16명을연구대상으로선정하였다. 이들 16명중에실험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을무선배치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대상자중전체치료회기 1/3 이상불참하였으며사후검사가진행되지못한대상자 2명을결과분석시제외되었다. 따라서최종적으로실험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이분석대상으로선정되었다. < 표 2-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구분대상연령가족관계특성 실험집단통제집단 A 18 부, 모, 동생 B 18 모, 누나2 C 18 부, 모, 형 D 18 조모, 모, 언니 E 18 부, 모, 오빠 F 18 부, 모, 언니 G 18 부, 모, 누나2 - 가정형편이매우어려움 - 학업에대한동기가있음 - 아버지와따로살고있음 - 학업에대한동기가부족함 - 가족관계가원만함 - 학업에대한동기와수행능력부족함 - 아버지가집을나감 - 학업에대한동기와자신감이부족함 - 가족관계가원만함 - 학업에대한동기는있지만, 집중력이떨어짐 - 가족관계가원만함 - 학업에대한동기와자기조절효능감이부족함 - 가정형편이어렵고왕따경험있음 - 학업에대한동기와자기효능감이부족하며의기소침함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31 통제집단 H 18 부, 모, 여동생 I 18 모 J 18 모, 형, 누나 K 18 부 ( 새아빠 ), 모, 누나 L 18 부, 모, 누나 - 가족관계가원만함 - 학업에대한동기와자기조절효능감이부족함 - 아버지가수술중에돌아가심 - 학업에대한동기는있으나자기조절효능감부족함 - 부모님이이혼하시고, 왕따경험이있음 - 학업에대한동기와자존감이부족함 - 새아버지와관계가좋지않음 - 학업에대한동기가부족하고관심이없음 - 가족관계가원만함 - 학업에대한동기는부족하나독서를많이하는편임 2. 측정도구 1) 학습동기척도본연구에서학습자들의학습동기를측정하기위하여사용된학습동기척도는김용래 (2000) 가개발하여타당성이검증된검사지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 4개의하위요인으로구성되어있으며본질동기 (7문항 ), 비본질동기 (8문항 ), 계속동기 (6문항), 수업동기 (4문항) 의총 25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척도의응답방법은각문항마다 전혀아니다 면 1을, 대체로아니다 면 2를, 보통이다 면 3을, 대체로그렇다 면 4를, 매우그렇다 면 5를답지에기입하는 5단계평정척도로되어있다. 각하위요인별문항과검사의신뢰도는다음 < 표 2-2> 와같다. < 표 2-2> 학습동기척도의하위요인구성과신뢰도 하위요인내용문항수신뢰도 본질동기비본질동기수업동기계속동기 학습자가외부의보상과강화에의존하지않고학습자스스로가과제를수행하고자하는신념과의욕적인노력의정도학습을통해원하는것을획득하고자학습활동을하는신념과의욕적인노력의정도학교의수업내용과관련된제반활동과과제를수행하고자하는신념과의욕적인노력의정도학습한내용을학교밖에서도계속해서학습활동을수행하고자하는신념과의욕적인노력의정도 7.88 8.94 4.89 6.89 전체학습동기 25.97

43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2)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본연구에사용된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는김아영와박인영 (2001) 이개발하여타당성이검증된검사지를사용하였다. 이척도는 3개의하위요인으로구성되어있으며자신감 (8문항), 자기조절효능감 (10 문항 ), 과제수준선호 (10 문항 ) 의총 28문항으로구성되어있다. Likert 형 6점척도 (1: 전혀아니다 ~ 6: 매우그렇다 ) 로이루어져있으나, 본연구에서는다른검사도구와일관성을위해 5점척도로재구성하여서사용하였다. 척도의응답방법은각문항마다 전혀아니다 면 1을, 대체로아니다 면 2를, 보통이다 면 3을, 대체로그렇다 면 4를, 매우그렇다 면 5를각답지에기입하는 5단계평점척도를되어있다. 각하위요인별문항과검사의신뢰도는다음 < 표 2-3> 과같다. < 표 2-3> 학습동기척도의하위요인문항구성과신뢰도 하위요인 내용 문항수 신뢰도 과제난이도학습자의자기관찰, 자기판단, 자기반응과같은자기조절력선호기제를잘적용할수있는가에대한효능기대정도 10.80 자기조절학습과제나목표설정시도전적이고구체적인과제와효능감목표를선호하는정도 10.85 자신감 학습자가자신의학습능력에보이는확신또는신념정도 8.82 전체학업적자기효능감 28.89 3. 연구절차 1) 사전검사실험집단과통제집단의실험전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수준의동질성여부를검증하기위하여두집단을대상으로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를동시에실시하였다. 그결과를살펴보면 < 표 2-4> 와 < 표 2-5> 과같이모든하위변인에서 t-test 결과유의미한차이가없는것으로나타나고있어두집단은동질집단임을알수있다. < 표 2-4> 학습동기사전검사에대한집단동질성 구분 실험집단 (n=6) 통제집단 (n=6) M SD M SD t 유의확률 전체학습동기 62.33 16.872 48.33 15.397 1.501.164 본질동기 17.00 5.586 13.67 4.457 1.143.280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33 비본질동기 20.17 5.913 14.00 4.733 1.994.074 수업동기 11.33 3.777 8.33 2.875 1.548.153 계속동기 13.83 2.927 12.33 4.590.675.515 *p<.05 < 표 2-5> 학업적자기효능감사전검사에대한집단동질성 구분 실험집단통제집단 M SD M SD t 유의확률 전체학업적자기효능감 79.67 15.306 78.33 8.824.185.857 과제난이도선호 25.33 7.737 25.50 4.593 -.045.965 자기조절효능감 29.67 5.502 26.00 4.472 1.267.234 자신감 24.67 3.502 26.83 2.229-1.278.230 *p<.05 2) 프로그램실시프로그램은주 1회로 2012 년 1월부터 2012 년 4월까지약 120분씩총 12회기에걸쳐실험집단에만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실시하였다. 치료장소는 A교회내학생부실로밝고조용하며넓은공간을활용할수있는장소를사용하였다. 미술활동주제는몰입을활용한미술치료프로그램을연구자가구성하여제시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사전에몰입에대한충분한이해를도운다음프로그램에참여하여작업할수있도록하였다. 3) 사후검사 실험집단에집단미술치료를프로그램을 12주동안실시한후, 실험집단과통제집단에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검사를실시하였다.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본연구의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향상을목적으로사전ㆍ사후검사를포함하여총 14회기로구성되었다. 초기, 중기, 종결단계별로목표를설정하였으며, 초기에는라포형성ㆍ몰입회상단계, 중기에는몰입의방해요인제거ㆍ구체적인목표와몰입경험단계, 종결에는긍정적인피드백단계로구성하였다. 몰입척

43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도의하위요인을바탕으로연구자가미술치료전공지도교수의도움을받아개발ㆍ수정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 표 2-6> 와같다. < 표 2-6>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단계회기주제활동방법활동목표준비물 초기 중기 사전검사 1 사전검사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검사 라포형성 2 오리엔테이션 ( 이름꾸미기 ) 각성 3 탐색 4 통제감 5 통제감 6 도전감 7 도전감 8 미래의성장 ( 꼴라쥬 : 고치에서나비가되기까지 ) 몰입경험회상 ( 한지와오브제 ) 현재의감정 ( 난화작업 ) 감정해소 ( 신문지찢기와종이죽작업 ) 자신의미래설계 ( 구체적인계획표만들기 ) 학습기술 ( 마인드맵 ) 주의집중 9 몰입경험1 ( 만다라 ) 몰입 에관한영상을보면서 Workshop 을한다. 자신의이미지나특징을이름속에드러나도록꾸미기작업을한다음자신을소개한다. 자신의과거, 현재, 미래에대해서생각해본다. 미래성장을위한목표와도전과제를탐색해본다. 자신의삶속에서몰입했었던순간에대해서이야기를나눈다. 오브제를활용한작업을통해서그때의감정을탐색해본다. 먹물로난화작업후, 스토리텔링 한다. 자신의감정과상태에대해서알아본다. 각자의스트레스에대해서이야기를나눈다. 신문지찢기작업을하고, 신문지죽을만들어서과녁맞추기게임을한다. 신문지죽을물감으로채색한뒤공동작업을한다. 오프라윈프리 의영상을본다음, 자신의삶을되돌아본다. 생활속에서내가할수있는일들에대해서계획표를만들고변화를시도해본다. 자기관리의필요성을알고, 두뇌의역할을이해한다. 기억력을높이며학습하는기술인마인드맵을익힌다. 이완호흡법, 명상으로도입과정을한다. 만다라문양을선택해서색칠하는작업을통해서정신을집중시켜본다. 사전개인진단자료획득프로그램목적이해라포형성관계형성자아의성장몰입탐색자신의정서탐색몰입의방해요인제거명확한목표학습전략 ( 구체적인단계로의접근 ) 몰입경험 사전검사질문지, 연필, 지우개영상자료, 8절지, 풀, 색종이, 가위, 사인펜, 색연필 4절지, 풀, 가위, 잡지, 크레파스, 사인펜한지, 지끈, 크레파스, 색종이, 풀, 사인펜, 가위, 4절지 A4, 먹물, 사인펜, 크레파스, 신문지, 일회용기신문지, 물감, 대야, 위생봉지, 위생장갑, 과녁판, 전지영상자료, 8절지, 연필, 지우개, 사인펜참고자료, 8절지, 색연필, 사인펜명상음악, 문양종이, 색연필, 사인펜 주의집중 10 몰입경험 2 ( 만다라 ) 편안한자세로명상한다음, slow thinking 을하면서복잡한생각에서벗어나본다. 몰입경험 명상음악, 2절지, 크레파스, 색연필,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35 중기 종결 주의집중 즐거움 11 긍정적감정 12 사후검사 관여 13 긍정적경험 ( 화가되어보기 ) 희망 ( 타임캡슐만들기 ) 긍정적인피드백 ( 상장만들기 ) 커다란원안에집중력을발휘하면서만다라를작업한다. 작품에몰입한화가의삶을이해해본다. 화가의삶속에나의감정을이입해보면화가가되어본다. 여러색으로물들인천일염을병에담는작업을한다. 미래자신의모습을상상하면서하고싶은말을적어서타입캡슐을만든다. 그동안미술치료과정을통하여명확한목표를세운다. 치료과정을모두마친자신에게수여하는상장을만들어본다. 14 사후검사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검사 몰입을통한 즐거움 경험삶에대한동기와긍정적인시각자기목적적경험, 성취감향상사후개인진단자료획득 물감, 도배풀, 일회용기, 나무젓가락영상자료, 명화복사지, 색연필, 사인펜, 파스텔김장비닐, 천일염, 물감, 병, 메모지, 펜, 글루건, 꾸미기재료 8절지, 사인펜, 꾸미기재료사후검사질문지, 연필, 지우개 5) 자료처리 자료처리를위한통계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사용하여분석하였다.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검증하기위하여측정된점수의변화를 t-test 하였다. 그리고,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단계별변화를질적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본연구는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알아보기위한연구로서결과를분석하면다음과같다. 1. 집단미술치료가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 1) 집단미술치료가전체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를알아보기위하여사전ㆍ사후검사를실시한결과는 < 표 3-1> 과같다.

43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 표 3-1> 전체학습동기의사전ㆍ사후변화비교 구분실험집단 (n=6) 통제집단 (n=6) 사전사후 M SD M SD t 유의확률 62.33 16.872 81.50 13.996-1.300.250 48.33 15.397 57.67 19.075-1.176.292 *p<.05 < 표 3-1> 에서보는바와같이사전ㆍ사후에따른학습동기차이에대해살펴보면실험집단인경우사전점수 62.33 점, 사후점수 81.50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학습동기가 19.17 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또한통제집단인경우사전점수 48.33 점, 사후점수 57.67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학습동기가 9.34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 2) 집단미술치료가학습동기척도의하위요인에미치는효과 학습동기척도의하위요인별사전ㆍ사후변화를분석한결과는 < 표 3-2> 와같다. < 표 3-2> 학습동기척도하위요인별사전ㆍ사후변화비교 구분 사전 사후 M SD M SD t 유의확률 본질동기 17.00 5.586 22.00 3.033-1.976.105 실험집단 비본질동기 20.17 5.913 23.67 5.164-1.300.250 수업동기 11.33 3.777 14.50 3.271-3.800*.013 계속동기 13.83 2.927 21.33 4.719-3.962*.011 본질동기 13.67 4.457 17.33 6.121-1.854.123 통제집단 비본질동기 14.00 4.733 16.50 5.505-1.176.292 수업동기 8.33 2.875 9.17 2.858 -.752.486 계속동기 12.33 4.590 14.67 5.046 -.982.371 *p<.05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37 < 표 3-2> 에서보는바와같이실험집단의사전ㆍ사후에따른학습동기하위요인별차이에대해살펴보면본질동기는사전점수 17.00 점, 사후점수 22.00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본질동기가 5.00점향상되었지만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비본질동기는사전접수 20.17 점, 사후점수 23.67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비본질동기가 3.60점향상되었지만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수업동기는사전점수 11.33 점, 사후점수 14.50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수업동기가 3.17 점향상되었고 t=-3.800,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계속동기는사전점수 13.83 점, 사후점수 21.33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계속동기가 7.50 점향상되었고 t= -3.962,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따라서,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하위요인중수업동기와계속동기향상에효과가있었음을알수있다. 반면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적용시키지않은통제집단의학습동기의변화여부를알아보면평균적으로다소차이는있으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기때문에변화가없음을알수있다. 2. 집단미술치료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1) 집단미술치료가전체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본연구의두번째연구목적인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알아보기위하여사전ㆍ사후검사를실시한결과는 < 표 3-3> 과같다. < 표 3-3> 전체학업적자기효능감의사전ㆍ사후변화비교 구분 사전 사후 M SD M SD t 유의확률 *p<.05 실험집단 79.67 15.31 104.33 8.524-3.408*.019 통제집단 78.33 8.824 81.33 14.081 -.645.548 < 표 3-3> 에서보는바와같이사전ㆍ사후에따른학업적자기효능감차이에대해살펴보면실험집단인경우사전점수 79.67 점, 사후점수 104.33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학업적자기효능감이 24.66 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이는 t=-3.408, p

43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따라서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향상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고있음을알수있다. 반면통제집단인경우사전검사시 78.33 점, 사후검사시 81.33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학업적자기효능감이 3.00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2) 집단미술치료가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의하위요인에미치는효과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의하위요인별사전ㆍ사후변화를분석한결과는 표 3-4> 와같다. < 표 3-4>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하위요인별사전ㆍ사후변화비교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전사후 M SD M SD t 유의확률 과제난이도선호 25.33 7.737 36.67 3.386-3.410*.019 자기조절효능감 29.67 5.502 38.83 4.579-3.196*.024 자신감 24.67 3.502 28.83 1.941-2.076.093 과제난이도선호 25.50 4.593 28.50 5.206-2.023.099 자기조절효능감 26.00 4.472 27.00 6.387 -.385.716 자신감 26.83 2.229 25.83 2.858.685.524 *p<.05 < 표 3-4> 에서보는바와같이실험집단의사전ㆍ사후에따른학업적자기효능감하위요인별차이에대해살펴보면과제난이도선호는사전점수 25.33점, 사후점수 36.67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과제난이도선호가 11.34 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 t=-3.410,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자기조절효능감은사전점수 29.67 점, 사후점수 38.83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자기조절효능감이 9.16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 t=-3.196, p<.05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자신감은사전점수 24.67 점, 사후점수 28.83 점으로나타나사전검사시보다사후검사에서자신감이 4.16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지만 p>.05 로나타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따라서,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의하위요인중과제난이도선호와자기조절효능감의향상에효과가있었음을알수있다. 반면집단미술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39 치료프로그램을적용시키지않은통제집단의학업적자기효능감의변화여부를알아보면평균적으로다소차이는있으나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않았기때문에변화가없음을알수있다. 3. 단계별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의변화분석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진행에따른집단원들의단계별변화를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의두가지측면에서변화를분석하면다음과같다. 초기단계 (1~4 회기 ) 에는집단원모두가 학습활동 자체에거리감을드러내보였다. 실험집단학생들이거주하는지역적인특성이매우열악하여서경제적으로도어렵고, 실제로가정환경이매우좋지않은경우가대부분이었다. 이집단원의특징은학업적으로전혀지지를받지못하는학생들이기때문에학업에대한계획이나방향성을찾아보기에는매우어려운점들이많이관찰되었다. 초기면접에서실험집단원들은학업에대한의지가매우약하였으며, 막연하게미술치료프로그램에참가하여서학습에효과를보고싶다는전반적인생각을가지고있었다. 1회기상담에서 B와 C는, 실험집단에서제외된다른학생과의마찰로인하여서불참하는상황이생기게되었고, 그로인해서미술치료가한주연기되어서진행이되었다. 그러한이유때문인지 B와 C는감정적으로불편함을호소하지는않았지만, 미술치료에대한기대감이다소없었던것으로보였다. 1회기에서 몰입 에관한영상물을보고, 각자자신에게행복했던순간을떠올려보게하자대부분어린시절 아무런걱정없이놀던때 를회상하기도하였다. 집단원모두가장몰입했던순간에대해서컴퓨터게임을이야기하였는데, 이것은긍정적인의미의몰입이아니라파괴적인몰입의반영이라고할수있겠다. 자신이어떤일에깊이빠져들고노력을해서얻은성취감으로인한몰입경험을이야기한집단원은없었다. 남녀가혼합된집단이다보니, F( 여학생 ) 는남학생을의식하여서연구자의이야기에주의집중을하지못하는모습을보였다. B는다소산만하지만집단의분위기를이끌어가는역할을하면서, 처음에는미술치료에대해서부담스러운마음이있었지만막상해보니흥미롭다고표현하였다. A는다른집단원들에비해진지하게작업에열중하는모습을보였지만, 핸드폰에심한집착을보이는것이특징이었다. 중기단계 (5~11 회기 ) 에는파괴적인몰입에열중하고있는집단원들에게현재의감정과스트레스에대해알고긍정적인몰입의경험을회상하게하는작업을하였다. 5회기에서먹물난화작업은미술매체에대해서자신없어하던집단원들이부담감없이편안한마음으로작업에임할수있게하는계기가되었다. 자신을표현하고드러내는데있어서자신감없고소극적인집단원들에게적극적이고자신감을불러일으키는작업으로집단원들사이

44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의친밀감형성에중요한역할을하며높은성취감을나타냈다. 6회기에서는자신의스트레스를해소하는과정으로처음에는여자친구들의반응이소극적이었으나, 신문지죽폭탄을만들어과녁에맞추는게임을할때에는흥미로운모습으로집중도를높였으며시간의개념도잊은채빠져드는모습을보이기도했다. 자발적인모습으로게임에임한뒤, 공동작업에있어서도서로의견을주고받으면서충실하게작업에임하는모습을보였으며마지막으로작업을사진속에남기는집단원들도있었다. 7회기에들어서면서본격적으로학업에대한목표의식을갖고몰입을하기위한준비단계에들어가게되는데, 대부분의집단원들은자신의계획을세우고그것을실천하고자하는방향을잡지못해서안타까운모습을보이기도하였다. 오프라윈프리 의영상을통해서자신의삶속에서좌절하지않고꿈을향해서도전하고자하는메시지와함께집단원들의삶을새롭게재조명해보는시간을갖게되었다. 각각의집단원들이자신의생활속에서변화되어야할점을찾고, 학업에대한세부적이고구체적인목표를세워가는작업을하였다. 그러나 B와 C의경우는자신이어떤계획을세워야하는지에대해서전혀인식하지못하는관계로연구자의도움을받아서작업을하였으며, 그로인해서깨달음과자극의시간을가지게되었다. 특히 8 회기에집단원들을만났을때에는정말많은변화가느껴지는회기였다. 한주간의소감을이야기하면서시작을하였는데, A는담배를끊기로결심을했다는이야기를하여서집단원들간에많은격려를받게되었고, C도수업시간에졸지않고수업에임하기위한노력을하게되었다고하여서많은변화가보여기는회기였다. D는 부사관 이라는새로운꿈을향해서목표를세우게되었다는이야기를하였고, E와 F 역시지난주에세운계획을지키기위해노력했다는것과컴퓨터게임을하지않았다는이야기를하여서집단원들에게서비본질동기와자기조절효능감이많이향상된것을관찰할수있었다. A와 E는 7 회기부터 8회기에걸쳐서눈빛이살아있고집중하는모습을보여서돋보였으며, 학습기술과효과적인학습법에대하여서많은관심을드러내기도하였다. 학교의수업과관련지어서복습의중요성을강조하였고기억의체계를설명해주면서수업동기를높이는작업을하였다. 9회기와 10회기는 만다라 작업을통한몰입경험을목표로작업을하였다. 평소분위기를리드하기좋아하는 B는명상곡을틀고침묵하면서하는작업에대해서심한거부감을드러내기도했다. 그렇지만만다라도안을고른뒤에는, 집중하는모습으로작업에빠져드는모습을보였다. 주위가산만하고주의집중하기힘든집단원들에게 만다라 작업은고요와집중력을체험하며내적인동기에서오는기쁨과만족감, 그리고주의집중을통한성취감을느껴보는시간이었다. 10회기만다라는자유로운분위기속에서진행되었는데, 커다란원안에물감섞은도배풀을이용해서자연스러운표현을유도했다. A는 E와표현내용이비슷하다는이야기를듣자갑자기진행시키기를어려워하며새로운작업을시도하였고, B와 C는대범하게작업하다가그위에직접물감을뿌리면서흥미를불러일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41 으켰다. 평상시소극적으로작업하던 C는지금까지의회기중에서가장작업속으로빠져드는모습을보여주며강한성취감을느끼는시간이되었다. 매회기를진행하기전에작업내용을학업과관련지어서자신이실천할수있는계획을세우고다음회기전까지어느정도수행을했는지에대해서서로이야기를나누고피드백을주면서자신감을얻을수있었다. 종결단계 (12~14 회기 ) 에는지금까지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전체과정을지나온것에대한긍정적인피드백을주기위한작업으로구성되었다. 타임캡슐제작을위하여천일염에물감을입히는작업을하였는데, 집단원들은연구자의지시가없어도천일염을이용해서다양한놀이와탐색의시간을갖는모습을보였다. 10회기라는시간을지나오면서남녀집단원들사이에친밀함이생겼으며, 천일염을이용하여서성탑을쌓고순서를정해서탑을무너뜨리지않기위해서집중력을발휘하는게임을하였다. 연구자가의도한것은아니었지만, 집단원들이자발적인참여모습을보여주어서새로운도전과제에대한목표를세워서작업할수있었던회기가되었다. 또한비닐을깐바닥에천일염을가득부어서작업했기때문에재료에서주는풍부함이집단원들이지지를받았다는긍정적인효과를주었던계기가되었다. 매회기마다활기가넘쳐났던집단원들이 11회기작업에서는차분하며신중한모습을보였다. 염색한천일염을병속에담고꾸미기작업을할때에는모두진지한모습으로땅속에묻게될타임캡슐을생각하며작업을하였다. 마지막으로메모지에 자신에게하고싶은말 을적는시간이있었는데, B가 우리모두의꿈이이루어졌으면좋겠다. 는이야기를하여서집단원모두에게긍정적인피드백을주었고, 모두들박수를치면서서로를격려하였으며공감대를이루게되었다. 살펴본바와같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초기에는몰입경험에대한회상에있어서떠올리기힘들어하는모습과컴퓨터게임에중독되어있는경향이많이관찰되었다. 몰입의방해요인을찾고스트레스를푸는작업을통해서집단원들간의친밀함이급격히형성되었고, 집단미술치료에활기를불어넣어주었다. 중기에접어들자, 집단원들이프로그램에참여하고자하는의욕도높아졌으며, 자신의삶속에그리고학업속에새로운목표를세워몰입하고자하는의지가생겨나게되었다. 종결에서는집단원들이지금까지의과정을되돌아보면서자신의의지와마음을타임캡슐에담는작업을통해서진지하게행위와의식을통합해보는계기를만들었다. 집단원들이상호지지적인태도와공감을통한긍정적인자기수용과피드백을주고받으면서실패가아닌희망적인메시지를갖게되었다. 그러므로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를통해서집단원들이학습에대한계획을세우고그것을실천하려는의욕과더불어서자기자신을통제하며도전하고자하는의식을느꼈고변화된모습속에서자신감이생겨났다. 따라서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향상에긍정적인효과를미친것을볼수있었다.

44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Ⅳ. 논의및결론 본연구는몰입을활용한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를알아보고자하였으며, 연구결과를중심으로다음과같이논의하고자한다. 첫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에효과가있는지를검증한결과실험집단의전체학습동기는사전점수 (M=62.33) 보다사후점수 (M=81.50) 가 19.17 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반면통제집단인경우사전점수 48.33 점, 사후점수 57.67 점으로나타나학습동기가 9.34점향상된것으로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하위요인별로살펴보면, 실험집단의경우본질동기와비본질동기의점수는상승하기는했지만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가나타나지는않았다. 그렇지만수업동기와계속동기는점수가향상되었음을알수있었으며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계속동기는본질적ㆍ비본질적인동기요인을포함하는것으로학습활동을수행하고자하는의욕적인노력과신념을가리킨다고하였다. 고3이라는입시체제에있는학생들이기때문에학교이외의상황에서도긴장감과학습을유지하고자하는강한신념을가지고있을뿐만아니라, 집단미술치료에서미래의탐색과학업에대한구체적인계획을수립하는과정이촉진제역할이되었던것으로보여진다. 수업동기의향상은수업시간의주의집중정도, 수업내용에대한관심과효과적인공부방법에대한관심을말하는것이다. 학습동기와더불어학습기술이매우부족한학생들이라는것을감안하여서프로그램을만들었고, 마인드맵의작성과두뇌의역할과기억에대한정보를공유하면서효과적인학습방법에대해서기술을익히고, 학습현장에서직접적인활용과실천을할수있도록유도했던작업이수업동기에긍정적인효과를가져오게된것으로생각된다. 이러한연구결과는초등학교 2, 3학년아동의학습동기가향상되었다고보고한이경숙 (2005) 의연구와집단미술치료가중학생의학습동기향상에영향을미쳤다고보고한김정심 (2008) 의연구결과와도일부일치하며, 집단미술치료가학습부진아의자기존중감과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를연구한김말분, 김효숙, 백양희 (2005) 의연구와도관계가있다. 즉,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향상에효과가있었다. 집단미술치료에참가한실험집단의전체학습동기점수가통계적으로유의미하지는않았지만상승하였고, 하위요인인계속동기와수업동기에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통하여서집단원들이적극적이고능동적인행동의변화를시도하면서학습에대한새로운자세와각오를다질수있는계기를제공하였다. 둘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에효과가있는지를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43 검증한결과실험집단의전체학업적자기효능감은사전점수 (M=79.67) 보다사후점수 (M= 104.33) 가 24.66 점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였다. 따라서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향상에효과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반면통제집단인경우사전점수 78.33 점, 사후점수 81.33 점으로나타나 3.00점약간향상된것으로나타났지만통계적으로유의미한차이를보이지는않았다. 하위요인별로살펴보면, 실험집단의경우과제난이도선호와자기조절효능감은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향상된것으로나타났고, 자신감영역은점수가상승했지만유의미한차이를나타내지는않았다. 이는실험집단원들이어린시절부터지지받지못하는열악한환경속에서자신의능력을개발할기회가적었고, 그로인하여자신의능력에대해서회의적이고부정적인생각을많이가지고있었기때문에, 짧은집단미술치료회기동안에프로그램을통해서충분히적극적인자기표현과풍부한성공경험을갖기에는부족함이있었던것으로보여진다. 학업적자기효능감은지식과수행을매개하는원동력이되는데, 대상자들에게는지식의자원이많이부족한이유로학업을수행하고자하는능력의한계점에부딪히게되고, 현실적으로는입시라는부담감속에서스트레스와압박감을배제할수없었던것같다. 류미경 (2008) 의연구에서는실험집단의학업적자기효능감은향상된반면통제집단의학업적자기효능감은저하된것으로나타났으며, 이는고등학교진학후에새로운희망과하고자하는의욕이강하였으나어려워지고더복잡해진교과과정과학습내용, 과다한학습분량, 학습결손의누적이계속되면서상대적으로학생들은학습에대한자신감을잃어가기때문인것으로보고하고있다. 학업적인자기효능감은무엇보다도근본적으로자신의내적인자원에서비롯되는것이기때문에, 자신감영역의점수가유의미하게향상되지는않은것에대해서제한적인해석을하기보다는본연구의경험을바탕으로장기적인집단미술치료를실시하여서긍정적인영향을강화시켜나갈수있으리라고기대를해본다. 이러한연구결과는김정심 (2008) 의집단미술치료가중학생의학업적자기효능감향상에영향을미친다는연구와일치하며, 자기효능감과학업성취도가몰입경험과중요한상관관계를보인다는이태정 (2003) 의연구와맥을같이한다. 그리고이숙정 (2011) 의연구에의하면학습몰입,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간의관계를알아보기위하여상관분석을한결과, 모두정적상관관계를갖고있는것으로나타나서본연구와일치한다. 자기효능감이동기적변인으로서자기결정성, 성취목표지향성, 자율적외재동기가학습몰입과정적상관관계가있다는선행연구들 ( 유은주, 최명숙, 최성열, 2010; 이은주, 2001; Csik zentmihalyi & LeFevre, 1989, 재인용 ) 과도맥락을같이하는것으로볼수있다. 셋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진행에따른단계별변화분석을통해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이향상된것으로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Csikszentmihalyi 의몰입요소에근거하여 9개의하위요인 ( 도전과능력의조화, 행동과

44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의식의통합, 명확한목표, 구체적인피드백, 과제에대한집중, 통제감, 자의식의상실, 시간감각의왜곡, 자기목적적경험 ) 을활용하여대상자에게적합하도록본연구자가개발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단계별변화를살펴보면, 초기 (1~4회기) 에는미술작업에대해서자신감이없고, 학업에대한구체적인계획이나삶속에서몰입했었던경험이전혀드러나지않음을알수있었다. 2회기 이름꾸미기 ( 자기소개하기 ) 작업을할때에는집단원의대부분이경직되어있었으며, 표현에있어서많은어려움을드러냈다. 자신의주관적인생각을표현하기를힘들어하고다른집단원의눈치를보면서따라하는작업을하여서, 소극적이고낮은자존감이관찰되기도하였다. 3회기 미래의성장 ( 꼴라쥬 ) 작업에서는자신의도전에대한탐색과각성을해보는시간이었는데, 집단원들의도전과제나의식이나타나지않으므로학업적인측면에서도무동기적인성향이있다는것을알수있었다. 낮은학습동기로인하여서학습목표가없었으며학습활동을수행해나가는기능이부족해보였고, 생활전반에있어서목표지향성이없이무기력하였다. 중기 (5~11 회기 ) 단계로넘어가면서이러한집단원들에게자신의목표와도전과제를깨닫게하고, 학습에관한몰입을유도하는작업을통하여서집단원들이변화되어가는모습을관찰할수있었다. 6회기에 감정해소 ( 신문지찢기와신문지죽작업 ) 작업을통하여, 집단원들은자신의몰입에방해를하는요인들에대해서생각해보며스트레스를해소하는시간을가지게되었다. 몰입과스트레스를다룬선행연구에서유영달 (2005) 은몰입경험이불안, 우울, 부정적스트레스대처와도부적상관을나타낸다고밝혔고, 송진숙ㆍ이영관 (2008) 은중학생을대상으로생활스트레스와학습몰입과의관계를알아보는연구에서생활스트레스의모든하위변인들이학습몰입과관련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학습몰입에방해가되는요인들을찾아서스트레스를약화시킨다음, 미술치료프로그램안에서자기목적적경험을충족시키는작업을함으로써집단원에게내적인동기를심어주는역할을할수있었다. 7회기에서 자신의미래설계 ( 구체적인계획표 ) 작업을하면서집단원들은자신이개선해야할행동에대해서생각해보고, 구체적인학업계획표를만들었다. 이러한자기목적적인경험이컴퓨터게임중독증을 통제감 으로전환시키며, 금연 을실천하게하고 수업시간에집중하여잠자기않기 등의변화를보이게된것이다. 그로인하여외적목표를수행하는데소비되었던심리에너지를자아를강화하는데쓰이게되었다. 9~10 회기에는 몰입경험 ( 만다라 ) 작업을하면서, 집단원들이고요와집중을체험하는시간을통하여자의식의상실과시간감각의왜곡을경험해보았다. 작품의결과물을보면서몰입의즐거움과성취감을느끼고, 그것과더불어자신감을높이는효과가있었다. 이러한결과는정순애 (2002) 의연구에서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학습동기를분석해본결과치료초기에는자신감이적고, 소극적이었으며학교생활과학업에대해서부정적인감정을갖고있던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45 학생들이치료중기와후기로갈수록자신감이있고, 적극적이고, 학교선생님과학교생활에긍정적이고여유있는감정을나타내게되었다는연구결과를지지한다고할수있다. 이와같이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경험하였던몰입의원리를학습에적용한다면학생들은학습을부담스럽게느끼거나활동으로생각하지않고즐겁게학습에임할수있을것으로보인다. 종결 (12~14 회기 ) 단계에서는집단원들이지금까지의작업을되돌아보고그동안구체적이고명확한목표를세웠던작업들을회상하면서내적동기를강화하며타임캡슐에담아서의식화하는작업을하였다. 이의식화작업을통하여무언가를이루었다는만족감과자기목적적경험을느끼도록하는것이목표였다. 마지막 13회기에는상장만들기작업을통하여서자기자신에게긍정적인피드백을전달하도록하고그결과, 집단원들의자신감과성취감이향상되는것을느낄수있었다. 김동연 (1991) 은미술조형활동을통해서개인의갈등을조정하고, 자기표현과승화작용을통하여자아성장을촉진시킬수있으며, 자발적인조형활동은개인의내적세계와외적세계간의조화를이룰수있도록도와준다고했는데, 이는명확한자기동일시, 자기실현을의미하는것이다 ( 김말분, 김효숙, 백양희, 2005). 본연구의결과를정리해보면,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하위요인인계속동기ㆍ수업동기와전체학업적자기효율감향상에양적분석결과유의미한효과가있음을알수있었다. 질적분석결과는몰입의 9가지하위요인에입각하여명확한목표를세우는작업에있어서집단원들이 파괴적인몰입 에대하여인식하고수용하면서, 행동적인변화 ( 금연, 컴퓨터게임안하기 ) 를실천하게되었다. 그뿐만아니라학교에서의학습태도의변화 ( 수업시간에집중하여참여하기, 노트정리하기, 수업시간에졸지않기 ) 도일어나면서학습에대한목표의식과동기를향상시키는데효과적이었다. 그리고미술치료작업을통하여서자기목적적경험과긍정적인피드백을주면서자신의수행능력에대해서확신을갖게되고자신감을향상시키는데효과적임을나타내고있다. 그러나학업적자기효능감의하위요인인자신감영역이양적분석결과유의미한차이가나타나지않았는데, 이것은연구대상학생들모두가학업성취 30% 미만이므로학업에대한자신감이많이부족한실정이어서단기간의미술치료로는결여된자신감을충분하게북돋우기에는역부족인것으로추측된다. 따라서학습기술에대한보충과자신감과성취감을느낄수있는프로그램을더보강하여서미술치료를실시를한하면본연구에서부족하게나온결과가향상되어질것으로예상된다. 이와같은연구결과는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을향상시키고, 더나아가학생들이자신의삶속에제대로몰입함으로써진정한행복의가치를찾는데도움을줄수있을것이라는것을시사한다. 또한기존선행연구의대부분은교육적인측면이나심리학적인측면에서연구가진행되고있는것으로

44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알고있으나, 본연구에서는몰입감을경험하는데있어서미술이라는매체를접목시켜서기존의연구와차별화된연구가진행되었다는데그의의가있다. 참고문헌 김동연 (1991). 미술을통한심리치료 (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7(2), 60-71. 김말분, 김효숙, 백양희 (2005).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학습부진아의자기존중감과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 미술치료연구, 12(4), 737-761.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자기효능감척도개발및타당화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용래 (2000). 학교학습동기척도와학교적응척도의타당화및두척도변인간의관계분석. 교육연구논총, 17, 3-37. 김정심 (2008). 학습기술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중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김창대 (2002). 몰입이론을적용한진로상담모형. 청소년상담연구, 10(1), 5-30. 김희정 (2012). 교사-학생관계및학습동기와학습몰입간의구조적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류미경 (2008). 학습기술향상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학습동기. 학습효능감및학업성취에미치는영향. 한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손지희 (2009). 몰입경험의교육적가치.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송진숙, 이영관 (2008). 대전지역중학생의여가활동유형과생활스트레스및학습몰입에관한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43-57. 유영달 (2005). 몰입감모델 (flow model) 의심리치료적활용. 한국심리학회지, 17(1), 35-55. 유은주, 최명숙, 최성열 (2010). 청소년이지각한학급풍토. 가정의도전과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학습몰입간의관계. 교육심리연구, 24(3), 707-732. 이경숙 (2005). 집단미술치료가초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이숙정 (2011). 대학생의학습몰입과자기효능감이대학생활적응과학업성취에미치는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이은주 (2001). 몰입에대한학습동기와인지전략의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이창호 (2002). 청소년수월성촉진프로그램기초연구-플로우이론을중심으로.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이태정 (2003). 몰입경험이진로태도성숙및진로결정효능감에미치는영향. 홍익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정순애 (2002). 집단미술치료가초등학교여학생의학습동기에미치는효과. 대구대학교재활과학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몰입을활용한집단미술치료가고등학생의학습동기와학업적자기효능감에미치는효과 44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중일고교생의학습환경및학업태도에관한국제비교조사. http://blog. daum.net/akyang311/7458815.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Chan. J. E. (1999). On Motivating student. In D. Berliner & B. Rosenshine. Talk to teacher. New York: Random House. Csikszentmihalyi, M., & LeFevre, J. (1989). Op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815-822.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e.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44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제 54 권제 3 호 ) <Abstract>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low o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Lim, Ji Hyang ㆍ Ahn, Yun Ji ㆍ Shin, Ji Hy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low,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whereby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herapy on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 sophomores of a high school in D city, Gyeonggi-do; and 6 of them were pla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6 to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4 session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performed, for about 120 minutes each. To study the effect, the befor-and-after result was analyzed using the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Finally, the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observ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and t-test was done. As in the above findings, it was shown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mt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Key Words : group art therapy using flow,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논문접수 : 2015. 07. 31 / 논문심사일 : 2015. 08. 13 / 게재승인 : 2015. 0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