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1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보기 명이 동시에 동전 1개를 던지는 실험을 생각하자. 떨어진 동전이 더이상 움직 이지 않으면, 앞면인지 뒷면인지를 확인하다. 이 시험결과를 어떻게 정리할까? 바닥

Similar documents
생존분석의 추정과 비교 : 보충자료 이용희 December 12, 2018 Contents 1 생존함수와 위험함수 생존함수와 위험함수 예제: 지수분포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statistics

= " (2014), `` ,'' .." " (2011), `` ,'' (.)"

= ``...(2011), , (.)''

(001~006)개념RPM3-2(부속)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함수공간 함수공간, 점열린위상 Definition 0.1. X와 Y 는임의의집합이고 F(X, Y ) 를 X에서 Y 로의모든함수족이라하자. 집합 F(X, Y ) 에위상을정의할때이것을함수공간 (function space) 이라한다. F(X, Y ) 는다음과같이적당한적집합과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문제지 제시문 2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관측된 다른 정보를 분석하여 역으로 미 관측 영역 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가령 주어진 영역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한 끝 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끝 점에 도달하는 최단 경로의 개수를 분석하여 장애물의

FGB-P 학번수학과권혁준 2008 년 5 월 19 일 Lemma 1 p 를 C([0, 1]) 에속하는음수가되지않는함수라하자. 이때 y C 2 (0, 1) C([0, 1]) 가미분방정식 y (t) + p(t)y(t) = 0, t (0, 1), y(0)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0 cm (++x)=0 x= R QR Q =R =Q = cm =Q =-=(cm) =R =x cm (x+) = +(x+) x= x= (cm) =+=0 (cm) =+=8 (cm) + =0+_8= (cm) cm + = + = _= (cm) 7+x= x= +y= y=8,, Q


Microsoft PowerPoint - chap_2_rep.ppt [호환 모드]

<B4EBC7D0BCF6C7D02DBBEFB0A2C7D4BCF62E687770>

2018년 수학성취도 측정시험 모범답안/채점기준/채점소감 (2018학년도 수시모집, 정시모집 및 외국인특별전형 합격자 대상) 2018년 2월 13일, 고사시간 90분 2018년 1번 x3 + x2 + x 3 = x 1 x2 1 lim. [풀이] x3 + x2 + x 3

-주의- 본 교재는 최 상위권을 위한 고난이도 모의고사로 임산부 및 노약자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제 12강 함수수열의 평등수렴

체의원소를계수로가지는다항식환 Theorem 0.1. ( 나눗셈알고리듬 (Division Algorithm)) F 가체일때 F [x] 의두다항식 f(x) = a 0 + a 1 x + + a n x n, a n 0 F 와 g(x) = b 0 + b 1 x + + b m x

와플-4년-2호-본문-15.ps

01

제1장 군 제1절 소개와 예 제2절 이항연산 2.1 보기. 다음은 정수방정식 a + x = b를 푸는 과정이다. (1) 준식에 a를 더하여 ( a) + (a + x) = ( a) + b. (2) 결합법칙을 사용하면 (( a) + a) + x = ( a) + b. (3)

Unknown

연구노트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2005 7

Microsoft PowerPoint Predicates and Quantifiers.ppt

2.1.1 Stochastic Processes: Preliminaries and Definitions 2/32

Probabilistic graphical models: Assignment 3 Seung-Hoon Na June 7, Gibbs sampler for Beta-Binomial Binomial및 beta분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k Bin(n, θ):

untitled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Microsoft PowerPoint - 강의2_재무

2018 년수학임용고시기출풀이 ( 대수학, 해석학, 복소해석, 위상수학, 정수론, 선형대수, 미적분학 ) - 하이어에듀 - 구준모강사 1

완비거리공간 완비거리공간 Definition 0.1. (X, d) 는거리공간일때 X의점렬 < a n > 이모든 ɛ > 0에대해 n o N such that n, m > n o = d(a n, a m ) < ɛ 을만족하면이점렬을코시열 (Cauchy sequence) 이라

TOPOLOGY-WEEK 6 & 7 KI-HEON YUN 1. Quotient space( 상공간 ) X 가위상공간이고 Y 가집합이며 f : X Y 가전사함수일때, X 의위상을사용하여 Y 에위상을정의할수있는방법은? Definition 1.1. X 가위상공간, f : X


마지막 변경일 2018년 5월 7일 ** 이항분포와 정규분포의 관계 ** Geogebra와 수학의 시각화 책의 3.2소절 내용임. 가장 최근 파일은 링크를 누르면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Microsoft PowerPoint - ºÐÆ÷ÃßÁ¤(ÀüÄ¡Çõ).ppt

1 1 장. 함수와극한 1.1 함수를표현하는네가지방법 1.2 수학적모형 : 필수함수의목록 1.3 기존함수로부터새로운함수구하기 1.4 접선문제와속도문제 1.5 함수의극한 1.6 극한법칙을이용한극한계산 1.7 극한의엄밀한정의 1.8 연속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Microsoft PowerPoint - Ch21_NumAnalysis.ppt [\310\243\310\257 \270\360\265\345])

미시경제학을위한기초수학 조남운 March 20, 함수 1.1 함수란무엇인가 여러분이미시경제학을배우면서미분을배우는이유는계산을통해함수의최대값이나최소값을구해야하기때문이다. 최대값이나최소값을구하기위해서는함수의미분을알

100, Jan. 21, 호, Jan. 21, , Jan. 21, 2005

436 8., {(x, y) R 2 : y = x, < x 1} (, 1] φ(t) = (t, t), (, 2] ψ(t) = (t/2, t/2), [1, ) σ(t) = (1/t, 1/t).. ψ φ, σ φ. (φ, I) φ(i) φ : I φ(i). 8.2 I =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레이아웃 1

<4D F736F F F696E74202D2035BBF3C6F2C7FC5FBCF8BCF6B9B0C1FA2E BC8A3C8AF20B8F0B5E55D>

152*22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31. 을전개한식에서 의계수는? 를전개한식이 일 때, 의값은? 을전개했을때, 의계수와상수항의합을구하면? 을전개했을때, 의 계수는? 를전개했을때, 상수항을 구하여라. 37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4-Ç×°ø¿ìÁÖÀ̾߱â¨ç(30-39)

수리 영역 가 형 5. 다음 그림과 같이 크기가 같은 정육면체 개가 한 모서리씩을 공유하 면서 각 면이 평행 또는 수직 관계를 유지한 채로 한 평면 위에 놓여있 다. 그림의 세 꼭짓점 A, B, C에 대한 두 벡터 BA 와 BC 가 이루는 각 의 크기를 h라 할 때,

04 Çмú_±â¼ú±â»ç

ÀÎÅͳÝ-°ø°£µµÇüÇØ

2 A A Cs A C C A A B A B 15 A C 30 A B A C B. 1m 1m A. 1 C.1m P k A B u k GPS GPS GPS GPS 4 2

제 5 장복소수함수적분 5 이므로 z = r(cosθ + i sin θ) = re iθ (5.3) 와같이나타낼수도있는데이표현식을복소수의 극형식 (polar form) 이라부른다. 복소함수의미분은실함수미분의정의와같이 d f(z + z) f(z) f(z) = lim z z

슬라이드 1



제 5강 리만적분

Run 봄 연습 Mar 18 Mar 24, 2018, Week 3 문제 1. 초코바 입력 파일: 출력 파일: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standard input standard output 1 seconds 128 megabytes H W 격자 모양의 초콜릿이 있다.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22EBCF8C8AF28BFACBDC0B9AEC1A6292E687770>

a b c d e f^xh= 2x 2 + ax a f^1+ hh -f^1h lim 6 h 0 h = " A B C D E A J an K O B K b 1O C K 1 1 c 1 0O D K O 0 d K O E Le 1

슬라이드 1

6.6) 7.7) tan 8.8) 자연수 10.10) 부등식 두 의전개식에서 의계수는? ) 사건 에대하여 P P 일때, P 의값은? ( 단, 은 의여사건이다.) 일때, tan 의값은? log log 을만족시키

Microsoft PowerPoint - chap04-연산자.pptx

확률과통계6



#수Ⅱ지도서-4단( )

* pb61۲õðÀÚÀ̳ʸ

기본소득문답2


c λ c /c /c λ λ 578 nm ν /c -4.67/c ν Hz 5 GHz θ θ L ft

모수 θ의 추정량은 추출한 개의 표본값을 어떤 규칙에 의해 처리를 해서 모수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추정량에서 사용되는 규칙은 어떤 표본을 추출했냐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닌 고정된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관심 모수가 모집단의 평균이라고 하겠습니다. 즉 θ

2

exp

Precipitation prediction of numerical analysis for Mg-Al alloys

2014 학년도수학성취도측정시험 (2014 학년도정시모집합격자대상 ) 2014 년 2 월 17 일, 고사시간 90 분 1번부터 11번까지는단답형이고, 12번부터 16번까지는서술형입니다. 답안지는깨끗한글씨로바르게작성하되, 단답형은답만쓰고, 서술형은풀이과정과답을명시하시오.

1 1,.,

Microsoft PowerPoint - SBE univariate5.pptx

Japanese Olympiad in Informatics 05/06 Spring Training Camp/Qualifying Trial Contest Day, March 9 5, 06, Komaba/Yoyogi, Tokyo 단, Answer를 호출 할 때는, 다음의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내지(교사용) 4-6부


¹ÌÀûºÐ-±³°úA(001~007)

미통기-3-06~07(052~071)

Transcription:

장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보기.0. 00명이 동시에 동전 개를 던지는 실험을 생각하자. 떨어진 동전이 더이상 움직 이지 않으면, 앞면인지 뒷면인지를 확인하다. 이 시험결과를 어떻게 정리할까? 바닥에 던져진 00개의 동전 전체의 집합을 Ω 라 하자. 함수 X : Ω {0,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X(c) : 0, c가 앞면, c가 뒷면 이때 X ()은 무엇인가? X (0)는 무엇인가? <풀이> 동전의 상태는 앞면, 아니면 뒷면 가지 이다. 따라서 바닦에 있는 동전을 앞면이 나온 동 전과, 뒷면이 나온 동전으로 분리해서 정리하는 것이 좋다. X () {ω ω는 앞면이 나온 동전 }, X (0) {ω ω는 뒷면이 나온 동전 }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보기.0. 0, 000 명이 동전을 번 던지는 실험을 한다. 던지기가 끝나면 각자는 그 결과를 첫번째 실험, 두번째 실험으로 구분하여 보고한다. 이 시험결과를 어떻게 정리할까? 보고된 결과 전체의 집합을 Ω 라 하자. 함수 X : Ω {0,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i, 에 대해서 Xi (c, c ) : 0 X : Ω {0, }, ci 가 앞면, ci 가 뒷면 이때 X ()은 무엇인가? X (0)는 무엇인가? X : Ω R을 X : X + X 라 할 때 X ()은 무엇인가? X ()는 무엇인가? <풀이> 각자가 던지 동전을 (ω, ω ) 순서쌍으로 정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면 표본공간은 Ω {(ωi, ωi ) i,,, 0, 000}. 여기서 (ωi 은 i-번째 사람이 던지 첫번째 동전의 상태, ωi 는 i-번째 사람이 던진 두번째 동정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Ω 는 동전을 번 던진 결과를 순서쌍으로 모은 것들 의 집합이다. X () {(ω, ζ ) Ω ω }, X (0) {(ω, ζ ) Ω ζ 0}. X () {(ω, ζ ) Ω ω + ζ } 앞면이 딱 번 나온 쌍들의 집합 X () {(ω, ζ ) Ω ω + ζ } 모두 앞면이 나온 쌍들의 집합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3 정의.0. [표본공간(Sample Space)] 어떤 실험의 모든 결과로 이루어진 집합을 표본공간 이라 한다. Ω 를 표본공간이라 하자. 표본공간의 부분집합 A Ω 를 사건(event)라 한다. 사건 A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 P(A)를 대응시키자. 0 P(A) P(Ω ) 서로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는 사건 A, A, A3, 가 주어지면, 즉 i 6 j일 때 Ai A j 0/ 이 되는 사건, P i Ai P(Ai ) i 이 경우 P(A)를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이라 한다. Ω, A, P)를 확률공간이라 한다. 보기.0.3 정상적인 동전을 던질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이 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풀이> 예를 들어 동전 던지기를 00만번 시행햇을 때 앞면이 나온 동전의 갯수가 몇개인 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앞면이 나온 동전의 개수를 #(H)라 두면 #(H), 000, 000 라는 뜻이다. 보기.0.4 정상적인 정육면체 주사위를, 000, 000번 던지는 시험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Ω 라 하자.. Ω 를 어떻게 해석할까?. X : Ω R을 X(d) : d의 윗면 눈의 수 라 정의할 때 {d X(d) }는 무엇인가? X, 4) 는 무엇인가? 3. 이 실험에서 주사위를 던질 때 각각의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같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풀이>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4. Ω 를 드넓은 운동장에 주사위,000,000개거 널부러져 있는것으로 상상하는 것이 충격적 이고 효과적이다.. {d Ω X(d) }는, 000, 000개의 주시위 중에서 눈 가 나온 것들로 이루어진 집합니 다. 물론 이 집합은 X ()로 간단하게 나타낸다. X (, 4) 는 나온 눈의 수가,, 3인 주사위들로 이루어진 집합이다. 3.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를 #(A)로 나타내면 # X () # X () # X (3) # X (4) # X (5) # X (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인 것을 말한다. n이 충분히 크면 # X (d), d,,, 6 n 6 제. 절 간단한 확률공간 보기.. 정상적인 주사위를 500, 000번 던지는 실험결과를 정리한 것을 Ω 라 하자. Ω 를 운동장에 겹치지 않게 놓여있는 500, 000개의 주사위라 생각하면 좋다. 주사위가 펼쳐져 있는 운동장이 얼마나 큰지 계산해보아라. 함수 X :Ω R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X(d) : 주사위 윗 면의 눈의 수. X(Ω )는 무엇인가?. A R에 대해서 # X (A) P(A) : #(Ω ) P(, 0)은 무엇인가? P(X )은 무엇인가? P(X ) + P(X ) + P(X 3) + P(X 4) + P(X 5) + P(X 6)은 무엇인가? 3. FX : R [0,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X (x) : P(X x) 함수 FX 의 그래프를 그려보아라. <풀이>

. 간단한 확률공간 5. X(Ω ) {X(ω) ω Ω } {,, 3, 4, 5, 6}. X (, 0)} {ω Ω X(ω) < 0} 0. / 따라서 P (, 0) 0. # X () P(X ) 500, 000 6 P(X ) + P(X ) + P(X 3) + P(X 4) + P(X 5) + P(X 6) 3. 지금부터 P(X d) 6, d,, 3, 4, 5, 6라 하자. 실제 실험에서는 이렇게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계산을 간편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0, x < 0 6, x <, 6, x < 3, F(x) : P(X x) 63, 3 x < 4, 4 6, 4 x < 5, 5, 5 x < 6, 6, 6 x 정상적인 동전을 던질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이 라는 것은 동전을 충분히 많이 던질 때 P(X ) : #(X ()) #(Ω ) 대략적으로 말하면 동전을, 000, 000 번 던지는 실험을 하면 그 결과는 매번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000,000번 던지는 실험을 00번 하면 95번 정도는 앞면이 499,000서 50,000 사이에 나온다. 지금부터는 개념을 익히기 위해서 정상적인 동전을 던질 때 앞면이 나올 확률과 뒷면이 나올 확률은 로 같다고 하자. 정상적인 주사위를 던질 때 각각의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6 로 같다고 하자. 보기.. [평균] 주사위를 던저 나온 눈 수가 x만원인 게임이 있다. 게임당 참가비를 얼마로 해야 적당한가? <풀이> 게임 참가비는 게임당 상금으로 지불해야 할 평균 금액보다 약가 높게 해야한다. 때문에 게임당 평균 상금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서 아주 많은 실험 을 해다 가정하면, 상금을 X : Ω R로 두면 E[X] : P(X ) + P(X ) + 3 P(X 3) + 4 P(X 4) + 5 P(X 5) + 6 P(X 6) ( + + 3 + 4 + 5 + 6) 6 7

확률공간(Probability Space), 확률변수(Random Variable) 6 따라서 3만 5천원이 평균상금이다. 참가비는 35000원 이상으로 해야 한다. 실제로 카지노의 모든 게임 참가비는 평균값보다 높다. 때문에 계속해서 게임을 하면 필연적으로 털린다. 한 두번 해보고 특히 이겼으면 끝내야 한다. 평균값을 Z E[X] XP(dω) Ω 처럼 적분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보기..3 시험 시작에 n 명이 제출한 휴대전화를 잘 섞어서, 나갈 때 마음대로 나누어 줄 때, 자신의 전화를 받은 사람의 수는 평균 몇명이라 생각되는가? <풀이> 표본공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막막하지만 휴대전화도 마음대로 섞고, 또 사람 도 휴대전화를 받는 순서도 없으니 어떻게 할 지 모르겠지만, 결과는 휴대전화를 모두 배분한 후 자신의 전화를 받은 사람 수를 세는 것이다. 때문에 사람에 미리 번호를 주고, 전화를 받은 후 번호순으로 서면, 번 사람이 자신의 전화를 받았는지, 번 사람이 자신의 전화를 받았는 지,..., n번 사람이 자신의 전화를 받았는지를 조사하면 된다. 따라서 n명을 한 줄로 세운 후 휴대전화를 마음대로 나누어주는 것을 생각하면 충분한 것을 알 수 있다. 표본공간 Ω 는 n개의 휴대전화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 때문에 표본공간의 원소는 n개이다. Xi : Ω R을, i번째 사람이 자신의 휴대전화를 받음 Xi (ω) : 0, i번째 사람이 자신의 휴대전화를 받지 못함 그려면 자신이 휴대전화를 받은 사람의 수는 X : Ω R, X : X + X + + Xn 을 표현된다. 따라서 자신의 휴대전화를 받게되는 평균 사람수는 Z E[X] : XP(dω) ZΩ X p(dω) + + Ω Z Xn P(dω) Ω E[X ] + E[X ] + + E[Xn ]

장 기댓값, 분산 기댓값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 보기를 생각해보자. 보기.0.4 동전을 앞면이 나올 확률이 p, 뒤면이 나올 확률이 q p가 되도록 특수 제작 하자. 이 동전을,000번 던질 때 앞면은 몇 번 나올 것이라 예측되는가? 예측한 값은 얼마나 정확하다고 생각되는가? <풀이> 동전을 000번 던지면 앞면은 0번부터,000번까지 모든 경우가 다 가능하다. 문 제는 누구도 앞면이 0번 나오는 것이 흔한 일이 아니라고 믿는다, 같은 이유로 앞면만,000번 나오는 것도 흔한 일은 아니다. 이 문제를 확률변수의 개념으로 이해하자. 우선 이 특수제작된 동전을,000번 던지 얻어지는 모든 결과로 이루어진 집합 Ω : {(p, p,, p,000 ) pi {0, }, i,,,, 000} 여기서 pi 는 i-번째 던진 동전이 앞면이면, 뒷면이면 0 이다. 참고로 Ω 의 원소의 갯수는 #(Ω ),000. 아주 큰 수이다. 초에 한 세트씩 쉬지 않고 조사한다 해도 약.4 096 년이 걸린다. 다음과 같은,000개의 확률변수를 생각하자. Xi : Ω {0, }, Xi (p, p,, p000 ) pi 그러면 동전을 000번 던지 실험에서 앞면이 나온 갯수는 X : X + X + + X000 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Xi, i,,, 000은 각각 서로 독립인 것이다. 즉 i-번째 던진 동전이 앞면인지 뒷면인지를 아는 것이 j, j 6 i-번째 던진 동진이 앞면인지 뒷면이지를 아는 것에 아무런 의미있는 정보를 주지 못한다. 또한 i-번째 동전의 기댓값은 E[Xi ] 0P[Xi 0] + P[Xi ] 0 ( p) + p p 7

기댓값, 분산 8 X의 평균값은 E[X] E[X + X + + X000 ] E[X ] + E[X ] + + E[X000 ] p+ p+ + p 000p 이 식의 의미는 p 이면 약 500번이 평균값이고, 앞면이 더 잘 나와서 p 34 이면 000 34 750번이 평균값이라는 의미이다. 보기.0.5 동전을 앞면이 나올 확률이 p, 뒤면이 나올 확률이 q p가 되도록 특수 제 작하자. 이 동전을 000번 던질 때 앞면은 평균 000p번 나타난다. 그러면 이 평균값은 값은 얼마나 정확하다고 생각되는가? 왜냐하면 다시 이 동전을 000번 던지는 실험을 할 때에도 처음과 똑 같은 수의 앞면이 나온다 말할 수는 없지 않은가! <풀이> 이문제는 평균값 E[X]를 실제값X와의 차이 X E[X]를 살펴보는 일이다. 여기서 E[X]는 상수 000p인 것에 주의하자. 그런데 평균의 특성상 확률변수 X E[X] : Ω R, (p, p,, pn ) 7 X(p, p,, p000 ) E[X] 의 평균은 항상 0이 되어 쓸모가 없다. 따라서 0이 되지 않도록 해야 되는데 가지 방방이 떠오른다. 절댓값의 평균을 생각하는 방법: E X E[X] 그러나 이 방법을 계산이 불편하다. 제곱을 하는 방법: E[ X E[X] ] 이 방법은 계산이 간편하고 때문에 쓸모가 많다. 이제 E[X]는 상수인 것에 주의하고, (X E[X]) X E[X]X + E[X] 을 이용하면 E[ X E[X] ] E X E[X]X + E[X] E[X ] E[X]E[X] + E[X] E[X ] E[X] 위 식을 말로 표현하면 제곱의 평균에서 평균의 제곱을 빼면 E (X E[X]). 이제 E[X ] E (X + X + + X000 ) 을 계산할 일이 남았다.

기댓값, 분산 9 두 확률변수 X,Y 가 서로 독립이면 E[XY ] E[X]E[Y ] 이 사실의 증명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 당장은 쓰도록 하자. 왜냐하면 독립이라면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 너무도 자연스러워 증명할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제 (X + X + + X000 ) 000 Xi + Xi X j i 이고, Xi Xi 이므로 E[Xi ] E[Xi ] p, i6 j E[Xi X j ] E[Xi ]E[X j ] p 따라서, n 000이라 두고, n E[X ] E Xi +E i Xi X j i6 j n E[Xi ] + E[Xi X j ] i i6 j np + (n n)p 그러므로 E (X E[X]) ] E[X ] E[X] np + (n n)p (np) pn np np( p) q 이 식의 의미는 p 인 동전을 000번 던질 때 평균값과의 차이는 000 5.8은 q 예상해야 된다는 의미이다. p 43 인 동전의 경우는 000 43 4 3.69를 예상해야 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면 p 34 인 동전의 경우가 편차가 약간 작은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까? 정의.0. [분산(Variance)] 확률변수 X : Ω X에 대해서 Var[X] : E (X E[X]) E[X ] E[X] 을 확률변수 X의 분산이라 한다. 이 값이 크면 예측이 힘들다. 생물의 생존기간으로 말하 면 언제 죽을지 모르는 전쟁터 같은 상황? 주식에 큰 돈을 투자했더니 현재 30% 손실이 발생했는데, 원금이 아까워 해지하지도 못하겠는데, 언제 복구될지 모르는 상황?

기댓값, 분산 0 제. 절 독립, 종속 동전을 두 번 던지는 실험을 생각하자. 예를 들어 동전 개을 00만번 던졌다 상상해보자. 실험결과 전체를 Ω 로 나타내면 두 함수를 생각할 수 있다. X,Y : Ω R ω Ω 에 대해서 X(ω) 0, 첫번째 동전이 앞면, 첫번째 동전이 뒷면 Y : Ω R은 두번째 동전의 상태로 결정된다. 그러면 E[X Y ] : Ω R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이다. E[X Y ](ω) : E[X Y Y (ω)] 그러면 E[X Y ]의 함수값은 어떻게 계산할까? E[X Y 0] 0 P[X 0 Y 0] + P[X Y 0] E[X Y ] 0 P[X 0 Y ] + P[X Y ] 따라서 지금 경우는 E[X Y ]는 상수함수 이다. 그런데 E[X] 인 것을 생각하면 두번째 동전이 앞면인지 뒷면이지를 아는 것은 첫번째 돈전이 앞면인지 뒷면이지에 대해서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제 넓은 운동장에 널브러져 있는 동전 00만 쌍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 것을 Ω 로 나타내자. Ω : {(0, 0), (0, ), (, 0), (, )} 정상적인 동전이라면 각각의 경우가 나타날 확률은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P(i, j) c, i, j 0, 여기서 c의 값은 P(0, 0) + P(0, ) + P(, 0) + P(, ) 4c 로부터 c 4. 그러면 확률변수 X,Y : Ω R을 그림으로 그리면

. 독립, 종속 0,0 0, 0,0, 0,0 0, 0,0, 함수 E[X Y ] : Ω R 을그림으로그려보자. 이함수를이해하는효과적인방법은 Ω 를 Y 의값이같은집합으로분해하는일이다. 즉

기댓값, 분산 Ω {(0, 0), (, 0)} {(0, ), (, )} 그러면 E[X Y ] : Ω R은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H0,0L H0,L H,0L H,L 그림을 보면 각각의 집합 {Y 0} : {(0, 0), (, 0)}, {Y } : {(0, ), (, )}에서 E[X Y ]은 X 값의 평균값을 대응시키는 함수인 것을 알 수 있다.

. 독립, 종속 3 동전 개를 00만번 던진 실험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자. Ω {(ωi, ωi ) i,,, 000000} 여기서 ωi 는 i-번째 던기기에서 첫번째 동전의 상태이다. 앞면이면, 뒷면이면 0라 하자. ωi 는 i-번째 던기기에서 두번째 동전의 상태이다. 앞면이면, 뒷면이면 0라 하자. X,Y : Ω R은 다음과 같다. X(ω, ζ ) ω, Y (ω, ζ ) ζ 이제 3개의 함수 X : Ω R, Y : Ω R, Z : Ω R, X(i, j) i Y (i, j) j Z X +Y 함수 Z : Ω R을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H0,0L H0,L 0 H,0L H,L 보기.. Z X +Y 에 대해서. E[X Z]를 구하여라.. E E[X Z] 를 구하여라.

기댓값, 분산 4 <풀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려면 Ω 를 조건 Z에 따라 분해하는 것이 좋다. 즉 Ω 를 함수 Z의 값이 같은 점으로 분해하는 것이다. 그림에서 다음과 같은 분해가 보인다. Ω {(0, 0), (0, ), (, 0), (, )} {(0, 0)} {(0, ), (, 0)} {, }. E[X Z 0] 0 P[X 0 X +Y 0] + P[X X +Y 0] 0 0 + 0 0 E[X Z ] 0 P[X 0 X +Y ] + P[X X +Y ] 0 + E[X Z ] 0 P[X 0 X +Y ] + P[X X +Y ] 0 + 이것으로 부터 E[X Z] : Ω R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0, 0) 7 0 (, 0) 7 (, ) 7 (0, ) 7 이 함수를 그림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하자.

. 독립, 종속 5 0,0 0, 0,0, E[X Z] : Ω R 의그림에서 E[X Z] 는집합 {Z z} 에서 X 값의평균을대응시키는것을볼수있다.. E[X Z] : Ω R 도함수이므로그평균값 E [ E[X Z] ] 가의미가있다. E [ E[X Z] ] E[X Z 0]P[Z 0] + E[X Z]P[Z ] + E[X Z ]P[Z ] 0 P[Z 0] + P[Z ] + P[Z ] 0 4 + + 4 4 + 4

기댓값, 분산 6 보기.. Z X +Y 에 대해서. E[Z X]를 구하여라. E E[Z X] 를 구하여라.. Var E[X Z] 를 구하여라. 3. 함수 X E[X Z] : Ω R를 기술하여라. 4. Var[X Z]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Var[X Z] : E X E[X Z] Z 함수 Var[X Z] : Ω R을 기술하여라. <풀이> Z X +Y 로. 3 E[Z X ] 0 P[X +Y 0 X 0] + P[X +Y X ] + P[X +Y X ] E[Z X 0] 0 P[X +Y 0 X 0] + P[X +Y X 0] + P[X +Y X 0] 이 경우도 E[Z X]는 상수함수가 아니다. 첫번째 동전의 상태를 아는 것은 첫번째 동전과 두번째 동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준다. 지금 경우도 E E[Z X] E[Z X 0]P[X 0] + E[Z X ]P[X ] 3 P[X 0] + P[X ] 3 + 위 계산에서 E E[X Z] E[X], E E[Z X] E[Z] 가 되는데, 이것은 우연이 아니고, 모든 경우에 E E[X Y ] E[X] 가 성립한다.. 함수 E[X Z] : Ω R의 분산(variance)을 계산하기 위하여 F E[X Z]라 두자. 표현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앞의 계산에서 F E[X Z]는 0,, 값을 갖는 함수이고

. 독립, 종속 7 E[F ] 0 P[F 0] + ( ) P[F ] + P[F ] 0 P[Z 0] + ( ) P[Z ] + P[Z ] 0 + 4 + 4 8 + 4 3 8 따라서 Var[F] : Var[E[X Z]] E[F ] E[F] 3 8 (E[ E[X Z] ] ) 3 8 4 8 3. 앞에서함수 E[X Z] : Ω R 은계산했다. E[X Z] 는다음과같은함수이다. Z 0인점. (0,0) 0 Z 인점. (,0),(0,) Z 인점. (,) X : Ω R 은다음과같은함수이다. (0,0) 0,(0,) 0,(,0) 0,(,) 따라서 X E[X Z] 는다음과같은함수이다. (0,0) 0 0 0 (0,) 0 (,0) (,) 0 함수 X E[X Z] : Ω R 을그림으로그리면다음과같다.

기댓값, 분산 8 H0,0L H0,L 0 - H,0L H,L 4. Var[X Z] : Ω R은 정보 Z가 주어졌을 때 X와 E[X Z]의 차의 제곱을 평균한 것이다. 이런 의미로 Var[X Z] : E (X E[X Z]) Z 앞에서 함수 X E[X Z]를 계산했기 때문에 Var[X Z]를 계산하기가 편리하다. Z 0일 때. 이 경우는 한 점 (0, 0) 뿐이다. 따라서 여기에 해당하는 항은 (X E[X Z]) P[Z 0] (0 0) 0 Z 일 때. 이 경우는 두 점 (0, ), (, 0)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 대응하는 항은 (X E[X Z]) P[Z ] (0 ) P[X 0 Z ] + ( ) P[X Z ] + 4 4 4 Z 일 때. 여기에 해당하는 점은 (, ) 뿐이다. 따라서 (X E[X Z]) P[Z ] (0 ) 0 + ( ) 0 이것으로 부터 Var[X Z] : Ω R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 독립, 종속 9 (0,0) 0 (0,) 4 (,0) 4 (,) 0 함수 Var[X Z] : Ω R 을그림으로표현하면다음과같다. Var 0,0 0, 0,0 4,

장3 이자(interest) 제 3. 절 이자(interest) 돈을 대출받거나 대출하는 기간의 기본 단위는 년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돈 M을 년간 빌렸다면, 년 후에 원금 M에 일정한 금액 I를 더한 M + I를 갚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때 i : MI 을 이자율이라 하고 보통 00i%로 주어진다. A P + Pi ( + i)p 보기 3.. 000을 통장에 저축했다. 년 뒤에 통장의 금액은 050이 되었다. 원금(principal)은 얼마인가? 얻은 이자(interest)는 얼마인가? 연이율(annual interest rate)는 얼마인가? 정의 3.. [년복리(Annual Compound Interest)] 원금 P를 연 이율 00i%로 t년 맡길 때, 원금과 이자의 합(amount value)는 At P( + i)t 보기 3.. 5000은 5년 맡겼더니 7000이 되었다. 이자를 년단위로 계산했다면 이자율은 얼마인가? 이자를 월단위로 계산했다면 이자율은 얼마인가?

3 이자(interest) 보기 3..3 신형 휴대전화를 구입하는데 600000원 이자율 3%로 년동안 매월 균등상환하 기로 했다. 할부금을 월말에 한번씩 번에 갚기로 했다면 할부금을 얼마인가? 대리점에서 600000은 3%는 8000이므로 원금과 이자의 합은600000 + 8000 68000. 따라서 매월 68000 5500을 년에 갚을 것을 권해서 받아들였다면 잘한일인가? 보기 3..4 어떤 계정의 시간에 따른 원금과 이자의 합이 A(t) αt + 0β 로 주어졌다. t 0 일 때 이 계정에 X를 투자했더니 t 4일 때 500이 되었고, t 0일 때 000이 되었다. X는 얼마인가? 보기 3..5 55세의 여성이 억을 넣으면 넣는 순간부터 매년 그 날짜에 36만을 주는 영구 연금(perpetuity)있다. 5년 후 부터 받기로 하면 매년 748만원을 받을 수도 있다. 이자율이 년 %라 하면 이 영구연금의 현재가격 억을 적절한가? 이자율이 년 3%라 하면 이 영구연금의 현재가격 억을 적절한가? 55세 여성이 이 영구연금을 산후 45년 후(00세)까지 살았다. 이 연금 잘 샀는가? 제 3. 절 Accumulation Function and Amount Function 최초의 투자금을 A(0)로 나타내고, 이 투자금이 t년 자란 금액을 A(t)로 나타내자. 함수 A(t)를 amount function이라 한다. Amount function의 최초의 투자금 A(0)에 대한 비율을 accumulation function이라 한다. 즉 A(t) a(t) : A(0) 특히 모든 경우에, a(0) 인 것에 주의하자. 보기 3.. a(t) α(.)t + βt 인 상품이 있다. 이 상품에 t 0에 00을 투자하면 t 3일 때 70으로 자란다. t 일 때 00을 투자했다면, t 에 얼마로 자라는가? <풀이> 주어지지 않은 값 α, β 가 있는 것에 주의하자.

3. Accumulation Function and Amount Function 3 주어진 조건과 A(3) A(0)a(3), A(0) A(0)a(0) 로부터 70 00a(3), a(0) 따라서 α, 70 00 (.)3 + β 3 이고 β.7 (.)3 0.04 9 이것으로 a(t) (.)t + 0.04t. 다음으로 t 일 때 00이 t 일 때 얼마로 자라는지는 다음과 같이 알아낸다. 중요한 점은 t 에 00을 투자한 것은 t 0일 때 X를 투자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 A() 00 A(0)a() Xa() A() A(0)a() Xa() 모르는 X를 구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A() A() Xa() a() A() 00 Xa() a() 따라서 t 일 때 자라난 투자금은 A() 00 a() (.) + 0.04 00 79.5 a() (.) + 0.04 3.. a(t) αt + β 이다. 이 상품에 t 0에 00을 투자하면 t 3에 7로 자란다. t 5에 투자한 500은 t 0일 때 얼마로 자라는가??? 500 3.. a(t) αt + 0β 인 상품이 있다. 이 상품에 t 0에 X를 투자하면 t 0에, 000으로 자라고, t 0에는, 000으로 자란다. α, β, X는 얼마인가??? α 00, β 0, X,000 3 666.67 보기 3.. 연이율.5%로 계산할 때 지금으로부터 X년 후에 받게되는 4,000의 현재가 (present value)는 38.99이다. X는 얼마인가? <풀이> r 0.05라 할 때 구하는 값 X는 (38.99)( + r)x 4, 000

3 이자(interest) 4 따라서 ( + r)x 4,000 38.99.84. 그러므로 XLog ( + r) Log (.84) 따라서X Log (.84) Log (+0.05) 7.999. X 8. 보기 3..3 이자율은 r 3.6%이다. 년 뒤에,000을 갚을 것이 있고, 3년 뒤에 3,000을 갚을 것이 있다. 지금 X를 넣어 예정된 금액을 모두 갚으려 한다. X는 얼마인가? <풀이>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 X ( + r), 000 X ( + r)3 3, 000 그러므로 지금 넣어둬야 할 금액 X는 X X + X, 000 3, 000 + 3, 663.5 +r ( + r)3 보기 3..4 500을 지금 투자하면 30년 후에 4,000으로 자라는 상품이 있다. 이 상품의 이자율 로 계산할 때 0년 후에 받는 0,000의 현재가격은 얼마인가? <풀이> 이자율 r을 알아내야 한다. 조건에서 4, 000 500( + r)30 따라서 구하려는 현재가격은 0, 000 500 3 3 0, 000 0, 000, 500. 0 30 ( + r) ( + r) ) 4, 000 보기 3..5 년이율 3.5%인 상품 A와 년이율 3.75%인 상품 B가 있다. 000년 월 일 상품 A 에 있는 돈이 상품 B에 있는 돈의 배가 되었는데, 그 이후 두 상품에 더이상 추가 투자를 하지 않았다. 05년 월 일에 두 상품에 있는 돈의 합은 00,000. 그렇다면 000년 월 일에 상품 B이 있었던 돈은 얼마인가?

3. Accumulation Function and Amount Function 5 <풀이> 복리(compounding)의 장점은 계산이 단순한 것이다. 즉 이자율이 r이라면 지금현 재 S가 있다면 년 후에는 S( + r)이 되는 것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투자기간은 5년이다. 따라서 X( + 0.0375)5 + X( + 0.035)5 00, 000 따라서 X 00, 000 00, 000 9, 645.9.03755 +.0355 5.08778 3.3. 년이율은 r이다. 다음 세 값이 같다: 6년 후에 받는 0,000의 현재가격 t년 후에 받는 6,000의 현재가격과, t년 후에 받는 56,000의 현재가격의 합 지금 현재의 5,000 ()이자율 r과 () t (3) t + 3년 후에 받느 8,000의 현재가격?? () r.5% () t (3) 44. 3.4. 5년 후에 자동차를 사려 한다. 사려는 자동차 값은 0,000 이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은 년 % 이다. () 인플레이션에 따른 5년 후의 자동차 가격은 얼마인가? () 다음 달 일부터 5년동 안 매월 얼마씩 투자해야 0,000을 모을 수 있을까? (투자상품의 이율은 연 3.5%라 계산하자.)?? (),08.6 ().37 보기 3..6 신형 휴대전화를 600을 3년간 대출받아 구입하려한다. 이자율은 3.7% 이다. 두가 지 선택이 있다. 대리점에서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600의 3년간 이자는 600 ( + 0.037)3 669.095이므로 매년 669.095 3.03를 갚는다. 3. 600의 3년간 이자는 600 (+0.037)3 669.095이고, 기간은 3 36개월이므로, 매월 669.095 3 8.586를 갚는다. 각각의 경우 고객이 지불하는 실제이자는 얼마인가? <풀이>. 매년 3.03를 3년간 낸다면 3.03( + 0.037) + 3.03( + 0.037) + 3.03 694.58 따라서 고객이 지불하는 실제이자율 i는 600( + i)3 694.58 로부터 i 4.98%

3 이자(interest) 6. 매월 8.586을 36개월 동안 갚는다면, 총액은 35 8.586 ( + 0.037)k 706.494 k0 따라서 고객이 지불하는 실제이자율 i는 600( + i 36 ) 706.494 로부터 i 5.46% 3.5. 이자율은 r이다. 다음 두 경우의 현재가격은 X로 같다. 지금 현재 을 갚고, 년 뒤에 을 갚는다 년 뒤에 44를 갚고, 3년 뒤에 44을 갚는다. () 이자율 r을 구하여라. () X를 구하여라.?? () r 9.09% () X 3.97 보기 3..7 이자율은 r이다. 년 후부터 매년 00씩 n년 동안 받게 되는연금의 현재가격은 4,000. 년 후부터 매년 00씩 3n년 동안 받게되는 연금의 현재가격은 7,000 () r은 무엇인가? () 년후부터 n년 동안 매년 00씩 받게 되는 연금의 미래가격(futuer value)은 얼마인가? <풀이> 주어진 조건에서 ( 00 nk ( + r) k 4, 000 k 7, 000 00 3n k ( + r) 구하려는 것은 매년 00씩 n년가 받게 되는 연금의 미래가격(future value)이다. 따라서 n 을 구해야 한다. 3n 7, 000 00 ( + r) k k 00 s s3n+, s s +r n 4, 000 00 ( + r) k k 00 s sn+, s s +r

3.3 편리한 기호 7 따라서 s3n 7 s s3n+ n+ 4 s s sn 위 식에서 sn t라 두면 3 7t + 4t 3 (t )(t )(t + 3) 그러므로 조건에 맞는 것은 0.5 그런데 n년 동안 받은 연금을 연이율 r로 투자하면 총액은 sn n X : 00 ( + r)k 00 k0 이 값을 직접 계산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s 7000s 3n 00 s( sn ) ( + r)n 00 ( + r) s +r 로 3n 해서, s k k0 n 00 s k + 00 k0 n 4000s 3n s k kn n +s X 따라서 X 7, 000s n 4, 000 7, 000 4 4, 000, 400 제 3.3 절 편리한 기호 위 보기의 풀이는 내용에 비해서 복잡하게 보인다. 본질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다음 기호를 생각하자. 우선 이자율 r는 서로 아는 것으로 하고, 기호에 쓰지 말자. 그러면 지금부터 년 뒤부터 n년간 매년 를 이자율 r로 투자하면, n 번째 투자금을 입금하는 순간 투자계정의 돈은 Sn ( + r)n + ( + r)n + + ( + r) + + ( + r) + ( + r) + + ( + r)n + + + + r ( + r) ( + r)n ( + r)n An, ν +r ( + r)n 여기서 Sn : + ( + r) + ( + r) + + ( + r)n An : ν + ν + + ν n, ν +r ( + r)n r

3 이자(interest) 8 이고 Sn 과 An 사이의 관계는 Sn ( + r)n An, An ν n Sn, ν +r 특히 임의의 m n에 대해서 Sn + ( + r) + + ( + r)n + ( + r) + + ( + r)m + ( + r)m + ( + r)m+ + + ( + r)n Sm + ( + r)m Sn m 따라서 Sn Sm + ( + r)m Sn m, m n 같은 생각으로 An ν + ν + ν m + ν m+ + + ν n ν + ν + + ν m + ν m+ + + ν n Am + ν m ν + ν + + ν n m Am + ν m An m 정리하면 Sn ν n An Sn Sm + ( + r)m Sn m, m An Am + ν An m, m n m n 이제 기호 Sn, An 을 사용해서 보기를 다시 풀어보자. An 은 현재 가격(present value)이고, Sn 의 미래가격(futuer value)이다. 보기 3.3. 이자율은 r이다. 년 후부터 매년 00씩 n년 동안 받게 되는연금의 현재가격은 4,000. 년 후부터 매년 00씩 3n년 동안 받게되는 연금의 현재가격은 7,000 () r은 무엇인가? () 년후부터 n년 동안 매년 00씩 받게 되는 연금의 미래가격(futuer value)은 얼마인가? <풀이> 주어진 조건은 4, 000 00An 7, 000 00A3n 구하려는 것은

3.3 편리한 기호 9 X : 00Sn 00ν n An 그런데 A3n An + ν n An An + ν n An 이므로 00A3n 00An + ν n 00An 00An + ν n 00An 에서 모르는 값 00ν n An 을 소거하 면 X 00ν n An 7, 000ν 3n 4, 000ν 3n 7, 000ν n 4, 000 따라서 3 7t 4t 3, t ν n 이식을 풀면 t ν n 이고, 따라서 X 7, 000 4, 000, 400 4

장4 Force of Motality 제 4. 절 생명보험에서 중요한 수학적 개념 생명보험회사 입장에서 본 표본공간은 무엇인가? 당연히 자기 회사 생명보험에 가입한 고객 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개념 이해를 위해서 우리나라에 사는 사람 전체라 하자. Ω {x x는 대한민국 국민} 그러나 중요한 점은 고객의 생존, 죽음이고, 이것은 객의 나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 문에, 사람을 태어난 나이로 분류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것을 졸업과 입학년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대학생들을 학번으로 분류하는 것과 같은 생각이다. 태어난 후 나이가 t인 사람을 간단하게 (t)로 나타내면 (t) {p p는 나이가 t } 이렇게 사람을 나이에 따라 분류하면 Ω [ (t) t 0 그런데 표현의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서 Ωx : (x) 즉 Ωx 는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집합이다. 정의로부터 당연히 s 6 t이면 (s) (t) 0. / 나이가 x인 사람은 나이가 x보다 많은 어떤 때에 죽는다. 이 생존기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확률변수 T 로 나타내자. 즉 T : Ω [0, ) R 나이가 x인 사람의 생존기간에 특별한 관심이 있으면 함수 T : Ω [0, )를 나이가 x인 사람 들의 집합을 제한한 함수 Tx : T Ωx : Ωx [0, ), Tx (p) : T (p), p Ωx 즉 Tx 는 나이가 x인 사람의 생존기간이다. 3

3 4 Force of Motality 보기 4.. x + Tx 의 의미는 무엇인가? <풀이> x + Tx 는 함수 x + Tx : Ωx [0, ) 이고, 나이가 x인 사람 p Ωx 에서의 함수값은 x + Tx (p) x + Tx (p) 보험회사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T 의 함수값의 분포이다. 구체적으로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집합 Ωx 에 T 을 제한할 때의 함수값 {Tx (p) p Ωx } 의 분포이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서 새로운 함수 Fx 를 정의하자. 정의 4..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 Fx : [0, ) [0, ] Fx (t) : P Tx t 여기서 {Tx t} : {p Ωx Tx (p) t} Ωx 이고 P[Tx t] : #{Tx t} #(Ωx ) 즉 {Tx t}는 나이가 x인 사람 중 생존기간이 t 이내인 사람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그러므 로 P[Tx t]은 나이가 x인 사람들 중 나이가 x + t 이내에 죽을 확률이다. 따라서 Fx 는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생존분포( lifetime distribution)라 이해하면 좋다. 그러면 나이가 (x)이 사람이 적어도 t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무엇인가? 이것은 P[Tx > t] 이다. 왜냐하면 Ωx {p Tx (p) t} {q Ω Tx (q) > t} {Tx t} {Tx > t}, {Tx t} {Tx > t} 0/

4. 생명보험에서 중요한 수학적 개념 33 이므로 #(Ω ) #{Tx t} #{Tx > t} + P[Tx t] + P[Tx > t] Fx (t) + P[Tx > t] #(Ω ) #(Ω ) #(Ω ) 정의 4.. [생존함수(survival function)] 나이가 x인 사람이 t인 이상 생존할 확률을 Sx (t)로 나타내자. 그러면 Sx (t) : P[Tx > t], t 0 따라서 Sx (t) Fx (t) 이 관계를 간단히 Sx Fx, 또는 Fx Sx, 또는 Sx + Fx 로 상황에 맞게 표현한다. 즉 Sx (t)는 나이가 x이 사람이 적어도 t년 생존할 확률을 나타낸다. 이제 어떤 사람 p의 생애를 생각하자. 태어나서 나이가 x가 되기 전에 죽을지도 모른다. 태어난 순간에 생존기간을 계산하는 것은 T0 의 역할이다. 따라서 T0 (p) < x 로 표현할 수 있다. 이제 이 사람 p가 나이가 x가 될 때까지 살았다면 T0 (p) > x. 나이가 x가 된 p의 남은 수명은 Tx (p)로 표현된다. 나이가 x가 된 이 사람 p가 죽는 아니는 x + Tx (p) p가 타어나서 나이가 x가 되고, 이 사람 p가 나이가 x가 된 후, t년 이내에 죽는 것은 p Ωx, Tx (p) t 이고 동시에 T0 (p) x + t 이런 점에서 다음 두 사건 {Tx t}, {T0 x + t} {T0 > x} 는 서로 동등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34 4 Force of Motality P[Tx t] P[T0 x + t T0 > x] P {T0 x + t} {T0 > x} : P[T0 > x] 두 사건 A, B가 일어났을 때 어느 것이 다른 것에 아무런 정보도 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 만 어느 것이 많은 정보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극단 적인 예로 지난 주 내가 산 번호는,, 3,4,5,6 ( 사건 A), 아직 결과를 확인하지 못했다. 잊고 있었는데, 길을 가다 지난주 당첨 번호가 연속인 번호( 사건 B )였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하면 수학 필요없고 본능적으로 뭔가 느낌이 온다. 정의 4..3 [조건에 따른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두 사건 A, B를 생각하자.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P[A B] 로 표시한다. 따라서 P[A B]의 값은 P[A B] : P[A B] P[B] 만일 P[A B] P[A] 라면 사건 A가 사건 B에 대해서 아무런 정보를 주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 두 사건 A, B는 서로 독립(independent)이라 한다. 보기 4.. 지난주 로또 복권에서 내가 산 번호는,, 3,4,5,6 ( 사건 A), 아직 결과를 확인하지 못했다. 잊고 있었는데, 길을 가다 자난 주 당첨번호가 연속인 번호( 사건 B )였다라 는 말을 들었다고 하면 P[A B]? P[B A]?

4. 생존분포 P[Tx t]와 생존함수 P[Tx > t] 제 4. 절 35 생존분포 P[Tx t]와 생존함수 P[Tx > t] 생존분포함수 Fx (t) : P[Tx t]의 성질을 알아보자. 정의로부터 P[Tx t] P[T0 x + t T0 > x] P {T0 t + x} {T0 > x} P[T0 > x] P[x < T0 x + t] P[T0 > x] 따라서 Fx (t) P[Tx t] P[x < T0 x + t] P[T0 > x] F0 (x + t) F0 (x) S0 (x) F0 (x + t) + F0 (x) S0 (x) S0 (x) S0 (x + t) S0 (x) S0 (x + t) S0 (x) 특히 Sx (t) Fx (t)인 것에 주의하면 Sx (t) S0 (x + t) S0 (x) 위 성질은 생존함수의 대단히 중요한 성질이므로 다음 두 형태로 기억하자. Sx (t) S0 (x + t), S0 (x) S0 (x + t) S0 (x)sx (t), Fx (t) + Sx (t), t 0

36 4 Force of Motality 두 사건 A, B가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은 A B로 표현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표현을 간단하 게 하기 위하여 정의 4..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 두 사건 A, B가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 A B를 간단히 AB 로 표현한다. 그러면 P[B A] P[AB] P[AB] P[B]P[A B] P[A]P[B A] P[A] 보기 4.. 식 S0 (x + t) S0 (x)sx (t)을 말로 표현해보자. <풀이> S0 (x + t)는 지금 태어난 사람이 x + t년 생존할 확률이다. 만일 다음 세 사건 A 태어나서 x년 이상 생존한다 B 태어나 나이가 x가 된 수 t년 더 생존한다 C 태어나 x + t년 이상 생존하다 를 생각하면 C A B : AB이다. P[A] S0 (x), P[B] Sx (t), P[C] S0 (x + t) 따라서 식 S0 (x + t) S0 (x)sx (t)은 S0 (x + t) P[C] P[AB] P[AB] P[A] P[B A] P[A] Sx (t)s0 (x) P[A]

4. 생존분포 P[Tx t]와 생존함수 P[Tx > t] 37 보기 4.. 다음 식을 말해보자.. S0 (x + t + u) S0 (x)sx (t + u). S0 (x + t + u) S0 (x + t)sx+t (u) 3. S0 (x)sx (t + u) S0 (x)sx (t)sx+t (u) <풀이>. 태어나서 x + t + u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태어나서 x년 이상 생존할 확률과, 태어나 x 년이 되었을 때, t년 이상 더 생존할 확률의 곱이다.. 태어나서 x + t + u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태어나서 x + t년 이상 생존할 확률과, 태어나서 x + t 년이 되었을 때, u 이상 더 생존할 확률의 곱이다. 3. 태어나서 x + t + u년 이상 생존할 확률은, 태어나서 x년 이상 생존할 확률과, 태어나 x 년이 되었을 때, t년 이상 더 생존할 확률과, 태어나 x +t년이 되었을 때, u 이상 더 생존할 확률을 곱이다. 정리 4.. Sx (t + u) Sx (t)sx+t (u) 증명 S0 (x + t + u) S0 (x) S0 (x)sx (t)sx+t (u) S0 (x) Sx (t + u) Sx (t)sx+t (u)

38 4 Force of Motality 보기 4..3 다음을 말로 표현해보자.. Sx (0). limt Sx (t) 0 3. t < t 이면 Sx (t ) Sx (t ) 이제 Sx 는 수학적으로 다루기 편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자. 예를 들어 Sx 는 미분가능하다 limt tsx (t) 0 limt t Sx (t) 0 제 4.3 절 사망률 태어나서 x년에 죽을 확률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 사망율을 계산하는 것은 실제 인구 통계를 보고 계산해야 한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x년에 죽을 확률은 h > 0가 아주 작을 때 P[Tx h] h 로 봐도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x년에 죽을 확률을 µx 라 두면 P[T0 x + h T0 > x] h 0 h P[x < T0 x + h] lim h 0 h P[x0 > x] P[T0 x + h] P[T0 x] lim h 0 h ( P[T0 x]) P[T0 x + h] + h P[T0 x] lim h 0 h S0 (x) S0 (x) S0 (x + h) lim h 0 h S0 (x) S0 (x + h) S0 (x) lim S0 (x) h 0 h 0 S (x) 0 S0 (x) 0 log S0 (x) µx : lim 위 식에서 log0 (x) x 인 것을 썼다. 합성함수 미분법에 따라 φ (x) log f (x) 라면

4.3 사망률 39 f 0 (x) f (x) φ 0 (x) 인 것에 주의하자. 따라서 µx 0 S00 (x) log S0 (x) S0 (x) (*) 의 의미는 log S0 (x)의 도함수가 µx 인 것을 말한다. 이제 식 (*)를 0부터 x까지 적분하면 Z tx µt dt t0 Z tx t0 0 log S0 (t) dt 따라서 Z tx t0 h µt dt log S0 (t) x t0 log S0 (x) log S0 (0) 그런데 S0 (x)의 의미는 무엇인가? S0 (x) F0 (x) P[T0 x] 이므로 S0 (x)의 의미는 어떤 사람이 태어나서 x년 생존할 확률이다. 따라서 의미있는 것은 살아 태어난 사람이므로( 즉 사산한 경우는 생각하지 않으므로) S0 (0) 이다. 정리하면 log S0 (x) Z x t0 µt dt 또는 S0 (x) exp 또한 S0 (t + x) S0 (x)sx (t) 인 것에 주의하며 Sx (t) S0 (x + t) S0 (x) x+t exp( u0 µu du) Rx exp( u0 µu du) R Z x+t exp( ux Z t exp( 0 µu du) µx+u du) Z x t0 µt dt

40 4 Force of Motality 정리 4.3. [사망률(mortality)] 나이 x에 죽는 속도(force of mortality)를 µx 라 두면 µx S00 (x) d log S0 (x) S0 (x) dx 따라서 S0 (x) exp Z x t0 µt dt 생존함수의 성질 S0 (x + t) S0 (x)sx (t)를 이용하면 Sx (t) S0 (x + t) exp S0 (x) Z x u0 µx+u du 여기서 Sx + Fx 인 것에 주의하면 µx S00 (x) F00 (x) F00 (x) F 0 (x) 0 S0 (x) F0 (x) F0 (x) S0 (x) 또한 사망률(force of mortality)는 사망할 확률이 아닌 것에 주의하자. 생존함수 S0 (x)를 이 용하면 당연히 사망률(force of mortality)를 표시화는데 음의부호 가 필요한다. 음의부호를 쓰지않으려면 남은 생명 Tx 의 분포함수 Fx (t) : P[Tx t]를 쓰면 되는데, 위에서 보는 것처럼 µx 의 표현이 아름답지 못하다. 위 식과 같은 µx 의 표현을 기억해두자. 보기 4.3. 연습으로 F0 (x) : P[T0 x] x 6 0 라 하자. F0 (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0 0.8 0.6 0.4 0. 0 50. F0 의 그래프의 모양의 의미를 말해보자.. 사망률(force of mortality ) µx 를 구해보자. 00 50

4.3 사망률 4 3.0.5.0.5.0 0.5 0 그림 4. Force of mortality µ x.0 0.8 0.6 0.4 0. 그림 4. 생존함수 S 0 (x) 0 3.0.5.0.5.0 0.5 그림 4.3 logs 0 (x) 0

4 4 Force of Motality 제 4.4 절 기대수명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집합 Ωx 를 생각하자. 정의 4.4. [확률변수 Tx ] 함수 Tx : Ωx [0, ) 는 나이가 x인 사람의 생존수명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x (p)는 나이가 x인 사람 p Ωx 의 남은 수명을 나타댄다. 이렇게 해석하면 {Tx t} : {p Ωx Tx (p) t} 는 나이가 x인 사람 중에서 기대수명이 t년 이내인 사람들이다. 즉 태어나서 x년 산 사람 중 에서 x + t년 이내에 죽는 사람들의 집합이다. 그런데 Tx 3, 즉 태어나서 x년 산 사람중에서 정확하게 x + 3년에 죽은 사람들을 생각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정확하게 x + 3년 에 죽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나! 이런 이유로 Tx u 와 같은 부등식이 즐겨 사용된다. 그럼에도 이론적인 면에서 임의의 양수 h에 대해서 {t < Tx t + h} 를 생각하고 싶다. 말로하면 태어나서 x년 산 사람 중에서 t와 t + h 사이에 어떤 시점에 죽 는 사람들의 집합이다. 더 중요한 것은 {t < Tx t + h}의 확률 P[t < Tx t + h]을 표현하는 일이다. 정의 4.4.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 F : R R가. F는 증가함수, 즉 x, y, R, x y F(x) F(y). F는 오른쪽에서 연속, 즉 F(x) lim F(x + h) h 0 를 만족시키면 F를 분포함수라 한다. 가장 중요한 분포함수는 확률변수로부터 얻어지는 분포함수이다. 지금 우리의 경우는 확 률변수 Tx : Ωx [0, ) 로부터 얻어지는 함수

4.4 기대수명 43 Fx (t) : P[Tx t] P {p Ωx Tx (p) t} 는 분포함수이다. Fx 의 특징을 보면 t 0이면 Fx (t) 0 t 00이면 Fx (t). 태어나서 00년 이상 사는 사람 없다고 생각되지 않나! 이 분포함수 Fx 를 이용하면 {Tx t + h} {Tx t} {t < Tx t + h} 이고, {Tx t} {t < Tx t + h} 0/ 인 것에 주의하면 P[t < Tx t + h] P[Tx t + h] P[Tx t] Fx (t + h) Fx (t) 그러면 Fx (t + h) Fx (t)를 보면 즉시 떠오르는 생각이 있다. 아주 좋은 경우를 생각하자. 정의 4.4.3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확률변수 X : Ω R에 대응되는 분포함수 FX : R [0, ], FX (t) : P[X t] 를 생각하자. 만일 FX (t) : P[X t] Z t f (x)dx 가 되는 함수 f : R [0, )이 있으면, 이 함수 f 를 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함수라 한다. 사람들은 하나 하나 독립된 삶이 있기 때문에 미분적분을 적용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의 생존기간들은 실수집합의 부분집합이고 더욱 사람 수가 많기 때문에 실수집 합의 어떤 구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론을 풍성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Tx 의 분포함수 Fx 가 확률밀도함수 fx 를 갖는다 하자. 따라서 Z t Fx (t) fx (s)ds

44 4 Force of Motality 정리 4.4.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적분가능한 함수 f : [a, b] R 를 생각하자. 예를 들어 연속함수는 적분가능하다. 연속함수가 아니더라 도 증가함수(감소함수)는 다 적분가능하다. 사실 불연속점들이 유한개이거나 가산인 무한 (countably infinite)이면 적분가능하다. 적분을 이용해서 함수 F : [a, b] R를 Z x f (t)dt F(x) : ta 로 정의하면. F는 연속함수이다.. f 가 연속인 점 c [a, b]에서는 F는 미분가능하고 F 0 (c) f (c) 우리는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생존기간 Tx 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른다. 그러나 통계자료를 해 석하면 fx 가 연속함수라 생각해도 통계자료와 맞지 않는 큰 오류가 없고, 더욱 fx 를 연속이라 생각하는 것이 재료 해석에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기 때문에 fx 가 연속이라 가정하자. 그럼면 d Fx (t) fx (t) dt 특히 P[t < Tx t + h] P[Tx t + h] P[Tx t] Fx (t + h) Fx (t) Fx (t + h) Fx (t) h h fx (t)h 이 식으로부터 fx (t)를 해석하면, fx (t)는 나이가 x인 사람이 x + t년에 사망할 밀도(density)를 나타낸다. fx 는 증가함수 Fx 의 도함수이기 때문에 항상 0과 같거나 크다. 그러나 그 값은 아주 큰 양수 도 될 수 있다.

4.4 기대수명 45 정리 4.4. [기대수명(Expectation of Life)] 나이가 x인 사람들이 기대수명을 아는 것은 중 요하다. 이것을 통계자료를 보고 계산할 일이다. 이론적인 면에서 기대수명을 E[Tx ]로 나 타내면 Z E[Tx ] : Zt0 t0 t fx (t)dt tdfx (t) jhp[t + jh < Tx t + ( j + )h] j0 E[Tx ]는 함수 Tx : Ωx [0, )의 평균값이다. 그 의미는 나이가 x년 사람은 E[Tx ] 년 이내에 죽는다는 말이다. 이런 의미로 E[Tx ]는 나이가 x인 사람의 기대수명이라 이해하면 좋다. Tx : Ω [0, )의 분산(variance)를 계산하기 위하여 E[Tx ]을 계산하여 보자. 이를 위해서 다음 부분적분 공식을 이용하자. G0 (x) g(x)라 두면 Z Z f gdx f dg f G Z Gd f f G Z G f 0 dx 이제 Fx (t) + Sx (t) 인 것에 주의하면 E[Tx ] Z t0 t dfx (t) Z t0 t dsx (t) t Sx (t) Z + Sx (t)dt t0 t0 Z lim t Sx (t) + t t0 tsx (t)dt 사람은 영원히 살지는 않기 때문에 limt t Sx (t) 0라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 따라서 정리 4.4.3 Tx : Ωx [0, )의 분산 Var[Tx ]는 Var[Tx ] E[Tx ] E[Tx ] Z t0 tsx (t)dt Z t0 tdsx (t)

46 4 Force of Motality t 보기 4.4. F0 (t) : P[T0 x] ( 0 ) 6, 0 x 0이라 하자. 물론 t < 0이면 F0 (t) 0 이고, t 0이면 F0 (t) 인 것을 표현이 복잡하니 서로 아는 것으로 하자.. E[T30 ]을 구하여라.. Var[T30 ]을 구하여라. <풀이> fx (t) dtd Fx (t)라 두자. 그러면 E[T30 ]을 계산하려면 f30 (t)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F0 (t)로 부터 Fx (t)를 알 필요가 있다. Fx (t)를 계산해보자. Fx (t) P[Tx t] P[T0 x + t T0 > x] P[x < T0 x + t] P[T0 > x] F0 (x + t) F0 (x) F0 (x) S0 (x) S0 (x + t), S0 (x) S0 (x + t) S0 (x) 따라서 fx (t) : S0 (x + t) d Fx (t) 0, dt S0 (x) Fx (t) + Sx (t) S0 (u) ( 여기서 주의할 점은 관계식 Fx (t) + Sx (t) 로 부터, 실제로는 S0 (u). E[Tx ]., u 0 6 u ( 0 ), 0 < u 0 0, u 0 u )6 0

4.4 기대수명 47 Z 0 E[Tx ] t0 Z 0 t0 tdfx (t) t fx (t)dt 0 ts0 (x + t)dt S0 (x) t0 0 Z 0 x tds0 (x + t) S0 (x) t0 Z 0 x 0 x ts0 (x + t) t0 + S0 (x + t)dt S0 (x) S0 (x) t0 Z 0 S0 (u)du 0+ S0 (x) ux Z 0 u ( ) 6 du S0 (x) ux 0 Z x 0 u u 0( )6 ( ) 6 d( ) 0 0 0 ux x 6 u 7 0 0( ) 6 ( )6 0 7 0 ux 6 (0 x) 7 Z 특별히 E[T30 ] 67 (0 30) 77.49.. Var[Tx ] 우선 Var[Tx ] E[Tx ] E[Tx ] u 6 여기서 E[Tx ]는 이미 계산했기 때문에 E[Tx ]을 계산하자. S0 (u) ( 0 ) 에 주의하면, E[Tx ] Z 0 t0 Z 0 t0 t dfx (t) t fx (t)dt 0 x t S00 (x + t)dt S0 (x) t0 Z 0 (u x) S00 (u)du S0 (x) ux Z 0 (u x) ds0 (u) S0 (x) ux Z 0 0 (u x) S0 (u) ux S0 (u)d(u x) S0 (x) ux Z 0 (u x)s0 (u)du S0 (x) ux Z 0 u (u x)( ) 6 du S0 (x) ux 0 Z u 이 적분을 계산하는 것은 0 때문에 힘들다. 이 복잡한 것을 한 문자로 바꾸자. u v 0

48 4 Force of Motality 라 두면 u 0 0v가 된다. 따라서 Z 0 (u x)( ux u ) 6 du 0 Z u0 (u x)( ux Z 0 0v0 u ) 6 du 0 (0 0v x)v 6 d(0 0v) 0 0vx Z 0 x v 0 0 7 (0 x)v 6 0v 6 d( 0v) Z x 0 7 (0 x)v 6 0v 6 dv v0 6 6 x 7 x 3 0 (0 x) ( ) 6 0 ( )6 7 0 3 0 6 3 x 0 ( ( ) 7 6 0 3 36 (0 x) 6 9 따라서 E[Tx ] 7 (0 x) 9 드디어 Var[Tx ] E[Tx ] E[Tx ] 6 7 36 (0 x) (0 x) (0 x) 9 7 637 특별히 Var[T30 ] 9600 36 (0 30) 457.77 637 637 위 보기처럼 실제 상황가 비슷한 문제는 계산이 복잡하다. 다음과 같은 개념 익히는 문제를 풀어보자. 보기 4.4. F0 (t)가 다음과 같다. F0 (t). E[Tx ]를 구하여라.. Var[Tx ]를 구하여라. <풀이> Fx (t)를 구해야 한다. 0, t 0 4t, 0 t, t

4.4 기대수명 49 Fx (t) P[Tx t] P[T0 x + t T0 > x] P[x < T0 x + t] P[T0 > x] F0 (x + t) F0 (x) F0 (x) S0 (x) S0 (x + t), S0 (x) S0 (x + t) S0 (x) 따라서 fx (t) : Fx (t) + Sx (t) S0 (x + t) d Fx (t) 0 dt S0 (x) 이제 Fx (t) + Sx (t) 으로부터 S0 (t) F0 (t), t 0 4 t, 0 t 0, t 지금 경우는 함수가 간단하니 직접 계산하면 0, t <0 (x+t) fx (t), 0 < t < x, x 4 0, t > x 위 식에서 fx (t)가 0이 아닌 t 값의 범위가 0 < t < 가 아니라 0 < t < x 인 것에 주의하자. 그러면. E[Tx ] Z E[Tx ] tdfx (t) t0 Z x t0 t fx (t)dt 4 x Z x t(x + t)dt t0 (8 x x ) 3( + x). Var[Tx ] Var[Tx ] E[Tx ] E[Tx ]

50 4 Force of Motality 우선 그러므로 Var[T x ] ( x) (6 + x) 6( + x) E[Tx ] t df x (t) t0 4 x x t0 ( x) (6 + x) 6( + x) t (x +t)dt ( (8 x x )) 8 6x + 4x + x 3 3( + x) + 6x

장5 Acturial Notations 어떤 분야는 그 분야의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표현이 있다. 보험 분야도 다르지 않다. 이 절에서는 보험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현을 익혀보자. 정의 5.0.4 [ 기호의 정의] F0 (t) : P[T0 t] : t q0 S0 (t) : F0 (t) P[T0 > t] t p0 따라서 t p0 + t q0 t 가 변수인 것에 주의하자. Fx (t) : P[Tx t] : t qx Sx (t) : P[Tx t] P[Tx > t] : t px 따라서 Fx (t) + Sx (t) 으로부터 t px + t qx 여기서 t가 변수인 것에 주의하자. u t qx : P[u < Tx u + t] 따라서 u t qx P[u < Tx u + t] P[Tx u + t] P[Tx u] Fx (u + t) Fx (u) Fx (u + t) + Fx (u) Sx (u) Sx (u + t) 정리하면 Fx (u + t) Fx (u) u t qx Sx (u) Sx (u + t) 5

5 5 Acturial Notations u t qx 라는 기호를 기억하기 어렵다. 다음 설명을 보자. : 태어나서 t년 이내에 죽을 확률. q를 quit라 생각하자. t가 앞에 있는 것은 예측이기 때문이라 생각하자. t p0 : 태어낸 사람이 t년 이상 살 확률. p는 prosper라 생각하자. t qx : 나이가 x이 사람이 t년 이내에 죽을 확률. 이 사람은 태어나서 x + t년 이내에 죽는 사람들에 속한다. t px : 나이가 x인 사람의 t년 이상 살 확률. 이 사람은 태어나서 x + t년 이상 사는 사람들에 속한다. u t qx : 나이가 x인 사람의 x + u년과 x + u + t년 사이에 죽을 확률 t q0 제 5. 절 Force of Mortality 시간에 따른 위치의 변화를 속도(velocity)라 한다. 시간에 따를 거리의 변화를 속력(speed)라 한다. 사람이 죽는 것도 시간에 따른 변화이므로 나이가 x가 됐을 때 죽는 속도를 아는 것은 관심 갖을 일이다. 죽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므로 속도란 말 대신에 Force of Mortality란 표현을 쓴다. 정의 5.. [ Force of Mortality] 태어나 나이가 x인 사람들의 t년에 죽는 속도(Force of mortality)는 µx (t) : lim t+h qx t qx t px h 0 h 위 식에서 분모에 t px P[Tx > t] 가 있는 것은 t년에 죽는 속도를 계산하려면 최소한 t년 이상 사는 사람을 대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태어난 사람들이 나이 x에 죽는 속도는 x+h q0 x q0 h 0 h x p0 P[T0 x + h] P[T0 x] lim h x p0 h 0 F0 (x + h) F0 (x) lim h 0 p h x 0 f0 (x) d, f0 (x) : F0 (x) S0 (x) dx µ0 (x) : lim 정리하면 µ0 (x) 그런데 f0 (x), S0 (x) f0 (x) : d F0 (x) dx

5. Force of Mortality 53 S0 (x) + F0 (x) 인 것을 이용해서, 양변을 x로 미분하면 d d d S0 (x) + F0 (x) S0 (x) + f0 (x) 0 dx dx dx 따라서 µ0 (x) S0 (x) d f0 (x) 0 log S0 (x) S0 (x) S0 (x) dx 여기서 S0 (0) 인 것에 주의하며 S0 (x) exp Z x t0 µ0 (t)dt 정리 5.. [Force of Mortality 와 Survival Function] µ0 (x) d log S0 (x), dx S0 (x) exp Z x t0 µ0 (t)dt 여기서 S0 (x) : P[T0 > x] 즉 S0 (x)는 태어난 사람이 x년 이상 살 확률이다. 음의 부호 가 있는 것은 죽는 것은 사는 것과 대척점에 있기 때문이다. t px 는 태어나 나이가 x인 사람이 t년 이상 더 살 확률이다. 따라서 t px : P[Tx > t] P[T0 > x + t T0 > x] P[{T0 > x + t} {T0 > x}] P[T0 > x] P[T0 > x + t] P0 > x] S0 (x + t) S0 (x) 정리하면 t px P[Tx > t] S0 (x + t) exp S0 (x) Z x+t ux µ0 (u)du

54 5 Acturial Notations 정리 5.. [µx (t)] 태어나서 나이가 x이 사람이 t년 후에 죽는 속도 µx (t) (force of mortality) 는 µx (t) µ0 (x + t) <풀이> 상식으로 생각해도, 나이가 x이 사람이 t년 후에 죽는 속도는, 태어낸 사람이 x + t 년에 죽는 속도와 같다. 계산으로 확인하면 우선 Fx (t) + Sx (t) 양변을 t 로 미분하면 fx (t) + d Sx (t) 0 dt 따라서 d d Sx (t) t px fx (t) dt dt 그런데 t px S0 (x+t) S0 (x) 이므로 d t px dt S0 (x + t) 0 S0 (x) S00 (x + t) S0 (x + t) S0 (x + t) S0 (x) fx (t) µ0 (x + t)t px 정리하면 fx (t) µ0 (x + t)t px 다은 한편으로 정의로부터 바로 µx (t) : lim t+h qx t qx h 0 t px h fx (t) t px 두 식으로부터 µx (t) fx (t) µ0 (x + t)t px µ0 (x + t) t px t px 나이가 x인 사람의 u년과 u + t년 사이에 죽을 확률 u t qx 은 u t qx P[Tx u + t] P[Tx u] P[Tx u] P[Tx u + t]) u px u+t px

5. Force of Mortality 55 보기 5.. S0 (x) e ax 라 하자.. f0 (x)를 구하라.. µ0 (x)를 구하여라. <풀이> d d. f0 (x) dx F0 (x) dx S0 (x) ae ax d d ln S0 (x) dx. µ0 (x) dx ax a 보기 5.. µ0 (x) a +x 라 하자.. S0 (x)를 구하라.. f0 (x)를 구하여라. <풀이> 먼저 S0 (x)를 구하자. S0 (0) 인 것에 주의하면. S0 (x) exp. f0 (x) Z x d d dx F0 (x) dx 0 x a dt exp ln( + x) ( + x)a t0 + t Z µ0 (t)dt exp S0 (x) a (+x)a+ 보기 5..3 강원개발에서 만든 제품 A의 보증기간 x를 x년을 버티지 못하는 제품 비율율을 t % 이내로 하고 싶다. 만일 제품이 고장나는 속도(force of mortality)를 µ0 (t) 500 이라 할 때, x으로 타당한 값을 구하여라. <풀이> 다른 말로 하면 99%가 x년을 버티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S0 (x) exp 따라서 S0 (x) 0.99가 되려면 Z x t0 x t dt exp( ) 000 t0 500 Z µ0 (t) exp x

56 5 Acturial Notations x ln(0.99) x 000 ln(0.99) 3.7 000 따라서 보증기간은 x 3년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x a 보기 5..4 S0 (x) 00 라 하자. a,, 인 경우에 60 p0 을 구하여라. <풀이> t px S0 (x+t) S0 (x) 인 것에 주의하면 a 일 때, 60 p0 a 일 때, 60 p0 4 a 일 때, 60 p0 6 위 계산은 지금 상황에서는 µ0 (x) d d x a ln S0 (x) a ( ) dx dx 00 00 x 인 것에 주의하면, a가 a로 되면 force of mortiality 는 배로 커지고, 이에 따라 살아남을 확률은 제곱으로 줄어든다.

5. Life Table 57 제 5. 절 Life Table 나이가 x인 사람들의 집합을 Ωx 로 표시했다. #(Ωx ) `x 라 하자. 따라서 `x 는 나이가 x이 사람 들의 수이다. 정의 5.. 나이가 x의 사람들이 집합을 Ωx 로 나타내자.. `x : # Ωx. t px : 나이가 x이 사람의 t년 이상 살 확률. 따라서 t px : P[Tx > t T0 > x] 3. t qx : 나이가 x인 사람이 t년 이내에 죽을 확률. 따라서 t qx : P[Tx t T0 > x] 정의로부터 t px + t qx. 정의 5.. [이항확률변수( Binomial Random Variable)] 성공할 확률이 p, 실패할 확률이 q p인 실행이 있다. 이 실행을 독립적으로 n 번 한 결과는 Ω : {ω (ω, ω,, ωn ) ωi {0, }} 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성공은, 실패는 0로 표시하기로 하자. 그러면 각각의 확률변수 Xi : Ω R, Xi (ω) : ωi, i,,, n 는 서로 독립이고, 특히 P[Xi ] p, P[Xi 0] q, i,,, n 이때 확률변수 X : Ω R, X : X + X + + Xn 을 이항확률변수(Binomial Random Variable)이라 한다. 이항확률변수의 편리한 점은 평균(mean)과 분산(variance)를 구하기 쉽다. 주의할 것은 Xi, i,,, n서 서로 독립인 것이다. 그러면

58 5 Acturial Notations E[X] E[X ] + E[X ] + + E[X n] p+ p+ + p np Var[X] E[X ] E[X] n E[ Xi X j ] (np) i, j n E[Xi X j ] (np) i, j n E[Xi ] + E[Xi ]E[X j ] (np), i i 6 j이면 Xi, X j 는 독립 i6 j E[Xi ] + (n n)p (np) i np + (n n)p (np) np( p) npq, q p. `x : # Ωx 지금 이항확률변수를 말하는 것은 나이가 x이 사람이 t년 이상 살 확률은 t px 인 것이 앞면()이 나올 확률일 t px 이 동전 던지기와 같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을 얻 는다. `x+t t px `x 이 식은 # Ω `x 이므로, 이항확률변수의 평균에 해당한다. # Ωx+t `x+t E[X] np `x t px t px # Ωx 다음에 주의하자: t px # Ωx+t `x+t `x # Ωx `x 에서 `은 Live 라 기억하자. dx : `x `x+ # Ωx # Ωx+ dx 는 나이가 x인 사람이 x + 이 되기 전에 죽은 사람들의 수이다. 따라서 dx : `x `x+ # Ωx # Ωx+ 이 식을 정리하면 dx `x `x+ `x+ `x `x px `x `x qx

5. Life Table 59 3. px px, qx qx 이것은 표현을 간단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표현을 쓰면 dx `x `x+ `x+ `x `x px `x `x qx 4. u t qx u t qx 는 나이가 x인 사람이 x + u년과 x + u + t년 사이에 죽을 확률이다. 따라서 이 계산에 필요한 것은 # Ωx # Ωx+u # Ωx+u+t 따라서 # Ωx+u # Ωx+u+t u t qx # Ωx `x+u `x+u+t `x 물론 # Ωx+u # Ωx+u+t u t qx # Ωx `x+u `x+u+t `x x+u px x+u+t px

60 5 Acturial Notations 보기 5.. 위표를보고다음을구하여라.. l 0. 0 p 0 3. q 35 4. 0 q 5 5. 현재나이 5인사람이 35에서 38에죽을확률. l 0 9890. 0 p 0 l 0+0 l 0 980 9890 0.99 3. q 35 q 35 l 35 l35+ l 35 9747 9735 9747 0 9747 0.3% 4. 0q 5 0 p 5 l 0+5 l 5 9747 5. 0 3 q 5 l 35 l 38 l 5 9747 9709 98483 0.39% 98483.03%

5. Life Table 6 보험수학 숙제 0 제출기한: 06년 05월 04일 보기 5... Ω {(, ), (, ), (, 3), (, 4), (, ), (, ), (, 3), (, 4)}라 하자. P {(i, j)} ci. a. c의 값을 구하여라. b. 두 확률변수 X : Ω R,Y : Ω : R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있다. X(i, j) i + j, Y (i, j) i j i. E[X], E[Y ]를 구하여라. ii. Var[X],Var[Y ]를 구하여라. iii. E[X Y ]를 구하여라. iv. E[Y X]를 구하여라. v. Z E[X Y ]라 할 때, Var[Z]를 구하여라. vi. Var[X Y ]를 구하여라. <풀이> 지금 경우는 각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같지 않은 것에 주의하자. a. P[Ω ] 은 언제나 성립해야 한다. 따라서 P[Ω ] P[(i, j)] i, j c i j,4 i ] 4c i i 4c( + ) 6c 따라서 c 6. b. i. E[X], X(i, j) i + j

6 5 Acturial Notations E[X] i, j X(i, j)p[(i, j)] i, j c + c i, j i, j 8c + c i 8c + 0c 8c + 5c 3c 3 6 i i j i 4 j j i (i + j) c i c ( + j i ) i, j E[Y ] i, j c c Y (i, j)p[(i, j)] (i j) c i, j i c j i, j 4 i j i 0c 0c 0 i j 0 6 ii. Var[X],Var[Y ] 0 3 Var[X] E[X ] E[X] i, j X(i, j) P[(i, j) ( 3) 6 (i + j) c i, j i ( 3 6 53 36 )

5. Life Table 63 Var[Y ] E[Y ] E[Y ] Y (i, j) P[(i, j) i, j 0 3 c 0 (i j) i 3 i, j 35 9 iii. E[X Y ] 우선 E[X Y ] : Ω R는 Y 값이 같은 집합 {Y y}에서 상수함수인 것에 주의하자. Ω 를 Y 값에 따라 분류하면 Ω {(, )} {(, ), (, )} {(, 3)} {(, ), (, 4)} {(, 3)} {(, 4)} {(, )}에서는 E[X Y ] P[X Y ] {(, ), (, )}에서는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각 사건일 일어날 확률이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P[ω (, ) Y ] P[ω (, ) Y ] + 6 6 + 6 3 3 E[X Y ] X(ω)P[ω (, ) Y (ω) ] + X(ω)P[ω (, ) Y (ω) ] 3 +3 3 3 3 {(, 3)} 에서는 E[X Y 3] 4 {(, ), (, 4)}에서는 E[X Y 4] X(ω)P[ω (, ) Y (ω) 4] + X(ω)P[ω (, 4) Y (ω) 4] 4 +5 3 3 4 3 {(.3)}에서는 E[X Y 6] 5 {(, 4)}에서는 E[X Y 8] 6

64 5 Acturial Notations,,,3,4,,3, 3 4 3 4 5,4 6 E[Y X],,,3,4,,3, 0 3 4 3 4 5,4 8 Var [ E[X Y ] ] 앞에서함수 E[X Y ] : Ω R 은구했다. 또한 인것도알고있다. 따라서 직접계산하면 m 3 6 을해서 E [ E[X Y ] ] E[X] 3 6 Var [ E[X Y ] ] E [ E[X Y ] ] E[X] 7

5. Life Table 65 Var [ E[X Y ] ] [ (E[X [ ] ] E Y ] E E[X Y ] ) ( m) 6 + (3 m) 4 + (4 m) 6 + + ( 4 3 m) 4 + (5 m) + (6 m) 7 Var[X Y ] E [ (X E[X Y ]) Y ] 중요한것은 Var[X Y ] : Ω R 은 {Y y} Ω 에서상수함수인것을아는것이다. Ω 를 Y 값에따라분류하면 Ω {(,)} {(,),(,)} {(,3)} {(,),(,4)} {(,3)} {(,4)} 여기서함수 X : Ω R 을보면,,,3, 3 0 3 4 3, 4,4,3 5,4 6 따라서 X E[X Y ] : Ω R 은

66 5 Acturial Notations 0 H,L H,L H,L H,3L 3 0 3 3 H,4L H,L 4 3-3 4 H,3L 5 H,4L 6 함수 X E[X Y ] : Ω R의 그림을 보면, (i, j) (, 4), (, 4) Var[X Y ](i, j) 9 0, 위와 다른 경우 앞에서 Var E[X Y ] 7 인 것을 알았다. 다음 식을 확인해보자: 7 53 Var[X] E Var[X Y ] +Var E[X Y ] + 36 9 4 보기 5..3 다음 가시 선택을 생각하자. 계산의 편의를 위해서 현재를 월 일이라 하자.. 내년 월 일부터 0년간 매년 월 일에 5,000을 받는다.. 내년 월 일부터 40년 동안 매년 월 일에 X를 받는다. 이자율이 %로 유지된다 가정할 때, 두 선택이 동등하게 되는 X를 구하여라. (계산의 편의를 위해서 40년을 살 수 있다 가정하자) <풀이> 현재가격 또는 미래가격 계산에 아주 유용한 공식은 등비급수의 합이다. 예를 들어 S + r + r + r3 + r n0 의 값을 구하는 문제를 생각하자. 이 식을 다음과 같이 둘로 나누자.

5. Life Table 67 따라서 S + r + r + r 3 + + r + r + + r n + r n+ + r n+ + + r + r + + r n + r n+( + r + r + r 3 + ) + r + r + + r n + r n+ S + r + r + + r n S( r n+ ) ( r n+ ) r r rn+ r. 현재가격을계산하면. 같은방식으로현재가격을계산하면 P 5000 + r + 5000 5000 + + ( + r) ( + r) 0 5000 ( + + r + r + + ) ( + r) 9 5000 ( + r) ( ( + r r + r )0) 5000 ( ) r ( + r) 0 P X + r + X X + r X + r + r X r 위두값이같기위해서는 r 0.0 로계산해서 ( + r) + + X ( + r) 40 ( + + r + + ) ( + r) 39 ( ( r + r )40) ( ) ( + r) 40 (+r) X 5000 0 (+r) 40 5000 ( + )( + ) (+r) 0 (+r) 0 6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