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 호, 2009년 5월 Vol.4, No.2, May 2009. p.73~78 1) 치료적운동이만성경부통증환자의악력에미치는영향 정연우윤세원이정우 광주여자대학교물리치료학과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the Grip Strength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Yeon-woo Jung, PT, PhD, Se-won Yoon, PT, PhD, Jeong-woo Lee, PT, Ph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 University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the grip strength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Methods : Sixteen chronic neck pain patients were recruited this study(8 females. 8 males) from 21 to 30 years of age(mean aged 24.44).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ntraction-relax exercise for more than 3-5 times with therapeutic massage for 15minutes per day and three times a week during 5 weeks period. Grip strength was measured by Grip Strength Dynamometer(Model: T.K.K, 5101, Japan) at pre, 3weeks, 5weeks and follow-up 2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repeated ANOVA to know difference within period. Results : The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treatment period(p<.05), among the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pre-treatment and follow-up 2weeks(p <.05).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apeutic exercise increased grip strength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Grip strength was more increased at follow-up 2weeks. In the future, we suggest that studies of therapeutic exercise regarding chronic neck pain patient be further studied and an appropriate therapeutic exercise will be indicated. Key Words : Therapeutic exercise, Grip strength, Neck pain Ⅰ. 서 론 경부통증은인구중일생동안 70% 의높은발병 률을보이며( 이해정등. 2003; Cote 등, 1998) 전체 신경근병변의 5 36% 를차지하고요천추부신경 근병변과더불어흔히볼수있는질병이나, 우리 교신저자 : 정연우, E-mail: pt10335@hanmail.net 논문접수일 : 2008년 11월 27 일 / 수정접수일 : 2009년 1월 10 일 / 게재승인일 : 2009년 3월 2일 -73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는그중요성을인식하지못하고있다. 경부통증의원인은특이성경부통증과비특이성 경부통증으로나눌수있다. 특이성경부통증은퇴 행성질환, 외상, 감염성질환등이원인이고( 이해정 등, 2003; Barry와 Jenner, 1995; White와 Panjabi, 1990), 비특이성경부통증은습관성자세, 퇴행성 질환등이원인이다( 이해정등, 2003; Bogduk, 1984). 이중비특이성근골격계는관절낭및인대를포함 하여관절내의병리적인변화가없으면서발생된 관절낭내운동의장애를관절기능부전이라고하며, 몸통과사지의통증을야기하는원인의대부분이 관절기능부전이다 (Karlberg 등, 1995; Mennell, 1960). 관절기능부전의징후가있는관절을움직이려고하 면, 정상적인관절낭내운동이일어나지않기때문 에통증과근경련이발생하고, 관절운동이제한된다 (Paris, 1998). 통증이만성화된다면다양한치료적인접근에도 불구하고회복시키는데어려움을가지게된다 (Byrn 등, 1993; Evans 등, 1994; Lord 등, 1996). 두-경- 견부와상지에대한치료방법으로초음파치료, 치료 적운동, 전기자극치료, 복합된치료적중제가가장 많이사용되고있고, 그중에운동치료방법이역학적 경부및견부장애를위해흔하게쓰이는치료방법 중하나이다. 치료적운동은관절가동술, 신장운동 과등척성, 정적, 동적인신장운동, 지구력훈련, 고 유수용성운동과같은매우다양한방법을통합한 것이다 (Saring-Bahat, 2003). 현재만성경부통증환자의악력에변화가있는지 에대한연구와경부에대한치료적접근이상지의 특히, 손의악력에변화를주는지에대한연구는미 흡한실정이며이러한치료적운동은치료사의이 익에의한임상적인인식, 여러가지이론을이유로 해서흔하게적용되고있으나, 증거에기본을두어 적용되는것은드물다. 책임, 건강보험과보상요구 가증가되어지는이시대에서는근거에기초한치 료에대한기대가증가되고있다. 따라서본연구 는만성경부통증환자의원인인비정상적인만성질 병자세와근육불균형을바로잡는것과운동감각 개선에주안점으로두고, 치료적운동을적용하여 악력에미치는영향을알아보고자하는데목적이 있다. 1. 연구대상 Ⅱ. 연구방법 본연구의대상자는하루 8시간이상책상에앉 아있는 D대학학생 16명을선정하여 2006년 8월 28일부터2006 년10월13일까지주3회이상5주 동안경부와견부에대한치료적운동을적용한후 변화를분석하였다. 대상자선정기준은경부장애지 수사전평가에서경미한장애즉, 5점이상인자 (Vernon과 Mior, 1991) 또는주관적통증정도에서 VAS점수가 5 점이상인자로제한하였다 (Janda, 1988). 이들중종양과같은병리학적소견이나큰외상으 로수술받은병력이있는자, 류마티스질병이있 는자, 최근통증의경감을위한치료나어떤약물 을주기적으로복용하고있는자, 구조적문제가있 는자, 신경학적문제가있는자또는지난 3개월 동안큰병원에서치료를받은자그리고주 3일 이상운동을하는자는제외시켰고(Matti 등, 2004), 대상자들에게실험과정에대한충분한설명을하였 고실험전자발적인참여의사를표시하는동의서 를받았다. 2. 연구도구및측정방법 1) 실험방법 (1) 치료적마사지 치료적운동을실시하기전에치료적마사지를 모든대상자들에게 15 분간시행하였다. 운동전모 든대상자들에게치료적마사지를시행한이유는 운동할때사용될근육을부드럽게이완시켜주기 위함이다. 또한치료적마사지의효과로는혈액순환 증진, 피부와정신에긴장을풀어주며, 인체각조 직의노폐물을제거하며근육동작에필요한산소나 영양소의공급등이있다 (Tappan, 2000). 본연구에서치료적마사지는경부의후두하근, 흉쇄유돌근, 사각근, 승모근의상부섬유와견갑거근 그리고견부의흉근등을위주로스트라이핑방법 -74 -
치료적운동이만성경부통증환자의악력에미치는영향 과집기촉진법을사용하였다. 스트라이핑기법은 근육을따라이동하면서압력을가하는것으로보 통근육섬유의방향에따라한기시부에서다른정 지부까지미끄러지게한다. 집기촉진법은엄지와 시지, 중지또는굴곡된시지의외측면을이용하여 조직을잡는다. 이때사용된손가락은서로다른 쪽이압박하고촉진할수있도록견고한면을제공 한다(James 등, 2004). (2) 치료적운동 치료적운동은 Janda(1987) 가분류한근육불균형에 따른단축된근육[ 흉근(pectoralis major, minor),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 견갑거근(levator scapular), 흉쇄유돌근(SCM), 사각근(scalenus), 후두하근(subo- ccipitalis)] 과약화된근육[ 중-하부승모근 (middle/ lower trapezius), 전거근(serratus anterior), 능형근 (rhomboids), 심부경부굴곡근(deep cervical flexors; longus colli, longus capitis, rectus capitis anterior, rectus capitis lateralis)] 에대한운동적용시단축되 어진근육을먼저편하게바로누운자세에서완전히 이완되고신장된상태인외측범위(out range) 에두 고, 최대수의적수축력의 50 100% 수준으로 5 15 초동안등척성수축시킨후이완될때천천히 신장시켜새로운제한지점을확보하였다. 이때저 항이일어나지않도록하였고, 이자세에서약 10초 이상유지하였다. 약 20 초동안휴식시킨후, 이과 정을 3 5 회이상반복하였다. 운동은경부에서일 어나는모든방향으로적용할수있다. 특히, 양쪽 움직임을비교하여더많이제한되는움직임부터 치료적운동을적용한다. 약화된근육에대한근재교육을목적으로할경 우최대수의적수축력의 30% 미만으로수축을시 켰다(Janda, 1993). 환자들이충분히어떤근육을동 원해서수축시킬지를인지시키기위해서치료사에 의해먼저움직임을유발하고즉, 수동운동을먼저 실시하였고, 그다음치료사 -환자가같이운동을 하는능동보조운동을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환자 스스로운동을하는능동운동을실시하였다. 정확한 경부와견부의움직임이일어날수있도록수동적 혹은능동적으로새로운제한범위로재위치한뒤 새로운제한범위에서위의단계를반복하였다 (Adler, 1997). 치료적운동을자가운동프로그램또는가정운 동프로그램으로위의과정을매일 5회이상 1일 2회 이상운동하도록하였고, 호전양상에따라 1일반 복횟수는점차적으로증가시켜운동하도록하였다. 2) 측정방법 (1) 악력측정 측정기기는일본의 TAKEI 회사에서제조된디지 털악력기( 모델명: T.K.K., 5101) 를사용하여치료 전과후 5분간격으로각각 3회측정하여평균값을 자료로이용하였다(Fig 1). 파악력측정시최대의 파악력을얻도록하기위해 세게, 더세게, 더더 의구두강화(oral facilitation) 를주었다(Mathiowetz 등, 1984). 악력검사자세는 1981년미국수부치료사 협회(America Society of Hand Therapists, ASHT) 에 서제시한파악력검사를위한표준화된피검자의 측정자세인똑바로선자세에서견관절을내전하고 중립으로회전한상태에서주관절을굴곡시키고 손목관절을중위로한자세를채택하였다(Fess 와 moran, 1981). 3. 통계처리 Fig 1. Measurements of grip strength 연구결과에대한분석은 SPSS version 12.0을이 용하였으며, 치료적운동의치료전과치료 3 주후, -75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치료 5주후그리고치료종료 2주후치료기간에 따른악력의변화를알아보기위해반복측정분산 분석으로통계처리하였고, 치료기간별효과크기를 검정하기위해대비검정을이용하였다 ( 송필준, 2005). 유의수준(a) 은.05 로하였다.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은아래 2. 치료기간에따른악력비교 Table 1 과같다. Mauchly 의구형성검정에서통계학적으로유의 하지않아서(p>.05)(Table 3), 개체- 내효과검정의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일반적특성 Table 1. Anthropometric data(mean±sd) Variable Gender Young adults(n=16) Male(n=8) Female(n=8) Age(years) 24.44±0.68 Height(cm) 166.88±2.28 Body weight(kg) 60.38±3.21 Fig 2. Variation of grip strength Table 2. Variation of grip strength within treatment period on group(n=16) (unit: kg) Pre 3Weekst Post Follow-up 2weeks 27.73±2.93 30.45±3.05 31.66±3.04 31.82±3.11 Table 3. Mauchly's test of sphericity Within subjects effect Mauchly's W Chi-square df p Treatment period 0.67 5.42 5 0.37 Table 4. Tests of within-subjects effects on grip strength *p <.05 Type Ⅲ SS df MS F p Period 172.17 3 57.39 14.62.000* Error(period) 176.68 45 3.93 Table 5. Tests of within-subjects contrasts on group (n=16) Period Error (period) *p <.05 Period Type III SS df MS F p Pre vs Follow-up 3Weeks vs Follow-up Post vs Follow-up Pre vs Follow-up 3Weeks vs Follow-up Post vs Follow-up 268.63 30.28.44 160.12 111.29 75.66 1 1 1 15 15 15 268.63 30.28.44 10.67 7.42 5.04 25.17 4.08 0.09.00*.06.77-76 -
치료적운동이만성경부통증환자의악력에미치는영향 결과를보면, 치료기간에따른집단- 내악력에있 어서모두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고 (p <.05), 치료기간과치료방법에따른상호작용은통 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가없었고 (p>.05)(table 4), 치료기간별효과크기를검정해본결과, 치료전과 치료종료 2주후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었 고(p<.05), 멕켄지운동군은치료전과치료종료 2 주후, 치료 3주후와치료종료 2주후통계학적으 로유의한차이가있었다 (p<.05)(table 5)(Fig 2). Ⅳ. 고 찰 본연구에서는치료적운동이만성경부통증환자 의상지근력에미치는영향을알기위해악력의변 화를비교해본결과, 치료전악력은 28.27kg이었 다. 선행연구에서는정상인 28 명( 남자: 14 명, 여자: 14 명) 을대상으로상지에대한신경가동술을적용한 결과, 치료전평균악력이 28.51kg으로유사한결과 가나타났다( 정연우등, 2004). 치료기간에따라치 료후평균악력이 31.90kg으로유의하게증가하였 는데, 선행연구에서는치료후평균악력이 29.40kg 으로약간의차이가있었다. 이러한차이는선행연 구의실험기간은일주일이었고, 본연구는 5주동안 의실험기간으로차이가있었고, 실험방법에서도상 지에대한신경가동술만을적용한선행연구와본 연구의실험방법과차이가있었기때문이라고사료 된다. 치료전과치료종료 2주후가장악력이증가 하여, 치료가종료된 2주후까지도악력이증가하는 것을알수있었다. 이러한상지의근력증가는상위교차증후군의근 육불균형으로인해견관절의거상과전인, 견갑골의 익상을유발하고두부를전방으로위치하게되고, 이런비전형적인자세는경추와두부의연접부인 네번째, 다섯번째경추와네번째흉추에과긴장 을초래하고상완와관절의움직임을변화시키고상 완와의축변화는견갑대의회전과외전을유발할 수있고(Janda, 1988), 이것은상완골의골두를안정 화시키기위해견갑거근과승모근상부섬유가부가 적인근활성을초래할수있다고하였다 (Christensen, 2000). 결국이러한변화는극상근의지속적인증가 된활동을동반할것이고, 극상근의조기퇴행의원 인이된다고하였는데(Janda, 1988), 운동이포함된 치료적프로그램이상위교차증후군의비전형적인 자세에서이상적인정열로도모하였고, 부가적으로 승모근상부섬유의근긴장의감소와극상근의근효 율성을증대시켜근력이증가되었다고사료된다. 본연구에서는치료적운동함께적용한치료적 마사지가만성경부통증환자들의악력이증가하는 것을확인할수있었다. 하지만, 치료적운동에대 한치료사의맹목치료가되지않았고, 연구대상자 의수가적고연구기간이짧은관계로연구의결과 를일반화시키기에는부족한면이있다. 그러므로 향후의연구는이러한점을보완하여많은대상자 들을포함시키고, 6개월이상의장기간치료효과를 평가할수있는연구를시행하여야할것이다. 더 나아가다른객관적인평가들과함께비용효율성 및삶의질적측면과같은현실적인부분들에대한 연구가진행되어야할것이다. Ⅴ. 결 론 본연구는치료적운동이만성경부통증환자의악 력에미치는영향을연구하기위해 2006년 8월 21 일부터동년 10월 14일까지 8주에걸쳐만성경부 통증환자 16명을대상으로 5주동안적용하여연구 를실시하였다. 치료기간에따른각각의측정치를 분석한결과다음과같은결론을얻을수있었다. 이상의연구결과로볼때, 만성경부통증환자의 악력이감소되었음을알수있었고치료적운동을 통해악력이증가된다는것을확인하였다. 그리고 치료의효과는치료가종료된 2주후까지유지되었 고증가되었음을확인하였다. 만성경부통증환자의 치료적접근에있어서다양한증상들에대한접근 방법이필요하고특히, 상지의증상이함께나타나 는환자들을통한연구가수행되어야할것으로사 료된다. 참고문헌 송필준. 데이터분석방법. 경북경산: 대구대학교출 -77 -
대한물리의학회지제4권제2호 판부. 2005. 이해정, Nicholson LL, Adams RD. Cervical Range of motion. 2003. 정연우, 서현규, 김병곤등. 신경가동술이악력에미 치는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 16(4): 813-819. Adler SS.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서울: 영문출 판사. 1997. Barry M, Jenner JR. ABC of rheumatology. Pain in neck, shoulder, and arm. BMJ. 1995;310(6973): 183-6. Bogduk N. Neck pain. Aust Fam Physician. 1984; 13(1):26-30. Byrn C, Olsson I, Falkheden L et al. Subcutaneous sterile water injections for chronic neck and shoulder pain following whiplash injuries. Lancet. 1993;341(8843):449-52. Christensen K. Manual muscle testing and postural imbalance. Dynamic chiropractic. 2000;15:2. Côté P, Cassidy JD, Carroll L et al. The Saskatchewan Health and Back pain Survey. The prevalence of neck pain and related disability in Saskatchewan adults. Spine. 1998;23(15):1689-98. Evans RW, Evans RI, Sharp MJ. The physician survey on the post-concussion and whiplash syndromes. Headache. 1994;34(5):268-74. Fess EE, Moran C. Clinical assessment recommendations. Indianapolis: American Society of Hand Therapists. 1981. Janda V. Muscles and Cervicogenic Pain Syndromes. In Physical Therapy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ed. R. Gran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8. James H, Clay MMH, Ncimb DM et al. Basic clinical Massage Therapy. 2004. Karlberg M, Persson L, Magnusson M. Impaired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cervico-brachial pain. Acta Otolaryngol Suppl. 1995;520 Pt 2: 440-2. Lord SM, Barnsley L, Wallis BJ et al. Percutaneous radio-frequency neurotomy for chronic cervical zygapophyseal-joint pain. N Engl J Med. 1996; 355(23):1721-6. Mathiowetz V, Weber K, Volland G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rip and pinch strength evaluations. J Hand Surg [Am]. 1984;9(2):222-6. Viljanen M, Malmivaara A, Uitti J et al.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or ordinary activity for chronic neck pa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3;327(7413): 475 Mennell JM. Back pain: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manipulation techniques, Boston: Little Brown & company. 1960. Paris SV. Foundation of Clinical Orthopaedics, Course. 1998;19-27, 153-266. Saring-Bahat H. Evidence for exercise therapy in mechanical neck disorders. Man Ther. 2003;8(1): 10-20. Vernon H,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991;14(7):409-15. White AA, Panjabi MM. Clinical biomechanics of the spin, 2nd Philadelphia : Lippincott. 1990. -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