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R ISSN / Audiol Speech Res 2017;13(3): / RESEARCH PAPER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

Similar doc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Àå¾Ö¿Í°í¿ë ³»Á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012임수진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A Study on Organiz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1..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세종대 요람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NCS : * A Study on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서론 34 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Lumbar spine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C1B6BBE7BFACB1B D303428B1E8BEF0BEC B8F1C2F7292E687770>

Research subject change trend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ies : Network text analysis of the last 20 years * The obje

歯1.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313120B9DABFB5B1B82E687770>

06_ÀÌÀçÈÆ¿Ü0926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Rheu-suppl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다문화 가정의 부모

歯14.양돈규.hwp

03-서연옥.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31342DC0CCBFEBBDC42E687770>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03이경미(237~248)ok

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歯kjmh2004v13n1.PDF

DBPIA-NURIMEDIA


<332EC0E5B3B2B0E62E687770>

untitled

<BCBCC1BEB4EB BFE4B6F72E70646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272 石 堂 論 叢 49집 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 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 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서론

04_이근원_21~27.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레이아웃 1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2019_2nd_guide_kr_0619.indd

???? 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Parents Perception

디지털포렌식학회 논문양식

*

歯5-2-13(전미희외).PDF

歯4차학술대회원고(황수경이상호).PDF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Output file

<35BFCFBCBA2E687770>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DBPIA-NURIMEDIA

강의지침서 작성 양식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Transcription:

ISSN 1738-9399 / Audiol Speech Res 2017;13(3):239-244 / https://doi.org/10.21848/asr.2017.13.3.239 RESEARCH PAPER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orpus: Focus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urvey Responses Whasoo Kim 1, Sangjun Lee 2 1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Gyeongsan, Korea 2 Major in Speech-Language Pathology,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Gyeongsan, Korea 발달장애인말뭉치구축을위한예비연구 : 언어재활사의설문반응을중심으로 김화수 1 이상준 2 대구대학교언어치료학과 1, 대구대학교일반대학원재활과학과언어치료전공 2 Purpose: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analyzing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nstruct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orpu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174 persons consisting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researchers and college student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net, and designed to utilization experience of the corpus, representative written and/or spoken langu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the corpus were very low. Second, the SLPs response to the representative written languag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text in class and spoken language was conversation with family and other people. Third, most of the participants needed Language Level in personal information and conversation situation in additional inform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construction of the developmental disorders corpus. Key Words:0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rpus, Speech-Language Pathologist, Communication. Received: June 5, 2017 / Revised: June 25, 2017 / Accepted: June 26, 2017 Correspondence: Sangjun Lee, Major in Speech-Language Pathology,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201 Daegudae-ro, Jillyang-eup, Gyeongsan 38453, Korea Tel: +82-53-850-4324 / Fax: +82-53-850-4329 / E-mail: a376100@naver.com INTRODUCTION 발달장애인이란 장애인복지법 제 조 항에 따르면 장애인으로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 및 그 밖에 통상적인 발달이 나타나지 아니하거나 크게 지연되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발달장애인은 다른 장애유형과 달리 자립 역량이 부족해 타인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발달장애인은 다른 장애인에 비해 집밖 활동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자폐성장애인의 가 불편하다고 느끼며 불편 정도가 매우 컸는데 이는 동반자의 부재나 의사소통의 어려움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년 월 일 국회를 통과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 발달장애인법 은 같은 해 월 일 법률 제 호 에 고시되었다 발달장애인법은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특성 및 복지 욕구에 적합한 지원 등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사회참여 촉진 권리 보호 및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발달장애인이 살아가며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사회적인 공감과 인정을 이끌어 내며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발달장애인법의 제 조 의사소통지원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단체는 발달장애인의 권리와 의무에 중요한 정책정보를 발달장애인이 Copyright 2017 Korean Academy of Audiology 239

Focus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urvey Responses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작성 및 배포하여야 하며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의사를 원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요한 의사소통 도구 개발 교육 및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민원담당 직원이 발달장애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지침을 개발 및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각 항목에 필요한 세부사항들의 경우 대통령령을 통해서 지정하고 있지만 아직 국가 차원의 발달장애인법 시행에 따른 구체적인 정책정보 작성 기준 의사소통 지침의 개발 및 교육 기준 전문 인력 양성에 따른 계획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중요한 정책 자료인 선거 안내물 등은 발달장애인을 위해 맞춤형으로 제작되지만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증 발달장애인들은 이러한 자료에 대한 이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안으로 중증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선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발달장애인을 위한 개별 투표용지 및 시범 동영상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이번 제 대 대통령선거에서 반응형 웹 콘텐츠인 투표 미리하기 앱 과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으나 발달장애인의 실제 언어사용 양상이나 관련 전문가의 의견이 참고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최근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하여 빅데이터에 관한 관심이 급속히 늘어가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정보의 효율적인 저장 분석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이용하여 의료 및 마케팅 생물 정보학 등 많은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가 언어학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말뭉치 언어학 이다 말뭉치란 실제 사람들에게 사용되는 언어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의 집합으로서 대표성과 균형성 대규모성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말뭉치 언어학은 언어 연구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응용언어학 연구에도 발전을 가져왔다 는 말뭉치 언어학이 많이 논의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말뭉치 언어학이 추구하는 방식에 있다고 하였다 말뭉치 자료를 이용한 연구는 객관적 방식을 활용한 대규모 언어자원을 바탕으로 재현 가능한 언어적 일반화를 구축하여 추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가공할 수 있어 여러 응용언어학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그동안 이루어진 발달장애인의 언어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표준화된 검사를 바탕으로 동일 언어연령이나 생활연령의 사람들과 비교하는 연구이며 자발화를 대규모로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자발화와 관련된 연구라 도 대부분의 연구는 자연스러운 발화보다는 연구자가 제시하는 특정 상황이나 그림 애니메이션 등과 관련된 발화를 분석하는 연구였다 발달장애인의 실제 언어 양상 및 차이점 등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최근에 발전된 컴퓨터공학 및 통계학을 활용하여 말뭉치 언어학을 사용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문어와 구어를 분석하 여 이를 말뭉치로 구축하기에 앞서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 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가 집단인 언어재활사 및 연구자 관 련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말뭉치에 대한 지식 및 요구도 와 대표성이 있는 자료 구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문을 통해 발달장애인 언어 자료 수집과 말뭉치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조사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 구 축 방향 설정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연구대상 본 연구는 년 월 한 달 동안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 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가 집단인 언어재활사 및 연구자 관 련 전공의 대학생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항목은 대상자의 성별 나이 최 종학력 소속기관 자격급수 치료 경력 언어치료 관련 영역에 따라 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정보는 과 같다 Table 1. Participants general information Sex Female 155 89.1 Male 19 10.9 Age 20-29 142 81.6 30-39 25 14.4 Over 40 7 4.0 Workplace University 67 38.5 Speech clinic 74 42.5 Welfare center 15 8.6 Hospital 8 4.6 Education office and special-education school 4 2.3 Nursery 6 3.4 Certification steps Level 1 6 3.4 Level 2 123 70.7 Acquisition schedule 45 25.9 Clinical experience Under 1 year 107 61.5 1-3 years 38 21.8 3-5 years 10 5.7 5-10 years 15 8.6 Over 10 years 4 2.3 Position Speech-language patholgy major college students SLP: speech-language pathologist 58 33.3 SLP 63 36.2 Researcher 22 12.6 SLP and researcher 31 17.8 240

W Kim & S Lee 자료수집절차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및 연구자 관련 전공의 대학생에게 연구의 목적 및 말뭉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은 자기 보고 형식으로 스스로 일반적 정보와 말뭉치의 활용여부 및 목적 구축에 관한 의견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글 설문지를 활용하여 모바일 및 인터넷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총 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있었고 음운론 형태 및 구문론 의미론과 관련된 영역의 치료 시 사용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연구 자료로 활용한 응답자는 명 으로 음운론 의미론 화용론과 관련된 영역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명 은 응용된 연구 결과를 활용하거나 말뭉치를 직접 설계 수집 및 활용하였으며 공개되어 있는 세종 말뭉치 등을 직접 활용한 경우도 명 이었다 또한 말뭉치를 활용한 교재 및 교구를 활용한 경우도 명 이었다 설문지구성및자료분석본 연구의 설문지는 이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을 위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상대로 진행했던 설문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지에 사용된 용어 및 구성이 타당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언어치료 전공 박사과정 인과 언어치료 전공의 교수 인의 감수를 받았으며 발달장애인 치료 경험이 있는 급 언어재활사 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보완 및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말뭉치 활용 여부 및 목적 말뭉치 구축에 관한 의견으로 이루어졌다 말뭉치 활용 여부 및 목적에는 말뭉치에 대한 사전정보 유무 및 활용 경험 향후 활용 의사 및 목적 내용의 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였고 활용 경험 유무에 따라 개의 항목을 추가로 물었다 말뭉치 구축에 관한 의견은 문어적 특징 구어적 특징 추가되는 개인정보 개인정보 외의 환경 상황 참여자정보 여부에 따라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환경과 상황 참여자정보에 대해 추가적으로 얻어야 할 정보 및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가지 문항이 추가되었다 각 하위 문항들은 명목척도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기타 의견이 있다면 자신의 의견을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RESULTS 말뭉치에대한지식및요구도 말뭉치에대한요구도및사용목적 와 같이 명 이 말뭉치를 활용할 의사가 있 Table 2. Perception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corpus Perception Yes 41 23.6 No 133 76.4 Experience Yes 8 4.6 No 166 95.4 Table 3. Utilizing purpose and content, acquisition path of corpus Utilizing purpose Therapy 6 75.0 Research 3 37.5 Utilizing content Therapy Phonology 2 33.3 Morphology and syntax 4 66.6 Semantics 3 50.0 Pragmatics 0 0 Research Phonology 1 33.3 Morphology and syntax 0 0 Semantics 1 33.3 Pragmatics 1 33.3 Acquisition path Using like Sejong corpus 3 37.5 Related research result 4 50.0 Teaching materials 1 12.5 Design, collection and utilization 4 50.0 말뭉치에대한인식도및활용경험 를 보면 전체 응답자 명 중 명 은 말뭉치 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없었으며 활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명 에 불과하였다 말뭉치의활용목적및내용, 습득경로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말뭉치를 활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 명의 의견을 중복 가능하게 하여 수집하였으며 응답자의 명 은 말뭉치를 치료 자료로 활용해 본 경험이 Table 4. Demand and purpose for corpus Demand Yes 165 94.8 No 9 5.2 Utilizing purpose Therapy 157 95.2 Research 50 30.3 Utilizing content Phonology 61 36.9 Morphology and syntax 99 60.0 Semantics 79 47.8 Pragmatics 98 59.3 241

Focus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urvey Responses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명 은 치료 자료로 활용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활용 내용을 중복 가능하게 하여 조 사한 결과 형태 및 구문론 명 화용론 명 의미론 명 음운론 명 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의대표적언어자료 발달장애인의 대표적 언어 자료를 중복 가능하게 하여 수집 한 결과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어에서는 명 이 교실 수업에서의 과제 수행 자료 라고 응답하였으며 일기 편지 등 작성자료 명 서술형 시험의 응답자료 명 내 사용 언어 명 순이었다 구어는 가족 혹은 주변인과의 대화 가 명 으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고 특정 주제에 관한 대화 명 전화 명 발표 와 토론 이 각각 명 순이었다 발달장애인말뭉치의제공자료 발달장애인말뭉치에제공되는개인정보 발달장애인 말뭉치에 제공되는 개인정보를 중복 가능하게 하여 수집한 결과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체 응답자 중 명 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언어 수준에 대한 정보가 필 Table 5. Representative language data Written language Diary, letter 106 60.9 Text in class 122 70.1 Text in test 91 52.3 Text in SNS 69 39.7 Spoken language Conversation with family and other people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132 75.9 Call 96 55.2 Announcement 73 42.0 Conversation about a specific 111 63.8 topic Discussion 73 42.0 Table 6.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in developmental disability corpus Personal information Sex 100 57.5 Age 142 81.6 Occupation 62 35.6 Language level 170 97.7 IQ 123 70.7 Degree of disabilities 113 64.9 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나이 명 지능 지수 명 장애 등급 명 성별 명 직업 명 순이었다 발달장애인말뭉치에제공되는추가정보 발달장애인 말뭉치에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중복 가능하게 하여 조사한 결과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료 종류에 관 해서는 발화 상황 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명 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화 참여자 명 과제 환 경 명 순이었다 각각의 세부 내용으로는 과제 환경 에서 명 이 과제 유형 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주제 명 과제 종류 명 순이었다 발화 상황에서 는 발화 장소 및 상황 이 명 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격식 비격식 상황 이 명 이었다 대화 참여자 에서는 상 하관계 친밀도 가 명 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이 명 직업 명 성별 명 순이었다 말뭉치구축시추가적으로고려할점 연구 대상자들에게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서술 형으로 질문한 결과 치료받는 대상자의 기분이나 반응속도 말 의 속도 발화 상황에 대한 경험 유무 대외적인 경험 가정환경 언어치료경험 등과 같은 응답이 나왔다 응답 중 앞의 질문과 동일한 응답이 나온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다문화가정의 아동 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으나 이는 국립국어원 의 한국어학습자 말뭉치에서 개발하고 있으므로 생략하였다 Table 7.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in developmental disability corpus Type of data Task environment 78 44.8 Conversation situation 150 86.2 Conversation participants 86 49.4 Details of Task environment information Type (test, homework) 46 58.9 Short-answer type/descriptive type 62 79.4 Topic 53 67.9 Genre 19 24.3 Time limitation 30 38.4 Conversation situation Formal/informal 81 54.0 Place and situation 125 83.3 Conversation participants Sex 40 46.5 Age 57 66.2 Occupation 48 55.8 Relation of top and bottom/intimacy 78 90.6 242

W Kim & S Lee DISCUSSIONS 본 연구는 년 월 한 달 동안 언어재활사 및 연구자 관련 전공의 대학생 명을 대상으로 말뭉치에 대한 인식도 및 활용 경험 발달장애인 말뭉치 구축 시 필요한 구어 및 문어의 종류와 개인정보 등의 추가 자료에 관하여 조사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는 첫째 전체 연구 대상자의 말뭉치에 관한 인식도는 로 매우 낮았으며 활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에 불과하였다 말뭉치는 언어치료학과 연관된 사전학이나 한국어교육학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이며 실제 사람들에게 사용되는 언어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지만 이에 관한 언어재활사 및 연구자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지식은 매우 부족하며 활용도 역시 낮은 모습을 보였다 다만 언어 사용 빈도 등 관련 응용 연구의 많은 자료들이 언어치료학 분야에서도 쓰이고 있지만 말뭉치라는 용어의 인식도가 낮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말뭉치 활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 명을 대상으로 활용 목적 및 내용 습득 경로에 대해 조사해 본 결과 의 응답자는 치료 자료로 활용하였고 형태 및 구문론과 관련된 치료 목적으로 활용한 경우가 로 가장 많았으며 의미론 음운론 였다 화용론과 관련된 치료 혹은 말뭉치를 활용한 교재 및 교구 활용은 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으로 활용한 경우는 로 음운론 의미론 화용론이 로 나타났다 습득 경로로는 응용 연구 결과를 활용한 것과 직접 설계 수집 및 활용을 한 것이 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 말뭉치 등 공개 말뭉치를 직접 활용한 것이 말뭉치를 활용한 교재 및 교구를 활용한 것이 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말뭉치와 관련된 연구 및 치료는 언어의 여러 영역에서 활용되었으며 말뭉치를 직접 설계 수집 및 활용한 경우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말뭉치들이 공개되지 않아 많은 연구자나 치료자들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에 아쉬움이 있다 발달장애인 말뭉치가 개발될 경우 활용하겠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로 나타났으며 그중 는 치료 자료로 활용하고 는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있었다 이는 응답자의 가 언어치료 관련 연구자와 연구자 및 치료사에 모두 포함되었는데 이와 비슷한 비율을 보인 것은 연구자의 대부분이 발달장애인 말뭉치가 개발되었을 때 연구에도 활용한다는 의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활용 내용으로는 형태 및 구문론이 화용론이 의미론 음운론 로 언어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하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발달장애인 말뭉치를 구성할 대표적 언어 자료로 문어에서는 교실 수업에서의 과제 수행자료 일기 편지 등 작성자료 서술형 시험의 응답자료 가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고 구어 자료로는 가족 혹은 주변인과의 대화 특정 주제에 관한 대화 전화 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문어 중 내 사용 언어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으며 구어 중 발표 및 토론이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응답을 살펴보면 수업 및 치료 환경과 같은 구조화된 환경에서의 자료와 일기 편지나 전화 등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언어자료 등이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말뭉치의 기본 성질인 대표성 및 균형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발달장애인 말뭉치에서 개인정보 및 추가 제공 자료에 대하여 응답자들의 는 구어 및 문어와 같은 언어자료 외에 대상자의 언어 수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나이 지능 지수 장애 등급 또한 높은 비율의 응답을 보였다 추가 자료의 종류로는 발화 상황에 대한 정보가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발화 장소 및 상황 격식 비격식 상황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과제 환경에서는 과제 유형 및 주제 과제 종류가 높은 응답을 보였고 대화 참여자에서는 상하관계 친밀도 나이 직업이 높은 응답을 보였다 기타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치료받는 대상자의 기분이나 반응속도 말의 속도 발화 상황에 대한 경험 유무 대외적인 경험 가정환경 언어치료 경험 등과 같은 응답이 있었다 응답자가 언어재활사 및 관련 연구자 대학생으로 구성되어 언어 수준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높았으며 치료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같은 항목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이 발달장애인 말뭉치에 대한 요구도는 매우 높으며 여러 방면에서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까지는 인식 및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말뭉치에 대한 언어치료 현장에서의 교육 및 여러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안한다 또한 향후 발달장애인의 말뭉치를 구축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언어가 구현되는 여러 맥락에 걸쳐서 구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모든 응답은 자기보고 형식의 질문지로 이루어졌으며 인터넷 혹은 모바일로 이루어졌다 말뭉치에 대한 설명이 설문지 내에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해도가 부족한 상태의 응답이 많이 보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말뭉치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응답자의 이해가 이루어진 후에 응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의 응답자 중 가 치료 경력 년 미만의 치료사였으며 급 언어치료사의 비율도 밖에 되지 않았다 따라서 많은 언어치료 임상 경력이 말뭉치 이해 및 사용을 높 243

Focus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urvey Responses 이는지 연구자로서의 경험이 말뭉치 이해 및 사용을 잘 할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임상 경력이 많은 치료사 및 연구자나 급 언어재활사의 응답을 더 확보하 여 학문적으로 많은 연구를 하는 연구자와 치료를 주로 하는 치료사 간 또는 임상 경력에 따른 비교를 하는 연구도 흥미로 운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발달장애인의 말뭉치 구축에 대한 기초 자 료로뿐만 아니라 말뭉치 구축이 발달장애인의 실제 생활에 도 움이 되며 말뭉치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한다 중심단어 0:0 발달장애 말뭉치 언어재활사 의사소통 REFERENCES Choe, J. W. (2014). Corpora and linguistic research: Recent trends. Korean Linguistics, 63, 71-102. Kang, H. W., Kim, S. J., Kim, I. H., Kim, J. S., Ahn, K. W., Lee, D. E., et al. (2015). 2015 project on basic research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learner corpus.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im, D. G., Cho, Y. O., & Lim, J. R. (2016). A study on the effective measures for the right to vote of socially disadvantaged. Seoul: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Kim, S. H., Lee, Y. H., Hwang, J. H., Oh, M. A., Lee, M. K., Lee, N. H, et al. (2014). 2014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res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m, W. S., Lee, S., Seo D. H., & Eom, Y. J. (2017).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2000 to 2016.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9(1), 21-43. Kim, Y. D. & Cho, K. H. (2013). Big data and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5), 959-974. Kwon, J. S. (2016). A survey and analyze on the acceptance attitudes and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on The Act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3), 23-42. Kwak, Y. J., Park, J. H., Kim, H. S., Yoo, H. J., Lee, H. J., Kwon, T. S., et al. (2015). A research on Korean learner s corpus building assistant toolkit developmen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am, K. I. (2014). Research trends and issues on corpus-linguistics-as-theory. Korean Semantics, 46, 163-187. Seo, S. K., Kang, H. H., Lee, K. H., Ahn, E. J., & Hong, H. R. (2010). Designing of Korean learner corpus construction.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eo, S. K. & Han, Y. K. (1999). Introduction to Korean informatics. Seoul: Thaehaksa.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