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8(5) : 525~538, 2013 Korean J Community Nutr 18(5) : 525~538, 2013 http://dx.doi.org/10.5720/kjcn.2013.18.5.525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 1996~2011 년게재논문분석 - 김영남 한국교원대학교가정교육과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Obesity for Koreans based on the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Articles Enlisted from 1996 to 2011 - Youngnam Ki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obesity assessment for Koreans. Among total of 1012 research papers enlisted in th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form 1996 to 2011, 248 articles were examined in whi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more than 2 groups by obesity rate. About the method of anthropometric data collec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papers examined 52.5% and 28.7% of studies utilized the directly measured data and self-described data, respectively. About the utilization of obesity assessment methods, indirect methods of weight-height index (BMI, BMI percentile, and Röhrer index) and PIBW (WLR, Broca index, and KDA) were 62.4% and 23.2%, respectably, and the direct method of percent body fat assessment was only 9.3%.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thods were WLR in under primary and primary children, and BMI in the middle and high and in adults. For primary, WLR w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thod up to 2007, but it changed to BMI percentile afterward. Broca Index was no longer utilized since 2008. There were no articles utilizing BMI percentile and Röhrer index for obesity assessment in adults. Criteria for obesity assessment were not consistent among research papers: for example, % body fat, 19~40%; BMI, 20~30; BMI percentile, 85th or 95th. In the case of PIBW, 120% of ideal weight w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criterion for obesity.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proper methods and criteria of obesity assessment for each age group should be determined and proclaimed. (Korean J Community Nutr 18(5) : 525~538, 2013) KEY WORDS : obesity percent body fat weight-height index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서 비만은의학적문제뿐아니라사회심리적장애까지초래 접수일 : 2013 년 7 월 15 일접수수정일 : 2013 년 8 월 13 일수정채택일 : 2013 년 8 월 19 일채택 Corresponding author: Youngnam Ki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0, Taeseongtabyeon-ro, Gangnae-myeon, Cheongwon-gun, Chung cheongbuk-do 363-791, Korea Tel: (043) 230-3709, Fax: (043) 231-4087 E-mail: youngnam@knue.ac.kr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론 하는심각한질병으로간주되고있다 (Chung 등 2010). 우리나라역시비만인구가지속적으로증가함에따라체중조절은현대를살아가는많은사람들의주요관심사가되었다. 1996년창간호부터 2011년까지의 12년동안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게재된 1000여편연구가운데제목에비만의단어가포함된연구만도 137 편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13) 이검색될정도로비만은영양학분야학술연구의주요주제가되었다. 소아청소년비만율이 2007년 10% 대를돌파 (Kukminilbo 2010), 2008년조사에선초ㆍ중등생비만율이 11.2% 였지만, 올해식품의약품안전청조사에선초등학생 13.6%, 중학생 14.1% (The Hankyoreh 2012), 2012 년학교건강검사표본조사에서의초 중 고학생의비만율은 15% (The Yeongnamilbo, 2013) 2008년건강검진을받은 988만명에대한국민건강보험공단분석결 525
526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과비만인이 324만명 (32.8%) 으로나타났으며, 여성보다남성의비만율이크게늘어 30대이상남성은 40% 대를넘었고 (Kukminilbo 2010), 2012년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에따르면전국민의비만율이 24.1%(MoodeungIlbo 2013) 등등비만율관련수치가매스컴에수시로등장하고있다. 그러나조사를주관하는기관에따라비만정도를평가하는방법이다를뿐아니라비만인판정기준역시각기다르기때문에비만율수치들을그대로수용 비교하는것은옳지않을수있다. 연구논문에서도흔히여타관련논문의결과를인용, 비교하는경우가많은데, 비만정도평가에사용된방법이상이한경우, 또는비만인의판정기준이서로일치하지않는경우라면비만율수치의직접비교, 고찰은정확하지못한진술이될수있다. 비만 (obesity) 이란 살이쪄서몸이뚱뚱함 (Daum Language Dictionary 2013),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excessive accumulation and storage of fat in the body 로 (Merriam-Webster Dictionary 2013), 체지방의과잉축적상태를지칭한다. 비만의정도를진단하는방법으로체위계측치의이용법 ( 피부두겹두께활용법, 신장과체중활용법, 신체부위둘레활용법등 ) 과신체조성측정기법 ( 밀도법, 전기저항법, 적외선간섭법, 초음파진단법, 단층촬영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등 ) 이제시되고있다 (Lee & Kim 1998; Lee 등 2008). 우리나라에서수행된연구는어떤방법들을활용하고있는지, 비만인을판정함에있어어떤기준을적용하고있는지에대한조사 분석을통하여어떤방법이보다적합한지, 어떤기준을적용하여판정할것인지에대한검토가필요하다고판단하였다. 본연구는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게재되었던비만관련연구논문가운데비만정도에따라대상자를 2개이상의집단으로구분하였던연구를대상으로사용되었던평가방법을조사하고, 사용방법별비만인의판정기준에대하여살펴보고자하였다. 비만정도평가의적정방법및판정기준마련을위한기초작업으로앞선연구자료에대한분석의필요성이있다고생각하여본연구를수행하였다. 연구대상및방법 1. 연구대상자료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6년 3월창간호 (1권 1호 ) 부터 2011년 12월호 (16권 6호 ) 까지총 16권 (87호 ) 에게재된논문가운데총설, 강연회자료, 학술대회자료를제외한연구논문을대상으로조사하였다. 1996년 1년동안 3 호, 1997년 5호, 1998년 6호, 1999년과 2000년은각각 4호, 2001년 5호까지발행되었으며, 2002년부터 2011년까지는매년 6호씩발행되었고, 이가운데 1997 년제5호와 Table 1. Number of articles enlisted and study included in Korean J of Community Nutrition Volume (Total No) Year Articles enlisted, n Articles study included, n 1 2 3 4 5 6 Total 61 (3) 1996 24 1 1 2 4 62 (5) 1997 60 2 3 3 7 1 1) 16 63 (6) 1998 63 3 2 0 3 2 1) 3 13 64 (4) 1999 51 3 4 3 2 12 1996 1999 198 9 10 8 12 3 3 45 65 (4) 2000 59 0 3 2) 2 4 9 66 (5) 2001 59 4 3 2 2 3 14 67 (6) 2002 72 1 4 3 4 4 3 19 68 (6) 2003 85 1 4 1 3 4 4 17 2000 2003 275 6 14 8 13 11 7 59 69 (6) 2004 60 0 2 3 2 1 0 8 10 (6) 2005 72 3 2 4 2 3 3 17 11 (6) 2006 68 6 4 2 2 3 4 21 12 (6) 2007 70 4 2 4 1 2 4 17 2004 2007 270 13 10 13 7 9 11 63 13 (6) 2008 76 4 2 5 1 2 2 16 14 (6) 2009 66 4 3 2 4 2 5 20 15 (6) 2010 65 2 3 5 4 3 3 20 16 (6) 2011 62 7 4 4 3 1 6 25 2008 2011 269 17 12 16 12 8 16 81 Total 1,012 45 46 45 44 31 37 248 1) English edition, 2) 5-2 & 5-2 supplement
김영남 527 1998년제5호는영문호로각각 12월, 11월에발행되었다. 그리고 2000년에는 6월에발행된제2호이외에 7월에제2 호의보충호가발행되었다. 1996~2011 년 16년동안게재된연구논문 1012편가운데비만도관련연구를 1차추출하였고, 이가운데비만정도에따라조사대상자를 2개이상의집단으로구분하였던연구를 2차추출하여분석대상으로하였다. 분석대상연구논문의실태를 Table 1에제시하였으며, 분석대상연구논문는 248편으로총게재연구논문의 25% 를차지하였다. 2. 분석내용및방법비만정도평가에활용된체격자료의수집방법을실측, 이전측정자료또는타기관자료의차용, 본인또는대리인기재, 미제시로구분하여조사하였다. 비만정도의평가방법은체지방비율 (% body fat), 체중 -신장지수(weight-height index), 상대체중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허리-엉덩이둘레비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기타로구분하였다. 체중 -신장지수는체중 ( 분자 ) 과신장 ( 분모 ) 을활용하는방법중신장의제곱을적용하여계산하는 BMI(Body Mass Index) 와 BMI 백분위수 (BMI percentile), 그리고 신장의 3제곱승수가적용되는로러지수 (Lee 등 2008) 를포함한다. 영 유아대상연구에서의카우프지수 (Shin & Lee 2005; Lee 2006; Lee & Kim 2006) 는 BMI와산출공식이동일하기때문에 (Lee 등 2008) BMI로간주하였다. 상대체중은표준체중에대한실제체중의비를적용하는방법으로, 표준체중을산정하는방법에따라체중-신장비 (WLR: Weight-Length Ratio), 브로카 ( 변형 ) 지수, 대한당뇨병학회 (KDA: Korean Diabetic Association) (Lee 등 2008) 등으로구분하였다. 그리고각각의평가방법별정상과비만인집단의구분기준을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영 유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성인의 4개연령군으로구분하였으며, 1996년부터 2011년까지 4 개년씩 4기의기간으로구분하였고, 모든자료에대하여빈도와백분율을계산하였다. 결 1. 체격자료의수집방법 조사대상연구의체격자료수집방법에대한분석결과를 Table 2에제시하였다. 신장, 체중, 체지방비율등비만정도평가를위한체격자료의수집방법을조사한결과, 기 과 Table 2. The method of anthropometric data collection Age group Children under primary Primary Middle high Adults Year Measure Data from elsewhere Data collection Self describe No mention Total 96 99 00 03 93 93 04 07 95 92 97 08 11 92 2 91 95 1996 2011 910 (66.7) 1) 92 (13.3) 93 (20.0) 915 (100.0) 1) 96 99 98 2 10 00 03 11 1 91 13 04 07 97 2 91 10 08 11 96 7 97 20 1996 2011 932 (60.4) 1) 12 (22.6) 99 (17.0) 953 (100.0) 1) 96 99 96 94 10 00 03 95 1 97 1 14 04 07 92 3 95 10 08 11 94 4 97 15 1996 2011 917 (34.7) 1) 98 (16.3) 23 (46.9) 1 (2.0) 949 (100.0) 1) 96 99 15 2 96 2 25 00 03 17 4 15 36 04 07 20 8 11 1 40 08 11 28 7 99 3 47 1996 2011 980 (54.1) 1) 21 (14.2) 41 (27.7) 6 (4.1) 148 (100.0) 1) Total 139 (52.5) 1) 43 (16.2) 76 (28.7) 7 (2.6) 265 (100.0) 2) 1) N (%) 2) 265 = 1 236 + 2 8+3 3+4 1 (Study subjects: single age group, 236; 2 age groups, 8; 3 age groups, 3; 4 age groups, 1)
52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기를사용하여연구자가직접측정한연구가 52.5% 이었으며, 앞서측정하였던수치의차용이 16.2% 이었고, 28.7% 는대상자가기입한수치 ( 영 유아의경우대리인기입 ) 를활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영 유아, 초등학생, 성인연령군은직접측정비율이가장높아서각각 66.7%, 60.4%, 54.1% 이었던반면, 중 고등학생연령군만은자기기재수치의활용비율이 46.9% 로직접측정비율 34.7% 보다 12.2%p 높았다. 기측정수치의차용비율은초등학생이 22.6% 로다른연령군보다높았으며, 대부분당해학기초실시하였던신체검사자료를활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조사대상연구는총 248편이었으나연구마다대상연령군의수에차이가있었기때문에체격자료수집방법의총계는 265 편으로집계되었다. 2. 비만정도의평가방법및비만집단의구분기준 1) 비만정도의평가방법사용실태조사대상연구에서의비만정도평가방법사용실태에대한분석결과를 Table 3에제시하였다. 비만정도의평가를목적으로사용되었던방법은체중 -신장지수가 62.4% 로가장많았고, 상대체중 23.2%, 체지방비율 9.3% 로확인되었다. 이들방법가운데 BMI의사용비율이특히높아서 51.7% 를차지하였다. 체지방비율의사용은연령군별로 5.0~11.5% 이었으며, 연령군별차이가뚜렷하지않았다. 영 유아의경우브로카 ( 변형 ) 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를사용하여비만정도를평가하였던연구는 1 편도없었으며, 성인은 BMI 백분위수, 로러지수를사용하여비만정도를평가하였던연구가 1편도없었다. 체중-신장지수의사용은영 유아 36.3%, 초등학생 50.0%, 중 고등학생 63.3%, 성인 69.5% 로연령이많은집단일수록증가하였다. 체중-신장지수가운데 BMI는영 유아와초등학생이각각 18.2%, 18.1% 이었던반면, 중 고등학생과성인은각각 45.0%, 69.5% 로확인되어중 고등학생과성인의경우비만정도평가에 BMI가가장많이사용되는것으로나타났다. BMI 백분위수사용은영 유아 4.5%, 초등학생 19.4%, 중 고등학생 13.3% 이었으며, 성인은활용이전혀없었다. BMI 백분위수는청소년대상의활용이최근급격히증가하여 2008~2011년에는초등학생의경우가장많이사용되는방법으로확인되었고 (12편), 중 고등학생은 BMI와사용빈도가비슷한수준으로되었다. 로러지수를사용한연구는총 15편, 4.2% 에불과하였으며, 영 유아와초등학생이각각 13.6%, 12.5% 로다른연령군과비교하여사용이많았다. 상대체중가운데체중-신장비의경우사용비율이영 유아 45.5%, 초등학생 29.2%, 중 고등학생 15.0%, 성인 0.5% 로연령이많은집단일수록사용비율이낮았다. 브로카 ( 변형 ) 지수는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성인모두사용이 5% 내외로많지않았으며, 2008년이후에는브로카 ( 변형 ) 지수의활용논문이전혀없었던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영 유아의경우브로카 ( 변형 ) 지수를사용하였던연구는 1 편도없었다. 상대체중가운데대한당뇨병학회에서제시한공식을적용하여표준체중을산출하였던연구는영 유아,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각각 1편씩있었고, 성인대상의연구가 4편으로모두 7편 (2.0%) 에불과하였다. 대한당뇨병학회가제시한상대체중방법을활용하였던연구는모두 2000~2003년연구로한정되었으며, 1999 년이전과 2004 년이후연구에서는활용의예를찾아볼수없었다. 그외표준체중의산출공식을제시하지않았던연구가초등학생대상연구 5편, 중 고등학생대상연구 3편, 성인연구 8편총 16편있었다. 허리-엉덩이둘레비의경우초등학생과중 고등학생각각 1편, 성인 5편이있었으며, 영 유아는 1편도없었다. 체지방비율, 체중-신장지수, 상대체중, 허리-엉덩이둘레비를제외한허리둘레, 허리둘레백분위수, 체중-신장비의백분위수등의방법을기타로분류하였다. 허리둘레를적용하였던연구는모두 7편있었는데모두성인대상의연구이었다. 이중 1편은비만정도를판정하였으며, 나머지 6편 ( 남 여연구 : 4편 ; 남자 : 1편 ; 여자 : 1편 ) 은복부비만여부를판정하는연구이었다. 그리고허리둘레백분위수적용연구 (Kim 등 2011a), 체중-신장비의백분위수적용연구 (Kang & Ryu 2011) 등이있었다. 조사대상연구의연령군별총대상연구집계는 265편이었으나 (Table 2) 연구마다사용하였던평가방법의수에차이가있었기때문에비만정도평가방법분석에서의총대상연구는 354 편으로집계되었다. 2) 평가방법별비만정도의측정및산출 (1) 체지방비율측정체지방함량은모든연구에서전기저항법을활용하여측정하였으며, 다만 2000년의초등학생대상연구 (Park 등 2000) 에서만은칼리퍼측정치에의한체지방함량계산법을적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2) 체중-신장지수산출 BMI와로러지수는연구대상자의신장과체중을적용하는산출공식을활용하여계산하였다. BMI 백분위수의경우백분위수판정의기준으로 1편을제외한모든연구에서우
Table 3. Methods applied to classify obesity groups Age group Children under primary Primary Middle high Adults Year group % body fat Weight-Height Index PIBW 1) BMI Rohrer Broca No WHR 5) Others Total WLR 2) KDA 3) Value Percentile Index Index mention 4) 96 99 00 03 61 2 1 94 04 07 1 63 91 2 4 11 08 11 1 1 4 1 97 1996 2011 62 ( 9.1) 6) 694 (18.2) 91 (94.5) 93 (13.6) 10 (45.5) 1 (4.5) 91 (4.5) 22 (100.0) 1) 96 99 2 65 5 5 1 18 00 03 3 64 91 2 5 1 1 3 1 21 04 07 62 91 1 6 1 1 12 08 11 62 12 1 5 1 21 1996 2011 65 ( 6.9) 1) 613 (18.1) 14 (19.4) 99 (12.5) 21 (29.2) 93 (4.2) 1 (1.4) 95 (6.9) 1 (1.4) 72 (100.0) 1) 96 99 3 66 2 1 1 13 00 03 69 3 3 2 1 1 19 04 07 65 92 2 2 1 12 08 11 67 96 2 1 16 1996 2011 63 ( 5.0) 1) 627 (45.0) 98 (13.3) 93 (95.0) 99 (15.0) 94 (6.7) 1 (1.7) 93 (5.0) 1 (1.7) 91 (1.7) 60 (100.0) 1) 96 99 5 22 7 1 35 00 03 7 32 1 3 4 3 4 54 04 07 5 39 1 2 1 1 49 08 11 6 46 2 0 8 62 1996 2011 23 (11.5) 1) 139 (69.5) 91 (90.5) 11 (5.5) 4 (2.0) 98 (4.0) 5 (2.5) 99 (4.5) 200 (100.0) 1) Total 33 (69.3) 1) 183 (51.7) 23 (96.5) 15 (94.2) 41 (11.6) 18 (5.1) 7 (2.0) 16 (4.5) 7 (2.0) 11 (3.1) 354 (100.0) 7) 1)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2) WLR: Weight-Length Ratio 3) KDA: Korean Diabetic Association 4) Calculation formula of ideal body weight not stated 5)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6) N (%) 7) 354 = 1 205 + 2 36 + 3 20 + 4 3+5 1 (Methods applied: single, 205; 2 methods, 36; 3 methods, 20; 4 methods, 3; 5 methods, 1) 김영남 529
53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리나라신체발육표준치를활용하였는데, 2008년까지의연구는 1998년신체발육표준치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1999) 를활용하였고, 2009년이후의연구는 2007년한국소아및청소년신체발육표준치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8) 를활용하였다. 그러나 BMI 백분위수를사용하였던연구가운데 1편 (Yeoh 등 2009) 만은미국의 2008년신체발육표준치자료를활용하였다. (3) 상대체중의산출체중-신장비는표준체중으로신장별 50th 체중을사용하였는데, 2008년까지의연구는 1998년신체발육표준치 (KSP 1999) 를활용하였고, 2009년이후의연구는 2007 년한국소아및청소년신체발육표준치 (KCDC & KSP 2008) 를활용하였다. 브로카 ( 변형 ) 지수의경우표준체중을산출하는방법이 4 가지있었으며, 이들의활용실태를 Table 4에제시하였다. 신장의차이에따른집단구분없이동일한공식을적용하는브로카법을적용하였던연구는중 고등학생대상연구 2편과성인연구 5편, 총 7편으로, 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00] 0.9를적용하였다. 브로카변형법은신장에따라집단을 2개이상으로구분하여집단별표준체중산출공식을제시하는방법이다 (Lee 등 2008). 신장 150 cm 미만과 150 cm 이상의 2개집단으로구분하였던연구가 3편있었는데 ( 초등학생연구 2편과중 고등학생연구 1편 ), 150 cm 미만 ( 이하 ) 인경우에는 3편모두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00] 을적용하였고, 150 cm 이상일때 2편은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00] 0.9, 1편은표준체중 (kg) = 신장 (cm) - 105를적용하였다. 신장 150 cm 미만 ( 이하 ), 150~160 cm, 160 cm 이상의 3개군으로분류하여각각의표준체중산출방법을제시하였던연구가모두 4편있었는데 ( 중 고등학생 1편과성인 3편 ) 4편모두신장별동일한산출공식을적용하고있었다. 즉신장 이 150 cm 미만 ( 이하 ) 군은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00], 150~160 cm 군은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50] 2 + 50, 160 cm 이상군은표준체중 (kg) = [ 신장 (cm) - 100] 0.9을적용하고있었다. 브로카 ( 변형 ) 지수를사용하여비만정도를평가하였던연구는모두 18편이었으나 (Table 3), 표준체중산출공식을제시하지않은연구를포함하여연구별로신장에따른집단구분에차이가있어총 25편으로집계되었다. 3) 평가방법별비만집단의구분 (1) 체지방비율에의한비만집단의구분체지방비율을사용하여비만집단을구분하였던영 유아의대상의연구가 2편있었는데 (Table 3), 2편모두체지방비율이체중의 25% 이상인경우를비만으로판정하고있었다. 초등학생대상의연구 5편을살펴보았을때 (Table 3), 남 여학생을구분하지않았던 4편의연구에서는체지방 25% 이상 ( 또는초과 ) 인경우비만으로판정하였고, 성별을구분하였던 1편의연구에서는남학생 19% 이상, 여학생 25.7% 이상을비만으로판정하였다. 중 고등학생대상의연구 3편을보면 (Table 3), 여중생의경우비만인의판정기준으로 25% 1편, 30% 1편있었고, 고등학생의경우에는남녀구분없이 30% 를판정기준으로활용하고있었다. 영 유아, 초등학생, 중 고생대상의연구는대상자를정상과비만인의 2개집단으로구분하였으며, 비만인의판정기준만을제시하고비만에해당하지않는대상자는정상으로판정하는방법을활용하고있었다. 체지방비율을적용하였던성인대상연구에서의비만집단구분기준에대한조사결과를 Table 5에제시하였다. 성인대상의체지방비율에의한판정연구는모두 23편으로 (Table 3), 남 여대상의연구가 7편 ( 성별을구분하지않았던연구 2편 ), 여성연구 10편, 남성연구 6편으로구성되었다. 성별을구분하지않은채동일한기준을적용하였던연구 2편은각각체지방비율 25%, 40% 를비만인의판정기준으로적용하였다. 남성대상의연구 11편 ( 남성과여성을 Table 4. Standard weight calculation formula in (Modified) Broca Index 1 group 2 groups 3 groups <150 cm 150 cm < 150 cm 150 160 cm 160 cm Total (Ht-100) 0.9 7 (100.0) 1) 2 (966.7) 4 (100.0) 13 (952.0) Ht 100 3 (100.0) 4 (100.0) 97 (928.0) (Ht 150) / 2 + 50 4 (100.0) 94 (916.0) Ht 105 1 (933.3) 91 (994.0) Total 7 (100.0) 3 (100.0) 3 (100.0) 4 (100.0) 4 (100.0) 4 (100.0) 25 (100.0) 2) 1) N (%) 2) 25 = 0 4+1 7+2 3+3 4 (Total article of 18: no mention, 4; single group, 7; 2 groups, 3; 3 groups, 4)
Table 5. Criteria applied to obesity group classification in adults by percent body fat Gender Male Year group Article n Normal weight Obese, % Bottom limit, % Upper limit, % 14 15 16 19 20 Total 19 20 21 24 25 26 Total 25 26 29 30 33 Total 96 99 3 2 1 3 2 1 3 2 1 3 00 03 3 2 2 2 1 3 2 2 04 07 3 3 3 2 1 3 3 3 08 11 2 2 2 1 1 2 2 2 Total 11 5 (50.0) 1) 2 (20.0) 3 (30.0) 10 (100.0) 3 (27.3) 6 (54.5) 2 (18.2) 11 (100.0) 9 (90.0) 1 (10.0) 10 (100.0) 96 99 4 4 4 3 1 4 3 1 4 00 03 5 1 3 4 2 2 4 4 1 5 Female 04 07 2 1 1 1 1 1 1 2 08 11 4 2 2 4 2 2 4 4 4 Total 15 2 (15.4) 1) 2 (15.4) 2 (15.4) 7 (53.8) 13 (100.0) 2 (15.4) 5 (38.5) 6 (46.2) 13 (100.0) 8 (53.3) 7 (46.7) 15 (100.0) 1) N (%) 김영남 531
53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구분하였던남 여대상연구 5편과남성연구 6편 ) 의경우정상의하한기준은최저 8% 에서최고 24% 까지다양하였으며, 14% 이하가 5편 (50.0%), 15% 이상 5편 (50.0%) 으로연구마다차이가있었으며, 상한기준은 20% 를적용하였던연구가 6편 (54.5%) 으로가장많았고, 19% 이하의연구 3편 (27.3%), 21% 이상을적용하였던연구 2편 (18.2%) 이있었다. 남성의경우비만집단의구분기준을제시하였던 10편연구가운데 9편 (90.0%) 이비만인의체지방비율하한기준으로 25% 를적용하고있었다. 나머지 1 편은대상남성의연령이 40~49세 : 26%, 50~59세 27% 를적용하고있었다 (Rim 등 1998). 여성대상의연구 15편가운데정상의기준을제시하였던연구 13편을보았을때하한기준은최저 13% 부터최고 25% 까지다양하였으며, 6편 (46.2%) 은 19% 이하를, 7편 (53.8%) 은 20% 이상을적용하고있었다. 정상의상한기준으로는체지방비율 25% 가 5 편 (38.5%) 을차지하였고, 24% 이하가 2편 (15.4%), 26% 이상을적용하였던연구가 6편 (46.2%) 있었다. 여성의비만인판정기준으로는 30% 와 33% 의 2가지수치만적용되었으며각각 8편 (53.3%), 7편 (46.7%) 으로유사하였다. 연구시기별체지방비율에따른비만정도판정기준의변화를살펴보았을때, 남성의경우비만인의하한기준은변화가없었으나정상의체지방비율상 하한기준이 2004년이후낮아지는경향으로나타났다. 여성의경우에는정상의하한기준은 2004년이후낮아졌지만정상의상한기준과비만인의기준은오히려높아지는경향을읽을수있었다. (2) 체중-신장지수에의한비만집단의구분 BMI와 BMI 백분위수적용연구의비만집단구분기준사용실태를각각 Table 6, 7에제시하였으며, 로러지수를활용한연구는 15편에불과하였기에표를작성하지않았다. 연구에따라하한기준, 상한기준의제시여부에차이가있었기때문에총계는연구편수와다르게집계되었다. 먼저 BMI를적용하였던연구는모두 183편이었으며 (Table 3), 정상의하한기준으로는 60.4% 가 18.5 를적용하였고, 상한기준으로는 23: 47.8%, 25: 41.0% 로조사되었다.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는 25: 61.5%, 30: 18.6%, 27: 12.8% 로나타났으며,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 BMI 20 을적용하였던연구가 7편 (4.5%) 있었는데, 영 유아대상 2편, 초등학생대상 5편의연구이었다. 영 유아대상연구 2편은정상의기준에대한언급없이비만인의기준으로 BMI 20 이상을적용하였고 (Lee 2006; Lee & Kim 2006), 초등학생대상 5편연구가운데 4편은정상과비만인의 2개집단으로구분하여정상의상한기준과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 동일값을제시하였다. 중 고등학생과성인대상의연구중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 20을적용하였던연구는단 1편도없었다. 연구시기별 BMI에의한비만정도판정기준의변화를살펴보았을때, 2004년이후정상의상 하한기준, 비만인의판정기준으로각각 18.5, 23, 25의활용빈도가뚜렷하게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BMI 백분위수를비만정도를판정하였던연구는모두 23 편있었으며, 성인대상의 BMI 백분위수사용연구는 1편도없었다 (Table 3). 정상의하한기준으로 5th: 81.0%, 15th: 19.0%, 상한기준으로는모두 85th를적용하고있었으며,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는 85th: 26.7%, 95th: 73.3% 가있었다. 비만인의구분기준으로 85th 를적용하였던 4편은모두과체중군을따로구분하지않은채정상과비만인으로구분하였던연구이었다. BMI 백분위수를활용하였던영 유아대상의연구는 1편으로정상의하한, 상한기준은각각 15th, 85th 를적용하였고,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는 85th 를적용하였으며, 즉과체중군을따로구분하지않은채정상과비만인의 2개군으로구분하고있었다 (Kim 등 2006). 초등학생대상연구의경우정상의하한기준으로 5th를적용한연구가 12편으로대부분을차지하였고, 상한기준으로는 14편모두 85th 를적용하고있었고, 비만인판정의하한기준으로는 85th: 2편, 95th: 8편있었고, 나머지 4편은비만인판정기준을제시하지않았다. 중 고등학생의경우초등학생과마찬가지로정상의하한기준과상한기준으로각각 5th, 85th,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 95th 가많았다. 비만인판정기준의연구시기별적용차이는확인할수없었다. 로러지수를활용한연구 15편의정상, 비만인구분기준은연구에따라차이가많았다. 정상을구분하는하한기준은 110~123으로, 110이가장많은 6편, 118: 2편있었고, 120, 121, 123: 각각 1편씩, 미제시 : 4편이있었으며, 정상의상한기준역시 138~180으로연구에따른차이가컸으며, 140: 6편, 150: 4편, 그리고 138, 142, 148, 149, 180: 각각 1편씩있었다. 비만인의하한기준은 140~180 으로, 140과 150: 각각 4편씩, 143, 148, 151, 156, 157, 180: 각각 1편씩, 그리고미제시 : 1편으로구성되었다. (3) 상대체중에의한비만집단의구분상대체중가운데체중-신장비사용연구의비만집단구분기준실태를 Table 8에제시하였다. 정상의하한기준으로는 90이대부분 (94.1%) 을차지하였고, 상한기준으로는 110: 59.0%, 120: 41.0% 로 110이다소많았다.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는 120이 97.0% 로대부분을차지하였고, 130 울적용하였던연구는초등학생대상의연구 1편뿐 (Kim
Table 6. Criteria applied to obesity group classification by BMI Age group Children under primary Primary Middle high Adults 1) N (%) Year Article n Normal weight Obese Bottom limit Upper limit 18 18.5 19 20 Others Total 20 23 24 25 Others Total 20 25 27 30 Others Total 96 99 00 03 1 61 61 61 61 04 07 3 3 63 3 63 2 1 63 08 11 1996 2011 4 61 (25.0) 1) 3 (75.0) 664 (100.0) 1 (25.0) 3 (75.0) 664 (100.0) 2 (66.7) 1 (33.0) 663 (100.0) 96 99 5 61 61 4 61 65 4 61 65 00 03 4 61 61 1 63 64 63 63 04 07 2 61 61 1 61 62 1 61 62 08 11 2 61 61 61 61 62 62 1996 2011 13 62 (50.0) 62 (50.0) 1) 664 (100.0) 6 (50.0) 62 (16.7) 4 (33.3) 612 (100.0) 5 (41.7) 67 (58.3) 612 (100.0) 96 99 6 3 62 65 3 63 66 62 4 66 00 03 9 63 1 64 68 64 2 62 68 65 1 66 04 07 5 65 65 65 65 64 64 08 11 7 67 67 67 67 65 65 1996 2011 27 15 (60.0) 4 (16.0) 66 (24.0) 1) 625 (100.0) 16 (61.5) 5 (19.2) 5 (19.2) 626 (100.0) 16 (76.2) 5 (23.8) 21 96 99 22 61 1 18 1 21 2 19 1 22 61 6 10 2 19 00 03 32 15 1 13 29 64 1 28 1 34 69 7 15 1 32 04 07 39 3 26 67 36 26 11 1 38 27 2 62 31 08 11 46 34 1 35 37 65 42 36 62 38 1996 2011 139 3 ( 2.5) 76 (62.8) 3 (62.5) 38 (31.4) 1) 1 (60.8) 121 (100.0) 67 (49.3) 3 (62.2) 63 (46.3) 3 (62.2) 136 (100.0) 73 (60.8) 15 (12.5) 29 (24.2) 3 (62.5) 120 (100.0) Total 183 3 ( 1.9) 93 (60.4) 7 (64.5) 47 (30.5) 1) 4 (62.6) 154 (100.0) 6 ( 3.4) 85 (47.8) 8 (64.5) 73 (41.0) 6 (63.4) 178 (100.0) 7 (64.5) 96 (61.5) 20 (12.8) 29 (18.6) 4 (62.6) 156 (100.0) 김영남 533
53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Table 7. Criteria applied to obesity group classification by BMI percentile Age group Year Article, n Children under primary Primary Normal weight Obese Bottom limit Upper limit 5th 15th Total 85th 85th 95th Total 04 07 1 1 91 91 1 1 Sub-total 1 1 (100.0) 1) 91 (100.0) 91 (100.0) 1 (100.0) 91 (100.0) 00 03 1 91 1 1 04 07 1 1 91 91 1 1 08 11 12 12 12 12 1 7 8 Sub-total 14 12 (92.3) 1 (997.7) 13 (100.0) 14 (100.0) 2 (920.0) 98 (80.0) 10 (100.0) 04 07 2 2 92 92 1 1 Middle High 08 11 6 95 95 96 3 3 Sub-total 8 95 (71.4) 2 (928.6) 97 (100.0) 98 (100.0) 1 (925.0) 93 (75.0) 94 (100.0) Total 23 17 (81.0) 4 (919.0) 21 (100.0) 23 (100.0) 4 (926.7) 11 (73.3) 15 (100.0) 1) N (%) Table 8. Criteria applied to obesity group classification by weight-length ratio Age group Year group Children under primary Primary Middle High Article Normal weight Obese Bottom limit Upper limit 80 90 Total 110 120 Total 120 130 Total 96 99 00 03 2 2 2 2 2 1 1 04 07 4 3 3 3 3 3 3 08 11 4 1 2 3 2 1 3 2 2 1996 2011 10 1 (12.5) 1) 7 (87.5) 8 (100.0) 7 (87.5) 1 (12.5) 8 (100.0) 6 (100.0) 6 (100.0) 96 99 5 3 3 3 2 5 5 5 00 03 5 4 4 4 1 5 5 5 04 07 6 1 5 6 1 5 6 5 5 08 11 5 4 4 3 2 5 4 1 5 1996 2011 21 1 ( 5.9) 16 (94.1) 17 (100.0) 11 (52.4) 10 (47.6) 21 (100.0) 19 (95.0) 1 ( 5.0) 20 (100.0) 96 99 2 1 1 1 1 2 2 2 00 03 3 3 3 3 3 2 2 04 07 2 2 2 2 2 1 1 08 11 2 2 2 1 1 2 1 1 1996 2011 9 8 (100.0) 8 (100.0) 5 (55.6) 4 (44.4) 9 (100.0) 6 (100.0) 6 (100.0) 96 99 00 03 1 1 1 1 1 1 1 Adults 04 07 08 11 1996 2011 1 1 (100.0) 1 (100.0) 1 (100.0) 1 (100.0) 1 (100.0) 1 (100.0) Total 41 2 ( 5.9) 32 (94.1) 34 (100.0) 23 (59.0) 1 6(41.0) 39 (100.0) 32 (97.0) 1 ( 3.0) 33 (100.0) 1) N (%) 등 2011b) 이었다. 브로카 ( 변형 ) 지수적용연구의비만집단구분기준실태를 Table 9에제시하였다. 정상의하한기준으로는 80 또는 90의 2가지기준이적용되었는데, 중 고등학생대상의연구 1편과 (Lee 등 2004) 성인대상연구 1편 (Son 등 1996) 을제외하고모두 90을적용하였다. 정상의상한기준 으로는 110과 120의 2가지를적용하고있었는데, 110을적용하였던연구가 77.8% 로대부분을차지하였다. 비만인의하한기준은정상의상한기준과마찬가지로 110과 120 의 2가지를적용하고있었으며정상의상한기준과달리 120 을적용하였던연구가 84.2% 로대부분을차지하였다. 즉과체중집단을따로구분하지않는경우에는정상의상한기준
김영남 535 Table 9. Criteria applied to obesity group classification by (Modified) Broca index Age group Primary Middle High Year group Article n Normal weight Obese Bottom limit Upper limit 80 90 Total 110 120 Total 110 120 Total 96 99 1 1 1 1 1 1 1 00 03 1 1 1 1 1 1 1 04 07 1 1 1 Sub-total 3 2 (100.0) 1) 42 (100.0) 42 (100.0) 42 (100.0) 1 (33.3) 42 (66.7) 43 (100.0) 96 99 00 03 2 2 2 2 1 1 2 04 07 2 1 1 2 1 1 2 2 2 Sub-total 4 1 (25.0) 3 (75.0) 44 (100.0) 43 (75.0) 1 (25.0) 44 (100.0) 1 (25.0) 43 (75.0) 44 (100.0) 96 99 7 1 7 8 6 2 8 1 7 8 Adults 00 03 3 3 3 2 1 3 3 3 04 07 1 1 1 1 1 1 1 Sub-total 11 1 (48.3) 11 (91.7) 12 (100.0) 49 (75.0) 3 (25.0) 12 (100.0) 1 (48.3) 11 (91.7) 12 (100.0) Total 18 2 (11.1) 16 (88.9) 18 (100.0) 14 (77.8) 4 (22.2) 18 (100.0) 3 (15.8) 16 (84.2) 19 (100.0) 1) N (%) 과비만인의하한기준이일치하는것이다. 브로카 ( 변형 ) 지수적용연구는편수가많지않아서연구시기별비만인판정기준적용의차이를확인할수없었다. (4) 허리-엉덩이둘레비에의한비만집단의구분허리-엉덩이둘레비를적용하였던연구가모두 7편이있었는데, 초등학생과중 고등학생연구가각각 1편씩있었고, 성인대상연구가 5편있었으며 (Table 3), 비만정도를구분하였던연구 3편, 상 하체비만을판정하였던연구가 4편있었다. 허리-엉덩이둘레비를적용하여비만정도를평가하였던연구를보면 ( 초등학생 1편, 성인 2편 ), 초등학생의경우정상의상한기준으로 0.85, 비만인의하한기준으로 0.90 을적용하였으며, 성인의경우에는비만인남자는 2 편모두하한기준으로 1.0, 비만인여자의하한기준으로 0.85, 0.9를적용하였던연구가각각 1편씩있었다. 상 하체비만판정수단으로허리-엉덩이둘레비를적용하였던연구를보면 ( 중 고등학생 1편, 성인 3편 ), 중학생대상의연구에서는허리-엉덩이둘레비가 0.8 이상이면상체비만, 0.7 이하이면하체비만으로판정하였고, 성인의경우남자는허리-엉덩이둘레비가 1.0 이상일때상체비만으로, 0.85 이하 (2편 ) 일때하체비만으로판정하고있었고, 여자는 0.9 이상일때상체비만 0.75 이하일때하체비만으로판정하고있었다 (2편). 성인여자 ( 비구니스님 ) 대상의연구 1편은상 하체비만의구분기준으로각각 0.87 이상, 0.81 이하를제시하였는데, 이는허리 -엉덩이둘레비가전대상자의 2/3 값을상체비만기준으로, 1/3 값을하체비만기준 으로책정한것이다 (Cha 2001). 고 학술지에게재된연구에서의비만정도의평가방법을본연구자는체지방비율, 체중-신장지수, 상대체중, 허리-엉덩이둘레비, 기타로구분하였으며, 체중-신장지수는다시 BMI, BMI 백분위수, 로러지수로, 상대체중은체중-신장비, 브로카 ( 변형 ) 지수, 대한당뇨병학회, 미제시로세분하였다. 물가지수, 주가지수, 브로카지수, 체감지수등에서보는바와같이지수는다양한의미로사용되고있지만, 본연구에서는지수의수학적의미, 즉 어떤수나문자의오른쪽위에쓰여그거듭제곱을나타내는문자나숫자 (Daum Language Dictionary 2013) 를적용하여신장에거듭제곱항목이공식에포함되어있는 BMI와 BMI 백분위수, 3승의로러지수를체중-신장지수로분류하였다. 대한당뇨병학회의표준체중산출공식의경우 남자의표준체중 = 신장 (m) 5 22; 여자의표준체중 = 신장 (m) 5 21 로 (Lee 등 2008) 신장의제곱항목이포함되어있기때문에체중 -신장지수로구분할수도있겠지만, 표준체중산출공식으로명시되어있기때문에 실제체중 / 표준체중 의상대체중으로분류하였다. 비만정도평가에활용되는평가방법별산출공식은다음과같다 (McArdle 등 1981; Lee 등 2008). 1. 체지방비율 (% body fat) = ( 체지방함량 / 체중 ) 100 찰
536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2. 체중-신장지수 1) BMI = 체중 (kg)/ 신장 (m) 5 2) BMI 백분위수 (BMI percentile): 연령별 BMI 백분위수 3) 로러지수 = [ 체중 (kg)/ 신장 (cm) 6 ] 10 :# 3. 상대체중 = ( 실제체중 / 표준체중 ) 100 또는 [( 실제체중 - 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 1) 체중-신장비의표준체중 : 신장별 50th 체중 ( 한국소아 청소년성장도표, 한국소아및청소년신체발육표준치 ) 2) 브로카 ( 변형 ) 지수의표준체중 (kg): o 신장 (cm) - 100 o 신장 (cm) - 105 o 신장 (cm) - 110 o [ 신장 (cm) - 100)] 0.9 o [ 신장 (cm) - 150] / 2 + 50 3) 대한당뇨병학회의표준체중 (kg): 남자 = 신장 (m) 5 22; 여자 = 신장 (m) 5 21 4. 허리-엉덩이둘레비 = 허리둘레 / 엉덩이둘레비만집단의구분기준으로정상의 BMI 하한기준은최근으로올수록 20의적용비율은감소하였던반면 18.5 적용비율은증가하였다. 1996~1999년은 18.5: 1편, 20: 21 편으로 20이월등히많았고, 2000~2003년은 18.5: 18편, 20: 19편으로유사하였으며, 2004~2007년은 18.5: 32 편, 20: 7편으로 18.5가월등히많았으며, 2008~2011년은 18.5: 42편, 20: 0편으로모든연구에서정상의하한기준으로 BMI 18.5 를적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정상의 BMI 상한기준으로는 23과 25가각각 47.8%, 41.0% 로유사하였는데, BMI 23을적용하였던연구논문은 1996~1999 년 : 0편, 2000~2003년 : 8편, 2004~2007년 : 32편, 2008~2011년 : 45편으로최근에근접할수록적용연구가급격히증가하였으며, 반면 BMI 25를적용하였던연구논문은 1996~1999년 : 23편, 2000~2003년 : 34편, 2004~ 2007년 : 11편, 2008~2011년 5편으로 2004년이후급격히감소하였다. 비만인의 BMI 기준으로는 61.5% 가 25를적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다음으로 BMI 30을적용하였던연구논문이 18.6%, 27을적용하였던연구논문이 12.8% 를차지하였다. 1999 년 WHO는비만인을구분하는 BMI로 30을발표하였으나, 그후아시아태평양지역사람 들의경우 BMI 25의조정기준을제시하였고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Hospital 2013) 그로부터 BMI 25 이상의비만인판정기준을적용하는연구가증가한것이다. 우리나라의경우대한비만학회대사증후군특별위원외는 2012년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인에서비만및복부비만기준을위한체질량지수및허리둘레분별점 연구결과를발표하였는데, 한국성인의경우 BMI 25 이상이면비만으로판정하는것이타당하다고하였다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역시 BMI 25 이상을성인의비만인판정기준으로적용하였으며, 따라서한국인성인의경우비만인판정기준으로국가기관 (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 과대한비만학회에서제시한 BMI 25의적용이바람직할것으로생각된다. 성인을제외한영 유아및청소년의경우에는 BMI 적용의타당성여부및판정기준에대한연구가앞으로이루어져야할것으로생각한다. 영 유아의비만정도판정에사용되는카우프지수의경우 BMI와산출공식은동일하지만영 유아의비만정도를구분함에있어 15~18 은정상으로, 20 이상일때비만으로판정하는것으로제시되어있다 (Lee 등 2008). 본연구에서의영 유아대상연구 3편중 2편은 15~18 을, 1편은 14~17 을정상으로판정하였고, 비만인의판정수치로 2편 20을, 1편은 18.5 를적용하고있어연구에따라판정기준이상이함을알수있었다. 영 유아대상비만판정방법으로 BMI가자주사용되는방법은아니지만사용하는경우판정의기준에대한검토가우선되어야할것이다. 2008~2011년초등학생과중 고등학생의경우 BMI 백분위수활용이현저히증가하였는데최근발표된 2007 국민건강통계 (MHW & KCDCP 2008) 에서 2~18 세소아청소년의비만판정방법으로 BMI 백분위수를활용하였던때문으로생각할수있다. BMI 백분위수의경우조사대상연구에서의비만인의판정기준활용실태는 85th: 26.7%, 95th: 73.3% 로나타났지만, 2007 국민건강통계 (MHW & KCDCP 2008) 에서는 2007 년한국소아청소년성장도표 (KCDC & KSP 2008) 의성별 연령별 BMI 95th 이상을비만으로판정하고있다. 따라서앞으로청소년대상의연구에서는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에서제시하였던방법과기준, 즉 BMI 백분위수활용과비만인판정기준 95th 의사용이바람직할것으로생각된다. 상대체중은 현재체중 / 표준체중 으로표준체중을산정하는방법에따라체중-신장비, 브로카 ( 변형 ) 지수, 대한당뇨병학회로구분하였다. 체중-신장비의경우표준체중의산
김영남 537 정기준으로신장을활용하며, 즉한국소아 청소년신체발육표준치에서신장대비 50th 체중을표준체중으로하는방법이다. 브로카 ( 변형 ) 지수는공식을적용하여표준체중을산정하는것으로신장에따른집단의구분없이일률적으로동일한공식을적용하는브로카원법과신장에따른 2개또는 3개집단별로각기다른공식을적용하여표준체중을산출하는브로카변형법으로구분하고있다 (Mo 1992; Lee 등 2007). 최근복부내장지방을반영하는지표로서허리둘레의중요성이부각되고있으나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연구대상논문에서의사용빈도는많지않았다. 허리둘레는신체부위의비만정도, 즉복부비만의판정기준으로활용되는경우가많았으며, 허리둘레가남자 90 cm 이상, 여자 85 cm 이상인경우복부비만으로판정하는것이타당하다고제시되어있지만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여자 80cm 를판정기준으로활용하였던연구도있었다 (Ahn 등 2011). 조사대상연구가운데허리둘레를적용하였던연구가 7편있었는데모두성인대상의연구이었으며, 이중 1편은비만인판정, 나머지 6 편은복부비만을판정하는연구이었다. 그리고허리둘레백분위수를적용하였던연구가 1편있었다 (Kim 등 2011a). 현재활용되는비만정도의평가방법으로영 유아신장 -체중비, 초등학생과중 고등학생 BMI 벡분위수, 성인은 BMI가대표방법으로나타났다. 따라서비만정도의평가방법및비만인을판정기준으로영 유아 : 신장-체중비 120, 청소년 : BMI 백분위수 95th, 성인 : BMI 25가바람직할것으로생각할수있다. 요약및결론 본연구는 1996~2011년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에게재된비만도관련연구 248편을대상으로비만정도의평가방법및비만집단의구분기준에대하여살펴보았다. 1. 체격자료의수집방법은직접측정이 52.5%, 자기기술이 28.7% 이었다. 중 고등학생연령군을제외한모든연령군에서직접측정이 54.1%~66.7% 로가장많았으며, 중 고등학생연령군만은자기기술이 46.9% 로직접측정 34.7% 보다많았다. 2. 비만정도의평가방법에대한조사에서체중-신장지수 (BMI, BMI 백분위수, 로러지수 ) 사용빈도가 62.4% 로가장많았고, 상대체중 ( 체중-신장비, 브로카지수, 대한당뇨병학회 ) 23.2%, 체지방비율 9.3% 로나타났다. 체중-신장지수가운데 BMI는 51.7% 로다른방법보다사용빈도가월 등히높았으며, 다음은체중-신장비 11.6%, 체지방비율 9.3% 의순이었다. 브로카 ( 변형 ) 지수를적용하였던연구는 2008 년이후단 1편도없었기에최근에는사용하지않는방법으로간주된다. 대한당뇨병학회의상대체중활용연구는 2000~2003년발표연구로한정되었으며, 1999년이전과 2004 년이후연구에서는활용의예를찾아볼수없었다. 연령군별평가방법을살펴보면, 영 유아연령군은체중 -신장비, 중 고등학생과성인은 BMI의사용빈도가높았다. 초등학생의경우 BMI는점차할용이감소하였고, BMI 백분위수는 2008 년이후급격히증가하여최근가장많이활용되는방법으로나타났다. 중 고등학생의경우 BMI는연구시기와상관없이가장많이사용되는방법이기는하지만최근들어 BMI 백분위수활용이 BMI에근접한수준까지증가하였다. 영 유아의경우브로카 ( 변형 ) 지수, 허리 - 엉덩이둘레비, 성인은 BMI 백분위수, 로러지수를사용하여비만정도를평가하였던연구는 1편도없었다. 3. 평가방법별비만정도측정, 산출수단을조사하였을때, 체지방비율은대부분의연구에서전기저항법을활용하여측정하였다. BMI 백분위수와신장 -체중비의경우거의모든연구에서표준체중으로한국소아 청소년신체발육표준치의신장대비 50th 체중을적용하고있었고, 브로카 ( 변형 ) 지수의경우에는신장별대상자집단의구분방법에따라, 연구에따라 4종류의표준체중산출방법을활용하고있었다. 4. 비만집단의판정기준에대한조사에서일관된판정기준을적용하였던평가방법은한가지도없었다. 체지방비율의경우비만인판정기준이 19~40% 로다양하였으며, 성인의경우남성은 25%, 여성은 30% 또는 33% 를적용하였던연구가대부분이었다. BMI에의한비만인판정기준은 20~30 으로다양하였으나, 25 가가장많았다. BMI 백분위수에의한비만인판정기준으로 85th 와 95th 가있었으며 95th 가대부분을차지하였다. 체중-신장비의경우에는 120 을비만인으로판정하고있었으며, 브로카 ( 변형 ) 지수역시대부분의연구에서 120을비만인판정기준으로활용하고있었다. 비만인의판정기준이연구에따라서로다른것은비만정도에따른집단구분에있어과체중군의분리여부때문인경우가많았다. 결론적으로비만정도의평가방법으로우리나라연구자들은체지방비율의측정보다는간접방법에해당하는체중- 신장지수와상대체중의사용빈도가높았으며, 특히 BMI의사용이가장많았다. 비만정도에따른집단구분기준역시연구마다상이하였고, 동일한기준이적용되었던평가방법은하나도없었다. 다만 BMI의경우 WHO, 국제비만연구협회 (IASO), 국제비만테스크포스 ((IOTF) 의아시아인을위
53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게재논문에서의한국인비만판정에관한연구 한기준발표가있었던 2000 년부터대부분의연구에서정상 18.5~23, 비만인 25 이상을적용하였던것으로나타났다. 앞으로비만정도의평가방법으로직접측정법에해당하는체지방비율측정연구가활발하게이루어지기를기대하며, 비만집단의구분에있어비만인의용어사용, 즉과체중군의분리여부에대한합의가필요할뿐아니라, 비만인집단의판정에대한표준기준이평가방법별로마련되어야할것으로생각한다. References Ahn Y, Bae J, Youn JE, Kim HS (2011): Needs assessment for webbased self-management program by the nutrition knowledge levels of diabetic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1): 155-168 Cha BK (2001): A study of nutrient intake states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buddist nuns. Korean J Community Nutr 6(2): 227-233 Chung HK, Kang JH, Shin MJ (2010):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in Korean women according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Community Nutr 15(5): 694-703 Daum Language Dictionary(2013): Obesity. Available from http:// dic.daum.net [cited 2013 April 10] Kang JH, Ryu HK (2011): A study of the sustainability of NutriPlus program effect -in Poha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2): 206-214 Kim JY, Han YS, Bae HS, Ahn HS (2006):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and iron indices on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75-586 Kim K, Son SM, Kim HK (2011a):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2005 Korean national n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4): 439-453 Kim MS, Choi MS, Kim KN (2011b):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and dietary patterns of some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6(4): 426-43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s Society (2008):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Available from http/ /:blog.daum.net/rosaku/936 [cited 2013 April 23]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Fact Sheer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Available from http:// www.kosso.or.kr [cited 2013 August 12] Kukminilbo (2010): Opinion an editorial article (2010.03.30). Available from http://www.kinds.or.kr/ [cited 2013 April 16]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Hospital (2013): Kyung He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khmc.or.kr/ [cited 2013 July 16] Lee HS, Kim BE, Cho MS, Kim WY (2004):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thropometric data and serum profiles among high residing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5): 589-596 Lee JH, Kim C (2006): Effect of mothers' wean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Korean J Community Nutr 11(5): 551-561 Lee J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 children in different income level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1(2): 161-171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08): Nutritional assessment, Revised. Kyomunsa, Paju, pp.117-122 Lee YM, Kim JH (1998): Nutritional assessment, Hyoilmunhwasa, Seoul, pp. 143-153 McArdle WD, Katch FI, Katch VL (1981): Exercise physiology. Lea & Febiger, Philadelphia, pp.368-370 Merriam-Webster Dictionary (2013): Obesity. Available from http:// 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 [cited 2013 April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Korean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th period 1st year 2007, p. 56 Mo SM (1992): Diet therapy, Kyomunsa, Paju, pp.240-250 MoodeungIlbo (2013): News (2013.04.09). Available from http:// www.kinds.or.kr/ [cited 2013 April 16] Park YS, Chun HJ, Song BK (2000): Determining obesity frequency of rural children by skinfold thickness, analyzing their KAP related to obesity and obesity camp strategy. Korean J Community Nutr 5(3): 502-512 Rim JCK, Kang SA, Wee H (1998): The associations of percent body fat with dietary intakes, plasma lipids, lipoprotein(a), and PAI-I in middle aged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3(5): 695-706 Shin EK, Lee YK (2005): Health status by anthropometric values and serum biochemical indices of pre children in day-care centers in Gumi. Korean J Community Nutr 10(3): 253-263 Son SM, Park YJ, Koo J, Mo S, Yoon YY, Sung CJ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s - Korean J Community Nutr 1(1): 79-88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1999): 1998 Physical growth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in Korea. The Yeongnamilbo (2013): Opinion News (2013.04.11). Available from http://www.kinds.or.kr/ [cited 2013 April 16] The Hankyoreh (2012): Opinionㆍan editorial article (2012.05.05). Available from http://www.kinds.or.kr/ [cited 2013 April 16]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13): List search of obesity in title. Available from http://koscom.or.kr/ [cited 2013 April 9] Yeoh YJ, Yoon J, Shim JE (2009):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4(1):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