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간 사 정부가 1989년을 기초연구진흥 원년으로 선포한 이후 우리나라의 기초연구 투자규모가 매년 큰 폭으로 상승하여, 1989년 4,045억원에 불과하였던 기초연구 투자규모가 2007년에는 4조 9,187억원으로 늘어나 동 기간 동안 약 12배가 증가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SCI논문 수는 1989년 1,382편(세계29위) 에서 2008년 35,569편(세계12위)으로 늘어나 약 26배나 증가하였습니다. 이처럼 양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기초연구는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수준 은 1993년 세계31위(1.33회)에서 2008년 세계30위(3.28회)로 소폭 상승에 그쳐 여전히 OECD 국가 중 하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세계평균(2008년 4.62회)과도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 은 1.5%(세계 16위)로 SCI논문 점유율(2008년 2.4%) 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며,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고피인용 과학자(ISIHIGHLYCITED.COM)(총 6,332명) 점유율도 0.06%(4명)에 불과해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이 선진국들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일본은 노벨상 후보로 거론 되는 고피인용 과학자군이 총 260명(4.11%)으로 우리나라의 65배에 달하고, 2008년에는 4명(현재까지 총 13명)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기초 연구의 질적 수준이 우리나라를 압도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최근 들어 SCI급 학술지에 대한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논문 게재수가 괄목할만하게 증가 하였으나 영향력이 높은 고피인용 논문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입니다. 본 보고서는 질적 수준이 우수한 논문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1% 및 0.1% 에 해당하는 한국인 과학자 논문현황 분석 자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논문은 1998년 29편에서 2008년 133편으로 괄목할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우리 나라 기초연구의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입증하는 과학적 증거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0.1% 에 해당하는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은 105편이며, 이 중 60편의 논문 사사(acknowledgement)에 국내지원기관이 표기 되어 있습니다. 지원기관이 표기된 60편의 논문 중 정부부처와 관련이 있는 논문은 총 56.7편(94.4%)이며, 이중 교육과학기술부와 관련된 논문은 총 54.3편 (90.6%)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3년간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은 549편이며, 이 중 248편 (45.2%)이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R&D사업(기초과학연구사업, 특정연구개발사업, 학술연구조성사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과학기술국제화사업)의 지원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처럼 질적으로 우수한 논문은 대부분이 정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산출 되므로 우리나라가 노벨과학상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의 확대와 더불어 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 합니다. 아무쪼록 동 보고서가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고, 기초연구 진흥과 관련된 과학기술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의 내용은 저자들의 견해이며, 한국연구재단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2009. 9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요 약 문 ⅺ I. 서론 1 1. 분석배경 1 2. 분석목표 3 II. 분석 개요 3 1. 분석도구 3 2. 분석범위 4 3. 분석기준 4 4. 분석의 한계 8 III. ESI의 이해 9 1. SCI(Science Citation Index) 개요 9 2.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개요 12 IV.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15 1. 총괄 15 2. 연구주체별 실적 17 3. 주요 기관별 실적 18 4. 연구 분야별 실적 19 5. 피인용 통계 26 6. 국제협력 실적 31 7. 국내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실적 35 8.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의 실적 37 - v -
V. 피인용 상위 0.1%논문 현황 39 1. 총괄 39 2. 연구주체별 실적 41 3. 주요 기관별 실적 42 4. 연구 분야별 실적 44 5. 피인용 통계 49 6. 국제협력 실적 50 7. 저자별 실적 55 8. 국내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실적 56 9. 연구지원기관 및 사업별 현황 58 VI. 정책적 시사점 61 부록Ⅰ. SCI 관련 주요 통계 모음 65 부록Ⅱ.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사용 매뉴얼 73 부록Ⅲ. 피인용 상위 0.1% 한국인 과학자 논문 목록 89 부록Ⅳ. 피인용 상위 0.1% 한국인 과학자 논문 요약 99 참고 문헌 206 - vi -
<표 1>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와 SCI논문 실적 1 <표 2> SCI 고피인용(Highly Cited) 한국인 연구자 2 <표 3> 상위 1%논문 기준피인용수(1998~2008) 5 <표 4> 상위 0.1%논문 기준피인용수(1998~2008) 7 <표 5> SCI DB 종류 및 개요 10 <표 6> ESI 22개 분야 분류표 13 <표 7> 국가별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 현황 15 <표 8> 한국인 과학자의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16 <표 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제1저자 기준) 16 <표 1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 NSC논문 현황 16 <표 1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17 <표 1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제1저자 기준) 17 <표 1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현황 18 <표 1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현황(제1저자 기준) 18 <표 1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 19 <표 16> 한국인 과학자 전체논문/상위 1%논문 분야별 비교 20 <표 1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제1저자 기준) 21 <표 1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강점 분야 현황 22 <표 1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강점 분야 현황(제1저자 기준) 23 <표 2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 24 <표 2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제1저자 기준) 25 <표 2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저자 역할별 평균 피인용수 26 <표 2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 27 <표 2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제1저자 기준) 27 <표 25>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피인용수 상위 10위 현황 28 - vii -
<표 26>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분야별 피인용수 1위 현황 29 <표 27>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분야별 피인용수 1위 현황(제1저자 기준) 30 <표 2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31 <표 2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제1저자 기준) 31 <표 3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연구 현황 32 <표 3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연구 현황(제1저자 기준) 33 <표 3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 34 <표 3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제1저자 기준) 34 <표 3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 35 <표 3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제1저자 기준) 35 <표 36>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협력유형별 평균 피인용수 36 <표 3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협력유형별 평균 피인용수(제1저자 기준) 36 <표 38> 최근 3년간 교과부 3대 R&D사업 피인용 상위 1%논문 게재현황 37 <표 39> 교과부 주요 연구개발사업의 피인용 상위 1%논문실적(세부사업별 현황) 38 <표 4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도별 현황 39 <표 4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도별 현황(제1저자) 39 <표 4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도별 현황(교신저자) 40 <표 4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 NSC논문 현황 40 <표 4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41 <표 4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기관별 현황 42 <표 46>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기관별 현황(제1저자 기준) 42 <표 4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기관별 현황(교신저자 기준) 43 <표 4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 44 <표 4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주저자) 44 <표 50> 한국인 과학자 전체논문/상위 1%논문 분야별 비교 45 <표 5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 46 <표 5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 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주저자 기준) 46 <표 5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관련 세부 선도영역개척 분야 47 <표 5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저자역할별 평균 피인용수 49 <표 5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 피인용수 49 - viii -
<표 56>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50 <표 5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주저자 기준) 50 <표 5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협력국가별 현황 51 <표 5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협력국가별 현황(주저자 기준) 51 <표 6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 현황 52 <표 6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 현황(주저자 기준) 53 <표 6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피인용수 54 <표 6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피인용수(주저자 기준) 54 <표 6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주요 저자별 현황(주저자 기준) 55 <표 6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 56 <표 66>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주저자 기준) 56 <표 6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피인용수 57 <표 6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피인용수(주저자 기준) 57 <표 6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지원 기관별 현황 58 <표 7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교과부 세부 지원사업별 현황 59 <표 71> 우리나라 기초연구비 대비 피인용 상위 0.1% 및 1% 논문수 61 <표 72> 우리나라 SCI논문 점유율과 상위 1%논문 점유율 비교 62 <표 73> 노벨과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고피인용 과학자군 현황 62 <표 74> 한국인 과학자 주요분야 고피인용 논문 국제협력비율 64 <표 75> 한국인 과학자 고피인용 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 64 - ix -
<그림 1> 상위 1% 기준피인용수의 연도별 증가 배수 6 <그림 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17 <그림 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저자 역할별 평균 피인용수 26 <그림 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 27 <그림 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31 <그림 6> 교과부 주요 R&D 사업별 피인용 상위 1%논문현황(2008년) 37 <그림 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발표 현황 40 <그림 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41 <그림 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50 <그림 1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주요분야별 국제협력연구 현황 53 <그림 11> 기초연구비와 피인용 상위 0.1% 및 1% 논문과의 상관관계 61 <그림 12> 한국인 과학자 고피인용 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 64 - x -
요 약 문 1. 분석목적 질적 수준이 우수한 고피인용 논문(피인용 상위 1% 및 0.1%)현황을 분석 하여 우리나라 기초 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 도출 2. 분석대상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1% 및 0.1% 논문(Highly Cited Paper) 중 한국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본 보고서에 수록된 고피인용 논문은 최근 11년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22개 분야 및 연도별 피인용수를 기준으로 추출함(ESI 1998~2008) 3. 분석결과 한국인 과학자의 고피인용 논문이 지속적으로 증가 피인용 상위 1%논문 4.6배 증가(ʼ98년 29편 ʼ08년 133편) 피인용 상위 1% 제1저자 논문 5.9배 증가(ʼ98년 14편 ʼ08년 83편) <우리나라의 고피인용 논문 증가추이(1998~2008)> 300 250 200 150 100 50 0 1 29 49 14 26 상위1% 상위1%(제1저자) 상위0.1% 6 6 69 49 88 8 7 63 67 107 128 7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17 14 140 87 14 161 96 13 100 177 239 12 128 83 133 7 18 16 14 12 10 8 6 4 2 0 - xi -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은 세계 16위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은 1.5%로 세계 16위를 기록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 비교표> 피인용 상위 1%논문 (ʼ99. 1 ~ ʼ09. 4) SCI 논문 (2008년도) 국 가 순위 논문 비율 순위 논문 비율 미 국 1 52,453 58.4 1 340,638 23.22 중 국 8 3,907 4.3 2 112,804 7.69 영 국 2 13,052 14.5 3 91,273 6.22 독 일 3 9,926 11.0 4 87,424 5.96 일 본 6 5,413 6.0 5 79,541 5.42 프랑스 4 6,213 6.9 6 64,493 4.40 한 국 16 1,358 1.5 12 35,569 2.42 주) ESI DB는 격월 단위로 갱신되는 DB로 데이터의 다운로드 시점에 따라 논문수가 달라질 수 있음. 본 분석대상 논문(1,320편)은 ESI 4월 기준이며, 국가별 한국인 논문(1,358편)분석은 ESI 8월 기준임 한국의 고피인용 논문은 주로 물리/화학분야의 성과 전체논문(공저논문 포함)을 기준으로 할 때는 물리분야가 고피인용 논문을 가장 많이 산출 제1저자 또는 주저자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는 화학분야가 고피인용 논문을 가장 많이 산출 <주요 연구분야별 고피인용 논문 점유율> 구 분 피인용 상위 1%논문 피인용 상위 0.1%논문 전체논문 제1저자 논문 전체논문 주저자 논문 물 리 학 18.9% 12.2% 30.5% 13.6% 화 학 18.9% 24.8% 14.3% 31.8% 공 학 14.3% 20.0% 10.5% 13.6% 재 료 과 학 14.2% 18.2% 10.5% 13.6% 임 상 의 학 7.7% 5.8% 11.4% 13.6% 기타(17개 분야) 26.0% 19.0% 22.8% 13.8% 주) 주저자 :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 논문을 의미 - xii -
고피인용 논문은 대부분이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피인용 상위 1%논문의 94.0%가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피인용 상위 0.1%논문의 96.1%가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성과 서울대가 고피인용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 <연구주체별 고피인용 논문 점유율> 구 분 대 학 공공연구기관 민간연구기관 합 계 상위 1%논문 83.3% 10.7% 6.1% 100% 상위 0.1%논문 87.8% 8.3% 3.9% 100% <기관별 고피인용 논문 점유율 비교> 순 위 피인용 상위 0.1%논문 기 관 논문수 비율 평균 피인용 피인용 상위 1%논문 기 관 논문수 비율 평균 피인용 1 서울대학교 38 21.1% 364.3 서울대학교 325 15.7% 124.7 2 연세대학교 17 9.4% 482.8 연세대학교 159 7.7% 124.1 3 POSTECH 16 8.9% 265.9 고려대학교 134 6.5% 84.1 4 고려대학교 15 8.3% 214.6 POSTECH 122 5.9% 110.1 5 KAIST 9 5.0% 282.2 KAIST 114 5.5% 100.6 고피인용 논문은 대부분이 정부가 지원한 성과 최근 11년간 피인용 상위 0.1%에 해당하는 한국논문은 105편이며, 이 중 60편의 사사(acknowledgement)에 국내 지원기관이 표기 통상 특정저자의 기여도가 낮은 경우 동 저자에 대한 지원기관 표기가 생략됨 지원기관이 표기된 60편의 논문 중 정부부처와 관련이 있는 논문은 총 56.7편(94.4%)이며, 이중 교육과학기술부와 관련된 논문은 총 54.3편 (90.6%)임 - xiii -
<지원기관별 피인용 상위 0.1%논문 현황> 지원기관 표기 有 구분 정부 부처 교과부 복지부 농수산부 기상청 소계 논문수 54.3 1.5 0.5 0.3 56.7 (58) (3) (1) (1) (63) 점유율 90.6% 2.5% 0.8% 0.6% 94.4% (84.1%) (4.3%) (1.4%) (1.4%) (91.3%) 공공 기관 2.3 (4) 3.9% (5.7%) 민간 기관 1 (2) 1.6% (2.8%) 합계 60 (69) 100% (100%) 지원 기관 표기 無 45 총계 105 (114) 주) ( )밖의 수는 복수의 기관에서 지원을 받은 경우 논문 1편을 지원기관수로 나눈 수치임 ( )안의 수는 복수의 기관에서 지원을 받은 경우 각각을 1편으로 인정하여 합산한 수치임 교과부 주요 R&D사업이 고피인용 논문의 45.2%를 산출 최근 3년간 게재된 한국과학자의 피인용 상위 1%논문 549편 중 248편 (45.2%)이 교과부 주요 R&D사업(기초과학연구사업, 특정연구개발사업, 학술 연구조성사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과학기술국제화사업)으로 산출된 성과 최근 11년간 게재된 한국과학자 피인용 상위 0.1%논문 중 지원기관이 표기된 논문은 60편이며, 이 중 34편(56.7%)이 교과부 주요R&D사업으로 산출된 성과임 <최근 3년간 교과부 주요 R&D사업 피인용 상위 1%논문 게재현황> 구 분 2006 2007 2008 합계 국가 전체 177편 239편 133편 549편 교과부 주요 R&D사업 75건 (42.4%) 112건 (46.9%) 61건 (45.9%) 248건(45.2%) 주) ʾ06년 및 ʾ07년은 기존 과학재단 관리 사업만을, ʾ08년은 교과부 주요 R&D사업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 <최근 11년간 교과부 주요 R&D사업 피인용 상위 0.1%논문 게재현황> 구 분 ʾ98~ʾ02 ʾ03 ʾ04 ʾ05 ʾ06 ʾ07 ʾ08 합계 국가 전체 28 17 14 14 13 12 7 105 전 체 교과부 주요 R&D사업 10 3.8 6.5 2.5 6 4.2 1 34 국가 전체 16 14 8 7 8 6 1 60 지원기관 표기 有 교과부 주요 10 3.8 6.5 2.5 6 4.2 1 34 R&D사업 - xiv -
우수연구센터 창의사업에서 고피인용 논문을 가장 많이 산출 최근 11년간 교과부 지원을 통해 게재된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0.1% 논문 58편 중 12.6편이 우수연구센터, 6.5편이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을 통해 산출 <최근 11년간 교과부 주요 사업별 피인용 상위 0.1%논문 게재현황> 기초과학연구사업 특정연구개발사업 학술 구 분 우수연구 프론 국제화 BK21 기타 합계 창의 기타 합계 기타 합계 조성 센터 티어 논문수 12.6 6.5 2.7 21.8 1.8 1.5 3.3 6.8 2.0 6.2 17.9 58 점유율 21.7% 11.2% 4.7% 37.6% 3.2% 2.5% 5.7% 11.8% 3.4% 10.6% 30.9% 100% 주저논문 기준 최다 피인용 연구자는 포항공대 김기문 교수 총설논문(Review) 및 정규논문 기준 최다 피인용 연구자는 연세대 권영준 교수임 순 위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논문 현황> 게재 연도 학술지명 논 문 명 한국인 저자 1 2004 Physics Letters B Journal Of Physics 2 2006 G-Nuclear And Particle Physics 3 1998 Physical Review Letters 4 2003 Nature 5 2000 Nature Review Of Particle Physics Review Of Particle Physics Evidence For Oscillation Of Atmospheric Neutrinos Reticular Synthesis And The Design Of New Materials A Homochiral Metal-Organic Porous Material For Enantioselective Separation And Catalysis 권영준 /연세대 권영준 /연세대 김수봉 /서울대 논문 유형 분야 피인용 횟수 한국인 저자 역할 Review 물리학 2,965 공저자 Article 물리학 2,263 공저자 Article 물리학 2,031 공저자 채희권 /한국외대 Review 화학 1,185 공저자 (현:서울대) 김기문외 6인/ 포항공대 Article 화학 1,101 주저자 - xv -
서울대 현택환 교수가 고피인용 논문을 가장 많이 게재 피인용 상위 0.1%논문(주저자 논문 기준)을 가장 많이 게재한 연구자는 서울대 현택환 교수임 <피인용 상위 0.1%논문 최다 게재자(서울대 현택환 교수) 논문 현황> 저자명 소속 저 널 명 현택환 서울대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Chemical Communications 게재 연도 피인 용수 2001 491 2002 353 2003 291 논 문 명 Synthesis Of Highly Crystalline And Monodisperse Maghemite Nanocrystallites Without A Size-Selection Process Fabrication Of Hollow Palladium Spheres And Their Successful Application To The Recyclable Heterogeneous Catalyst For Suzuki Coupling Reactions Chemical Synthesis Of Magnetic Nanoparticles Nature Materials 2004 328 Advanced Materials 2006 95 Ultra-Large-Scale Syntheses Of Monodisperse Nanocrystals Recent Progress In The Synthesis Of Porous Carbon Materials(Review논문) 4. 정책적 시사점 우수한 논문은 대부분이 정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산출되므로 우리나라가 노벨과학상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확대와 더불어 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 세계 정상급 기초연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과 같은 선택과 집중형 R&D사업과 우수연구센터와 같은 연구거점 육성사업을 꾸준히 지원할 필요가 있음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 높이기 위해서는 국제공동연구를 확대해야 함 - xvi -
Ⅰ. 서 론 I. 서 론 1. 분석배경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가 총 연구개발투자가 꾸준히 증가 특히, 국가 총 연구개발비 중 기초연구 비중이 꾸준히 증가 - 1993년(13.1%) 2002년(13.7%) 2007년(15.7%) <표 1>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와 SCI논문 실적 구분 당해년도 (억원) 국가총연구개발비 기초연구 투자비중 (%) PPP달러 (Mil) 연구원 수 SCI논문의 양적 수준 논문수 세계 순위 세계 점유율 SCI논문의 질적 수준 5년주기 평균 피인용수 세계 순위 1993 61,530 13.1 9,910 98,764 2,966 28 0.42 1.33 31 1994 78,947 14.3 12,041 117,446 3,963 24 0.53 1.41 34 1995 94,406 12.5 13,681 128,315 5,390 23 0.69 1.46 33 1996 108,781 13.2 15,282 132,023 6,437 21 0.80 1.58 33 1997 121,858 13.3 16,637 138,438 7,870 18 0.96 1.69 33 1998 113,366 14.6 14,789 129,767 9,854 16 1.13 1.77 33 1999 119,218 13.6 15,793 134,568 11,332 16 1.27 1.88 34 2000 138,485 12.6 18,494 159,973 12,494 16 1.39 2.01 35 2001 161,105 12.6 21,280 178,937 14,904 15 1.61 2.19 34 2002 173,251 13.7 22,507 189,888 15,923 14 1.71 2.39 33 2003 190,687 14.5 23,969 198,171 18,839 14 1.86 2.63 30 2004 221,853 15.3 27,936 209,979 19,392 14 1.96 2.80 30 2005 241,554 15.3 30,618 234,702 23,099 14 2.03 3.05 30 2006 273,457 15.2 35,886 256,598 23,297 13 2.05 3.27 28 2007 313,014 15.7 41,742 289,098 25,494 12 2.17 3.44 30 <자료 출처> NTIS 과학기술통계 & MSTI 2009/1(OECD) & NSI 1981-2007 1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이에 따라 기초연구의 양적 지표인 SCI논문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 1993년 2,966편(세계 28위)에 불과하던 SCI논문 수가 2008년에는 35,569편 (세계 12위)으로 늘어나 동 기간동안 12배가 증가 그러나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 2008년 기준 최근 5년간(ʾ04년~ʾ08년) 발표한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수는 3.28회(세계 30위)로 세계 평균 4.62회에 훨씬 못 미치는 수치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없는 실정 노벨과학상은 한 국가의 과학기술 수준, 국제화 정도, 국가경쟁력 등을 측정 하는 국제적인 지표로 활용(IMD과학경쟁력 평가항목의 하나) 일본은 2008년 4명 등 현재까지 13명의 수상자를 배출 1) - 일본 이외에도 아시아 국가 중에는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이 수상자를 배출 한국인 연구자 중 노벨과학상에 근접한 연구자로 평가되는 SCI 고피인용 <표 2> SCI 고피인용(Highly Cited) 한국인 연구자 성명(국문) 소속기관 기관소재 분 야 김수봉 서울대학교 대한민국 Physics 박수문 포항공과대학교 대한민국 Materials Science 유병삼 연세대학교 대한민국 Economics/Business 정상욱 포항공대/Rutgers대 대한민국/미국 Physics 피터 김 Merck Research Laboratories 미국 Biology & Biochemistry 홍완기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미국 Clinical Medicine 한창대 University of Akron 미국 Materials Science 최원규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미국 Neuroscience 이창용 Cornell University 미국 Agricultural Sciences 신강근 University of Michigan 미국 Computer Science 김용원 UES Inc. 미국 Materials Science 김정빈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미국 Engineering <자료 출처> ISIHIGHLYCITED.COM(홈페이지: hcr3.isiknowledge.com/home.cgi) 1)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난부 요이치로( 南 部 陽 一 郞 )는 미국국적이지만, 일본계 과학자로 포함한 수치임 2
Ⅱ. 분석 개요 (Highly Cited) 연구자 2) 는 4명(한국계 연구자를 포함할 경우 13명)에 불과한 반면, 일본은 260명으로 우리나라의 65배 수준 이에 질적 수준이 우수한 논문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수준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 도출할 필요성 증대 피인용 상위 1% SCI논문에 대한 국제비교, 분야별 비교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강점분야와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할 필요성 증대 2. 분석목표 국가과학기술역량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는 피인용 상위 1%논문(Highly Cited Paper 3) )에 게재된 한국인 과학자의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초 원천연구의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 도출 II. 분석 개요 1. 분석도구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본 보고서에 수록된 피인용 상위 1% 및 상위 0.1% 논문현황의 분석은 주로 ESI-Baseline 4) (1998~2008)을 기준으로 함 단, 일정 부분은 최신 통계를 보여주기 위해 ESI-Baseline(1998~2008)를 활용함 2) SCI DB를 발간하는 Thomson Reuters사에서 분야별 고피인용 연구자 6,332명 발표(분야별 상위 250명 정도), 1981~2005년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 고피인용자 추출 3) Highly Cited Paper는 Thomson Reuters가 제작하는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DB에서 제공하는 지표로 최근 10년 이내에 발표된 SCI 논문 중 동일 게재년도 및 분야별 피인 용수 기준으로 상위 1%에 속하는 논문임. 통상 Highly Cited Paper는 해당 분야 내에서 학문적 영향력이 높은(질적 수준이 높은) 논문으로 간주됨 4) Base Line : 22개 분야 및 년도별 피인용 상위 0.01%, 0.1%, 1%, 10%, 20%, 50%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피인용횟수에 대한 기준 제공(ESI DB) 3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기타 활용 자료 Web of Science : ESI에서 제공하지 않은 SCI 논문 통계 피인용 상위 0.1% 한국논문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개별 논문의 사본을 입수하여 해당논문의 연구비 지원기관 등을 조사 2. 분석범위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분석 분석대상 : 피인용 상위 1%논문(Highly Cited Paper) 중 한국인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 피인용 상위 1%논문은 최근 11년(1998~2008)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22개 분야 및 연도별 피인용수 기준으로 상위 1%에 해당하는 논문임 분석방법 : 계량서지학적(bibliometric method) 연구방법 분석내용 : 분야별 기관별 연구사업별 현황 등 피인용 상위 0.1%논문 현황 분석 분석대상 : 한국인 과학자가 발표한 피인용 상위 0.1%논문 - 피인용 상위 0.1%논문은 최근 11년(1998~2008) 동안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22개 분야 및 연도별 피인용수 기준으로 상위 0.1%에 해당하는 논문임 분석방법 : 계량서지학적(bibliometric method) 연구방법 분석내용 : 분야별 기관별 연구사업별 현황 등 3. 분석기준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분석 자료수집 : ESI DB에서 제공하는 피인용 상위 1%논문에 대한 서지사항 통계 산정기준 : 저자 주소가 South Korea 로 표기된 논문 기준 최근 11년간(1998~2008) 연도 분야별 상위 1% 기준피인용수(Baseline)는 <표3>과 같음 4
Ⅱ. 분석 개요 - 분야별로는 분자생물/유전학의 평균 기준피인용수가 240로 가장 높으며, 수학이 평균 기준피인용수가 31로 가장 낮게 나타나, 분야별로 기준피인용수가 최대 7.7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분야별 피인용횟수의 편차가 큼을 알 수 있음) <표 3> 상위 1%논문 기준피인용수(1998~2008) 구 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분자생물/유전학 391 355 345 303 260 223 172 137 87 49 13 240 면 역 학 274 245 236 234 211 178 147 110 77 42 11 177 신경/행동과학 249 253 221 209 172 135 107 82 56 27 8 158 생 물 / 생 화 학 238 219 193 172 153 134 106 77 48 26 7 142 미 생 물 학 201 178 163 146 134 112 96 75 49 23 8 121 임 상 의 학 184 173 165 149 137 119 97 74 48 25 7 116 우 주 과 학 171 178 144 155 126 120 98 83 54 33 10 116 정신의학/심리학 162 152 137 121 102 90 73 49 33 16 5 96 약 학 / 독 성 학 131 132 131 132 121 93 80 56 41 20 6 94 화 학 130 128 126 111 109 89 77 59 38 21 7 87 환 경 / 생 태 학 146 131 121 109 101 83 68 49 31 16 5 84 물 리 학 133 129 122 112 94 80 70 52 35 19 8 83 지 구 과 학 138 125 112 95 82 67 55 42 28 14 5 78 융 합 분 야 68 59 83 75 109 111 83 54 53 31 14 67 식물/동물과학 100 95 90 85 76 63 53 37 25 13 5 65 경 제 / 경 영 120 99 100 77 67 52 39 28 16 9 3 60 재 료 과 학 87 89 88 78 71 70 55 42 27 14 4 59 농 업 과 학 90 88 83 70 62 55 42 30 19 10 4 55 사회과학 일반 67 64 62 53 49 40 33 25 15 8 4 42 공 학 61 58 57 51 46 40 34 24 16 9 3 39 컴 퓨 터 과 학 71 67 59 61 57 40 28 22 13 9 3 38 수 학 51 49 44 38 34 27 23 17 12 7 3 31 <자료 출처>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Baseline(1999~2008) 5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연도별 상위 1% 기준피인용수(Baseline)가 논문 발표 후 3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4년 후부터는 점차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임 - 즉, 최근 3년 이내에 발표된 피인용 상위 1%논문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1% 밖으로 밀려날 수 있는 불확실성이 상존함을 알 수 있음 <그림 1> 상위 1% 기준피인용수의 연도별 증가 배수 3.0 2.5 2.5 2.0 1.5 1.0 0.5 0.0 0.9 0.5 0.4 0.2 0.2 0.1 0.1 0.1 1년후 2년후 3년후 4년후 5년후 6년후 7년후 8년후 9년후 피인용 상위 0.1%논문 현황 분석 자료수집 : 대상 논문의 원문을 입수하여 공저자, 주저자(제1저자 및 교신 저자), 소속기관, 연구비 지원기관 등을 조사 통계 산정 기준 - 소속기관 구분 : 논문에 기록된 저자의 소속기관을 기준으로 함 동일소속 연구자들이 공저한 논문인 경우 하나의 기관으로 집계하였고, 소속이 다른 저자들이 공저한 경우는 각 소속기관이 1편을 발표한 것으로 산정 - 연구비 지원기관 구분 : 지원기관이 두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을 하나로 인정 6
Ⅱ. 분석 개요 <표 4> 상위 0.1%논문 기준피인용수(1998~2008) 구 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분자생물/유전학 1051 896 927 782 663 618 504 324 219 129 35 660 면 역 학 943 839 647 628 517 531 403 312 217 130 26 544 신경/행동과학 553 575 543 516 403 285 294 176 117 57 17 412 생물/생화학 645 620 530 489 454 349 253 192 122 67 18 406 임 상 의 학 581 557 495 450 416 372 290 223 150 73 18 366 미 생 물 학 623 456 432 402 323 291 216 227 98 49 16 333 우 주 과 학 719 505 371 369 333 422 282 195 147 88 19 330 물 리 학 451 414 404 363 298 246 207 146 95 49 22 272 화 학 484 405 405 368 339 251 212 157 99 51 15 267 약학/독성학 374 344 414 306 304 233 206 138 106 45 13 252 융 합 분 야 461 462 343 295 516 372 370 105 121 74 32 251 정신의학/심리학 354 385 375 284 259 230 161 118 79 37 11 246 환경/생태학 406 292 394 306 239 209 202 121 81 33 11 237 지 구 과 학 361 317 294 255 223 147 163 124 66 32 10 215 재 료 과 학 255 279 282 237 206 227 163 119 72 36 10 182 식물/동물과학 262 261 249 215 188 162 134 91 62 29 9 176 경 제 / 경 영 307 288 230 156 165 133 99 63 37 18 6 174 컴퓨터과학 260 222 283 305 235 147 86 72 42 20 7 141 농 업 과 학 224 205 199 172 135 139 96 67 38 20 10 137 공 학 180 170 159 142 123 100 80 57 38 23 7 109 사회과학 일반 175 158 162 133 110 88 74 56 33 18 8 108 수 학 129 148 105 94 108 65 56 40 26 14 6 82 <자료 출처>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Baseline(1998~2008) 7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4. 분석의 한계 최근 발표된 논문의 인용통계는 불확실성 상존 최근 3년 이내에 발표된 피인용 상위 1%논문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1% 밖 으로 밀려날 수 있는 불확실성 상존 자기인용(Self-Citation)의 영향력 상존 피인용 상위 1% 통계는 자기 스스로 인용한 논문도 포함됨 피인용수는 세부분야별 특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음 ESI DB가 분야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22개 중분야별로 피인용 상위 1% 통계를 제공하고 있으나, 세부분야별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함 같은 물리학이라도 입자물리학과 고체물리학은 평균 공저자 수와 평균인용수가 다를 수밖에 없음 ESI DB가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있음 본 연구의 주요 분석도구인 ESI DB는 자료 검색 및 Down Load에 여러 가지 제약 요소가 있어 국제비교 등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없었음 특히, ESI DB는 2개월 단위로 갱신되고 DB를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피인용 통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 8
Ⅲ. ESI의 이해 III. ESI의 이해 1. SCI(Science Citation Index) 개요 SCI DB 제작사 Thomson Reuters(이하 TR사) 설립개요 1958년에 설립된 미국의 민간 정보서비스 제공기관 - 설립당시 회사명 : ISI (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 ISI사는 1958년 Dr. Eugene Garfield가 설립한 민간연구소로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분야의 중요 학술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 TR사는 1958년 Current Contents(최신목차집) 발간을 시작으로 출발한 미국의 Secondary Information Service 기관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학술지의 최신 동향과 수록내용을 분석가공하여 제공하고 있음 TR사는 SCI DB를 1974년부터 온라인으로, 1988년부터 CD-ROM으로 제공하여 왔으며, 1997년부터는 Web을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음 SCI DB의 명성 TR사가 발간하는 SCI (Science Citation Index) 자료는 학계에 널리 알려진 자료로서 SCI등재 학술지 논문 게재 수는 한 나라의 국제적인 과학 활동의 지표로서 인식되고 있음 <참 고 사 항> TR사에서 제공하는 논문정보 DB에는 SCI 이외에도 여러 형태의 DB가 있으나 SCI DB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잘 알려져 있어서 TR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논문정보를 통칭하여 "SCI DB"라 칭하고 있음 SCI는 30년 이상 엄정한 심사를 통과한 학술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고 있음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학술지인 Scientometrics지는 이 자료를 이용하여 세계 각국의 기초과학수준 비교자료를 매년 정기적으로 발표함 9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SCI DB 종류 및 개요 <표 5> SCI DB 종류 및 개요 종 류 개 요 Web of Science National Citation Report(NCR) National Science Indicators(NSI) Journal Citation Report(JCR) Essential Science Indicator(ESI) 12,000여종의 주요학술지에 수록된 개별 논문의 서지사항 및 인용정보 제공 -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9,000저널) -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1,900저널) - Art&Humanity Citation Indexes(1,100저널) - 1900년도까지의 학술저널을 Century of Science에 수록 특정국가가 발표한 논문의 서지사항 및 인용정보 수록 (1981~현재까지) 국가별, 분야별 발표논문 수 및 인용횟수에 관한 통계 수록 (1981~현재까지) 갱신 주기 매주 업데이트 매년 매년 형 태 Web CD-ROM CD-ROM 학술지에 대한 인용정보(IF포함) 등을 수록 매년 CD-ROM Web of Science에 수록된 논문 중 상위 1% 인용도를 점유하는 논문에 대한 분야별, 국가별 랭킹 및 통계정보, 동향 정보 등을 제공 격월 Web SCI와 SCIE Web of Science는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약 9,200여종의 학술지에 대한 서지정보 및 인용정보 제공 -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SCIE) : 과학기술(9,000여종) -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SSCI) : 사회과학(1,900여종) - Arts & Humanities Citation Index(AHCI) : 예술 및 인문과학분야 약 1,100여종 저널 10
Ⅲ. ESI의 이해 - SCI는 SCIE에 수록된 학술지 중에서 핵심 학술지(Core Journal) 3,800여종을 엄선한 것으로 CD-ROM의 형태로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SCI라 함은 SCIE를 지칭함 SCI 선정기준 선정이유 - ISI사에서는 소수의 핵심 학술지가 전 세계 지식을 좌우한다. 는 Garfield의 인용집중법칙 5) 에 근거하여 상위 10-15% 이내의 학술지를 선정 - 실제로, 전 세계 10만 여종의 학술지 중 2,000여종의 학술지가 전 세계 문헌 정보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용된 문헌의 약 95%를 차지함 학술지 선정기준 - 기본적인 기준 출판시기를 정확히 준수하고 있는가? 국제적인 편집기준을 따르고 있는가? 서지정보가 영어로 작성되어 있는가? 동료평가(peer review)에 의해 엄격하게 평가되고 있는가? - 편집내용 : ISI사 편집자들에 의한 학술지 수록 논문의 내용에 대한 평가 로서, 학술지 논문들이 해당 주제 분야에 충실한지,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주제 분야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 국제성 : 학술지의 편집위원장, 편집위원 및 저자들에 대한 국제적 명성과 다양성을 대표하고 있는지? - 인용도 : 학술지의 인용도가 동일 주제 분야에서 다른 학술지보다 높은가? - 해당저널의 자기 인용 비율이 20% 이하여야 함 학술지 선정과정 - 1단계 : 논문 인용도 등을 포함한 SCI 학술지 선정기준에 따라 핵심 학술 지를 선정하여 Web of Science (SCIE)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함 5) 인용집중법칙 : Garfield는 1969년도에 생산된 과학 잡지 2,200종에 실린 약 100만 건의 인용 자료를 분석하여 인용 자료의 24%가 25개의 학술지에 집중적으로 실리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Garfield의 인용집중 법칙이라 함 11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 2단계 : Web of Science 의 SCIE에 등재된 학술지 중 논문인용도가 높은 3,800여종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SCI에 등재함 2.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개요 ESI 개요 최근 10년 이내에 발표된 피인용 상위 1% SCI논문을 대상으로 서지분석을 통해 통계정보와 동향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갱신 주기는 2개월이며, 논문 게재와 ESI데이터베이스간의 타임랙(timelag)은 3~4개월 정도로 추정 6) 제공자료 - 통계자료 : 상위 1% 과학자 및 기관, 상위 50% 국가 및 학술지 7) - 서지정보 : 피인용 상위 1%논문(Highly Cited Papers), 최근 2개월 피인용 상위 0.01%논문(Hot Papers)에 대한 상세 리스트 제공 - 동향정보 : 피인용 상위 1%논문의 피인용 군집분석을 통해 최근 주목받는 세부 영역(Research Fronts) 도출 및 관련 피인용 상위 1% 논문리스트 제공 ESI 구성 피인용 순위 8) - 피인용수 합계 상위 1% 과학자 및 기관에 대한 통계제공 - 피인용수 합계 상위 50% 국가 및 학술지에 대한 통계제공 Most Cited Papers - Highly Cited Papers : 최근 10년 이내에 발표된 논문으로써, 각 연도별 12 분야별 피인용 상위 1%논문 - Hot Papers : 최근 2년 이내에 발표된 논문으로서, 최근 2개월간 피인용 상위 0.01%논문 6) 갱신 주기 2개월과 동향분석을 위한 데이터정제 2개월로 총 3~4개월 추정 7) 상세한 논문 리스트는 제공하지 않고 통계 숫자만 제공 8) ESI DB의 22개 분야 내 피인용수 기준임
Ⅲ. ESI의 이해 피인용 분석 - 피인용기준(Baselines) : 22개 분야별 및 연도별 평균피인용수와 상위 0.01%, 0.1%, 1%, 10%, 20%, 50% 기준 피인용수 통계 제공 - 선도영역개척(Research Fronts) : Highly Cited Papers를 대상으로 피인용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특정 주제별로 그룹화하여, 최근에 주목 받는 연구영역을 제시 <표 6> ESI 22개 분야 분류표 번 호 22개 대분류(국문) 22개 대분류(영문) 1 농업과학 Agricultural Sciences 2 생물/생화학 Biology & Biochemistry 3 화학 Chemistry 4 임상의학 Clinical Medicine 5 컴퓨터과학 Computer Science 6 경제/경영 Economics & Business 7 공학 Engineering 8 환경/생태학 Environment/Ecology 9 지구과학 Geosciences 10 면역학 Immunology 11 재료과학 Materials Science 12 수학 Mathematics 13 미생물학 Microbiology 14 분자생물/유전학 Molecular Biology & Genetics 15 융합분야 Multidisciplinary 16 신경/행동과학 Neuroscience & Behavior 17 약학/독성학 Pharmacology & Toxicology 18 물리학 Physics 19 식물/동물과학 Plant & Animal Science 20 정신의학/심리학 Psychiatry/Psychology 21 사화과학 일반 Social Sciences, general 22 우주과학 Space Science 13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ESI를 활용시 제약사항 피인용 순위는 전체 SCI논문에 대한 통계가 아니므로 활용상 제약이 있으며, 저자 순위의 경우 동명이인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 9) 170여개 분야를 활용하는 JCR 지표와 달리 ESI는 22개 분야분류를 활용 하여 분야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 ESI를 활용한 SCI논문 성과지표 Highly Cited Papers / Baselines - 분야별 피인용 백분율 수준(상위 0.01%, 0.1%, 1%, 10%, 20%, 50%)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 가능 - 분야별 평균 피인용 수준과의 상대 비교지표 활용 가능 SCI논문 피인용의 상대적인(백분율 또는 평균대비) 질적수준 제시 ex) 2006년도 A논문이 Physics에서 피인용이 14회 Physics 상위 10%논문이며, 분야평균대비 1.5배 Hot Papers - 논문 게재후 곧바로 피인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논문으로 해당 분야의 ʻ핵심 논문ʼ 일 확률이 높음 동향분석에 주로 활용되는 항목으로 성과지표로는 부적절 선도영역개척(Research Fronts) - 최근 주목받는 영역에 대한 논문수, 총 피인용수, 논문당 피인용수, 평균 게재연도 제시 - 평균 게재연도를 통해 얼마나 최신 동향인가를 제시 - 논문수를 통해 해당 분야의 연구 규모를 제시 - 논문당 피인용수를 통해 해당 분야의 집중도(Intensity)를 제시 연구동향분석에 적합하며, 독창적인 분야를 선도하는 과학자의 선정은 가능하나 성과지표로는 부적절 일본은 선도영역개척(Research Fronts) 자료를 통해 과학기술로드맵에 대한 청사진 제시 [NISTEP(2005), "Comprehensive Analy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Benchmarking and Foresight"] 9) 저자, 기관의 경우 분야별 피인용 횟수 상위 1%, 국가 및 저널은 분야별 피인용 횟수 상위 50%에 들지 않으면 순위 리스트에서 제외됨 14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IV.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1. 총괄 미국이 전 분야에 걸쳐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임으로써 모든 과학기술 분야 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논문(ʼ99.1 ~ ʼ09.4) 점유율은 1.5%로 2008년 SCI논문 점유율 2.42%에 비해 낮은 수준 최근 11년 동안 발표된 한국인 과학자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논문 수는 1998년 29편에서 2008년 133편으로 지난 11년간 약 6배 증가 국 가 <표 7> 국가별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 현황 SCI피인용 상위1%논문('99.1~'09.4) 순 위 논문수 점유율 (단위 : 건, %) SCI논문(2008) 순위 미 국 1 52,453 58.4% 1 중 국 8 3,907 4.3% 2 영 국 2 13,052 14.5% 3 독 일 3 9,926 11.0% 4 일 본 6 5,413 6.0% 5 프 랑 스 4 6,213 6.9% 6 캐 나 다 5 5,622 6.3% 7 이탈리아 7 4,304 4.8% 8 스 페 인 12 2,772 3.1% 9 인 도 21 920 1.0% 10 호 주 11 3,221 3.6% 11 한 국 16 1,358 1.5% 12 브 라 질 25 747 0.8% 13 네덜란드 9 3,846 4.3% 14 러 시 아 20 983 1.1% 15 <자료 출처>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통계기준(2009.8) 15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표 8> 한국인 과학자의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단위 : 건) 연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계 논문 수 29 49 69 88 107 128 140 161 177 239 133 1,320 10) <자료 출처>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통계기준(2009. 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중 59.8%(790편)가 제1저자 11) 인 논문임 <표 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제1저자 기준) (단위 : 건) 연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총합계 논문 수 14 26 49 63 67 77 87 96 100 128 83 790 <자료 출처> ESI(Essential Science Indicators) 통계기준(2009. 4) NSC(Nature Science Cell지) 한국인 과학논문 206편 중 33.0%(68편)가 피인용 1% 논문임 <표 1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 NSC논문 현황 (단위 : 건) 연 도 한국인 과학자 논문수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1%논문수 NATURE SCIENCE CELL 총합계 NATURE SCIENCE CELL 총합계 1998 5 2 7 2 2 1999 6 3 1 10 4 1 1 6 2000 7 3 1 11 2 1 3 2001 7 4 3 14 1 2 1 4 2002 9 5 5 19 3 1 1 5 2003 5 6 2 13 2 4 1 7 2004 7 8 4 19 1 4 1 6 2005 17 11 2 30 5 4 9 2006 12 9 7 28 4 1 1 6 2007 10 12 5 27 5 5 3 13 2008 11 13 4 28 3 4 7 합 계 96 76 34 206 32 27 9 68 주1) Web of Science에 수록된 NSC논문 수임(2009년 8월 기준) 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1% 논문 중 2004년도 및 2005년도 Science논문 2편은 황우석 박사 논문으로 2006년에 게재가 취소됨 10) ESI DB는 격월 단위로 갱신되는 DB로 데이터의 다운로드 시점에 따라 논문수가 달라질 수 있음. 본 분석대상 논문(1,320편)은 ESI 4월 기준이며, 국가별 한국인 논문(1,358편)분석은 ESI 8월 기준임 11) DB의 한계로 인하여 논문 저자의 소속기관 주소로 한국(South Korea)이 제일 먼저 나타나는 경우를 제1저자 논문으로 고려함 16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2. 연구주체별 실적 우리나라 피인용 상위 1%논문의 83.3%가 대학에서 산출 제1저자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는 대학이 상기 논문의 88.4%를 차지 <표 1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단위 : 건) 구 분 산 학 연 합 계 총논문수 논문수(ʼ98 ~ ʼ08) 125 1,720 220 2,065 1,320 점유율 6.1% 83.3% 10.7% 100% 주) 공저논문에 대해서는 저자 소속기관이 다른 경우 각 기관별로 1건으로 산정하여 각 기관별 논문수의 합(2,065편)이 총 논문수(1,320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표 1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제1저자 기준) (단위 : 건) 구 분 산* 학 연 합 계 논문수(ʼ98 ~ ʼ08) 29 698 63 790 점유율 3.7% 88.4% 8.0% 100% 주) 기타 기관은 산업계로 분류 <그림 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주체별 현황 전체 논문 기준 제1저자 논문 기준 17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3. 주요 기관별 실적 전체 피인용 상위 1%논문 의 15.7%를 서울대학교가 산출하였고, 다음은 연세 대학교(7.7%), 고려대학교(6.5%), 포항공과대학교(5.9%) 등의 순으로 나타남 제1저자 기준으로 볼 때 피인용 상위 1%논문 의 19.9%를 서울대학교가 산출하였고, 다음은 한국과학기술원(10.4%), 포항공과대학교(10.1%), 연세 대학교(7.5%) 등의 순으로 나타남 <표 1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현황 (단위 : 건) 기 관 논문수 비 율 기 관 논문수 비 율 서 울 대 325 15.7% 전 북 대 41 2.0% 연 세 대 159 7.7% 이 화 여 대 37 1.8% 고 려 대 134 6.5% 경 상 대 36 1.7% 포항공대 122 5.9% 광주과기원 35 1.7% 과 기 원 114 5.5% K I S T 35 1.7% 성 균 관 대 81 3.9% 충 남 대 30 1.5% 경 북 대 60 2.9% 명 지 대 28 1.4% 삼 성 49 2.4% 울 산 대 26 1.3% 부 산 대 47 2.3% 인 하 대 25 1.2% 한 양 대 47 2.3% 기타(173개 기관) 588 28.5% 전 남 대 46 2.2% 합계(193개 기관) 2,065 100.0% 주) 공저논문은 각 기관별로 1건으로 산정하여 논문수의 합(2,065편)이 총 논문수(1,320편)보다 많음 <표 1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현황(제1저자 기준) (단위 : 건) 기 관 논문수 비 율 기 관 논문수 비 율 서 울 대 157 19.9% 한 양 대 17 2.2% 과 기 원 82 10.4% 인 하 대 16 2.0% 포 항 공 대 80 10.1% 성 균 관 대 15 1.9% 연 세 대 59 7.5% 전 남 대 13 1.6% 고 려 대 35 4.4% 충 남 대 13 1.6% 부 산 대 23 2.9% 경 상 대 11 1.4% 전 북 대 22 2.8% 울 산 대 11 1.4% 광주과기원 20 2.5% 경 북 대 10 1.3% 삼 성 20 2.5% 에 너 지 (연) 9 1.1% K I S T 20 2.5% 기타(60개 기관) 139 17.6% 이 화 여 대 18 2.3% 합계(80개 기관) 790 100.0% 18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4. 연구 분야별 실적 전체논문 기준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은 물리학(18.9%)이 가장 높고 다음은 화학 (18.9%), 공학(14.3%), 재료과학(14.2%) 순으로 나타남 <표 1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 분야명(국문) ʼ98 ʼ99 ʼ00 ʼ01 ʼ02 ʼ03 ʼ04 ʼ05 ʼ06 ʼ07 ʼ08 합계 점유율 물 리 학 6 13 9 21 33 22 29 19 32 47 19 250 18.9% 화 학 6 10 20 20 13 32 27 32 36 36 17 249 18.9% 공 학 5 5 10 10 19 14 21 21 25 31 28 189 14.3% 재 료 과 학 2 5 15 12 10 15 22 28 29 30 19 187 14.2% 임 상 의 학 2 2 6 4 3 5 10 15 17 21 16 101 7.7% 식물/동물과학 1 3 2 6 7 11 4 7 7 13 2 63 4.8% 컴 퓨 터 과 학 1 1 4 10 4 6 5 3 3 37 2.8% 생물/생화학 1 3 1 2 5 7 4 8 5 36 2.7% 농 업 과 학 1 1 3 5 1 4 4 5 4 28 2.1% 분자생물/유전학 1 1 2 3 2 3 3 5 7 1 28 2.1% 우 주 과 학 1 1 1 4 1 15 3 26 2.0% 수 학 1 1 2 5 1 1 7 1 3 3 25 1.9% 지 구 과 학 1 1 1 3 1 4 1 5 4 21 1.6% 약학/독성학 2 2 2 2 1 2 1 2 1 2 17 1.3% 신경/행동과학 1 1 1 2 2 4 2 1 1 15 1.1% 경 제 / 경 영 1 1 2 1 2 1 1 2 2 13 1.0% 환경/생태학 1 1 1 1 1 4 1 10 0.8% 정신의학/심리학 1 1 1 3 1 7 0.5% 사회과학 일반 1 3 1 1 1 7 0.5% 미 생 물 학 1 2 2 5 0.4% 면 역 학 2 1 3 0.2% 융 합 분 야 1 1 1 3 0.2% 합 계 29 49 69 88 107 128 140 161 177 239 133 1320 100.0% 19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참고> 한국인 과학자 논문 연구분야별 현황(상위 1%논문 세계논문과 비교) 최근 11년간 재료과학, 물리학 등 8개 분야에서 상위 1% 한국인 논문의 점유율이 세계 전체 점유율 보다 높음 특히 재료과학 및 물리학 분야의 한국 논문 점유율은 세계 전체 논문 점유율 대비 2배 이상 높음. 이는 한국인 과학자가 동 분야에서 영향력이 높은 논문을 많이 발표하고 있음을 시사함 <표 16> 한국인 과학자 전체논문/상위 1%논문 분야별 비교 구 분 1%한국 논문 1%세계논문 대비 점유율 대비 점유율 비고 재 료 과 학 14.2% 4.6% 한국 > 세계 물 리 학 18.9% 9.3% 한국 > 세계 공 학 14.3% 8.3% 한국 > 세계 화 학 18.9% 12.0% 한국 > 세계 우 주 과 학 2.0% 1.3% 한국 > 세계 농 업 과 학 2.1% 1.9% 한국 > 세계 융 합 분 야 0.2% 0.2% 한국 > 세계 컴 퓨 터 과 학 2.8% 2.7% 한국 > 세계 식 물 / 동 물 과 학 4.8% 5.6% 수 학 1.9% 2.5% 약 학 / 독 성 학 1.3% 1.8% 분자생물/유전학 2.1% 2.9% 경 제 / 경 영 1.0% 1.5% 지 구 과 학 1.6% 2.9% 생 물 / 생 화 학 2.7% 5.9% 임 상 의 학 7.7% 21.2% 신 경 / 행 동 과 학 1.1% 3.2% 환 경 / 생 태 학 0.8% 2.7% 미 생 물 학 0.4% 1.6% 정신의학/심리학 0.5% 2.5% 면 역 학 0.2% 1.3% 사 회 과 학 일 반 0.5% 4.1% 전 체 100.0% 100.0% 주) 상위 1% 한국논문 비율은 ESI 2009. 4월 기준, 세계 전체논문은 ESI 2009. 8월 기준임 20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제1저자 기준 제1저자 논문을 기준으로 할 때 피인용 상위 1%논문 점유율은 화학(24.8%)이 가장 높고 다음은 공학(20.0%), 재료과학(18.2%), 물리학(12.2%) 순임 <표 17>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연구분야별 현황(제1저자 기준) 구 분 ʼ98 ʼ99 ʼ00 ʼ01 ʼ02 ʼ03 ʼ04 ʼ05 ʼ06 ʼ07 ʼ08 합계 점유율 화 학 4 8 14 18 12 25 24 24 23 29 15 196 24.8% 공 학 4 5 9 9 15 9 19 17 21 26 24 158 20.0% 재 료 과 학 1 4 13 11 7 12 19 19 20 24 14 144 18.2% 물 리 학 1 3 6 9 16 9 9 9 9 15 10 96 12.2% 임 상 의 학 3 1 1 4 6 10 10 5 6 46 5.8% 식물/동물과학 1 3 1 6 2 7 1 2 5 8 1 37 4.7% 컴 퓨 터 과 학 1 1 3 7 2 3 3 2 3 25 3.2% 수 학 2 2 1 5 3 3 16 2.0% 분자생물/유전학 1 2 1 2 1 2 3 1 13 1.6% 농 업 과 학 2 2 2 3 3 12 1.5% 약 학 / 독 성 학 2 1 1 2 2 1 1 10 1.3% 생 물 / 생 화 학 3 1 2 1 1 8 1.0% 신경/행동과학 1 1 1 1 1 5 0.6% 사회과학 일반 2 1 1 1 5 0.6% 환경/생태학 1 2 1 4 0.5% 지 구 과 학 1 2 1 4 0.5% 정신의학/심리학 1 1 1 3 0.4% 경 제 / 경 영 1 1 2 0.3% 미 생 물 학 2 2 0.3% 융 합 분 야 1 1 2 0.3% 우 주 과 학 1 1 2 0.3% 계 14 26 49 63 67 77 87 96 100 128 83 790 100.0% 21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주요 기관별 실적 식물/동물과학(포항공대), 우주과학(연세대), 수학(충남대)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서울대가 상위 1%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것으로 나타남 <표 1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강점 분야 현황 구 분 1위 2위 3위 기관명 논문수 기관명 논문수 기관명 논문수 합 계 물 리 학 서울대 103 고려대 68 연세대 46 558 화 학 서울대 47 연세대 36 포항공대 35 335 공 학 서울대 25 과기원 20 포항공대 16 269 재 료 과 학 서울대 42 포항공대 21 과기원 19 289 임 상 의 학 서울대 30 연세대 14 울산대 13 157 식 물 / 동 물 과 학 포항공대 22 서울대 10 경상대 9 95 컴 퓨 터 과 학 서울대 11 과기원 등 3개 기관 4 55 생물/생화학 서울대 6 포항공대 등 4개 기관 43 농 업 과 학 서울대 8 농촌진흥청 3 경상대 등 6개 기관 2 37 분자생물/유전학 서울대 12 연세대 4 과기원 등 6개 기관 2 42 우 주 과 학 연세대 15 서울대 4 고등과학원 3 30 수 학 충남대 7 경북대 4 서울대 3 28 지 구 과 학 서울대 6 연세대 4 포항공대 3 25 약학/독성학 서울대 6 과기원 등 3개 기관 2 23 주1) 분야별 논문수 20편 미만인 분야의 경우 분석대상에서 제외됨 2) 수학분야에서 충남대실적 7편 중 5편의 저자인 박춘길교수는 2006년도에 한양대로 이직 22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주요 기관별 실적(제1저자 기준) 제1저자 논문의 경우 식물/동물과학(포항공대), 수학분야(충남대)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분야에서 서울대가 상위 1%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것으로 나타남 <표 1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강점 분야 현황(제1저자 기준) 구 분 1위 2위 3위 기관명 논문수 기관명 논문수 기관명 논문수 합 계 화 학 서울대 38 연세대 27 포항공대 26 196 공 학 서울대 20 KAIST 21 포항공대 12 158 재 료 과 학 서울대 30 포항공대 14 KAIST 연세대 13 144 물 리 학 서울대 18 포항공대 13 KAIST 10 96 임 상 의 학 서울대 17 울산대 9 연세대 6 46 식물/동물과학 포항공대 13 서울대 KAIST 4 37 컴 퓨 터 과 학 서울대 7 KAIST 4 삼성전자 2 25 수 학 충남대 6 경북대 4 서울대 등 6개 기관 1 16 분자생물/유전학 서울대 8 전북대 2 KAIST 등 3개 기관 1 13 농 업 과 학 서울대 3 고려대 등 9개 기관 1 12 약 학 / 독 성 학 서울대 4 강원대 2 KAIST 등 4개 기관 1 10 생 물 / 생 화 학 서울대 2 포항공대 등 6개 기관 8 신경/행동과학 KAIST 아주대 2 서울대 1 5 사회과학 일반 KAIST 2 건국대 등 3개 기관 1 5 환 경 / 생 태 학 광주과기원 2 포항공대 등 2개 기관 1 4 지 구 과 학 서울대 2 고려대 등 2개 기관 1 4 정신의학/심리학 고려대 등 3개 기관 1 3 경 제 / 경 영 고려대 2 2 미 생 물 학 서울대 2 2 융 합 분 야 KAIST 이화여대 1 2 우 주 과 학 연세대 고등과학원 1 2 23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주요 학술지별 실적 학술지별로는 물리학의 Physical Review Letters(84편)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다음은 화학의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73편), 재료과학의 Advanced Materials(49편) 순으로 나타남 <표 2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 학술지명 상위 1% 논문수 Impact Factor 분 야 PHYSICAL REVIEW LETTERS 84 7.18 물리학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73 8.091 화학 ADVANCED MATERIALS 49 8.191 재료과학 APPLIED PHYSICS LETTERS 43 3.726 물리학 JOURNAL OF POWER SOURCES 42 3.477 공학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34 10.879 화학 NATURE 32 31.434 전 분야 SCIENCE 27 28.103 전 분야 BIOMATERIALS 26 6.646 재료과학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26 9.38 전 분야 STATES OF AMERICA CHEMISTRY OF MATERIALS 24 5.046 재료과학 PHYSICAL REVIEW D 22 5.05 물리학 PLANT CELL 17 9.296 식물/동물과학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16 4.189 화학 PHYSICS LETTERS B 16 4.034 물리학 NATURE MATERIALS 15 23.132 재료과학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4 13.99 우주과학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3 6.808 재료과학 CHEMICAL COMMUNICATIONS 13 5.34 화학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13 3.452 공학 24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주요 학술지별 실적(제1저자 기준) 제1저자 논문의 경우는 화학의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62편)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다음은 재료과학의 Advanced materials(42편), 물리학의 Applied Physics letters(35편) 및 공학의 Journal of Power Sources(35편) 순으로 나타남 <표 2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학술지별 현황(제1저자 기준) 학술지명 상위 1% 논문수 Impact Factor 분야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2 8.091 화학 ADVANCED MATERIALS 42 8.191 재료과학 APPLIED PHYSICS LETTERS 35 3.726 물리학 JOURNAL OF POWER SOURCES 35 3.477 공학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28 10.879 화학 BIOMATERIALS 19 6.646 재료과학 CHEMISTRY OF MATERIALS 19 5.046 재료과학 PHYSICAL REVIEW LETTERS 14 7.18 물리학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13 3.452 공학 CHEMICAL COMMUNICATIONS 12 5.34 화학 NATURE 12 31.434 전분야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0 6.808 재료과학 SCIENCE 10 28.103 전분야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9 5.375 물리학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9 4.189 화학 ORGANIC LETTERS 9 5.128 화학 PLANT CELL 9 9.296 식물/동물과학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8 5.468 공학 PHYSICAL REVIEW D 8 5.05 물리학 PLANT JOURNAL 8 6.493 식물/동물과학 PLANT PHYSIOLOGY 8 6.11 식물/동물과학 25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5. 피인용 통계 저자 역할별 평균피인용 실적 우리나라 과학자가 제1저자인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는 84.4회로 단순 공저자로 참여한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117.3회) 보다 낮게 나타남 <표 2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저자 역할별 평균 피인용수 연 도 제1저자 단순공저 평 균 1998 122.4 334.1 231.9 1999 191.3 209.7 200.0 2000 181.2 257.5 203.3 2001 161.7 215.8 177.0 2002 130.7 159.4 141.5 2003 124.2 161.8 139.2 2004 102.7 174.9 130.0 2005 67.9 107.0 83.7 2006 40.8 91.2 62.7 2007 19.2 30.1 24.3 2008 7.1 11.5 8.8 평 균 84.4 117.3 97.6 주) 단순공저 논문은 전체 분석대상 논문에서 제1저자 논문을 제외한 논문을 의미 <그림 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저자 역할별 평균 피인용수 350 300 250 제1저자 단순공저 전체 200 150 100 50 0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6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 실적 상위 1%논문에 대한 주요 기관별 평균 피인용수는 서울대(124.7회)가 가장 높고 다음은 연세대(124.1회)인 것으로 나타남 제1저자 기준 평균 피인용수도 서울대(123.2회)가 가장 높고 다음은 포항 공대(120.8회)인 것으로 나타남 <표 2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 기 관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서울대 455.7 233.2 217.7 218.1 159.0 151.6 125.8 98.3 65.1 29.4 9.6 124.7 연세대 106.0 106.0 114.0 182.0 158.0 188.1 261.9 104.2 175.7 26.7 12.6 124.1 고려대 136.5 191.8 136.5 157.4 160.7 188.1 99.8 89.3 54.0 23.4 8.0 84.1 포항공대 161.0 134.8 365.5 181.0 199.7 133.1 136.1 69.6 64.8 34.2 8.4 110.1 과기원 104.5 117.0 231.1 219.9 125.8 94.6 126.2 79.5 38.4 19.5 11.4 100.6 <표 2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제1저자 기준) 기 관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서울대 179.7 254.3 174.1 196.1 139.3 143.4 149.5 89.8 61.0 17.5 6.3 123.2 과기원 130.0 112.8 256.3 219.9 117.2 94.3 90.8 72.3 33.7 16.9 8.8 88.0 포항공대 161.0 134.8 365.5 181.7 199.7 120.7 127.4 66.0 34.8 39.1 4.5 120.8 연세대 76.0 122.5 157.0 121.8 185.3 86.1 82.6 52.9 22.9 8.9 80.6 고려대 99.0 105.0 124.7 112.0 89.0 82.0 40.2 36.0 15.2 7.0 42.8 <그림 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주요 기관별 평균피인용 400 350 300 서울대 포항공대 과기원 250 200 150 100 50 ʼ98 ʼ99 ʼ00 ʼ01 ʼ02 ʼ03 ʼ04 ʼ05 ʼ06 ʼ07 ʼ08 0 ʼ98 1 ʼ99 2 ʼ00 3 ʼ01 4 ʼ02 5 ʼ03 6 ʼ04 7 ʼ05 8 ʼ06 9 ʼ07 10 ʼ08 11 전체논문 27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피인용수 상위 논문 한국인 과학자 논문 중 피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논문은 권영준 교수(연세대)가 공저로 참여한 총설논문(Review)임 주저자(교신저자) 논문으로는 김기문 교수(포항공대)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표 25>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피인용수 상위 10위 현황 순위 게재 년도 학술지명 논 문 명 한국인 저자 논문유형 분야명 피인용 횟수 한국인 저자역할 1 2004 PHYSICS LETTERS B REVIEW OF PARTICLE PHYSICS 권영준/ 연세대 Review 물리학 2,965 공저자 2 2006 JOURNAL OF PHYSICS G-NUCLEAR AND PARTICLE PHYSICS REVIEW OF PARTICLE PHYSICS 권영준/ 연세대 Article 물리학 2,263 공저자 3 1998 PHYSICAL REVIEW LETTERS EVIDENCE FOR OSCILLATION OF ATMOSPHERIC NEUTRINOS 김수봉/ 서울대 Article 물리학 2,031 공저자 4 2003 NATURE RETICULAR SYNTHESIS AND THE DESIGN OF NEW MATERIALS 채희권/ 한국외대 (현:서울대) Review 화학 1,185 공저자 5 2000 NATURE A HOMOCHIRAL METAL-ORGANIC POROUS MATERIAL FOR ENANTIOSELECTIVE SEPARATION AND CATALYSIS 김기문외 6인/ 포항공대 Article 화학 1,101 주저자 6 1999 NATURE 7 2000 ENVIRONMENTAL AND MOLECULAR MUTAGENESIS LANTHANUM-SUBSTITUTED BISMUTH TITANATE FOR USE IN NON-VOLATILE MEMORIES SINGLE CELL GEL/COMET ASSAY: GUIDELINES FOR IN VITRO AND IN VIVO GENETIC TOXICOLOGY TESTING 노태원외 4인/ 서울대 등 류재천/ KIST Article 물리학 944 주저자 Procee dings Paper 분자생물 /유전학 829 공저자 8 2001 NATURE ORDERED NANOPOROUS ARRAYS OF CARBON SUPPORTING HIGH DISPERSIONS OF PLATINUM NANOPARTICLES 유룡외 4인/ KAIST Article 화학 630 주저자 9 2001 PHYSICAL REVIEW LETTERS SOLAR B-8 AND HEP NEUTRINO MEASUREMENTS FROM 1258 DAYS OF SUPER-KAMIOKANDE DATA 김수봉외 2인/ 서울대 Article 물리학 617 공저자 10 2003 NATURE THE NUCLEAR RNASE III DROSHA INITIATES MICRORNA PROCESSING 김빛내리외 8인/ 서울대 등 Article 분자생물 /유전학 616 주저자 28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표 26>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분야별 피인용수 1위 현황 분야명 농업 과학 생물/ 생화학 게재 년도 1999 CROP SCIENCE 2002 PHYSIOLOGICAL REVIEWS 화학 2003 NATURE 임상 의학 컴퓨터 과학 경제/ 경영 학술지명 논문명 한국인 저자 1998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0 1998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공학 2002 NUCLEAR INSTRUMENTS &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환경/ 생태학 1999 ECOLOGICAL MONOGRAPHS 지구 과학 면역학 2007 SCIENCE AN INTEGRATED GENETIC LINKAGE MAP OF THE SOYBEAN GENOME AQUAPORINS IN THE KIDNEY: FROM MOLECULES TO MEDICINE RETICULAR SYNTHESIS AND THE DESIGN OF NEW MATERIALS GLOBAL SURVEILLANCE FOR ANTITUBERCULOSIS-DRUG RESISTANCE, 1994-1997 QOS PERFORMANCE OF OPTICAL BURST SWITCHING IN IP-OVER-WDM NETWORKS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ECONOMIC GROWTH? THE BELLE DETECTOR EXOTIC PLANT SPECIES INVADE HOT SPOTS OF NATIVE PLANT DIVERSITY 2004 SCIENCE THE OCEANIC SINK FOR ANTHROPOGENIC CO2 재료 과학 수학 1998 ADVANCES IN MATHEMATICS 미생물 2006 분자 생물 /유전학 융합 분야 DIFFERENTIAL ANTIGEN PROCESSING BY DENDRITIC CELL SUBSETS IN VIVO 2001 ADVANCED MATERIALS ORDERED MESOPOROUS CARBONS 2000 2003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NVIRONMENTAL AND MOLECULAR MUTAGENESI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 NEW APPROACH TO THE WORD AND CONJUGACY PROBLEMS IN THE BRAID GROUPS ELECTRICALLY CONDUCTIVE BACTERIAL NANOWIRES PRODUCED BY SHEWANELLA ONEIDENSIS STRAIN MR-1 AND OTHER MICROORGANISMS SINGLE CELL GEL/COMET ASSAY: GUIDELINES FOR IN VITRO AND IN VIVO GENETIC TOXICOLOGY TESTING PPAR GAMMA IS A VERY LOW-DENSITY LIPOPROTEIN SENSOR IN MACROPHAGES 정종일/ 경상대 권태환/ 동국대 (현:경북대) 채희권/ 한국외대 (현:서울대) 김상재/ 결핵연구원 유명식/ 숭실대 이종화/ 고려대 원은일 외 33인/ 고려대 등 손요환/ 고려대 이기택/ 포항공대 이한웅/ 연세대 유룡외 4인/ KAIST 고기형/ KAIST 장인섭 외 2인/ GIST 등 류재천/ KIST 한정엽 외 1 인/ 서울대 신경/ 행동과학 1998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ZINC AND BRAIN INJURY 고재영/ 울산대 약학/ 독성학 2000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IRECT ACTIVATION OF CAPSAICIN RECEPTORS BY PRODUCTS OF LIPOXYGENASES: ENDOGENOUS CAPSAICIN-LIKE SUBSTANCES 물리학 2004 PHYSICS LETTERS B REVIEW OF PARTICLE PHYSICS 식물/ 동물과학 2005 NATURE THE MAP-BASED SEQUENCE OF THE RICE GENOME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과학 일반 2001 PSYCHOLOGICAL REVIEW 2001 우주과학 2001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 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SEARCHING THE WEB: THE PUBLIC AND THEIR QUERIES TOWARD BETTER AGE ESTIMATES FOR STELLAR POPULATIONS: THE Y-2 ISOCHRONES FOR SOLAR MIXTURE 오우택 외 9인/ 서울대 권영준/ 연세대 김호일외 1인/ 농업생명(연) 최인철/ 서울대 JANSEN MBJ/ 메릴랜드대 아시아분교 이석영외 3인/ 연세대 논문 유형 피인용 횟수 한국인 저자역할 Article 300 공저자 Review 326 공저자 Review 1,185 주저자 Article 459 공저자 Article 132 주저자 Article 174 공저자 Article 388 공저자 Review 357 공저자 Article 255 공저자 Article 123 공저자 Article 380 주저자 Article 79 공저자 Article 113 공저자 Proceedings Paper 829 공저자 Article 121 공저자 Review 326 공저자 Article 414 주저자 Review 2,965 공저자 Article 504 공저자 Review 250 공저자 Article 162 공저자 Article 187 주저자 29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표 27>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중 분야별 피인용수 1위 현황(제1저자 기준) 분야명 게재 년도 농업 과학 2003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생물/ 생화학 200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화학 2000 NATURE 임상 의학 2003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컴퓨터 과학 2000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경제/ 경영 1999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공학 2001 CONTROL 환경/ 생태학 2005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학술지명 논문명 한국인저자 논문유형 MUSHROOM TYROSINASE: RECENT PROSPECTS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A HOMOCHIRAL METAL-ORGANIC POROUS MATERIAL FOR ENANTIOSELECTIVE SEPARATION AND CATALYSIS THE METABOLIC SYNDROME -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 FINDINGS IN THE US POPULATION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QOS PERFORMANCE OF OPTICAL BURST SWITCHING IN IP-OVER-WDM NETWORKS HAS THE US ECONOMY BECOME MORE STABLE? A BAYESIAN APPROACH BASED ON A MARKOV-SWITCHING MODEL OF THE BUSINESS CYCLE DELAY-DEPENDENT ROBUST STABILIZATION OF UNCERTAIN STATE-DELAYED SYSTEMS REMOVAL OF ARSENIC(III) FROM GROUNDWATER BY NANOSCALE ZERO-VALENT IRON 지구 과학 2000 EARTH-SCIENCE REVIEWS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서승염외 2인/공주대 정헌택외 3인/원광대 등 김기문외 6인/포항공대 박영우/ 성균관대 유명식/ 숭실대 김창진/ 고려대 권욱현외 3인/서울대 등 최희철/ 광주과기원 조성권외 3인/서울대 재료 과학 2001 ADVANCED MATERIALS ORDERED MESOPOROUS CARBONS 유룡외 4인/KAIST 수학 2001 BIOMETRIKA INTERNATIONAL JOURNAL OF 미생 물학 2007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HIERARCHICAL GENERALISED LINEAR MODELS: A SYNTHESIS OF GENERALISED LINEAR MODELS, RANDOM-EFFECT MODELS AND STRUCTURED DISPERSIONS EZTAXON: A WEB-BASED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PROKARYOTES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ES 분자생물 /유전학 2003 NATURE THE NUCLEAR RNASE III DROSHA INITIATES MICRORNA PROCESSING 융합 분야 1999 NATURE INTERACTION OF E1 AND HSNF5 PROTEINS STIMULATES REPL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DNA 신경/ 행동과학 2004 NATURE REVIEWS NEUROSCI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약학/ 독성학 2000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물리학 1999 NATURE PDZ DOMAIN PROTEINS OF SYNAPSES DIRECT ACTIVATION OF CAPSAICIN RECEPTORS BY PRODUCTS OF LIPOXYGENASES: ENDOGENOUS CAPSAICIN-LIKE SUBSTANCES LANTHANUM-SUBSTITUTED BISMUTH TITANATE FOR USE IN NON-VOLATILE MEMORIES CONTROL OF CIRCADIAN RHYTHMS AND 식물/ 동물과학 1999 SCIENCE PHOTOPERIODIC FLOWERING BY THE ARABIDOPSIS GIGANTEA GENE 정신 의학/ 심리학 2006 SCHIZOPHRENIA RESEARCH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PRIMARY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사회 과학일반 2001 INFORMATION & MANAGEMENT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우주 과학 2001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TOWARD BETTER AGE ESTIMATES FOR STELLAR POPULATIONS: THE Y-2 ISOCHRONES FOR SOLAR MIXTURE 이영조/ 서울대 천종식외 6인/서울대 김빛내리외 8인/서울대 등 이대엽외 1인/KAIST 김은준/ KAIST 오우택 외 9인/서울대 노태원 외 4인/서울대 등 남홍길외 7인/포항공대 정영철외 1인/전북대 김영걸외 1인/KAIST 이석영외 3인/연세대 피인 용 횟수 Review 124 Article 236 Article 1,101 Article 432 Article 132 Proceedin gs Paper 105 Article 238 Article 55 Review 153 Article 380 Article 64 Article 42 Article 616 Article 66 Review 316 Article 414 Article 944 Article 167 Review 26 Article 133 Article 187 30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6. 국제협력 실적 저자 역할별 국제협력 실적 한국인 과학자 상위 1%논문 1,320편 중 국외 기관의 연구자가 1인 이상 참여하여 공저한 국제협력 논문은 전체의 56.4%(744편)임 제1저자 논문의 경우 국제협력 논문은 27.1%(214편)로 비율이 다소 낮음 <표 28>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연 도 ʼ98 ʼ99 ʼ00 ʼ01 ʼ02 ʼ03 ʼ04 ʼ05 ʼ06 ʼ07 ʼ08 계 논문수(A) 29 49 69 88 107 128 140 161 177 239 133 1,320 국제협력 17 34 30 40 61 76 74 88 107 146 71 744 논문(B) 비율(B/A) 58.6% 69.4% 43.5% 45.5% 57.0% 59.4% 52.9% 54.7% 60.5% 61.1% 53.4% 56.4% <표 29>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제1저자 기준) 연 도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계 논문수(A) 14 26 49 63 67 77 87 96 100 128 83 790 국제협력 논문(B) 2 11 10 15 21 25 21 23 30 35 21 214 비율(B/A) 14.3% 42.3% 20.4% 23.8% 31.3% 32.5% 24.1% 24.0% 30.0% 27.3% 25.3% 27.1% <그림 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연구 현황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42.3% 69.4% 59.4% 60.5% 61.1% 57.0% 52.9% 54.7% 53.4% 58.6% 45.5% 43.5% 31.3% 32.5% 30.0% 27.3% 23.8% 24.1% 24.0% 25.3% 20.4% 14.3% 전체 제1저자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31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분야별 국제협력 실적 우주과학, 경제/경영, 정신의학/심리학, 면역학, 융합분야 등의 분야는 국제 협력비율이 100%이고, 공학이 33.9%로 가장 낮게 나타남 국가별로는 미국과의 협력비율이 77.8%(579편)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일본 26.6%(198편)과 독일 20.7%(154편)임 <표 30>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연구 현황 분야명(국문) 논문수 국제협력 비율 (A) 논문(B) (B/A) 미국 일본 독일 UK 프랑스 중국 러시아 우주과학 26 26 100.0% 25 6 9 15 13 0 경제/경영 13 13 100.0% 12 0 0 0 0 2 정신의학/심리학 7 7 100.0% 3 0 0 1 1 0 면역학 3 3 100.0% 3 2 2 2 1 1 1 융합분야 3 3 100.0% 2 0 0 0 1 0 지구과학 21 19 90.5% 17 10 5 3 4 6 2 생물/생화학 36 30 83.3% 26 7 9 10 4 2 신경/행동과학 15 12 80.0% 11 0 0 0 0 0 환경/생태학 10 8 80.0% 8 2 0 0 1 1 1 물리학 250 189 75.6% 153 103 92 55 61 63 80 농업과학 28 20 71.4% 16 0 1 2 1 1 1 임상의학 101 69 68.3% 64 12 15 18 17 12 2 약학/독성학 17 11 64.7% 10 0 0 0 1 0 분자생물/유전학 28 18 64.3% 14 5 3 5 3 1 1 미생물학 5 3 60.0% 2 2 0 0 0 1 식물/동물과학 63 37 58.7% 29 9 5 7 5 4 사회과학 일반 7 4 57.1% 4 0 0 0 0 0 컴퓨터과학 37 20 54.1% 18 1 3 1 0 1 수학 25 12 48.0% 2 1 1 1 1 1 화학 249 101 40.6% 62 24 1 3 6 9 5 재료과학 187 75 40.1% 50 10 4 5 1 6 2 공학 189 64 33.9% 48 4 4 4 3 8 6 합 계 1320 744 56.4% 579 198 154 132 124 119 101 점유율 (국제협력논문 대비) 77.8% 26.6% 20.7% 17.7% 16.7% 16.0% 13.6% 32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제1저자 논문의 경우는 정신의학/심리학, 경영/경제, 우주과학, 융합분야 등 4개 분야의 국제협력비율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남 제1저자 논문의 국제협력비율은 미국(58.9%)이 가장 높고 다음은 일본 (18.2%)과 중국(7.0%)임 <표 31>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분야별 국제협력연구 현황(제1저자 기준) 분야명(국문) 논문수 (A) 국제협력 논문(B) 비율 (B/A)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독일 영국 프랑스 정신의학/심리학 3 3 100.0% 0 0 0 0 1 0 경제/경영 2 2 100.0% 2 0 0 0 0 0 우주과학 2 2 100.0% 2 0 0 0 1 0 융합분야 2 2 100.0% 1 0 0 0 0 1 지구과학 4 2 50.0% 1 2 1 1 0 0 0 환경/생태학 4 2 50.0% 2 1 약학/독성학 10 4 40.0% 3 0 0 0 0 1 사회과학 일반 5 2 40.0% 2 0 0 0 0 0 신경/행동과학 5 2 40.0% 2 0 0 0 0 0 물리학 96 35 36.5% 15 13 2 3 10 1 4 농업과학 12 4 33.3% 3 0 0 1 0 0 0 컴퓨터과학 25 8 32.0% 7 0 1 1 1 0 임상의학 46 14 30.4% 13 0 1 0 0 1 식물/동물과학 37 11 29.7% 8 3 0 0 0 0 생물/생화학 8 2 25.0% 1 1 0 0 0 0 화학 196 48 24.5% 23 13 3 5 0 2 2 분자생물/유전학 13 3 23.1% 0 2 0 0 0 0 재료과학 144 32 22.2% 20 5 4 2 1 1 0 공학 158 33 20.9% 21 0 2 2 1 3 0 수학 16 3 18.8% 0 0 1 0 1 0 미생물학 2 0.0% 합 계 790 214 27.1% 126 39 15 14 13 11 10 점유율 58.9% 18.2% 7.0% 6.5% 6.1% 5.1% 4.7% 33
피인용 상위 1% 논문현황 분석 국제협력 유무별 평균 피인용수 국제협력논문의 평균 피인용수(110.5회)가 순수국내논문의 평균 피인용수 (80.9회)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제1저자가 한국인 경우는 국제협력논문의 평균 피인용수(93.7회)가 순수국내 논문의 평균 피인용수(80.9회)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32>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 게재년도 순수국내논문 국제협력논문 평 균 1998 124.0 308.1 231.9 1999 226.2 188.4 200.0 2000 171.5 244.7 203.3 2001 155.2 203.3 177.0 2002 138.7 143.6 141.5 2003 107.3 161.0 139.2 2004 94.4 161.8 130.0 2005 65.2 99.0 83.7 2006 40.3 77.4 62.7 2007 15.3 30.0 24.3 2008 6.4 10.8 8.8 평균 80.9 110.5 97.6 <표 33>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제협력유무별 평균 피인용 현황(제1저자 기준) 34 게재년도 순수국내논문 국제협력논문 평 균 1998 124.0 112.5 122.4 1999 226.2 143.7 191.3 2000 171.5 219.2 181.2 2001 155.2 182.3 161.7 2002 138.7 113.4 130.7 2003 107.3 159.3 124.2 2004 94.4 128.9 102.7 2005 65.2 76.5 67.9 2006 40.3 41.9 40.8 2007 15.3 29.7 19.2 2008 6.4 9.2 7.1 평 균 80.9 93.7 84.4
Ⅳ. 피인용 상위 1%논문 현황 7. 국내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실적 연구주체별 공동연구 실적 전체 상위 1%논문 중 대학 단독논문이 59.02%로 가장 많고 다음은 대학간 공동연구(17.0%)와 대학-연구소 간 공동연구(8.5%) 순임 제1저자 논문의 경우도 단독기관 논문이 62.4%로 대부분을 차지함 <표 34>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 구 분 단 독 협 력 학 연 산 학학 연연 학연 산학 연산 학연산 합계 1998 19 3 1 1 2 3 29 1999 39 1 1 4 1 3 49 2000 46 6 2 9 3 3 69 2001 50 4 3 21 7 3 88 2002 58 6 2 24 9 5 1 2 107 2003 83 7 1 21 9 7 128 2004 85 8 4 22 10 8 1 2 140 2005 95 11 4 27 1 14 8 1 161 2006 96 9 7 37 18 8 2 177 2007 138 21 11 36 1 22 8 2 239 2008 70 8 2 22 17 10 1 3 133 합 계 779 84 38 224 2 112 66 4 11 1,320 점유율 59.0% 6.4% 2.9% 17.0% 0.2% 8.5% 5.0% 0.3% 0.8% 100.0% <표 35> 한국인 과학자 피인용 상위 1%논문 국내 연구주체 간 협력유형별 현황(제1저자 기준) 구 분 단독기관 논문 기관간 협력논문 학 연 산 학학 연연 학연 산학 산학연 합계 1998 8 1 1 1 2 1 14 1999 19 1 2 1 3 26 2000 30 3 2 9 2 3 49 2001 38 1 1 13 7 3 63 2002 36 2 1 14 8 4 2 67 2003 47 3 1 16 5 5 77 2004 49 6 2 13 7 8 2 87 2005 56 3 2 19 8 8 96 2006 49 4 2 24 13 6 2 100 2007 72 8 3 18 1 18 6 2 128 2008 35 5 1 19 13 8 2 83 합 계 439 36 17 148 1 84 55 10 790 점유율 55.6% 4.6% 2.2% 18.7% 0.1% 10.6% 7.0% 1.3% 100.0%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