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Private Equity 현황과 주요 이슈 2014년 6월 27일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Contents I Private Equity 개관 II 해외 PE 시장 현황 및 트렌드 III 해외 글로벌 PE 운용전략 IV 국내 PEF 시장 현황 및 문제점 V 국내 IB에 대한 시사점 2
I. Private Equity 개관 3
Private Equity 및 PEF의 구조 정의 유형 Private Equity(PE)는 비상장 증권 에 투자한 후 기업가치를 올려 매 각하여 수익을 올리는 방식의 투 자를 통칭 Venture Capital, Growth Capital, Buyout, Special Situation 투자자 연기금, 학교재단, 상업은행, 투자 은행, 보험사 등의 기관투자자와 고액자산가 등 전문투자자 (accredited investor) Individual GPs GP Entity 투자대상회사 Portfolio SPC # 1 PEF의 일반적인 구조 GP 위탁관리계약 Funding ( 펀드금액의 1 %) 2% Management Fee + 20% Carried Interest (기준수익률 초과 수익의 20%) 인수금융 PEF Limited Partnership 투자대상회사 Portfolio SPC # 2 Funding ( 펀드금액의 99 %) 투자 투자 투자 인수금융 LPs 개인 및 기관투자자 기준수익률 초과 수익의 20% 투자대상회사 Portfolio SPC # 3 인수금융 4
Private Equity의 역사: Bird s-eye View Private Equity는 주기적인 활황과 침체(Boom & Bust)를 겪어왔으나 2000년대 들어 시장규모가 급성장하여 대표적인 대체투자 자산군으로 부상 ($bn) 450 미국 LBO 거래 규모 400 350 300 250 저비용의 대출 자금 공급 과잉 대규모 거래 성행 회수 시장 활황 200 150 100 다수 기업들의 경 영악화 및 구조조정 낮은 밸류에이션 높은 레버리지 공격적인 자금 모집 밸류에이션 상승 대규모 거래 IPO 시장 활황 50 0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자료: S&P Capital IQ 경기 침체 정크본드 시장 붕괴 벤처버블 붕괴 대출 시장 위축 글로벌 금융위기 대출시장/CLO 위축 PE 규제 움직임 5
Private Equity의 역사 (1) 1960-1970년대 중반: 시장 형성기 1980년대: LBO의 호황 1990년대: 침체기 시장 환경 비상장 가족기업의 지분매 각과 관련된 PE 투자 시도 첫 LBO 거래 성사 KKR의 첫 번째 바이아웃 펀드 설립 1976년 최초로 LBO거래 성사 시장 환경 투기등급 고수익 채권인 정크본드 발행에 힘입어, 대규모 차입이 가능해짐 대형 LBO(Leveraged Buyout) 및 적대적 M&A 유행 대형 PE가 다수 설립됨 80~90%의 높은 차입비율 LBO 외에도 기업 사냥꾼 들의 활동이 활발 시장 환경 정크본드 시장의 붕괴로 LBO 기업 부도율 증가 차입금 비중의 감소 (20%-40%) PEF 열기 감소 수익률의 주요 원천으로 기업의 중장기적인 가치제 고 고려 바이아웃 투자의 정형화 대체자산으로의 다각화 6
Private Equity의 역사 (2)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유럽 시장 활발 2000년대 중반: 바이아웃 황금기 2007년 이후: 시장 위축 시장 환경 고성장 기업들의 버블 붕괴 후 상당 기업 부실화 레버리지 낮춘 소규모 거래 주력 유럽 시장의 거래 증가 유럽의 LBO거래가 증가하 여, 2001년 미국 거래 금액 을 초과 (44조 달러 vs. 10조 달러) 시장 환경 이자율 하락과 대출 규제 완화로 인수자금 조달 용이 상장 유지 비용 증가 (SOX) 로 바이아웃 펀드에 유리한 환경 조성 LBO 거래의 부활 고수익 투자 대안으로 관심 거래금액에서 신기록 경신 블랙스톤, KKR의 상장으로 투자 기회 제공 시장 환경 금융위기로 인한 바이아웃 시장 위축 미국, 유럽 시장의 대폭적 위축 자금모집, 건수 및 규모 모 두 대폭 감소 LBO 투자의 부실화 신흥경제국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 7
II. 해외 PE 시장 현황 및 트렌드 8
PE 투자전략의 분포: 바이아웃 vs 성장자본 국가 세계 주요 국가 PE 투자전략 분포 (2007) 투자액 ($b) 투자액 대비 비율 성장자본 바이아웃 기타 미국 105.2 10% 73% 17% 영국 40.1 12% 80% 8% 인도 17.5 41% 6% 53% 일본 14.7 7% 66% 27% 호주 14.6 6% 87% 8% 프랑스 14.4 8% 86% 5% 중국 10.6 44% 8% 48% 독일 8.7 9% 83% 9% 말레이지아 5.4 0% 89% 11% 싱가포르 5.4 0% 73% 27% 대만 4.9 0% 63% 37% 스웨덴 4.9 11% 78% 11% 남아공 4.7 28% 65% 7% 네덜란드 4.6 12% 84% 4% 한국 4.3 54% 39% 7% 스페인 3.6 29% 59% 13% 홍콩 2.9 0% 44% 56% 뉴질랜드 2.7 0% 82% 18% 이태리 1.7 19% 76% 5% 덴마크 1.4 0% 82% 18% 기타 24.7 18% 51% 30% 자료: PwC(2007) 9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Private Equity의 역사적 수익률 미국 바이아웃 펀드 수익률 유럽 바이아웃 펀드 수익률 (5년 Rolling Pooled IRR) (5년 Rolling Pooled IRR) 40 30% 바이아웃 펀드 35 30 바이아웃 펀드 S&P500 25% FTSE 100 CAC40 DAX 25 20% 20 15 15% 10 10% 5 0 5% -5 0% -10 자료: Thomson Reuters, Bloomberg 10
( x ) Private Equity 수익률의 하락 원인 1990년대 이후 Private Equity 수익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한 원인은 다음과 같음 레버리지의 감소, 밸류에이션 하향 안정 및 PE 운용사 간 경쟁 심화 반면, PE 투자의 조달 비용은 추세적으로 안정 (%) 100 80 60 미국 LBO 거래의 부채 비율 40 30 S&P500 PE Ratio 40 20 20 10 0 '89 '91 '93 '95 '97 '99 '01 '03 '05 '07 '09 '11 '13 (10억달러) 자금모집과 투자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금모집 투자규모 자료: S&P, Bloomberg, Thomson Reuters, Pitchbook 11 0 '89 '91 '93 '95 '97 '99 '01 '03 '05 '07 '09 '11 '13 (%) 미국 고수익 회사채 수익률 30 25 20 15 10 5 0 '88 '90 '92 '94 '96 '98 '00 '02 '04 '06 '08 '10 '12
PE 투자전략의 시기별 변화 1980년대: Leverage 1990년대: Multiple Expansion 2000년대 이후: Value Creation 시장 환경 저금리 기조 정크본드를 통한 대규모 차입 Leverage 전략 안정적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기업 인수 80~90%대의 높은 차입 및 이에 대한 단기 상환을 통해 투자 수익 창출 경제 환경 90년대 초 경제 불황 이후 90년대 중 후반 닷컴버블 과 유래없는 경제 호황 Multiple Expansion 전략 내재가치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이 형성된 기업 인수 기업에 대한 시장 평가 (EV/EBITDA, P/E 배수) 상승에 따른 투자 수익 창출 경제 환경 2000년대 초 금융시장 경색에 따라 차입기회 제한 업계 성숙에 따른 치열한 경쟁 구도 및 높은 밸류에이션 Value Creation 전략 수익성 개선 가능성이 존 재하는 기업 인수 기업의 본질 가치 증대를 통한 투자 수익 창출 12
PE 산업의 주요 구조 변화 (1) 바이아웃 펀드의 대형화 및 초대형 딜의 증가 고수익 고위험 추구 및 낮은 차입비용을 통한 바이아웃 펀드의 대형화와 평균거래 규모 증가 (평균 6억 달러) 클럽 딜의 증가 인수 후 기업가치 제고에 있어서 GP간 강점 보완 및 딜플로우의 안정화 기능 경매방식 매각 증가 PE 자금 증가와 클럽딜 증가에 따른 대형사 인수능력 확대가 매도자 시장을 초래 인수가 상승, 기대수익률 하락, 레버리지 증가 등 바이아웃 투자 위험도 증가 신용 및 차입금융 시장의 팽창 CLO, CDO와 같은 신용구조화상품의 폭발적 성장으로 대형 LBO의 인수금융 지원 CLO 투자수요 증가는 LBO 대출 자산 수요로 이어져, LBO 거래 수 및 규모가 증가 바이아웃 펀드와 헤지펀드의 융합 펀드 운용회사의 펀드 포트폴리오 다각화 차원의 융합 펀드운용사 내부 정보 교류를 통한 투자의 시너지 효과 기대 13
PE 산업의 주요 구조 변화 (2) 대형 바이아웃 운용사의 상장 펀드 창업자 지분의 현금화 및 M&A 시 가치평가 수단 제공 펀드 운용인력 보상에 유용한 수단 제공 레버리지 투자의 감소 1990년대 초 이후 바이아웃 투자 타겟이 성장성 있는 기업으로 바뀜에 따라 레버리지가 지속적으로 하락 투자 업종의 범위 확장 1980년대 현금흐름이 안정적인 산업에서 성장성 있는 업종으로 외연 확대 해외시장으로의 적극적 진출 대형 바이아웃 펀드를 중심으로 경쟁심화 및 수익률 감소로 아시아 및 신흥시장 진출 간접재투자펀드(Fund of funds)의 증가 일급 GP와 긴밀한 관계 확보를 가능케 하며 특화 및 분산투자 가능 LP 지분의 유통시장 발달 할인된 LP지분 거래, 분산투자 제고, 향후 펀드 설립 시 LP 참여기회 확대 등으로 LP 유 통시장에 대한 관심 증가 14
III. 해외 글로벌 PE 운용전략 15
글로벌 PE 운용전략: 투자기업 발굴 투자기업 발굴은 기업 검색부터 인수의향서(LOI) 체결까지의 전 과정 피인수회사 경영진과의 관계 및 투자업종 전문화가 투자기업 발굴의 성공요인 투자업종 전문화는 특히 중소형 바이아웃 펀드에서 중점적으로 나타남 특히 GP의 독점적(proprietary) 딜 추진 능력이 자금모집의 요체 Auction과는 달리 과도한 인수가 지불을 회피함으로써 수익률 제고 가능 펀드의 상황이나 투자원칙에 부응하는 투자로 위험관리가 가능하며 style drift 회피 투자기업 발굴은 중개기관을 활용하는 방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중개기관 또는 투자은행 활용이 51%, cold call 방식은 28% 차지 투자기업 발굴을 위해 대형 바이아웃 펀드를 중심으로 주요 산업계 인사 고용 전체 딜 중 독점적 딜 비중 16% 36% 25% 이하 25% 초과 50% 이하 23% 50% 초과 75% 이하 25% 75% 초과 16
글로벌 PE 운용전략: 기업가치 제고 (1) PE 산업 성숙과 경쟁 심화에 따라 가치제고의 중요성이 부각 PE 투자 수익률은 multiple expansion, 레버리지, 매출 증가, 이익률 상승에 의해 결정 성장과 수익성 개선 등 경영효율성의 향상이 지속가능한 장기 수익률의 원천 DuPont formula 요소 설명 가치 창출 레버리지 (leverage) (바이아웃에만 해당) 매출 성장 (growth) 경영효율성의 증가 (operational improvement) 시장배수의 증가 (multiple expansion) - 재무적 엔지니어링 - 레버리지를 사용한 절세효과 - 대리인 비용의 감소 - 사업전략의 재점검 및 수립 - 추가 인수(add-on acquisitions) - 시장통합적 인수전략 (buy & build, roll-up) - 비용절감 및 이익률 개선 - 자본지출의 최적화 - 경영 비효율성 제거 - 대리인 비용 제거 - PE와 경영진 이해관계의 조정 - 경영진의 통제 및 모니터링 - 경영진에 대한 자문 - 시장 가치평가의 변화 - 대상기업, 시장 기회 포착 능력 약간 중요 중요 없음 (마켓타이밍 능력) 17
글로벌 PE 운용전략: 기업가치 제고 (2) 2000년대 중반 이후 주가지수 대비 PE의 초과수익률은 기업가치 제고 전략에 의 해 주도됨 PE 회수기업의 EBITDA 증가율은 상장기업 대비 6% 이상 높음 EBITDA 증가 요인으로는 유기적 성장과 M&A를 통한 기업규모의 증가가 70%를 차지하 며 비용절감 효과가 26%를 차지 100-Day Plan과 operating partners model 등 표준화된 가치제고 방식의 확산 상장기업 대비 PE 회수기업의 초과수익률 (2006-2012) 상장기업 대비 PE 회수기업의 EBITDA 증가율 PE 회수기업의 EBITDA 증가 요인 자료: Ernst & Young (2013) 자료: Ernst & Young (2013) 자료: Ernst & Young (2013) 18
글로벌 PE 운용전략: 투자회수 PE 투자의 회수방식으로는 IPO, M&A(또는 trade sale), 세컨더리 바이아웃, 유상감자 등이 있음 회수방식 중 IPO 비중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인 반면 2000년 이후 세컨더리 비중이 크게 증가 2000년대 PE로의 자금유입 급증으로 딜소싱이 어려워졌기 때문 매각가는 IPO 또는 M&A 대비 낮은 경향이 있으나 펀드 간 가치제고 역량이 다르기 때문에 시장 활성화 가능 북미와 유럽 모두 M&A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컨더리가 30% 비중 차지 LBO거래의 지역별 자금회수 유형별 비중 유형 북미 유럽 기타 총계 IPO 17% 11% 20% 15% M&A(전략적 투자자) 41% 41% 43% 41% 세컨더리(재무적투자자) 28% 33% 20% 30% 경영진 1% 3% 2% 2% 기타 또는 자료무 13% 11% 15% 12% 총계 100% 100% 100% 100% 자료: The Global Economic Impact of Private Equity Report (2008) 19
IV. 국내 PEF 시장 현황 및 문제점 20
영국 미국 아스라엘 인도 브라질 중국 한국 남아프리카 SSA MENA 러시아 일본 폴란드 터키 멕시코 국내 PEF 시장 현황: 자금모집 PEF는 2004년 12월 제도 도입 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3년 총 출자약정액 44 조 원, 237개 PEF로 증가하여 단기 급성장 연기금 대체투자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M&A 시장의 수급공백으로 인하여 성장 지속 PE 침투율 고려 시 국내 PEF 시장의 추가적 성장 가능성 향후 자금모집은 연기금 및 공제회 출자 등 성장의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수시 성 출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수준의 성장 예상 PEF 약정총액 추이 연도별 PE 자금모집 추이 국가별 PE 침투율 (최근 2년간 GDP 대비 PE투자 비중) (조원) (십억달러) (조원) (%) 50 40 30 20 10 0 07 08 09 10 11 12 13 800 600 400 200 0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2 10 8 6 4 2 0 0.8 0.7 0.6 0.5 0.4 0.3 0.2 0.1 0 한국 자료: 금융감독원 전세계 자료: 금융감독원, Preqin 한국 자료: 금융감독원, Preqin, EMPEA 21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전세계 평균 국내 PEF 시장 현황: (1) 규모의 영세성 PEF 수는 펀드 규모에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으나, 평균 PEF 규모는 정체 PEF 규모의 전체 기간 평균은 약 2,100억 원이며 2006년 이후 평균은 약 1,700억 원 2007년 이후 소규모 기업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PEF 증가 추세 150 100 50 0 출자약정액 규모별 PEF수 추이 대형 중형 소형 2009 2010 2011 2012 2013 (단위:억원)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PEF당 평균 출자약정액 주:대형은 출자약정액기준 3천억원 이상 중형은 1천~3천억원 소형은 1천억원 미만 자료: 금융감독원 자료: 금융감독원 22
국내 PEF 시장 현황: (2) 시장 재편의 지속 과거 블라인드 PEF를 결성한 경험이 있는 선도 GP의 블라인드 PEF 재결성과 신 규 진입 GP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PEF 결성 등 시장 내 계층화가 진행 상위 3개 GP의 자금모집 비중은 2008년 58.0%에서 2013년 68.0%로 증가 특히, 독립계 GP가 시장을 선도하는 것으로 평가 블라인드 펀드의 매력도 감소 LP들은 검증된 GP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펀드 설정 희망 GP들은 PEF시장의 과잉 유동성 인식으로 인한 딜소싱 문제로 블라인드 펀드의 매력도 감소 100% 신규 PEF 대비 동일 GP 재설립 비율 100% 전체 PEF중 Blind PEF 비중 80% 80% 60% 40% 20% 전체 PEF 대형 PEF 60% 40% 20% 0% 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04-2007 2008-2011 2012 2013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23
국내 PEF 시장 현황: 투자 (1) 선도 PEF의 경우 주로 경영지배형의 전형적인 바이아웃 딜을 추구 제도 도입 초기 일부 PEF의 경우 전형적인 PE 투자보다는 메자닌, 상장기업 소수 지분 취득 등 소극적(passive) 운용전략을 구사하였으나 점차적으로 투자 역량 축적 중 트랙레코드의 축적과 LP 선호에 부응하기 위한 GP의 위험 기피에 기인 최근 VC 배경을 가진 GP의 시장 진입으로 Growth Capital 및 메자닌 투자 증가 SI 공동투자, 12.6% 투자금액 기준 투자 방식 (2005-2012) RCPS, 7.6% 복합, 6.5% CB, 2.8% BW, 1.5% 기타, 0.9% 소수지분, 32.1% 바이아웃, 55.3% 보통주, 80.7%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24
국내 PEF 시장 현황: 투자 (2) 국내 PEF 투자의 비교적 낮은 레버리지를 고려하면 PE 투자 수익률은 평균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됨 2007년 16.3%에 불과하던 차입투자 비중이 2010년 약50%를 넘어선 이후 2012년부터 70%대를 기록(2012년 71.6%, 2013년 71.4%) 상당 수 투자가 가치제고보다는 multiple expansion에 의해 수익이 창출된 것으로 추정 80% 60% 40% 20% 0% -20% 해외 PE 투자 후 경영효율성 변화 해외 PE 투자 및 회수시의 multiple 변화 PEF 회수기업의 경영성과 매출 CAGR EBITDA CAGR EBITDA 마진 주:N=120 자료:Loos(2005) 바이아웃 비교 산업 CAGR 12 10 8 6 4 2 0 EV/EBITDA 진입 주:N=272 자료:Loos(2005) EV/EBITDA 회수 바이아웃 순부채/EBITDA 순부채/EBITDA 진입 비교 산업 회수 14 12 10 8 6 4 2 0 총자산 CAGR 매출액 CAGR PEF 상장기업 영업이익 CAGR 주:2010년까지 회수된 200억원 규모 이상의 PEF 투자 20건 분석 자료:자본시장연구원 25
국내 PEF 시장 현황: 회수 2012년까지 회수된 투자 중 M&A, IPO 및 Secondary에 의해 회수된 투자는 금액 기준 66%로 장내매각, 환매(buyback), 유상감자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미국의 경우 M&A, IPO 및 Secondary는 각각 48%, 16%, 22%로 총 86%를 차지 2013년 말까지 3조 7천억 원 정도 회수되었으며 향후 수년 내 회수 집중 예상 (조 원) 4 3.5 3 2.5 2 1.5 1 0.5 0 PEF 투자회수액 08 09 10 11 12 13 자료:금융감독원 투자금액 기준 회수유형 분포 (2005-2012) 유상감자, 4.2% 복합, 2.8% 기타, 4.8% 장내매각, 6.5% IPO, 10.1% M&A, 31.5% Secondary, 24.0%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Buyback, 16.2% 26
<참고> 국내 PEF 시장의 특징: 국민연금 Corporate Partnership 국내 PEF와 대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하여 국내 기업(SI)과 PEF GP가 공동으로 해외 기업 및 자산에 투자 국민연금이 Anchor LP로 참여하여 PEF를 결성한 후 SI와 매칭투자(주로 1:1)하는 구조 유인일치적인 구조의 펀드로 운영이 가능 SI: 해외투자의 위험 분산 및 GP의 투자대상 심사를 통한 양질의 딜에 대한 선별적 투자 GP: SI로부터의 딜소싱 편의, 해외 PE 투자 경험 축적 기회 및 SI 대주주의 자의적 인수 추진 견제 국민연금: 성장성 높은 산업이나 지역으로의 해외진출로 국내시장의 한계를 벗어나 PE 투자 수익을 창출 국민연금 Corporate Partnership 현황 기업명 규모 기업명 규모 KT&G 3,920조원 한라그룹 2,000억원 POSCO 4,000억원 두산그룹 4,000억원 동원그룹 2,900억원 LG상사 3,000억원 SK그룹 4,000억원 CJ그룹 5,000억원 GS건설 2,940억원 동아제약 2,000억원 LS그룹 3,000억원 대성합동지주 2,000억원 KT 4,000억원 한국전력 4,000억원 삼성물산 3,000억원 풀무원 2,000억원 한화그룹 5,000억원 LG생명과학 4,000억원 27
국내 PEF 시장의 개선과제: GP 측면 바이아웃 및 가치제고 역량의 강화 바이아웃은 경영권 지분의 획득으로 운용 리스크의 감소와 수익률 제고 가능 바이아웃 투자는 가치제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최적의 구조 해외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한 투자역량의 배양에 필수 기업부문의 비효율성 제거와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투자대상을 제공하고 국부를 창출하 기 위해 반드시 필요 Operation 배경을 가진 전문인력의 PEF 참여 부족 해외투자 역량의 배양 국내 연기금 및 정책금융기관 등의 대체투자 자금 유입 지속 국내 시장의 제한된 딜플로우로 인한 해외진출의 니즈 존재 글로벌 시장에서 대등한 경쟁을 위해서는 장기간이 소요 GP 운용시스템 선진화 및 선관의무 수행 GP 내부의 성과보상 시스템 및 key-man clause의 준수 필요 성과보수 중심의 운용마인드 및 전문 운용인력의 양성 28
국내 PEF 시장의 개선과제: LP 측면 해외 LP 자금의 유치를 통한 국내 PEF의 글로벌화 PEF 선진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해외 유수 LP 자금유치를 통한 글로벌 PEF로의 도약임 해외 LP들의 경우, LP 수익률과 GP의 운용능력 및 지속가능성에 관심 편중된 국내 LP 구조의 다변화 자금의 성격을 달리하는 다양한 장기운용 자금의 유입은 PEF 운용 안정성을 높임 금융회사와 일반기업의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연기금 및 공제회 등의 역 할 증가 필요 대학 등을 포함한 각종 재단과 기금의 참여 필요 LP의 보수적 자금운용 완화 국내 주요 LP는 공적 연기금으로서 자금 운용인력의 감사 우려로 보수적 운용을 희망 LP 자금운용 인력의 순환보직으로 출자의 수익성보다는 하방 리스크의 최소화에 집중 이는 트랙레코드가 없는 GP의 이해관계와 더불어 옵션부 투자, 재무적 투자 등의 양태 로 나타남 29
V. 국내 IB에 대한 시사점 30
글로벌 IB의 Private Equity 서비스 2000년 이후 글로벌 PE 시장 팽창에 따라 PE는 IB의 매력적인 고객으로 부상 상대적으로 장기인 펀드 만기 및 투자-회수의 딜 사이클 다양한 sector-product를 아우르는 bundle service 제공으로 IB 수익성 제고 정보우위로 인한 장기적인 고객 관계 형성 가능성 PE 고객은 I-Banker의 연속성을 중시 글로벌 IB들은 IB 부서 내 별도의 PE 전담팀(FSG: Financial Sponsors Group)을 두고 PE 투자의 전 단계에서 종합서비스(one-stop shopping)를 제공 딜 아이디어 단계: 독점적 딜 발굴 및 소개, 산업 및 금융 네트워크, 회계 법률 네트워크 인수 단계: 입찰 전략 및 인수금융 제공 등 인수 관련 서비스 회수 단계: M&A, IPO, recapitalization 등의 자문 및 주관사 기타: 구조조정 자문, 신용공여 및 공동 투자, 포트폴리오 기업가치 상승을 위한 addon acquisition 자문 등 PE에 대한 서비스 제공은 종합적인 IB 역량을 필요로 함 전략적 및 재무적 투자자와의 네트워크 M&A, ECM, DCM, Syndicated Loan 등을 아우르는 종합 IB 서비스 제공 능력 섹터 전문화 및 리서치 역량 31
글로벌 IB의 PE 관련 수수료 수입 2013년 글로벌 IB의 PE 수수료 수입은 총 $12.5bn으로 전체 IB 수입의 15%를 차지 수수료 수입은 투자, 기업가치 제고 및 회수의 PE 투자 전 과정에서 발생 투자 시점: M&A 자문 및 인수금융 수수료 보유 중: 포트폴리오 기업 M&A 및 자금조달 수수료 회수 시점: M&A 자문 및 IPO 주관 수수료 PE 관련 글로벌 IB의 수수료 수입 글로벌 IB의 PE 수수료 수입 유형 자료: Thomson Reuters Global Investment Banking Review (2013) 32
글로벌 IB의 PE 관련 수수료 수입 (2) 2013년 상위 20개 글로벌 IB의 PE 수수료 수입 평균은 $470 mil 바이아웃 자문, 인수금융, 회수, 포트폴리오 기업 관련 IB 수수료 등으로 구성 2013년 상위 20개 PE 운용사 평균 IB 수수료 지출액은 $270 mil PE 운용사 AUM의 0.9%를 IB 수수료로 지출 포트폴리오 기업 및 회수 관련 지출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글로벌 IB의 FSG 리그테이블 글로벌 PE 운용사별 IB 수수료 지출 자료: Thomson Reuters Global Investment Banking Review (2013) 33
국내 IB에 대한 시사점 국내 PEF는 국내 투자은행 성장의 동력으로 부상할 가능성 그간 IPO 및 M&A 등 기업의 IB 서비스 수요 침체로 국내 IB도 정체 45조 원의 PEF 결성규모를 고려하면 잠재적 시장규모는 2,000억 원 수준 2013년 국내 증권사 IB 순수입 규모는 5,900억 원 그러나, 국내 PEF는 국내 투자은행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 상당수의 PEF가 중소 규모의 프로젝트 PEF로서 딜 소싱 수요 부재 회수의 일부분 만이 IPO인 반면, M&A 자문은 증권사 외의 자문기관에서도 수행 인수금융을 대부분 은행에서 제공 가치제고가 수익률의 주요 창출 경로로 자리잡지 못함 따라서, 국내 증권사들은 PE 관련 IB 부문을 전략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 글로벌 IB와 같은 PEF coverage group의 설치 M&A 자문, ECM, DCM, 인수금융 등을 포괄하는 one-stop shopping 제공 플랫폼 확충 최고경영자의 확고한 IB 부문 육성 의지 IB 부문 전문인력의 장기 근속을 유도할 수 있는 합리적인 성과체계의 도입 3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