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42DC8ABC0BAB0E62836372D383029BCF6C1A4C6EDC1FD312E31302E687770>



Similar documents
* ** *** ****


<31302DC8ABC0BAB0E62CB1E8B0E6B9CC D C3D6C1BE362E32372E687770>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歯5-4-04(윤치연외).PDF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DBPIA-NURIMEDIA

., (, 2000;, 1993;,,, 1994), () 65, 4 51, (,, ). 33, 4 30, 23 3 (, ) () () 25, (),,,, (,,, 2015b). 1 5,

교실, 놀이터, 혹은 유사 임상적 환경에서 실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주의력과 충동 조 절에 대한 직접 검사(예: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통해서는 실제 환경에서 수 집된 자료 이상의 정보를 얻기 힘들다. 유아들 간의 행동 다양성뿐 아니라 초

歯14.양돈규.hwp

- 89 -

118 김정민 송신철 심규철 을 미치기 때문이다(강석진 등, 2000; 심규철 등, 2001; 윤치원 등, 2005; 하태경 등, 2004; Schibeci, 1983). 모둠 내에서 구성원들이 공동으 로 추구하는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각자 맡은 역할에 따라 함께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Table 1. The variables of T.O.V.A. inattention impulsivity disinhibition variability inconsistency 200msec., 291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31335FB1C7B0E6C7CABFDC2E687770>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歯5-2-13(전미희외).PDF

<5BBEF0BEEE33332D335D20312EB1E8B4EBC0CD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석사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상담학연구 ADHD- : ) 2) 3) 4) 5).,.,. MMPI, K-CBCL, KPR-C,. (Corresponding Author): / / 47 / Tel: /

September Vol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A study on Characte

歯남민4.PD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Effect of Boa

<343220BDC5C0BAC1F62DB4EBC7D0BBFDC0C720C1D6C0C7B7C2B0E1C7CCB0FAC0D7C7E0B5BFC0E5BED62E687770>

상담학연구. 10,,., (CQR).,,,,,,.,,.,,,,. (Corresponding Author): / / 567 Tel: /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5차 편집).hwp

ORIGINAL ARTICL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6;27(4): pissn X / eissn

<C3D6C1BEBFCFBCBA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1C8A3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제19권 제3호 Ⅰ. 문제제기 온라인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이용은 이제 더 이 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뉴스 서비스는 이미 기존의 언론사들이 개설한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을 제작하는 언론사들 외 에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신생 언론사

ATC _03df9a6d e0a-1fea63a4d9fe.hwp

레이아웃 1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歯제7권1호(최종편집).PDF

Issue 두 가지 상대적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다. 특히, 게임 중독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이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접근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청소년에 대한 사회문화 및 정보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의 방향이라든 지 나아가 게임중독과 관련한 사회구조적인 또는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내지4월최종

<3033B9DABCF6B0E62E687770>

단위: 환경정책 형산강살리기 수중정화활동 지원 10,000,000원*90%<절감> 형산강살리기 환경정화 및 감시활동 5,000,000원*90%<절감> 9,000 4, 민간행사보조 9,000 10,000 1,000 자연보호기념식 및 백일장(사생,서예)대회 10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목 차 [1부] 프로그램 소개 Ⅰ.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소개 2 1. 연구의 필요성 2 2. 프로그램의 목적 3 3. 프로그램 개발 전략 4 4.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의 활용 5 Ⅱ. 프로그램 활용방법 집단의 형태 프

<5BB9E8C0E7B4EBC7D0B1B35DBFACB1B8BAB8B0EDBCAD2DC3D6C1BEC3E2B7C2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33BCAEB5BFC0CF2E687770>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歯1##01.PDF

<5BC1F8C7E0C1DF2D31B1C75D2DBCF6C1A4BABB2E687770>

120229(00)(1~3).indd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177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6±Ç¸ñÂ÷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untitled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최우석.hwp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cls46-06(심우영).hwp

0429bodo.hwp

Transcription: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4, pp. 67~80, 2013.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홍 은 경 * < 요 약 >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성향의 대학생과 비성향의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고,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 이다.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 20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에 관한 것 5문항, ADHD 성향 검사 18문항, 감각처리능력 검사 60문 항으로 총 83문항이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197개의 설문지를 SPSS 18.0 버전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ADHD 성향 유무에 따라 감각처리특성 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감각예민과 감각 회피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각예민과 감각회피를 보이는 대학생은 각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와 관련성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성인 ADHD를 대상으로 평가시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감각 경험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음을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어 : 감각처리특성, 대학생 ADHD, 상관관계 Ⅰ. 서 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 과잉활동성, 충동성을 주 증상으로 한다(정명숙, 손영숙, 정현희, 2006). 자기보고 방법으 *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조교수(교신저자 : hongek@shinsung.ac.kr) Professor,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hinsung University

6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로 대학생의 ADHD 진단 분포를 알아본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거의 20%가 ADHD의 진단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McKee, 2008). ADHD 성향의 대학생은 학업과 직업수행이 저조하고 대인관계 기술이 부족하며 낮은 자존감, 우울증, 급한 성질, 정서조절 이 어려운 등의 문제를 나타낸다(Barkley, 1998; Turnock, Rosen, & Kaminski, 1998). 그 외에도 약물남용과 같은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고, 취업의 어려움이나 재정문제 등과 같은 적응행동에도 문제를 나타낸다(Barkley, 1998). 일반적으로 대학생이라는 시기를 자아정체 감과 심리적 독립의 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단계라고 볼 때(권경미, 2009), ADHD 성향의 대학생이 겪는 문제점은 이 시기에 해내야 하는 과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ADHD 성향 대학생의 또 다른 문제는 감각처리이다. 감각처리는 환경의 요구에 어떻게 반응할지 결정하기 위해 신체 내, 외부의 감각 자극을 받아들이고, 조직화하며 이해하는 신경계의 방법이다(Miller & Lane, 2000). 감각처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자극에 대한 탐색, 조절이나 해석에 손상이 있어 감각 자극에 대한 반응에도 손상을 보인다(Miller, Coll, & Schoen, 2007). 이런 사람은 감각자극에 대해 과반응을 보이거나 저반응을 보인 다(Miller, Coll, & Schoen, 2007). 즉, 과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자극에 대해 기대한 것 보다 더 빠르고, 길며 강한 방법으로 행동한다. 저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자극에 대해 느리 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가만히 있는다(Ghanizadeh, 2011). 여러 연구에서 학령전기 및 학령기 ADHD 아동은 촉각, 청각, 전정감각처리에 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 었다(Baumiou, Musiek, & Luxon, 2001; Hern & Hynd, 1992; Iwanaga et al., 2006; Shum & Pang, 2009). ADHD 아동에서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 중 하나인 감각통합치료 프로 그램을 적용한다.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을 기본으로 한 치료이다.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종류의 그네, 균형판, 사다리, 암벽타기 등의 도구를 이용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활동들은 아동이 필요로 하는 전정감각, 고 유수용성감각, 촉각을 제공하고 감각들을 적절히 분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활동 들은 시각이나 청각과 통합되도록 뇌를 활성화하고, 신경계 기능을 조직화하는데 도움을 주어 일상생활 내에서 적절한 행동을 하게 한다(김경미, 지석연, 노종수, 2003). 이마엽과 그와 관련된 선조체 이상이 원인이라고 보고 된(이광희, 2012) ADHD 아동에게 감각통합 치료 프로그램은 신경계를 조직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DHD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의집중력과 글씨쓰기 능력, 균형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김경미, 김진미, 2007; 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이다연, 김기홍, 2010; 정수경, 이숙정, 2011; 함보현 등, 2012). 감각통합치료 프로 그램의 효과는 ADHD 성향의 대학생에게도 긍정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치료 프로 그램을 적용하기 이전에 ADHD 성향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69 할 것이다. ADHD 아동에서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본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ADHD 성향 대학생이나 성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 에 맞는 감각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이 시기에 중요한 학업과 대인관계에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성향의 대학생과 비성향의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고,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 ADHD 성향 대학생과 비성향 대학생은 감각처리특성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2.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3. ADHD 성향 대학생에서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강원, 경상, 전라, 전북지역의 4개 대학(교)에서 총 209명의 대학생을 대상 으로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세이었고, 연령의 범위는 18~39세이었다. 설 문지는 연구에 대한 목적, 시행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에게 실시 하였고, 동의서를 서면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동의서는 연구에 대한 익명성, 연구 도중의 철회성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내용을 확인하여 직접 서명하도록 하였다. 응답자 중 정신과적 진단 및 치료를 받았다고 응답한 학생 2명과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 9명, 포함 연령 기준에 속하지 않는 1명을 제외하여 총 197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의 포함 기준은 설문지를 이해하고 응답이 가능한 대학생, 18세 이상의 자, 연구에 동의한 자이었다. 배제기준은 정신과적 진단을 받거나 약물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자이었다. 2. 조사 방법 연구는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 까지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에 관한 것 5문항, ADHD 성향 검사 18문항, 감각 처리능력 검사 60문항으로 총 83문항이었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에게 시행하 거나 설문담당자가 우편으로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대상자에게 배부하기 전에 설문

7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담당자는 연구에 대한 목적과 시행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여 동의서를 받았고, 수행 후 다시 우편으로 회신하였다. 설문담당자는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의 대학원생으로 작업치료 및 본 연구와 관련된 실험을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었다. 3. 연구 도구 1) 한국형 DSM-Ⅳ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척도 (Korea-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 K-AADHDS) 본 연구에서 Korea-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K-AADHDS) 을 사용하였다. 이는 Murphy와 Barkley(1995)가 성인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증상 을 측정하기 개발한 것으로 김은정(2003)에 의해 번안된 것이었다. K-AADHDS의 내용은 DSM-Ⅳ의 18개 ADHD 증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자기 보고형으로 평가한다. 부주의와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측정하는 것은 각각 9개 항목으로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주의 요인은 세심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것, 지시를 잘 따르지 못하는 것, 물건을 잘 잃어버리는 것, 조직화하기 어려운 것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과잉행동 및 충동성 요인은 꼼지락거리며 손발을 움직이는 것, 말을 많이 하는 것, 차례를 기다리기 어려운 것, 조용히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6개월 동안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를 거의 그렇지 않다 에서 매우 자주 그렇다 까지 4점 척도로 평가한다. 매우 자주 그렇다와 자주 그렇다로 응답한 것이 6개 이상인 경우 ADHD 성향이 있는 것으로 본다. 김은정(2003)의 연구 결과에서 전체 척도 (0.85) 및 하위척도의 내적 일관성(부주의 0.79, 과잉행동-충동성 0.76), 검사-재검사 신뢰도(0.72)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청소년/ 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 Adult Sensory Profile: AASP) 청소년/ 성인 감각프로파일은 Dunn(1997)의 감각처리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감각처리 는 Dunn(1997)의 모델을 통해 소개되었다. 이 모델은 신경학적 역치의 연속체(neurological threshold continuum)와 행동학적 반응/자기-조절 연속체(behavioral response/ selfregulation continuum)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모델은 높은 신경학적 역치를 등록저하 (low registration)와 감각찾기(sensation seeking)로 나누었고, 낮은 신경학적 역치를 감각예민(snesitivity to stimuli)과 감각회피(sensation avoiding)로 나누어 총 4가지의 감각처리특성으로 분류하였다. 등록저하의 감각처리특성을 보이는 사람은 감각을 잘 탐지하지 못하고, 수동적인 행동을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71 보이며 적극적으로 풍부한 감각을 찾으려 하지 않는다. 감각찾기를 보이는 사람은 풍부한 감각 환경을 찾으려 하고, 적극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 감각예민을 보이는 사람은 감각 에 대해 불쾌하거나 불편해하지만, 불편한 감각에 대해 적극적으로 방어하지 않는다. 감각 회피를 보이는 사람은 적극적으로 감각에 대한 노출을 피한다(Dunn, 1997). 본 연구에서는 박미희와 김경미(2006)에 의해 번안된 것을 사용하였다. Adolescent/ Adult Sensory Profile(AASP)은 청소년과 성인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겪는 감각 경험에 대해 행동적 반응을 스스로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 내용은 맛/냄새, 움직임, 시각, 촉각, 활동수준, 청각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총 60개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 하고 1점은 그 감각에 대해 전혀 그렇게 반응하지 않는다 이며 5점은 항상 그렇게 반응 한다 로 나타낸다. 각 항목은 Dunn의 모델에서 제시한 등록저하, 감각찾기, 감각예민, 감각 회피로 나누어 결과로 제시된다. 각 영역별 점수에 따라 다른 사람보다 (아주)적은 반응 (인구의 16% 해당),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인구의 68% 해당), 다른 사람보다 (아주) 많은 반응(인구의 16% 해당)으로 결과를 해석한다. AASP의 Cronbach α 값은 0.64~0.76 이었다(정혜림, 김경미, 2011). 4. 분석 방법 총 197명의 대상자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18.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징, K-AADHDS, AASP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ADHD 성향 유무에 따라 AASP의 점수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Mann- Whitney)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와 AASP의 상관관계, AASP 요인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을 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총 197명으로 남 34명(17.3%), 여 163명(82.7%)이었고, ADHD 성향군은 74 명(37.6%), 비성향군은 123명(62.4%)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42±2.342세이며 범위는 18~39세이었다. 학년별로 1학년 36명(18.3%), 2학년 120명(60.9%), 3학년 41명 (20.8%)이었다. ADHD 성향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K-AADHDS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7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에서 ADHD 성향군의 평균은 43.68±5.64점이었고, 비성향군은 31.29±5.93점이었다. 전체 대상군의 평균은 35.94±8.37점이었다<표 3-1>. <표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단위 : 명(%) 구분 성향군 비성향군 전체 대상자 수 74(37.6) 123(62.4) 197(100) 성별 남 13(17.6) 22(17.9) 34(17.3) 여 61(82.4) 101(82.1) 163(82.7) 연령(세)a 20.09±1.82 20.62±2.60 20.42±2.34 1 20(27.0) 16(13.0) 36(18.3) 학년 2 43(58.1) 78(63.4) 120(60.9) 3 11(14.9) 29(23.6) 41(20.8) K-AADHDS 점수a 43.68±5.64 31.29±5.93 35.94±8.37 a 평균±표준편차 2. ADHD 성향 유무에 따른 감각처리특성 ADHD 성향 유무로 나누어 감각처리특성을 살펴본 결과, ADHD 성향군에서 평균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감각처리특성의 영역 중 등록저하에서 ADHD 성향군 37.50±8.21점, 비성 향군 31.53±7.06점, 감각예민에서 성향군 42.14±8.83점, 비성향군 33.04±8.20점, 감각 회피에서 성향군 36.12±0.39점, 비성향군 29.68±6.34점을 보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ADHD 성향군에서는 4 영역 중 감각저하, 감각찾기, 감각예민의 평균 점수가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에서 벗어났다. 비성향군에서는 4개 영역 중 감각찾기의 평균 점수가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에서 벗어난 결과를 보였다. ADHD 성향 유무에 따라 감각처리특성의 맛/냄새 처리, 움직임 처리, 시각 처리, 촉각 처리, 활동 수준, 청각처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DHD 성향군에서 감각처리특성의 평균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표 3-2>. <표 3-2> ADHD 성향 유무에 따른 감각처리특성 영역 요소 성향군 비성향군 평균±표준편차 Z 등록저하 37.50±8.21d 31.53±7.06c -4.825 * 감각찾기 37.71±7.55b 35.43±7.84a -1.881 감각예민 42.14±8.83d 33.04±8.20c -6.643 * 감각회피 36.12±0.39c 29.68±6.34c -6.377 *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73 감각 맛/냄새 처리 21.24±3.95 18.87±3.47-4.072 * 움직임 처리 19.72±5.11 16.72±3.57-4.232 * 시각 처리 24.78±5.49 20.76±4.22-4.984 * 촉각 처리 31.68±6.64 26.55±7.03-4.844 * 활동 수준 26.75±5.24 22.77±4.61-4.851 * 청각 처리 29.31±5.33 24.02±6.47-5.914 * * p <.05, a 다른 사람보다 아주 적은 반응, b 다른 사람보다 적은 반응, c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 d 다른 사람보다 많은 반응 3.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3-3>과 같다. 전체 대상자의 K-AADHDS의 총점은 감각처리특성의 등록저하, 감각찾기, 감각예민, 감각 회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낮은 신경역치를 보이는 감각예민과 감각회피의 감각처리특성이 ADHD 성향과 관련성이 있었다. <표 3-3> 감각처리특성과 ADHD 성향의 상관관계 AASP 구분 K-AADHDS 등록저하(높은 신경역치).274 * 감각찾기(높은 신경역치).154 * 감각예민(낮은 신경역치).424 ** 감각회피(낮은 신경역치).403 ** * p <.05 4. ADHD 성향군에서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간의 상관관계 ADHD 성향군에서 낮은 신경학적 역치를 보였던 감각예민과 감각회피와 감각 처리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표 3-4>와 같았다. 감각예민과 감각회피는 공통적으로 움직 임처리, 시각처리, 촉각처리, 청각처리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 3-4> 감각처리특성의 요소 간의 상관관계 요소 맛/냄새처리 움직임처리 시각처리 촉각처리 활동처리 청각처리 감각 예민.550 **.480 **.621 **.665 **.350 *.635 ** 감각 회피.246 *.479 **.583 **.476 **.528 **.553 ** * p <.05, ** p <.01

7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Ⅳ. 논 의 본 연구는 대학생을 ADHD 성향군과 비성향군을 나누어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해보고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197명 중 ADHD 성향군은 총 74명으로 37.6%이었다. 성인기 ADHD의 유병률이 약 3~5%인 것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Miller & Lane, 2000). 선행연구와 비율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연구를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 및 방법의 차이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도구는 자기 보고형으로 전문가의 의해 평가된 것이 아니었고, 증상을 기초로 하여 측정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미국 정신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에서 ADHD 아동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3~7%이었으나 부모와 교사 에 의해 증상만을 보고 측정한 지역사회 연구에서는 20% 정도를 보여 차이가 있었다(Engel -Yeger et al., 2011). 또한 국내에서도 478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성인용 자기 보고형 Young ADHD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한 김상현(2012)의 결과, 주변사람들로부터 산만한다는 평가를 자주 들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70명(14.6%)이었고, 종종 들었다고 응답 한 사람이 222명(46.4%)로 잠정적 ADHD 성향을 보인 사람이 절반 정도라고 하였다. ADHD 성향 여부에 따라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본 결과, 비성향군은 등록저하, 감각예민, 감각회피 영역에서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고 감각찾기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아주 적은 반응을 보였다. 이는 국내의 선행연구들과 비슷한 결과이었다(김진경, 최종덕, 박소연, 2008; 정혜림, 김경미, 2011; 최종덕, 김진경, 이택영, 2010; 한수연 등, 2012). 총 50명의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종덕, 김진경, 이택영(2010)의 연구에서는 감각 찾기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적은 반응(평균 38±7.7)을 나타냈고, 그 외 모든 영역에서 는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259명의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정혜림과 김경미(2011)의 연구에서는 감각찾기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아주 적은 반응(평균 35.37) 을 보였고, 그 외 영역은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 였다. 국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감각추구에서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보 였지만(Crane, Goddard, & Pring, 2009; Engel-Yeger et al., 2011), 한국 성인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선 다른 사람보다 (아주) 적은 반응을 보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김진경, 최종덕, 박소연, 2008; 정혜림, 김경미, 2011; 최종덕, 김진경, 이택영, 2010; 한수연 등, 2012). ADHD 성향군에서는 등록저하와 감각예민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많은 반응을 보였고, 감각찾기 영역에서 다른 사람보다 적은반응을 보였으며 감각회피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과 유사한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등록저하, 감각예민, 감각회피 영역은 ADHD 성향군과 비성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75 향군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Dunn의 감각처리모델에서 등록저하는 신경학적 역치 가 높고, 수동적 행동반응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저하에 속하는 경우, 다른 사람이 인식하는 자극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인식을 위해서는 더 강한 자극이 요구되며 다른 환경에 쉽게 적응한다. 또한, 다른 사람이 등록저하에 속하는 사람을 부를 경우 여러 번 불러야 하거나 주의를 끌기 위해 신체부위를 치는 것과 같은 단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 하다(Dunn, 1997). 성인 ADHD 성향의 특징상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고,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며 지시 사항 등을 잘 듣지 못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감각예민과 감각회피는 신경학적 역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특징을 보이는 사람들은 감각자극에 매우 잘 반응하고 다른 사람들보다 일상생활에서의 감각사건 을 잘 인지한다. 그들은 학교 교실이나 영화관 같은 곳에서 다른 사람의 움직임, 냄새, 소 리에 쉽게 주의를 빼앗긴다(박미희, 김경미, 2006). 다른 사람들보다 감각자극을 더 빨리 인지하고 반응하여 한 가지 활동에 꾸준히 집중하기 어렵고 산만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감각예민과 감각회피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Dunn의 모델에 의하면 감각예민과 감각회피는 자기 조절에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신경학적 역치가 낮고 과민감한 특징을 보인다(Dunn, 1997). Miller-Kuhaneck 등(2007), Neal, Edelman과 Glachan(2002), Pfeiffer 등(2005) 연구 에 의하면, 감각자극에 대해 낮은 역치를 가지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산만, 충동, 불안과 같은 행동, 높은 수준의 각성을 보인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자극에 대해 과민감한 것은 과잉 각성(hyper-arousability)과 중추신경계의 억제 조절 체계가 잘 작동 되지 않는 것의 결과이다(Davies & Gavin, 2007). 이를 ADHD 성향과 연관 지어 보면 주의집중의 손상 및 충동성과 관련 있다(Engel-Yeger & Ziv-On, 2011). 또한 Mulligan (1996)에 의하면, 감각을 회피하는 사람에서 집중의 의미는 감각에 대해 과잉집중(hyper focused)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보면, 감각회피를 보이는 ADHD 성향의 대학생은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 시각, 청각, 촉각의 감각에 대해 다른 사람들 보다 과잉집중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 번째, 일부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 였고, 성비율에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 전국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남학생 34명 중 ADHD 성향의 대학생은 13명(2.6%)이었고, 여학생 163명 중 ADHD 성향의 대학생은 61명(2.6%)으로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Heiligenstein 등 (1998)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이다. 아동의 경우 남아에서 유병률이 높지만, 성인의 경우 는 유사하거나 역전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김은정, 2003; Heiligenstein et al., 1998). 두 번째, 대학생의 ADHD 성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자기보

7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고용으로 한국에서 번안, 연구되었으나 전문 의사에 의해 진단된 것이 아니었다. 이는 개인 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결과를 해석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성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많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 고, ADHD로 진단된 성인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측정한다면 더 정확한 결과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대학생 ADHD 성향군과 비성향군에서 ADHD 성향 유무에 따른 감각처리특성 을 알아보고, 대학생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대학생 ADHD 성향 유무에 따라 감각처리특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ADHD 성향 과 감각처리특성의 감각예민과 감각회피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ADHD 대상으로 치료하는 전문가들이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ADHD를 대상으로 평가할 때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감각경험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적절한 치료 프 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감각예민과 감각회피의 낮은 감각역치가 ADHD 성향과 관련 있음을 인지하고 촉각, 청각, 시각, 전정감각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 적용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감각자극을 줄여주는 환경적 조정, 일상에서 감각 입력 을 제한시키는 방법 등 대처 전략을 제시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경미, 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103-130. 김경미, 지석연, 노종수 (2003). 감각통합Q&A. 서울: 정담미디어. 김상현 (2012). 성인 ADHD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자기존중감, 자기지각이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2003). 한국형 성인 ADHD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97-911. 김진경, 최종덕, 박소연 (2008).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비교연구. 대한작업 치료학회지, 16(1), 45-54.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77 권경미 (2009). 교양무용참여 대학생을 위한 우울증 및 대인관계(성격장애)척도개별과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 377-412. 박미희, 김경미 (2006). 성인용 감각처리 평가도구이 필요성 및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소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4(1), 17-28. 박미희, 김경미 (2007). 처리특성에 따른 주관적 감각인식의 차이.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5(1), 21-30. 이광희 (2012). 15분 체조운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 및 청소년의 총 문제 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지, 8(2), 101-109. 이다연, 김기홍 (2010). 촉각중심 감각통합훈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특수체육연구, 9, 93-112. 정명숙, 손영숙, 정현희 (2006). 아동기 행동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정수경, 이숙정 (2011).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 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4), 331-356. 정혜림, 김경미 (2011). 성인의 강박증상과 감각처리특성과의 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4), 69-77. 최종덕, 김진경, 이택영 (2010). 성인의 감각처리유형과 인성의 상관성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1), 23-30. 한수연, 장기연, 한미애, 천승철 (2012).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관한연구. 대한작업치료 학회지, 20(1), 15-28. 함보현, 김수경, 이재신, 전병진 (2012).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55-7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Barkley, R. A. (199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Baumiou, D. E., Musiek, F. E., & Luxon, L. M. (2001). Aetiology and clinical presentations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a review. Archives Disorder Child, 85(5), 361-365. Crane, L., Goddard, L., & Pring, L. (2009). Sensory processing i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3(3), 215-228. Davies, P. L., & Gavin, W. J. (2007). Validating the diagnosis of sensory processing disorder using EEG technolog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2), 176-189. Dunn, W.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s Young Child, 9(4), 23-35. Engel-Yeger, B., Mimouni, D., Rozenman, D., & Shani-Adir, A. (2011). Sensory processing patterns of adults with atopic dermatitie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5(2), 152-156.

7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Engel-Yeger, B., & Ziv-On, D.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and leisure activity preference of children with different types of ADHD.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3), 1154-1162. Ghanizadeh, A. (2011). Sensory process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ADHD, a systematic review. Psychiatry Investigation, 8(2), 89-94. Heiligenstein, E., Conyers, L. M., Berns, A. R., & Smith, M. A. (1998). Preliminary normative data on DSM-IV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46, 184-188. Hern, K. L., & Hynd, G. W. (1992). Clinical differentiation of the attention deficit disorder subtypes: Do sensorimotor deficits characterize children with ADD/WO?.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7(1), 77-83. Iwanaga, R., Ozawa, H., Kawasaki, C., & Tsuchida, R. (2006).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ymotor, verbal and cognitive abilities of preschool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ombined type.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 60(1), 37-45. McKee, T. E. (2008). Comparison of a norm-based versus criterion-based approach to measuring ADHD symptomatolog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 11(6), 677-688. Miller, L. J., Coll, J. R., & Schoen, S. A. (2007).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2), 228-238. Miller, L. J., & Lane, S. J. (2000). Toward a consensus in terminology in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art 1: Taxonomy of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Sensory Interaction Special Interest Section Quarterly, 23(1), 1-4. Miller-Kuhaneck, H., Henry, D. A., Glennon, T. J., & Mu, K. (2007). Development of the sensory processing measure-school: Initial studi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2), 170-175. Mulligan, S. (1996). An analysis of score pattern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isorders on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8), 647-654. Murphy, K., & Barkley, R. A. (1995). Preliminary normative data on DSM-IV criteria for adults. ADHD Report, 3(3), 6-7. Neal. J. A., Edelman, R. J., & Glachan, M. (2002). Behavioral inhibition and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s there a specific relationship with social phobia?.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4), 361-374. Pfeiffer, B., Kinnealey, M., Reed, C., & Herzberg, G. (2005). Sensory modulation and affective disorders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3), 335-345. Shum, S. B., & Pang, M. Y. (2009).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대학생의 ADHD 성향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 79 impaired balance function: Involvement of somatosensory, visual, and vestibular systems. Journal of Pediatric, 155(22), 245-249. Turnock, P., Rosen, L. A., & Kaminski, P. L. (1998). Differences in academic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who self-report high and low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9, 84-493.

8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 <Abstract> Correlation Between ADHD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Hong, Eun Kyoung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and university student with ADHD tendency.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2012 to March 2013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total 83 items (personal characters 5, ADHD symptoms 18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s 60). Mean scores of K-AADHDS were 43.68±5.64 in the group with ADHD tendency and 31.29±5.93 in the control group.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ADHD tendency, statistically different sensory processing features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and sensory avoiding) were presented. Group with ADHD tendency was statistically correlation in the sensory sensitivity and sensory avoiding in the sensory processing feature. Group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the sensory processing problems. Thus, when therapists evaluate and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 with ADHD tendency in the practice, they will consider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Key Words : ADHD in university student, correlation, sensory processing feature 논문접수 : 2013. 10. 08 / 논문심사일 : 2013. 12. 23 / 게재승인 : 201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