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2008. 12.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서비스산업정책연구소
제 출 문 지식경제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용역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8년 12월 5일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장 황 희 곤
연 구 진 연 구 책 임 황 희 곤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컨벤션이벤트경영학과 교수) 연 구 위 원 임 동 순 (동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윤 승 현 (한남대학교 컨벤션산업학과 교수) 연 구 원 안 은 정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서비스산업정책연구소 연구원) 서 주 연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서비스산업정책연구소 연구원) 박 시 용 (동의대학교대학원 경제학과 석사과정) 자 문 위 원 김 봉 석 (경희대학교 컨벤션경영학과 교수) 김 희 수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목 차 Ⅰ. 연구 개요 1 제 1 절 연구 배경 1 1. 기업의 마케팅 효과 극대화 1 2. 지역경제 파급효과 1 3. 정부지원 확대 및 육성 전략 2 제 2 절 연구 목적 및 추진체계 3 Ⅱ. 국내외 전시산업 현황 및 특징 5 제 1 절 세계 전시산업 현황 5 제 2 절 국내 전시산업 현황 16 1. 전시산업 성장 추세 16 2. 전시회 개최현황 17 3. 전시장 현황 21 4. 전시산업 지원현황 23 5. 전시산업 지원 성과 및 평가 27 제 3 절 전시산업의 구조 및 경제적 효과 분석 29 1. 전시산업의 규모 및 구조분석 29 2. 전시산업의 국민경제적 효과 분석 37 3. 국내 전시산업의 수급 전망 42 Ⅲ. 전시산업 전망 및 시사점 47 제 1 절 글로벌 전시산업 발전전망 및 시사점 48 1. 세계 전시산업 발전 전망 48 2. 주요국별 전시시설 확대 전망 50 3. 세계 전시산업 확대와 시사점 도출 51 제 2 절 국내전시산업 구조전망 52 1. 국내 전시산업 발전 전망 52 2. 전시산업 업종별 발전 전망 53 제 3 절 전시산업 전망에 따른 정책 시사점 55 1. 전시산업의 성장가능성 55 2. 전시산업 시장창출과 정책 시사점 56 3. 전시산업 수요창출을 위한 전략 과제 도출 57
Ⅳ.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59 제 1 절 전시산업 발전비전과 목표 59 1. 전시산업 비전과 목표 59 2. 전시산업의 SWOT 분석 60 3.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 61 제 2 절 전시장 인프라 및 부대시설 확충 62 1. 균형 있는 전시장 건립 확충 62 2. 전시산업 부대 인프라 확충 66 제 3 절 전시회의 국제화 및 전문화 69 1. 전시회의 국제화 촉진 69 2. Global Top 전시회의 육성 72 3. 전시회의 전문화 촉진 83 4. 지역 특화전시회의 육성 88 5. 전시산업의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촉진 97 제 4 절 전시산업 기반구축 강화 101 1. 전시산업의 독자적 통계분류 추진 101 2. 전시산업의 표준화 추진 107 3. 전시전문 인력 양성 및 공급 확대 110 4. 전시복합단지 조성 119 5. 해외 전시사업에 대한 보험지원 120 6. 전시회 인증제 및 평가체제 구축 122 제 5 절 전시산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제 125 1. 전시주최자의 역량 강화 125 2. 전시장 시설업체의 운영 효율화 131 3. 전시부스장치 및 서비스업체 경쟁력 제고 138 4. 민관협력 제고를 위한 전시산업전문기관의 역량 강화 142 5. 전시관련 국제기구 활동 강화 144 제 6 절 전시산업 제도개선 및 업계 애로사항 해소 146 1. 전시-컨벤션산업의 융합화 추진 146 2. 지방세 및 각종 부담금 감면 151 3. 전시장 부지 및 시설사용료 감면 162 4. 전시장 보증금제도 개선 163 5. 전시산업 물류시스템 개선 164 6. 전시회 지원시스템의 효율화 165
[ 참고 문헌 ] 168 [ 참고 자료] 170 1. 전시회-컨벤션, 관광산업의 연계 활성화 방안 171 2. 독일의 전시산업 육성 및 지원정책 205 3. 홍콩 전자전시회 육성전략(HKTDC 중심) 224 4. 미국의 전시산업 육성전략(CES 중심으로) 231 5. 전시산업 관련 국제기구 현황 248 6. 국내전시회 평가기준 250 7. 친환경 전시산업 육성전략 253 8. 전시산업 애로 및 건의사항 조사 265 9-1. 2006년 전시산업활동의 국민경제적 효과 273 9-2. 2008년 전시산업활동의 국민경제적 효과 274 9-3. 2010년 전시산업활동의 국민경제적 효과 275 9-4. 전시산업 세부산업별 고용전망 276 9-5. 전시산업과 산업연관표 산업분류, KSIC분류와 연계 277 9-6. 기타 주요 산업과 산출, 소득, 고용, 부가가치 승수 비교 279 6-7. 전시산업과 타 산업간의 외화가득률 비교 분석 281
Ⅰ. 연구 개요 제 1 절 연구 배경 1. 기업의 마케팅 효과 극대화 전시회는 구매자(Buyer)와 판매자(Seller)가 상품 및 서비스를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재 혹은 미래의 시점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조성된 시장(Marketplace)임 전시회는 기업의 마케팅믹스 중에서 인적판매, 광고, 홍보 등과 함께 중요한 마케팅 프로모션 수단으로 분류되며, 북미나 유럽 등 해외의 경우에는 전시회가 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 - 전시회에 대한 마케팅 예산 지출이 점차 증가 추세 많은 기업들이 전시회에 참가하는 이유에는 단순 판매 기능과 판매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포함 - 유망 예상 고객의 확인, 신시장 개척, 현재 고객 및 잠재 고객과의 접촉 기회 확보, 판매자에 대한 정보의 전파, 실제 제품 판매 등 단순 판매 기능 - 기업의 이미지 제고, 경쟁기업의 정보수집, 기업의 사기 진작, 신제품의 시험 등 판매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능 2. 지역경제 파급효과 특히 전시회 개최를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창출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뛰어난 전시산업은 유관 산업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큼 전시회는 수출 진흥에 지대한 효과를 지니며 관광, 숙박 등 관련 산업 발전의 계기로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2007년 정부지원 무역전시회 : 수출상담액 144억불, 수출계약액 38억불의 수출 진흥효과 달성 - 독일의 경우 전시회를 통해 얻는 경제적 효과가 GDP의 1% 수준인 24조원, 23만 명의 고용 창출과 총 교역량의 60~70%가 전시회를 통해 성사 -1-
- 미국의 경우는 전시회 직접수입이 연간 646억 달러, 고용창출 효과가 99만 명에 달함 또한 전시회 참가 바이어들의 지출액은 일반 관광객의 2.4배에 달하며 해외 바이어 1명 유치 시 21인치 컬러TV 14대 수출액, 3명 유치시에는 1,500cc 승용차 1대 수출액에 달함 국내 전시산업은 계약 10억원당 8억3000만원의 소득과 18억6000만원의 생산 유발, 39명의 취업 유발 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전시산업 자체가 호텔과 항공 여행은 물론 유통과 관련 산업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실제 2004년 기준으로 전시산업이 직 간접적으로 국내 총생산(GDP)의 0.15%(약 1조원)의 경제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산업 연관효과 분석, 산업연구원) 3. 정부지원 확대 및 육성 전략 무역인프라로써 전시산업은 매우 중요하며, 중국,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경쟁국은 전시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각종 지원과 정책들을 통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음 무역이 발달하고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는 모두 전시산업이 발달 했으며, 전시회가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음 따라서 국내 전시회의 활성화를 통해 무역규모 1조불 시대를 대비하는 무역인프라를 구축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뛰어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인 전시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전시산업발전법을 제정함 전시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전시회와 전시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제도화하는 한편, 전시산업의 구조를 선진화하여 경쟁력 있는 전시사업자를 육성하고자 함 전시산업발전법은 국내 전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그 발전을 도모하여 무역진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제 2 절 연구 목적 및 추진체계 전시산업발전법 제정, 시행에 따라 전시산업 발전계획 수립 시행 - 법 제3조에 따라 전시산업발전 5개년 계획 을 수립하고, 동 계획은 5년 마다 수립 시행 전시산업발전법 제3조 :지식경제부장관은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전시 산업발전계획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전시산업발전 5개년 계획 은 2012년까지 세계 10위 전시강국으로 도 약 하고자 하는 비전과 세부 추진 목표를 담고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발전을 도모하여 무역진흥과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전시산업 구조 및 중 장기 전망을 시행하고, 그에 따른 경쟁력 강화 대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이에 필요한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전시관련 업계 당사자의 의견 청취 및 애로조사를 통하여 전시산업의 실질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함 전시산업발전법 주요 내용 전시산업발전법 목적 -전시산업의 경쟁력 강화하고 발전 도모하여 무역진흥과 국민경제 발전에 이 바지함 전시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 틀 마련 * 전시회 및 전시시설 에 대한 정의와 규모 정의 * 전시산업 발전계획 수립 및 전시산업발전심의위원회 구성 전시산업 발전 사업추진 및 지원근거 마련 *전문인력 양성,전시산업 정보 유통 촉진,전시장 건립계획에 대한 사전협의 의무화 및 심의위원회에 심의 조정 권한 부여,전시산업에 대한 행정상 및 금융상 지원 등 전시회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신뢰성 확보 *전시회 인증제도 및 평가제도 운영,국제협력 촉진,전시회의 국제화 대형 화 전문화 촉진 -3-
연구 추진체계는 국내외 전시산업 현황과 국내외 사례분석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전시산업의 규모 및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음 - 전시산업 전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전 및 주요 추진과제 도출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전시산업 분야별 관계자 의견, 전문가 자문 결과를 토 대로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대책, 세부추진과제를 수립하였음 도출된 세부 추진과제를 기반으로 하여 전시산업 발전계획을 수립 [연구 추진 체계] -4-
Ⅱ. 국내외 전시산업 현황 및 특징 제 1 절 세계 전시산업 현황 1.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와 전시산업의 추세 (1) 전시산업의 성장 가. 전세계 전시면적 현황 2006년 기준 전 세계 전시장(5,000m2 이상)은 1,062개, 총 전시가능면적 은 27.6백만m2, 미국, 독일,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가 전 세계 실내전시면 적의 58% 차지 [2006년 세계 전시장 면적 현황] 구 분 전시장 면적(백만m2) 전시장 수 유럽 14.3 465 북미 7.1 359 아시아 3.9 127 남미 0.9 38 중앙아시아 0.6 32 아프리카 0.5 25 오세아니아 0.3 16 합 계 27.6 1,062 *출처 :TheWorldMapofExhibitionVenueandfuturetrend,UFI(2007.10) 2006년 기준 우리나라의 전시장 면적은 세계 25위, 0.6%를 차지함 [2006년 전시장 및 실내전시면적 현황] 순위 국가명 전시면적(m2) 비중(%) 1 미국 6,129,981 22.0 2 독일 3,112,973 11.0 3 중국* 2,516,581 9.0 4 이탈리아 2,104,792 8.0 5 프랑스 2,005,803 7.0 12 일본 403,636 1.5 25 한국 159,898 0.6 26 싱가포르 153,674 0.6 *중국은 홍콩,마카오,대만을 포함한 수치임 *출처 :TheWorldMapofExhibitionVenueandfuturetrend,UFI(2007.10) -5-
2010년 전시장 면적 증가 예상(UFI) 유럽 :99개의 전시장 추가 건립 2010년 477개 전시장,16.2백만m2 북미 :44개의 전시장 추가 건립 2010년 370개 전시장,7.7백만m2 아시아 :28개의 전시장 추가 건립 2010년 143개 전시장,4.6백만m2 -중국은 홍콩,마카오,타이완 포함 중앙아시아 :10개의 전시장 추가 건립 2010년 33개 전시장,0.9백만m2 *출처 :TheWorldMapofExhibitionVenueandfuturetrend,UFI(2007.10) -6-
(2) 주요국별 전시산업 현황 가. 미국 전시산업 현황 전시회로 인한 수입은 2002년 기준 646억 달러(GDP 기여도 0.9%, 업종 별 22위), 전시산업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는 연간 약 100만 명임. 경제성장과 전시산업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001, 2002년은 9.11 테러 등으로 감소했으나, 2003년 이후 편균 5%대의 지속적 성장 [미국 전시산업 성장률 현황]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물가상승률 2.8% 1.6% 2.2% 2.6% 3.3% 3.1% 2.0% 2.2% 전시산업 성 장 률 0.0% -1.1% -2.9% 2.4% 5.3% 5.8% 4.8% 3.2% *출처 :CEIR INDEX 2008EDITION 2000-2007년간 총성장률은 순수전시면적(NSF) 3.1%, 참가업체 1.5%, 참가자 2.0%, 수익 3.1% 증가하여 총 2.5% 증가함 [2000-2007년 미국 전시산업 현황] *CAGR(CompoundAnnualGrowthRate),NSF(NetSquareFeet) *출처 :CEIR INDEX 2008EDITION -7-
전시회 개최 건수(2007년)는 의료 및 건강관리, 전문 비즈니스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및 IT, 정부 공공기관 및 비영리 서비스 부문이 각각 2,340 건(23.4%), 1,440건(14.4%), 1,270건(12.7%), 1,190건(11.9%)임 [2007년 미국 전시산업 부문별 현황] 산 업 부 문 개최건수(건) 비율(%) 전문 비즈니스 서비스 1,440 14.4 소비재 및 유통 소매 580 5.8 스포츠 여행 엔터테인먼트 예술 및 소비자 서비스 920 9.2 식 품 370 3.7 정부 공공기관 및 비영리 서비스 1,190 11.9 건물 건축 및 가정용품 240 2.4 공업 중기계 440 4.4 커뮤니케이션 및 IT 1,270 12.7 의료 및 건강관리 2,340 23.4 원자재 및 과학 810 8.1 운 송 390 3.9 합 계 10,000 100.0 *출처 :CEIR INDEX 2008EDITION 나. 독일 전시산업 현황 전시산업으로 인한 연간 지출효과는 2007년 기준 105억 유로로 독일 GDP의 1%에 해당하며, 전시산업으로 인한 고용창출 효과는 연간 25만 명에 달함 - 독일은 총 전시면적 3,112,973m2로 전세계 11% 차지(전시장 총 24개) 세계 최대 규모 전시회 중 2/3가 독일에서 개최되며, 세계 상위 10 전시 장(옥내면적기준) 중 4곳이 독일에 위치 - 하노버 (1위, 495,265m2), 프랑크푸르트 (3위, 321,750m2), 쾰른 (4위, 284,000m2), 뒤셀도르프 (5위, 251,038m2) 독일은 연간 698회의 전시회 개최, 이중 국제전시회의 개최건수는 161건 으로 전년대비 14%가 증가(AUMA, 2006년 기준), 외국 참가업체는 전 체 참가업체 중 50% 이상 점유 -8-
[독일의 전시회 증가 현황 및 연간 전시산업의 경제적 효과] *출처 :AUMA 독일의 전시장 공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양적 공급 증가 외에 인프라 개선을 위한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독일 전시장 면적 현황(m2)] *출처 :AUMA 나. 아시아 지역 전시산업 현황 각국은 전시산업을 무역 인프라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제조업, 관광 등 과 연계한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 중 중국은 2000년대 들어 북경, 상해,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20% 이상 의 급속한 성장세 시현하였으며, 2005년 이후 중국 내륙지역의 Second -tier 도시에도 전시산업 육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중국 내 전시장 보유 규모는 2007년 기준 250만m2에 달해 미국, 독일에 이어 세 번째임. 중국 전시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지원육성 정책과 함께, 외국 전 시업체의 중국 진출 가속화 -9-
- 특히 2002년부터 대학을 중심으로 전시전문인력 양성을 본격화하고 1), 2004년부터 중앙정부 차원의 전시산업 성과평가 및 발전계획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2) 전시산업 발전 노력이 본격화하고 있음 - 2003년 이후 외국전시주최업체의 중국진출 허용으로 독일 메세, Reed 사 등 전세계 유명전시주최자가 중국시장을 진출하고 있음 홍콩 전시산업 규모는 2006년 기준 약 264억 홍콩달러(미화 33.8억 달 러), 2003년부터 홍콩을 방문하는 인원은 지속적으로 8~10% 이상 증가 하고 있으며, 전시산업을 통한 고용창출효과는 연간 58,000명임 싱가포르는 전시시설외에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복합전시단지 건립중 - 2009년 완공을 목표로 Marina Bay 건립중이며, 2010년 완공을 목표로 센토사섬 유원지에 카지노 관광, 스포츠 콤플렉스, 유니버셜 스튜디오 등 건립중 일본 개최되는 전시회의 약 60%는 2만명 이상이 참관하는 대규모 전시 회이며, 외국인 방문객이 200명 이상 참가하는 전시회가 전체 약 80%임 전시컨벤션 시장은 포화상태로 평가받고 있는 유럽과 미국 중심에서 아시 아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중임 - 새롭게 중국,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 등이 전시컨벤션과 다양한 엔터테 인먼트 기능을 갖춘 대규모 전시컨벤션센터를 건립중에 있음 [아시아 주요국의 전시컨벤션센터 면적 현황] 구 분 중 국 일 본 인 도 태 국 한 국 싱가포르 면 적 2,516,581m2 403,636m2 238,899m2 179,771m2 159,898m2 153,674m2 비 중 9.0% 1.5% 0.9% 0.7% 0.6% 0.6% *중국은 홍콩,마카오,대만 포함 *출처 :TheWorldMapofExhibitionVenueandfuturetrend,UFI(2007.10) 1)북경 제2외국어대학을 중심으로 학부내 전시학과 설립 운영중 (2008년말 현재 250명 재학중)이며, 전국적으로 20여개대학,100여개 전문대(또는 실무계 고교)에서 전문인력 교육 배출중임 2)중국무역촉진위원회(CCPIT),2004년부터 중국전시산업경제발전보고(영,한문) 발간 -10-
경쟁국의 전시관련 시설 현황 비교 싱가포르 센 터 명 숙박시설 주변시설 공항과의 거리 SuntecCity (SICEC) SingaporeExpo ChangiExhibition Center MarinaBaySands ResortsWorldat Santosa 7개 호텔 5,200여개 객실 PartnerHotel (ConradCentennial Singapore) 509여개 객실 주변 6개의 쇼핑몰 내 1,000여개 상점 약 20분 및 300여개 F&B Outlets등 센터 내 13개 레스토랑 위치, 센터 근처 1,000여개 넘는 약 5분 상점 및 300여개 레스토랑, Art& Cultural장소 NA NA 약 10분 극장,워터프론트, 2,500여개 객실 미술관,쇼핑몰, 이상 스파,레스토랑, 약 30분 카지노 등 6개 호텔 유니버셜 스튜디오, 1,800여개 객실 공원,미술관 등 약 20분 홍콩 & 마카오 센 터 명 숙박시설 주변시설 공항과의 거리 HKCEC AsiaWorldExpo HITEC VenetianMacau 88개 호텔 34,000여개 객실 30,000여개 객실 NA 3,000여개 객실 VictoriaHarbour, 쇼핑 아케이드 등 홍콩디즈니랜드, 골프장 등 레스토랑,쇼핑몰 등 카지노,상점, 약 30분 약 1분 NA 홍콩국제공항에서 ResortHotel (호텔 내 객실 수) 레스토랑,스파 등 페리로 약 55분 -11-
(3) 전시산업의 친환경 추진 경향 가.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화 동향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 위기와 고유가로 대표되는 자 원 위기에 동시에 직면해 있음 지금과 같이 에너지 다소비 체제가 지속될 경우 지구촌이 치러야 할 기후 변화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년 세계 GDP의 5~20%에 달할 것임 (2006, Stern Review) 환경과 성장이라는 두 개념의 결합은 EU 등 선진국에선 새로운 성장 패 러다임으로 실현되고 있으며, 녹색기술 육성과 환경규제를 통해 관련 산 업의 성장을 이끌어내고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동시에 일자리까지 창 출하는 등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 우리나라도 새로운 국가 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시하였음 - 경제성장 추구, 자원이용과 환경오염 최소화, 이를 다시 경제성장 동력으로 활용 [녹색성장 10대 추진방향] -12-
나. 전시산업의 친환경 요소 도입 움직임 국내외 전시산업은 환경 친화적인 요소를 전시시설 및 전시회 행사 운영 에 도입하여 전시 주최자 및 참가자의 인식 제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IAEE(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xhibitions and Events)는 전시회 개최를 통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Best Practices를 발굴하고 한정된 자원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IAEE Green Committee 를 발족 운영중 (2007년) 우리나라도 전시산업의 산관학 전문가로 구성된 가칭 친환경 전시산업 운영위원회 구성 운영 필요 - 전시업계의 친환경 인식 제고 및 기후변화문제 대응 등 정보 확산 필요 - 전시주최자, 참가업체, 서비스 공급업체, 참관객 등 전시회 개최시 지켜 야 할 친환경 실천 매뉴얼 의 제작 보급 전시시설, 전시업계를 대상으로 친환경 실천 여부에 따른 인증마크제 마 련 필요 - 인증 마크를 부여받은 전시시설 및 전시회 등에 세금우대 혜택, 재정 지 원 등의 범정부차원의 지원 또한 전시산업 활동에 대한 전시산업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등 전시산 업의 친환경 통계 DB 구축 필요 - 국내 전시회 개최 및 해외 진출 시, 온실가스 발생량의 계산 등을 통하 여 국제 사회에서의 Green Initiatives 확보 -13-
해외 친환경 전시시설 운영 사례 Sydney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 GreenGlobe가 물 절약,쓰레기 재활용,매립 쓰레기 최소화 노력 등을 벤치마킹 하도록 'GreenGlobeBenchmarkedConventionCentreStatus'를 부여한 최초 전 시시설임 *그린 글로브 :1992년 리오지구정상회의에서 제안된 의제21(Agenda21)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1994년 세계여행관광위원회(WTTC)에 의해 설립 SCEC의 환경정책 -환경에 적합한 법률을 따름 -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활동을 하지 않고,Sydney Harbour와 조화를 모색 -환경 친화적인 제품 구매를 고려하는 서비스 공급업자 활용 확대 -물과 에너지 소비,매립 쓰레기 양을 줄이는 프로그램 운영 SCEC의 핵심 환경관리 프로그램인 Ecowise'운영 -물과 에너지 소비절약,효율적인 쓰레기 배출 관리 등 시스템 구축 Los Angeles Convention Center 센터 내 EnergyTaskForceTeam 운영 LACC의 태양광 판을 이용한 전력을 생산,센터 내 재활용,에너지 효율성 제 고,물 절약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하여 환경 보전에 앞장서고 있음 - LACC는 LADWP(Los Angeles DepartmentofWaterand Power)의 Green PowerProgram 통하여 수력,지열,태양열,바이오매스,풍력 등의 친환경 신,재 생 에너지 사용으로 센터의 에너지 소비를 30% 절감 LACC는 USGBC(U.S.Green Building Council)의 멤버이며,센터 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최근 LEED-EB 인증 획득 *LEED-EB(LeadershipinEnergy& EnvironmentalDesign-ExhistingBuilding):미 국그린빌딩협의회에서 친환경 건물인증 시범사업(1998년) [LACC의 Green Facility] -14-
친환경 전시산업의 국제협력 사례 한국(COEX),일본(Tokyo Big Sight),중국(CIEC)등 한중일 대표 전시시설 3사 가 합동으로 친환경 캠페인을 선도하여 친환경 방안 마련 추진중 3사가 공동으로 친환경 전시회 운영을 위한 비전을 만들고 이를 통한 친환경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친환경 경영 실천계획 추진중 [COEX-TBS-CIEC의 친환경 공동 실천 방안] 1단계 친환경 캠페인 시작 2단계 Eco-LearningTFT운영 3단계 GrandAliance구축 -친환경 캠페인을 위한 MOU 체결 -3사의 전시장에 친환경 캠페인 홍보 공간 조성 :전시장 방문하는 주최자,전시참가자,전시 장치업체, 바이어 등에게 지속적으로 친환경 전시 캠페인 실시 -이해당사자들에게 친환경 관련 책자 제작 및 보급, 세미나 등을 통한 친환경 캠페인 실시 -파트너 사의 친환경 전시관련 노력 벤치마킹 -차기 VIP포럼에서 그 결과를 함께 보고 및 공유 -3사 각자가 자국에서 친환경 전시 연합을 구성하여,전시 산업 종사자들의 GRAND ALLIANCE 구성 -3국이 협력하여 친환경 관련 전시의 공동 개최 추진 [COEX-TBS-CIEC의 친환경 센터 엠블렘 시안] *각 Venue들의 연결고리는 협력과 재생을 의미,초록색은 친환경 의미 기대 효과 -전시장 소유주이자 주최사들의 세계 최초 환경관련 연합 구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탄소 배출권 사업(CDM,CleanDevelopmentMechanism)에 최초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 -미래적 가치의 능동적 발견 -15-
제 2 절 국내 전시산업 현황 1. 전시산업 성장 추세 전시회로 인한 국내 경제효과는 총 GDP의 약 0.16%(1조 4,000억원)로 추정되며, 고용 소득 창출면에서 일반 제조업을 능가 * 산업별 외화가득률(%) : (전시) 65.7, (전기전자) 45.4, (수송장비) 50.7 구 분 전시 건설 일반기계 금융 보험 최종수요 10억원당 고용창출(명) 최종수요 10억원당 소득창출(억원) 17.4 18.0 13.2 14.7 8.3 8.4 7.0 9.5 국내 전시산업은 지난 10년간 양적인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장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주요 경쟁국에 비해 낙후 - 1991-2006년 기간 중 전시면적은 약 8배, 전시회 개최건수는 약 5배 증가하는 등 외형면에서 성장 구 분 1991년 2007년 전시면적 20,736m2 166,554m2 전시회 개최건수 66회 354회 이에 반해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글로벌 브랜드 전시회, 전시전문인력 및 해외 바이어수가 외국에 비해 부족 * 우리나라 전시장 면적은 미국 독일의 1/25, 중국의 1/10, 일본의 1/3수준 ( 04, 전시산업진흥회) 구 분 한국 독일 홍콩 중국 국제규모(2만m2)이상 전시회 비중 2.7 25.6 13.6 6.4 국내 전시회 인지도 저조 해외 바이어 저조 전시회 경쟁력 수준 저조 및 수익성 약화 등 악순환 반복 -16-
2. 전시회 개최현황 (1) 연도별 개최현황 지속적인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전시회 개최건수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2000년 이후 전시장 확장 및 신규 전시장 건립 등으로 전시장 가용면적 이 대폭 증가 - 신규, 유사전시회 개최가 가속화되어 전시회 개최건수가 크게 증가 국내 10개 전시장에서 개최된 전시회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132건에서 2007년 354건으로 2.7배 이상 증가 COEX 증축으로 2000년에서 2001년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컸으며, 2000년 132건에서 2001년 221건으로 89건이 증가하여 전년대비 67.4% 증가 [2000-2007년 연도별 개최건수] 연 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개최건수 132 221 248 268 300 336 353 354 증가율 (%) - 67.4 12.2 8.1 11.9 12.0 5.1 0.2 *출처 :2007년 국내 전시산업 통계조사 결과,한국전시산업진흥회 -17-
최근 국내 전시회 개최건수 증가율은 점차 감소되고 있으나, 전시장 사용면적 은 개별 전시회의 개최규모 확대로 증가세 시현 - 더불어 전시회에 참가하는 해외 바이어 및 참가업체도 증가 전시장 총 가용면적은 2001년 대비 2007년 약 44.2% 증가, 전시장 총 사용 면적은 2001년 대비 2007년 약 39.5% 증가 [국내 전시장 사용면적 및 평균가동률 현황] 구 분 총 가용면적(m2) 총 사용면적(m2) 평균 가동률(%) 2001 26,880,662 14,704,305 54.7 2002 35,473,646 22,295,603 62.9 2003 37,603,760 20,903,724 55.7 2004 34,208,165 21,915,419 64.1 2005 49,386,380 28,963,612 58.7 2006 60,792,210 34,050,098 56.0 2007 60,792,210 37,213,432 62.2 *출처 :전시저널 Vol.25(2008.11) 국내 경제성장과 전시산업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함 - 1997년 IMF 영향으로 1998년 경제 성장률, 전시장 사용면적 증가율, 전시회 개최건수 증가율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전시산업 성장률도 12.7% 감소 - 경제 성장률 보다 전시산업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음(2003년 제외) [국내 경제성장률과 전시산업 성장률 비교] 구 분 전시장 전시회 전시산업 GDP 사용면적 개최건수 성장률(%)(B) (B-A)(%) 성장률(%)(A) 증가율(%) 증가율(%) 1997 4.7 40.8-1.9 19.5 14.8 1998-6.9-14.7-10.6-12.7-5.8 1999 9.5 28.1 20.4 24.3 14.8 2000 8.5 30.7 17.9 24.3 15.8 2001 3.8 18.5 67.4 43.0 39.2 2002 7.0 51.6 12.2 31.9 24.9 2003 3.1-6.1 8.1 1.0-2.1 2004 4.7 4.7 11.9 8.3 3.6 2005 4.2 32.2 12.0 22.1 17.9 2006 5.1 17.6 5.1 11.4 6.3 *출처 :전시저널 Vol.25(2008.11) -18-
(2) 전시장별 개최현황 2006년 수도권(aT Center, COEX, SETEC, KINTEX)에서 개최된 전시 회는 244건, 2007년 225건으로 감소(-7.8%), 지방(BEXCO, CECO, EXCO, ICC JEJU, KDJ Center, KOTREX)에서 개최된 전시회는 109건 에서 128건으로 증가(17.4%) 2008년 인천 송도 Convensia와 대전컨벤션센터(DCC)의 개관 등 지방의 전시 인프라 확충으로 지방 전시회 개최건수는 더욱 증가 예상 [2006-2007년 지역별 전시회 개최건수 증감 현황] 전 시 장 2006년 2007년 증가율 수도권 244 225-7.8% 지 방 109 128 17.4% 합 계 353 354 0.2%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 2000년 132회에 불과했던 국내 전시회는 이후 2007년 354회로 증가하 였으며, 이러한 추세를 감안할 때 향후 전시산업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예상 대형전시회를 위주로 개최하는 COEX, KINTEX, BEXCO, EXCO가 전체 전시회 개최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지고 있음 [2000-2007년 전시장별 전시회 개최 현황] 전시장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수 atcenter - - 7 14 25 17 21 15 COEX 69 122 103 136 145 163 141 137 도 SETEC 42 37 44 35 42 36 34 34 권 여의도전시장 15 20 16 10 폐쇄 폐쇄 폐쇄 폐쇄 KINTEX - - - - - 36 48 39 BEXCO - 22 44 32 35 33 32 37 CECO - - - - - 7 13 21 지 EXCO - 16 32 33 40 23 34 40 방 ICC JEJU - - - 1 2 2 2 1 KDJCenter - - - - - 9 19 17 KOTREX 6 4 2 7 11 10 9 12 합 계 132 221 248 268 300 336 353 354* *기타장소(서울공항)개최 전시회(한국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07)1회 포함 *출처 :한국전시산업진흥회 -19-
(3) 품목별, 형태별 개최 현황 2007년 품목별 전시회 개최현황을 보면 생활/종합용품 전시회가 61건 (17.2%)로 가장 많고, 건축/건설/환경 전시회가 40건(11.3%), 농축산/ 음식료품 전시회가 31건 8.8%로 많이 개최되었음 건축/건설/환경, 의료/정밀/광학기기, 디자인/포장 관련 전시회는 2006년 각각 24, 16, 1건에서 2007년 각각 40, 26, 7건으로 개최건수 증가 - 반면 정보통신 관련 전시회, 전기/전자 관련 전시회는 2006년 각각 19 건, 17건에서 2007년 각각 12건, 11건으로 개최건수가 감소 [2006-2007년 품목별 전시회 개최현황] 품 목 2006년 2007년 개최건수(건) 비율(%) 개최건수(건) 비율(%) 생활/종합용품 40 14.1 61 17.2 건축/건설/환경 24 8.5 40 11.3 농축산/음식료품 30 10.6 31 8.8 기계관련 26 9.2 30 8.5 일반기계 20 7.1 20 5.7 수송기계 6 2.1 10 2.8 의료/정밀/광학기기 16 5.6 26 7.4 교육/출판 23 8.1 23 6.5 스포츠/레저 9 3.2 15 4.2 정보통신 19 6.7 12 3.4 전기/전자 17 6.0 11 3.1 섬유관련 7 2.5 8 2.2 의류/패션 4 1.4 4 1.1 섬유/직물/섬유기계 3 1.1 4 1.1 디자인/포장 1 0.4 7 2.0 *2006년 전체 353건중 283건 응답(80%),2007년 전체 354건중 228건 응답(64%)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 전시회 형태별로는, 전문전시회 건수 비중이 2006년 34.3%에서 2007년 40.3%(92건)로 증가추세 시현 구 분 2006년 비중(%) 2007년 비중(%) 전문전시회 97 34.3 92 40.3 일반전시회 152 53.7 111 48.7 통합전시회 34 12.0 25 11.0 합 계 283 100 228 100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 -20-
3. 전시장 현황 (1) 면적 현황 전시회 개최에 따른 전시장 총사용면적은 2006년 34,050,098m2에서 2007년 37,209,054m2로 9.3% 증가하였음 - 2008년 인천 송도 Convensia와 대전컨벤션센터(DCC)의 개관으로 전시 장 면적은 166,554m2에서 177,490m2으로 6.6% 증가하였음 [2006-2008년 전시장 면적 증감현황]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총 면 적(m2) 166,554 166,554 169,074 총연면적(m2) 60,792,210 60,792,210 64,783,850 총사용면적(m2) 34,050,098 37,209,054 -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및 센터 홈페이지 2007년 수도권 전시장의 총사용면적은 13,315,782m2, 평균가동률 64.3%로 전시장 사용면적(증가율 59.5%)은 감소하였으나, 전시장 가동 률은 소폭 증가 지방 전시장은 2006년 총 사용면적은 11,667,021m2, 평균가동률 46.3% 이며, 2007년 총 사용면적은 23,893,272m2, 평균가동률 62.3%로 전시장 사용면적(증가율 204.8%)과 전시장 가동률(증가율 134.6%) 증가하였음 [2006-2007년 전시장 총 사용면적 현황] (단위 :m2) 전 시 장 전시장 면적 총 사용면적(2006년) 총 사용면적(2007년) COEX 36,027 9,283,798 9,665,143 atcenter 7,422 1,371,984 1,683,748 SETEC 7,948 1,780,650 1,966,891 KINTEX 53,541 9,946,645 10,513,829 KOTREX 4,200 683,550 1,039,500 BEXCO 26,508 5,382,030 5,802,508 EXCO 11,616 2,976,000 3,056,501 CECO 7,826 1,350,601 1,388,254 KDJCenter 9,072 1,016,563 2,092,680 ICC JEJU 2,394 258,277 - 합 계 166,554 34,050,098 37,209,054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 -21-
(2) 전시장 재무현황 5개 컨벤션센터의 영업수지 분석결과, COEX와 BEXCO의 경우 정(+)의 매출총이익을 달성하고 있으나, 영업이익은 COEX를 제외한 4개사 모두 부(-)의 실적을 달성하고 있음 또한, 유무형자산 상각비를 가산한 EBITDA의 경우에도 COEX를 제외하 고는 모두 부(-)의 EBITDA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는 바, 4개사 모두 영업활동에서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전시장 영업수지 현황] (단위 :백만원) 계정과목 COEX KINTEX BEXCO EXCO CECO 매출액 41,562* 17,043 12,546 9,022 2,494 매출원가 36,317 20,365 10,471 11,107 4,082 매출총이익 5,244-3,322 2,075-2,085-1,588 매출총이익율 12.6% - 16.5% - - 일반관리비 3,446 4,841 5,243 2,129 0 영업이익 1,798-8,163-3,168-4,214-1,588 영업이익률 4.3% -47.9% -25.3% -46.7% -64% EBITDA* 2,235-1,085-708 -2,010 EBITDA비율 5.4% -6.4% -5.6% -22.3% - *주 :(주)COEX의 매출액으로 센터운영실적은 제외 *EBITDA :영업이익 +유.무형상각비 /현금흐름조달능력에 대한 지표임 (EarningsBeforeInterest,Tax,DepreciationandAmortization)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홈페이지,htp:/dart.fss.or.kr/ -22-
4. 전시산업 지원현황 (1) 전시회 개최 지원(지식경제부) 2008년 총 43개의 국내 전시회를 선정하여 총 32억원 지원 - 브랜드전시회 8개, 유망전시회 30개, 정책전시회 5개임 유망한 국내 전시회에 대한 개최 지원으로 중소기업에게 효과적인 수출마 케팅 기회제공, 국제 수준의 브랜드 전시회 육성을 통해 국내 전시산업 의 선진화 및 국제화, 활성화에 기여 - 2007년 지원전시회의 성과(47개 국내전시회, 36억원 지원 기준) : 수출상담액 144억불, 수출계약액 38억불 달성 [2008년도 지식경제부 국내전시회 지원 현황] 구 분 브랜드전시회 유망전시회 정책전시회 합 계 지원건수 8 30 5 43 유사전시회의 통합 대형화 유도 - 국제 수준의 브랜드전시회의 육성과 지역산업 발전을 위해 브랜드전 시회 또는 유망전시회로 선정된 전시회로 3개 이상의 전시회를 합동 개최할 경우 별도로 1억원의 공동 해외홍보비 추가 지원 - 합동개최전시회 : 한국전자산업대전(전자전+반도체전+디스플레이전) 지역특화 전시회 육성 - 로봇,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부문의 전시회와 광산업, 섬유 등 각 지방의 특화산업을 고려하여 선정 브랜드 전시회 유망 전시회 정책 전시회 합동개최 전시회 인지도,수출 파급효과,국제 경쟁력 등의 기준에서 해당 업종을 대표하는 전시회 수출 증진 및 국내 전시산업 발전을 위해 지원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전시회 유망 전시회 선정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나 정책적으로 예산지원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전시회 유망 전시회 요건에 해당하는 3개 이상의 유사전시회가 동일 기간,장소에서 합동 개최되는 전시회 -23-
2008년 국내 전시 개최 지원 현황(지식경제부) 2008년도 지식경제부 국내무역전시회 지원대상사업(브랜드전시회)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전기전자 한국전자전 KINTEX 건축환경 경향하우징페어 KINTEX 기 계 서울국제공작기계전 KINTEX 포 장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KINTEX 국제의료기기 의료건강 COEX 수송기계 부산국제모터쇼 BEXCO 병원설비전시회 식 품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 KINTEX 섬유패션 대한민국섬유교역전 COEX 2008년도 지식경제부 국내무역전시회 지원대상사업(유망전시회)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기 계 국제인쇄산업전시회 KINTEX 생활용품 서울국제판촉물 및 생활용품전 COEX 기 타 한국국제사인디자인전 COEX 정보통신 국제광산업전시회 KDJCenter 수송기계 한국자동차부품 및 KINTEX 전기전자 국제나노기술심포지엄 및 연관산업전시회 전시회 KINTEX 건축환경 국제환경기술전 COEX 전기전자 국제 LED/EXPO &FPD KOREA KINTEX 기 계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 KINTEX 전기전자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시회 KINTEX 기 계 국제플라스틱 고무산업전시회 KINTEX 기 계 대구국제자동화기기전 EXCO 섬유패션 한국국제보석시계전 COEX 수송기계 국제수송기계부품산업전 CECO 섬유패션 대구국제섬유박람회 EXCO 건축환경 하늘바람땅에너지전 KDJCenter 전기전자 국제전자회로산업전 COEX 전기전자 국제반도체디스플레이대전 KINTEX 건축환경 대한민국에너지대전 COEX 기 타 수입상품전시회 COEX 기 계 한국국제기계박람회 CECO 의료건강 바이오코리아 오송생명과 학단지 생활용품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 COEX 식 품 부산국제수산무역 EXPO BEXCO 전기전자 서울국제종합전기기기전 KINTEX 기 타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 SETEC 섬유패션 대한민국국제섬유기계전 EXCO 의료건강 시니어엑스포 KINTEX 생활용품 대구국제광학전 EXCO 식 품 광주국제식품산업전 KDJCenter 2008년도 지식경제부 국내무역전시회 지원대상사업(정책전시회)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기 계 국제부품소재산업전 KINTEX 기 타 컬러엑스포 COEX 기 계 국제로봇산업대전 COEX 전기전자 춘계 한국전자전 EXCO 정보통신 스마트홈네트워크쇼 KINTEX 2008년도 지식경제부 국내무역전시회 지원대상사업(합동개최전시회) 품 목 전 시 회 명 전 시 장 전기전자 한국전자산업대전 -한국전자전,국제반도체디스플레이대전,국제정보 디스플레이전시회 KINTEX -24-
(2) 지자체 전시회 지원 지자체는 지역 특화산업의 집중 육성하기 위하여 관련 전시회 지원금 교 부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및 파 급효과 유발 [2006-2007년 지자체의 전시회 보조금 교부 현황] 구 분 2006년 2007년 BEXCO 20억 (국비 4억,시비 16억) 27억 (국비 8억,시비 19억) EXCO 26억 16억 CECO 46억 22억 KDJCenter* 28억 19억 *KDJCenter:2006년 경상지원 5억,2006년 경상지원 23억 /전년예산 이월 평균 20억 *출처 :CECO,BEXCO,EXCO,KDJCenter 경기도는 KINTEX 성장유망 전시회 육성, 국내전시회 참가 중소업체 지 원, KINTEX 전시회 지원성과 분석 등의 사업 추진 - 경기도는 이러한 도내 개최 전시회 지원(08년 25개 전시회 지원)을 통하 여 전시산업의 발전 및 대내외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지역경제 및 관광 등 연관산업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함 [경기도 전시회 지원사업 현황] 구 분 예 산 액 성장유망 전시회 지원육성 -1,430백만원 :국비 574(40%),도비 856(60%) 국내전시회 참가 중소기업 지원 -760백만원 :국비 76(10%),도비 228(30%), 시 군비 456(60%) *출처 :경기도 -25-
(3) 전시시설 확장 지원(지식경제부) 국내의 대부분 전시시설은 무역진흥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에 의해 건립됨 - 단, at Center, ICC Jeju는 각각 농림수산부, 문화관광부의 지원에 의해 건립되었음 반면 COEX, 송도 컨벤시아 등은 자체 민간자본에 의해 건립되었음 [국내 전시시설 건립 및 운영 현황] 전시장명 개장년도 운영기관 건립비 COEX (서울 삼성동) SETEC 88.9월 00.5월 COEX 7,714억원 (전액민자) 54억원 서울통상산업 99.5월 (서울 학여울) 진흥원 (전액국고) KOTREX (대전 유성구) 95.5월 KOTRA 98억원 (전액국고) EXCO 1,740억원 (대구 산격동) BEXCO 01.4월 (주)대구전시컨 벤션센터 01.9월 (주)부산전시컨 벤션센터 (국고 820) 1,600억원 (부산 해운대) (국고 500) atcenter (서울 양재동) 02.11월 농산물유통공사 773억원 (국고 268) 1,806억원 ICC JEJU (제주) '03.5월 (주)제주국제 컨벤션센터 (국고 900) 관광공사290억원 별도 KINTEX (경기 고양시) '05.4월 KINTEX 2,315억원 (국고 753) KDJCenter '05.9월 (지방공사)김대중 771억원 (광주) 컨벤션센터 (국고 434) CECO 730억원 '05.9월 경남도/창원시 (창원) (국고 200) DCC 521억원 '08.4월 대전컨벤션뷰로 (대전) (국고 153) 송도컨벤시아 1500억원 '08.11월 인천관광공사 (인천) (전액민자) 시설규모 부지면적 전시면적 125,713m2 36,027m2 31,000m2 7,948m2 29,196m2 4,200m2 20,863m2 11,617m2 114,772m2 33,183m2 18,810m2 8,227m2 54,876m2 2,586m2 237,790m2 53,541m2 53,301m2 10,800m2 40,282m2 7,827m2 24,181m2 2,520m2 30,690m2 8,390m2-26-
5. 전시산업 지원 성과 및 평가 (1) 육성정책 성과 전시장 면적의 대폭적인 확장과 전시산업발전법 제정(2008. 3. 21 제정, 2008. 9. 22 시행) 등 전시 인프라 및 제도적 정비 강화 - KINTEX, EXCO, BEXCO의 2단계 증축 완료시, 국내 전시장 총면적 : 2008년 172,576m2 2012년 259,576m2로 50.4% 증가 - 전시산업발전법 제정을 통해 공정 및 자율적 경쟁질서와 체계적 지원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 유망, 브랜드, 전략 전시회 등 전시회별 지원기준의 차등화와 함께, 통합 및 공동전시회 개최 지원을 통해 전시회의 대형화 및 전문화를 모색 - 통합전시회 ( 05년 한국기계대전, 08년 한국전자산업대전), 공동전시회 ('08년 WIS, COEX) 개최 - 해외 유명전시회와의 공동 개최노력을 통해 전시회의 대형화 지속 추진 2005년 이후 전시회 인증제도 도입, 2008년 평가제도 시행으로 전시회 개최 통계에 대한 객관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고, 전시회에 대한 지원 효 율성 및 인지도 개선 노력 지속(년간 총 354회 개최) 각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을 통하여 체계적인 인력공급 노력 강화 - 대학(원)을 통한 정규인력 공급, 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등의 신규 인력 공급 다양한 인력 공급원 마련 - 전시주최자(CEM 교육), 전시장치업체 대상으로 종사자 교육 실시 2002년 한국전시산업진흥회를 설립하여 전시산업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토록 하고, 전시산업발전법에 의거 4개 업종별 등록 실시 - 총 416개 업체 등록(2008년 10월말 기준) - 전시장치업 : 171개, 전시주최자 : 161개, 전시서비스업 : 71개, 전시장업 : 13개 -27-
(2) 성과 평가 개 괄 국내전시산업은 지난 10년간 전시장 면적의 대폭적인 확대, 전시회 개최 횟수, 전시사업자수 증대 등 전시산업의 양적 확대 달성 특히 2008년 관련 법, 제도의 정비로 전시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음 - 전시산업은 세계 수준에 비해 국제화, 전문화 등 아직 미약한 부분 많음 산업여건 및 인식 미비 국내전시산업은 지난 30년간 주로 무역진흥을 위한 무역 인프라로만 인 식되어 독자적인 산업으로서의 성장기반 미비 전시인프라 확충 및 전시회 참가 지원 등 외형적 지원에 국한되어, 전시회 질적 수준 제고 및 기반구축은 아직 미흡 - 전시산업이 독자적 통계분류산업으로 인정받지 못함에 따라 전시산업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 不 在 세계적 수준의 대표 전시회 부재 중복 및 유사 전시회 개최로 인해 해외 유명전시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외바이어 참가 및 경제적 성과 저조 해외 유명바이어가 관심을 갖고 찾아오는 전시회 등 세계적 수준의 Top 전시회 양성에는 미흡 전시산업 관련 지원 정책 미흡 전시회에 대한 국고지원 확대, 전시회 인증 및 평가제 도입 등 전시회에 대한 다양한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시회 기반이 취약 대형 및 전문전시회 부족, 국내 전시회 해외 홍보 미흡으로 전시회의 인지도 및 경쟁력 상승 애로,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기반 구축 미흡 -28-
제 3 절 전시산업의 구조 및 경제적 효과 분석 1. 전시산업의 규모 및 구조분석 (1) 분석 방법 전시산업이 차지하는 경제의 비중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산업연관분석 방 법을 적용하여 구조분석 및 국민경제적 효과를 추정 전시산업의 국민경제적 효과는 해당 산업이 자체 산업활동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과 연관관계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접 및 유발효과를 모두 포함 하여 도출됨 3) 산업연관표에서는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를 산업 상호간의 중간재 거래부분, 각 산업부문에서의 노동,자본 등 본원적 생산요소의 구입 부분,각 산업부 문 생산물이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부분 등으로 구분 기록함 - 산업연관표의 세부산업분류는 산업통계체제의 기본 구조인 한국표준산업 분류체계와 일관성 있게 연계되어 있음 최종 수요 항목은 민간 및 정부의 최종소비지출,투자,재고의 변화,수출 등과 공제 항목인 수입이 기재 - 중간투입재 소비의 합계와 최종수요의 합계를 모두 포함하는 항목이 총 산출이며,해당 산업의 경제 내에서 활동 수준을 나타냄 - 부가가치 항목은 해당 산업의 노동 및 자본에 대한 보상인 임금(피용자 보수)과 이윤,감가상각,간접세와 공제 항목인 보조금으로 구성되어 있음 - 중간투입재과 부가가치의 합계를 모두 포함하는 항목이 총투입을 나타내 며 총산출(총매출액)과 같은 값을 갖게 됨 산업연관표는 실사를 바탕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특정한 산업을 기존의 산업분류에 해당하지 않거나 새로운 산업으로 포함되거나 세분류상 존재하지 않는 산업은 산업연관표에 제시되지 않음 3)한국은행,2003산업연관표,2006. -29-
특히 산업활동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이거나 경제발전 단계상 새로운 산 업으로 분류 가능할 만큼 성숙되어 있지 않을 경우 특정 산업을 일관성 있 게 분리하는 일은 쉽지 않음 산업연관분석 분야에서는 산업연관표상의 새로운 산업규모의 직접적인 추정보다는 기존의 관련산업에서 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의 규모와 파급효과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 전시산업은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가운데 기존 n개의 산업부문에 대하여 n+1번째 산업부문으로 간주하여 새롭게 설정하는 방식 채택 - 전시산업의 총산출액 및 각종 재무관련 자료,실사자료에 근거하여 가장 유사한 국가의 산업 혹은 여타 적용가능한 산업의 계수를 적용하여 새로 운 국내 전시산업의 행과 열을 확정 이러한 접근방식이 보다 실사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산업분류에 따른 영 향이 기존 산업과 새롭게 분리된 산업에 따라 변화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정확한 추정방식임 이러한 구조 및 규모 분석의 틀에 의거하여 전시산업의 요소투입(공급 측 면)과 전시산업이 여타 산업에 미치는 공급되는 배분구조(수요 측면)를 동시에 수행 따라서 산업연관분석에서는 산업연관표상의 새로운 산업규모의 직접적인 추정보다는 기존의 관련산업에서 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 의 규모와 파급효과를 추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음 - 분석 대상이 되는 산업의 최종수요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유사한 산업 혹은 상위 산업의 정보(중간투입계수 등)를 사용하는 최종수요 접 근방법임 4) 4)이러한 방법은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할 경우,해당 지역에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거나,기존 산 업활동 일부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산업활동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할 때 주로 이용 -30-
[전시산업의 구조 및 규모 추정방법] 기본계획 수립 기준연도 산업연관표 적용(28부문 기본, 407부문 전시산업 관련 분야 분리) 2006년 산업연관표 재작성 기본 표본조사에 의한 실사 자료 업체관계자 및 T/F 전문가 리뷰 각종 재무 자료 주요 중간 투입 및 노무,영업자료 전시산업 규모 (총산출액 확정) 중간투입,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비중 추계 산업세분류 (403부문) 중간투입 부문별 비중 추계 관련산업 중간투입 비중 확정 중간투입,부가가치, 최종수요 비중 총산출(총공급) 부가가치 항목 작성 한국 전시산업의 규모 및 구조 최종 확정 최종수요항목 작성 -31-
이러한 방법은 새로운 산업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 며 해당 산업의 총규모(특히 최종수요 규모)에 대한 자료를 확보해야 함 - 실제 분석에 있어서 관련산업 혹은 상위산업의 중간투입계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됨 현재 국내 산업에 전시산업이 구체적인 산업분류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비주거용 건물 임대업 등 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제시되어 있음. - 전시산업에 대한 추정치(총매출액)나 실사를 통한 산업 투입 및 배분구 조가 확보되면 이를 반영한 중간투입계수를 추정할 수 있음 (2) 전시산업 규모 및 구조 추정 가. 전시산업의 규모 2000년대 들어 우리나라 전시산업은 전시시설의 급격한 증대,기업의 전시회 인지도 증가,다양한 형식의 광고ㆍ홍보ㆍ마케팅 방식의 확산, 전자 기계 등 관련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함 이러한 전시산업은 산업 자체의 성장요인과 함께 전시시설의 확장 및 전 시산업발전법 제정 등을 통해 전시 인프라 및 제도의 정비 강화 등 정책 적 지원의 효과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됨 - 정책적 지원은 2000년 COEX의 증축에 이어 EXCO,BEXCO 등 지방의 전시시설이 확충되고,KINTEX등 대규모 전시시설의 건립을 통해 전시규 모 확장 노력 등 인프라 확충 - 유망,브랜드,전략 전시회 등 전시회별 지원기준 차등화,통합전시회 개최를 통해 전시회의 대형화 및 전문화를 모색하도록 유도한 내용도 포함 -32-
[전시산업 동향] 구 분 98 04 05 06 07 매출(억원) 3,450 8,160 9,600 12,000 14,000 부가가치(억원) 2,640 5,223 5,878 5,994 6,993 전체 GDP 비중 0.07 0.10 0.12 0.14 0.16 (서비스비중) 0.13 0.19 0.21 0.25 0.27 고용(명) 4,312 9,732 11,316 13,800 16,000 전체 비중 0.03 0.07 0.07 0.09 0.10 (서비스비중) 0.05 0.09 0.10 0.13 0.14 1인당 매출액(억원/명) 0.800 0.838 0.848 0.870 0.875 *출처 :전문가 설문 및 연구팀 시산 명목가격 기준 매출액이 1998년~2007년 기간 동안 연평균 16.8% 증가하는 높은 성장세를 시현 - 부가가치 및 고용은 각각 동기간 연평균 11.4%,15.7% 증가 - 1인당 매출액도 1998년 0.87억 원에서 2006년 0.87로 높은 증가세를 시 현한 후 2007년 전시산업 규모의 증가와 함께 0.88억 원 수준을 나타냄 이에 따라 전시산업 매출액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8년 0.07%,2004년 0.10%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06년 0.14%,2007년 0.16%에 달함.고용비중도 꾸준히 증가하여 전체 고용에 대한 전시산업의 고용 비중은 1998년 0.03%에서 2007년 0.10%로 크게 증가함 전시산업의 성장은 주요 관련 산업인 전기 및 전자기기,일반기계,정밀기 기,수송기계 등의 산업규모가 꾸준히 증가한 데 기인함 나. 전시산업의 투입구조 2007년도 전시산업의 투입구조를 보면,2007년 전시산업 매출규모 1조 4,000억원 가운데 중간투입 6,026억원(43.0%)으로,부가가치 7,974억원 (57.0%)으로 나타남 -33-
이러한 투입구조는 일반적인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총투입액의 42% (음식 및 숙박업)에서 71%(금융 및 보험업)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점을 고 려하면 대체로 중간 혹은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전시산업이 일반적인 서비스 산업에 비하여 인력투입 등 부가가치 부문의 투입이 적지 않으나,동시에 전시산업을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중간 투입재를 소비하는 산업적 성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됨 [2007년 전시산업 투입구조 추정 결과] 부문 명칭 투입구조 금액 (억원) 비중 (%) 농림수산품 5 0.0 광 산 품 2 0.0 음 식 료품 0 0.0 섬유 및 가죽제품 32 0.2 목재 및 종이제품 62 0.4 인쇄,출판 및 복제 67 0.5 석유 및 석탄제품 207 1.5 화학 제품 190 1.4 비금속광물제품 145 1.0 제1차금속제품 180 1.3 금속 제품 215 1.5 일반 기계 135 1.0 전기 및 전자기기 314 2.2 정밀 기기 50 0.4 수송 장비 44 0.3 가구 및 기타제조업제품 29 0.2 전력,가스 및 수도 373 2.7 건 설 178 1.3 도 소 매 159 1.1 음식점 및 숙박 0 0.0 운수 및 보관 281 2.0 통신 및 방송 549 3.9 금융 및 보험 395 2.8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529 3.8 공공행정 및 국방 0 0.0 교육 및 보건 87 0.6 사회 및 기타서비스 135 1.0 기 타 661 4.7 전시산업 1005 7.2 중간투입 6026 43.0 부가가치 7974 57.0 총 투 입 14000 100.0-34-
한편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가장 낮은 장치산업인 제1차금속이 20%, 가장 높은 인쇄,출판 및 복제가 38%인 점을 감안할 때,전시산업은 상 대적으로 서비스 성격이 강한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음 다. 전시산업의 수요구조 2007년도 전시산업의 수요구조는, 설문조사 결과와 2007년 전체 전시회 통계의 주최자, 개최장소, 부스면적, 참가자 수, 부스당 비용 등을 토대로 도출하였음 2007년 1차 수요구조 분석결과 전시회 부스 비용에 의거한 전시산업 매 출액은 약 4,083억 원으로 집계됨 - 전시주최 이외에 전시용역 및 장치 등의 매출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여 1차 시산결과에 근거한 산업별 수요구조를 2007년 총 매출액 규모인 1조 4,000억 원을 추정 기준 매출액(control total output)으로 설정하여 산업별 수요규모 추정 개별 산업이 산업활동의 요소로 투입하는 중간수요는 광고비 지출과 전시 산업의 서비스를 중간수요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 - 또한 대부분의 서비스산업과 전기전자 등 제조업 부문의 경우에는 전시 회 자체가 광고비 형태의 중간수요 뿐만 아니라 일반 참가자와 같이 최 종수요로 소비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최종수요로 소비된다고 가정 향후 전시회 성격별로 다양한 전시주최, 전시장 임대, 전시용역 및 장치 비중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보다 면밀한 전시산업의 수요측면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007년 기준 우리나라 전시산업은 내수 및 수출 증대 등으로 전방위 마 케팅 및 광고 형식으로 전시산업을 활용하는 중간수요의 비중이 총 전시 산업 산출액의 58.3%로 8,159억 원에 달함 - 한편 전시회 자체가 민간 및 정부소비, 수출 등 최종소비자에 의하여 직 접 소비되는 금액에서 우리나라 경제 주체가 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를 수요하는 수입을 차감한 최종수요는 총 산출액의 38.1%인 5,32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됨 -35-
산업별로는 정밀기기,일반기계,전기 및 전자기기,수송장비가 각각 전체 전시 산업 산출액의 11.6%,8.6%,6.2%,4.1%를 차지하는 1,625억원,866억원,1,203 억원,574억원의 전시산업 서비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들 4개 산업의 중간수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3%로 생산 및 수출 증대를 위한 전시산업 중간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 [2007년 전시산업 수요(배분)구조 추정 결과] 부문 명칭 투입구조 금액 (억원) 비중 (%) 농림수산품 109 0.8 광 산 품 0 0.0 음 식 료품 655 4.7 섬유 및 가죽제품 365 2.6 목재 및 종이제품 0 0.0 인쇄,출판 및 복제 424 3.0 석유 및 석탄제품 0 0.0 화학 제품 120 0.9 비금속광물제품 0 0.0 제1차 금속제품 0 0.0 금속 제품 212 1.5 일반 기계 1203 8.6 전기 및 전자기기 866 6.2 정밀 기기 1625 11.6 수송 장비 574 4.1 가구 및 기타제조업제품 472 3.4 전력,가스 및 수도 0 0.0 건 설 507 3.6 도 소 매 58 0.4 음식점 및 숙박 39 0.3 운수 및 보관 20 0.1 통신 및 방송 15 0.1 금융 및 보험 18 0.1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295 2.1 공공행정 및 국방 71 0.5 교육 및 보건 170 1.2 사회 및 기타서비스 340 2.4 기 타 0 0.0 전시산업 514 3.7 중간수요 8159 58.3 최종수요 5327 38.1 총 투 입 14000 100.0 *출처 :전문가 설문 및 연구팀 시산 -36-
2. 전시산업의 국민경제적 효과 분석 (1) 국민경제적 효과의 종류 가. 수요측면 효과 산업연관분석은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를 기록한 산업연관표로부터 투입 계수를 산출한 다음,이를 기초로 도출되는 생산유발계수 등 각종 분석 계수를 이용한 경제분석 방법임 중간투입재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각 산업부문의 원재료 투입구성비중인 투입계수의 산출로부터 산업연관분석이 시작되며 투입구조가 일정 기간 안정적이라는 가정을 하게 됨 생산유발계수는 최종수요의 변동에 따른 각 부문의 직 간접 생산파급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산업연관분석에서 중심적 역할을 함 투입계수는 각 산업부문이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에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산업으로부터 구입한 각종 원재료 연료 등 중간투입액을 총투입액으로 나눈 것으로 각 부문 생산물 단위 생산에 필요한 각종 중간재 단위를 나 타냄.마찬가지로 피용자보수 영업잉여 등 부가가치액을 총투입액으로 나눈 것을 부가가치율(소득률)이라고 함 전시산업의 국민경제적 효과는 최종수요의 변화,혹은 해당 산업의 수요 증대 등을 통하여 부가가치(GDP)증대,고용증대,총산출액 증대 등의 효과가 있음 또한 공급측면에서 수입대체효과,상대적 물가변화효과,전후방 산업연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됨 최종수요 발생에 따른 국내생산파급효과는 투입계수를 기초로 도출되는 생산유발계수에 의하여 전시산업에서 발생하는 소비,투자,수출 등 최종 수요가 한 단위 증가 혹은 감소할 때 각 산업부문에서 직 간접으로 생산되어야 할 산출액 변화 정도를 의미함 -37-
나. 고용유발효과의 계측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노동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먼저 산업별 취업계수를 계측하고,이 취업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기초로 취업유발 계수를 도출함 취업계수는 일정 기간 동안 투입된 노동량을 총산출액으로 나눈 계수로서 한 단위의 생산에 직접 소요된 노동량을 의미함 취업유발계수는 어느 산업부문의 생산물 한 단위 생산에 직접 필요한 노동량 뿐만 아니라 생산파급과정에서 간접적으로 필요한 노동량도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취업계수에 최종수요 한 단위당 직 간접 생산유발 효과를 나타내는 생산유발계수를 곱하여 구해짐 취업유발계수행렬에 소비,투자,수출 등 최종수요 벡터를 곱함으로써 최종수요 항목별 취업유발인원을 계측할 수 있음. (2) 전시산업의 국민경제적 효과 국민경제적 효과 분석은 전시산업 자체의 활동에 따른 최종수요 측면의 분석으로,전시산업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비지출,투자,순수출 등 최종 수요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국민경제 전체의 관점에서 파악 - 전시산업의 산업활동의 증가가 국민경제의 성장에 기여하는 직, 간접 및 유발효과를 측정할 수 있음 2007년 전시산업 활동이 여타 산업의 주요 경제지표인 총산출, 부가가치, 고용 등에 유발하는 국민경제 효과는 각각 2조 2,326억 원, 8,993억 원, 17,414명으로 나타남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산업부문은 전시산업의 주요 대상 산업분야인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그리고 제조업 부문 가운데에는 전기 및 전자기기, 화학제품, 1차금속, 수송기기 등이 총산출 기준으로 각각 2,509억원, 1,750억원, 1,382억원, 1,328억원, 1,019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나타남 -38-
고용은 서비스업의 노동집약적 성격이 반영되어 총산출이나 부가가치에 대한 유발효과와는 달리 도소매, 음식점 및 숙박, 교육 및 보건, 사회 및 기타 서비스 부문에서 크게 유발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2007년 전시산업 활동의 국민경제적 효과] 부문명칭 총산출 유발(억 원)부가가치 유발(억원) 고용 유발(명) 농림수산품 402 233 148 광 산 품 46 27 21 음식료품 684 196 314 섬유 및 가죽제품 359 109 425 목재 및 종이제품 282 78 174 인쇄,출판 및 복제 144 60 319 석유 및 석탄제품 892 269 18 화학제품 1382 318 415 비금속광물제품 353 112 179 제1차금속제품 1328 256 148 금속제품 607 190 403 일반기계 669 186 349 전기 및 전자기기 1750 435 623 정밀기기 134 38 81 수송장비 1019 220 290 가구 및 기타제조업제품 145 43 152 전력,가스 및 수도 813 332 109 건 설 1236 559 1301 도 소 매 1097 653 3380 음식점 및 숙박 719 289 2281 운수 및 보관 923 395 1177 통신 및 방송 980 478 487 금융 및 보험 1174 736 868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2233 1526 194 공공행정 및 국방 487 336 489 교육 및 보건 902 618 1510 사회 및 기타서비스 600 301 1546 기 타 965 0 0 합 계 22326 8993 17414 *출처 :연구팀 작성 -39-
[2012년 전시산업 활동의 국민경제적 효과 추정] 부문명칭 총산출 유발 부가가치 유발 고용 유발 (억 원) (억 원) (명) 농림수산품 834 483 254 광 산 품 93 54 35 음 식 료품 1407 404 533 섬유 및 가죽제품 797 242 778 목재 및 종이제품 568 157 289 인쇄,출판 및 복제 288 120 525 석유 및 석탄제품 1907 576 32 화학 제품 3001 690 744 비금속광물제품 717 227 299 제1차금속제품 2820 543 259 금속 제품 1244 390 681 일반 기계 1465 407 631 전기 및 전자기기 3905 971 1146 정밀 기기 292 83 144 수송 장비 2346 506 550 가구 및 기타제조업제품 305 91 264 전력,가스 및 수도 1613 659 178 건 설 2784 1260 2417 도 소 매 2347 1398 5967 음식점 및 숙박 1331 534 3481 운수 및 보관 1984 850 2087 통신 및 방송 2024 986 830 금융 및 보험 2445 1533 1492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4810 3288 345 공공행정 및 국방 1137 784 941 교육 및 보건 2063 1414 2848 사회 및 기타서비스 1303 654 2769 기 타 1515 0 0 합 계 47344 19302 30518 *출처 :연구팀 작성 -40-
2012년 전시산업 활동의 국민경제효과 분석은 기본적으로 미래의 산업구 조,고용구조,부가가치 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여 추정 자료의 제약과 5년 이내 미래인 중기 미래전망인 점을 감안하여 2007년 산업구조와 중간투입계수의 정보에 대하여 산업연구원의 산업별 전망 자 료를 적용하여 새로운 투입계수를 도출하여 분석함 - 2012년 기준 전시산업의 국민경제 효과도 2007년 결과와 유사함 산업의 주요 경제지표인 총산출, 부가가치, 고용 등에 유발하는 국민경제 효과는 명목가치기준으로 각각 4조 7,344억원, 19,302억원, 30,518명으 로 나타남 (3) 분석결과의 시사점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용한 전시산업의 국민경제효과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전시산업은 전시장 임대,전시주최,전시장치 및 용역 사업 등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기존 산업분류 체계로는 부동산임대,기타 사업서비스 가운 데 인력알선 및 장치기기 설비의 임대,그리고 철근 철골조 비주택 건설 분야를 포함함(<참고자료> 5-4참조) 따라서 소프트웨어,의료 및 보건,금융 및 보험,방송통신 등 지식집약적 서비스업과는 투입 및 수요구조가 상이하며,제조업 지원적 성격과 동시에 서비스산업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산업으로 파악됨 이는 전시산업 자체에 대한 규제 강화나 완화,지원수단 시행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선택할 경우 서비스 산업 뿐만 아니라 관련된 주요 제조업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냄 -41-
3. 국내 전시산업의 수급 전망 (1) 국내 전시장 공급 예상 2000년 132회에 불과했던 국내 전시회는 이후 2007년 353회로 증가하 였으며, 이러한 추세를 감안할 때 향후 전시산업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됨 대형전시회를 위주로 개최하는 COEX, KINTEX, BEXCO, EXCO가 전체 전시회 개최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반면 중소형 전시회 위주의 SETEC, at Center의 경우 전체 전시회 개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고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 2008년말 기준으로 건립되어 운영 중인 전시장은 총 12개 169,074m2이 며, 개장, 증축이 확정된 전시장의 공급예상을 감안하며 2012년에는 264,654m2로 확장될 전망임 [연도별 전시장 공급현황 및 예상] 구 분 전시장 면적(m2) 증감(m2) 비 고 1991 20,736 - COEX 건립(1988) 1995 24,936 4,200 KOTREX 건립 1996 34,239 9,303 여의도중소기업전시장 건립 1999 42,187 7,948 SETEC 건립 2000 57,478 15,291 COEX 신관 건립 2001 92,876 40,398 EXCO,BEXCO 건립 2002 101,103 8,227 at센터 건립 2003 103,689 2,586 ICC JEJU 건립 2004 94,386 (9,303) 여의도중소기업전시장 폐쇄 2005 166,554 72,168 KINTEX,KDJCenter,CECO 건립 2008 169,074 2,520 DCC 건립 2009 177,464 8,390 송도컨벤시아 건립 2011 190,545 12,900 EXCO 2단계 건립 2012 264,654 74,200 KINTEX,BEXCO 2단계 건립 *자료 :한국전시산업진흥회,각 전시장 사이트 참조 -42-
[연도별 전시장 가동률 현황] (단위 :%) 수 도 권 중부권 영 남 권 호남권 구분 COEX 여의도 전시장 SETEC at KIN KOT KDJ EXCO 벡스코 CECO 센터 TEX REX 센터 1994 61.1 - - - - - - - - - 1995 65.6 - - - - 25 - - - - 1996 67.0 45.0 - - - 30 - - - - 1997 80.9 62.3 - - - 29.3 - - - - 1998 68.9 50.0 - - - 32.5 - - - - 1999 74.0 44.4 66 - - 72.7 - - - - 2000 71.8 43.9 71 - - 49.3 - - - - 2001 72.1 36.4 64 - - 21.0 26.4 35.0 - - 2002 90.4 58.3 71.5 46.3-25.0 36.5 43.0 - - 2003 72.6 22.2 60.6 37.4-29.0 69.9 46.0 - - 2004 75.5-63.6 44.7-55.0 72.1 52.0 - - 2005 71.8-55.2 40.8 49.6 73.4 67.3 54.0 48.0 59.4 2006 70.6-61.4 50.6 50.9 44.6 70.2 55.6 47.3 30.7 2007 73.5-67.8 62.2 53.8 67.8 72.1 60.0 48.6 63.2 *자료 :한국전시산업진흥회 향후 세계 전시장 면적은 급속 확대되면서 이에 수반하여 전시면적 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지역별로는 중국 및 동남아의 수요가 가장 크고, 유럽, 북미, 동북아 등으로 전시장 확장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됨 - 선진국 전시산업은 현상 유지 및 다소 정체, 중국(상해, 광주) 및 동남 아 주요국가의 전시산업은 지속적 성장이 기대됨 고유가 및 세계경제 침체로 인해 해외바이어 유치 및 전시업체참여 감소로 지난 10여년 호황기에 비해 다소 정체될 것으로 전망됨 -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중국, 동남아에 해외 바이어 집중 예상 전시장별 경쟁력 차이로 선진국은 자국의 전시산업 정체에 따라 중국, 러 시아, 중동국가 등 신흥전시장 및 주최자간 합작 전시회 확대 - 전시장별 전시회 공동 개최 및 전시주최자가 전시 프랜차이즈 형태의 전 시회수 증가 예상 -43-
(2) 국내 전시산업의 장기 수급전망 전시장의 미래 수요 전망을 위하여 다양한 계량분석 모형을 시도하여 예 측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음 전시장 수요 추정을 위한 설명변수의 선택은 우선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 내는 각종 통계량을 비교ㆍ분석하여 결정한 후 향후 모형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것에 대비하여 획득이 용이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사 용하였음 - 기본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토대로 특정 변수의 모형 포함 여부를 결 정하였으며, 다소 통계량이 낮은 경우라도 모형에 대한 선험적 연관성 을 고려하여 일부 변수는 모형에 포함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음 ln ln ln - ln( )은 자연로그함수. EXD는 전시장 수요규모를 나나냄 - GDP는 국내총생산을 나타내며 2008년 이후에 대해서는 2008년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채택한 연평균 3.7% 성장률을 전망변수로 채택 - PRICE는 부동산 및 기타사업 서비스 가격지수로 전시산업의 대표 가격 지수로 채택함. Global Insight의 미래가격전망자료(2007년)을 사용 국내 전시장에 대한 최종 수요예측 결과, 국내 전시장은 2011년까지는 지 속적인 공급부족 현상을 나타내고, 전시장별 확충계획에 의거하여 대폭 공급면적이 증가하는 2012년 이후 공급초과 현상이 지속될 전망임 그러나 2016년을 전후하여 추가적인 전시시설 확충이 없는 경우, 수요 초 과로 반전될 가능성이 있음 - 이러한 추정결과는 KIET와 KDI의 중장기 산업 및 경제성장 전망 (2006년~2003년 연평균 3.7% 성장)과 Global Insight와 KIET 공동으 로 추정된 사업서비스 가격지수 연평균 3.2% 증가 전망에 의거하여 도출됨 - 또한 공급규모 증가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에서 포함하지 않고 있는 부 산 BEXCO의 2012년 시설 확충 전망을 포함하였음 -44-
추정결과에 따르면 전시장 공급이 경제성장 및 산업여건에 따라 매년 연 속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사업계획, 투자, 실제 건설 등 시간적 간격에 따 른 시차로 인하여 4~6년 주기의 수급 불균형 현상이 반복되는 것으로 판단됨 [국내 전시장 최종 수요예측 및 과부족 전망 (2008-2017)] (단위 :m2) 연 도 전시장 공급면적 전시장 총수요 예측결과 과부족 (공급-수요) 2008 169,074 174,229-5,155 2009 177,464 179,187-1,723 2010 177,464 189,055-11,591 2011 190,454 199,466-9,012 2012 264,654 210,451 54,203 2013 264,654 222,041 42,613 2014 264,654 234,269 30,383 2015 264,654 247,170 17,484 2016 264,654 260,782 3,872 2017 264,654 275,144-10,490 *연구팀 산정 앞서 예측된 국내 전체 전시장 수요전망 결과와 공급 전망을 토대로 4대 권역별로 수급전망을 분석한 결과 - 국내 전시장의 수급체계도 대체로 국내 전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수도권과 영남권의 수급불균형 상황이 보다 큰 변동폭을 보임 - 반면, 중부권과 호남권은 꾸준히 공급초과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나타나 고 있음 -45-
[국내 전시장 권역별 공급 현황 및 전망(1991-2017)] (단위 :m2) 연도 수도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 1991 20,736 0 0 0 1992 20,736 0 0 0 1993 20,736 0 0 0 1994 20,736 0 0 0 1995 20,736 4,200 0 0 1996 30,039 4,200 0 0 1997 30,039 4,200 0 0 1998 30,039 4,200 0 0 1999 37,987 4,200 0 0 2000 53,278 4,200 0 0 2001 53,278 4,200 38,124 0 2002 60,700 4,200 38,124 0 2003 60,700 4,200 38,124 0 2004 51,397 4,200 38,124 0 2005 104,938 4,200 45,950 9,072 2006 104,938 4,200 45,950 9,072 2007 104,938 4,200 45,950 9,072 2008 110,854 6,700 45,950 9,072 2009 110,854 6,700 45,950 9,072 2010 110,854 6,700 45,950 9,072 2011 110,854 6,700 58,950 9,072 2012 164,854 6,700 78,950 9,072 2013 164,854 6,700 78,950 9,072 2014 164,854 6,700 78,950 9,072 2015 164,854 6,700 78,950 9,072 2016 164,854 6,700 78,950 9,072 2017 164,854 6,700 78,950 9,072 본 분석은 2005년~2007년 기간이 전시장 공급면적의 변화가 없고 상대 적으로 국내 경제가 안정적 추세를 유지하였다고 판단하여 3개년 평균 가동률을 기준 가동률 수준으로 설정하여 권역별 미래 전망에 반영하는 방식을 채택함. - 그러나 앞에서 제시된 전시장 가동률, 개별 전시장의 마케팅 활동, 지 역별 전시장간의 가동률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고, 각 전시장 별 유효 가동률 (보조금 없이 영업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전시회 개최)을 고려할 경우 지역별로 실제 과부족에 대한 평가는 보다 면밀한 판단이 요구됨 -46-
[국내 전시장 권역별 수요전망(2008-2017)] (단위 :m2) 연도 수도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 2008 111,867 6,199 47,160 9,004 2009 115,050 6,375 48,502 9,260 2010 121,386 6,726 51,173 9,770 2011 118,961 6,592 64,339 9,575 2012 133,328 4,968 64,939 7,216 2013 140,670 5,241 68,516 7,614 2014 148,417 5,530 72,289 8,033 2015 156,591 5,835 76,270 8,475 2016 165,214 6,156 80,470 8,942 2017 174,313 6,495 84,902 9,434 분석 결과, 3개 전시장이 추가 공급되는 2012년부터 각 권역별 초과수요 분이 해소되나, 일정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세로 인하여 2016년부터 수도 권, 영남권을 중심으로 하여 전시장 공급부족 예상 - 그러나 권역별 전시장 수요가 해당 권역의 경제활동 뿐만 아니라 산업 및 수출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고 해외 유사전시장과의 경쟁관계 등 도 고려해야 하므로 보다 포괄적인 접근 요구됨 [국내 전시장 권역별 수급추이 (2008-2017)] (단위 :m2) 연도 수도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 2008-1,013 501-1,210 68 2009-4,196 325-2,552-188 2010-10,532-26 -5,223-698 2011-8,107 108-5,389-503 2012 31,526 1,732 14,011 1,856 2013 24,184 1,459 10,434 1,458 2014 16,437 1,170 6,661 1,039 2015 8,263 865 2,680 597 2016-360 544-1,520 130 2017-9,459 205-5,952-362 -47-
Ⅲ. 전시산업 전망 및 시사점 제 1 절 글로벌 전시산업 발전전망 및 시사점 1. 세계 전시산업 발전 전망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라 전시산업의 향후 성장률도 기존 예측 대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반광고의 대체, 전시회를 통한 마케팅 효과의 증대 및 매출 파급효과 등으로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보다 높 은 수준을 지속할 전망 - 시장 환경 변화에 민감한 전시산업으로서는 경제위기에 따라 전시산업 의 주체간 보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고객도 사이버 전시회와 같 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에 대한 관심이 많아 질 것으로 예상 또한 경제성장 둔화에 따라 제조업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경쟁력보다 소비자 친화적, 경험적 마케팅의 중요성 증대 등으로 전시산업 수요가 증가하여 세계경제 성장전망 수준을 상회하는 전시산업 성장 예상 향후 2008년~2011년 기간 동안 세계 전시산업(명목기준)은 지역별로 편차 를 나타내며 년 평균 5.5%의 지속적인 성장세로, 동 기간 세계경제 전망 3%를 상회할 전망임 - 2008년 전시산업전망(Event Industry : The opportunity for sustained growth) 근거 - 급부상하고 있는 두바이 중심의 중동지역, 중국, 인디아는 각각 연평 20.0%, 15.1%, 13.5%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나, 기존 선진국 시장은 5% 이내의 다소 낮은 성장률을 나타낼 전망 전시산업은 2003년~2007년 동안 연평균 6.2%의 꾸준한 성장률 시현 -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세계경제의 일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증가율인 4.5%, 3.0%에 비하여 높은 수준(GlobalInsight, 2007 ; KIET 산업발전 2020 인용) -48-
각국의 전시산업에 대한 정의 및 포괄범위의 규정이 다소 상이한 측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성장 전망과 전시산업의 발전전망 을 동시에 고려함 각국의 경제성장과 전시산업 성장전망은 각각 GlobalInsight-KIET(2007 년)의 국별 성장전망과 전시주최자 위주의 전망자료인 AMR(2008년)을 포 함한 전시산업 전망치를 토대로 추정 - 국별로 산업 포괄범위가 상이하지만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전시산업구조 가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AMR자료 등 전망자료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게 추정 러시아, 중국, 인도의 경우 광의의 전시산업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전시 장치, 서비스업 등 서비스 분야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낮은 점을 고려 하여 전시산업 규모 추정 [2012년 주요국별 전시산업 규모 및 GDP 비중 전망] (단위 :억달러,%) 구 분 미 국 독 일 프랑스 영국 러시아 중국 인도 한국 2007~12년 전시산업 성장률 2007~12년 경제성장률 4.2 2.9 4.0 4.0 10.7 15.1 13.5 10.8 3.1 1.7 2.1 2.7 4.7 6.3 5.9 4.2 2012전시산업(A) 1,324 363 232 202 69 84 8 32 2012GDP규모(B)161,150 36,034 28,185 31,509 16,226 44,512 15,237 11,917 2012GDP대비 전시산업 비중 (A/B) 0.82 1.01 0.82 0.64 0.42 0.19 0.05 0.28 *주 :AMR(2008)등 전시산업 관련한 전망지표를 종합하여 추정 자료 : GlobalInsight-KIET(2007년), AMR(2008년) -49-
각국의 경제성장율 및 전시산업 성장률을 감안하여 2012년 전시산업의 GDP 대비 규모를 추정한 결과, 독일 1.0%, 미국, 프랑스가 0.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우리나라는 2012년 32억 달러로 GDP대비 0.2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 어 2008년 현재 0.18%에 비해 상당한 신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임 - 반면 중국은 2012년 84억 달러로 GDP대비 0.19% 차지할 것으로 전망 2. 주요국별 전시시설 확대 전망 전시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계 각국은 전시장을 추가적으로 계속 건 립하고 있어 국내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 전세계 전시장 면적은 2007~2010년 동안 3.5백만m2 추가될 예정임(187억 달러 규모 투자 예정) - 2010년까지 1,104개의 전시장(5,000m2 이상)이 건립될 예정이며, 총 31.1백만m2의 전시장 면적이 추가로 생길 예정임 전시시설 증축, 지지체의 전시산업으로 인한 이득과 직간접적인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중요성 인식 증대 [2006-2010년 주요국의 전시장 수용능력 현황 비교] 국가명 2006 2010 순위 면적(m2) 순위 면적(m2) 증가율(%) 미국 1 6,134,421 1 6,603,033 8.0 독일 2 3,112,973 2 3,258,275 5.0 중국 3 2,516,581 3 2,961,088 18.0 이탈리아 4 2,104,792 4 2,319,310 10.0 프랑스 5 2,010,937 5 2,103,087 5.0 스페인 6 1,368,634 6 1,608,663 18.0 러시아 11 500,220 7 983,325 97.0 네덜란드 7 885,703 8 889,103 0.4 영국 9 615,447 9 666,575 8.0 캐나다 8 604,291 10 654,640 8.0-50-
*중국은 홍콩,마카오,대만을 포함함 *출처 :TheWorldMapofExhibitionVenueandfuturetrend,UFI(2007.10) 3. 세계 전시산업 확대와 시사점 도출 현재 세계 각국은 전시산업으로 인한 이득과 직간접적인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경쟁적으로 전시시설의 신 증축 추세를 이어지고 있음 향후 전시산업의 성장은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인한 둔화요 인과 전시산업의 상대적 수요 증가 요인인 전통적 광고방식의 대체, 전시회의 파급효과 증대, 관광 등과 연계한 복합전시회의 개최 증가 등에 의하여 결정될 전망 - 전시산업은 과거 2003년~2007년 기간 동안 수요증가에 힘입어 연평균 6.2% 성장률 시현 - AMR(2008년) : 2007년~2011년 기간 동안 전시산업은 수요측 요인과 중동, 아시아 지역 등 신흥 지역의 전시장 면적 확대 등 공급측 요인으 로 인하여 5.5% 연평균 성장 예상, 세계경제 성장전망 3%를 상회 시장환경 변화에 민감한 세계 전시산업으로서는 경제위기에 따른 수요 둔화로 인하여 국가간, 전시장간 경쟁이 고조될 것으로 예상 또한 경제성장 둔화에 따라 제조업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경쟁력보다 소비자 친화적, 경험적 마케팅의 중요성 증대 등 전시산업의 질적 요인 이 경쟁구도 형성에 핵심 사안으로 작용할 전망 -51-
세계 전시산업의 성장전망의 국내 전시산업에 대한 시사점은 해외 전시산 업 수요자와의 마케팅 교류, 네트워크의 구축 의미 - 지역별 전시산업의 성장 차별화는 전시산업의 매력도에 기인 이는 자국 내 인적 및 물적 전시산업 기반의 경쟁요소, 인프라 경쟁력 외 에도 B2B 방식의 전시산업 수요자와 긴밀한 접촉 및 성과 유도 중요성 증대 의미 제 2 절 국내전시산업 구조전망 1. 국내 전시산업 발전 전망 2007년 미국의 전시산업 성장률은 3.2%로 미국의 경제성장률 2.2%보다 높았으며, 2006년에도 전시산업 성장률은 4.8%로 경제성장률인 2.9%보다 높았음 - IT 버블 붕괴, 9.11 사건 등 세계 경제가 침체하였던 2001년, 2002년 의 전시산업 성장률은 2000년 대비 하락하였으며, 이후 경제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전시산업도 성장세를 회복하였음 향후 전시산업은 관련 산업의 수요 증대와 함께 전시산업 내부의 고부가 가치화 진전, 전시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 등으로 명목 매출액 기준 2007년~2012 년 기간 동안 연평균 19.5% 증가하여 2012년 3조 4,161억 원 수준에 도 달할 전망 부가가치 및 고용은 같은 기간 동안 각각 연평균 24.6%, 11.9% 증가하 여 2조 965억원, 28,038명에 도달할 전망임. 또한 1인당 매출액도 0.88 억 원에서 1.53억 원으로 상승하여 고부가가치화가 진전될 전망임 - 전시산업의 전망은 관련 수요 산업의 성장전망, 총산출에서 차지하는 전시관련 사업비 지출 전망 근거에 의하여 작성함 -52-
[전시산업 미래 전망]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매 출(억원) 16,940 18,583 22,764 27,886 34,161 부가가치(억원) 전체 GDP 비중 8,807 10,055 12,820 16,394 20,965 0.18 0.18 0.21 0.24 0.28 고 용(명) 19,200 20,064 22,432 25,078 28,038 1인당 매출액(억원/명) 1.050 1.097 1.227 1.371 1.533 *출처 :연구팀 시산 2. 전시산업 업종별 발전 전망 전시산업 세부 업종별 기준에 의거한 성장 전망을 살펴보면, 우선 전시시 설 사업 총매출액은 전시회 개최 횟수, 전시회 가동률, 단위 면적당 판매 가격의 상승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2007년~2012년 기간 동 안 연평균 약 12.9%의 성장 전망이 예상됨 전시주최 사업의 경우 전시회 개최 횟수 증가 및 전시회 자체의 질적 개 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에 힘입어 연평균 17.5%의 성장이 전망됨 [전시산업 업종별 미래 전망] (단위 :억원,%) 전시산업 세분류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07-12(%) 1 전시시설 사업자 2,402 2,833 3,029 3,615 4,286 5,078 15.9 2 전시주최 사업자 7,547 9,235 10,243 12,684 15,768 19,594 20.6 3 전시장치 사업자 2,100 2,487 2,670 3,199 3,777 4,458 15.5 4 전시용역 사업자 1,952 2,385 2,642 3,266 4,055 5,031 20.4 합 계 14,000 16,940 18,583 22,764 27,886 34,161 19.0 *출처 :연구팀 시산 -53-
전시장 임대 및 전시회 주최의 연관산업으로서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전시장치 및 전시용역 사업은 같은 기간 동안 각각 12.5%, 19.3%의 증 가율을 기록할 전망임 - 특히 전시용역사업의 경우에는 사업관련 서비스업의 임금 수준이 꾸준 히 증가하는데 힘입어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액 증가율이 예상됨 [2008~2011년 주요국별 전시산업 성장전망, 연평균 %] *출처 :AMR International,2008-54-
제 3 절 전시산업 전망에 따른 정책 시사점 1. 전시산업의 성장가능성 한국의 전시산업은 제조업 기반을 바탕으로 한 성장잠재력과 유리한 경 쟁요소를 가지고 있음 - 특히 제조업 부문 가운데 주요 수출품목인 일반기계, 전기전자, 수송기 계 제품은 전시회 등 직접적인 마케팅을 통한 성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 기 때문에 국내 전시산업은 매우 큰 잠재력 보유 - 또한 제조업의 서비스산업화 진행에 따라 제조업 제품 자체의 판매 뿐 만 아니라 제조업 제품과 연관된 전시회 및 체험 관광 등 기타 관련 서 비스 산업과의 연계 등 새로운 전시산업의 수요 유발 가능 그러나 2008년 후반 이후 전세계적 경제위기는 국내외 전시산업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 초래 예상 - 제조업 및 일반 서비스 산업 등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는 전시산 업으로서는 경제위기에 따라 경쟁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또 지역별 전시장 공급 증대로 전시회 유치경쟁도 심화될 전망 한편 현재 경제규모 대비 국내 전시산업 규모는 제조업의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하는 전시산업의 잠재수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임 - 우리나라의 전시산업 규모는 2007년 기준 GDP대비 비중이 0.18%에 불 과하여 특히 제조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강한 우리나라로서는 동 비중이 1%대에 달하는 미국, 독일이나 홍콩 둥에 비해서는 극히 열악한 상태임 따라서 향후 제조업 지원 서비스산업으로서 국내 전시산업의 성장 가능성 은 제조업 분야의 수요 증대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전망 -55-
2. 전시산업 시장창출과 정책 시사점 정부와 업계로서는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극복을 위하여 전시산업의 지속 적인 시장 창출(market creation) 노력을 통해 제조업의 마케팅 기능 강 화와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의 육성과제를 동시에 추진해 나가야 할 필요성 대두 - 2007년~2012년 동안 전시산업은 관련 산업의 수요 증대와 함께 산업 내 부의 고부가가치화 진전, 전시 인프라의 활용 등으로 명목 매출액 기준 연평균 13.3% 증가 전망 전시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유발 및 외화가득률 효 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시산업 발전을 통한 승수효과 제고를 통해 국민경제 기여 증대 필요 - 전시산업은 주요 제조업 및 일반 서비스업 분야에 비하여 부가가치 및 생산유발계수가 높아 제조업 수준에 가깝고, 고용 및 외화가득률 측면 에서는 타 산업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 이는 국내 전시산업의 잠재력이 활용될 경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장점 을 활용하여 국민경제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특히 고용유발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전시장치 디자인 및 서비스용역업의 인력수요에 대한 체계적 관리공급을 통하여 고용창출효과의 확대와 전시 산업 경쟁력 제고를 도모할 수 있어야 함 [전시산업의 주요 승수효과 비교] 부 문 부가가치 유발계수 생산 유발계수 고용 유발계수 외화 가득율 섬유및 가죽제품 일반기계 전기, 전자기기 도소매 금융및보험 전시산업 0.6937 0.7039 0.5523 0.8912 0.9423 0.7953 2.0608 2.3390 1.8458 1.6493 1.5869 1.6940 2.1641 1.2618 0.8502 3.5445 1.1483 1.8477 0.4224 0.3590 0.4544 0.4468 0.2127 0.6569-56-
3. 전시산업 수요창출을 위한 전략 과제 도출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전시산업의 구조에 비추어 제조업 기반이 크고 제조 업과 전시산업 매출액과의 강한 상관관계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 전시산 업은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전시산업 성장전망 3~4%보다 높은 7~10%정도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특히 우리나라 전시산업은 제조업 기반이나 무역규모(세계 11위)에 비해 전시산업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바, 이는 시장잠재력이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결국 우리나라의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시산업의 시장비중을 높이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이는 국내 전시산업부문이 시장잠재력을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 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국내전시산업의 시장비중을 높이는 수요창출노력 필요 전시산업의 수요창출을 위한 정책은 전시산업의 인적 구성의 고도화, 인 프라 확충 및 기능 제고 등 물적 경쟁력 극대화와 함께, 국내 전시산업 잠 재수요자 그룹인 국내 관련산업부문의 기업 및 소비자, 해외 전시참가자 등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 인지도 제고 등이 필요 이러한 전시산업의 집중적인 육성을 위하여는, 국민경제 및 해당 지역경 제에 대한 부가가치 및 생산유발, 고용 파급효과가 큰 대표적 글로벌 전 시회를 육성하여 전시산업의 선도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 요구됨 - 현재 전시산업의 비중이 다른 선진국이나 경쟁국에 비해 열위에 있는 점을 감안하여 시장창출 및 확대를 위한 마케팅 Full factor 가 많음 특히 시장에 큰 영향을 주면서 관련산업에의 파급효과가 큰 세계 수 준의 전시회 발굴 육성이 중요 과제임. -57-
세계적 브랜드 전시회의 조기 육성을 통한 수요창출로 국내 제조업의 경 쟁력 제고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타 전시회에도 벤치마킹 대상이 되도록 정책 유도 이러한 전시산업 시장수요 창출과 함께 전시산업계의 역량 강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 산업발전의 선순환 구조가 발생하고, 이는 우리나라 제조업 을 비롯한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임 특히 글로벌 수준의 전시산업 육성을 위하여 전시산업과 관련한 제반 개 념정의, 통계, 서비스 프로세스, 친환경 기술 등에 대한 표준화를 도모함 으로써 전시산업 자체의 투명성 제고와 함께 전시산업의 Global Standard 화 추세에 자발적으로 동참해 나가야 할 것임 결론적으로 전시산업의 수요창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가가치 및 파급 효과가 큰 대표적인 글로벌 전시회를 육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이 를 위해 전시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전시시설 및 주변 인프라 확충도 병행되 어야 할 것임 -58-
Ⅳ. 전시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제 1 절 전시산업 발전비전과 목표 1. 전시산업 비전과 목표 -59-
2. 전시산업의 SWOT 분석 IT, 조선 등 국제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에 기반한 전시회의 개발을 통하 여 세계 수준의 Global Top 전시회로 육성하고자 함 아시아 국가간의 상호 협력 증대에 따라 국내 전시회의 활발한 해외 진출 도모를 통하여, 전시회의 국제화, 대형화, 전문화를 촉진하고자 함 대형 전시장, 숙박시설 등 인프라 확충 및 전문 전시인력 양성, 컨벤션, 관광 등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국내 전시회의 Brand Leadership 확보 [전시산업의 SWOT 분석] -60-
3.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 한국 전시산업은 산업기반(GDP 규모 등 주로 제조업 기반)은 평균 이상 임에도 불구하고, 전시산업 발달(규모, 수준)은 미흡한 편임 산업기반에 맞는 전시산업 수준으로 발달하기 위하여는 전략적 접근 (Strategic Fitting) 불가피함 - 전시 인프라 확보, 글로벌 브랜드 전시회 육성 등 선제적 투자를 통하여 전시산업의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접근방안 도출 [전시산업 포지셔닝 맵(Positioning Map)] -61-
제 2 절 전시장 인프라 및 부대시설 확충 1. 균형 있는 전시장 건립 확충 (1) 국내 전시장의 확충 현황 현재 국내 전시시설은 2011년까지 수요초과로 지속적인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남. 2010-2011년간 10만m2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수도권, 영남권을 중심으로 공급부족 현상이 크게 나타남 이에 KINTEX 및 EXCO, 예비타당성 결과를 토대로 2단계 전시장 확장 공사 착수(2008년말) - BEXCO, 2단계 확장을 위한 Master plan 수립 준비중 이에 우리나라 전시시설의 총 면적은 2008년말 169,074m2 2012년 264,654m2로 세계 15위권 진입 예상 [2006-2008년 전시시설 증감현황]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총 면 적(m2) 164,160 166,554 172,576(3.6%) 총연면적(m2) 60,792,210 60,792,210 64,783,850(6.6%) 총사용면적(m2) 34,050,098 37,209,054 - *출처 :2006-2007년 국내전시산업 통계(한국전시산업진흥회),센터 홈페이지 [주요 전시장 확충계획] 구 분 확충시기 현재 면적 확충계획 증 가 율(%) KINTEX 2011년 53,541m2 54,000m2 100.9 EXCO 2011년 11,616m2 13,000m2 111.9 BEXCO 2012년 26,508m2 20,000m2 75.4 기타 지역의 전시장 확충 움직임 - 2단계 확장 추진 : 대전 DCC, 송도 컨벤시아 등 - 신규 건립 검토 : 전북 군산, 영종도(Piera Milan 인천), 서울 지역 등 -62-
KINTEX 제2전시장 건립계획 건립기간 : 2008년 ~ 2011년 (KDI보고서 기준) 건립규모 : 건축 연면적 208,000m2 (전시면적 54,000m2) 주요특징 - 국제행사 유치를 위한 전시면적 100천m2 이상 확보(제1전시장 54,000m2포함) - 전시장내 식음, 휴게, 사무공간 등 제1전시장 부족시설 확충 - 대형 국제회의가 가능한 5,000석 규모이상의 오디토리움 건립 소요예산 - 총사업비 : 약 4,691억원(부지관련비용 포함) - 건립예산 : 약 3,591억원(부지관련비용 제외, 공사예비비 포함) 경기도,고양시 :각 1,204억원 산자부(KOTRA):1,183억원(설계비 153억원 포함) EXCO 제2전시장 건립계획 건립기간 : 2008년 ~ 2011년 건립규모 : 건축 연면적 22,000m2 주요특징 - 5개 전시홀로 구성 - 회의실 기존 10개 25개로 확대(2,000석 오디토리움 확보) - 인터불고 엑스코 호텔 (297실) 건립 등으로 전시장 인프라 확보 소요예산 - 총사업비 : 970억원(국비 50%, 대구시비 50%, 경북도 100억원 투자) 현 황 확장 현황 설 립 2001년 확장 시기 2011년 전 시 장 11,616m2 전 시 장 13,000m2 컨벤션홀 3,872m2 컨벤션홀 2,000m2 회 의 장 2,089m2 회 의 장 2,056m2 총 면 적 17,577 총 확장규모 17,056 BEXCO 제2전시장 건립계획 건립기간 : 2008년 ~ 2012년 주요특징 - 8개국 동시통역시스템, 국제화상 회의 시스템을 갖춘 약 5,430명 수용 가능한 국제회의장 - 센텀시티 위락단지에 국내 최대 쇼핑센터 건립 예정 - 주변 숙박 시설도 신축 및 리뉴얼 작업 중 소요예산 - 총사업비 : 약 2,050억원(국비 1,018, 지방비 1,032억원) 현 황 확장 현황 설 립 2001년 확장 시기 2012년 전 시 장 26,508m2 전 시 장 20,000m2 회 의 장 4,962m2 회 의 장 4,500m2 총 면 적 31,470m2 총 확장규모 55,970m2-63-
(2) 국내 전시장 수급전망 최종 수요예측 결과, 국내 전시장은 2011년까지는 지속적인 공급부족 현 상을 나타내고, 전시장별 확충계획에 의거하여 대폭 공급면적이 증가하는 2012년 이후 공급초과로 전환 예상 - 그러나 2017년을 전후하여 전시시설의 확충이 없을 경우 수요 초과로 반전될 가능성이 있음. 추정결과에 따르면 전시장 공급이 경제성장 및 산업여건에 따라 매년 연 속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사업계획, 투자, 실제 건설 등 시간적 간격에 따 른 시차로 인하여 4~6년 주기의 수급 불균형 현상이 반복되는 것으로 판단됨 국내 전체 전시장 수요전망 결과와 공급 전망을 토대로 4대 권역별로 수 급전망을 분석한 결과 - 국내 전시장의 수급체계도 대체로 국내 전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수도권과 영남권의 수급불균형 상황이 보다 큰 변동폭을 보이는 반면, 중부권, 호남권은 꾸준히 공급초과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 [국내 전시장 최종 수요예측 및 과부족 전망 (2008-2017)] (단위 :m2) 연 도 전시장 공급면적 전시장 총수요 예측결과 과부족 (공급-수요) 2008 169,074 174,229-5,155 2009 177,464 179,187-1,723 2010 177,464 189,055-11,591 2011 190,454 199,466-9,012 2012 264,654 210,451 54,203 2013 264,654 222,041 42,613 2014 264,654 234,269 30,383 2015 264,654 247,170 17,484 2016 264,654 260,782 3,872 2017 264,654 275,144-10,490 *연구팀 산정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