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를 보는 방법 본서는 해부학에 있어서의 근육 에 대해 전신 각 부위별로 정밀도와 설명을 게재하여 각각의 명칭과 구 조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해부학 근육의 기초지식을 소개하는 기초지식편 부터 머리부위, 목부위, 가슴부위, 배부위, 등부 위 허리부위, 팔, 다리 등, 7 부위의 주된 근육을 그 특징과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장의 가장 앞 페이지에는 그 장에 해당하는 전체 그림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요약 6장 팔부위 근육 ❼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muscle 요약 근육의 주된 기능, 근육을 사 용하는 동작, 지배신경에 대 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된 기능 : 아래팔(팔꿉관절)의 굽힘과 뒤침 어깨관절에서 약하게 위팔을 굽힌다.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알통을 만든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린다. 유도에 서 상대와 붙어 끌어당긴다. 지배신경 : 근육피부신경(C5, C6) 이는곳 짧은갈래(단두) : 어깨뼈부리돌기(견갑골오구돌기) 앞쪽에서 본 위팔두갈 래근의 위치 위팔두갈래근 앞면 어깨뼈(견갑골) scapula 정밀도 이는곳 긴갈래(장두) : 어깨뼈 윗부분(관절위결절) 정밀도 설명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 해 정밀한 그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표적 부위의 명 칭에 대해서는 우리말 표기와 영어에 발음을 함께 표기 하 였습니다. 122 노뼈(요골) radius 닿는곳 노뼈거친면(요골조면), 일부는 널힘줄이 되어 아래팔근막에 흩어서 퍼짐(위팔두갈래근널힘줄) 위팔두갈래근의 특징 위팔굽힘근육군(위팔에 위치하는 굽힘근육군이 라는 의미)으로 분류된다. 위팔에 알통을 형성하 는 근육으로 아래팔의 뒤침자세에서 강하게 작용 한다. 긴갈래(장두)는 약하게 위팔을 가쪽굽힘(측 굴)시키는 작용도 있다. 두 개의 관절에 걸쳐 있 는 근육이기 때문에 두갈래근이라고 한다. 8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의 의료 종사자, 또는 그와 관련된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 을 주된 독자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전문성이 높은 부위명에 대해서는 우리말과 영어를 함께 표기하는 등, 일반 사회인이나 학생분들이 읽어도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부위 표시 rachii muscle 6장 팔부위 근육 ❽ 부리위팔근(오구완근) Coracobrachialis muscle 부위 표시 주된 기능 : 위팔(어깨관절)을 굽히고 모은다(작용은 약함).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벤치프레스, 팔굽혀펴기를 한다. 지배신경 : 근육피부신경(C5~C7) 앞쪽에서 본 부리위팔 근의 위치 표시하는 근육이 몸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떤 방향에서 관 찰하고 있는지 등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부리위팔근 앞면 이는곳 닿는곳 어깨뼈(견갑골) scapula 이는곳 어깨뼈부리돌기 (견갑골오구돌기) 근육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 도록 이는곳과 닿는곳을 표시 하였습니다. 닿는곳 위팔뼈 안쪽 앞면의 중간 이는곳 닿는곳 위팔뼈(상완골) humerus 부리위팔근의 특징 위팔굽힘근육군(위팔에 위치하는 굽힘근육군이라 는 의미)으로 분류된다. 어깨관절에서 위팔을 굽히고 모으지만, 위팔의 모음근인 큰가슴근(P.72)이나 넓은 등근(P.98)에 비해 힘은 약하다. 팔부위 근육/위팔두갈래근 부리위팔근 123 팔 설명 설명 근육과 관련된 구조나 조직,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 니다. 9
중요 근육과 명칭 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 muscle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uscle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uscle 원엎침근(원회내근) pronator teres muscle 위팔노근(완요골근) brachioradialis muscle 자쪽손목굽힘근 (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 muscle 이마근(전두근) frontal muscle 큰광대뼈근(대협골근) zygomaticus major muscle 복장목뿔근(흉골설골근) sternohyoid muscle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muscle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muscle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muscle 배바깥빗근(외복사근) obliquus externus abdominis muscle 짧은엄지벌림근 (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 넙다리빗근(봉공근) sartorius muscle 안쪽넓은근(내측광근) vastus medialis muscle 긴모음근(장내전근) adductor longus muscle 가쪽넓은근(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muscle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is muscle 긴종아리근(장비골근) peroneus longus muscle 앞정강근(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muscle 종아리세갈래근(하퇴삼두근) triceps surae muscle 짧은종아리근(단비골근) peroneus brevis muscle 짧은엄지폄근(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muscle 12
근육의 종류와 기본구조 인체의근육조직중,몸을움직이는근육을뼈대근육이라고한다.뼈대근육과뼈 관절등의뼈대 계통을합쳐서운동기또는운동계라고한다. 근육조직의종류 근육조직에는 뼈대근육(골격근), 심장근육(심근), 민무늬근육(평활근)이 있다. 뼈대근육이란 몸을 움직이기 위한 근육을 말하 며, 일반적으로 근육 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뼈대근 육을 말한다. 뼈대근육은 자신의 의지로 움직일 수 있는 맘대로근(수의근)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가로무늬가 보인다는 이유에서 가로무늬근이라고 도 불린다. 심장근육이란 심장벽을 형성하는 근육을 말하며, 자신의 의지로 움직일 수 없는 제대로근(불수의근) 이다. 근육에는 뼈대근육과는 다른 가로무늬가 보 인다. 민무늬근육이란 혈관벽이나 소화관, 뇨관, 자궁 등에 있는 근육을 말한다. 근육에 가로무늬 등의 모 양이 없다는 이유에서 민무늬근육이라고 한다. 민 무늬근육도 제대로근이다. ( ) 가로무늬있음 맘대로근 ( ) 가로무늬있음 제대로근 ( 가로무늬있음 제대로근 ) 근육(뼈대근육)의기본구조 근육은 많은 근육섬유가 다발이 된 것이다. 근육섬 유 1개가 때로는 10cm 정도가 되는 길고 가는 세포 도 있다. 세포 안에는 근육원섬유가 가득 차 있다. 근 육원섬유는 가는 근육잔섬유(actin filament)와 굵 은 근육잔섬유(myosin filament)라는 더 가는 섬유 로 구성되며, 이 잔섬유들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근 육이 수축된다. 많은 근육섬유가 근주위막에 의해서 묶임으로서 근육섬유다발이 되며, 몇 개의 근육섬유다발이 근 육바깥막으로 묶여 하나의 근육을 형성한다. 힘줄 뼈 근육섬유 A띠 I띠 근육바깥막 근육섬유다발 근육주위막 근육바깥막 근육원섬유 I띠 A띠 I띠 가는근육잔섬유 굵은근육잔섬유 13
엉덩관절(고관절) 굽힘 폄 벌림 모음 しん てん 폄 伸 展 しん てん 伸 展 くっ きょく 굽힘 屈 曲 くっ きょく 屈 曲 がい てん 外 転 がい てん 벌림 外 転 ない てん 内 転 ない모음 てん 内 転 굽힘:엉덩허리근(장요근),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넙다리빗근 (봉공근) 폄:큰볼기근(대둔근),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반힘줄근 (반건양근),반막근(반막양근) 벌림:중간볼기근(중둔근),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모음:큰모음근(대내전근),긴모음근(장내전근),짧은모음근(단내 전근),두덩근(치골근) 발목관절(족관절) 발바닥굽힘(굴곡) 발등굽힘(신전) 안쪽번짐 가쪽번짐 はい くつ はい くつ 背 屈 背 屈 발등굽힘 うち がえ うち がえ 内 返 し 안쪽번짐 内 返 し そと がえ そと がえ 外 返 し外 가쪽번짐 返 し てい くつ てい くつ 발바닥굽힘 底 屈 底 屈 발바닥굽힘(굽힘):종아리세갈래근(하퇴삼두근),발바닥근 (족저근) 발등굽힘(폄):앞정강근(전경골근),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셋 째종아리근(제삼비골근) 안쪽번짐: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긴발가락굽힘근(장지굴 근),뒤정강근(후경골근) 가쪽번짐: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긴종아리근(장비골근),짧은 종아리근(단비골근) 무릎관절(슬관절) 발가락(족지) 굽힘 폄 굽힘 폄 くっ きょく 屈 曲 굽힘 くっ きょく 굽힘 屈 曲 しん てん 폄伸 展 굽힘:반힘줄근(반건양근),반막근(반막양근),넙다리두갈래근 (대퇴이두근) 폄: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しん てん 폄伸 展 굽힘:긴발가락굽힘근(장지굴근),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폄: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긴엄지폄근(장무지신근) 20
1장 머리부위 근육 Muscles of head
1장 머리부위 근육 머리부위(얼굴 표정근) 얼굴 표정근이란 사람이 여러 가지 표정을 만들 때 작용하는 근육을 말한다. 머리부위 및 얼굴에 있는 근육의 대부분은 표정근이다. 얼굴 표정근 앞면 8 눈썹내림근 (미모하제근, P.31) 9 눈살근(비근근, P.32) 16 위입술콧방울올림근 (상순비익거근, P.39) 7 눈썹주름근 (추미근, P.30) 6 눈둘레근 (안륜근, P.29) 10 코근(비근, P.33) 15 위입술올림근 (상순거근, P.38) 14 입꼬리올림근 (구각거근, P.37) 17 작은광대근 (소협골근, P.40) 18 큰광대근 (대협골근, P.41) 19 입꼬리당김근(소근, P.42) 20 입꼬리내림근 (구각하제근, P.43) 13 볼근(협근, P.36) 11 코중격내림근 (비중격하제근, P.34) 12 입둘레근(구륜근, P.35) 아래입술내림근 (하순하제근, P.44) 턱끝근 (이극근, P.45) 얼굴 표정근의 특징 머리부위 얼굴면의 얕은층에 있으며, 얼굴근육이라고도 말한다. 이 근육은 원래 동물이 먹이를 먹거나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눈, 귀, 코, 입을 움직이는 근육인데, 사람의 경우, 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중요한 근육으로 발달되어 있다. 전신 뼈대근육의 대부분은 뼈에 붙어 관절을 움직이지만, 얼굴 표정근은 주로 뼈에서 기시하여 피부(진 피)에 닿는 피부근육이다. 얼굴 표정근은 모두 얼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22
1장 머리부위 근육/머리부위 23 얼굴 표정근의 구성 얼굴 표정근은 표정을 만드는 근육으로, 크게 머 리부위(머리덮개뼈나 관자부위)에 있는 근육, 눈 주 위 근육, 코 주위 근육, 입 주위 근육으로 나눌 수 있다. 머리부위 근육은 사람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 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지 않다. 동물의 경우, 주 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귀를 움직일 필요가 있는 데, 사람은 그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눈과 입에는 입술 주위를 감싸듯이, 띠 모양의 근 육이 붙어있어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입 주위에 는 위아래 입술을 좌우 비대칭 하게 움직이는 근육 이 여러 개가 존재한다. 사람의 코 주위 근육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고, 코 안을 조금 넓힐 수 있는 정도이다. 2 이마근 (전두근, P.25) 4 앞귓바퀴근 (전이개근, P.27) 표정근 왼쪽면 3 위귓바퀴근 (상이개근, P.26) 6 눈둘레근 (안륜근, P.29) 1 뒤통수 (후두근, P.24) 5 뒤귓바퀴근 (후이개근, P.28) 19 입꼬리당김근 (소근, P.42) 얼굴신경과 표정근 얼굴(안면)신경에 장애가 생기면 표정근의 운동 이 마비된다. 이 얼굴신경마비(facial nerve palsy) 에는 중추성과 말초성이 있다. 중추성 마비는 대뇌겉질 등 상위 운동뉴런의 문 제를 일으킨다. 이 경우, 이마나 미간 등 얼굴 상부 에는 마비가 없으며, 문제가 생긴 중추 반대쪽 얼 굴 하부에 마비가 일어난다. 그것은 얼굴 상부 근 육은 좌우 대뇌겉질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한쪽 뇌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한쪽의 중추가 보충해 주 기 때문이다. 하위 운동뉴런의 얼굴신경마비는 문제가 생긴 신 경부위에 의해 증상이 다르지만, 눈을 감을 수 없 거나, 입꼬리가 내려가거나, 침이 새는 등의 증상이 한쪽에만 생긴다. 중추성과 다르며, 얼굴 상부에도 마비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1장 머리부위 근육 ❸ 위귓바퀴근(상이개근) Auricularis superior muscle 주된 기능 :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동물은 주위의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움직인다. 지배신경 : 얼굴신경 위귓바퀴근 왼쪽면 왼쪽에서 본 위귓바퀴 근의 위치 관자뼈(측두골) temporal bone 마루뼈(두정골) parietal bone 이는곳 머리덮개널힘줄 (모상건막)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 닿는곳 귓바퀴연골(이개연골) 상부 위귓바퀴근의 특징 귀 위에서 기시, 머리덮개널힘줄에 종지되는 관자마루근의 뒤통수부위 라고 파악하는 경우도 있다. 귀를 움직이는 근육이지만, 사람은 잘 발달 되어 있지 않고, 자유자재로 귀를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은 적다. 26
1장 머리부위 근육 ❹ 앞귓바퀴근(전이개근) Auricularis anterior muscle 주된 기능 :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동물은 주위의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움직인다. 지배신경 : 얼굴신경 앞귓바퀴근 왼쪽면 왼쪽에서 본 앞귓바퀴 근의 위치 관자뼈(측두골) temporal bone 이는곳 머리덮개널힘줄 (모상건막) 닿는곳 귓바퀴연골 (이개연골) 앞 상부 나비뼈(접형골) sphenoid bone 앞귓바퀴근의 특징 귀를 움직이기 위한 근육으로 동물은 잘 발달되어 있지만, 사람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사람은 귀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며, 기 능적 의의는 거의 없다. 머리부위 근육/위귓바퀴근 앞귓바퀴근 27
1장 머리부위 근육 ❼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주된 기능 :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눈썹 사이에 세로 주름을 형성하며, 찌푸린 얼굴을 한다. 지배신경 : 얼굴신경 눈썹주름근 앞면 앞쪽에서 본 눈썹주름 근의 위치 코뼈(비골) nasal bone 닿는곳 눈썹부위의 피부 이마뼈(전두골) frontal bone 위턱뼈(상악골) maxilla 광대뼈(협골) zygomatic bone 이는곳 이마뼈 코부위 눈썹주름근의 특징 눈썹 사이에 세로 주름을 만들며, 흔히 말하는 찌푸린 얼굴 을 형성하 는 근육. 사람의 풍부한 표정을 만들어 내기 위해 사용하는 근육이다. 30
1장 머리부위 근육 ❽ 눈썹내림근(미모하제근) Depressor supercilii muscle 주된 기능 :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코뿌리 위에 깊은 가로 주름을 만든다. 지배신경 : 얼굴신경 눈썹내림근 앞면 앞쪽에서 본 눈썹내림 근의 위치 닿는곳 눈썹 안쪽 피부 이마뼈(전두골) frontal bone 이는곳 눈확부위(안와부) 안쪽 코뼈(비골) nasal bone 위턱뼈(상악골) maxilla 광대뼈(협골) zygomatic bone 눈썹내림근의 특징 뒤통수이마근 이마힘살의 표면에 있으며, 눈확 안쪽에서 이마힘살로 조금 부채꼴로 펼쳐지면서 마주보는 근육. 이 근육은 눈둘레근(P.29) 눈 확부위의 일부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머리부위 근육/눈썹주름근 눈썹내림근 31
1장 머리부위 근육 씹기근육(저작근) 씹기(저작)는 입안의 음식물을 치아로 짤게 씹는 것을 말하며, 턱관절 움직임에 따라 시행된다. 씹기 에 관련된 근육을 씹기근육(저작근)이라고 한다. 씹기근육의 특징 씹기근육의 구성 머리부위 뼈대 중에 유일하게 가동관절인 턱관절 을 움직이는 근육을 씹기근육이라고 한다. 깨물근 (), 관자근(), 안쪽날개근(), 가쪽날개근() 의 4개가 있으며, 표정근에 비해 힘이 강하다. 모두 아래턱신경에 의해 지배받는다. 아래턱 가쪽에 깨물근과 관자근, 안쪽에 안쪽날 개근과 가쪽날개근이 있다. 또한 씹기근육에는 목 부위의 근육도 관련되어 있다. 또한 표정을 형성하 거나 말을 하는 데에도 관여하고 있다. 입을 열고 닫는 근육 씹기 운동은 입을 열고 닫기 위한 아래턱의 올림 (거상)과 내림(하제), 아래턱을 앞으로 내밀고 되돌 리는 내밈과 들임,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여 음식물 을 잘게 가는 분쇄운동(gliding movement)의 3가 지로 나눌 수 있다. 입을 닫는 운동, 즉 아래턱의 올림에는 깨물근, 관자근, 안쪽날개근이 작용한다. 깨물근은 씹기근 육 중에서도 가장 표층에 있으며, 강력한 근육이다. 작게 입을 여는 움직임은 주로 아래턱을 올린 근 육이 이완되는 것과 아래턱의 무게에 의해 시행된다. 또한 능동적으로 크게 입을 벌릴 때는 가쪽날개근 에 덧붙여 턱목뿔근 등의 목부위 근육이 작용한다. 아래턱을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근육 아래턱의 내밈에는 가쪽날개근이, 들임에는 관자 근이 작용한다. 아래턱을 좌우로 움직이는 분쇄운동에는 가쪽 및 안쪽날개근이 작용한다. 이 근육들이 좌우 중 어느 쪽인가가 작용하면 아래턱은 반대쪽으로 움직인다. 아래턱이 전후뿐 아니라 좌우로도 움직이는 것은 턱관절의 구조에 의한 것이다. 관자뼈의 턱관절오 목은 얕은 패임 정도의 면적이다. 그에 접하는 아 래턱뼈의 턱뼈머리는 가로 원주 상태로 턱관절오 목과의 사이에 관절원반을 끼고 있다. 결합은 느슨 하며, 가동성이 좋고, 턱뼈머리는 턱관절오목 구역 을 점이 아닌 면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아래턱뼈는 한 개이기 때문에 턱관절이 움직 이는 경우, 어느 한쪽 관절만이 움직이지는 않는다. 관자근, 안쪽날개근이 작용한다. 깨물근은 씹기근육 중에서도 가장 겉층에 있으며, 강력한 근육이다. 작게 입을 여는 움직임은 주로 아래턱을 올리는 근육이 이완되는 것과 아래턱의 무게에 의해 시행 된다. 또한 능동적으로 크게 입을 벌릴 때는 가쪽 날개근에 덧붙여 턱목뿔근 등의 목부위 근육이 작 용한다. 46
1장 머리부위 근육/씹기근육 47 씹기근육(저작근) 관자근(측두근, P.49) 가쪽날개근 (외측익돌근, P.51) 안쪽날개근 (내측익돌근, P.50) 깨물근(교근, P.48)
1장 머리부위 근육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주된 기능 :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음식을 씹는다. 어금니로 음식물을 잘게 씹는다. 턱 뼈를 좌우로 움직인다. 지배신경 : 아래턱신경(삼차신경 아래턱가지) 왼쪽에서 본 안쪽날개 근의 위치 안쪽날개근 뒷면 나비뼈(접형골) sphenoid bone 나비뼈(접형골) sphenoidal angle 이는곳 나비뼈 아래 옆면(날개 오목, 날개돌기가쪽가지 안쪽면) 아래턱뼈(하악골) mandible 안쪽날개근의 특징 닿는곳 아래턱뼈 뒷부위 안쪽면 (턱뼈각 안쪽면, 날개근거친면) 아래턱뼈의 안쪽면에 있는 근육. 아래턱뼈의 가쪽면에 붙는 깨물근 (P.48)과 같은 주행을 하고 있으며, 두 근육은 협력근의 관계에 있다. 이 근육 한쪽이 작용하면 아래턱뼈를 옆으로 움직일 수 있다. 50
1장 머리부위 근육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주된 기능 : 입을 벌린다. 아래턱뼈를 앞쪽으로 내민다. 아래턱 뼈를 옆쪽으로 움직인다.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 먹거나 말하기 위해 입을 벌린다. 턱을 좌우로 움직 인다. 지배신경 : 아래턱신경(삼차신경 아래턱가지) 왼쪽에서 본 가쪽날개 근의 위치 가쪽날개근 뒷면 나비뼈(접형골) sphenoidal angle 닿는곳 아래턱뼈관절돌기의 날개근오목 아래턱뼈(하악골) mandible 이는곳 위갈래(상두) : 관자뼈(관자아래능선) 이는곳 아래갈래(하두) : 나비뼈 아래로 뻗는 날개 돌기 가쪽판 가쪽날개근의 특징 4개의 씹기근육 중, 유일하게 입을 벌리는 기능을 하는 근육. 아래턱뼈 관절돌기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입을 벌린다. 입을 벌리는 데는 턱목뿔근 (P.60), 두힘살근(P.58), 턱끝목뿔근(P.61)의 보조를 받는다. 머리부위 근육/안쪽날개근 가쪽날개근 51
52 1장 머리부위 근육/가쪽날개근 머리와 목부위에는 뼈대를 움직이는데 관여 하지 않는 뼈대근육(맘대로근)이 있다. 안구 주변에는 안구를 움직이기 위한 안구근 (4개의 곧은근과 2개의 빗근)이 붙어있다. 안구 는 이 근육들에 의해 자신의 의사로 움직일 수 있다. 4개의 곧은근은 모두 안구 안쪽에서 기시되 어 각각 안구의 위와 아래, 안쪽과 가쪽에 붙는 다. 안구의 위에 붙는 근육을 위곧은근, 아래에 붙는 근육을 아래곧은근, 안쪽 근육을 안쪽곧은 근, 가쪽 근육을 가쪽곧은근이라고 한다. 2개의 빗근은 안구의 위와 아래에 있으며, 각 각 경사진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다. 위빗근은 안구 안쪽에서 기시하여 앞쪽으로 달리며, 눈확 위 안쪽에 있는 도르래를 통하여 가쪽 뒤로 방 향을 바꾸어, 안구 위 후반부의 약간 가쪽에 붙 는다. 아래빗근은 눈확 앞 안쪽에서 기시하여 안구 아래 후반부의 약간 가쪽에 붙는다. 혀도 자신의 의사로 움직일 수 있다. 그것은 혀가 뼈대근육 덩어리이기 때문이다. 혀를 구성 하는 근육은 혀근육이라고 총칭하며, 기시(이는 곳), 정지(닿는곳) 모두 혀 안에 있는 속근육과 기시가 혀 가쪽에 있는 바깥근육으로 나눌 수 있다. 속근육은 혀를 편평하게 하거나 가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한다. 바깥근육은 혀를 내밀 거나 움츠린다. 혀는 음식물을 씹을 때, 씹고 싶은 곳으로 이 동시킨다. 또한, 충분히 씹은 음식물을 삼키기 위해서 인두 쪽으로 보낸다. 음식물을 삼키는 동작은 인두에 음식물이 닿음으로서 일어나는 삼킴반사에 의해 시행되는 불수의 운동이다. 또한 혀는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소리 를 만든다. 혀암 등으로 혀를 일부라도 잃게 되 면 미각 감지 뿐 아니라 씹거나 발성 하는 데에 도 지장을 줄 수 있다. <안구근의 구조> 위빗근(상사근) 도르래(활차) 위곧은근(상직근) 안쪽곧은근(내측직근) 가쪽곧은근(외측직근) 아래곧은근(하직근) 아래빗근(하사근)
2장 목부위 근육 Muscles of neck
Platysma maxilla mandible 23.,.. 56
Sternocleidomastoid muscle occipitalbone temporalbone manubriumofsternum 1/3 clavicle,, (). 57
Mylohyoid muscle mandible hyoid.,,.. 60
Geniohyoid muscle genioglossusmuscle mandible hyoid mylohyoidmuscle.(p.60),. (P.58).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