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 특집/갑오경장 100 년 기념 캅오경장기의 문법 우 교수) 1. 서 론 개화기싼 팍써사얘서는 정흉서1 국어와 근대국어에서 현대픽써 단계효 넙써가는 중요한 과도기작 성쩍윷 밀 썩 q 그동안 중세국어와 현대꽉어쩌11 엽꾸어l 비해서 근 대국어에 대한 연구는 상대척으로 소흘하였으며 특히 개화기 시대는 과도기로 취급되 어 독자적인 연구대상으로 주목율 크게 받지 못했다. 19세기말 20세기 초의 국어는 근대국어척인 요소와 현대국어적인 요소률 동시에 지니고 있어 과도기적인 성격을 띠 고 있다. 개화기는 소급적인 연구의 시발점이 됩 수 있으므로 국어사의 전반적인 측 면에서 볼 때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19세기말 이른바 개화기 국어의 특정은 19세기 전기 또는 그 이전 국어와 20세기초 이후의 했국어와씩 비교뚫 통해서 따악할 수 있다 써휘는 연회 속요가 빠르나 구 n 던:-c 하다. 화체 개화기 된다. 찰해 보겠다. 혐화의 숙도가 느리므로 꺼사 신문류와 교과서류와 때문에 그 당시의 경야 션구와 어미 종류와 통사 씨교가 필요
갑오검장씩 문법 하여 δ 음이 분명하지 못하게 되자 객체정어법으로 쓰이던 습 이 상대정어법으로 쓰이기 시작했다.6) 1618년에 著 作 되어서 1676년에 간행된 첩해신어 는 저작 당시의 반영한 것서 씬앉되고 있는더 I. 01 상대정어렇 g 혔 셨인 예를 보혀 7) 2)L.워.못슴닌다 에서의 L 은 합쇼체의 월감업인데 이 앙사에는 자주 쓰이었우 나 오늘날은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다., 어머니 누는. 나는 우리 맛탓소(혈씌 루 후오(구l 하오체 어미 -오소 는 17세기 명령법에서 먼저 모습율 드러낸 것(이기문 1972: 214, 장경희 1977: 119) 이었으나, 19세기 국어에서는 명령법은 물론 명서법, 의 문법에셔도 확고한 위치률 차지하게 되었다. 에간말음절이 끝날때샀 - 은 이 -오 씬짜 δ} 에서는 하 싸l 와 하게체는 거회 사용되지 않는 경어볍씬뎌세기 초기에 활발히 사용딴 영어법이라는 컷을 확았향 수 있었다 초형짜 사랍들도 오쳐l을 사용하였고, 자식(딸)이 부모에게 하오채을 사용하였고, 아내가 남변에게, 남 연이 아내에게 하오체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그 당시에는 하오체가 일반적으로 사 용된 경어법임을 알 수 있다. '?I 가 더획 별성각을 셔 요( 빈상설 -어요, -지요 는 해요체를 나타낸다. 이 당시의 해요체의 사용 빈도는 하소서체 와 함께 가장 척게 사용된 정어법이다. 신창순(1 984: 256-263) 에서 -요 즉 해요체는 19셰기 훗에 성립되혔으나(흙흉 傳, 沈 淸 傳, jln휩뼈 둥의 대화애서 추쫓). -요 가 ;영 1961) 참조. 7) 용용히 섞읍소(첩해신어 1:20), 그러#융 거시니 P 옵 연히 녀기융소(첩해신어 [:[5), 代 官 들도 혼고 "1 잇습안 l( 첩해신어 1: 2) 이상의 예툴에서 첩해신어 의 어흘 표시하는데 사용되었다. 승의 사용법은 객채정어툴 표시한 것이 아니고 상대경
강.2.경창거의 하려들지 양았는데11) 이 통계는 하소서체의 사용을 증명하고 있다. <혈의루 에서논 학쇼서체가 째요체(2%)보다 더 않아 사용되.꼬 싫다헤므효 개화기 λl 대에용 하소서체가 사용되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통계 수치가 해요체와 거의 바슷하게 보아서 하소서채는 λ! 대찰 o}지막으로 사용씹지 않께 되었고 해요채 는 그 후부터 많이 사용된 것으로 두 경어법의 운명이 완전히 반대가 된 것이다. 해 하겼i 서,처l싸 l:l 1 슷하쐐 적케 사용되깐 것은 해오체가 이제 딱 λ}용되 시 는 시기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윷째 다음셨료 척케 λ}용되는 것이 해체이다 해체에 대해서는 과꺼의 문법 자들이 경에법의 둥급으로 인정하면서 해요헤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던 것도 통째 수치 7f 그것을 해요제보다한 찮이 사장되고 있였기 문이다. 셋째, 해라체카 자장 망이 사용회고 있야눈 점이냐. 언어놨 변화하기 l!}쨌이고 국어의 가장 큰 륙정인 경어법도 변화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중세국어 시대부터 현재 변확짜지 않J 남아 있는 유일한 영어볍의 흉퓨은 해싼체이다 하쇼서세도 시기률 마지막으로 소멸되고 장야써체는 다시 하게체와 하오체로 분화되고 중세국어 시대에는 없었던 쐐요체짜 애체 7} 생기거} 헥는 변화률 겪썼흥나 해 a}체는 대로 다. 그러므로 해라체는 모든 문체법에 해당되는 어미가 다 있으며 신소설에서도 해 많이 사용되 X 았는 섬야 그;섯앓 업종학고 있다 넷째, 하오체와 하게체가 해라쩨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었다는 점이다. 오늘날 하오체와 하께체가 거씌 사용씩지 않고 았다. 그에나 이 당시에는 하오체싹 하거l 체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 경어법이었다는 사실이다. 19세기초부터 사용되기 À1 작 하였다고 추정하쓴 l5'}오쐐씩 하거!책 7} 19세지말 셰기초쓴 활발히 λ}용되 날은 그 자리를 해요체와 해체에 냄겨주고 격식을 차리는 정우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 않게 씩였다늘날ξ 초연회 낯선 사합에게 쭈로 해째를 사용하는터1 비해셔 그 당시에는 초연의 낯선 사랍에게 하오체블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자식아 부모에게 하R쩨률 사용하커 하혔다 이와장은 &힘이 오윷날은 꼈투 해 JI..쐐 7} 탕망하는 으호 보아서 하오체와 하게체의 쇠헥는 해요체와 해체의 번성과 일섭한 관계가 있다 j 볼 수 혔다. 11) 성기첼(1 980 ), 민현식(1 984 ), 신창순 (984).둥 모두 개화기 국어률 다루면서 해요체는 정어뱅씩 동급호 셜정히딴서도 하소서체는 정어영씌 퉁급*장 껄청하지 않았
81 2.2. 1. 샤희 신분 2.2. 1.1. 둥장 인물의 신분 신소설에 퉁장하는 인물들의 사회적인 지위를 살펴보변 다음과 같다. 승자 참봉, 참서, 참판, 생원, 참위. 동지, 침모, 유모, 첨지, 별감, 순사, 하인, 하녀.들이 등 장한다. 조선시대는 양반, 중인, 常 Å. 천민의 4계충이었는데 신소셜에 동장하는 주 인공틀은 ;싹 i갚 쌍딴룹 충 쌍씬들과 그러고 천민에 다. 즉 중힌짜 나타나는 동 양반융 상위 껴}짧았고 동지, 침모, 유모, 참위, 인과 상인융 풍간 쩨짱R 포 호웠2. 하인, 하녀 틀을 하위 의 동장인융들씌 써1 충 잉 사회적인 지위들이 현대 사회와는 다르긴 %선 시대와 가깔다는 것을 얼 수 싫마. 01 렇게 사회제도가 오늘날과 다흑자 i애눈에 약 사해씌 경 어법 사용도 현대와는 많은 차이가 았고 오히려 조선 시대와 가까우리라는 것을 예측 힐 수 있게 해 준다. 위와 같이 사회 전붓에 따라 각 계충으로 나뷔어지는대 각 계총과 계총 간의 경어 법 사용에 대해서 혀강기로 하겠다. 2.2. 상 꺼l 종짜 종간 계충 간 계충 간의 경어 사용이 푸렷한 귀의성 상을 모델로 계총 간의 경어 사용을 살펴 보기로 하겠다. 상위 계충에 속하는 김송지나 킴숭지 부인이 중간 계충에 속하는 침모나 유모에게 사용하는 대화를 살펴보면 다옴과 같다. (6) 자네 눈우숨만 후여도 사람 여렷 굿칠률 알앗내. (귀의생 상 21) (김총지 하는 대화이다. ) (7) 자네? 써익 갓다 노앗나?(귀의생 (김승 매화이다. ) 이상과 같이 상위 계충이 충깐 계충에게 하게체를 목단화>.흉화 상 하밴앙설 에서도 확인이 되었야 ι 에게 사용하는 졌어업슐 실펴요노록 하겠다. <귀의성 상애서 계층
갑오경장기의 문법 83 2. 2. 1. 3. 상위 계충과 하위 계충 간 귀의생 상에서 상위 계충인 김숭지와 김승지 부인이 하위 계충인 점순에게 사용 하는 경어법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12) 이?l 점순아 내 어 "1 가지말고 안 l 밥상 이리?저 요너라. (귀의성 상 63) (김숭지가 점순에게 하는 대화이다. ) (1 3) 네가 칩모의 집에 갓슬 찌에 정녕 춘천집이 업더냐?(귀의성 상 62) (김승지 부인이 점순에게 하는 대화이다 ) 이상과 같이 상위 계충이 하위 계충에게 해라체를 사용하고 있다 위 계층에게 사용하는 경어법을 살며보기로 하겠다. 하위 계충이 상 (1 4) 사랑에 손넘 오섯슴니다(귀의성 상 7이 (점순이 검숭지에게 하는 대화이다. ) (1 5) 인물은 엇지 그러 어엽뿐지오(귀의성 상 89) (점순이 김승지 부인에게 하는 대화이다. ) (16) 턱에는 못 올 데이오닛가?(귀의성 상 51) (점순이 상위 계충인 박참봉어l 게 하는 대화이다. ) 이상과 같이 하위 계충이 상위 계층에게는 주로 합쇼체를 사용하고 (1 5), (1 6) 와 같이 해요체와 하소서체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위 계층과 하위 계충 사이의 경어법의 전형적인 모델은 다읍과 같다. 표 3)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의 천형적인 경어법 모형 상 워 계 충 합쇼체 (해요체. 하소서체) I 해라체 하 위 계 충 그러나 [연령 l 이라는 자질이 관여를 하면 경어법의 둥급이 달라진다. 같은 하녀라 도 나이가 든 하녀에게는 해라체를 사용하지 않고 한 퉁급 높은 하게체를 사용하는
갑오경장기의 문법 85 상위 계층과 하위 계충 간의 경어법 사용에 있어서 성별이 관여척인 예를 볼 수가 있다. 해요체는 본래 어린이나 부녀자들이 즐겨 쓰는 말써였는데(고영근 1974: 83), 1950년대룰 전후해서 남녀노소률 막론하고 모든 계충의 사람들의 말씨로서 퍼지게 되 었다(서정수 1984:75) 고 보는데 이 당시의 남자 하인보다는 여자 하녀틀이 해요체를 많이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남자 하인들은 거의 다 주로 합쇼체를 사용하고 있 는데 비해서 여자 하녀들은 합쇼체를 더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 해요체를 더 많이 사 용하기도 하였다. 즉 합쇼체를 더 많이 사용하먼지 해요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은 수의적이다. 흉도화 하에서는 상위 계총인 심과장 모와 남자 하인인 옥돌과의 대화에서 옥돌 은 합쇼체만을 사용하였다. 심과장 모와 여자 하녀인 룡네와의 대화에서는 룡네가 합 쇼체 (4 0%), 해요체 (60%)를 사용하고 있다, <목단화 에서도 상위 계충인 정숙과 여자 하녀인 금년과의 대화를 살펴보면, 금년이 정숙에게 합쇼체 (38%), 해요체 (62%)를 사 용하고 있다. 그러나 정숙과 남자 하인인 작은돌과의 대화를 보면 작은돌이 합쇼체 (67% ), 해요체 (3앓)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의 사실을 대화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2이 령감마넘게셔 지금 곳 들어오신다구휠셔오(목단화 249) (하녀인 금년이 정숙에게 하는 대화이다, ) (21) 주근아써섹 학쿄에서 챙첩이 핫습니다(목단화 297) (하인인 작은롤이 정숙에게 하는 대화이다, ) 여자 하녀가 해요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예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럼 1 ) 여자 하녀가 해요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예 l 상위 계충(정숙) I 상우l 계충(정숙) I ^ ^ 해요체 (62%) I 해요쩨 (3앓)',' I (하게체) 합쇼체 (38%) I " 해라체 해요체 (37%) I V (하게체) 여자 하녀(금년) I 남자 하인(작은롤) I 이상의 사실을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86 척114 호( 94 년 겨옳) 표 5) 상위 계충과 하위 계충익 대화에서 생별이 관여척일 정우 상위 계충 합쇼쩨 A j 해요체 16) I v 해 라체 하위 계충 B [여자] 상위 사용이 성1 관여적이고 하위 계충 QI 해요쩌l 의 법을 하위 계총간 쩨충인 침모, 유모가 하위 사용하는 경어 (22) 녁가 추네 목소리를 듯고 흉천마마를 숨것네(궈의생 상 34) (침모가 첨순에게 하는 대화이다. ) (23) 1;-눈,2.'맞헬지하도 마넘게 하직하고 가깃네(퀴의생 섯 97) 유보 집쪼에게 하는 대화이다. ) 이와 샅야 종갔 껴l 짱 01 책쩨 계충에게 하게체를 사짱빼요 있다 ι 획위 껴]충이 종간 계충에게 사용하는 경어법융 살펴보기 위하여 하녀인 첨순이 칩모. 유모에게 사용하 는 경에법을 살펴보도룩 하겠다. (24) 우익 사롬을 그러 몹시 보시오?(귀의생 상 33) (점순이 침모에게 하는 대화이다. ) (25) 이 펙에 잇셔 무엇 하시깃소?(퀴의성 상 97) ( 정순이 유았에게 하는 대화이다. ) (26) 얘 녔제셔 그렛쩌단이 하실리가 업셔요. (귀외생 상 대화이다. ) (24). 중간 계층에게 주로 나 (26) 과 16) (률 하지 않고 툴 다 그대로 표기한 것은 톡갈이 많이 사용원다는 못이다.
88 새국어생활 제 4 권 제 4 호( 94 년 겨울) 품은 귀의성 상이다. <귀의성 상에서는 상위 계층인 김승지와 김송지 부인이 나오 고, 중간 계충인 강동지와 강동지 부인이 나오며, 하위 계충인 작은롤과 점순이 나온 다. 이 상의 세 계충의 부부 사이의 정어볍 사용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2.3. 1. 상위 계충의 부부지간 상위 계층인 김승지와 김승지 부인의 대화를 살펴보면 다읍과 같다. (28) 여보 원 펙거를 그리 *오(귀의성 상 25) (김승지가 부인에게 하는 대화이다.) (29) 명감 어셔 칩모 다리고 게동으로 가시오(귀의생 상 28) ( 김승지 부인이 김송지에게 하는 대화이다. ) 이상과 같이 김승지와 김송지 부인이 서로 주로 하오체를 사용하고 있다 김승지와 김승지 부인이 서로 사용한 경어법의 백분율을 보면 다읍과 같다. 김숭지는 부인에게 하오체 (47%). 해체 (37% ), 하게체(12%), 합쇼체 (4~) 를 사용하고 있다. 주로 하오체를 사용하고 해체도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오체와 해체률 합하면 84%로 거의 대 부분이다. 김승지 부인 ð] 김송지에게 사용한 정어법을 살펴보면 하오체 (62%), 해체 (2없), 하게체(8%), 해요체 (4%)를 사용하고 있다. 하오체와 해채률 합하면 股 로 거 의 대부분이다. 그 당시의 상위 계충(양반계충)의 부부 사이에서는 남면과 아내가 거 의 통퉁한 입장에셔 대화를 하였다. 이와 갈은 사실은 빈상셜>. <추월색>. <육호기 연 에서도 입층이 되고 있다. 그것을 표로 보이면 다읍과 같다. 표 8) 상위 계층( 양반 계충)의 부부 간의 정어 사용 하오체 남 면 1< >1 아 내 하오쩨 2.3.2. 충간 계충의 부부지 간 충간 계층 즉 중인인 강동지와 강동지 부인의 대화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0) 우익 무슨 걱챙잇누(귀의성 상 3)
의 문법 (강동지가 부인에게 하는 대화이다, ) (31) 여보 좀 가마니 잇소(귀의성 상 3) (강동지 부었이 상항지에게 하는 강농지는 부인에제 ε 하게체를 사용썼고 우얀은 강동지에써 주 하오체를 했다. 강통지와 부인이 서로 사용한 경어법의 백분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동 지는 부인에케 하게채 (76%), 해체 (24%) 률 사용하였다 하게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에오체 (6 9%), 하체체 (7%), 해체 하오체룹 가장 땅이 사용하였 π I야읍으로 즉 중간 껴)뽕인 부부 사이에서는 냈팬은 아내에쩨 주호 "Õ~게체률 였고 아내는 남변에게 주로 하오체률 샤용하는 차둥이 있었다. 상위 계충과 중간 계 충에서는 부부 양자가 모두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정어법이 해쩨(반말체)인 것이 공통되는 특정이다. 이와 같운 사실을 표로 보이변 다음과 같다. 9) 중간 계종씩 간씌 정어사용 하께체 <---썼썼; 난느ι.~ 하오채 3.3.3. 하워 계충의 부부지 간 가장 낮은 계충 즉 하인인 작은돌과 그의 아내인 점순과의 대화를 살펴보면 다옴 이익 그것첩 숙 λl 염싼 소리를 우단 대l 의생 생 ( 작은률이 아내인 점순에게 하는 대화이다, ) (33) 우인 인제 횟소 (퀴의성 상 82) (접순이 남벨힌 작싼톨에게 하는 때화이따 ) 작은롤에께 하오셰( 5()%)률 가항 않아 사용하였고 하재써뼈, 해채(1 7%) 5: 사용하였다. 남변인 작은톨은 아내에게 해라체 (69%)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해체 (26%), 하게체(5%)도 사용하였다. 하충 계급의 부부 사이의 대화에서는 양반 계충과 큰 차이가 있었다. 아내는 남연에게 주로 하오체률 사용했으나 그 다음으로 하게체률
90 새국어생활 제 4 핀 제 4 호( 94 년 겨울) 사용했다. 즉 하게체의 사용 비율이 하충 계급으로 내려올수록 많아진다. 또한 남연 이 아내에게 주로 해라체를 사용한 점이다. 즉 상충 계급 사이에서는 부부 사이가 명 둥한 관계에서 중간 계충, 하충으로 내려올수록 부부 사이에서 남편이 아내를 낮추려 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은 사실을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표 10> 하위 계충의 부부 간의 경어 사용 남 연 해라체 > <----- 아 내 하오체 3. 조 사 곡용변에서의 특정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그 체계나 용법이 거의 현대국어에 접근 해 있었다는 것이다. 3.1 주격 조사 주격 초사로는 오늘날과 같이 체언말음이 자음이면 이 가, 모음이면 가 가 쓰였 다. (34) 7, 녁가 령감압헤셔 근슈누마시고 (귀의성 7) 1.. 이 신문 보기가 쉽고 (독립신문 1) 1: 우리 학상들이 이일을 쥬야 성각후야 (유년필톡 2-16) i!, 거괴 익성들이 자쥬 독넙후랴고 (독립신문 1 ) 가 는 16세기 말엽에 처음 나타나 17세기를 거쳐 18세기에는 매우 빈번하게 쓰였 던 것이다, 16'7세기에 나타나는 가 는 체언말음이 i 인 경우에 한정되었으나 18세 기에는 i 이외의 모음 아래서도 나타나기 시작해 오늘날과 같은 환정에서 쓰이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가 가 i 모읍 아래에서 쓰였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가 는 격조사가 아니라 챔사 (parti cj e) 였읍을 뜻하는 것이 되는데, 이 첨사 가 가 뒤에 격 조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 것이다 17)
장기 그러나 교과서나 신문에서는 체언말읍이 모옵으로 끝나도 이 나 l 가 좌이는 경 우가 있다 추로 한자어 아껴 쓰였다 (35) 7. 保 훌 l 션일원슈룰싱각지아니 후고(유년필독 2-10) \.. 무삼 ;용 慮!엣!::리오(유년휠톡 2-9) [ 뼈 l 엇지언질기려있유년필쪽 2-36) 초동여학폭본 에서는 한자로 표기되지 않은 남녀. 켠 부모 녀~. 동의 주격 조사로 1 가 쓰였다 (36) 7. 남녀 l 여섯살의슈와방위일홈을가르치고(초동 4) \.. 부모 l 병환이게시거든(초퉁 23) 나라, 되었다. 와 같이 종서l 국어에서 종성처l 언이던 이 주격 았λ}가 사용 (37) 7 니라이 망*갔 (유년필혹 \.. 바다이 삼운 일에 지나지 붓?고 (판성주보 1-16) 그러나 산소설 자료혜셔샀 완전히 호쓸않과 장은 추격 쪼λf!?~ 쓰임이 었였다. 존칭의 츄격 조사로는 찌오셔, ι 씩셔, 깨셔, 제 서 동으효 사용되었는터l 주로 교과서와 신문에 나타났다. 게셔 는 신소셜에도 나타난다 (38) 7 世 폈 大 王 게셔 L 爽 뼈게옵서 4 口 은 戶 홉쩨홈웰 A홉 식이사(선챙셨상소학 C. 셰종섹셔 포 훈민정음을 지으사 (유년필독 3-13) t!, 한양은 아 태긋ï'.황예섹 k셔 x.읍흩샌 곳이라 (유연필독 3-1) U 썽,'t~섹셔 야니 계셔도( 닙 낭 ~l 게셔 우 ξ 유로 이~ 7f실 찍에 {혈의루 30) 1'1) 흉융표(1 980: 243-246)
92 제 4 호( 94 년 겨울) 게옵서 류는 존재의 존챙 몽사 계시-, 겨오시- 의 활용형인데 오늘날 문어체 형 식인 께옵서 로 이어져 있다 섹셔 는 존칭의 여격표시 섹 에 후치사 셔 가 결합 한 것인데 현대국어의 존칭 주격표시의 께서 는 이 형태의 계승행이다. 3.2 여격 조사 ;착한다고 할 수 있는 여격쥔 ), 거겨 및 손만 와의 /의 À 과 그에/게 와씩 결합형은 존청의 어격이 그밖에 F 러다 (짧써 초사 익/의, 쓸서l 국어에서 가 이때 ~1!의 와의 전자는 에 여격표시의 산소실어l 서는 주로 의게 로 나타남아:L해함필독 과 유길 준이 지은 노동야학독본 에서는 현대와 같이 에게 로 쓰였다. <혈의루 에서는 의 게 만 나타나나. <귀의성)(상)에서는 주로 의게 가 쓰였으나.에게 의 예도 조금 보 인다. (39) 갈오덕 (유년필독 1-20) 효도흠이며(노동야학쩍폰 'c 밴에 잇던 사람의게 구원흔거시 되앗더라 (혈의루 21) è. 만만흔 계집까식의게 휠고 슐만 츄l 후여도 쥬챙은 계집7!-식에게 창고 (귀 의성 상 10) 존칭의 여격인 씌 도 샤용되었으며 다려 와 혼테 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세국 어에서 사용되먼 익/의 손딘 형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40) 후야 칼오되 (유년필독 ) 칼오단 (유년필독 1-24) 불경흔 말을 후는 고로 테 와셔 말후되 (선정상
장기씌 운볍 3.3. 대격 조사 개화기 찍어의 대격 죠사는 자읍아래셔는 대써l로 을 이, 묘음 아태에서능 홀 를 이 쓰였다. 룰 과 를 의 쓰임은 모음조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문헌의 성척에 의해서였다 즉 신문이나 신소설과 초둥여학톡본 이나 몽학필독 이나 노동야학독 환 둥과 장용 교과서에서는 를 이 쓰였고유년필독 착 값온 교과서와 생정류에서 눈 룰 이 쏘없는데,로 01 루어 보영 줍 효 걱고척인 표고 현성쩍셨효는 훌 로 발음되었먼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개화기 국어의 대격 조사는 실제로는 오늘낳 파 같은 윷 룻 체계라2. 힘 수 있다 (41) 7. 이에 두사둡이 크게 철거워 술을 마시더니 (유년월독 2-11 ) 1.- 우리대한냐라룰 융흉슐융시다 {유년필톡 2-16) [ 쌓랴거든 므릅쓰갖,ε동야학독본 E 창동지를 그 양읍 그 상얀의게 ( 상상 D 우리가 독넙신문을 오날 처읍으로 출판캉는약---우리 쥬의를 미리 말송# 여 (독립신문 1) 개화 71 쪽에에서 대껴쪽λ} 율 칠 섣 여척썩 쓰임 ι ), 具 빼쩍 쏘임 (43) 씩 기능도 일부 겸하고 있었던 것 같다. 다읍의 예률이 그것율 말해 준다. (42) 7 노인이 그 방측 듯고 홉 色 씨 ìf 面 양샤 그 縣 틀? 第 三 조룰 싹녀 (국민소 학톡본 12) 1.- 혼 老 구! 뼈 刀 룰 제 얀담룰 츄고 (국민소학독본 53) (43) 推 I훌*야 範 題 훌 젠 아얀스룰 승으셔(국민소핵 륙히 대척 초사가 구격적으로 쓰일 수 있었읍은 을 因 캉야 형식이 개화기 국어 에서 생산척띤 절차였나짝 챙에서도 (44) 7. 바팎음 因 융야 振 動 후야 화우 일정혼 距 훌로 住 來 휠거늘 (국민소학독본 13) 1.-, 春 훌 秋 4용이 안효뭘호얀 창난지i!.}(선정심상소학
94 새국어쩡빵 ;셰114 핀 94 년 겨울) 3. 4. 속격 조사 중세양어의 쩍책 조사는 선행 쇄언이 유정물 쳐청퍼 명칭일 갱쭈에는 속격 익/의 가 결합하고, 무정물 지칭이나 유정물 지칭의 존칭 체언이면 속격 조사 A 이 결합한다. 그러나 개화기에는 그러한 구별이 없어지고 의 만이 쓰였다..7. 아 객한아 곳 디구상와 장국 사 될지라 년집독 3-59) L 옥년의 눈에는 모다 쳐읍 보는 것이라(혈의루 37) 처격 증세 국어에서 처격을 나타내는 격조사는 애, 에,예, 악, 의 가 있었다. 개화기 에서는 ι 에, 의 사용되었다 (46) 7. 시골구석에 사는 상년이라도 (위의성 상 14) L 7] 생 따에 만이 심우고 (유년펠독 3-37).~할찍 잇는 아람다온 댁이하 (초동여 앉 무훗 셔주 l 본접어] 잉슬척씩 넓피 일융 (초퉁역찍휴본 13) 4 에미 빗 통사 4. 1. 근대국어의 종결법에서는 명서법 종결 어미의 경우 -더라이라 -노라 니라 처럼 -라 체로 특정지워짐이 중세와 마찬가지였고 접속법도 한야... 창고... 후니 창며... 장니 처럽 창상의 반혐셰를 보없이 충세와 전엿 짱웬하였다 씨러한 중세, 좌 ν쐐 전통쩍인 종결렇으로서 구형있 -라 체확 했연체 어 D] 회 성속 법은 개화기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조급씩 변화를 보여서 신소설이나 소년( 少 年 )지 ( 誌 ) 퉁의 신문학웃통지의 산문체에서 선형인 -( 1.. /논)다, -(앗/엣)다 와 갇은 - 다 처 변화가 냐타나며, 만었체의 첩속법 대신 갔챙체의 접속없이 늘어나 길약자 짧아지기 사잠싼다 원래 신형인 -(1.. /는)다, -(앗/엇)다 체는 상위문의 종결법으로 정착되기 이천에 중새망부터 내~빨혀1 새 나타나기 시작하써(김완진 1975:8), 근대짝에에 와서딴 :;7.소
강오경창기의 문변 95 설이나 판소리 동 문학언어의 구어체에서 종결법으로 자리잡아 가번 것이다. 그런데, 개화기밤에 이므려새는 산갔샘의 지뭇이냐 년( 少 쇼} 1 청춘(뽑흉)', 학치팡(뿔 之 光 ) 뚱의 신 ti 함 잡지위 논설문체와 ~은 풍어체에서 나타나게 된 것야민현 식 1994). (47) 7. 침모는 상캉셔률 만누더니 김승지 압흘 피 후야 유모뒤에 가섯다 (귀의생 상 24) 언책우에 사룹이 쪼 소리 룹 져른다(옐의루 t: 올커니 탑 그럴 풋하다. 고마운 말삼 만히 드렷다. 감사하다. 나도 上 級 이 했 l 런 01 흉 다 배셋구소년 난다 그러나 산소생의 지문에서븐 아직도 -더라 뭇 끝나븐 종결 어미가 훨씬 했이 나타 4. 한연, 흉째, 근대씩 전통 산잘씨 장야, 후 흥니, 장며, 후고, 장 μl 처 렴 tl"입앓이 긴 영쉴 어미와 암복을 보역주는 섯처럼 찌확기 산문 전반적우훌는 만 연체의 장문 구조를 보여준다. 특히 다음 7,1.. 과 같은 -니 의 반북척 출현은 현대 문과놓 분명 다혼 구조로 용 E 에 쩌}시 싼 중써문의 습:4 같다 (4빔 7. 영씨화_"J. 교추화 차도들이 야등 이흔날 황갚문 맛각묻 하류를 켓야니 (a) 오틴 함.;;L 속에셔 양부후 I샤자 종흔 앨괴에 경쳐 죠흔악 셔 붉응 용기를 마시고 장부에 운동을 힐는거슨 진실로 맛당혼 일이나 (b) 다만 P 옴과 지 각만 업양훌게 아니라 죠선 사룹들이 봄 빅앙 i 노 것도 약우 쇼흉혼 일이 t..]{c) 융 엔 l 양후는 "'1 는 붉을 공괴에 운동후는게 떼일이요 목욕을 자죠후 야 봉플 정 후게 휠눈거시 떼엘이라(독립신문!괜 13, 잔받). 하효 k 그 사회 침웬일이 부슨 회,)(1 집에 양셔 란리 격띤말도 창따 외국 으로 공부하러 가고후 하는 목격을 발휠니 (a) 최씨가 학비룰 쥬어셔 외국 에?찌 하고 최써노 그 옳 ι} 외쓴!~의 성사룹 자세히 앨고주 창야 명양 에 횟더니 (b) :::J.. 쏠 1 "'1 용상 물에 빼저 *로 벽성에 그 휘 Æ률 쓴 것율 보니 (c) ---(혈의루 25) 중세 이래 개화기까지 지숙된 만연체 어미 체계에세 라 로 맺어지면 분명한 문장
새국어 생환 저원 져114 호( 의 끊어침이 느껴져 종철 어미로 보지만 니 로 끝난 정우는 비종결 어미, 축 연컬 어미로 보아왔다. 이는 현대의 -니 가 설명(-니1)이나 이유(-니 2) 의 첼율 인도하는 어미인 정에서 당셀하게 본 때징씨다. 그러나 이툴 천쩡썩 산문채에셔 의미를 보어쑤는 -니 2 률 쩨외하꼬 생엉 의 니 1 것들이 껴}속 빈번짜 이어져 냉 경쑤는 중세객 푼정 꾸~상 연컬어효 문장 호홉이 어색하고 너무 길어져 과연 우리 조상률이 이툴 니 l 율 연결 어미, 측 문장이 미완성된 비종결 어미 단위로 인식했겠는지 의심이 든다. 오히려 이 셜명 의 -니 l 은 어느 첫도 -라 에 준하는 풋간쩌, 잠정적 문창 총켰 단위, 육 준종컬 써비 보았울 것 었 여져선다. 실상 이 뜻하는 설명 l 야한 것도 잠정적 문맥으로 활 수 있기에 서술 종췄 어 보아도 별 없다 18) 따라서 조상들은 글을 운장보다는 문장이 모인 단략이나 이야기 (텍스트) 단위로 파악하여 라 률 문장보다 큰 단위인 단략이나 이야기 단위의 종결 어미로 파악하고 -니 l 을 그보다 작은 문장 종결 어미로 따악했을 것으로 볼 수 았다. 콜 쩌 각별 아라 오라 定 후야 펴 耶 뼈 l 훌갱 1 용 I 그 괴별 드갔서 뿔 農 훌 더브헌 훌 우회 오딛시 톨 흩 ζ{ 우아 잠겨 헛더시니 κ) a 連 이 耶 fjλ 훌의 가보니 (d) 門 훌 아 ~~고 유무 드옳 사룹도 업거늘 즉자히 神 훌 力 으로 훌 우회 耶 홉A 알 ~1 가 셔니 (e) ---(석보상절 6:1, 2) 누라 율아 ~1 글은 이들율모쭈 야률율모두 -니 2 로 에색한데서 18) 이현희(1 994:63)에서 중세 국어의 연철 어미 -으니 를 [전재]의 으니 와 [밸견]의 -으니 로 나누었는대 [전저~ 1 의 -으니 셋뺑문의 상황을 셋째로 하고 후앵문에서 생 황이 천개회어 나가는 것율 표현하는떼 &아는 것으로 의미얀학을 씬드는 역힐도 모 E 사딛 01 버륙 웹i~l 마룰 드혀없 빼 l 디 아니룻 용야 디 &미 1 ~I!IJ 곤* 룰 11m 휠야 싫워 :tlll 북 을 at 촬 떠쳐 홉 공던브.:1.엇 어 지 利 天 에 겨 석 21: 200) 법화경언해 에서는 品 전체에 대한 계환의 해률 언해하면서 그 글의 마지막 운장올 종 결 어미로 률내지 않고 항상 연결 어미 -으니로 룰낸다 는 기능이 있음율 단객으로 보이는 사실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점도 -으니가 의미단락을 짓
97 러난다. 반면 -니 l 들을 -라 에 가까운 준종결 어미로 보면 문맥 분철이 가능하고 글이 분절화되어 논리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중세. 근대의 어미 니 를 준종결의 니 1 과 연결(접숙)의 -니 2 가 있었던 것으로 본다(민헌삭 1994). 4.3. 인용법의 경우 현대 국어는 주어+(인용문)+라고+모문통사 의 구조로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중세에는 (49) 比 주어 + 용 회톨히 당다이 부터11 <;: 문> + 인용대동사 와 같은 구쏘보 원 것이 쳐총 α1 며 인용 조사(인용보문소)가 로는 인용 째쌍사가 생략핵껴 한다(고영근 1987:316). 싼대에 5 이렌 구조는 유지 되는데 대신 임용 초사호 알려진 (하)고 가 인용문 과 대훌사 1 흥r:t 사이에 개입 되어 주어 + 모문동사 + <인용문)(라)고 + 후다 의 구조로 되는 것은 개화기의 독립 신문에서나 확인되는 것으로 보고될 만큼 훨씬 뒤의 일이다(김형철 1991 ). (50) 7. 갔생사창뚫이 외씌 사콤 ~1 첩후는 거슬 성각컸찌 R떤 붓려운 디 $이 스 독립신문 l 핀 94호 잡보) l.. 아멀어.:2:.쩍샅 앗고 인명 수효만로 세견을 껴 ξ 다.:;].확업심한 l 권 94호 잡보) 'C. 쥬인을 찰 차자 주라고 후엿다더라(톡럽신문 I 핀 93 잡보) 4.4. 그밖에 어미 거드면 은 독립신문에서 잘 쓰였다. 이는 -è 것 같으면 의 축약 형태로 보인다. (51) 7. 자거드면 첫선는 밤에 "d문 l L 봇되 이 l 권 11 논셜) 덕답을 후자거 E띤 콧칠
98 새 제H 호( 94 년 겨울) 5. 결 론 개화기의 상대경어법을 신소설을 자료로분석한 결과, 체가 보연적으로 많이 사용된 경어볍이었다 해요체가 박 사용되기 시작한 시기임을 확인하였다. 그 당시에는 하오체와 하게 하소서체가 없어지는 마지박 단계이며 또한 갱어법이 사회언어학적인 특성이 강한 것으로서 사회신분 ) 친족!.연령 성별 부부지간 I 둥에 의해서 사용되눈 영어법의 등옳어 닿라지는 것을 살펴 보았다 시져l 법이 개;호{거 의 파악이 한 변화를 들 수 자료가 그 이전 시기쩌 체에서 용사구조상의 그 전모 신문학 자요,.li!.과서 자료, 종교 자료 학술 자료 승 영엌과 성적이 다양하고 변 저자도 국내외 인물에 걸쳐 있어 복잡하다 고찰이 필요하다. 앞으로 그러한 모든 자료에 대한 변밀한 참 고 문 헌 강규선(1 989 ), 20세기 초기 국어의 경어법연구, 박사학위논문(생균관대). 강윤호(1 975 ),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 교육출만사 고영근(1 973 ),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어학연구 9-2. --(1987), 표준 중세 국어문법, 탑출판사. --(1974),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0-2. 김두헨(1 969 ), 한국가쭉제도연구 서울대출판부. 김종훈 원), 국어썽어볍 연구, 집문당. 김형철(서 I 발엽켜 국어에 대하여 어문눈집 --야 세기 국어문체의 한 양상(1 )", 소탕 -( 싼성쑤보에 cß 한 국어학적 고찰 문체, 구문, 어휘의 인용문 표현 연구, 의 경어법에 대하여 관암에솥엉-t- 9, 서슬대놔문과,
갑오끼성장기상 문법 --(1 994유인물), 개화기 국어의 제 문쩨 한글날 기념 국어국문학 학회 연합획 학술회의 발표논문. λ 쩡수(1 980 ), 존대띨은 이영게 달라지 J 있는 7}?(2)", 한급 --(1984), 존대업씩 혐구, 한신문화사 4 기챙(1 980 ), 개회꺼 뿜써짜 화껴11", 서윷 산엉대 논문집 4. 신창순(1 984 ), 국어문법연구, 박영사. 안영희 외(1 99이,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한석(1 986 ), "국어 뺑자 존대어 체계찌 기윷윷 위한 방볍론객 캠토 어학연구 22-3. α1 정유(1 9907 ), 최균세 용써에 나타난 썽씩생 연구, 박사학휘논훌(이화여대). --(1990\... ), 최근세츄어 경어법의 샤회언어학적 연구 애산학보 10, 애산학회. --(19947 ), 최근세국어 정어법의 사회언어학척 연구 (2)", 이화어문논집 13, 이 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I994\... ), "사회신훈에 따른 문체, ---(19941:: ), 썩앉쇄국어 정어법의 사회씬어학적 연구 (3), 얘산학보 16, 애신핵 훼. 아지않야 970), 개획기 1972), 국어사 (1 982 ), 국어위 씩문업에 대한 통사적 염구, 국어연구 --(1994), 중서l국어 구문연구, 신구문화사. 임재수(1 982), 20세기초기 국어의 경어법체계에 대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_!e.무 (1977), 17세기 댁f써씩 종결 어미 연꾸, 서짧대 대학원 (1 965 ), 한국암여 사회쩍 생격, 흉울표(1 98이, 근대국어의 척연구(1)주격 일산 김준영 선생 화갑기념 논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