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정보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23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 생각해야 한다는 제안이 일어나게 되었다. 예를 들면 貫 井 正 之 씨는 豊 臣 秀 吉 의 대외적 인 정복의도 전반을 검토하고 책 이름에 海 外 侵 略 이라는 문구를 채택했으며( 豊 臣 政 権 의 海 外 侵 略 과 朝 鮮 義 兵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C3CAC1A DC1DFB1B92E687770>

<4D F736F F D D 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3429BFC0C1F8BCAE2E687770>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見 積 書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jc0inb001a.HWP

8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다. 2) 김종필 오히라 합의에 이르는 청구권 문제의 해결에 관해서는, 한국 측이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한국 측의 요구에 근접한 금액을 일본 정부가 경제 협력 으로서 무상, 유상(정부 차관)의 방식으로 공여하는, 일본 정부가

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초대의 글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회원여러분 그간 안녕하셨습니까?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오면서 으스스 추위를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재직 중인 회원님들께서는 입시철의 업무와 강요받는 대학 변화의 회오리 속에서, 신진 회원님들께서는 우리 학계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연구에 박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92E687770>

hwp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62E687770>

untitled

<3630C1FD28BCF6C1A4292E687770>

sme_beta[1](류상윤).hwp

토픽 31호( ).hwp

<C0A7B7C9B0F82E687770>


박광현발표.hwp

서강건치.hwp

DBPIA-NURIMEDIA

<B1E8C5C2B0EF5FC0CFBABB E687770>

50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 사회의 변화, 5) 豊 臣 정권의 전략적 사고에 관한 연구, 그리고 마지막으로 6)동아시아 국 제질서, 특히 책봉체재 에 관한 재검토를 든다. 물론 이 순서가 과제로서의 순서를 의미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일본 측 위원의

Microsoft Word - km doc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Microsoft Word - BRHCCMLSDNIQ.doc

7th-(인하-월례-김영건,윤대영).hwp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고려대학교 BK21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 소식 1. 인사말씀 단장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BK21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이 5차년도 사업을 마 치게 되었습니다.올해도 본 사업단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주신 참여교 수님과 신진연구교수,그리고 대학원생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아울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¾ÕµÚ

untitled

<C1F6BDC4C0E7BBEABFACB1B85F BCF6C1A42E687770>

JCAK 09

빈면

DBPIA-NURIMEDIA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313620BFE4BDC3C4ABBFCD20BEC6BEDFC4DA2E687770>

PARK Yunjae : A Study on the Anti-smallpox Policy of Joseon Government-General 하다 고 평가했다. 3) 우두는 인류에게 글자 그대로 축복이었다. 그러나 우두법이 전세계로 확산되던 19세기는 제국주의의 시대이

< FBBF5B1B9BEEEBBFDC8B028BABDC8A3295FC3D6C1BEBABB2E687770>

DBPIA-NURIMEDIA


jichi12_kr

1

전체.indb

DBPIA-NURIMEDIA

편집완료

目 次 1. 國 家 體 制 2. 確 認 事 項 3. 檀 君 ( 高 離 國 )의 고대사와 중세사 4. 檀 君 (코리아)와 씨족사 5. 檀 君 (코리아)와 李 氏 (대한)의 이념과 헌법 차이점 6. 국제연합결의문을 통해 본 國 家 호칭과 心 體 制 명칭 7. 선거와 국가호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3035B1E8BFECC7FC2E687770>

<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39-0 머리말외.indd

untitled

<C1F6C7A5C1B6BBE7BAB8B0EDBCAD3134C1FD2E687770>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역대국회의원_PDF변환용.hwp

Ⅰ. 중국 고급 냉장고 1) 시장의 성장 년 중국 가전하향( 家 電 下 鄕 ) 정책에 힘입어 보급형 냉장고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동시에 고급 냉장고 시장도 빠르게 성장 - 시장 선점을 위해 (, )은 고급 냉장고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 중이고, (, )는 2

<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4D F736F F D20B1E2C1B6B0ADBFACB9AE28B1B9B9AE29>

<302DC7D1B1B9B5B6B8B3BFEEB5BFBBE734302E687770>

September 1st (Thu) 5th (Mon) ~ 7th(Wed) 19th (Mon) 20th (Tue) ~ 22th (Thu) Fall Semester Begins Add/Drop Courses Finalize Fall Semester Attendance Sh

70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3) 의 수준에 이를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비 롯한 국학연구 기관들과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 는 조선시대 역서들의 숫자들을 모두 합하더라도 불과 수백 책의 수준을 넘

무부에서는 인증서 보유자로 하여금 리콜을 해야 하는지를 분석할 것입니다. ITA Comment: 법령 제252호는 인가된 시험소의 정의 및 절차에 관한 내용이며 시험 요구사항은 변 경되지 않았습니다. 추후 상세 내용 확정 시 입수하여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2. 니제르,

<31352D322D3620B9DABCADBEE728C3D6C1BE292E687770>

제141호 2005년 4월 1일(금) 學 術 院 소식 3월 임원회 개최 사위원회는 학술원 회원과 교수 등 관련 3월 임원회가 3월 4일(금) 오후 2시 학술 분야 전문가로 구성하여 4월 11일(월) 오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 전원이 참석한 후 2시에 제1차 심사위

<30332DBCDBC1F6BEC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4D F736F F D D325F924591DE88EA8E9E8BE090BF8B818F AD88D918CEA816A>

cls49-04(이기훈).hwp

1930년대 조선형특수회사 조선압록강수전(주)의 연구( 경제사학회 발표논문).hwp

주 요 행 사 일 시 임시총회 및 부회 (금), 14:00 학술세미나 5. 11(금), 10:00 學 術 院 소식 임원회 개최 11월 임원회가 11월 3일(금) 오후2시 학술 원 중회의실에서 임원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이번 임원회에서는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醫藥分業 實施에 따른 院外 電子處方傳達시스템 構築 方案

Transcription: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김지연 Kim, Ji-Yeon. 2012. Seen the establishment of the "Daitouryou" of sino-japanese acceptance of the word. Language I nformation. Volume 15. 35-52. Korea having accepted western civilization from Japan and China largely tended to accept and use the existing translated words rather than producing new words after translating them. The word " 大 統 領 ーDaitouryou" does not appear in Chinese literatures, but appear in Japanese literature. But if you think that the word was created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統 領 ーTouryou', you can not deny the effect from China. But the word " 大 統 領 ーDaitouryou" is new word originated from Japanese. It was 1881 when Lee Ho-nyeong came in contact with the words " 大 統 領 ーDaitouryou", but around 1892 the word settled down in Korea. After that, the Sino -Japanese modern character " 大 統 領 ー Daitouryou " settled down as a Korea word as it became a headword in Moon Se yeong' 朝 鮮 語 辞 典 Korean dictionary in 1938. The Sino -Japanese modern character " 大 統 領 ーDaitouryou " accepted as a Korean word came to mean a leader elected by people in a democratic state. It has been used in that meaning in Korea. The " 大 統 領 ーDaitouryou" appearing in the late of the Shogunate era and the early of Meiji period is not found in Korean-translated Western literature, but it has early settled down as a Japanese word, as it was used in public documents in Chinese characters. It appears that " 大 統 領 ーDaitouryou" used in the Japan- U.S. Patron Treaty was the origin in the use. The " 大 統 領 ー Daitouryou" in Korea first appeared in 日 槎 集 略 -Iisajipryak in 1881 and was found in annals, textbooks, dictionaries, newspapers, gazettes, etc. Given the fact that gazettes were used to officially record government policies and legislation, " 大 統 領 ーDaitouryou" was introduced to Korea in 19th century, and has been officially used. But as Korea was a royal regime in 19th century, it was mainly used to understand foreign culture. But as a presidency was carried out in 1948, the word was used in earnest and settled dow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ey words: Daitouryou, a modern languages, translated words,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Korean Empire gazette, Japan-Chinese character

36 언어정보 15호 1. 들어가며 한자 어휘권에 속하는 국가의 언어를 언급할 때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할 내용은 한자 어휘의 변천과 구성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의 어휘사 역시 한자 어휘의 增 大 史 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한자어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 이러한 측면에서 고찰할 때 한자어의 수용 경로와 그 연원을 밝히는 것은 어휘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다. 1890년대 전후로 서양문물과 함께 새로운 개념의 한자어로 번역, 표기된 서구어가 일본과 중국에서 다량 수용되었으며 개화기 지식인들의 한자어 수용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보다 먼저 개화된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된 서양문물과 서구어를 한자어로 번역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생산해 내었다. 이들 나라로부터 서양 문물을 수용한 한국 은 서구어를 새로이 번역하여 단어를 생산해내기 보다는 기존의 번역어를 받아들여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일반적으로 어휘교류의 史 實 의 해명에는 두 가지의 연구가 불가결한 기초 작업이 되는데 첫째, 언어의 차용을 불러 온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대한 연구와 두 번째로는 언어교류 가 발생한 당시의 각 언어의 공시적 상황에 대한 연구이다. 2) 우리나라의 개화기는 대략 1870년대 개항 시기부터 1910년 국권상실전후 시기까지를 가리키며 역사의 시대구분에서 고대, 중세, 근대, 현대와 대등한 것이 아니라 단지 근대 말기에 대한 특별한 명칭으로 사용된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지고 서구사상과 문물이 대량으로 수입되며 봉건적 사회질서가 깨어지는 등 급격한 정치,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다. 개화기는 개화라는 용어로 알 수 있듯이 서구사상과 문물이 대량으로 수입되고 봉건적 사회질서가 깨어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이 언어의 변화인데 그 중에서도 특히 어휘부문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서구사상과 문물을 수입 한 구체적인 결과물로는 성경의 번역, 자전의 편찬, 신문의 발간, 교과서의 편찬 등으로 집약될 수 있다. 서구사상과 문물의 수입에는 그 사상과 문물, 제도에 관한 언어의 수입도 수반하게 마련이다. 3) 서양어를 받아들이 1) 큰사전 (1957, 을유문화사)에 수록된 어휘 중, 한국어 어휘의 절반 이상이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2) 沈 國 威 (1994) 近 代 日 中 語 彙 交 流 史 3) 이승명(1982) 외래어 수용양태에 대한 어휘 의미론적 연구 수련어문9. 부산외대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37 는 데 있어 그 당시 국제적인 여건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는 서양에서 직접 받아들이지 못하고 중국을 통하거나 일본을 통해서 받아들였는데 이러한 차용 경로의 차이는 어휘의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이나 일본이 모두 한자를 공동의 표기 수단으 로 가진데다가 차용 경로의 복잡성(서구 중국 한국, 서구 일본 한국) 때문에 어떤 어휘의 차용경로를 밝힌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대체로 성경이나 자전은 중국어어휘를 많이 수용하였고 신문이나 교과서는 초기 에는 중국어어휘의 영향을 약간 받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일본어어휘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4) 187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는 개화사상이 수용되 는데 당시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중국 근대 한자어와 한국 자체가 발전시 킨 고유 한자어가 통용되었으나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일본한자어에 의하여 많은 어휘가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5) 문물의 수입원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변화되는 과도기적 시기라 할 수 있는 1880년대 초반까 지 일본을 통하여 한국에 전해진 일본 근대한자어만 하더라도 그 수량과 범의는 상당한 수준에 달한다. 이들은 중국에서 먼저 한국에 전해진 중국 근대 한자어를 몰아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6) 현재까지의 연 구 7) 로 볼 때, 일본에서 새로 만들어진 근대 한자어가 다량으로 또 직접적으 로 한국어에 수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1890년대, 곧 갑오개혁 전후이다. 실제로 갑오개혁을 전후로 한일 관계가 한층 밀접해진 점을 들 수 있으며 실제로 1890년대의 대역사전에는 1880년대의 대역사전에 비해 상당수의 일본 근대한자어가 표제어에 포함되어있다. 개항 이후 한국어에 일본 근대한자어가 수용된 경로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정부의 개화정책에 의해 수용된 것. 둘째. 일본과 접촉이 있던 유학생, 정치인을 비롯한 지식인들에 수용된 것. 셋째. 선교사에 의해 수용된 것. 넷째. 수신사 등의 외교사절에 의해 소개, 수용된 것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고빙한 고문관 8) 에 의한 새로운 재도와 더불어 들어온 어휘 4) 김형철(1997)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학교 5) 심재기(2000)국어어휘론, 집문당 6) 송민(1999)신생한자어의 성립배경 새 국어생활9-2, 국립국어연구원 7) 개화기 한국어에의 일본어 유입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가 있다. 이들 중 중요한 연구를 들어보면 이희승(1947), 강신항(1976, 1983, 1985, 1995), 김형철(1999), 려증동(1984), 박갑수(1990), 송민(1979, 1985, 1986, 1987, 1988, 1989, 1991, 1992), 정재도(1984, 1995), 윤의순(1995), 이상오(1985, 1986, 1993), 이오덕(1993), 이한섭(1985, 1987, 1990, 1993, 1995, 1997, 2003), 熊 谷 明 泰 (1987, 1989, 1990, 1991), 장원재(2000, 2001, 2003) 등을 들 수 있다. 1) 이들 연구는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를 통하여 한국어에 유입된 일본어 어휘에 관한 것으로, 개화기 이후 한국어에 유입된 일본어 어휘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익하다.

38 언어정보 15호 등이다. 정부의 개방정책에 의한 결과물로는 정부 교육기관과 민간 학교 에서 사용하던 교과서, 정부기관에서 발행한 실록, 관보, 법률집 등을 들 수 있으며 유학생, 정치인등 지식인이 남긴 자료로는 주요 저서류, 개화기 신문류, 잡지류, 신소설 등이 있다. 선교사에 의한 것으로는 대역 사전류를 들 수 있으며 수신사가 남긴 자료로는 수신사 자료를 들 수 있다. 9) 현대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는 전통적 한자어와 개화기 이후에 갑자기 늘어난 근대 한자어이다. 이러한 근대 한자어 중에서 일본 한자어 大 統 領 의 성립과정과 우리나라의 유입시기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大 統 領 의 성립 2.1. 英 華 事 典 에 나타나는 President의 譯 語 黑 船 10)의 내항 후 일본은 미국에 관한 정보 수집을 위해서 중국어로 간행된 8) 고문관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일정한 부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그 분야에서 제기되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자를 의미한다. 즉 이들은 정부 행정실무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전체적인 정책의 방향을 조언하여 바로 잡아주거나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충고를 해주는 자문인이다. 정치적 변동기나 국제적인 분쟁이 일어날 때는 이들의 인맥과 경험은 고용된 국가의 방파제 구실도 하고 국가이익을 대변하는 대변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1882년부터 1904년까지 중앙 행정부처에 총 31명의 고문관들이 고빙되었다. 고문관들의 국적별 구성비율은 청국인 2명, 일본인 16명, 미국인 6명, 독일인 1명, 영국인 2명, 러시아인 2명, 프랑스인 1명, 벨기에인 1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은 이홍장과 일본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 花 房 義 質 )로부터 일본이 서양 사람들을 초빙하여 기술 발달과 육해군의 전법을 훈련하는 성과를 거두었 다는 것을 전해듣고 서양인 고빙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1881년 조사시찰단( 朝 士 視 察 團 ) 과 영선사( 領 選 使 ) 및 유학생들이 각각 일본과 청국으로 파견되었다. 조사시찰단 단원들은 귀국한 뒤 각기 일본에서 시찰한 업무에 따라 이 무렵 설립된 통리아문( 統 理 衙 門 )의 업무를 분담하였다. 정부의 개화정책은 척사파 및 민중의 반대에 직면했고 곧 임오군란으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청군에 의한 진압 및 대원군의 피랍으로 인해 척사세력은 더 이상 반대하지 못하였다. 이 때 정권을 장악한 친청세력인 김윤식, 어윤중 일파는 기무처( 機 務 處 )를 설치하는 등 제도를 개편하고 개혁을 천명하였다. 개화파들도 외국인 고문관 고빙에 호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옥균의 주선으로 박문국( 博 文 局 )과 우정국( 郵 政 局 ) 및 별기군( 別 技 軍 )에 호리모토 레이조( 堀 本 禮 造 ) 등 일본인들을 고용하였고, 김옥균은 갑신정변이 성공하면 민씨 계열과 결탁한 묄렌도르프(P. von Möllendorff)를 경질하고 일본에 거주하고 있던 러젠드르(C.W. LeGendre)를 고용하려 하였 다. 9) 최경옥(2003) 한국개화기 근대한자어의 수용연구 10) 차배근(2000) 開 化 期 日 本 留 學 生 들의 言 論 出 版 活 動 硏 究 Ⅰ 서울대학교출판부 일본도 1633년부터 200년 동안 쇄국정책을 견지해 왔으나 1854년 3월31일 미국의 강요로 체결한 未 日 和 親 條 約 (일명 神 奈 川 條 約 )을 시작으로 개항하게 되었다. 1853년 7월8일에 미국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39 세계지리서와 정기 간행물 등 중 중요한 것은 和 刻 本 으로 하였다. 대통령에 대해서 諸 橋 轍 次 大 漢 和 辭 典 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大 統 領 : 共 和 国 の 元 首 人 民 から 選 挙 せられて 或 は 年 限 の 間 其 の 位 に 処 る 英 語 Presidentの 訳 語 President에 大 統 領 이라는 譯 語 를 사용한 사전에 1862년에 간행되어진 堀 達 之 助 編 集 의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가 있다. President는 미국 정치 제도의 중요한 개념으로서 漢 譯 洋 書 에 자주 출현하며 그 형태도 다양하다. 英 華 事 典 의 譯 語 를 살펴보면 그 복잡함을 알 수 있다. 19세기에 중국에서 간행된 주요 英 華 辭 典 의 譯 語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東 印 度 艦 隊 사령관인 Mattew C. Perry가 4척의 군함을 이끌고 일본에 와서 처음 개항을 요구했는 데 蒸 氣 機 關 의 힘으로 움직여 外 輪 을 船 體 양쪽에 달고 바람이나 파도의 반대방향으로도 힘있게 움직이는 구로후네 ( 黑 線, 당시 일본이들이 이렇게 불렀다)들이 江 戶 灣 (현재 東 京 灣 )에 나타나 시위를 벌이며 당시 미국대통령Milard Fillmore의 국서를 지참하고 온 Perry가 日 本 幕 府 에 개항을 강력히 요구하자 이에 놀란 幕 府 는 일단 미국의 國 書 를 받은 후 다음 해에 答 申 하기로 하고 Perry함대를 돌려보냈다. 이듬해 1월 7척의 구로후네 를 끌고 다시 온 Perry가 답신을 요구하자 幕 府 는 할 수 없이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하여 1854년 未 日 和 親 條 約 을 맺었다. 이에 다른 열강들도 일본에 조약체결을 요구해오자 1854년 10월14일에는 영국, 1855년 2월7일에는 러시아, 1856년 1월30일에는 네덜란드( 和 蘭 )과 화친조약을 체결했으나 이들 화친조약에서는 修 好 관계와 제한된 통상관계만 맺고 일부 항구만 개항하였다. 그러나 그 뒤 미국의 요구로 1858년 7월29일 교역을 위해 일본은 전적으로 개항 한다 는 요지의 美 日 通 商 條 約 (일명Herris통상 조약)을 맺게 됨으로서 이를 계기로 일본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열강에 완전히 문호를 개방하였다.

40 언어정보 15호 년도 辞 書 名 ( 編 著 者 ) President의 譯 語 A Dictionary of the 1815- Chinese Language 1823 (R.Morrison) 長, 頭 目 1844 An English and Chinese Vocabulary in the Court Dialect ( 英 華 韻 府 歷 階 S.W.Willia ms) 尙 書 1847-1848 1866-1869 1872 English and Chinese Dictionary (W.H. Medhurst) English and ChineseDictionary (W.Lobscheid) Vocabulary and Handbook of the ChineseLanguage ( 英 華 萃 林 韻 府 J.Doolittle) 監 督, 頭 目, 尙 書, 正 堂, 天 卿, 春 卿, 夏 卿, 秋 卿, 冬 卿 President of a society, 長, 掌 者, 首 事, 理 長, 菅 總, 頭 目, 監 督, 正 堂, 督 憲, 尙 書, 掌 院, 掌 院 老 師, 天 卿, 春 卿, 夏 卿, 秋 卿, 冬 卿 ;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花 旗 合 部 大 憲 佰 理 璽 天 德, 君 主 W.lobscheid의 사전에 처음으로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가 등록 되어 花 旗 合 部 大 憲 으로 해석되어 있다. J.Doolittle의 辞 書 에서는 君 主 로 번역돠어 봉건중국의 君 主 制 와 혼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佰 理 璽 天 德 는 President의 音 譯 語 로 玉 璽 を 掌 理 し 天 德 を 有 する 人 의 듯을 갖고 중국에서는 외교에서 자주 사용되었으나 大 統 領 은 출현하지 않는다. 11) 2.2. 漢 譯 洋 書 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표현 1830년부터 60년대까지의 漢 譯 洋 書 중에서 地 理 書 나 定 期 刊 行 物 및 萬 國 公 法 에는 President의 역어가 다음과 같이 출현한다. 11) 이에 대해서는 孫 建 軍 (2005) 日 本 語 彙 の 近 代 를 참조함.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41 年 代 著 者 書 名 President에 관한 譯 語 1833- 統 邦 之 治 主, 1835 列 邦 首 領 之 主, 郭 實 獵 東 西 洋 每 月 統 記 錄 1837- 魁 首 領, 1838 首 領 主, 元 首, 統 領 1838 碑 治 文 美 理 哥 合 省 國 志 略 首 領, 統 領 1853-1854 慕 維 廉 地 理 全 志 首 領, 大 統 領, 統 領 1853-1856 理 雅 各 遐 邇 貴 珍 (33) 1854- 瑪 高 溫, 1856 應 思 理 中 外 新 報 主 1856 褘 理 哲 地 球 說 略 衆 統 領 1856 慕 維 廉 大 英 國 志 (8 券 ) 伯 勒 西 敦, 首 者 1856 理 雅 各 智 環 啓 蒙 塾 課 初 步 1857-1858 偉 烈 亞 力 六 合 叢 談 首 領, 國 主 1861 碑 治 文 大 美 聯 邦 志 略 君 主 1862 麥 嘉 湖 中 外 襍 誌 1864 丁 韙 良 萬 國 公 法 首 領, 佰 理 璽 天 德 瀛 環 之 略 에서는 毎 国 正 統 領 (ブレジデント) 一 副 統 領 (フイー トプレジデント) 佐 之 副 統 領 唯 一 員 者 라고 기술되어 있으며 各 國 正 統 領 之 中 又 推 一 總 統 領 와 같이 總 統 領 가 사용되고 있다. 1854년 에 두 번에 걸친 미국의 화친 통상 요구에 이르기까지 페리는 미국 대통령의 친서를 2통 일본에 전하는데 각각 漢 文 과 네덜란드어로 쓰여졌다. 1852년 11월13일의 漢 文 親 書 에는 亞 美 理 駕 合 衆 國 大 統 領 와 같이 大 統 領 의 표현 이 사용된다. 페리로부터 일본 측에 전해진 다른 서간에도 大 統 領 이 출현하는 데 이들 漢 文 의 和 譯 은 大 統 領 이라는 표현을 직접 사용하고 있다. 漢 文 의 和 譯 으로는 大 統 領 을 사용하나 네덜란드 文 의 和 譯 은 佰 理 璽 天 德 로 표현하고 있다. 孫 建 軍 (2003)에 의하면 최초의 일본어로서 대통령이 사용되어 진 것은 이들 외교문서의 和 譯 文 이라고 보며 친서에 大 統 領 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1844년 청국과 미국 간에 조인된 望 廈 條 約 에 大 合 衆 國 大 佰 理 璽 天 德 의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관련이 있다고 추측한다. 또한 President의 音 譯 語 佰 理 璽 天 德 에 대신에 당시 중국에서 많이 사용한 統 領 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大 統 領 이 되었다고 본다. 大 統 領 이 일본에

42 언어정보 15호 정착하기까지는 변화를 보이는데 1854년 에는 合 衆 國 主 로 표현하고 있다. 1857년 미국총영사와의 회담기록에는 大 統 領 이 출현하나 公 文 書 에 최초 로 출현하는 것은 1858년에 조인된 日 本 國 米 利 堅 合 衆 國 修 好 通 商 條 約 이 다. 그 전까지는 세계지리서 등에 미국대통령에 관한 기술은 보였으나 大 統 領 은 사용하지 않았었다. 페리로부터 전해진 漢 文 親 書 이후 공문서에 나타난 大 統 領 은 그 표현이 日 本 語 譯 文 에 그대로 이용되어져 일본어로서 외교교 섭의 장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외교조약 속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1860년대 에 간행된 신문은 세상에 널리 歐 美 의 최신 정보를 알림과 동시에 新 語 의 전파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幕 府 의 官 版 新 聞 인 バタビヤ 新 聞 海 外 新 聞 日 本 貿 易 新 聞 日 本 新 聞 에는 大 統 領 이 많이 출현한다. 정부 의 공문서와 신문에 사용된 大 統 領 은 지식인의 문장에도 출현하여 1860년 에 완성한 加 藤 弘 之 의 鄰 艸 에는 万 明 の 中 に 有 徳 して 才 識 万 人 に 勝 れ 人 望 尤 も 多 き 者 一 人 推 し 年 期 を 似 て 大 統 領 洋 名 プレジデントとな し 와 같이 일찍이 大 統 領 이 출현한다. 福 沢 諭 吉 의 西 洋 事 情 에도 大 統 領 이 사용되고 있다. 그 외 音 譯 語 로 勃 列 西 領, 伯 理 師 天 德 등 도 보인다. 또 魏 源 의 海 國 圖 志 (1852)는 그때까지의 간행되어진 모든 漢 譯 洋 書 를 모두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魁 首 領, 首 領 主, 元 首, 統 領, 首 領, 勃 列 西 領, 伯 理 師 天 德, 長 領, 總 統 領 많은 표현이 보인다. 전체적으로 統 領 總 統 領 衆 統 領 등의 표현은 많이 나타나지만 大 統 領 은 출현 하지 않는다. 漢 譯 洋 書 에 大 統 領 은 출현하지 않았지만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에 나타나므로 1862년 이전에 일본에 그 사용례가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다. 2.3. 페리가 지참한 서간과 日 米 修 好 通 商 條 約 에 나타나는 大 統 領 1853년 7월과 다음해 1854년 2월에 두 번 내항한 페리는 처음 내항 당시 대통령의 친서를 건네게 되는데 각각 영문, 한문, 네덜란드어로 되어있었다. 사절파견을 취지로 한 1852년11월13일자 漢 文 親 書 를 보면 亞 美 理 駕 大 合 衆 國 大 統 領, 姓 謨, 名 美 辣 達, 日 本 國 君 主 陛 下 와 같이 大 統 領 이 출현한다. 12) 페리로부터 받은 서간에도 대통령이 출현 12) 孫 建 軍 (2005) 日 本 語 彙 の 近 代 日 本 ICU박사학위논문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43 한다. 이글 한문서간의 和 譯 은 大 統 領 사용하고 있으나 네덜란드어의 和 譯 은 모두 伯 理 璽 天 德 로 표현하고 있다. 최초의 일본어로서 大 統 領 이 사용된 것은 이들 外 交 文 書 의 和 譯 文 으로 추측된다. 13) 2.4. 對 譯 辭 典 에 있어서 大 統 領 의 정착 2.2와 같은 경로를 거쳐 對 譯 辭 典 에서의 大 統 領 의 정착을 살펴 볼 수 있으며 1814년에서 1886년까지 간행되어진 對 譯 書 에 나타나는 大 統 領 은 다음과 같다. 年 度 書 名 ( 著 者 名 ) President의 譯 語 1814 韻 厄 利 亞 語 林 大 成 ( 寫 本 ) 1830 An English and Japanese, and EnglishVocabulary (W.H.Medhurst) 1854 三 語 便 覽 ( 村 上 英 俊 ) 1857 五 方 通 語 ( 村 上 英 俊 ) 1857 英 語 箋 ( 井 上 修 理 校 正, 村 上 英 俊 閱 ) 1860 五 國 語 箋 ( 松 園 梅 彦 ) 1862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 堀 達 之 助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66 改 正 增 補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 堀 達 之 助 編, 堀 越 龜 之 助 改 訂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67 和 英 語 林 集 成 (J.C.Hepburn) 1869 改 正 增 補 和 譯 英 辭 書 ( 摩 學 生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71 大 正 和 譯 英 辭 林 ( 薩 摩 辭 書 )( 前 田 正 穀, 高 橋 良 昭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72 英 和 字 典 ( 吉 田 賢 輔 ) 一 社 中 ノ 執 頭, 大 統 領, 監 督 1872 英 和 対 訳 辭 書 ( 荒 井 郁 編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72 和 英 語 林 集 成 < 再 版 >(J.C.Hepbu rn) Toriyo, dai-toriyo 1873 附 音 揷 圖 英 和 字 彙 ( 枈 田 昌 吉, 子 安 俊 ) 會 長, 首 事, 菅 總, 大 統 領 1873 和 譯 英 語 聯 珠 ( 岸 田 吟 香 ) 評 議 役 ノ 執 頭, 大 統 領 1876 An English-Japanese torio;(of a Dictionary of the Spoken republic)dai-torio;(of an 13) 孫 建 軍 (2005) 或 問 (제10호) 近 代 東 西 言 語 文 化 接 觸 硏 究 會

44 언어정보 15호 Language(E.M.Saton. 石 橋 政 方 ) assembly)gicho 1881 哲 學 字 彙 ( 井 上 哲 次 郎 ) 1883 1884 1886 訂 贈 英 和 字 典 (W.Lobscheid 著, 井 上 哲 次 郎 訂 贈 ) 改 訂 增 補 哲 學 字 彙 ( 井 上 哲 次 郎, 有 賀 長 雄 增 補 ) 改 正 增 補 和 英 和 語 林 集 成 <3판 >(J.C.Hepburn) The-of a society, 長, 掌 者, 首 事, 理 長, 管 總, 頭 目, 監 督 ;the-of the United States, 花 旗 合 部 大 憲 議 長, 大 頭 領, 尙 書 Toryo, daitoryo, gicho, shacho, kwaicho, kwaito 1862년까지의 對 譯 辭 書 에는 大 統 領 이 채록되지 않았다.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를 계기로 그 이후에 간행되어진 辭 書 에는 大 統 領 이 빈번하게 출현한다. 英 和 対 訳 袖 珍 辞 書 의 편집자인 堀 達 之 助 는 페리가 처음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통역을 담당하였었다. 幕 末 明 治 초기에 탄생한 新 語 大 統 領 은 漢 譯 洋 書 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나 日 美 外 交 交 涉 의 漢 文 公 文 書 에 출현하여 일찍이 일본어로서 성립되었다. 大 統 領 은 정부 고관의 사용을 시작으로 신문이나 지식인들의 문장을 통해 일반사화에 침투하게 돠었다. 日 美 修 好 通 商 條 約 에 사용된 것이 大 統 領 의 정착에 큰 요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한국자료에 나타나는 大 統 領 3.1. 日 差 集 略, 增 補 文 獻 備 考, 高 宗 實 錄 日 差 集 略 新 聞 紙 見 米 國 大 統 領 卽 國 王 之 偁 被 銃 見 害 云 ( 日 記 辛 巳 6월초10일병자) 增 補 文 獻 備 考 권181(1881) 大 朝 鮮 君 主, 大 美 國 佰 理 璽 天 德 並 基 商 民 新 聞 紙 見 美 國 大 統 領 ( 邦 國 王 之 稱 ) 高 宗 實 錄 高 宗 25년(1888) 英 國 公 司 ~ 言 及 本 國 大 佰 理 璽 天 德, 將 本 國 議 定 上 下 兩 院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45 高 宗 28 年 (1891) 送 法 國 大 佰 理 璽 天 德 高 宗 29년(1892) 該 國 大 統 領 因 南 O 再 薦 定 爲 新 大 統 領 光 武 4년(1900) 美 國 大 統 領 德 國 皇 帝 俄 國 皇 帝 法 國 大 統 領 大 統 領 은 高 宗 實 錄 이전에 1887년 박정양의 미행일기에 美 大 統 領 이 출현한다. 지금까지 서양에 대한 최초의 소개서로 간주되어 온 유길준( 兪 吉 濬 )의 서유견문( 西 遊 見 聞 ) 보다 1년 앞서 탈고된 미속습유 14) 는, 미국 의 문물 제도를 본격적으로 다룬 첫 소개서이다. 이러한 점에서 1887년에 박정양은 이미 大 統 領 을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저자의 생전에 발간되지는 않았지만, 탈고 이후 원고본 형태로 국왕을 비롯한 관리들 이 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大 統 領 은 위와 같은 용례로 사용되다가 1900년 경에는 대통령과 황제의 개념을 구분해서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15) 純 宗 2 卷, 1 年 (1908) 在 韓 國 發 明 意 匠 商 標 及 著 作 權 保 護 日 米 條 約 成 日 米 條 約 日 本 國 皇 帝 陛 下 와 亞 米 利 加 合 衆 國 大 統 領 은 韓 國 에셔 其 臣 民 又 人 民 의 發 明 意 匠 商 標 及 著 作 權 의 保 護 를 確 保 코자 야 3.2. 朝 鮮 王 朝 實 錄 조선왕조실록 16) 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4) 박정양은 미국에 머무는 동안(1888.1.1~11.27) 자주외교를 전개하는 한편, 자신의 시찰 견문 사항을 낱낱이 해상일기초( 海 上 日 記 草 ) 미행일기( 美 行 日 記 ) 종환일기 ( 從 宦 日 記 ) 등에 적어 두었다. 이들을 바탕으로 총 90면, 44개 항목으로 미속습 유 를 집필하였다. 15) 송민(2000) 大 統 領 의 출현 새생활국어 제10권 제4호 16) 조선왕조실록( 朝 鮮 王 朝 實 錄 ) 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들의 실록( 實 錄 )을 합쳐서 부르는 책 이름이다. 즉 태조강헌대왕실록( 太 祖 康 獻 大 王 實 錄 ) 으로부터 철종대왕실록( 哲 宗 大 王 實 錄 ) 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에 걸친 25대 임금들의 실록 28종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이다. 조선왕 조실록 은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기획하여 편찬한 역사서가 아니라,

46 언어정보 15호 高 宗 19 年 (1882) 大 美 國 伯 理 璽 天 德. 特 派 全 權 大 臣 高 宗 26 年 (1889) 此 就 地 球 全 圖 閱 認 者, 而 每 逢 該 國 人 聞 之 幅 員 之 廣, 不 下 於 亞 洲 之 中 國, 歐 洲 之 俄 羅 斯 云 矣 敎 曰 : 駐 該 國 時 大 統 領 接 待 之 節 果 何 如 純 宗 1 年 (1908) 在 韓 國 發 明 意 匠 商 標 及 著 作 權 保 護 日 米 條 約 成 日 米 條 約 日 本 國 皇 帝 陛 下 와 亞 米 利 加 合 衆 國 大 統 領 은 韓 國 에셔 其 臣 民 又 人 民 의 發 明 意 匠 商 標 及 著 作 權 의 保 護 를 確 保 코자 야 3.3. 獨 立 新 聞 독립신문의 한글전용은, 민중을 위해 알기 쉬운 신문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일이었다. 독립신문에서의 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등훈쟝 법국 대통령괴서 일본 황태자괴 일등훈쟝을 쉬 보뉘신다더 (1899) 젼국 인민이 투표하야 새대통령을 뽑앗는데 오하요에(1896) 3.4. 大 韓 每 日 申 報 1904년에 창간된 대한매일신보는 일간신문으로 한 영 양국어로 영국인 배설( 裵 說, Bethell,E.T.)을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하여 창간되었다. 17) 대한매 역대 조정에서 국왕이 교체될 때마다 편찬한 것이 축적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실록에는 고종태황 제실록( 高 宗 太 皇 帝 實 錄 ) 과 순종황제실록( 純 宗 皇 帝 實 錄 ) 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 실록은 1927-1932년간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것으로 일본의 대한제국 국권 탈취와 황제 황실의 동정에 관한 기록들에서 왜곡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시대의 엄격한 실록 편찬 규례에도 맞지 않는 점이 많다. 따라서 고종 순종실록의 역사는 참고하거나 인용하는 데에 주의가 필요하다. (국사편찬위원회참조) 17) 체재는 종전의 것보다 큰 세로 40cm, 가로 27cm로서 창간 당시에는 타블로이드판 6면으로 국문 2면, 영문 4면이었다. 이러한 편집형태를 취한 것은 긴급한 사실을 보도할 수 있는 일간신문이 필요하였고, 영국인과 합작한 한영합판의 조직체라는 것을 내세우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인을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47 일신보의 용례는 다음과 같다. 大 韓 每 日 申 報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씨가 일아 젼쟁에 결국 되기를(1904) 법국과 무셔가 대통령은 이번 일본슈저에 대하여 동정을 표한(1910) 법국과 무셔가 대통령은 이번 일본슈저에 대하여 동정을 표한차로(1910) 3.5. 그 외의 사전류와 교과서 그 외의 사전이나 교과서에도 용례가 출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8년에 문세영의 조선어사전 에 다음과 같이 표제어로 등재되어 국어 단어의 하나 로 자리를 굳혔다. 대통령( 大 統 領 )( 名 ) 공화국의 원수( 元 首 )/공화-정치( 共 和 政 治 )( 名 )백성 속 에서 대통령을 선거하여 일정한 연한 동안에 그 사람에게 나라의 정치를 맡기는 정치. 사전류와 교과서의 용례는 다음과 같다. Dictionnaire français-coreen président 됴쥬장, 웃듬쥬장, 령수, -de la république 미쥬국의 대통령(1869) ENGLISH-JAPANESE DICTIONARY (1876)영국 PRESIDENT 統 領, <president of the public> 大 統 領 1879년 개정판에도 동일 영한자전 Underwood -Present.n. 大 統 領, 계장, 회쟝(1890) 내세운 이유는 1904년 2월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군이 우리나라에 불법주둔하면서 전쟁을 이유로 대한제국의 민간신문에 대한 사전검열을 강행하였는데, 이러한 일본의 검열망을 뚫을 수 있는 길은 당시 일본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인 명의로 신문을 발행하는 길뿐이었기 때문이었다.

48 언어정보 15호 ENGLISH-COREAN DICTIONARY James Scott-President of United States,대통령(1891) 불한자전 < président 졍경 do. République 통령> (1901) 법학통론 < 北 美 合 衆 國 과 如 共 和 國 에서 大 統 領 과 元 老 院 이>(1905) 韓 英 字 典 Gale-President, n. 대통령. 大 統 領 The president of a repubulic. The governor of a colony.(1911) 樵 牧 必 知 大 統 領 은 上 下 議 院 에서 選 擧 하야(1903) 初 等 小 學 北 美 合 衆 國 을 獨 立 하며 大 統 領 의 제도를(1906) 3.6. 大 韓 帝 國 官 報 대한제국관보에는 갑오개혁이후부터 한 일 합방까지 16년 2개월에 걸쳐 우리나라 개화기의 법령류가 거의 실려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움직임이 공식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당시의 시대 상황을 이해하는데 있어 대한제국관보는 중요한 기록이며, 18) 당시 조선 정부의 정치, 행정, 인사, 군사, 외교, 학사, 사법, 경찰, 산업, 재정, 교통, 위생, 기상, 외국 소식 등 각 분야를 골고루 수록하고 있어 공문서에서의 다양한 어휘의 출현과 수용 과정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공문서인 官 報 에 고시된 어휘는 중앙 정부는 물론 지방 관청까지 하달되므로 그 파급 효과가 상당하며, 또한 官 報 에 고시된 내용은 한시적인 유행어가 아닌 법률적인 효력을 가진다. 대한제국관보의 용례는 다음과 같다. 美 國 大 統 領 令 娘 接 待 費 一 萬 二 千 園 과(1894) 九 月 九 日 [리라] 電 報 에 據 면 秘 魯 新 大 統 領 [나니고라스]비에로라이] 新 內 閣 (1895) 18) 정진석(1983) 한국언론사연구 일조각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49 亦 西 班 牙 國 에 對 야 勸 告 기 大 統 領 에 게 請 求 믈 議 決 (1896) 一 本 國 에 在 留 外 國 皇 帝 나 君 主 나 大 統 領 이나 太 子 의 生 命 이나 身 體 에 對 야 危 害 加 者 已 遂 未 遂 와 首 從 을 不 分 고(1905) 秘 魯 國 新 內 閣 組 織 이라 九 月 九 日 [리라] 電 報 에 據 면 秘 魯 新 大 統 領 [나 니고라스]비에로라이] 新 內 閣 은 左 開 人 員 으로 以 야 組 織 얏다홈 內 閣 議 長 兼 內 務 卿 안도니오밴친 大 藏 卿 부래사니 外 務 卿 리돈보리스 司 法 卿 람 알바라싱 陸 軍 卿 발라(1895) 美 國 上 院 과 규바 嶋 의 反 亂 이라 美 國 上 院 에셔 규바 嶋 의 反 徒 獨 立 의 交 戰 國 民 으로 認 야 亦 西 班 牙 國 에 對 야 勸 告 기 大 統 領 에게 請 求 믈 議 決 (1896) 園 八 十 三 錢 과 美 國 大 統 領 令 娘 接 待 費 一 萬 二 千 園 과 伊 藤 大 使 宴 會 費 七 百 五 園 三 十 八 錢 과 宮 內 府 顧 問 官 加 藤 增 雄 俸 給 及 (1906) 日 本 國 皇 帝 陛 下 와 亞 米 利 加 合 衆 國 大 統 領 은 韓 國 에셔 其 臣 民 又 人 民 의 發 明, 意 匠, 商 標 及 著 作 權 의 保 護 를 確 保 코자 야 此 爲 야 條 約 을 締 結 기로 決 고 日 本 國 皇 帝 陛 下 亞 米 利 加 合 衆 國 駐 箚 特 命 全 權 大 使 正 三 位 勳 一 等 男 爵 (1908) 4. 마치며 이상과 같은 역사적인 근거로 알 수 있는 점은 大 統 領 이라는 단어가 중국의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일본 문헌에서만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나 統 領 이라는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단어임을 생각하면 중국어의 영향도 부정할 수는 없겠지만 大 統 領 이라는 단어는 일본어 기원의 신어라고 할 수 있다. 이헌영이 大 統 領 이란 단어를 처음 접한 것은 1881년이었으나 이 단어가 한국어에 정착한 시기는 1892년경으로 보인다. 1921년 大 昌 書 院

50 언어정보 15호 발행 米 國 前 大 統 領 威 日 遜 演 說 集 와 같이 大 統 領 은 책 제목에 사용되었 고 일반인 상식을 위해 펴낸 金 熙 祥 編 (1938) 朝 鮮 語 와 漢 文 補 充 常 識 便 覽 에 도 < 大 統 領 (대통령) 공화국의원슈>와 같이 기재되어 있어 일반 상식으로 통용되었다라고 볼 수 있다. 그 후 1938년에 문세영의 조선어사전 에 표제어 로 등재되어 국어 단어의 하나로 자리를 굳혔다. 이와 같이 한국어에 정착된 일본근대한자어인 大 統 領 은 민주국가에서 국민이 선출한 지도자를 뜻하 게 되었으며 현대한국어에서도 그 의미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幕 末 明 治 初 期 에 생겨난 大 統 領 은 漢 譯 洋 書 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日 米 外 交 交 涉 의 漢 文 公 文 書 에 출현하여 일찍이 일본어로서 정착하였다. 아마도 日 米 修 好 通 商 條 約 에 사용되어진 것이 大 統 領 의 정착에 큰 요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서의 大 統 領 은 1881년 日 傞 集 略 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록, 교과서, 사전, 신문류, 관보 등에 걸쳐 출현한다. 관보는 정부의 정책과 법령 등이 공식적으로 기록되는 점을 생각할 때 大 統 領 은 한국에 19세기에 유입되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19세기의 한국은 왕정이었으므로 주로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사용되었다가 1948년 대통령제의 시행으로 본격적 으로 사용,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개화와 더불어 새로운 문명의 충격을 반영하는 새 단어의 증가와 在 來 語 의 形 態 意 味 의 변화가 불가피하여 그 결과 借 用 語 와 新 語 의 증가로 한국어어휘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 개화기는 서구사 상과 문물이 대량으로 수입되고 봉건적 사회질서가 깨어지는 시기로서 이러한 사회 변화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이 어휘의 변화이다. 서양어의 유입에 있어 그 당시 국제적인 여건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는 서양에서 직접 받아들이 지 못하고 중국을 통하거나 일본을 통해서 받아들였다. 이러한 차용 경로의 차이는 어휘의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 이나 일본 모두 한자를 공동의 표기 수단으로 하고 또한 차용 경로의 복잡성(서 구 중국 한국, 서구 일본 한국, 서구 중국 일본 한국) 때문에 어떤 어휘의 차용경로를 밝힌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1880년을 기점으로 하여 일본은 외국문물의 빠른 수용으로 한자문화권인 중국과 이전에 영향을 받았던 한국에 거꾸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일본 한자어의 수용연구의 일환으로 大 統 領 을 통하여 일본 한자어의 성립과 정착에 대하여 살펴보았 다. 앞으로 여러 단어들의 수용 과정을 고찰하여 일본 한자어의 한국으로의 수용 과정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19) 박영섭(1994) 개화기국어어휘자료집1(독립신문편) 서광학술자료사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 統 領 의 성립 51 참고문헌 김형철. 1999. 개화기 국어어휘.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국립국어연구원. 宋 敏. 1989. 開 化 期 新 文 明 語 彙 의 成 立 過 程 어문학논총 8, 國 民 大 學 校.. 1992. 開 化 期 의 語 彙 改 新 에 대하여 어문학논총 11, 國 民 大 學 校. 李 漢 燮. 1984c. 西 遊 見 聞 の 漢 語 について- 日 本 語 から 入 った 語 を 中 心 に., 大 阪 大 学 院 文 研 科 碩 士 学 位 論 文.. 1985a. 韓 国 語 に 入 った 日 本 語. 国 語 語 彙 史 の 研 究 六 ( 国 語 語 彙 史 研 究 会 編 ), 和 泉 書 院.. 1985. 西 遊 見 聞 の 漢 字 語 について; 日 本 から 入 った 語 を 中 心 に., 国 語 学 141, 国 語 学 会 ( 日 本 ).. 1990. 開 港 以 後 韓 日 語 彙 交 渉 의 一 断 面 ; 主 義 의 齲 를 中 心 으로., 日 本 学 報 24, 韓 国 日 本 学 会.. 1993. 現 代 韓 国 語 における 日 本 製 漢 語. 日 本 語 学 12-8, 明 治 書 院.. 2004. 近 代 以 降 の 日 韓 語 彙 交 流 : 日 本 人 が 直 接 伝 えた 日 本 の 漢 語. 日 本 研 究 제3집 高 大 日 本 研 究 会.. 2004. 19 世 紀 末 以 後 の 日 韓 両 語 の 接 触 と 交 流 について; 李 憲 永 の 日 槎 集 略 に 出 ている 語 を 中 心 に. アジアにおける 異 文 化 交 流 明 治 書 院.. 2004. 19 世 紀 末 韓 国 の 外 交 使 節 が 記 録 した 日 本 語 の 語 彙 ー 朴 泳 孝 の 使 和 記 略 を 中 心 に. 日 本 語 教 育 学 の 視 東 京 堂 出 版.. 2006. 근대국어어휘와 중국어,일본어 어휘와의 관련성;19세기말 자료를 중심으로. 日 本 近 代 學 硏 究 13, 韓 國 日 本 近 代 學 會. 朱 京 偉. 1996. 中 国 語 における 日 本 語 からの 借 用 語 の 受 容 時 期 について., 名 古 屋 商 科 大 学 論 集 40-2, 名 古 屋 商 科 大 学 商 学 会. 陳 力 衛. 2004. 近 代 語 と 中 国 語. 日 本 語 学 23-12, 明 治 書 院.. 2007 近 代 漢 語 訳 語 再 考. 日 本 比 較 文 学 会 東 京 支 部 研 究 報 告 4, 日 本 比 較 文 学 会 東 京 支 部. 沈 国 威. 1995. 中 国 の 近 代 学 術 用 語 の 創 出 と 語 彙 交 流 の 視 点 から. 文 林 29, 松 蔭 女 子 学 院 大 学.. 1998. 新 漢 語 研 究 に 関 する 思 考. 文 林 32, 神 戸 松 蔭 女 子 学 院 大 学. <사전류> Hepburn J.C. 1867. 和 英 語 林 集 成 (1판), 復 刻 版, 北 辰.. 1872. 和 英 語 林 集 成. (2판), 復 刻 版, 東 洋 文 庫.. 1886. 和 英 語 林 集 成. (3판), 復 刻 版, 講 談 社 学 術 文 庫. Gale. 1897. 韓 英 字 典., Yokohama: Kelly and Walsh, 국학자료원, 영인판.. 1911. 韓 英 字 典. (2판), Yokohama: Kelly andwalsh, 국학자료원, 영인판.. 1931. 韓 英 大 字 典. (3판), 朝 鮮 耶 蘇 教 書 会.

52 언어정보 15호 Underwood H.G. 1890. 한영 뎐., Seishi Bunsha( 横 浜 ).. 1890. 영한 뎐., 横 浜 須 頁 徳 義 発 行. James Scott. 1891, English-Corean Dictionary,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서울). Jones. 1914. 英 韓 字 典., 教 文 館 ( 日 本 ). <사전류> Hepburn J.C. 1867. 和 英 語 林 集 成 (1판), 復 刻 版, 北 辰. 1872. 和 英 語 林 集 成 (2판), 復 刻 版, 東 洋 文 庫. 1886. 和 英 語 林 集 成 (3판), 復 刻 版, 講 談 社 学 術 文 庫 Gale(1897) 韓 英 字 典, Yokohama: Kelly and Walsh, 국학자료원, 영인판. 韓 英 字 典 (2판),Yokohama:Kelly andwalsh, 국학자료원, 영인판. 韓 英 大 字 典 (3판), 朝 鮮 耶 蘇 教 書 会 Underwood H.G. 1890. 한영 뎐, Seishi Bunsha( 横 浜 ). 1890. 영한 뎐, 横 浜 須 頁 徳 義 発 行 James Scott. 1891. English-Corean Dictionary,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서울) Jones 1914. 英 韓 字 典, 教 文 館 ( 日 本 ) 김지연 (Kim, Ji-Yeon) 소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전자우편: kjy2011@knou.ac.kr 논문투고일: 2012. 08. 19 논문심사수정완료일: 2012. 09. 20. 논문게재확정일: 2012. 0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