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가 현황 국제유가 사상 최고치 연일 경신 최근국제유가는사상최고치를연속경신하며고공행진을지속 - WTI 油 는 10월 14일 배럴당 54.76달러, Brent 油 는 10월 12일 배럴당 51.53달러로 사상최고치를 경신 ㆍWTI 油 는 연초대비 68.5%, 1년전 대비 72.6% 상승 ㆍBrent 油 는 연초대비 69.9%, 1년전 대비 62.7% 상승 - 두바이 油 는 10월 14일 배럴당 37.11달러를 기록, 지난 8월 20일의 배럴당 41.35달러의 최고치에서 약간 하락한 수준 ㆍ연초대비 31.6%, 1년전 대비 31.3% 상승 국제유가 추이 60 55 (달러/배럴) WTI Brent Dubai 50 45 40 35 30 7 8 9 10 주: 일일현물유가(2004.7.1~10.14) 자료: petronet.co.kr
국제유가는 2003년 중반 이후 등락을 거듭하며 상승 추세를 지속해 고유가 구조가 고착화 유가급등 배경과 향후 전망 - WTI 油 는 지난 5월 11일 배럴당 40.07달러를 기록한 후 5개월도 지나지 않은 지난 10월 1일 배럴당 50.10달러를 기록해 50달러대에 진입 - Brent 油 도 지난 7월 27일 배럴당 40.66달러를 기록한 후 3개월만인 지난 10월 11일 배럴당 51.16달러를 기록하며 배럴당 50달러대로 진입 - 두바이 油 는 지난 2월 10일 배럴당 30.04달러로 30달러 대에 진입했고, 8 월 18일 40.28달러로 사상 처음 40달러를 상회한 이후, 30달러 후반대에 서등락을거듭 ㆍ8월 20일에는 배럴당 41.35달러로 1981년 4월 이후 23년 3개월만에 최 고치를 경신 ㆍ지난 9월 13일 배럴당 33.64달러까지 하락한 후 30달러 후반대에서 등락 을거듭 WTI 油, Brent 油 와 두바이 油 간의 가격격차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 - 그 동안 이들 3개 대표 유종간의 가격차는 품질차이 및 수송비, 시장의 특 수성 등에 의해 배럴당 2~3달러대로 유지 - 그러나 9월 이후 이들 대표 유종간의 시장 차이로 인해 WTI 油 와 Brent 油 간의 가격차이가 좁혀지고 있는 반면, Dubai 油 와의 가격차이가 급속히 확 대되는 추세 ㆍ지난 10월 14일을 전후해 WTI 油 와 Brent 油 간의 가격차이는 3달러 내외, WTI 油 와 Dubai 油 간의 가격차이는 17달러까지 확대 현재 국내에서는 기준지표로서의 국제유가를 어느 유종으로 선정해야 하는 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
- WTI 油 는 미국시장, Brent 油 는 유럽시장, Dubai 油 는 아시아 시장의 가격기 준으로 사용되나, 세계석유 소비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시장을 중시 해 WTI 油 를 국제유가의 기준으로 선정하는 것이 관례 - WTI 油 는 세계 석유수급상황보다는 미국내 석유수급 상황에 따라 가격이 민감하게 변화 ㆍ미국 텍사스주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대표적인 저유황 경질유로 미 국내공급에 한정 - Brent 油 는 WTI와 유사한 품질을 보유하고 있는 저유황 경질유로 유럽 및 아프리카에서 생산되는 원유의 가격결정 기준으로 사용 - 중동 油 를 대표하는 Dubai 油 는 고유황 중질유로 아시아 국가들이 주로 수입 2. 유가 급등의 원인 수급불안에 기상재해, 국제정세 불안 등이 가세 최근의 국제유가 급등은 수급불안 외에, 9월의 태풍 피해와 겨울철 성수기 를앞두고난방유부족에대한우려및원유재고감소소식등에기인 - 지난 9월 중순 멕시코만을 강타한 태풍(아이반)으로 미국 석유 시설의 4분 의 1이 밀집해 있는 플로리다가 심각한 피해 ㆍ송유관 1만 6천 km와 플랫홈 150개가 파손 ㆍ10월 8일 현재 28%의 원유와 14%의 천연가스의 공급이 중단 - 멕시코만 원유 생산 차질로 인해 미국내 원유 재고가 감소 ㆍ전년 동기 대비 미국 원유 재고량은 6% 감소
금년초 국제유가가 급등세로 진입한 이유는 세계경제 회복으로 석유수요가 급증한 반면, 석유공급이 이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 - 2004년 상반기 중 세계 석유수요는 3.8%, 공급은 4.2% 증가(전년동기 대 비)하였으나, 수요량이 1일 8,086배럴로 공급량 79,79만 배럴을 상회 - 특히 2003년 하반기 이후 중국의 석유수요 증가가 세계 전체 수요증가분 의 40% 이상을 차지 ㆍ중국의 석유소비는 2003년 1일 536만 배럴에서 2004년 1/4분기에는 1일 614만 배럴로 급증 근본적인 원인은 석유시장의 구조적 문제 - 석유수급 상황이 원활하지 못한 가운데 산유국들의 정정( 政 情 )불안이 수급 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증폭 ㆍ2003년부터 수급불안 및 이라크 사태 장기화 등 국제정세 불안에 따른 리 스크 프리미엄이 가격에 반영 이라크 상황이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베네수엘라, 러시아, 나이 지리아 등 산유국들의 정정불안이 지속적인 유가상승 압력으로 작용 - 이라크 사태가 개선되지 못하는 가운데 테러 발생 확산 우려 등으로 원유 시장의 불확실성이 가중 - 베네수엘라와 나이지리아의 내정불안도 국제석유시장 참가자들의 심리 불 안을 야기 - 러시아 석유회사인 유코스 社 와 푸틴 정권간의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공급 차질에대한우려감이증폭
국제 투기자본의 석유시장 재유입이 최근의 유가상승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 유가급등 배경과 향후 전망 - 세계적인 저금리와 달러 약세로 갈 곳을 잃은 투기자금들이 석유시장에 유 입되어 가격상승을 유발 - 지난 3월 원자재 가격 상승을 촉발했던 국제투기 자금들이 최근 유가 급등 세가 이어지자 원자재 선물시장으로 급속히 재진입 3. 향후 유가 전망 및 영향 수급불안 상황이 지속되어 고유가 고착화 세계 석유수요 증가세가 지속되는 반면, 석유공급이 이를 충족시키지 못해 당분간 급격한 유가하락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 -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의 빠른 산업화로 석유수요 증가세 지속 선진국의 경우, 에너지 효율화, 천연가스 및 대체에너지 등으로 수요증가세 가미약 - 산유국들이 유사시 즉각 생산을 늘릴 수 있는 여력은 미미 ㆍ사우디 아라비아를 제외한 다른 OPEC 국가들의 증산여력이 미미한 수준 (사우디의 증산여력은 하루 190만 배럴 수준) ㆍ러시아 등 非 OPEC국가들의 증산 여력도 생산설비 노후화 등으로 한계에 봉착 따라서 2004년 하반기에는 산유국의 정세불안 및 수급불균형 지속으로 현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 - WTI 油 는 멕시코만 원유 생산 차질이 장기화되면서 고공행진 지속
ㆍ태풍 아이반으로 파괴됐던 멕시코만의 시설 복구작업이 내년까지 지속 ㆍ현재 석유 생산이 중단된 시설중 1/3가량의 시설이 10월말까지 정상가동 될 것이나 나머지는 6개월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 - 반면, Dubai 油 는 OPEC의 증산 노력 지속 등으로 상승세는 높지 않을 것이 나, WTI 油 의 고공행진에 영향을 받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지속 2005년에는 중동정세 및 세계경제의 상황 전개에 따라 유가가 변동 시나리오1 : 배럴당 32달러 (확률 80%) - 이라크 사태가 지속되지만 심각한 무력 충돌은 자제 - 러시아의 유코스사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고 나이지리아의 정정불안이 해소 - 이라크의 원유 생산량이 2004년 4월 수준(1일 230만 배럴)을 회복하고 수 출물량이 국제원유 시장에 재유입 - 중국경제의 과열현상이 억제되고 세계경제 회복세가 둔화 - OPEC의 생산쿼터 확대 결정 등으로 회원국들의 증산이 가시화되고, 非 OPEC국가들도 증산에 가담 시나리오2 : 배럴당 50달러 (확률 20%) - 이라크 사태 악화로 이라크의 원유생산 및 수출이 일시적으로 중단 - 중동 석유생산 시설에 대한 테러 발생 - 중국의 경제과열과 세계경제 성장세 지속
시나리오별 유가 시나리오 원유가 전제 조건 가능성 이라크 사태 현상황 지속, 러시아의 불안 해소 1 32~35 달러/배럴 나이지리아 등 석유근로자들의 파업 해소 OPEC 증산 80%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이라크 사태 악화 및 추가테러 발생 2 40~45 달러/배럴 나이지리아 등 산유국의 정정불안이 확대 OPEC의 감산 20% 세계경제 성장세 지속 주: Dubai 油 기준 2005년 연평균 가격, 달러/배럴 세계 주요기관들의 유가 전망은 상기 시나리오 1과 유사 - 대부분 기관들은 기준유가의 경우 하향 안정될 것으로 전망 - 반면 산유국 정정불안 확대 등 불안요인이 현실화될 경우 유가의 추가상승 을배제할수없다는입장 석유시장에 대한 두 가지 견해 비관적 견해 : 원유공급의 한계와 석유수요 증가세 간의 괴리가 지속되며 고공행 진지속 - 사우디 아라비아를 제외하고는 석유증산 및 추가 공급능력이 한계가 있음 - 유사원유(샌드오일, 쉐일오일 등)의 발굴에 막대한 비용이 들 뿐 아니라, 환경오 염 문제로 인한 경제 사회적 비용이 발생 - 반면 세계석유 수요, 특히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수요 급증세 지속 낙관적 견해 : 수급상황이 안정적이며, 단지 테러 위협 및 투기로 인한 급등으로 서향후하향안정 - 신규유전 개발 여지가 충분하며 유사원유도 경제성을 보유 - 기술 발전에 따라 석유발견 및 개발비용이 하락하고 可 採 率 도 지속적으로 높아져 수요증가분을 충족시킴 - 단지 이라크 사태, 베네수엘라 정정불안 등이 일시적으로 유가상승을 야기
고유가로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선진공업국들의 경우 과거보다 유가 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작겠지만, 어느 정도의 충격은 불가피 - 원유수입 비중 저하와 에너지사용 효율 제고로 유가 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 ㆍOECD 선진국의 석유 순 수입이 1973년 2002년 기간 중 14% 감소 ㆍOECD 회원국들의 원유 수입액은 2003년 2,600억 달러로 전체 GDP의 1%를 차지 유가 상승의 폭이 크고 장기화될 경우,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경제가 재침 체될 가능성이 있음 - 유가 10달러 상승시 OECD 회원국의 성장률은 0.4% 포인트 하락 - 유가(WTI)가 70달러 이상 급등할 경우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 유가 10달러 상승이 OECD 선진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04 2005 GDP (%p) -0.4-0.4 소비자물가지수 (%p) 0.5 0.6 실업률 (%p) 0.1 0.1 경상수지 (10억 달러) -32-42 자료: International Energy Agency(2004), "Analysis of the Impact of High Oil Prices on the Global Eonomy". 신흥공업국들의 경우 유가 급등의 부정적 충격이 심각 - 개도국의 경우 대체로 선진국에 비해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갖고 있 으며 에너지 사용 효율도 낮음
- 유가 급등시 교역조건 및 국제수지가 급격히 악화되어 외채문제가 심각해 질가능성 ㆍ달러 환율 상승과 국제금리 상승으로 원유 수입 및 부채에 대한 원리금 부 담이가중되며재무건전성이악화 - OECD/IEA의 추정에 따르면, 원유 10달러 상승시 아시아 非 산유국의 성장 률은 0.8%p, 중남미 국가는 0.2%p 하락 내수부진과 수출둔화를 초래 우리 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해 석유의존도가 높아서 유가급등에 매우 취약한 구조 - 우리 나라의 경제규모는 세계 13위이지만, 에너지 소비량(2003년 230만 배럴/일)은 세계 7위 ㆍ에너지 소비량 순위 :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러시아, 인도, 한국 順 - 한국기업들의 에너지 탄성치(생산 1단위 증가에 필요한 추가 에너지)는 1.21로 선진국의 2 3배 수준(미국 0.38, 영국 0.46, 일본 0.52) 유가상승은 수출에 악영향을 미쳐서 수출호조가 내수부진을 보전하고 있는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 - 유가상승으로 인한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수출경쟁력 약화로 수출성장세가 둔화 ㆍ선진국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각국의 중앙은행이 인플레 억 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 ㆍ유가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로 수출경쟁력이 약화
- 고유가는 그 자체로 국내소비자들의 구매력 감소를 초래하고 내수부진을 심화시킴 유가급등 배경과 향후 전망 우리의 경우 유가가 10달러 상승할 경우, 경제성장률은 1.34%p 하락하고 소비자물가는 1.7%p 상승하고 무역수지는 80.9억 달러 악화 - 2004년 2/4분기에는 원유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교역조건악화로 실질 GDI(국내총소득)가 4.5% 성장에 그쳤음(경제성장률을 1%p 하회) 유가상승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경제성장률 (%p) 소비자물가 (%p) 무역수지 (억 달러) 배럴당 10달러 상승시 -1.34 1.70-80.9 주: 1) 유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Dynamic OLS모형으로 추정 2) 유가가 무역수지, 성장에 미친 영향은 각각 총수입내 비중, 수입의 GDP에 대한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시산 자료: 삼성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