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9E6BCDBBFB5BBF3C4DCC5D9C3F7BBEABEF7BDC7C5C2C1B6BBE728352E37C1F8C2A5C3D6C1BE292E687770>



Similar documents
< B8A65FC5EBC7D15FBBE7B1B3C0B0BAF15FC0FDB0A85FC8BFB0FABAD0BCAE2E687770>

C o n t e n t s 낮은 곳을 향한 연대 비정규노동자의 목소리 격월간 비정규노동 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인 수많은 비 정규노동자들의 가슴이 되고자 합 니다. 격월간 비정규노동 은 2001년 5월 창간 이후 지금까지 차별과 고용불 안이 일상화된 노동

¿©±âÀÚ-À¥¿ë.PDF

미디어 역시 격동의 역사를 경험했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 통제에 이어 1981년 신군부는 역사적으로 유례없는 언론 통폐합 을 단행해 언론에 재갈을 물렸다. 그러나 1987년 민주화 운동으로 언론 기본법 이 폐지되고 정기 간행물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었다(198

< D3238C2F728C1A4B1E22920B9DFBEF0B3BBBFEB28B0F8B0B3292E687770>

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ePapyrus PDF Document

분 기 보 고 서 (제 22 기) 사업연도 2014년 01월 01일 2014년 03월 31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4년 5월 15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와이티엔 대 표 이 사 :

090626_미디어발전위(민주당).hwp

°æÁ¦Àü¸Á-µ¼º¸.PDF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 C1D6BFE4C5EBB0E820B9D720C0DAB7E120C3D6C1BE2E687770>

정책자료14-01(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hwp

untitled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INDUS-8.HWP

CONTENTS.HWP

< C3E2C6C7BEF7B5EEC3D6C1BEBAB8B0EDBCADC0CEBCE2BFEB312E687770>

Version 7.0 ID ( 1 )?.. 33 ( ) 34 ( ),.. ID# ( ) ( ) / ( ) ( ) ) (,,, ) 2) (,,,,,, ) SQ1. 3) (,,,,,,, ) 4) (,,,,, ) SQ2. 1) 2) SQ3. : ( ) 18, 59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제 출 문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연구용역사업 공공갈등의 정치화 경로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년 12월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박 성 완 II

Sector report focus 리포트 작성 목적 유료방송 경쟁 현황 분석 및 투자 매력 높은 업체 선정 유료방송 시장은 성장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데 부가서비스, 플 랫폼 매출 증가로 시장 규모의 성장 추세가 이어진다는 근거 제시 핵심 가정 및 valuation

25 [유선부문] 최근 유선통신서비스시장은 1) 유무선 대체현상에 따른 유선전화시장의 부진 및 2) 방송시장과의 컨버젼스를 통한 신사업 확대 등의 환경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유선통신시장의 마이너스 성장 지속 음성통신시장은 이동통신서비스의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9월 14일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2001년 8월 31일에 코스닥시

경제관련 주요 법률 제,개정의 쟁점 분석.doc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와이티엔이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YTN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방송법에 근거하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등을 영위하는 목적으로 1993년 9월 14일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2001년 8월 31일에 코스닥시

Microsoft Word - Media_outlook_2013_K_FinalFinal-A.doc

광고 시장의 변화와 미디어 노동

정책연구13-63.hwp

<38BFF93232C0CF28BFF92920C0E7B3ADB0FCB8AE20C1BEC7D5BBF3C8B BDC320C7F6C0E7292E687770>

ePapyrus PDF Document

세계 비지니스 정보

(095-99)미디어포럼4(법을 알고).indd

<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정치

/

NCA ISSUE REPORT 제12호( ) Ⅰ. 서론 Ⅱ. 컨버전스 : 디지털 콘텐츠 시장 변화의 동인 Ⅲ.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Ⅳ. 결론 및 시사점 작성 : 한국전산원 정책분석홍보팀 홍효진 선임연구원 문의 : , h

02_±èº´µµöKš

2 _ 한국방송기자클럽회보 개표방송 2006년 6월 7일 수요일 _ 제82호 유비쿼터스 출구조사를 캐치프레이즈로 -개표방송 정밀분석- 이상열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석좌교수, MBC 보도본부장, 방송기자클럽 부회장 지난 5월 31일 치러진 제4회 전국 동시지방선거는 200

자료1 분기별 시청률 추이 (%) 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 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


2016년 제35차 통신심의소위원회 회의록(심의의결서,공개,비공개).hwp

Microsoft Word _0.doc

2 조선 동아 `대통령 선거 개입' 두둔 중앙일보의 < 새누리 150석은 건지겠나 청와대 참모들 한숨뿐>(3/14, 6면) 보도 역시 집권 4년차에 접어든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 주도권을 쥐려면 4 13 총선에서 새누리 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필수적 이라는 분석과

05-28-여름-기고

<BFDCB1B9C0CE20C5F5C0DAB1E2BEF7C0C720B3EBBBE7B0FCB0E82E687770>

콘텐츠진흥원-코카포카스1호.indd


2 드라마가 그린 전통시장, 우리의 삶과 희로애락을 담아 주인공 삶의 공간됐던 한약방ㆍ짜장면 가게ㆍ야채가게의 현재 모습은? TV 드라마에는 종종 전통시장이 등장한다. 주인공의 삶의 터전이 되기도 하고 주요한 만남이 이뤄지는 장소로도 쓰인다. 전통시장을 오가는 사람들만

성도


1월16일자.hwp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C6EDC1FD2E687770>

174

00-1표지

71호 한소리.indd

Microsoft Word - IT기획시리즈.doc

96부산연주문화\(김창욱\)

<33B1C7C3D6C1BEBABB28BCF6C1A42D E687770>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이 된 것은 아닌지. 떠난 내 동기는 이 회사가 결코 자랑스럽지 않았다. SBS 황성준 교양PD가 그와 입사동기인 예능PD 3명이 중앙일보 종편 jtbc로 이직하자 8월 24일자 SBS노보에 실은 기고문의 한 대목이다. 황 PD는 동료들의 이직 사유를 돈 이 아닌 끝나

150

081209기자회견.hwp

10월 1일자 정책지.hwp

<C1DFB1DE2842C7FC292E687770>

(A) 8 2. (B) 9 3. (C) (D) (A-1) (A-2) (B-2) (B-3) (C-1) (C-2-1) ( 3, D-1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세계표준과 동떨어진 낡은 족쇄가 마침내 풀렸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박재완입니다. 방송법, 신문법,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IPTV법) 등 이른바 미디어산업발전법 개정안이 7월 22일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로써 1980년대 군사정권의 언론통

정책 hwp

ePapyrus PDF Document

이 보고서는 2014년도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발전기금 방송통신 융합 정책연구사업의 연구결과로서 보고서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 이며,방송통신위원회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3정충식.hwp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5B33B9F8B0FAC1A65D20B9E6BCDBBDC9C0C7BDC3BDBAC5DB20B0B3BCB1B9E6BEC8BFACB1B82DC3D6C3D6C1BE2E687770>

2011 Broadcasting Industry White Paper 월간지 기사들 및 방송기사들의 제목과 주요 학회지 논문들의 초록들을 분석해 만들어졌다. 전문 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시 이 목록에 있는 11개 이슈들을 제시하였고, 추가적으로 이 이슈들 이외에

Microsoft Word _team1_한국경제TV.doc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 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 BFECBCB1B5B9BABDC2F7BBF3C0A7B0A1B1B820B9DFB1BCC1F6BFF8BBE7BEF720BEC8B3BB28C8A8C6E4C0CCC1F6BFEB292E687770>

Microsoft Word - 합본_Consumer_Special_ doc

미디어/통신서비스 Summary 유료방송은 미디어와 통신서비스의 하이브리드 산업 유료방송은 미디어 산업의 밸류체인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과 콘텐츠 유통을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 통신서비스와 유사한 월간 구독료(월정액) 과금 모델을 갖고 있어 꾸준한 현금흐름을 기록한다.

제 출 문 중소기업청장 귀하 본 보고서를 중소기업 원부자재 구매패턴 조사를 통한 구매방식 개선 방안 연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단 장 최 정 훈 연구책임자 : 이재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부교수) 공동연구자 : 노성호


<BCB1B0C5B9E9BCAD5F C0CEBCE2BFEB292E687770>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untitled

< FC7D1B1B9C1A4BAB8B9FDC7D0C8B D332E687770>

2 조중동 `친노 운동권 배제' 종용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정청래 의원 등 구체적 인물을 특정 하며 노골적 낙천여론을 조장해왔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그저 감정적인 이유만을 들이대며 악의적 주장을 퍼부은 것 에 불과하다. 이들이 제시하는 기준이 친노 운동권, 막말,

2010회계연도 결산시정요구사항 조치결과 분석

요 약 문 이 보고서의 목적은 매체 환경 다변화에 따른 방송 시장 구조 변화 및 매체 간 경쟁 환경 특징을 분석하고,국내 매체 규제 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주요 국가의 방송 매체 간 경쟁 활성화를 위 한 규제 정책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케이블TV

[96_RE11]LMOs(......).HWP

사 업 보 고 서 (제 23 기) 사업연도 2013년 01월 01일 2013년 12월 31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4년 3월 31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면제사유발생 : 주권상장법인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케이티하이텔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미디어스포츠 2.0 패러다임과 수용행태 변화 1. 미디어2.0환경과 미디어스포츠2.0 일반적으로 스포츠시장은 크게 1차, 2차 시장으로 구분된다. 1차 시장은 운동선 수(경기인) 시장, 관람객 시장, 자원봉사 시장, 용품 및 장비/설비 시장으로 구분되 며, 2차 시장은

언론중재01-119

Transcription:

KOCCA 연구보고서 09-47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2009. 12 강익희 이세영

이 보고서는 국고 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들의 견해이며, 본원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목 차 제1장 서 론 3 1. 실태조사의 목적 및 구성 3 2. 방송콘텐츠산업 생태계의 변화와 조사대상의 범위 4 제1부 국내 방송영상콘텐츠산업 현황 9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3 1. 시장 규모 13 1) 방송콘텐츠사업자 13 2) 유료방송가입자 현황 19 3) 독립제작사 23 (1) 독립제작사 매출액 현황 25 (2) 매출액 구성의 유형별 비교 28 2. 인력현황 32 1) 방송콘텐츠사업자 32 2) 독립제작사 35 3. 뉴미디어 산업 현황 37 1) IPTV 37 (1) 시장상황 38 (2) 전망 39 2)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40 (1) 시장상황 41 - i -

(2) 전망 43 3) 동영상 UCC 44 (1) 서비스현황 44 (2) 전망 46 4) 블로그(Blog) 47 (1) 서비스현황 47 (2) 전망 48 5) 뉴미디어 주요 정책적 이슈 49 제3장 수용자 시장 53 1. 시청선호도: 매체별 장르별 53 1) 매체별 시청선호도 53 (1) 매체별 시청경험 53 (2) 매체별 시청시간 55 2) 매체별 장르선호 56 (1) 지상파TV 56 (2) 케이블TV 57 (3) 위성 TV 58 (4) 뉴미디어 선호장르 58 2. TV시청률조사에 따른 시청행태분석 63 1) 월별 지상파 TV 가구시청률 63 2) 요일별 공중파 TV 연평균 가구 시청률 64 3) 2008년 선호 프로그램 64 4) 지상파 방송국별 가구시청률 및 점유율 66 5) 장르별 가구시청률 및 점유율 67 - ii -

제4장 2009년 방송콘텐츠산업정책 71 1. 방송콘텐츠산업 규제정책 71 1) 미디어 관련법안 71 (1) 논의 배경 71 (2) 미디어 관련법안 통과 과정 72 2) 방송법상 진입 및 소유규제의 변화 75 (1) 논의 배경 75 (2) 2009 개정 방송법상 진입 및 소유 규제 변경 내용 77 3)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IPTV)법 개정 83 (1) 개정 배경 83 (2) 주요 개정 내용 84 4) 방송광고 대행제도의 변경 86 (1) 방송광고 판매대행 제도 변경을 위한 논의 과정 86 (2) 헌법 재판소의 위헌 결정 87 (3) 방송 광고 제도에 관한 논의 88 (4) 미디어렙 형태 등 쟁점에 관한 논의 89 (5) 미디어렙 관련 법안 발의 과정 91 (6) 국회 상정 미디어 렙 관련 각 법안 내용 개요 92 5) 간접광고, 가상광고의 도입 및 광고 심의 제도 변화 99 (1) 간접, 가상 광고의 도입 99 (2) 광고 사전 심의제도 폐지 101 6) 외주 제도 관련 법 변화 102 (1) 외주 제도의 개선 102 (2) 이경재 의원 발의 내용 104 2. 방송콘텐츠 진흥정책 107 1) 방송영상콘텐츠 제작기반 강화 108 (1) 최첨단 디지털제작시설 및 장비 구축 108 (2) 방송영상콘텐츠 제작비 지원 110 - iii -

(3) 뉴미디어 창작/제작기반 조성 112 2) 방송영상 전문인력 양성 113 3) 해외 방송유통 활성화 114 4) 연구/정보 인프라 구축 116 제2부 해외 방송콘텐츠산업 현황 119 제5장 세계 방송콘텐츠산업 현황 123 1. 세계 방송 콘텐츠 시장 현황 123 2. 지역별 방송 콘텐츠 산업 현황 124 1) 북미지역 전체 시장 규모 124 (1) 유료 TV 124 (2) 케이블 125 (3) IPTV 127 (4) 위성방송 127 (5) VOD와 PPV 128 (6) TV 광고 129 2) 북미지역 국가별 현황 130 (1) 미국 130 (2) 캐나다 136 3) 남미 지역 전체 시장 규모 139 (1) 유료 TV 139 (2) 케이블 141 (3) 위성방송 142 (4) IPTV/ VOD 142 (5) 모바일 TV와 DTT 144 (6) TV 광고 145 - iv -

4) 남미지역 국가별 현황 146 (1) 아르헨티나 146 (2) 브라질 152 (3) 멕시코 155 (4) 칠레 158 5) 유럽 지역 전체 시장 규모 161 (1) 유료 TV 162 (2) 케이블 163 (3) 디지털 TV 164 (4) IPTV 165 (5) DTH와 DTT 167 (6) 위성방송 170 (7) VOD 171 (8) 모바일 TV 173 (9) 공영방송 시청료 174 (10) TV 광고 175 6)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체 시장 규모 176 (1) 유료 TV 177 (2) 케이블 178 (3) 디지털 TV 180 (4) IPTV 181 (6) TV 광고 183 7)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별 현황 184 (1) 중국 184 (2) 일본 187 (3) 인도네시아 192 (4) 베트남 194 (5) 태국 196 (6) 대만 199 8) 중동 아프리카 지역 전체 시장 규모 201 - v -

제6장 2009년 국가별 주요 방송 콘텐츠 현황 211 1. 국가별 주요 프로그램 211 1) 미국 211 2) 중국 214 3) 일본 216 4) 프랑스 218 (1) 드라마, 예능 218 (2) 다큐멘터리, 시사 221 제7장 해외 주요 국가별 방송관련정책 현안 225 1. 미국 225 1) 새로운 연방통신위원회 체제와 '네트워크 중립성' 225 2) 미국 연방최고법원 텔레비전 방송 : '순간 욕설'에 대한 규제 승인 226 3)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시대 개막 226 2. 프랑스의 방송관련 규제정책 227 1) 방송 관련 규제정책 담당기구 228 2) 방송 소유 관련 규제정책 229 3) 방송 콘텐츠 관련 규제정책 231 4) 방송 제작, 편성 관련 규제정책 232 5) 방송 광고 관련 규제정책 233 3. 중국의 방송 규제정책 234 1) 기본 정책방향 234 2) 현행 법률규정 235 3) 콘텐츠 제작 관련 정책 237 4) 국제 콘텐츠교류 관련 정책 238 5) 인터넷 동영상 규제정책 238 6) 외설 콘텐츠 규제정책 240 7) TV 직판 광고 규제정책 241 4. 일본의 방송 규제정책 242 - vi -

1) 방송 법제 242 (1) 방송법과 전파법 245 (2) 유선텔레비전방송법 245 (3) 전기통신역무이용방송법 246 2) 방송 행정과 규제 감독기관 248 (1) 총무성 248 (2) 전파감리심의회 248 (3) 정보통신심의회 248 3) 방송 규제 248 (1) 구조적 규제 249 (2) 프로그램 규제 251 참고문헌 255 - vii -

표 목 차 <표 1> 방송산업실태조사의 분류체계와 한국표준산업분류 7 <표 2> 연도별 방송사업자 수 13 <표 3> 방송산업 매출 현황 15 <표 4> 방송산업 매체별 매출액 16 <표 5> 방송광고매출 추이 19 <표 6> 유료방송 가입자 20 <표 7> 사업자별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2009년 12월말 기준) 21 <표 8> 지역별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2009년 12월말 기준) 21 <표 9> 독립제작사 조사 대상 현황 25 <표 10> 독립제작사 매출액 현황 개요 25 <표 11> 독립제작사 매출액 규모 구분별 매출액 현황 26 <표 12> 독립제작사 종사자규모별 매출액 현황 27 <표 13> 독립제작사 매출액 구성내역 현황 27 <표 14> 독립제작사 사업형태별 매출액 현황 28 <표 15> 전체 독립제작사 회사형태별 매출액 비교 29 <표 16> 전체 독립제작사 매출액 규모별 사업자수 및 매출액 비교 30 <표 17> 전체 독립제작사 설립연도별 매출액 비교 31 <표 18>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33 <표 19>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계속) 34 <표 20> 2008년 기준조사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현황 35 <표 21> 2008년 기준조사 매출액 규모별 종사자 현황 36 <표 22> 독립제작사 직무별 종사자 현황(2008년 기준조사) 36 <표 23> IPTV 가입자수 변화 ( 09.1~ 09.10) 38 <표 24> IPTV 사업자별 실시간 채널수 39 - viii -

<표 25> 지상파 DMB 단말기 판매현황 41 <표 26> 위성DMB 보급 추이(누계) 42 <표 27> 국내 동영상 UCC 서비스 현황과 특징 45 <표 28> 성별, 연령대별 전통매체시청경험률 53 <표 29> 성별, 연령대별 뉴미디어 시청경험률 54 <표 30> 매체별 이용시간 55 <표 31> 지상파 TV 주 시청 장르 56 <표 32> 케이블 TV 주 시청 장르 57 <표 33> 위성 TV 주 시청 장르 58 <표 34> 뉴미디어 시청 장르 60 <표 35> 뉴미디어 시청 장르(계속) 62 <표 36> 2008년 공중파 TV 상위 가구시청 프로그램 64 <표 37> 2008년 11월 방송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소유규제 완화 77 <표 38> 방송법 개정안 주요 내용 비교 81 <표 39> 미디어렙 관련 법안 주요 내용 비교 97 <표 40> 미디어 관련 법령들의 규제 내용 106 <표 41> 콘텐츠 관련 진흥정책 107 <표 42> 세계 방송시장 규모 및 전망 123 <표 43> 북미 지역 연도별 전체 TV 시장 규모 변화 124 <표 44> 북미 지역 국가별 유료 TV 서비스 가입자 수 125 <표 45> 북미 지역 국가별 유료 TV 서비스 수익 변화 125 <표 46> 북미 지역 국가별 케이블 서비스 가입자 수 변화 126 <표 47> 북미 지역 국가별 IPTV 서비스 가입자 수 변화 127 <표 48> 북미 지역 국가별 위성방송 서비스 가입자 수 변화 128 <표 49> 북미 지역 전체 TV 광고 시장 변화 129 <표 50> 미국 TV 시청가구 130 <표 51> 미국 케이블 관련 통계 131 <표 52> 부속 케이블 서비스 가입자 132 <표 53> 부속 케이블 서비스 가입자 132 - ix -

<표 54> 미국 사업자별 광대역 통합망 가입자 133 <표 55> 사업자별 IPTV 서비스 가입자 134 <표 56> 위성 서비스 가입자 변화 135 <표 57> 미국 내 사업자별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 변화 135 <표 58> 캐나다 방송 분야 분포 137 <표 59> 캐나다 사업자별 유료 TV 가입자 분포 138 <표 60> 남미 지역 연도별 전체 TV 시장 규모 변화 139 <표 61> 남미 지역 국가별 유료 TV 서비스 시장 규모 변화 140 <표 62> 남미 지역 국가별 디지털 TV 시청가구 수 140 <표 63> 북미 지역 전체 TV 광고 시장 변화 145 <표 64> Cablevison/ Multicanal 가입자 146 <표 65> 연도별 Cablevison의 분야별 통합 수입 147 <표 66> 아르헨티나 광대역 통합망 가입자 148 <표 67> 아르헨티나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 149 <표 68> 아르헨티나 방송사 151 <표 69> 브라질 플랫폼별 유료 TV 가입자 152 <표 70> 브라질 플랫폼별 유료 TV 가입자(%) 153 <표 71> 브라질 기술별 광대역통합망 서비스 가입자 수 154 <표 72> 멕시코 유료 TV 가입자 155 <표 73> 사업자별 유료 TV 가입자(2008년 말 기준) 156 <표 74> 칠레 유료 TV 서비스 보급률 159 <표 75> 사업자별 유료 TV 가입자 보유(%) 160 <표 76> 유럽 지역 연도별 전체 TV 시장 규모 변화 161 <표 77> 국가별 유료 TV 시장규모 변화 162 <표 78> 국가별 유료 TV 가입자 변화 162 <표 79> 2014년 서유럽 주요 TV 시청가구 플랫폼 164 <표 80> 2014년 서유럽 주요 국가 디지털 보급률(%) 164 <표 81> 동유럽 디지털 TV 보급률(%) 165 <표 82> 2014년 서유럽 주요 국가별 DTT 현황 168 - x -

<표 83> 2014년 동유럽 주요 국가 플랫폼별 TV 서비스 가입자 169 <표 84> 유럽 지역 전체 TV 광고 시장 변화 175 <표 85>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연도별 전체 TV 시장 규모 변화 176 <표 86> 주요 국가별 유료 TV 시장규모 변화 177 <표 87> 주요 국가별 유료 TV 서비스 가입자 수 변화 178 <표 88> 주요 국가별 유료 TV 수익 변화 178 <표 89> 주요 국가 케이블/ MMDS 성장 현황 179 <표 90> 2014년 플랫폼 별 주요 국가 서비스 이용자 180 <표 91> 2014년 디지털 TV 보급률(%) 180 <표 92>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IPTV 181 <표 93>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디지털 DTH 182 <표 94> 2014년 DTT 가입가구 183 <표 95>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체 TV 광고 시장 변화 183 <표 96> 중국 광대역 통합망 사업자별 분포 185 <표 97> J:Com 서비스별 가입자 변화 189 <표 98> 일본 광대역 통합망 가입자 기술별 분포 189 <표 99> Sky PerfecTV 개인 가입자 성장률 190 <표 100> 일본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 190 <표 101> 일본 상업 방송사 시청률(2008년) 191 <표 102> 인도네시아 주요 TV 사업자 193 <표 103> TrueVision의 가입자 소득 분포 197 <표 104> 태국 지역별 수익 198 <표 105> 아시아 케이블 TV 사업자 소득과 가입자 당 투자액(2004 ~ 2006) 200 <표 106> CNS 디지털 채널 구성 200 <표 107> 상위 20 유료 TV 사업자 가입자 수 205 <표 108> 2009년 미국 주요 프로그램 212 <표 109> 2009년 중국 주요 프로그램 214 <표 110> 2009년 일본 주요 프로그램 216 <표 111> 2009년 프랑스 주요 프로그램 (드라마, 예능) 218 - xi -

<표 112> 2009년 프랑스 주요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시사) 221 <표 113> 중국 방송 관련 기본규정 236 <표 114> 전파감리심의회의 이미지 244 <표 115> 주요 방송 통신법 체계 247 <표 116> 출자비율의 규제 250 <표 117> 프로그램 편집의 기준 252 <표 118> 방송의 인허가 제도 253 - xii -

그림목차 <그림 1> 방송매출액 추이 17 <그림 2> 중계유선과 DMB 매출액 추이 18 <그림 3>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22 <그림 4> 연도별 독립제작사 창업 현황 24 <그림 5> 2008년 방송산업 종사자 수 32 <그림 6> 월별 공중파 TV 가구시청률 변화 63 <그림 7> 요일별 연평균 가구 시청률 (단위 %) 64 <그림 8> 방송국별 가구시청률 및 점유율 66 <그림 9> 장르별 가구시청률 및 점유율 67 <그림 10> 미국 126 <그림 11> 캐나다 126 <그림 12> 2008년 현재 129 <그림 13> 2013년 129 <그림 14> 2008년 현재 145 <그림 15> 2013년 145 <그림 16> 2008년 현재 176 <그림 17> 2013년 176 <그림 18> 2008년 현재 184 <그림 19> 2013년 184 <그림 20> 중국 기술별 광대역 통합망 가입자 변화 185 <그림 21> 중국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 변화 186 <그림 22> 일본 케이블 서비스(자체 프로그램 생산) 가입자 변화 188 <그림 23> 인도네시아 사업자별 유료 TV 가입자 수 변화 192 <그림 24> 베트남 광대역 통합망 사업자별 가입자 수 195 - xiii -

<그림 25> TrueVision의 유료 TV 서비스 가입자 변화 197 <그림 26> 대만 케이블 TV 가입자 수 변화 199 <그림 27> 중동 아프리카 지역 유료 TV 시장 규모 202 <그림 28> 중동 아프리카 지역 유료 TV 가입자 203 <그림 29> 2002-2014년 중동 아프리카 지역 다채널 TV 가입자 변화 206 - xiv -

제1장 서 론

제1장 서 론 1. 실태조사의 목적 및 구성 본 조사의 주된 목적은 급변하고 있는 미디어 생태계가 방송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 하면서 2009년 대한민국 및 해외 방송콘텐츠산업의 주요현황 및 현안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가치사슬의 주요부문인 제작시장, 유통시장, 인력시장 그리고 수용자시 장의 주요 현황과 정책현안들에 대한 요약적인 기술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본 조사는 기존의 방송영상산업의 실태에 대한 분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전체적이고 전향적인 시각에서 방송영상산업을 살피고자 한다. 현재 가용한 방 송영상산업의 실태분석보고서인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이후 실태 조사)는 2000년부터 시작하여 장기간에 걸쳐 방송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는 통계청 승인통계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실태조사는 방송통신위원 회의 역무와 관련한 자료 즉 방송사업자(공중파사업자, 케이블사업자)에 대한 자료에 제 한되어 있어 TV프로그램 외주제작부문인 독립제작사와 최신 뉴미디어 등 중요한 미디어 산업의 변화를 조망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없지 않다. 본 조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방송영상산업의 전체적인 모습을 담기위해 독립제작 사 및 뉴미디어 부분까지 확장한 내용을 담고자 한다. 물론 독립제작사 부문이나 뉴미디 어분야에 대한 실태조사는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조건이 없지 않다. 예를 들어, 독립 제작사는 정확한 모집단의 파악이 어려우며 규모가 영세함에 따라 기업의 창업과 퇴출이 빈번하다. 또한 이 부문에 종사하는 프리랜서는 고용의 비정규성, 불안정성을 겪고 있는 등 정확한 현황파악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하지만 독립제작부문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적절한 조사방법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부족과 이들 부문이 갖는 정책과 산업적 중요성에 대한 낮은 평가 등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 조사는 현황파악과 더불어 이러한 문제적인 부 문에 대한 실태파악의 중요성도 함께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이전의 실태조사와는 달리 방송콘텐츠 산업에 관한 실태조사를 표방하고 있다. 미디어산업의 변화는 미디어가치사슬에서 콘텐츠의 중심성 을 부각시키고 있다. 어떤 콘텐츠도 어떤 플랫폼에서 소비될 수 있다는 콘텐츠의 개방화는 산업의 가치사슬에 제1장 서론 3

서 콘텐츠와 콘텐츠제작사의 위상을 제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분석의 중심에 드라 마, 다큐멘터리 등의 방송영상콘텐츠가 위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본 조 사는 매출, 유통, 종사자 등 시장현황뿐만 아니라 방송콘텐츠 수용행태 및 인기 TV프로그 램 현황 등의 실태도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방송콘텐츠의 제작, 유통에 있어 글로벌화가 진전됨에 따라 해외방송콘텐츠시장의 현황에 대한 정보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드라마 한류 로 대표되는 국내 방송콘텐츠의 해외시장진출을 위해서도 해외 방송콘텐츠시장의 정 보와 이해는 필수 불가결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본 조사는 1부에서는 국내 방송콘텐츠산업의 현황을 다루고, 2부에서는 해외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2. 방송콘텐츠산업 생태계의 변화와 조사대상의 범위 방송콘텐츠산업의 변화는 광범위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기술적, 경영적, 소비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 따라서 융합(convergence)라고 할 때 이는 단순 히 기술적인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의해 촉발되고 또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연관된 변화를 고려해야만 한다. 여기서는 이러한 변화의 주요내용의 본질 적인 측면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통해 방송콘텐츠 생태계의 변화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우선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등장은 기존의 방송서비스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그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과 콘텐츠의 변화, 이용자의 변화라는 급격하고 근본적인 변화는 기존의 지상파의 지배적 위치에 변화를 초 래하고 있으며, 다른 미디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방송콘텐츠생태계는 서비스의 관점에서는 개인미디어, 인터넷미디어 그리고 홈 네트워크의 세 가지 축에서의 변화로 촉발된다. 미디어 이용자의 개인화는 프로수머의 등 장으로 인해 미디어 가치사슬에서 생산과 이용의 수평적 관계가 형성되며, VOD나 PVR 등과 같은 개인편성이 증가하게 되며, 개인용 이동형 시청행태가 증가하게 된다. 인터넷 은 미디어 변화의 핵심 요인이 된다. 인터넷에서 비디오 제공 사이트의 급속한 확산, 비디 오를 이용한 Vlog의 증가, 팟캐스팅 등도 비디오 이용의 중요한 도구로 이용하게 된다. 더 나아가 인터넷을 통한 방송서비스인 IPTV는 세계 주요국에서 많은 가입자를 유치하며 주요한 미디어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홈네트워크는 가정의 모든 전자기기들이 통합 4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되어 미디어 소비나 생태계에 보다 개방된 환경이 만들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주요 사업자들의 역무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다. 지상파 방송사 업자들은 멀티미디어 사업자로의 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케이블사업자는 방송채널 을 중심으로 초고속인터넷, 전화를 제공하는 TPS사업자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통신사 업자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소싱, 개발, 관리를 전담하는 사업 조직으로 변모를 거듭하고 있다. 애플과 같은 컴퓨터사업자나 구글, 다음 등의 인터넷포 털 사업자도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노력하고 있다. 구글은 온라인 도서서비스 및 유투브를 통한 온라인비디오 시장에 이미 진출한 바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보다 근본적인 것은 개방화 와 경쟁의 심화라고 하겠다. 개방화 는 콘텐츠와 서비스의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우선 콘텐츠의 개방화는 다양한 플랫폼, 채널 및 분배방식을 통해 콘텐츠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도기적으 로는 기존의 플랫폼 특화된 콘텐츠의 위상이 급격히 감소하지 않을 것이지만 점진적으로 콘텐츠가 플랫폼을 지배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연예기획사나 독립제작사가 콘텐츠 단에서 수평적 통합을 늘임으로서 콘텐츠단의 힘을 증가시켜 플랫폼 영역으로 지배를 확 산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의 디지털화는 특정 플랫폼이나 미디어에 국한되지 않고 디지털 콘텐츠형태로 모든 플랫폼과 미디어를 넘나들게 되었고 그 결과 콘텐츠자체의 의미가 더 욱 중요하게 된다. 서비스의 개방은 번들링 서비스의 발전으로 나타나며 TPS나 QPS가 일반화되는 것이 다. 번들링은 미디어산업처럼 서비스의 융합이 용이한 산업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제공전 략으로서 시장지배력을 유지하거나 주변시장으로의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입된 것이다. 사업자간 서비스의 경쟁은 가격경쟁을 유발하고 서비스산업의 재편을 초래 한다. 사업자들은 가격경쟁으로만 어렵기 때문에 인수합병과 제휴를 통해 생존과 성장을 추구하고자 한다. 인터넷포털이 TV와 영상을 제공한다든지 함으로써 광고 및 서비스의 매출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네트워크개방은 유선(LLU(Local Loop Unbundling))과 무선(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네트워크의 개방으로 네트워크를 소유하지 않은 사업자에게 네트워 크를 대여하게끔 하는 것이다. 이는 이용사업자에게 자신의 사업 또는 타사업자에게 제공 하는 것과 부당하게 차별하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금한다. 예를 들면, 통신사업자가 pp 를 소유하는 경우 경쟁 pp에 대해 네트워크 접속을 거절하거나 케이블 사업자가 경쟁 매 제1장 서론 5

체인 통신사업자의 IPTV에 프로그램 공급을 거절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화와 더불어 미디어 산업의 규제도 변하고 있다. 서비스와 네트워크를 일 치시켰던 종래의 사전규제체계가 감소하고 사후규제와 경쟁규제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 고 있다. 수평규제체계가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기술과 서비스를 동일시하던 기술 특정적인 규제를 지양하고 기술 중립적 규제를 지향한다. 어떤 네트워크 도 어떠한 종류의 서비스와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종속적인 체계에서 기 술 중립적인 체계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수평적 규제체계의 도입은 규제완화로 이어질 것이고,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구분된 규제가 가능하고, 경쟁 활성화가 규제의 목표가 될 것이다. 수평적 규제는 네트워 크 중심의 정책과 규제방향으로부터 서비스 전달 중심의 규제로 변화하는 것으로 네트워 크와 기술과 관련 없이 자유롭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며 신규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 이다. 또한 서비스 중에서 방송서비스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IPTV는 미디어산업이 개방화, 수평화 되는 과정에서 탄생한 본격적 컨버전스 서비 스라는 의미를 갖는데, 네트워크 개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개방화를 통해 산업구조는 수평화가 이루어지고, 사업자간 M&A와 제휴가 증진되며 미디어 기업의 합종연횡이 지속 될 것이다. 미디어의 미래에서도 TV가 중요한 미디어 게이트웨이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 이며, 모바일 TV 역시 수익모델이 변하고 광고수입의 증가로 크게 성장할 것이다. 융합 환경 하에서의 개방화와 경쟁의 심화를 특징으로 하는 방송콘텐츠산업에 대한 성 공적인 비즈니스나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방송산업의 정의가 필요하다. 현재 공식적으로 활용되는 방송콘텐츠산업의 정의는 방송법에 근거한 <실태조사>사례와 통계청의 제9차 표준산업분류에서의 방송산업을 들 수 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방송산업은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의 하위체계로 구분된다. 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제조업에 속했던 신문, 잡지 등의 출판업(중분류 번호 58)과,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서비스업에 속했던 영화산 업과 방송업이 각각 영상, 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59) 과 방송업(60) 으로 변 경되고, 통신업(61) 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62)과 정보서비 스업(63)이 출판, 영화,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 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어 미디어 산 업의 융합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방송업은 라디오 방송업과 텔레비전 방송업으로 대별되며, 텔레비전 방송업은 지상파 방송업, 유선, 위성 및 기 6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타 방송업, 프로그램 공급업, 유선 방송업, 위성 및 기타 방송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관련 분야인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은 영상 및 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에 분류되 어 있으며 광고업은 전문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방송법에서 방송 을 방송프로그램을 기획 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공중(개별계 약에 의한 수신자를 포함하며)에게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 으로 정의하고 있 으며 텔레비전방송, 라디오방송, 데이터방송, 이동멀티미디어방송으로 구분하고 있다. 1) 방송통신위원회가 매년 수행하고 있는 <실태조사>에서는 이러한 방송법상의 구분을 준용하여 분류체계를 <표 1>과 같이 적용하고 있다. 2) 방송산업실태조사의 대상은 방송법에 의해 방송위원회의 허가를 받거나 등록된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표준산업분류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통신위원회에 방송채 널사용사업자로 등록되어 있는 홈쇼핑은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대분류 G(도매 및 소매업)의 기타 통신판매업(분류 기호 47919)에 해당하므로 방송산업실태조사 분류 기준으로는 방송산업의 범주로 포함하지만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을 준용하는 통계 청의 서비스업통계조사에서는 도매 및 소매업 에 포함된다. 사실 이러한 공식적인 방송산업에 대한 정의가 산업의 변화를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 다. 특히, 방송산업 변화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고 하겠다. 본 조사에는 기존 공 식적 자료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송산업범위를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는 한계 가 있다. 하지만 방송콘텐츠산업의 융합, 개방화 등을 고려하여 최근의 변화를 어느 정도 반영하였으며 특히, 디지털 TV, IPTV, 웹관련 콘텐츠시장 등 최근 사업과 정책에서 중요 한 연관성을 갖는 분야도 포함하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변화하는 산업의 모든 부분을 포괄하는 신축적이고 개방적인 산업에 대한 정의 는 쉽게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본 조사는 이러한 목적을 한꺼번에 달성하기 보다는 점진적 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탐색적인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결과 본 조사의 범위는 기존의 <실태조사>의 방송산업에 포함되었지만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외주제작 독립제 작사를 포함시켰으며, 변화된 시장에서의 새로운 서비스, 수용자, 콘텐츠 등 뉴미디어, 독 립제작사에 대한 다양한 조사를 참조하여 최근 방송콘텐츠산업의 변화와 경향을 종합적 으로 제공하려고 한다. 1) 방송법 제2조 (용어의 정의) <일부개정 2008. 2. 29> 2) 방송통신위원회, 2009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09, 9쪽. 제1장 서론 7

<표 1> 방송산업실태조사의 분류체계와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부구분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개정 방송산업 지상파방송업 6021 라디오방송 (공영,민영,특수) 601 텔레비전방송 (공영,민영) 602 지상파이동멀티미디어 방송 신설 유선방송업 60222 종합유선방송 (MSO, 개별SO) 60222 분리 중계유선방송 60222 분리 음악유선방송 60222 분리 위성방송업 60229 일반위성방송 60229 분리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 송 신설 프로그램제작 공급업 신설 방송채널사용사업 (일반,홈쇼핑,데이터) 60221 프로그램제작업 59114 기타방송업 60229 인터넷방송업 60229 분리 전광판방송업 60229 분리 기타방송업 60229 분리 관련산업 (산업분류) 방송전송업 기타전기통신업 61299 방송전송업(유무선) 방송배분업(유무선) 광고업(TV) 기타광고업 7139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9쪽. 8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제 1 부 국내 방송영상콘텐츠산업 현황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 시장 규모 1) 방송콘텐츠사업자 2008년 12월 현재 지상파텔레비전 방송사업자 3) 는 한국방송공사(KBS), 한국교육방송 공사(EBS), 문화방송(MBC), 부산문화방송 등 지역 MBC(19개 사), SBS와 KNN 등 지역 민영방송사업자(11개 사)를 포함하여 33개사다. 라디오 방송사업자(라디오 채널만 운영하 는 사업자)는 CBS, 경인방송 등 14개 사로 2008년 개국한 YTN라디오, 부산영어방송, 광 주영어방송이 포함되어 있다. 지상파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지상파DMB)는 지상파텔 레비전 사업자인 KBS, MBC, SBS 이외에 YTN디엠비, 한국DMB, 유원미디어를 포함하여 6개 사업자로 구성되어 있다. <표 2> 연도별 방송사업자 수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체 1,122 1,115 1,111 824 735 617 567 534 498 487 지상파 방송 40 41 42 42 43 46 49 49 50 53 유선방송 989 905 852 605 490 380 301 256 224 211 위성방송 - - 1 1 1 2 2 2 2 2 채널사용사업 42 121 165 123 159 144 173 187 188 187 전광판방송 51 48 51 53 42 45 42 40 34 34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01쪽(내용 일부 수정). 주1) 2004, 2005년은 6월말, 2006년은 4월말, 나머지 해는 연말 기준 주2) 지상파DMB는 지상파방송, 위성DMB는 위성방송에 포함 3) TV와 라디오 채널 동시 운영 또는 TV채널만 운영하는 사업자를 말함.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3

지상파방송은 사업 특성별로 공영방송, 민영방송, 특수방송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공 영방송사업자는 KBS, MBC와 19개의 지역 MBC, EBS를 포함하는 24개 사업자, 민영방 송은 SBS와 지역 민방을 포함하는 15개 사업자로 구성되어 있다. 종교방송은 기독교방송, 평화방송, 불교방송, 원음방송, 극동방송의 5개사업자를 지칭하며, 교통방송은 서울특별 시교통방송본부, 도로교통공단의 2개 사업자로 구성된다. 종교방송과 교통방송과 함께 국악 방송, 국제방송교류재단, 부산 영어방송재단, 광주 영어방송재단을 모두 포괄하여 특수방송으로 분류한다. 연도별로 방송사업자 수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2년 1,000여개에 달했던 방송사업자 수는 유선방송사업자 수의 감소로 인해 매년 줄어 2008년 말 현재 480여개에 달한다. 특 히 중계유선방송사업자 수의 감소가 가장 극심하여 2002년 600여 개에 달했던 중계방송 사업자 수는 종합유선방송사와의 인수, 합병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감하여 2008년 말 현 재 100여개에 불과하다. 100여개에 달했던 음악유선방송사업자 수도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의 경우 등록제가 도입된 2001년 이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03년 최대 119개에 달했던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합병으로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허가 차수별로 보면 신규로 사업에 진출했던 1차, 2차 사업자의 경우에 비해 중계유 선에서 종합유선으로 전환한 사업자인 3차, 4차 사업자 수의 감소율이 더 높은 특징을 보 익 있다. 2000년 42개 사에 달했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수는 2002년 165개 사로 급증하였으며 2008년 말 현재 187개사에 이르고 있다. 이는 허가제로 출발했던 채널사용사업자의 경우 2001년 등록제가 도입되면서 설립이 자유롭게 된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등록 이후 실제 로 사업을 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사업자 수가 해마다 증가했다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 고 있다. 위성방송사업자로는 2002년 개국한 한국디지털위성방송과 2005년 방송을 시작 한 위성이동멀티미디어사업자 TU미디어가 있다. 2008년 국내 방송사업자 총 매출액은 15조 9,946억 원이다. 이 중 방송매출이 미미한 데이터PP와 DP등록 통신사를 제외하면 10조 9,581억 원으로 2007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6.9% 증가했던 2007년의 성장세에는 못 미친 것으로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지상파의 광고비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에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 인다. 한편, 방송이외의 기타사업 수익을 제외한 방송사업 수익은 규모는 8조 6,276억원 이다. 14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매출액 9조 2,353억 원에서 일반PP(TV, 라디오)의 매출액은 2조 978억 원이며 홈쇼핑PP 5개사의 매출액은 2조 1,010억 원이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전체 매출액에서 이를 제외한 5조 365억 원은 데이터PP의 매출액으 로 이 중 69.7%에 해당하는 매출액은 통신사 2개사(LG데이콤, 에스케이브로드밴드)의 매 출이다. 이들 통신사의 방송관련 매출은 1억 원에 불과하며 데이터채널사용사업자의 방송 관련 매출을 모두 포함하여도 528억 원에 불과하므로 앞으로의 분석에서는 데이터PP의 매출을 제외한 일반PP와 홈쇼핑PP 매출만을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매출로 규정하여 분석 하고자 한다. 사 업 구 분 사업자 수 총 매출액1) 방송사업수익2) 지상파방송사업자 47 3조8,178억원 3조3,971억원 지상파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3) 6 171억원 160억원 종합유선방송사업자 103 2조4,018억원 1조6,795억원 중계유선방송사업자 108 164억원 63억원 일반위성방송사업자 1 3,870억원 3,608억원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1 1,193억원 1,142억원 방송채널 사용사업자 <표 3> 방송산업 매출 현황 홈쇼핑PP 5 2조1,010억원 1조5,533억원 일반PP(TV/라디오) 149 2조 978억원 1조4,476억원 데이터PP(DP) 31 1조5,278억원 527억원 DP등록통신사4) 2 3조5,087억원 1억원 소계 187 9조2,353억원 3조 537억원 전 체 453 15조9,946억원 8조6,276억원 전 체(DP, DP등록통신사 제외) 420 10조9,581억원 8조5,748억원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쪽(내용 일부 편집). 주1) 총 매출액에는 수신료, 광고, 기타 방송수익(협찬, 프로그램 판매수익 등), 방송 이외의 기타 사업수익(인터넷접속사업수익, 부동산 임대, 교재판매 등)이 포함됨. 주2) 방송사업수익은 총 매출액 중 방송 이외의 기타사업수익을 제외한 수신료 수익, 광고 수익, 협찬 수익, 프로그램판매수익 등이 포함되며 규모는 8조 6,276억원임. 주3) 지상파방송사와 동일 사업자인 지상파DMB사업자(KBS, MBC, SBS) 3사의 매출과 인력은 지 상파방송사업자에 포함됨. 주4) DP등록 통신사 : 데이터PP로 등록되어 있는 LG데이콤, SK브로드밴드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5

방송서비스 매출은 2000년 이후 방송사업자 수의 증가로 인해 매년 두 자리 수의 증가 세를 보였다. 특히 지상파의 경우 매출성장세가 둔화된 반면 유선방송과 채널사용사업의 매출 증가율이 높아 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는 홈쇼핑 의 상품판매수수료 증가와 종합유선방송의 인터넷 사업 수익의 증가를 일부 반영한 것으 로 실질적인 방송시장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제약이 있다. <표 4> 방송산업 매체별 매출액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방송서비스 매출액 5,057,473 6,164,966 9,523,362 7,136,569 7,772,805 지상파방송 3,098,456 2,972,257 3,636,594 3,548,193 3,544,816 유선방송 630,149 733,231 896,388 1,136,490 1,384,563 일반위성방송 - - 63,535 149,631 255,035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 - - - - - 방송채널사용사업 1,328,868 2,459,478 4,926,845 2,302,255 2,588,390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방송서비스 매출액 8,635,240 9,719,862 10,534,374 10,958,121 지상파방송 3,542,552 3,705,982 3,890,149 3,834,867 유선방송 1,597,366 1,862,511 2,152,764 2,418,187 일반위성방송 347,274 393,905 387,393 386,958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 21,550 88,756 119,718 119,310 방송채널사용사업 3,126,497 3,668,708 3,984,350 4,198,798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05-307쪽(일부 내용만 발췌). 주1) 2003년부터 기업회계기준 변경으로 홈쇼핑업체의 상품판매 매출 기준이 수수료로 바뀜. 주2) 2008년도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매출액은 데이터PP를 제외한 매출임. 주3) 2008년부터 매출액 구성항목이 변경되어, 제외된 구성항목은 - 로 표시. 주4) 2008년도 기타사업수익은 매출구분의 변경으로 방송수익 중 기타수익 과 기타사업수익 중 기타사업수익 항목을 합한 값으로 시계열 비교시 주의 필요. 방송매체별 최근 매출액 변화 추세를 살펴보자. 우선 전체 매출액 대비 지상파방송의 매출액 점유율은 매년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즉 2005년에는 전체 매출액의 16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41.0%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06년 38.1%, 2007년 36.9%, 2008년 35%로 점유율이 매 년 감소하고 있다. 라디오 부문에 비해 텔레비전 부문의 점유율은 2005년 36.8%에서 2006년 34.2%, 2007년 31.8%, 2008년 30.1%로 감소폭이 더 컸다. 반면 종합유선방송사의 매출액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즉 2005년 18.3%에서 2006년 18.7%, 2007년 20%를 넘어서서(20.3%) 2008년에는 21.9%를 점유하 고 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매출액 점유율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5년 36.2%를 차지하고 있던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매출액 점유율은 2006년 37.2%에서 조금 씩 증가하여 2008년에는 38.3%에 이르고 있다. 일반위성방송의 경우 출범 이후 2006년 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갔으나 2007년 이후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008년의 경우 전년 대비 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방송매출액 추이 45,000 40,000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41,988 39,843 36,687 31,265 31,769 33,284 33,474 32,994 24,018 21,358 18,467 15,818 5,063 5,341 3,656 5,184 3,870 3,473 3,935 3,874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지상파(TV ) 지상파(라디오) 방송채널 종합유선 일반위성 (단위:억원)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21쪽. 주1) 지상파방송 라디오 매출액의 경우, 2005년은 서울시교통방송본부(TBS)와 도로교통공단(TBN) 의 예산(1,300~1,500억원)이 매출액에서 제외되었고 2006년과 2007년은 매출액에 포함되었 으며, 2008년은 TBN(1300여억원)만 포함되었음. 중계유선방송의 최근 4년간 추이를 보면 소폭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부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의 경우 인터넷사업 등 사업다각화로 인한 효과로 보인다. 2005년 출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7

범한 위성DMB의 경우 최근 들어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으며 2008년의 경우 전년 대비 소 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DMB의 경우 2006년 출범 이후 위성DMB와 같은 급속 한 성장세는 보이지 않고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림 2> 중계유선과 DMB 매출액 추이 1,400 1,200 1,000 800 600 888 1,197 1,193 400 200 0 216 157 169 171 156 164 23 86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지상파DMB 중계유선 위성DMB (단위:억원)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21쪽. 광고매출은 방송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다. 전체 방송매출에서 광고가 차지하 는 비중은 지상파 방송사가 가장 높아 방송사 평균은 57.6%에 달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 홈쇼핑PP의 매출을 제외할 경우 41.7%, 홈쇼핑PP의 매출을 포 함할 경우 20.9% 수준이다. 그 밖에 유선방송은 4.9%, 일반위성 2.5%로 매우 낮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어 매체별로 큰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방송광고시장 규모는 2008년 말 현재 3조 2,115억 원으로 전년대비 4.6%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계경기 침체에 의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지상파방송의 감소 때 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방송의 광고비의 경우 2조 1,998억 원으로 전년대비 8.1% 감소하였는데 이로 인해 전체 광고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도 68.5%로 2003년 이후 가 장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18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지상파방송의 광고비 점유율은 지난 2003년 이후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종합유선방송은 1,175억 원으로 전년(983억원) 대비 19.5% 증가하였으며 방송채널사 용사업은 8,763억 원으로 전년(8,578억원)에 비해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방송광고매출 추이 (단위 : 억원) 연도 지상파방송 지상파 DMB 종합유선 일반위성 위성DMB 방송채널 합계 2005 24,021-942 72 2 5,710 30,747 2006 24,676 11 866 120 5 7,181 32,859 2007 23,925 31 983 118 21 8,578 33,657 2008 21,998 41 1,175 97 41 8,763 32,115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22쪽. 2) 유료방송가입자 현황 케이블방송이 1995년 도입된 이후 채널티어링제 도입과 수평적 결합 허용, 중계유선방 송의 SO 전환 등의 성장정책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시장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저 가 티어상품의 도입으로 가입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2002년 위성방송의 도입으 로 유료방송시장은 더욱 성장하여 전체가구의 90% 가까이 유료방송에 가입하는 결과를 낳았다.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매년 증가하여 2008년 말 현재 1천7백오십만 가입자에 달 하며 이 중 종합유선가입자가 1천5백만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말 7백만에 육 박했던 중계유선 가입자 수는 종합유선으로의 전환과 인수, 합병에 따라 현재는 20만에 불과하다. 2002년 도입된 위성방송은 빠른 기간 내에 급속히 성장하여 2백3십만에 달하 고 있다. 케이블 가입자의 경우 전형적인 S자 커브를 나타내는 성장곡선모형을 따르고 있 으며 위성방송 가입자의 증가세도 둔화되어 현재 유료방송시장은 포화에 가까운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19

<표 6> 유료방송 가입자 (단위 : 단자수 기준) 구 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유료방송 전체 11,748,883 10,906,173 11,973,580 12,778,347 종합유선 4,843,164 5,844,118 6,911,514 9,401,606 유료가입 2,887,845 5,614,017 6,614,417 8,966,532 무료가입 1,955,319 230,101 297,097 435,074 중계유선 6,905,719 5,062,055 4,523,018 2,322,846 일반위성방송 - - 539,048 1,053,895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유료방송 전체 15,179,121 16,032,739 16,189,749 16,886,067 17,568,178 종합유선 13,012,991 13,876,533 14,067,681 14,533,965 15,013,227 유료가입 12,624,289 13,612,356 13,765,713 14,250,169 14,802,694 무료가입 388,702 264,177 301,968 283,796 210,533 중계유선 513,875 300,966 172,877 200,220 216,573 일반위성방송 1,652,255 1,855,240 1,949,191 2,151,882 2,338,378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11쪽. 주1) 종합유선방송의 가입자 수는 종합유선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시설(단자)을 설치한 TV수상 기 대수를 기준으로 함. 따라서 단수 수신자는 물론 2대 이상의 TV에 수신시설이 설치된 복수 수신자도 모두 가입자 수에 포함됨. 주2) IPTV 가입자 제외 2012년 말 지상파 아날로그방송 종료(디지털 전환)를 앞두고 유료방송에서의 디지털화 도 진행 중이다. 종합유선방송의 디지털 가입자 추이를 살펴보면 2007년 말 85만에서 2008년 말 191만, 2009년 6월 말 현재 233만으로 그 증가 속도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 다. 이에 따라 종합유선방송의 아날로그 방송 가입자는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2008 년말 현재 1,310만 명으로 2007년에 비해 4.2% 감소했다.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을 가입자 대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2009년 말 현재 전체 가입자 수는 2,670,06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자 별로 봤을 때는 CJ헬로비전이 784,507로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씨앤앰의 가입자 수가 740,885로 많았다. 20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표 7> 사업자별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2009년 12월말 기준) 출처 : 케이블TV협회(2009) 사업자 (M)SO 가입자(대수 기준) CJ헬로비전 784,507 씨앤앰 740,885 티브로드 464,454 HCN 295,713 GS계열 164,689 CMB 29,342 온미디어 28,063 개별 SO 162,409 합계 2,670,062 디지털 케이블 TV방송 가입자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역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서울, 경기, 인천, 경남, 부산 지역의 디지털케이블TV가입자 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탔으며, 그 중 서울은 1,177,917대수가 가입하여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광주, 전남, 제주 지역의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수는 10,000 이하로 매우 저조하였다. <표 8> 지역별 디지털케이블TV방송 가입자 현황(2009년 12월말 기준) 지 역 가입자(대수 기준) 서 울 1,177,917 부 산 241,193 대 구 42,975 인 천 189,555 광 주 5,680 대 전 15,784 울 산 57,109 경 기 485,525 강 원 14,861 충 북 54,280 충 남 26,949 전 북 18,746 전 남 8,894 경 북 47,732 경 남 239,599 제 주 43,263 합 계 2,670,062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21

한편 2008년 말 서비스가 도입된 IPTV 가입자는 2009년 6월 말 현재 169만 명으로 이 중 실시간 방송 가입자 수가 46만 8천명, VOD서비스 가입자 수가 122만 명이다. <그림 3>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501 1,514 1,453 1,368 1,310 1,281 종합유선 전체 종합유선 아날로그 191 233 215 234237 169 85 20 22 23 종합유선 디지털 중계유선 일반위성방송 IPTV 2007년 12월 2008년12월 2009년6월(단위:만명)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4쪽. 초기에 유료방송시장 성장을 견인했던 저가 티어가입자의 경우 디지털상품 도입 등으 로 그 숫자가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도 유선방송가입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티어가입 자의 경우 2006년 말 1천2백만 가입자에서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2009년 6월 말 현재 1천만에 달해 아직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기본가입의 경우 2006년 174먼에서 2007년 249만, 2008년 473만으로 점차 그 비중이 커지고 있다. 유료방송 서비스는 지역별로도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종합유선의 경우 2009년 6월 말 기준으로 서울이 318만 명으로 가입자가 가장 많고 경기도와 부산이 각각 312만 명과 124 만 명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중계유선은 부산(6만 5천 명), 경기도(5만 3천 명), 경상남 도(5만 명), 전라남도(4만 1천 명)의 순으로 지역 가입자가 더 많아 종합유선과 대조를 보 이고 있다. 일반위성은 경기도(63만 9천 명)와 서울(33만 9천 명)이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인프라 구축 등을 이유로 아직 지역으로 서비스가 충분히 확대되지 못하 고 있는 IPTV 역시 경기도(44만 5천 명)와 서울(37만 9천 명), 부산(11만 7천 명)이 가장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22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유료방송사업자의 경우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매출을 높이기 위해 방송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와 위성방송사업자, 최근 등장한 IPTV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 게임, 음악, 주문형비디오(VOD), 온라인 교육서비스, 보안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이 이러한 부가서비스에 해당한다. 유료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기장 기본적인 서비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한 방송프로그램 공급이다. 종합유선방송의 경우 2009년 6월 현재 운영채널은 아날로그 방송 채널이 평균 75개이며, 디지털 방송 채널은 평균 156개이다. 디지털방송의 경우 비디오 채널이 평균 123개, 오디오 채널이 평균 26개, 데이터채널이 평균 7개인 것으로 나타나 비디오 서비스 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계유선방송사들의 운영 채널은 평균 23.7개로 종합유선방송사와 격차를 보이고 있는데, 지상파 채널이 평균 6개, 녹화방송이 4개, PP채널이 12개, 공지채널이 1개로 나타났다. 일반위성방송사인 Skylife는 총 256개의 채널을 제공하여 가장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 자에게 서비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널 구성은 PP Video 채널 79개(36.9%)로 가장 많 고, 지상파 채널이 49개(22.9%), 음악채널 40개(18.7%)의 순이었고 PPV 채널과 해외위 성채널이 각각 20개, 13개로 나타났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이 가입자당 매출을 높이기 위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중에서 매 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인터넷 접속 서비스이다. 유선방송사업자의 경우 직접, 또는 통 신회사와 제휴 방식으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운영하는 사업자는 종합유선방송의 경우 총 82개 사업자로 가입자 수가 248만 명이 며 중계유선은 11개 사업자로 14만 8천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었다. 제휴업체별로는 SK브로드밴드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가장 많은 20만 9천 명이며, 파워 콤을 이용하는 가입자 수가 7만 9천명,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수가 5만 4천 명 으로 나타났다. 3) 독립제작사 2008년 말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 사업자로 등록된 국내 독립제작사의 수는 1,048개 이며, 이들 업체들의 창업 연도를 나타낸 것이 <그림2-4>이다. 이를 살펴보면, 1998년 이전에 창업한 168개 업체를 제외하고 1999년 이후에 가장 많은 창업이 이루어진 때가 바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23

로 2000년으로 총 136개 업체가 이 해에 창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도는 통합 방송법의 통과로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이 제도적으로 완성된 해이며, 위성방송에 대한 법 적 근거가 마련되어 위성방송 사업자의 신규 선정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 대한 등 록제 전환이 곧 예견되었던 때이다 4). 즉 방송영상물을 공급하는 신규 방송사업자의 출범 이 예견되면서 방송영상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보다 많은 독립제작 사가 창업한 것이다. 한편 가장 많은 창업이 이루어진 2000년 이후 2006년까지는 꾸준히 80~100여개 업체의 창업이 이루어지다 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4> 연도별 독립제작사 창업 현황 2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168 (16%) 91 (8.7%) 136 (13%) 85 (8.1%) 88 (8.4%) 90 (8.6) 81 (7.7%) 100 (9.5%) 89 (8.5%) 71 (6.8%) 49 (4.7%) 98이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문화체육관광부에 신고하여 등록된 독립제작사가 1,048개라고는 하나, 현재 방송영상 물을 제작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독립제작사는 등록 사업자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추 정된다. 2008년을 기준으로 한 실태조사에서는 2007년도 실태조사에서 접촉이 가능했던 589개 업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진행을 위하여 589개 업체들의 조사 당시의 운영 상황을 검토해본 결과, 이 중 폐업이나 휴업 상태인 경우가 11개, 더 이 상 방송영상물을 제작하지 않고 업종을 변경한 사업자가 83개 등 198개 업체가 접촉이 4) 2000년 통합방송법 제정 이후 PP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그 당시까지 승인을 받도록 되어 있는 인허가 방식을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사업이 가능한 등록제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 었다. 이에 따라 방송법이 개정되고 2001년 3월부터 PP사업에 대한 등록제가 시행되었다. 24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불가능한 상태였다. 따라서 등록된 업체들 중 이미 상당수는 방송영상물 제작 사업을 수 행하고 있지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표 9> 독립제작사 조사 대상 현황 (단위:개) 모집단수 * 폐업 또는 휴업 사업자 폐업/휴업 업종변경 결번 비수신 확정 모집단수 조사완료 사업체수 회수율 589개 11개 83개 69개 35개 391개 317개 81.1% * 전년도 조사(2007년 기준)에서 운영중인 사업자수 (1) 독립제작사 매출액 현황 2008년 말을 기준으로 한 실태조사에서 접촉이 가능했던 391개 독립제작사의 총 매출 액은 7,274억여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를 1개사당 평균으로 산출하면 약 19억 원 정도 이다. 또한 391개사에 종사하는 총 종사자수 4,724명을 기준으로 1인당 매출액을 산출하 면 8천 8백만 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 분 <표 10> 독립제작사 매출액 현황 개요 사업체수 (개) 매출액 (백만원) 종사자수 (명) 사업체당 평균매출액 (백만원) (단위:계, 백만원, %) 1인당 평균매출액 (백만원) 현 황 391 727,411 4,724 1,860 88 한편 매출액 규모를 구분 기준으로 하여 독립제작사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업체수와 해 당 업체들의 매출액 합계를 산출해 보면, 독립제작사들의 매출액과 관련한 좀 더 자세하 고 의미 있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8년 말을 기준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업체는 전체 391개 중 12개(3.1%)에 불과하다.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25

그러나 이들 12개 업체의 총 매출액은 약 4,071억으로, 조사된 독립제작사들 전체 매출액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56.0%에 해당된다. 반면 매출액 규모가 1~10억원 미만 인 업 체의 수는 248개로 전체에서 63.4%이나 이들 업체들의 매출액 합계는 957억원으로, 조사 에 응한 전체 독립제작사들의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2%에 불과하다. 여기에 2008년 말 기준 매출액 규모가 1억원 미만 인 업체들의 현황까지 합산하면, 매출액 규모 가 10억원 미만 인 독립제작사는 전체에서 77.7%(304개)에 이르나, 이들 사업체의 매출 액 합계는 1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독립제작사들의 매출액 현황을 그 규모별로 구분지어 분석해 본 결과, 독립제작사들 간에 일종의 양극화 현상이 확연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본금 현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록 1개사 당 매출액 평균은 19억 원이나, 대부분의 독립제작사들은 10억원 미만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 나고 있는데, 이 역시 매출액 현황의 분포적 특징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11> 독립제작사 매출액 규모 구분별 매출액 현황 (단위:백만원, %) 구 분 1억원미만 1~10억원 미만 10~100억원 미만 100억원 이상 합계 사업체수 56개 248개 75개 12개 391개 매출액 합계 4,874 95,727 219,751 407,059 727,411 구성비 0.7% 13.2% 30.2% 56.0% 100.0% 독립제작사 대부분이 영세하며 이들의 매출액 비중이 낮다는 것은, 독립제작사들을 종 사자 규모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각 구분별로 매출액 합계를 집계하여 보아도 여실히 드러 난다. 다음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8년 말 기준으로 한 실태조사에 응답한 391개 기업 중 종사자수가 5인 미만인 경우가 151개이고, 5~9인 인 사업체가 117개였으며, 각 각 매출액 합계가 380억 원과 606억 원이었다. 결과적으로 종사자수가 10인 미만 인 사 업체가 조사대상 사업체의 68.5%에 이르는 반면, 이들의 매출액 비중은 조사대상 전체 독 립제작사들의 총 매출액의 1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종사자수가 50~99인 인 사업체가 15개, 100인 이상 인 경우가 2개로, 결국 50인 이상의 사업체 비 중은 4.3%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들 50인 이상 사업체들의 매출액 합계는 약 4,146억 정 26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도로 나타나, 조사대상 전체 독립제작사 총 매출액의 절반 이상(57%)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2> 독립제작사 종사자규모별 매출액 현황 (단위:백만원, %) 구 분 1~4인 5~9인 10~49인 50~99인 100인 이상 합계 사업체수 151개 117개 106개 15개 2개 391개 매출액 합계 37,991 60,556 214,234 337,102 77,528 727,411 구성비 5.2% 8.3% 29.5% 46.3% 10.7% 100.0% 독립제작사의 매출액은 영상물매출수입, 협찬금수입, 영상물판매수입, 매니지먼트 수 입, 기타 매출수입 등으로 구성된다. 매출액 부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영상물 매출수입 항목이었으며 약 4,314억 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59.3%를 차지했다. 다 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영상물 판매수입 으로 전체 매출액의 18.6%에 해당 하는 약 1,353억 원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타 매출수입 약 1,026억원 (14.1%), 협찬금 수입 427억원(5.9%), 매니지먼트 수입 154억원(2.1%) 순이었다. 이와 같은 2008년말 기준의 독립제작사들의 매출액 구성을 2004년의 구성과 비교해 보면, 수입원이 보다 다양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004년에는 방송영상물 매출수입인 프로그램 제작수입 이 전체의 70%를 차지했고 방송영상물 판매수입이 20%를, 그리고 자 체 보유 장비와 시설 임대, 유통 배급 대행, 마케팅, 홍보 대행, 매니지먼트 사업, 용역 등이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에 비하면 2008년 독립제작사의 기타 매출수입 은 협찬금 사업과 매니지먼트 사업을 제외하고도 14.1%를 차지해 그 비중이 높아졌다. 구 분 영상물 매출수입 <표 13> 독립제작사 매출액 구성내역 현황 협찬금 수입 영상물 판매수입 매니지먼트 수입 기타 매출수입 (단위:백만원, %) 합계 매출액 합계 431,355 42,699 135,298 15,494 102,565 727,411 구성비 59.3% 5.9% 18.6% 2.1% 14.1% 100.0%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27

한편 독립제작사의 매출액을 사업형태별 구성으로 살펴보면, 총 매출액의 거의 대부분 인 93.8%가 창작 및 제작 을 통한 매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유통/배급 과 제 작지원 및 기타 사업형태에서의 매출액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14> 독립제작사 사업형태별 매출액 현황 (단위:백만원, %) 구 분 창작 및 제작 제작지원 단순복제 유통/배급 기타 합계 매출액 합계 682,122 14,067-21,066 10,156 727,411 구성비 93.8% 1.9% - 2.9% 1.4 100.0% (2) 매출액 구성의 유형별 비교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독립제작사의 매출액은 영상물매출수입, 협찬금수입, 영상물판 매수입, 매니지먼트 수입, 기타 매출수입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독립제작사의 매출액 구성을 독립제작사의 회사형태와 매출액 규모에 따른 구분, 그리고 설립연도별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구성과 내용상 2007년 말을 기준으로 조사한 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참고로 이 조사 자료는 2007년 말 현재를 기준으로 한 정보들을 다루었으며, 실제 조사는 2008년 10월 20일부터 12월 15일 사이에 이루어졌고, 이 기간 동안 조사 완료된 것은 총 182개의 독립제작사들이었다. 따라서 매출액 구성의 유형별 비교 분석은 182개 독립제작사들의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1 회사형태별 매출액 비교 독립제작사의 회사형태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회사법인의 전체 매출액은 약 2,467억 원 규모이며, 1개사당 평균 매출액은 35억 원으로 다른 회사 형태 별 평균 매출액과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았다. 이에 비해 개인사업 형태의 독립제작사의 총 매출액은 약95억 원 수준이었고 1개사당 평균 매출액 역시 3억2천만 원에 불과했다. 이러한 조사결과로 볼 때 개인사업체 형태의 독립제작사는 매우 영세한 수준이며, 회사법 인 또는 법인사업부문의 독립제작사와 비교할 때 매출 규모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 타났다. 28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한편 매출액 구성을 사업형태별로 살펴보면, 먼저 회사법인의 경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매출항목은 영상물 매출로 이는 전체의 55%인 1,350억 원 정도였으며, 다음으 로는 약 520억 원 규모의 영상물 판매수입으로 전체 21%를 차지했다. 법인사업 역시 영상 물 매출수입이 전체의 82%에 해당하는 약 147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 으며, 다음으로 영상물 판매수입이 약 26억6천만 원으로 전체 15%를 차지했다. 개인사업 의 경우, 영상물 매출부분이 87억 원으로 전체의 92%를 차지했으며, 그 외에 영상물 판매 수입이 5억9천만 원으로 전체의 6%, 다음으로 기타 매출 수입(2%)이었다. 기타 법인은 약 9백만 원의 기타 매출수입(1%)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매출(7억원, 99%)이 영상물 매 출수입이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균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큰 회사법인 및 법인사업부 문 독립제작사일수록 영상물을 제작하여 매출을 달성하는 비중이 작고 다양한 형태의 매 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 개인사업 독립제작사는 대부분 영상물 매출수입에 의존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개인사업 독립제작사는 PP 또는 SO로부터 외주제작 을 위탁받아 이를 제작하여 대부분을 매출을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구 분 업체 수 <표 15> 전체 독립제작사 회사형태별 매출액 비교 영상물 매출수입 협찬금 수입 영상물 판매수입 매니지먼 트 수입 (단위:천원) 기타 매출 수입 총 매출액 1개 사업자 당 평균 개인사업체 46 8,709,330 0 590,000 0 215,000 9,514,330 328,080 회사법인 113 135,068,941 9,216,442 52,528,455 3,385,353 46,526,912 246,726,103 3,524,658 법인사업 21 14,781,683 0 2,699,717 17,400 449,399 17,948,199 1,282,014 기타법인 2 700,250 0 0 0 8,500 708,750 354,375 2 매출액 규모별 매출액 비교 독립제작사들의 매출액 규모별로 매출액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든 매출액 규모별 구분 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매출 항목은 역시 전체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상물 매 출 수입 이었다. 그러나 매출액 규모가 큰 기업에서는 대체로 매출수입의 출처가 비교적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29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 또한 확인된다. 매출규모 1억원 이상~5억원 미만 의 독 립제작사의 영상물 매출수입은 전체의 78%에 해당하는 약 89억9천만원으로 나타났으며, 매출규모 5억원 이상~10억원 미만 의 업체는 전체 매출에서 영상물 매출수입 이 전체의 86%인 약 86억원으로 나타나는 등 대부분의 매출수입의 출처가 영상물 매출수입이었다. 이에 비해 매출규모 10억원 이상~50억원 미만 의 독립제작사의 경우 영상물 매출 수입은 전체의 65%인 약 415억원이었으며, 매출규모 50억 원 이상 의 대규모 독립제작사의 경우 에는 영상물 매출수입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3%로 나타나, 대체로 앞에서 언급한 매출액 규모에 해당하는 업체들에 비해 영상물 매출을 통한 수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 았다. 매출규모 1억원 이하 의 독립제작사들의 경우에도 영상물 매출수입이 차지하는 비 중은 낮으나, 이들 업체들은 기타매출수입 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 또한 확연하다. 반면 매출규모 50억원 이상의 대규모 독립제작사들의 경우에는 그 미만의 매출 규모를 가진 업체들에 비해 영상물판매수입 이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표 16> 전체 독립제작사 매출액 규모별 사업자수 및 매출액 비교 구 분 업체수 영상물 매출수입 협찬금 수입 영상물 판매수입 매니지먼 트수입 (단위:천원) 1개 기타 매출수입 총 매출액 사업자당 평균 1억원 미만 15 245,850 0 70,000 15,000 183,150 514,000 34,267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1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45 8,992,702 0 1,270,000 17,400 1,258,027 11,538,129 256,403 14 8,670,801 0 50,000 0 683,200 9,404,001 671,714 31 41,557,610 5,145,364 8,060,084 0 9,071,433 63,834,491 2,059,177 50억원 이상 10 99,793,241 4,071,078 46,368,088 3,370,353 36,004,001 189,606,761 18,960,676 응답거절 67 0 0 0 0 0 0 0 30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3 설립연도별 매출액 비교 독립제작사 시장에서 비즈니스 노하우에 따라 매출액 구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 인하기 위하여 설립연도별로 독립제작사의 매출액을 비교해 보았다. 1999년 이전부터 설 립된 독립제작사, 그리고 유료방송 시장이 성숙되기 시작한 2005년 전후로 설립된 독립 제작사 간의 매출액 구성에서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가를 확인해 본 것이다. 우선 1981~1999년 설립된 독립제작사의 경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매출항목은 영상물 매출 수입으로 전체 59%를 차지한 약 187억원으로 조사됐다. 영상물 판매수입은 약 360억원으 로 전체의 19%를 차지했으며, 기타 매출수입은 전체의 16%에 해당하는 약 295억원으로 나타났다. 설립연도가 2000~2004년 에 분포된 독립제작사 역시 영상물 매출수입이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약 353억원으로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그 다음 순으로 기타 매출수입이 전체의 21%에 해당하는 약 197억원으로 조사됐다. 마지막 으로 가장 최근인 2005~2008년 에 설립된 독립제작사는 영상물 매출수입이 전체의 40% 에 해당하는 약 15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중은 기존 설립연도의 독립제작사와 비 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반면에 영상물 판매수입이 자치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의 38%에 해당하며 약 150억원으로 나타났다. 기타 매출수입은 약 67억7천만 원으로 전체의 17%를 차지했다. <표 17> 전체 독립제작사 설립연도별 매출액 비교 (단위:천원) 구 분 업체수 영상물 매출 수입 협찬금 수입 영상물판 매수입 매니지먼 트수입 기타매출 수입 총 매출액 1개 사업자당 평균 1981-1999년 48 108,111,690 7,100,031 36,083,563 3,370,353 29,533,074 184,198,711 5,417,609 2000-2004년 66 35,395,529 180,364 4,706,119 17,400 10,762,370 51,061,782 1,042,077 2005-2008년 65 15,504,985 1,936,047 15,028,490 15,000 6,771,367 39,255,889 1,266,319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31

2. 인력현황 1) 방송콘텐츠사업자 2008년 12월 말 현재 방송 산업 종사자 수는 2만 9,669명이며, 그 중 지상파방송사가 13,877명(46.8%)으로 절반 가까운 인력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채널사용 사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9,510명(32.1%) 이며 종합유선방송사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5,376명(18.1%)로 나타났다. <그림 5> 2008년 방송산업 종사자 수 종합유선 5,376명 중계유선 319명 일반위성 285명 위성DMB 166명 지상파 13,877 명 방송채널사용 9,510명 지상파DMB 136명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15쪽. 방송산업에 종사하는 인력 수는 2003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2008년 다시 증가 추세(2.6%)를 보였다. 그러나 2006년과 2007년의 경우 각각 전년 대비 1.1%, 1.3% 감소 를 보여 산업의 노동수요는 감소하거나 정체된 상황이며 따라서 고용유발효과를 기대하 기는 어려운 것처럼 나타난다. 32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전 체 종사자 구분 전 체 임원 관리 행정 기자 PD 방 송 직 아나 운서 제작 관련 기타 기술직 연구직 영업 홍보 용역 계약 2000.12 28,749 1,087 4,015 2,140 2,871 574 2,453-8,311 1,901 3,466 1,931 2001.12 29,107 1,327 4,438 2,276 2,845 567 1,838-6,195 1,984 5,852 1,785 2003. 6 31,934 1,096 6,101 2,416 3,943 604 3,347 895 5,092 2,624 4,698 1,118 2004. 6 31,645 995 6,180 2,473 4,013 602 3,402 851 4,960 2,602 4,803 764 2005. 6 30,530 911 6,053 2,538 3,545 651 3,384 1,538 5,012 3,160-3,738 2006.12 29,308 938 5,431 2,866 3,852 718 3,046 1,557 4,814 140 3,429-2,517 2007.12 28,913 828 4,808 3,045 3,840 667 3,540 1,330 4,950 159 3,384-2,362 2008.12 29,669 910 4,414 3,161 3,800 699 3,597 1,091 5,216 189 3,881-2,711 2000.12 13,294 114 1,422 1,603 2,195 412 1,202-3,191 385 1,715 1,055 2001.12 13,408 141 1,404 1,851 2,097 401 1,058-3,184 394 1,837 1,041 지상파 2003. 6 14,029 135 1,601 1,868 2,198 432 1,753 320 2,161 399 2,255 907 방 송 2004. 6 14,135 127 1,496 1,884 2,279 445 1,886 413 2,478 466 2,661 0 (TV, 2005. 6 14,024 125 1,618 1,862 2,367 483 1,851 546 2,729 584-1859 라디오, DMB) 2006.12 13,785 148 1,745 2,046 2,290 546 1,281 822 3,077 113 565-1,152 2007.12 13,897 138 1,776 2,180 2,404 512 1,664 634 2,913 95 577-1,004 2008.12 14,013 142 1,657 2,222 2,433 516 1,688 520 2,829 86 638-1,282 2000.12 3,327 134 780 120 103 60 172 0 979 580 264 135 2001.12 4,791 230 915 136 116 61 220 0 1,430 743 608 332 종 합 유 선 방 송 (SO) <표 18>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단위 : 명) 2003. 6 5,572 344 1,274 174 129 90 296 123 1,613 1,074 434 21 2004. 6 6,499 363 1,757 191 157 79 300 87 1,756 1,107 702 0 2005. 6 6,947 318 1,749 244 176 88 333 151 1,731 1,483-674 2006.12 5,581 293 1,287 303 193 86 245 124 1,152 6 1,129-763 2007.12 5,050 243 981 303 163 76 226 116 1,207 18 974-743 2008.12 5,376 293 816 304 167 71 298 83 1,368 20 1,488-468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02쪽. 주1) - 표시는 해당연도의 조사항목에서 없었던 직종임. 주2) 지상파방송에는 지상파DMB사업자의 종사자(2006년 4월 이후)가, 위성방송에는 위성DMB사 업자의 종사자(2003년 6월 이후)가 포함됨. 기타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33

중 계 유 선 방 송 (RO) 위 성 방 송 (위성/ 위성 DMB) 방 송 채 널 사 용 사 업 (PP) 구분 전 체 임원 관리행 정 <표 19>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계속) 기자 PD 방 송 직 아나 제작 운서 관련 기타 기술직 연구직 영업 홍보 (단위 : 명) 용역 계약 2000.12 7,075 742 1,180 17 31 21 200 0 3,470 607 419 388 2001.12 3,045 786 732 5 17 9 55 0 1,023 212 103 103 2003. 6 2,352 345 516 4 7 5 48 71 1,067 173 104 12 2004. 6 1,037 182 170 5 4 3 40 36 411 77 109 0 2005. 6 590 97 132 0 0 0 16 18 256 38-33 2006.12 304 62 59 0 0 0 11 7 123 0 12-30 2007.12 351 48 67 0 0 2 6 3 196 0 22-7 2008.12 319 43 63 2 1 2 4 2 173 0 24-5 2001.12 277 9 96 0 0 0 0 0 7 80 85 0 2003. 6 296 7 112 0 0 0 70 0 0 107 0 0 2004. 6 296 13 88 0 0 0 33 0 33 125 0 4 2005. 6 436 17 164 0 0 0 64 0 73 116-2 2006.12 459 18 332 0 0 0 0 0 35 0 73-1 2007.12 513 16 220 0 28 0 0 0 79 28 140-2 2008.12 451 16 190 0 0 0 0 0 76 21 146-2 2000.12 5,053 97 633 400 542 81 879 0 671 329 1,068 353 2001.12 7,586 161 1,291 284 615 96 505 0 551 555 3,219 309 2003. 6 9,685 265 2,598 370 1,609 77 1,180 381 251 871 1,905 178 2004. 6 9,678 310 2,669 393 1,573 75 1,143 315 282 827 1,331 760 2005. 6 8,533 354 2,390 432 1,002 80 1,120 823 223 939-1170 2006.12 9,179 417 2,008 517 1,369 86 1,509 604 427 21 1,650-571 2007.12 9,102 383 1,764 562 1,245 77 1,644 577 555 18 1,671-606 2008.12 9,510 416 1,688 633 1,199 110 1,607 486 770 62 1,585-954 출처:방송통신위원회(2009), 303쪽. 주1) - 표시는 해당연도의 조사항목에서 없었던 직종임. 주2) 지상파방송에는 지상파DMB사업자의 종사자(2006년 4월 이후)가, 위성방송에는 위성DMB사 업자의 종사자(2003년 6월 이후)가 포함됨. 기타 34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지상파방송사의 경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5년과 2006년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07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추세를 보면 행정직은 감소추세이 나 기자, PD 직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합유선의 경우 2005년까지 사업자 수 증가 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이후 인수, 합병 등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8년의 경 우 전해에 비해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채널사용사업 종사자는 사업자 수가 감소했던 2005년을 제외하면 사업자 수 증가 추세에 힘입어 종사자 수의 경우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08년의 경우도 전 년 대비 4.5%(408명) 증가하였다. 2) 독립제작사 2008년 말을 기준으로 한 실태조사에 응답한 391개 독립제작사에 종사하는 총 인원을 집계하면 4,724명으로 1개사당 평균 약 12명 정도이다. 앞서 여러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국내 독립제작사들의 대부분은 영세성을 띠고 있다. 많은 수의 독립제작 사들이 영세하다는 사실은 인력 현황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다음 <표 20>은 2008년 말을 기준으로 한 조사에 응답한 독립제작사들을 종사자 규모별로 구분하여, 각 구분별로 종사자수 합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391개 독립제작사 중 5인 미만 사업체수가 151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38.6%), 이들 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총 인력은 395명 으로 총 종사자수에서 8.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5~9 인의 종사자 규모를 나타내는 독립제작사는 117개사이며, 이들 사업체에는 총 792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는데, 이는 조사대상 독립제작사에 종사하는 총 인력의 16.8%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70%에 가까운 독립제작사들이 10인 미만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사자 수의 구성으로만 본다면, 독립제작사에 종사하고 있는 전체 인력 중 가장 많은 비중의 종 사자들이 10~49인 정도의 중간 규모의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0> 2008년 기준조사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현황 (단위:개, 명, %) 구 분 1~4인 5~9인 10~49인 50~99인 100인 이상 합계 사업체수 151개 117개 106개 15개 2개 391개 종사자수 395 792 2,010 1,056 471 4,724 구성비 8.4% 16.8% 42.5% 22.4% 10.0% 100.1%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35

다음으로는 독립제작사들의 매출액 규모별로 종사자수 현황을 살펴보았다. <표 21>에 서 보는 바와 같이, 독립제작사에 종사하는 총 인력 중 가장 많은 비중이 매출액 규모 10~100억원 미만 의 업체들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규모상 1~10억원 미만 의 독립제작사에는 27.9%에 해당하는 1,318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매출액이 100억 원 이상 되는 업체들에는 총 1,032명(21.8%)이, 매출액 규모가 1억원 미만 인 56개 업체 에는 89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1> 2008년 기준조사 매출액 규모별 종사자 현황 (단위:개, 명, %) 구 분 1억원미만 1~10억원미만 10~100억원 미만 100억원 이상 합계 사업체수 56개 248개 75개 12개 391개 종사자수 89 1,318 2,285 1,032 4,724 구성비 1.9% 27.9% 48.4% 21.8% 100.0% 다음으로는 설문에 응답한 391개 독립제작사의 종사자들을 직무별로 구분하여 분석하 였다. 그 결과 독립제작사 종사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직종은 PD'로 총 인력의 28.1%에 해당하는 1,327명이 이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관리/행정직 으로 총 인력 중 21.8%인 1,030명이 이에 해당하며, 그 다음으로는 방송기술 과 기술직 의 순으 로 각각 15.2%와 13.5%가 이 직종에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방송직 중 기자 와 아나운서 의 비중은 가장 낮아, 조사에 응답한 독립제작사의 종사자 중 기자는 38명(0.8%), 아나운서는 52명(1.1%)에 불과했다. <표 22> 독립제작사 직무별 종사자 현황(2008년 기준조사) (단위:명, %) 구 분 관리/행정직 방송직 기술직** 영업/ 기타 합계 (임원포함) 기자 PD 아나 방송 기타* 홍보직 ( ) 운서 기술 ( ) 종사자수 1,030 38 1,327 52 718 180 638 335 406 4,724 구성비 21.8% 0.8% 28.1% 1.1% 15.2% 3.8% 13.5% 7.1% 8.6% 100.0% * 성우, 작가, 리포터, 제작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함(이하 동일) ** 조정실, 송출, 중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하며, 건축, 전기, 통신, 설비, 항공, 수신 기술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을 포함함(이하 동일) 36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3. 뉴미디어 산업 현황 뉴미디어는 디지털,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 는 미디어를 지칭한다. 이는 절대적 개념이라기보다 새로 등장한 미디어의 양식을 지칭하 는 상대적 개념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어제의 뉴미디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올드미디어 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구분하는 기술적 진보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뉴미 디어의 대상은 약간씩 다를 수 있다. 흔히 뉴미디어는 신문, 출판, 방송 등 전통적 미디어와 구별되는 디지털 방식의 미디어 를 지칭한다. 또는 새로운 형태의 모든 전자 커뮤니케이션(electronic communication)을 구현하도록 해 주는 기술적 수단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기준에 따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기존 미디어 이외에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 등장한 정보 교환 및 통신 수단을 일컫는다. 둘째, 지금까지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각각 기능을 발휘하던 기존 매체가 다른 기존 매체나 그 기존 매체의 기술적 특성의 일부, 또는 아주 새로운 기술과 결합하여 보다 편리하고 진보 된 새로운 기능과 실용성을 갖게 되는 미디어를 말한다. 이러한 뉴미디어 판단의 기준에 따라, 본 절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IPTV, DMB, 동영상 UCC, 블로그 를 대상으로 뉴미디어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1) IP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 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초기에 IPTV는 초 고속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비스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인터넷 TV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을 구현하기 위해 전용 셋톱박스를 구비하고 가입자 기반의 폐쇄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 어로 그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IPTV 서비스는 가입자 기반의 폐쇄형 유선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케 이블TV와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 두 서비스 모두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편성방식(선형서비스; linear) 뿐만 아니라 주문형 방식(비선형서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37

비스; non-linear)을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IPTV 서비스는 상호작용성에 기반 을 둔 개인형서비스 및 다기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 시장상황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인 IPTV는 SK브로드밴드가 2006년 VOD형 IPTV 서비스를 시작 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IPTV는 방송통신융합 관련 제도 개편 및 규제체계 정비에 대한 입장 차이로 서비스 출범이 지연되어 오다 2007년 12월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IPTV사업법) 이 국회를 통과하고 2008년 6월에 시행령확정에 의해 제도화되면서 시작 되었다고 할 수 있다. KT가 실시간 채널서비스를 제공하는 메가TV를 2008년 11월에 허 가를 받아 본격적으로 서비스하고 SK브로드밴드(하나로TV)와 마이LGTV가 허가를 받아 2009년 1월에 출범하면서 본격적인 IPTV 서비스 시대를 열었다. 구분 09.1 09.3 09.6 09.7 09.8 09.9 09.10 Pre-IPTV 1,474 1,338 1,219 1,194 1,110 1,052 866 IPTV (일평균, 명) <표 23> IPTV 가입자수 변화 ( 09.1~ 09.10) 94 (1,566) 223 (2,417) 468 (3,105) 595 (4,083) 740 (4,668) 937 (6,551) 1,236 (-) KT 75 150 231 274 347 481 703 SKT 3 19 87 132 177 204 263 LGT 12 50 151 190 216 241 271 전체 1,568 1,561 1,688 1,789 1,850 1,978 2,102 실시간 IPTV서비스 가입자는 2009년 10월 기준으로 약 123.6만명 의 가입자 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12월11일 기준으로 150만 명을 넘어섰다(IPTV협회 2009.12). 2008년 12월 약 16만 7천 명 수준에서 거의 1년도 되지 않은 기간에 100만 명이 넘는 신규가입자 를 확보하였다. 실시간 채널서비스의 도입이후, IPTV 사업자는 이용요금을 Pre-IPTV 시절보다 대폭 38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상향 조정했으며 무료로 공급하던 VOD 서비스도 많은 부분 유료화를 단행했다. IPTV 3 사의 기본형 이용요금은 약 15,000원 전후 수준이며 고급형은 23,000원 또는 25,000원 의 가격으로 디지털케이블TV 또는 위성방송 이용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했다. 2009 년 말 사업자가 구성하고 있는 채널의 수는 75개에서 89개에 이르고 있으며 VOD는 서비 스 차별화를 위한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 <표 24> IPTV 사업자별 실시간 채널수 구 분 KT (COOK TV) SK브로드밴드 (브로드앤TV) LG텔레콤 (mylgtv) 상용화시점 (KT: 08.11/ 나머지 09.1) 33 23 23 09. 6 56 62 58 09. 10 84 89 75 현재까지 IPTV서비스 시장상황을 평가하면, IT업계의 신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 대와 달리 IPTV 발전이 지지부진하다고 볼 수 있다. 거대 통신사 중심의 IPTV 시장으로 발전하면서 IT벤처가 발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방형 서비스 를 기치로 하는 다음컨소시엄 이 사업자 허가에서 탈락하는 등 다양한 신규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2) 전망 2007년 12월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법 이 통과되고 시행령까지 2008년 6월에 확 정됨에 따라 실시간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사업자가 2008년 11월부터 출범하게 됐 다. 아직까지 실시간 IPTV서비스가 정착되지 않았지만 정부가 방송통신 융합서비스를 신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2009년 이후에는 보 다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2년까지 가입자 약 400만 가구, 총 1조원의 매출 달 성이라는 예상은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왜냐하면 IPTV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확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39

보하지 못한 상황이며 최소한의 가입자를 확보하기 위한 지상파방송 콘텐츠 재전송에 대 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제공되는 IPTV는 서비스의 특성에서 볼 때 유료방송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디지털 케이블TV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IPTV서비스 킬러콘텐츠로 인식되었던 양방향 콘텐츠의 개발도 저조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케이블TV방송이 전체 방송가구의 80%에 해당하는 가입가구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PP가 IPTV에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공 급하지 못하고 있다. 유료방송이면서 광고수익에 기반하고 있는 특수성이 PP로 하여금 IPTV 플랫폼에 대한 콘텐츠 공급을 망설이도록 만들고 있다. 결국, IPTV 서비스가 차별 화된 콘텐츠를 가입자에게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체제인 케이블TV방송 수준의 콘 텐츠조차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IPTV 시장을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IPTV 사업자가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로부터도 나오고 있다. 현재 IPTV 서비스 인허가를 받은 사 업자들은 실시간 방송서비스를 도입하자 대부분의 VOD 콘텐츠를 유료화 하는 전략을 취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기존 Pre-IPTV 가입자가 오히려 IPTV를 해지하도록 만들었 다. 다양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충분히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친 VOD 콘텐츠 유료 화를 추진함으로써 IPTV 서비스가 제공하던 VOD 콘텐츠의 만족도를 낮추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IPTV는 새로운 플랫폼 서비스로서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이미 상당한 시장지배력 을 확보하고 있는 케이블TV방송 그리고 인터넷 VOD 서비스와 경쟁하는 후발사업자이다. 그리하여 이들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장분석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실시간방송 서비스 외에도 VOD, 오디오서비스, 인터넷연동 양방 향 게임, 홈쇼핑, 홈뱅킹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서비스상품 역 시, 인터넷전화(IP-Phone)와 초고속인터넷망을 묶은 TPS(Triple Play Service) 등을 어 떠한 방식으로 소구할 것인가의 고민이 있어야 한다. 2)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DMB는 휴대용,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양질의 음성, 영상을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 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이다. 본래 기존 라디오방송을 디지털로 전환하여 서비스 40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 등에서 출발했으나, 압축기술 의 발전으로 텍스트 및 영상 서비스까지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ITU의 규정에 따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국내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DMB는 크게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 파DMB(TDMB)와 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위성DMB(S-DMB) 가 있다. 한편 지상파 DMB는 2007년 12월 ITU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 (1) 시장상황 2008년 12월말 기준으로 지상파 DMB용 단말기는 총 1,540만 대가 판매되었고 위성 DMB용 단말기는 총 185만 대가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DMB 단말기 보급 현황 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전체 DMB 가입현황은 1,725만 명으로 국민 세 명 당 한 명꼴로 손안의 TV서비스 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지상파 DMB의 경우, 2005년 12월 본 방송이 개시되었고 2007년 8월 전국망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서비스 보급 속도가 가히 폭발적이다. <표 25> 지상파 DMB 단말기 판매현황 구분 08 1Q 08 2Q 08 3Q 08 4Q 09 1Q 09 2Q 판매대수 185.4 205.4 209.6 178.7 181.9 282.2 누적 1,097.5 1,302.9 1,512.5 1,691.2 1,873.1 2,155.3 위성 DMB는 여전히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200만 가입자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2007 년 127만 대 보급에서 1년 동안 60만 대를 추가로 보급했다는 것은 나름대로 선전한 것으 로 평가할 수 있다.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41

<표 26> 위성DMB 보급 추이 (누계) 구분 05.12 06.12 07.12 08.12 09.9 가입자수 36.9 101.8 127.3 185.2 204.6 2008년 지상파 DMB 단말기가 월평균 50만 대 이상씩 판매된 것은 베이징올림픽 경 기에 대한 수요와 신규 휴대전화 구매자들이 지상파 DMB 기능이 들어간 단말기를 찾는 추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년대비 45% 증가한 위성 DMB 서비스는 지난해 선 보인 슬림요금제 에 따른 성과로 해석된다. 특히, 슬림요금제에 대한 SK텔레콤과의 제휴 마케팅으로 SK텔레콤 고객의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성 DMB 가입자가 늘 었던 것이다. DMB 가입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광고기 반의 무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파 DMB는 광고매출의 정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7년 말 기준으로 1,440억 원을 투자한 6개 DMB 방송사가 올린 수입은 고작 약 277억 원에 불과하다. 무엇보다도 후발 독립 지상파 DMB 3사(YTN-DMB, U1 미디어, 한국 DMB)의 영업 손실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상파 DMB 6개 사가 지난해 벌 어들인 광고수익은 약 89억 원에 불과하다. 2007년 약 60억원과 비교할 때 48.3% 증가한 규모지만 가입자가 거의 두 배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광고매출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했 음을 의미한다. 특히, 신규 DMB 사업자인 U1 미디어의 2008년 광고 매출은 총 11억 원으 로 월 1억 원에 약간 못 미치는 수익을 올렸을 정도로 열악한 상황이다. 이들 신규 DMB 3개사의 자본금은 설립당시 305억 원~363억 원이었지만 지속적인 적자로 인하여 현재 약 50억 원~70억 원 만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사업자당 월 평균 5억 원이 넘는 손실이 난 셈이다. 지상파 방송3사 계열의 DMB 사업자는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미 DMB 전담 부서의 운영을 중지했으며 지상파 DMB를 위 한 투자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DMB 서비스가 성적이 저조한 이유는 미디어 특성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이 정착되지 않았으며, 지상파TV 방송의 콘텐츠를 그대로 제공하면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 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지상파방송의 광고사업 모델을 지상파 DMB에 그대로 적용 42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

하고 유료 비즈니스를 적용하지 못한 것이다. 위성 DMB 역시 모바일 TV서비스로서 여타 유료방송서비스가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을 제공하지 못한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2) 전망 DMB 단말기 보급이 1,600만 대라는 기록적인 성과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위 성 DMB 사업 모두 부실이 더욱 커지고 있다. 먼저 지상파 DMB는 광고효과를 낙관하여 수익모델을 광고판매에 너무 의존한 것이 원인이다. 지상파TV처럼 가입자 보급만 이루어 지면 광고판매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광고주는 지상파 DMB를 외면하디시 피 했다. 지상파 DMB가 제공하는 광고효과가 분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절한 광고단가 설정도 쉽지 않았다. 이 과정에는 KOBACO가 광고 단가를 자의적으로 책정한 것도 영향 을 미쳤다. 위성 DMB는 지나치게 이동형 방송서비스라는 특징에만 주목한 나머지 소비자의 니즈 를 비즈니스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위성 DMB 사업자는 작은 화면의 이동형서비스가 갖는 특성을 미리 예단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실제 느끼는 니즈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것이다. 짧은 러닝 타임에 압축된 내러티브를 갖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했지만 실제 위성 DMB 이용 패턴은 TV시청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료 방송서비스로서 차별성 있는 콘텐츠를 확보 하지 않고 기존 방송콘텐츠를 재가공 재편집한 것을 제공하는 데 치중한 점도 시장 성장 을 저해하는 요인이 됐다. 지상파, 위성 DMB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원세그(1-seg)처럼 다양한 수익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일본의 모바일디지털방송 원세그는 프로그램 전후에 광고를 배치 하는 전략뿐만 아니라, 모바일 TV방송의 특성이라고 하는 양방향성, 개인성 등을 반영한 양방향광고를 도입하고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제공했다. 휴대폰 이용자를 손이 심심한 유 저라고 분석하고 능동성을 구현해 주는 다양한 수익모델을 발굴함으로써 성공을 거두었 다. 따라서 지상파, 위성 DMB 시장을 활성화시키려면 융합서비스로서 장점을 살리는 양 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개발 구축하고 이에 부합하는 콘텐츠 및 유저인터페이스(UI)를 확 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제2장 방송콘텐츠산업규모 및 종사자현황 43

3) 동영상 UCC 브로드밴드의 확산은 인터넷을 텍스트 기반의 지식정보 검색서비스에서 고화질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로 발전시켰다. 특히, 인터넷은 TV와 모바일 등과 연계되면서 멀티 미디어가 중심이 된 오락 추구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 터넷이 제공하는 상호작용성에 따라 대두되고 있는 이용자의 능동성은 영상콘텐츠 생산 과 소비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참여 공유 개방을 모토로 하는 웹 2.0으로 불리는 이러한 패러다임은 전문제작자가 아닌 일반 제작자, 즉 소비자 역할에만 머물렀던 기존 사용자가 콘텐츠 생산의 적극적인 주체가 되도록 만들었다. 이처럼 소비자가 이용자 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인 생산자로서 행사하는 형태를 프로슈머(Prosumer)로 지칭한다. 프로슈머가 직접 제작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를 일컬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 (User Created Content, UCC) 또는 사용자 창작 콘텐츠(User Generated Content, UGC) 라고 한다. 그리하여 UCC는 전문제작자에 의해 생산되는 기존 제작 콘텐츠(Ready Made Content, RMC) 와 대별되어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UCC는 인터넷 기반으로 제공되는 동영상이라는 점에서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영상을 주문하여 즉시 제공하는 VOD 서비스 이며, 다른 하나는 웹 스트리밍(Web Streaming) 전송 방식으로 방송처럼 실시간 제공되는 온라인 TV 이다. VOD 방식의 UCC 서비스는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기존 인터넷 포털을 통해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 동영상 서비스 와 동영상 UCC를 전용으 로 검색 또는 제공하는 동영상 UCC 서비스 로 구분되고 있다. 그리고 온라인 TV는 기존 방송사에서 인터넷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웹 방송 과 인터넷에 스트리밍 방송시 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으로 구분된다. (1) 서비스현황 현재 VOD 방식으로 UCC를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를 살펴보면, 카테고리 또는 채널리 스트를 두어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동영상 UCC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현황은 다음과 같다. 44 방송영상콘텐츠산업 실태조사 Ⅰ : 국내외 산업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