臨床耳鼻 : 第 25 卷 第 2 號 2014 J Clinical Otolaryngol 2014;25: 특집 치아임플란트와관련된치성상악동염의치료 충북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심우섭 Management of Dental Implant Related Maxi

Similar documents
ORIGINAL ARTICLE J Rhinol 2018;25(1): pissn / eissn 편측성비부비동염에서최근유병률변

12-3전체

대한치과이식(임프란트)학회 학회지 제 27권 1호

ÀÓÇÁ¶õÆ®26-1È£1010

ÇÐȸÁö29_1È£ ¿Ï·á

상악측절치(dh)

황지웅

untitled

( )Jkstro011.hwp

Jksvs019(8-15).hwp

김범수

대상및방법 결과 Table 2. Total numbers of operations Corrective Rhinoplasty 56 Augmentation Rhinoplasty 86 Reduction Rhinoplasty 39 Nasal Tip Surge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Jkafm093.hwp

<B0E6C8F1B4EBB3BBB0FA20C0D3BBF3B0ADC1C E687770>

A 617

Jkss hwp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노영남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재발성안와주위염및급성누낭염

untitled

ÀÓÇÁ¶õÆ®27_2ȸ¹«Æ÷ÇÔ

<38B1C731C8A320C3D6C1BE2D2D E687770>

01)13-1목차1~3

Kaes017.hwp

( ) Jkra076.hwp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비강부비동안와 금속 이물 Fig. 1. Simple paranasal sinus Xray showing two pieces of foreign body. Right one penetrates right ethmoid sinus, septum, and left ethmo

(49-54)Kjhps004.hwp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2;45: 이개연골과측두근막의자유복합이식을이용한비중격천공의비내재건술 홍순관 1 민양기 2 Repair of Nasal Septal Perforation by Intranasal Appro

Microsoft Word doc

00)13-3목차1~3

ÀÓÇÁ¶õÆ®27_2ȸ¹«Æ÷ÇÔ

32 J Rhinol 2017;24(1):31-36 된 주요 병태생리로는 기류의 차단으로 인해 후각 점막에 냄새가 도달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전도성 후각장애 와 후각점막의 손상이나 후각전달 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감각신경성 후각장애 - 로 구분할 수 있다 후각장애의

ISSN eissn Case Report Implant placement simultaneously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

<372E20B9DABFB5BBF32E687770>

online ML Comm Clinical Review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 / pissn / eissn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2001;44: 비 - 안와 - 두부형모균증 2 예 전은주 박용진 박용수 정일성 Two Cases of Rhino-Orbito-Cerebral Mucormycosis Eun-ju Jeon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약수터2호최종2-웹용

12-3전체

<31312EB1E8C1F6BCB128C0CFBBEABAB4BFF8292E687770>

대한치과이식(임프란트)학회 학회지 제 27권 1호

Digital Abutment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Lumbar spine

ºÎÁ¤¸ÆV10N³»Áö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2005; 35 : 63-8 성공적인임플란트시술을위한방사선검사 서울대학교치과대학구강악안면방사선학교실, 치학연구소및 BK 21 이삼선 최순철 Radiographic examination for successful dental implant Sam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1;44:392-8 만성부비동염환자에서의 99mTc-MDP 골 SPECT 를이용한골염의연구 장용주 1 구태우 1 박석건 2 정필상 1 Osteitis in Patients with Chronic P

online ML Comm Rhi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3;56:632-6 / pissn / eissn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3) : 373~377 와점막이상에관하여보고하고자한다. 탁까지를포함하였다. [~λ~ OJ t::jj 닙 ~ Od 7~ E 프 19 89년 6월부터 199 2년 6월까지부비동염이있거나, 의심되어부비동 CT를시행한환자 95명

Head and Neck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8;61(1):42-6 / pissn / eissn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비인두에서발생한원발성결핵

( )Kju269.hwp

untitled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Jkbcs016(92-97).hwp

Kjhps016( ).hwp

CASE REPORT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심한임신성비염환자에서미세분쇄기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è¹ÎÁö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WSAVA dental guideline 1차 번역 수정

hwp

( )Kjhps043.hwp


이형석외

세라뉴스-2011내지도큐

식립위치별 임플란트 A

제호

(

구강내소염술의 보험청구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CASE REPORT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치성낭종으로오인된상악동콜레스테

hwp

REVIEW J Rhinol 2018;25(2): pissn / eissn 부비동내시경수술후후각변화에대한예측인자 대구가

Jkbcs012( ).hwp

ISSN Implantology 2014; 18(2): 140~146 디지털 3 차원영상을이용한무피판절개임플란트식립 : 증례보고 백장현 경희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치과보철학교실 Flapless Implant Placement with Digital Thr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2015년 11월-대한악안면레이저치의학회지-청해판.hwp

때 AM 기술이 의료 분야에서 상당한 시장 침투를 이룬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여기에서는 의료장비 분야에서 AM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4가지 경로별 AM 활용 앞의 이제는 최종사용제품의 생산도 3D 프린팅으로

Korean J Otolaryngol 40 1, January 1997 신마취하에 종양을 적출하였다. 경부의 절개는 양측에 증 례 서 접근하기 위하여 Apron 피판을 올린후 우측 흉쇄 유돌근과 흉골설골근사이의 근막을 흉쇄유돌근의 전 연을 따라 절개하자 피낭형성이 잘

DBPIA-NURIMEDIA


CASE REPORT J Rhinol 2016;23(2): pissn / eissn 진균구와동반된상악동에발생한원발

ISSN Implantology 2013; 17(1): 12~22 심한치조골흡수에서티타늄메쉬를이용한치조골재건에대한증례 이규안, 김민수, 이중석, 정의원, 김창성, 조규성, 채중규, 최성호 연세대학교치과대학치주과학교실, 치주조직재생연구소 Ridge Au

암센터뉴스레터1

<332E20C3D6BCBAC8A320BCB1BBFDB4D42E687770>

_

Microsoft Word doc

A B Fig. 1. Initial photo (frontal view). Loss of VD, supraeruption of #15, dento-alveolar protrusion and severe resorption of mandibular molar region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93-7 / pissn / eissn

Oral hygiene Instruction Manual ( 구강위생교육지침 ) 이매뉴얼은전북대학교치과병원치주과에내원하는치주염환자들을대상으로시행되는구강위생교육에대해정의하고, 그내용을구체적으로명시하여충실한교육이이루어질수있도록치주과학교실에서제작하였다. 이매뉴얼을기본으로하여

2015 대치 협회지표지

untitled

I 서론 상악구치부는예전부터임플란트를통한구강기능의회복이가장어려운부위로여겨졌다. 상악구치부에서의임플란트식립성공을어렵게하는요소로는낮은골밀도 1, 상악동함기화로인한짧은가용골의높이 2,3, 수술을위한접근및시야확보의어려움 4, 그리고다른부위보다큰교합압 5 등이있다. 특히상악동함

Transcription:

臨床耳鼻 : 第 25 卷 第 2 號 2014 특집 치아임플란트와관련된치성상악동염의치료 충북대학교의과대학이비인후과학교실 심우섭 Management of Dental Implant Related Maxillary Sinusitis Woo Sub Shim,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ead&Neck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gju, Korea 서 론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결손 환자에서 가장 효과적인 저작기능개선 방법으로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 어 시술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에서 연간 만건 이상이 시술되고 있다 이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산업 의 연간 생산량도 억원에 이르고 있다 년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치과의사의 수가 년대 중반에 전체 치과의사의 에서 년 현재 약 로 증가하였다 출처 오스템임플란트 이러한 치아임플란트 시술의 증가는 관련 합병증의 증가로 이어졌는데 치아임플란트 시술 관련 소비자 상 담건수가 년 건에서 년 건으로 급격 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소비자원 상악에 시행 한 임플란트에서 하악보다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은 데 이는 치아 이식에 적합한 골은 피질골이 두껍고 골 수강이 적절히 있어 혈관신생에 유리한 골이고 피질골 이 얇고 밀도가 낮은 해면골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치아 이식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데 상악의 후방 상악구치 부 에서 흔히 발견되기 때문이 교신저자 : 심우섭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내수동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전화 : 전송 : : 다 또한 상악은 상악동과 인접해 있어 발치 시 상악동의 하방 팽창으로 인해 상악의 치조골의 두께가 얇아져 치아 임플란트 시술 시 상악동을 침범할 수 있으며 상악 제 대구치후방의 경우 상악동거상술 을 통한 치조골 이식수술 필요로 하는 경 우가 많아 이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 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 예정인 환자나 시술 후 합병증 으로 부비동염이 발생하여 이비인후과에 의뢰되는 환 자가 증가하고 있어 이비인후과 의사의 역할이 중요하 다 임플란트 시술 전 합병증 발병 위험이 높은 환자를 감별하고 시술 전후 적절한 내과적 외과적 처치를 통해 상악동거상술 시 합병증의 발병위험을 낮추고 임플란 트 시술 후 부비동염이 발생하였을 때 내과적으로 반응 하지 않을 경우 부비동 내시경수술 등을 통해 조기에 부 비동염을 해결하여 임플란트의 실패율을 낮출 수 있다 치아임플란트와관련한상악동의해부생리학적변화 정상적인 상악동의 기능유지를 위해서는 상악동 자연 공 개구부가 잘 유지되어야 하며 상악동 점막의 섬모운 동과 점액의 성상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악동 자연공이 개구하는 부비동개구연합 을 막는 해부학적인 이상소견이 있거나 - 심한 비중격만곡증 비용종 등 - 117

등과 같이 상악동의 정상적인 점액섬모운동을 저해하는 경우에 상악동염이 발병할 수 있다 상악동의 기저부는 상악의 치조돌기 과 경구개골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고 소아에서는 상악동 기저부가 비강저보다 정도 높은데 비해 성인에서는 비강저보다 정도 낮다 약 의 성인에서 상악동이 상악의 치조돌기쪽으로 확장되어 제 소구치보다 후방으로는 치근단과 밀접해있다 치조골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흡수되는데 특히 치근첨 부위에서 골흡수가 많이 일어나게 되어 치근첨이 상악동 내로 돌출되고 얇은 피질골과 상악동 점막으로만 둘러쌓이고 약 에서는 골결손이 관찰된다 상악의 발치 후에는 상악동 하벽의 골이 흡수되어 하방팽창이 일어나는데 이는 제 대구치를 포함한 후방부위에서 또 인접한 여러 개의 대구치를 한번에 발치할 때 더 많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발치 후 상악에 치아 임플란트를 시술할 때에 적절한 피질골의 두께가 유지되지 못하여 임플란트가 실패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임플란트 전 상악동거상술 을 통한 치조골 이식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악 치아 임플란트 시술이 상악동에 미치는 해부생리학적 영향으로는 아급성부비동염의 발생빈도는 약 로 만성부비동염의 발생빈도는 약 로 보고되고 있다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였을 때 부비동염이 발생하는 기전으로는 상악동 점막을 거상할 때 부비동 점막이 파열되어 구강내 세균이 부비동으로 파급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이 밖에도 부비동자연공 주변의 일시적 종창 저류낭종 등이 있을 때 과도한 점막 박리나 점막파열부위를 통해 상악동내로 탈출된 골이식물에 의한 상악동 자연공의 폐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치아 임플란트가 상악동내로 탈출하거나 구강상악동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시술전상악동질환의평가및치료 치아 임플란트 예정인 환자가 스스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부비동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치과에서 시술 전 시행한 나 에서 이상소견이 관찰되어 이비인후과로 의뢰되어 오게 된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환자에서 술전 검사상 상악동의 이상소견이 관찰되는 경우는 에서 보고되고 있다 흔히 발견되는 이상소견으로는 부비동 점막 비후 저류낭종 상악동내 기수면 이나 전체 혼탁소견 비중격만곡증 상악동 자연공의 협착 등이다 하지만 많은 문헌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부비동 점막 비후의 진단 기준이 모호하고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저류낭종 비중격만곡증 등을 이상소견에 포함하고 있다 등은 증상이 없고 비내시경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없는 환자에서 치아 임플란트 시술 후 만성부비동염이 예 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예는 수술 전 부비동염의 과거력이 있었고 예에서는 술전 검사상 상악동의 점막비후 > 가 있었음을 관찰하고 부비동염의 병력과 수술전 상의 이상소견이 수술 후 상악동염의 발병위험을 높이는 인자라고 보고하였다 병력청취와이학적검사비부비동염을 의심할 수 있는 비폐색 비루 두통 재채기 등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알레르기비염 비부비동염의 과거력 기관지 천식이나 기도 과 Table 1. Complications related with maxillary sinus lift or implantation Complications of dental implantation Early complications Late complications Tearing Schneider s membrane Chronic maxillary sinusitis Implant displacement into the maxillary sinus Bone sequestration Wound dehiscence with oroantral fistula Loss of bone graft or dental implant Hematoma Acute sinusitis 118

심우섭 : 치아임플란트와관련된치성상악동염의치료 A B C D Fig. 1. Abnormal findings in OMU CT in candidates for dental implantation. A : Mucosal thickening. B : Retention cyst. C : Air-fluid level. D : Full haziness in maxillary sinus. 민성 아토피 피부염 안면골 골절 등의 병력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수술 후 감염에 취약한 당뇨 면역억제제 사용 여부 등에 대해서도 확인하여야 한다 이학적 검사로 비내시경검사를 시행하는데 비강 내 비루 유무 비강점막의 종창 비중격만곡증 비용종 등으로 인한 중비도의 폐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영상학적검사비부비동 질환을 의심할 만한 관련 증상이 없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사항이 없으며 의뢰된 환자의 나 에서 부비동의 경미한 점막비후나 부비동 기저부에 국한된 만 관찰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의 촬영은 필요없다 등 은 치아 임플란트 시술 예정인 환자들의 를 분석한 연구에서 이상 부비동점막의 비후가 있을 경우 상악동 자연공이 폐쇄되어 있을 위험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은 치주질환이나 상악동 기저부의 병변을 세밀히 평가할 수 있으나 상악동의 상부까지 촬영되지 않으므로 상악동 자연공을 평가할 수 없다 따라서 비부비동염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있거나 비내시경검사상 해부학적 이상소견이 보이면 반드시 를 촬영하여야 한다 비부비동종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부비동자기공명영상 - 을 시행한다 치아임플란트의절대적금기증술전 평가로 진단된 비부비동 질환은 적절한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교정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여러가지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부비동의 생리적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치아 임플란트가 불가능한 절대적 금기증은 다음과 같다 119

Table 2. Absolute contraindication of dental implantation Contraindications of dental implantation Condemned mucosa due to trauma, radiation therapy, or postsurgical scar Chronic rhinosinusitis associated with Cystic fibrosis, Kartagener s syndrome, Young s syndrome, Samter s triad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or immunosuppressant drug Systemic granulomatous disease involving the maxillary sinus Wegener s granulomatosis, Sarcoidosis Malignant neoplasm or far advanced benign neoplasm of the maxillary sinus seriously Interfering with homeostasis of sinus Table 3. Etiologies of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Etiologies of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Iatrogenic (oroantral fistula, exogenous foreign body, tooth root) 65.7% Apical periodontal pathology (apical periodontitis, apical granuloma, odontogenic cyst) 25.1% Marginal periodontitis 08.3% Odontoma 00.3% Periimplantitis 00.3% Ectopic tooth 00.3% 시술전상악동질환의치료임플란트 시술전 상악동 질환에 대한 치료의 목적은 비부비동염의 증상을 개선하고 원인이 되는 병변을 제거하여 부비동 점막의 기능을 정상화하는데 있다 비부비동염급성 부비동염의 경우 경험적 항생제 처방과 점액용해제 비점막수축제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알레르기 비염이 동반되었을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와 비내스테로이드 스프레이 처방을 병행한다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에는 개월까지 최대 약물치료를 먼저 시도해 볼 수 있고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를 시행하여 부비동의 정상적인 환기 배액기능을 회복시켜줄 수 있다 부비동내시경수술의 자세한 술식은 생략하도록 한다 와 같은 수술적 치료 개월 경과 후 비내시경검사와 로 재평가하여 부비동 점막과 환기능이 정상화된 이후에 임프란트 시술을 시행하도록 한다 해부학적이상소견의교정부비동염의 발병과 무관하게 술전 검사에서 우연히 발 견된 경미한 비중격만곡증 등은 수술적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동측의 재발성 급만성부비동염의 병력이 있거나 내원 시 활동성의 부비동염이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이러한 해부학적 이상소견들이 부비동염의 발병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아 치아 임플란트 시술 시 상악동의 자연공이 막히기 쉬우므로 기능적 부비동내시경수술 시에 함께 교정해 주는 것이 좋다 겸상돌기 절제술 중비갑개성형술 비용종절제술 중비도개방술 비중격교정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성부비동염 (Odontogenic sinusitis) 의치료임플란트 시술 전 만성부비동염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수술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재발하는 경우에 고려하여야 할 것 중의 하나가 치성부비동염이다 치성 부비동염의 원인으로는 구강상악동누공 상악동내이물질 치근 아말감 치과용패킹 등 근첨성치주질환 - 변연성치주염 등이 있다 치성부비동염의 원 120

심우섭 : 치아임플란트와관련된치성상악동염의치료 인이 되는 치아는 제 대구치 와 제 대구치 가 가장 흔하다 치성부비동염이 있을 때에는 항생제등의 약물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고 부비동내시경수술 후 재발율이 높으므로 반드시 원인이 되는 치과적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구강상악동누공은 대개 의인성으로 생기는데 발치 치성 낭종 등의 치료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상악동에 생긴 종양의 괴사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구강상악동누공에 의해 생기는 부비동염의 원인균은 구강에서 비롯된 혐기성 세균의 복합감염인 경우가 많다 발치 직후에 생긴 이하의 누공은 저절로 치유되므로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지만 이상인 경우에는 자연치유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차 봉합을 하는 것이 좋다 협부점막전진피판술 구개점막피판술 협부지방피판술 등을 이용한다 부비동염이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다양한 술식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와 누공 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하고 혐기성 세균에 효과적인 경구항생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방사선치료를받은환자에서의임플란트시술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혈관내막염으로 인한 조직의 저산소증이 유발되고 골수세포와 골막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골괴사를 유발함으로써 치아 임플란트 이식을 어렵게 한다 방사선치료 후 임플란트 시술 실패확률은 약 배 정도로 높아지며 특히 하악골보다 상악골 치아 이식에서 실패확률이 더 높다 등은 방사선 치료 후 치아 이식술의 실패율이 상악골 에서 하 악골 보다 약 배 높다고 보고하였다 방사선 치료 후 안면골 이식술시 고압산소요법을 통한 이식성 공률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으나 치아 임플란트와 관련 하여 의미있는 치료효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치아임플란트시술후발생한부비동합병증의치료 치아 임플란트 시술 후 발생하는 부비동 합병증은 크 게 조기 합병증과 후기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다 부비동염이 발생하였을 때에 치아 임플란트의 실패 율은 그렇지 않았을 때 보다 배 정도 높아진다고 한다 등은 임플란트 시술 후 만성부비동 염이 발생하여 비내시경적 부비동수술을 시행한 명의 환자 중에서 명 의 임플란트를 제거하였음을 보 고하였고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수술전 이비인후과적 평 가가 없었고 시술 후 부비동염의 증상이 발병한 후 개월 이상 경과한 상태로 이비인후과에 의뢰되었음을 지적하 였다 따라서 시술 후 부비동염이 발생하였을 때 조기에 진단을 하고 적절한 내외과적 처치가 임플란 트 시술이 실패하는 것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임플란트이식술혹은상악동거상술시상악동 점막손상이미치는영향 상악동 거상술시 상악동점막이 파열되는 경우는 약 에서 나타나는데 구강내 세균에 의한 급 A B C Fig. 2. Postoperative maxillary sinusitis. A : Maxillary fungal sinusitis missed in preoperative check-up. White arrow : fungal ball in the left maxillary sinus. B : Maxillary sinusitis due to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 There is also failed osteointegrity between dental implant and alveolar bone (black arrow). C : Left maxillary sinusitis due to failed bone graft and subsequent failed osteointegrity in the left maxilla (note good new bone formation after bone graft and osteointegrity in the right maxilla). 121

성부비동염이나 골이식물이 상악동 내로 탈출하여 시술 후 만성부비동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악동내 감염은 치아이식술의 성공률을 떨어뜨릴 수 있으나 실제 치료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보고자마다 다르다 수술 전후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미만의 손상에서는 파열된 상악동 점막을 봉합하거나 등을 이용하여 파열부위를 복구하여 이식물이 상악동내로 탈출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만성부비동염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수술직후발생한급성, 아급성부비동염의치료시술 후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비내시경검사를 시행하고 를 촬영하여 부비동염의 발생여부와 부비동내 이식물의 탈출여부 부비동 자연공의 상태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원인균 동정을 위해서 균배양검사를 시행하고 경험적 항생제 처방을 주간 시행하여야 한다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악동 천자술을 시행하여 부비동 세척을 시행하고 코세척을 시행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부비동내시경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치아임플란트시술후생긴만성상악동염원인으로는 치조골 이식물이나 치아 임플란트가 상악동 내로 탈출하거나 임플란트와 치조골사이에 골유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강상악동누공이 지속적으로 형성되어 구강내 세균이 상악동으로 유입되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가 상악동내로 돌출되면 에서 우측 상악동부분 은 주변부점막의 부종을 유발할 수 있으나 골유합이 잘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악동기저부에만 부종이 국한되어 자연공이 정상기능을 유지하여 부비동염을 유발하지 않는다 시술후발생한상악동부비동염의수술적치료적절한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부비동염에 대해서는 를 시행하여야 하는데 이 때에는 부비동 자연공을 넓혀주고 상악동 내에 감염된 이식물과 상악동내로 탈출한 임플란트를 모두 제거해 주어야 한다 후 재발하거나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치성부비동염을 의심하고 철저한 치과적 검사를 시행받도록 하여야 한다 임플란트 주위염이 심하거나 후 재발하는 부 비동염이 있을 경우에는 식립한 임플란트도 함께 제거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로 부비동 기능이 정상으로 회 복된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보존할 수 있다 등은 치아 임플란트 후 발생한 만성부비동염 환자의 치료 사 례에서 예 중 예에서 를 통하여 부비동염을 치 료함으로써 치아 임플란트를 보존할 수 있다고 보고하 였다 결 론 상악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이 늘면서 관련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비인후과의사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철저한 수술 전 평가를 통해 임플란 트 시술의 금기증을 확인하고 적절한 내과적 수술적 전 처치를 통해 임플란트 관련 합병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 으며 임플란트 시술 후 발생한 부비동염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술 후 관리를 통해 상악동염을 치료함으로써 치 아 임플란트의 성공율을 높힐 수 있다 중심단어 : 치아 임플란트 치성부비동염 상악동염 부비동내시경수술 REFERENCES 1) Pignataro L, Mantovani M, Torretta S, Felisati G, Sambataro G. ENT assessment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andidate for maxillary sinus lift. Acta Otorhinolaryngol Ital 2008;28(3):110-9. 2) Hauman CH, Chandler NP, Tong DC. Endodontic implications of the maxillary sinus: a review. Int Endod J 2002;35 (2):127-41. 3) Sharan A, Madjar D. Maxillary sinus pneumatization following extractions: a radiographic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1):48-56. 4) Timmenga NM, Raghoebar GM, Boering G, Weissenbruch R. Maxillary sinus function after sinus lifts for insertion of dental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9):936-9. 5) Zimbler MS, Lebowitz RA, Glickman R, Brecht LE, Jacobs JB. Antral augmentation, osseointegration, and sinusitis: the otolaryngologist s perspective. Am J Rhinol 1998;12(5): 311-6. 6) Manji A, Faucher J, Resnik RR, Suzuki JB. The Prevalence of maxillary sinus pathology in patients considered for sinus augmentation procedures for dental implants. Implant Dent 2013;22(4):428-35. 7) Beaumont C, Zafiropoulos GG, Rohmann K, Tatakis DN. 122

심우섭 : 치아임플란트와관련된치성상악동염의치료 Prevalence of maxillary sinus disease and abnormalities in patients scheduled for sinus lift procedures. J Periodontol 2005;76(3):461-7. 8) Manor Y, Mardinger O, Bietlitum I, Nashef A, Nissan J, Chaushu G. Late signs and symptoms of maxillary sinusitis after sinus augment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0;110(1):e1-4. 9) Carmeli G, Artzi Z, Kozlovsky A, Segev Y, Landsberg R. Antral computerized tomography preoperative evaluation: relationship between mucosal thickening and maxillary sinus func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11;22(1):78-82. 10) Chan HL, Wang HL. Sinus pathology and anatomy in relation to complications in lateral window sinus augmentation. Implant Dent 2011;20(6):406-12. 11) Felisati G, Borloni R, Chiapasco M, Lozza P, Casentini P, Pipolo C. Maxillary sinus elevation in conjunction with transnasal endoscopic treatment of rhinosinusal pathoses: preliminary results on 10 consecutively treated patients. Acta Otorhinolaryngol Ital 2010;30(6):289-93. 12) Lechien JR, Filleul O, Costa de Araujo P, Hsieh JW, Chantrain G, Saussez S. Chronic maxillary rhinosinusitis of dental origin: a systematic review of 674 patient cases. Int J Otolaryngol 2014;2014:465173. 13) Patel NA, Ferguson BJ. Odontogenic sinusitis: an ancient but underappreciated cause of maxillary sinusitis.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2;20(1):24-8. 14) Hajiioannou J, Koudounarakis E, Alexopoulos K, Kotsani A, Kyrmizakis DE. Maxillary sinusitis of dental origin due to oroantral fistula, treated by endoscopic sinus surgery and primary fistula closure. J Laryngol Otol 2010;124(9):986-9. 15) Brook I. Sinusitis of odontogenic orig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3):349-55. 16) Laskin D. Management of oroantral fistula and other sinusrelated complications.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1999;11:155-64. 17) Ihde S, Kopp S, Gundlach K, Konstantinovic VS.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on craniofacial and dent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9;107(1):56-65. 18) Colella G, Cannavale R, Pentenero M, Gandolfo S. Oral implants in radiated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4):616-22. 19) Galli SK, Lebowitz RA, Giacchi RJ, Glickman R, Jacobs JB. Chronic sinusitis complicating sinus lift surgery. Am J Rhinol 2001;15(3):181-6. 20) Nolan PJ, Freeman K, Kraut RA. Correlation between Schneiderian membrane perforation and sinus lift graft outcome: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359 augmented sinus. J Oral Maxillofac Surg 2014;72(1):47-52. 21) Becker ST, Terheyden H, Steinriede A, Behrens E, Springer I, Wiltfang J. Prospective observation of 41 perforations of the Schneiderian membrane during sinus floor eleva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8;19(12):1285-9. 22) Zijderveld SA, van den Bergh JP, Schulten EA, ten Bruggenkate CM. Anatomical and surgical findings and complications in 100 consecutiv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J Oral Maxillofac Surg 2008;66(7):1426-38. 23) Abi Najm S, Malis D, El Hage M, Rahban S, Carrel JP, Bernard JP. Potential adverse events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penetrating the maxillary sinus: long-term clinical evaluation. Laryngoscope 2013;123(12):2958-61. 24) Katranji A, Fotek P, Wang HL. Sinus augmentation complications: etiology and treatment. Implant Dent 2008;17(3): 339-49. 25) Jung JH, Choi BH, Jeong SM, Li J, Lee SH, Lee HJ.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s on sinus complications of exposing dental implants to the maxillary sinus cavit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 (5):623-5. 26) Chen YW, Huang CC, Chang PH, Chen CW, Wu CC, Fu CH, et al. The characteristics and new treatment paradigm of dental implant-related chronic rhinosinusitis. Am J Rhinol Allergy 2013;27(3):237-44.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