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생리병리학회지제 22 권 2 호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2):464 468, 2008 산후병치료에미치는加味護內湯 Ⅲ 의임상적연구 이용태 박성하 1 * 동의대학교한의과대학생리학교실 한의학연구소, 1 : 동강한방병원 Clinical Study of Gamihone-tangⅢ on Postpartum Disease Yong Tae Lee, Seong Ha Park 1 * Department of Physiology Research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1 : Donggang Oriental Hospital Postpartum Disease is very imporant in health of woman with menopausal disorder. This study is aimed at curative effect of Gamihone-tangⅢ on Postpartum Disease. This subject in this study were seventy eight patients admitted to Dong-Gang Oriental Hospital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6 with Postpartum. Abdominal pain, Body pain, Edema, Dizziness. Gamihone-tangⅢ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Postpartum Disease and I think that applied medical herbs internally as quickly as possible after postpartum is good. Key words : Gamihone-tangⅢ( 加味護內湯 Ⅲ), Postpartum Disease, Body pain, menopausal disorder 서론 산후에는분만과정에서의실혈과勞力過多로氣血虛損및생리변화가일어나는데이로인하여산모의허약과저항력감퇴를초래하게되고따라서각종질병의이환위험성이많다. 그러므로옛부터산후1개월이내에는針線, 勞役, 行房을삼가토록하였다. 1,2) 이시기에는모든關節과腠理가열려있어방어막이약한시기이기때문에밖에서안으로사기가침범하기쉬우며, 역으로치료와안정을잘하면그동안몸에있는邪氣를체외로내보낼수있다. 그러므로이시기가지나서모든關節. 腠理, 臟腑가제자리를잡게되면치료가어려워지고심하면민간에서유래된병명인고질적인産後病과그後遺症을가지기쉽기때문에이시기의치료와조리는更年期와함께향후여성의건강에매우중요하다하겠다. 3) 산후치료에대해고대의학설로는산후에하나도虛하지않음이없으니모름지기氣血을大補함을우선으로해야한다는補虛說과산후에敗血을去함이우선이니血滯하면많은병이발생하기때문에무릇산후에元氣가旣虧하여運行이失道하면瘀血의停留를免하지못할것이라하여治療로逐瘀를먼저하여야한다는說이있다. 4) 그러나현대는산과학의발달로대개 * 교신저자 : 박성하, 울산시태화동 121-2번지동강한방병원 E-mail : psh0680@hanmail.net, Tel : 052-241-3111 접수 : 2008/01/04 채택 : 2008/01/22 분만후항생제, 소염진통제, 자궁수축제를복용하기때문에소위産褥熱을유발하는분만과정중의감염성질환과惡露不下로인한兒枕痛이감소되었다. 따라서환자의호소증중失血로인한氣血虛弱과勞力太過로인해주로나타나는産後血暈症, 腹痛과身痛, 浮腫등이많으므로氣血을大補함을原則으로하되각증상에따라서隨證加減하여야하며散瘀藥이나行血藥, 消導藥, 發散藥등을가감하더라도氣血을損傷하지않는것이중요하다고생각된다. 이에저자는東岡韓方病院에 2006년 9월부터 10월사이에입원한환자들중산후치료를목적으로立方된朴의加味護內湯加減法을중심으로만들어진加味護內湯 Ⅲ을복용한환자78명을대상으로산후에주로나타나는産後浮腫, 眩暈, 腹痛, 身痛, 의치료경과를관찰하여그결과를보고하는바이다. 연구방법 1. 대상 2006년 9월부터 10월사이동강한방병원에입원하여加味護內湯 Ⅲ를服用한산후병환자중현훈, 복통, 요통, 신통, 부종을호소한환자78명을대상으로하였다. 2. 방법 1) 투약약제 - 464 -
산후병치료에미치는加味護內湯 Ⅲ 의임상적연구 경희대학교부산동문회편의임상경험처방집에기재된朴의加味護內湯과加減法 5) 을중심으로만들어진加味護內湯 Ⅲ을입방처방하였다 (Table 1). Table 1. 加味護內湯 Ⅲ 의處方內容 Herbal name scientific name weight(g) 黃芪 Astragali Radix 8 白朮 Atractylis Rhizoma 8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8 白芍藥 Paeoniae Radix Alba 8 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 8 白茯苓 Hoelen 6 蘇葉 Perillae Folium 6 川芎 Cnidii Rhizoma 4 防風 Saposhnikovia Radix 4 獨活 Angelicae Pubescentis Radix 4 麥門冬 ( 去心 ) Liriopis Tuber 4 桑白皮 Mari Cortex Radicis 4 羅蔔子 Raphani Semen 3 砂仁 Amomi Fructus 3 甘草 Glycyrrhizae Radix 3 黃芩 Scutellariae Radix 2 Total 83 2) 평가방법 약을투약한날을 1일로하였고, 증상발현이입원중에있을경우발현날부터호전을보이는날까지를호소기간으로잡았다. 産後身痛의경우속칭産後風의증상에해당되는産後遍身疼痛, 産後關節痛, 産後痺證등 4) 산후에나타나는동통을포함시켰다. 3) 결과 분만방식을보면정상분만자가 67.95%, 제왕절개가 32.06% 이고, 20대에 21.62%, 30대에서 41,46% 로조사되었다 (Table 2). 대상자중증상을호소했던산모의비율을보면복통을호소한산모가전체중 64.1% 였고, 신통은 89.74% 였다. 그러나호전에있어서는복통의평균호전일수가 4,32일로타증상에비해가장짧았으며신통은 7,84일로가장길었다 (Table 3). 산후부종에있어정상분만의경우 43.39% 로제왕절개군12% 에비해많았고증상의호전일수도 6.91로제왕절개의 4.67일비해길었다 (Table 4). 산후현훈은제왕절개의경우호소환자수가 40% 로정상분만의 22.64% 에비해많았고호전기간도정상분만의 4.33일에비해 5.8일로길었다 (Table 4). Table 2. 전체대상자의연령및분만방식분포 정상분만 (%) 제왕절개 (%) 계 (%) 20-29세 29(78.38) 8(21.62) 37(47.44) 30-39세 24(58.54) 17(41.46) 41(52.56) 계 53(67.95) 25(32.05) 78(100.00) Table 3. 전체대상자의호소증상분포 부종 현훈 복통 신통 호소인원 (%) 26(33.33) 22(28.21) 50(64.10) 70(89.74) 평균일수 * 6.65 5.27 4.32 7.84 * 평균증상호전일수 Table 4. 분만방식에따른각증상의치료비교 제왕절개 정상분만 부종 현훈 복통 신통 호소인원 (%) 3(12.00) 10(40.00) 16(64.00) 22(88.00) 평균일수 4.67 5.80 3.56 7.95 호소인원 (%) 23(43.39) 12(22.64) 34(64.15) 48(90.56) 평균일수 6.91 4.33 4.68 7.79 고찰및결론 朴의加味護內湯은黃芪 12 g, 白朮 12 g, 熟地黃 12 g, 當歸 8 g, 白芍藥 8 g, 白茯苓 8 g, 川芎 4 g, 甘草 4 g을基本方으로하고惡寒發熱에柴胡 6 g 黃芩 4 g, 肢節痺痛에防風獨活 4 g, 虛煩熱口燥에麥門冬五味子 4 g, 浮腫과咳嗽에蘇葉 8 g, 腰痛에澤蘭 6 g, 風痓에荊芥獨活 4 g, 中絶後下血不止에阿膠珠側佰荊芥 ( 炒黑 ) 6 g을가미하였다. 이를바탕으로입방된加味護內湯 Ⅲ에서黃芪와白朮, 四物湯을主劑로한것은黃芪의補氣升陽의작용과補血의대표적처방인四物湯으로실혈과勞力太過로인한氣血兩虛를도와주고白朮로서虛해진脾胃를이롭게하기위함이다. 특히실혈후에氣血이약한상태임에도불구하고전통적산후조리의경우邪氣를몰아내기위해땀을많이내는데, 發汗이過하여多汗亡津이招來될우려가있는바, 黃芪는固表止汗利水消腫의효가있으므로表虛自汗에白朮防風 ( 玉屛風散 ) 을配合使用하였고利水滲濕, 健脾和中, 寧心安神을주치하는白茯苓과行水消腫의효과가있는桑白皮를배합하여利尿浮腫消退까지目標로하였다 6). 四物湯은生血, 統血, 藏血기능을원활히하므로血虛와血不和로인한諸症을치료하는대표적방제인바産後乘虛風寒內搏과惡露不下의효과를목표로하였다. 그러나川芎은비록和血通肝하여補血潤燥, 行氣搜風, 婦血分補하고活血하여祛瘀止痛하는효능이있으나그性이升하고散하여眞氣를泄하고大量일경우嘔吐, 眩暈을일으키기쉽기때문에용량줄였다 7,8). 蘇葉은발한해열작용이있으나麻黃이나桂枝와같이지나치게발한할우려가없으므로사용하였고理氣寬胸脾胃虛寒으로인한임신중의구토에사용하는사인과합하여건위작용에도도움이되게하였다. 防風은祛風解表, 祛濕解痙하고현대약리학에서발한해열, 진통, 이뇨, 항바이러스작용, 항균작용의효능이입증된바祛風濕, 通經絡하여風濕으로인한項背部의筋肉이나腰, 臀, 膝部의痠痛에효과적인獨活과함께風寒風熱의外感病, 風濕에의한關節肌肉의疼痛治療를목표로하였다. 麥門冬은潤燥生津하여滋陰補血藥과배합할때補益調整의역할을하므로黃芪, 當歸와함께勞力太過후虛煩不安을치료함을목표로하였다. 甘草는補裨益氣, 淸熱解毒, 潤肺止咳로緩和補益調整의主藥이나산후에腹部膨滿, 嘔吐, 浮腫등의濕象을우려하여감량하였다 6). 실혈과다일경우腎水不足으로肝陽이上升하여얼굴이潮紅, 頭痛, 惡心, 嘔吐, 혈압상승, 심계항진, 怒하기쉽고신경질이잘나고불면, 소화불량, 오한발열, 등이나타나는데平肝和解와消導를시켜주면좋기때문에 3) 白朮에消食化痰에사용되는羅蔔子와砂仁을배합하여산후에약해진脾胃의기능에작용하도 - 465 -
이용태 박성하 록하였다. 黃芩은淸熱燥濕, 瀉火解毒의작용으로주로退肺熱, 淸熱의방제에응용되며임신중의下腹部痛으로熱象을수반할때白朮과함께사용하여유산을방지하는바産後血虛와과도한用力으로産後發熱이있을때四物湯과함께사용한다 6). 산후方藥의三禁에있어川芎의眞氣를泄하는작용과熟地黃의泄下작용, 黃芩의惡露沮礙작용을염려하였으나 4,6) 그효능이필요하므로佐使藥의補助와용량의감소로부작용을최소화하였다. 산욕기란임신과분만으로야기된산모의생식기및전신의변화가원래상태로돌아가는기간을말하는것으로이에합병하는제반의병변을産褥異常이라하며전신성으로나타나는주요증상은發熱인데이를산욕열이라하며그原因은대개 1 邪客子門에기인한경우, 2 유방의병변에기인한경우, 3우발적인외감에기인한경우등다양하나이중에서특히邪客子門에기인하는發熱病을총칭하여産褥熱이라한다 4). 그중가장심각한상태는邪客子門에기인한경우인데분만때문에상처를입은곳으로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등의세균이침입하여발생하는감염증이다. 분만후 37.5 의열로서오한이나는것은유선염, 신우염, 방광염등으로볼수있으나 38 이상의열로서惡寒戰慄은主意하여産褥熱의疑心을가져야한다. 이것은산욕성자궁염, 골반성복막염, 범발성복막염, 골반결합직염등과전신적으로농독증, 패혈농독증등을총칭하는것으로본다 3) 또한兒枕痛이라함은분만후분만시와같은陣痛이계속되어심한고통을격게되는데이는자궁근의계속적인수축작용과태반의박리면에서출혈된瘀血의잔류로인한것이다 1) 그러나현대는대부분이산부인과에서분만을하고, 산과학의발달로정상분만일경우 2-3일후일주일정도, 제왕절개의경우일주일정도의입원기간을거치면서항생제, 소염제, 자궁수축제등을복용하기때문에한의학에서말하는邪客子門으로한방치료를하는경우는많지않다. 따라서일반적인산후병은분만시실혈과다, 用力過度하여氣血虛損, 陰血이爆傷하고營衛가不調한틈을타서風寒邪가침입하여發生하거나산후瘀血즉惡露未盡으로인한자궁수축의지연, 산후脾胃가약해져있는데원상회복되기전에生冷및과다한영양섭취음식과다등으로食傷하거나피로의악화에기인하는데심할경우浮腫, 下血, 陰挺, 脫腸, 中風, 痛風, 脚氣등의雜病을일으키기쉽다 1). 산후치료에대해산후치료의특성은氣血을大補하고瘀血을消散하는데있다. 朱는 9) 산후에하나도虛하지않음이없으니모름지기氣血을大補함을우선으로해야하며설사타병이있어도이는뒤에치료하여야한다고하였으며張 10) 도산후에는대부분의병이血虛에서오므로發表하지말고大補하라고하였다. 陳良甫도산후에는대개氣가大脫하고血이未生하므로氣血을大補함이원칙이나만약惡露가未盡할때에는補藥중에行血藥을겸용하고感冒風寒이나음식정체가있을때는先補후에發散消導하되氣血을손상하는峻劑의사용은삼가야한다고하였고산후1개월이내에는針線, 勞役, 行房을삼가고, 100일이내 에는七情, 言語, 風寒등을삼가야하는데이를추호라도범할경우각종질환이발생된다고하였다 2). 또한김은산후 20일을경과하기까지는절대안정조리가필요하며이기간내발병한질병의치법에는補虛와理血치법을바탕으로하여加味施療하는것이타당하다고하였다 1). 이는민간에서말하는산후삼칠 (3주) 의개념이산후에는많은실혈과함께모든관절과주리가열려있는방어막이약한시기이기때문에밖에서안으로邪氣가침범하기쉬우며역으로치료와안정을잘하면그동안몸에있는邪氣를박으로내어보낼수있다는뜻으로생각되며따라서이시기가지나서모든關節腠理가제자리를잡게되면치료가어려워지고심하면고질적인産後病을가지기쉽기때문에이시기의치료는갱년기와함께향후여성의건강에매우중요하다하겠다 2). 孫은산후관리를잘못하면角弓反張하는辱風이생긴다하였다. 11) 우리나라에서도여성의건강에미치는산후의중요성을잘알기때문에옛날부터산후조리를매우중요시해왔고보고에서도강등 12) 은 88.5% 가산후조리의필요성을느끼고있다고하였는바산후조리를한의학의영역에서치료한다면향후출산여성들의건강관리에많은도움이될것으로생각된다. 이에저자는많은산후입원환자를보면서환자들의主症이산후신통, 복통, 현훈, 부종이많은바산후보양센터차원의공통처방의필요성을느껴加味護內湯 Ⅲ을처방하게되었고 2006. 9월부터 10월사이에입원한환자중加味護內湯 Ⅲ을 1주일이상사용하여호전이있었던 78명을환자를대상으로임상고찰하였다. 분만방식을보면정상분만자가 67.95%, 제왕절개가 32.06% 이고, 20대에 21.62%, 30대에서 41,46% 로조사되었다. 국민보험공단의발표에따르면 2000년도제왕절개환자의비율이 38.6% 이고, 조등 13) 의연구에서제왕절개로분만한경우 35세이상의산모에서는 52.8%, 35세이하에서는 31.7% 로보고하였는바여러가지질병적측면도있겠지만분만후유증을염려하여제왕절개의선호도가높은것으로생각된다. 호소증상중복통은 64.10% 로신통과함께호소환자가많았는데이병의形成機轉이出産時間이길고압박으로조직을손상하고외부자극으로인하여生理機能이改變된때문으로보인다. 그러나호전에있어타증상에비해빨리회복된경향을보인것은소염진통제, 항생제, 자궁수축제의복용으로원활한오로배출과함께산후열상의빠른회복으로생각된다. 産後身痛의경우그원인에대해陳은氣虛하여瘀血이骨節에流注한다하였고 14), 王은산후에百節이開脹하고血脈이流散한데氣弱하면經絡分肉之間에瘀血이留滯하여오랫동안흩어지지않으면발생하였다. 15) 또한吳는去血過多하여營血이부족하거나風寒에外感되어발생 16), 李는산후에氣血이走動하여升降이失常하여관절에留滯하여발생 17), 농은血虛하여不能營養으로발생한다하였고 18) 康은그원인을敗血, 血虛라하였 는데 19) 산후허약하고營衛不和하여人體의抵抗力이약해졌을 때風寒濕의外邪가虛를타서들어와營衛氣血의運行에영향을미치므로氣滯血瘀하여疼痛이發生한것으로생각된다. 20) 본 - 466 -
산후병치료에미치는加味護內湯 Ⅲ 의임상적연구 연구에서도타증상에비해호소환자수도 89.74% 로가장많았으며호전일수도 7.84일로긴것으로보아분만시후유증으로가장심한증상이며호전일수의지연으로보아치료시기를놓치거나조리하지못할경우産後遍身疼痛, 産後關節痛, 産後痺證등의산후풍으로이환됨을알수있다. 4) 산후부종은조직간액의비정상적인축적으로나타나는데산후에감소하나대개체중증가와직접관련이있고, 임신중증가한체중이산욕기가지나도원상회복되지않는경우가많아산모들이민감하게여기는부분이다. 21) 특히산후관절주위염의경우부종이하나의인자가되고있는바산후치료에있어부종은중요한의미를갖는다고생각된다. 22) 본연구에서호소수에있어정상분만의경우 43.39% 로제왕절개군12% 에비해많았고증상의호전일수도 6.91로제왕절개의 4.67일비해길었다. 산후부종에대해김은어혈이경락을따라사지에침입하기때문에생기는혈의순행장애라고하였는바정상분만의경우산후用力이제왕절개에비해심하기때문인것으로생각된다. 24) 산후현훈은대개실혈이과다하여발생하는빈혈과관련이많은데임신과관련된가장흔한합병중하나로서우리나라의경우유병률이 55-60% 정도된다고하였다 23) 이때는다만昏悶하고煩亂할뿐이니보혈해야한다. 그러나어혈이잘배출되지않아생기는현훈은오로가심흉으로상충하여心下가滿急, 정신이혼미하고口噤하며인사불성일때는破血, 行血약을함께쓰야한다고하였다. 24) 본결과에서제왕절개의경우호소환자수가 40% 로정상분만의 22.64% 에비해많았고호전기간도정상분만의 4.33일에비해 5.8일로길었는데이는실혈양이제왕절개가평균 1000 ml이상으로정상분만의 500 ml이상에비해 2배정도된다고정의하였는바 25) 이는실혈양이많기때문인것으로생각된다. 加味護內湯 Ⅲ을투여하여제반산후증상의호전이있었던환자를관찰해본바평균적으로약 4일에서 8일사이에호전되는경향을보였고, 투약도정상분만의경우 2-3일, 제왕절개의경우 6-7일후부터시행하였기때문에일반적인산후제증상에보편적으로시용할수있으며산모들의경우한약복용시기에대해삼칠이끝난후가좋다고생각하는사람이많은데가능하면출산후빠른시간내에복용함이좋다고생각된다. 이연구결과에있어韓藥을복용하지않은대조군이없었고, 산후질환의경우입원치료를함에도불구하고일반혈액검사, 생화학범사, 소변검사등의기본검사가인정되지못하여충분한근거자료를얻지못한것이아쉬웠으며향후제도의변화와함께한의학진단과치료에있어외연의확대가절실한것으로사료된다. 결론 분만형태에서 30대에제왕절개의비율이 20대보다높게나온것으로보아서고령에따른분만후유증을염려하여제왕절개의선호도가높은것으로생각된다. 전체호소증상중복통과신통의비율이높았는데出産時間과압박으로인한조직의손상 과用力太過가원인으로보인다. 다른증상에비해복통의치료일수가적은것은분만후감염과염증, 자궁수축에대한양방의선행치료에기인하는바사객자문에의한후유증은옛날에비해적은것으로생각된다. 부종은정상분만이제왕절개군에비해많았고증상의호전일수도제왕절개에비해길었다. 이는정상분만의경우출산시노력태과로인한瘀血의停留로순환장애에영향을미치기때문으로생각된다. 현훈은제왕절개의경우호소환자수가정상분만에비해많았고호전기간도정상분만에비해길었는데이는실혈양이제왕절개가정상분만보다실혈양이많기때문인것으로보인다. 한약복용후평균적으로약4일에서 8 일사이에제증상이호전되는경향을보였고, 한약복용도정상분만의경우 2-3일, 제왕절개의경우 6-7일후부터시행하였기때문에일반적인산후증상에보편적으로사용할수있으며, 가능하면빠른시간내에복용함이좋다고생각된다. 참고문헌 1. 김영훈. 청강의감. 서울, 성보사, p 426, 432, 1988. 2. 牛兵占編. 中國婦科名著集成. 婦人大全良方. 북경, 崋夏出版社, p 213, 237, 1988. 3. 배원식. 최신한방임상학. 서울, 남산당, pp 671-688, 1981. 4.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 행림출판사, pp 442-461, 1978. 5. 박치양. 임상경험처방집. 부산, 경희대학교한의과대학부산동문회, pp 152-153, 1970. 6. 이상인, 안덕균, 신민교역. 한약임상응용. 서울, 성보사, pp 48, 50, 130-131, 171-172, 201-202, 249-250, 299-230, 353-355, 359-360, 361-362, 414, 535-536, 545-546, 1982. 7.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성보사, p 62, 1988. 8. 신길구. 신씨본초학. 서울, 수문사, pp 600-601, 1973. 9. 朱震亨原著. 新編丹溪心法附餘. 서울, 대성출판사, p 780, 1993. 10.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pp 860-862, 1993. 11.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서울, 대성문화사, pp 71-73, 1992. 12. 강구형, 백승희. 출산전여성의한방산후조리에대한선호도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3(1):376-396, 2000. 13. 조재현, 강영순, 송승훈, 김경열외. 고령산모의임상통계및예후에관한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39(12):2422, 2425, 1996. 14. 陳自明. 校注婦人良方 ( 全 ) 卷 12. 北京, 宇宙藥業出版社, pp 1-20, 1976. 15. 王肯堂. 女科喬治準繩. 서울, 예문인서관, pp 402-403, 1982. 16. 吳謙等. 醫宗金鑑 ( 上 ). 서울, 의도한국사, p 197, 1976. 17. 李梴. 醫學入門. 서울, 幹成社, p 335, 1977. 18. 龔廷賢. 增補萬病回春卷下. 서울, 행림서원, p 113, 1972. 19. 康命吉. 濟衆新編. 서울, 행림서원, p 260, 1975. 20. 신천호역. 千家妙方. 서울, 성보사, p 498, 1992. 21. 이동규, 장경호, 송화숙, 김상우. 추란후체중변화에대한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5(1):205-212, 2004. 22. 이동규, 윤병국, 김동일, 이태균. 출산후관절과관절두위통등에대한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4(1):92-99, 2003. - 467 -
이용태 박성하 23. 김중열, 차동현, 김종석, 성연준, 이윤호. 경구용철분제재복용산모군과비복용산모군에서의혈색소변화의비교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4(1):85-88, 2001. 24. 김정제. 진료요감 ( 상 ).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p 679-684, 1974. 25. Cunningham, F.G., et al. Williams Obstetrics. Newyork: McgrawHill. p 179, 636, 2001. - 4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