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인문논총 제 45집 자채릎 그대로 법신으로 여기는 경우는 불교문헌상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우리는 진신 에 대하여 적어도 두세 가지 이상의 활용상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문 불교문헌에 나타나는 이러한 률 身 이라는
|
|
- 내상 위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인문논총 제 45 집 2001 년 8윌 pp 員 身 에 관하어 01.., 승i ^ c>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률 身 이라는 말은 불교문헌에 자주 나오지는 않지만 간간이 마주칠 수 있 는 용어이다. 우리 나라의 삼국유사 에서도 률 身, 률 身 舍 利, 률 身 釋 迎 등의 어구를 통해 이 말이 여러 번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률 이라 는 글자가 들어간 딴콤 이 발에서 예상되는 심오한 해석상의 의미는 차치하 더라도 그 활용싱의 의미는 일견 비교적 명쾌할 것으로 예상될 수도 있지딴, 실제로 그 용례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우선 률 身 은 률 論, 률 如, 률 實, 률 心 같은 말처렘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궁극적인 본질을 가리키는 용 어로 볼 수 있다. 즉 통상 붓다의 三 身 論 에서 이야기하는 法 身 과 같은 의 미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진신사리 라는 말에서처럼 진신 을 그대로 법신의 의미로 볼 수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 붓디의 有 形 的 인 증거 로서 佛 舍 利 가 아무리 신성하다 하더라도 사리와 같이 물질과 형상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인 의미의 법신임 수는 없기 때문이다 1) 이것은 진신석가 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대승불교의 발달과 더불어 석가모니 붓다가 무한한 수명을 지닌 초월적인 존재처럼 고양되기는 했지만, 석가모니 1 ) 法 身 옮 利 라는 딸이 았지반 이 말은 經 卷 을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인다.(cf. IT' 離 譯 義 集 ~, T2131, b, T... 는 夫 正 新 修 大 藏 經 의 수록번호임). 여기서 法 身 은 진 의 봄 이라는 뜻으로, 체계화된 三 身 論 의 法 身 과는 다른 의미이다
2 228 인문논총 제 45집 자채릎 그대로 법신으로 여기는 경우는 불교문헌상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우리는 진신 에 대하여 적어도 두세 가지 이상의 활용상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문 불교문헌에 나타나는 이러한 률 身 이라는 말의 의미와 용례릎 살펴보려고 한디 2) 펼자가 이 문제에 관심플 갖는 것은 불교미술의 전개에 있어서 佛 身 觀 의 변화가 갖는 의의에 대한 관심의 일환으로서이다. 그러나 아직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불교미술사에 연결시키기에는 연구가 미 진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일단 진신 의 의미와 용례라는 문제에 국한하도록 하겠다. 불교한문 용어로서 률 身 의 활용상 전개는 인도불교와 무관하게 중 국불교 내에서 펼쳐진 현상이기 때문에 그 원어가 되었던 산스크리트 어휘의 개념상 의미를 여기서 천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진신 에 대해 이루어진 개념상의 제 해석에 관하여 철학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필자의 능 력을 넘어서는 일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염두에 두고 있지 않음을 밝혀둔 다 3) 다만 불교미술사에 연결시칠 수 있는 해석 가능성에 대한 언급을 말미 에 덧붙이도록 하겠다. 11 한문 불교문헌에 나오는 률 身 은 크게 보아 1 ) 통상적인 佛 身 觀 의 일부로 2) 률 身 을 단일 주제로 다루고 있는 글은 찾아보기 힘들다. 望 月 信 亨 w 佛 敎 大 蘇 典 률 身 항목 (3:2042) 이 이제까지 나온 문헌 가운데 가장 좋은 참고가 된다고 할 있다 員 身 과 관계된 대표적인 문헌뜰을 인용하여 대략적인 윤곽을, 그리고 있 이 골은 필자의 논의에서도 기초가 되었다. 이밖에 聖 德 太 子 의 드 經 義 뾰 에 쓰인 률 身 의 의미를 살펴본 據 部 孝 順 의 r 三 經 義 統 σ) 률 身 t=~v τ, r 聖 德 太 子 冊 究 ~ 9 10 合 (1 976): 이 았으나 개괄적인 해명으로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한역 문헌에 나오는 월 佛, 훨 法 身 등의 말은 경우에 따라 훨 身 과 어느 정도 관-을 잦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이 어휘뜰의 의미와 용례릎 함 께 검토하는 것은 제한된 지변에서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작업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의 작엽은 률 身 에 대한 검토로 제한하도록 하겠다.
3 1 륭 身 에 관하여 229 서의 진신, 2) 붙산핀과 전혀 우관한 것은 아니지만 舍 쩌j를 유정짓는 말로 붙여진 진신? 이 두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었다 여기서는 먼저 칫 반째 정 우, 01 중에서도 漢 譯 된 인도 }쫓 述 의 經 論 에 니오는 예들을 살펴보도록 히겠 다 41 만서 월 身 아 통상 붓다의 三 身 論 에서 이야기히는 법선과 같은 의미로 사 용원 경우둡 생각해 볼 수 있디 51 아래의 서1 가지 문헌유 이러힌 용려1 둡 1ι 여준다 (1), 揚 大 乘 論 J, 北 鍵 531 년 佛 Ilù 扁 多 역 (TI592, 31:97a, 109c, 112a) δ 種 f뾰당 휴훌 身 =홉'1. 身 三 者 應 身 是 中 諸 佛 훌 身 흉 謂 注 身 依 一 I;!Jt용 得 범 在 故 (2) J 夫 乘 I~J 업잉.]. 北 周 570 년 때 那 耶 술익 (1673, 16:651cl 佛 身 幾 種, 佛 言, 善 "3t솟 略 說 有 三, 何 等 뭘 三 - 者 報 二 者 應 三 者 월 身, (3), 大 혀혹 理 趣 六 波 羅 1$ 多 經,, 居 788년 般 若 역 (1261, 8:912b-c) 훌 身 훤 不 뼈 願 力 隨 緣 現 示 現 91l 率 夫 降 神 乘 白 象 生 處 於 主 宮 出 家 修 품 行 떠 E듭홉 提 헤 降 j:k cr홉 魔 씬 m: 1빼횡 法 輪 或 용[;명업I!t~ 示 m 有 生 j댔 톨 身 4) li 太 正 新 修 太 藏 經 어] 수록원 얀도 찬숨 경론을 가운데 l휠 身 이 언납되어 있;, 011 릎 을 야깨에 U밴부미 :1~1번끼지 염거하? 그밖에 서너 예를 덧붙여 엔감하였다 이 가운데 열한 개의 써은 λji 新 修 +d쭉:i~" 에 수록 1원 갱뜯( 密 敎 8~ 제외) 가운데 휠 身 음( 흉 身 옮치J 익 경우 제외) 언납하고 있는 전부이다 l 정도로 률 身 은 경어1 그려 쉽게 십할 수 있는 용이가 야님을 얄 수 있다 1 정틀은 흥협의 中 꿇 佛 典 t4! 會 의 얀터넷판 ( ccbs. ntu. edu. tw/cbeta) 을 통해 김색했으며, 이 작엽은 양이 맡아 주었cJ. 01 밖에 주요한 얀도 찬숲띄 논틀에 대해사도 걷섹해 보았으나 이래에서 보는 비와 같이 i 훌경 은 매? 드붙게 등장할 뿐이다 한쉰 "1?I 스트에서 역자낼로는 後 奏 뼈 摩 羅 il (1 0, 11), ~U,., 율 無 짧 (6, 7), 北 周 똥l 那 빼 舍 (2, 4), 훔 짧 F'Ë (9 약 大 ;'1없찌 l 來 不 헌 議 境 界 댐, )71 zf 2회.W:팔 佛 [JTI ik[jt 歸 (2), 겨 b짧 佛 flt~ (1), 홈 玄 농 (8), 義 j (5), 般 若 (31 가 각 l 회씩 등장한다 5) 뭇다의 三 身 꿇에 대한 설병은 여기서 새삼 필요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jt 永 r 佛 身 이1 관한 연구" 佛 敎 學 햄, 3.4 合 ( ( 載 韓 國 했 敎 짜{ 究, (한국불교연구원 1982 ), 9-83 수독, 長 尾 雅 A, ' 佛 身 論 ~ VJ <' t) τj, r 哲 쩔 lff 究, 45-3 (1971)' 1-26, 원 賴 俊 야 編 ) ra 敎 찔함 典 μ ()!Uj>,: llij!값짧 1955), 38:3-86 佛 身 항 관 참조
4 230 인분농종 제 45선 桓 不 動 (1)의 佛 따져펴 多 역 播 大 乘 論 ')011서는 세 가시 佛 身 로 륭 身 과 Ï'fl. 身, ~폰흉 을 꼽고 었다,섭대승론 J 은 산스크려트본 1 선히지 않지다 1. 월 g혐의 역본 (Tl 년)파 玄 맺의 엮본 (Tl 594, 년)에서는 1 세 가지흘 共 히 白 맨 身, j 受 벼 身, 變 f[; 身 으로 번엮히였고 1 티베트본에서도 -," 0 bo fíid sku, 10꺼 5 spyod rdsogs pa sku, sprul pal;l i sku 로 번역하였다 61 이호 미루어 이 서1 가지 불신의 원어는 svãbhãvi kakã.ya( 쉴 身, 벼 t 身 ), sãl"!1bhogi kakã.yal: 報 身, 受 用 Jit), nairmå꺼 ikakàya( 뻔냥, 썼 化 당)였유을 얄 수 었다 7) s녀hhãvikak~lyfl, Sà샤Jhogikak'ya, nalrmηikak효ya는 身?로 보다 흔히 쓰이는 dharnak'ya( 양 身 ), s 짜)hogak'ya( 짧 身 ), ni r떠"0 rt kj--yfl ( 應 당 흑은 化 身 )의 쩔 稱 으로서 f옳 fhu 行 ìbï의 문헌 11 주로 나오늪 것임은 잔 알버 져 있냐 6) Tl 59:1. :1l :129c. I:l2a: TI594, 31:1:13a, 149a, 151b-c 티에프본은 이1 티엔트 라 (Ëtienne Lamotte) 의 校 바 本 (La s,때we du gra.α/ 닝111αlle d ~Sðlη',g8. Louvain. 193 니가오 까낀(표 尾 雅 )이 7흙t 乘 듬성 1' 0뽑느 注 Wi'.,! 東 京 ~~0.따 에 수독한 것 참조하였다 해단 변은 上 t( 행 尾 의 티베트본 )3, 下 t!04, ) 長 尾 T :Jj톰 大 乘 히웅 to 譯 ε Iì 解 下 찬조 이 三 身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는 글과 주 箕 永, 佛 身 에 관한 연구" 44-60,윤 참조할 것 한연 훌짧는 그의 익본 서 우의 fjl; 止 隊 相 *tþ 名 1뮤j 에서는 = 種 佛 身 을 1 엽 牛 身 1 應 身 \ k 혀! 이라 하고 IT 31:113c), 맏미익 智 1::~1] 勝 相 1 에시는 自 性 身, 풋 用 身 1 變 化 身, 01 라 하고 있 129c, 1328 l. 01 것은 그가 맨익한 世 챔의 챔d.(*tffB~월 에서도 마찬가지이다(Tl 59 31: 155c. 249b -250b, 267a) 뒤에서 윷 用 身 이라고 한 것블 악에서는 1 應 身 1 이 칭한 것인데, 佛 Wi:없 多 나 玄 찾의 역본 티에트본과 대조해 볼 때 양사 사이에 원어 상의 차이가 있였딘 것P 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어째서 s'미bhogikakãya를 궁이 앙에서는 應 身 이라고 번역할 필요가 았었는지 흥미로운 분게가 아님 수 없 디 JIij 身 은 ~히 f~ 身 과 더불어 nu 뼈'7' ak ãya 혹 응 nairmà;이 kakãya 의 譯 語 로 쓰이 말이며) 우}에서 연감한 佛 '"링 多 의 밴역에서s: nairmã~ >i kakãya 듣 f흉 身, 01 라 τ1 운 바 있다 應 身 1 라는 맘 1 nairmã:{l ikakãya로 오인됨 가능성을 올랐을 "1 없는 훌 기 년이 應 장 이라는 표현음 쓴 이윤는 섣맹하기 힘듭 CJ 붓다의 상신으로 혹히 열 거허는 염i 身 해 身 껴 身 1 흥은 f~ 身 ) cb 신어 1 fl'!ï',,!흉 身 f b 身 을 꼼기도 히는 [11 (예 듬어 'fë 光 '!lí'띤'.d], 아래의 239 변 및 주 27 참조), 후자에서 應 身 은 報 身 파 원어가 다 르 "1 않은가 하는 건해도 있나 (0. T. St 2싸<i, Studies Ùl the Lankavtltara 5(1 t1'a [Lo Routledge and Kegan Paul, 1930: reprint, 1968] 그미니 훌해익 r 섭대 에 나오는 應 身 은 원어가 S뼈bhogikakãya였음 1 틀림없는 듯하다
5 1 륭 身 에 관하여 231 따라서 佛 院 扁 多 역 섭대숭론(에 나오쓴 1 훌 身 은 svãhhãvikakãyr 혹은 dharrnakãya, 즉 통상적인 삼산론의 법신이1 해딩!하는 譯 語 로서, 삼신 중에 다 는 두 기지 9\ 보선 및 웅선에 대응히여 쓰였음을 쉽게 알 수 었다. (21 떠 那 耶 舍 역 夫 乘 페 性 쐐 에서도 佛 We없 多 의 섭니}숭폰 f 고 마잔가지로 불신을 될 身? 報 身, 應 창 의 세 기지로 니누고 있다, 윷올5뽑엔 J 說 쫓 夫 乘 經,( :I1i! 婆 응 可 羅 역, 680 년, T674) 에서 같은 부분을 엽 性 身 1 滿 資 用 身, 化 身 이라고 번역하고 있는 것으호 )ι 얘) 댐 那 耶 속역의 힐 身 은 며맨 身, 즉 sv ã.bhâvikak ã.ya 였쓸 것으호 판던원다 또 위에 인용한 부분의 아래에 나9 는 실병에서 륭 身, it 身 륭 注 身 관 의미상 混 用 하고 었는 것으로 띠루어 훌 身 이라는 어휘에는 흉 注 身 의 의미가 였었음을 얄 수 였다 91 늦은 시 기의 경전이자 번역이기는 하지만, (3) 般 若 역 T 太 乘 J 里 趣 λ ili 羅 홉 多 經 ι 에서 는 문맥으로 보아 體, 빠 用 파 연견되는 붓다의 삽신판을 엽두에 두고 있웅 을 알 수 있는데 10) & 身 맥 4 動 윌 身 Ijj 不 動 의 묘현에서 블 수 있는 비 와 같이 률 身 을 삼신 가운데 法 身 과 混 用 히고 있는 것으로 블 수 있다. 그려나 이밖에는 인도 찬술의 한역 경론에서 풍상식인 붓다 심신 채셰익 하나로 등장하는 svãbh ã.vikakãya 또는 dharmakãya를 툴 身 으로 번역하고 있 경우는 거의 잦아볼 수 없다 따라서 한역 경론에서 톨 身 을 이러한 의미로 쓴 것은 극히 희소한 정우라고 보아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흉 身 은 역시 붓다의 三 身 흘 실 t영하 U 았는 주요 정전인 * 光 明 經 에도 언급되어 있니 (41 c 合 部 金 光 明 經,, 陽 597년 寶 貴 合, 해당 부분은 원래 間 那 耶 舍 역 8) T674, 16' 何 者 名 용 如 來 法 身 佛 言 善 1:: 夫 如 來 톨~ 身 者 無 色 無 現 無 홉 不 'J 見 無 言 說 無 11 處 無 tb Ì!!\행 껴@ 生 無 滅 Ì!!\뿔%용 ~Q 是 홍1::' 夫 如 來 不 可 說 身 훈 身 智 身 無 等 身 Ì!!\ 等 좋 身 옮 盧 또렌'B!1' I~영 身 不 짧용 7 t썼 身 無 A쩡 身 궁i 힐 身 非,~j융J'ý j뻐용흥미융 身 ;효 名 률 身 11673, 16:6Slc} 10) 위에 인용된 부분의 앞에 佛 흉 三 種 身 體 相 며 平 等 甚 深 廣 * 性 勝 義 無 差 別 이 "1는 구절이 나온다 (T261, 8'912bl
6 232 인분농종 제 45선 (T661, " 1 如 來 훌 身 非 所 造 作. 所 j;j용{ 可 諾 佛 無 生 \Îi: 1에 IJ 不 았 內 外 無 빠 示 現 身 相 隨 化 覆 生 如 來 夫 仙 無 有 6 1:영, 如 是 身 者 非 t 血 肉 공 何 而 得 有 於 舍 利,!옴 化 ~<: 生 方 뺏 'J 現 - 切 1[ 覺 윷 法 웰 身 $ 界 j솜댄 是 名 j디 來, 王 子 홉 知 3 佛 身 如 옮 ~n~n 來 lji; ~n 是 ι 義 (5) r 金 光 明 最 勝 主 經 " 훔 703 년 義 序 역 (T665, 16:406c) 홉 佛 無 作 者 亦 復 ;$: 無 生 켄f 尊 1:1IJ~ 體 權 現 於 il 身 j손 故 佛 4캉 利 無 如 까 子 ~1 佛 非 血 까j 身 j긍까'j 有 송지j 方 便 fg 身 骨 용 益 諸 聚 生 法 身 是 1[ 1월 法 界 fwyu.?k. D 此 옮 佛 훌 身 亦 說 如 是 t효 위에 인용한 關 那 耶 舍 외 玄 씨의 뚜 역본에 퉁칭하는 훌 身 은 문맥상 1 정전에서 이야기히는 삼신 가운데 법선에 해당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이니 이 두 역본에서 상응히는 부분들인 A와 C, B와 D를 대조해 보면, A 와 D에는 률 身 이라는 민이 들이 있으니 C 와 B 에는 률 身? 혹은 법선에 해당 하는 말들이 들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 두 역본의 산스크리트 원본이 동일하지는 않였지만 대체로 내용이 일치하는 점을 감안하면 1 여기 사용된 를 身 은 dharnakã.ya 또는 그에 상응하는 말을 옮긴 것이 아니라 역자의 염 의로 사용된 표헌일 가능생이 높다 111 그려나 문맥싱 1 부 문은 舍 利 이1 對 하 여 le쩔이 참된 법신임은 강조하고 있는 접 R 로 볼 때 여기 쓰인 1 륭 身 에는 법산으로의 해석이 내표되어 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울론 이 법신적인 의 미가 아 정전에서 이야기히는 삭신 l 法 身, 應 身, il 身 j 가운데 히니로서의 법 신과 얀치히는 것엔지는 확산히지 않다, 오히려 현상적엔 것에 대히여 부진 적인 측면을 강조히는? 보다 포관적인 의미의 맙산으로 쓰었을 가능성아 있 다 아래의 ( ) 에서도 쉴 身 은 위와 같은 포괄직인 의미의 엽신과 유사 111 볼행하게도 이 부분은 현재 남아 었는 산스크리트본에는 들어 있지 않아시 직접 익인이 붙가능하다 i띤존 산스크리트본틀은 이 역본뜯보다 시니1 가 융마가는 짧짜 짧역 : 金 光 '!l앙 J(T663) 과 대체로 일치한 q( cf. ' {!l 書 解 說 大 함 典 " 3:4291
7 윌 身 에 판하여 233 의미로 쓰이끄 있는f 것 R로 보인다. 이틀 갱론들은 대부분 불신관이 삼신론 o 로 뚜렷하게 체계화되기 전의 단계콜 보여주는 문현틀인데, 여기서 언급된 할 身 은 궁극적이고 본전적이며 근원적이고 영얄l 한 붓다꾀 톰용 가려키는 멜로 쓰이고 있으며, 삼선론의 법선과 간이 서l 빌하게 분화된 의미가 야니리 生 身 에 대비되는, 포괄적인 의미의 법선을 뜻한다고 판단된다. (6) j' 大 方 쩔 大 集 첼.r, ~t j);~ 년 꿇 無 鐵 역 (T397, 13 3a) 짧 令 -.!t 作 無 불 ifii 其 윷 身 無 t합 減. 雖 f똥 樂 生 現 神 變 然 其 內 心 無 람 慢 ( r 樓 珞 品 J ), (7) r 大 般 떨짧 經 J, 北 μ\~ 년 윷 無 識 역 (I374, 12: 382c-383b. 514a), a, 如 來 身 :환 是 常 íl 身 不 ñy 壞 身 金 ] 剛 之 身 非 雜 食 身 ~rj 是 7'! 身... 如 來 훌 身 X}J1.옆 ~n 是 -:r긋 何 復 得 짧똥쩡 苦 b. 警 如 明 燈 有 A 覆 之 餘 不 知 者 謂 燈 已 滅 而 是 明 껍 實 亦 不 滅. 以 不 知 故 生 於 滅 想. 聲 聞 弟 子 亦 復 ~p 是. 雄 有 慧 텀 以 쩌 싫 覆 令 心 願 1l1J 不 見 월 身 1m 뾰 生 於 滅 度 之 想. (8) r했 無 펌 稱 첼.1,,f합 650 년 玄 섯역 (T b). 世 尊 뚫 身 實 無 有 病. 但 以 如 來 出 五 獨 世 寫 欲 化 導 賞 罷 苦 ι 싫 惡 行 有 情 示 짧 斯 事 - (9) r 華 嚴 *~, 홈 695~699년 實 又 難 院 역 (T :9a, 267c, 403a). a 如 來 륨 身 本 無 τ 應 혐j 隨 形 淑 ILI:f댐b. 諸 佛 월 身 亦 如 是 - 切 法 界 無 不 遍. 不 可 得 見 不 可 取 鳥 化 策 生 而 場 形, C. 入 深 智 慧 已 自 在 於 諸 三 妹 亦 究 竟. 觀 -l;i] 智 如 實 門 此 옳 身 r휩 受 生 藏, 이들은 대부분 산스크리트본이 담야 있지 않지만, 다른 역펀블 3과 비교해 보면 員 身 이 특정한 산스크리트 어휘에 기초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6) ~ 大 集 經 ~ rj햇 珞 品 의 異 譯 인 夫 哀 經 J( 쏟 法 護 역)에서는 해당 부분이 以.+ -~ 之 좋 IJ ::t ~Jj 無 數 佛 國 j훤;휴)ifr 默 現 좋 IJ 土 不 增 減 隨 껏U 應 j) 便 太 稱 隨 R훈 人 普 λ ψj 變 神 fè 所 感 動 이라고만 되어 있어서 훌 身 대신에 判 士 라는 말음 쓰고
8 234 인분농종 제 45선 었다 121 물론 두 역본의 원본이 반드시 일지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 (9) 實 又 離 때의 80권본 -화엄정 보다 시대가 올라가는 佛 ~tffft P'낀 編 의 60 궈본 화엄정 에서는 위에 얀용 된 부분들에 상응하는 부분늠 1 각각 (a) 無 上 大 뿔- 妙 身.~1tK되 備 -디Jll1, "131 (b) - 切 諸 最 勝 S영땐 妙 法 身 無 處 而 不 ~ 'Jî: ì 龍 용i* 界 最 陽 妙 ì* 身 -ljj 莫 能 見 敎 1G~잊 生 故 導 8띠쩍 示 現 "14) (c) 甚 深 智 옆 中 速 得 自 在 力 뽑 求 切 智 究 竟 三 D*ì행 라고 되어 었다 151 (7) 내승의 열반경 은 산스크리트본이나 異 譯 이 없고, (8), 說 無 펌 稱 經 의 경우에는 支 澈 역의 'M1J1할등려 經.], ~웅역양 羅 什 역의 IT' *1t11용등김 所 說 經,[, 티베트본에 공풍식으보 빠 尊 흉 身 實 無 有 病 부 분이 빠져 었다 16) (6)-(9) 문현에서 본 마와 같은 의미의 흉 身 은 아래의 (10), 成 實 論 4과 ( λ 智 度 論 애서 化 身 과 대비적으로 서숲되어 았는 점이 주목된나 (10), 成 實 論,, 後 奏 년 鴻 摩 羅 什 역 (11 646, 32: 240a) 又 有 웠 生 待 佛 월 身 又 待 f~ 身 而 똥넓 盡. 佛 폼 別 知 而 월 說 法 令 得 解 脫 (11) r 大 智 度 論 J, 後 奏 년 嗚 摩 羅 什 역 (TI509, 25: 122c. 278a) 12) T398, 13:411c 412a 13) T278, 9: 400c 14) T278. 9:617c. 9(":1와,~h)에 싱응 하는 이 60 권분 화잉경 n 의 kþ;l- 妙 영; 身 이라는 띤으로 미루이 를 때 원아는 saddharmakãya 였을 가능생이 높다 15) 1278, 9:752b 이 부분은 般 若 역익 40권본 r좋없햄j 에도 마음과 같이 나온다 人 업 1;:흉 得 며끼 注 三 B 시와 威 究.#; ;1]첩J 方 혈 F9 此 賣 智 者 受 i때 (T293, 10:779,) 띤 하는 산스쿠 ζ1 드본 r 入 당;뿌 rf):l J 어]는 ye jñ811asãgaranaye vasi tãnuyãtãl~ sarva t 세1ayawukhaφ \<ya' acãrayanti. sarvéi,p saruãdhinayasãgãra otaranti janruã.ha'1' lllat da'!' tathat상 rayãl,lã,!," ~1-~ï"- 도]이 었는네 (P. L. Vaidya, ed.. (J"",'여ι ylihastitrfl., B hist Sanskri t Texts no, 5 [Darb뼈nga: Mithila Instiωte, 1960], 29 이, 40 권본 인한 내용이마 80권본의 률 身 이 이 두 본에서는 각각 實 智 者 tathatãsray 되이 었음을 올 수 있다 tathatã' 는 물론 1 훌 如 랴는 뜻이고 ãsraya-는 의지 바 ( 依, 所 衣 ), 속하는 콧 1 이라는 뜻으로 때로는 1 身 이라고 번역뇌기도 하는 맙 1 여기시도 J윷캉 이 율 frq!t 측 양항마 매슷힌 익미를 시니고 있음음 암 수 있마 16) Cf. Lamotte, L EnseÍgnement de [lj뼈lakirtí (~ïmalakirtinirdesa) (Lou' iain: 1:n Lou ain, 1962), 187
9 1 륭 身 에 관하여 235 a 其 有 등협 皆 至 Þ'f*캠 多 編 짜 폰 提 其 中 疑 7일 거: 常 身 便 융 信 解 而 各 說 즘 今 所 見 엄 옮 佛 훨 身 J;J. 佛 力 故 此 三 千 大 千 ili: 界 中 A 見 佛 常 身 遠 近 無 빠 옳~풍므 千 大 千 世 界 였 :'L 皆 大 歡 :딩 듬 此 힐 是 佛 身 b 佛 身 有 :핸 취월 身 추if~ 身 -*1:. 見 佛 윌 身 4맹 願 4!협 佛 월 身 遍 於 g힘?한 光 ßJl 遍 tg-f 方 說 냥좁 뺑 亦 遍 f 方 無 움 TI'_ 河 H 等 世 界 滿 中 大 樂 皆 共 聽 ii 說 옮 不 息 븐 히 (11)b l' 大 챔 度 論 J 에서는 뭔 身 을 化 身 에 대비되는 것이며, 화산파 더불어 두 가지 불산을 이룬다고 뚜렷하게 천병하고 었다- 이와 같은 = 身 觀 은 크게 보아 1 삼산론 대두 이전의 여러 대소숭 경론에서 빌리 인식되고 였 였으며 대지도론 에도 언급되어 었는 注 身 과 生 身 의 이신관과 상통하는 것 으로 보인다대지도돈 에는 진신과 화선, 법신고 l 생신 외에도 앉 It!t과 父 母 生 身 의 二 身 을 언급히고 있는데? 生 身 과 父 母 生 身, 法 身 과 法 性 身 은 동연 한 것으로 불 수 있다 17) 법선-생선, 립성선-부모생신이 여버 곳에서 언급되 어 다 있는 것과 달리 진신 화산은 위에 인용한 구절에 등장하는 것이 유일하 이기 제시뭔 진선에 내한 설명으로 미누어 진산은 법신과 비슷한 생격을 지니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면 진신과 화신도 법선/법 성신, 생산/ 부모생산의 디른 이름에 불과한가? 잔 알이진 마와 같이 I'[B 지도론 은 산스 크리트본이나 티에트본이 즌재하지 않으며? 한역 로도 쩌 摩 짧 tl 의 역본 1 유일하다 따랴서 륭 身 의 원어소 순전히 추측에 의존한 수밖에 없는데 1 에 티엔느 라모트는 그 원이를 bhütakãya 로 추측하고 있다 181 산스크리트와 17).대지도론=의 佛 身 햄에 대해서는 추 箕 永, 佛 身 에 관한 연구" 20~27 이 논문에 서는 {뼈에 神 通 뺏 k 身 파 父 母 生 身 의 누 기치가 있다눈 언급도 있는 것으보 서술 하고 있으나 (21 연) 이 부분응 착오로 판단펀다 한편 대지도론 에는 합 佛 과 $ 이디는 밀도 니오는내( "jjt 쫓 化 佛 wt 佛 흉 福 뺑앓 何 以 1& $1융짧잉휩 相 1& í껴종 無 등양 ft fιj); 不 짧훌 相 故, Tl 509, 25: 648a), 0] '!},틀닫 힐양 ft 身 과 같은 의 볼 수 있음 듯하다 18) Ftienneβmotte,!.R trait강 짜 1 R grand llertu de 8ages8e, vo 1. 1 t I,OUV.'l i n 0 1' LOlιain, 1976), 1940
10 236 인분농종 제 45선 티베트 1 한역 문헌을 통틀어 누구보다 불교문현에 정통했던 라모트의 견해인 만큼 부시할 수는 없으나, bhutakãya 라는 알아 실제로 불교문헌에 퉁장하 는 예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아울이 월 身 에 해탕하는 고정된 산스크려트 이휘기 존새했는지 또한 의문이 이년 수 없다 만연 인부 학71 의 꺼해대로 대지도론 4 을 섣제로는 嗚 摩 羅 什 1 j쫓했다고 한다면 191 아 용아도 t용 摩 羅 什 이 증국직인 컨텍스트에서 만들어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거1 던정할 반한 근거 또힌 ;분치 않디 흥미로운 접은 역시 j 윷 身 파 化 身 이라는 말이 대비적으로 등장하는 (1이 'Jili: 實 論 J도 鴻 摩 羅 什 의 번역이 라는 사실이다 어쨌든, 뒤에 살펴보겠지만 이 진신과 화신의 이산관은 흔히 륭 身 파 應 身 로 표헌만 마뀌어 후대 중국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통징하 게 되었던 것을 주목할 필요가 였다 월 身 과 1 1:. 身 이라는 이휘는 1'* 方 等 * 集 經 日 密 J \옳 無 鐵 엮)에서 위 와는 다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즉 석가모니 붓다가 꺼쭈Ij 天 에서 섣법을 마치 고 내려올 때 쯤 天 과 六 성t 天 1 각각 보배로 시다리를 만들지, 석가모니가 여 섯의 化 佛 윌 만들어 육욕천이 만뜬 사다리틀 내려오 '11 하고 자산은 맨천 l t간뜬 사다리호 내려왔다고 하는네 1 이기서 틀 身 1 은 석가모니흘, 化 身 은 석가모니가 만든 化 佛 들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爾 時 世 尊 心 憐 縣 故 化 作 佛 像 遍 行 / 道 遍 坐 ;' 座 以 如 來 훨 身 處 在 兌 王 所 設?훌 座 ).'0) 따라서 여 기 서 말하는 흉당 은 석까모니가 만든 회불등이1 對 하늠 의미의 석가오니의 진 신은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된 훌 身 을과늪 전혀 무관한 용법이 이고 할 수는 없지만 의미상 차 1 가 있음은 분맹히디 한펜 r 觀 佛 三 H*ì 每 젠 에서는 j 월 身 1 二 身 觀 的 인 의미의 법신이 이니이 보 다 때뚫 的 성격 1 부여된 의미의 불신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이 주복된디 (1 2) j 없 佛 三 "*싸*포μ 東 품 년 佛 때없 rb 羅 역 (T643, 15: 682c, 689a a 됐벼 ιg 想 境 w- 未 來 융융* 꺼: 當 如 Jt:;벙 佛 윷 身 19) 三 i'i: 充 홉 大 쩔 度 論 끼 物 語 J ( 東 京 第 三 文 明 띠i. 1973), ) T397, 13:231b
11 1 륭 身 에 관하여 237 h 佛 V& 端 렸 擔 尙 如 J1t j 兄 佛 훨 身 관붙삼매해경 도 산스크리드본이 남아 었지 않아서 여기서 훌 身 의 원어 가 무엇이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문맥상으로 보야서 률 身 에 해당히는 특띨한 고정된 이휘가 있었디고 보이지는 않는다 (12)a의 부분 앞에는 % 天 王 과 帝 釋 天 등 1 석가모니 뭇다에게 여래의 ß 身 가운데 최상의 ß 身 1 ~p 來 色 中 上 色 )을 보고 나서 내에의 중생들을 워하여 자신들을 佛 身 과 같이 해 주 기를 정한다 그러자 그들은 마음속에서 백만의 벚이 나오고 그 벚줄기마다 無 옳 百 千 의 化 佛 이 있는 모습을 본다 (l 2)a의 구질은 자신들이 마음속에서 본 境 界 서럼 미래 중생틀도 붓다의 진신윤 觀 想 해야 한다는 딸이디 여기에 는 법신과 대비되는 色 身 的 인 요소가 분병히 었지만, 삼신론의 보산과 같은 성격도 투영되어 었는 것으로 보인다 211 울론 이 문헌은 삼신론이 본걱적으 로 매두뇌기 1 선에 성립된 젓이다, (12)b의 구전은 약간 생격이 다은데, 佛 像 의 端 嚴 함 I 0] 와 같다면 佛 졸 身, 진찌 부처님은 이떻겠느냐는 만이다, 여기서 월 身 은 진찌 부처념, 실제 부처념 1 정도의 의미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비슷힌 용례는 r 大 方 t흉 ~p 짜 不 思 議 境 界 힘, "뽕 년 實 곳 雖 rb 역)에도 나오는데, 불상을 拜 觀 하는 법을 설명하면서 그같이 보면 붓다의 진선이 마치 앞에 햇 前 하는 것 처닙 분병하게 보인냐는 구절이다( 如 是 觀 時 生 極 쩔 重 행 敬 之 心 如 佛 륭 身 現 ;김I 其 前 了 了 明 見 ).221 륭 身 닫 붓다의 1 진짜 몸, 진짜 묘습 정도의 비교적 단순한 의미로 쓰는 용례도 드울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붓다 이 외의 존새에 대해 진쩌 봄 이라는 의미로 쓴 경우도 경선상에서 드툴게 발 견할 수 있다 231 한펜 大 乘 볕 趣 六 波 體 짧 多 ;t~~.j 에는 위어1 얀용한 부분 131 과 다는 의미의 휠 身 이 한번 더 나온다 즉 미득보살아 석가모니 붓다의 옷을 받아들고 정의 211 Cf 주 ' :911 中 231 쫓훔역의 金 光 B꺼 最 勝 王 햄J 어1 시는 뾰후 地 神 이 사신의 몽을 개리카며 1 我 톨 身, "1 라 는 표현욕 쓰고 있음을 본 수 있다(1 665, 16: 440cl
12 238 인문논총 제 45집 릎 표하며 이 모든 천과 용, 옷은 곧 如 來 률 身 의 制 底 아니(혹은 如 來 의 톨 身 밟u 底 아니), 사람과 사람 아닌 것들이 모두 예를 드려야 한다"( 此 衣 郞 是 如 來 쉴 身 制 底 - 切 天 龍 A 非 A 等 皆 應 作 禮 )고 했다는 것이다 24) 여기서 밟u 底 는 cai tya, 즉 붓다와 관련된 聖 所, 또는 聖 物 을 가리키는 말인데, 如 來 률 身 밟u 底 는 여래께서 직접 쓰시던 制 底 정도의 뜻으로 읽윤 수 있을 것 같다. 원문에 반드시 한자어 률 身 에 부합할 만한 어휘가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m 인도 찬숨의 한역 경론들에 비해 중국인들의 論, 統 에는 員 身 이라는 말이 더욱 빈번히 등장한다. 톨 身 舍 利 라는 어구를 이룬 경우를 제외하면, 률 身 대부분 應 身 (드물게 化 身 )이라는 말과 함께, 혹은 률 과 應 (드물게 對 比 를 이루는 관계로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필자가 살펴본 중국인들의 論 減 중에서 률 身 이라는 말이 가장 처음 나오 는 것은 寶 亮 ( )의 大 般 j 皇 盤 經 集 解,!l (509) 이다. f 曾 亮 티. 身 以 生 滅 積 聚 鳥 義 而 有 쉴 有 廳 也. 훌훌 身 非 生 滅 積 聚 故 非 身 也. 廳 身 無 生 不 生 無 形 不 形 故 是 身 也. (T1 763, 37:421b) 增 亮 日.. 法 身 有 쉴 有 廳. 훌훌 身 是 常 廳 身 無 常. (TI763, 37: 576c) 여기 인용된 부분에서 寶 亮 은 曾 亮 의 말플 인용하고 있는데 25) 增 亮 은 진 신과 응신을 법신과 생신간의 대비처럼 언급하고 있다. 즉 진신은 生 滅 積 24) T216, 8:916a. 25) 南 本 r 열반경 의 주석인 T 火 般 평 盤 經 集 解 에는 道 生, 1 曾 亮, 法 - 搖, 끓 齊, 1 曾 宗, 寶 智 秀, 法 智, ~J 安, 憂 j옮 등 lo 'i'_l 법사의 설윤 인용하고 있다 (f 佛 홉: 解 說 火 解 典 7:427).
13 1 륭 身 에 관하여 239 聚 하지 않는 몸이고, 용산은 生 과 形 옹 떠날 수 없는 몸이라는 말이다. 두 번째 인용 부분의 양 身 有 흉 有 應, 즉 법신에 흉과 應 이 었다 는 구절에서 법선 이라는 만아 쓰인 점이 다소 의아스럽지만, 이 法 身 은 전후문맥으로 보아 如 來 身 또는 佛 身 의 착오가 야닌가 생각된다 이 문헌에서 진신과 응신의 二 身 觀 이 제시된 것은 생 摩 羅 什 역의 대지도론 이니 성싣론 에 니오 는 진선 화신의 이신관과 푸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네 y 어떤 경위로 化 身 이 應 身 으로 바뀐 것인지는 알 수 없다 1 되다 더 자세하고 분석직이며 아마 후대에 큐 영향융 u미쳤마고 생각되는, 진산에 대한 언급은 階 代 慧 遠 ( ) 의 r 大 乘 義 章 에 실린 것이다 慧 遠 은 ['[~숭의장4 의 여랴 부분애서 진신과 웅산이1 관해 언급하고 있는데, 그 밀 양옹 義 어1 실덴 한 부 운은 인 용하면 다음파 같마 總 之 n뾰 謂 & 身 DX 分 짤 ~W~ 與 ~ 或 說 謂 三 $: 6 與 應 如 빼 論 說 :Zi<P후쩍옳$맹 中 亦 分 三 種 ~Jit i얻 身 及 윗훌 身 (1 it해 兩 佛 名!'\io:!t. '2: j\\ ft댔건::;고#!ffr,jf; 名 용,~!f. :3~ jfj용.î.! i훤뇌앓 之 形 說!'\끼 b 身 若 끼l팩%,1: ì1웹 二 {에J 是 其 ~ 身 깅 王 좀 JJt 生 1효F엄 J)! 成 옳 其 I!\ 身 -:]) fk ff.통월 k 잦 太 f#: fjh" 其 化 身 (T1851, c Ií 數 에 따라 佛 身 說 옹 실명하고 었는 가운데 慧 遠 은 = 身 鏡 에 관해 或 分 짤 二 謂 졸 與 應 (혹은 둘로 니누이 진신과 응신 1 였다)고 히고 있다 1 것은 앞서 인정한 엠 亮 의 경우처럼 =다 1 지도폰 또는 f 성산폰 所 說 을 염두어 1 둔 것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에 地 論 에 의거하여 법신, 보선? 응신의 삽선을 언듀하고 261 이어서 七 卷 金 光 明 1 즉 톨댐역의 r 金 光 明 經 을 인용하면서 진 26) 여기시 이야기하는 뼈 論 은 연대나 삼산악 영칭으로 브아 흥해 流 支 역 十 빼댐 論 (508 년, Tl 522) 이 튿립없다j 보인다 7 십지정흔 의 불신관에 대해서는 후 箕 永 [ 佛 身 에 관한 연구" 창조
14 240 ~l 분농종 제 45선 신? 응신? 화산의 삼신실용 거론하고 였다- 그런데 헌재 폼합의 J 잠염E 金 光 明 經 어1 全 載 되어 었는 훌짧역의 r끔광병정 三 身 分 別 品 에서는 양 身, 應 身, 化 身 을 꼽고 있을 뿐 률 身 이라는 표현을 전혀 쓰지 않고 있다 271 다만 응신과 화신은 假 名 有 이고 법신은 률 有 라는 민을 히고 있는데 281 아마 慧 遠 은 이것에 근거히여 월~*역의 & 身 에 월 身 이리는 이름을 붙인 듯하디 그러나 혼 遠 은 法 報 兩 佛, 즉 법신과 보선을 진신이라고 한다고 했는네, 이것은 함해역에 나오지 않는, 옆 遠 자신의 해석으로 딴단된다 그러면 늄 5체 의 t효 身, 慧 遠 l 바꾸어 흉 身 이라고 이름 불인 것을 통상적인 삼신관의 법산과 보신을 합한 것이라고 하여도 좋은가? 慧 遠 의 이러한 해석의 근원은 동상척인 삼신관애서 업신? 보신? 용신(혹은 화신)갇 갑는 데 반해 륭 請 늠 법선, 응신, 화선을 꼽았다는 사섣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覆 生 의 機 에 應 히여 示 現 히는 몸 혹은 應 現 히는 봄 이라 안려져 있는 應 身 은 化 身, 應 fl 身? 서 變 化 身 뜸과 더불이 보통 nirmâ"fì akâya의 ;뽑 語 로 간주되는 것이디,:l래 심선관에서 보신의 자리에 응신이 쓰일 떼 그 용신이 과연 _l;l신파 같은 sarrbhogakãya의 역어이겠는가, satflbhogak ã.ya에서 應 身 이라는 번역이 나올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영) 그려냐 엽빙히 띠지띤 ').1용 身 은 nirmàryakãya에도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도 아니다 nirm힘a에 應 에 해팅 하는 의띠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분이다 흥미로운 것은 휩짧가 섭대송론 의 벤역에서도 유사하게 自 性 身, 應 身, 化 身 이라는 역어릎 쓰고 였다 는 점이다 301 률 請 역의 해당 부분을 佛 야없 多 역( 法 身, 報 身, 應 身 )과 玄 맺역 ( 自 性 身, 受 用 身, 變 化 身 ) 및 티베트본과 비교해 보면? 진제역의 應 身 은 271 T664, c-365b, cf 주 箕 水, 佛 身 에 관한 연구" 훌짧역을 얀용 한 -g~.i: 光 R 明 *lf. J 의 三 身 分 別 品 에는 윌 身, 0] 라는 딸이 나오지 않지만 1 같은 정의 흙 훌 品 어1 인용원 용해U 耶 舍 억고} 義 짱역 r 金 光 R셔 經 익 'frq 來 좁뭉 品 에는 이 맏이 나 옴을 앞에서 언급한 바 있다(본 논문 II 장의 인용문 (41, (51 잡조) 281 T664, a 29) fj. T. Suzuki, Studies ín the Lanka ι:atara Sutra, 309 ~ 위의 주7 창조
15 률 身 에 관하여 241 報 身 혹은 受 用 身 (sã'1'bhogikak ãya) 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률 論 역 끔광명정 에 쓰인 應 身 도 sã '1'bhogikak ãya의 다른 표현인 sa'1'bhogakãya 였잘 가능성이 높다. 三 身 分 別 品 에 실린 설명올 보아도 거기 언급된 법신 을 통상적인 삼신관의 법신과 보신을 합한 것이라고 볼 이유는 없다고 판단 된다. 따라서 금광명경 所 述 과 관련된 慧 遠 의 해석은 원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saφbhogakãya로서의 應 身 을 應 化 身, 즉 nirmã 1)akãya 의 일부로 혼동한 데 연유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31 ) 그러나 끔광명경 4 과 관련된 경우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慧 遠 의 진신에 대 한 해석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i' 대지도론씨에 언 급된 률 身 은 체계화된 삼신론의 견지에서 본다면 삼신론에서 이야기하는 법신보다는 훨씬 넓고, 보신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2) 慧 遠 은 U 대지도론 의 所 述 을 바탕으로 진신월 이해하고, 그것을 끔광명경 4 과 연결하여 위와 같은 견해릎 피력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慧 遠 은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같은 대승의장 의 三 佛 義 에서 開 應 合 률, 開 률 合 應, 률 應 慣 開 의 세 종류의 불신관을 언급하고 있다. 開 應 合 률 은 應 올 나누고 률은 합하여 하나로 한다는 뜻이다. 開 應 合 員 으로 三 身 잘 설명하면서 慧 遠 은 역시 률 請 역 F 끔광명경, J 의 三 身 之 品 윷 률 身 佛,(2) 應 身 佛,@ 化 身 佛 의 세 가지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중에 진 신은 법신과 보신을 합한 것이기 때문에 合 身 이라고 하며, 응신과 화신은 응신쓸 뜰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開 應 이라고 한디고 설명한다. 삼신 가운 31 ) 위에 인용된 응신과 화신에 대한 설명도 률 論 역에 나오는 표현이 아니고, 慧 遠 자 신의 해석이다. 률 論 역에 실련 설명을 보면 통상적인 삼신관과 조금의 차이는 았 을 수 있으나 대체로 상통하는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품 冒 頭 의 기본적인 설명올 인용한다. 공 何 홉 蘭 7 別 化 身. 善 男 子 如 來 숍 :{f: 修 行 地 中 f댄 -w 累 生 修 種 種 않 是 諸 修 ~i 표:'.{I찢 行 滿. 修 行 力 故 而 得 멈:{E. 엽낀E 力 故 隨 聚 生 心 隨 覆 生 行 隨 짧 生 界. 多 種 T 別 不 待 時 過 時. 處 所 相 應 時 相 應 行 相 應 說 않 相 應 現 種 種 身. 是 名 化 身. 善 男 子 是 諸 佛 如 來 寫 諸 홉 羅 得 通 達 故 說 於 률 請. 寫 通 達 生 死 j멸 盤 味 故. 身 見 聚 生 佈 뿔 歡 喜 故. 寫 無 邊 佛 法 而 作 本 故. 如 來 相 應 如 如 如 如 智 願 力 故. 是 身 現 具 足 三 十 二 相 八 十 種 好 項 背 圓 光. 是 名 應 身 "(T664, 16: 362c -363a) 32) 물론 이것은 대지도론 J 에 나오는 員 身 과 法 身 을 같은 의미로 이해할 경 우이디
16 242 인분농종 제 45선 더] 륭 身 이 本 이며 1 훌에 의해 應 이 엘어나고, 應 에 의해 化 가 일어난다고 한 다. 아울러 이 三 身 의 구체적 생격에 대해서 7 열반정 과 금광병경 의 실을 인 g 히여, 다응과 감 1 요약뭔 수 있는 션 L성을 덧붙이고 있다 331 [열반경 1 A 률 身 법신+보선 훌 身 왕궁에서 태어나 보리수 밑에서 도들 이쑤는 것 化 身 응신에 믹가하여 만블어낸 無 量 뺑 邊 힌 化 佛 341 [열반경 1 B 를 身 常 住 하는 如 來 應 身 석가가 스스로 純 院 의 공양옹 받은 것 化 身 여래가 중생들의 바햄흘 만족시키기 위해 몸의 털구벙 하나 짜나로부터 1? 량한 {~ 佛 흘 만틀어내어 대중들의 낭영응 벤은 섯 [담굉맹경] 월 身 법선+보신 應 身 중생을 근기에 따라 제도허기 위해 相 ~t:를 具 足 히고 威 光 이 용 勝 한 블 선을 示 現 하는 것( 隨 化 聚 生 示 빠 佛 身 相 PJ 具 }E.rw. κ 珠 )췄) 化 身 증생에 따라 사람, 천, 용, 귀신 등 갖가지 모양을 나타 내며, 이렇게 세상과 같은 모 든 모습응 보이되 붓다의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 佛 隨 짧 生 現 樓 種 形 或 A 或 天 或 龍 或 鬼 如 νj 同 껴 色 f~ 不 꺼 佛 形 ).3 51 마지막에 담핑 L영겸 4 을 인정히년서 붓다의 모습으로 示 現 히는 것이 웅산 1 33) 이상과 아래에 정려된 부분은 Tl ' 840c 에 의거함 341 이 부분은 위에시 r 대승익장 익 열반의 로부터 얀용한 섣명과 자구만 조납 다를 쁜 거의 등입히디 35) 이 설영은 위에서 대숭의장-의 열맨의 로부터 인용한 부분과 비슷한 내용 1 다 우1 에시는 특히 응신에 대해 1 종생 g 제도하기 위해 붓니의 모습음 낀 示 現 하는 것 (월 化 댔 土 示 現 佛 形 ), 화신에 대해 갖가지 차효의 R습을 示 現 히는 것'( 示 現 찬햄 六 道 7f{)이라고 성멍딴 lif 있다
17 1 륭 身 에 관하여 243 고 중생의 모습에 따라 二 L 밖의 다른 모습흐로 化 現 하는 것윤 회심이라 하고 있뉴데 1 실제로 t 금광병정 ι 에는o 0] 러한 실명이 없고, 0] 것 또한 순진히 흉 遠 의 해석연 따름아다. 또한 慧 遠 은 四 身 觀 을 開 톨 合 應, 開 應 상월 월 應 具 開 으로 섣 l깅<>]고 있디, 민서 j 開 휠상 應, 톨을 셋으로 니누고 應 을 하니로 하는 정우에 대해 설명하며, f!영예u 經 의 설을 인용하이 (j) tí훨 化 佛 :Z: 功 德 佛, qk 점1룡 佛 '~,D 如 如 佛 의 너 1 까지등 거휴힌디 361 이 가운니1] )!땐 化 佛 1 정 신어1, 功 修 佛, 智 룡 佛, 如 如 佛 이 진신에 해당한다고 하고 1 비슷한 것들을 勝 쫓 經 에서도 比 定 하고 었다 371 開 應 合 흉, 應 을 셋으로 나누고 흉을 하나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金 光 明 經 의 분류릎 인용하여 fl 身 非 應 l 화신이면서 웅신이 아닌 잣), 應 身 非 化 (응신이면서 화신이 아닌 것), (~D 亦 應 亦 化 (응신아면서 화신인 것), :{) 非 應 非 化 (응신도 화신도 아년 것)의 네 가지를 거론한다. 이 중에 化 身 非 應? 應 身 非 化? 亦 應 亦 化 는 응선을 니눈 것이고, 非 應 非 化 는 진선에 해당한다 고 설명한다 38) 또 11 힐 身 佛 :'2 뺑 身 佛 ::3~) 化!t 佛,~,l) 化 身 非 佛 로도 분듀 하고 있는비, 진선, 응신 화선 가운비 화산을 다시 化 身 佛 과 化 身 非 佛 의 두 가지로 나눈 것이다 ) 佛 身 의 용어로 보아 여기시 언급하는 *영씨 1 는 현존하는 싸 那 없 F강 羅 억, '1:Ullp"JI!t: 多 흩쩔옆 1 >14 3년, T6701 이니 등 提 流 支 역?λt뽕 (IU1"" (513년 T6711 이 야니다 흑 촌하지 않는 윷빡없역의 tjjtb '뺑뼈펙 이 아녘까도 생각뀐다 그런데 위의 求 那 없 Wt 羅 역과 흥캡 流 支 억 1 또 현존하는 實 又 짧 F강역 년, 1672) 파 산스크리트본 條 文 雄 校 등J, j'첸 文 入 뺑f! Ul훈,, 京 都 *1i*켈, 은 모두 상신민을 거론하고 을 뿐이다 속 r}j l쁨 佛 파 염릎f껴에 해당하는 섯 1 fk 佛 (또늠 뼈깨) 뜸 한 가지 언납되어 있는 깃이t:j., D. T. Suzuki. St{띠'ies in the Lan.ktwatactl Sutl 건 쫓겨(, ' 佛 身 어] 관한 옆구", 38,, 43 참조 따 "1 서 이것도 慧 허용의 해석이마:ï I 할 수 았는데, 이것이 헌존하지 않는,능가갱 에 대한 어느 주석서에 의한 것인지 필자 의 씹은 쩌n 見 으흐는 확인할 수 잉였 t 37) Tl 851, 44:840b-c, '송반경 의 설에 대해서는 11) 如 來 妙 色 身, CZdQ 來 色 無 盡, <3) 플 亦 然 (4 링}잉;햄응 각각 應 짤 功 德 身 智 慧 껴 견 ι[견l 당어) Jt 定 하고 있다 38) 홍 遠 은 네 가지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을 붙이 1 있는,1], 01 것도 r긍굉명정 에 니 9 는 것이라기빙다 :u표 ;사선의 해서이다
18 244 인분농종 제 45선 마지믹~ 로 륭 應 f 具 開, 흉 과 1 應 윤 R두 나누는 경우늪 윷완 법신과 보신 로 1 應 -완 -웅산과 회산 로 나누는 것-완 의미한다 제까지 慧 遠 의 견해를 다소 장횡히게 션명했는데 411 π 의 션벙융 보 1꺼 진신이 법선이 보선을 협{한 것이리는 미에는 3똑 說 1 없으니, 응선이니 화신 1 무엿인가 히는 데 다 1 해서는 그기 안정히는 경선에 따랴 여이 가지 꺼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진선을 법선과 보신이 함쳐진 것으로 보는 견해를 룡 遠 이 정안한 것인지, 이미 그 이전부터 전해지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훌 rtι 羅 什 역의 i 내지도론 등을 풍해 그 이전부터 얄려져 있던 진산과 화산익 이신실은 1 늦어도 6 세기까시 충국에 삼산론이 얄러시게 됨에 따라 새로운 삼 산론을 통해 새롭게 해석될 펼요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고 진선을 법산과 보 산옹 합한 것으로 보는 견해는 이미 慧 遠 이전부터 대두되고 있었을 가능성 도 배제할 수 없다, 그이니 적이도 현새 남아 있는 문헌에서 이 같은 견해를 최초로 병시적으로 읽힌 것은 慧 遠 이고? 또 가장 상서]한 섣멍 을 가히고 였는 것도 慧 遠 이다. 따라서 아이한 률 身 觀 의 정립에 있 1 서 혜원의 역할은 결코 파소평가할 수 없다고 판단된디 또한 이러한 진산관은 후대 증악의 논사들 에게 큐 영향을 미섰으며 많은 사람들의 진산관의 근간을 이루었응을 볼 수 있다 물론 이와 아울러 진신을 믹연히 웅신에 대립하는 것으로서 보다 포괄적이 고 유연생 었는 개념으로 보는 경향 또한 계속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慧 遠 보다 한 세대쯤 늦은, 三 請 學 의 대가인 吉 藏 ( ) 도 간간이 진신옹 언급히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조 華 義 f폐에 니오는 다음과 끼은 천눈이다 39) :840c 아 누 밴깨의 開 應 감털 의 四 身 가운데 應 身 찌온 1:힘 所 生 7월 樹 티k j~!t$응 ft( 於 應 양 η; 現 뺑옳 無 邊 f~ 佛, f~!t킹f 佛 응 示 이 龍 鬼 역H~ ll'i 末 從 1 마 1'_ 싱으 1 "'1τ[ 았디 40) Tl851, 44:840b-c 41 ) 흉 遠 은 이밖에 大 般 ]영짧땀 義 記, (11764, 37: 640b-c, 660b, 721a, 856c) 짧 無 뭉 중~~갔 J( Tl 749, 37: 173b-c) 등에시도 진신에 대해서 이러 맨 언납하고 았니
19 1 륭 身 에 관하여 245 úffl T-Ht 之 g 者 등업현껴tI1. il!iw꺼때 服 혐명 t팀 衣 등엽 fl%t다 æt다홉.. i 띠ili양 權 敎 亦 隱 l탈장띠 起 化 身 ti1 門 外 *쩍급~$ 身 ti1.. 1충 入 火 되핍릅 應 身 ti í혜영% 說 敎 有 f훌훌 彼 以 敎 191 身 身 亦 有 播 흥H니 以 휩캉 說 寶 敎 흉 身 說 權 敎!Tl72l ) 吉 藏 은 법화정 의 長 者 짧 子 의 비유 에 나오는 장자의 두 가지 모습을 각 각 진신과 응선에, 火 毛 의 비유 에 니오는 장지의 두 가지 모습을 각각 법 선과 화선에 비유히고 있다. 문맥으로 보아 吉 藏 은 진신과 법신, 응신과 화 선을 통용해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는 이 두 가지를 實 과 權, 혹 은 實 敎 와 權 敎 (또는 方 便 敎 )에 비견되는 개념으로 쓰고 있다 전반적으로 꿈 藏 의 처술에 나오는 진선 i 에는 흉 遠 의 를 身 觀 과 같은 개념이 반영되어 있 지 않다고 보인다 421 릎 遠 보다는 약간 능시만 I씀 藏 보냐는 앞서늪 인웅이며 후대 중국 불교사상 사에 믹대한 영향판 미친 치 台 대사 智 해 ) 도 훌 身 과 應 身 이라는f 용어 를 그의 저술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였다 그는 慧 遠 저럼 훌 身 을 법산과 보 선 1 합쳐진 개념이라고 뱅시적으로 이야기히지 않으며, 그의 불신에 대한 논의는 역시 법신, 보신, 응션의 삼선돈을 기빈으로 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이니 智 펴의 妙 法 훌훌홉 經 文 句 어1 니오는 다음과 같은 진신과 웅신에 대한 설맹~븐 혜원의 견해와 상풍하는 점을 검 여준마 1틸없숭~Jtt ~D)용 乘 frq훌5틸 來 JIj; 正 없 Jt" 身 如 來 ili 以 찌] 寶 활 乘 如 實 펴 來 生 써 示!#:iEi관 者 ~[I 應 껴 frll잉 也 ITl :128al 여기서는 如 實 1효를 타는 것이 진선이고, 如 實 智 로 如 實 1효를 타는 것이 응 신이라고 되어 있다_ 0] 러한 언급은 혼 遠 의 대승의장 에 나오는 윷 身 謂 如 如 옮 及 如 如 智 其 frq 如 法 ~p 是 法 身 - 如 如 智 者 ~p 是 報 身 " 如 如 法 性 極 淸 i 爭 故 흉흉종훈 身 此 名 훌 心 tttì 身 x 如 如 智 릎 極 t숨 F융 故 }홈 f갖r흩 身 "(Tl 851, 44:841a) 42) 622년 ìt뺑 1 쓴 -~t재 論 어1 는 깨 有 ]J;tff.흉 二 身 f양쫓m 찜 三 明 八 解 五 ij! 六 1연 이라는 구짐이 나오는데 ("[2109, 52:476c) 양)μ 1 ~ 學 어1 정뚱했던 갓으로 미주어 吉 으1 영향을 빈시 않았을까 추측된니
20 246 인분농종 제 45선 e}는 구절을 연상하게 한디 見 智 핸의 글에서는 如 혈 道 가 진산에 관련피 어 었고 如 實 智 가 용선에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진신이 如 實 道 지체라기보다 如 實 道 를 티는 것이고, 응신은 如 實 智 가 야니고 如 實 智 를 티는 것이라고 뇌이 있다 1 것은 慧 遠 I 4p~p 智 가 보신이지만, 如 如 智 가 낙 허 챙정히기 때문에 웅신을 鐘 受 한다고 한 만과 상통히는 것으로 블 수 있을 것이다 431 따라서 智 얹의 진선관은 룡 遠 의 진신관과 크게 다르지 않였던 것 이 아닌가 여겨진다 찌) i용t~* 으1 鏡 基 ( 의 지술에도 진산파 응선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특히 r 妙 注 運 華 經 玄 贊 4 의 壽 量 品 에 대학 해실에서 자세하게 佛 身 觀 을 실병 하고 었는데, 그 내용이 대숭의장 에 나오는 慧 遠 의 실병과 매우 유사하 다 451 인용된 불신에 관한 諸 說 뿐 아니라 문장이나 어휘로 보아서도 慧 遠 의 대숭의장4 에 섣련 내용과 무관히지 않은 듯히다. 쫓흉 基 는 화염의 十 身 까지 션뱅히고 니서, 불신의 수니 내용에 판한 섣은 다양히지빈, 견놔 월과 化, 두 가지로 귀착한다고 아야기한다. 그리고 地 前 홈 顧, 즉 아직 十 地 에 오르기 전의 보살파 二 乘 l 보는 것이 화선이고, 법신과 보선을 일걸어 진선이라고 한디고 설맹을 뱃고 있디 46"1 이시서 j 툴파 化 1 는 불룬 함과 應 파 갇 R 뜻 인너L 균이 j 효과 化 라고 쓴 이유는 분맹치 않다 같은 범상송셰에 속하는 신랴의 룡 興 (7 세기 후반)도 三 剛 훼 經 뻐ι 에서 聖 에는 三 身 이 있논데, 칫째 진신은 ~:t 1'R o l 고, 뚱째 용산은 八 相 $; 道 1 며 1 써째 화신은 때에 따라 홀연 히 나타난다( 隨 時 忽 有 )고 하고 었는 것으로 보아 慧 遠 의 견해와 일지합을 알 수 있다 47) 43) 한편 흉 遠 의 윤 두 번째 인용구에서 如 如 法 얘 極 춤팽 故 짧풍 法 身 此 名 힐Jι!:1,it; 身 훗 에 나오~-:. 'il, 身 은 문 1써으로 보아 혹 윌껴} 의 착오까 아니었음까 띄심스럽마 44) Cf 多 버 孝 正, 天 台 * 士 η 佛 身 없 ) f 玉 城 康 四 郞 흉 土 뭉뺨 記 念 論 集 佛 η% 究, ( 東 京 春 ff~., 1977), 이 밖의 智 랬의 저술에 나오는 월 身 에 대한 언급은 妙 웰헐땀f 義 Tl 716, 33: 721c, 없릅 玄 義 ], Tl 726, 34:881a 짧 摩 햄j 쫓 n 38: 524c 를 참조할 수 있다 45) TI723, 34:829b ι cf. T1851, 44:840b-c, 840c 46) 雖 說 佛 身 增 減 不 同 今 以 類 論 莫 過 二 種 -합 二 化 地 前 즙딩종 1) 及 二 乘 見?낌쩔 化 身 협i 法 二 身 名 양힐 身 " , 34:829c)
21 1 륭 身 에 관하여 247 智 늘6 의 제자연 灌 ] 頁 ( 은 l' :f,-il~이검정용 經 if;1l, (614) 에서 성실론 윤 언 급아벼 應 身 11 꺼 훌 身 無 1~" 라 1 1_ 찬믹하거l 언급하, 7 었다 481 '-L 라나 역시 天 台 宗 에 속하는 }흙 然 ( ) 은 T$;훌흩 文 句 記 에서 훌 g~i* 報 二 身 상 明 所 以 월 身 궁극 成 應 身 E 生 이라고 하며 慧 遠 과 비슷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491 F유 =1::풍의 폼 導 ( )는 觀 때 量 壽 짜 抗 씨의 六 觀 에 대한 션벙에서 아홉 번째 F 可 빼'1; 佛 을 觀 想 하는 것을 툴 身 觀 이라고 이름하고 있다 501 이것은 아 미타불의 報 身 的 성격에 근거해서 아미타불을 진신이라 본 것이라고 생각된 다 그런데 慧 遠 도 이미 그의 觀 無 量 등총 經 義 f없 에서 觀 佛 에 員 身 觀 과 U홈 身 觀 으} 두 가지가 있음을 지적한 마 었다- 홍미롭게도 慧 遠 은 善 導 와 달러 無 量 壽 佛 (아미타불)에 대한 觀 佛 옹 應 身 觀 의 범주에 넣고 었다 511 즉 慧 遠 은 부 량수불을 삼신 가운데 보신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지 않은 것이다 善 導 는 慧 遠 처럼 진신이 법선과 보선을 포괄히는 것으로 본 것 같지만? 無 量 壽 佛 을 報 身 的 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慧 遠 과 견해가 다르다. 한현 華 嚴 宗 에서는 法 藏 ( ) 아 률 身 이라는 반을 간간이 쓰고 있으 나, 직접적으로 그 개념에 대해서는 논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앓 觀 ( 은 ~'!흔 嚴 經 隨 ibíwit 義 it,[에서 다유파 감은 주욕할 만힌 설병을 낚기고 았다 fj 二!HH닝용 義 H후R 合 쩌훌 身 應 化 合 많ft 身 二 앉 身 以 옮훌 身 &.m압많ft 身 471 T1774, 38:317a 八 相 成 道 는 r 대승의장 에 니오는 主 흠 現 土 힐챔 現 成 이 ~I 는 말 "홉 時 忽 有 는 隨 * 生 껴 種 種 形 1 라는 말과 상통한다고 할 수 았다 481 T1767, 38:201b 491 T1719, 34:329c 501 TI753, 37:267c 511 Tl 7<19, 37: 173h c. '"' 身 ~Jl:i'j!M11!,!에 대한 성의는 다음과 같이 되아 있다 니 ~~ffl, 二 힐 身 없 二 꺼흩융없 없깨; 平 쪽 11 I" 'î;~ 身 Æ;힐혀f 업 앓1i]:~디 來 共 Htr.벼 身 名 應 쳐 觀 흘 遠 에 따 므연 1 협장 觀 은 유마경 r_m r.i1jr}~ 品 처런 엄~l.t l혹애 하는 갓응 딴하고 應 햄은 r관론삼매해생 처겁 取 佛 形 相 짧 想 思 察 히는 것을 밀한다고 한다 위에 안정 한 =없깨 三 B*;흉 ~(P,!I t 본 논듀 11 상 (12) )에서 없찌을 설영하며 힐 身 을 가론하고 있었 던 갓음 상기하면,관불삼매해경 J 과 慧 遠 사이에 흉 身 익 용법에는 차이가 였다 고 할 수 있다 그마니 동시에 慧 遠 의 훌 身 üòl 시기에 따 ~I 차이가 있었을 가능 성도 전혀 애게할 수는 없다
22 248 인분농종 제 45선 1 Tl736, 36: 364b) 여기서는 두 종류의 뚫, 化 二 身 觀 을 제시-tl 고 있는데, 첫 번째, 법신과 보 신이 함하이 진선이 되고 응 신과 화산이 합하여 화산이 원다는 설은 혼 遠 의 견해와 일치한다 두 맨째 1 엠선이 진신이고 보신과 응산온 화선을 이푼다는 설은 법선과 생산을 나누는 이신관과는 차이가 있지만, 吉 藏 같은 사람들의 견해가 여기 해팅학다고 볼 수 었옹지도 모프겠다 아부튼 진선에 대해서 이 와 같은 두 가지 다른 견해가 증재했응을 보여준다는 접에서 주목되는 기록 이다 역시 화염종에 속히는 宗 密 ( )은 급료 蘭 낌휴 잎 統 에서 * 생g는 화선 1 고 없 機 를 rrj-리 方 便 의 敎 를 션히며( 說 隨 機 權 敎 ) 舍 那, 즉 昆 盧 舍 那 는 진산 1 고 究 竟 의 實 敎 휠~ 선한다고 션냉한디 521 선선괴 화신 융 實 敎 오 찮 敎 어1 연 결한 점에서는 놈 藏 의 견해와 냥은 점이 있다 또 앓 觀 1 언급한 두 번째의 톨 化 觀 1 즉 진선을 싱신 가운데 법신과 같은 것으로 보는 견해라고도 할 수 있다 논 소 이외의 문헌윤 살펴보면, 륭 身 은 慧 얘의 J I;!J원즙 義 J 를 비롯한 事 윷 類 에 일치1 수록되어 있시 않나 편자가 찾아본 문헌 가운데는 i할 雲 의 編 譯 名 義 集,(1 143) 에서 r 대지도론 의 진산에 대한 언급을 인용하고 있는 것 이 거의 유연한 듯히다.않 1 01 것은 1 만이 인도의 佛 典 전통과 확고히제 연 결된 만이 아님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 3펀 史 傳 類 에서도 불선에 대해 월 身, 01 랴는 만을 쓰고 았는 여]틀 쉰시리 잣아보기 힘을디 에플 들어 廣 弘 明 集, (644) 에 률 身 1 이 언급원 것은 이 책 에 수촉된 1M 林 의 r 破.t ll 論 ι(622) 에 쓰인 것이 유일하다 541 r 集 神 州 三 資 J편 通 錄, (664) 에도 딘 한번 나오는네 c 優 협 主 經 을 인용하며 석가모니 붓다의 진 산은 이미 자취를 감추었지만 이제 두 상이 나타났다(훌 身 없 隱 ;( f1li 現 )논 52) T1793, 39:505b 53) T2131, 51: ) TZ103, 5Z:161b, cf 본 논분의 주41
23 률 身 에 관하여 249 문구에서이다 55) 여기서 률 身 은 실제 석가모니 붓다를 가리키는 비교적 가 벼운 의미로 쓰이고 있다 [i' 法 짧 珠 林 끼 668) 에서도 佛 身 觀 과 관련하여 쓰인 률 身 이라는 말플 일처l 볼 수 없다 56) 필자의 조사가 아직 금석문 자료에까 지 미치지 못했지딴, 쉽게 참조할 수 있는 자료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아도 률 身 이라는 말은 좀처럼 만나기 힘들다. 이것은 이 말이 그만콤 대중적으 로 쓰인 용어는 아니었음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W 앞의 용례와 구별되는 률 身 의 또 하나의 중요한 용례는 률 身 舍 利 라는 현으로 쓰이는 경우, 혹은 사리를 지칭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이다. 인도 찬 술 경론의 한역에서 이런 의미로 률 身 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은 佛 身 으로서 의 률 身 의 경우보다 훨씬 희소하며,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먼저 壘 無 識 역 금광명경 ~( 년)의 推 身 品 에 석가모니 붓다가 전 생의 推 身 功 德 을 설명하는 장면이 었다. 땅에서 칠보탑이 출현하자 붓다는 阿 難 에게 # 可 持 來 此 是 大 士 월 身 舍 利 "(이것은 보살의 진신사리이니 그것블 가져 오라)라는 말을 한다 57) ~합부금광명경 에는 이 부분에 동일한 壘 無 識 역이 실려 있기 때문에 비교가 불가능하지딴, 義 i 爭 역의 끔광명최승왕-정,!. 55) T2106, 52:419b. 여기서 인용된 雙 卷 優 훨 王 經 은 현존하는 法 姐 역 (T332) 이 아니 56) ~법원주럼 에는 사리라는 의미 이외의 률 身 이 세 곳에 나오는데, 하나는 위에서 언급한 관불삼매해경 의 꾸절(본 논문 [[장 (1 2)b) 을 인용한 것이다 (T2122, 디른 하나는 會 隨 라는 승려가 五,훨 山 에 기서, 문수보살의 진신-을 보지 풋하여 오 랫동안 원망스렵고 한스러웠디는( 不 體 훤 身 k 恨 久 之 ) 딸을 하는 더l 에서 나온디 (53: 393b). 여기서 률 身 은 진짜 모습, 실제 문수보살 정도의 의미로 쓰인 다. 또 하나는 帝 釋 天 의 諸 姐 들이 제석천의 화신과 함께 住 하면서, 제석천이 우리 와 함께 있는 것 같지딴 진신은 쏟 間 (제석천의 正 旭 )와 함께 있다고 하는 이야기 에서 나온다 (53 289b). 이 월 身 또한 실제 제석천, 진짜 제석천 을 가리키는 적 가벼운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것은 흥미롭다 57) T663, 16: 354a. 그러나 회신과 진신이 나름대로 대비되고 있는
24 250 인분농종 제 45선 (703년)에서는 이 대목에 ìþ: 可 持 此 大 士 骨 來?라는 말이 나온다 58) 훌 身 舍 1' IJ 와 1 骨 이 정확히 대흉하는 갓 로 보아 원문애는 듀별히 훌 身 1 에 해팅 하는 민이 없 1 'sarïra 리고딴 되이 있었으리라는 점을 안 수 있다 걷국 률 身 은 훌 無 識 1 염의로 압입한 표현임이 명백하다 앞서 불신으로서의 진 신과 관련허여 T 합부금광명정 과 금굉뱅최승왕경 으로부터 인용한 부분(본 논문 11 장의 (4), (5)) 에서는 사리가 붓다일 수 없으며 ie 覺 l 법선이고 法 界 가 여래염을 강조하며 이에 對 하는 의미로 진신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물 론 이 맥락에서의 진신이라는 말도 댐j 那 耶 *와 義 탱 1 염의로 사용한 표현이 었다고 보인다. 그러나 義 탱이 진신의 의미를 그렇게 인식하고 었는 한 총 無 識 저럽 사리에 대해 흉 身 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는 없었옹 것이다 그러면 윷 無 識 은 부슨 의미로 여기에 특별히 훌 身 이라는 표헌을 쓴 것일 까? 옳빽 鐵 1 사용한 톨 身 은 월 舍 처j 정도의 의미가 아니었을까 여겨진 다 잘 안려진 비와 간이 sarîra는 遺 骨 이라는 뜻 외에 옴 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산스크리트 불선에서는 흔히 sarïra를 만수로 쓰밴 뮤 복수 로 쓰띤 유곧 의 의 P] 플 지니판 했다 59) 물론 유골도 넓은 의미에서는 옴이 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래서 sarira는 한역될 때 舍 利 라고 흡혈하지 않 고 Jit'이라고 벤역하는 상우도 시지 않디 60 I 따라서 중윷 無 識 의 톨 身 은 늄 舍 치1 라는 뜻의 1얄윤 舍 처 앞에 강조 부 연하여 쓴 것이라고 할 수 있디 휩 에는 1 진짜 라는 뜻과 야울러 행X섭융의 의띠 또한 반영되어 았었 P 리라 판 단된마 아윷러, 헨존하는 윷 無 識 본의 끔광병경 어1 늪 앞서 언급한 사리와 법신의 관계에 대한 서숨 l 본 논문 1 [장의 (4) 와 (5) )이 싣려 있지 않응을 상 기할 훨요가 었다. 엮시 옳j맺짧아 번역한 r :;k:_ 方 等 無 想 싫 J 에도 석가모니 붓다가 히는 만 기운 58) T665, 16:451a 59) Gregory Schopen, onks and the Relic Cul t in the 싸Ulálλ'i1'Í n j bbám suua: A Mis 띠1derstanding in Regard to \1onastic Bl띠뻐 15m, " 자신의 &-ij]es, Stolles BuddhÍst Monks (Hnno[u[u: L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 켰 原 雪 來 면 漢 뽑 對 照 Jt D ::k함 典,( 東 j 엽~iWi ff~, 19861, 1315, :s arlra J~
25 1 륭 身 에 관하여 251 데 得 됐훌 身 = 分 之 一 " (내 진신의 절반을 얻어)이라는 표헌이 나온다 여기 나오는 1 훌 身 도 원래 sar ir꺼픔 옮긴 것; 로 보아도 좋닫 것이냐 1 밖에는 인도 잔술의 한역 경돈에서 이이한 의미의 1윷 身 혹은 월 1풍웅저j 마는 민을 찾야닐 수 없다 1 섯은 휠 身 의 ]<']한 개념, 또 j 뭘 身 출 flj 4 만 1 볼선으로서의 톨 身 의 경우보다 훨씬 l깅백히거) 중놔에서 만늠 1 진 것이 었으며,,,]러한 개념의 사용은 전적으로 중국직인 현상이었음을 시사하는 것 이랴고 할수 있겠디 그려나 황 無 識 1 후에도 어려 에기 동 인 증파 찬술 문헌에서 이러한 의미 의 훌 身 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梁 高 f용 傳 에는 흉 身 이라는 말이 야예 나오지 않는다. 7 세기에 틀어서서 홈 高 f용f형, (645) 에는 사리를 뜻하는 말로 서 흉!ir' 0] 단 한벤 나온다 즉 F홉의 k 業 ( 末 에 惠 #이라는 숭려 가 밥을 먹다 입속에서 시리틀 연었는미, 흑시 선산인가 하여( 疑 是 월 身 l 두 들겨 보아도 깨지지 않지 浮 圖 ( :lif)를 세웠다는 아야기에서이다 611 여기서 월 身 은 붓다의 진찌 사랴리논 의미로, 통시에 경칭으로 쓰아고 있다고 생 각된다 같은 시기의 r 법원주텀, (668) 에는 사리를 가리키는 員 身 이 두 곳 에 언급되어 었다 F홉의 仁 좁 원년 (601 )에 황제가 식사를 하다가 19 果 의 사 리를 얻었는네, 황제는 이들이 모두 진신일까 하여( 何 必 皆 是 를 身 ) 역시 두들 겨 보았다고 학다 621 또 g륨 願 慶 5년 (665) 에 서역에서 마친 사리와 頂 骨 을 보며 숭려들이 이것은 훌 身 이라고( 此 是 훌 身 )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63) j' 集 끼빼[ 三 뽑 感 通 餘 (664) 에는 劉 宋 π홉 6 년 에 사퍼가 든 상자릎 합부로 다룬 숭려에게 이느 사람이 꿈에 니티니 그 만에는 繹 꽤률 身 아 들이 있다는 1 此 有 釋 패힐 身 ) 이야기를 쨌다는 내정 이 기숭되이 았다 641 이 외에는 10 세기 에 이르 7] 끼지 시리홀 월 身 이바고 지칭히는 예를 문헌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61) T2060, 50: 598a 62) T2122, 53:601b 63) T2122, 53:586c-587a 이 아야 71 ~:~ ]효즙이 쓴 U 集 神 )'I\~ :::~ Jlf.!월1헌 錄, (664) 에도 심려 다 IT2106, 5Z:407bl 64) T2106, 52:411a
26 252 인분농종 제 45선 이것은 척어도 부분적?로는 륨 身 이라는 깔이 불신에 관한 논의에서 주 로 쓰이는 용어로 인식되어 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舍 처j는 아부리 석가모니 붓디의 사라이고 히여도 ~선, 또는 맙 보신의 성격을 지년 진신 에 비꺼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얻 것이다 앞에서 慧 遠 의 대숭의장4 으로부터 閒 應 合 월 1 의 四 身 說 을 언 당한 비 있는데 그 중에 가론된 급굉벙 경 의 제 l 설 가운데 佛 캘짧 後 以 願 力 故 遺 身 益 物 此 亦 是 其 化 身 非 應 이라는 구실이 Ct은디 651 붓다의 열반 후 願 力 때문에 몸을 남겨서 만물을 이롭게 하니, 이것도 化 身 非 應 이다 라는 뜻이다 여기 나오는 遺 身 은 사리를 의미 하리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었는데 1 이것은 慧 遠 이 대숭의장4 의 다른 부 분에서 遺 身 舍 flj'랴는 표현윤 실제로 쓰 U 었는 데서도 확인펀나 66.1 ":"'L런데 여기서 遺 身? 즉 사라는 化 身 非 應, 회신이면서 응신이 아닌 깃 ò 로 간주되 고 있다, 화산, 웅신, 진선의 순서로 이야기한디변 응신도 뭇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맥락의 四 身 가운데 최상인 非 應 非 {r" 즉 佛 월 1캉과는 현격 한 거리가 있는 것아다. 이이한 생각이 한쪽에서 뚜렷아 존새히고 있는 상횡 에서 사리를 진선이라고 정힌다는 것은 쉽사리 상상하기 힘뜬 일이었을 것으 로 보인다 r 당고승전 에 나오는 환 身 과 r 법원주림 의 二 훌 元 年 일화에 나오는 늄 身 은 공풍직으로 사리가 진짜인가 1 아닌가플 딴별하려는 상황에 쓰인 말이다 따라서 이 말애는 사과에 붙는 통상적인 수식어로서의 륭 身 이 아니라 진짜 붓다의 사리 라는 의미도 제법 강하게 반영되어 었을 가능 성이 었다 10세기 1 래의 문한1 늠, 특히 송고승전, (983) 에는 시리를 기리키는 만로서 률 身 이 빈번허게 등장한다 진신의 이이한 용법 1 01 제는 별 부담감 없이 쓰 1 게 된 것이 아닌가 보인다 67,1 불시려를 그냥 률 身 이라고만 칭히는 경 우가 많고 681 진선을 봉인한 탑을 툴 身 짧 이라고 부르고 있다 691 員 身 Ji 651 T1451, 44:841c 66) T1851, 44:722a 671 억시 10 세가에 편찬된 6 뼈 堂 똥)에 나오는 l탈장 은 모두 사리의 의[이로 쓰이고 있 는 것완 경 까 있다(해얀시판본, 2:001.03, , 07, , ) TZ061, 50: 755c, 79Oc, 858a, 859ι 898a, cf. 7920
27 1 륭 身 에 관하여 253 후, 흉 身 寶 t홈# 같은 사원의 병칭으로 퉁장하기도 학다 701 또 선사의 사 랴탑도 훌 身 f,lf 이라고 부트고 였어서 진신이 불사리뿐 아니라 선사의 사리 끼지 jι 관히 게 되었 e 윤 안 수 였다7l J 1 와 아울이 월 身 의 또 히Lj의 흥미로 g 정-례휠 1 책에서 보게 된다 여 기 섣린 居 明 州 潤 德 좋 逢 端 傳 에 의히면, 途 端 은 861 년 결가부좌한 채 업적 하였다 곤 그의 업에서는 정색 연화 일곱 줄기가 솟아 나왔고 사람들이 몰 려와서 그것을 보고 에플 표했다 마을 사람들은 한 따음으로 東 山 아래에 옳초을 만들어 그의 시선을 봉인하였더니 20여 년 동안 무멍이 벚을 발하였 다. 뒤에 무덤을 열어 보니 그의 모습이 마치 살아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의 시신을 절로 다시 가지고 와서 짧암로 장식을 하니, 그 절이 훌 身 院 l 라는 이름으로 남아 었다 721 여기서 이야기하는 진신은 중국에서 홉 代 이후 에 w뚫 家 에서 총종 만는 1 져 숭매되었던 미이이, 즉 肉 身 i 象 을 의미히는 것으 로 보인다 731 유선상이 봉-아된 전 1 월 1용 院 1 리고 ~블렸다는 시선에서 시려뿐 아니라 肉 身 像 도 률 身 이라고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송고승전 J 과 비슷한 양상은 佛 祖 統 紀,(1 269) 에서도 나타난다 l 책에서 도 사리뿐 아니라 육신상도 진신이라고 부르는 예를 두 꾼네서 읽을 수 있 다 東 폼 義 熙 13년 (417) 홍 望 山 에 살던 햇뽕이 죽자 그의 진신에 잖을 발라 서 즉 미이랴로 만틀어 산중애 봉안했다고 한냐( 深 합 身 짧 山 中 ).741 이것은 肉 身 像 으로서 부척 시기가 올라가는 예이기 때문에 사실 여부에 의문이 없는 것은 아니나, 二 l 여 1F 에 상관없이 이 책에서 훌 身 윤 그러한 용법 로 쓰고 있는 것만은 분맹히다, 또한 949년 업적한 똘 門 倫!iIî :îc댐의 탑을 962 년(심제 로는 963년) 열이 보니 폭 門 의 신신이 마치 살아 았는 것 간이 았었다고 한 69) T :859c 70) T :75α, 81Oa. 858ι 860b 71) 1' : 849, 72) T2061, 50:869c 73) 'J 彩 雄, 肉 身 { 象 lh용i'kt용 (1)빠 究 J, u'jlt 洋 學 R, 24~3(1937):93-124; Bemard Fa 뻐etoric of Immedíacy (Princeton: Princeton Univeπsity Press, 1991), ) T2035, 49:343c
28 254 인문논총 제 45집 다( 開 示 見 師 힐 身 如 生 ).75) 이와 같이 宋 代 에 이르러서는 肉 身 像 을 진신이라고 부르는 것도 널리 보편화되어 있지 않았나 여겨진다. V 이상 살펴 본 바를 정리해 보면, 현존하는 불교문헌에서 률 身 이라는 말 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5세기초 鴻 摩 羅 什 역의 대지도론 과 성실론 에서 인 듯하다. 그 원어가 뚜렷이 고정되거나 확립되어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 는데, 어쩌면 이 말은 률, 률A 등의 어휘가 특별한 의미룹 지니는 중국 적인 맥락에서 역자 鴻 摩 羅 什 이 새로이 造 語 한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 디고 판단된디 76) 그 이래 6세기에 이르기까지 인도 찬술 경론의 한역에서 이 말은 간간이 쓰였다. 대체로 三 身 觀 대두 이전의 二 身 觀 에서 生 身 에 대비 되는 넓은 의미의 法 身 에 상응하는 말로 쓰였던 듯하며, 때로는 법신이라는 말이 명시적으로 없는 경우에도 진신이라는 말쓸 통한 해석이 텃붙여지기도 했다. 또 삼선관의 확립끌 알려주는 논서인 섭대승론 J 의 佛 F강없 多 역에서는 삼신 중 법신에 상응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중국인들의 論 鏡 에서 률 身 이라는 말은 늦어도 6세기초 문헌부터 확인된다. 이 단계에서 진신과 75) T :395b 이에 앞서 같은 볼조통기 에는 雲 門 이 앉아서 입적하자 그의 全 身 을 方 文 室 에 안치해 탑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雲 門 文 備 1 彈 師 坐 遊 搭 全 身 於 交 室, T2035, 49: 392a). j'볼조통기 에는 이 開 珞 이 宋 乾 隆 3 년 (962) 으로 되어 으나, 968년에 세워진 大 漢 뿜 州 雲 門 山 大 覺 輝 師 大 慧 雲 흩 聖 宏 明 大 師 陣 銘 에서는 南 漢 의 大 寶 6년 (963) 쫓X 의 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r불조통기 의 기록은 착 오염이 분명하다. 물론 陣 銘 의 기록이 훨씬 자세한데, 이 기록에서는 탑이 열리자 법신이 예전과 같았다 ( 法 身 如 故 )고 되어 았다( ~ 廣 東 通 志 ~ 204, 續 修 四 庫 全 673: 406b -07a). 아마 이 기록을 토대로 r불조통기 는 이 사건을 률 身 如 生 이라 묘사한 것으로 보이는데, 표현이 이 같이 바뀐 점이 매우 흥미롭다. 雲 門 의 肉 身 像 파 관련 기록에 관해서는 Faure, 7꺼e Rhetoric of Immediacy, 참조. 포 는 r볼조통기 에 造 珞 기록만 았을 뿐 開 搭 기록은 없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76) 如 如 함을 뜻하는 tathatã가 률 如 로 번역된 것도 비슷한 맥락에 속하는 것으로 수 있다 률 如 가 누구의 번역부터 처음 쓰였는지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29 1 륭 身 에 관하여 255 웅산에 대학 이해는 아직 l 산관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었였던 것 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인들에게 삼선관이 비교적 잘 알려지게 됨에 따라 률 身 은 삽선관에 따라 해석되거1 되었다, 문헌상에 니 E 니는 대표적얀 에로 서 6세기만 慧 遠 은 법신과 보선을 포괄히는 것으로 진선을 보았다 ] ê] 한 해석은 후대 중국에서 년려 반이늠여져서 내부분 논시듬의 흩 身 觀 의 기빈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아울러 진선을 이신관에서처럼 넓은 의 미의 법선으로 보는 경향,Ef. 산신관에서 법선에만 상응하는 것으로 보는 경 향 또한 존재했유을 확인할 수 았다 한편 舍 쥐j릎 가떠카논 용어로 륭 身 윤 사용한 것은 5세기초의 윷 無 등3의 한역에서부터이다- 이러한 용례는 중국인들의 불교 史 書 에 7세기부터 매우 드 울게 등장합흘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퍼릎 시칭하는 용어로서 훌 身 이 널리 쓰 1 게 된 것은 적이도 10 세기에는 늠이서서인 것으로 보인다, 각각 北 宋 과 南 宋 代 문헌인 宋 高 f용 傳 고~, 佛 祖 統 紀 에는 1ι1 한 용례가 굉범허게 등장하 기 때문이다, 0] 와 동시에 숭려의 P연 身 像 을 월 身 이라고 부르는 경향 또한 훔 末 또는 宋 初 부터 나타났던 것을 볼 수 있다 이밖에 환 身 을 진짜 옴, 진짜 모습 정도의 매우 일반직인 의미호 쓰는 경우도 딘펀직으로 잣아볼 수 있 τ], 77) 77) 13세기말 문힌인 우려의 r 삼국유시 에는 흘 身 1 모두 다음의 10곳에서 등장한다 (1),쌓 像,, 훌 山 五 홈훌 身, (2),향 像 " 종 州 五 훌 山 寶 ~ 徒 t 子 傳 記, (3),행뽕 111!l 精 좋 五 쨌뿔 聚 (4),똥f없" 洛 111 二 J:뿔 짧픔 uc, 趣 펴 信 (5) r 感 j 헌.J, 'fjl)"r떠 佛 西 용 i 61 ')챔 象 1 f블 龍 경F J:7\ f 7) r 感 通 " 훌 身 受 fjf;', (81 'Jlì'lflb, 'í'쯤 영 (9) r행영" 힘 後 所 얘흙1)', (101 '쩡 像 J f뎌해;용 石 쩡붉1) 이 가운데 ( 나오는 흉 身 은 볼 보살 형태의 행 身 的 의미가 강하다 (5) 는 耶 而 이 육신을 매 j 훌 身 P 로 변히여(펌없 燮 現 훌 身 ) 서방 성토에 왕앵했다는 이야기인내, 역사 협i 身 의 의미호 품 수 있다 (6) 은 떼 育 王 1 휠 身 블 공양할 수 없었년 삿응 한스려제 여 겨( Hl 不 f풍 供 윷흡캉) 캉육존싱 g 만듣고자 했다는 이야기인데 여기사 1륨 身 음 식 R니 붓다를 가리키는 말이다 (71 에서는 왕이 親 供 히는 蘭 에 참석한 비구가 스스 토등 파창양꽤 j 라고 했다는 아야기이다 비구는 일송의 化 身 1 며 틀 身 이라고 할 수운 없니 원래 Ill!캉햄,쁘 1 라는 의[ 1 로 빙아듭인 수 있는 데 이기시도 풍례익 볼 공1 파 인싣되는 흉 身 의 의미는 아니다 ]L 할 F 있다 (81 (10) 에 니오는 흉 身 송 利 될 身 j 윌 身 {깨총 fl) 는 모두 사며 ξ- 뜻하는E 맥럭에서 쓰이고 있음이 자벙하다
30 256 인분농종 제 45선 이러화 흉 身 의 개념이 중국 불교미술응 이해하는 데 어떤 방식으로 1 얼마 나 도움이 될서는 가늠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펠자가 이 개념이1 주되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법신과 보선을 합한 것으로서 진선을 이해 한다면 1 개념은 통상적인 삼선과의 법신에 tl] 혜 훨씬 포관적이고 우 연히다 고 할 수 있다, 삼선과의 법선 1 만괴 형상을 초월한 궁극적이고 전대적얀 것을 가리키는 반띤 y 진신은 형상 있는 것까지 員 의 맨주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디 띠라서 십선관댄다 유연하고 관용직인 입장에서 형상을 바라본다 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신 개념은 증국인들이 산신관을 비로소 이해하 고 그러한 플로 사고하게 되었옹 때 필요하다면 형상에 나름의 정딩 생과 특 별한 샤지를 부여한 수 있는 균거릎 마련해 준 수 었있닫 것이냐 등째 1 慧 遠 퉁에 의해 진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문헌에서 진심이 자 주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6세기만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0] 시기는 불신론 을 씨훗한 교학 1 획기적으로 발선히기 시작한 사 7] 아기도 승디 ] êl 한 활 발한 논의가 불상을 보거니 만드는 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려리 생 각하기는 힘들다- 질 얄려진 바와 같이 중국 불교미술사에서 北 齊 北 周 -p홉 代 는 불교미술에서도 새로운 양식직 전환이 확립되어 가는 시기였다 부피감 의 증내와 힘깨 像 은 전보다 훨씬 뚜릿하게 훌 在 感 을 갖 '11 되었으며 y 농사에 통적인 느낌이 철저하게 애제되면서 엄숙한 靜 寂 感 이 상에 충만하게 되었다. 이러한 양식적 변화의 배후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였었옹 것이며 단순히 佛 당 觀 에 대한 본걱적인 인식 때문이라고 힐 수는 없겠지만 78J 분산펜의 화닙 1 상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적이도 부분적으로는 상이 만늘이지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삼선환의 업장에서 본다꺼, 0] 시기 이전에?r 행한 本 生 佛 傳 圖 니 f뽑생ylf. 국유시 에 니오는 훌 身 에 대해서는 7 三 國,옵 事 考 암,( 下 之 二, 東 京 t펴홉 房, , 에 무라차미 요시오( 村 上 四 몇) 웅의 닝 læ 저 상서1 한 註 記 가 았으나, 배 우 부정확하고 북완전한 정보가 제시되어 였어 주으1 를 요한나 세기발 중국회 일색 P 로 변화허였민 복장에 다시 인도식이 등장히기 시삭히는 데 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외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뭔다
31 1 륭 身 에 관하여 257 尼 佛 은 중생들의 근기와 상황에 맞추어 빠 問 과 같은 모습을 취학 화신(용산) 에 해텅할 것이다 을론 이것은 前 代 의 그러한 이미지틀이 팅시에 화산으로 서 만들이지고 반아늘여졌다는 것은 아니다. 그이니 일단 三 身 아니 률 應 身 에 대한 얀식이 새롭게 연깨워지면, 적이도 그이한 인식을 갖게 된 사람늠은 그 ι1 한 생각으로부터 "1 유롭게 상을 보 71 는 이헤웠을 것이디 화선으로부터 구별되는 진신은 형상을 갖추고 있지만 y 그 형상은 미 이상 f단 間 의 형상이 아니며 생사를 넘어선 초월직 존재의 형상이다 북제 북주 수대의 장중한 불 상들은 분명 그러한 순:윌적 존재의 분위시룹 환기시키는 면이 있디 이 시기 불상들의 佛 身 이 적어도 엘부 불상듣의 볼신이 예사로운 것이 아니라는 것은 須 弼 山 과 해와 달을 비롯한 세계의 모습과 λ 道 중생의 모습 틀은 옴 全 面 에 가득히 애긴 붙생들의 춘헌에서 확인한 수 있 qí 도 올상늠은 흔히 우주적 존새로서의 석가모니, 혹은 화엄사상에 기빈한 盧 舍 那 (혹은 뿜 盧 舍 那 ) 불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A 中 像 혹은 法 界 像 1 랴 불리기도 한다 79) 이이한 상에서 붓다의 봄은 이떤 의미를 지니는 것띤 까? 단 세계흘 몸 가득히 두영하고 있는 이 붓다는 어떤 의미의 붓다인가? 여기서 화신과 같은 관닝을 떼올리기는 힘들 것 같다 또 딘순히 료신이라고 이야기하기도 만좀스런지 않아 보인다 이 지점에서는 보다 포괄직인 늄 身 l 랴는 개념? 또는 그에 상용하는 생각이 더 장 어윷리는 젓은 아닐까? 이러한 가실은 아직 억측일지 모른다 그러나 본격적인 질문은 이제 시작이라고 할 수 있 q 791 이 형상의 붙상에 대해서는 일쩍부다 여 "1 까지 해석이 세시되었다 cjlle식 P 로[ 디유 벚 가치를 ~',:을 수 았다 124영, 華 랬 敎 걱; 盧 옮 那 佛 때 f f 상H힐홉 νηgr3% 없lβr 뽑 í Jl;: 京 겨,Jj 文 化 學 r Jl;. 1937}, 吉 村 융, r [i1;훗~id, 界 ^,þ 像 ν) 해 究 美 術 흉f 究 203í1959)'125" 39; fi 村 tt, r!ì왔 舍 해)~:t 界 人 'l' 像 再 論 책i! 敎 主 셔연용돼R E 宇 f늄면 的 * 와nj껴tJ- J, ~ 美 術 lilt' 究 " 242í1999);27-49; Angela F, Howard, The 1,딩8 of the CosmoJogictll Bud닝'ha (Leiden: E. J. B1' i ) 이러한 건해둡읍 꾀 定 Itt 국 댁 界 像 圖 像 믹 연 ::i 1- J 서올매학 3π 석시학우1 논문 í2001) 에 미만직인 관싱에서 성 리되어 있다
32 258 인 문논총 제 45전 도 1. 불엽상( 頭 部 缺 失 ), 높이 1 76cm, ~룹ft;,!l] 도2 불입상 身 部 前 面 (딱본), 河 南 省 安 P 프라어 갤러리 소장(사진은 A. Howard, Th, 高 寒 춤 原 在, 北 齊 (사진은 H이~ard, 'i I뼈gery of the Cosmologjcal Buddha, l eic 책, pl. 19에 의거). 역시 같은 형상 E. J. Bri ll, 1986, pl. 1 에 의 꺼). 기 슴 수미산이 보임. 이 상의 명 문에는 부분에 두 마리 용이 감고 있늪 수미 산 등 이 보염. l 法 界 大 修 이라고 되 어 있음
33 률 身 에 관하여 259 On Zhenshen (True Body) in Buddhist Literature 에lÏ J띠lyung The word zhenshen, wh i ch 1 i tera 11 y means true body," is occasionall frequently-met in Buddhist 1 i terature. At first glance i ts meaning straightforward, possibly equatable wi th dharmakãya, because the chara was commonly used in Chinese Buddhist vocabulary in such words as zh (paramãrthasatya), zhenruo (tathat 히 and zhenshi (tathãtva or tattva), the connotation of the ultimateness. But its actual usage is more co multifarious, as we see for instance in such expressions as zhens (zhenshen relics) and zhenshen shijia (S :3kyamuni of-or as-zhenshen paper examines the usage and diverse signi ficances of zhenshen in Buddhist literature An overview of various works in the Chinese Buddhist canon reveal dominant usages of zhenshen: 1) one as a term related to the theory Buddha' s body, and 2) one as an epi thet for shel i, physical remain Buddha or a saint. 1n the first usage, i t first appears in the 며'ji Chengshi /un translated by Kumarajiva (ear1 y 4 th century) among extant transl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from Sanskrit. 1n these texts it contrast wi th h! ashen, apparently indicating nirmãnakãya, and seems to h a substitute for 배'armakãya in the twofold-body system, more ordinari ly as 펴shen or faxingshen, particularly in the Dajidu lun. A similar usag in other texts sιh as Hebu 띠n guangming jing (by Jñ녀nayasas), Jin g zuisher용l때19 J If용 (by Yijing), 며떠n nieban jing (by Dharmaksema), Huayen (by Siksãnanda) and Shu wujiu cheng jing (by Xuanzang). In the She da lun (by Buddhasena) and a few other texts, however, zhenshen appears i
34 260 인분-논좋 저1145섞 of dhal 'Dlakã Y3 in the threefold-body system against baoshen and yingshen. This usage was fo11owed by Chinese commentators, and thu5 as early a5 Bao1iang cìtes Shenglì 킹19 5 remarl s on t l\'ofold bodìes, zhenshen and yin hi 5 Daban nie떠n jjng jijie. But a mμre remarkable opinion, which 5eems exerted profound infl uence on the understandi ng of thi s concept am Chin85e, wa5 expressed by Huiyuan of Sui (523-92), In hi5 Dasheng yi where he mo5t elaborately expounds his ideas, Huiyuan, citing the JÍn g.지앵, defines zhenshen as comb i ning both fashen and baαshen in cont yingshen in τhe τhreefold-body system, The account of Jin gr);jngmî ng Paramãrtha Huiyuan ci tes actually does not refer to the word zhenshen rejev3f1 L conlext, nor does the 5ütra it5elf seem to deliver a concept 5 까lUS this defìni tion 5eems more 1 ike1y Huiy냐하1 s own inter'pretatìon. A ìs not c1ear that such interpretatìon was ini tiated by Huiyuan, ì t 5e been fairly well known in the Buddhist scholarly circle by the end of century. Ä 51 i 양ltly younger contemporary of Huiyuan, the Tiandai mast who would hav8 been most influential in the contemporaneous Buddhist 5eems to 떠ve undel'stood the tem in a similar 5en5e. 1'he Vi.i ñaptimãtl Kuiji s account is quite similar to Huiyuan 5 even i n vocabu 1 ary. HO\". undel's tand j ng 0 f zhenshen i n the sense c I OS81 to the dharmakãya in th twofo1d"body 5ystem 5eem5 to have per5ìsted as.ve 11, a5 we 5ee i n ιhe Jizang. Chengguan of the Av ataiibaka schoo1 offers a 51 ightly di fferen I\'i th an al ternati ve defini tion of zhen떠en as dharmakáya in the thre systcm. Besidcs, zhenshen was occasionally used for Sákyamuni Buddha \wuld be normall y regarded as nírmãnakã.ya in contrast to nírm획1a bu magically created by Sákyamuni himsel f or simply in the IDeaning of body. " The earl iest appearance of the second usage, which equate5 zhensh
35 윌 身 에 판하여 261 relics, is found in the Jin gt떠갱ming Jing translat ed by Dharmakselßa d ear1 y fifth century. 1n comparison with the p3l'ticular' passage with the equivalent parts in other translatiüns, ic is evident that ιhe Sanskriι original. contained no word in any way connectable lo zhensfwn, which I\'as simply an insertiün by Dharmaksema and his a8si stants. Zhenshen in thi s context seems to have been used as an honor i fi c pref i x to shelí with the assertion of its authenticity, while it was also cαnmonly used wi thout shel i as a subst i tute for the 1 atter. Thi s usag딪, however, i s qui te rarely met in translations of lndian texts 0 1' Chinese Buddhi st I i terature unti 1 the tenth century, when i t seems to have heen firml y estahl i shed as we wi tness i n the Zudan강 Ji, the.<,'0.끼ig (ì'aoser핑 7huan and Jater ün in the Fozu tongji. By this time we begin ιü see another - bu t related usage, in which zhenshen designates a mummi fied portrai t of monks. The present author, being an art historian, atternpted to exarnine the concept of zhenshen for its possible rami fications in Buddhist art ordinarily understood as a term combining 빼~rmakãya and sambhogakãya i threefold-body system could have been q띠 te useful and even favorable Ruddhist imagery in that it does not reject the ultimate significance forms unl ike the more strict and abstract dhan뼈ikãya. 1ts tme significa discu8siün üf Buddhi st art wüuld have to be answered in further detai 1 exploration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東 京 大 月 書 店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銀 行 新 報 關 東 渡 變 峻 現 代 銀 行 勞 動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相 互 銀 行 計 數 集 計 ꌞ ꌞꌞ ꌞ ꌞꌞ
More information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緊 張 冷 戰 體 制 災 難 頻 發 包 括 安 保 復 舊 地 震 人 類 史 大 軍 雷 管 核 禁 忌 對 韓 公 約 ㆍ 大 登 壇 : : : 浮 上 動 因 大 選 前 者 : : : 軸 : : : 對 對 對 對 對 戰 戰 利 害 腹 案 恐 喝 前 述 長 波 大 産 苦 逆 說 利 害 大 選 大 戰 略 豫 斷 後 者 惡 不 在 : : 對 : 軟 崩 壞
More information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제 정 1973. 2. 28 개 정 2010. 3. 19 定 款 삼성전기주식회사 http://www.sem.samsung.com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More information<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2002 年 2 月 昌 原 大 學 校 大 學 院 音 樂 科 安 明 基 音 樂 學 碩 士 學 位 論 文 P. Hindemith 음악에 대한 분석 연구 - 를 중심으로 - Sonata for B-flat
More information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碘 岛 监 结 30km 20km 10km 碘 达 碘 测 时 提 高 后 的 上 限 [250,000 微 西 弗 / 年 ] [10,000 微 西 弗 / 年 ] 巴 西 瓜 拉 帕 里 的 辐 射 (1 年 来 自 地 面 等 ) > 辐 射 量 ( 微 西 弗 ) 250,000 100,000 50,000 10,000 注 : 本 资 料
More information<C0A7B7C9B0F82E687770>
제1장 위나라 영공이 공자에게 군대의 일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衛 靈 公 問 陳 於 孔 子. 공자 : 저는 제기( 祭 器 )를 진설하는 법은 들은 적이 있어도, 군대에 관한 일은 아직 배 우지 못하였습니다. 孔 子 對 曰 : 俎 豆 之 事, 則 嘗 聞 之 矣. 軍 旅 之 事, 未 之 學 也. 그리고는 다음날 떠나갔는데, 진나라에 도달할 즈음 양식은 떨어지고
More information<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12.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거제 옥포성 주변 공동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직 책 성 명 소 속 직 위 조 사 단 장 성 태 현 경 남 발 전 연 구 원 원 장 책임연구원 이 범 홍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센 터 장 조 사 원 연구보조원 이 영 주
More information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Story Story 2012. 9. 13. Story 1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2 STORY STORY 12 호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2 Korean Wave Story 2012 (2012년 1/4분기) 12 호 12 호 2012. 4. 9. 2 3 4 5 轩 辕 剑 之 天 之 痕 我 的
More information<3630C1FD28BCF6C1A4292E687770>
東 洋 學 第 60 輯 (2015 年 7 月 ) 檀 國 大 學 校 東 洋 學 硏 究 院 程 學 전통에서의 格 物 致 知 窮 理 * 二 程 4대 初 傳 弟 子 들의 해석과 주자 재해석의 의의 43)이 정 환** 국문초록 본 논문은 程 明 道 와 程 伊 川 의 4대 初 傳 弟 子 로 불리우는 呂 大 臨 楊 時 謝 良 佐 游 酢 의 格 物 致 知 窮 理 에 대한
More information국악원 논문집 다. 거운고짧-의 統 對 的 年 代 )1댐의 分 類 는 樂 5앞에 年 代 가 明 記 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困 維 하지만, 그 樂 렘에 실린 짧 l111 의 內 容 에 依 히.0,1 相 對 的 年 代 JI\N의 分 쨌는 퍼 能 할 것드로 생 각한다. 年
現 存 거문고 끓의 年 代 考 現 存 거문고 諸 의 年 代 考 李 惠 求... .... 1. 現 存 거운고 語 40 篇 ll. 第 1 群 의 거운고 語 ill. 第 2 群 의 거문고 諸 IV. 第 3 群 의 거운고 諸 V nu nl ^τ::--i'!. 1. 現 存 거문고짧 40 篇 - 現 存 거운고 樂 諸 는 國 立 國 樂 院 發 行
More information<C3CAC1A12031322DC1DFB1B92E687770>
24 2004. 12 2004. 11 25 26 2004. 12 % 50 40 30 20 10 0 華 東 華 北 中 南 西 南 東 北 西 北 전 체 중 대 형 차 중 형 차 소 형 차 경 차 2004. 11 27 帕 28 2004. 12 2004. 11 29 30 2004. 12 2004. 11 31 32 2004. 12 2004. 11 33 34 2004.
More informationPOWERSHELL CONTROLLER + BATTERY Setup Guide English............................... 4 繁 體 中 文.............................. 12 한국어............................... 20 www.logitech.com/support................
More information<3030305FBAD2B1B3C7D0BAB837302E687770>
알라야 識 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 - 유가사지론 의 경우 권 오 민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Ⅰ. 서언 Ⅱ. 알라야식의 존재증명과 경량부 1. 제1 依 止 執 受 證 2. 제2 最 初 生 起 證 과 제3 意 識 明 了 證 3. 제4 有 種 子 性 證 4. 제5 業 用 差 別 證 과 제6 身 受 差 別 證 5. 제7 處 無 心 定 證 6. 제8 命 終 時 識
More information해양푼화재 제 7 호 / 2014
해양푼화재 제 7 호 / 2014 E조 -, 차 [기획논문] α8 고려로 유입된 중국 동전의 기능과 용도 - 원재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 / 임태경 079 I 수중 발굴을 통해 본 고려시대 금속제 생활용품 / 주경미 135 I 태안 마도 3호선 출수 정동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 강승희 [일반논문] 161 I 마도 1 호선 발굴선빅 복원과 고려시대 조운선 /
More information8.김민희.hwp
食 이 깨달음에 미치는 영향 김 민희 * 1) 목 차 Ⅰ. 서 론 Ⅱ. 食 과 깨달음 Ⅲ. 精 進 과 食 Ⅳ. 결 론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강사. 食 이 깨달음에 미치는 영향 289 요약문 사람은 건강하며 행복한 삶을 원한다. 그러나 최근의 자연환경이나 불 규칙한 식생활, 인스턴트식품의 증가로 음식의 심각성은 식생활 자체의 불균형을 만들고 나아가서는 건강을
More information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찾f ;셜 콩 복원정 1:11 71 본겨l펙 (고증몇관련문현자료집)
:J NO 그다내\ 썩~l 보존기간 1 3 5 10 30 준영구 영구 샘산부서명 궁능문화재고} 찾f ;셜 꿈 복원정 1:11 71 본겨l펙 (고증빛관련문헌자료집) 무 삐 삐 삐 삐 삐 화 재 정 삐 삐 빼 삐 삐 빼 삐 삐 삐 삐 삐 삐f 매 4 자 료 실 삐 삐 삐 빼 삐 삐 삐 삐 삐 U 삐 삐 9 11 j 0( 2) 807 문화재청 찾f ;셜 콩
More information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Story Story 2013. 1. 30. Story 26호 STORY Korean Wave Story 2013 STORY STORY 12 2012 한류동향보고 Korean Wave Story 2013 Korean Wave Story 2013 (2012년 1/4분기) 12 12 2012. 4. 9. 2 3 4 5 6 乱 世 佳 人 花 絮 合 集 梦 回 唐
More information저 11 회 고대 고분 국제학술대회 고분을통해본 호남지역의 EH 외교류와 연대관 Dating and Cultural exchanges as seen th ough the tomb in Honam region 국립나주문확쩨연구소 Naju National Research
저 11 회 고대 고분 국제학술대회 고분을통해본 호남지역의 EH 외교류와 연대관 Dating and Cultural exchanges as seen th ough the tomb in Honam region 국립나주문확쩨연구소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제 1 호 고대 고분 국제학술댄회
More information<3035B1E8BFECC7FC2E687770>
정신문화연구 2006 겨울호 제29권 제4호(통권 105호) pp. 119~148. 硏 究 論 文 주자학에서 혼백론의 구조와 심성론과의 관계 * 김 우 형 ** 1) Ⅰ. 서론: 귀신론과 혼백론 Ⅱ. 북송시대 주자학에서의 혼백과 귀신 Ⅲ. 주희 혼백론의 구조 Ⅳ. 혼백론에서 심성의 지각론으로 Ⅴ. 결론: 혼백론을 통해 본 주자학의 성격
More information<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313030303931302D3242463531B27BA6E6A6D2BBCDA8EEABD72DBEC7BEA7A558AAA9AAC02E646F63>
前 1 前 言 現 行 考 銓 制 度 一 現 行 考 銓 制 度 對 人 事 行 政 的 重 要 性 : 強 烈 建 議 考 人 事 行 政 的 同 學 們, 一 定 要 精 讀 現 行 考 銓 制 度! 熟 讀 現 行 考 銓 制 度 的 好 處, 可 以 從 以 下 幾 個 角 度 來 分 析 : 相 對 重 要 程 度 高 : 現 行 考 銓 制 度 在 人 事 行 政 三 個 主 要 等
More information-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 72 - 國 史 館 論 叢 第 93 輯 法 의 실시, 良 役 變 通 의 논의 등 사회 경제적 변화가 추진되는 양상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2) 그렇다면 조선왕조의 체제구축과 성리학의 이기심성론은 어 떠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둘러싼 논쟁
17세기 理 氣 心 性 論 발달의 역사적 의미 - 嶺 南 學 派 의 政 治 哲 學 形 成 과 관련하여- 薛 錫 圭 * 1. 머 리 말 4) 理 氣 分 合 論 2. 理 氣 心 性 論 의 대두와 삶의 4. 理 氣 心 性 論 발달의 정치적 의미 철학 형성 1) 士 林 의 정국주도와 朋 黨 論 의 대두 1) 退 溪 南 冥 의 理 氣 心 性 論 과 2) 理 氣 妙 合
More information6 새국어생활 제 9권 제 1 호( 99년 봄) 十 三 經 : ( 詩 經 ) 書 經 周 易 爾 雅 春 秋 혔 梁 傳 春 秋 公 후 傳 左 傳 禮 記 構 i훌 周 *훌 孝 經 ( 論 語 굶 子 ) 諸 子 集 成 : 훌 子 春 秋 法 言 管 子 韓 非 子 堆 南 子 莊 子
랩 려l 한자의 표준화 국학 연구용상용한자제정안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1. 한자 사용 빈도 조사의 목적 한문의 이해는 국학 연구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국학 연 구 인력의 배양을 위해서는 국학 연구에 필요한 상용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중 심으로 하는 한문 교육 방법론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이 글은 국학 연구용 상용 한자를 선정하기
More information?읜춎킴잖?
口 특집/갑오경장 100 년 기념 캅오경장기의 문법 우 교수) 1. 서 론 개화기싼 팍써사얘서는 정흉서1 국어와 근대국어에서 현대픽써 단계효 넙써가는 중요한 과도기작 성쩍윷 밀 썩 q 그동안 중세국어와 현대꽉어쩌11 엽꾸어l 비해서 근 대국어에 대한 연구는 상대척으로 소흘하였으며 특히 개화기 시대는 과도기로 취급되 어 독자적인 연구대상으로 주목율 크게 받지
More information³»Áö_10-6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이 책에서는 단순히 가난한 관리들의 이야기보다는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사심 없이 헌신한 옛 공직자들의 사례들을 발굴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공과 사를 엄정히 구분하고, 외부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고 소신껏 공무를 처리한 사례,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 이야기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관아의 오동나무는 나라의 것이다 최부, 송흠
More information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審 辯 性 與 創 意 性 思 考 냉철하고 창의적인 생각 CCT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More information건강증진 시범보고서 운영을 위한 기술지원 연구
짧활 康 t합샤훌 示 範 띔 健 所 運 營 응 위한 技 術 支 援 웹 JE - 示 範 保 健 所 模 型 開 發 을 中 心 으로l' 鍾 和 李 順 英 鄭 基 뽑 編 著 韓 國 띔 健 社 會 댐 究 院 머 리 말 美 國 이나 日 本 등 先 進 國 의 경우 이미 1970년대 부터 人 口 의 高 敵 化 와 生 活 樣 式 의 變 化 에 기인한 成 人 病 증가와 이에
More informationI. 현대적 명승의 개념 및 관련 법규 01. 문화재보호법과 명승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광학과 대학원장 김창규 - -------........... 7 02. 명승의 개넘과 용어해설 흔μ국전통문화대학교문화재관광학과대학원장 - 김호딴 ----- ---- --- -----------------...... 13 03. 명승관련법규의 적용과 해석 한국전통문화대학교문화재관광학과대학원장
More information소사벌 25호
명택 문뺑l 황?빠 담0배{는 훌활문얘지 혈훨명택문확원 .._ j ~ 납 十 E과 I ~at~ 를.... 색 촌솟 u발강셔 l n키울마 7.! nt셔냐는 7...& I c 닙 ""'C" j 슬 I 7 十 들 을딴셔! 처녁 켠 71 건떡셔 를}고 딩녁 ~ t내수 배 l 효 7 十 ~I운 고_7 서 n품 벌 E 펴 스 j 발겨 l l L. 논뱉파 :it I ""
More information3.염중섭(자현).hwp
붓다의 화합정신 강조와 그 현대적 의의 / 염중섭(자현) 79 80 大 覺 思 想 제19집 (2013.6) 한글요약 붓다의 화합정신 강조와 그 현대적 의의 *1) - 율 제정의 의미와 정신을 중심으로 - Ⅰ. 序 論 목 차 Ⅱ. 율 제정의 배경과 방식 1. 특수윤리와 이원론적 문화배경 2. 制 戒 十 利 와 隨 犯 隨 制 Ⅲ. 和 合 僧 과 行 籌 人 의 역할
More information지 않은 상태이고, 그러한 시도도 찾아 보기 힘 든 것은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 론 最 近 에 들어 國 內 國 녔3 學 界 나 i1îi 會 經 濟 史 學 界 에서 당시의 政 治 社 會 經 濟 文 化 의 諸 現 象 에 對 한 昭 究 가 활펠허 이루어지고
t 也 理 學 옮움 醫 第 6 號, 1979 年 12 月 pp.116rv150 日 帝 의 對 韓 初 期 植 民 地 政 策 이 韓 半 島 의 士 地 와 人 口 의 地 城 的 變 化 에 ul 천 영 향 : 19101919 李 樹 成 1. 序 (1) 昭 究 目 的 (2) 짧 究 方 法 (3) 짧 究 資 料 및 範 圍 텀 갖 4. 日 帝 의 韓 半 島 統 治 構 造
More information?읜춎킴잖?
57 韓 國 人 의 이름의 變 選 南 豊 鉉 (단국대 학교 교수. 국어 학) I. 序 韓 國 에서 人 名 이라고 하연 여러 종류를 생각할 수 있으냐 우선 제 1 감 으로 떠오르는 것은 性 과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姓 의 기원이나 변천에 대해서는 따로 논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름의 變 遭 만을 논의 의 대상으로 삼기로 한다. 사랍의 이릅은 본래
More information<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완치란 일반인들과 같이 식이조절과 생활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시 통풍이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당신의 통풍이 몇 년이나 되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로릭과 진통 소염제로 버텼는지 이제 저한테 하소연 하시고 완치의 길로 가면 다. 어렵지 않습니다. 1 2015 11 10 # 2012 000081 1 000 95% 95% 60 5 B 507 070 4651 3730~4
More information°ø±â¾Ð±â±â
20, 30, 40 20, 30, 40 1 2 3 4 5 6 7 8 9 10 3.1 6.3 9.4 12.6 15.7 18.8 22.0 25.1 28.3 31.4 2.4 4.7 7.1 9.4 11.8 14.1 16.5 18.8 21.2 23.6 7.1 14.1 21.2 28.3 35.3 42.4 49.5 56.5 63.6 70.7 5.9 11.9 17.8 23.7
More information<3120B1E8B1D9BFEC2D31C2F7C6EDC1FD2830292DB1B3C1A4BFCFB7E12831707E292E687770>
Perspective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1):1-15 http://dx.doi.org/10.7231/jon.2012.23.1.001 심신치유를 위한 불교의학, 사상의학, 한의학에서의 心 의 연구 김근우,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교실 The Study on
More information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연구 제58집 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2013년 12월 30일 2009 改 定 敎 育 課 程 에 따른 中 學 校 漢 文 敎 科 書 의 多 文 化 敎 育 에 對 한 一 見 이돈석 청주대학교 한문교육과 Ⅰ. 들어가는 말 Ⅱ. 한문 교과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검토 Ⅲ. 중학교 한문 교과서 분석 목 차 1. 재제 출전의 문제 2.. 교육 내용과 제시 방법의 문제
More information?읜춎킴잖?
口 특집/한국의 속담 韓 톰f칸줬썩R협 係 論 著 目 錄 現 在 (연도순)- - 成 現 : ij홉뿜 藏 옮. (14잃"'1뼈) 李 陣 光 : 효 峰 類 說 卷 16. (læg,... l없) 魚 꿨 權 : 釋 官 廳 G. (16 世 紀 ) 尹 所 : 漢 鷹 뺑 擊, 洪 萬 宗 : 李 훌 : 李 德 흉 : 뺑l 上 方 룹(좁짧없초올) (100 句 ). (1껴 1"'1뺑)
More information16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墓 誌 銘 等 創 作 於 高 麗 時 代 與 朝 鮮 朝 時 代, 此 是 實 用 之 文 而 有 藝 術 上 之 美. 相 當 分 量 之 碑 誌 類 在 於 個 人 文 集. 夢 遊 錄 異 於 所 謂 << 九 雲 夢 >> 等 夢 字 類 小 說.
經 學 研 究 集 刊 特 刊 一 2009 年 12 月 頁 15~36 高 雄 師 範 大 學 經 學 研 究 所 15 韓 國 漢 文 學 硏 究 之 最 近 傾 向 김동협 金 東 協 教 授 / Professor Kim Donghyub 摘 要 我 想 對 於 韓 國 漢 文 學 最 初 之 專 門 著 書 是 金 台 俊 之 >. 此 冊 刊 行 於
More information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1-조선선불교의 심성이해와 마음공부.hwp
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제50권 제2호, 2012, pp.51-70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and Mind Practice in Korean Zen Buddhism -Focused on the Thought of Deuktong-Gihwa around the Idea of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104 韓 國 禪 學 제36호 조선전기 문인사대부의 贈 序 文 에 보이는 불교 인식 * 김상일(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Ⅱ 목 차 Ⅱ Ⅰ. 시작하는 말 Ⅱ. 조선전기 문인사대부와 불교 관련 증서류 산문 Ⅲ. 불교적 가치관에 대한 비판과 유교 윤리 권면 Ⅳ. 유불 교유론 Ⅴ. 유불 조화론 1. 김수온: 唯 心 一 理 的 儒 佛 融 通 論 2. 성 현:
More information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第 85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1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6年 6月 3 日 ( 月 ) 午 前 10時 場 所 議 事 日 程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의件 審 査 된案 件 1. 交 通 放 送 本 部 所 管 當 面 懸 案 報 告
More information211 1-5.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2004.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1987. 1-6.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210 참고문헌 1. 능묘 1-1. 경주황남리고분군 慶 州 皇 南 里 古 墳 群 경상북도, 文 化 財 大 觀, 1-V, 慶 尙 北 道 編, 2003. 문화재관리국, 天 馬 塚 發 掘 調 査 報 告 書, 1974. 1-2. 함안도항리 말산리고분군 咸 安 道 項 里 末 山 里 古 墳 群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 安 道 項 里 古 墳 群 5, 200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More information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1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주 830516 입주자격소득초과 2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김 * 연 711202 입주자격소득초과 3 장지지구4단지 ( 임대 ) 59A1 이 * 훈 740309 입주자격소득초과 4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이 * 희 780604 입주자격소득초과 5 발산지구4단지 ( 임대 ) 59A 안 * 현
More information빈면
j 발ζ틸록번호 1 1 4 0 % 0 2 0 - m O O 4 4 - 이 연 구 보 고 2 0 0 2-0 1 I R 애싱 -대도시 징탄성매때지역 증싱으로 g 김승뀐 조애저 김유곁 손승영 한혀 결 김성아 ~잉 z -ι7 / v / ι ζ a Tι r 鉉 ; ιo t n ι a 톨 상r X a 흥 낀 ~ ~ r - * 서 7 A * r - 엉 뇨려 - r M W
More information무부에서는 인증서 보유자로 하여금 리콜을 해야 하는지를 분석할 것입니다. ITA Comment: 법령 제252호는 인가된 시험소의 정의 및 절차에 관한 내용이며 시험 요구사항은 변 경되지 않았습니다. 추후 상세 내용 확정 시 입수하여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2. 니제르,
- 2016년 7 월 Dt&C 소식 ITA Team(해외규격인증팀) 1. 브라질 INMETRO, 법령 제 252 호 발표 6월초, 브라질 INMETRO는 관보를 통해 법령 제252호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법령의 주요 목적은 2015년 3월 6일 발표되었던 법령 제118호의 일부 요건의 수정 및 불분명한 내용의 명확성 확보입니 다. 법령 제118호는 제품인증의
More information目 次 第 1 篇 1995 年 度 水 産 業 動 向 1 第 1 章 世 界 水 産 業 動 向 3 第 1 節 水 産 物 生 産 3 第 2 節 水 産 物 交 易 5 第 2 章 우리나라 水 産 業 動 向 7 第 1 節 漁 業 構 造 7 第 2 節 漁 家 經 濟 22 第 3 節 水 産 物 生 産 30 第 4 節 水 産 物 輸 出 入 40 第 5 節 水 産 物 需 給
More information101-03.hwp
人 文 科 學 제101집 2014년 8월 漢 字 문자 그 이상의 상징 체계 Ⅰ. 서론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한자의 본격적인 개혁운동은 5.4 白 話 運 動 이 후 지식인들에 의한 표음문자화를 지향하는 漢 字 革 命 論 이다. 근대 알파 벳 문자를 이상적 원형으로 사유하는 서구학계의 깊은 인식론의 영향으로 1954년 中 國 文 字 改 革 委 員 會 성립 이후
More information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Capita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논문집 별호 45 2002.4 훌규 羅 王 京 의 훌쉴 圍 와 區 城 에 대한 地 理 tjtj1i퓨갖릎 李 훌료 職 서 울대 학교 국토문제 연구소 Journal of Gεography (Jirihak Nonchong) Monography Series 45 Apr.2002 Geographical Study on the Boundary
More information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맼彰 化 뾤縣 和 과美십鎮 和 仁 냪國 ꗁ民ꑰ小 뻇學 101 年ꯗ度 낪高 年 꿅級롴聖뷏誕론節굞英뭹語싴闖쏶關륃遊삸戲 ꑀ一ꅂ ꗘ目ꪺ的ꅇ 겡活냊動군計땥畫 ꕈ以 륃遊삸戲 之形ꚡ式 냶培빩養뻇學떣童맯對 於 뻇學닟習굞英뭹語 之 뾳興뷬趣 ꅁ 뙩進 ꛓ而 뒣提 升 뻇學떣童굞英뭹語꿠能 ꑏ力ꅁ 並 促 뙩進뻇學떣童냪國믚際왛觀 ꅃ ꑇ二ꅂ 맪實걉施굮要쉉點 ꅇ 1. 맪實걉施맯對뙈象 ꅇ
More information<2> 2014 년 11 월 25일 -LI훌톨흘클--- 드프 ι셔끼 AI c::::i O......, 술킬수없는체납액, 끝까지 추적한다! 지방세 세외수입 체납액 정수대책 보고회 개최 이학재 부군수주재로각실과소읍면장등관계자들이 체납액 징수 방안에 대해 논의 지방재정의 자
~ /ι - * \ Lg EUMSEONG NEWS --ε흩l해ξ크뜯씹률틀잠- 2014년 11 월 25일 발행인 음성문수 편집 음성소식편집위원회 구독문의 O쩨 871-3051-5 홈페이지 빼 es21.go.kr I 사랑의 김장으로 따뜻한 겨울을 음성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윤효숙) 회원 40명이 참여한 독거노인을 위한 김장담그기 행사가 지난 13일 여성회표뻐 서
More information356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1883.01.24 釜 山 口 設 海 底 電 線 條 欵 / 海 底 電 線 設 置 ニ 關 スル 日 韓 條 約 漢 日 1883.06.22 在 朝 鮮 國 日 本 人 民 通 商 章 程 / 朝 鮮 國 ニ 於 テ 日 本 人 民 貿 易 ノ
근현대 한일간 조약 일람* 22) 1. 조선 대한제국이 일본국과 맺은 조약 주) 1. 아래 목록은 國 會 圖 書 館 立 法 調 査 局, 1964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上 ; 1965 舊 韓 末 條 約 彙 纂 (1876-1945) 中 ; 外 務 省 條 約 局, 1934 舊 條 約 彙 纂 第 三 巻 ( 朝 鮮 及 琉 球 之 部
More information<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 산업중분류, 조직형태 및 동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단위 : 개, 명 금정구 서1동 서2동 서3동 Geumjeong-gu Seo 1(il)-dong Seo 2(i)-dong Seo 3(sam)-dong TT전 산 업 17 763 74 873 537 1 493 859 2 482 495 1 506 15 519 35 740 520 978 815 1 666 462
More information<C1A4C3A530302D31302DBFCFBCBABABB2E687770>
低 所 得 偏 父 母 家 族 의 生 活 實 態 와 政 策 課 題 金 美 淑 朴 敏 妌 李 尙 憲 洪 碩 杓 趙 炳 恩 元 永 憙 韓 國 保 健 社 會 硏 究 院 머 리 말 배우자의 사별, 별거, 이혼 등으로 초래되는 偏 父 母 家 族 은 産 業 化 의 진전에 따른 개인주의 팽배로 이혼이 증가하였고 經 濟 危 機 로 인한 가 족해체가 확산되어 최근 증가 추세에
More information11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한글요약 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 異 文 化 ) 사회에의 토 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 한 부모은중경 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의 동전과정에서
불교 효사상의 본질 양은용 * 1) 목 차 Ⅰ. 서언 Ⅱ. 불교의 동전과 부모은중경 의 성립 1. 부모은중경 의 성립 2. 부모은중경 의 피은과 보은 III. 우란분경 류의 목련구모와 효사상 1. 우란분경 과 목련구모 2. 불교 효사상의 핵심 IV. 결어 *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원장. 114 淨 土 學 硏 究 제22집 (2014. 12) 한글요약
More information國 統 調 9 0-1 2-1 0 7 南 北 韓 社 會 次 化 力 量 綜 출 評 價 統 院 調 査 硏 究 室 책 을 내 면 서 南 北 韓 이 分 斷 以 後 각기 相 反 된 政 治 理 念 과 政 治. 經 濟 的 制 度 에 토대를 둔 體 制 成 立 으로 相 異 한 社 會 文 化 를 形 成 해온 지도 벌써 4 5 年 이 지 났다. 이 기간동안 南 과 北 의 社 會
More information354 한국문학논총 제 61집 둘째 fí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의 제 1판에 와서 제목을 부여하려는 시 도가 나타났다. ( 序 詩 ) 라 하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라는 부제를 달 았다. 하지만 점션을 둘러놓음으로써 본문의 시들과는 구별했다. 셋째, 제 2판에 와서
한국문학논총 제 61 집 (2012. 8) 353385쪽 윤동주의 이 른바 서시 의 제목 문제 이 복 규 * I 여는말 차 려 m 출판본 하늘과바람과별과시 에서 II. r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에서의 이른바 서시 제목의 원형 1. 이른바 서시 제목의 원형 2 이른바 서시 에 제목이 없는 현 의 이른바 서시 의 변형 1. 정음사본 제 1 판에서 제4판까지의 변형
More information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식민지의 목소리 - 朝 鮮 思 想 通 信 社 刊, 朝 鮮 及 朝 鮮 民 族 (1927)을 중심으로 鄭 鍾 賢 ( 成 均 館 大 ) 1. 伊 藤 韓 堂 과 朝 鮮 思 想 通 信 伊 藤 韓 堂 이 발간한 朝 鮮 思 想 通 信 은 1925 년에 발행을 시작하여 1943 년 그가 죽은 직후에 폐간될 때까지 대략 18 년 동안 간행된 조선문을 번역한 일본어 신문이다.
More information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128 ^ 文 科 學 쩌 究 論 靈 第 二 +:n 號 였다. 목은은 당시 사회에 학문적 정신적 지주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학의 발전에도 크 게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가정에서는 자상한 아버지이면서 자제들을 엄격하게 훈도하 였다. 그는 아버지 곡의 가르침을 평생의 지침으
~t 隱 家 學 의 成 立 과 理 念 - 種 德 種 學 種 홈의 生 ;훌와 活 動 올 中 心 으로 - 申 千 混. 목 차 I. 머리말 11. 秋 隊 의 家 學 理 ;융: m. 救 隨 家 쩔의 成 立 N 맺옴말 1. 머리말 收 隱 李 짧은 고려말의 대석학으로써 당시 사회에서 橋 宗 으로 존숭을 받았다. 그는 緣 亨 李 짧의 아틀로 1353 년(공민왕 2)에 李
More information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최정희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 활동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니가타현립대학교 야마다요시코 1 머리말 1931 년 삼천리사에 입사한 최정희는 기자로서 활동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37 년에 흉가 로 등단했다. 그 동안 습작기에 일본어 소설 1 편을 포함해 소설 15 편을 발표했다. 일본어 소설 그늘 은 역시 습작기에 쓴 가버린 美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環 境 論 序 즙닮따11) 盧 隆 많B* 目 次 ** I. 序 옳 11. 쩔 境 의 훌 味 와 영훌 境 問 훌훌 III. 훌 R홈 戰 흉의 理 훌웅 1. 變 動 (Change) 2. 행 衝 (Equilibrium) 3. 自 己 調 整 (Self-regulation) IV. - 般 理 짧의 檢 討 1. 體 系 理 論 (Systems theory) 2. 均 衛
More information¾Æµ¿ÇÐ´ë º»¹®.hwp
11 1. 2. 3. 4. 제2장 아동복지법의 이해 12 4).,,.,.,.. 1. 법과 아동복지.,.. (Calvert, 1978 1) ( 公 式 的 ).., 4),. 13 (, 1988 314, ). (, 1998 24, ).. (child welfare through the law) (Carrier & Kendal, 1992). 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More information특수의약품 개발 및 수요전략- 現況및 問題點中心으로 -
휴훌혔k 폴홉 藥 ti 뷰5 훌훌 덤5 絲 뭘했필홈 짧 況 맡 閒 훌훌훌홉 中 心 으로 李 張 柳 構 끊 뾰 承 따 聊 美 歡 韓 國 保 傑 社 슬 ijf~~ 머 리 '01 E표 醫 藥 品 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基 本 的 인 保 健 醫 廳 資 源 으로서, 의약품의 원활한 공급은 훌? 廳 의 質 的 水 準 向 上 은 물론 나아가 國 民 健 康 :l:
More informationa킹종꺼j책 획용깡호. 그 후 양 L걷(Z006 ZOIO)
를흥. F 씀 문와쩨청 ~,o후닌 --! Anniversary a. -"" a웅종쟁융켈 활틀생홀 - 그 승 T 양L착(Z006 zoao) 영승 제34.호 보길도 윤선도원림 동천석실에서 본 부용동전경 ----mjw 랍口 그 - NC 뼈 ι ι 빼 m 빼 빼 빼 뾰 괴빼 A4.m a킹종꺼j책 획용깡호. 그 후 양 L걷(Z006 ZOIO) a굉승짱캠 빨~'h-,
More information2. 4. 1. 업무에 활용 가능한 플러그인 QGIS의 큰 들을 찾 아서 특징 설치 마 폰 은 스 트 그 8 하 이 업무에 필요한 기능 메뉴 TM f K 플러그인 호출 와 TM f K < 림 > TM f K 종항 그 중에서 그 설치 듯 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 림 > 다. 에서 어플을 다운받아 S or 8, 9 의 S or OREA
More information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
Your Guide to Success Interface Design Red Dot Award: Communication Design 에 참 하기 결정해 주셔서 기쁩니다. "성공을 위한 안내서"는 등 절 에 대해 안내 니다. 지체 말고 언 든지 연 해 주 오. Red Dot 은 등 절 또는 등 후 절 를 기꺼 와드 겠습니다. 01 Interface Design
More information5. 회 의내용 < 제 1호 안 : 2011학년도 법 안 회 제 철 산(안 )> 법인 사무국장의 성왼 보고에 이이 의장이 이사회 개회 용 선언하고 회계판려부장에 게 제 l 호 안인 20 11 학년도 입인 회계 결산(안)에 대한 성명융 지시함 회계판리부장이 2011 학년
학교법언한성학원 2012학년도 제 2차 이사 회 회 의 록 구 ss 01 사 감사 일원징수 8인 2인 재적잉윈 7인 2인 참석잉원 5인 인 1. 연 시 : 2012년 5월 22일(화) 10:30 11:10 (회의소집 상보일 : 2012.5.10.) 2. 장 소 경성대학교 정보판 10충 회의실 3. 엄원 출 결 사항 참석임웬 (5명) : 김대성, 이동철, 김순칭,
More information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중국기본고적고 사용설명서 1 로그인( 進 入 ) 1.1시작을 클릭하신후 왼쪽 프로그램에서 AncientBook 을 찾으신후, AncientBookClient 를 클릭하세 요. 1.2 服 務 器 (ip), 用 戶 名 (id), 密 碼 (pw)를 입력 후 진입( 進 入 ) 클릭하세요. 1-3. 아이콘 설명 : 메인페이지 : 최소화 : 화면 닫기 2. 검색( 檢
More informationuntitled
조선시대 형사판례를 통해 본 재판의 제원칙 조선시대 형사판례를 통해 본 재판의 제원칙 - 심리록에 수록된 사례를 중심으로 - 김 용 희 * 차 례 Ⅰ. 서 설 Ⅱ. 심리록에 나타난 지방관리들의 사법행정능력 1. 검험의 기준 2. 검험조서 Ⅲ. 심리록에 나타난 재판의 기본원칙 1. 관용의 원칙 2.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in dubio pro reo)
More information<312D3034C1A4BFEBBCAD2E687770>
1930년대 초 천도교신파의 정세인식과 조직강화* Social Awareness and the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 by the New faction of Chundogyo in the Early 1930s 1)정 용 서(Jeong, Yong Seo)** Ⅰ. 머리말 Ⅱ. 신간회 해소에 대한 인식 Ⅲ. 반종교운동에 대한 대응
More information01¸é¼öÁ¤
16면 2012.7.25 6:14 PM 페이지1 2012년 8월 1일 수요일 16 종합 고려대장경 석판본 판각작업장 세계 최초 석판본 고려대장경 성보관 건립 박차 관계기관 허가 신청 1차공사 전격시동 성보관 2동 대웅전 요사채 일주문 건립 3백여 예산 투입 국내 최대 대작불사 그 동안 재단은 석판본 조성과 성보관 건립에 대해서 4년여 동안 여러 측면에 서 다각적으로
More information北 韓 및 共 産 圈 接 觸 交 流 를 通 한 政 治 心 理 의 展 關 方 向 國 土 統 - 綜 이 報 告 書 는 國 土 統 一 院 73 年 度 下 半 類 學 術 f 役 에 關 한 畢. 終 報 告 書 로 理 出 합니다 l 9 7 3 년 il원 긴 硏 究 機 關 京 鄕 諒 間 社 安 保 統 - 硏 究 委 員 會 硏 漆 養 員 責 任 者 : 료 國 植 委 員
More information(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대상자의속성 -. 연간가수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평균 ( 만원 ) 전 국,........,. 지 역 도 시 지 역 서 울 특 별 시 개 광 역 시 도 시 읍 면 지 역,,.,.,.,.,. 가주연령 세 이 하 - 세 - 세 - 세 - 세 - 세 - 세 세 이 상,.,.,.,.,.,.,.,. 가주직업 의회의원
More information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2007. 6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14세기 高 麗 末, 朝 鮮 初 농업기술 발달의 추이* - 水 稻 耕 作 法 을 중심으로- 염 정 섭** < 국문초록 > 15세기 초반 태종대에 만들어진 농서로 현재 農 書 輯 要 가 남아 있다. 이 농서는 元 代 의 農 書 인 農 桑 輯 要 를 抄 錄 하고 吏 讀 를 붙여 간행한 것이었다. 간행연대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15세기 초반 태종대로 추정된다. 고려말
More information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39-44, 2008년 6월 Yonsei J Med Hist 11(1): 39-44, 2008 일반논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 신창희( 申 昌 熙 )의 생애와 활동 박 형 우(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 홍 정 완(연세대 의사학과)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More information<BBFDB8EDBFACB1B83232C1FD2D766572342E687770>
유가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전 병 술 건국대학교 접 수 일 : 2011년 11월 6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1월 21일 게재확정일 : 2011년 11월 23일 주제분류 동양철학, 유가, 종교학, 죽음학 주 요 어 삶과 죽음, 생명의 학문, 명( 命 ), 사생취의, 초혼재생 초 록 동양철학의 특질을 생명의 학문 이라 규정하는 견해가 있다. 생명의 학문
More information<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B1E2C1B6B0ADBFACB9AE28B1B9B9AE29>
인류문화에 공헌하는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이성무 1. 국제정세의 변화와 한국학 한국학은 한국에 관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를 말한다. 그런데 현대의 한국학은 한국이 세계 속에서 협력 경쟁하면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국제정세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현대의 한국학은 인류문화에 공헌하는 한국학이 되어야 한다. 20 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사적인 전환기가
More informationuntitled
용역보고서 2000-22 社 會 脆 弱 階 層 의 健 康 增 進 을 위한 푸드뱅크 事 業 의 活 性 化 方 案 (The Food Bank Activa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of Lower Income Classes) 鄭 基 惠 李 誠 國 金 貞 根 金 聖 卿 韓 國 保 健 社 會 硏 究 院 保 健 福 祉 部 머 리 말
More information7 청보 86. 3. 29( 對 삼성 )~4. 5( 對 빙그레 ) NC 13. 4. 2( 對 롯데 )~4. 10( 對 LG) 팀별 연패 기록 삼 미 18 연패 ( 85. 3. 31~4. 29) 쌍방울 17 연패 ( 99. 8. 25~10. 5) 롯 데 16 연패 ( 0
전반, 타격, 투수, 수비 진기록 전반 시즌 최고 승률 0.706 85 삼성 (110 경기 77승 32패 1 무) 기별 최고 승률 0.741 85 삼성 ( 전기 55경기 40승 14패 1 무) 시즌 최저 승률 0.188 82 삼미 (80 경기 15승 65 패) 기별 최저 승률 0.125 82 삼미 ( 후기 40경기 5승 35 패) 시즌 최다 승리 91 00
More information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V a lu e n C F = t 1 (1 r ) t t = + n : 평 가 자 산 의 수 명 C F t : t 기 의 현 금 흐 름 r: 할 인 율 또 는 자 본 환 원 율 은 행 1. 대 부 금 5. 대 부 금 상 환 E S O P 2. 주 식 매 입 3. 주 식 4. E S O P 기 여 금 기 업 주인으로 쌍방향의 투명
More information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棄 権 DNS: 欠 場 )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順 位 氏 名 記 録
More informationBook2.hwp
古 下 宋 鎭 禹 關 係 資 料 文 集 巨 人 의 숨결 Volume Two: The Writings and Biographical Materials of Mr. Chinwoo Song - 1 - 序 文 우리나라의 近 代 와 現 代 의 역사에 있어서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업적을 남기신 人 物 들의 생애 와 사상을 담은 傳 記 나 回 顧 錄 이 많이 出 刊 된
More information<B0EDBCBA20C0B2B4EB20B3F3B0F8B4DCC1F6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8C3DFB0A1BCF6C1A4BABB292E687770>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2003. 11 慶 南 發 展 硏 究 院 歷 史 文 化 센터 固 城 栗 垈 2 農 工 團 地 造 成 事 業 文 化 財 地 表 調 査 報 告 書 Ⅰ. 調 査 槪 要 1. 調 査 目 的 고성군에서 추진중인 율대 농공단지 확장예정지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제74-2와 동법 시행령 제43-2
More information토픽 31호(2016.3.7).hwp
절실히 묻고 가까이 실천하는 선진 산림과학 3.0 시대를 열겠습니다! 01 03 05 05 06 07 08 08 10 10 11 임업인에게는 희망을, 국민에게는 행복을 带 NIFoS 1 중국 닝샤회족자치구() 중국 무슬림 인구 주요 분포도 중국 닝샤의 회족 자치구 3 중국 무슬림 인구 Top 11 지역 순위 지역( 省 ) 인구(만)
More information232 國 樂 院 論 文 集 第 11 輯 적인 요소를 무시할 수 없다. 이 는 비단 한국의 문화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문화 유기체의 일반적 속성이기도 하다. 문화는 흐르는 것이다 고인 물은 썩는다 라는 문화의 속성을 잘 드러 내 는 명제에 서처럼, 하나의 문화란
횡 觸 후 中 華 主 製 } 음악적 설현과 淸 文 物 수용의 의의 송지 원 * 목차 1. 머리말 Il. 본론 1. 朝 빡 中 華 主 義 의 음악적 실현 1) 大 報 밸의 음악( 皇 i핍양 )1 ) 2) 정조와 서명응의 악서편찬을 통한 음악의 이 론적 정 비 3) 뼈체과 觀 歸. 2. 폐 文 物 수용의 의의 1) 洋 琴 의 유입 2) 의 한국적 수용 ill.
More information<31312D3331BACFC1A4C0CFB1E22E687770>
北 征 日 記 신류 申 瀏 1619~1680 본관 평산 平 山 훈련원부정 삼도수군통제사 등 역임, 1658년 영장 領 將 으로 나선정벌 羅 禪 征 伐 신기석 역, ꡔ북정일기ꡕ, 탐구당, 1980 북정일기 북 정 일 기 北 征 日 記 포사수( 砲 射 手 ) 방포( 放 砲 ) 시재( 試 才 ) ꡔ북정일기ꡕ 무술 효묘 9년 순치15년 4월 初 十 日 晴 往 會 寧
More information[맹자] 맹자( 孟 子 )가 말하였다. 본심( 本 心 )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없다. [맹자] 우산( 牛 山 )의 나무들이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있어서 도끼로 남벌하였다. 그러니 그 산이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이것은 밤낮
제7장 기( 氣 )를 길러라 도 입 어떤 사람이 힘이 없어나 풀어죽어 있을 때 흔히 우리는 기가 죽었다 라고 말한다. 기가 죽었으니 기를 살리는 방법도 있지 않겠는가? 그래서 어떤 부모들은 아이들이 잘못했을 때 기죽을까봐 야단치거 나 꾸중도 안한다. 그 때문에 오히려 버릇없는 아이가 되기도 하는데 기를 잘못 살리기 때문이다. 기에 는 오기( 傲 氣 ) 바람기
More information1 共 産 主 義 와 現 代 急 進 惡 潮 7. H 7 # H? tt f. # #~#.7 T... r 7.. l 7. # H #. #.. f # 6 f 7... #.... y. #w.7t.. # Y t 1##l # t./ #. # u # 9 H.#../...1..)... #A. f.f.yn7r#l #. 7).. l989. ' '. 1,....'.?.'T.'=.l
More information金 喜 甲 委 員 ; 金 喜 甲 委 員 입니다. 本 委 員 은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에 대한 請 願 을 하 고자 합니다. 請 願 의 基 本 要 旨 는 1974 年, 즉 21年 前 부터 地 下 鐵 公 社 와 隨 意 契 約 으로 淸 掃 用 役 을
第 81 回 서울特 別 市 議 會 ( 臨 時 會 ) 交 通 委 員 會 會 議 錄 第 4號 서울 特 別 市 議 會 事 務 處 日 時 1995年 10月 27 日 ( 金 ) 午 前 10時 場 所 交 通 委 員 會 會 議 室 議 事 日 程 1. 地 下 鐵 淸 掃 用 役 繼 續 締 結 要 望 請 願 2. 地 下 鐵 勞 使 問 題 解 決 促 求 請 願 3. 地 下 鐵
More informationDBPIA-NURIMEDIA
119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 60) 조시현**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전개 Ⅲ.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법 적용의 의미 -역사와 법의 관계 1. 법적 책임의 전제로서의 사실에 대한 규범적 평가 2. 법을 둘러싼 진실규명의 필요성 3. 연속된 법의식의 회복과 미래 -피해자의 권리와 공동행동원칙의 정립 4. 국가책임의
More information04 Çмú_±â¼ú±â»ç
42 s p x f p (x) f (x) VOL. 46 NO. 12 2013. 12 43 p j (x) r j n c f max f min v max, j j c j (x) j f (x) v j (x) f (x) v(x) f d (x) f (x) f (x) v(x) v(x) r f 44 r f X(x) Y (x) (x, y) (x, y) f (x, y) VOL.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