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育學碩士學位請求論文 終助詞 ね 와 よ 에대하여 한국어文末형태와의대조를중심으로 A Study on Japanese ending auxiliary ; ね (ne) and よ (yo)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end form of sentence in Korean 2008 年 2 月 仁荷大学校敎育大學院 日本語敎育專攻 최지현
敎育學碩士學位請求論文 終助詞 ね 와 よ 에대하여 한국어文末형태와의대조를중심으로 A Study on Japanese ending auxiliary ; ね (ne) and よ (yo) Focused on comparison with the end form of sentence in Korean 2008 年 2 月 指導教授 牟世鍾 이論文을碩士學位論文으로提出함. 仁荷大学校敎育大學院 日本語敎育專攻 최지현
목 차 1.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방법및범위 3 2. 선행연구 5 2.1 国語学적관점에서의연구 5 2.2 言語學적관점에서의연구 7 2.2.1 모달리티론적관점에서의연구 7 2.2.2 정보영역이론적관점에서의연구 10 3. ね よ 의의미 13 3.1 ね 의의미 13 3.1.1 평서문의경우 15 3.1.2 의문문의경우 19 3.1.3 명령문의경우 21 3.1.4 감탄문의경우 22 3.1.5 청유문의경우 24 3.2 よ 의의미 25 - i -
3.2.1 평서문의경우 26 3.2.2 의문문의경우 29 3.2.3 명령문의경우 31 3.2.4 감탄문의경우 32 3.2.5 청유문의경우 33 4.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35 4.1 ね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36 4.2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42 4.3 결과분석 48 4.4 ね よ 와한국어 -요 49 4.4.1 한국어 -요 의의미기능 49 4.4.2 ね よ 와 -요 의비교 51 5. 결론 53 참고문헌 55 국문초록 57 Abstract 59 - ii -
표목차 < 표 1> 情報のなわ張り論 의구조 11 < 표 2>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16 < 표 3>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17 < 표 4>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27 < 표 5>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29 < 표 6>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48 - iii -
1. 서론 1.1 연구목적 7차교육과정개정체제에서의일본어교육은韓 日양국의여러문제를원만하게해결하고문화의이질성에서오는제반오해를해소하기위해원활한의사소통능력을요구하고있다. 즉, 언어 4기능을유기적으로연계하여일상생활과관련된쉬운일본어를이해하고표현할수있는기초적인의사소통능력을기르는것을목표로삼고있다. 이와같은원활한의사소통을위해서는무엇보다자연스러운커뮤니케이션능력이중요하다고할수있다. 池上嘉彦 (1989) 는일본어의특징으로일본어표현에는관계하는사람에대한정보가함께표시되는경우가많음을지적하고일본어가대인적기능에민감한언어임을강조했다. 일본어의이러한특징은커뮤니케이션에있어전달과관련된화자의심리적태도즉모달리티의중요성을시사하는것이다. 일본어에서화자의심리적태도를나타내는대표적표현형식으로는文末表現을들수있는데그중에서도종조사의역할이크다고할수있겠다. 종조사는山田孝雄가처음으로사용한용어로文이나句의끝에붙어文을완결시키고동시에의문 금지 영탄 감동 반어 희망 강조등청자에대한화자의다양하고복잡한심리적태도를나타내는助詞이다. よ ね ぜ さ なあ な ぞ わ 등이이에속한다. 또한, 일본어종조사는다른언어와달리그사용빈도가높으며화자의지위, 성별, 대우관계등과의관련성을포함하고있어어학적연구대상으로주목할만하다. 白川博之 (1992) 는일본어학습에있어서종조사학습의중요성에대해다음과같이기술하고있다. ね や よ などの終助詞を自在に使いこなす日本語学習者は それだけでかな り日本語の運用能力があるという印象を与えるし また逆に うまく使えない学習者は - 1 -
ほかの文法項目をかなりの程度習得していても 日本語らしくない日本語から脱去できない (p.36) ( ね 나 よ 와같은종조사를자유롭게구사할수있는일본어학습자는그것만으로도상당한일본어운용능력이있다는인상을주는반면, 제대로구사하지못하는학습자는다른문법항목을상당한정도습득하고있어도일본어답지않은일본어에서벗어날수없다.) 白川가지적한바와같이일본어학습자에있어종조사의올바른이해와사용은일본어구사능력을평가하는데중요한기준이되며, 원활한의사소통능력함양을위해매우중요한요소중하나라할수있겠다. 그러나현재일본어교육에서는종조사의사용에있어학습에많은어려움을수반하고있다. 종조사중에서도특히그사용빈도가높은 ね 와 よ 의학습이그사전적의미와용법으로한정되어초급학습자들의무분별한 ね 와 よ 의사용및잘못된번역등의오용을초래하는것이다. 다음의예를보자. (1) A: 今日はいい天気ですね (1) B:? そうです (2) A:? もしもし 切符を落とされました ( 切符を落としたことに気づかずに歩いていく聞き手の後ろから声をかける ) (3) 店員 : 豚カツ定食一つとカツ丼二つでございますね (3) 客 :? そうですね (1) (3) 의문장은모두 ね よ 의잘못된사용例이다. (1) 은상대에게동의를구하는표현으로 ね 를수반하지않으면부적절한文이되며, (2) 의문장은당돌하고불안정한인상을주게되므로반드시 よ 를수반하여야한다. 또한 (3) 은점원이손님에게주문확인을하는표현으로, 이경우답변에 ね 를수반하면부적절한文이된다. 본고는이러한문제를해결하고나아가일본어학습자의의사소통능력을 - 2 -
신장하기위해종조사 ね 와 よ 의정확한의미와용법을고찰하고한국 어文末형태와의대응관계를조사하여韓 日양언어에있어서의공통점과 차이점을명백히하고자한다. 1.2 연구방법및범위 우선종조사 ね よ 에관한선행연구를검토하겠다. 종조사에대한선행연구는종조사의취급관점에따라전통적国語学的관점에서의연구와言語学적관점에서의연구로크게이분하여살펴보고자한다. 또한일본어자료에서 ね よ 의용례를채집하여그의미에대해살펴보겠다. 용례는주로현대일본소설작품과만화 시나리오등을대상으로하여일본어를母語로하는화자의 ね よ 에대한자연스러운사용실태를파악하고, ね よ 를포함하는文뿐만아니라전후文을함께고려하여문맥속에서그의미를파악하고자한다. 한편, ね よ 가다른종조사들과복합되어쓰인형태들은 ね よ 가갖는본래의의미 용법의변질가능성을고려하여고찰대상에서제외하기로하겠다. 종조사 ね よ 의한국어文末형태와의대응관계를살펴보기위해서는한국어로번역된일본어작품및일본어학습자료에서용례를채집하기로한다. 참고로본고에사용되는용례의출전을명기하면다음과같다. 단, 본문에서는다음의 () 속의약칭으로표기하기로한다. 用例出典一覧 일본어용례자료 ( キ ) 吉本ばなな, キッチン, 角川文庫, 1991-3 -
( つ ) 吉本ばなな, つぐみ, 中公文庫, 1992 ( ジ ) 田辺聖子, ジョゼと虎と魚たち, 角川文庫, 1986 ( 冷 ) 江國香織, 冷静と情熱のあいだ, 角川文庫, 1999 ( 東 ) 江國香織, 東京タワー, 新朝文庫, 2001 ( 涙 ) 木藤亜也, 1リットルの涙 幻冬舎文庫 2005 ( 窓 ) 黒柳徹子, 窓際のトットちゃん, 青い鳥文庫, 1991 ( 花 ) 神尾葉子, 花より男子, 集英社, 1992 ( フ ) 高屋奈月, フルーツバスケット, 白線社, 1999 ( ロ ) 北川悦吏子, Long Vacation, フジテレビ, 1996 한국어번역용례자료 ( キ ) 吉本ばなな, 키친, 김난주옮김, 민음사, 1999 ( つ ) 吉本ばなな 티티새, 김난주옮김 민음사 2003 ( ジ ) 田辺聖子, 조제와호랑이와물고기들, 양억관옮김, 작가정신, 2004 ( 冷 ) 江國香織, 냉정과열정사이, 김난주옮김, 소담출판사, 2000 ( 東 ) 江國香織, 도쿄타워, 신유희옮김, 소담출판사, 2005 ( 涙 ) 木藤亜也, 1리터의눈물, 한성례옮김, 이덴슬리벨, 2006 ( 窓 ) 黒柳徹子, 창가의토토, 김난주옮김, 프로메테우스출판사, 2000 ( 花 ) 神尾葉子, 꽃보다남자, 이희정옮김, 서울문화사, 1999 ( フ ) 高屋奈月, 후르츠바스켓, 윤영의옮김, 서울문화사, 2000-4 -
2. 선행연구 일본어종조사에대한선행연구는종조사를어떤관점에서취급하느냐에따라크게일본의国語学上의연구와言語学上의연구로나눌수있다. 国語学的관점에서의연구는文의성립과관련하여文末의진술적측면이나구문적기능의관점이라는문법형식에의한것이고言語学적관점에서의연구는모달리티나정보와의관계에있어서語用論이라는화자의표현형식에의한것이다. 본장에서는위의두가지관점에서의종조사연구의변천과현상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2.1 国語学적관점에서의연구 일반적으로国語学적관점에서 ね 와 よ 는종조사또는間投助詞라는문법적범주에서다루어지고있다. 이는山田孝雄가 日本文法論 日本文法学概論 에서어느정도체계화했다. 山田 (1936) 은종조사에대해다음과같이기술하고있다. 句そのものの成立又は意義に関係するものは主として 陳述の要素に或る関係を生じさせるもので ( 中略 ) 専ら句の終止にだけ用ゐられる (p.508) ( 구그자체의성립또는의의에관계하는것은주로진술의요소에어떤관계를생성시키는것으로 ( 중략 ) 오로지구의종지에만사용된다. ) 그리고 か え な ( 希望 ) よ い ろ とも せ さ 등이 이에속한다고하였으며間投助詞에대해서는다음과같이규정하고있다. 語勢を添へ 若しくは感動を高めむが為に用ゐらるるものにして その位置他の助詞に 比して自由なるものなり (p.517) - 5 -
( 어세를더하거나또는감동을높이기위해사용하는것으로그위치의 다른조사에비해자유로운것이다.) 間投助詞에는 よ な ぞ ね が な 등이있다고한다. 즉, 山田文法에서는 ね 를친밀한기분을나타내는間投助詞로보고, よ 는명령 금지의기분을명확히하는종조사로보고있다. 橋本進吉 (1959) 는종조사를어떤종류의語에접속하는가하는관점에서다음과같이정의하고있다. 言い切りの文節の終に来るもの (p.129) ( 문장종지의문절끝에오는것.) ぜ ぞ とも て な ( 禁止 ) な ( ナサイ ) わ や よ か い 등이종조사에속한다고보고間投助詞에대해서는다음과같이기술하 고있다. いろいろの文節の終に来るもの (p.129) ( 다양한문절끝에오는것.) 그리하여 ね 와 さ 가이에해당한다고규정하고 ね よ 모두감동의기분을나타내는助詞로간단히설명하고있다. 한편, 時枝誠記는화자의입장차이를기준으로하여両詞를감동을나타내는조사로동일하게취급하고있다. 時枝 (1983) 은 ね 와 よ 에대해다음과같이정의하고있다. ね 第二人称の動詞の未然形に附いて その動作の実現が希望されてゐることを表はす (p.257) ( 제2인칭동사의미연형에접속하여그동작의실현을희망함을나타낸다.) よ 一. 體言に附いて それが感動或は呼び掛けの対象であることを表はす - 6 -
(1. 체언에접속하여그것이감동혹은부르는대상임을나타낸다.) 二. 命令禁止の表現と結合して その意を強める (2. 명령금지표현과결합하여그의미를강하게한다.) 三. 陳述と結合して その意を強める (p.262) (3. 진술과결합하여그의미를강하게한다.) 이상과같이일본의国語学적관점에서의 ね よ 에관한연구는종조사의기능이나文의承接関係라는측면에논점을두고진행되어왔다. 그러나이러한연구는종조사를실제회화에서사용할경우, 종조사를어떤조건하에서사용하는것이적절하고자연스러운발화가되는가하는語用論적접근이문제시된다. 2.2 言語學적관점에서의연구 言語學적관점에서의 ね よ 에관한연구는정보영역이론적관점에서의神尾昭雄 (1990) 과모달리티론적관점에서의益岡隆志 (1991) 등에의해서활발히진행되어왔다. 이들연구는 ね よ 의構文上의위치선정을목적으로한기존의연구와달리상황이나장면에따른 ね よ 의사용여부및그기능과역할에대해논하고있다. 2.2.1 모달리티론적관점에서의연구 益岡隆志 (1991) 은종조사 ね よ 를전달태도의모달리티를표현하는대표적인형식으로보았다. 전달태도의모달리티는청자에대한화자의文전달의태도를나타내는것으로益岡는이러한관점에서 ね よ 형식의내재적의미즉, 표현형식이본질적으로갖는의미의존재를想定하고그의미를탐구하고자하였다. 益岡는 ね 가원칙적으로화자와청자의정보 판단의일치를전제로하 - 7 -
며, よ 는반대로화자와청자의정보 판단의차이를전제로한다는大曾美恵子 (1986) 의분석을출발점으로하여 ね 와 よ 에대해文의표현유형의관점에서고찰하였다. 화자의지식을청자에게정보로써전달하려고하는演述型의대화문에있어서는화자의지식과청자의지식이기본적으로일치한다고판단되는경우에 ね 가쓰이고양자사이에차이가있어양자가대립적인관계에있다고판단되는경우에는 よ 가쓰인다고보았다. 이하에제시하는예문은益岡隆志 (1991) 의 モダリティの文法 에서발췌한것이다. 구체적인예의설명을보자. (1) 今日は誰もお客見えてませんよ (2) 今日は誰もお客見えてませんね (p.96) (1) 에서 よ 의존재는, 文의정보내용을청자가모르고있을것이라는화자의想定을나타내고있다. 이와대조적으로 (2) 는화자와청자의지식이모순되지않는다는판단을나타낸다고설명하고있다. 의문형의대화문에 ね 와 よ 가수반되는경우는매우드물다고할수있다. 益岡는이것은극히자연스러운현상으로화자가청자에게정보를요구하는것은원칙적으로청자의지식이화자의지식보다많다고想定하는경우라고한다. 따라서의문문의발화에있어청자의지식과의異同을일부러문제시할필요는없다고보고 ね よ 의사용빈도가낮은것은의문문이갖는이러한성격에서기인한다고설명하고있다. 다만 ね 에대해서는다음의例의경우등에사용가능하다고한다. (3) 会議は 1 時からでしたかね (4) さっき誰と話していたんだね (p.97) (3) 은화자가자신의불확실한지식을청자의정보에의해보완하려고하는 경우이고, (4) 는 のだ ( んだ ) 형식을수반하는疑問語疑問文의경우이다. - 8 -
다음은명령 금지문에대해서살펴보겠다. 명령 금지문에서 よ 의사용은 드물지않다. (5) 変なこと言うなよ (6) 放っといてくれよ (p.100) 위와같이명령 금지문에 よ 가쓰이면청자에게행위를요구할때자신의의향이청자의의향에대립된다고하는화자의想定을함께표명하여, 청자에대한배려가다소포함되어명령 금지의의미를약하게한다고한다. 반대로명령 금지문에서 ね 의사용은원칙적으로허용되지않는다고한다. 다음과같은표현은모두부적합한예이다. (7) * 変なこと言うなね (8) * 放っといてくれね (p.99) 이는청자의의향에反하여행위를강요한다고하는명령 금지문의기본적인성격과화자와청자의의향이일치한다는판단을나타내는 ね 의성격이서로相用되지않는관계에있기때문이라고한다. 의뢰문에서는 ね 와 よ 가모두쓰일수있다고한다. 화자와청자의의향이일치한다는판단을나타내는 ね 가의뢰문에쓰일때는청자의동의를얻을수있을것이라는화자의기대가담긴표현이된다. 그러나다음과같이화자가청자의동의를얻을수있을지불확실한경우를나타내는표현에는 ね 가共起하기어렵다고한다. (9)? 仲良くしてやってくださいね だめですか (p.100) 한편, 화자의의향이청자의의향에대립한다는판단을나타내는 よ 는 의뢰의기분을보다강하게나타내는표현이된다고한다. 의뢰문에관한고찰은권유문에도비슷하게적용가능하다. - 9 -
(10) じゃ また明日会おうね (11) いっしょに行こうよ (p.101) (10) 에서 ね 는행위의실현이충분히기대된다는의미를나타내며, (11) 의 よ 는억지로강하게권유하는인상을준다고설명하고있다. 이처럼益岡는종조사 ね よ 를전달태도모달리티의一致 不一致라는대립된개념으로구별하여기술하고있다. 2.2.2 정보영역이론적관점에서의연구 神尾昭雄 (1990) 의 정보영역이론 연구는본래, 정보와그들이표현하는文形또는語句와의관련성을분석하고그결과를통일적으로설명가능한이론적틀을제창하는데있지만, 이론의짜임에있어 < 直接ね形 >, < 間接ね形 > 이라는형식으로종조사 ね 의연구에서중요한위치를차지하고있다. 먼저神尾가말하는 정보 와 영역 의의미에대해살펴보도록하겠다. 神尾의 정보영역이론 에서의 정보 는화자또는청자가자신에게귀속하는것으로판단하는정보, 즉자신의것으로생각하는정보이다. 또한 영역 은어떤種의동물이그세력범위로인정하는공간으로정보의소유권을포함하는것이라고설명하였다. 神尾는이와같은정의하에화자또는청자와文이표현하는정보와의사이에一次元의심리적거리가성립된다고가정하였다. 그리고발화된정보가화자또는청자에있어심리적으로가까운정보인가아니면먼정보인가라는구분에의해화자에가까운정보는화자의정보영역에속하고, 청자에가까운정보는청자의정보영역에속하는것이라고하였다. 神尾昭雄 (1990) 의 情報のなわ張り理論 에서는그구성을다음과같은표로나타내고있다. < 표 1> 情報のなわ張り論 의구조 - 10 -
情報のなわ張り 内 外 聞き手の なわ張り 外 内 A 直接形 B 直接ね形 D 間接形 C 間接ね形 < 표1> 에서알수있듯이 A는정보가화자의영역에속하지만청자의영역에는속하지않는경우, B는정보가화자의영역에도청자의영역에도속하는경우, 즉정보가화자와청자에있어모두가까운경우이다. C는정보가화자의영역에는속하지않지만청자의영역에속하는경우로 A와반대이다. D는정보가화자의영역에도청자의영역에도속하지않는경우이다. 神尾 (1990) 은위의 B C의경우에사용되는 ね 에대해다음과같이기술하였다. 話し手と聞き手とが既獲得情報 (ALI: already learned information) として同一の情報を持っていると話し手が想定している場合 話し手の発話は ね を伴わなければならない (p.77) ( 화자와청자가既獲得情報 (ALI) 로동일한정보를가지고있다고화자가상정하는경우, 화자의발화는 ね 를수반해야한다.) 또한 A D에대해서는화자가자신의발화를통해協応的態度를표명하고싶은경우에화자의발화는 ね 를수반할수있다고하여임의적요소로서의 ね 의용법을규정하였다. 다음은神尾 (1990) 이協応的態度에대해기술한것이다. ね は話し手の聞き手に対する< 協応的態度 >を表す標識である < 協応的態度 >とは 与えられた情報に関して話し手が聞き手に同一の認知状態を持つことを積極的に求める態度である (p.71) ( ね 는청자에대한화자의 < 協応的態度 > 를나타내는표식이다. < 協応 - 11 -
的態度 > 라는것은주어진정보에대해화자가청자에게동일의인지상태 를갖도록적극적으로바라는태도이다.) 神尾 (1990) 의 < 協応的態度 > 는前述한益岡 (1991) 의 청자의내부세계와의一体化로의강한지향성 이라는点과도일맥상통한다고할수있다. 또한陳常好 (1987) 의 ね 는화자가청자쪽이인식의정도가높다고생각하는정보에대해청자의인식을통해화자의인식을높이기위한文에접속된다는기술도 ね 를화자와청자와의인식의차이를좁히기위한기능으로서설명하고있다. 이처럼神尾는정보의영역이화자와청자어느쪽에속하는가하는정보영역의所在에따라 ね 의기능을 필수의 ね 와 임의의 ね 로구분하여기술하고있다. - 12 -
3. ね よ 의의미 ね よ 는文의종류에따라그의미나출현상의차이를보이므로본장에서는 ね 와 よ 에영향을미치는文의종류별로나누어살펴보겠다. 文의기능상의분류는통상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으로나누어지지만 ね 와 よ 가가지는의미의고찰에있어서는청유문에서보이는특징도중요하게여겨지므로함께살펴보기로하겠다. 3.1 ね 의의미 ね 는문장終止의문절끝에접속하며, 화자의지식 정보를청자에게공유화해가는쪽에비중이있어화자의발화에의해청자에게확인또는동의가요구되는경우에주로사용된다. 먼저일본의대표적어학사전인新村出편저 (2002) 의 広辞苑 과北原保雄편저 (2002) 의 明鏡国語辞典 에기재된내용을살펴보기로하겠다. 広辞苑 ね 1. 助詞 1 ( 終助詞 ) 動詞や動詞型活用語の未然形および助詞の な ぞ に付いて あつらえ願う意を表す ( 종조사 ) 동사나동사형활용어의미연형및조사 な ぞ 에접속하여, 강한바램의뜻을나타낸다. 2 ( 間投助詞 ) 語句の切れ目に付いて 相手に念を押し または軽い感動を表す ( 간투조사 ) 문절이끊어지는부분에접속하여상대에게다짐을하거나가벼운감동을나타낸다. 2. 感 親しみをこめて呼びかけ または念を押すのに用いる語 (p.1859) ( 친밀함을담아말을걸거나다짐하는데사용하는말.) - 13 -
明鏡 ね 終助 1 < 文節末に付いて > 相手を引き込むような気持で注意を引きつけるのに使う あのね 私 これがね ほしいの あしたはね ちょっと都合が悪いんだ < 문절말에접속하여 > 상대를끌어들이는듯한기분으로주의를끄는데사용한다. 2 < 文末で 活用語の終止形や終助詞 よ わ などに付いて > < 文末에서활용어의종지형이나종조사 よ わ 등에접속하여 > ア. 相手との共感を表す いいお天気ですね うまく行ってよかったですね うん これはいけるね あなたも苦労したわね ( 상대와의공감을나타낸다.) イ. 依頼や勧誘に親しみの気持を添える ここで待っててね お互いに頑張ろうね またあしたね ( 의뢰나권유표현에친밀함을더한다.) ウ. 親しみの気持をこめた確認を表す 出発はあしたでしたね 痛くないですよね いいね 分かったね ( 친밀함을담은확인을나타낸다.) エ. ぞんざいに言い放つのに使う 私なら そんな言い方はしないわね そんなこと知らないね ( 아무렇게나함부로말할때사용한다.) 3 < 質問の文に付いて > 質問 確認 反問 疑念などに尊大さを添える 今日は何日かね あしたは来てくれるかね そんな手にだれが乗りますかね < 질문을나타내는문에접속하여 > 질문 확인 반문 의념등에거만함을더한다. 質問 反問の意では 主として年配の男性が使う (p.1269) ( 질문 반문의뜻으로는주로연상의남성이사용한다.) 이와같이 ね 는기본적으로화자의청자에대한동의또는확인요구를 나타내는표현이된다. 여기서는文의종류에따라 ね 가어떠한의미로 사용되는지다양한용례를통해검토해보기로한다. - 14 -
3.1.1 평서문의경우 평서문이란단정이나추량의의미와함께긍정이나부정등의뜻을나타내 는文으로 ね 가가장많이출현한다. 3.1.1.1 확인요구를나타내는경우 이것은 ね 의가장기본적인용법으로해당정보에대해청자가어떻게생각하고있는지, 화자가청자의지각 인지 판단등에대하여확인하는것으로, 이경우 ね 는상승조의의문문의억양을하게된다. 기본적으로확인요구라는것은해당정보가화자에게는없고, 청자에게만있는경우에사용된다. 다음의예를보자. (1) ずっとあそこでバイトしてるんだね ( つ 66) ( 거기서계속아르바이트하는모양이네. ) (1)' ずっとあそこでバイトしてるんだか 위의 (1) 은청자가확실히알고있는사항으로화자가확인을요구하는표현이된다. 여기서 (1)' 와같이종조사 ね 를 か 로바꾸어두종조사간의차이를살펴보면 ね 의기능이확실해진다. か 와 ね 는모두청자에게무언가를물어정보를요구하는확인요구의文을만든다. 그러나 か 와같은경우는화자에게전혀정보가없는상태에서청자에게묻는것임에반해, ね 는화자에게도어느정도의정보가있지만청자에게더많은정보가있는것을전제로하여청자에게확인을구하는것이다. 이때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을표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 표 2>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 15 -
화자 < 청자 か n=0 0<n 1 확인요구 ね 0<n<1 0<n 1 (n: 정보, 0: 정보없음, 1: 완전한정보 ) 이와관련해서陳常好 (1987) 는다음과같이기술하고있다. 話し手が 自分の認識よりも聞き手の認識のほうがたしかだと考えることについて 自分の認識を聞き手の認識とおなじ水準まで高めようとするときに使われるもので これは 念おし といわれる これがもっとも多くの使用例をもつ用法である (p.97) ( 화자가자신의인식보다청자의인식이확실하다고생각하는것에대해자신의인식을청자의인식과같은수준까지높이려고할때사용되는것으로이것은 확인 이라고부른다. 이것이가장많은사용례를갖는용법이다.) 이밖에도청자에대한화자의확인요구를나타내는 ね 의용례를살펴 보면다음과같은예를들수있다. (2) おかえり アンジェラ たのしかったみたいだね ( 冷 26) ( 왔어요, 누나. 재미있었던모양이로군요. ) (3) 私は都合がよかったっていうわけね ( 東 94) ( 나는조건이좋았다, 그말이지? ) (2) 는화자가청자의기분을추측하여나타내는표현이고, (3) 은청자의발 화내용을다시한번되묻는표현으로두용례모두청자쪽이화자보다더 많은정보를갖고있다고想定하여확인을요구하는표현이된다. 3.1.1.2 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 - 16 -
동의요구를나타내는 ね 는화자가청자에게동의또는응답을바라는기분을포함하는표현으로, 확인요구의 ね 와달리의문문의억양을하게된다. 또한정보의양에있어서도화자와청자가동일한양의정보를가지고있거나, 화자가더많은정보를가지고서로같은판단을하고있음을확인하는표현이다. 다음의예를보자. (4) だって あっちではいつも陽子ちゃんとつぐみちゃんが姉妹みたいにいっしょだったでしょう 淋しくないかと思って 家の中がしんとしているからね (1) そうね 私は言った ( つ 54) ( 아니, 여기오기전에는요코언니하고츠구미하고자매처럼늘함께였잖아. 좀외롭지않나해서. 집안이너무조용하니까말이야. 하긴그렇네요. 나는말했다.) (4) 는청자가원래머물던곳에비해지금살고있는집이조용하다는것을 화자가먼저발화하고동시에청자에게동의요구를표명하는것이다. 이러한 경우에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을표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 표 3>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화자 청자 동의요구 ね 0 n 1 0 n 1 (n: 정보, 0: 정보없음, 1: 완전한정보 ) 이밖에청자에대한화자의동의요구를나타내는 ね 의용례로는다음 과같은예를들수있다. - 17 -
(5) いや 学校に来てないから どうしたのかと思って聞いてまわってさ そうしたらおばあちゃん亡くなったっていうだろ びっくりしてさ 大変だったね (2) うん それでちょっと忙しくて ( キ 33) ( 학교에서안보이길래무슨일인가싶어서이리저리물어보았더니, 할머니가돌아가셨다잖아. 힘들었지? 응. 그래서좀바빴어. ) (6) きっとそのときとおなじローマね ( 冷 26) ( 아마그때나지금이나변함없는로마겠죠? ) 위의 (5) 에서는할머니가갑자기돌아가셔서힘들겠다는것, (6) 에서는로마 가당시와변함이없을것이라는것에대해청자에게동의를구하고있음을 알수있다. 3.1.1.3 가벼운감동을나타내는경우 ね 가가벼운감동을나타내는경우는앞에서기술한확인요구나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와는다소차이가있다. 확인요구와동의요구가화자가청자에대해어떠한반응을요구하는표현이라면, 가벼운감동을나타내는경우는단순히화자가해당상황의느낌을표현한다는점에서차이가있다. 다음의예를살펴보자. (7) まだ 6 月に入ったばかりですのによく降りますね ( フ 6 巻 4) ( 아직 6 월에막접어들었을뿐인데주룩주룩잘도내리네요. ) (7) 은아직장마철이되려면멀었는데벌써비가자주오는것에대해화자 가가벼운감동의의미를담은표현이다. 그러나 ね 가감동을나타낸다고 하여도실제로회화에서사용되는것은상대도아마자신과같은의견일것이 - 18 -
라고화자가판단하는경우로한정된다. 다음은 ね 가가벼운감동을나타내는또다른例이다. (8) たのもしい息子さんですね ( 東 203) ( 믿음직스러운아드님이군요. ) (9) いいお天気だね ( 東 209) ( 날씨가좋네. ) 예문 (8) 은믿음직스러운아드님이라는것, (9) 는좋은날씨에대한가벼운 감동의기분을 ね 를통해나타내고있다. 3.1.2 의문문의경우 의문문은의문이나反語의뜻을나타내는文으로보통文中에의문사 何 どれ どう 등을수반하거나상승조의억양으로의문의係助詞 か や 와함께쓰인다. 의문문에있어서의 ね 의의미용법은평서문의경우와크게다르지않다. 3.1.2.1 확인요구를나타내는경우 확인요구의경우는화자가가지는정보의양보다청자가가지고있는정보의양이많기때문에질문형식을하게된다. 의문문에있어서의확인요구는상당수의경우가 ね 앞에 か 를수반하고있다. 다음의예를보자. (10) 一つのことを途中で放り出せない性格もあるけど やはり相手の質によるところが大きいんじゃないかね ( つ 131) ( 한가지일에몰두하면도중에포기하지않는성격도그렇지만, - 19 -
역시상대가누구인지가중요하지않을까. ) 위의 (10) 과같이 ね 앞에 か 를수반하여 -かね 의형태로끝나는의문문은 ね 를수반하지않고 か 로끝나는의문문의경우에비해, 화자가청자에대해좀더친밀한태도를보이는뉘앙스의차이가느껴진다. 다음용례를보자. (11) 今日もカメラマンがモデルほめ出すでしょう それってフィルムチェンジって合圖なのね? ( ロ第 6 話 ) ( 오늘도카메라맨이모델을칭찬하기시작하겠지. ( 그건필름교체라는신호지? ) (12) ママをがっかりさせるつもりじゃないでしょうね? ( 冷 14) ( 우리엄마실망시킬거아니지? ) 예문 (11)(12) 이文中에? 를수반하여청자에대한화자의의문을나타 내고있기는하지만순수한의문문과는차이가있다. 두예문을 (11)'(12)' 와 같이 か 를취하는전형적인의문문의형태로바꾸어보자. (11)' 今日もカメラマンがモデルほめ出すでしょう それってフィルムチェンジって合圖なのか? (12)' ママをがっかりさせるつもりじゃないでしょうか? 위와같이 ね 대신에 か 를사용해도화자의의문의뜻을표현하는데변함은없다. 그러나 か 를취하는전형적인의문문의경우는청자가가지고있는지식이나정보에관한화자의인식의정도가전혀표현되지않는다는점에서 ね 와는차이가있다. ね 의경우는화자도해당질문사항에대해어느정도인식을가지고있지만, 보다확실한정보를가지고있는청자에게확인이나답변을요구하는경우에사용되는것이기때문이다. - 20 -
3.1.2.2 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 의문문에서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는앞서기술한평서문에서의동의 요구를나타내는경우에준하여생각할수있다. 다음의예를보자. (13) きょうも暑くなりそうね 顔のみえないアンジェラに言ったとき 玄関のブザーが鳴った ( 冷 88) ( 오늘도무척더울것같아. 얼굴이보이지않는안젤라에게말했을때, 현관벨이울렸다.) (14) トットちゃん! いろんなこと 楽しかったね 君のこと忘れないよ ( 窓 295) ( 토토, 여러가지로즐거웠어. 널잊지않을거야! ) 위의 (13) 은오늘도무척더울것같다는것, (14) 는그동안같은학교에다니면서즐거운일이많았다는사실에대해청자에게동의를구하는표현이다. 이는평서문에서와마찬가지로화자와청자가발화내용에대해동일한양의정보를가지고있는경우이다. 3.1.3 명령문의경우 명령문은보통화자가청자에게어떤행위의실현을요구하는文이다. 의미 적으로는명령이나요구, 금지, 희망, 의뢰등을나타내는文을가리키며, 외형 적으로는 ~していただけませんか ~してください ~て 등의 文까지 이에 포함된다. 3.1.3.1 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 - 21 -
다음의예를보자. (15) ヘアメイクおわったらこれ着て下さいね ( 花 109) ( 헤어메이크업이끝나면이걸입어주세요. ) (16) マーヴィンはいる? (16 ) ええ いるわ ちょっと待ってね ( 冷 64) ( 마빈있니? 네, 있어요. 잠깐만요. ) (15) 의 て下さい 나 (16) 의 て 는청자에대한화자의의뢰표현이다. 의뢰또는희망을나타내는文은본래청자의의향을존중하는표현으로, 어떤행위의실현을강요하고있는것은아니다. 따라서화자가청자에게동의를얻을수있을것이라는기대를가지고발화하고있음을나타내는 ね 와충분히共起할수있는것이다. 그러나동사의명령형및금지형또그에준하는보통체형과는함께쓸수없다는제약이있는것은특기할만하다. (17) * 調子にのるんじゃないね (18) * 泣くなね (19) * いいからこっち来て飲めね (17) 과 (18) 의동사금지형 んじゃない 泣くな 와 (19) 의동사명령형 飲め 등은상대방의의향에反하여행위의실현을강요하는성질이강하다. 그러므로화자와청자의의향이같음을나타내는 ね 의의미기능을고려해볼때, 서로의성격상충돌하게되므로 (17) 에서 (19) 까지의예문은성립할수없는것으로판단할수있다. 3.1.4 감탄문의경우 - 22 -
감탄문혹은감동문이라고도한다. 감탄문은어떤사항을서술하는데있어 강한감동의감정을나타내는文으로화자자신의감정이나마음을표현하는 文이다. 3.1.4.1 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 감탄문에 ね 가수반되면놀람이나감탄의기분을한층더하는역할을 하며, 동시에화자가청자도자신과같은인식을하고있을것이라고생각하 는경우에사용된다. (20) 半端なことが嫌いだから 顔からなにからもうみんな手術しちゃってさ 残りの金でその筋の店をひとつ持ってさ ぼくを育ててくれたんだ 女手ひとつでって言うの? これも (20) す すごい生涯ね ( キ 22) ( 어정쩡한것은싫어하는사람이라, 얼굴이며뭐며싹수술하고, 남은돈으로가게를하나마련해서나를길렀죠. 여자혼자힘으로, 라고하나이런경우에도 괴, 굉장한생애네. ) (21) 驚いた 学校じゃいつも元気そうで苦労とかそういうものと無縁にみえたのに すごいね ( フ 1 巻 38) ( 놀랐어. 학교에서는언제나기운이넘쳐보여서고생같은거랑은전혀인연이없는것처럼보였었는데... 대단해. ) (22) 男の人の仕事もたいへんね ( ジ 29) ( 남자들은정말힘들겠어. ) 위의예와같이감탄문에서는청자가가지고있는지식이나정보의有無, 지식 정보량의우열등을화자가전혀문제시하지않는다는점에서앞서기술 한어떤정보에대한청자에의확인이나동의요구와는크게다르다고할수 - 23 -
있다. 3.1.5 청유문의경우 청유문은상대에게동작 작용 상태의실현혹은중지를재촉하고권유하는文이다. 상대에게어떤행위를재촉한다는점에서는명령 의문문과비슷하지만행위의실행여부에대해서는상대의자유의지에맡김으로서명령 의문등의강제력이나구속성이없다. 또한화자의의지를희망으로표명하는것만이아닌, 상대에게직접발화한다는점에서희망표현보다적극적인작용이된다. 이러한청유문의특성을생각해보면 ね 와共起하기매우쉽다는것을알수있다. 3.1.5.1 동의요구를나타내는경우 먼저다음의예를살펴보자. (23) 帰ったら みんなでケーキ食べましょうね ( つ 38) ( 집에가면다같이케이크먹자. ) (24) 今度は学生ではないから ゆっくり気長によくなるまで入院しようね ( 涙 169) ( 이젠학생이아니니까천천히느긋하게좋아질때까지입원하고있어보자. ) (25) とおる 今日バイトでしょ? また会おうね ( フ 4 巻 138) ( 토오루, 오늘아르바이트있지? 또보자. ) (23) (25) 와같이청유문에화자와청자의의향의일치를나타내는 ね 가사용되면, 화자가요구한행위의실현이충분히기대된다고하는의미를 갖는동의요구표현이된다. - 24 -
3.2 よ 의의미 よ 는앞서기술한 ね 와달리해당정보가청자보다화자에게많은경우에사용된다. 따라서화자는이미인식하고있지만청자가아직인식하지못한정보에대해청자가그정보를습득할필요가있다고화자가생각하는경우에사용되는종조사이다. 먼저, ね 와마찬가지로일본의대표적어학사전인 広辞苑 과 明鏡国語辞典 에기재된내용을살펴보기로하겠다. 広辞苑 よ 1. ( 間投助詞 ) 1 詠嘆の意を表す ( 영탄의뜻을나타낸다.) 2 相手に呼びかける意を表す ( 상대에게호소하는뜻을나타낸다.) 3 相手に念を押し確かめる意を表す ( 상대에게다짐하여확인하는뜻을나타낸다.) 2. ( 終助詞 ) 1 自分の判断を示し 相手に同意を求めたり念を押したりする意を表す ( 자신의판단을나타내고상대에게동의를구하거나다짐하거나하는뜻을나타낸다.) 2 命令 勧誘 願望 禁止など 相手にその実現を強く求める意を表す ( 명령 권유 원망 금지등상대에게그실현을강하게요구하는뜻을나타낸다.) 3 自分自身で確認する意を表す ( 자기자신에게확인하는뜻을나타낸다.) 4 相手を非難する意を表す (p.2455) ( 상대를비난하는뜻을나타낸다.) 明鏡 - 25 -
よ 終助 1 ( 文節末に付いて ) 確認するような気持で相手の注意を引きつけるのに使う よ を伸ばしぎみにする言い方もある もしもよ 誰かが来てもよ 絶対に入れないでね あなたがですよ 私の立場だったらですよ どうしますか それからよう 父親が来たらよう これ渡してくれよな ( 문절말에접속하여 ) 확인하는듯한기분으로상대의주의를끌때사용한다. よ 를길게발음하는말투도있다. 2 ( 文末に付いて ) 親しみを込めて 断定 念押し 命令 勧誘 疑問などの気持を伝えるのに使う そんなことないよ きちんと戸締まりをするんですよ 早く来てよ 一緒に行こうよ もう帰るのかよ ( 文末에접속하여 ) 친밀함을담아단정 다짐 명령 권유 의문등의기분을전하는데사용한다. 3 ( 疑問の語や質問の文に付いて ) 質問 反問に詰問 反駁の意を添える こんなことしたの誰だよ 一体何考えてるのよ おまえなんかにできるかよ そんなこと言えた義理かよ ( 의문이나질문을나타내는문에접속하여 ) 질문 반문에힐문 반박의뜻을더한다. 4 呼びかけを表す 君よ 嘆くな 神よ 助け給え ( 호소를나타낸다.) 5 詠嘆を表す (p.1684) からたちの花が咲いたよ白い白い花が咲いたよ ( 영탄을나타낸다.) 이와같이 よ 는발화내용에대한強意및상대방에대한주의를나타내 는표현이된다. 여기서는 ね 와마찬가지로文의종류에따라 よ 가어 떠한의미로사용되는지다양한용례를통해검토해보기로한다. 3.2.1 평서문의경우 - 26 -
よ 는청자가모르고있다고想定하는정보를화자가전달한다는그특 성상 ね 와마찬가지로평서문에서가장많이출현한다. 3.2.1.1 자신의생각에대한强意를나타내는경우 よ 는화자의발화내용을강조하여표현하는것으로화자의주장 단정강조의뜻을강화하는기능을가진다. 이는동일한문장을 よ 가첨가된것과그렇지않은경우로나누어비교해보면그뉘앙스의차이를확실히알수있다. 다음의예를보자. (26) クリスマスに贈り物をもらったし 若い人にどんなものをあげていいのかわからなかったから お金なら使えるだろうと思っただけよ ( 東 80) ( 크리스마스에선물도받았고, 젊은사람에게어떤걸줘야할지몰라서, 돈이라면유용하게쓰겠지싶었을뿐이야. ) 위의 (26) 은화자가청자에게크리스마스선물의답례로돈을준것에대한 자신의생각을강조하여표현한것이다. 이때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을 표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 표 4>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화자 > 청자 強意 よ 0<n 1 n=0 (n: 정보, 0: 정보없음, 1: 완전한정보 ) 청자에게화자가자신의생각에대한強意를나타내는 よ 의또다른용 례로는다음과같은예를들수있다. - 27 -
(27) 当事者になれたと自覚したところから 亜也ちゃんの心の中に異変が起こり始めたんだよ ( 涙 129) ( 당사자가되었다고자각하면서부터아야의심경에다른변화가일어나기시작한거야. ) (28) 一度いきたいとは思っているんだけどね おもしろい街ですよ ( 冷 117) ( 한번은가보고싶은데말이지. 재미있는도시야. ) 다음은 (27)(28) 의예문에서 よ 를없애보자. (27)' 当事者になれたと自覚したところから 亜也ちゃんの心の中に異変が起こり始めたんだ (28)' 一度いきたいとは思っているんだけどね おもしろい街です 위의예문 (27)(28) 과 (27)'(28)' 를비교해보면내용적으로는서로같지만 よ 를수반하는文이그렇지않은文에비해자신의생각을보다확고히 표출하고있음을알수있다. 3.2.1.2 상대방에게주의를나타내는경우 이것은화자는이미인식하고있지만청자가아직인식하고있지못한정보에대해, 청자가그정보를습득할필요가있다고생각하여화자가주의를주거나환기시키려는의미를나타내는경우이다. 다음의예를살펴보자. (29) つぐみ 変だったもの 気づいてた? (29) 何を (29) つぐみ あの人に いつもと全然同じしゃべり方してたよ ( つ 98) ( 너이상했어. 알고있었어? - 28 -
뭐가? 츠구미, 너그사람한테, 평소하고똑같은말투로얘기했잖아. ) (30) 亜也さん このごろ声が小さくなったよ 肺活量も少なくなってるから 大きい声を出す訓練をした方がいい ( 涙 167 ) ( 아야, 요즘목소리가작아졌어. 폐활량도줄어들고있으니까큰소리를내는훈련을하는게좋아. ) (31) 本田さん 危ないから近づいちゃだめだよ ( フ 5 巻 42) ( 토오루, 위험하니까가까이가면안돼. ) 위의 (29) 에서는청자가평소와똑같은말투였다는것에대해, (30) 은요즘청자의목소리가작아졌다는것에대해, 그리고 (31) 에서는위험하므로가까이가면안된다는것에대해상대방에게주의를주거나환기를시키고있다. 이러한경우에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을표로나타내면다음과같다. < 표 5> 화자와청자가가지는정보량 화자 청자 주의환기 よ 0<n 1 0 n<1 (n: 정보, 0: 정보없음, 1: 완전한정보 ) 3.2.2 의문문의경우 3.2.2.1 자신의생각에대한强意를나타내는경우 의문문에나타나는 よ 도평서문에서 よ 가가지는의미와성향이크 게다르지않다. 그러나평서문과달리의문문에 よ 가수반되는경우는 매우적다고할수있다. - 29 -
본래화자가청자에게정보를요구하는것은원칙적으로청자의지식이화자의지식보다많다고想定하는경우이다. 화자와청자사이의이러한지식의상태가전제가되지않으면정보를요구하는文이발화될조건은갖추어지지않는다. 따라서의문문의발화에 よ 를첨가하여화자와청자의지식과의同異를새삼문제시할필요는없을것이다. よ 의사용빈도가낮은것은의문문이갖는이러한성격에서기인한다고볼수있다. 다음의예문을보자. (32) ちょっと 何よ うるさいなあ... ( ロ第 3 話 ) ( 잠깐, 뭐야? 시끄럽네...) (33) どこでどんな格好しようが おれの勝手じゃねえかよ ( 愛 161) ( 어디에서어떤차림을하던내맘이아니겠어? ) (34) おまえら勝手にそうしたら (34) どうして? つぐみはどうするのよ ( つ 84) ( 너희들은그렇게하든지. 왜? 츠구미는어쩔건데? ) 위의 (32) (34) 에서 よ 를빼도아래와같이文이성립한다. (32)' ちょっと 何 うるさいなあ... (33)' どこでどんな格好しようが おれの勝手じゃねえか (34)' おまえら勝手にそうしたら (34) どうして? つぐみはどうするの 예문 (32) (34) 와 (32)' (34)' 를비교해보면평상문과마찬가지로 よ 를수반한前者쪽이화자의기분을강하게나타내고있음을알수있다. 두형태의예문모두의문문의형식을취하고있기는하지만 (32)' (34)' 의의문문이화자가청자에게어떠한대답을기대하는뉘앙스를띠는데반해, よ 가첨가된 (32) (34) 의의문문은상대방의동조나대답을요구하기보다는자신의 - 30 -
의사전달의뉘앙스가강함을알수있다. 3.2.3 명령문의경우 3.2.3.1 자신의생각에대한强意를나타내는경우 앞서살펴본 ね 의경우, 동사의명령형및금지형또그에준하는보통체형의명령문에는함께쓰일수없다고밝힌바있다. 이와달리 よ 의경우는그러한동사의명령형및금지형의의문문과쉽게共起하는특성이있다. 앞에서제시한 ね 의명령 금지형표현을 よ 로바꾸어다시들어보도록하자. (17)' 調子にのるんじゃないよ (18)' 泣くなよ (19)' いいからこっち来て飲めよ 이경우 よ 가쓰일수있는것은명령 금지문이갖는語用論的조건을생각해보면쉽게이해할수있다. 명령 금지문의가장기본적인표현은화자가청자의의향에반하여행위를강제한다고하는것이다. 따라서청자에게행위를요구하면서자신의의향이청자의의향에대립된다고하는화자의想定을포함하는 よ 의성질과의미상의충동을일으키지않는것이다. 그렇다면명령이나금지표현을나타내는文속에서 よ 의共起여부가의미적으로어떤차이를보이는것인지알아보도록하겠다. 다음의예를살펴보자. (35) 今日が終わらないといいのにな 夜がずっと続けばいいんだ みかげ ずっとここに住みなよ ( キ 90) ( 오늘이안끝나면좋겠어. 밤이계속되면좋겠어. 미카케, 여기 - 31 -
서살아. ) (36) いいなあ いづみちゃんは マネージャー 最近いづみちゃんばっかじゃないですか? 私や南先輩の仕事どうにかして下さいよ ( ロ第 3 話 ) ( 이즈미는좋겠네. 매니저 요즘이즈미만챙기는거아니에요? 저랑미나미선배일도어떻게좀해줘요. ) (37) それだけなんだから 怒らないでよ ( 東 80) ( 그뿐이니까화내지말아. ) 앞에서도언급했듯이명령 금지문의가장기본적인특성은화자가청자의의향에반하여어떤행위를강제한다는것이다. 이러한文에청자에게행위를요구하면서자신의의향이청자의의향에대립한다는화자의想定을표명하는 よ 를첨가하면그표현자체가부드러워진다고볼수있다. 이와관련하여益岡 (1991) 은청자의의향에反하는판단임을표시하는것은단순히행위를요구하는것과는달리조금은청자의의향을배려하고있기때문이라고해석하고있다. 3.2.4 감탄문의경우 3.2.4.1 자신의생각에대한强意를나타내는경우 감탄문에 よ 가수반되는경우는 ね 와마찬가지로놀람이나감탄의기분을한층더하는역할을한다. 그러나 よ 가사용되었을경우 ね 보다좀더강한감정상태를표현한다고볼수있다. 다음의예를보자. (38) 仕事をしているときの陽子さんはね きびきびしていてほんとうに素敵よ いつだっだか 詩史はそう言った ( 東 131) ( 일할때의요우코씨는말야, 활력있고시원시원한게정말멋 - 32 -
있어. 언젠가시후미가그렇게말했다.) (39) ああ みかげを引き取ったこと! あれは最高に楽しかったわね なんだかみかげにとても会いたい あの子も大切な私の子よ ああ とってもおセンチな気分よ ( キ 75) ( 아아, 미카게를내집에들인것! 그땐정말즐거웠지. 어째미카게를만나고싶구나. 그애도소중한내자식이다. 엄청센티한기분이야. ) (40) ただ一つだけいわせてもらえるなら どうして全てを話してくれなかったんだろうかと思う それだけがすこしさびしいよ ( 冷 187) ( 다만, 왜모든것을얘기해주지않았는지, 그한가지만은섭섭하군. ) 위의예문은모두 ね 로바꿀수있다. (38)' 仕事をしているときの陽子さんはね きびきびしていてほんとうに素敵ね いつだっだか 詩史はそう言った ( 東 131) (39)' ああ みかげを引き取ったこと! あれは最高に楽しかったわね なんだかみかげにとても会いたい あの子も大切な私の子よ ああ とってもおセンチな気分ね ( キ 75) (40)' ただ一つだけいわせてもらえるなら どうして全てを話してくれなかったんだろうかと思う それだけがすこしさびしいね ( 冷 187) 그러나 よ 가쓰인문장이 ね 가쓰인문장에비해청자에대한배려 없이자신의감정을강하게표현하는느낌을줌으로써両詞에있어미묘한뉘 앙스의차이가발생함을알수있다. 3.2.5 청유문의경우 - 33 -
3.2.5.1 자신의생각에대한强意를나타내는경우 자신의의향이청자의의향과대립된다는想定을나타내는 よ 가청유문에쓰이는경우에는힘주어강하게권한다고하는뉘앙스를띠게된다. 이경우, 청자가동의할지자신이없으므로가망의불확실함을나타내는표현이나권유를반복하는표현이수반될수있다. 다음의예를보자. (41) ねぇ 明日から皆でお泊まりしに行かない? だってホラ 明日からゴールデンウィークでしょ? せっかくだからどっか行こうよ ( フ 5 巻 13) ( 저기, 내일부터며칠간모두함께여행가지않을래? 내일부터황금연휴잖아? 모처럼좋은기회니까어디놀러가자. ) (42) ときどき会ってるってことくらい 教えといてあげましょうよ 陽子さんには ( 東 61) ( 가끔만난다는정도는알려주자. 요우코씨한테는. ) (43) ラッキー 乾杯しようよ 乾杯 コップもらうね ( ロ第 4 話 ) (Lucky 건배하자. 건배. 컵가져갈게.) 이와같이청유문에서의 よ 는청자에게강하게권하는뉘앙스를띤다. 따라서청자가자신의의견에동의할지어떨지에대해화자가확신을가지고있지못한경우에는예문 (41) 과같이반복적으로강하게권유하는경우도있다. - 34 -
4.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한국어는그표현구조가일본어와유사하고듣는이에대한말하는이의표현태도를나타내는표현형식또한일본어와마찬가지로풍부하다. 그러나일본어종조사의경우, 한국어는특별히이에해당하는품사가설정되어있지않아한국인일본어학습자들에게서많은오용현상이나타나고있다. 이러한오용은일본어문장을한국어로번역하거나한국어문장을일본어로번역하는두경우모두에서나타난다. 다음의예를보자. (1) 安楽な場所を求めているんじゃあないよ? 안락한장소를찾고있는게아니에요. (2) 오늘은날씨가좋네요.? 今日は天気がいいです 위의 (1) 은 よ 앞에보통체 -ない 형을선행시키고있다. 이경우일본어에서는특별히청자대우의뜻이나타나지않는데, 한국어번역에 -요 를포함한문장을대응시켜적절한대응이이루어졌다고볼수없다. 또한 (2) 는청자에게동의를요구하는것으로일본어표현에 ね 를수반하여야함에도불구하고 -です 로文을끝맺음으로써부자연스러운표현이된다. 종조사라는품사가설정되어있지않은한국어에있어서는그것을文末형태 ( 서정수, 국어문법의연구1,1991) 또는語尾, 씨끝 ( 김주미, 현대국어의서술씨끝연구, 1992) 라는용어로다루는것이일반적인데본고에서는文末형태라는표현을따르기로하겠다. 文末형태는주로발화시점에있어서말하는이의심적태도를나타낸다. 한국어의文末형태는단순히서술, 의문, 권유, 명령뿐만아니라말하는이의듣는이에대한존경의정도나말하는이가듣는이에게어떤객관적인사항을전할때의말하는이의표현태도로도나타내는기능을포함하고있다. - 35 -
따라서본장에서는 3장에서검토한일본어의종조사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를살펴봄으로써이러한오용의유형과발생원인에대해생각해보기로하겠다. 분석자료로서는한국어로번역된일본문학작품에서채집한용례 1000개 ( ね :500개, よ :500개) 를통해일본어의종조사 ね 와 よ 가한국어에있어서어떠한文末형태로번역되었는가를관찰하겠다. 또한, 이와같은 ね 와 よ 의한국어번역에공통적으로그리고가장빈번히나타나는문법요소인 -요 의의미기능을살펴봄으로써, 이문법요소들이어떤면에서는같은성격을가지고또어떤면에서는다른성격을가지는가를 ね よ 와의비교를통해살펴보기로하겠다. 4.1 ね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먼저한국의대표적일한사전인安田吉実 孫洛範편저 (1991) 의 엣센스日 韓辭典 과시사일본어사사전편찬실편저 (2000) 의 뉴드림일한사전 에서 종조사 ね 를어떻게기술하고있는지살펴보겠다. 엣센스日韓辭典 ね 1. 間助 < 文中 文末의文節끝에와서 > 가벼운감동을나타내거나, 상대에게동의 ( 同義 ) 를구하거나, 다짐하는데쓰임 : 요, 군요, 로군. 2. 終助 < 動詞나動詞型活用語의未然形또는 な ぞ 에붙어서 > 남에게부탁하는뜻을나타냄 : 하여주게, 하여주오. 3. 感 부르거나, 다짐하거나, 친밀감을나타내서말할때에내는말 : 응. (p.1696) 뉴드림일한사전 - 36 -
ね 1. ( 間助 ) ( 글가운데나끝에써서 ) 1 가벼운영탄 감동의기분을나타냄. 구나. 군요. 2 가벼운주장을나타내어자기생각을강조하는기분을나타냄. 데요. 3 동의를구하고, 대답을재촉하는뜻을나타냄. 4 가볍게묻는뜻을나타냄. 5 어세를바로잡음. 2. ( 感 ) 남을부를때나, 친근함을나타낼때, 또는다짐할때에쓰는말. 2. (p.1617) 일본어의 ね 에대응하는한국어의文末형태는, 지( 요 ), 군 ( 요 )/ 구나, 데/ 대 ( 요 ), 네 ( 요 ), 야/ 어 / 아 / 게 / 에 / 예 ( 요 ), 고/ 구 ( 요 ), 기타의 8가지유형으로나타났다. 이경우文의유형별로는큰차이를보이지않으므로이는특별히문제삼지않고그형태를중심으로용례를살펴보기로하겠다. 4.1.1 로대응되는경우 ね 는한국어와의대응에있어서특별한文末형태를보이지않는이른 바 로대응되는경우가가장많아, 총용례수 500 개중에서 138 개로전 체의 27.6% 를차지했다. (1) 絶対に無理はしないこと タクシー会社にわけは話してあるから お金は払わんでいいからね ( 涙 46) 절대무리하지않을것. 택시회사에이유는말해놓을테니까택시비는직접지불하지않아도돼. (2) そりゃあ 信じる方も 信じる方だけどね ( つ 21) 그야물론, 믿는사람도믿는사람이지만. (3) この真紅の洋欄 立派そうにみえるけど どこか気品があって清純です - 37 -
ね ( ジ 104) 이새빨간양란말이죠, 너무화려한것같기는하지만, 기품도있고청순한느낌을줍니다. (4) だから 絶対に あの人は日本人 とか あの人は朝鮮人 とか そんなことで区別しないでね ( 窓 199) 그러니까절대로 저사람은일본인 이라든지 저사람은조선인 이라든지그런걸로구별하면못쓴다. (5) すくなくとも 流浪うすきまがあるっていうことはね ( 冷 176) 적어도, 유랑할틈새가있다는것은. 4.1.2 지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ね 가 지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96 개로전체의 19.2% 를차지했다. (6) だから 朝鮮人! というのは 人に対しての悪口の言葉だと思っているでしょうね ( 窓 198) 그래서 조센진! 이란말이남에게하는욕이라고생각하는거겠지. (7) 雄一がね あなたのこと 昔飼ってたのんちゃんに似てるって前から言ってたけど 本当に似てるわ ( キ 27) 유이치가말이지. 옛날에기르던논짱하고미카게씨하고아주많이닮았다고했는데, 정말닮았어. (8) 僕のテゾーロは雨が降るとわがままを言うからね ( 冷 29) 우리데조로는비만내리면응석을부리니까말이지. (9) 女ってなんでああ感情的になるのかね ( 東 92) 여자란왜그렇게감정적이되는지. 4.1.3 군 ( 요 )/ 구나 로대응되는경우 - 38 -
ね 가 군 ( 요 )/ 구나 로대응되는경우는 72 개로전체의 14.4% 를차지 했다. (10) どうも私たちのまわりは いつも死んでいっぱいね 私の両親 おじいちゃん おばあちゃん 雄一を産んだお母さん その上 えり子さんなんて すごいね ( キ 72) 어째우리주변은죽음으로가득하네. 우리부모님, 할머니 유이치를낳은어머니, 그런데다에리코씨까지, 정말굉장하군. (11) いいお家の人はいまでもそういうのやってるんだね ( 東 111) 좋은집안의사람은요즘도그런걸하는구나. (12) おたくは 比呂ちゃんのご主人のお姉さんですってね ( ジ 170) 아주머니는히로코짱남편의누나라고하더군요. 4.1.4 네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ね 가 네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64 개로전체의 12.8% 를차지했다. (13) 本ばかり読んでいるのね 今朝 アンジェラが言った ( 冷 30) 내내책만읽고있네. 오늘아침, 안젤라가그렇게말했다. (14) 堀サンは出来上がったヘアドレスや花々をじっと見て あ 気品 ありますね というので 私はいつか堀サンが好きになっていました ( ジ104) 호리씨는완성된헤어드레스나꽃을보고, 아, 정말우아하네요. 라며칭찬을아끼지않습니다. 그래서나는호리씨가좋아진겁니다. (15) 地面から生えてる門ね とトットちゃんはママにいった ( 窓 24) 야아! 땅에서자라난문이네! 토토는놀란표정으로엄마에게말했다. - 39 -
4.1.5 데 / 대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ね 가 데 / 대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43 개로전체의 8.6% 를차지했다. (16) あんたの毛も あさげにできたら いいのにね ( 窓 201) 네머리칼도땋을수있으면좋을텐데 (17) でも私 ずっとフロントにいたけどね まりあちゃんのあと誰も出てないわよ ( つ 108) 하지만내가계속프런트에있었는데. 네가나간후에는아무도안나갔어. (18) それに どうせあした会うんだものね ( 東 148) 게다가어차피내일만날건데. 4.1.6 야 / 어 / 아 / 게 / 에 / 예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ね 가 야 / 어 / 아 / 게 / 에 / 예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40 개로전체의 8% 를 차지했다. (19) でもね 私はあの小説の主人公の恋人がすごく好きよ ( 東 121) 그렇지만말야, 난그소설속의, 주인공의연인이무척마음에들어. (20) 雄一 私 あさってから急に仕事で伊豆に行くことになったのね ( キ 103) 유이치, 나갑자기일이생겨서모레이즈에가게됐어. (21) 一枚あってもいいね だんだん暖かくなるもんね と 母は買ってくれた ( 涙 93) 치마가하나쯤있어도좋아. 점차따뜻해지니까. 라며엄마는사주셨다. - 40 -
(22) いいもの見せてあげるからね ( 窓 186) 잠깐기다려, 내가멋진거보여줄게. (23) うん 今夜ね さすがに 手が震えた ( つ 180) 응, 오늘밤에. 손이다떨리더라. (24) まあ そんなところですね 私も苦笑した ( キ 129) 네뭐그런비슷한거예요. 나도씁쓸히웃었다. 4.1.7 고 / 구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ね 가 고 / 구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34 개로전체의 6.8% 를차지했다. (25) うん 何かね 最近根をつめて書きものをしていてね ( つ 23) 응 요즘들어서, 뭘열심히쓰더라고. (26) 明日 保育園へ行くの 家にいないからいい子にしとらんといかんよ ズッコケンようにね ( 涙 186) 언니. 나내일부터보육원에가. 내가집에없는동안얌전하게있어야해. 넘어지지않게조심하고. 4.1.8 기타 이밖에도다음과같이 ね 가 까 ( 요 ), 든 ( 요 ), 해 ( 요 ), 걸 ( 요 ) 등과같은대응을보이는용례는 13 개로전체의 2.6% 를차지했다. (27) いつ火がおさまるかまで見えちまって 眠りそうに退屈だった そういうのは きちんと終わっちまうからね ( つ 133) 언제불이꺼질지뻔히보이니까, 졸리고따분했거든요. 그런건언젠가는반드시끝나니까요. - 41 -
(28) あたし 世話の仕方がわからなくて水やりすぎたのね ( キ 113) 나, 어떻게키워야되는지몰라물을너무많이주었거든. (29) そんなに親切にいってもらうと決心が鈍るわ こまっちゃいますね ( ジ 173) 그렇게친절하면마음이바뀔지몰라. 그건곤란해. (30) おうおうはりきっちゃって ちとガニマタだね もう頭にくることばかり並べたてて笑う ( 涙 22) 어이, 어이. 힘이넘쳐서약간팔자걸음이돼있는걸. 정말이지화가나는말만하고선웃는다. 4.2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ね 와마찬가지로먼저일한사전에서종조사 よ 를어떻게기술하고 있는지살펴보도록하겠다. 엣센스日韓辭典 よ 1. 間助 1 부를때쓰는말 : 야, 아, 이여, 여 2 명령이나부탁, 타이름이나권유의뜻을나타내는데씀. 3 가벼운감동, 단념의기분을나타냄. 4 사물을판단해서주장하거나다짐할때에씀. : 요, 해요, 예요. 5 의문을나타내는말이나구 ( 句 ) 에붙어서의문을가지고상대방을나무라는뜻을나타냄. : ( 무엇을 ) 하는거요, ( 무얼 ) 그래요. (p.2269) 뉴드림일한사전 よ ( 終助 ) 体言, 用言 助動詞의終止形 命令形, 助詞등에붙음. 여성용어로서의 よ 는, 動詞 形容詞에는그終止形에 の わ 를끼워넣고形容動詞에는語幹에, 名詞에는직접붙이는일이많음. - 42 -
1 감동 영탄을나타냄. 2 다짐을하는말. 3 부름을나타냄. 여. 야. 아. (p.2133) 일본어의 よ 에대응하는한국어의文末형태는, 지 ( 요 ), 데 / 대 ( 요 ), 야 / 어 / 아 / 에 / 게 / 예 ( 요 ), 군 ( 요 )/ 구나, 고 / 구 ( 요 ), 든 ( 요 ), 기타의 8 가지유형으로나타났다. 해당용례별로살펴보면다음과같다. 4.2.1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한국어의 로대응되는경우는총 500 개의용례중에서 125 개로 ね 와마찬가지로가장많아, 전체의 25% 를차지하였다. (31) 雄一 今から行くわ 行ってもいい? 私 雄一の顔を見て話がしたいのよ ( キ 67) 유이치, 지금갈게. 가도되지? 나, 유이치보면서얘기하고싶어서그래. (32) 知らない きっと捨てたんでしょうよ ( ジ 20) 몰라. 버렸겠지뭐. (33) じゃ これで 君はこの学校の生徒だよ ( 窓 34) 자, 이제부터넌이학교학생이다. (34) 妹は のろいわたしといっしょに歩いてくれる 歩道橋を渡る時も カバンを (34) 持ってくれて 手すりをつかんで上がりんよ と言ってくれた ( 涙 18) 여동생은느릿느릿한나와함께걸어가준다. 육교를건너갈때도가방을들어주며, 언니, 손잡이잡고올라와. 라고말한다. (35) おい! 目を覚ませ 大変なんだぞ これを見ろよ ( つ 18) 야! 일어나. 큰일났어, 이것좀봐. - 43 -
4.2.2 지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 지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87 개로전체의 17.4% 를차지했다. (36) 痛かったけど はいずってでも窓から出たことに満足感があった 二度としないよ ( 涙 113) 아팠지만기어서라도창에서빠져나왔다는사실에만족감이생겼다. 한번해봤으니다시는안해야지. (37) マーヴに問いただすべきよ ダニエラが言う ( 冷 13) 마빈한테따져야지. 다니엘라가말한다. (38) それはそうやけどさ 一人で食べる淋しさを考えてくれよ ( ジ 155) 그건그렇지만, 혼자서먹는외로움도고려해줘야지. (39) 行く所がないのは 傷ついてる時にはきついことよ ( キ 29) 갈데가없다는건, 상처입었을때는특히나힘들지. 4.2.3 데 / 대 ( 요 ) 로대응되는경우 다. よ 가 데 / 대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79 개로전체의 15.8% 를차지했 (40) 何でも りんごジュースと メロンと 寿司が欲しいそうよ ( つ 106) 아무거나, 사과주스하고멜론하고생선초밥이먹고싶대. (41) 新しい学校に行ってみない? いい学校だって話しよ ( 窓 23) 다른학교에한번가보지않을래? 좋은학교라는데. (42) 東高のみんなにとっては あなたがいてくれた方がいいのよ ( 涙 87) 히가시고등학교의모두에게있어서네가있어주는게얼마나좋은일인데. - 44 -
4.2.4 야 / 어 / 아 / 에 / 게 / 예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 야 / 어 / 아 / 에 / 게 / 예 ( 요 ) 등으로대응되는경우는 68 개로전체의 13.6% 를차지했다. (43) また電話してくれる? って 訊こうとしたところよ ( 東 23) 또전화해줄래? 라고물으려던참이야. (44) あたしはおまえらなんかよりずっと死に近いから わかるんだよ こういうことが ( つ 19) 난너희들보다훨씬더죽음에가까이있어서, 이런거금방느낄수있어. (45) 忘れ物したの? 早く行かんと遅刻するよ ( 涙 15) 안가져간물건있니? 빨리안가면지각이잖아. (46) アンジェラのこと ごめんなさい ダニエラに悪気はないのよ ( 冷 19) 안젤라누나일미안해요. 다니엘라가나쁜마음이있어서그런건아니에요. (47) 悪かったら返すよ そやけど時計も椅子も みな馴れてるよって使い易うてな ( ジ 153) 싫다면돌려줄게. 그렇지만시계도의자도, 모두익숙해져서사용하기가편해. (48) しかもさあ わかった? 本当におかしくてたまらなそうに彼は続けた あの人 男なんだよ ( キ 19) 그런데다, 눈치챘어요? 정말이상하다는듯그가말을이었다. 그사람, 남자예요. 4.2.5 군 ( 요 )/ 구나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 군 ( 요 )/ 구나 로대응되는경우는 61 개로전체의 12.2% 를차지했 - 45 -
다. (49) いよいよ病状が末期になって 昏睡に入ってしまう三日前にね 突然 帰り際に言うのよ ( キ 112) 끝내말기가되어, 혼수상태에빠지기사흘전, 집에돌아가려는데갑자기아내가그러더군. (50) お父さんと一緒になれたのはもちろん嬉しいんだけど 何だか大勢で暮していた感じが海鳴りのように心から抜けないのよ ( つ 55) 아빠하고같이살수있게되어서물론기쁘지만, 여럿이서같이지내던시절의느낌에서헤어나기가어렵구나, 바다냄새처럼말이야. (51) 昼間オフィスにアンジェラから電話があったよ ( 冷 17) 낮에안젤라누나가사무실로전화를걸었더군. 4.2.6 고 / 구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 고 / 구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37 개로전체의 7.4% 를차지했다. (52) なんでそんなことを言うの? つじつまが合わないよ それならずっといてくれればいいじゃないか なんでそんなことを言うのかわからないよ ( 東 127) 왜그런말을해요? 앞뒤안맞는소리를. 그렇다면쭉같이있어주면되잖아요. 뭐하러그럴말을하는지모르겠다고요. (53) 興味がないから断ったわ それだけのことよ ( 冷 152) 관심없어서거절했어요. 그뿐이라구요. 4.2.7 든 ( 요 ) 로대응되는경우 よ 가 든 ( 요 ) 로대응되는경우는 24 개로전체의 4.8% 를차지했다. - 46 -
(54) テントだと 寝ながら 星とかお月様が見られるのよ ( 窓 101) 텐트라면자면서도별님하고달님을볼수있거든. (55) 桜井さん あさってから伊豆地方の取材があるのよ 三泊なんだけれどね 急で悪いんだけれど 同行してもらえないかしら ( キ 93) 사쿠라이씨, 모레이즈지방취재가있거든. 3박인데갑자기말해서미안하지만동행해줄수있을까 4.2.8 기타 이밖에도다음과같이 よ 가 까 ( 요 ), 걸 ( 요 ), 세 ( 요 ), 네 ( 요 ) 등과같은대응을보이는용례는 19 개로전체의 3.8% 를차지했다. (56) それより早く出なさいよ 岡山まで三時間ぐらい? 車が混むと大変よ ( ジ 154) 그렇게우물쭈물하지말고빨리나가. 오카야마까지세시간? 차라도막히면큰일이니까. (57) だったらやめなよ メソメソさんより にこにこさんの方が可愛いよ ( 涙 80) 그러니우는건이제그만둬. 훌쩍거리는사람보다싱글벙글웃는사람이귀여운걸. (58) 元気ですよ いつものようにこたえた ( 東 56) 잘지내세요. 늘하던대로대답했다. (59) それで熱が下がって調子づいちゃったのかしら 그래서열이내려서, 또촐싹거리고나간건가 (59) きっとそうよ ( キ 108) 그런가보네요. - 47 -
4.3 결과분석 위에서조사한일본어종조사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를간단히표로정리하면다음과같다. < 표 6>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ね よ 138개 (26.7%) 125개 (25%) 지 ( 요 ) 96개 (19.2%) 87개 (17.4%) 군 ( 요 )/ 구나 72개 (14.4%) 61개 (12.2%) 데 / 대 ( 요 ) 64개 (12.8%) 79개 (15.8%) 네 ( 요 ) 43개 (8.6%) 기타에포함 야 / 어 / 아 / 에 / 게 / 예 ( 요 ) 40개 (8%) 68개 (13.6%) 고 / 구 ( 요 ) 34개 (6.8%) 37개 (7.4%) 든 ( 요 ) 기타에포함 24개 (4.8%) 기타 13개 (2.6%) 19개 (3.8%) 소계 500개 (100%) 500개 (100%) < 표6> 에서살펴본바와같이일본어의 ね 와 よ 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는어떤한가지형태로특징지워지지않으며, 갈피를잡을수없이혼란스럽다. 또한 지( 요 ), 군 ( 요 )/ 구나 등과같이대부분의文末형태들이 ね 로끝난문장에도나타나고 よ 로끝난문장에도나타난다. 일본어의 ね 와 よ 는그의미기능이서로다름에도불구하고한국어에서는같은文末형태에대응시킴으로써학습자들이혼란을초래하고있는것이다. - 48 -
4.4 ね よ 와한국어 - 요 그런데이와같은 ね 와 よ 의한국어번역에공통적으로, 그리고가장빈번히나타나는文末형태는 -요 이다. 따라서이 -요 의의미기능을살펴봄으로써, 이文末형태가어떤면에서 ね よ 와같은성격을가지고또어떤면에서는다른성격을가지는지알아보기로하겠다. 4.4.1 한국어 - 요 의의미기능 먼저대표적국어사전인국립국어연구원 (1999) 의 표준국어대사전 과연 세언어정보개발연구원 (2000) 의 연세한국어사전 두가지를통해한국어 - 요 의의미기능에대해서간단히살펴보기로하겠다. 표준국어대사전 요 ( 조사 ) 1 (( 주로해할자리에쓰이는종결어미나일부하게할자리에쓰이는종결어미뒤에붙어 )) 청자에게존대의뜻을나타내는보조사. 격식을갖추어야하는상대에게는잘쓰지않는다. 돈이없어요. / 기차가참빨리가지요. / 잠이안오는걸요. / 늑장부리다가는차시간을놓치게요? / 언니, 나를모르겠어요? 2 (( 체언이나부사어, 연결어미따위의뒤에붙어 )) 청자에게존대의뜻을나타내는보조사마음은요더없이좋아요. / 어서요읽어보세요. / 그렇게해주시기만하면요정말감사하겠습니다. (p.4600) 연세한국어사전 요 조사 [Ⅰ] 1. ( -어, -지, -을래 등해체의일부용언의종결어미에붙어 ) 말하는이가듣는이에게친근한높임을나타내는데에쓰임. 해요체를이룸. - 49 -
준호는컴퓨터랑잘놀아요. / 가야지요. / 말은나중에해요. [Ⅰ] 2. ( 독립된구성분뒤에붙어 ) 말을끝맺는데에쓰임. 선생님, 저는요? / 시장에를요? 왜요? / 빨리요, 빨리. [Ⅱ] 독립적인구성분뒤에붙어쓰이고말버릇처럼문장의중간에도쓰이어할말을고르거나주저하는데에사용됨. 저는요, 어제요, 학교에갔는데요, 배가아파서요, 중간에도로집으로와버렸어요. [Ⅲ] 일부계층이나방언등에서, 말하는이자신을더낮춤으로써듣는이를더높임을나타냄. 아픕니다요. 아파. / 전선에투입될채비를전부한다면야그것이그것아닙니까요? / 갑니다요가. 두사전은모두조사 -요 가文末과문중에서쓰이고있음을설명하고있다. 文末에서의쓰임은대체로반말체어미뒤에붙어청자에대한높임을나타낸다고보고있다. 이경우의 -요 는위치상으로는文末에위치하는일본어의종조사와일치하지만, 청자대우라는기능은일본어종조사의기능과는구별된다. 그리고문중에서는 말버릇처럼문장의중간에도쓰이어할말을고르거나주저하는데에사용 된다고함으로써일본어의간투조사의용법과비슷한위치와기능을가지고있음을나타내고있다. -요 에대한연구는대우법의체계를정립하는과정에서대부분다루어졌기때문에 -요 에대한논의의대다수가 -요 자체의형태적, 통사적논의보다는대우법의체계속에서 해요체 의등분을세우는것에관심이있었다. -요 와결합할수있는요소들을처음으로품사별로정리한것으로는이상복 (1976) 을들수있는데그는 -요 는문장의끝에오는일이있지만, 그것이문장을종결하는기능을하지는못하며, 문장의여러곳에자유로이나타난다고하였다. 또한혼잣말에서는 -요 가결코쓰이는일이없다는점에서 -요 는청자를존대하는기능을지니고있음을알수있다고하였다. 또한김정대 (1983) 은 -요 의기능을둘로나누어파악하였다. 먼저문중에서의 -요 는화용적용법으로쓰인것인데, 긴발화중간에청자에게존대표현을써야한다는심리적압박을받은화자가그존대의사를미리표시해주려 - 50 -
는심리상태를나타내기위하여사용하는것이라고하였다. 두번째로文末의 -요 는, 문중의 -요 의세력이확대된용법으로이것이완전히통사화되어청자존대의조사로쓰이게되었다고하고이 -요 의주된기능은청자존대라고하였다. 4.4.2 ね よ 와 - 요 의비교 ね よ 와 -요 에선행하는형식은일부문장종결형식, 접속어미나접속조사, 문장중간의구등이다. 즉, 이들이출현하는환경은완결된문장뒤, 접속조사나접속어미로끝나는문장의뒤, 문장중간으로정리할수있다. 따라서이세요소의출현환경은아주유사한셈이다. 그러나의미기능에서보면 ね よ 와 -요 는서로다른요소이다. - 요 에선행하는어미들은주로반말체어미들로여기에 -요 를통합하면청자를존대하는말이된다. 즉, -요 는청자존대의기능을한다. -요 가양상의의미를나타내는경우는문장중간이나현대어에서는그다지쓰이지않는합쇼체어미 -습니까, -습니다 뒤에올때에한한다. ね よ 는화자와청자사이의심리관계를나타내는기능, 즉양상표시의기능을한다. 일본어의 ね よ 가담당하는양상표시기능은한국어에서는반말체어미나하게체어미들이담당하는것으로보인다. 문장종결어미인 -어 나 -지 는서술, 의문, 청유, 명령문에두루쓰이는데이러한현상은일본어 ね 와 よ 의대표적기능이라할수있다. 하게체어미의경우청유, 명령문에는 -요 가통합되지않고 -요 가통합되는서술, 의문문에서양상표현은 -네 와 -데 가담당하고 -요 는청자존대의기능만한다. 한국어의반말체어미, 하게체어미가담당하는양상의의미는화자와청자사이의심리적영향을나타내는것이다. 그리고접속조사로끝나는문장을제외한완결된문장에서쓰이는일본어 ね よ 는화자의판단결과에따라선택되어쓰이는상보적역할을담당한다. 즉 ね 는화자의생각을부드럽게표현하고청자에게다짐하거나확인하거나동의를구하는의미기능 - 51 -
을하는반면, よ 는화자자신의확고한생각을표현하거나자신의다짐, 불만의확인, 일방적요구, 청자의잘못된정보수정, 청자와의의견차이에대한주장등의의미기능을한다. 그리고문중에나타나는 ね 는대화의전달확인의기능으로쓰이지만, 문중의 -요 는청자존대기능과함께화자의숨고르기기능을한다. 이와같이일본어종조사 ね よ 와한국어 -요 는출현환경은흡사하지만서로다른기능을하는문법요소라할수있다. - 52 -
5. 결론 지금까지일본어종조사 ね よ 의정확안의미 용법과기능에대한이해, 그리고한국어文末형태와의대조를목적으로하여, 일본어자료에서의다양한용례검토를통해살펴보았다. 종조사는화자와청자, 両者간의의미전달과전체적인대화분위기결정에있어아주중요한위치를차지하고있으며그중에서도특히 ね 와 よ 의적절한구사는곧자연스러운대화운용능력과밀접한연관을맺고있다고할수있다. 2장에서는먼저, 대표적일본어문법학자들의 ね よ 에대한선행연구를살펴보았다. 초기国語学者들의종조사연구는文의성립과관련하여文末에서의종조사의위치나기능면을다루는데그쳐심도있는종조사연구에까지는미치지못했음을알수있었다. 그러나이후에이루어진모달리티론에서의연구는 ね よ 를화자와청자의의향또는판단의一致 不一致로, 또한정보영역이론에서는발화내용에관한정보가화자와청자의어느영역에속하는가에따라 ね よ 를구분하는등화자의심리적태도에대해서까지분석이이루어졌음을알수있다. 기본적으로 ね 는문장終止의문절끝에접속하며, 화자의지식 정보를청자에게공유화해가는쪽에비중이있어화자의발화에의해청자에게확인또는동의가요구되는경우에주로사용된다. 이에반해 よ 는해당정보가청자보다화자에게많은경우에사용된다. 따라서화자는이미인식하고있지만청자가아직인식하지못한정보에대해청자가그정보를습득할필요가있다고화자가생각하는경우에사용되는종조사이다. 이처럼両者대립의구조속에서체계적인파악이가능한 ね 와 よ 는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등의文에골고루출현하여다양한사용실태를보여주고있다. 4장에서는한국어로번역된일본문학작품을중심으로 ね よ 의용례 1000개 ( ね : 500개, よ : 500개 ) 를채집하여이에대응하는한국어文末형태 - 53 -
들을살펴보았다. 주요대조결과를보면먼저, 종조사 ね よ 에일대일로대응하는文末형태가한국어에서는나타나지않고 ね 는, 지 ( 요 ), 군 ( 요 )/ 구나, 데/ 대 ( 요 ), 네 ( 요 ), 야/ 어 / 아 / 게 / 에 / 예 ( 요 ), 고 / 구 ( 요 ), 기타의 8가지유형과대응하였으며, よ 는, 지( 요 ), 데 / 대 ( 요 ), 야/ 어 / 아 / 에 / 게 / 예 ( 요 ), 군( 요 )/ 구나, 고/ 구 ( 요 ), 든( 요 ), 기타의 8가지유형과대응을보였다. 그기능이확연히구분되어있는 ね よ 와는달리이에대응되는한국어의文末형태는분명한체계를갖지못한채, ね よ 의양쪽에동시에대응되는현상을볼수있었다. 특히 ね 와 よ 모두한국어에대응하는특정文末형태가없는 로표현되는경우가많아일본어를한국어로, 또는한국어를일본어로번역하는경우에학습자들의혼란을불러올수있음을알수있다. 또한, ね 와 よ 의한국어번역에빈번히나타나는 -요 의의미기능을살펴보고 ね よ 와비교하여정리하였다. 그결과 ね よ 와한국어 -요 에선행하는형식은완결된문장뒤, 접속어미나접속조사로끝나는문장의뒤, 문장중간으로그출현환경이매우유사한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의미기능에서보면, ね よ 가화자와청자사이의심리관계를나타내는기능을하는데비하여, -요 는청자존대의기능을한다는점에서両者는서로다른기능을하는문법요소임을알수있었다. 본고에서는일본어종조사 ね 와 よ 에대응되는한국어文末형태를살펴봄으로써, 両언어의文末특징및한국인일본어학습자들의오용근거를도출하였는데, 더욱체계적인연구가되기위해서는 ね よ 에자주대응되는각각의한국어文末형태들에대한선행형식및의미기능에대한연구가보완되어야할것이다. - 54 -
参考文献 山田孝雄 (1936) 日本文法学概論 宝文館国立国語研究所 (1955) 談話論の実態 国立国語研究報告 8-9 秀英出版橋本進吉 (1959) 国文法体系論 岩波書店時枝誠記 (1983) 日本文法文語編 岩波書店水谷信子 (1984) きのう新宿へ映画を見に行きましたね - 聞き手への関心を示す表現の誤用と非用 日本語学 3 巻 7 号 明治書院大曾美恵子 (1986) 今日はいい天気ですね - はい そうです 日本語学 5 巻 9 号 明治書院陳常好 (1987) 終助詞 - 話し手と聞き手の認識のギャップをうめるための文接辞 日本語学 6 巻 10 号 明治書院神尾昭雄 (1990) 情報のなわ張り理論 大修館書店益岡隆志 (1991) モダリティの文法 くろしお出版白川博之 (1992) 終助詞 よ の機能 日本語教育 77 号 日本語教育学会伊豆原英子 (1993) ね と よ の再考 - ね と よ 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機能の考察から 日本語教育 80 号 日本語教育学会井上優 (1997) もしもし 切符を落とされましたよ - 終助詞 よ を使うことの意味月刊 言語第 26 巻第 1 号 大修館書店 池上嘉彦 (1989) 日本語のテキスト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 日本語文法小辞典 大修館書店新村出編 (2002) 広辞苑第五版 岩波書店北原保雄 (2002) 明鏡国語辞典 大修館書店鈴木一行 (2005) 新版日本語教育辞典 大修館書店安田吉実 孫洛範 (1991) 民衆엣센스日韓辭典第二改訂版 民衆書林시사일본어사사전편찬실 (2000) 뉴드림일한사전 시사일본어사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중권 두산동아연세대학교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9) 연세한국어사전 두산 - 55 -
서정수 (1991) 국어문법의연구 1 한국문화사김주미 (1992) 현대국어의서술씨끝연구 한국어의토씨와씨끝 서광학술자료사이상복 (1976) 연세어문학 v.7 {- 요 } 에대한연구 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과이정민, 박성현 (1981) 언어 v.16 -요 쓰임의구조와기능언어 한국언어학회김정대 (1983) 가라문화 v.2 {-요 } 청자존대법에대하여 경남대학교가라문화연구소윤석민 (1994) 텍스트언어학 v.2 요 의담화기능 텍스트연구회고광모 (2000) 국어학 v.36 상대높임의조사 -요 와 -( 이 ) ㅂ쇼 의기원과형성과정 국어학회 - 56 -
국문초록 본고는커뮤니케이션에있어전달과관련된화자의심리적태도를나타내는전형적형식의하나인일본어종조사 ね 와 よ 의정확한의미와용법을고찰하고, 한국어文末형태와의대조를통해韓 日양언어에있어서의공통점과차이점을명백히하고자한다. 종조사에대한선행연구는종조사를어떤관점에서취급하느냐에따라크게일본의国語学上의연구와言語学上의연구로나눌수있다. 초기国語学者들의종조사연구는文의성립과관련하여文末의진술적측면이나구문적기능에관심을보이고있어, ね 와 よ 의용법의차이나그특징에대한깊이있는연구에까지는이르지못하였다. 그러나이후에이루어진모달리티론적입장에서의연구나정보영역이론적입장에서의 ね 와 よ 에관한연구는발화내용에대한화자의심리적태도에대해서까지다양한연구가이루어졌다. 기본적으로 ね 는문장終止의문절끝에접속하며화자의지식 정보를청자에게공유화해가는쪽에비중이있어화자의발화에의해청자에게확인또는동의가요구되는경우에주로사용된다. 이에반해 よ 는해당정보가청자보다화자에게많은경우에사용된다. 따라서화자는이미인식하고있지만청자가아직인식하지못한정보에대해청자가그정보를습득할필요가있다고화자가생각하는경우에사용되는종조사이다. 이처럼両者대립의구조속에서체계적인파악이가능한 ね 와 よ 는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청유문등의文에골고루출현하여다양한사용실태를보여주고있다. 한편, ね 가동사의명령형과금지형및그에준하는보통체형과共起할수없는점은 ね 가 よ 와구별되는뚜렷한특징임을알수있다. 한국어문말형태와의대조에서는한국어로번역된일본문학작품을중심으로 ね よ 의용례를각각 500개씩채집하여이에대응하는한국어문 - 57 -
말형태들을살펴보았다. 이러한분석을통해, 그기능이확연히구분되어있는 ね よ 와는달리이에대응되는한국어의文末형태가분명한체계를갖지못하고 ね よ 의양쪽에동시에대응되고있다는점, ね 와 よ 모두한국어에대응하는특정文末형태가없는 로표현되는경우가많아한국인일본어학습자들의혼란을불러올수있다는점을문제로지적하였다. 또한 ね 와 よ 의한국어번역에빈번히나타나는 -요 의의미기능을살펴본결과, ね よ 와한국어 -요 에선행하는형식은완결된문장뒤, 접속어미나접속조사로끝나는문장의뒤, 문장중간으로그출현환경이매우유사한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의미기능에서보면, ね よ 가화자와청자사이의심리관계를나타내는기능을하는데비하여, -요 는청자존대의기능을한다는점에서両者는서로다른기능을하는문법요소임이밝혀졌다. - 58 -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considering an exact meaning and use of Japanese ending auxiliary ; ね (ne) and よ (yo) which is one of the typical forms presenting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in communication and clarifying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rough comparing it with Korean translation version. Previous studies on Japanese ending auxiliary are divided in study of national language and linguistics by the concept of treating it. In early date of study the scholars who study national language were interested in the stating side of the end of sentences and the function in sentence structure related in accomplishing sentences. But since then studies on Jepanese ending auxiliary in the name of modarity and information province theory were various, so it was spreading to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Basically ne is located in the end of the sentence. It is usually used when the speakers request verification and agreement of the listeners. On the other hand yo are used when the speakers have more information about the topic of conversation. It is mainly used when the speakers want listeners to know about what they say. As mentioned above ne and yo are systematically in an opposition structure. They are used in all sorts of sentence. And ne is not used with an imperative and inhibitive verb. That's a distinct feature that ne is different from yo. In comparison with the end form of sentence in Korean, I collected 500 uses of ne and yo in Japanese literary works translated in Korean - 59 -
each and researched how they are translated. Through this survey I indicated that ne and yo have a clear distinction but the end form of Korean sentence is used in both ne and yo And I raised the point that Korean who are studying Japanese have a problem because There's no end form of Korean sentence which properly translate Japanese ending auxiliary. I also investigated the meaning function of -요 (-yo) mainly translated into ne and yo. Korean yo and Japanese ending auxiliary are used in a similar sentence formation. They both are end of the perfect sentences and middle of the sentences and end of the ending of the word and a propositional word. But in terms of meaning function Japanese ending auxiliary do function showing psychological rela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whereas Korean word -yo is used to respect the listeners. So the both things are grammar elements that differently function in sentences. -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