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6 년종합평가
문화유산헌장 CULTURAL HERITAGE CHARTER 문화유산은 우리 겨레의 삶의 예지와 숨결이 깃들 어 있는 소중한 보배이자 인류 문화의 자산이다. A nation's cultural heritage embodies its intellectual and spiritual contributions to the civilization of mankind. 유형의 문화재와 함께 무형의 문화재는 모두 민족 Cultural properties, whether tangible or intangible, represent both the essence and the basis of national culture. Our Korean cultural heritage are even more dear to us because they have survived various unfortunate chapters of our long history. Our ongoing efforts to understand, explore and nurture this cultural heritage deepens the love of our country and of our fellow countrymen. All of us must work together to protect our historic relics and their surroundings from being damaged or destroyed, since once damaged, cultural heritage can never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condition. 문화의 정수이며 그 기반이다. 더욱이 우리의 문화유 산은 오랜 역사 속에서 많은 재난을 견디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유산을 알고 찾고 가꾸는 일은 곧 나라 사랑의 근본이 되며 겨레 사랑의 바탕이 된다. 따라서 온 국민은 유적과 그 주위 환경이 파 괴ㆍ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문화유산은 한 번 손상되면 다시는 원상태로 돌아 갈 수 없으므로 선조들이 우리에게 물려 준 그대로 우리도 후손에게 온전하게 물려 줄 것을 다짐하면서 문화유산 헌장을 제정한다. We thus proclaim this Cultural Heritage Charter, committing ourselves to the supreme task of handing on to future generations, our spiritual and physical assets as they were handed down to us by our ancestors. 1.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대로 보존되어야 한다. 1. Cultural heritage must be preserved in their original condition. 2. 문화유산은 주위 환경과 함께 무분별한 개발로부터 보호 되어야 한다. 2.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ir surroundings, must be protected from indiscriminate development. 3. 문화유산은 그 가치를 재화로 따질 수 없는 것이므로 결코 파괴ㆍ도굴되거나 불법으로 거래되어서는 안 된다. 3. Cultural heritage must never be destroyed, stolen, or illegally traded under any circumstances, for they are beyond material value. 4.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성은 가정ㆍ학교ㆍ사회 교육을 통해 널리 일깨워져야 한다. 4.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must be taught and widely propagated through education at home, in school and in society. 5. 모든 국민은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찬란한 민족 문화를 계승ㆍ발전시켜야 한다. 5. All of us must contribute to preserving, developing and transmitting our glorious national culture. 1997년 12월 08일 December 8, 1997
제출문 문화재청장귀하 본보고서를 2010~2016 년종합평가 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6 년 12 월 ( 사 ) 한국전통조경학회
Contents 1. 조선왕릉의무기환경ㆍ 13 2) 광릉 159 3) 선릉ㆍ정릉 164 2. 조선왕릉의식생현황ㆍ18 1) 생태보존지역식생현황 18 2) 중점관리지역수목현황 109 3. 조선왕릉의동물현황ㆍ140 1) 2014 2016년야생동물종합분석 140 4) 태릉ㆍ강릉 168 5) 정릉 173 6) 의릉 176 7) 서오릉 180 8) 서삼릉 184 9) 온릉 188 10) 파주삼릉 192 11) 파주장릉 195 4. 조선왕릉의곤충현황ㆍ143 5. 조선왕릉의식생구상ㆍ145 1) 적극적보호지역경관림조성및관리 145 2) 생태관리지역보전방안 148 부록 1. 왕릉의수목 201 2. 각능별수목 325 3. 조선왕릉 ( 王陵 ) 의식목 ( 植木 ) 파종 ( 播種 ) 관련기록 333 4. 모든왕릉에씨뿌리고나무심어보존하는방법 339 6. 조선왕릉의식생보존관리ㆍ149 1) 정비및관리기본목표 149 2) 외래식물정리 149 3) 수목재식및보전관리 150 5. 나무뿌리와사태방지책 340 6. 능위잡초제거와떼입힐때유의사항 341 7. 왕릉의보토 343 8. 보토 ( 補土 ) 하는방법 396 9. 참고문헌 401 7. 왕릉별보존관리ㆍ 154 참여기술자명단 1) 동구릉 154
Table contents 표 1 무기환경요소분석 (2010 2016년) 13 표 2 조선왕릉에분포하는관속식물1 18 표 3 조선왕릉에분포하는관속식물2 18 표 4 조선왕릉에분포하는한국특산식물목록 19 표 5 조선왕릉에분포하는희귀식물목록 21 표 6 조선왕릉에분포하는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목록 23 표 7 조선왕릉에분포하는귀화식물목록 26 표 8 조선왕릉에분포하는관속식물목록 30 표 9 동구릉주요군락의특성 60 표 10 동구릉주요군락의계층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62 표 11 홍릉ㆍ유릉의임분별특성 66 표 12 홍릉ㆍ유릉의임분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67 표 13 사릉의임분별특성 68 표 14 사릉의임분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69 표 15 광릉주요군락의특성 70 표 16 광릉주요군락의계층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1 71 표 17 광릉주요군락의계층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2 72 표 18 선릉ㆍ정릉주요군락의특성 73 표 19 선릉ㆍ정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74 표 20 선릉ㆍ정릉의현존식생현황 75 표 21 헌릉ㆍ인릉임분별특성 76 표 22 헌릉ㆍ인릉임분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77 표 23 태릉ㆍ강릉주요군락의특성 78 표 24 태릉ㆍ강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79 표 25 태릉ㆍ강릉의현존식생현황 80 표 26 정릉주요군락의특성 82 표 27 정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83 표 28 정릉의현존식생현황 84 표 30 의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86 표 31 의릉의현존식생현황 87 표 32 서오릉주요군락의특성 88 표 33 서오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89 표 34 서오릉현존식생현황 91 표 35 서삼릉주요군락의특성 92 표 36 서삼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93 표 37 서삼릉현존식생현황 94 표 38 온릉주요군락의특성 95 표 39 온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96 표 40 온릉현존식생현황 97 표 41 파주삼릉오릉주요군락의특성 98 표 42 파주삼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99 표 43 파주삼릉의현존식생현황 100 표 44 파주장릉주요군락의특성 102 표 45 파주장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103 표 46 파주장릉현존식생현황 104 표 47 김포장릉임분별특성 105 표 48 김포장릉군락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106 표 49 융릉ㆍ건릉임분별특성 107 표 50 융릉ㆍ건릉임분별주요수종의상대우점도 108 표 51 조선왕릉천연기념물서석현황 141 표 52 조선왕릉지표종인딱다구리류의서식현황 141 표 53 현지확인된생태계위해우려외래생물등급 ( 곤충 ) 의출현현황및특성 144 표 29 의릉주요군락의특성 85
Figure contents 그림 1 사릉임상도 68 그림 2 선릉ㆍ정릉의현존식생도 75 그림 3 헌릉ㆍ인릉임상도 76 그림 4 태릉ㆍ강릉의현존식생도 81 그림 5 정릉의현존식생도 85 그림 6 의릉의현존식생도 87 그림 7 서오릉현존식생도 91 그림 8 서삼릉현존식생도 94 그림 9 양주온릉현존식생도 97 그림 10 파주삼릉현존식생도 101 그림 11 파주장릉현존식생도 104 그림 12 김포장릉의임상도 105 그림 13 융릉ㆍ건릉의임상도 107 그림 14 건원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0 그림 15 현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0 그림 16 목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1 그림 17 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2 그림 18 원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2 그림 19 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3 그림 20 숭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3 그림 21 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4 그림 22 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4 그림 23 홍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5 그림 24 유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5 그림 25 사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6 그림 26 광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7 그림 27 선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8 그림 28 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19 그림 29 헌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0 그림 30 인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0 그림 31 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1 그림 32 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2 그림 33 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3 그림 34 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4 그림 35 명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5 그림 36 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6 그림 37 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7 그림 38 2015년홍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8 그림 39 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9 그림 40 서삼릉희릉전수조사 130 그림 41 서삼릉예릉전수조사 131 그림 42 서삼릉효릉전수조사 132 그림 43 양주온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3 그림 44 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4 그림 45 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1 135 그림 46 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2 135 그림 47 영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6 그림 48 파주장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7 그림 49 김포장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8 그림 50 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8 그림 51 건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9 그림 52 왕릉의조류현황 (2014~2016) 140 그림 53 왕릉에서주로서식하는야행성맹금류솔부엉이와소쩍새 142 그림 54 조선왕릉별출현종다양성비교 (2014~2016) 143 그림 55 역사경관림조성 ( 안 ) 146 그림 56 능침주변의소나무림 ( 변경전 ) 147 그림 57 능침주변의소나무림 ( 변경후 ) 147 그림 58 소나무군락식재구조예시도 152 그림 59 소나무식재밀도변경전변경후 152 그림 60 동구릉지형지질보존대책 154 그림 61 동구릉수계정비계획도 156 그림 62 동구릉토양계량도 157 그림 63 동구릉건원릉중점관리지역재식계획도 ( 안 ) 158
그림 64 광릉지형지질보존대책 160 그림 65 광릉수계정비계획도 161 그림 66 광릉토양계량도 162 그림 67 선릉과정릉기본계획도 166 그림 68 선릉재식정비 ( 안 ) 167 그림 69 정릉재식정비 ( 안 ) 168 그림 70 태릉과강릉의기본계획도 170 그림 71 태릉재식정비 ( 안 ) 172 그림 72 강릉재식정비 ( 안 ) 172 그림 73 정릉기본계획도 174 그림 74 정릉재식정비 ( 안 ) 176 그림 75 의릉기본계획도 178 그림 76 의릉재식정비 ( 안 ) 179 그림 77 서오릉창릉홍릉재식계획 ( 안 ) 183 그림 78 서오릉경릉순창원재식계획 ( 안 ) 183 그림 79 서오릉명릉수경원익릉재식계획 ( 안 ) 184 그림 80 서삼릉재식계획 ( 안 ) 187 그림 81 온릉재식계획 ( 안 ) 191 그림 82 파주삼릉재식계획 ( 안 ) 195 그림 83 파주장릉재식계획 ( 안 ) 198
2010~2016 년종합평가 1. 조선왕릉의무기환경 2. 조선왕릉의식생현황 3. 조선왕릉의동물현황 4. 조선왕릉의곤충현황 5. 조선왕릉의식생구상 6. 조선왕릉의식생보존관리 7. 왕릉별보존관리
1. 조선 왕릉의 무기환경 조선 왕릉의 조성은 산을 등에 지고 동쪽(좌)에 청룡, 서쪽(우)에 백호라 부르 는 산줄기가 서로 양팔로 얼싸안은 듯 감싸고 안산이 앞을 막아주는 공간을 내명당이라고 하고 명당의 혈자리인 능선의 언덕 끄트머리에 봉분을 조성하였 다. 조선 왕릉의 좌우측에서 물이 흘러나와 연못과 도랑물이 왕릉 앞의 명당으 로 흐르며 나지막한 안산을 넘어 멀리 조산을 조망하는 지세를 형성한다. 외청룡과 외백호가 둘러싸고 있는데 이 산을 연결하는 범위를 능역으로 정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각 능들은 주변 산림의 지형과 지세에 따라 규모를 달리 하고 있어 그 한계를 구분하기는 어렵다.1) 조선 왕릉의 지형과 수계 그리고 토양의 현황을 조사하고 현재의 모습을 보존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조선 왕릉의 표고는 24~130m 내외 사이로 다양하게 분포하며, 경사는 대부분 이 5~20 에 위치하였고 방위가 다양하였다. 수계는 배후산지의 영향으로 여러 작은 수계가 자연스럽게 합류되어 좀더 큰 수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토성은 사양토, 사질양토, 사질식양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토양의 수분함 량은 6~30%로 나타났다. 토양산도(pH)는 조사지역의 대부분이 ph 5.0 이하로 나타나, 산림토양 평균이 ph 5.5인 것을 고려하면, 토양의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1 무기환경 요소 분석(2010~2016년) 지형 수계 토양 동구릉 평균고도가 매우 낮고 경사가 완만함 동구릉 내에 형성된 3개의 수계는 하나의 물길로 합류해 왕숙천으로 이어짐 물리성 토성은 사질식양토 수분함량은 7.5%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49 유기물함량은 평균 2.74% 홍릉 유릉 고도 38~370m 경사는 대부분이 23 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방위는 북사 면이 많이 나타남 한강과는 4.5km, 북측의 사 능천과는 1.6km 홍릉과 유릉은 능선에 위치하 며 남측과 북측에 동에서 서 측으로의 수계가 형성됨 물리성 토성은 사질양토로 평균 토양경도는 0.2~5.0(kg/cm ) 수분함량은 12.7~36%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3.96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평균 3.68%, 0.16% 평균 전기전도도와 염농도는 각각 0.50dS/m, 0.03%로 양호 1) 조선시대 왕릉의 능역복원에 관한 연구, 2008년, 조운연.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3
지형 수계 사릉 고도 48~161m 경사는 대부분이 16 이하의 완만한 경사이 며, 방위는 남동, 동사 면이 많이 나타남 사능천이 사릉의 동측에서 접 하여 남측으로 흐르며 북측의 산줄기는 도로 및 시 설지로 인해 단절되어 수계 또한 단절됨 물리성 토성은 사질양토로 평균 토양경도는 0.2~5.0(kg/cm ) 수분함량은 굴참나무림이 23.8%로 가장 높게 나타남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08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평균 2.75%, 0.13% 평균 전기전도도, 염농도는 각각 0.31dS/m, 0.02% 광릉 고도 120~140m 경사는 대부분이 10 이하의 완만한 경사이 며, 방위는 남서 광릉 내에는 2개의 수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조왕릉과 정희왕후릉 사이에 두 갈래로 수계가 각각 작은 수계가 형 성되어 내려와 합류해 정희왕 후 좌측 수계와 합류됨 물리성 토성은 사양토 수분함량은 14.22%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23 유기물함량은 평균 3.58% 선릉 정릉 고도 30~40m 경사는 5~10 이하 동향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하 천은 위치하지 않음 1.5~1.8km 거리에 탄천과 한 강이 위치 선릉과 정릉이 위치한 산림은 다양한 표고변화로 미지형을 형성하고, 작은 세류들을 형성 물리성 양토, 미사질사양토, 사양토가 분포함 토양함수율은 9.64~32.65%, 평균함수율은 16.08%임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5.65 유기물함량은 평균 23.65% 헌릉 고도 35~285m 경사는 대부분이 22 이하의 경사를 보이 며, 방위는 남사면이 많이 나타남 대모산의 산줄기를 따라 수계 가 형성 인접하천으로는 탄천 3.2km, 한강은 6km 물리성 토성은 양질사토로 평균 토양경도는 0.1~10.0(kg/cm ) 수분함량은 참나무림에서 19.7%로 가장 많은 수분을 함유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56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평균 1.97%, 0.10% 평균 전기전도도, 염농도는 각각 3.29dS/m, 0.21% 태릉 35~65m 태릉과 강릉의 경사는 10~15 이하 남향 능선에 위치하여 수계의 직접 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나, 하 위 1차 하천을 형성하는 역할 을함 태릉에서 남측으로, 강릉에서 는 서측으로 수계 형성 태릉에서 약 3km 거리에 중 랑천이 위치하고 있음 물리성 양토, 미사질양토가 대부분을 차지함 토양함수율은 9.78~22.83% 사이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65로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토양의 산성화가 진행되었음 유기물함량은 8.50~37.89% 사이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 며, 평균 유기물함량 19.10%로 높은 비율을 보임 고도 80~90m 경사는 5~12 이하 북동향 태릉에서 약 3km 거리에 중 랑천이 위치 정릉의 능선으로 인해 정릉을 둘러싸고, 북측에서 남측으로 작은 세류가 형성됨 물리성 양토, 사양토가 대부분을 차지함 토양함수율은 10.60~17.52% 사이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68로 나타남 유기물함량은 8.79~16.23%, 평균 유기물함량 11.86%임 의릉 고도 10~30m 경사는 5~10 이하 북동향 동측으로 약 1.1km 거리에 서 울의 남북으로 흐르는 중랑천 이 위치 천장산을 중심으로 작은 수계 들이 형성 북측에 미지형에 의해 형성된 계류가 위치 물리성 양토가 대부분을 차지함 토양함수율은 8.77~22.67%, 평균 14.31%임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46으로 나타남 유기물함량은 10.66~28.60%, 평균 유기물함량 19.56%임 1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태릉 강릉 정릉 토양
지형 수계 토양 서오릉 표고 30~45m 명릉, 경릉, 창릉은 5 이하의 평탄지에 위치 수경원, 익릉, 순창원 은 5 10 사이로 비 교적 완만한 곳, 대빈 묘와 홍릉은 10 15 사이로 다소 경사지에 위치 향은 명릉, 익릉, 순창 원, 대빈묘는 서향, 수 경원 창릉은 남서향, 홍릉은 북서향이며, 경릉은 평지 각각의 능은 미지형의 영향으 로 1차 유역을 형성하고 배후 산지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하 천이 흐름 2차 또는 3차 유역을 기준으 로 창릉, 홍릉이 하나의 권역 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빈묘, 경릉, 순창원, 익릉, 수경원, 명릉이 또 다른 하나의 권역 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은 서 쪽에서 합쳐서 하나의 하천을 형성 물리성 토성은 사질식양토 함수율은 평균 3.53~20.88% 사이에 분포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5.35 유기물함량은 평균 5.93% 전기전도도는 평균 0.098 ds/cm(98.23 / ) 서삼릉 표고 50m에서 60m 내외에 위치 6개의 능 전부가 경사 도 5 10 로 비교적 완만한 곳에 위치 주로 남향과 서향을 이룸 효창원/의경원, 희릉, 예릉 3 곳은 하나의 하천권역을 이루 고 있으며, 효릉과 소경원은 각각의 소규모 유역을 가짐 하천의 흐름은 배후 산지 지 형의 영향을 받아 북서 방향 으로 흘러가며 하나로 합쳐져 유역을 형성 물리성 사양토, 사질양토, 지역이 48.3%로 가장 많았으며 양토는 31%, 식양토와 식토는 17.2%가 분포 평균 함수율은 17.93%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68 평균 유기물함량은 6.68% 전기전도도는 평균 0.06ds/cm (65.68 / ) 온릉 표고 131.8m에 위치 경사도는 10 15 로 다소 경사지에 위치하 며, 남동향에 위치 1개의 유역으로 구성되며 배 후 산지와 더불어 전면 구릉 의 영향으로 남서방향으로 하 천이 형성 물리성 토양함수율은 평균 21.72%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32~4.51 유기물함량은 평균 6.06% 전기전도도는 0.04(42.00)~ 0.17ds/cm(172.60 / ) 파주 삼릉 전반적으로 표고 30~37m 내외에 위치 3개의 능 모두 경사도 5 10 사이로 완만한 경사지에 속함 순릉은 남서향, 영릉 은 북서향, 공릉은 남 동향 위치 공릉은 배후산지의 영향으로 동쪽으로 흘러가는 1차유역이 형성되고, 북쪽에서 남으로 향하는 하천과 합류 영릉과 순릉은 배후산지의 영 향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 러가는 하천이 형성 공릉과 영릉 및 순릉을 중심 으로 형성된 유역은 영릉의 북서쪽에서 하나로 합쳐져 남 서로 흘러가는 하천을 형성 물리성 토성은 사양토가 7개소로 조사 지역 전체의 47%를 차지함 토양함수율은 평균 22.99%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5.32 유기물함량은 평균 5.90% 전기전도도는 평균 0.04ds/cm (45.89 / ) 파주 장릉 표고 24.7m에 위치 경사도는 15 이상으 로 급경지이며, 남향 에 위치 파주 장릉은 1개의 유역으로 구성되며 남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배후산지의 영향으로, 북에서 남으로 흘러가는 하천 이 형성 물리성 토성은 양토로 수분함량은 평균 19.19%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5 유기물함량은 평균 7.23% 전기전도도는 평균 0.07ds/cm (76.18 / )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5
지형 수계 김포 장릉 고도 19~140m 경사는 대부분이 12 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방위는 남사 면이 많이 나타남 개발지에 의해 사면이 단절되 어 2차 및 3차 수계를 분포 하지 않음 계양천이 약 1km 거리에 위 치하며 장릉산에서 발원하는 작은 수계가 위치 물리성 토성은 사질양토로 토양경도는 0.2~1.0(kg/cm ) 수분함량은 15.2~26%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3.87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평균 4.33%, 0.20% 평균 전기전도도, 염농도는 각각 0.52dS/m, 0.03% 융릉 건릉 고도 26~93m 경사는 대부분이 9 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방위는 남사면이 많이 나타남 개발지에 의해 둘러싸여져 외 부로부터의 수계가 단절됨 북동측남측으로 흐르는 황 구지천이 1.5km에 위치 물리성 토성은 사질양토로 토양경도는 0.5~2.0(kg/cm ) 수분함량은 17.0~23.2%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3.91 유기물과 전질소의 함량은 평균 1.53%, 0.09% 평균 전기전도도, 염농도는 각각 0.52dS/m, 0.03% 소령원 ㆍ 수길원 표고 90~120m 내외 에 위치 경사도는 소령원이 15 이상으로 급경사 지에 위치하고 있으 며, 수길원은 10 15 사이, 신도비는 5 10 사이에 위치 소령원은 동향, 수길 원은 남서향, 신도비 는 북동향 소령원, 수길원, 신도비가 지 형에 의해 형성된 계곡을 따 라 남으로 향해 흘러가는 하 나의 유역에 속해 있으며, 북 동쪽과 동쪽에서 흐르는 하천 과 신도비 앞부분에서 합쳐짐 물리성 소령원은 사양토, 사질식양토 수길원 지역은 양토, 신도비 지역은 모두 양토로 분포 함수율은 신도비 지역이 평균 23.05%로 가장 높았으며, 수 길원 지역 22.51%, 소령원 지역이 평균 19.50%로 가장 낮았 음 소령원 권역 전체의 평균 함수율은 21.90%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4.84 유기물함량은 소령원 지역 평균 5.27%, 수길원 지역 6.48%, 신도비 지역 6.32%이며 전체 평균 5.98% 전기전도도는 평균0.06ds/cm (61.85 / ) 순강원 표고 80~90m 사이에 위치 경사는 10 이하 향은 남향 또는 평지 왕숙천의 1차 수계를 형성하 고 있음 물리성 토성은 사질식양토 수분함량은 10.3~11.84%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3.98 유기물함량은 평균 3.06% 휘경원 표고 80~100m 사이 에 위치 경사는 10 이하 향은 동향 및 남동향 이 대부분을 차지 봉선사천의 1차 수계를 형성 하고 있으며, 봉선사천은 300m 거리에 위 치 물리성 토성은 사양토 수분함량은 9.56~12.87%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4.04 유기물함량은 평균 4.14% 명빈묘 표고 80~100m 사이 에 위치 경사는 10~15 이하 향은 남향 및 남서향 이 대부분을 차지 사면 길이가 짧고 경 사가 완만함 용마봉 골짜기에서 수계가 형 성 한강으로 수계가 이어짐 한강이 600m 내에 위치 물리성 토성은 사질식양토 수분함량은 9.2%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3.57 유기물함량은 평균 1.75% 1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토양
영빈묘 영휘원 ㆍ 숭인원 안빈묘 연산군 묘 지형 수계 토양 매우 완만한 구릉상에 위치 영빈묘 동측에 능선으로 인한 수계가 형성 남동측의 왕숙천으로 이어지 며 약 800m 거리에 위치 물리성 토성은 사양토 수분함량 6.84% 화학성 토양산도는 평균 ph 3.84 유기물함량은 2.62% 표고 30m 내외에 위 치 경사도는 5 이하 서향 높은 산줄기에서의 직접적인 자연수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동측으로 약 2.5km 거리에 남 북으로 흐르는 중랑천이 위치 하며, 남측으로는 약 2km 거 리에 동서로 흐르는 청계천이 위치 영휘원과 숭인원 사이에 지형 에 의해 형성된 작은 계곡이 위치하여 강우 시 하천의 역 할을 담당 물리성 토성은 사양토 수분함량은 23.68%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5.79 유기물함량은 11.25% 표고 50~100m 내외 경사도는 5~10 이하 남향 바로 건너 산에서의 우수는 남측을 가로지르는 사능천으 로 흘러감 남측은 도로에 의해 단절되어 수계 또한 단절됨 물리성 토성은 미사질양토 수분함량은 19.38%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4.94 유기물함량은 14.20% 표고 20~50m 내외 경사도는 5 이하 남동향 북측 산줄기는 방학로가 개설 되어 수계의 흐름 또한 단절 우이천은 서측으로 약 700m, 중랑천은 동측으로 약 2.5km 에 위치함 물리성 토성은 양토 수분함량은 20.53% 화학성 토양산도는 ph 4.72 유기물함량은 23.56%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7
2. 조선 왕릉의 식생 현황 1) 생태보존지역 식생 현황 (1) 식물상 ① 식물상 분포현황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한 조선 왕릉 역사문화경관림 자원조사연구에서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양치식물 9과 152속 28분류군, 나자식물 5 과 9속 18분류군, 피자식물 112과 393속 772분류군(쌍떡잎식물 98과 311속 613분류군, 외떡잎식물 14과 82속 159분류군)으로 총 126과 417속 818분류군 (703종, 6아종, 87변종, 20품종, 2교잡종)을 확인하였다. 표 2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1 과 속 종 아종 변종 품종 교잡종 분류군 양치식물 9 15 24 4 28 나자식물 5 9 18 18 피자식물 112 393 661 6 83 20 2 772 쌍떡잎식물 (98) (311) (522) (6) (65) (19) (1) (613) 외떡잎식물 (14) (82) (139) () (18) (1) (1) (159) 계 126 417 703 6 87 20 2 818 능별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동구릉 44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릉 384 분류군, 파주 삼릉 361분류군, 서오릉 333분류군, 태릉ㆍ강릉 325분류군, 의릉 288분류군, 선릉ㆍ정릉과 서삼릉 278분류군, 파주 장릉 255분류군, 정릉 244 분류군, 홍릉ㆍ유릉 230분류군, 온릉 216분류군, 사릉 180분류군, 헌릉ㆍ인릉 135분류군, 융릉ㆍ건릉 116분류군, 김포 장릉 10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표 3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2 과 속 종 아종 변종 동구릉 88 260 홍릉ㆍ유릉 66 128 품종 교잡종 재배종 분류군 372 4 55 9 3 443 230 사릉 63 99 180 광릉 90 239 324 5 46 9 384 선릉ㆍ정릉 78 191 242 3 21 11 1 278 헌릉ㆍ인릉 53 87 135 태릉ㆍ강릉 91 225 284 6 31 3 1 325 1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정릉 75 의릉 80 서오릉 87 서삼릉 76 온릉 69 파주 삼릉 171 216 3 20 5 198 254 227 295 190 159 95 파주 장릉 김포 장릉 융릉ㆍ건릉 244 3 23 8 4 26 8 288 1 333 240 5 26 186 3 22 7 278 5 216 244 311 5 37 7 1 361 75 189 224 4 20 47 62 6 1 255 101 64 92 116 ② 특기할 만한 식물 가) 한국 고유(특산)식물 본 조사에서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고유)식물은 19분류군이 확인되 었다. 동구릉 11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릉 8분류군, 태릉ㆍ강릉 7분류군, 정릉과 의릉 6분류군, 선릉ㆍ정릉과 파주 삼릉 5분류군, 서오릉과 서삼릉 각각 4분류군, 온릉 3분류군, 파주 장릉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표 4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 목록 학 명 Abies koreana Populus tomentiglandulosa Clematis trichotoma Berberis koreana Stewartia pseudocamellina Philadelphus schrenkii Indigofera koreana Viola seoulensis Abeliophyllum distichum Forsythia koreana Asperula lasianth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Galium koreanum Hosta minor Lilium amabile Iris odaesanensis 국 명 구상나무 Ⅰ 은사시나무 할미밀망 매자나무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노각나무 고광나무 민땅비싸리 서울제비꽃 미선나무 개나리 갈퀴아재비 오동나무 병꽃나무 벌개미취 흰괭이눈 참갈퀴덩굴 좀비비추 털중나리 노랑무늬붓꽃 11 8 5 7 6 6 4 4 3 5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 19
Ⅰ Ⅷ Ⅻ : 동구릉 : 정릉 : 온릉 Ⅳ Ⅸ ⅩⅢ : 광릉 : 의릉 : 파주 삼릉 Ⅴ Ⅹ ⅩⅣ : 선릉ㆍ정릉 : 서오릉 : 파주 장릉 Ⅶ Ⅺ : 태릉ㆍ강릉 : 서삼릉 나) 멸종위기 식물종 본 조사에서 선릉ㆍ정릉에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환경 부에서 고시한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분류 군이 식재되어 있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립수목원에서 IUCN(국제자연보존연맹)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한 희귀식물은 생물자원관 선정 희귀식물은 EN(위기종) 3분류군, VU(취약 종) 3분류군, LC(관심종) 7분류군, NE(미평가종) 3분류군, 총 16분류군이며 국 립수목원 선정 희귀식물은 CR(멸종위기종) 5분류군, VU(취약종) 7분류군, LC (관심종) 11분류군, 총 23분류군으로 모두 20과 26분류군이다. 동구릉에서 9분 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릉 8분류군, 태릉ㆍ강릉 7분류군, 선릉ㆍ정릉, 의릉 과 파주 장릉이 각각 5분류군, 홍릉ㆍ유릉, 정릉, 서오릉과 서삼릉이 각각 4분 류군, 헌릉ㆍ인릉 2분류군, 사릉과 온릉이 각각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1 왕벚나무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albida Viola diamantiaca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Koelreuteria paniculata 모감주나무 Rosaceae 장미과 Prunus yedonensis LC EN LC VU CR LC CR Hamamelidaceae 조록나무과 Carylopsis gotoana var. coreana 히어리 LC VU LC LC 목련 Magnoliaceae 목련과 Magnolia kobus NE NE VU LC LC Aristolochiaceae 쥐방울과 Aristolochia contorta 쥐방울덩굴 바람꽃 Anemone narcissiflora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aryophyllaceae 석죽과 Moehringia lateriflora 개벼룩 주목 VU LC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Juniperus chinensis 향나무 Thuja orientalis 측백나무 Taxaceae 주목과 Taxus cuspidata EN 구상나무 Pinaceae 소나무과 Abies koreana VU 생물자원관 국립수목원 느리미고사리 국 명 Dryopteris tokyoensis 학 명 Aspidiaceae 면마과 표 5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희귀식물 목록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 CR Ⅰ Ⅷ : 멸종위기종 : 동구릉 : 정릉 Ⅱ Ⅸ EN : 위기종 : 홍릉ㆍ유릉 : 의릉 Ⅲ Ⅹ 천마 Orchidaceae 난초과 Gastrodia elata * 창포 두루미천남성 Araceae 천남성과 Acorus calamus Arisaema heterophyllum VU LC LC VU VU CR Ⅳ Ⅺ VU : 취약종 : 사릉 : 서오릉 LC 범부채 노랑무늬붓꽃 부채붓꽃 Iridaceae 붓꽃과 Belamcanda chinensis Iris odaesanensis Iris setosa LC LC EN 나도개감채 Liliaceae 백합과 Lloydia triflora LC VU 왕씀배 CR LC CR Compositae 국화과 Prenanthes ochroleuca VU LC NE 9 Ⅰ LC : 광릉 : 서삼릉 생물자원관 국립수목원 LC 미선나무 이팝나무 왕과 국 명 Campanulaceae 초롱꽃과 Campanula takesimana 섬초롱꽃 Oleaceae 물푸레나무과 Abeliophyllum distichum Chionanthus retusa Thladiantha dubia 학 명 Cucurbitaceae 박과 Ⅴ Ⅻ 1 Ⅲ : 관심종 4 Ⅱ 8 5 Ⅴ 2 Ⅵ NE : 선릉ㆍ정릉 : 온릉 Ⅳ 5 Ⅸ 4 Ⅹ : 헌릉ㆍ인릉 : 파주 삼릉 4 Ⅷ : 미평가종 Ⅵ ⅩⅢ 7 Ⅶ Ⅶ ⅩⅣ 4 Ⅺ 4 5 ⅩⅢ ⅩⅣ : 태릉ㆍ강릉 : 파주 장릉 1 Ⅻ
표 6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등급 Ⅴ Ⅳ Ⅲ Ⅱ 학 명 Magnolia kobus Prunus yedonensis Thladiantha dubia Abeliophyllum distichum Sceptridium japonicum Pinus parviflora Thuja orientalis Fallopia sachalinensis Moehringia lateriflora Carylopsis gotoana var. coreana Wistaria floribunda Mazus stachydifolius Iris odaesanensis Iris setosa Symplocarpus renifolius Gastrodia elata Dryopteris tokyoensis Abies koreana Juniperus chinensis Taxus cuspidata Ulmus pumila Aconitum longecassidatum Berberiskoreana Stewartia pseudocamellina Rhodotypos scanden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Spiraea salicifolia Poncirustrifoliata Acer palmatum Koelreuteria paniculata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Cynanchum nipponicum Asperula lasiantha Galium kamtchaticum Glechoma grandis Sambucus latipinna Hosta clausa Lloydia triflora Diarrhena fauridi Phaenosperma globosa Polystichumbraunii Salix rorida Pseudostellaria coreana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Caulophyllum robustum Acer triflorum 국 명 목련 왕벚나무 왕과 미선나무 산꽃고사리삼 섬잣나무 측백나무 왕호장근 개벼룩 Ⅰ Ⅳ Ⅴ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개회나무 덩굴박주가리 갈퀴아재비 털둥근갈퀴 긴병꽃풀 넓은잎딱총나무 주걱비비추 나도개감채 광릉용수염 산기장 좀나도히초미 분버들 참개별꽃 Ⅷ 히어리 등 선주름잎 노랑무늬붓꽃 부채붓꽃 앉은부채 천마 느리미고사리 구상나무 향나무 주목 비술나무 흰진범 매자나무 노각나무 병아리꽃나무 쉬땅나무 꼬리조팝나무 탱자나무 단풍나무 모감주나무 Ⅶ 매발톱 꿩의다리아재비 복자기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3
등급 학 명 국 명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민둥뫼제비꽃 Sanicula rubriflora 붉은참반디 Primula sieboldi 붉은병꽃나무 Adoxa moschatellina 연복초 Arisaema heterophyllum 두루미천남성 Dryopteris crassirhizoma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Matteuccia struthiopteris Lepisorus onoei Abies holophylla Lonicera praeflorens Pinus koraiensis Juglans mandshurica Betula davurica Ulmus parvifolia Celtis biondii Lychnis cognata Aconitum jaluense Clematis patens Berberis amurensis Chloranthus japonicus Aristolochia contorta Ⅰ Hylomecon vernale Hylotelephiuim verticillatum Ribes mandshuricum Potentilla cryptotaeniae Malus baccata Oxalis obtriangulata Impatiens nolitangere Euonymus japonicus Buxus koreana Grewia parviflora Gynostemma pentaphyllum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Fraxinus mandshurica Nymphoides peltata Cirsium pendulum Hosta minor Polygonatum inflatum Diarrhena mandshurica 2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Ⅴ Ⅳ Ⅸ ⅩⅢ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관중 참나도히초미 청나래고사리 애기일엽초 전나무 올괴불나무 잣나무 가래나무 물박달나무 참느릅나무 폭나무 동자꽃 투구꽃 큰꽃으아리 매발톱나무 홀아비꽃대 쥐방울덩굴 피나물 세잎꿩의비름 까치밥나무 물양지꽃 야광나무 큰괭이밥 노랑물봉선 사철나무 회양목 장구밤나무 돌외 오갈피나무 들메나무 노랑어리연꽃 큰엉겅퀴 좀비비추 퉁둥굴레 껍질용수염 : 광릉 : 의릉 : 파주 삼릉 Ⅶ 이팝나무 Weigela florida : 동구릉 : 정릉 : 온릉 Ⅳ 앵초 Ⅱ Chionanthus retusa Ⅰ Ⅷ Ⅻ Ⅰ Ⅴ Ⅹ ⅩⅣ : 선릉ㆍ정릉 : 서오릉 : 파주 장릉 Ⅶ Ⅺ : 태릉ㆍ강릉 : 서삼릉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식물구계학적으로 선정된 특정식물종은 서로 다른 지역의 환경을 서로 다르게 표현해 주고, 서로 유사한 지역의 환경은 서로 유사하게 표현해 주는 데 이용되 는 분류군으로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를 합리적으로 이해하려는 측면에서 중요 한 의미를 지닌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분포지역의 범위에 따라 5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Ⅴ등급은 국내에서 고립되어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256분류군, Ⅳ등급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로서 일반적으로 1개 아구에 분포 하는 분류군으로 384분류군, Ⅲ등급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로서 일반적으로 2개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316분류군, Ⅱ등급은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 하지만 일반적으로 1,000m 이상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135분류군, Ⅰ등 급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식물로서 일반적으로 3개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167분류군이며 총 1,257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환경부ㆍ국립환경과학원, 2013). 본 조사에서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4분류군, Ⅳ등급 12분류군, Ⅲ등급 24류군, Ⅱ등급 13분류군, Ⅰ급 35분류군 총 88분류군 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Ⅴ등급 4분류군 중 3분류군(목련, 왕벚나무, 미선나무), Ⅳ등급 12분류군 중 7분류군(섬잣나무, 측백나무, 왕호장근, 히어리, 등, 노랑무 늬붓꽃, 부채붓꽃)이 자생종이 아닌 식재종인 것과 같이 많은 종이 식재종이기 때문에 조선 왕릉지역은 식물분포학적으로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라) 귀화식물 본 조사에서 조선 왕릉에 분포가 확인된 귀화식물은 총 21과 55속 68분류군이 다. 따라서 인간 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의 표시 지수로 사용되는 도시화지 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09종에 대해 22.01%로 나타났으며, 본 조사지역의 출현종 818분류군에 대한 귀화율은 8.31%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중 환경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으로 고시한 생태계 교란 외래식 물(2005, 환경부령 183호)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 국쑥부쟁이(Aster pilosus), 서양등골나물(Eupatorium rugosum), 가시상추(Lactuca scariola)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과별로 구분하면, 국화과가 전체 귀화식물 68 분류군의 44.573%인 22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벼과가 13.24%인 9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5
2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미국자리공 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끈끈이대나물 유럽개미자리 흰명아주 좀명아주 개비름 Phytol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Phytolacca esculenta Caryophyllaceae 석죽과 Cerastium glomeratum Silenea rmeria Spergularia rubra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Amarantaceae Amaranthus lividus 유럽나도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개소시랑개비 서양산딸기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Barbarea vulgaris Lepidium apetalum Lepidium virginicum Rosaceae 장미과 Potentilla supina Rubus fruticosus Laguminosae 콩과 Amorpha fruticosa Robinia pseudoacacia Cruciferae 닭의덩굴 애기수영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국 명 Fallopia dumetorum Rumex acetosella Rumex crispus Rumex obtusifolius 학 명 Polygonaceae 마디풀과 표 7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Ⅰ Ⅲ Ⅱ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ⅩⅤ ⅩⅥ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7 가죽나무 어저귀 종지나물 가시박 달맞이꽃 미국실새삼 미국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둥근잎유홍초 컴프리 자주광대나물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Ailanthus altissima Malvaceae 아욱과 Abutilon theophrasti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papilionacea Cucurbitaceae 박과 Sisyos angulatus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Convolvulaceae 메꽃과 Cuscuta pentagona Ipomoea hederacea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Ipomoea purpurea Quamoclit coccinea Boraginaceae 지치과 Symphytum officinale Labiatae 꿀풀과 Lamium purpureum 국 명 토끼풀 큰땅빈대 애기땅빈대 학 명 Euphorbiaceae 대극과 Euphorbia maculata Euphorbia supina Trifolium repens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ⅩⅤ ⅩⅥ
2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도깨비가지 선개불알풀 큰개불알풀 서양톱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불란서국화 망초 큰금계국 기생초 붉은서나물 개망초 봄망초 서양등골나물 털별꽃아재비 뚱딴지 가시상추 원추천인국 개쑥갓 큰방가지똥 서양민들레 도꼬마리 개나래새 까락빕새귀리 오리새 Scrophulariaceae 현삼과 Veronica arvensis Veronica persica Compositae 국화과 Achillea millefolium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Bidensf rondosa Carduus crispus Chrysanthemum leucanthemum Conyza canadensis Coreopsis lanceolata Coreopsis tinctoria Erechtites hieracifolia Erigeron annuus Erigeron philadelphicus Eupatorium rugosum Galinsoga ciliata Helianthus tuberosus Lactuca scariola Rudbeckia bicolor Senecio vulgaris Sonchus asper Taraxacum officinale Xanthium strumarium Gramineae 벼과 Arrhenatherum elatius Bromus sterilis Dactylis glomerata 국 명 Solanum carolinense 학 명 Solanaceae 가지과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ⅩⅤ ⅩⅥ
2010~2016년 종합평가ㆍ 29 Ⅰ Ⅶ ⅩⅢ : 동구릉 : 태릉ㆍ강릉 : 파주 삼릉 학 명 Eragrostis curvula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Panicum dichotomiflorum Phleum pratense Poa pratensis Ⅱ Ⅷ ⅩⅣ : 홍릉ㆍ유릉 : 정릉 : 파주 장릉 Ⅲ Ⅸ ⅩⅤ 국 명 능수참새그령 큰김의털 호밀풀 미국개기장 큰조아재비 왕포아풀 Ⅱ : 사릉 : 의릉 : 김포 장릉 Ⅰ Ⅲ Ⅳ Ⅹ ⅩⅥ Ⅳ Ⅵ : 광릉 : 서오릉 : 융릉ㆍ건릉 Ⅴ Ⅴ Ⅺ Ⅶ Ⅷ Ⅹ : 선릉ㆍ정릉 : 서삼릉 Ⅸ Ⅵ Ⅻ Ⅺ Ⅻ ⅩⅣ : 헌릉ㆍ인릉 : 온릉 ⅩⅢ ⅩⅤ ⅩⅥ
3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지네고사리 처녀고사리 참새발고사리 Woodsiaceae 우드풀과 Athyrium brevifrons Kodama ex Nakai 참나도히초미 Thelypteris 처녀고사리과 Thelypteris japonica (Bak.) Ching Thelypteris palustris (Salisb.) Schott 왁살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리 가는잎족제비고사리 관중 느리미고사리 좀나도히초미 십자고사리 꼬리고사리 Aspidiaceae 면마과 Arachniodes borealis Serizawa Dryopteris bissetiana (Bak.) C. Christensen Dryopteris chinensis (Bak.) Koidzumi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Dryopteris tokyoensis (Mats. ex Mak.) C. Christensen Polystichum braunii (Spenner) Fe'e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H. Christ) Sa. Kurata Polystichum tripteron (Kunze) Presl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incisum Thunberg 고사리 꿩고비 고비 Osmundaceae 고비과 Osmunda cinnamomea var. fokiensis Copeland Osmunda japonicia Thunberg Ⅰ 황고사리 잔고사리 고사리삼 산꽃고사리삼 Ophioglossaceae 고사리삼과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Sceptridium japonicum (Prantl) Lyon Dennstaedtiaceae 잔고사리과 Dennstaedtia wilfordii (Moore) Christ Dennstaedtia hirsuta (Sw.) Mettenius ex Miquel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ood ex A.Heller 쇠뜨기 국 명 학 명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innaeus 표 8 조선 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31 은행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일본잎갈나무 독일가문비 백송 소나무 잣나무 섬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메타쉐쿼이아 Ginkgoaceae 은행나무과 Ginkgo biloba Linnaeus Pinaceae 소나무과 Abies holophylla Maximowicz Abies koreana E.H. Wilson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Picea abies (L.) H. Karsten Pinus bungeana Zuccarini ex Endlicher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arini Pinus parviflora Siebold et Zuccarini Pinus rigida Miller Pinus strobus Linnaeus Taxodiceae 낙우송과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et Cheng 화백 향나무 노간주나무 서양측백나무 측백나무 애기일엽초 Polypodiaceae 고란초과 Lepisorus onoei (Fr. et Sav.) Ching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Chamaecyparis pisifera (Sieb. et Zucc.) Endlicher Juniperus chinensis Linnaeus Juniperus rigida Siebold et Zuccarini Thuja occidentalis Linnaeus Thuja orientalis Linnaeus 국 명 개고사리 뱀고사리 좀진고사리 진고사리 흰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학 명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Athyrium yokoscense (Fr. et Sav.) Christ Deparia conilii (Fr. et Sav.) M. Kato Deparia japonica (Thunb.) M. Kato Deparia orientalis (Z.R. Wang & J.J. Chein) Nakaike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aro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Maximowicz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3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주목 가래나무 중국굴피나무 황철나무 은사시나무 호랑버들 갯버들 버드나무 키버들 분버들 선버들 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오리나무속 spp.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개암나무 참개암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Pterocarya stenoptera De Candolle Salicaceae 버드나무과 Populus maximowiczii A. Henry Populus tomentiglandulosa T.B. Lee Salix caprea Linnaeus Salix gracilistyla Miquel Salix koreensis Andersson Salix koriyanagi Kimura Salix rorida Lakschevitz Salix subfragilis Andersson Betulaceae 자작나무과 Alnus japonica (Thunb.) Steudel Alnus sibirica Fischer ex Turczaninow Alnus spp. Betula davurica Palla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 Hara Carpinus cordata Blume Carpinus laxiflora (Sieb. et Zucc.) Blume Corylus heterophylla Fischer ex Trautvetter Corylus sieboldiana Blume Fagaceae 참나무과 Castanea crenata Siebold et Zuccarini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dentata Thunberg Quercus mongolica Fischer ex Ledebour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Bl.) H. Ohashi Quercus serrata Thunberg Quercus variabilis Blume 국 명 학 명 Taxaceae 주목과 Taxus cuspidata Siebold et Zuccarini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33 폭나무 풍게나무 팽나무 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비술나무 느티나무 두충 꾸지뽕나무 산뽕나무 가새뽕나무 뽕나무 환삼덩굴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풀거북꼬리 혹쐐기풀 큰물통이 모시물통이 물통이 붉은겨우살이 큰닭의덩굴 닭의덩굴 감절대 Eucommiaceae 두충과 Eucommia ulmoides Oliver Moraceae 뽕나무과 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 Morus bombycis Koidzumi Morus bombycis for. dissecta Nakai Morus alba Linnaeus Cannab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arini Urtiaceae 쐐기풀과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erg Boehmeria ricuspis (Hance) Makino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Laporteae bulbifera (Sieb. & Zucc.) Weddell Pilea hamaoi Makino Pilea mongolica Weddell Pilea peploides (Gaud.) Hooker et Arnott Loranthaceae 겨우살이과 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 Ohwi Polygonaceae 마디풀과 Fallopia dentatoalata (F. Schmidt) Holub Fallopia dumetorum (L.) Holub Fallopia forbesii (Hance) K. Yonekura & Ohashi 국 명 학 명 Ulmaceae 느릅나무과 Celtis biondii Pampanini Celtis jessoensis Koidzumi Celtis sinensis Persoo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 Nakai Ulmus parvifolia Jacguin Ulmus pumila Linnaeus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Ⅰ Ⅸ Ⅹ Ⅺ Ⅷ Ⅶ Ⅴ Ⅳ Ⅻ ⅩⅢ ⅩⅣ
3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미국자리공 쇠비름 석류풀 Phytol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innaeus Portulaceae 쇠비름과 Portulaca oleracea Linnaeus Molluginaceae 석류풀과 Mollugo pentaphylla Linnaeus Caryophyllaceae 석죽과 Arenaria serpyllifolia Linnaeus 벼룩이자리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isanense (Nakai) Mizushima 점나도나물 Cucubalus baccifer var. japonicus Miquel 덩굴별꽃 Dianthus chinensis Linnaeus 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for. albiflora T.B. Lee 흰패랭이꽃 국 명 호장근 왕호장근 가시여뀌 이삭여뀌 여뀌 개여뀌 명아자여뀌 며느리배꼽 장대여뀌 좁은잎미꾸리낚시 바보여뀌 미꾸리낚시 며느리밑씻개 고마리 기생여뀌 봄여뀌 마디풀 애기수영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학 명 Fallopia japonica (Houtt.) RonseDecr. Fallopia sachalinensis (F. Schmidt) Ronse Decr. Persicaria dissitiflora (Heml.) H. Gross ex Mori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awa Persicaria nodosa (Pers.) Opiz 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 Hara Persicaria praetermissa (Hooker f.) Hara Persicaria pubescens (Bl.) H. Hara Persicaria sagittata (L.) H. Gross ex Nakai Persicaria senticosa (Meisn.) H. Gross ex Nakai Persicaria thunbergii (Sieb. et Zucc.) H. Gross ex Nakai Persicaria viscosa (Hamilt. ex D. Don.) H. Gross ex Nakai Persicaria vulgaris Webb & Moquin Polygonum aviculare Linnaeus Rumex acetosella Linnaeus Rumex crispus Linnaeus Rumex obtusifolius Linnaeus Ⅰ Ⅳ Ⅴ Ⅶ Ⅷ Ⅹ Ⅸ Ⅺ Ⅻ ⅩⅣ ⅩⅢ
2010~2016년 종합평가ㆍ 35 일본목련 목련 오미자 Schisandraceae 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Ⅸ Ⅹ Ⅺ Ⅷ Ⅶ Ⅴ Ⅳ 자주목련 쇠무릎 개비름 Amarant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Amaranthus lividus Linnaeus 백합나무 백목련 흰명아주 명아주 좀명아주 댑싸리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Linnaeu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Kochia scoparia (L.) Schrader Ⅰ Magnoliaceae 목련과 Liriodendron tulipifera Linnaeus Magnolia denudata Desrousseaux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Maxim.) Rehder et E.H. Wilson Magnolia obovata Thunberg Magnolia kobus De Candolle 국 명 술패랭이꽃 동자꽃 개벼룩 참개별꽃 개별꽃 큰개별꽃 개미자리 끈끈이대나물 털장구채 장구채 가는장구채 유럽개미자리 벼룩나물 쇠별꽃 별꽃 학 명 Dianthus longicalyx Miquel Lychnis cognata Maximowicz Moehringia lateriflora (L.) Fenzl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ann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Sagina japonica (Sw.) Ohwi Silenea rmeria Linnaeus Silene firma for. pubescens (Mak.) Makino Silene firma Siebold et Zuccarini Silene seoulensis Nakai Spergularia rubra (L.) J. et C. Presl Stellaria alsinevar.undulata (Thunb.) Ohwi Stellaria aquatica (L.) Scopoli Stellaria media (L.) Villars Ⅻ ⅩⅢ ⅩⅣ
3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매발톱나무 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 꿩의다리아재비 남천 으름덩굴 댕댕이덩굴 Lardizabaceae 으름덩굴과 Akebia quinata (Thunb.) Decaisne Menisoermaceae 새모래덩굴과 Cocculus trilobus (Thunb.) De Candolle 매발톱 Berberidaceae 매자나무과 Berberis amurensis Ruprecht Berberis koreana Palibin Berberis thunbergii De Candolle Caulophyllum robustum Maximowicz Nandina domestica Thunberg Ⅳ Ⅰ 투구꽃 흰진범 노루삼 복수초 사위질빵 검은종덩굴 종덩굴 큰꽃으아리 으아리 할미밀망 할미꽃 젓가락나물 미나리아재비 개구리미나리 산꿩의다리 계수나무 Cercidiphyllaceae 계수나무과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et Zuccarini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Aconitum jaluense Komarov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Actaea aciatica H. Hara Adonis amurensis Regel et Radde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 et Mey.) Kitamura Clematis apiifolia De Candolle Clematis fusca Turczaninow 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owicz Clematis patens C. Morren et Decaisne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Clematis trichotoma Nakai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Mori Ranunculus chinensis Bunge Ranunculus japonicus Thunberg Ranunculus tachiroei Franchet et Savatier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Huth) Ohwi 생강나무 국 명 학 명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37 쥐방울덩굴 족도리풀 작약 목단 다래 노각나무 물레나물 고추나물 애기고추나물 좀고추나물 애기똥풀 피나물 Aristolochiaceae 쥐방울과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sarum sieboldii Miquel Paeoniaceae 작약과 Paeonia lactiflora Pallas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Sieb. et Zucc.) Planchon ex Miquel Theaceae 차나무과 Stewartia pseudocamellina Maximowicz Hyoericaceae 물레나물과 Hypericum ascyron Linnaeus Hypericum erectum Thunberg Hypericum japonicum Thunberg Hypericum laxum (Bl.) Koidzumi Papaveracea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Hylomecon vernale Maximowicz 자주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현호색 홀아비꽃대 Chloranthaceae 홀아비꽃대과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Fumariaceae 현호색과 incisa (Thunb.) Persoon ochotensis Turczaninow pauciovulata Ohwi remota Fischer ex Maximowicz 수련속 spp. Nymphaeaceae 수련과 Nymphaea spp. Corydalis Corydalis Corydalis Corydalis 국 명 새모래덩굴 학 명 Menispermum dauricum De Candolle Ⅰ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3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국 명 산괴불주머니 들현호색 금낭화 유럽나도냉이 냉이 좁쌀냉이 황새냉이 싸리냉이 미나리냉이 큰황새냉이 꽃다지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개갓냉이 속속이풀 양버즘나무 히어리 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가는기린초 기린초 돌나물 숙은노루오줌 노루오줌 괭이눈 흰괭이눈 학 명 Corydalis speciosa Maximowicz Corydalis ternata (Nakai) Nakai Dicentra spectabilis (L.) Lemarie Cruciferae 십자화과 Barbarea vulgaris R. Brown Capsella bursapastoris (L.) L.W. Medicus Cardamine fallax Linnaeus Cardamine flexuosa Wither Cardamine impatiens Linnaeus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 Schulz Cardamine scutata Thunberg Draba nemorosa Linnaeus Lepidium apetalum Willdenow Lepidium virginicum Linnaeus Rorippa indica (L.) Hiern Rorippa palustris (Leyss.) Besser Platanaceae 버즘나무과 Platanus occidentalis Linnaeus Hamamelidaceae 조록나무과 Ca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 Yamazaki Crassulaceae 돌나물과 Hylotelephium erythrostichum (Miq.) H. Ohba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Ohba Sedum aizoon Linnaeus Sedum kamtschaticum Fischer & Meyer Sedum sarmentosum Bunge Saxifragaceae 범의귀과 Astilbe koreana (Kom.) Nakai Astilbe rubra Hooker f. et Thomas ex Hookerfil.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owicz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 Terracc.) Hara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39 국 명 빈도리 매화말발도리 돌단풍 얇은잎고광나무 까마귀밥나무 까치밥나무 바위취 짚신나물 명자나무 모과나무 산당화 산사나무 뱀딸기 터리풀 큰뱀무 죽단화 야광나무 털야광나무 꽃사과나무 가락지나물 딱지꽃 물양지꽃 양지꽃 세잎양지꽃 개소시랑개비 민눈양지꽃 윤노리나무 살구나무 산옥매 옥매 홍매 이스라지 매실나무 귀룽나무 복사나무 학 명 Deutzia crenata Siebold et Zuccarini Deutzia uniflora Shirai Mukdenia rossii (Oliver) Koidzumi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echt et Maximowicz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owicz Ribes mandshuricum (Maxim.) Komarov Saxifraga stolonifera Meerburgh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our 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ey ex Spach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Crataegus pinnatifida Bunge Duchesnea indica (Andr.) Focke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Geum aleppicum Jacguin Kerria japonica for. pleniflora (Witt.) Rehder Malus baccata Borkhausen 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Maxim.) C.K. Schneider Malus floribunda Siebold ex Van Houtte Potentilla anemonefolia Lehmann Potentilla chinensis Seringe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owicz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imowicz Potentilla freyniana Bornmu"ller Potentilla supina Linnaeus Potentilla yokusaiana Makino Pourthiaea villosa (Thunb.) Decaisne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owicz Prunus glandulosa Thunberg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 Koehne Prunus glandulosa for. sinensis (Pers.) Koehne Prunus japonica var. nakaii (H. Le'v.) Rehder Prunus mume (Sieb.) Siebold et Zuccarini Prunus padus Linnaeus Prunus persica (L.) Batsch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4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국 명 만첩홍도 자두나무 산벚나무 겹벚꽃나무 벚나무 앵도나무 개벚나무 처진개벚 왕벚나무 콩배나무 돌배나무 문배 병아리꽃나무 찔레꽃 만첩해당화 산딸기 서양산딸기 줄딸기 멍석딸기 곰딸기 오이풀 쉬땅나무 팥배나무 마가목 일본조팝나무 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국수나무 Laguminosae 콩과 Albizia julibrissin Durazzini 자귀나무 Amorpha fruticosa Linnaeus 족제비싸리 Amphicarpaea bracteata ssp. edgeworthii (Benth.) H. Ohashi 새콩 Astragalus sinicus Linnaeus 자운영 Caraganas inica (Buchoz) Rehder 골담초 Cercis chinensis Bunge 박태기나무 Chamaecrista nomame (Sieb.) H. Ohashi 차풀 학 명 Prunus persica for. rubroplena C.K. Schneider Prunus salicina Lindley Prunus sargentii Rehder Prunus serrulata for. fugenzo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 Wilson Prunus tomentosa Thunberg Prunus verecunda (Koidz.) Koehne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Nakai) W.T. Lee Prunus yedonensis Matsumura Pyrus calleryana var. aurieo (C.K. Schn.) Rehder Pyrus pyrifolia (Burm. f.) Nakai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Nakai) T.B. Lee Rhodotypos scandens (Thunb.) Makino Rosa multiflora Thunberg Rosa rugosa for. plena (Reg.) Byhouwer Rubus crataegifolius Bunge Rubus fruticosus Linnaeus Rubus oldhamii Miquel Rubus parvifolius Linnaeus Rubus phoenicolasius Maximowicz Sanguisorba officinalis Linnaeu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owicz Sorbus alnifolia (Sieb. et Zucc.) K. Koch Sorbus commixta Hedlund Spiraea japonica Linnaeus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Spiraea salicifolia Linnaeus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Ⅳ Ⅰ Ⅴ Ⅶ Ⅷ Ⅹ Ⅸ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41 괭이밥 큰괭이밥 선괭이밥 쥐손이풀 이질풀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sibiricum Linnaeus Geranium thunbergii Siebold et Zuccarini 국 명 큰도둑놈의갈고리 도둑놈의갈고리 주엽나무 돌콩 땅비싸리 민땅비싸리 둥근매듭풀 매듭풀 활량나물 싸리 비수리 참싸리 조록싸리 고양싸리 풀싸리 벌노랑이 다릅나무 칡 아까시나무 고삼 회화나무 토끼풀 얼치기완두 나비나물 큰나비나물 광릉갈퀴 새팥 등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innaeus Oxalis obtriangulata Maximowicz Oxalis stricta Linnaeus 학 명 Desmodium oldhami Oliver Desmodium podocarpum ssp. oxyphyllum (DC.) H. Ohashi Gleditisia japonica Miquel Glycine soja Siebold et Zuccarini Indigofera kirilowii Maximowicz ex Palibin Indigofera koreana Ohwi 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er Lathyrus davidii Hance Lespedeza bicolor Truczaninow Lespedeza cuneata G. Don Lespedeza cyrtobotrya Miquel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er Lespedeza robusta Nakai Lespedeza thunbergii ssp. formosa (Vogel) H. Ohashi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Maackia amurensis Ruprecht et Maximowicz Pueraria lobata (Willd.) Ohwi Robinia pseudoacacia Linnaeus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Sophora japonica Linnaeus Trifolium repens Linnaeus Vicia tetrasperma (L.) Schreber Vicia unijuga A. Braun Vicia unijuga var. ouensanensis H. Le'veille'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owicz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 Ohashi Wistaria floribunda (Willd.) De Candolle Ⅳ Ⅰ Ⅶ Ⅴ Ⅷ Ⅸ Ⅺ Ⅹ Ⅻ ⅩⅢ ⅩⅣ
4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애기풀 붉나무 개옻나무 옻나무 Polygalaceae 원지과 Polygala japonica Houttuyn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javanica Linnaeus Rhus trichocarpa Miquel Rhus verniciflua Stokes 중국단풍 단풍나무 홍단풍 고로쇠나무 만주고로쇠 당단풍나무 신나무 복자기 가죽나무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Aceraceae 단풍나무과 buergeriannum Miquel palmatum Thunberg palmatum var. sanguineeum Nakai pictum ssp. mono (Maxim.) Ohashi pictum var. truncatum (Bunge) C.S. Chang pseudosieboldianum (Pax) Komarov tataricum ssp. ginnala (Maxim.) Wesmael triflorum Komarov 쉬나무 탱자나무 산초나무 Rutaceae 운향과 Evodia daniellii Hemsley Poncirus trifoliata (L.) Rafinesque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arini Acer Acer Acer Acer Acer Acer Acer Acer 깨풀 큰땅빈대 개감수 애기땅빈대 여우주머니 광대싸리 국 명 세잎쥐손이 Euphorbiaceae 대극과 Acalypha australis Linnaeus Euphorbia maculata Linnaeus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et Decaisne Euphorbia supina Rafinesque Phyllanthus ussuriensis Ruprecht et Maximowicz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학 명 Geranium wilfordii Maximowicz Ⅰ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43 모감주나무 노랑물봉선 물봉선 봉선화 칠엽수 낙상홍 푼지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회잎나무 줄사철나무 참빗살나무 사철나무 참회나무 회나무 고추나무 회양목 헛개나무 갈매나무 대추나무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nolitangere Linnaeus Impatiens textori Miquel Impatiens balsamina Linnaeus Hippocastanaceae 칠엽수과 Aesculus turbinata Blume Aquifoliaceae 감탕나무과 Ilex serrata Thunberg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Celastrus flagellaris Ruprecht Celastrus orbiculatus Thunberg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Fr. et Sav.) Hiyama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Miq.) Rehder Euonymus hamiltonianus Wall. Euonymus japonicus Thunberg Euonymus oxyphyllus Miquel Euonymus sachalinensis (F. Schmidt) Maximowicz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e Candolle Buxaceae 회양목과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Rhamnaceae 갈매나무과 Hovenia dulcis Thunberg Rhamnus davurica Pallas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국 명 학 명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4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보리수나무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erg 졸방제비꽃 태백제비꽃 남산제비꽃 단풍제비꽃 둥근털제비꽃 흰털제비꽃 왜제비꽃 잔털제비꽃 흰젖제비꽃 제비꽃 종지나물 흰제비꽃 털제비꽃 고깔제비꽃 서울제비꽃 수까치깨 Sterculiaceae 벽오동과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Violaceae 제비꽃과 acuminata Ledebour albida Palibin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 F. Maekawa albida for. takahashii (Mak.) W.T. Lee collina Besser hirtipes S. Moore japonica Langsdorf ex Ging. keiskei Miquel lactiflora Nakai mandshurica W. Becker papilionacea Pursh patrinii De Candolle ex Pursh phalacrocarpa Maximowicz rossii Hemsley seoulensis Nakai 어저귀 무궁화 Malvaceae 아욱과 Abutilon theophrasti Medicus Hibiscus syriacus Linnaeus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장구밤나무 찰피나무 피나무 Tiliaceae 피나무과 Grewia parviflora Bunge Tilia mandshurica Ruprecht et Maximowicz Tilia amurensis Ruprecht 국 명 개머루 가새잎개머루 담쟁이덩굴 왕머루 학 명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etter Ampelopsis brevipedunculata for. citrulloides Rehder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et Zucc.) Planchon Vitis amurensis Ruprecht Vitaceae 포도과 Ⅳ Ⅰ Ⅴ Ⅶ Ⅷ Ⅸ Ⅻ Ⅺ Ⅹ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45 쇠털이슬 털이슬 달맞이꽃 박쥐나무 층층나무 산딸나무 산수유 말채나무 Onagraceae 바늘꽃과 Circaea cordata Royle Circaea mollis Siebold et Zuccarini Oenothera biennis Linnaeus Alangiaceae 박쥐나무과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Cornaceae 층층나무과 controversa Hemsley ex Prain kousa F. Buerger ex Miquel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walteri F.T. Wangerin Araliaceae 두릅나무과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 Chu Aralia elata (Miq.) Seemann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et Maxim.) S.Y. Hu 독활 두릅나무 오갈피나무 마름 Hydrocaryaceae 마름과 Trapa japonica Flerow Cornus Cornus Cornus Cornus 배롱나무 부처꽃 Lythraceae부처꽃과 Lagerstroemia indica Linnaeus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국 명 민둥뫼제비꽃 알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 콩제비꽃 호제비꽃 돌외 가시박 왕과 하늘타리 학 명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 F. Maekawa variegata Fischer ex Link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ex Regel verecunda A. Gray yedoensis Makino Cucurbitaceae 박과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Sisyos angulatus Linnaeus Thladiantha dubia Bunge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Viola Viola Viola Viola Viola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4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국 명 가는잎음나무 음나무 철쭉 흰산철쭉 산철쭉 봄맞이 큰까치수염 Primulaceae 앵초과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ill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흰진달래 영산홍 진달래 노루발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albiflorum (Nakai) Okuyam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owicz Rhododendron yedoense for. albiflora Chang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H. Le'v.) Sugim. Pyrolaceae 노루발과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eld Umbelliferae 산형과 Angelica acutiloba (Sieb. et Zucc.) Kitagawa 왜당귀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et et Savatier 바디나물 Cryptotaen iajaponica Hasskarl 파드득나물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어수리 Hydrocotyle maritima Honda 선피막이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피막이 Oenanthe javanica (Bl.) De Candolle 미나리 Osmorhiza aristata (Thunb.) Makino et Yabe 긴사상자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awa 신감채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묏미나리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Fischer ex De Candolle 기름나물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Sanicula chinensis Bunge 참반디 Sanicula rubriflora F. Schmidt ex Maximowicz 붉은참반디 Sium ninsi Linnaeus 감자개발나물 Sium suave Walter 개발나물 학 명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czumi Kalopanax septemlobus var. maximowiczii (v. Houtte) HandelMazzetti Ⅰ Ⅳ Ⅴ Ⅶ Ⅷ Ⅸ Ⅹ Ⅻ Ⅺ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47 미선나무 이팝나무 개나리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쥐똥나무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서양수수꽃다리 큰벼룩아재비 Oleaceae 물푸레나무과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 Forsythia koreana (Rehd.) Nakai Fraxinus mandshurica Ruprecht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et Zuccarini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Hara Syringa vulgaris Linnaeus Loganiaceae 마전과 Mitrasacme pygmaea R. Brown 노랑어리연꽃 노린재나무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whi Menyanthaceae 조름나물과 Nymphoides peltata (Gmelin) Kuntze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arini Styrax obassia Siebold et Zuccarini 용담 큰구슬붕이 감나무 고욤나무 Ebenaceae 감나무과 Diospyros kaki Thunberg Diospyros lotus Linnaeus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scabra Bunge Gentiana zollingeri Fawcett 국 명 좀가지풀 좁쌀풀 앵초 학 명 Lysimachia japonica Thunberg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 Kunth Primula sieboldii E. Morren Ⅰ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4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애기메꽃 메꽃 실새삼 새삼 미국실새삼 미국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둥근잎유홍초 꽃받이 컴프리 꽃마리 참꽃마리 좀작살나무 흰좀작살나무 작살나무 Convolvulaceae 메꽃과 Calystegia hederacea Wallich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a (Choisy) Makino Cuscuta australis R. Brown Cuscuta japonica Choisy Cuscuta pentagona Engelmann Ipomoea hederacea Jacguin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 Gray Ipomoea purpurea Roth Quamoclit coccinea Moench Boraginaceae 지치과 Bothriospermum tenellum (Hornem.) Fischeret C.A. Meyer Symphytum officinale Linnaeus Trigonotis pedunucularis (Trev.) Bentham ex Hemsley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Verbenaceae 마편초과 Callicarpa dichotoma (Lour.) K. Koch Callicarpa dichotoma for. dalbifructa Moldenke Callicarpa japonica Thunberg 갈퀴아재비 털둥근갈퀴 참갈퀴덩굴 산갈퀴 갈퀴덩굴 계요등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Rubiaceae 꼭두서니과 Asperula lasiantha Nakai Galium kamtshaticum Steller ex Schultes Galium koreanum (Nakai) Nakai Galium pogonanthum Franchet et Savatier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Paederia scandens (Lour.) Merrill Rubia akane Nakai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imowicz 덩굴박주가리 산해박 박주가리 Ⅳ Ⅰ 국 명 학 명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Cynanchum nipponicum Matsumura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awa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Ⅴ Ⅷ Ⅶ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49 Lyciumc Physalis Solanum Solanum Solanum Solanum Solanaceae 가지과 hinense Miller alkekengi var. francheti (Mast.) Makino carolinense Linnaeus japonense Nakai lyratum Thunberg nigrum Linnaeus Labiatae 꿀풀과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 Kuntze Ajuga decumbens Thunberg Ajuga multiflora Bunge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ara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H. Le'v.) Koidzumi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awa Glechoma grandis (A. Gray) Kuprian Isodonexcisus (Maxim.) Kudo Isodoninflexus (Thunb.) Kudo Lamium album var. barbatum (Sieb. et Zucc.) Franchet et Savatier Lamium amplexicaule Linnaeus Lamium purpureum Linnaeus Leonurus japonicus Houttuyn Lycopus lecidus Turczaninow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Mosla dianthera (Buch.Hamilton ex Roxb.) Maximowicz Mosla punctulata (J.E. Gmelin) Nakai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Perilla frutescens var. aponica (Hassk.) Hara Phlomis umbrosa Turczaninow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Scutellaria indica Linnaeus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Maxim.) Hara 학 명 Caryopteris diviricata (Sieb. et Zucc.) Maximowicz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erg 구기자나무 꽈리 도깨비가지 좁은잎배풍등 배풍등 까마중 Ⅶ Ⅴ Ⅳ 광대수염 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익모초 쉽싸리 애기쉽싸리 벌깨덩굴 쥐깨풀 들깨풀 소엽 들깨 속단 꿀풀 골무꽃 덩굴곽향 Ⅰ 배초향 금창초 조개나물 층층이꽃 산층층이 꽃향유 긴병꽃풀 오리방풀 산박하 국 명 누린내풀 누리장나무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5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누은주름잎 주름잎 선주름잎 꽃며느리밥풀 애기며느리밥풀 오동나무 참오동나무 큰개현삼 선개불알풀 꼬리풀 문모초 큰개불알풀 개오동 쥐꼬리망초 파리풀 질경이 인동 괴불나무 올괴불나무 넓은잎딱총나무 딱총나무 가막살나무 덜꿩나무 불두화 백당나무 Bignoniaceae 능소화과 Catalpa ovata G. Don Acanthceae 쥐꼬리망초과 Justicia procumbens Linnaeus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innaeus Caprifoliaceae 인동과 Lonicera japonica Thunberg Lonicera maackii (Rupr.) Maximowicz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Sambucus latipinna Nakai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Viburnum dilatatum Thunberg Viburnum erosum Thunberg Viburnum opulus for. hydrangeoides (Nakai) Hara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 Hara 국 명 학 명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miquelii Makino Mazus pumilus (Burm. f.) Steenis Mazus stachydifolius (Trucz.) Maximowicz Melampyrum roseum Maximowicz Melampyrum setaceum (Maxim.) Nakai Paulownia coreana Uyeki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et Veronica arvensis Linnaeus Veronica linariaefolia Pallas ex Link Veronica peregrina Linnaeus Veronica persica Poiret Ⅳ Ⅰ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51 국 명 일본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 병꽃나무 연복초 마타리 뚝갈 쥐오줌풀 넓은잔대 잔대 영아자 초롱꽃 섬초롱꽃 더덕 소경불알 수염가래꽃 도라지 톱풀 서양톱풀 멸가치 단풍취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개똥쑥 참쑥 제비쑥 맑은대쑥 산쑥 쑥 덤불쑥 학 명 Weigela coaeensis Thunberg Weigela florida (Bunge) A. De Candolle Weigela subsessilis L.H. Bailey Adoxaceae 연복초과 Adoxa moschatellina Linnaeus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ex Treviranus Patrinia villosa (Thunb.) Jussieu Valeriana fauriei Briquet Campanulaceae 초롱꽃과 Adenophora divaricata Franchet et Savatier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 H. Hara Asyneuma japonicum (Miq.) Briquet Campanula punctata Lamarck Campanula takesimana Nakai Codonopsis lanceolata (Sieb. et Zucc.) Trautvetter Codonopsis ussuriensis (Ruor. et Maxim.) Hemsley Lobelia chinensis Loureiro Platycodon grandiflorum (Jacg.) A. De Candolle Compositae 국화과 Achillea alpina Linnaeus Achillea millefolium Linnaeus Adenocaulon himalaicum Edgeworth Ainsliae acerifolia SchultzBipontimus Ambrosia artemisiifolia Linnaeus Ambrosia trifida Linnaeus Artemisia annua Linnaeus Artemisia dubia Wall. Artemisiaj aponica Thunberg Artemisia keiskeana Miquel Artemisia montana (Nakai) Pampanini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rtemisia rubripes Nakai Ⅳ Ⅰ Ⅴ Ⅶ Ⅸ Ⅷ Ⅹ Ⅺ Ⅻ ⅩⅢ ⅩⅣ
5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학 명 Artemisia selengensis Turczaninow ex Besser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arov Artemisia sylvatica Maximowicz Aster ageratoides Turczaninow Aster incisus Fischer Aster koraiensis Nakai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Aster pekinensis (Hance) Chen Aster pilosus Willdenow Aster scaber Thunberg Aster tataricus Linnaeus f. Aster yomena (Kitam.) Honda Atractylis ovata (Thunb.) De Candolle Bidens bipinnata Linnaeus Bidensf rondosa Linnaeus Bidens tripartita Linnaeus Breea segeta (Willd.) Kitamura Carduus crispus Linnaeus Carpesium abrotanoides Linnaeus Carpesium divaricatum Siebold et Zuccarini Centipeda minima (L.) A. Braun et Ascherson Chrysanthemum leucanthemum Linnaeus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ura Cirsium pendulum Fischer ex DeCandoll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Coreopsis lanceolata Linnaeus Coreopsis tinctoria Nuttall Crepidias trumdenticulata (Houtt.) J.H. Pak & Kawano Crepidias trumsonchifolia (Bunge) Pak& Kawano Dendranthema boreale (Mak.) Ling ex Kitamura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gawa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gawa Echinops setifer Iljin Eclipta prostrata (L.) Linnaeus Erechtites hieracifolia Rafinesque Erigeron annuus (L.) Persoon 국 명 물쑥 넓은외잎쑥 그늘쑥 까실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벌개미취 개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 참취 개미취 쑥부쟁이 삽주 도깨비바늘 미국가막사리 가막사리 조뱅이 지느러미엉겅퀴 담배풀 긴담배풀 중대가리풀 불란서국화 엉겅퀴 큰엉겅퀴 망초 큰금계국 기생초 이고들빼기 고들빼기 산국 산구절초 구절초 포천구절초 절굿대 한련초 붉은서나물 개망초 Ⅳ Ⅰ Ⅴ Ⅶ Ⅷ Ⅸ ⅩⅢ Ⅻ Ⅺ Ⅹ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53 학 명 Erigeron philadelphicus Linnaeus Eupatorium japonicum Thunberg Eupatorium lindleyanum De Candolle Eupatorium rugosum Houttuyn Eupatorium tripartitum (Mak.) Murata & H. Koyama Galinsoga ciliata (Rafin.) S.F. Blake Helianthus tuberosus Linnaeus Hemistepta lyrata Bunge Hieracium umbellatum Linnaeus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et et Savatier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 H. Hara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Ixeris debilis (Thunb.) A.Gray Ixeris polycephala Cassini Ixeris stolonifera A. Gray Ixeris strigosa (H. Le'v. et Van.) J.H. Pak & Kawano Kalimeris pinnatifida (Maxim.) Kitamura Lactuca indica for. indivisa (Mak.) Hara Lactuca indica Linnaeus Lactuca raddeana Maximowicz Lactuca scariola Linnaeus Leibnitzia anandria (L.) Turczaninow Petasites japonicus (Sieb. et Zucc.) Maximowicz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Kitamura Prenanthes ochroleuca (Maxim.) Hemsley Rudbeckia laciniata Linnaeus Rudbeckia bicolor Nuttall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er Senecio vulgaris Linnaeus Siegesbeckia glabrescens (Mak.) Makino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 Solidago virgaurea ssp. asiatica Kitamura ex Hara Sonchus asper (L.) Hill Sonchus brachyotus De Candolle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owicz Taraxacum coreanum Nakai 국 명 봄망초 등골나물 골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 향등골나물 털별꽃아재비 뚱딴지 지칭개 조밥나물 금불초 씀바귀 흰씀바귀 노랑선씀바귀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좀씀바귀 선씀바귀 버드쟁이나물 가는잎왕고들빼기 왕고들빼기 산씀바귀 가시상추 솜나물 머위 쇠서나물 왕씀배 삼잎국화 원추천인국 각시취 개쑥갓 진득찰 털진득찰 미역취 큰방가지똥 사데풀 우산나물 흰민들레 Ⅳ Ⅰ Ⅷ Ⅶ Ⅴ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5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국 명 서양민들레 산민들레 민들레 솜방망이 도꼬마리 뽀리뱅이 가래 산달래 산부추 부추 비짜루 은방울꽃 애기나리 윤판나물 큰애기나리 원추리 애기원추리 주걱비비추 참비비추 좀비비추 옥잠화 털중나리 참나리 하늘말나리 맥문동 개맥문동 나도개감채 삿갓나물 각시둥굴레 퉁둥굴레 용둥굴레 죽대 둥굴레 학 명 Taraxacum officinale Weber Taraxacum ohwianum Kitamura Taraxacum platycarpum Dahlstedt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Xanthium strumarium Linnaeus Youngia japonica (L.) De Candolle Potamogetonaceae 가래과 Potamogeton distinctus A. Bennett Liliaceae 백합과 Allium macrostemon Bunge Allium thunbergii G. Don Alliumt uberosum Rottler ex Sprengel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Convallaria keiskei Miquel Disporum smilacinum A. Gray Disporum uniflorum Baker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Hemerocallis fulva (L.) Linnaeus Hemerocallis minor Miller Hosta clausa Nakai Hosta clausavar.normalis F. Maekawa Hosta minor (Bak.) Nakai Hosta plantaginea (Lam.) Ascherson Liliumamabile Palibin Lilium lancifolium Thunberg Lilium tsingtauense Gilg Liriope platyphylla F.T. Wang et T. Tang Liriope spicata (Thunb.) Loureiro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Paris verticillata M. Bieberstein Polygonatum humile Fischer ex Maximowicz Polygonatum inflatum Komarov Polygonatum involucratum (Fr. et Sav.) Maximowicz Polygonatum lasianthum Maximowicz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Ⅴ Ⅳ Ⅰ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55 국 명 무릇 풀솜대 청미래덩굴 선밀나물 밀나물 청가시덩굴 산자고 상사화 마 참마 부채마 범부채 노랑무늬붓꽃 노랑꽃창포 각시붓꽃 붓꽃 부채붓꽃 별날개골풀 골풀 참비녀골풀 길골풀 꿩의밥 산꿩의밥 사마귀풀 닭의장풀 학 명 Scillas cilloides (Lindl.) Druce Smilac inajaponica A. Gray Smilax china Linnaeus Smilax nipponica Miquel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Reg.) Hara et T. Koyama Smilax sieboldii Miquel Tulipa edulis (Miq.) Baker Amaryllidaceae 수선화과 Lycoris squamigera Maximowicz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batatas Decaisne Dioscorea japonica Thunberg Dioscorea nipponica Makino Iridaceae 붓꽃과 Belamcanda chinensis (L.) De Candolle Iris odaesanensis Y.N. Lee Iris pseudoaconus Linnaeus Iris rossii Baker Iris sanguinea Donn ex Horn Iris setosa Pallas ex Link Juncaeae 골풀과 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Juncus leschenaultii J. Gay Juncus tenuis Willdenow Luzula capitata (Miq.) Miquel Luzula multiflora (Ehrh.) Lejeune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Aneilema keisak Hassakarl Commelina communis Linnaeus Ⅰ Ⅳ Ⅴ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5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좀개수염 속털개밀 개밀 겨이삭 뚝새풀 쇠풀 새 털새 까락빕새귀리 실새풀 산새풀 대새풀 개솔새 오리새 광릉용수염풀 용수염 껍질용수염 바랭이 민바랭이 돌피 물피 왕바랭이 능수참새그령 그령 큰김의털 김의털 김의털아재비 왕미꾸리꽝이 쇠치기풀 향모 띠 쌀새 나도바랭이새 Gramineae 벼과 Agropyron ciliare (Trin.) Franchet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Agrostis clavata var. nukabo Ohwi Alopecurus aequalis Sobolewski Andropogon brevifolius Swartz Arundinella hirta (Thunb.) C. Tanaka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Koidzumi Bromus sterilis Linnaeus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Calamagrostis langsdorffii (Link) Trinius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Steud.) HandelMazzetti Dactylis glomerata Linnaeus Diarrhrna fauriei (Hack.) Ohwi Diarrhrna japonica (Fr. et Sav.) Franchet et Savatier Diarrhrna mandshurica Maximowicz Digitaria ciliaris (Retz.) Koeler Digitaria violascens Link Echinnochloa crusgalli (L.) P. Beauvois Echin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Honda Eleusine indica (L.) Gaertner Eragrostis curvula Nees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 Beauvois Festuca arundinacea Schreber Festuca ovina Linnaeus Festuca parvigluma Steudel Glycerial leptolepis Ohwi Hemarthria sibirica (Gangd.) Ohwi Hierochloe odorata (L.) P. Beauvo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Retz.) Pilg. Melica onoei Franchet et Savatier Microstegium vimineum (Trin.) A. Camus 국 명 학 명 Eriocaulaceae 곡청초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owicz Ⅳ Ⅰ Ⅶ Ⅴ Ⅷ Ⅸ Ⅺ Ⅹ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57 물억새 참억새 진퍼리새 쥐꼬리새 주름조개풀 개기장 미국개기장 참새피 수크령 산기장 갈풀 큰조아재비 갈대 달뿌리풀 솜대 새포아풀 구내풀 왕포아풀 포아풀 이대 좀물뚝새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수강아지풀 기름새 큰기름새 나래새 솔새 잔디 창포 둥근잎천남성 천남성 Araceae 천남성과 Acorus calamus Linnaeus Arisaema amurense Maximowicz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awa 큰듬성이삭새 국 명 학 명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am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Molinia japonica Hackel Muhlenbergia japonica Steudel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 Beauvois Panicum bisulcatum Thunberg Panicum dichotomiflorum Michaux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el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el Phaenosperma globosa Munro ex Bentham Phalaris arundinacea Linnaeus Phleum pratense Linnaeus Phragmites communis Trinius Phragmites japonica Steudel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ean) Stapf ex Rendle Poa annua Linnaeus Poa hisauchii Honda Poa pratensis Linnaeus Poa sphondylodes Trinius Pseudosasa japonica (Sieb. et Zucc. ex Nakai) Makino ex Nakai Sacciolepisi ndica (L.) Chase Setaria glauca (L.) P. Beauvois Setaria viridis (L.) P. Beauvois Setaria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Spodiopogon cotulifer (Thunb.) ackel Spodiopogon sibiricus Trinius Stipa pekinensis Hance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Willd.) Makino Zoysia japonica Steudel Ⅶ Ⅴ Ⅳ Ⅰ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5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뚝사초 방동사니 알방동사니 쇠방동사니 Ⅴ Ⅳ 애기부들 부들 Typhaceae 부들과 Typha angustifolia Linnaeus Typhao rientalis Presl Ⅰ 솔잎사초 길뚝사초 청사초 털대사초 도깨비사초 이삭사초 삿갓사초 낚시사초 산뚝사초 산비늘사초 가는잎그늘사초 참삿갓사초 개찌버리사초 애괭이사초 그늘사초 왕비늘사초 괭이사초 바늘사초 대사초 개구리밥 Lemnaceae 개구리밥과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en Cyperaceae 사초과 Carex biwensis Franchet Carex bostrychostigma Maximowicz Carex breviculmis R. Brown Carex ciliatomarginata Nakai Carex dickinsii Franchet et Savatier Carex dimorpholepis Steudel Carex dispalata Boott Carex filipes Franchet et Savatier Carex forficula var. forficula Franchet et Savatier Carex heterolepis Bunge Carex humilis var. nana (H. Le'v. et Van.) Ohwi Carex jaluensis Komarov Carex japonica Thunberg Carexl aevissima Nakai Carex lanceolata Boott Carex maximowiczii Miquel Carex neurocarpa Maximowicz Carex onoei Franchet et Savatier Carex siderosticta Hance 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Trautv. & C.A. Mey.) Ohwi Cyperus amuricus Maximowicz Cyperus difformis Linnaeus Cyperus orthostachys Franchet et Savatier 국 명 두루미천남성 점박이천남성 반하 앉은부채 학 명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Arisaema peninsulae Nakai Pinellia terata (Thunb.) Breitenbach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lquel Ⅶ Ⅷ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010~2016년 종합평가ㆍ 59 : 동구릉 : 서오릉 Ⅳ Ⅺ : 광릉 : 서삼릉 Ⅴ Ⅻ : 선릉ㆍ정릉 : 온릉 Ⅶ ⅩⅢ Ⅷ ⅩⅣ Ⅳ Ⅰ : 태릉ㆍ강릉 : 파주 삼릉 은대난초 천마 옥잠난초 감자난초 타래난초 Orchidaceae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Gastrodia elata Blume Liparis kumokiri F. Maekawa Oreorchis patens (Lindl.) Lindley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Ⅰ Ⅹ 국 명 바늘골 물고챙이골 솔방울고랭이 매자기 도루박이 방울고랭이 학 명 Eleocharis congesta D. Don.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Kitagawa Scirpus karuizawensis Makino Scirpus maritinus Linnaeus Scirpus radicans Schkuhr Scirpus wichurae var. asiaticus (Beetle) T. Koyama Ⅶ : 정릉 : 파주 장릉 Ⅴ Ⅸ Ⅷ : 의릉 Ⅸ Ⅹ Ⅺ Ⅻ ⅩⅢ ⅩⅣ
(2) 식생 현황 ① 동구릉 동구릉의 식생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lien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Quercus alienaquercus serrata community), 갈참나무오리나무군락(Quercus alienaalnus japonica community), 상수리나 무군락(Quercus community), acutissim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신갈나무갈참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Quercus aliena community),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서어나무갈참나무군 락(Carpinus laxifloraquercus aliena community), 팥배나무군락(Sorbus alnifolia community), 오리나무군락(Alnus japonica community), 졸참나무와 갈 참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deciduous broadleaf forest), 갈참나무와 졸 참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coniferousdeciduous broadleaf forest), 리기 다소나무식재림(Pinus rigida afforestation), 리기다소나무신갈나무군락(Pinus rigidaquercus mongolica community), 잣나무식재림(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아까시나무식재림(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밤나무식재림(Castanea crenata afforestation), 백합나무식재림(Liriodendron tulipifera afforestation), 일본목련식재림(Magnolia obovata afforestation)으로 구분되었다. 표 9 동구릉 주요 군락의 특성 A B C D E F G H I J K 조사구 수 8 11 1 1 2 1 4 1 1 3 1 교목층높이(m) 13.34 13.10 13.1 14.8 13.80 12.2 13.28 13 17.2 15.83 13.2 교목층식피율(%) 68.13 78.18 80 95 82.50 90 90.00 90 80 93.33 85 아교목층높이(m) 6.93 5.43 7.5 5.7 5.80 6.5 8.10 7.5 8.8 6.60 7.1 아교목층식피율(%) 23.13 25.45 30 65 62.50 5 36.25 75 70 51.67 25 관목층높이(m) 1.13 1.33 1.3 1.4 1.35 0.6 1.33 1.5 1.45 1.27 1.4 관목층식피율(%) 41.88 64.09 55 65 90.00 30 33.75 60 60 71.67 50 출현종 수 14.38 15.73 17 15 14.00 8 12.75 13 14 23.00 16 6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L M N O P Q R S T U V 조사구 수 1 3 3 3 5 1 3 4 1 1 1 교목층높이(m) 12.1 13.43 13.60 13.50 13.94 12.4 11.80 13.58 13.1 17.9 13.3 교목층식피율(%) 95 76.67 93.33 68.33 81.00 90 78.33 70.00 75 95 85 아교목층높이(m) 6.9 7.07 5.90 6.60 5.40 9 7.90 6.17 5.3 7.7 6.8 아교목층식피율(%) 30 45.00 38.33 25.00 47.00 5 13.33 50.00 80 45 10 관목층높이(m) 1 1.40 1.23 1.10 1.42 0.9 1.30 1.11 1.2 1.5 1.3 관목층식피율(%) 50 46.67 46.67 43.33 76.00 15 5.00 68.75 10 70 75 출현종 수 17 14.00 14.67 15.00 19.40 16 15.00 10.25 14 23 23 A: 소나무군락 B: 갈참나무군락 C: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D: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 E: 갈참나무오리나무군락 F: 상수리나무군락 G: 신갈나무군락 H: 신갈나무갈참나무군락 I: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J: 졸참나무군락 K: 서어나무갈참나무군락 L: 팥배나무군락 M: 오리나무군락 N: 낙엽활엽수림 O: 침활혼효림 P: 리기다소나무군락 Q: 리기다소나무신갈나무군락 R: 잣나무군락 S: 아까시나무군락 T: 밤나무군락 U: 백합나무군락 V: 일본목련군락 2010~2016년 종합평가ㆍ 61
표 10 동구릉 주요 군락의 계층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H I J K 91.23 3.55 19.86 교목층 소나무 갈참나무 2.97 70.45 55.65 45.82 52.18 17.51 5.59 24.65 10.00 13.26 30.20 상수리나무 0.74 3.12 44.35 3.86 82.49 신갈나무 1.28 2.89 9.04 67.16 48.62 40.92 4.80 4.42 졸참나무 2.57 41.28 4.76 29.43 67.87 서어나무 0.45 6.84 36.18 1.49 1.12 리기다소나무 0.74 팥배나무 1.00 15.99 11.23 10.63 오리나무 2.56 43.04 2.07 아까시나무 2.40 0.97 5.37 잣나무 1.51 백합나무 일본목련 밤나무 1.17 산벚나무 1.53 1.47 4.79 6.39 9.02 5.07 9.34 굴참나무 1.91 아교목층 소나무 30.27 때죽나무 7.83 29.62 25.39 12.96 92.66 2.31 13.29 14.66 갈참나무 21.95 50.08 42.07 14.10 25.45 팥배나무 13.39 87.04 9.15 41.91 상수리나무 3.01 57.93 3.92 졸참나무 6.99 25.48 쪽동백나무 3.86 7.11 18.45 17.97 일본목련 2.59 아까시나무 7.83 1.15 2.31 95.39 100.00 100.00 신갈나무 3.54 3.61 산벚나무 10.79 4.65 9.13 밤나무 10.30 서어나무 신나무 7.34 물박달나무 24.53 들메나무 잣나무 18.97 리기다소나무 7.03 야광나무 6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A B C D E F G H I J K 쪽동백나무 10.67 15.41 2.26 0.36 5.41 58.40 4.72 6.15 국수나무 10.09 6.83 25.68 21.04 1.32 13.51 팥배나무 4.98 2.17 1.62 30.26 2.08 12.22 17.05 1.97 12.29 산딸기 9.92 9.68 63.35 11.41 때죽나무 7.16 12.70 10.54 9.50 33.38 1.69 34.63 22.29 13.82 덜꿩나무 1.08 0.72 8.97 11.34 4.63 17.12 1.34 16.54 쥐똥나무 0.21 1.96 24.34 0.98 12.71 11.18 0.21 아까시나무 0.61 1.18 0.51 19.05 0.59 31.39 0.85 철쭉 0.85 0.09 22.49 8.79 3.89 15.36 노린재나무 1.87 4.57 1.62 18.07 2.16 0.45 1.55 1.85 2.82 3.07 밤나무 2.74 1.93 1.28 3.96 6.67 3.06 4.29 2.63 물푸레나무 3.61 3.56 20.36 16.48 1.27 1.13 2.02 갈참나무 0.82 2.63 5.85 1.27 산초나무 2.77 9.70 3.72 1.13 2.33 2.93 1.33 1.00 1.02 일본목련 0.38 0.59 1.55 1.85 0.56 산벚나무 0.73 0.09 2.56 2.14 3.06 2.26 진달래 1.16 0.23 6.80 0.28 15.45 신갈나무 4.08 0.19 1.77 2.63 두릅나무 8.81 0.28 찔레꽃 2.72 1.17 1.62 0.36 1.27 0.21 당단풍 2.13 0.86 7.47 9.21 졸참나무 10.31 0.28 0.33 조록싸리 1.01 0.24 1.18 0.41 백당나무 0.34 0.42 4.52 10.98 0.28 신나무 1.10 2.65 6.06 층층나무 0.89 0.81 개벚나무 1.84 2.79 1.62 1.00 싸리 3.04 0.09 2.91 청미래덩굴 2.13 0.91 1.44 관목층 0.26 C: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E: 갈참나무오리나무군락 F: 상수리나무군락 G: 신갈나무군락 I: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J: 졸참나무군락 K: 서어나무갈참나무군락 M: 오리나무군락 N: 낙엽활엽수림 O: 침활혼효림 Q: 리기다소나무신갈나무군락 R: 잣나무군락 S: 아까시나무군락 U: 백합나무군락 V: 일본목련군락 A: 소나무군락 B: 갈참나무군락 D: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 H: L: P: T: 신갈나무갈참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2010~2016년 종합평가ㆍ 63
L M N O P Q R S T U V 팥배나무 86.56 4.19 18.06 2.07 3.52 2.91 오리나무 76.76 3.47 졸참나무 8.42 31.52 18.34 1.76 4.07 1.19 갈참나무 11.85 21.24 20.60 4.15 7.94 7.98 4.69 리기다소나무 11.51 80.42 49.37 4.13 8.82 교목층 잣나무 0.58 81.50 아까시나무 1.50 1.36 72.25 밤나무 1.53 56.68 백합나무 65.76 일본목련 62.16 신갈나무 5.02 5.26 3.68 36.24 5.12 6.79 15.49 상수리나무 15.99 12.16 2.97 3.74 3.00 소나무 15.74 2.10 2.61 8.49 서어나무 6.43 10.77 산벚나무 3.04 7.41 3.18 굴참나무 0.80 11.38 21.39 팥배나무 66.07 12.13 신나무 27.34 아교목층 28.58 100.00 때죽나무 21.94 42.08 17.11 33.80 9.89 13.31 11.46 48.18 쪽동백나무 11.65 2.58 18.21 7.36 24.52 69.26 신갈나무 6.03 46.08 4.68 아까시나무 13.99 2.55 1.67 32.54 3.96 갈참나무 11.34 8.16 일본목련 1.24 상수리나무 20.80 산벚나무 16.01 9.28 11.38 2.18 밤나무 6.36 7.25 23.23 6.31 8.64 서어나무 39.44 15.81 졸참나무 4.07 2.65 6.68 물박달나무 32.48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16.87 3.98 야광나무 들메나무 23.06 잣나무 2.68 6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19.35 100.00
L M N O P Q R S T U V 팥배나무 33.76 1.12 4.55 0.91 3.57 5.87 1.85 1.41 쥐똥나무 4.74 32.38 3.83 2.59 0.97 1.41 때죽나무 13.85 41.35 17.51 11.55 14.17 8.24 4.97 45.96 15.55 3.13 쪽동백나무 0.65 14.97 22.69 31.19 17.31 10.26 28.37 27.33 3.79 산딸기 1.67 31.97 19.74 갈참나무 2.05 0.30 2.66 19.41 9.13 3.36 1.20 국수나무 1.59 2.55 17.65 4.60 23.57 41.84 아까시나무 4.18 2.56 5.76 1.56 8.14 10.81 5.54 3.59 덜꿩나무 8.44 0.40 4.22 4.11 1.18 1.63 2.77 철쭉 7.24 0.82 3.68 2.01 8.69 2.28 0.88 노린재나무 4.82 3.25 4.48 2.35 1.95 1.96 2.57 1.87 1.01 5.22 밤나무 9.65 1.75 1.23 6.19 6.75 6.15 1.87 물푸레나무 1.34 0.41 2.31 0.43 1.64 1.25 산초나무 0.68 6.99 4.00 1.65 2.47 0.21 3.36 1.76 일본목련 1.16 0.41 0.15 2.00 4.03 22.75 산벚나무 1.21 1.87 0.30 2.56 8.94 1.96 0.66 2.77 1.76 1.75 진달래 0.41 2.17 3.36 신갈나무 2.41 0.78 1.83 5.63 1.63 2.39 1.75 두릅나무 3.27 11.99 0.49 찔레꽃 3.07 1.28 9.14 0.42 2.15 0.87 당단풍 1.71 0.40 1.96 졸참나무 8.12 0.39 0.27 0.92 2.25 0.87 조록싸리 1.55 3.94 3.57 11.03 0.43 0.25 백당나무 0.47 0.55 0.37 0.88 신나무 8.47 층층나무 0.56 0.37 12.65 2.60 개벚나무 0.65 0.39 0.32 7.04 2.09 싸리 2.68 5.22 3.52 청미래덩굴 6.20 1.16 1.01 2.68 관목층 2010~2016년 종합평가ㆍ 65
② 홍릉ㆍ유릉 홍릉ㆍ유릉의 임상을 임분별로 구분한 결과 소나무림(Pinus densiflora Forests),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신갈나무림(Quercus mongolica Forests),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활침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and coniferous), 서어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활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전나무, 상수리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는 참나무림 (Oak Forests), 오리나무림(Alnus japonica Forests), 잣나무림(Pinus koraiensis Forests), 잣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침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으로 구분되었다. 표 11 홍릉ㆍ유릉의 임분별 특성 기호 임분명 평균수고(m) 평균 흉고직경( ) 목본 밀도(본수/a) D 소나무림 12.46 24.64 4.50 CM 침활혼효림 12.33 20.21 6.56 QM 신갈나무림 11.08 16.17 1.39 HM 활침혼효림 11.89 18.90 7.00 H 활엽수혼효림 13.70 19.19 7.00 QQ 참나무림 8.39 18.00 5.00 AJ 오리나무림 13.27 23.27 3.25 K 잣나무림 7.59 16.02 4.92 C 침엽수혼효림 12.06 22.91 4.96 6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12 홍릉ㆍ유릉의 임분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H I 소나무 212.94 85.77 22.19 59.46 21.62 23.78 24.12 108.84 신갈나무 47.39 167.43 71.46 45.57 7.19 서어나무 2.91 8.82 47.45 상수리나무 11.12 29.21 11.27 11.45 64.16 전나무 2.12 116.32 22.59 오리나무 11.68 4.82 150.17 잣나무 45.49 40.44 10.04 5.83 26.11 300.00 122.15 갈참나무 14.50 15.32 29.70 37.65 5.65 물박달나무 12.99 26.13 26.76 8.92 팥배나무 34.79 10.25 26.90 무궁화 70.58 느티나무 4.28 32.30 32.55 산벚나무 21.50 24.19 16.52 4.21 밤나무 8.51 4.67 27.74 6.51 돌배나무 32.00 벚나무 5.40 8.39 13.15 단풍나무 26.83 귀룽나무 12.25 5.22 8.57 아까시나무 24.37 리기다소나무 10.26 17.48 4.83 쪽동백나무 7.81 4.54 7.58 졸참나무 3.70 11.18 4.22 떡갈나무 8.06 4.72 5.60 은행나무 8.68 산사나무 6.69 산뽕나무 5.84 물오리나무 2.80 주엽나무 2.44 버드나무 2.39 A: 소나무림 F: 참나무림 B: 침활혼효림 G: 오리나무림 C: 신갈나무림 H: 잣나무림 D: 활침혼효림 I: 침엽수혼효림 E: 활엽수혼효림 2010~2016년 종합평가ㆍ 67
③ 사릉 사릉의 임상을 임분별로 구분한 결과 소나무림(Pinus densiflora Forests), 소나 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침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굴 참나무림(Quercus variabilis Forests), 상수리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는 참나 무림(Oak Forests), 산벚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활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리기다소나무림(Pinus rigida Forests), 리기 다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잣나무림(Pinus koraiensis Forests)으로 구분되었다. 표 13 사릉의 임분별 특성 기호 임분명 평균수고(m) 평균 흉고직경( ) 목본 밀도(본수/a) D 소나무림 13.21 26.86 4.08 C 침엽수혼효림 13.50 19.13 9.38 QV 굴참나무림 16.07 20.47 6.81 QQ 참나무림 13.74 19.64 5.75 H 활엽수혼효림 14.20 22.71 6.13 PR 리기다소나무림 13.40 19.26 10.50 CM 침활혼효림 9.98 18.20 7.00 PK 잣나무림 8.93 15.52 7.75 그림 1 사릉 임상도 6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14 사릉의 임분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H 소나무 269.48 122.31 6.74 12.92 15.74 26.86 35.22 굴참나무 19.78 167.54 47.52 20.72 41.02 상수리나무 66.03 22.07 산벚나무 24.49 11.26 121.75 40.30 16.78 리기다소나무 4.61 100.62 10.88 213.01 75.62 잣나무 6.57 28.57 300.00 신갈나무 43.32 41.57 53.56 갈참나무 4.62 26.27 27.32 59.77 19.83 밤나무 4.68 15.21 18.96 26.51 졸참나무 6.61 8.46 37.65 전나무 4.65 31.01 팥배나무 6.40 24.39 귀룽나무 30.62 서어나무 14.47 15.17 떡갈나무 16.86 개벚나무 13.63 아까시나무 7.82 물박달나무 6.65 음나무 5.56 A: 소나무림 E: 활엽수혼효림 B: 침엽수혼효림 F: 리기다소나무림 C: 굴참나무림 G: 침활혼효림 D: 참나무림 H: 잣나무림 2010~2016년 종합평가ㆍ 69
④ 광릉 광릉의 식생은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잣나무군락 (Pinus densiflorapinus koraiensis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갈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quercus alien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신갈나무졸참나 무군락(Quercus mongolicaquercus serrata community), 갈참나무군락 (Quercus aliena community), 갈참나무소나무군락(Quercus alienapinus densiflora community),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Quercus alienaquercus serrata community), 서어나무군락(Carpinus laxiflora community), 까치박달들메나무군락(Carpinus cordat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침활혼효 림(coniferousdeciduous broadleaf forest), 리기다소나무식재림(Pinus rigida afforestation), 잣나무식재림(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잣나무서어나무 식재림(Pinus koraiensiscarpinus lax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전나무식재 림(Pinus koraiensisabies holophylla afforestation), 전나무식재림(Abies holophylla afforestation), 전나무졸참나무군락(Abies holophyllaquercus serrata community afforestation)으로 구분되었다. 표 15 광릉 주요 군락의 특성 조사구 수 조사 면적( ) 교목층 높이(m) 교목층 식피율(%) 아교목층 높이(m) 아교목층 식피율(%) 관목층 높이(m) 관목층 식피율(%) 출현종 수(목본) A 5 1,125 16.60 87.00 6.90 68.00 1.06 64.00 21.20 B 3 675 16.23 88.33 6.67 73.33 1.17 65.00 18.67 C 6 1,350 17.00 86.67 5.50 77.50 2.83 60.83 18.83 D 1 225 14 75 5.5 85 1 50 12 E 2 450 13.30 77.50 5.00 50.00 1.10 60.25 15.00 F 1 225 15 75 5 90 1 30 14 G 1 225 17.5 90 5 60 1 30 11 H 1 225 15 85 5.5 75 1.1 50 9 I 1 225 18.5 80 6.5 50 1.5 30 22 조사구 수 조사 면적( ) 교목층 높이(m) 교목층 식피율(%) 아교목층 높이(m) 아교목층 식피율(%) 관목층 높이(m) 관목층 식피율(%) 출현종 수(목본) J 2 450 16.25 87.50 5.25 37.50 1.05 40.00 10.00 K 1 225 15 80 7 35 1 80 17 L 4 900 14.63 80.00 5.50 71.25 1.13 73.75 19.75 M 1 225 17 70 5.5 80 1 70 25 N 5 1,125 15.80 77.00 5.54 59.00 1.10 47.00 15.40 O 1 225 15 80 6 65 1.5 50 19 P 1 225 19 85 6.5 70 1 55 15 Q 3 675 18.67 75.00 5.67 41.67 1.33 75.00 21.67 R 1 225 26.5 70 7.5 85 1.5 50 14 A: 소나무군락 E: 신갈나무군락 I: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 M: 리기다소나무군락 Q: 전나무군락 7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B: 소나무잣나무군락 F: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J: 서어나무군락 N: 잣나무군락 R: 전나무졸참나무군락 C: G: K: O: 졸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까치박달들메나무군락 잣나무서어나무군락 D: H: L: P: 졸참나무갈참나무군락 갈참나무소나무군락 침활혼효림 잣나무전나무군락
표 16 광릉 주요 군락의 계층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1 A B C D E F G H I 교목층 소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잣나무 전나무 서어나무 리기다소나무 까치박달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73.23 6.70 2.69 2.85 7.31 4.39 51.61 11.24 32.93 1.99 2.23 80.83 7.30 9.96 47.35 9.06 26.68 7.38 9.34 67.40 19.70 35.09 54.59 10.32 76.44 7.08 8.84 7.65 44.42 47.07 8.52 35.36 45.06 19.59 아교목층 서어나무 까치박달 때죽나무 당단풍 잣나무 산딸나무 팥배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쪽동백나무 산벚나무 풍게나무 전나무 57.31 12.10 1.72 2.80 15.54 0.80 73.71 7.51 2.78 1.82 4.59 5.29 2.23 2.06 37.95 5.50 10.61 19.94 1.00 4.85 1.45 0.83 1.62 8.77 3.22 66.14 2.99 16.11 14.76 63.12 26.86 37.68 6.01 7.70 11.61 22.98 4.65 7.09 7.89 39.83 51.02 5.05 4.12 29.75 13.65 24.66 9.36 22.58 30.83 42.42 20.05 6.71 관목층 당단풍 까치박달 서어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국수나무 윤노리나무 팥배나무 작살나무 전나무 생강나무 병꽃나무 개옻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 철쭉 올괴불나무 진달래 27.85 8.43 7.68 4.84 5.04 2.14 0.20 12.21 3.97 3.04 2.65 5.69 3.54 0.64 0.46 28.33 0.25 7.98 10.58 3.04 2.57 10.14 1.39 7.09 1.04 3.83 1.49 3.64 0.50 39.91 0.05 8.12 8.73 1.81 4.56 2.81 7.53 2.06 3.15 3.25 2.08 1.54 1.25 0.94 45.61 17.39 15.21 2.18 2.83 4.35 13.86 0.68 4.99 3.10 14.35 3.12 0.86 2.99 1.11 2.55 0.37 1.09 3.49 21.77 17.71 34.48 27.59 3.30 11.55 4.95 1.65 4.95 1.65 6.60 1.65 13.57 55.71 13.57 6.67 2.62 7.86 84.96 2.71 46.34 3.84 12.68 5.77 5.42 4.08 3.07 11.53 1.92 5.77 13.46 5.65 4.09 2.58 2.73 2010~2016년 종합평가ㆍ 71
표 17 광릉 주요 군락의 계층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2 교목층 서어나무 까치박달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아교목층 서어나무 까치박달 때죽나무 잣나무 당단풍 산딸나무 팥배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쪽동백나무 산벚나무 풍게나무 전나무 관목층 당단풍 병꽃나무 서어나무 윤노리나무 까치박달 전나무 덜꿩나무 때죽나무 국수나무 팥배나무 작살나무 생강나무 개옻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 철쭉 올괴불나무 진달래 J K L M N O P Q R 54.09 5.61 11.36 4.78 13.67 6.81 3.68 46.75 16.13 29.08 17.32 28.84 18.66 10.72 12.49 7.83 1.47 100.00 89.99 10.01 16.64 5.91 10.58 46.33 7.33 5.09 44.62 18.37 11.34 13.94 7.76 6.91 3.31 75.72 2.00 4.30 11.67 44.44 43.88 50.98 10.08 5.76 9.5 2.19 7.13 2.34 23.94 63.82 12.25 52.12 6.01 0.87 5.50 2.78 0.84 8.60 1.84 3.63 1.01 4.17 10.87 26.51 2.83 8.57 3.31 4.06 6.01 12.09 29.77 4.17 41.03 1.18 4.46 3.07 0.61 20.16 50.84 15.10 5.72 15.32 79.06 2.81 2.81 56.88 20.81 12.38 76.43 5.20 6.45 42.34 5.79 11.72 3.11 6.44 15.39 2.27 3.93 1.73 3.14 1.77 0.62 17.26 33.27 2.92 14.26 7.67 29.73 7.14 0.18 7.54 3.00 7.88 9.48 4.10 4.61 1.82 2.34 4.30 0.86 0.18 0.58 5.20 44.51 1.44 9.56 5.93 12.99 7.94 4.33 2.12 31.15 2.78 7.51 7.10 0.43 3.89 22.74 0.39 1.48 0.90 2.33 0.18 1.53 0.43 0.75 11.68 6.90 27.61 24.05 9.87 1.78 0.89 1.78 3.05 2.67 5.00 2.67 2.04 13.74 48.22 7.61 12.17 7.62 10.33 0.56 2.70 0.94 15.56 7.69 2.51 2.92 1.13 2.77 4.93 2.83 1.26 3.54 8.15 3.00 12.31 6.57 2.19 8.37 2.19 A: 소나무군락 E: 신갈나무군락 I: 갈참나무졸참나무군락 M: 리기다소나무군락 Q: 전나무군락 72 ㆍ B: 소나무잣나무군락 F: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J: 서어나무군락 N: 잣나무군락 R: 전나무졸참나무군락 2010~2016년 종합평가 C: G: K: O: 졸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까치박달들메나무군락 잣나무서어나무군락 D: H: L: P: 졸참나무갈참나무군락 갈참나무소나무군락 침활혼효림 잣나무전나무군락
⑤ 선릉ㆍ정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선릉ㆍ정릉의 식생은 전반적으로 갈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며, 저습지에 오리 나무와 버드나무가 소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선릉ㆍ정릉의 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갈 나참무군락(Quercus aliena 오리나무군락(Alnus community), japonica community), 버드나무군락(Populus maximowiczii community)으로 구분되었으 며,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식재림(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스트로브잣나무식재림(Pinus strobus afforestation)이 조성되어 있다. 표 18 선릉ㆍ정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조사구 수 3 3 2 2 조사 면적( ) 650 925 525 200 교목층 높이(m) 15.33 18.67 16.00 교목층 식피율(%) 85.00 86.67 87.50 아교목층 높이(m) 4.50 4.25 아교목층 식피율(%) 8.33 75.00 관목층 높이(m) 1.53 1.87 1.20 관목층 식피율(%) 30.67 36.67 50.00 초본층 높이(m) 0.77 0.33 0.55 초본층 식피율(%) 83.33 41.67 92.50 출현종 수 21.00 23.33 20.50 목본 밀도(개체/100 ) 7.85 6.92 6.29 18.50 교목 밀도(개체/100 ) 7.85 5.08 5.90 우점종 밀도(개체/100 ) 7.85 2.81 5.90 18.50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6.05 30.25 26.05 6.09 2010~2016년 종합평가ㆍ 73
표 19 선릉ㆍ정릉 주요 군락의 상대기여도(RNCDi)에 의한 계층별 주요 수종의 우점도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교목층 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 신갈나무 산벚나무 오리나무 spp. 졸참나무 100 100 16.47 5.49 1.57 100 4.29 100 4.29 아교목층 때죽나무 소나무 팥배나무 층층나무 100 17.14 7.14 100 관목층 산딸기 때죽나무 산뽕나무 팥배나무 칡 철쭉 층층나무 싸리 진달래 100 9.60 9.60 100 88.89 69.44 27.78 27.78 4.63 11.11 100 100 34.71 10.00 3.00 65.57 100 11.48 40.98 100 1.92 4.62 1.92 58.46 28.85 1.71 6.56 6.56 100 6.67 51.44 51.44 6.67 초본층 칡 담쟁이덩굴 종지나물 주름조개풀 산딸기 돌피 오리새 큰애기나리 쇠무릎 애기똥풀 쇠무릎 상수리나무 때죽나무 개찌버리사초 국수나무 큰듬성이삭새 서양산딸기 7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4.62 1.92 1.92
나) 현존식생 선릉ㆍ정릉의 현존식생은 갈참나무군락이 가장 넓은 21.22%를 차지하며, 다음 으로 소나무군락 21.22%, 소나무식재림 3.69%, 오리나무군락 3.30%, 버드나무 군락 1.89% 순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선릉ㆍ정릉의 현존식생에서 외래성 조 림수종인 스트로브잣나무가 우점하는 스트로브잣나무소나무군락이 1.00%를 차지하고 있으며, 습성군락인 오리나무군락과 버드나무군락이 5.19%인 12,481.19 을 차지하고 있어 선릉과 정릉지역은 상대적으로 토양 습도가 높은 곳으로 판단된다. 표 20 선릉ㆍ정릉의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조사면적( ) 비율(%) Pd 소나무군락 51,045.12 21.22 Pid PdPik Pik PsPd Qal Aj Sk 소나무식재림 소나무잣나무군락 잣나무식재림 스트로브잣나무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 8,874.15 1,959.20 1,188.84 2,402.05 107,645.72 7,942.11 4,539.08 3.69 0.81 0.49 1.00 44.74 3.30 1.89 Ga 조경식재 19,580.09 8.14 Bag 능역 나지(도로 등) 20,474.58 11,899.08 8.51 4.95 Other 조성지(사무실 등) 3,039.48 1.26 240,589.50 100 계 그림 2 선릉ㆍ정릉의 현존식생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75
⑥ 헌릉ㆍ인릉 헌릉ㆍ인릉의 임상을 임분별로 구분한 결과 소나무림(Pinus densiflora Forests), 갈참나무림(Quercus aliena Forests), 상수리나무림(Quercus acutissima Forests), 졸참나무림(Quercus serrata Forests), 졸참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 는 참나무림(Oak Forests), 팥배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활엽수혼효림 (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오리나무림(Alnus japonica Forests), 때죽나무,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활침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and coniferous), 리기다소나무림(Pinus rigida Forests), 리기다소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으로 구분되었다. 표 21 헌릉ㆍ인릉 임분별 특성 기호 D QC QA QS QQ H AJ HM PR CM 임분 명 소나무림 갈참나무림 상수리나무림 졸참나무림 참나무림 활엽수혼효림 오리나무림 활침혼효림 리기다소나무림 침활혼효림 그림 3 헌릉ㆍ인릉 임상도 7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평균 수고(m) 17.76 12.95 14.00 13.45 12.34 10.51 16.30 12.60 13.30 13.40 평균 흉고직경( ) 30.70 20.42 17.81 16.87 15.15 13.01 24.44 17.17 16.76 16.71 목본 밀도(본수/a) 5.00 4.50 9.25 7.75 10.76 10.88 4.00 10.25 13.75 8.94
표 22 헌릉ㆍ인릉 임분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H I J 소나무 213.04 15.01 10.04 44.53 14.04 49.90 갈참나무 151.51 38.71 36.14 29.59 34.47 13.43 상수리나무 144.09 14.54 15.53 35.30 졸참나무 20.92 151.65 66.43 38.82 46.97 63.31 팥배나무 17.68 26.23 26.35 123.15 오리나무 9.44 때죽나무 36.12 37.18 23.93 리기다소나무 21.81 굴참나무 15.60 32.87 다릅나무 46.65 단풍나무 40.31 당단풍나무 24.20 22.86 14.15 234.88 10.47 19.97 25.44 69.44 34.31 2.94 110.14 72.33 56.49 53.80 19.01 35.98 7.15 5.97 4.13 17.30 물박달나무 17.86 물푸레나무 2.66 6.04 백목련 19.39 산딸나무 3.92 산벚나무 32.22 12.74 12.38 서어나무 31.36 7.74 19.06 신갈나무 23.57 17.09 39.03 20.19 29.47 신나무 20.28 아까시나무 29.27 33.70 쪽동백나무 14.87 34.60 4.82 21.49 A: 소나무림 F: 활엽수혼효림 B: 갈참나무림 G: 오리나무림 C: 상수리나무림 H: 활침혼효림 D: 졸참나무림 I: 리기다소나무림 E: 참나무림 J: 침활혼효림 2010~2016년 종합평가ㆍ 77
⑦ 태릉ㆍ강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태릉ㆍ강릉의 식생은 전반적으로 참나무류가 우점하는데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가 섞여 자라는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이 가정 넓게 분포하고, 능선부와 사면 상부에는 소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이 분포하고, 경사가 완만한 사면 하부에는 상 수리나무와 신갈나무의 식피율이 높게 나타났다. 서쪽 산지에는 리기다소나무의 식피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혼효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과거 사격장 부지에 는 소나무식재림이 조성되어 있다. 태릉ㆍ강릉의 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팥배나 무군락(Sorbus alnifoli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상수리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군락(Quercus community), variabilis community),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 으며,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이 조성되어 있다. 표 23 태릉ㆍ강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신갈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 상수리나무 군락 갈참나무 군락 팥배나무 군락 5 3 2 2 1 2 조사 면적( ) 1,400 675 525 800 400 325 교목층 높이(m) 15.80 16.00 19.00 20.00 15.00 13.50 교목층 식피율(%) 84.00 91.67 90.00 87.50 80.00 90.00 아교목층 높이(m) 5.50 4.83 5.00 7.00 6.50 아교목층 식피율(%) 17.50 9.33 2.50 20.00 10.00 1.15 1.83 1.25 1.65 1.10 관목층 식피율(%) 14.50 21.67 30.00 22.50 10.00 초본층 높이(m) 0.58 0.33 0.40 0.40 0.25 초본층 식피율(%) 72.00 11.67 20.00 52.50 17.50 출현종 수 24.00 19.67 24.50 22.00 18.50 목본 밀도(개체/100 ) 7.07 9.63 8.19 5.63 2.50 21.85 교목 밀도(개체/100 ) 5.71 7.11 6.86 77.78 2.50 17.23 우점종 밀도(개체/100 ) 6.57 4.44 5.52 2.25 2.00 19.08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6.40 20.20 25.49 39.68 41.15 8.82 조사구 수 관목층 높이(m) 7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24 태릉ㆍ강릉 주요 군락의 상대기여도(RNCDi)에 의한 계층별 주요 수종의 우점도 교목층 소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아까시나무 아교목층 소나무 철쭉 쪽동백 팥배나무 떡갈나무 물오리나무 관목층 풀싸리 진달래 국수나무 철쭉 때죽나무 팥배나무 생강나무 쪽동백 신갈나무 작살나무 물푸레나무 누리장나무 초본층 주름조개풀 굴참나무 담쟁이덩굴 신갈나무 팥배나무 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 강아지풀 닭의장풀 철쭉 큰듬성이삭새 진달래 칡 국수나무 새 누리장나무 선괭이밥 새콩 생강나무 맑은대숙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100 0.73 100 15.29 2.35 8.86 100 100 2.00 43.33 100 100 3.16 100 16.67 100 100 8.06 100 40.00 6.67 100 28.81 2.06 4.94 2.06 100 100 42.86 7.14 17.14 40.00 100 100 16.67 40.00 100 7.14 100 18.90 6.40 10.06 55.79 94.51 48.78 29.27 9.15 18.90 6.40 10.06 9.15 9.15 9.15 100 95.24 23.81 100 19.35 19.35 19.35 8.06 8.06 100 33.33 2.38 2.38 100 100 2010~2016년 종합평가ㆍ 79
나) 현존식생 태릉ㆍ강릉의 현존식생은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이 가장 넓은 20.64%를 차지 하며, 다음으로 소나무군락 16.32%,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9.15%, 신갈나무군 락 8.80%, 소나무군락 8.57%, 소나무식재림 7.75%, 소나무굴참나무군락 6.87% 순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순군락인 소나무군락과 소나무식재림 을 제외한 소나무 우점의 혼효림이 상당히 넓은 16.56%인 185,288.44 를 차지 하고 있다. 태릉ㆍ강릉의 현존식생에서 외래성 조림수종인 리기다소나무군락이 0.11%, 리기다소나무신갈나무군락이 6.19%의 비교적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표 25 태릉ㆍ강릉의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조사면적( ) 비율(%) Pd 소나무군락 95,876.92 8.57 Pid 소나무식재림 86,705.58 7.75 PdQm 소나무신갈나무군락 49,580.59 4.43 PdQa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41,758.55 3.73 PdQv 소나무굴참나무군락 76,882.82 6.87 PdQal 소나무갈참나무군락 17,066.48 1.53 Pik 잣나무식재림 1,232.68 0.11 Pr 리기다소나무식재림 3,908.22 0.35 PrQm 리기다소나무신갈나무군락 69,310.32 6.19 Qm 신갈나무군락 98,427.14 8.80 QmSa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102,370.37 9.15 Qv 굴참나무군락 QvQm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Qal 갈참나무군락 22,189.64 1.98 230,922.26 20.64 13,115.04 1.17 QalPd 갈참나무소나무군락 4,227.29 0.38 QaQm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락 58,491.42 5.23 QaQal 상수리나무갈참나무군락 37,505.29 3.35 Ga 조경식재 17,225.97 1.54 Seg 초지 9,544.84 0.85 능역 18,432.27 1.65 2,789.52 0.25 W 수계(연지) Bag 나지(도로, 주차장 등) 30,605.60 2.74 Other 조성지(사무실 등) 30,843.96 2.76 계 1,119,012.77 100 8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그림 4 태릉ㆍ강릉의 현존식생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81
⑧ 정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정릉의 식생은 전반적으로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신갈나무군락은 팥배나무가 높 은 식피율을 나타내고 있다. 동북쪽 남서사면에 소나무 대경목과 중경목 군락이 분포하며, 서쪽 동사면과 능 주변부에 소나무식재림과 소규모의 잣나무식재림이 조성되어 있다. 동쪽 능선부에 작은 규모의 소나무식재림이 조성되어 있다. 정릉의 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 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팥배나무군 락(Sorbus alnifoli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식재림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이 조성되어 있다. 표 26 정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조사구 수 신갈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3 3 2 2 575 675 375 200 교목층 높이(m) 14.00 15.67 13.50 교목층 식피율(%) 90.00 90.00 92.50 아교목층 높이(m) 3.30 5.67 4.50 7.50 아교목층 식피율(%) 4.00 13.33 5.00 90.00 관목층 높이(m) 1.37 2.13 1.75 1.50 관목층 식피율(%) 45.00 20.00 55.00 70.00 초본층 높이(m) 0.47 0.33 0.25 0.55 초본층 식피율(%) 51.67 8.00 10.00 60.00 출현종 수 24.33 12.33 15.50 28.00 목본 밀도(개체/100 ) 7.48 7.56 23.47 14.00 교목 밀도(개체/100 ) 7.48 5.78 22.40 우점종 밀도(개체/100 ) 7.48 3.26 22.40 13.00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7.29 21.34 10.06 11.30 조사 면적( ) 8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27 정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신갈나무군락팥배나무군락소나무식재림 교목층 소나무 100 신갈나무 100 팥배나무 100 졸참나무 4.91 굴참나무 2.11 아교목층 때죽나무 100 64.81 붉나무 100 산벚나무 100 신갈나무 100 소나무 100 팥배나무 18.52 관목층 졸참나무 100 진달래 100 때죽나무 46.16 42.35 100 싸리 100 갈참나무 23.85 팥배나무 20.00 아까시나무 12.69 신갈나무 7.69 1.61 철쭉 1.92 1.61 작살나무 4.62 산초나무 4.62 초본층담쟁이덩굴 100 41.67 때죽나무 12.99 100 주름조개풀 5.19 100 100 신갈나무 8.66 33.87 가는잎그늘사초 46.05 산딸기 41.67 40.79 큰애기나리 41.67 맑은대쑥 41.67 푼지나무 32.47 큰기름새 19.74 국수나무 13.16 갈참나무 9.09 붉나무 5.19 댕댕이덩굴 5.19 2010~2016 년종합평가ㆍ 83
나) 현존식생 정릉의 현존식생은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이 65.47%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소 나무군락 11.85%, 소나무식재림 6.41%, 소나무신갈나무군락 2.54% 순으로 넓 게 분포하고 있다. 정릉의 현존식생도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남쪽지역의 신갈나 무팥배나무군락의 일부는 아까시나무의 식피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교란식 생이 분포하고 있다. 용맥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군락 일부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단절된 상태로 분포하고 있다. 표 28 정릉의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조사면적( ) 비율(%) 34,324.94 11.85 18,569.15 7,307.21 2,313.85 189,701.43 6.41 2.52 0.80 65.47 Pd 소나무군락 Pid PdQm Pik QmSa 소나무식재림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잣나무식재림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Ga 조경식재 7,607.84 2.63 Bag 능역 나지(도로 등) 4,453.31 4,425.69 1.54 1.53 Other 조성지(사무실 등) 21,066.80 7.27 289,770.22 100 계 ⑨ 의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의릉의 식생은 배후 산지의 경우 전반적으로 신갈나무가 우점하여, 신갈나무군 락은 팥배나무가 높은 식피율을 나타내고 있다. 능선을 따라 중경목의 소나무군 락이 좁게 분포하며, 능역 주변에는 대경목의 소나무림이 조성되어 있고, 북쪽 한국예술종합학교 사이의 평지에는 소경목의 소나무식재림이 조성되어 있다. 의릉의 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 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 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팥배나무군락(Sorbus alnifolia community) 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식재림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스트로브잣나무식재림(Pinus strobus afforestation) 이 조성되어 있다. 8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그림 5 정릉의 현존식생도 표 29 의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3 3 2 조사 면적( ) 400 675 250 교목층 높이(m) 10.50 14.00 12.50 교목층 식피율(%) 90.00 88.33 92.50 아교목층 높이(m) 7.00 5.33 3.75 아교목층 식피율(%) 48.00 22.00 3.00 1.27 1.77 1.55 26.67 30.00 35.00 조사구 수 관목층 높이(m) 관목층 식피율(%) 초본층 높이(m) 0.50 0.30 0.30 초본층 식피율(%) 28.33 10.00 22.50 출현종 수 20.00 16.33 17.00 목본 밀도(개체/100 ) 12.50 12.17 22.80 교목 밀도(개체/100 ) 6.50 8.17 20.00 우점종 밀도(개체/100 ) 11.75 5.00 19.60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16.42 17.93 9.81 2010~2016년 종합평가ㆍ 85
표 30 의릉 주요 군락의 상대기여도(RNCDi)에 의한 계층별 주요 수종의 우점도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100 100 4.35 2.11 100 100 100 25.00 100 100 18.75 43.75 13.12 3.12 2.96 100 8.15 2.96 1.23 1.23 2.38 100 2.38 9.52 9.52 100 10.26 10.77 6.15 6.15 2.56 2.56 2.56 2.56 100 36.36 36.36 15.15 100 88.57 17.14 7.14 교목층 소나무 신갈나무 팥배나무 물참나무 아교목층 소나무 때죽나무 신갈나무 팥배나무 관목층 신갈나무 때죽나무 진달래 팥배나무 참싸리 밤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개옻나무 초본층 신갈나무 팥배나무 때죽나무 붉나무 주름조개풀 붉은서나물 큰기름새 새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바랭이 닭의장풀 돌나물 나) 현존식생 의릉의 현존식생은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이 가장 넓은 39.05%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소나무군락 21.27%, 소나무식재림 11.40%, 소나무신갈나무군락 2.41% 순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순군락인 소나무군락과 소나무식재림 을 제외한 소나무 우점의 혼효림은 4.13%인 11,279.14 를 차지하고 있다. 의릉 의 현존식생에서 외래성 조림수종인 리기다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가 섞여 있는 혼효림이 1.72%를 차지하고 있다. 8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31 의릉의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조사면적( ) 비율(%) 58,152.97 21.27 31,153.79 2,735.98 1,958.00 6,585.16 1,733.60 106,749.83 11.40 1.00 0.72 2.41 0.63 39.05 Pd 소나무군락 Pid PdPr PdPs PdQm Qm QmSa 소나무식재림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스트로브잣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Ga 조경식재 13,322.39 4.87 Bag 능역 나지(도로 등) 12,891.11 8,624.95 4.72 3.16 Other 조성지(사무실 등) 29,459.77 10.78 계 273,367.55 100 그림 6 의릉의 현존식생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87
⑩ 서오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서오릉의 식생은 전반적으로 참나무류가 우점하는데 사면 하부는 갈참나무, 사 면 중ㆍ상부는 남사면 또는 남서사면에 굴참나무, 북사면에 신갈나무가 우점하 고 있다. 소나무군락은 능선부와 남사면 상부에 소규모의 잔존림 형태로 분포하 며, 소나무림 대부분은 식재림이다. 서오릉의 식생을 구성하는 주요 식물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신 갈나무군락(Quercus community), mongolica community),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서어나무군락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오리나무군락(Alnus japonic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식재림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리기다소나무식재림(Pinus rigida afforestation), 아까시나무식재림(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이 조성되어 있다. 표 32 서오릉 주요 군락의 특성 조사구 수 소나무 군락 3 교목층 높이(m) 12.00 16.00 19.00 17.50 14.00 17.50 9.17 교목층 식피율(%) 91.67 91.67 91.67 95.00 95.00 82.50 88.33 아교목층 높이(m) 5.00 7.50 7.17 4.75 7.00 6.50 5.00 아교목층 식피율(%) 1.67 15.00 33.33 50.00 11.50 32.50 1.00 관목층 높이(m) 1.40 1.53 1.57 1.85 1.20 1.85 1.10 관목층 식피율(%) 10.33 16.67 40.00 25.00 5.00 42.50 1.00 초본층 높이(m) 신갈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 오리나무 군락 군락 군락 군락 군락 3 3 2 2 2 소나무 식재림 3 0.37 0.23 0.37 0.45 0.30 0.55 0.30 초본층 식피율(%) 40.00 18.33 30.00 7.50 9.50 55.00 33.33 출현종 수 25.67 25.67 28.67 18.50 18.50 28.50 15.67 목본 밀도(개체/100 ) 16.00 12.44 9.27 16.80 11.78 13.33 13.33 교목 밀도(개체/100 ) 15.29 8.30 4.88 5.12 9.11 6.48 13.00 우점종 밀도(개체/100 ) 14.59 6.67 3.51 5.12 7.33 7.33 13.33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17.84 19.01 25.06 20.18 13.50 22.83 16.87 8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33 서오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교목층소나무 100 0.32 0.71 100 신갈나무 100 30.00 갈참나무 100 0.71 굴참나무 0.32 1.27 0.32 100 0.71 서어나무 0.32 100 오리나무 0.32 100 팥배나무 1.27 0.32 0.71 졸참나무 1.27 0.83 물푸레나무 3.33 아교목층소나무 100 100 팥배나무 100 28.81 66.67 산벚나무 100 2.38 100 때죽나무 41.66 3.12 49.38 100 37.50 서어나무 2.06 100 진달래 3.12 14.29 철쭉 3.12 2.06 2.38 물푸레나무 37.50 산초나무 37.50 갈참나무 2.06 2.38 졸참나무 33.33 신나무 6.25 잣나무 3.12 관목층때죽나무 100 88.57 71.05 16.67 41.67 100 진달래 25.00 100 40.79 100 팥배나무 100 100 산초나무 13.82 100 쥐똥나무 100 신나무 100 철쭉 25.00 47.14 40.79 10.00 신갈나무 25.00 30.00 산벚나무 25.00 21.71 쪽동백 60.00 아까시나무 60.00 찔레 48.39 갈참나무 46.05 생강나무 30.00 족제비싸리 25.00 덜꿩나무 17.14 굴참나무 10.00 2010~2016 년종합평가ㆍ 89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초본층담쟁이덩굴 100 애기나리 100 100 100 큰애기나리 32.26 100 굴참나무 27.50 100 51.43 가는잎그늘사초 27.50 9.60 60.00 100 5.71 담쟁이덩굴 33.87 93.33 100 가는잎족제비고사리 72.58 100 고깔제비꽃 100 털대사초 100 주름조개풀 16.80 26.67 21.43 칡 62.50 산딸기 58.33 29.52 신갈나무 27.50 33.87 때죽나무 17.50 9.60 국수나무 25.00 큰기름새 10.00 진달래 60.00 때죽나무 60.00 달뿌리풀 40.00 개맥문동 40.00 덜꿩나무 32.26 팥배나무 24.00 진퍼리고사리 16.00 나 ) 현존식생 서오릉의현존식생은갈참나무군락이가장넓은 22.66% 를차지하며, 다음으로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16.13%, 아까시나무졸참나무군락 12.35%, 소나무군락 11.23% 순으로넓게분포하고있다. 소나무군락은대부분식재림으로 7.37% 이며, 자연림소나무군락은 3.86% 로매우적은면적만분포한다. 졸참나무는비교적넓게분포하고있으나순군락은거의없으며신갈나무우점의군락에섞여자라고있다. 서오릉의식생은아까시나무와리기다소나무같은외래성조림수종으로교란된지역이 22.34% 를차지하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 2003년서오릉산림생태조사연구보고서에서의현존식생도와비교하면군락의분포에큰변화가없으나익릉북서쪽지여에서참나무류의군락이줄고소나무식재림이약간증가한것으로나타나고있다. 9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표 34 서오릉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조사면적( ) 비율 69,796.3 3.86 133,263.8 7.37 Pd 소나무군락 Pid 소나무식재림 Pr 리기다소나무식재림 70,881.2 3.92 Pik 잣나무식재림 21,698.3 1.20 PrPd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 30,377.6 1.68 PrQal 리기다소나무갈참나무군락 24,049.0 1.33 Qm 신갈나무군락 87,697.4 4.85 Qal 갈참나무군락 409,736.6 22.66 Qv 굴참나무군락 62,744.3 3.47 QalQa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38,152.9 2.11 QmQs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291,661.6 16.13 RopQal 아까시나무갈참나무군락 223,311.9 12.35 RopQm 아까시나무신갈나무군락 17,539.5 0.97 RopPr 아까시나무리기다소나무식재림 37,791.2 2.09 Ga 조경식재 14,827.2 0.82 Al 오리나무군락 45,566.5 2.52 Cl 서어나무군락 조성지(주차장, 재실 등) 묘지(능, 원, 묘) 기타(군부대) 계 13,561.4 0.75 124,584.5 6.89 78,113.9 4.32 12,838.2 0.71 1,808,193.3 100 그림 7 서오릉 현존식생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91
⑪ 서삼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서삼릉의 주요 식물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오리나무군락 (Alnus japonic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군락의 대부분은 식재림이며, 능ㆍ원별로 식생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태실지역에는 갈참나무(Quercus aliena)가, 효릉지역에는 졸참나무 (Quercus serrata)가, 예릉과 희릉지역에는 소나무(Pinus densiflora)가 우점하 는 식생을 나타내고 있다. 태실지역 북서쪽 경계부에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가 우점하며 소나무가 혼생하는 군락이 소규모 분포하고 있다. 표 35 서삼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3 2 3 1 교목층 높이(m) 16.00 18.00 20.00 17 교목층 식피율(%) 86.67 92.50 95.00 85 아교목층 높이(m) 4.33 5.50 7.67 7.5 아교목층 식피율(%) 5.33 15.00 51.67 30 관목층 높이(m) 1.37 1.60 1.60 1 관목층 식피율(%) 15.00 60.00 23.33 1 초본층 높이(m) 0.37 0.30 0.23 0.5 초본층 식피율(%) 86.67 57.50 30.00 95 출현종 수 37.00 30.00 22.00 30 목본 밀도(개체/100 ) 6.63 9.44 15.18 9.25 교목 밀도(개체/100 ) 5.03 5.28 7.18 5.00 우점종 밀도(개체/100 ) 5.37 3.84 2.82 2.50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9.55 23.38 30.59 31.27 조사구 수 9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36 서삼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교목층 소나무 100 갈참나무 0.32 100 0.35 졸참나무 0.32 100 오리나무 100 상수리나무 10.00 17.89 서어나무 0.32 5.26 산벚나무 17.14 팥배나무 17.05 신나무 2.86 아교목층 소나무 100 철쭉 100 팥배나무 16.67 100 신나무 100 붉나무 41.66 싸리 41.66 때죽나무 40.0 5.19 2.86 당단풍 62.96 서어나무 18.52 쪽동백 1.23 관목층 쪽동백 100 14.29 7.84 때죽나무 12.50 100 24.31 당단풍 100 철쭉 14.29 8.24 싸리 21.88 단풍나무 14.29 갈참나무 12.50 두릅나무 5.21 개암나무 2.38 물푸레나무 2.38 백당나무 2.38 초본층담쟁이덩굴 100 100 17.14 큰애기나리 57.52 100 삿갓사초 100 주름조개풀 33.48 2.86 졸참나무 2.38 2.96 닭의장풀 8.99 산딸기 6.52 국수나무 4.35 갈참나무 3.04 칡 3.04 짚신나물 2.86 다릅나무 2.38 바랭이 1.74 뱀고사리 1.23 개맥문동 1.23 2010~2016 년종합평가ㆍ 93
나) 현존식생 서삼릉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26.97%를 차지하며, 다 음으로 갈참나무군락 19.96%, 오리나무군락 15.70%, 졸참나무군락 11.88%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성 조림수종이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은 리기다소나무소 나무군락으로 1.34%의 매우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표 37 서삼릉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Pd 소나무군락 Pid 소나무식재림 PrPd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 Qal 조사면적( ) 비율 59,353.4 26.64 719.0 0.31 2,994.3 1.34 갈참나무군락 44,578.7 19.96 Qs 졸참나무군락 26,546.1 11.88 Al 오리나무군락 35,082.0 15.70 묘지(능, 원, 묘) 53,986.1 24.16 223,259.6 100 계 그림 8 서삼릉 현존식생도 9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⑫ 온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양주 온릉은 굴참나무가 우점하며, 서어나무가 높은 식피율로 혼생하고 있다. 양주 온릉의 주요 식물군락을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한 결과 침엽수림 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서어나무군락(Carpinus laxiflora community), 갈참나무군락(Quercus alien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표 38 온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2 3 1 1 교목층 높이(m) 11.00 19.67 17 17 교목층 식피율(%) 86.67 93.33 95 95 아교목층 높이(m) 7.33 2.5 7.5 아교목층 식피율(%) 15.00 10 50 관목층 높이(m) 1.60 1.73 1.5 1.8 관목층 식피율(%) 5.00 10.00 10 5 초본층 높이(m) 0.45 0.23 0.2 0.2 초본층 식피율(%) 30.00 2.33 10 15 출현종 수 21.50 20.67 19 25 목본 밀도(개체/100 ) 12.00 10.67 7.11 9.33 교목 밀도(개체/100 ) 12.00 8.00 4.89 7.11 우점종 밀도(개체/100 ) 9.00 3.92 2.22 4.89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17.32 25.62 23.78 15.07 조사구 수 2010~2016년 종합평가ㆍ 95
표 39 온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교목층 소나무 100 2.86 굴참나무 0.83 100 2.86 신갈나무 0.83 12.38 100 2.86 서어나무 19.05 42.86 100 리기다소나무 25.33 아까시나무 4.76 상수리나무 2.86 졸참나무 1.14 아교목층 서어나무 100 100 100 신갈나무 100 팥배나무 100 철쭉 100 쪽동백 17.14 때죽나무 7.14 관목층 진달래 100 100 100 덜꿩나무 100 100 때죽나무 4.17 100 철쭉 100 초본층 가는잎그늘사초 100 75.00 100 굴참나무 100 주름조개풀 75.00 100 16.67 애기나리 42.86 100 큰기름새 88.57 실새풀 33.33 쪽동백 33.33 잣나무 33.33 작살나무 28.57 진달래 17.14 덜꿩나무 17.14 산딸기 17.14 붉나무 7.14 9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나) 현존식생 양주 온릉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군락은 굴참나무서어나무군락으로 51.74% 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신갈나무서어나무군락 25.96%, 갈참나무군락 8.78%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성 조림수종이 많이 섞여 있는 군락은 리기다소나무식 재림 0.86%,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1.39%,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으로 3.31%, 아까시나무굴참나무군락 2.59%로 비교적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표 40 온릉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군락 명 PdPr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QvCl 굴참나무서어나무군락 Qal 갈참나무군락 QmCl 신갈나무서어나무군락 Pr 리기다소나무식재림 PrPd RopQv 조사면적( ) 비율 1,149.8 1.39 42,797.9 51.74 7,262.6 8.78 21,473.4 25.96 711.4 0.86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 2,737.9 3.31 아까나무굴참나무군락 2,142.4 2.59 묘지(능, 원, 묘) 4,441.8 5.36 82,717.2 100 계 그림 9 양주 온릉 현존식생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97
⑬ 파주 삼릉 가) 주요 군락의 특성 파주 삼릉의 식생은 전반적으로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사면 하부로 갈수록 갈참 나무가 높은 식피율로 분포하며, 사면 상부는 서어나무가 높은 식피율로 혼생하 고 있다. 소나무군락은 능선부와 남사면 상부에 소규모의 잔존림 형태로 분포하 며, 소나무림의 대부분은 식재림이다. 파주 삼릉의 자연림군락은 침엽수림인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갈참나무군락 (Quercus aliena community), 서어나무군락(Carpinus laxiflora community)으로 구분되고, 식재림으로는 소나무식재림(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잣나무식 재림(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리기다소나무식재림(Pinus rigida afforestation), 아까시나무식재림(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이 조성 되어 있다. 표 41 파주 삼릉오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2 5 2 3 2 1 교목층 높이(m) 12.50 19.20 20.00 17.00 14 교목층 식피율(%) 90.00 95.00 92.50 93.33 95 아교목층 높이(m) 2.50 5.90 7.25 6.33 6.75 3.5 아교목층 식피율(%) 5.00 40.00 20.00 5.00 92.50 5 관목층 높이(m) 1.15 1.74 1.60 1.23 1.20 1.2 관목층 식피율(%) 27.50 26.00 30.00 3.67 15.00 7 초본층 높이(m) 0.35 0.20 0.45 0.13 0.50 0.3 초본층 식피율(%) 62.50 23.00 77.50 16.67 65.00 10 출현종 수 27.00 19.80 35.50 19.33 27.00 22 목본 밀도(개체/100 ) 9.65 11.65 7.57 10.63 16.00 13.78 교목 밀도(개체/100 ) 8.71 6.50 4.29 9.25 12.89 우점종 밀도(개체/100 ) 9.41 2.85 3.29 7.29 16.00 11.56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3.78 26.30 30.77 14.99 13.56 18.54 조사구 수 9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42 파주삼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갈참나무군락서어나무군락소나무식재림잣나무식재림 교목층 소나무 100 졸참나무 100 13.68 100 갈참나무 100 서어나무 11.87 1100 2.86 잣나무 100 신갈나무 4.29 21.29 0.71 0.35 팥배나무 0.52 1.47 아교목층소나무 100 때죽나무 100 귀룽나무 100 서어나무 10.69 100 100 산벚나무 0.87 6.53 100 밤나무 1.52 당단풍 25.00 신나무 6.67 백당나무 6.67 팥배나무 2.38 관목층산벚나무 100 졸참나무 100 66.67 100 때죽나무 100 100 신나무 100 당단풍 100 밤나무 19.35 9.01 100 철쭉 30.42 6.67 100 진달래 48.39 54.93 으름 40.00 쪽동백 17.46 덜꿩나무 17.46 신갈나무 16.67 갈참나무 16.67 백당나무 6.67 물푸레나무 6.67 초본층주름조개풀 100 5.27 100 6.56 10.00 담쟁이덩굴 58.46 100 14.29 33.88 58.33 애기나리 100 졸참나무 100 졸참나무 23.85 100 산딸기 58.33 진달래 51.67 왕머루 35.71 가는잎그늘사초 16.67 눈괴불주머니 14.29 국수나무 14.29 진달래 11.54 철쭉 10.00 갈참나무 10.00 가는잎족제비고사리 6.56 처녀고사리 4.17 들깨풀 4.17 2010~2016 년종합평가ㆍ 99
나) 현존식생 파주 삼릉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군락은 졸참나무군락으로 21.10%를 차지하 며, 다음으로 갈참나무군락 21.08%, 졸참나무갈참나무군락 17.36%, 졸참나무서어나무군락 11.89%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성 조림수종이 많이 섞여 있는 군락은 총 8.55%이며, 리기다소나무식재림 0.93%,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으 로 3.26%, 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 2.42%, 리기다소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0.34%, 아까시나무졸참나무군락 1.07%, 잣나무리기다소나무삭재림 0.55%로 주로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다. 소나무순군락은 9.03%로 적은 면적이며, 대부분 소나무식재림으로 8.17%를 차지하고 자연림 소나무군락은 0.86%에 불과하다. 표 43 파주 삼릉의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Pd 군락 명 소나무군락 면적 12,764.8 비율(%) 0.86 Pid 소나무식재림 121,265.6 8.17 Pr 리기다소나무식재림 13,803.8 0.93 PdPr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 48,387.5 3.26 PrQs 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락 35,919.6 2.42 PrRop 리기다소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5,046.5 0.34 Pik 잣나무식재림 49,426.5 3.33 PikPr 잣나무리기다소나무식재림 8,163.5 0.55 Qs 졸참나무군락 313,183.0 21.10 QsQal 졸참나무갈참나무군락 257,670.9 17.36 QsCl 졸참나무서어나무군락 176,332.4 11.89 QsPik 졸참나무잣나무군락 8,015.1 0.54 Qal 갈참나무군락 312,886.1 21.08 RopQs 아까시나무졸참나무군락 15,881.8 1.07 SkAg 버드나무신나무군락 32,951.0 2.22 Ga 조경식재 38,739.7 2.61 묘지(능, 원, 묘) 33,841.6 2.28 계 10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1,484,279.4 100
그림 10 파주삼릉현존식생도 14 파주장릉가 ) 주요군락의특성 파주장릉은갈참나무가우점하는식생으로상수리나무, 굴참나무가혼생하고있으며, 능선의북쪽사면에는신갈나무가우점하고있다. 소나무군락은능선을따라좁게분포하며리기다소나무의식피율이높게나타나는교란식생이다. 남쪽경계부에소나무와잣나무의식재림이조성되어있으며, 습한토양환경에오리나무군락이형성되어있다. 파주장릉의주요식물군락을식물사회학적으로구분한결과자연림은침엽수림인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 낙엽활엽수림인갈참나무군락 (Quercus aliena community), 상수리나무군락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굴참나무군락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신갈나무군락 (Quercus mongolica community), 오리나무군락 (Alnus japonica community) 으로구분되었으며, 식재림은침엽수림인잣나무식재림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으로구분되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01
표 44 파주 장릉 주요 군락의 특성 소나무 군락 조사구 수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오리나무 군락 군락 군락 군락 군락 잣나무 식재림 2 3 1 1 1 2 2 교목층 높이(m) 16.50 19.00 17 16 18 18.00 12.50 교목층 식피율(%) 90.00 95.00 90 95 95 67.50 95.00 아교목층 높이(m) 3.50 4.67 3 3 3.5 4.75 2.75 아교목층 식피율(%) 40.00 42.33 30 10 40 46.50 3.50 관목층 높이(m) 2.00 1.57 1.3 1.9 1.3 1.65 1.65 관목층 식피율(%) 70.00 30.00 60 20 45 5.00 22.50 초본층 높이(m) 0.10 0.23 0.1 0.3 0.5 0.70 0.20 초본층 식피율(%) 15.00 33.67 25 15 5 90.00 15.00 출현종 수 21.00 20.00 15 19 13 20.00 27.00 목본 밀도(개체/100 ) 19.56 12.49 10.00 13.33 14.00 13.17 13.33 교목 밀도(개체/100 ) 11.11 6.73 4.67 9.33 9.00 4.83 11.78 우점종 밀도(개체/100 ) 11.11 4.20 3.67 6.67 4.75 5.00 10.44 우점종 평균 흉고직경( ) 22.78 21.59 29.40 15.23 22.94 25.56 16.51 10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45 파주장릉주요군락의상대기여도 (RNCDi) 에의한계층별주요수종의우점도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잣나무식재림 교목층소나무 100 갈참나무 100 상수리나무 42.35 100 2.86 0.71 신갈나무 100 17.14 굴참나무 0.94 100 오리나무 100 잣나무 100 졸참나무 17.14 17.14 서어나무 2.86 17.14 리기다소나무 4.29 아까시나무 4.29 팥배나무 2.86 아교목층때죽나무 100 100 100 100 100 41.67 당단풍 100 잣나무 100 100 쥐똥나무 24.00 백당나무 24.00 서어나무 16.67 6.67 산벚나무 6.67 0.65 신나무 4.00 딱총나무 4.00 관목층때죽나무 100 100 16.67 100 100 당단풍 100 진달래 1.04 100 쥐똥나무 100 꼬리조팝나무 100 밤나무 10.00 서어나무 40.00 잣나무 16.67 음나무 2.50 4.17 개옻나무 2.40 산벚나무 1.00 덜꿩나무 1.04 초본층주름조개풀 100 100 100 1.67 48.39 때죽나무 100 100 고마리 100 담쟁이덩굴 10.00 100 이삭사초 86.67 개찌버리사초 23.58 25.00 상수리나무 19.35 청가시덩굴 16.67 진퍼리새 10.00 나도바랭이새 10.00 때죽나무 6.60 모시물통이 1.67 쉽싸리 1.67 진득찰 1.67 대사초 1.57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03
나) 현존식생 파주 장릉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군락은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으로 57.42%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신갈나무군락 9.51%, 소나무군락 9.01%, 오리나 무군락 5.54%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성 조림수종이 많이 섞여 있는 군락은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으로 4.21%로 주로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다. 표 46 파주 장릉 현존식생 현황 군락 기호 Pd PdPr Pik Qa QalQa QmQs Al Seg 군락의 구분 소나무군락 소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잣나무식재림 신갈나무군락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초지 습지 조성지(주차장, 재실 등) 묘지(능, 원, 묘) 계 그림 11 파주 장릉 현존식생도 10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면적 43,878.2 20,366.8 10,981.6 46,006.8 277,734.2 2,467.2 26,801.0 11,030.0 11,513.8 4,692.6 28,300.7 483,772.9 비율(%) 9.07 4.21 2.27 9.51 57.42 0.51 5.54 2.28 2.38 0.97 5.85 100
⑮ 김포 장릉 김포 장릉의 임상을 임분별로 구분한 결과 소나무림(Pinus densiflora Forests), 갈참나무림(Quercus aliena Forests), 갈참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우점하는 활침 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and coniferous), 갈참나무와 팥 배나무가 우점하는 활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졸참 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는 참나무림(Oak Forests), 오리나무림(Alnus japonica Forests), 잣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으로 구분되었다. 표 47 김포 장릉 임분별 특성 기호 임분 명 평균 수고(m) 평균 흉고직경( ) 목본 밀도(본수/a) D 소나무림 12.13 25.89 7.63 QC 갈참나무림 13.80 19.54 8.58 HM 활침혼효림 14.15 19.73 7.00 H 활엽수혼효림 12.65 15.82 14.45 QQ 참나무림 14.11 18.25 11.63 AJ 오리나무림 10.56 21.15 4.50 CM 침활혼효림 11.94 29.08 4.25 그림 12 김포 장릉의 임상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05
표 48 김포 장릉 군락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300 10.22 16.89 83.79 갈참나무 150.67 72.64 71.19 51.68 졸참나무 29.61 11.07 61.55 오리나무 149.90 잣나무 28.59 104.06 굴참나무 10.64 18.92 4.36 22.15 느티나무 73.17 돌배나무 33.94 때죽나무 40.47 24.05 28.92 18.44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4.81 물푸레나무 6.80 버드나무 74.52 복자기나무 38.98 산벚나무 10.17 34.91 21.90 8.76 41.63 상수리나무 10.08 44.78 10.73 35.05 서어나무 11.01 30.30 24.96 신갈나무 27.94 20.06 아까시나무 34.78 4.81 음나무 11.03 일본잎갈나무 30.55 6.36 12.21 팥배나무 27.13 17.60 45.69 35.52 A: 소나무림 E: 참나무림 B: 갈참나무림 F: 오리나무림 C: 활침혼효림 G: 침활혼효림 D: 활엽수혼효림 ⑯ 융릉ㆍ건릉 융릉ㆍ건릉의 임상을 임분별로 구분한 결과 소나무림(Pinus densiflora Forests),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침엽수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상수리나무림(Quercus acutissima Forests), 상수리나무와 갈참나 무가 우점하는 참나무림(Oak Forests),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활엽 수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상수리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Mixed Forest of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갈참나무와 잣나무가 우점하는 활침혼효림(Mixed Forest of deciduous broadleaf and coniferous), 리기다소나무림(Pinus rigida Forests), 잣나무림 (Pinus koraiensis Forests)으로 구분되었다. 10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표 49 융릉ㆍ건릉 임분별 특성 평균 수고(m) 평균 흉고직경( ) 목본 밀도(본수/a) D 기호 소나무림 임분 명 12.90 23.33 5.69 C 침엽수혼효림 10.97 17.63 5.83 QA 상수리나무림 14.39 18.40 5.67 QQ 참나무림 15.81 21.99 5.29 H 활엽수혼효림 11.16 18.09 6.63 CM 침활혼효림 13.55 21.07 6.75 HM 활침혼효림 6.70 10.30 11.50 PR 리기다소나무림 11.99 15.95 12.42 PK 잣나무림 9.38 18.54 6.92 그림 13 융릉ㆍ건릉의 임상도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07
표 50 융릉ㆍ건릉 임분별 주요 수종의 상대우점도 A B C D E F G H I 300 102.27 9.11 5.02 11.09 27.12 상수리나무 16.50 149.52 111.91 65.18 87.87 36.17 14.73 갈참나무 12.61 15.98 74.94 8.50 169.49 22.51 리기다소나무 77.57 72.67 132.40 잣나무 27.20 66.41 300.00 산벚나무 12.74 47.77 44.63 22.96 27.07 졸참나무 9.47 10.34 42.11 21.87 27.93 6.95 때죽나무 20.61 35.58 17.46 8.00 35.96 팥배나무 21.12 12.67 14.78 34.74 23.62 굴참나무 20.17 29.25 26.28 6.73 신갈나무 18.85 29.45 귀룽나무 9.29 6.45 22.09 밤나무 12.39 15.07 서어나무 9.08 14.10 일본목련 9.38 7.84 아까시나무 8.94 7.13 물박달나무 11.49 신나무 10.62 떡갈나무 소나무 A: 소나무림 F: 침활혼효림 108 ㆍ B: 침엽수혼효림 G: 활침혼효림 2010~2016년 종합평가 C: 상수리나무림 H: 리기다소나무림 10.28 D: 참나무림 I: 잣나무림 E: 활엽수혼효림
2) 중점관리지역수목현황 (1) 동구릉 1 건원릉식재현황 동구릉건원릉의능역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20m 정도를보이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며, 참나무혼효림으로활엽수들이우점하고있다. 건원릉소나무식재림주변을둘러싸고있는활엽수에의한피압이많이진행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능역주변으로상수리나무, 오리나무, 쪽동백나무, 오리나무, 때죽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며, 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다. 능역주변으로오리나무, 신나무, 쪽동백, 때죽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2 현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2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비각주변으로 6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남아있으며, 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다. 현릉능침주변소나무림주변을둘러싸고있는활엽수에의해피압이많이진행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능역주변으로문종왕릉방향의산책로주변으로산뽕나무, 서어나무, 쪽동백상수리나무, 오리나무, 쪽동백나무, 오리나무, 때죽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09
그림 14 건원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그림 15 현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3 목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5~2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인목왕후릉쪽의소나무폭을가장좁게조사되었다. 의인왕후릉주변지역이습하여소나무가생육하기부적합한토양으로판단되며장기적으로주변토양개량과함께소나무의재식계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의인왕후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경계울타리까지소나무림이남아있으며주변지역은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다. 목릉능침주변소나무림주변을둘러싸고있는활엽수에의해피압이되고있어활엽수에대한관리가필요하다. 능역주변으로문종왕릉방향의산책로주변으로산뽕나무, 서어나무, 쪽동백상수리나무, 오리나무, 쪽동백나무, 오리나무, 때죽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11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16 목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4 휘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0~1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휘릉청룡쪽의소나무폭이좁게조사되었다. 휘릉능침주변지역으로소나무를식재하여소나무림을조성하고있으나제향공간지역으로우점한참나무림을정비하여장기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계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휘릉진입공간주변으로는졸참나무, 오리나무, 갈참나무, 때죽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11
5 원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소나무는약 2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현재능침주변으로소나무를식재하여수고가높지않는것으로조사되었다. 원릉주변지역이참나무림에의해피압되어제향공간주변으로소나무가피압되고있으며, 장기적으로능침뒤쪽뿐만아니라홍살문앞까지좌측, 우측능선주변으로소나무림을재식하는계획을수립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원릉홍살문좌측으로오리나무가주를이루고있으며상수리, 갈참나무, 단풍나무, 쪽동백등이분포하고있다. 원릉홍살문우측공간에는오리나무, 갈참나무가주로분포하고있으며, 야광나무, 쪽동백, 때죽나무등이아교목층을이루고있다. 원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남아있으며주변지역은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어잔존소나무주변의참나무림을정비하여기존소나무림을지속적으로유지될수있도록정비계획수립이필요하다. 그림 17 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그림 18 원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6 경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경릉청룡쪽의소나무는참나무림에의해피압되어점적으로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경릉능침주변지역으로소나무림이가장많이분포하고있으며제향공간지역으로내려갈수록우점한참나무림이능역공간으로많이잠식해들어오고있다. 따라서장기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계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11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특히휘릉의청룡지역으로오리나무, 산벚나무, 산사나무가주종을이루고있으며아교목층으로쪽동백, 때죽나무, 팥배나무, 서어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7 숭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소나무는약 2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현재능침주변으로소나무를식재하여수고가높지않는것으로조사되었다. 숭릉주변지역이참나무림에의해피압되어백호쪽의제향공간주변으로소나무가피압되고있으며, 장기적으로능선주변으로소나무림을재식하는계획을수립하여야할것으로판단된다. 숭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남아있으며주변지역은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어잔존소나무주변의참나무림을정비하여기존소나무림을지속적으로유지될수있도록정비계획수립이필요하다. 그림 19 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그림 20 숭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8 수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5~2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수릉청룡쪽의소나무는참나무림에의해피압되어점적으로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수릉능침뒤쪽주변지역으로소나무림이가장많이분포하고있으며제향공간지역으로내려갈수록우점한참나무림이능역공간으로많이잠식해들어오고있으며, 잣나무림도분포하고있다. 잣나무림은소나무림과질감과색감의차이가있어장기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계획이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13
수릉의청룡지역으로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 상수리나무가주종을이루고있으며아교목층으로쪽동백, 팥배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9 혜릉식재현황 능침을중심으로소나무는약 3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현재능침주변으로소나무들이대체적으로양호한상태를유지하고있다. 혜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남아있으며주변지역은참나무혼효림으로인해피압되고있어잔존소나무주변의참나무림을정비하여기존소나무림을지속적으로유지될수있도록정비계획수립이필요하다. 그림 21 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그림 22 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남양주홍릉융릉 1 홍릉식재현황 홍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341본중에소나무가 233본으로 68% 가조사되었고, 홍살문을기준으로왼쪽방향에잣나무 106본으로대체적으로많이나타났으며, 수관밀도가높은것을볼수있다. 11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23 홍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유릉식재현황 유릉능침주변소나무조사결과전체 169본중에소나무가 166본으로 98% 가조사되었고, 잣나무 3본으로대체적으로많이나타났으며, 수관밀도가낮으며, 벌근도적은편이다. 그림 24 유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15
(3) 남양주사릉 1 사릉식재현황 사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241본중에소나무가 238본으로 98% 가조사되었고, 소나무가주로능침주변을둘러싸고있고봉분오른쪽방향과홍살문오른쪽방향에소나무조림지가있다. 그림 25 사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4) 남양주광릉 1 광릉식재현황 광릉의능역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전나무의너비는약 10m 정도를보이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참나무혼효림으로활엽수들이우점하고있다. 세조왕릉과정희왕후릉주변의전나무림주변을둘러싸고있는활엽수에의한피압이많이진행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능역주변으로전나무, 갈참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 졸참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11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26 광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5) 서울선릉과정릉 1 선릉식재현황 정릉의능침주변소나무는성종대왕릉우측부분에약하게남아있으며능침뒤쪽과좌측으로는약 17m 정도의폭으로소나무림이남아있다. 능침뒤쪽용맥을따라잔존소나무가위치하며정현왕후릉은성종대왕릉보다소나무림이폭넓게위치하고있다. 정현왕후릉청룡능선부로는넓은폭으로소나무가존치하며소나무림이비각앞쪽까지내려오고있다. 선릉능역주변의소나무림과함께오리나무림, 버드나무림, 조경식재지 ( 단풍나무, 때죽나무등 ) 가분포하고있다. 이수목들은현재동원이강릉의형식을고려해볼때문제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오리나무와뒤쪽단풍나무, 때죽나무등의수목을단계적으로제거하고사초지로조성할필요가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17
선릉의경계부는차폐되지않아위요감이떨어지고있어주변소나무림재식이필요해보인다. 그림 27 선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정릉식재현황 정릉의주변소나무림은대체적으로갈참나무림을제거하고점차확대해나가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 제향공간주변으로소나무의높이차이가있어균형감이맞지않아보이는문제점이있다. 정릉답장구간에는소나무식재림에섞여잣나무가분포하고있으며질감의차이가있고경관성도결여된다. 정릉의곡장주변의소나무림중에는곡장과 1~1.5m 가까이붙어있는소나무가있는데이는지속적인모니터링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11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28 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6) 서울헌릉과인릉 1 헌릉식재현황 헌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313본중에소나무가 209본으로 67% 가조사되었고, 오리나무가산책로주변으로길을따라 58본이있었다. 아래그림에서능뒤편으로밀집되어있는것은소나무조림목이있는곳이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19
그림 29 헌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인릉식재현황 인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313본중에소나무가 178본으로 57% 가조사되었고, 소나무벌근이많은편이다. 아래그림에서봉분주변으로소나무가있고봉분아랫부분은대부분오리나무이다. 그림 30 인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7) 서울태릉과강릉 1 태릉식재현황 태릉주변의식생현황을보면우백호쪽으로약 60m 폭으로소나무림이분포하며, 좌청룡지역도정자각에서홍살문까지의능역주변으로소나무림이조사되었다. 태릉의사초지내로수목들이많이들어와다른능에비해사초지가좁게느껴지며, 이는참나무림을제거하지않고소나무를참나무앞쪽으로재식한결과로보인다. 근래능역주변으로소나무를재식한수목들은대체적으로약 3m 정도의간격으로재식되어있어소나무가제수형을가지면서성장해나갈수있도록관리할필요가있다. 그림 31 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21
능침뒤쪽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일부남아있으며, 소나무상수리나무혼효림으로활엽수 ( 상수리나무 ) 들이점점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태릉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이왜소화되어있는지역과능침곡장주변으로붙어있는소나무가있다. 곡장주변에바로붙어분포하는소나무들은장기적인모니터링을통해능제시설이훼손되지않도록할필요가있어보인다. 2 강릉식재현황 강릉의능역주변의식생현황을살펴보면백호능선부의활엽수를제거하고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능선부를소나무림으로잘조성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강릉의능선부소나무림이아직뚜렷이남아있으며현재소나무상수리나무혼효림으로서상수리나무가소나무를지속적으로피압하고있어잔존소나무들이고사할우려가있기때문에능선부의소나무관리를위한계획수립이필요하다. 그림 32 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강릉능침주변으로식재되어있는소나무들은밀식되어있어소나무의밀도조절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강릉제향공간에서홍살문가지의상수리갈참나무군락이우점하고있으며사초지가매우좁게남아있다. 따라서사초지의폭을넓히고소나무로점진적으로대체할수있는계획이필요하다. (8) 서울정릉 1 정릉식재현황 정릉능침주변식생현황을보면소나무식재가능역주변을둘러싸고있으며, 소나무의너비는약 20~25m 정도로조사되었다. 청룡지역능선의소나무림이백호지역능선의소나무림보다조금더넓게분포하고있다. 능침주변소나무식재배후림으로신갈나무팥배나무림이분포하고있으며소나무의생장을유지하기위해서는지속인관리가필요해보인다. 그림 33 정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23
제향공간주변으로는느티나무, 참나무류, 벚나무, 팥배나무등이식재되어있다. 능침지역에새로재식한소나무림은식재간격이너무좁아솎아내기를통해소나무의제수형을가질수있도록정비계획을수립할필요가있다. (9) 서울의릉 1 의릉식재현황 2009년의릉의능침주변소나무는의릉백호지역은약 70m 정도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으며청룡지역은능침주변에조금남아있고능침뒤쪽으로소나무림이연결되어있으며제향공간까지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다. 2011년청룡지역의단절되었던소나무를연결하였으며청룡능선주변으로건물을철거하고지형을복원하고있는모습을볼수있다. 2016년의릉의능역주변소나무림은백호지역에는큰변화가없다. 그러나능침뒤쪽청룡지역으로소나무림이늘어나있는것을확인할수있으며지형을복원한지역도소나무림으로재식한것으로조사되었다. 그림 34 의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복원한지역의소나무들은재식한지얼마되지않아소경목으로서지속적인관리가필요할것으로보인다. 의릉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림은청룡맥을따라소경목이 4열재식되어있으며, 백호지역은중경목으로 1열에서 2열로분포하고있다. 제향공간은넓은사초지를유지하고있으나제향공간의소나무식생은미약해보인다. (10) 서오릉 1 명릉식재현황 서오릉명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보면소나무림이능역을둘러싸고있으며, 소나무가분포하고있는너비는약 10~20m 정도를차지하고있다. 명릉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3~2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1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그림 35 명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25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일부남아있으며, 소나무림주변으로소나무참나무혼효림으로활엽수들이점점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2 익릉식재현황 서오릉익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살펴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20~40m 정도를보이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30~4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20~3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일부비어있는공간이있으며, 소나무림주변으로소나무참나무혼효림이분포하고있어활엽수들이일부능역주변의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그림 36 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익릉백호능선부주변으로소나무식재림을조성하였으며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을재식이필요한공간이조사되었다. 정자각아래까지소나무림의폭은대체적으로양호하며활엽수에의한피압을장기적으로관리해나갈필요가있다. 3 경릉식재현황 서오릉경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0~25m 정도분포하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10~1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15~2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경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참나무림이우점하고있으며, 소나무림주변으로참나무림으로활엽수들이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그림 37 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27
경릉소혜왕후릉주변으로소나무림이가장많은피압을당하고있으며경릉덕종왕릉비각주변으로소나무림의추가재식이필요해보인다. 경릉덕종왕릉쪽의정자각주변의소나무림도수관폭이많이넓어장기적으로소나무의이식계획수립이필요해보인다. 경릉정자각아래까지소나무림의폭은대체적으로양호하며활엽수에의한피압을장기적으로관리해나갈필요가있다. 4 홍릉식재현황 서오릉홍릉의능침주변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0m 내외정도를보이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정자각에서홍살문까지일부소나무가남아있으며대부분의신갈나무림이우점하고있다. 홍릉청룡능선부에는 10~15m 정도의소나무폭을능침에서정자각까지이루고있다. 홍릉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참나무림이우점하고있으며, 소나무림주변으로신갈나무림으로활엽수들이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그림 38 2015 년홍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2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5 창릉식재현황 서오릉창릉의능침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주변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0~25m 내외정도를보이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와청룡능선부의소나무는능침에서홍살문까지소나무가연결되어있으나대부분의소나무림들의폭이좁고주변의참나무림이우점하고있어소나무림을피압하고있다. 홍릉홍살문주변에서창릉방향으로리기다소나무림이능침뒤쪽까지우점하고있어정비가필요하다. 창릉은장기적으로외래수종에대한제거와재식계획의수립이필요해보인다. 그림 39 창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29
(11) 서삼릉 1 희릉식재현황 서삼릉희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보면소나무림이능역을둘러싸고있으며, 소나무가분포하고있는너비는약 10~15m 정도를차지하고있다. 희릉능침을중심으로백호지역의중계지역까지소나무는약 1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1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일부남아있으며, 소나무림주변으로경마장과의경계울타리가설치되어있다. 희릉정자각에서홍살문까지소나무가점적으로분포하고있으며오리나무와물푸레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그림 40 서삼릉희릉전수조사 2 예릉식재현황 서삼릉예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보면소나무림이능역을둘러싸고있으며, 소나무가분포하고있는너비는약 10m 정도를차지하고있다. 13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예릉능침을중심으로백호지역의소나무는약 1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활엽수 ( 오리나무등 ) 의피압으로소나무의수세가쇠퇴하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1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백호능선과같이활엽수의피압을받고있다. 예릉능침에서홍살문까지소나무가선형으로분포하고있으며오리나무와신나무,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밭배나무, 서어나무등의수목들이분포하고있다. 그림 41 서삼릉예릉전수조사 3 효릉식재현황 서삼릉효릉의능침주변수목현황을보면소나무림이능침뒤쪽으로둘러싸고있으며, 소나무가분포하고있는너비는약 10m 정도를차지하고있다. 효릉백호지역의소나무는활엽수의피압으로점적으로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으며,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팥배남무, 신나무등이분포하고있다. 청룡능선부도역시활엽수의피압으로점적으로소나무림이분포하고있으며장기적으로활엽수를정비하고소나무를재식하여능역주변을정비할필요가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31
그림 42 서삼릉효릉전수조사 (12) 양주온릉 1 온릉식재현황 양주온릉능침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0m 정도로매우폭이좁게분포하고있다.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능침에서정자각까지소나무폭이점차줄어들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홍살문까지참나무에피압되어소나무가점적으로분포하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며, 굴참서어나무림이우점하고있다. 양주온릉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이참나무에의해점차적으로피압당하고있어소나무에대한관리가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능침주변으로일정폭의참나무림을제거하고소나무림으로대체하는계획을수립하여야한다. 13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43 양주온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 파주삼릉 1 공릉식재현황 파주삼릉공릉의능침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5~25m 정도를보이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약 20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 15m 정도의소나무폭을이루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며, 참나무혼효림들이우점하고있다. 공릉주변의소나무식재림을보면능침주변으로일부소나무림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백호능선부는홍살문까지소나무림의폭이좁게분포하고있으나청룡능선부의비각부터홍살문까지는활엽수에의한피압이많이진행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33
그림 44 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순릉식재현황 2010년파주삼릉순릉의능침주변을졸참나무림이둘러싸고있으며소나무식재림현황을보면능침뒤쪽으로약 20m 정도로소나무림이남아있다. 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는현재졸참나무림이우점하고청룡능선부에는버드나무신나무군락이우점하고있다. 순릉주변의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므로장기적으로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을조성하는재식계획수립이필요하다. 13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45 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 그림 46 순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2 3 영릉식재현황 파주삼릉영릉주변의식생현황을보면능침주변으로졸참나무, 갈참나무림이우점하고있으며, 소나무림현황을보면능침주변으로소나무의너비는약 15m 정도를보이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을식재하여넓은면적을차지하고있으나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의재식계획이필요하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35
그림 47 영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4) 파주장릉 1 장릉식재현황 파주장릉능침주변식재현황을보면능역을둘러싸고있는소나무의너비는약 15m 정도를보이고있으며능침을중심으로백호능선부의소나무는정자각에서홍살문까지소나무폭이줄어들고있으며, 청룡능선부에는홍살문까지일정폭의소나무림이유지되고있다. 능침뒤쪽으로용맥을따라소나무림이거의남아있지않으며, 갈참나무상수리나무림이우점하고있다. 파주장릉주변의소나무림을보면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이참나무에의해점차적으로피압당하고있어소나무에대한관리가필요하다. 13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48 파주장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5) 김포장릉 1 장릉식재현황 장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351본중에소나무가 319본으로 91% 가조사되었고, 잣나무가 19본으로 5%, 전나무가 6본으로 2% 조사되었으며활엽수는 7본으로 2% 가조사되었다. 수관밀도가높은것을볼수있으며, 홍살문을기준으로왼쪽방향으로소나무가많이출현하였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37
그림 49 김포장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6) 융릉건릉 1 융릉식재현황 융릉능침주변수목조사결과전체 337본중에상수리나무가 92본으로 27% 가조사되었고, 소나무가 85본으로 25% 가조사되었다. 수관밀도가높은것을볼수있다. 그림 50 융릉능침주변수목분포현황 13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② 건릉 식재 현황 건릉 능침주변 수목조사 결과 전체 441본 중에 상수리나무가 158본으로 36%, 소나무가 149본으로 33.8%, 잣나무가 111본으로 25.2%가 조사되었다. 수관밀도 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51 건릉 능침주변 수목분포 현황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39
3. 조선왕릉의동물현황 1) 2014 2016 년야생동물종합분석 2014부터 2016년까지조선왕릉역사문화경관림지역에서조사한결과, 총조류상은 76종이관찰되었고, 출현종이가장많은왕릉은동구릉과광릉이었다. 동구릉은왕릉중에가장많은능침이있는대규모면적에내외부의수계망과연못등이발달되어있어서다양한조류상이서식할수있고, 백로류의경우는집단번식을하고있다. 광릉은오랫동안대규모지역을보호지역으로관리해오면서, 인공림과극상림등이잘발달된산림생태계때문에조류종다양성이많다고할수있다. 그림 52 왕릉의조류현황 (2014~ 2016) 나머지대부분의왕릉은독립된숲이거나주변산림이구릉성산림과연계되어있고, 2016년에조사한왕릉처럼도심권역에위치한왕릉의경우는종수가낮은상태로나타난것을확인할수있다. 천연기념물을비롯한법정보호종은총 8종이관찰되었고, 대부분은맹금류였다. 14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표 51 조선왕릉천연기념물서석현황 구분 2014년 (7종) 2015년 (6종) 2016년 (4종) 물새류 원앙 원앙 맹금류 ( 주행성 )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새매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새매 참매, 붉은배새매 맹금류 ( 야행성 ) 소쩍새, 솔부엉이 소쩍새, 솔부엉이 소쩍새, 솔부엉이 산림성조류 까막딱다구리 산림지역의지표종이라할수있는딱다구리류도왕릉에서는많이관찰되었는데, 2014년이가장많은 6종 48개체였고, 2015년이 5종 35개체인데반해, 2016 년에는 4종 10개체에불과하였다. 이또한 2016년의왕릉조사지역이독립된위치에있거나인접한산림의식생이다양하지않거나, 도시화된경관구조의특징을보이고있기때문이다. 표 52 조선왕릉지표종인딱다구리류의서식현황 2014 년 (6 종 48 개체 ) 2015 년 (5 종 35 개체 ) 2016 년 (4 종 10 개체 ) 쇠딱다구리 (19) 아물쇠딱다구리 (2) 큰오색딱다구리 (10) 오색딱다구리 (18) 까막딱다구리 (2) 청딱다구리 (7) 쇠딱다구리 (6) 아물쇠딱다구리 (2) 큰오색딱다구리 (4) 오색딱다구리 (17) 청딱다구리 (6) 아물쇠딱다구리 (1) 큰오색딱다구리 (1) 오색딱다구리 (4) 청딱다구리 (4) 총 18개지역의왕릉에서왕릉의면적, 산림밀도및축적량, 식생의층위구조등조류다양성을지원하는다양한항목이있는데, 이번종합평가에서는기본적인종과개체수현황, 법정보호종, 딱다구리류의개체군크기를비교해보았다. 지속적으로왕릉보고서에서언급한바와같이현재왕릉의입지와산림축적량, 그리고미소서식지의발달등은다양한야생동물을부양할수있는공간이라할수있다. 한편도심권역에위치하면서왕릉경관을유지하기위한하예작업과같은강도높은작업은왕릉을기반으로서식하는소형산림성조류에게먹이자원과둥지자원을감소시키기때문에도심권역의왕릉은인공소상 ( 인공둥지 ) 등을설치하여다양한산림성조류를유인할필요가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41
그림 53 왕릉에서주로서식하는야행성맹금류솔부엉이와소쩍새 이러한산림성조류의다양성은궁극적으로왕릉의해충등을먹이로하여개체수조절을할수있기때문이다. 특히솔부엉이와소쩍새는매년왕릉에서주로출현하고있는데, 이들은해충이라할수있는나방류를주로사냥하기때문에이들의서식을유인하면서생태교육프로그램으로활용할수있다. 왕릉에서가장위협적이야생동물에멧돼지와두더지가있다. 두더지는왕릉의능침주변을파고들어가서능침의붕괴위험을초래할수있고, 멧돼지는인명손상및두더지와같이땅을파헤치는행위로능침주변의붕괴나잔디가훼손되기도한다. 특히멧돼지가출현한지역은 2014년의동구릉, 2015년의서삼릉, 2016년의태릉이다. 멧돼지는기본적으로출몰지역에안내시설설치와펜스관리가가장우선되어야하며, 멧돼지출몰지역이대부분주변산림과연계된지역이기때문에지자체의밀렵감시및구조단체와의긴밀한협의가필요할것이다. 두더지는기피제중심으로회피시키는방안이가장시급할것이다. 14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4. 조선 왕릉의 곤충 현황 2014부터 2016년까지 조선 왕릉 역사문화경관림 지역을 조사한 결과, 광릉이 554종이 출현하여 가장 출현종 다양성이 높은 지역이었으며, 연산군묘가 100종 이 출현하여 가장 낮은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휘경원, 서오능, 서삼릉, 태릉ㆍ강릉이 각각 200종 이상 출현한 지역이었으며, 그 외 지역은 101~200종 이 출현하여 비교적 출현종 다양성이 낮은 지역이었다. 그림 54 조선 왕릉별 출현종 다양성 비교(2014~2016) 현지조사에서는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 및 Ⅱ급은 조사되지 않았으 며, 광릉의 문헌조사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인 장수하늘소 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대모잠자리, 물장군, 쇠똥구리, 큰수리팔랑나비, 왕 은점표범나비의 5종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기간 방제 또는 예찰이 필요한 생태계위해우려 외래생물등급(국립생태 원, 2012) 곤충은 혹명나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돼지풀잎벌레, 아메리카동애 등에, 갈색날개매미충의 6종으로 파악되었다(표 53). 초지대에 적응성이 높은 혹명나방은 거의 전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울 의릉 등 가을에 500개 체 이상 관찰되기도 하였다. 최근 개체밀도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미국선녀벌 레는 대부분 조선 왕릉 지역에서 1,000개체 이상 관찰되었으며, 꽃매미는 미국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43
선녀벌레보다는 개체밀도가 낮지만 곳에 따라 어린 벌레시기 대규모 군집을 이 루고 있기도 하였다. 생태계 교란식물인 돼지풀에 적응성이 높은 돼지풀잎벌레 는 서오릉 등에서 관찰되었으며,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서오릉과 정릉에서만 관찰 되었다. 그리고 산지에서 대규모 관찰된 갈색날개매미충은 서오릉ㆍ온능ㆍ서삼 릉ㆍ파주 삼릉ㆍ파주 장릉ㆍ의릉에서 관찰되었으나 향후 다른 조선 왕릉 지역 에서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표 53 현지 확인된 생태계위해우려 외래생물등급(곤충)의 출현 현황 및 특성 곤충 명 조선 왕릉 명 혹명나방 광릉 휘경원 영빈묘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돼지풀잎벌레 아메리카 동애등에 갈색날개 매미충 순강원 동구릉 명빈묘 서오릉 온릉 서삼릉 파주 삼릉 파주 장릉 소령원, 수길원 태릉, 강릉 정릉 연산군묘 선릉 의릉 영휘원 안빈묘 14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5. 조선 왕릉의 식생구상 1) 적극적 보호지역 경관림 조성 및 관리 (1) 기본원칙 조선 왕릉 용맥의 흐름에 따라 주산에서 뻗어오는 산맥과 외청룡ㆍ외백호ㆍ내 청룡ㆍ내백호 용맥은 송림으로 조성하여 관리하고, 능침 외 지역은 현재의 식생 대로 보존 관리한다. 능침주변 소나무림을 조성할 경우 목재생산림이 아닌 역사문화경관림으로 재식 에 맞는 잔존 본수(약 200~400본/ha)를 유지한다. 조선 왕릉 문화재 지정구역 내에 식재되어 있는 외래수종은 모두 제거한다. (2) 역사경관림 조성 왕릉의 주산을 잇는 용맥, 중점관리지역 외청룡, 외백호 능선 및 내백호, 내청 룡의 산맥은 반드시 송림으로 조성한다. 단 송림의 조선 왕릉 역사경관림에 어 울리는 하층목(참나무류, 쪽동백, 때족나무, 진달래 등)의 보존을 통한 역사경관 림을 유지한다. 또한 습지지역은 오리나무 등을 보존 관리한다. ① 단기 방안 능원을 중심으로 사면을 감싸고 있는 내청룡ㆍ내백호ㆍ현무ㆍ주작 전체지역을 송림으로 조성해야 한다. 단 문헌기록에 식재(융릉 가래나무 등)한 수목은 존치 한다. 고문헌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문헌기록에 의거 재식한다(예, 건원릉 소나무, 융 건릉 참나무, 광릉 전나무 등). 외래수종은 모두 제거한다.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홍단풍, 꽃개오동나무, 일본목련 등은 모두 제거한다. 면단위(군식) 경우에는 제거 후 소나무를 재식한다. 점단위(단목) 경우에는 제거만 실시한다.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45
② 장기 방안 주산을 잇는 용맥 및 외청룡ㆍ외백호줄기는 산 능선에서 좌ㆍ우 산아래 7~6부 능선까지 송림을 조성한다. 방화수림대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의 활엽수림대는 현황대로 보존하고, 화소를 고려하여 폭 20m 범위 내의 하층목을 제거한다. 그림 55 역사경관림 조성(안) 146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3) 시설물주변경관림조성및관리 능침주변곡장지역송림조성은소나무가성목으로자랐을때수고에해당하는높이만큼곡장에서떨어져송림을조성한다. 곡장주변에작은소나무를재식하는경우에는 7~10m 정도떨어져재식한다. 곡장주변소나무가성목으로더이상수고생장을하지않을경우에는곡장에서수고만큼간격 ( 약 15~20m) 이유지되도록한다. 주간이구부러진수목은경관적가치와도복등을고려하여현장확인후제거한다. 그림 56 능침주변의소나무림 ( 변경전 ) 그림 57 능침주변의소나무림 ( 변경후 )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47
2) 생태관리지역보전방안 (1) 조선왕릉의식생분포의안정성유지 외래수종 (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일본목련 ) 등의수종은점진적으로정리 왕릉내의생태계교란식물 (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가시박, 돼지풀, 환삼덩굴 ) 등제거 왕릉내특산식물 ( 할미밀망, 각시둥굴래등 ) 및희귀식물의보존 자연생태지역의침엽수와활엽수는적정분포유지하고생태적식생을위한다층구조화유도 기도입재식된식물군락의적절한밀도조정 (100~400본/ha) (2) 조선왕릉의생태계의안정성유지 세류침식, 우곡침식, 토양침식현상방재를통한안정적인토양환경, 지피식물및식생의다층구조등유지 왕릉주변의수계정비를통해사면토사유실방지및소생물서식환경개선 왕릉내의대표동물 ( 딱다구리류, 야행성맹금류등 ) 에필요한생태계유지 왕릉내두더지, 멧돼지, 뱀등위해동물에대한방재 왕릉내위해곤충및해충발생시적절한대응방안마련 14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6. 조선왕릉의식생보존관리 1) 정비및관리기본목표 외래식물 ( 목본, 초본 ) 등왕릉경관에부적합한식물은제거 왕릉경관에적합한소나무분포를확대 자연재해예방과건강한수목유지를위해활용공간은중점관리 2) 외래식물정리 (1) 수목 대표적인외래식물로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일본목련, 백송일본매자나무등이있다. 조선왕릉에는이중과거에인위적으로식재했거나조림했던개체 ( 아까시나무 ) 와그후세목이자연발생하여자연생태지역에세력을확장하고있기때문에장기적인계획수립을통해지속적인관리가필요하다. 아까시나무는제거후구역의기준에따라재식한다. 적극적인관리지역은공간의성격에적합한수종을선택하여인위적경관으로복구하고생태보전지역의경관림은생태적변이및천이등을고려하여다층구조의식생을유도하며일부외래수종은제거한다. (2) 초본류 조선왕릉의귀화식물은애기수영, 미국자리공, 유럽점도나물, 흰명아주, 아까시나무, 애기땅빈대, 종지나물,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망초, 큰금계국, 뚱딴지, 서양민들레, 왕포풀등이확인되었다. 조선왕릉의생태계교란식물은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5분류군이확인되었으며외래식물들은지속적인관리를통해제거해나가야한다. 돼지풀은국화과에속하는일년생초본으로북아메리카원산이며유럽과아시아에널리퍼져있다. 우리나라는거의전국적으로분포하고있다. 세계여러나라에서자생식물과의자생지경쟁그리고꽃가루알레르기등의위해성으로인해관리식물로지정되어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49
돼지풀은주로도로변, 하천변, 호수변, 농경지와목초지등에잘자란다. 조선왕릉지역에서도주로산책로주변또는관리용도로주변에분포하고있으며, 숲속에는분포하지않았다. 이는인위적제거등의절차가가능한것으로사료된다. 돼지풀은뽑아주기가가장확실한제거방법이다. 현재조선왕릉지역의돼지풀은개화기직전에예초기, 낫등으로베어내기를하면종자를맺지못하기때문에효과적으로제거가가능하다. 단풍잎돼지풀은국화과에속하는일년생초본으로높이 3m까지자란다. 단풍잎돼지풀은북아메리카원산이며미국전역에퍼져있고유럽, 아시아, 호주등에널리확산되었다. 우리나라는주로중부지방에분포하는데주로접경지에집중분포하고있다. 단풍잎돼지풀은우리나라의자생식물과의경쟁그리고꽃가루알레르기등의위해성으로인해생태계교란생물로지정되었다. 단풍잎돼지풀은주로도로변, 하천변, 호수변, 농경지주변에크게무리를지어자란다. 단풍잎돼지풀의종자는흙을통해서유입되거나, 다른식물의종자등에섞여유입된다. 또한물길을따라이동하므로하천의상류나, 높은지역에분포하는단풍잎돼지풀의제거가우선적으로이루어져야한다. 단풍잎돼지풀은돼지풀과마찬가지로뽑아주기가가장확실한제거방법이지만분포범위가넓은편이어서많은시간과노동력을필요로한다. 따라서일년생이므로개화기직전에분포면적을고려하여예초기, 낫등으로베어내기를하면종자를맺지못하기때문에효과적으로제거가가능하다. 조선왕릉지역에서돼지풀은 8월초순에개화가시작되므로이때가베어내기의최적시기이다. 미국쑥부쟁이는다년생이므로뿌리로월동을하기때문에베어내기는효과가거의없으므로반드시뽑아내기를하여야한다. 개화전에는식별과발견이어렵기때문에개화기에집중적으로뽑아내기를하는것이가장효과적이다. 3) 수목재식및보전관리 (1) 공통사항 소나무숲확대조성은내외사신사의용맥을따라 7부능선까지송림을조성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외래수종, 근대조경수종이생립하고있는지역을우선대상지로하며, 고문헌을근거로능역을중심으로용맥을따라이어지는형태로조성한다. 15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도입되는 소나무는 직간으로 자라 기존 소나무와 이질감이 없도록 하며 규격은 조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동일 장소에서도 큰 숲에서는 3가지 이상의 규 격을 사용한다. 기존식생의 일시적 변화로 인한 경관의 질적 관리를 위해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15년 계획으로 한다. 수목분포는 조사결과 대부분지역이 밀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능 원의 주변 소나무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므로 아래사항을 참고하여 지속적 인 솎아베기를 한다. 일반 산림관리에서는 규격당 잔존본수와 평균수간거리2)는 소나무 흉고직경 20 의 경우 잔존본수 750본/ha, 거리 3.7m, 흉고직경 30 는 405본/ha, 거리 5.0m, 흉고직경 40 269본/ha, 거리 6.1m로 권장하고 있으나 능원의 경우 역사경관림의 역사성과 진정성ㆍ완정성을 위해 정원수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능하면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능원의 소나무 등 교목은 수목의 개체의 수고, 수형, 생태적 특성을 존중하면서 잘 보전하 기 위해 공간의 성격 및 지형의 특성에 따라 100 400본/ha를 유지하도록 한다. (2) 능역 및 활용지역 경관림 능침주변 소나무숲 조성은 용맥의 혈처(주산, 내청룡맥과 내백호맥 지역)를 중 심으로 하되 용맥을 따라 외부로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용맥 혈처의 소나무숲(대) 폭은 최소 50m 이상 유지되도록 하되 사신사의 각용 맥의 능선의 7부능선까지 송림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타 수종과의 경계는 획 일화로 인한 이질감이 없도록 전이공간(경계)은 계곡, 산릉 등 변화되는 자연지 형을 이용하며, 수종 간 경합이 없도록 5~10m의 완충공간을 둔다. 또한 현재 식재되어 있는 소나무 중 소경목는 점진적으로 솎아내기 등을 통해 소나무 제 수형을 유지하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존 능침주변의 소나무숲 내에 있는 참나무 군락 등 낙엽활수(교목)는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소나무를 재 식하여 보완한다. 능침 주요시설과의 수목 이격 거리는 능침의 형식, 능역규모, 입지조건 등에 따 라 다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곡장으로부터 줄기중심 15~20m는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 범위 내에 포함된 큰 소나무가 너무 많아 단순히 판단하기는 어려움이 있어 많은 관계전문가들의 협의를 거친 이후 능별 확정이 필요하다. 2) 조림학개론, 향문사, p.158.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51
능침지역의특성상경계지역수목은불균형적으로발달 ( 개방된지역으로기울어짐 ) 되고, 풍해, 설해의사례도자주발생하고있어솎아베기, 가지전정등지속적이고적극적인관리가필요하다. 능원 ( 진입제향능침공간 ) 지역에서낙엽활엽수와경합하여소나무의피해가심하거나향후피해가예상되는경우서로가치를판단하여결정해야하지만향후소나무분포확대, 소나무군락조성등을충분히고려해야한다. 종간경합이없이홀로있는소나무는가지가많이발생하여지엽이적체되면서설해, 풍해의표적이될뿐아니라관람지역에서는낙지로인한인명의피해도예상되므로주기적인불필요한가지전정이필요하다. 그림 58 소나무군락식재구조예시도 그림 59 소나무식재밀도변경전변경후 15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3) 기타 부속 경관림 아까시나무 등 외래수목이 대규모로 제거된 지역의 소나무 재식은 생태적 안정 과 효과적인 경관유지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소나무 단순군락이 되지 않도록 기존외래수목 하층에 자생하는 낙엽활엽수 (소교목, 관목)는 최대한 이용하되 부족할 경우 도입하여 부분군집 또는 다 층구조의 하층식생으로 활용한다. 기존수목과의 경계는 획일적인 구분으로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릉, 계 곡 등의 자연지형을 활용하고 경계에는 10m 이상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도입되는 소나무는 주변과 같은 직간형으로 하고 10년 이상 사후관리를 전 제로 조성한다. 부속 경관림 내에는 근대에 외래수목을 제거하고 소나무로 갱신한 지역이 상당 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위와 같은 갱신방법이 이행되지 않아 많은 문제점 이 발생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보완정비가 필요하다. 소나무의 대부분이 70~80년대 조경수로 유행한 일명 난장이형(수관중심)으 로 기존수목과는 이질적인 형태가 많아 불필요한 수목을 선정하여 과감한 정리를 한다. 높은 밀도의 수목은 솎아베기를 하고 발생되는 공간에는 낙엽활엽수(소교목, 관목) 소군락 또는 하층재식으로 보완한다. 획일적으로 구분되는 경계는 주변 낙엽활엽수와 조화되도록 정리하고 10m 내외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53
7. 왕릉별보존관리 1) 동구릉 (1) 지형및지질보존관리 동구릉을조사하면서 GIS 분석을통해이론적으로검토된몇가지사항을현장에서확인할수있었다. 첫째로우려되는사항은경릉묘역에관련된사안으로우곡침식이발생하고있다는것이다. 하천의시작부를중심으로우곡침식이심화되면서 30cm 규모로토층이붕괴되는슬럼프현상이나타나고있으며폭도약수m에이를정도로광범위하게나타나고있다. 하류부가소하천에연결되는상황때문에이처럼두부침식에의한상류쪽으로확산은사면안정성에커다란위해요인이될것으로판단되고있다. 그림 60 동구릉지형지질보존대책 15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두번째우려되는상황은여러묘역에서확인할수있었던세류침식과관련된것이다. 경사가완만한잔디지역이많아침식은큰문제가되지않을것으로예측하였으나실제답사를통해확인한결과를보면대부분의묘역이잔디에의해잘보존되고있으나강우시에형성되는세류침식의흔적이여러곳에서나타나고있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이러한세류의형성은방치할경우우곡으로발전할수있다는점에서우려할부분이있다. (2) 수계관리 관람로주변으로조성되어있는배수로는세가지유형으로나누어져있다. 돌수로, 현장목재를활용하여만들어진목재배수로, 잔디수로로조성되어있다. 수릉에서건원릉으로이어지는관람동선주변의돌수로의정비가필요하다. 기존돌수로와연계하여돌로정비되어있지않고, 토양의침식이있는지역을대상으로돌수로를정비한다. 원릉에서혜릉으로이어지는관람동선주변의목재수로의정비가필요하다. 되도록인위적인시설을이용한호안정비를지양하고토사정비를통한자연지형과조화를이룰수있도록호안을정비한다. 목릉능침쪽으로잔디수로주변으로목재마감이되어있으나부식이심하며주변잔디가습지화되어가고있어수계정비가필요하다. 휘릉과원릉사이의계곡부수계의양쪽호안토사유실이심각한상황이며자연형돌쌓기호안으로정비하여야하며, 원릉과경릉사이의수계양쪽호안의토사유실지역에자연형돌쌓기호안으로정비하여야한다. 원릉에서부터내려오는동구릉계류의명당수는장대석호안, 견치석호안, 자연형돌쌓기호안, 목책호안등여러가지방식의호안이경관성을해치고있어건원릉에서 43번국도까지장기사업으로자연형호안으로정비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55
그림 61 동구릉수계정비계획도 (3) 토양관리 현릉능침부소나무군락지 ph 3.90와건원릉우백호능선부소나무림 ph 3.84, 경릉능침뒤쪽소나무림 ph 3.8 등소나무림쪽의산성화가심각하였으며그외지역은산림지역평균보다는높지만대체로약산성토양으로조사되었다. 동구릉의토양산도 (ph) 는평균 ph 4.49로우리나라산림토양평균 ph 5.5인것과비교하면산성도가낮은편이다. 특히참나무림과소나무림의토양산성화가심하며, 대부분의지역은평균 ph 4.49 내외로산성토양의개량화작업이요구된다. 특히경릉능침지역, 혜릉능침지역, 숭릉능침지역의경우 ph 3.77, ph 3.86, ph 3.83으로산성화가심하게나타났다. 토양의산도가낮은경우에는수목이생육에필요한양분을충분히흡수할수없어수목의생육이불안정해지므로 15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평균 ph로높여주기위한토양개량을해줄필요가있다. 따라서토양의 ph를높여주기위해서는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산도를높여주는데이때비료를시비하는방법이매우중요하다. 소나무림주변의 ph 1.0을중성으로변화시키는데 ha당 3,000Kg 소요되므로 ( 이충화, 2007) 산성토양지역에살포하고매년지속적으로관리하여토양산도를적정수준으로유지하도록해야하며, 토양산도가어느정도이루어지면유기질비료로임지비배관리를실시하여야한다. 그림 62 동구릉토양계량도 (4)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역의송림은능원의용맥을따라기맥을잇는뜻에서용맥을따라소나무를재식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현재낙엽활엽교목으로분포하고있는용맥은단계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할수있도록장기적인계획을수립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57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동구릉건원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기존의소나무는보존관리하며,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2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으로관리한다. 그림 63 동구릉건원릉중점관리지역재식계획도 ( 안 ) 15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능침주변의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 200~4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왕릉주변의수목을제거또는이식을할경우에는반드시고문헌기록에의거하여제거하고소나무를재식할수있도록한다. 소나무림하층목으로는주변에자생하고있는때죽나무, 쪽동백등의아교목을재식하고, 진달래등의관목류와지피류를같이재식한다.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일본목련등외래수종은보존계획을거쳐제거후구역의기준에따라보식한다. 가을에는수목을이식하고봄에재식또는파종을원칙으로한다. 밀도에따라소나무와참나무등을보식한다. 적극적인관리지역은송림을원경관으로보존복원, 복구하고자연자원보존지구는생태적변이및천이등을고려하여다층구조의식생을유도한다. 2) 광릉 (1) 지형및지질보존관리 비교적급경사지에자리잡은광릉지역에서는세가지대책이필요한것으로보인다. 첫번째는능침주변특히혼유석주변으로토양침식이심하여탐방객의출입을제한할필요가있을것으로판단된다. 특히정희왕후를주변으로는침식이매우심각하여거의 1미터높이의계단상지형이만들어질형편으로이에대한대책이요구된다. 이로인해참배로를중심으로방문객들의답압에의해토양침식이상당한정도로발생하고있다. 왕릉의경우에도서측탐방로는 60cm 정도침식이일어나서능침상설도훼손될수있는정도로침식이일어나고있다는점이다. 두번째는이곳의경우에도동구릉일부에서관찰되었던우곡침식이발생하고있다는것이다. 다음그림에나타난것처럼우곡침식이심화되면서 60~70cm 규모로토층이붕괴되는슬럼프현상이나타나고있으며폭도약 3m에이를정도로광범위하게나타나고있다. 이는특히왕후릉의좌측측면부에서많이관찰되고있다. 이지점의경우하류부가소하천에연결되는상황때문에이처럼두부침식에의한상류쪽으로확산은사면안정성에커다란위해요인이될것으로판단되고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59
세 번째 우려되는 상황은 여러 묘역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세류침식과 관련된 것이다. 대부분의 묘역은 잔디에 의해 잘 보존되고 있으나 강우 시에 형성되는 세류침식의 흔적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류 의 형성은 방치할 경우 우곡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할 부분이 있다. 네 번째로 동물에 의한 토양침식도 우려할 정도로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밖에 없다. 흙이 교란되면 호우 또는 일정량 이상의 강수가 내릴 경우 침식 가 능성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근본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입구~홍살문~정자각에 이르기까지 탐방로는 현재까지는 잘 관리 되고 있으나 비교적 경사가 심하고 길이가 길어 현재와 같은 잘 정비된 유로 정비시설을 잘 유지해야만 침식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64 광릉 지형지질 보존대책 16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2) 수계관리 세조릉과정희왕후릉사이의암반수계정비가필요하다. 세조릉정자각주변수계의정비가필요하다. 정희왕후릉우측수계능침주변의자연형 ( 잔디수로 ) 정비가필요하다. 정희왕후릉능침좌측자연석호안정비가필요하다. 그림 65 광릉수계정비계획도 (3) 토양관리 광릉앞산림지역의경우서어나무군락지 ph 3.71, 갈참나무군락지 ph 3.77 그리고광릉세조대왕릉능침지의졸참나무림 ph 4.15, 광릉정희왕후능침소나무림 ph 3.81 등소나무림쪽의산성화가심각하였으며그외지역은산림지역평균보다는높지만대체로약산성토양으로조사되었다. 광릉의토양산도 (ph) 는평균 ph 4.23으로산림토양평균 ph 5.5인것과비교하면산성도가높은편이다. 특히참나무림과잣나무림의산성화가두드러지며광릉앞서어나무군락지와갈참나무군락지의토양은 ph 3.71, ph 3.77로산성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61
화가심하게나타났다. 토양의산도가낮은경우에는수목이생육에필요한양분을충분히흡수할수없어수목의생육이불안정해지므로평균 ph로높여주기위한토양개량을해줄필요가있다. 따라서토양의 ph를높여주기위해서는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산도를높여주는데이때비료를시비하는방법이매우중요하다. 석회는토양내에서이동이거의없고한곳으로몰리게되면땅이굳어지는현상이일어나기때문에시비할때도랑을깊게파고그속에시비하여토양을덮어주거나흙과같이섞어주어표층뿐만아니라하층까지섞일수있도록시비해주는것이중요하다. 소나무림주변의 ph 1.0을중성으로변화시키는데 ha당 3,000Kg 소요됨으로 ( 이충화, 2007) 산성토양지역에살포하고매년지속적으로관리하여토양산도를적정수준으로유지하도록해야하며, 토양산도가어느정도이루어지면유기질비료로임지비배관리를실시하여야한다. 원묘의경우광릉보다더산성화가심하며, 토양의 ph를높여주기위해서는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되도록평균이상으로 ph 산도를높여주어수목의생육에영향을주지않도록토양개량이필요하다. 그림 66 광릉토양계량도 16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4)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역의송림은능원의용맥을따라기맥을잇는뜻에서용맥을따라소나무를재식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현재낙엽활엽교목으로분포하고있는용맥은단계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할수있도록장기적인계획을수립한다.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동구릉건원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기존의소나무는보존관리하며,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2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으로관리한다. 능침주변의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 200~4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왕릉주변의수목을제거또는이식을할경우에는반드시고문헌기록에의거하여제거하고소나무를재식할수있도록한다. 소나무림하층목으로는주변에자생하고있는때죽나무, 쪽동백등의아교목을재식하고, 진달래등의관목류와지피류를같이재식한다.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일본목련등외래수종은보존계획을거쳐제거후구역의기준에따라보식한다. 가을에는수목을이식하고봄에재식또는파종을원칙으로한다. 밀도에따라소나무와참나무등을보식한다. 적극적인관리지역은송림을원경관으로보존복원, 복구하고자연자원보존지구는생태적변이및천이등을고려하여다층구조의식생을유도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63
3) 선릉ㆍ정릉 (1) 지형및지질보존관리 선릉과정현왕후릉의백호능선은 1970년대강남개발시훼손되어원형을찾아볼수없는주택지와도로로개발되어원형공간이훼손된상태이다. 중정의정릉청룡능선도 1970년대강남개발시훼손되어원형을찾아볼수없는주택지와도로로개발되어원형공간이훼손된상태이다. 선릉의연지와정릉의연지가능원의전면부에있었던것으로문헌및각종지도, 항공사진등에전하고있으나지금은도시화가심하게이루어져빌딩숲을이루고있어원형을확인할수없는실정이다. 정릉의연지와재실이정릉의좌청룡능선아래에있었던것으로문헌및각종지도, 항공사진등에전하고있으나지금은도시화가심하게이루어져빌딩숲을이루고있어원형을확인할수없는실정이다. 선릉과정현황후릉사이공간의복토와수목식재를통해지형과기능을복원한다. 선릉의정현왕후능침좌강으로넘는동선은용맥을단절하므로, 능역의신성함과엄숙함유지를위해능선의아래로이동하여관람로를설치한다. 선릉의홍살문에서능침까지의좌측동선은이용및보존공간의경계가불명확하여답압에의한잔디면의훼손이일어나고있어, 공간을구분하고포장재료를공간의목적에맞추어선정하고관리할필요가있다. 관람로및인접부에는답압에의한침식과우수에의한세류침식이발생하였다. 특히정현황후릉용맥및좌청룡능선인접관람로는답압에의해수목생장저해및사면침식의우려가있어정비가시급하다. (2) 수계관리 선릉과정릉의수계는 1970년대강남개발로선릉의백호수계와정릉의정룡수계가완전히상실된상태이며선릉과정릉주변의도시화로주변의수계가발달되지못하고있으며기능도상실된상태이다. 단지우기시우수처리등의단순기능에불과한정도이며상징적가치만가지고있어지속적인연구및관리가요구된다. 일부구간의관람로에는배수를위한철재집수시설물이설치되어있으나, 답압에의해휘어져있고, 이질적인경관을보이고있어배수시설의위치를개선과정비가필요하다. 16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일부배수구의경우는낙엽및토사에의해막혀있어, 주기적인제거작업이필요하다. 선릉과정현왕후릉사이에는계곡이위치하여배수를위한 1m 이하의 3단석축에의해배수로가형성되어있어두능사이를시각적으로단절시키고있다. 정현왕후릉의우측에는관람로를가로질러자연스럽게형성된표면배수구가위치하고, 산측으로도자연배수가진행되며세굴도함께진행되고있어이에대한관리가필요하다. 일부배수로는목재로경계를처리하고있으나, 목재는자연재료로친환경적이나내구성이약하고, 부식이일어나기쉬워주기적인관리가필요하며, 가능하면, 경관에영향을주지않고내구성이강한소재를사용할필요가있다. 정현황후릉과정릉사이에는자연적으로형성된수계가곳곳에분포하며, 인공시설물의설치를최소화하였으나, 수계인접부에세굴등침식이일어나고있어, 수계경계부의처리가요구된다. 문헌상에존재하였던정릉및선릉의연지를문헌고증을통해상징적표식등부분복원하도록한다. (3) 토양관리 선릉과정릉은양토가과반이상으로분포하며, 토양의평균산도는 ph 5.65로우리나라산림토양평균 ph 5.5인것과비교하여비슷하게나타나며타능원에비해삼림토양의산성화는양호한것으로나타났다. 갈참나무군락을제외하고는비교적우리나라평균적산림토양상태를유지하고있으므로, 현상황을유지할수있도록지속적인모니터링과관리가필요하다. 상시의내용으로선정릉지역의인위적토양시비등의조치는요구되지않으며일반적토양관리수준의지속적관리가요구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65
그림 67 선릉과정릉기본계획도 (4)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침주변소나무숲조성은용맥의혈처 ( 주산, 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 ) 를중심으로하되용맥을따라외부로연계성이유지되도록한다. 용맥혈처의소나무숲 ( 대 ) 폭은최소 50m 이상유지되도록하되사신사의각용맥의능선의 7부능선까지송림을유지하도록유도한다. 타수종과의경계는획일화로인한이질감이없도록전이공간 ( 경계 ) 은계곡, 산릉등변화되는자연지형을이용하며, 수종간의경합이없도록 5~10m의완충공간을확보할수있도록한다. 또한현재식재되어있는소나무중소경목는점진적으로솎아내기등을통해소나무제수형을유지하면서성장할수있도록한다. 동원이강릉성종대왕릉과정현왕후릉사이의오리나무숲에있는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사초지로정비하여보완한다. 관람지역의소나무재식은독립성의유지보다는소군락, 대군락이서로연계성이유지되도록하되소나무는기존과유사한 ( 직간 ) 으로하되주변수목에피압되지않도록다소큰규격으로재식한다. 능침주요시설과의수목이격거리는능침의형식, 능역규모, 입지조건등에따라다를수있지만장기적으로는곡장으로부터줄기중심 15~20m 정도이격하 16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는것이필요하다. 그러나현재이범위내에포함된큰소나무가너무많아단순히판단하기는어려움이있어관계전문가들의협의를거친이후능별확정이필요하다. 현재선릉능침주변의곡장을훼손할우려가있는소나무는제거가필요하며능침과울타리사이의공간에소나무재식을통한능침주변차폐될수있도록하여야한다. 능침지역의특성상경계지역수목은불균형적으로발달 ( 개방된지역으로기울어짐 ) 되고, 풍해, 설해의사례도자주발생하고있어솎아베기, 가지전정등지속적이고적극적인관리가필요하다. 능원 ( 진입제향능침공간 ) 지역에서낙엽활엽수와경합하여소나무의피해가심하거나향후피해가예상되는경우서로가치를판단하여결정해야하지만향후소나무분포확대, 소나무군락조성등을충분히고려해야한다. 종간경합이없이홀로있는소나무는가지가많이발생하여지엽이적체되면서설해, 풍해의표적이될뿐아니라관람지역에서는낙지로인한인명의피해도예상되므로주기적인불필요한가지전정이필요하다. 그림 68 선릉재식정비 ( 안 )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67
선릉과정릉의사초지는현재잘관리되고있다. 그러나사초지주변으로잔디관리를위해때밥주기등으로인해주변석물이나제향공간의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는경우가있으므로 6년주기로잔디를교체하여석물및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지않도록관리하여야한다. 그림 69 정릉재식정비 ( 안 ) 4) 태릉ㆍ강릉 (1) 지형및지질보존관리 사격장일원의가능한부분의원지형복원및역사경관림으로의복구가필요하다. 삼육대학교좌측의능선은강릉의청룡맥이며, 동구릉으로이어지는주용맥이므로생태통로등을이용한용맥의연결이필요하다 ( 문화재청, 2010). 능역의일부가동물, 우수등에의한사면및잔디면의훼손이나타났으며, 보토및잔디식재등의관리가이루어졌다. 하지만부분적인침식면이드러나있고, 잔디면의피해도지속될것으로여겨지므로피해발생시즉각적인복구를 16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통해피해확산을방지하도록한다. 능침역주변수복방및비각인접공간은우수에의한침식이두드러지게나타나고있는데, 장기적으로방치할경우, 경관적인측면뿐아니라지표면관리에부정적영향을미치게된다. 따라서지표면을복구하고, 지하배수공설치를통해원활한배수를유도하며, 지표면은잔디또는식물에의한피복을통해표면침식을방지하도록한다. 또한관람동선을구분하여이용공간과보존공간을구분하여관리할필요가있다. (2) 수계관리 태릉주변의계류와연지를정비한다. 태릉의좌측수계는부분적으로석축과통나무에의해수계의경계를구분하고있다. 목재의경우친환경적재료이지만, 내구성이약하고, 부식및훼손가능성이크며, 두가지재료의혼용으로시각적인이질감을보이고있다. 따라서내구성이크고자연적인수계를형성하도록하되, 다듬어진석재에의해직강화한석축쌓기보다는자연적인돌쌓기를통해자연적이고전통적인수계형태를유지하고관리할필요가있다. 관람로또는사초지에위치하는석재또는철재의집수시설물은주기적인관리를통해배수가원활하도록낙엽및토사의제거가필요하며, 관람객의이용이많은구간에는가능하면위치를이동하여시각적이질감을줄일필요가있다. 태릉의일부구간의목재에의한경계면은내구성과부식가능성을고려하여, 내구성이강하고경관적이질감을주지않는범위내에서개선할필요가있다. 능의입구에서홍살문까지의동선의측면은수계의경계및관리가모호하며, 부분적으로는철제배수시설물과자연스럽지않은배수체계가노출되고있어전체적인정비가요구된다. 강릉의경우, 능침의좌측수계는지형에의해자연수계를형성하고있는데, 수목가지및낙엽등이쌓여있어주기적인배수로관리가필요하며, 자연석쌓기등에의해배수로를정비할필요가있다. (3) 토양관리 태릉과강릉의토성은양토와사양토, 미사질양토로조사되었고, 평균토양산도는 ph 4.65로산성화가심하게진행된것으로나타났다. 사초지의경우도토양산도가 ph 5.0에도미치지못하고있어, 능역주변산림과더불어토양개량이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69
요구되었다. 토양의 ph를높여주기위해서는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되도록평균이상으로 ph 산도를높여주어수목의생육에영향을주지않도록토양개량이필요하다. 소나무군락의경우, 토양산도는 ph 4.44~4.51인데, 소나무림주변의 ph 1.0을중성으로변화시키는데 ha당석회질비료 3,000Kg이소요되므로산성토양지역에살포하고매년지속적으로관리하여토양산도를적정수준으로유지하도록해야하며, 토양산도가어느정도이루어지면유기질비료로임지비배관리를실시하여야한다. 산림토양산도개선 강릉 수계의주기적정비 산림토양산도개선 계류정비 태릉 자연형수계정비 침식공간의보토이용및보존공간의구분관리 관람로측구정비 금천교및어정복원 그림 70 태릉과강릉의기본계획도 17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4) 식생관리 ① 적극적 보호지역 보전방안 능침주변 소나무숲(대) 조성은 용맥의 혈처(주산, 내청룡맥과 내백호맥 지역)를 중심으로 하되 용맥을 따라 외부로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용맥 혈처의 소나무숲(대) 폭은 최소 50m 이상 유지되도록 하되 사신사의 각 용맥의 능선의 7부능선까지 송림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타 수종과의 경계는 획일화로 인한 이질감이 없도록 전이공간(경계)은 계곡, 산릉 등 변화되는 자연 지형을 이용하며, 수종 간 경합이 없도록 5~10m의 완충공간을 둔다. 소나무 하층은 아교목, 관목류를 부분 재식하되 완충공관은 불에 강한 관목류를 재식하여 능역의 화소(火巢)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소나무숲(대) 내에 있는 잣나무와 참나무류, 팥배나무 등 낙엽활엽수(교목)는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소나무를 재식하거나 자연치수 발생유도 등으로 보완한다. 관람지역의 소나무 재식은 독립성의 유지보다는 소군락, 대군락이 서로 연계성 이 유지되도록 하되 소나무는 기존과 유사한 (직간)으로 하되 주변수목에 피압 되지 않도록 다소 큰 규격으로 재식한다. 능침 주요시설과의 수목 이격거리는 능형식, 능역규모, 입지조건 등에 따라 다 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곡장으로부터 줄기중심 15~20m는 필요하다. 그러 나 현재 이 범위 내에 포함된 큰 소나무가 너무 많아 단순히 판단하기는 어려 우므로 별도로 많은 관계전문과들의 협의를 거친 이후 능별 확정이 필요하다. 능침지역의 특성상 경계지역 수목은 불균형적으로 발달(개방된 지역으로 기울 어짐)되고, 풍해, 설해의 사례도 자주 발생하고 있어 솎아베기, 가지전정 등 지 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능원(진입제향능침공간)지역에서 낙엽활엽수와 경합하여 소나무의 피해가 심 하거나 향후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서로 가치를 판단하여 결정해야 하지만 향 후 소나무 분포확대, 소나무군락 조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종간 경합이 없이 홀로 있는 소나무는 가지가 많이 발생하여 지엽이 적체되면 서 설해, 풍해의 표적이 될 뿐 아니라 관람지역에서는 낙지로 인한 인명의 피해 도 예상되므로 주기적인 불필요한 가지전정이 필요하다. 태릉 사초지를 잠식하고 있는 제향공간에 분포하는 소나무는 뒤쪽으로 이식하 여 제향공간의 사초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태릉과 강릉의 사초지는 현재 잘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사초지 주변으로 잔디 관리를 위해 때밥주기 등으로 인해 주변 석물이나 제향공간의 능제시설들이 잔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71
디에덮이는경우가있으므로 6년주기로잔디를교체하여석물및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지않도록관리하여야한다. 그림 71 태릉재식정비 ( 안 ) 그림 72 강릉재식정비 ( 안 ) 17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5) 정릉 (1) 지형 및 지질 보존관리 능침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잔디면에 의한 관리가 양호하여 우수에 의 한 침식은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사초지의 잔디는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으 나, 능침 가까이에 위치한 소나무에 의한 타감작용에 의해 부분적인 잔디훼손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 소나무는 능침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지지대에 의해 지 탱되고 있어 능침보호를 위한 수목제거 등 관리가 필요하다. 사초지 이외의 수복방 및 비각 등 시설의 주변은 우수에 의한 침식이 광범위하 게 발생하였으며, 복토를 통해 지형을 복구하고, 하부 유공관 매설을 통한 우수 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공간과 보존공간을 구분하여 포장재료를 달리 함으로써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보존공간에는 잔디나 지 피식물의 식재를 통해 지표면 침식방지와 경관 관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2) 수계 관리 정릉의 수계는 능원의 북서측에서 발원한 물길이 능원의 북서측 능선의 뒤편으 로 흘러 능원의 전면부를 흐르고 능원의 정문인 남동측에서 합류하여 정릉천으 로 흐른다. 능침의 좌ㆍ우측의 수계에는 인위적인 경계 시설물이 없이, 지형에 의한 자연배 수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나뭇가지, 낙엽 등이 쌓여 배수로의 경계가 불명확 하여 관리가 필요하며, 집중강우 시 주변지형의 침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배수 로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일부는 마사토가 노출되어 강우 시 지표면 토사의 침식 가능성이 높아 부 분적인 수계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정릉의 능역 등산로 등의 지역은 마사토가 답압 등으로 쇠락해 강우 시 훼손되는 현상이 심각한 현상이다. 정릉 남측에 인접한 수계의 경우, 연중 일정한 수량이 유지되고, 능의 기능 및 경관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자연스러운 돌쌓기와 수계 내측의 퇴적된 토사 관리를 통해 그 기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3) 토양관리 정릉 토양의 평균 산도는 ph 4.68로 비교적 낮은 산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73
났으며, 토양의산성화가진행되었다. 토양의산도가낮은경우, 수목의생육이불안정해지므로평균 ph로높여주기위한토양개량을해줄필요가있는데, 토양의 ph를높여주기위하여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산도를높여줄필요가있다. 이때비료를시비하는방법이매우중요하다. 석회는토양내에서이동이거의없고한곳으로몰리게되면땅이굳어지는현상이일어나기때문에시비할때는도랑을깊게파고그속에시비하여토양을덮어주거나흙과같이섞어주어표층뿐만아니라하층까지섞일수있도록시비해주도록한다. 산림토양의산도개선 침식복구및나지녹화이용과보존공간의구분 주기적정비자연형계류로개선 자연배수로정비및관리 잔디면복구 그림 73 정릉기본계획도 (4)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침주변소나무숲조성은용맥의혈처 ( 주산, 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 ) 를중심으로하되용맥을따라외부로연계성이유지되도록한다. 용맥혈처의소나무숲 ( 대 ) 폭은최소 50m 이상유지되도록하되사신사의각 17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용맥의능선 7부능선까지송림을유지하도록유도한다. 타수종과의경계는획일화로인한이질감이없도록전이공간 ( 경계 ) 은계곡, 산릉등변화되는자연지형을이용하며, 수종간경합이없도록 5~10m의완충공간을둔다. 또한현재식재되어있는소나무중소경목는점진적으로솎아내기등을통해소나무제수형을유지하면서성장할수있도록한다. 능침주변의소나무숲내에있는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등낙엽활수 ( 교목 ) 는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를재식하여보완한다. 능침주요시설과의수목이격거리는뿌리의분포, 수목에의한지피식물 ( 잔디 ) 의보존 ( 타감작용 ), 파충류등능원보존유해동물의퇴치등을고려하여이격거리를두어송림을보존하도록한다. 능침의곡장의능침의형식, 능역규모, 입지조건등에따라다를수있지만장기적으로는곡장으로부터줄기중심 15~20m 확보하여관리하는것이필요하다. 그러나현재이범위내에포함된큰소나무가너무많아단순히판단하기는어려움이있어많은관계전문가들의협의를거친이후능별확정이필요하다. 현재정릉능침주변의곡장주변으로소나무가붙어있으며, 적극적인유지관리가필요하다. 능침지역의특성상경계지역수목은불균형적으로발달 ( 개방된지역으로기울어짐 ) 되고, 풍해, 설해의사례도자주발생하고있어솎아베기, 가지전정등지속적이고적극적인관리가필요하다. 능원 ( 진입제향능침공간 ) 지역에서낙엽활엽수와경합하여소나무의피해가심하거나향후피해가예상되는경우서로가치를판단하여결정해야하지만향후소나무분포확대, 소나무군락조성등을충분히고려해야한다. 종간경합이없이홀로있는소나무는가지가많이발생하여지엽이적체되면서설해, 풍해의표적이될뿐아니라관람지역에서는낙지로인한인명의피해도예상되므로주기적인불필요한가지전정이필요하다. 정릉의사초지는현재잘관리되고있다. 그러나사초지주변으로잔디관리를위해때밥주기등으로인해주변석물이나제향공간의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는경우가있으므로 6년주기로잔디를교체하여석물및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지않도록관리하여야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75
그림 74 정릉재식정비 ( 안 ) 6) 의릉 (1) 지형및지질보존관리 의릉은 1990년까지능침의좌우에국가기관이점유하여사용하였던공간으로지형및지질의변화가심했던지역이다. 최근능원의좌우에건물을철거하고지형및역사경관림을복원하고있는실정이다. 아직도일부지역은한국종합예술학교등이사용하고있어능역으로서지형의용맥보존및지형지질의원형이많이왜곡되어있는현실이다. 기타지역능역은대부분이적절하게관리가되고있으며, 침식흔적은나타나지않았고, 지속적인관리를통해현상황을유지시킬필요가있다. 능원의경우인접한소나무에의한타감작용의영향으로일부잔디면이훼손되었으며, 보토및잔디의보식이요구된다. 능원주변의관람로및관리로의이용공간의경우, 굴곡이형성되어강우시우 17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수가 흐르는 곳의 쇄골현상 상태를 나타내었다. 능의 주변에는 식물의 타감작용 에 의해 잔디가 부분적으로 훼손되었다. 보토 및 잔디의 보식이 요구된다. 능침의 뒤편에는 산책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답압에 의한 지표면 훼손과 능원의 기능을 고려하여 그 위치를 조정하거나, 이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2) 수계 관리 의릉의 수계는 의릉에 국가기관의 장기간 점거 및 주변의 도시화로 수계 보존 에 많은 왜곡이 있어 왔다. 특히 정자각 전면부에 부정형의 인공연못을 만들었 다가 다시 복원하기도 했으며 좌청룡수의 수계의 왜곡 등이 있었던 곳이다. 일 부 복원되어 있으나 그 원형을 찾기에는 시간이 요구되는 수계이다. 재실 옆에 있던 방지형의 연지도 매몰되어 없으며 좌청룡수 및 우백호수 등의 수계 정비 및 수자원 확보가 요구되는 지역이다. 홍살문 앞 금천교의 좌측과 우측 수계에는 다듬어진 석축, 자연석 등 다양한 구 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경관을 고려하여 통일된 재료에 의한 수계형성이 필요하 며, 수계 내 바위 및 토사 제거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능역의 좌ㆍ우측에는 통나무에 의한 배수로를 조성하였는데, 토사가 축적되어 있거나 배수구가 막혀 있어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친환경적 이며 내구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수계를 정비하여 물 빠짐 및 경관이 양호 한 수계공간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능역의 동측에는 배수시설과 함께 배수를 위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바위 들이 흩어져 있어 연구를 통해 복원할 필요가 있다. 정자각의 우측에는 저수를 위한 석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남측으로 직선화된 배 수로를 조성하였는데, 우수의 양이 많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므로 선형 및 형태 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수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3) 토양관리 의릉 토양의 평균 산도는 ph 4.46로 일반산림 토양에 비해 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석회질 비료를 시비하여 산성화된 토양을 개량하고, 수목의 생 육환경을 개선해 주어야 한다. 산도가 높은 지역은 능침을 주심으로 천장산 북 서측 지역이다(그림 75). 소나무군락의 경우는 ph 4.19~4.34로 토양산도가 매우 높으며, 토양의 ph를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77
중간으로하기위해토양개량제인석회질비료인소석회, 석회고토등을사용하여산도를높여줄필요가있다. 석회를시비할때는도랑을깊게파고그속에시비하여토양을덮어주거나흙과같이섞어주어표층뿐만아니라하층까지섞일수있도록시비해주도록한다. 토양산도가어느정도이루어지면유기질비료로임지비배관리를실시하도록한다. 산림토양산도개량 계류경계부정비 수계시설의복원 배수시설설치 주기적배수구관리 능침상부산책길폐쇄 그림 75 의릉기본계획도 (4)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침주변소나무숲조성은용맥의혈처 ( 주산, 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 ) 를중심으로하되용맥을따라외부로연계성이유지되도록한다. 용맥주변과혈처의소나무숲폭은최소 50m 이상유지되도록하되타수종과의경계는획일화로인한이질감이없도록전이공간 ( 경계 ) 은계곡, 산릉등변화되는자연지형을이용하며, 수종간의경합이없도록 5~10m의완충공간을확보할수있도록한다. 또한현재식재되어있는소나무중소경목는점진적으로솎아내기등을통해소나무제을유지하면서성장할수있도록한다. 17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기존능침주변의소나무숲내에있는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등낙엽활수 ( 교목 ) 는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를재식하여보완한다. 의릉의사초지는현재잘관리되고있다. 그러나사초지주변으로잔디관리를위해때밥주기등으로인해주변석물이나제향공간의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는경우가있으므로 6년주기로잔디를교체하여석물및능제시설들이잔디에덮이지않도록관리하여야한다. 그림 76 의릉재식정비 ( 안 ) 관람지역의소나무재식은독립성의유지보다는소군락, 대군락이서로연계성이유지되도록하되소나무는기존과유사한수형 ( 직간 ) 으로하되주변수목에피압되지않도록다소큰규격으로재식한다. 능침주요시설과의수목이격거리는능침의형식, 능역규모, 입지조건등에따라다를수있지만장기적으로는곡장으로부터줄기중심 15~20m는필요하다. 그러나현재이범위내에포함된큰소나무가너무많아단순히판단하기는어려움이있어많은관계전문가들의협의를거친이후능별확정이필요하다. 현재의릉능침주변의곡장을훼손할우려가있는소나무는없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79
능침지역의 특성상 경계지역 수목은 불균형적으로 발달(개방된 지역으로 기울 어짐)되고, 풍해, 설해의 사례도 자주 발생하고 있어 솎아베기, 가지전정 등 지 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활용지역에서 낙엽활엽수와 경합하여 소나무의 피해가 심하거나 향후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서로 가치를 판단하여 결정해야 하지만 향후 소나무 분포확대, 소나무군락 조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종간 경합이 없이 홀로 있는 소나무는 가지가 많이 발생하여 지엽이 적체되면 서 설해, 풍해의 표적이 될 뿐 아니라 관람지역에서는 낙지로 인한 인명의 피해 도 예상되므로 주기적인 불필요한 가지전정이 필요하다. 7) 서오릉 (1) 토양 서오릉지역 평균 ph 5.41로 우리나라 평균 산림토양 ph 5.5에 비해 다소 낮았 으나, 수목에 생육에 지장이 없는 토양으로 판단된다. 서오릉지역은 평균 ph 5.5~5.30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때 보면 산성도 개 선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비가 이루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오릉지역의 일부지역에서 알칼리성 토양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살 포된 비료가 분해되어 않아 토양과 반응하지 않았거나, 빗물에 의해 경사가 낮 은 지역으로 이동하여 쌓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시비 시에는 토양의 분석을 통하여 적합한 비료의 종류, 시비량, 시비시기를 결정하여 시비 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2) 우수에 의한 토양침식 피해 관리 서오릉 모든 능역 사초지역에서 발생한 세류침식이 능 좌ㆍ우측 수림대와 잔디 면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 경사가 낮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우곡 침식으로 진행 되고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 수림지역 내부에서 우곡침식이 발생하여 하부로 내 려가면서 계곡침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류침식과 우곡침식을 방치할 경우 경관에도 좋지 않으며, 능사면의 안 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지형의 정비가 시급히 시행해야 된다. 침식지형의 정비방법으로는 복토를 통한 지형을 복구하고 잔디 및 지피식물을 180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식재하여침식을방지하는방법, 기존지형을정비하여빗물을다른지역으로유도하는방법, 침식발생지형토양하부에유공관을매설하고, 복토한후잔디를식재하여, 빗물을유도한방법등의다양한방법이있을수있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을고려하여적합한방법을선택하여시행하여야할것이다. (3) 탐방로주변정비 서오릉지역의대부분의탐방로가흙 ( 마사 ) 포장으로이루어져있고경계를목재로사용하고있다. 흙포장과경계목재는친환경적이기는하나내구성이약하고, 목재는부식이빨라관리가매우어렵다. 공개지역의경우경관에영향을미치지않는범위에서내구성이강한소재를사용하거나, 조경기법을이용하여탐방로를정비할필요가있다. (4) 식물의타감작용에의한피해개선 서오릉조사지역대부분의능에서주변소나무식재지역과능침이매우가까이접하고있어, 식물의타감작용에따른지피식물및잔디의생육부진으로면상침식이발생하고있다. 따라서강우강도가강한국지성집중호우발생시침식의가속화로능사면의안정에영향을줄수있다. 타감작용에따른토양침식을개선하는방법으로는능사면의잔디생육지와가까이접하고있는수목을이식또는제거하거나, 상호타감작용을하지않는지피식물및관목을선발하여수목하부에식재하는방법이있다. (5) 해충 ( 풍뎅이, 굼벵이 ) 과설치류방제 서오릉조사지역의능침주변잔디지역에서굼벵이와두더지, 들쥐에의한피해가발생하고있으며이를방치할경우표토가유실되어사면의안정과미관에영향을미친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에맞는적절한방법을선택하여적극적으로방제하여야한다. 풍뎅이, 굼벵이방제방법으로는성충 ( 풍뎅이 ) 발생시기 (5월중순에서 7월까지 ) 에페로몬트랩설치, 성충의먹이식물과유충부화기 ( 성충방생최성기후 2~4 주경 ) 에집중적으로약제를살포하는방법이있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81
저항성발현을예방하기위하여잔디굼벵이방제용약제중계통이다른약제를번갈아사용한다. 땅속에있는굼벵이의몸에약액이잘닿도록강우직후에살포하거나, 충분히관수후약제를살포한다. 페로몬트랩설치시해충의종류및정확한동정파악이필수이다. 두더지, 들쥐퇴치방법에는덫을이용하는방법, 먹이를제거하는방법, 진동에의한방법, 냄새에의한방법, 기피식물을이용하는방법등을제시할수있으나특별하게살충제를이용하여먹이제거방법이외는특별히검정된방법은없다. 따라서두더지와들쥐의먹이인굼벵이를철저히방제하여야한다. (6)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역의송림은능원의용맥을따라기맥을잇는뜻에서용맥을따라소나무를재식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현재낙엽활엽교목으로분포하고있는용맥은단계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할수있도록장기적인계획을수립한다.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아래그림의계획안과같이서오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기존의소나무는보존관리하며,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하여주변소나무림이연결될수있도록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1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으로관리한다. 또한소나무는송진을분비하여잔디의생육에나쁜영향을주며, 소나무의송진에의한산화에매우취약함으로잔디와의일정거리를두고소나무를관리하여야한다. 능침주변의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 100~3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182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77 서오릉 창릉 홍릉 재식계획(안) 그림 78 서오릉 경릉 순창원 재식계획(안)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83
그림 79 서오릉 명릉 수경원 익릉 재식계획(안) 왕릉 주변의 수목을 제거 또는 이식할 경우에는 반드시 고문헌 기록에 의거하 여 제거하고 소나무를 재식할 수 있도록 한다. 소나무림 하층목으로는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때죽나무, 쪽동백 등의 아교목을 재식하고, 진달래 등의 관목류와 지피류를 같이 재식한다. 적극적인 관리지역은 송림을 원경관으로 보존 복원, 복구하고 자연자원보존지구 는 생태적 변이 및 천이 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의 식생을 유도한다. 8) 서삼릉 (1) 토양 서삼릉지역의 토양 산성도는 평균 ph 4.67로 우리나라 평균 산림토양 ph 5.5 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수목의 생육에 지장이 없는 토양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서삼릉지역에는 석회질 비료를 시비하여 산도를 개선하는 것이 적합하 다고 판단된다. (2) 우수에 의한 토양침식 피해 관리 서삼릉 지역의 능 사초지에서 발생한 세류침식이 능 좌ㆍ우측 수림대와 잔디면 184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 경사가 낮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우곡 침식으로 진행되 고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 수림지역 내부에서 우곡침식이 발생하여 하부로 내려 가면서 계곡침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류침식과 우곡침식을 방치할 경우 경관에도 좋지 않으며, 능사면의 안 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지형의 정비가 시급히 시행해야 된다. 침식지형의 정비 방법으로는 복토를 통한 지형을 복구하고 잔디 및 지피식물을 식재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 기존 지형을 정비하여 빗물을 다른 지역으로 유도하는 방법, 침식발생 지형 토양 하부에 유공관을 매설하고, 복토한 후 잔디 를 식재하여 빗물을 유도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3) 탐방로 주변 정비 서삼릉지역의 대부분의 탐방로가 흙(마사)포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계를 목재 로 사용하고 있다. 흙포장과 경계목재는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내구성이 약하고, 목재는 부식이 빨 라 관리가 매우 어렵다. 내구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조경기법을 이용하여 탐방로를 정비할 필요 가 있다. (4) 식물의 타감작용에 의한 피해 개선 조사지역 대부분의 능에서 주변 소나무 식재지역과 능침이 매우 가까이 접하고 있어, 식물의 타감작용에 따른 지피식물 및 잔디의 생육부진으로 면상침식이 발 생하고 있다. 따라서 강우강도가 강한 국지성 집중호우 발생 시 침식의 가속화 로 능사면의 안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의령원/효창원 능침의 좌, 우측에 식재된 소나무의 타감작용과 탐방객이 능침을 관람할 수 있게 설치한 목 계단에 의한 토양 답압으로 잔디의 생육이 부진하여 표토의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타감작용에 따른 토양 침식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능 사면의 잔디 생육지와 가까이 접하고 있는 수목을 이식 또는 제거하거나, 상호 타감작용을 하지 않는 지피식물 및 관목을 선발하여 수목 하부에 식재하는 방법이 있다. 의령원/소령원의 경우 답압에 의한 토양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기관 탐방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85
객의출입을제한하고훼손된토양을정비하여지피식물, 잔디, 관목등을식재함으로써토양침식을방지하고, 부식의손상된목재계단을내구성이강한소재로교체하여탐방객이안전하게능침에접근할수있게해야한다. (5) 해충 ( 풍뎅이, 굼벵이 ) 과설치류방제 서삼릉조사지역의능침주변잔디지역에서굼벵이와두더지, 들쥐에의한피해가발생하고있으며이를방치할경우표토가유실되어사면의안정과미관에영향을미친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에맞는적절한방법을선택하여적극적으로방제하여야한다. 풍뎅이, 굼벵이방제방법으로는성충 ( 풍뎅이 ) 발생시기 (5월중순에서 7월까지 ) 에페로몬트랩설치, 성충의먹이식물과유충부화기 ( 성충방생최성기후 2~4 주경 ) 에집중적으로약제를살포하는방법이있다. 저항성발현을예방하기위하여잔디굼벵이방제용약제중계통이다른약제를번갈아사용한다. 땅속에있는굼벵이의몸에약액이잘닿도록강우직후에살포하거나충분히관수후약제를살포한다. 페로몬트랩설치시해충의종류및정확한동정파악이필수이다. 두더지, 들쥐퇴치방법에는덫을이용하는방법, 먹이를제거하는방법, 진동에의한방법, 냄새에의한방법, 기피식물을이용하는방법등을제시할수있으나특별하게살충제를이용한먹이제거방법이외는특별히검정된방법은없다. 따라서두더지와들쥐의먹이인굼벵이를철저히방제하여야한다. (6)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역의송림은능원의용맥을따라기맥을잇는뜻에서용맥을따라소나무를재식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현재낙엽활엽교목으로분포하고있는용맥은단계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할수있도록장기적인계획을수립한다.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서삼릉의경우현재원래의능역공간을이루고있지못하기때문에장기적인 18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계획을가지고원지형을복원하고역사경관림을회복하는사업을하여야한다. 아래그림의계획안과같이현시점에서서삼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기존의소나무는보존관리하며,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하여주변소나무림이연결될수있도록한다. 현재예릉과희릉의경우소나무가우점하고있으므로장기적으로활엽수림을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림으로능역을회복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1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으로관리한다. 또한소나무는송진을분비하여잔디의생육에나쁜영향을주며, 소나무의송진에의한산화에매우취약함으로잔디와의일정거리를두고소나무를관리하여야한다. 능침주변의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 100~4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그림 80 서삼릉재식계획 ( 안 )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87
왕릉 주변의 수목을 제거 또는 이식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고문헌 기록 및 세 계유산관리 규정에 의거하여 제거하고 소나무를 재식할 수 있도록 한다. 소나무림 하층목으로는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때죽나무, 쪽동백 등의 아교목을 재식하고, 진달래 등의 관목류와 지피류를 같이 재식한다. 적극적인 관리지역은 송림을 원경관으로 보존 복원, 복구하고 자연자원보존지구 는 생태적 변이 및 천이 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의 식생을 유도한다. 9) 온릉 (1) 토양 산성도 관리 온릉이 평균 ph 5.5로 조사되었으며 우리나라 평균 산림토양 ph 5.5와 같았다. 현재 수목에 생육에 지장이 없는 토양으로 판단된다. 온릉지역은 토양 상황으로 볼 때 산성도 개선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비가 이 루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온릉의 일부지역에서 알칼리성 토양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살포된 비 료가 분해되어 않아 토양과 반응하지 않았거나, 빗물에 의해 경사가 낮은 지역 으로 이동하여 쌓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시비 시에는 토양의 분석을 통하여 적합한 비료의 종류, 시비량, 시비시기를 결정하여 시비를 시행 하여야 할 것이다. (2) 우수에 의한 토양침식 피해 관리 온릉지역의 능 사초지역에서 발생한 세류침식이 능 좌ㆍ우측 수림대와 잔디면 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 경사가 낮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우곡 침식으로 진행되 고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 수림지역 내부에서 우곡침식이 발생하여 하부로 내려 가면서 계곡침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류침식과 우곡침식을 방치할 경우 경관에도 좋지 않으며 능사면의 안 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지형의 정비가 시급히 시행해야 된다. 침식지형의 정비 방법으로는 복토를 통한 지형을 복구하고 잔디 및 지피식물을 식재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 기존 지형을 정비하여 빗물을 다른 지역으로 유도하는 방법, 침식발생 지형 토양 하부에 유공관을 매설하고, 복토한 후 잔디 를 식재하여, 빗물을 유도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188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지역의환경을고려하여적합한방법을선택하여시행하여야할것이다. (3) 식물의타감작용에의한피해개선 조사지역대부분의능에서주변소나무식재지역과능침이매우가까이접하고있어, 식물의타감작용에따른지피식물및잔디의생육부진으로면상침식이발생하고있다. 따라서강우강도가강한국지성집중호우발생시침식의가속화로능사면의안정에영향을줄수있다. 타감작용에따른토양침식을개선하는방법으로는능사면의잔디생육지와가까이접하고있는수목을이식또는제거하거나, 상호타감작용을하지않는지피식물및관목을선발하여수목하부에식재하는방법이있다. (4) 해충 ( 풍뎅이, 굼벵이 ) 과설치류방제 온릉조사지역의능침주변잔디지역에서굼벵이와두더지, 들쥐에의한피해가발생하고있으며이를방치할경우표토가유실되어사면의안정과미관에영향을미친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에맞는적절한방법을선택하여적극적으로방제하여야한다. 풍뎅이, 굼벵이방제방법으로는성충 ( 풍뎅이 ) 발생시기 (5월중순에서 7월까지 ) 에페로몬트랩설치, 성충의먹이식물과유충부화기 ( 성충방생최성기후 2~4 주경 ) 에집중적으로약제를살포하는방법이있다. 저항성발현을예방하기위하여잔디굼벵이방제용약제중계통이다른약제를번갈아사용한다. 땅속에있는굼벵이의몸에약액이잘닿도록강우직후에살포하거나충분히관수후약제를살포한다. 페로몬트랩설치시해충의종류및정확한동정파악이필수이다. 두더지, 들쥐퇴치방법에는덫을이용하는방법, 먹이를제거하는방법, 진동에의한방법, 냄새에의한방법, 기피식물을이용하는방법등을제시할수있으나특별하게살충제를이용한먹이제거방법이외는특별히검정된방법은없다. 따라서두더지와들쥐의먹이인굼벵이를철저히방제하여야한다.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89
(5)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아래그림의계획안과같이현시점에서온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거의굴참나무와서어나무군락으로관리되고있으나,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하여주변소나무림과연결될수있도록한다. 현재온릉의능침주변의경우굴참나무와서어나무가대부분우점하고있으므로장기적으로활엽수림을점진적으로제거하고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재식을통해능역을회복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1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잔디면적을높여조선왕릉의탁월하고보편적가치를보존관리한다. 또한소나무는송진을분비하여잔디의생육에나쁜영향을주며, 소나무의송진에의한산화에매우취약함으로잔디와의일정거리를두고소나무를관리하여야한다. 능침주변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정원수의생육특성을유지하는이코모스헌장기준에부합하게 100~4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왕릉주변의수목을제거또는이식을할경우에는반드시고문헌기록및세계유산관리기준에의거하여제거하고소나무등왕릉수목을재식한다. 소나무림하층목으로는주변에자생하고있는때죽나무, 쪽동백등의아교목을재식하고, 진달래등의관목류와지피류를같이재식한다. 적극적인관리지역은송림을원경관으로보존복원, 복구하고자연자원보존지구는생태적변이및천이등을고려하여다층구조의식생을유도한다. 북서측능선의아까시와용맥, 리기다소나무, 중점관리구역의굴참나무등은간벌을통해송림역사경관림으로유도한다. 190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81 온릉재식계획 ( 안 )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91
10) 파주 삼릉 (1) 토양 산성도 관리 파주 삼릉지역의 토양 평균산성도는 ph 5.30으로 우리나라 평균 산림토양 ph 5.5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수목 생육에 지장이 없는 토양으로 판단된다. 파주 삼릉지역은 평균 ph 5.5~5.30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때 보면 산성도 개선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비가 이루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우수에 의한 토양침식 피해 관리 파주 삼릉의 조사지역 사초지에서 발생한 세류침식이 능 좌ㆍ우측 수림대와 잔 디면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 경사가 낮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우곡 침식으로 진 행되고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 수림지역 내부에서 우곡침식이 발생하여 하부로 내려가면서 계곡침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류침식과 우곡침식을 방치할 경우 경관에도 좋지 않으며, 능사면의 안 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지형의 정비가 시급히 시행해야 된다. 침식지형의 정비방법으로는 복토를 통한 지형을 복구하고 잔디 및 지피식물을 식재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 기존 지형을 정비하여 빗물을 다른 지역으로 유도하는 방법, 침식발생 지형 토양 하부에 유공관을 매설하고, 복토한 후 잔디 를 식재하여 빗물을 유도한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3) 탐방로 및 주변으로 정비 파주 삼릉지역의 대부분 탐방로가 흙(마사) 포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경계를 목 재로 사용하고 있다. 흙 포장과 경계목재는 친환경적이기는 하나 내구성이 약하고, 목재는 부식이 빨 라 관리가 매우 어렵다. 공개지역의 경우 경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내구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조경기법을 이용하여 탐방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192 ㆍ 2010~2016년 종합평가
(4) 식물의타감작용에의한피해개선 파주삼릉의대부분의능에서주변소나무식재지역과능침이매우가까이접하고있어, 식물의타감작용에따른지피식물및잔디의생육부진으로면상침식이발생하고있다. 따라서강우강도가강한국지성집중호우발생시침식의가속화로능사면의안정에영향을줄수있다. 타감작용에따른토양침식을개선하는방법으로는능사면의잔디생육지와가까이접하고있는수목을이식또는제거하거나, 상호타감작용을하지않는지피식물및관목을선발하여수목하부에식재하는방법이있다. (5) 해충 ( 풍뎅이, 굼벵이 ) 과설치류방제 파주삼릉조사지역의능침주변잔디지역에서굼벵이와두더지, 들쥐에의한피해가발생하고있으며이를방치할경우표토가유실되어사면의안정과미관에영향을미친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에맞는적절한방법을선택하여적극적으로방제하여야한다. 풍뎅이, 굼벵이방제방법으로는성충 ( 풍뎅이 ) 발생시기 (5월중순에서 7월까지 ) 에페로몬트랩설치, 성충의먹이식물과유충부화기 ( 성충방생최성기후 2~4 주경 ) 에집중적으로약제를살포하는방법이있다. 저항성발현을예방하기위하여잔디굼벵이방제용약제중계통이다른약제를번갈아사용한다. 땅속에있는굼벵이의몸에약액이잘닿도록강우직후에살포하거나충분히관수후약제를살포한다. 페로몬트랩설치시해충의종류및정확한동정파악이필수이다. 두더지, 들쥐퇴치방법에는덫을이용하는방법, 먹이를제거하는방법, 진동에의한방법, 냄새에의한방법, 기피식물을이용하는방법등을제시할수있으나특별하게살충제를이용한먹이제거방법이외는특별히검정된방법은없다. 따라서두더지와들쥐의먹이인굼벵이를철저히방제하여야한다. (6) 식생관리 1 적극적보호지역보전방안 능역의송림은능원의용맥을따라기맥을잇는뜻에서용맥을따라소나무를 2010~2016 년종합평가ㆍ 193
재식하는것을원칙으로하며, 현재낙엽활엽교목으로분포하고있는용맥은단계적으로소나무림으로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할수있도록장기적인계획을수립한다. 용맥의혈처인좌우에능선인내청룡맥과내백호맥지역은단기사업으로각왕릉좌우능선에소나무림으로재식한다. 아래그림의계획안과같이현시점에서파주삼릉의내청룡과내백호능선을중심으로거의졸참나무와갈참나무나무군락으로관리되고있으나, 중점관리지역내의수종중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등의수목들은점진적으로제거하고소나무로재식하여주변소나무림과연결될수있도록한다. 현재파주삼릉의능침주변의경우대부분참나무류가우점하고있으므로장기적으로참나무활엽수림을점진적으로제거하고능침주변으로소나무림재식을통해능역을회복한다. 내청룡과내백호능선주변비어있는곳은 200~600본 /ha 정도로소나무를재식하여역사경관림을회복한다. 성목시산불및역사경관림보존을위해 100~300본 /ha으로유지한다. 곡장주변의소나무들은현재수고 H10m~H15m이나석물및잔디보존을위해곡장에서 15~20m 정도이격될수있도록점진적으로관리한다. 또한소나무는송진을분비하여잔디의생육에나쁜영향을주며, 소나무의송진에의한산화에매우취약함으로잔디와의일정거리를두고소나무를관리하여야한다. 능침주변의소나무림의경우도소나무의적정밀도를성목시 100~400본 /ha 조정하여소나무림을관리한다. 왕릉주변의수목을제거또는이식을할경우에는반드시고문헌기록에의거하여제거하고소나무를재식할수있도록한다. 소나무림하층목으로는주변에자생하고있는때죽나무, 쪽동백등의아교목을재식하고, 진달래등의관목류와지피류를같이재식한다. 적극적인관리지역은송림을원경관으로보존복원, 복구하고자연자원보존지구는생태적변이및천이등을고려하여다층구조의식생을유도한다. 194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그림 82 파주 삼릉 재식계획(안) 11) 파주 장릉 (1) 토양 산성도 관리 토양의 산성도가 다소 낮은 파주 장릉 평균 ph 4.5% 지역은 석회질 비료를 시 비하여 산도를 개선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우수에 의한 토양침식 피해 관리 파주 장릉 조사지역 사초지에서 발생한 세류침식이 능 좌ㆍ우측 수림대와 잔디 면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 경사가 낮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우곡 침식으로 진행 되고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 수림지역 내부에서 우곡침식이 발생하여 하부로 내 려가면서 계곡침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세류침식과 우곡침식을 방치할 경우 경관에도 좋지 않으며, 능사면의 안 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침식지형의 정비가 시급히 시행해야 된다. 침식지형의 정비방법으로는 복토를 통한 지형을 복구하고 잔디 및 지피식물을 식재하여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 기존 지형을 정비하여 빗물을 다른 지역으로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95
유도하는방법, 침식발생지형토양하부에유공관을매설하고, 복토한후잔디를식재하여빗물을유도한방법등의다양한방법이있을수있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을고려하여적합한방법을선택하여시행하여야할것이다. (3) 식물의타감작용에의한피해개선 조사지역대부분의능에서주변소나무식재지역과능침이매우가까이접하고있어, 식물의타감작용에따른지피식물및잔디의생육부진으로면상침식이발생하고있다. 따라서강우강도가강한국지성집중호우발생시침식의가속화로능사면의안정에영향을줄수있다. 타감작용에따른토양침식을개선하는방법으로는능사면의잔디생육지와가까이접하고있는수목을이식또는제거하거나, 상호타감작용을하지않는지피식물및관목을선발하여수목하부에식재하는방법이있다. (4) 해충 ( 풍뎅이, 굼벵이 ) 과설치류방제 파주장릉조사지역의능침주변잔디지역에서굼벵이와두더지, 들쥐에의한피해가발생하고있으며이를방치할경우표토가유실되어사면의안정과미관에영향을미친다. 따라서각지역의환경에맞는적절한방법을선택하여적극적으로방제하여야한다. 풍뎅이, 굼벵이방제방법으로는성충 ( 풍뎅이 ) 발생시기 (5월중순에서 7월까지 ) 에페로몬트랩설치, 성충의먹이식물과유충부화기 ( 성충방생최성기후 2~4 주경 ) 에집중적으로약제를살포하는방법이있다. 저항성발현을예방하기위하여잔디굼벵이방제용약제중계통이다른약제를번갈아사용한다. 땅속에있는굼벵이의몸에약액이잘닿도록강우직후에살포하거나충분히관수후약제를살포한다. 페로몬트랩설치시해충의종류및정확한동정파악이필수이다. 두더지, 들쥐퇴치방법에는덫을이용하는방법, 먹이를제거하는방법, 진동에의한방법, 냄새에의한방법, 기피식물을이용하는방법등을제시할수있으나특별하게살충제를이용한먹이제거방법이외는특별히검정된방법은없다. 따라서두더지와들쥐의먹이인굼벵이를철저히방제하여야한다. 196 ㆍ 2010~2016 년종합평가
(5) 식생관리 ① 적극적 보호지역 보전방안 능역의 송림은 능원의 용맥을 따라 기맥을 잇는 뜻에서 용맥을 따라 소나무를 재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현재 낙엽활엽교목으로 분포하고 있는 용맥은 단 계적으로 소나무림으로 재식하여 역사경관림을 회복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 획을 수립한다. 용맥의 혈처인 좌우에 능선인 내청룡맥과 내백호맥 지역은 단기사업으로 각 왕 릉 좌우 능선에 소나무림으로 재식한다. 아래 그림의 계획안과 같이 현 시점에서 파주 장릉의 내청룡과 내백호 능선을 중심으로 거의 갈참나무상수리나무 군락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중점관리지역 내의 수종 중 잣나무, 신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 등의 수목들은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소나무로 재식하여 주변 소나무림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 다. 현재 파주 장릉의 능침주변의 경우 대부분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참나무 활엽수림을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능침주변으로 소나무림 재 식을 통해 능역을 회복한다. 홍살문 좌측과 우측에 오리나무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 주변지역이 습지화 되어 있어 주변의 소나무림 재식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내청룡과 내백호 능선 주변 비어 있는 곳은 100~600본/ha 정도로 소나무를 재식하여 역사경관림을 회복한다. 성목 시 산불 및 역사경관림 보존을 위해 200~300본/ha으로 유지한다. 곡장 주변의 소나무들은 현재 수고 H10m~H15m이나 석물 및 잔디보존을 위해 곡장에서 15~20m 정도 이격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소나무는 송진을 분비하여 잔디의 생육에 나쁜 영향을 주며, 소나무의 송진에 의한 산화 에 매우 취약함으로 잔디와의 일정 거리를 두고 소나무를 관리하여야 한다. 능침주변의 소나무림의 경우도 소나무의 적정 밀도를 성목 시 100~400본/ha 조정하여 소나무림을 관리한다. 왕릉 주변의 수목을 제거 또는 이식할 경우에는 반드시 고문헌 기록에 의거 및 세계유산보존의 가치를 고려하여 제거하고 소나무를 재식할 수 있도록 한다. 소나무림 하층목으로는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때죽나무, 쪽동백 등의 아교목을 재식하고, 진달래 등의 관목류와 지피류를 같이 재식한다. 적극적인 관리지역은 송림을 원(源) 경관으로 보존 복원, 복구하고 자연자원보 존지구는 생태적 변이 및 천이 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의 식생을 유도한다. 2010~2016년 종합평가ㆍ 197
그림 83 파주장릉재식계획 ( 안 ) 198 ㆍ 2010~2016 년종합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