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PAPER 2013;9:1-6 ISSN 1738-9399 Copyright c 2013 Korean Academy of Audiology 장애유아의통합교육 남부대학교유아교육학과 최경남 ABSTRACT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Kyung Nam Choi Depar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Nambu University, Gwangju, Korea Inclusive education is one of the approaches to educating students 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iffers from previously held notions of integration and mainstreaming, which tended to be concerned principally with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Inclusion has two sub-types: the first is sometimes called regular inclusion or partial inclusion, and the other is full inclusion. To avoid harm to the academic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ppropriate services and resources is required, including adequate supports and services for the student, well-designe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all teachers involved,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alike and so on. Childhood (from 3 to 5 yea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raining and all infants grow into a happy and healthy person has the righ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infants integrated education as the physical integration to occur naturally aggressive educational integration should be. KEY WORDS :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ve education, Integration, Mainstreaming. INTRODUCTION1) 유아기는인간의생애주기적인관점에서볼때가장중요한시기이며, 인지 정서 사회영역의기초능력이집중되는시기이기도하다. 특히모든유아들은독특한자신만의개성, 기질, 학습능력, 발달적욕구및흥미등을가지기때문에다른속도와유형으로발달하는데, 이러한독특성과개별성차원에서장애역시하나의독특성으로받아들이고, 장애유아를포함한모든유아들은그들에게필요한적절한교육을받고건강하고행복한사람으로성장할권리가있다 ( 김민석, 2010). 특히, 현대사회에서는핵가족화, 가족구조의변화, 한부모가족의증가, 여성경제활동의증가등으로인해저소 논문접수일 : 2013 년 05 월 17 일게재확정일 : 2013 년 06 월 15 일교신저자 : 최경남, 506-706 광주광역시광산구월계동 864-1 남부대학교유아교육학과전화 : (062) 973-1588 E-mail : cosmos0383@nambu.ac.kr 득가정에한정된보육 (child care) 이나탁아의개념이아니라, 모든가정의자녀들을대상으로하는양육과전문적인교육에대해국가적 사회적책임이불가피하게되었고 ( 고경필, 2003) 우리나라도비슷한현실에처해있다. 특히보육은사회와국가의중요한과업중하나이다. 보육이아이를잘키워주는관점이라면교육은자라나는아이들에게필요한지식과기술습득중심의관점으로출발되었으나, 현재우리나라도저출산및맞벌이부부의증가로인해수요자중심의보육과교육의필요성이더욱절실해졌음을알수있다. 특히유아기교육은타인에대한존중과배려를포함한기본적인사회성과생활하는데필요한자조기술을포함한기본생활습관등을익히도록하는것이며, 장애유아를위한조기중재는유아발달의결정적시기와맞물려장애의경감및회복, 예방의교육적차원에서도강조되고있는부분이다 ( 김홍례, 2008). 또한보육과보육현장에서장애유아들을위한교육이증가하고있지만, 개선되어야할부분도많이있는것이사실이다. 이에본고에서는장애유아를위한교육을일반유아들의교육과정내에서통합적이고, 거시적으로고찰해봄으로써성공적인 1
2 AUDIOLOGY 청능재활 2013;9:1-6 교육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한다. MATERIALS AND METHODS 최근들어교육과보육의국가적인역할과책임이강화되고있으며, 각생애단계별로투자비용을동일하게산정할경우영유아기의인적자원투자대비회수비율이가장크게나타나는것으로보고된바있다 ( 윤영민, 2013). 이러한맥락에서 2000년대에들어서면서교육선진국에서는영유아기보육및교육에대한국가예산을크게늘려가고있고, 우리나라에서도만 5세아동의교육과보육에대한국가의책임을강화하는차원에서 5세누리과정 을개발하여점차확대시행하고있다. 또한 2009년부터유치원과어린이집에대해장애아동의연합지원입학거부를금지하는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등에관한법률 이적용됨에따라장애유아들이일반유아들과평등하게교육을받고생활할수있도록하는통합교육을실시하는일반유치원및어린이집이크게늘어가고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이에본문에서는유아들의표준교육과정인누리과정을전반적으로살펴보고, 그틀내에서시행되는장애아동을위한통합교육의개념과유형, 효과및문제점등을고찰해보고자한다. RESULTS AND DISCUSSIONS 누리과정 1. 누리과정의현황최근 OECD 회원국들은최근유아교육의교육, 보육의공공성을강화하기위하여무상교육, 보육을만5세에서전계층으로확대해나가고있다. 특히, 만 5세유아에대한국가투자는국제적인흐름이기도하다 ( 안정은, 2013). 우리나라의경우 2010년기준, 만 5세유아는약 44만명으로이중약 90% 가유치원이나어린이집에다니고있었다. 그러나나머지 10% 는교육이나보육의해택범위에서벗어나유치원이나어린이집에다니지못하고있는실정으로계층간에나타나는차이를줄이고모든유아가교육 보육의해택을받을수있도록국가가적극나서야할때라는인식또한높아지고있다 ( 안정은, 2013). 즉, 모든유아들의교육과보육에대한국가의책임을강화하는차원에서 2011년 5월 2일 만 5세공통과정 제도인 누리과정 을개발하여만 5세유아에게균등한양질의교육및 보육서비스를제공하기시작하였다. 5세누리과정의제도도입에따라이원화되어있는유치원교육과정과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을일원화하여모든유치원과어리인집의만 5세유아들의발달수준과특성에맞게적용할수있게되었다. 만 3~4세의유아들에대해서는소득하위 70% 이하의가정에만일부금액을지원하고있었으나, 2013년도부터는소득과관계없이교육비와보육료를지원받게되었다. 지원단가도연차적으로소득과관계없이증가하여만 3~5세전체유아를대상으로 2013년에는 22만원, 2014 년에는 24만원, 2015년에는 27만원, 2016년에는 30만원을지원하게되며, 장애유아에게도 2013년현재유치원교육비로 36만 1천원과치료지원비로 10만원을지원하고있다. 이러한 만 3~5세누리과정 제도의도입에따라유치원교육과정은 2012 개정유치원교육과정 ( 만3~5세연령별누리과정 ) 이라는이름으로개정되었다. 2. 누리과정의구성및편성방향양질의교육이나보육에대한경험을제공하기위해서는누리과정을체계적으로구성및편성하여효율적으로운영하는필수적이다 (Table 1). 그중전체적인구성방향을자세히살펴보면첫째, 질서, 배려, 협력등기본생활습관과바른인성을기르는데중점을두어구성한다. 사회라는공동체안에서건강하고행복한구성원으로살아가기위해유아기부터바른기본생활습관과올바른인성을가져야한다. 특히올바른인성은하루아침에이루어지는것이아니며, 자신의일을스스로하고다른사람을배려하며, 정해진규칙을준수하고공동체구성원이공유하는행위의기준과도덕적가치를내면화했을때통합적으로이루어진다. 둘째, 자율성과창의성을기르는데중점을두고, 전인발달을이루도록구성한다. 유아기는전생애에걸친성장발달의기초인신체, 언어, 인지, 사회성이포괄적으로형성되며, 특히창의성발달이가장활발하게이루어지는시기이므로기초적인사고능력을토대로유연하고창의적인사고능력을기르는데중점을두어야한다. 셋째, 사람과자연을존중하고, 우리문화를이해하는데중점을두고구성한다. 타인을존중하고서로간의관계를소중히하는사람과자연을존중하고사랑하는세계관을길러줄필요가있으며우리의문화를올바르게이해하고계승하여우리의전통문화에대한이해와사랑에기초한정체성형성에중점을두어구성하였다. 넷째, 만 3~5세아의발달특성을고려하여연령별로구성한다. 만 3~5세유아를위한내용을선정할때에유아의연령별발달수준에따른위계성, 계열성및연속성을고려하였으며, 연령별
KN Choi :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3 누리과정의세부내용역시학문적지식구조, 유아의인지발달및생활경험등을종합적으로고려하였다. 다섯째, 신체운동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5개영역을중심으로구성한다. 유치원교육과정과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에기초하여만 3~5세연령별누리과정에서는 5개영역에걸쳐유아의주도적인경험과놀이가통합적으로이루어지도록구성하였다. 여섯째, 초등학교교육과정과 0~2세표준보육과정과의연계성을고려하여구성한다. 만 3~5세누리과정중만 5세연령에해당하는내용은아래단계인 0~2세표준보육과정과긴밀하게연계되도록하였고, 만 3세연령내용은아래단계인 0~2 세표준보육과정과의연계를고려하였다. 이로써 0~2세표준보육과정, 만 3~5세연령별누리과정, 초등학교교육과정으로연계되는내용의체계화를이루었다. 이에개정된만 3~5세연령별누리과정은수준별교육과정에서연령별교육과정으로변경되었다. 편성방향은 3~5세누리과정을적용하는반 ( 학급 ) 을위한편성의원리와지침이다. 교사는교육계획안 ( 연간, 월별, 주간, 일일 ) 을충실하게작성하고계획된틀을가지고유아가경험할수있도록하는것이라하겠다. 3~5세편성방향을좀더자세히살펴보면다음과같다. 첫째, 누리과정은현행유치원과어린이집의운영기준을그대로유지하면서공통과정을제공하는것이므로전일과운영에분리하여적용하기보다오전 3~5시간동안의운영을원칙으로하며유연하고탄력적으로편성한다. 둘째, 누리과정은만 3, 4, 5세유아에게필요한기본능력과소양을기를수있는내용을선별하여신체운동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5개영역별세부내용으로구성하였다. 셋째, 누리과정의연령별내용을토대로유아의개인차를고려하여융통성있게유아의흥미와발달수준및실생활경험을고려하여놀이를중심으로교육, 보육 활동을실시하도록하여야한다. 넷째, 누리과정은단일연령반 ( 학급 ), 또는혼합연령반 ( 학급 ) 의효율적적용을위해반 ( 학급 ) 및개별유아의발달특성이나요구에대한폭넓은이해를반영한적합한활동을계획하고편성해야한다. 다섯째, 유아가고정적인성역할개념을갖지않도록기존의활동자료를점검하여활용하고, 특정종교의강조및주입을지양하고일반유아에게맞도록편성된과정을적용하되, 참여와수행에어려움이있는경우장애유아의특성에따른개별화교육계획을수립할수있다. 여섯째, 기본누리과정 (3~5세) 을심화확장할때에는지식이나기능위주의교육보다기본과정의균형을이루고, 활동의양을고려하여유아들이부담감과피로감을느끼지않도록편성한다. 장애유아를위한통합교육일반학교에배치되어통합교육을받고있는특수교육대상자의수는해마다증가하고있는데, 통합교육에대한개념은시대에따라또는주장하는학자에따라각기다르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 제 2조 6항에의하면 통합교육이란특수교육대상자가일반학교에서장애유형, 장애정도에따라차별을받지아니하고또래와함께개개인의교육적요구에적합한교육을받는것을말한다. 이법률에서정의하고있는통합교육은단지물리적으로장애학생을통합하는것을넘어서교육과정및사회적통합까지를고려한것이다. 1. 통합교육의개념및유형통합교육에대한개념을역사적으로고찰해보면, 통합교육이라는용어가나타나기시작한 1970년대에는주로주류화 (mainstreaming) 라는용어가통합교육을나타내었는데, 일반교육을큰물줄기 (mainstream) 인주류로, 특수교 Table 1. 3~5 세누리과정의구성및편성방향 구성방향편성방향 질서, 배려, 협력등기본생활습관과바른인성을기르는데중점을 1일 3~5시간을기준으로편성한다. 두어구성한다. 자율성과창의성을기르는데중점을두고, 전인발달을이루도록구 5개영역의내용을균형있게통합적으로편성한다. 성한다. 사람과자연을존중하고, 우리문화를이해하는데중점을두고구 유아의발달특성및경험을고려하여놀이를중심으로편성한다. 성한다. 만 3~5세아의발달특성을고려하여연령별로구성한다. 반 ( 학급 ) 특성에따라융통성있게편성한다. 신체운동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5개영역 성별, 종교, 신체적특성, 가족및민족배경등으로인한편을중심으로구성한다. 견이없도록편성한다. 초등학교교육과정과 0~2세표준보육과정과의연계성을고려하여 일과운영시간에따라심화확장할수있도록편성한다. 구성한다.
4 AUDIOLOGY 청능재활 2013;9:1-6 육은작은물줄기 (a branch stream) 로보아작은물줄기인특수교육을큰물줄기인일반교육에합류시키는것을의미한다. 하지만 1980년대후반에는일반교육주도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REI) 이라는용어가이를대신하였다. 일반교육주도 (REI) 정책은특수교육을일반교육에포함시키되, 주도권을일반교육이가지고통합교육으로서의특수교육을하려는의도에서시작되었다. 즉, 특수교육프로그램을일반교육의틀로편입시켜일반교사가특수교육을담당하도록하는개념이다. 그후 1990년대부터는포함 (inclusions) 의개념이반영된통합교육으로변화되고있다 ( 신현기외, 2005). 즉, 최근에는장애유아들도일반교육환경에소속된동등한자격과권리를지니고있음을강조하기시작하였으며, 이러한인식변화로인해서원래부터일반교육현장에포함되어있다는개념을강조하는의미로포함이라는용어를사용하게되었다 ( 김홍례, 2008). 통합교육의배경에는첫째, 통합교육의가장기본이되는정상화 (normalization) 의원리가있다. 이원리는모든인간은문화적으로정상적인수단을사용해야한다는철학적인신념이내포되어있다. 즉, 장애인도정상적인생활의범위에드는모든생활을, 가능한정상적인방식으로경험할수있도록모든기회를제공해주어야한다는것이다. 둘째, 최소제한환경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이다. 이용어는미국장애인교육법에명시된것으로장애유아를일반유아, 또래, 가정및지역사회로부터가능한한최소한으로분리시켜야한다는의미이다. 즉, 최소제한환경이물리적인환경중심이라기보다는서비스중심이라고강조하며, 장애유아의교육적요구에적합하고그들이일반학급에서성공적으로공부할수있도록뒷받침해주는서비스제공에중점을두어야한다고하였다 ( 신현기외, 2005). 통합교육의유형은교육을실시하는시간과통합활동을하는내용과장소및정도에따라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통합교육을받는시간에따라완전통합 (full inclusion) 과부분통합 (partial inclusion) 으로나눌수있고, 통합방식에따라역통합 (reverse inclusion) 으로나눌수있다. 첫째, 완전통합은하루의일과동안일반유아와장애유아가일반학급교실에서같은환경, 같은교육자료및같은교사와함께수업을받는개념이다. 미국에서는통합교육이라는용어보다완전통합이라는단어를많이사용하며, 소극적인통합교육을지양하고적극적인통합을지지하는입장에서사용한다고한다 ( 류주현, 2009). 둘째, 부분통합은시간제통합이라고도할수있는데, 일정시간이나일정일과에서만장애유아가일반유아들과함께동일 한교육환경에배치하는것이다. 즉, 장애유아의요구에따라최대한적절한교육을제공하는것으로개별화된교육프로그램에따라특수학급과일반학급을오가면서수업을하는형태이다. 마지막으로역통합은특수학급에서일반학급의유아들과일정시간동안활동을함께하는것으로장애유아를위해특별히고안된프로그램에비교적소수의일반유아 ( 일반적으로 25~40%) 를통합하는것이다. 2. 통합교육의효과 2.1. 장애유아에게미치는효과통합교육이장애유아의사회 정서적인성장에미치는효과에대한연구는지속적으로많이이루어져왔다. 우선통합교육을통해장애유아는다양한친구들을선택할수있는기회와정규학급의풍부한재료와비장애유아들로부터적극적인상호작용의행동패턴을배울수있는기회등을가질수있다 (Morgan & York, 1981). 또한그러한행동을통하여자연스럽게수행하는또래들과상호작용할수있다는사실이다 (Odom & McEvoy, 1990). 그러므로통합교육은장애유아나비장애유아모두에게풍부한자극과적절한사회적상호작용의기술을제공하며학령기와성인기의사회적통합을위한기초로써중요한의의를가진다고할수있다 ( 권현미, 2005). 장대은 (1997) 은통합교육의경험이있는장애유아가분리교육만을경험한장애유아에비하여전반적으로높은사회적응력을보이며, 더수용적이고긍정적인정서를형성한다는밝혔고, 통합교육을받은장애유아들의발달적성취는적어도분리교육에서얻는성과와같거나그이상인것으로나타난연구결과도있었다 ( 이소현 & 박은혜, 2006). 박승희 (2007) 역시통합교육을통해서사회적응기술을향상시킬수있다는점을가장중요한통합교육의효과라고하였으며, 이예걸 (2002) 은통합교육을통해비장애유아가장애유아와함께생활하면서장애유아에게필요한것이무엇인가를인식하게함으로써장애유아를더잘이해하게되어긍정적인태도를기를수있게한다고하였다. 이러한여러학자들이밝힌결과들을종합해보면, 장애유아의발달적, 행동적및학업적성취는통합교육과바람직한상호작용을통해자립심과사회성이촉진되어비장애유아들과함께활동을하면서자아존중감의발달에긍정적인영향을끼치게된다는결론을얻게된다. 2.2. 비장애유아에게미치는효과통합교육을실시할때가장많이하게되는우려는비장애유아들에게부정적인영향을미치지않을까하는것이
KN Choi :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5 다. 그러나많은연구들은비장애유아가장애유아와함께통합교육을받는다고해서부정적인영향을받지않으며오히려사회, 정서적, 발달적측면에서도긍정적인결과를보인다고보고있으며, 장애유아에대한인식과수용을가능하게하고남에게도움을주는것에대해배울수있는기회를제공할수있다고한다. 그리고장애유아에대한편견과부정적인인식을없애고, 더욱더이해할수있게된다고한다 ( 김윤정, 2004). 서봉연 (1986) 에의하면비장애유아들은장애유아와의통합과정에서장애유아들에대한상호협력자나모델로서의역할을하게되므로상대방을돕는마음, 배려하는마음, 양보심및기다릴줄아는마음등을가질수있고함께느껴보기나눈가리고체험해보기등의사회적인행동을보다다양하게익힐수있다고한다. Nordquist et al.(1986) 의연구보고에서도통합교육의과정에서정상아들이자폐아의이상행동을모방하지않았을뿐만아니라, 자폐아의사회성발달을촉진하기위해서실시된교수방법으로인하여정상아들의사회성발달이오히려촉진되었다고한다. 결론적으로, 비장애유아는통합교육의현장에서장애유아들과함께경험하는환경에서부정적인영향을받지않으며, 오히려장애유아에대한선입견과부정적인인식을없애고, 장애유아를더욱이해하고수용할수있게긍정적인영향을받게된다. 2.3. 가족과교사에게미치는효과우리나라에서장애유아통합교육에가장큰장애가되고있는문제중의하나가부모의통합교육에대한제한적수용태도와교사가준비도문제라고할수있다. 그러나외국의경우장애유아와의통합교육을통하여부모의편견이감소되고, 교사는보다전문적인역할수행이가능하다는주장이많이보고되고있다. Bailey & Winton(1987) 은장애를가진아동의부모들이통합을통해받을수있는혜택을여섯가지로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이성공적일때부모는자녀에대해긍정적인태도를갖게된다. 둘째, 아동의성취와실태를 현실세계 의관점에서해석할수있다. 셋째, 정상적인발달을하는아이들에관한정보를얻을수있다. 넷째, 자녀의나이에맞는적절한환경과자극을제공할수있다. 다섯째, 부모자신의긍정적인자아인식을촉진한다. 여섯째, 비장애아동의부모들과교류함으로써장애인과그가족에관해그들이갖고있는편견이나선입견을없앨수있으며나아가그들을든든한지원자로만들수있다. 또한비장애유아의부모들도장애유아를가진아동의부모와상호작용을함에따라자신의양육태도를점검하는자극을얻을수있다. 그리고장애아와그가 족을가까이에서접하고이해함으로써잘못된편견을버릴수있다. 특히교사는통합교육에있어서매우중요한역할과위치를차지하고있다. 통합교육을하는교사가유아들에게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인이기도하지만, 교사들또한통합교육을통해장애유아에대한여러가지정보를얻을수있고그럴수록그들과점점더친숙해지고더잘수용할수있게된다 ( 이소현 & 박은혜, 2006). 통합교육이교사에미치는효과를다음세가지로정의하였다. 첫째, 능력이나인성이다양한혼합집단의유아들을관찰할기회를갖게한다. 둘째, 다양한학생들을접하며다양한학습전략을배울수있다. 셋째, 장애유아에게갖고있던편견이축소되며장애유아에대한개인적인이해를증진시킬수있다고정리하였다. 그러므로통합교육에서현장에서다양한유아와접하고발달의연속성상에있는행동을관찰함으로써아동에대한현실적인기대를할수있다는점도교사들이얻을수있는장점이다. 3. 통합교육의문제점장애유아의통합교육은양적인성장만으로달성되는것이아니라, 프로그램의질과그에따른질적인성취가강조되어야한다. 이러한관점에서유치원교육과정에대한분석자료를통해통합교육에대한인식과문제점을구체적으로살펴보면, 다음과같다 (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첫째, 장애유아와비장애유아의개인차를교려한프로그램의부족이다 ( 이창미외, 2009). 즉, 특히교육의형태가유아교육과특수교육으로이분화되어있기때문에프로그램의준비나실제교육과정운영에많은어려움이야기되고있다. 둘째, 교사가통합교육에대한적절한사전지식을갖추지못하거나역할에대한혼란으로인하여준비되지않음으로써유아지도에많은어려움을겪고있다 ( 김경숙, 2006; 백경순, 2005; 유수옥외, 2002). 따라서장애유아를이해하고수용하도록촉진하는경험과전문적인지식을갖춘교사의중재가없는상태에서장애유아들을일반유아들과함께배치하는것만으로는성공적인통합교육을실행할수없다. 셋째, 장애유아통합교육에대한부모의인식부족이다. 특히비장애유아의부모들은장애유아와의통합교육이자녀들에게부정적인영향을미치지않을까하는우려를나타내며, 이러한부모의우려는장애유아통합교육프로그램운영에걸림돌로작용할수있어문제점으로지적되고있다 ( 이소현, 2003). 마지막으로장애유아와의비장애유아와의상호작용지도와적절한교육화경조성등의어려움이중요한요인이될수있다.
6 AUDIOLOGY 청능재활 2013;9:1-6 CONCLUSIONS 유아들을위한통합교육의목적은장애유아와비장애유아의상호작용을통하여장애유아의사회기술과적응능력을향상시키고, 비장애학생이장애인에대한긍정적인인식을가지고상호협력하는태도를발전시켜나가도록하는것이다. 그러므로통합교육을성공적으로실시하기위해서는비장애유아들과교사뿐만아니라, 학교관리자와학부모및지역사회구성원들이장애유아와장애인에대한긍정적인인식을갖도록다양한교육프로그램을준비하는것이무엇보다도중요하다. 구체적으로통합교육이역동적이고지속적으로발전해나가기위해서는일반교사와특수교사간의지속적인정보교류, 교수에필요한보조자료제공, 장애유아의개별화교육계획안작성, 장애유아에대한심층적인상담및관련서비스지원제공등이필요하며, 이를위해지역사회기관과학부모와의협력이필요하고국가적인차원에서의인식개선이이루어질때, 진정한통합교육이이루어질것으로기대한다. 중심단어 : 누리과정, 비장애유아, 장애유아, 통합교육. REFERENCES 고경필. (2003). 보육시설실내 외환경에대한만족도와중요성의인식정도. 대한가정학회지, 41(2), 141-153.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유치원교육과정모니터링분석자료. 장학자료 2009-54 호. 권현미. (2005). 유아통합교육의운영실태와개선방안에관한연구. 대구대학교석사학위청구논문. 경상북도.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서울. 김경숙. (2006). 장애유아통합교육을위한일반교사의특수교사간협력체제연구. 열린유아교육, 11(5), 291-319. 김민석. (2010). 장애유아통합교육실태분석.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윤정. (2004). 장애유아통합교육활성화를위한교사와학부모인식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김홍례. (2008). 장애유아통합교육에대한일반유치원교사의인식.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수원. 류주현. (2009).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특수교사협력현황.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승희. (2007). 장애관련종사자의특수교육입문. 서울 : 학지사. 백경순. (2005). 유아교사와유아특수교사가특수유아통합교육에서직면하는어려움에관한연구. 유아교육학논집, 9(4), 193-214. 서봉연. (1986). 장애아통합교육의방향. 서울 : 새세대육영회. 신현기, 최세민, 유장순, & 김희규. (2005). 통합교육의이론과실제. 서울 : 박학사. 안정은. (2013). 누리과정의이해와발전과제, 교육과학기술부. 3~5 세연령별누리과정지원을위한유치원관리자 ( 원장, 원감 ) 연수자료. 유수옥, 박현주, 박량규, & 강우선. (2002). 장애유아통합교육의성공적실천의방해요인에관한연구. 유아교육연구, 22(2), 111-132. 윤영민. (2013). 5 세누리과정실시에따른유치원과어린이집장애유아통합학급운영실태및요구.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광주. 이소현. (2003). 장애유아통합유치원교육과정. 서울 : 학지사. 이소현 & 박은혜. (2006). 특수아동교육 : 통합학급교사들을위한특수교육지침서. 서울 : 학지사. 이예걸. (2002). 초등학교특수학급담임교사의사기에대한자격종별간인식수준과진작방안비교. 대구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대구. 이창미, 장혜성, & 김수진. (2009). 장애아통합보육론. 서울 : 교육과학사. 장대은. (1997). 장애유아의일반유치원통합에필요한기술의중요도에대한특수교사와일반유치원교사의비교.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울. Baily, D. B. & Winton, P. J. (1987). Stability and change in parent' expectation about mainstream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7(1), 73-88. Morgan, C. & York, M. E. (1981). Ideas for mainstreaming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36, 18-25. Nordquist, V. M., Twardz, S., & McEvoy, M. A. (1986). Effects of environmental reorganization in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5(2), 135-152. Odom, S. L. & McEvoy, M. A. (1990). Main streaming at the preschool level: Potential barriers and tasks for the fiel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2), 4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