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은주로민물고기등을생식하거나덜익혀섭취할때감염되며, 80종이상의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의인체감염이보고되었다. 식품매개성흡충류기생충은크게간, 소장또는폐에기생한다고알려져있다. 공중보건학적인관점에서가장중요한흡충류로는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타이간흡충 (Opisthorchis viverrini), 간질충 (Fasciola hepatica) 이있고, 장흡충류로는극구흡충 (Echinostoma spp.), 비대흡충 (Fasciolopsis buski), 이형흡충 (Heterophyes spp.) 과요코가와흡충류 (Metagonimus spp.) 가있으며, 폐흡충류로는 Paragonimus spp. 가있다 [1]. 특히국제암연구협회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에서는 2009년에타이간흡충에이어간흡충이담관암 (cholangiocarcinoma) 을유발할수있는생물학적발암병원체로서공식인정된바있다 [2]. 간흡충은사람을포함한여러가지포유동물의간, 특히담낭, 담관및간실질에서성충으로성장하며, 간과담관의질환을유발하고, 숙주체내에서장기간생존하면서지속적으로충란을장으로배출한다 [3]. 이러한흡충증의특성때문에, 식품매개흡충증, 특히간흡충은사망률과사회경제적피해가비교적낮기때문에전세계발생률및공중보건학적관점에서과소평가되어있다. 이글은간흡충증을비롯해흡충증에대한최근국내외역학적정보를공유하고그특성을소개하여국민들로하여금간흡충증을비롯한식품매개흡충증의예방및관리에도움을주고자한다. 간흡충증은민물고기를생식하거나덜익혀먹는음식문화가있는중국, 베트남, 한국등일부동남아시아지역의국가에서많이발생하고있다. 중국은총 3회에걸쳐전국기생충감염실태조사가이루어졌으며, 그중간흡충증은 1988년-1992년 1차조사시에는 0.3%[4], 2001년-2004년 2차조사시에는 0.5% 이었다 [5]. 특히 2002년-2004년까지간흡충유행지역을대상으로조사한결과는감염률이 2.4% 로서약 12.49백만명이감염되어있는것으로추정되었다 [6]. 대만도간흡충증의유행국가로서, 특히 2004년에북부 Miao-li 지역과중부 Sun-moon 호수지역, 남부의 Mei-nung 지역이유행지역으로 0.4%-1.0% 의양성률을보였고, 약 89,000명이감염된것으로추정되었다 [7]. 베트남의경우에는타이간흡충과간흡충이공존하고있는간흡충증유행국가중하나이다. 2011년최근보고된바에의하면, 21개북부지방이간흡충유행지역으로, 11개남부지방이타이간흡충유행지역으로 0.2%-40.1% 의양성률로조사되었다 [8]. 우리나라의경우, 2004년 제7차전국장내기생충감염실태조사 결과, 간흡충증이 2.4% 로서약 130만명이감염된것으로추정되었으며 [9], 2006년남부 4대강유역지방을조사한결과, 낙동강유역이 17.1%, 섬진강유역이 11.2%, 영산강유역이 5.5%, 금강유역이 4.6% 감염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10]. 표 1은 2010년글로벌질병발생현황 (Global Burden of Diseases, GBD) 을기준으로 2005년국가별식품매개성흡충증에감염된추정치를보여주고 - 1 -
있으며, 그림 1은흡충류에따른주요발생지역을표기한것이다 [1]. 그러나최근에는고양이간흡충 (Opisthorchis felineus) 의경우, 러시아서부와중부지역및유럽등지에만분포하는것으로알려지고있으며, 극동지역에는간흡충만이분포하는것으로인식되고있다. 또한 2009년 WHO에따르면, 민물고기생산품이증가하고있으며, 이들의생식또는덜익혀먹는식습관이줄어들지않는등의요인으로인해전세계 3,300 만명이간흡충의감염위험에노출되어있다고보고되었다 [11]. - 2 -
지금까지의보고에의하면, 질환을유발하는중감염의한계점은간흡충증과타이간흡충증의경우에는대변 1g 당 10,000개, 간질충증과장흡충증의경우에는 1,000개, 폐흡충증의경우에는가래 5ml당 100개의충란이검출되었을경우이다 [1]. 간흡충과타이간흡충은담석증 (cholelithiasis), 담즙정체 (cholestasis), 담즙염 (cholangitis), 담낭염 (cholecystitis), 간과담관의농양, 경화 (cirrhosis), 췌장염, 간염을유발할수있으며, 가장심각한결과는담관암 (cholangiocarcinoma) 이다. 임상적인범위는무증상부터경감염시에는발열, 피로, 원기소실이있고중등도의감염시에는위장관성불편함과때때로설사를호소하고, 중감염일경우에는구역질, 변비, 산통 (colicky pain), 소화불량 (dyspepsia), 영양실조 (malnutrition) 및빈혈이나타날수있다. 아직담관암에대한명확한기전이보고되지않았지만, 기생충이중요한부분을차지하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국제암연구협회 (IARC) 에서는 1994년에타이간흡충을, 2009년에간흡충을생물학적발암원인체로규정한바와같이, 담관암에의한대부분의사망원인은식품매개성흡충증에기인하고있다고보고하였다 [2]. 이암은대부분특별한임상증상을동반하지않는만성질환이기때문에조기진단이힘들다. 그러므로이질환으로진단된환자는질병이상당히진행된상태이며, 비수술적일경우에는예후가불량하기도하다. 절제술이나이식술이전통적인유일한치료법이지만, 때때로추가적인치료가필요하며, 적절한치료를하지않은경우에는진단후 1년이내에사망할수있다. 고양이간흡충과간질충류에감염된환자는간흡충과타이간흡충이감염되었을때와동일한병리학적변화가나타날수있다. 그러나고양이간흡충과간질충류감염이생물학적발암병원체라는것은아직불분명하다. 장흡충감염또한장폐색과궤양을유발할수있다. 한편이러한흡충류 ( 간질충, 비대흡충, 위에특이적으로존재할수있으며, 매우드물게치명적일수있지만, 이에대한임상적보고는매우드물고이형흡충또는단경흡충 (microphallidae) 들은드물지만피부, 안구, 복강장기, 심장또는뇌척수신경부제한적이다. 폐흡충에감염된환자는폐출혈, 기흉 (pneumothorax), 흉막폐낭종 (pleuropulmonary cysts), 농양및 - 3 -
석회화가일어날수있다. 중증의흉막폐흡충증의경우, 때때로결핵이나기관지염, 출혈성가래나만성기침, 흉통및호흡곤란을동반한천식의증상과유사하게나타날수있다. 폐이외에감염부위의대부분은뇌이고, 드물게는피부, 눈, 복부장기, 생식기또는뇌척수신경의일부분에감염이일어날수있다. 뇌감염이있는환자는두통과정신착란, 행동장애, 수막증 (meningismus), 발작 (convulsions), 편마비 (hemiplegia), 시력장애및뇌출혈이나타날수있다. 폐흡충류의감염에의한사망의대부분은뇌감염이차지하고있다. 흡충증의진단은숙주의변또는가래를이용해직접현미경검경을통해충란을검출을함으로써이루어지고있다. 특히대변검사는주로후층도말법인카토카즈 (Kato-Kaz) 법이간단하고실용적인진단법으로많이사용되고있으나, 민감도가낮다는것이단점인것에비해포르말린에테르법은상대적으로민감도가높은장점이있으나, 포르말린과에테르를사용함에따라격리된장소가필요하고장시간이소요된다는단점이있다. 그러나이두가지방법모두, 비전문가의경우, 직접현미경검경으로는흡충충란들에대한감별진단이어렵다는것이문제이다. 특히간흡충과타이간흡충, 장흡충류등을구분하기어렵다. 그래서최근에는이러한흡충충란의 DNA를이용하여분자생물학적인기법을통해흡충의종을구분하고있다 [12]. 식품매개성흡충증의치료에는프라지콴텔 ( 간흡충증, 타이간흡충증, 장흡충증, 폐흡충증 ) 과트리클라벤다졸 ( 간질충증 ) 이대표적인치료제로알려져있다. 아직까지이두가지약물이전세계적으로가장많이사용되고있으며, 특히아프리카와동남아시아, 태평양지역일부섬지역에서는주혈흡충증이나사상충증의예방및치료를위해대단위약물투여 (Mass Drug Adminstration, MDA) 방법으로프라지콴텔이널리이용되고있다. 그러나프라지콴텔은간독성이있음에따라간기능이상및다른간질환이있는환자의경우에는반드시의사와상담후투약여부를신중히결정해야한다. 우리나라는과거 1960-70년대에는장내기생충감염률이 80-95% 에이르는대단히높은기생충감염률을보였었다. 그러나정부의적극적인주도와민간기구인 기생충박멸협회 ( 현재한국건강관리협회 ) 를중심으로 1971년 제1차전국민장내기생충감염실태조사 ( 기생충충란양성률 84.3%) 를실시한이래, 지속적인감시와퇴치사업을실시한결과, 2004년 제7차전국민장내기생충감염실태조사 에서는 3.6%( 감염자약 178만명추정 ) 의기생충충란양성률을보였다. 이는전세계적으로도보기드문성공적인기생충퇴치사업으로평가되고있다. 하지만기생충중식품매개성흡충증, 특히간흡충증양성률이 2.4%( 감염자약 117만명추정 ) 로서전체기생충감염률의 66% 를차지하는높은감염률을보였다. 이는우리의음식문화를비롯한개인의식습관이원인인것으로파악되고있다. 기생충증을효율적으로퇴치및관리하기위해서는통합적인관리전략이필요한데적절한위생, 올바른정보, 의사소통, 교육과홍보, 식품검사그리고중간매개체및종숙주관리등과같은예방과치료법이포함되어야한다. 현재기생충증의진단에는직접적으로충란검출을하는기생충학적기술 ( 예 ; 카토카즈법 ) 이널리사용되고있지만, 더정확하고숙주특이적인충란검출방법이지속적으로연구및개발이요구되고있으며, 특히면역및분자학적기술을이용한진단법은향후발전시켜나가야할주요기법중의하나로평가되고있다. 질병관리본부말라리아기생충과에서는 2005년부터주요강유역보건소와함께지역주민을대상으로간흡충퇴치사업을수행해나가고있다. 간흡충퇴치사업의주요내용은주민들의대변검사, 구충제무료제공, 대변재검사, 설문조사를통한간흡충감염위험요인을분석, 민물고기생식금지교육및 - 4 -
예방캠페인등이포함된다. 이러한간흡충퇴치사업이 2013년지금까지 8년동안꾸준히수행되고있으며, 특히 2012년에는전국 23,956명을대상으로 제8차전국장내기생충감염실태조사 를성공적으로실시하여 2.6%( 감염자약 130만명추정 ) 의기생충충란양성률을보였으며, 이중간흡충은 1.9%( 감염자약 90만명추정 ) 의양성률을보였다. 이는 2004년 제7차전국장내기생충감염실태조사 결과에비해전체충란양성률은 1% 감소하였으며, 특히간흡충의경우에는 0.5% 감소하여제7차조사결과에비해약 40만명의간흡충감염자수가감소한것으로추정됨에따라, 본과의간흡충퇴치사업이효율적으로수행되고있음을알수있었다. 향후흡충류기생충증진단법개선을위해 Information Technology (IT) 및 Nanotechnology (NT) 기법을이용한첨단기술과의융합연구를통해보다실용적이며효과적인진단기술개발이요구되며, 효율적인맞춤형간흡충퇴치사업을수행함으로써국민의건강한삶과질의향상을위해지속적으로노력할것이다. - 5 -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