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 Analysis of Spatial-Temporal Changes in the Longevity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ng-live Community in Seoul Jae Hun Sim* Seung Cheol Noh** Hee Yeon Lee*** 7)8)9) 요약 주제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emporal-spatial changes of the longevity degree and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long-live community in Seoul. Population data from 2000 to 2010 at the Gu and Dong unit are used to examine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longevity degree. Also small area statistics such as census output area and EDA(exploring data analysis) method are used to analyze spatial clustering patterns and to extract long-live commun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evity degree among administrative units (gu and dong) in Seou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hot-spot clusters with high degree of longevity showed the spatially dependent and fixed tendency for the last 10 years. Secondly, highly educated oldest-old rich people residing in their own houses with their family are generally concentrated in long-live communities which are selected by the criteria with the longevity degree over 20%. In order to enhance the longevity of the oldest-old people and to construct more healthy longevity culture for selected long-live communities, surrounding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required by the oldest-old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in-depth survey afterwards. the oldest-old, longevity degree, census output area, long-live community
62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4호 2012. 12 2000년 2010년 2005년 1 점 은 8 5 세 초 고 령 자 1명 을 나 타 냄 <그림 1> 85세 이상 인구분포를 나타낸 점묘도 2000년 2010년 <그림 2> 집계구의 장수도를 등치선으로 나타낸 지도 집계구 경계
64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4호 2012. 12 2000년 2005년 2010년 범례 <그림 3> 장수도의 시계열적 클러스터 패턴 변화 해 <그림 4>와 같이 값이 2 이상을 나타내는 집계구를 시기별로 중첩하였다. 먼저 2000년과 2005년 두 시점 모두 값이 2 이상을 나타낸 집계구를 보면 종로구, 중구, 강남구, 서초구 일 부 지역에서 군집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05년과 2010년 두 시점 모두 값이 2 이상을 나타낸 집계구를 보면 기존의 장수 클러스터 주 변에서 점차 확장되는 경향이 보이는 가운데 도 봉구, 강동구, 동작구, 강서구 일부에서 새로이 장수 클러스터가 나타났다. 2000년, 2005년, 2010 년 세 시점 모두에서 값이 2 이상을 나타낸 집계구는 총 19개 동에서 210개 집계구로 나타 <그림 4> 장수도가 높은 집계구의 공간적 고착성
68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4호 2012. 12 - 티 <그림 6> 고령 장수 커뮤니 에서 85세 이상 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장수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시설의 차별화 전략도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티 <표 5> 41개 고령 장수 커뮤니 의 인구학적 특성 편차 65세이상인구수 56 517 141.36 84.74 85세이상인구수 15 106 35.63 20.83 고령화율 14.05 76.25 25.19 11.63 장수도 20.0 38.14 25.57 5.40 남성 고령화율.0 83.53 15.27 13.96 남성 장수도.0 37.5 9.10 11.35 여성 고령화율 14.20 79.79 31.09 13.31 여성 장수도 17.11 55.17 30.74 7.48 자료: 2010년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국가통계포털), 통계 청 지리정보서비스(SGIS) 특성 최소 최대 평균 표준 Ⅴ. 결론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진입화면서 건강, 장수 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 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고령화 추세가 이루어지면서 장수인, 장수마을, 건강도시 등에 남녀 인구 수를 나타낸 도형 표현도 대한 관심은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히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농촌의 장수인이나 장 수마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도시 지역에서 초고령 인구가 다른 연령에 비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에 거주하는 초고령자와 장수인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한 시점이나 아직까지 도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을 대상으 로 하여 장수도의 시 공간적 변화와 장수 커뮤 니티의 공간패턴 및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초점 을 두었다. 지난 10년간 서울의 고령인구 비율은 5.4%에서 9.6%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85세 이상의 초고령 인구 수는 약 2배로 늘어나면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훨씬 빠르게 증가하였고, 증 가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25개 지치구별 고 령인구 비율과 장수도 간의 상관계수는 0.63으 로 나타나고 있어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이 장수도가 오히려 낮음을 말해주며, 이는 고령화 와 장수도가 서로 일치하는 현상이 아님을 시사 해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연구들이 시 군을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