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3) 243 ~ 254 DOI /kjn 체중조절용조제식품과다이어트건강기능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에관한연구 * 이효진 1 원혜숙 2 곽진숙 2 김미경 2 권오란 2 이화여자

Similar documents
서론 34 2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Lumbar spine

<31372DB9CCB7A1C1F6C7E22E687770>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歯5-2-13(전미희외).PDF

hwp

歯1.PDF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hwp


1..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012임수진

<C3D6C1BEBFCFBCBA2DBDC4C7B0C0AFC5EBC7D0C8B8C1F D31C8A329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C7D1B1B9B1B3C0B0B0B3B9DFBFF85FC7D1B1B9B1B3C0B05F3430B1C733C8A35FC5EBC7D5BABB28C3D6C1BE292DC7A5C1F6C6F7C7D42E687770>

untitled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Vol.259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DBPIA-NURIMEDIA


<BFACBCBCC0C7BBE7C7D E687770>

433대지05박창용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DBPIA-NURIMEDIA

untitled

<31342EBCBAC7FDBFB52E687770>

DBPIA-NUR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35BFCFBCBA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Àå¾Ö¿Í°í¿ë ³»Áö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303320C0CCBDC2B1B3BFDC28BCF6BFF8C1F6BFAA296F6B2E687770>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

03이경미(237~248)ok

:,,.,. 456, 253 ( 89, 164 ), 203 ( 44, 159 ). Cronbach α= ,.,,..,,,.,. :,, ( )

03-서연옥.hwp

서론

11¹ÚÇý·É

A 617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BFCFBCBA30362DC0B1BFECC3B62E687770>

44-3대지.08류주현c

歯14.양돈규.hwp

05_최운선_53~67,68.hwp

DBPIA-NURIMEDIA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DBPIA-NURIMEDIA

<313120B9DABFB5B1B82E687770>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Ȳ¿ë¼®

<C7D1B1B9B1A4B0EDC8ABBAB8C7D0BAB85F31302D31C8A35F32C2F75F 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Awareness, Supports

학술원논문집 ( 자연과학편 ) 제 50 집 2 호 (2011) 콩의식품적의의및생산수급과식용콩의자급향상 李弘䄷 * 李英豪 ** 李錫河 *** * Significance of Soybean as Food and Strategies for Self Suffici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Suggestions of Ways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27 2, * ** 3, 3,. B ,.,,,. 3,.,,,,..,. :,, : 2009/09/03 : 2009/09/21 : 2009/09/30 * ICAD (Institute for Children Ability

Jkafm093.hwp

Analysis of objective and error source of ski technical championship Jin Su Seok 1, Seoung ki Kang 1 *, Jae Hyung Lee 1, & Won Il Son 2 1 yong in Univ

(JH)

여대생의 섭식장애, 초기부터 초기 성인기에 이르는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지는 데, 이 시기의 여대생은 대인관계 형성이 중요한 발달과제이고 매력적인 외모가 이런 과제의 성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 문이다. 특히 여대생들은마른체형을선호하는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잘못된 방법

(김정현).fm

139~144 ¿À°ø¾àħ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2011´ëÇпø2µµ 24p_0628

도비라

44-4대지.07이영희532~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1, pp.1-19 DOI: *,..,,,.,.,,,,.,,,,, ( )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DBPIA-NURIMEDIA

Transcription: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DOI 10.4163/kjn.2011.44.3.243 체중조절용조제식품과다이어트건강기능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에관한연구 * 이효진 1 원혜숙 2 곽진숙 2 김미경 2 권오란 2 이화여자대학교임상보건과학대학원임상영양학전공, 1 이화여자대학교식품영양학과 2 Perceptions of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Lee, Hyo Jin 1 ㆍ Won, Hye Suk 2 ㆍ Kwak, Jin Sook 2 ㆍ Kim, Mi Kyung 2 ㆍ Kwon, Oran 2 1 Ewha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Seoul 120-750, Korea 2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al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0-750, Ko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shape, and perceptions of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and weight-control fo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15 and June 17, 2010 among 199 (57 males and 142 females; age range, 25 45 year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experienced eating health functional foods or weight control foods during the past year (June 2009 to June 201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weight-control food group (89 adults)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group (110 adult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a high proportion of aged (average age, 34.2 ± 5.9 years), graduates (71.9%), and married (65.8%) individuals. In the weight control food group,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similar and the ratios of service/technical employees, college students, and normal-weight individuals [body mass index (BMI), < 23] were high. BM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 < 0.001), age (p < 0.01), marital status (p < 0.001), and job type (p < 0.001).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a higher response for in good health in the 35 44 year old group than that in the 25 34 year old group (p < 0.05). Male group satisfaction for body sha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emale group. The main reason for going on a die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 < 0.05) and BMI (p < 0.01). The main motives for dieting were because I am not at an ideal weight and because of the social atmosphere and the attention of others in men, but can t wear the clothes I want in women (p < 0.01). The most preferable product type related to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job (p < 0.001) and BMI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questions about body shape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Consumers who had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sed diet products perceived body shape and weight control differently. Additionally,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by product type, except job and BMI, but the distribution of consumer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diet products to help people control their weight more scientifically and appropriately in the future. (Korean J Nutr 2011 44 (3) 243 ~ 254) KEY WORDS body shape perception, weight control, health functional foods, weight control foods, BMI, body mass KEY WORDS index. 서 급속한 산업 발전과 경제수준의 향상과 함께 신체 활동량 론 이 감소되고 식생활 패턴은 서구화 되면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는 비만을 단순한 증상이 아닌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는 정도로 비만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있다 따라서 건강유지를 위한 체중조절의 중요성이 접수일 :2011 년 5 월 25 일 / 수정일 :2011 년 6 월 10 일 / 채택일 :2011 년 6 월 15 일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for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program in 2010 (No. B0012328).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E-mail: orank@ewha.ac.kr 201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44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강조되거나 이외에도 미용목적이나 외형 가꾸기에 치우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휠씬 많은 인구가 체중감량에 관심을 가지고 체중조절을 시도하고 있다 체중조절의 방법으로는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의 방법 이 있으며 다이어트 관련 산업으로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다이어트약품 단식원 체형관리샵 한의원 헬스센터 병원비만클리닉 이용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체중감소를 위한 다이어트 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약품 보다는 접근이 용이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다이어트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과 특수용도식품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년부터 시행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에 의거하여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현재 체중조절과 관련한 체지방감소 기능성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시장은 년 판매량 톤 억원 의 규모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은 억원 규모이며 이 중 체지방감소 기능성 건강기능식품은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제품 전체 판매액의 에 해당한다 또한 식품공전에서 관리되는 특수용도식품 중에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은 비만증인 사람의 체중감소를 위하여 제조된 저칼로리 저지방 식품으로 한끼 식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신하는 식품으로 회 섭취시 영양소 기준치의 이상이 되도록 하며 하루 식사를 모두 대신하는 조제식품의 경우 이상 이하를 제공하고 하루 식사 중 회를 대신하는 조제식품은 이상 이하를 제공하여야 하고 수분 조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규격을 정하여 판매하는 제품으로서 식사대용식의 개념으로 이용되고 있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시장은 년 억원 규모에서 년 생산량 억원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 외 저열량 식품을 총칭하여 다이어트 식품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실제로 다이어트 식품이란 용어는 통상적인 용어로서 식품위생법에서 정의되고 있는 식품의 유형은 아니다 아울러 그동안 여자의 전유물로 여겼던 다이어트에 대해 남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성용 다이어트 제품도 잇따라 출시되고 있으며 연령층도 젊은 층에서부터 중년층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의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인식과 실태 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성인의 경우는 여자 여대 생 비만인 이 주를 이루고 다음으로 성인 과 남 녀 대학 생 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었다 그 외의 변수로서 체중 조절과 관련된 식습관 스트레스 등과의 관계를 보는 연구들 이 많았다 또한 기존의 다이어트 식품 관련 연구들은 다이어 트 식품의 범위를 포괄적으로 정하여 조사한 연구와 실태 위 주의 연구 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체중조절의 한 방법으로 써 체중감량 관련 비처방 식이보충제 - 가 점차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 로 관련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다이어트 제품의 범위 와 개념이 국내의 경우와 다소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체중조 절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 시중에 만연하고 있는 상업용 다이어트식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 상으로 체형인식과 체중조절 인식에 대한 국내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식품관련법으로 관리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 유형인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식이 보충용 과 체중조절용 조 제식품 식사 대용 형태 은 앞으로 더 과학적이고 안전한 방법 으로 관리 발전되어야 할 것이므로 실제 소비자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의미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은 체 중조절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구 입 섭취하는 성인의 일반특성 및 제품유형에 따른 체형인식 과 체중조절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조사대상및기간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세 사이의 성인 남녀 중 최근 년 내 년 월 년 월까지 다이어트 체지 방조절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구입 취식한 경험이 있는 명을 대상으로 년 월 일 부터 월 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단 체중조절용 조제식 품 구입 취식경험자는 체중조절을 목적으로 한 번 구입 시 제 품 갑 이상 구입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향후에도 다이어 트 관련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할 의향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 하여 면접조사를 진행하였다 개월에 걸쳐 총 부의 설문 지가 수집되었으며 이 중 정보가 불충분하거나 불확실한 부를 제외한 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조사내용및방법 설문지내용및분류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등 의 선행연구 내 용과 바이오푸드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설문지 의 내용을 참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 245 고하였고 전문가의 조언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사전 설문내용이 숙지된 조사원이 대면면접을 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체형인식 체중조절인식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성별 나이 학력 결혼 직업 소득 으로 구성을 하였고 특히 의 경우에는 년 에서 제시한 - 기준 으로 조사대상자가 설문지에 자가 기입한 현재의 키와 몸무게를 토대로 산출하였다 를 정상범주 < 과체중 < 비만 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나 실제로 체중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과 필요한 사람들의 제품 이용률과 제품선택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범주 < 와 과체중 비만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체형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상태 자가평가 체형자가판단 체형만족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주관적인 평가정도는 건강자가평가에서 전혀 건강하지 않다 로 부터 매우 건강하다 까지 체형자가판단에서는 매우 살쪘다 로부터 매우 야윈 체격이다 까지 체형만족도에서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로부터 매우 만족한다 까지로 점 척도의 을 주어 답하게 하였다 그러나 분석시에는 점척도를 점척도로 재변환하 여 건강자가평가는 건강하지 않은 편 전혀 건강하지 않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보통임 건강한 편 매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 으로 묶었고 체형자가판단은 살찐 편 매우 살쪘다 약간 살찐 편이다 보통임 야윈 체격임 매우 야윈 체격이다 약간 야윈 체격이다 으로 묶었고 체형만족도는 만족하지 않는 편 전혀 만족하지 않는 편이다 만족하지 않는 편이다 보통임 만족 하는 편 매우 만족한다 만족하는 편이다 로 묶어서 χ - 를 사용하였다 체중조절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살찌는 주요 원인 살쪘다고 인식하는 주된 상황 다이어트를 하게 된 주요 동기 다이어트 시 중점 요인 비만조절 다이어트 관련 주된 정보경로의 내용으로 구성 하였다 조사된제품의용어및범주본 연구에서 조사 시 제시한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 대한 용어 및 범주를 에 제시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의 여러 기능성 중에서 체지방감소 기능성으로 인정받은 제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으로 허가된 제품을 범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제품을 구입 및 취식한 경험자를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감소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을 이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이라고 한다 Table 1. Definition and categories Product type Definition Examples of approved component 1) Health functional foods Weight control foods Product approved to control weight loss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roduct specified for weight control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Hydroxy Citric Acid HCA Complex extracts of hibiscus Green Mate Extract EFLA920 APIC soybean gemmule extract Diacylglyceride Vegetable oil Oil containing Medium-Chain Fatty Acids Extract of Coleus forskohlii extracts Sesame leaf extract PF501 green tea extract Catechin Kim So Hyung Bon Diet LG Household& Health Care Ltd. Rx Change Diet Five Step Diet Premium Barum Diet Bar Yogo yogo Diet Bar Calorie Balance Daesang Wellife Diet Bar CJ Defat Diet Bar Kellogg s Special K 1 The source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ebsite http //hfoodi.kfda.go.kr, Present condition of approved functional components 2010. August. currently Examples of excluded products in the study dietary fiber, Dried/raw ground grain, low calorie beverage, diet coffee, dietary fiber beverage, Promoting healthy bowel movements/defecation supplementary food excepted laxative etc.

246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자료처리및분석자료분석은 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처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제품유형별 다이어트 건강기능 식품 섭취군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으로 나누어 분석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체형인식과 체중조절인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 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단 문항에 따라서 범 주의 기대빈도가 미만인 셀 이 이상일 때에는 - 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 으로 검정하였다 결 섭취제품유형에따른연구대상자의일반특성본 연구에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및 체중조절용 조제 식품 섭취자들의 전체적인 일반특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일반 특성을 에 나타내었다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일반특성 을 보면 성별에 있어 여자 가 남자 가 체중조 절 제품을 더 많이 섭취하고 있었고 평균 연령은 ± 세 이며 만 세와 만 세 연령대로 나누어 봤을 때 각 과 각 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대졸 이상이 로 높은 학력 수준을 보였고 기혼이 로 미혼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직업은 사무직 등 주부 서비스직 등 대학생 등 의 순이었으며 월평균소득은 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로 높게 나타났다 를 정상범주 < 과체중 < 비만 의 군으로 나누어 분포를 살펴보았다 참고로 정상체중 < 보다 낮은 저체중범위 < 인 사람들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수준인 명 으로 정상범주에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는 ± 최소값 최대값 로 정상에 근접한 과체중범위의 수치였으며 과체중과 비만에 속하는 인 사람들은 정상범주 < 인 사람들은 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등의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의 일반특성을 각각 살펴보면 직업 < 과 <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사무직 등 주부 가 주로 많이 섭취하고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서비스직 등 대학생 등 에서 많이 섭취하고 있다 그리고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하는 사람들의 가 과체중 비만인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all respondent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roduct type Product type Total n 199 Health functional foods n 110 Weight control foods n 89 Gender Male 057 28.6 1) 32 29.1 25 28.1 00.024*** Female 142 71.4 1) 78 70.9 64 71.9 Age 25 34 years 105 52.8 1) 59 53.6 46 51.7 00.075*** 35 44 years 094 47.2 1) 51 46.4 43 48.3 Educational level Senior high school 056 28.1 1) 30 27.3 26 29.2 00.092*** College 143 71.9 1) 80 72.7 63 70.8 Marital status Married 131 65.8 1) 76 69.1 55 61.8 01.163*** Unmarried 068 34.2 1) 34 30.9 34 38.2 Job Service 2) 058 29.1 1) 23 20.9 35 39.3 18.335*** Office 3) 064 32.2 1) 43 39.1 21 23.6 Housewife 063 31.7 1) 41 37.3 22 24.7 Student 4) 014 07.0 1) 03 02.7 11 12.4 Monthly income 10,000 KW 100 299 023 11.6 1) 15 13.6 08 09.1 04.142*** 300 399 074 37.2 1) 39 35.5 35 39.8 400 499 060 30.2 1) 29 26.4 31 35.2 500 600 041 20.6 1) 27 24.5 14 15.9 No answer 001 00.5 1) 00 00.0 01 00.5 BMI 5) BMI < 23 070 35.4 1) 32 29.1 38 43.2 04.247*** BMI 23 128 64.6 1) 78 70.9 50 56.8 1 N % 2 Service Self-employed, Sales, Technical Engineer 3 Office public/educational official, professional/freelancer 4 Student undergraduate & graduate 5 Body mass index kg/m 2, normal weight BMI < 23.0, overweight & obese BMI 23.0 * p < 0.05, *** p < 0.001 by χ2 -test χ 2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 247 Table 3. Self-perceived health status, body shape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and the BMI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years Marital status Job BMI 6) Total χ 2 23 Student 5) Housewife Office 4) χ 2 Service 3) Single 35 44 Female Male n 199 n 128 χ 2 < 23 n 70 n 14 n 63 n 64 n 58 n 68 χ 2 Married n 131 n 94 χ 2 25 34 n 105 n 142 n 57 Bad 003 01.5 00 00.0 1) 003 02.1 03.677 2) * 01 01.0 02 02.1 06.372* 2) 002 01.5 01 01.5 1.438 2).. 00 00.0 01 01.6 01 01.6 01 07.1 03.921 2)... 01 01.4 02 01.6 0.593 2) Self-perceived Fair 066 33.2 14 24.6 1) 052 36.6 43 41.0 23 24.5 047 35.9 19 27.9 20 34.5 20 31.3 22 34.9 04 28.6 25 35.7 40 31.3 health status Good 130 65.3 43 75.4 1) 087 61.3 61 58.1 69 73.4 082 62.6 48 70.6 38 65.5 43 67.2 40 63.5 09 64.3 44 62.9 86 67.2 Fat 146 73.4 39 68.4 1) 107 75.4 01.086*** 77 73.3 69 73.4 03.364** 101 77.1 45 66.2 02.791*** 40 69.0 48 75.0 52 82.5 06 42.9 11.801 2)... 46 65.7 99 77.3 3.675 2) Cognition of the Moderate 040 20.1 14 24.6 1) 026 18.3 24 22.9 16 17.0 023 17.6 17 25.0 13 22.4 11 17.2 10 15.9 06 42.9 17 24.3 23 18.0 body shape Satisfaction 013 06.5 04 07.0 1) 009 06.3 04 3.8 09 09.6 007 05.3 06 08.8 05 08.6 05 07.8 01 01.6 02 14.3 07 10.0 06 04.7 Dissatisfaction 129 64.8 28 49.1 1) 101 71.1 11.960*** 72 68.6 57 60.6 01.672** 086 65.6 43 63.2 03.077*** 32 55.2 41 64.1 47 74.6 09 64.3 10.220 2)... 42 60.0 86 67.2 1.036 2) Satisfaction for Medium 053 26.6 19 33.3 1) 034 23.9 24 22.9 29 30.9 037 28.2 16 23.5 20 34.5 15 23.4 15 23.8 03 21.4 21 30.0 32 25.0 the body shape Satisfaction 017 08.5 10 17.5 1) 007 04.9 09 08.6 08 08.5 008 06.1 09 13.2 06 10.3 08 12.5 01 01.6 02 14.3 07 10.0 10 07.8 BMI < 23 070 35.4 06 10.7 1) 064 45.1 32.056*** 47 44.8 23 24.7 10.627** 033 25.2 37 55.2 18.871*** 24 42.1 17 26.6 17 27.0 12 85.7 22.484*** 23 BMI < 25 055 27.8 13 23.2 1) 042 29.6 21 20.0 34 36.6 039 29.8 16 23.9 13 22.8 18 28.1) 22 34.9 02 14.3 BMI 6) BMI 25 073 36.9 37 66.1 1) 036 25.4 37 35.2 36 38.7 059 45.0 14 20.9 20 35.1 29 45.3 24 38.1 00 00.0 1 N % 2 Fisher s Exact test 3 Service Self-employed, Sales, Technical engineer 4 Office public/educational official, professional/freelancer 5 Student undergraduate & graduate 6 BMI Body mass index kg/m 2, normal weight range BMI < 23.0, overweight 23.0 BMI < 25.0, obese BMI 25.0 * p < 0.05, ** p < 0.01, *** p < 0.001 by χ2 -test 인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두 섭취군 모 두 정상범주에 속하는 < 인 사람들도 로 제품 을 섭취하고 있었다 일반특성에따른체형인식및체중조절인식건강기능식품이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먹는 사람들의 일반특성에 따른 자가진단 건강상태 및 체형에 대한 인식 체 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자가진단 건강상태 는 전체적으로 건강한 편 이라 하였고 연령별로 볼 때 본인이 건강한 편 이라고 한 비율이 만 세는 이었으나 만 세는 로 더 낮았다 < 체형에 대한 자가 판단의 경우 남녀 모두 또한 연령이나 직업군에 상관없이 살 찐 편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체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연령군 모두 만족하지 않는 편 이라는 비율 이 높아 이상 되었고 성별로 비교해보면 만족하지 않 는 편 인 비율이 남자 보다 여자 에서 더 높았다 < 를 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성별 < 연령 < 결혼 여부 < 와 직업 < 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강기능식품이나 조제식품을 먹는 사람들 중 여자는 가 이하인 사람들의 비율 이 높으나 남자는 비만인 사람들의 비율 이 높았다 또 만 세 섭취군에서는 가 < 이었으나 만 세 군은 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기혼인 사람들은 가 높은 사람들이 주로 제품을 섭취한 반면 미혼인 사람들은 가 < 임을 보였다 직업적으 로는 서비스직 등 대학생 등에서 < 많았고 사무직 등 에서는 과체중 비만인 의 비율이 높게 나왔다 일반특성에 따른 체중조절인식을 에 나타내었다 체 중조절인식의 문항 중에서 다이어트 중점요인에서는 체중감 량 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 < < 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 상대적으로 남자가 체지방 감소 에 여자가 체중 감량 에 더 중점을 두어 상대적인 차이를 보였다 에서는 과체중 비만인 에서 체중감량 과 체지방 감소 에 < 은 건강회복 과 몸매개선 으로 상대적인 중점요인이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다이어트를 하게 된 주요동기는 여자에서 원 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어려워서 가 가장 높은 반면에 남자 는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와 사회분위기와 남들의 시선을 의식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 상업용 다이어트 식품 섭취자의 체중조절에 대한 동기 또한 다른 방법으로 체중조절을 하는 사람들과 비슷함을 알 수 있

248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Priority purposes Motives of weight loss Cognitive situation of weight gain Table 4. Perception of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health functional foods and weight control foods Total n 199 Male n 57 Gender Age years) Marital status Job BMI 6) Female n 142 25 34 χ 2 n 105 35 44 n 94 Married χ 2 n 131 Single n 68 χ 2 Service 3) n 58 Office 4) n 64 Housewife n 63 student 5) n 14 < 23 χ 2 n 70 23 n 128 χ 2 Weight loss 102 51.3 25 43.9 1) 77 54.2 11.988* 2) * 47 44.8 55 58.5 06.627 2) 72 55.0 30 44.1 13.627 2) 33 56.9 33 51.6 30 47.6 06 42.9 NS 33 47.1 68 53.1 15.850** 2) Control on 022 11.1 05 08.8 17 12.0 13 12.4 09 09.6 19 14.5 03 04.4 01 01.7 09 14.1 12 19.0 00 00.0 04 05.7 18 14.1 weight gain Reduction of 044 22.1 18 31.6 26 18.3 23 21.9 21 22.3 27 20.6 17 25.0 12 20.7 13 20.3 17 27.0 02 14.3 13 18.6 31 24.2 body fat Control on body 003 01.5 02 03.5 01 00.7 02 01.9 01 01.1 01 00.8 02 02.9 01 01.7 01 01.6 00 00.0 01 07.1 02 02.9 01 00.8 fat increase Health 013 06.5) 06 10.5 07 04.9 10 09.5 03 03.2 06 04.6 07 10.3 05 08.6 02 03.1 03 04.8 03 21.4 07 10.0 06 04.7 promotion Figure 015 07.5 01 01.8 14 09.9 10 09.5 05 05.3 06 04.6 09 13.2 06 10.3 06 09.4 01 01.6 02 14.3 11 15.7 04 03.1 improvement Considering overweight Influence of public eyes Difficulty of putting on ideal clothes Weight control after childbirth Discomfort of action 051 25.6 15 26.3 36 25.4 15.939** 2) 24 22.9 27 28.7 12.306 38 29.0 13 19.1 08.312 2) 11 19.0 19 29.7 20 31.7 01 07.1 NS 15 21.4 35 27.3 05.105 2) * 2) 046 23.1 15 26.3 31 21.8 31 29.5 15 16.0 25 19.1 21 30.9 13 22.4 19 29.7 11 17.5 03 21.4 16 22.9 30 23.4 054 27.1 09 15.8 45 31.7 28 26.7 26 27.7 33 25.2 21 30.9 17 29.3 11 17.2 18 28.6 08 57.1 24 34.3 30 23.4 014 07.0 13 9.2 10 09.5 04 04.3 12 09.2 05 08.6 03 04.7 06 09.5 00 00.0 05 07.1 09 07.0 015 07.5 08 14.0 07 04.9 04 03.8 11 11.7 09 06.9 06 08.8 05 08.6 05 07.8 04 06.3 01 07.1 04 05.7 11 08.6 * Health care 018 09.1 09 15.8 09 06.3 08 07.6 10 10.6 13 09.9 05 07.4 06 10.3 07 10.9 04 06.3 01 07.1 05 07.1 13 10.2 Experts suggestion 7) 001 00.5 00 00.0 01 00.7 00 00.0 01 01.1 01 00.8 00 00.0 01 01.7 00 00.0 00 00.0 00 00.0 01 01.4 00 00.0 Excess of the ideal body weight Excess of the standard body fat percentage Excess of the desirable body weight Perception of the body fat Conversation with a friend Discomfort of action Difficulty of putting on ideal clothes 041 20.6 15 26.3 26 18.3 06.852** 2) 19 18.1 22 23.4 12.299 2) 27 20.6 14 20.6 10.191 2) 12 20.7 16 25.0 11 17.5 02 14.3 NS 15 21.4 25 19.5 09.472 2) * * 034 17.1 12 21.1 00 15.5 15 14.3 19 20.2 29 22.1 05 07.4 06 10.3 11 17.2 16 25.4 01 07.1 06 08.6 28 21.9 031 15.6 10 17.5 00 14.8 16 15.2 15 16.0 21 16.0 10 14.7 07 12.1 11 17.2 11 17.5 02 14.3 12 17.1 19 14.8 027 13.6 08 14.0 19 13.4 14 13.3 13 13.8 17 13.0 10 14.7 11 19.0 07 10.9 05 07.9 04 28.6 09 12.9 18 14.1 016 08.0 04 07.0 12 08.5 05 04.8 11 11.7 10 07.6 06 08.8 08 13.8 02 03.1 06 09.5 00 00.0 04 05.7 12 09.4 012 06.0 03 05.3 09 06.3 08 07.6 04 04.3 08 06.1 04 05.9 03 05.2 03 04.7 06 09.5 00 00.0 05 07.1 07 05.5 038 19.1 05 08.8 33 23.2 28 26.7 10 10.6 19 14.5 19 27.9 11 19.0 14 21.9 8 12.7 05 35.7 19 27.1 19 14.8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 249 Table 4. Continued Gender Age years) Marital status Job BMI 6) χ 2 23 n 128 < 23 χ 2 n 70 student 5) n 14 Housewife n 63 Office 4) n 64 Service 3) χ 2 n 58 Single n 68 Married χ 2 n 131 35 44 n 94 25 34 χ 2 n 105 Female n 142 Male n 57 Total n 199 Size of meals 8) 094 47.2 27 47.4 67 47.2 05.206 2) ** 46 43.8 48 51.1 07.760 2) 65 49.6 29 42.6 09.431 2) 34 58.6 27 42.2 28 44.4 05 35.7 NS 31 44.3 62 48.4 05.844 2) ** Eating habits 9) 043 21.6 15 26.3 28 19.7 25 23.8 18 19.1 26 19.8 17 25.0 11 19.0 17 26.6 12 19.0 03 21.4 11 15.7 32 25.0 Lifestyle 10) 015 07.5 04 07.0 11 07.7 07 06.7 08 08.5 09 06.9 06 08.8 02 03.4 05 07.8 07 11.1 01 07.1 06 08.6 09 07.0 Lack of exercise 025 12.6 07 12.3 18 12.7 13 12.4 12 12.8 16 12.2 09 13.2 07 12.1 07 10.9 08 12.7 03 21.4 12 17.1 13 10.2 Stress 008 04.0 03 05.3 05 03.5 07 06.7 01 01.1 03 02.3 05 07.4 02 03.4 05 07.8 00 00.0 01 07.1 03 04.3 05 03.9 Reasons of weight gain Heredity 005 02.5 01 01.8 04 02.8 04 03.8 01 01.1 03 02.3 02 02.9 01 01.7 02 03.1 01 01.6 01 07.1 02 02.9 03 02.3 009 04.5 00 00.0 09 06.3 03 02.9 06 06.4 09 06.9 00 00.0 01 01.7 01 01.6 07 11.1 00 00.0 05 07.1 04 03.1 Pregnancy & Childbirth 049 24.6 14 24.6 35 24.6 03.032 2) ** 26 24.8 23 24.5 07.202 2) 29 22.1 20 29.4 07.383 2) 16 27.6 10 15.6 17 27.0 06 42.9 11.561 2) 21 30.0 28 21.9 07.202 2) * * Newspaper, magazine, related publications 108 54.3 29 50.9 79 55.6 51 48.6 57 60.6 73 55.7 35 51.5 26 44.8 41 64.1 34 54.0 07 50.0 36 51.4 71 55.5 Family, friends, acquaintance TV, radio 020 10.1 09 15.8 11 07.7 12 11.4 08 08.5 15 11.5 05 07.4 09 15.5 06 09.4 05 07.9 00 00.0 05 07.1 15 11.7 Information source 005 02.5 01 01.8 04 02.8 05 04.8 00 00.0 01 00.8 04 05.9 01 01.7 03 04.7 01 01.6 00 00.0 02 02.9 03 02.3 Experts doctor, nurse, nutritionist, etc Internet 017 08.5 04 07.0 13 09.2 11 10.5 06 06.4 13 09.9 04 05.9 01 10.3 04 06.3 06 09.5 01 07.1 06 08.6 11 08.6 1 N % 2 Fisher s Exact test 3 Service Self-employed, Sales, technical engineer 4 Office public/educational official, professional/freelancer 5 Student undergraduate & graduate 6 BMI Body mass index kg/m 2, normal weight range BMI < 23.0, overweight & obese BMI 23.0 7 Doctor, nurse, nutritionist, etc 8 Size of meals overeating, binge, high calorie foods, etc. 9 Eating habits late-night meal, snack, etc. 10 Lifestyle sedentary lifestyle, computer, television. N.S. Not Significant by χ 2 -test * p < 0.05, ** p < 0.01, *** p < 0.001 by χ2 -test 다 또한 미혼 서비스직 등 대학생 등 < 에서는 원 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어려워서 와 같은 주관적인 동기가 가장 높은 반면에 기혼 만 세 사무직 등 주부 과 체중 비만인 인 사람들은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생 각해서 와 같은 객관적인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경향 을 보였다 그 외의 체중조절 인식문항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살쪘다고 인식하는 주된 상황은 실제 로 체중을 재어 표준체중을 넘었을 때 가 가장 많이 응답하였 고 특히 여자 만 세 미혼 < 에서는 옷 맵 시가 살지 않거나 원하는 옷을 입기 어려울 때 와 같은 주관적 인 상황이 가장 많은 반면 남자 만 세 사무직 등 의 사람들은 실제로 체중을 재어 표준체중을 넘었을 때 와 같이 객관적인 상황을 우선으로 들었으며 기혼 주부 과체중 비 만인 에서도 체중에 대한 체지방 비율이 평균을 넘 었을 때 와 같은 객관적인 상황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서로 다 른 경향을 보였다 섭취제품유형에따른체형인식및체중조절인식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의 자가진단 건강상태 체형에 대한 판단 체형만족도를 에 나타내었다 두 제품유형을 섭취하는 사람들 간의 유의적 인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 모두 자신을 건강한 편 으 로 또한 살찐 편 이며 체형은 만족하지 않은 편 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의 제품유형에 따른 체중조절인식은 에 나타내었다 전체 적으로 살찌는 주요 요인으로 식사량 를 들고 있으며 두 번째 요인으로 식습관 을 들었다 살쪘다고 인식하 는 주된 상황은 표준체중 이상 일 때 체지방 비율이 점상범위 이상일 때 등과 같이 객관적인 요인에 의해 서만이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체중범위를 넘었을 때 옷 맵시가 나지 않거나 원하는 옷을 입기 어려울 때 같은 주관적인 상황에서도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두 섭취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다이어트를 하게 된 주요동기는 두 섭취군 간에 유의적인 차 이는 없었으나 정상 체중 유지 산후 체중조절 건강관리 등의 보다 객관적인 동기가 이었고 남 의 시선 의식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위해 등의 보다 주 관적인 동기가 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다이어트 건강기 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상체중 유지 가 가장 주된 이 유였고 건강관리를 위해 라는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 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250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Table 5. Self-perceived health status, body shape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 Total n 199 Product type Health functional foods n 110 Weight control foods n 89 Self-perceived health status Bad 003 01.5 1) 02 01.8 01 01.1 0.496 3) Fair 066 33.2 38 34.5 28 31.5 Good 130 65.3 70 63.6 60 67.4 Cognition of the body shape Fat 146 73.4 77 70.0 69 77.5 1.921 2) Moderate 040 20.1 26 23.6 14 15.7 Satisfaction 013 06.5 07 06.4 06 06.7 Satisfaction for the body shape Dissatisfaction 129 64.8 75 68.2 54 60.7 1.923 2) 1 N % 2 χ 2 -test 3 Fisher s Exact test Medium 053 26.6 25 22.7 28 31.5 Satisfaction 017 08.5 10 09.1 07 07.9 χ 2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위해 두 군 간에 다른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다이어트 할 때 중점을 두는 요인은 두 군 모두 비슷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으로 체지방감소 나 체중증가억제 보다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체중감량 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중조절 관련 주된 정보경로는 가족 친구 주변 사람들 로부터 주로 얻으며 신문 잡지 관련 서적 이 두 번째로 많았고 인터넷 으로부터 정보를 얻는다는 비율은 비교적 낮았다 고찰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및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들의 성별의 분포를 보면 남자에 비해 여자의 비율이 훨씬 높아 였다 일반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면 체중조절의 시도는 남자보다 여자의 비율이 높은 편이고 다른 연구에서는 세 이상 성인 중 체중조절 시도 경험율은 이었으며 여자의 비율은 로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체중조절은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조사의 대상자인 만 세와 만 세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제품을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의 월평균소득은 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년 월평균 소득이 만원인 점을 감안해 볼 때 월소득이 높은 가정에서 주로 구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질량지수 를 정상범주 < 과체중 < 비만 의 군으로 나누어 분포를 살펴본 결과 과체중과 비만한 사람이 주로 섭취하기는 하나 < 인 사람들의 비율도 로 나타나 실제로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도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이나 체중조절 용 조제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 대상자의 체중조절관련 선행연구 에서 정상체중임에도 체중감량을 시도하는 비율이 높다는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여대생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실제 비만율은 에 불과하나 본인 스스로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여대생은 에 달해 실제 비만율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정상체중에 속하는 여대생의 가 자신의 체중이 창피하며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답한 보고도 있다 또한 미용목적이나 외형 가꾸기에 치우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훨씬 많은 인구가 체중조절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의 분포를 일반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성별 < 연령 < 결혼유무 < 직업 < 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남자 만 세 기혼 사무직 등 과 주부 에서 비만군인 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여자 만 세 미혼 서비스직 등 과 대학생 등 에서는 < 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나 정상범주의 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을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의 범주를 파악할 수 있었다 건강상태에 대한 자가평가는 의 연구에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은 편 으로 평가한 비율이 의 연구에서 대 성인여자가 건강인지도가 좋은 편 이라 답한 비율이 로 보고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식을 섭취하고 있는 대상자들로서 건강한 편 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로 기존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만 세에서 < 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체형만족도에서는 전체적으로 만족하지 않는 편 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성별 < 에서 여자가 만족하지 않는 편 이 로 체형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일반 대상자의 체형인식 관련 선행연구들에서도 나타나듯이 남자보다 여자에서 자기체형에 불만족도가 높다고 보고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 251 Table 6. Perception of weight control in individuals consuming weight 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Reason of weight gain Cognitive situation of weight gain Motive of weight loss Priority purposes Information source Total n 199 Product type Health functional foods n 110 Weight control foods n 89 Size of meals 4) 094 47.2 1) 51 46.4 43 48.3 06.516 3) Eating habits 5) 043 21.6 1) 28 25.5 15 16.9 Lifestyle 6) 015 07.5 1) 08 07.3 07 07.9 Lack of exercise 025 12.6 1) 10 09.1 15 16.9 Stress 008 04.0 1) 04 03.6 04 04.5 Heredity 005 02.5 1) 02 01.8 03 03.4 Pregnancy & Childbirth 009 04.5 1) 07 06.4 02 02.2 Excess of the ideal body weight 041 20.6 1) 25 22.7 16 18.0 06.873 2) Excess of the standard body fat percentage 034 17.1 1) 21 19.1 13 14.6 Excess of the desirable body weight 031 15.6 1) 14 12.7 17 19.1 Perception of the body fat 027 13.6 1) 15 13.6 12 13.5 Conversation with a friend 016 08.0 1) 11 10.0 05 05.6 Discomfort of action 012 06.0 1) 08 07.3 04 04.5 Difficulty of putting on ideal clothes 038 19.1 1) 16 14.5 22 24.7 Considering overweight 051 25.6 1) 30 27.3 21 23.6 12.235 2) Influence of public eyes 046 23.1 1) 25 22.7 21 23.6 Difficulty of putting on ideal clothes 054 27.1 1) 23 20.9 31 34.8 Weight control after childbirth 014 07.0 1) 11 10.0 03 03.4 Discomfort of action 015 07.5 1) 07 06.4 08 09.0 Health care 018 09.0 1) 14 12.7 04 04.5 Experts suggestion 7) 001 00.5 1) 00 00.0 01 1.1 Weight loss 102 51.3 1) 50 45.5 52 58.4 06.993 2) Control on weight gain 022 11.1 1) 17 15.5 05 05.6 Reduction of body fat 044 22.1 1) 26 23.6 18 20.2 Control on body fat increase 003 01.5 1) 02 01.8 01 01.1 Health promotion 013 06.5 1) 08 07.3 05 05.6 Figure improvement 015 07.5 1) 07 06.4 08 09.0 Newspaper, magazine, related publications 049 24.6 1) 25 22.7 24 27.0 05.409 2) Family, friends, acquaintance 108 54.3 1) 61 55.5 47 52.8 TV, radio 020 10.1 1) 09 08.2 11 12.4 Experts doctor, nurse, nutritionist, etc 005 02.5 1) 05 04.5 00 00.0 Internet 017 08.5 1) 10 09.1 07 07.9 1 N % 2 χ 2 -test 3 Fisher s Exact test 4 Size of meals overeating, binge-eating, high-calorie die 5 Eating habits late-night meal, promiscuous meal, etc. 6 Lifestyle sedentary posture hatbit, playing a computer or watching TV in a long time 7 Doctor, nurse, nutritionist, etc χ 2 하고 있는 것과 일치 한다 또한 체형불만족도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시도가 많다고 보고 된 바도 있다 등 의 연구에도 우리나라 성인에서 객관적인 비만도와 일반인의 자가평가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연구에서 서울지역 거주 체중감량시도자를 대상으로 현재 체중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 연령대에서 이상에서 살찐 편 이라고 인식하여 본 연구 대상자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체형자가판단은 다이어트 실행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객관적인 체형평가보다 주관적으로 인식한 체형평가가 다이어트 실행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 있다 연구에서도 대 대학생의 경우 남학생 전체의 가 자신의 체중에 대해 만족하는 편이었고 여학생은 가 불만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비만도와 상관없이 자신의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일반특성에 따른 체중조절인식의 문항 중에서 다이어트 중점요인에서는 체중감량 이 전체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에서 상대적으로 남자가 체지방 감소 에 여자가 체중 감량 에 더 중점을 두었고 결혼유무에서는 미혼이 체지방 감소

252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건강회복 몸매개선 에 기혼은 체중감량 체중증가 억제 에 더 중점을 두어 상대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로 나눠 볼 때 과체중 비만인 인 사람들에서는 체중감량 과 체지방 감소 에 정상범주인 사람들에서는 건강회복 과 몸매개선 으로 상대적인 중점요인이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것과 같이 제품의 섭취 목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어트를 하게 된 주요동기는 여자에서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어려워서 가 가장 높은 반면에 남자는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와 사회분위기와 남들의 시선을 의식해서 가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 이는 및 등 의 연구에서도 남자와 여자의 체중조절의 동기가 여자가 외모 중심적이고 남자가 건강 중심적이라고 보고한 것과 일치한다 의 연구에서도 여자들이 미디어를 통해 다이어트 정보를 이용하는 동기가 좀 더 나은 몸매를 만들기 위해서 자기만족을 위해서 옷을 구입할 때 치수가 잘 안 맞거나 입던 옷이 작아져서 와 같은 외모지향적인 이유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살쪘다고 인식하는 주된 상황은 실제로 체중을 재어 표준체중을 넘었을 때 가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나 여자 만 세 미혼 정상범주 에서는 옷 맵시가 살지 않거나 원하는 옷을 입기 어려울 때 와 같은 주관적인 상황이 가장 많은 반면에 남자 만 세 사무직 에서는 실제로 체중을 재어 표준체중을 넘었을 때 와 기혼 주부 과체중 비만인 에서는 체중에 대한 체지방 비율이 평균을 넘었을 때 와 같은 객관적인 상황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살찌는 주요원인을 식사량 식습관 운동부족 등의 순으로 인식하였고 체중조절관련 주된 정보수집 경로는 가족 친구 주변사람들 이 가장 많아 구입을 위한 정보를 직접 섭취해 보거나 제품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의 연구에서 건강기능식품 구매시 관련 정보에서는 가족이나 주변사람의 권유 가 로 가장 많았고 의 연구의 다이어트 식품에서도 아는 사람을 통한 친지 가족의 소개가 높이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조절 이라는 동일한 목적으로 섭취되지만 다른 특징을 가지는 두 제품유형 식사 외에 보충하는 건강기능식품 식사대용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에 따른 일반특성을 살펴 본 결과 제품유형에 따른 일반특성에서 직업 < 과 <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 특성과 연관하여 체중조절인식을 살펴보면 제품유형에 따른 섭취자의 분포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사무직 등 주부 과체중 비만인 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고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서는 서비스직 등 대학생 등 그리고 < 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높아 두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의 차이를 보였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의 제품유형에 따른 체형인식은 전체적으로 자신을 건강한 편 살찐 편 체형은 만족하지 않은 편 이 가장 많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가 체형을 보통 임 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체형만족도는 만족하지 않는 편 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에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섭취군에서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가 체형을 살찐 편 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았고 체형만족도는 보통 임 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나 두 제품유형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여 앞서 언급한 일반특성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자의 제품유형에 따른 체중조절인식은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제품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즉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인식을 보면 원하는 옷을 입기 어려워서 다이어트하고 체중 감량 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고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상체중이 아니라 생각 하거나 체지방 비율이 평균을 넘었을 때 건강관리를 위해 등과 같이 객관적인 이유로 체중조절을 하며 상대적으로 체지방 감소 체중 증가 억제 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상업용 다이어트식품 시장 중 법적인 관리 하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시장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상업용 다이어트제품에 대한 구매력과 소비의지가 있는 연령층인 만 세와 서울 및 경기일대 수도권에 거주하는 실제 구매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로써 분석된 연구 결과는 섭취하는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이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과학적이고 올바른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약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체형 및 체중조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여자 평균 연령 ± 세 대졸 기혼 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한국영양학회지 (Korean J Nutr) 2011 44(3) 243 ~ 254 / 253 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체 중 및 비만 이 정상범주 < 인 사람들이 를 차지하여 비만하지 않은 사람들도 상업용 제품을 비교적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체형인식은 가 살찐 편 으로 체형만족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인 사람들은 남자 또 는 만 세 또는 기혼 또는 사무직 등 또는 주부 라는 특성을 갖으며 < 인 사람들은 여자 또는 만 세 또는 미혼 또는 직업은 서비스직 등 와 대학생 등 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체중조절인식 조사결과 다이어트시 중점 사항은 체중감 량 이 가장 우선이며 이를 일반특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남 자는 체지방 감소 에 여자는 체중감량 에 미혼은 체지방 감 소 건강회복 몸매개선 에 기혼은 체중감량 체중증가 억제 에 또한 인 사람들은 체중감량 과 체지방 감소 에 < 인 사람들은 건강회복 과 몸매개선 에 더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이어트 동기로는 정상체중 유 지 산후 체중조절 건강관리 등의 객관적 인 동기는 보다 주관적인 동기인 남의 시선 의식 원 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위해 등은 로 나타났다 두 제품유형을 섭취하는 사람들 간의 체형인식의 유의 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는 정 상체중 유지 와 건강관리를 위해 라는 동기 가 우선이었고 체지방감소 체중증가 억제 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 취군에서는 원하는 디자인의 옷을 입기 위해 라는 동 기가 가장 높았고 체중 감량 에 중점을 두어 다이어트를 하 는 경향을 보였다 Literature cited 1) Kim CJ, Kim DJ, Chae S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processes of change for weight control scale i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8 14(2) 262-272 2)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1997.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in obesity. Geneva WHO 1997 3) Oh JY. A study on the practice about diet,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ctation degree of commercial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 thesis], Seoul: Dongduk Women s University 2002 4) Kim WY, Cho MS, Jang YA, Won HS, Lee HS, Yang EJ. Clinical nutrition. Seoul Shinkwang publishing 2010. p.172 5) Kang JN. Survey on the diet habit and intake of diet foods by urban women in Thirties and forties [MA thesis]. Seoul Chung- Ang University 2003 6) Park KS. A study on the dieting style and satisfaction of obese women [MA thesis], Seongnam: Kyungwon University 2008 7) Yim KS. A guide for selecting substitutional foods for obesity treat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8(3) 424-432 8)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ealth functional food acts 2010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ealth functional food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 //hfoodi.kfda.go.kr/material/mat 2_list.jsp?cateIdx=22 1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ealth industry white paper. Seoul 2009. p.309 11) Food News. Total functional food sales in 2009. 2010 May 28 [cited 2010 Sep 13]. Available from: http://www.foodnews.co.kr 1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s (2010-58) 2010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production output of food and food additives (2006, 2007, 2008)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2006, 2007, 2008) 15) Yuh YJ. A monthly advertising review, May 2002 16) Food News. 17% growth for the functional food market. 2010 Jun 29 [cited 2010 Sep 13]. Available from http //www.foodnews. co.kr 17) Jeun YS, Lee JR, Park C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ight controlling health behavioral model in women.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6 23(4) 125-153 18) Jeun YS, Jeun MS. The study on weigh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men. J Korean Soc Cosmetol 2007 13(3) 1293-1304 19) Park SJ, Yoo YS. A study of dietary behavior regarding weight control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8 8(2) 147-154 20) Lee JH, Kim MS, O JH.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of body image, body 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f beauty art major and non-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7 17(4) 463-473 21) Kim MO, Sawano K.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obesity recognition and life sty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5) 699-708 22) Lee BG, Lee KR, Park MH. Short-term weight management using meal replacements (meal replacements trial in Korean obese women). J Korean Soc Study Obes 2002 11(2) 131-141 23) Kim YO.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association with dietary int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2; 31 (6) 1018-1025 24) Chin JH, Chang KJ.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10) 1559-1565 25) Nam HJ, Kim YS. Weight control history according to risk of eating disorder. Korean J Food Nutr 2006 19(2) 111-125 26) Blanck HM, Serdula MK, Gillespie C, Galuska DA, Sharpe PA, Conway JM, Khan LK, Ainsworth BE. Use of nonprescription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s common among americans. J Am Diet Assoc 2007 107(3) 441-447 27) Blanck HM, Khan LK, Serdula MK. Use of nonprescription weight loss products results from a multistate survey. JAMA 2001 286(8) 930-935 28) Pillitteri JL, Shiffman S, Rohay JM, Harkins AM, Burton SL, Wadden TA. Use of dietary supplements for weight los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besity (Silver Spring) 2008 16(4) 790-796 29) BioFood Network. Consumer survey on health functional foods. Seoul Dusol Cop. 2009. p.3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 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2000

254 / 체중조절식품섭취자의체형및체중조절인식 3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2010-7) 2010 32) Kruger J, Galuska DA, Serdula MK, Jones DA. Attempting to lose weight specific practices among U.S. Adults. Am J Prev Med 2004 26(5) 402-406 3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34) Lee SJ. A study 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r public health planning in Pohang city. J Korea Sport Res 2006 17(4) 903-918 35) Lee EJ, Kim MH, Kim WY, Cho MS. A survey on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in reproductive women by BMI. Korean J Food Cult 2003 18(2) 172-180 36) Seo YJ. A survey on body-type recognition and w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BMI of university student. J Korean Soc Study Phys Educ 2007 12(1) 165-180 37) Kim MO, Eun JG, Chang UJ. Recognition of body weight and body part satisfa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09 22(2) 205-214 38) Shin JY, Kim M. Weight-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men. Korean J Growth Dev 1998 6(1) 179-193 39) Kim SK, Jung IH, Kim KH, Byun HS, Lee HJ, Kim KU. Body image perception, eating behaviors and weight control attitude according to obesity level in adult women. Korean J Phys Educ 2005 44(3) 215-223 40) Ryu HK, Yoon JS, Park DY.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9 4(4) 561-567 41) Chi BS. A comparative survey on misconception and desire for physique of college students in Taegu.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999 3(2) 267-274 42) Doo MA, Kim Y.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Korean J Nutr 2007 40(7) 658-666 43) Jung YK, Tae YS. Factors affecting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4 16(4) 545-555 44) Hwang JK, Kim HK, Kong HS, Yoon HJ, Hwang YH, Lee KY, Jung YS, Lee SK, Park HY, Kim KW, Choi WC, Kang MH. The self-assessment of obesity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Study Obes 2002 11(4) 349-355 45) Doo M, Kim Y. Study on the status in body weight loss practi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subjects with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lose weight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 (5) 571-577 46) Kim M, Kim H. A study on diet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dieting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1) 135-148 47) Kim MO, Chang UJ.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Korean J Food Nutr 2009 22(1) 110-122 48) Levy AS, Heaton AW. Weight control practices of U.S. adults trying to lose weight. Ann Intern Med 1993 119(7 Pt 2) 661-666 49) Park JW, Park HM, Ha NS.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4 13(1) 5-13 50) Go HJ. A study on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weight control [MA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51) Chang MK, Kim Y.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mong the working women in Korea. Korean J Nutr 2008 41(8) 832-838 52) Lee HS. Prepurchase Information seeking and postpurchase satisfaction levels for the diet products. J Korean Living Sci Assoc 1997 6(2) 95-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