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Word - 2016050910392308K_01_07.docx



Similar documents
201501_경제전망보고서_f.hwp

오세경-제15-29호.hwp

Microsoft Word K_01_02.docx

Microsoft Word - Macro doc

untitled

Microsoft Word K_01_01.docx

Microsoft Word K_01_01.docx

¨è ¿¬Â÷º¸°í¼Ł³»Áö-1 PDF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Microsoft Word K_01_02.docx

에너지경제연구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ume 14, Number 2, September 2015 : pp. 99~126 산유국의재생에너지정책결정요인분석 1) 99

Microsoft PowerPoint - F_ 경제전망_편.pptx [읽기 전용]

Microsoft Word - Week Ahead_Economy.docx

<4D F736F F D20C0AFB0A120BBF3BDC2BFE4C0CE20C1A1B0CB20B9D720BDC3BBE7C1A12E646F63>

<4D F736F F D B8C5C5A9B7CE20BFACB0A3C0FCB8C15FC7D5BABB>

Microsoft Word strategy weekly

歯m1902.PDF

<C1B6BBE7BFF9BAB85F31322E687770>

212년 하반기 금리전망 및 채권투자전략 그림 1 주요국 국채1년 금리 추이 (%) Spain Italy Korea Malaysia China Australia US UK Germany Japan 자료:

(Microsoft Word _\273\352\276\367\300\347)


보장 + 투자 + 저축 + 연금기능이 플러스! 플러스! 무배당 ACE 플러스 변액유니버설보험 상품 특징 01. 높은 수익성 추구 02. 만약의 불행을 위한 사망보장 03. 변액유니버설보험의 빈틈을 채운 스마트한 연금기능 04. 안정성을 추구하는 유연한 투자 05. 유연

歯V1805-Final.PDF



Microsoft Word - MacroVision_121105_.doc

수신

펀드 Mission 정량적 & 정성적 펀드분석을 바탕으로 저평가된 자산을 찾고 장기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시장을 outperform할 수 있는 좋은 펀드 를 발굴 및 제공하여 고객자산 증대에 기여함을 최고의 가치로 한다 펀드 Expert Head of 펀드 Head of

Microsoft Word be5c80390f90.docx

KTRS 의유럽적용방안컨설팅 연구보고서

Microsoft Word - 월간전체합본(201404)

untitled

Ⅰ. 금융위기 벗어나나 28년 1월과 29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중대한 위기 국면을 맞았던 글로벌 금융 시장이 3월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중앙 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리고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면서 금융회사들 의

Issue Br ief ing Vol E01 ( ) 해외경제연구소산업투자조사실 하반기경제및산업전망 I II IT : (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세계 에너지 현안 브리핑(제11-1호)

Microsoft Word - _이민정_FundFlowWeekly_글로벌자금순유입전환_0900be5c802783cb.docx

지역별 주식형 자금 유출입 (단위: 백만달러, 주중 증감) All Fund Totals 2, ,99 4,95 Emerging Market Fund Totals -2,682-3,

Microsoft Word - 09년 2월 경제동향.doc

, Fixed Income Analyst, , (pt, 212 초 =1) 17 US HY BofA merrill lynch bond index Europe HY Asian dollar HY Asia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歯동아시아.PDF

<B1B9C1A6C7D0B3EDC1FD5F37C1FD2E687770>

Microsoft Word doc

정책보고12-08

<4D F736F F F696E74202D20342E C7CFB9DDB1E220B1DBB7CEB9FA20C0DABBEAB9E8BAD0C0FCB7AB5FC6ED2E >

Microsoft Word be5c80390b52.docx

<30392D323020B1C7B1E2BCF628C7D1B1B9B1E2BEF7C0C720B4EBC1DFB3B2B9CC292E687770>


< 목 차 > <요 약> i I. 거시경제 전망 1 1. 국내 경기상황 판단 1 2. 대외여건 전망 년 국내경제 전망 10 II. 주요 산업 전망 년 동향 년 전망 24

Microsoft Word _MiraeAsset TODAY.doc

untitled

00 표지.indd

<4D F736F F F696E74202D F6B7462B1E8BCB1B9CC5F B0C7BCB3BEF7BFACB0A3C0FCB8C15FC6EDC1FDC1DF>

공급 에는 3권역 내에 준공된 프라임 오피스가 없었다. 4분기에는 3개동의 프라임 오피스가 신규로 준공 될 예정이다.(사옥1개동, 임대용 오피스 2개동) 수요와 공실률 2014년 10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2014년 경제성장률 예측치는 3.5%로 지

하나 금융정보 I. 금통위 결과 및 시장동향 금통위, 금리인하 관련 소수의견이 1인에 그친 가운데 9게월 연속 기준금리 동결기조가 지속 금통위는 경제지표 부진에도 불구, 국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잔존하는 점을 고려 해 9개월 연속 금리를 동결했으며 2월에 이어 금리인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환경 변화와 한국 경제 세계경제의 장기정체 위험 국내 장기 저성장 위험 지속 고부채 下 잠재위기 지속 국내 경제 및 금융시장의 상대적 안정성 시험 교역흐름의 위축과 재편 국내 수출 위축과 경쟁위협 심화 자금흐름의 변동성 심화 국내 자본유출입 변동

Ⅰ. 홈쇼핑 시장개황

<C0CEBCE2BABB5F D315FB9CCB1B920BEE7C0FBBFCFC8AD20C3E0BCD220BFB5C7E22D312E687770>

Contents Ⅰ. 운용보고 Ⅱ. 상세정보 1. 펀드 개요 2. 운용경과 및 수익률 현황 3. 자산현황 4. 투자운용전문인력 현황 5. 비용현황 공 지 사 항 1. 고객님이 가입하신 펀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현행 법률)의 적용을 받습니다. 2. 주요

Microsoft Word - HMC_economy_note_ _하반기

±×¸°¸®Æ÷Æ® ³»Áö5Â÷

Vol.266 C O N T E N T S M O N T H L Y P U B L I C F I N A N C E F O R U M

(Microsoft Word - WTI Brent \300\314\275\264_Feb 15.doc)

Microsoft Word Hanwha Daily_New.doc

신흥국 소비확대로 글로벌 무역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완화된다. 글로벌 경기 회복되는 가운데 아시아 신흥국 견조한 성장 예상 글로벌 경제는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서는 경제성장률이 하락한 저성장 과정이 예상되지만 년을 저점을 통과해 올해부터는 회복세가 점차 안정화될 전망이다.

......(N)

이머징마켓 동향 글로벌 이머징마켓 시장 동향 인도 시장: 센섹스지수는 장중 강세를 이어갔으나 마감 직전에 급락세로 전환해 6거래일 연속 약세를 보였 다. 주간단위로는 2주째 하락했고 하락폭도 크게 확대됐다. 정부가 재정적자 통제 목표를 달성하지 못

Dc_F&OWeek

0904fc528011db35

< FB1B9C1B65FC1DFB3B2B9CC5FB1B9B0A1BFA15FB4EBC7D15F494D465FB1DDC0B6C1F6BFF85FC7F6C8B25FB9D75FC0FCB8C128C3D6C1BE295BBCF6C1A45D2E687770>

Microsoft Word - 펀드투자Insight_200910_수정.doc

<283129C7CFBCBAB1D92E687770>

pdf



<3034BFF8C0AFB9D7BFF8C0DAC0E7B0A1B0DDBBF3BDC2BFA1B4EBC7D1C1D6BFE4B1B9B5BFC7E22E687770>

< FC1D6B7C2BBEABEF75F28BCF6C1A4292E687770>

untitled

<30332DB1E2C8B9C6AFC1FD28B7F9C0E7C8AB D E687770>

선진국 스포츠 시장의 진화 : 사양 산업이 되어가는 골프 선진국은 카테고리 확장, 신 흥국은 소득 수준 향상에 따 른 스포츠산업 성장 기대 1인당 국민소득 5만달러가 넘는 미국은 실제로 골프인구가 지속 감소 중이다. 28 년 금융위기 이후 고가의 장비를 갖추어야 하는

사우디 리야드의 대중교통 발전 현황 그림2 신규도로 지역별 비율(2003~2008) 북부 접경지대 4% 하일 11% 타부크 아시르 기타 19% 리야드 25% 동부 지역 카심 9% 메디나 8% 메카 자료 : 5개년 국가개발계획 (National Development Pl

공급 에는 권역에 두개의 프라임 오피스가 준공 되었다. 청진구역 2,3지구에는 광화문 D타워가 준공되어 대림에서 약 50%를 사용하며 나머지 50%는 임대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메트로타워는 GS건설의 사옥에서 매각 이후 2013년 4분기에 리모델링을 시작하여, 에 완공

에너지통계연보(2003)

13물가보고서01-도비라및목차1~7

Microsoft Word - 생명보험_ doc_XvN5FGdtYRHLjBfH3PG3

권두논단(2월).hwp

4ºÐ±âÃÖÁ¾

The SK View 조정국면 완료. KOSPI 3 개월 2,3Pt 전망 경기 : 하반기 미국 경제성장률 3.5~4., 하반기 국내 경제성장률 4.8~5.% 예상 기업이익 : 2 분기 저점으로 하반기 기업이익 증가 지속 밸류에이션 : 12 개월 P/E 기준 현재 9 배

(Microsoft Word \277\371\260\243 AI\275\303\300\345 \272\320\274\256\( \))

LG Business Insight 1361

화판

One Stop Service,

노동시장구조(14_05_13)_최종.hwp_Oj56tZD7S0zQC9sEROzd

2013 Energy Info. Korea

Microsoft Word - 21KR_Proceeding_2009_

(2007)KICI 12-2.hwp


2011 복지국가정책 아카데미


Transcription:

국제유가 Update 올해 말 45달러 전망치 유지 최근 국제유가 상승의 원인 심혜진 Analyst hyejin.shim@samsung.com 2 7782 허진욱 Economist james_huh@samsung.com 2 7796 WTI기준 국제유가는 올해 2월 배럴당 26.2달러를 저점으로 5월 17일 48.3달러까지 8% 이상 상승했다. 지난 4월 17일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생산량 동결회의 합의 결렬에 도 불구하고 유가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배럴당 48달러를 넘어서며 7개월래 최고치 를 경신한 상황이다. 최근의 유가 상승은 미국 원유 생산량/리그 수/재고량 감소, 캐 나다 산불 및 나이지리아 무장공격에 따른 공급차질 가능성, 중국 원유 수입물량 증 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국제유가 전망치 상 향조정 및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세계 석유수요 증가 전망, OPEC의 Non OPEC 공급 전망 하향조정도 최근 유가 상승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연말 45달러 전망치 유지 당사는 최근의 랠리에도 불구하고 올해 말 국제유가 전망치를 WTI 기준 배럴당 45달 러로 유지한다. 최근의 유가 상승은 캐나다 산불과 나이지리아 무력시위 등 일시적인 공급차질 및 투기적 수요의 증가에서 기인된 바 크다. 그러나 이란의 생산량 증가 속 도가 시장 예상대비 가파른 모습을 보이고 있고,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개각과 석유 정책 수장 교체 등으로 OPEC의 카르텔로서의 기능이 와해될 가능성과 사우디아라비 아의 시장 점유율 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의 생산량은 연중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의 공급과잉 물량은 미국 중심의 Non OPEC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축소될 전망이나, 여전히 역사적 고점 수준의 재고물량은 부담이다. 최근 유가 상승을 견인한 요인 중 하나인 달러화 약세는 재차 강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노동시장 은 확장기조를 지속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역시 점진적인 속도로 정상화 되고 있다. 국제유가가 당사의 예상대로 하반기 중 45달러 내외 수준을 유지할 경우, 인플레이션 정상화, 특히 headline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보다 가시화 됨에 따라 미국 금리인상과 달러화 강세가 재개될 것이다. OPEC 정기총회 Preview 제169회 OPEC 정기총회가 오는 6월 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릴 예정이다. 최근 유 가 상승과 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점유율 방어 정책의 지속으로 이번 정기총회에서 생 산량의 동결 내지 감산과 같은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5월 7일 단행된 개각과 장관 교체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정책에 대 한 왕실의 영향력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OPEC이 그간 수행해왔던 국 제석유시장의 수급조절 역할과 회원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카르텔로서의 기능은 상당 폭 희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Swing producer의 부재와 시장 점유율 경쟁의 심화는 유 가의 변동성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국제유가 상승 WTI 기준 국제유가는 올해 2월 배럴당 26.2달러를 저점으로 5월 17일 48.3달러까지 8% 이상 상승했다. 지난 4월 17일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생산량 동결회의 합의 결렬에도 불구하고 유 가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배럴당 48달러를 넘어서며 7개월래 최고치를 경신한 상황이다. 최근의 유가 상승은 미국 원유 생산량, 리그 수, 재고량 감소, 캐나다 산불 및 나이지리아 치안 악화에 따른 공급차질 가능성, 달러화 약세, 중국 원유 수입물량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국제유가 전망치 상향조정 및 국제에너지기구의 세계 석유 수요 증가 전망, OPEC의 Non OPEC 공급 전망 하향조정도 최근 유가 상승에 힘을 싣는 모습이 다. 국제유가와 유가 변동성 (%) (달러/배럴) 9 8 7 6 유가 변동성 (좌측) 5 4 3 1 국제유가 (WTI, 우측) 14년 6월 14년 9월 14년 12월 15년 3월 15년 6월 15년 9월 15년 12월 16년 3월 1 1 8 6 4 자료: Bloomberg, CBOE 국제유가와 WTI선물 비상업 순매수포지션 (달러/배럴) 1 1 8 6 4 국제유가 (좌측) 순매수 포지션 (우측) (천 계약) 5 45 4 35 3 25 14년 6월 14년 9월 14년 12월 15년 3월 15년 6월 15년 9월 15년 12월 16년 3월 15 자료: Bloomberg, CFTC 삼성증권 2

최근 유가 상승의 원인 미국 원유 생산량은 9주 연속 감소하며 14년 이후 처음으로 하루 9만 배럴을 하회하고 있 다. 미국 원유 리그 수 역시 8주 연속 감소하며 1년 이래 최저치를 경신하였다. 미국 E&P기 업의 파산속도 또한 가파른 모습이다. 미국 주요 원유 생산지역인 Texas에 위치한 로펌 Haynes and Boone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파산을 신청한 미국 E&P기업은 11개로 15년 이래 월간 파산 신청 건수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5월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는데 통상 4~5월이 E&P기업의 보유 매장량 재평가에 따른 여신한도 설정 시즌이기 때문이다. 미국 원유 생산량과 리그 수 (천 배럴/일) (개) 1, 원유 리그 수 (우측) 9, 8, 7, 6, 원유 생산량 (좌측) 5, 1 11 12 13 14 15 16 1,8 1,6 1,4 1, 1, 8 6 4 미국 E&P기업 누적 파산신청 건수 (개) 62 65 6 55 51 5 44 45 4 36 39 35 28 3 3 24 25 21 14 15 8 1 1 4 5 5 1 1 15년 1월 15년 4월 15년 7월 15년 1월 16년 1월 16년 4월 자료: Bloomberg, Baker Hughes 참고: 15~16년 4월 3일 기준, 자료: Haynes and Boone 5월 11일 발표된 미국 원유재고량이 6주 만에 감소 전환한 점도 유가 상승을 이끌었다. 5월 6일 기준 미국 원유재고량은 전주대비 341만 배럴 감소한 5.4억 배럴을 기록했다. 휘발유와 중간유 분 재고도 각 123만 배럴, 165만 배럴 감소했다. 미국 원유 재고량은 5월 드라이빙 시즌부터 감 소하는 계절성을 가지고 있는 데다가 최근 캐나다 산불 영향으로 수입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 상되고 미국 내 생산량도 줄어들고 있어 추후 가파른 속도의 감소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을 것 으로 판단한다. 최근 미국 정유시설 가동률도 전년동기대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5 월 이후 가동률 상승시 재고의 감소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것이다. 미국 원유 재고량 (백만 배럴) 6 55 5 45 4 35 3 25 11 12 13 14 15 16 참고: 음영은 11~15년 주별 원유재고량의 고점과 저점 사이 영역을 표시한 것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삼성증권 3

지난 5월 2일 캐나다 주요 샌드오일 생산지역인 Alberta주 Fort McMurray시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이 2주째 지속됨에 따라 하루 백만 배럴 이 상의 원유 공급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 점 도 최근 유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였다. Suncor Energy, Syncrude, Shell, ConocoPhillips 등 주요 석유기업의 생산공장은 산불 발생지역의 북쪽에 위치해 있어 산불의 직접적인 영향권 하에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인력을 철수시킴에 따라 생산 중단이 발생한 것 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 바람의 방향이 동남쪽으로 바뀌었고 생산시설의 중단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생산재 개시 1주일 남짓의 시간만이 소요될 것으로 예 상됨에 따라 산불이 유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 폭 제한될 것으로 판단된다. 선물시장도 캐나다 산불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산불에 따른 공급차질 소 식이 알려진 지난 7일, 캐나다 대표 유종인 Western Canada Select의 6월물과 7월물 가격은 산불 발생 이전인 5월 1일 당시보다 상승하였으나, 8월물부터는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이다. 즉 선물시 장은 캐나다 산불에 따른 공급차질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올해 8월 이후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캐나다 서부 지역에 내수의 1배 이상에 달하는 2,65만 배럴 상당 의 원유 재고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산불로 인한 공급차질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는 상기한 미국 원유 생산량 감소추세와 더불어 캐나다로부터의 미국 원유수 입물량 축소를 야기함으로써 미국 원유 재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TI대비 Western Canada Select* 선물가격 할인 폭 (달러/배럴)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년 6월 16년 8월 16년 1월 16년 12월 17년 2월 16.5.7 16.5.1 참고: * 캐나다산 오일샌드 유종 자료: Bloomberg 삼성증권 4

미국, 캐나다 중심의 Non OPEC 산유량 감소에 더해 OPEC 산유국 중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등 의 생산량 감소가 나타나며 유가의 상승을 부추겼다. OPEC 회원국이며 동시에 아프리카 최대 산 유국 중 하나인 나이지리아의 경우 하루 6만 배럴에서 최대 1백만 배럴 상당의 석유공급이 차 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생산지역인 Niger-Delta에서 작업 중인 Royal Dutch Shell, Chevron, Exxon Mobil 등 에너지 회사의 생산시설이 올해 2월 이후 무장단체의 공격에 노출됨에 따라 생산인력의 이탈과 업체들의 생산 및 수출 불가항력 선언이 잇따른 탓이다. 나이지리아 무장단체들은 메이저 기업의 석유생산에 따른 이익 배분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공격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이러한 상황이 일시적인 공급 차질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나이지리아 무장단체 공격에 따른 석유 생산 차질은 상기한 캐나다 산불의 영향보다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나이지리아 생산량은 년래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OPEC 회원국 생산량 비중 카타르 에콰도르 인도네시아 리비아 알제리 4 나이지리아 5 앙골라 6 사우디 31 베네수엘라 7 (%) U.A.E. 8 쿠웨이트 9 이란 1 이라크 13 참고: 16년 3월 기준 자료: International Energy Agency OPEC 국가별 가용능력 대비 3월 생산량 (%) 1 98 96 94 92 9 88 86 84 82 8 1 1 1 99 99 98 96 96 93 92 89 85 83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카타르 앙골라 알제리 에콰도르 이라크 베네수엘라 U.A.E. 이란 나이지리아 리비아 사우디 자료: International Energy Agency 삼성증권 5

5월 8일 발표된 중국의 4월 원유 수입량이 전년 동월대비 7.6% 증가한 3,258만톤을 기록하며 3 개월 연속 3,만톤을 넘어선 점도 유가 상승의 원인이었다. 4월 원유 수입량은 일별로 환산할 경우 796만 배럴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월의 84만 배럴에 근접한 수준이다. 중국 원유 수입 량이 늘어난 데에는 소위 teapot 이라 불리는 소규모 독립 정유사들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분석 된다. 그간 중국의 석유제품 수출은 Sinopec, Petrochina와 같은 국영석유회사들에게만 허용되었 으나, 국내 과잉공급 해소를 위해 작년 말 이후 소규모 정유사들에게도 석유제품 수출 쿼터가 부여되었으며 이들은 현재 제품 수출을 위해 원유 수입을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저유가 지속으 로 인해 생산비용이 높은 유정의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중국의 원유 생산량이 감소추세에 있고, 년까지 5.5억 배럴 규모의 전략비축유 확충이 예정되어 있어 중국 원유 수입량의 증가세는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원유 수입량 (백만 톤) 35 3 25 15 1 5 4 6 8 1 12 14 16 자료: China Customs General Administration 중국 원유 생산량과 소비량 (백만배럴/일) 14 예측치 12 1 소비 8 6 생산 4 2 3 5 7 9 11 13 15 17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삼성증권 6

최근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이어간 점도 유가 상승의 원인이었다. 달러화는 통상 원자재 가격과 역의 상관관계를 형성한다. 1년 이후 달러화 지수와 WTI 가격의 상관계수는 -.89에 이른 다. 유로화와 엔화, 영국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화,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과 미국 달러화 간의 환율을 가중평균하여 만든 달러화 지수는 올해 1월 말 이후 가파른 속도의 하락세를 나타 냈는데 이는 엔화 강세의 영향이 주효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엔화는 지난 1월 말 마이너스 금리 도입 이후 급격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과 BOJ 정책 여력에 대한 한계 인식으로 가파른 속도의 강 세를 시현했다. 당사는 그러나 오는 5월 26~27일 예정되어 있는 G7 정상회의에서 엔화 약세 전환을 위한 모종 의 합의가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더불어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정상화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Fed의 dual mandate인 고용과 Core PCE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가까워 질 경우 미국 금리인상 우려가 재차 불거지면서 달러화가 강세 전환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최 근 유가 상승에 기여했던 달러화 약세의 영향은 상당부분 마무리 된 것으로 판단한다. 달러화 지수와 국제유가(WTI) 엔달러 환율 (달러/배럴) (지수) (엔) 1 국제유가 (좌측) 7 126 1 75 8 123 1 8 85 117 6 달러화 지수 (우측, 축 반전) 4 1 11 12 13 14 15 16 9 95 1 15 114 111 18 15 15년 1월 15년 4월 15년 7월 15년 1월 16년 1월 16년 4월 자료: Bloomberg 국제유가 추이 (달러/배럴) 11 1 9 8 7 6 5 4 16년 3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14년 15년 자료: Bloomberg 미국 PCE Inflation 추이 (전년대비, %) 3. 2.5 2. 1.5 1..5 Fed 목표치. 1 11 12 13 14 15 16 Core PCE PCE 자료: Bloomberg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ureau of Labor Statistics 삼성증권 7

미국 에너지정보청(EIA)과 국제에너지기구(IEA) 그리고 OPEC의 국제유가 전망치 상향조정 및 공급량 감소 전망 역시 유가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EIA는 5월 1일 발간된 월간 보고서에 서 국제유가 전망치를 지난 4월 대비 상향조정 하였다. 브렌트유의 경우 16년과 17년 각각 배럴당 4.52달러와 5.65달러를, WTI의 경우 4.32달러와 5.65달러를 전망하였는데 이는 올해 와 내년 전망치를 각 5달러, 1달러 이상씩 큰 폭으로 상향조정한 것이다. EIA는 15년 대비 16년 수요 증가량을 하루 143만 배럴로 기존 전망치 대비 27만 배럴 상향조정 하였으며, 그 중심에 중국과 인도의 수요 증가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EIA는 이러한 수요 증가 영향으로 작 년 하루 196만 배럴에 달했던 공급과잉 물량이 16년 99만 배럴, 17년 21만 배럴까지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IEA는 5월 12일 발간된 월간 보고서에서 16년 석유 수요량이 인도와 중국, 러시아를 중심으로 전년대비 하루 1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기존 전망치(116만 배럴)를 소폭 상향조정 하였고, 캐나다 산불 등에 따른 공급차질로 올해 Non OPEC 공급 감소분을 전월대비 9만 배럴 상향조정한 하루 8만 배럴로 전망했다. 경제제재 해제 이후 이란의 생산 및 수출 증가 속도에 대해서는 예상대비 가파른 것으로 진단하였으나 리비아,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등 여타 OPEC 산유국의 생산량 감소가 이를 일부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OPEC은 5월 13일 발간된 월간 보고서에서 16년 Non OPEC 공급 감소량을 소폭 상향조정한 하 루 74만 배럴로 예상했으며, 16년 수요 증가량은 전년대비 하루 1만 배럴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공급 감소는 주로 미국과 중국, 멕시코, 영국 그리고 콜롬비아 등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OPEC의 Non OPEC 공급 전망 15 1Q16 2Q16 3Q16 4Q16 16 16/15 % Americas 21.1.88.35.39.55.54 -.47-2.25 of which US 13.99 13.73 13.49 13.42 13.56 13.55 -.43-3.1 Europe 3.76 3.8 3.64 3.57 3.71 3.68 -.8-2.11 Asia Pacific.46.45.46.46.44.45 -.1-2.27 Total OECD 25.23 25.12 24.45 24.42 24.69 24.67 -.56-2.23 Other Asia 2.7 2.73 2.69 2.72 2.75 2.72.2.71 Latin America 5.18 4.98 5.17 5.21 5.32 5.17 -.1 -.23 Middle East 1.27 1.27 1.24 1.23 1.23 1.24 -.3-2.12 Africa 2.37 2.34 2.36 2.34 2.33 2.34 -.3-1.16 Total DCs 11.53 11.32 11.46 11.51 11.62 11.48 -.5 -.41 FSU 13.69 13.96 13.66 13.55 13.62 13.7..1 of which Russia 1.85 11.1 1.93 1.85 1.9 1.94.1.89 Other Europe.13.13.13.13.13.13. -1.11 China 4.37 4.23 4.17 4.23 4.28 4.23 -.14-3.23 Total "other regions" 18. 18.31 17.96 17.92 18.3 18.5 -.14 -.78 Total Non-OPEC production 54.95 54.76 53.87 53.85 54.35 54. -.75-1.37 Processing gains 2.19 2. 2. 2. 2. 2..1.59 Total non-opec supply 57.14 56.95 56.6 56.4 56.55 56.4 -.74-1.29 Previous estimate 57.13 57.6 56.7 55.98 56.48 56.39 -.73-1.28 Revision.1 -.1..7.7.1 -.1 -.1 자료: OPEC, Monthly Oil Market Report, May 16 삼성증권 8

최근 랠리에도 전망치 유지 당사는 최근 랠리에도 불구하고 올해 말 국제유가 전망치를 WTI 기준 배럴당 45달러로 유지한 다. 최근의 유가 상승은 캐나다 산불과 나이지리아 무력시위 등 일시적인 공급차질과 투기적 수 요의 증가에서 기인한 바 크다. 그러나 이란의 생산량 증가 속도가 시장 예상 대비 가파른 모습 을 보이고 있어 올해 말까지 하루 4만 배럴 수준의 목표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 상되고,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개각과 석유정책 수장 교체 등으로 OPEC의 카르텔로서의 기능 이 와해될 가능성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시장 점유율 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사 우디아라비아의 생산량도 연중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6월 2일 OPEC 정기총회에서 감산 또는 동결 합의가 나타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며, 주요 산유국의 생산량 증가가 가시화 될 경우 유가는 하방 압력을 받으며 변동성 확대 양상을 보일 것이다. 시장의 공급과잉 물량은 미국 중심의 Non OPEC 산유량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축소될 전망이나 여전히 역사적 고점 수준의 재고 물량은 부담 요인이다. 또한 최근과 같이 가파른 속도의 유가 상승은 오히려 시장의 리밸런싱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E&P 기업의 파산 속도는 가팔라지고 있으나 이것이 비용 효율적인 대기업 중심의 M&A와 시장 재편으로 이어질 경우 오히려 미국 셰일생산의 가격 탄력성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최근 유가 상승을 견인한 요소 중 하나인 달러화 약세는 재차 강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을 것 으로 판단한다. 당사는 미국 금리인상이 연내 2차례(7월과 12월)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현재 시 장이 향후 금리인상의 속도를 지나치게 낮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Fed의 dual mandate 중 하나인 미국 노동시장은 완연한 확장기조를 지속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역시 점진 적인 속도로 정상화 되고 있다. 미국 Core PCE 인플레이션은 올해 1,2월 전년대비 1.7% 상승했 으며 3월에는 1.6% 상승하며 Fed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해가는 모습이다. 국제유가가 당사의 예 상대로 하반기 45달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인플레이션 정상화 속도가 보다 가팔라지며 재차 미 국 금리인상 우려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올해 2월부터 급격히 진행된 엔화 강세의 경우 5월 26~27일 예정되어 있는 G7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재차 약세 전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역시 달 러화 강세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달러화 강세는 국제유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란 원유 생산량 (백만배럴/일) 4.2 4. 3.8 3.6 3.4 3.2 3. 2.8 2.6 2.4 2 4 6 8 1 12 14 16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생산량 (백만배럴/일) 11. 1.5 1. 9.5 9. 8.5 8. 7.5 7. 2 4 6 8 1 12 14 16 자료: Bloomberg 자료: Bloomberg 삼성증권 9

OPEC 정기총회 Preview 제169회 OPEC 정기총회가 오는 6월 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릴 예정이다. 생산량 동결에 대한 첫 합의가 있었던 지난 2월 16일 이후 국제유가(WTI 기준)가 8% 이상 상승했기 때 문에 이번 OPEC 정기총회에서 생산량 동결 내지 감산과 같은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될 가 능성은 크게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5월 7일 단행된 사우디아라비아의 개각 역시 이번 정기총회에서 생산량 합의가 나타 날 가능성을 낮게 전망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OPEC의 실질적 리더인 사우디아라비아는 기 존의 석유부를 에너지 산업 광물자원부(Ministry of Energy, Industry and Mineral Resources)로 그 명칭을 변경하고 업무 범위를 포괄적으로 확대하였으며 수장으로 Khalid A. Al-Falih 아람코 회장 을 임명하였다. 개각은 지난 4월 25일 발표된 Vision 3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신임 장관인 Al-Falih가 사우디 왕위계승서열 2위이자 국방부 장관이며 경제개발위원회 위원장인 Mohammad bin Salman Al Saud 부왕세자(이하 MBS)의 측근이라는 점에서 그간 사우디아라비아 의 석유정책 흐름과는 차별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상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정책은 전문 기 술관료(technocrat)가 도맡아 왔다. 이는 국가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정책에 왕실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번 개각과 장관 임명으로 사우디아 라비아의 석유정책에 미치는 왕실의 영향력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OPEC이 그간 수행해왔던 국제석유시장의 수급조절 역할과 회원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카르텔로서의 기능은 상 당 폭 희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Swing Producer의 부재와 이에 따른 시장 점유율 경쟁 심화는 유 가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Al-Falih는 최근 취임사에서 기존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정책 즉 시장 점유율 방어 정책을 지속 적으로 이어갈 것이라며 감산 가능성을 일축했다. MBS 역시 지난 4월 17일 도하회의 결렬 이후 즉시 하루 1백만 배럴, 6~9개월 내에 추가로 1백만 배럴을 증산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 사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횡보로 미루어 볼 때 OPEC의 카르텔 와해 가능성과 사우디아라비 아의 증산 가능성이 모두 높아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생산 증가량이 하 루 1백만 배럴 이상에 이를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지난 4월 25일, 사우디아라비 아는 Post-Oil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경제개혁안으로 Vision 3 을 발표하였다. 그 핵심은 산업 구조 변경, 재정개혁, 일자리 창출 등으로 경제의 석유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 다. 이러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하루 1백만 배럴, 즉 기존 산유량의 1% 가까운 양을 늘 리는 것은 경제의 석유의존도 축소 원칙에 정면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이 경우 유가가 하락 하며 재정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개혁추진의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 급격한 증산은 쉽지 않 을 것으로 판단한다. Vision 3 주요 내용 아람코 지분 5% 상장 지주회사화 자국민 실업률 현재 11.6%에서 7%로 하락 총 고용 중 여성 비율을 22%에서 3%로 제고 GDP대비 중소기업 기여도를 현재 %에서 35%로 제고 3년까지 성지순례객 수용능력, 현재 연 8백만명 3천만명 세계 19위 경제국에서 15위로 성장 방위산업 육성으로 현 2%인 자급도를 5% 이상으로 제고 현재 5% 수준의 PIF 해외투자비율 5%까지 확대 민간부문의 GDP기여도 4%에서 65%로 제고 비석유 재정수입 1,63억리얄에서 1조리얄로 증가 자료: Al Arabiya, 삼성증권 정리 Mohammed bin Salman 부왕세자의 영향력 자료: Bloomberg 삼성증권 1

(참고) Vision 3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4월 25일, Post-Oil 시대에 대비하여 경제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경제구조를 다각화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Vision 3을 발표하였다. 이는 사우디 왕위계승서열 2위이자 국방부 장관이 며 동시에 경제개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Mohammad Bin Salman Al Saud 왕세자의 주도 하에 발표된 것으로 사우디 건국 이래 최대 개혁안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Vision 3은 활기찬 사회(A vibrant society), 번창하는 경제(A thriving economy), 야심찬 국가(An ambitious nation)의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민간부문의 GDP 기여도 제고, 실업률 하락, GDP 대비 중소기업 기여도 증가, 총 고용대비 여성 인력 비중의 증가, 비석유 재정수입 확대 등이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아람코의 상장계획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빠르면 17 년 중 아람코 지분의 약 5%를 런던, 홍콩, 뉴욕에 동시 상장할 계획이다. 주식 매각자금과 국가 소유 부동산 매각대금은 PIF (Public Investment Fund)로 이전하여 약 2조 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를 조성함으로써 투자 수익 을 얻도록 할 것이다. 아람코는 현재의 가스/석유 개발사업 외에 에너지, 제조업 등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대 기업으로 육성될 방침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5% 수준인 PIF의 해외투자비율을 년까지 최대 5%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 다. PIF는 장기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다각화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PIF의 국 내외 투자 수익, 재정개혁 및 신성장 분야 산업 육성을 통해 년까지 비석유 부문에서 1,억 달러 이상 의 추가적인 세입을 확보할 방침이다. 여기에는 휘발유, 전기, 물 등에 대한 보조금 축소와 부가가치세, 영주권 확대를 통한 수수료 수입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보조금 삭감은 모든 국민에게 동등하게 적용될 방침이 나, 저소득층에 한해서는 현금을 통해 일부를 보전할 계획이다. Vision 3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과 같은 항목이 종교적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으며, 그간 시행해왔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에 비추어 볼 때 이번에도 그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급진적인 개혁이 실제 실행에 옮겨질 경우 복지혜택 축소와 안보 불안정 등 사회적 리스크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낮은 수준의 유가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이에 따른 사우디 정부의 구조적 재정난이 심화되고 있 으며 부왕세자의 권력과 추진력이 막강하여 개혁안의 실행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개혁안이 비판 받는 가장 큰 이유는 달러 페그제에 대한 수정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 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얄화는 1달러당 3.75리얄로 그 가치가 고정되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유가가 하락 하는 과정에서 리얄화에 대한 투기 세력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막대한 양의 외환보유고를 투입해왔다. 사우 디아라비아 외환보유고는 유가가 하락하기 시작한 14년 6월 대비 올해 2월까지 약 1,414억 달러 감소했다. IMF는 지난 해 1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재정지출 감축과 경제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이 없을 경우 외환보 유고가 5년 내에 모두 소진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왕실이 달러 페그제를 폐지하 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이 될 것이다. 페그제를 폐기할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의 물가상승률은 더욱 높아질 것 이며 이는 최근의 보조금 삭감 및 청년실업률 상승과 맞물리며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 다. 삼성증권 11

사우디아라비아의 중국시장 점유율 (%) 22 21.7 18.7 18 16 15.5 14.9 14 13.5 12 1 11 12 13 14 15 자료: China Customs General Administration 사우디아라비아 외환보유고 (십억달러) 8 7 6 5 4 3 8 9 1 11 12 13 14 15 16 자료: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사우디아라비아 재정수지 (십억 달러) (%) 15 1 5 (5) (1) (15) GDP대비 % (우측) 재정수지 (좌측) 7 9 11 13 15 35 3 25 15 1 5 (5) (1) (15) () 자료: Saudi Arabia Ministry of Finance 삼성증권 12

Saudi Aramco 밸류에이션 Asset Value (십억 달러) Upstream Oil Reserves 2,88 Gas Reserves 373 Overall Reserves 2,461 Downstream Oil Refining 24.4 Petrochemicals 15.9 Downstream Overall 4.3 Saudi Aramco Overall 2,51 Overall discount (%) 14.3 Saudi Aramco Overall after discount 2,144 자료: Bloomberg Intelligence 추정 OPEC 주요 회원국 경제의 석유 의존도 (%) 사우디 이라크 쿠웨이트 카타르 U.A.E. 리비아 알제리 GDP대비 Oil 42.6 46.5 62.9 51.1 34.3 38.5 27.1 GDP대비 Non-oil 57.4 53.5 37.1 48.9 65.7 61.5 72.9 정부재정대비 Oil 76.8 94.4 79.8 8.3 63.5 93.4 59.2 정부재정대비 Non-oil 23.2 5.6.2 19.7 36.5 6.6 4.8 총수출대비 Oil 8.2 95.1 87.8 85.7 28.5 97.2 91.8 총수출대비 Non-Oil 19.8 4.9 12.2 14.3 71.5 2.8 8.2 참고: 14년 기준 자료: International Monetary Fund OPEC 회원국 전체 실업률과 청년 실업률* 청년실업률 (%) 5 4 3 1 카타르 쿠웨이트 U.A.E. 사우디아라비아 에콰도르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앙골라 알제리 베네수엘라 이라크 5 1 15 이란 리비아 전체실업률 (%) 참고: * 15~24세, 14년 기준, 외국인 노동자 포함 자료: World Bank 삼성증권 13

(참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각각 이슬람의 두 종파인 수니파와 시아파의 종주국이다. 전체 이슬람 교도 중 85% 는 수니파이며 시아파는 나머지 15%를 차지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각 종파를 대표하여 시리아와 예 멘에서 대리전을 치르고 있다. 시리아의 경우 수니파의 비중이 84%에 이르지만 시아파가 권력을 잡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사우디아라비아는 시리아 내전에서 반군을 지원하며 아사드 정권의 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사 우디와 이란은 군사적으로 직접적인 대립각을 펼치고 있지는 않으나 동맹국가들의 분쟁에 개입함으로써 자국 의 영향력을 넓혀가는 방식으로 중동 내 패권경쟁을 지속하고 있다. 두 종파 간의 갈등은 지금으로부터 약 14여년 전 이슬람교의 창시자이자 공동체의 지도자였던 Muhammad가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은 채 사망한 것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시아파는 Muhammad의 혈육을 후계자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고, 수니파는 공동체 내의 합의를 통해 후계자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에는 수니파의 의견이 채택되었으나 4대 칼리프(종교/정치 지도자)에 이르러 시아파 알리가 추대되었고, 그와 그의 가족이 수니파에 의해 암살된 사건을 계기로 두 종파 간의 갈등이 본격화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갈등의 주된 원인을 종파 대립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양측은 언어와 민 족, 정치체제에 있어 현격한 차이가 있다. 이란은 인도 유럽계의 아리아인으로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며 아랍족 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셈족 언어인 아랍어를 사용한다. 이란은 1979년 2월 호메이니가 이끈 이슬람 혁명 이후 왕정체제에서 반미성향의 공화정으로 탈바꿈하였다. 이란은 중동지역에 이슬람혁명과 공화정 체제를 수출하고 자 하였으며 이것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친미 왕정 체제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올해부터 이란의 경제/금융 제재가 해제됨에 따라 사우 디아라비아의 역내 패권은 크게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 다. 그간 사우디아라비아는 오일머니와 미국과의 동맹 을 통해 중동 내 패권을 유지해 왔으나 14년 하반기 이후 유가 하락과 최근 서방의 이란 경제제재 해제로 인해 그 지위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란의 인구는 약 8천만명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인구의 2배 이상이며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높고, 오랜 제재가 역설적으로 경 제의 석유의존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란의 국방력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저유가에 대응한 경제 구조 개혁에 성공함으로써 역내 패권을 지켜낼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삼성증권 14

미국 주요 셰일원유 생산지역 생산량과 리그 수 Update 미국 주요 셰일원유 생산지역 Permian (천 배럴/일) (개) 2,5 2,1 리그 수 (우측) 65 55 1,7 1,3 9 생산량 (좌측) 5 7 9 11 13 15 45 35 25 15 5 Eagle Ford (천 배럴/일) (개) 1,8 생산량 (좌측) 33 1,6 리그 수 (우측) 1,4 28 1, 23 1, 8 18 6 13 4 8 3 7 9 11 13 15 Bakken (천 배럴/일) (개) 생산량 (좌측) 1,3 27 1,1 리그 수 (우측) 2 9 17 7 1 5 3 7 1 7 9 11 13 15 Niobrara (천 배럴/일) (개) 55 생산량 (좌측) 14 5 1 45 리그 수 (우측) 4 1 35 8 3 6 25 4 15 1 7 9 11 13 15 Utica (천 배럴/일) (개) 9 리그 수 (우측) 5 8 7 4 6 5 3 4 3 1 1 생산량 (좌측) 7 9 11 13 15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Drilling Productivity Report, May 16 삼성증권 15

Haynesville (천 배럴/일) (개) 65 25 63 61 59 생산량 (좌측) 57 15 55 53 1 51 49 5 47 리그 수 (우측) 45 7 9 11 13 15 Marcellus (천 배럴/일) (개) 6 생산량 (좌측) 16 5 14 4 1 1 3 8 6 1 리그 수 (우측) 4 7 9 11 13 15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Drilling Productivity Report, May 16 주요 생산지역 리그당 원유 생산량 (배럴/일) 1, 8 6 4 Permian Eagle Ford Bakken Niobrara Utica Haynesville Marcellus 1 11 12 13 14 15 16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Drilling Productivity Report, May 16 삼성증권 16

세계 석유시장 수급 및 전망 (백만 배럴/일) 15 16 17 Year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5 16 17 Supply OECD 26.64 26.43 26.81 27.7 26.77 25.86 25.72 25.93 25.96 25.99 25.83 26.15 26.74 26.7 25.98 U.S. (5 States) 14.81 15.1 15.13 15.12 14.87 14.62 14.18 14. 14.19 14.37 14.33 14.55 15.4 14.47 14.36 Canada 4.69 4.16 4.56 4.62 4.63 4.12 4.66 4.81 4.88 4.85 4.88 4.91 4.51 4.56 4.88 Mexico 2.68 2.58 2.62 2.62 2.57 2.53 2.52 2.51 2.49 2.47 2.45 2.43 2.62 2.53 2.46 North Sea 3. 3.1 2.96 3. 3.21 3.1 2.87 2.91 2.9 2.78 2.64 2.71 3.6 3.2 2.75 Other OECD 1.47 1.48 1.54 1.52 1.49 1.48 1.49 1.51 1.51 1.52 1.54 1.55 1.5 1.49 1.53 Non-OECD 68.1 69. 69.64 69.46 68.7 7.17 71. 7.74 7.18 71.5 71.46 71.32 69.3 7.15 71. OPEC 37.4 38.11 38.58 38.41 38.3 39.26 39.86 39.87 39.99 4.3 4.42 4.5 38.13 39.33 4.3 Crude Oil Portion 3.84 31.54 31.99 31.81 31.56 32.37 32.92 32.87 32.86 33.12 33.17 33.19 31.55 32.43 33.9 Other Liquids 6.55 6.58 6.59 6.59 6.74 6.9 6.94 6.99 7.13 7.18 7.25 7.31 6.58 6.89 7.22 Eurasia 14.19 14.2 14.4 14.16 14.27 14. 14.13 14.6 14.4 14.1 13.98 13.98 14.1 14.16 14. China 4.68 4.75 4.73 4.72 4.58 4.61 4.61 4.61 4.52 4.55 4.56 4.56 4.72 4.6 4.55 Other Non-OECD 11.74 12.11 12.29 12.18 11.55 12.9 12.4 12. 11.63 12.19 12.49 12.27 12.8 12.6 12.15 Total World Supply 94.65 95.42 96.45 96.53 95.47 96.3 96.72 96.67 96.14 97.4 97.29 97.47 95.77 96.23 96.99 Consumption OECD 46.48 45.38 46.71 46.36 46.62 45.83 46.43 46.9 46.8 45.8 46.65 47.7 46.23 46.45 46.58 U.S. (5 States) 19.29 19.25 19.68 19.36 19.37 19.58 19.64 19.57 19.36 19.58 19.9 19.79 19.4 19.54 19.66 U.S. Territories.37.37.37.37.4.4.4.4.42.42.42.42.37.4.42 Canada 2.36 2.26 2.38 2.34 2.35 2.29 2.4 2.38 2.35 2.29 2.4 2.38 2.34 2.35 2.35 Europe 13.42 13.53 14.1 13.65 13.5 13.41 13.85 13.8 13.61 13.36 13.8 13.74 13.68 13.64 13.63 Japan 4.79 3.89 3.94 4.23 4.51 3.82 3.85 4.22 4.45 3.75 3.78 4.14 4.21 4.1 4.3 Other OECD 6.24 6.8 6.24 6.41 6.49 6.34 6.29 6.53 6.6 6.4 6.34 6.59 6.24 6.41 6.48 Non-OECD 46.36 47.94 48.26 47.72 47.53 49.15 49.51 48.95 48.93 5.61 5.9 5.34 47.58 48.79 5. Eurasia 4.71 4.65 4.92 4.9 4.73 4.66 4.93 4.92 4.8 4.73 5.1 4.99 4.8 4.81 4.88 Europe.71.72.74.74.72.73.75.75.73.74.76.76.73.73.74 China 1.87 11.46 11.42 11.37 11.25 11.87 11.82 11.77 11.64 12.28 12.23 12.17 11.28 11.68 12.8 Other Asia 12.22 12.44 11.97 12.3 12.72 12.95 12.49 12.85 13.26 13.49 12.96 13.33 12.24 12.75 13.26 Other Non-OECD 17.85 18.67 19.22 18.41 18.1 18.95 19.51 18.67 18.5 19.37 19.96 19.8 18.54 18.81 19.23 Total World Consumption 92.84 93.32 94.97 94.8 94.15 94.99 95.94 95.85 95.73 96.41 97.55 97.4 93.81 95.24 96.78 Supply-Consumption 1.81 2.1 1.48 2.45 1.32 1.4.78.82.41.63 -.26.7 1.96.99.21 참고: 석유 공급량은 컨덴세이트를 포함한 원유, 액화천연가스, 바이오 연료, 그밖에 refinery processing gains를 포함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Short-Term Energy Outlook, May 16 삼성증권 17

미국 석유재고량과 수입량 (천 배럴, %) 재고량 수입량 정제가동률 원유 중간유분 휘발유 원유 제품 15년 1월 413,6 134,475 24,67 7,387 2,76 89.9 2월 444,374 122,976 24,6 7,368 2,27 86.6 3월 471,444 127,174 229,128 7,348 1,83 89.4 4월 49,912 129,27 227,451 7,446 2,53 91.3 5월 477,415 132,612 2,293 7,373 1,732 93.2 6월 465,379 135,8 216,737 7,513 2,554 95 7월 455,275 144,812 216,733 7,18 1,927 96.1 8월 455,428 149,951 214,163 7,855 2,118 92.8 9월 457,924 151,68 222,1 7,554 2,91 89.8 1월 482,81 14,757 215,347 6,943 1,212 88.7 11월 489,424 144,415 216,867 7,747 1,669 94.5 12월 487,49 153,11 221,4 7,892 1,57 92.6 16년 1월 1주 482,324 159,418 231,996 7,51 1,593 92.5 1월 2주 482,558 165,554 24,434 8,188 1,673 91.2 1월 3주 486,537 164,529 244,997 7,779 2,263 9.6 1월 4주 494,9 16,472 248,461 7,69 2,399 87.4 1월 5주 52,712 159,695 254,399 8,256 2,74 86.6 2월 1주 51,958 16,976 255,657 7,124 1,979 86.1 2월 2주 54,15 162,375 258,693 7,919 2,312 88.3 2월 3주 57,67 16,715 256,457 7,82 1,998 87.3 2월 4주 517,981 163,597 254,989 8,292 1,917 88.3 3월 1주 521,861 162,478 25,463 8,48 1,941 89.1 3월 2주 523,178 161,343 249,716 7,693 1,954 89 3월 3주 532,535 162,26 245,74 8,384 1,87 88.4 3월 4주 534,834 161,185 242,56 7,748 1,722 9.4 4월 1주 529,897 162,984 243,998 7,254 2,214 91.4 4월 2주 536,531 163,489 239,761 7,94 2,69 89.2 4월 3주 538,611 159,935 239,651 8,187 1,839 89.4 4월 4주 54,61 158,24 241,259 7,55 2,494 88.1 4월 5주 543,394 156,979 241,795 7,66 2,198 89.7 5월 1주 539,984 155,332 24,564 7,655 2,42 89.1 자료: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삼성증권 18

NYMEX 시장의 WTI선물 순매수 포지션 (계약) 매수포지션 매도포지션 순매수포지션 WTI선물 가격 15년 1월 475,769,814 274,955 46.61 2월 49,736 219,85 271,65 5.2 3월 57,932 267,928 24,4 47.48 4월 522,493 229,458 293,35 54.9 5월 512,456 178,121 334,335 59.11 6월 485,24 155,617 28,424 6.37 7월 473,55 9,138 264,412 5.93 8월 476,226 251,461 224,766 42.69 9월 486,767 246,34 24,463 45.4 1월 49,89 238,145 252,745 45.98 11월 489,675 258,42 231,273 43.91 12월 466,42 264,817 1,225 38.14 16년 1월 1주 46,417 276,24 184,177 35.97 1월 2주 499,795 336,291 163,54 3.44 1월 3주 482,774 33,42 179,372 28.46 1월 4주 523,71 318, 5,71 31.45 2월 1주 545,8 348,947 196,873 29.88 2월 2주 544,8 356,923 187,877 27.94 2월 3주 517,94 358,953 158,987 29.4 2월 4주 533,268 327,412 5,856 31.87 3월 1주 529,761 317,243 2,112,518 34.4 3월 2주 535,589 291,337 244,252 36.5 3월 3주 544,416 274,56 269,856 36.34 3월 4주 527,838 219,861 37,977 41.45 3월 5주 534,637 229,126 35,511 38.28 4월 1주 541,716 251,586 29,13 35.89 4월 2주 53,256 241,95 289,161 42.17 4월 3주 54,48 5,873 334,175 41.8 4월 4주 544,282 21,17 334,265 44.4 5월 1주 53,23 211,479 318,544 43.65 5월 2주 521,799 229,839 291,96 44.66 참고: Option 미 포함, 1계약=1,배럴 자료: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삼성증권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