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영어영문학 제58권 2호 (2014년 5월) 237-63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이 명 관 (안양대학교) Lee, Myong-kwan. The Effects of Dictogloss on College English Classes.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58.2 (2014): 237-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ctogloss on college English classes.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13 weeks with eighty-one Korean college students. Forty-three of them took the English classes using dictoglos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took the English classes traditionally as a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the mid-term exam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final exam, which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This suggests that dictogloss can be effective in college English classes. Also, the students showed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dictogloss activities. Moreover, the in-depth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dictogloss activities including integrated and cooperative learning. However, the students suggested that some need to be remedied to make dictogloss activities work more effectively. Based on this study, some guidelines for effective college English classes were suggested. (Anyang University) Key Words: dictogloss, listening, cooperative learning I. 서 론 국제화 시대에 따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은 대학 영어교육에도 영향 을 미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영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 기 위해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는 추세이다.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크게 듣기와 읽기의 이해(input)기능 과 말하기와 쓰기의 산출(output)기능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
238 이 명 관 에서 이해기능과 산출기능은 각각 분리되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 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영어 의사소통 교수-학습에서도 이해기능과 산출 기능을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Brown, 2000; Freeman & Freeman, 1992; McDonough & Shaw, 2000). 또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학습 자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적 교육 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수자 뿐 아니라 함께 학습하는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협동학습은 구성원들과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협력하여 수행하는 것이므로 활발한 상호작용이 바탕이 되어 학습자의 개별 책 무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협동학습은 구성원들간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Johnson & Johnson, 1989; Olsen & Kagan, 1992; Swain, 1999). 따라서 통합적인 의사소통 학습과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활동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 다. Wajnrab(1990)에 의해 제시된 딕토글로스(dictogloss)는 학습자들이 메시지 를 듣고 받아쓴 것을 재구성이라는 절차를 거쳐 산출물로 만드는 학습활동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협동학습의 체제에서 공동의 산출물을 완성하며, 자연 스럽게 통합적인 학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딕토글로스는 본래 문법교육을 위 해 제시된 것이지만 그 활동 절차에서 언어기능의 통합적 학습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Nabei, 1996; Storch, 1998). 그러므로 문법 뿐 아니라 언어의 네 기능에 도 딕토글로스가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들이(김창호, 2012; 선명진, 2011; 오영호, 2011; 이효신, 2011; Jacobs & Farell, 2001; Kang, 2009; Swain, 1999)있다. 그러나 딕토글로스 활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는 이 활동이 언어 기능에 미치는 효과 뿐 아니라 이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 을 조사하여 이 활동의 어떤 점이 학습에 효과적인지, 그리고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협동학습과 통합학습의 특징을 갖춘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 영어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딕토글로스 활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39 2동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또한 딕토 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로 딕토글로스 활동에서의 어떤 점이 유용하고 흥미로운지, 그리고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해 보 고자 한다. II. 선행 연구 고찰 2.1 딕토글로스 딕토글로스는 교수자가 들려주는 것을 학습자들이 듣고 짝이나 소그룹으로 서 로 협동하여 들은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언어 교수방법이다. 텍스트를 듣고 받아 쓰는 일은 딕테이션(dictation)과 유사하지만 그 목적과 절차에서 딕테이션과는 다르다. 딕토글로스는 원래 문법을 가르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써 Wajnryb (1990)에 의해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딕토글로스를 통해 학습자들은 텍 스트상에서 문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배우게 된다. 과제중심적인 특징으로 구성된 딕토글로스의 첫 번째 절차로, 학습자들은 짝이나 소그룹으로 구성되어 그들이 들을 텍스트의 주제나 어휘와 관련된 준비 작업을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절차에서 학습자들은 정상적인 속도로 녹음된 내용을 듣고 중요한 단어를 받아 적는다. 세 번째 절차에서 학습자들은 그룹활동으로써 그들이 받아 적은 것을 가 지고 그들의 버전으로 글을 재구성(reconstruction)한다. 네 번째 절차에서 학습 자들은 재구성한 글을 원래의 텍스트와 비교해 본다. 그리고 재구성한 글을 수정 하고 교정하며 분석해 본다(Wajnryb, 1990). 학습자들이 듣고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딕토글로스 절차는 입력(input)과 산출 (output)이 결합된 과제이다(Malmqvist, 2005). Izumi(2003)는 특정조건하에서 산출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중간 언어능력을 시도하도록 도움으로써 언어습득을 촉진할 수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언어학습에서 산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 데, Grove(1999)에 의하면 입력과 산출이 결합된 딕토글로스 활동은 L2학습자
240 이 명 관 들을 자신의 중간언어에서의 결점에 더욱 주목하게 하는 과정까지 이끈다. 또한 딕토글로스 활동의 절차는 의사소통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적인 통합적 언어교수방법이다(Jacobs & Small, 2003). Ellis(2003)는 딕토글로스의 목적이 텍스트의 내용을 단순히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런데 이 가장 중요하고도 복 합적인 재구성의 과제는 협동적 과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협동학습이 딕토 글로스 활동의 핵심적 요소라 볼 수 있다. 협동학습에 대해 Johnson과 Johnson (1989)은 함께 성공적인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상호의존의 관계를 갖게 하는 학습형태라고 하였다. 유사 하게, Olsen과 Kagan(1992)은 협동학습이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과업을 수행하 는 과정에서 서로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게 되고, 다른 구성원들의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서로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Swain(1999)은 언어 학습에서의 공 동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협력은 학습자가 자신의 단점이 무엇인지를 파악 하게 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통찰력까지도 신장시킬 수 있다 고 한다. 딕토글로스 활동을 할 때 학습자들은 텍스트 재구성이라는 구성원들과의 공동 의 목표를 가지고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하므로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Wajnryb(1990)은 딕토글로스 활동이 학습자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학습에 개입하게 함으로 학습자가 영어 사용에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접하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학습자는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그러므로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를 깨닫게 된다고 한다. 특히, Mackey와 Gass(2006)은 협동적 과정을 통해 학 습자들은 L2학습을 촉진하는 의미의 협상을 하게 되므로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딕토글로스는 협동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상호작용 의 기회를 준다. 이 다양한 상호작용은 언어 발달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Wills & Wills, 1996).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는 다른 학습배경 및 학습방식을 접하게 되면서 다양한 정보에 초점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41 을 두게 된다. 그래서 Gardner(1999)는 이러한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들이 관 점의 차이를 깨닫게 됨으로 서로로부터 배우고 다양성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것은 학습자들이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긍정 적인 영향이라고 한다. 2.2 딕토글로스 활동의 학습효과 딕토글로스 활동은 문법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지만 듣기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문법과 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오고 있다. Jacobs와 Farell(2001)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환경에 서 딕토글로스가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은 딕토 글로스가 듣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학습자들의 자율성과 협동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딕토글로스가 문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 구한 Jacobs와 Small(2003), 그리고 Shark(2005)는 개별활동과 조별활동을 통 해 들은 내용을 재구성하고 그 재구성한 글의 어법을 분석 및 수정하는 과정이 학습자들의 문법학습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국내의 EFL환경에서 고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딕토글로스가 듣기와 문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Kang(2009)은 이 두 가지 분야 모두에서 딕토글로스를 이용한 지도가 전통적인 학습법보다 더 효과적임을 밝혔다. Nabei(1996)와 Storch(1998)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통합적인 기능 체제의 활 동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Swain(1999)은 딕토글로스를 통해 학습자들이 언 어의 모든 기능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내재화된 언어지식 을 표출하여 언어의 기능과 형태를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딕토글로스 활동의 언어기능 통합적 특성으로 인해, 듣기 이외에도 딕토 글로스가 다른 언어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들도 이루어지고 있다. 딕토글로스는 그 절차상 듣기와 문법 뿐 아니라 작문과도 직접적으로 관련되 어 있다. 오영호(2011)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딕토글로스 활동이 영어듣기와 쓰기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통적인 받아쓰기 활
242 이 명 관 동을 한 집단과 비교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해서도 조사하 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수준에 상관없이 딕토글로스 활동을 한 집단은 긍정 적인 학습태도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듣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서 모두 받아쓰기 활동을 한 집단 보다 높은 향상을 나타냈다. 특히, 딕토글로스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분석결과는 딕토글로스의 협동학습 구조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수 업 활동에 좀 더 흥미를 갖게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쓰기 및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선명진(2011)은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교양영어 수업이 대학생들의 듣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분받아쓰기를 한 집단보다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집단이 듣기 능력에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여주었음을 나타냈다. 또한, 딕토글로스를 활용하여 듣기수 업을 한 학습자들이 읽기, 쓰기, 말하기의 전반적인 영어 성취도에서도 더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딕토글로스가 학습자의 듣기능력뿐 아니라 다른 기 능에도 바람직한 전이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나타내며, 전반적인 영어 능력 향 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김창호(2012)는 유사한 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교양영어 수업에서 딕토글로스를 사용한 반과 전통적인 받아쓰기를 사용한 반의 언어의 네 가지 기 능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는 선명진의 연구 결 과와는 달리, 읽기를 제외한 듣기, 말하기, 쓰기에서만 딕토글로스를 통해 학습 한 반이 더 높은 향상도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김창호는 듣기와 쓰기에 비해 상 대적으로 덜 향상된 말하기와 읽기학습을 위해서는 딕토글로스 활동과 더불어 반복과 강화, 연습과 훈련이 보강된 학습이 필요하고 제안하였다. 이효신(2011)은 대학 영어뉴스청취 수업에서 딕토글로스 활용이 듣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주고, 또 그 효과가 있게 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 다. 그 결과, 딕토글로스 활동의 특성상 학습자들은 다각적인 전략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듣기능력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기술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더불어 학습자들은 이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보였다. 특히, 이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개별학습보다 협력학습의 방식을 선호하였다. 이 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딕토글로스가 언어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43 준다. 그러나 언어학습이 더욱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그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자 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할 뿐 아니라 그들의 의견을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학 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III. 연구 방법 3.1 연구 참여자 및 분반 구성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4년제 A대학에서 2학년 1학기 교양영어필수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4반의 학생들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두 반은 실험반으로서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수 업을 실시하였고, 다른 두 반은 통제반으로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 였다. 이 연구를 위한 수업을 위해서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한 본 연구목적에 따른 특정 활동의 범주 이외의 활동은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반에 참여한 학 생은 총 45명이고 통제반에 참여한 학생은 총 39명이었다. 그러나 학기 중 출석 률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 그리고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치루지 않은 학생들을 모두 제외한 학생 수는 실험반 43명, 통제반 38명이다. A대학의 교양영어필수 강좌인 대학영어는 수준별 분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수 준별 분반을 위해 학생들은 토익 시험을 치루고 그 점수를 토대로 Level I, Level II, Level III(상, 중, 하)의 반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속한 분반은 Level II(토익점수 400점~550점)에 해당하는 반이다. A대학은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성을 위해 토익점수의 기준을 토대로 수준별 분반을 하므로, 동일한 Level에 해당하는 분반의 학생들의 영어능력 수준은 비슷하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의 Level II에 해당하는 4분반의 학생들은 영어능력에 차이가 없는 집단이 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4분반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전공은 인문, 사회, 이공계 열 등 다양하였으며, 외국에서의 생활 및 학습 경험이 전혀 없었다.
244 이 명 관 3.2 연구 설계 3.2.1 강좌구성 및 교재 본 연구는 한 학기 중 첫 주를 제외한 15주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실시 한 교양영어필수 강좌인 대학영어는 일주일에 2일, 각 75분씩 수업이 진행된다.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의 통합적 영어교육으로 실시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 재는 다양한 주제의 듣기와 말하기 중심의 활동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통합 적 영어교육을 시행하기에 적합하도록 관련된 어휘, 문법, 작문 등을 위한 활동 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듣기 텍스트는 주로 강의나 라디오 프로그램의 격식적인 강연들로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 혹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내용이다. 이와 같은 듣기 텍스트는 듣기 뿐 아니라 읽기, 쓰기, 어휘, 문법 등을 가르치기에도 적합하 다. 또한, 들은 내용을 재구성해야 하는 과정을 요구하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하 기에 적합하다. 3.2.2 수업방식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영어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 서 실시한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한 수업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를 하기 전에 어휘학습과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질문 및 간단한 토론을 실시하였다. 어휘학습은 교재에 제시된 활동으로 듣기 텍스트에 나올 중요한 어휘에 대한 학습이었다. 그리고 본 연구자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듣 기를 할 때, 그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도록 듣기 주제와 관련된 몇 가지 질 문을 하였다. 또는 그 주제에 대해 학습자들 간에 이야기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둘째, 텍스트를 듣고 받아쓰기를 하였다. 교수자는 녹음된 듣기 텍스트를 정 상적인 속도로 학습자들에게 연속하여 세 번 들려주고, 학습자들은 들으면서 핵심 단어를 받아 적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들은 내용을 재구성할 것이 므로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받아쓰되, 모든 문장을 그대로 받아 쓸 필요는 없 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조별활동을 통해 학습자 개개인이 듣고 받아 쓴 단어들을 공유하도록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45 하였다. 이 조별활동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들은 단어와 자신은 듣지 못하였 으나 동료학습자가 들은 단어가 어떻게 다른가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 그 리고 그들이 받아 적은 단어 및 표현들을 조합하여 듣기 텍스트의 내용을 이 야기 해 본다. 이 조별활동을 위해 딕토글로스 활동을 시작하기 전인 첫 주에 실험반 학습자들의 조를 구성하였다. 조 구성은 출석부 순으로 4~5명으로 구 성되었다. 그리고 조별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각 조별로 조장을 뽑도 록 하였다. 교수자는 조장에게 각 조원이 모두 적극적으로 조별활동에 참여하 도록 도와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넷째, 조별활동으로 학습자들은 조원들과 공유한 단어들을 가지고 그들 자신 의 재구성한 글을 만들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협동학습으로 조별로 공동의 글 을 만드는 과정이다. 협동학습이란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원 모두 가 함께 참여하여 학습하는 것(Cohen, 1994)이라고 학생들에게 설명해 주고, 이 활동에 모두 적극적이고 협조적으로 참여하도록 당부하였다. 이 과정은 듣 고 받아 적은 단어들을 가지고 원본의 내용과 유사하게 재구성하여 글을 만드 는 것이라고 학생들에게 설명해 주었다. 그러나 원본과 똑같을 필요는 없다고 강조하였다. 재구성한 글을 만들기 위해 문장구조보다는 내용에 먼저 중점을 두고 글을 만들도록 조언해 주었다. 다섯째, 각 조별로 글을 내용측면에서 어느 정도 완성한 후에는 글을 수정 및 검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학생들에게 이 과정에서 글의 문장구조와 문법적 오류 및 철자오류를 수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조별로 완성한 글을 교수자에게 제출하도록 하였다. 여섯 번째, 학습자들은 완성한 글을 제출한 후 조별로 교재의 듣기 텍스트 원본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때, 학습자들은 그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문장구조 및 표현을 교수자에게 질문하기도 하였다. 일곱 번째, 학습자들이 제출한 조별과제를 교수자는 내용 및 문법적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다음 수업시간에 돌려주었다. 조원 모두 교수자의 피 드백이 있는 그들의 글을 반드시 확인하도록 당부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활동 의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246 이 명 관 <표 1> 딕토글로스 활동을 이용한 수업방식 절차 절차 학습유형 딕토글로스 활동 내용 Step 1 전체활동 듣기 주제와 관련된 어휘학습 및 배경지식 활성화 활동 Step 2 개별활동 듣고 받아쓰기 Step 3 조별활동 듣고 받아쓴 단어 및 표현 공유 Step 4 조별활동 재구성 Step 5 조별활동 재구성 글 수정 Step 6 조별활동 듣기 텍스트 원본 확인 Step 7 개별활동 교수자의 피드백 통제반 수업의 첫 번째 단계는 실험반의 첫 번째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행 되었다. 즉, 듣기를 하기 전에 어휘학습과 배경지식 활성화를 위한 질문 및 토론 이 있었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학습자들은 녹음된 듣기 텍스트를 듣고 그들이 얼마나 듣고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는 제시된 몇 가지 문제를 풀었다. 듣기텍스트 가 학습자들에게 너무 길거나 어려울 경우, 두 번이나 세 번 반복하여 녹음된 것 을 들려주고 듣기 문제를 풀 시간을 주었다. 질문에 답한 후, 정답을 함께 맞추어 보았다. 그 이후, 교수자는 텍스트의 문장을 학생들에게 해석해 주며 문장구조를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관련된 문법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었다. 또한 중요한 어 휘와 그와 유사한 표현 혹은 관련된 표현 등을 보충하여 설명해 주었다. 또한 학 습한 문법이나 표현을 사용하여 간단한 문장을 영작해 보도록 하기도 하였다. 학 습자들이 듣기를 할 때 어렵거나 혼란스러울 수 있었던 발음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었으며, 더불어 어려워하는 부분을 함께 반복하여 따라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듣기텍스트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한 후, 녹음된 듣기 텍스트를 다시 들려주며 그들이 학습한 것을 다시 점검해 보도록 하였다. 통제반의 수업은 이와 같이 전통적인 방식의 절차로 시행되었다. 3.3 연구 도구 3.3.1 학업 성취도(중간고사, 기말고사) 본 연구에서 딕토글로스 활동이 영어수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47 후 검사로 학업성취도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시험을 활용하였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내용은 교재 중심으로 교재의 내용을 응용 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앞서 언급하였듯, 본 연구를 실시한 강좌의 수업방향은 의사소통 중심의 통합적 영어교육이다. 따라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지필고사 에 학습한 내용을 모두 반영해야 함으로 듣기, 어휘, 문법, 읽기, 영작에 해당하 는 문항을 시험문제에 포함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은 학습절차만 다를 뿐 공통 된 학습내용의 수업을 받았다. 그리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는 그 학습내용에서 출제된 문항이므로 실험반과 통제반의 성취도를 비교하기에 적합하다. 중간고사 와 기말고사는 각각 30문항, 30점 만점이다. 실험반과 통제반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문항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3.3.2 설문지 본 연구에서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 해 기말고사 직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것이 므로 딕토글로스 특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질문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어, 딕토글 로스는 듣기, 문법, 쓰기 학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질문을 포 함하였고, 동료와의 협동학습 방식이므로 피드백과 관련된 질문 등을 포함하였 다. 그리고 설문내용은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유용성, 적합성, 자신감, 흥미도, 참여도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객관식 문항은 모두 14개였으며,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 그렇다 5 매우 그렇다 의 5단위 리커트 방식 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지 회수 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가 믿을 만한 측정 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크론바흐의 알파계수 (Cronbach s alpha)를 사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설문지 전체 신뢰도가 0.84로서 믿을 만한 설문지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조사하기 위해 개 방형 질문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질문은 총 3문항으로 다음과 같다. (1) 딕토글 로스 활동을 통해 유용했던 점은 무엇입니까?, (2)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흥미로 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3)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248 이 명 관 3.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시험 점수 자료와 설문 자료를 SPSS 17.0 통계처리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영어수 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반과 통제반 두 집단의 학업 성취도인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검정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실험반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는 기술통계를 이 용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 견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개방형 질문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응답한 것을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학업 성취도에 대한 결과 연구 목적에 따라 실험반은 딕토글로스 활동을 이용한 수업을 하고, 통제반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한 뒤, 학업 성취도를 검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학업 성취도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실시한 점수를 반영하였다. 딕토글로스 활동을 한 실험반의 중간고사 평균 점수는 21.49점이고, 통제반은 20.29이다.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기말고사에서는 실험반의 평균점수가 21.88점이 고 통제반의 평균점수는 20.03으로 실험반이 통제반보다 1.85점 높다. 이 결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p<0.05).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49 <표 2>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집단 간 비교 구분 집단 학생 수 평균 표준편차 t p 중간 실험반 43 21.49 3.33 1.34.19 고사 통제반 38 20.29 4.55 기말 실험반 43 21.88 3.70 2.05.04* 고사 통제반 38 20.03 4.45 *p<.05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딕토글로스 활동을 한 수업에서 전통적인 방법으 로 한 수업에서 보다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나타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한 수업이 더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고사에서는 실험반이 더 높은 평균점수를 얻었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단기간에 학습효 과를 가져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이유로 첫 번째, 학생 들이 새로운 학습 방식에 적응하는 데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 된다. 두 번째, 딕토글로스 활동이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그 특징상 어려울 수 있는 것 같다. 딕토글로스 활동은 단순히 듣고 받아쓰는 것이 아니라 들은 내용 을 재구성하여 산출물을 만드는 작업이므로 다소 복잡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이 활동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공동의 과제를 함께 수행해야 하는 협동 학습으로써,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구성원들 과 함께 하는 학습에 익숙해지는 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생 각된다.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가 대학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힌 선행연구들(김창호, 2012; 선명진, 2011; 이효신, 2011)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 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영어 수업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4.2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4.2.1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태도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250 이 명 관 알아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태도 설문결과 항목내 용 문항 번호 설문내용 평균 표준 편차 유용성 2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나의 영어듣기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3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나의 영어문법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4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나의 영어작문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5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나의 전반적인 영어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14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나의 학업성취 도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적합성 1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 로 만족스러웠다. 6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 방식이 나에게 적 합한 학습방식이라고 생각한다. 11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을 받을 수 있어 좋았다. 13 나는 앞으로도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영어공부를 하고 싶다. 자신감 8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영어 듣기 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9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영어 작문 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10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영어 문법 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3.95.70 3.12.83 3.64.79 3.88.74 3.62.96 3.88.59 3.29.97 3.79.84 3.60.89 3.24.79 3.02.87 2.83.76 평균 표준편 차 3.64.33 3.64.26 3.03.20 흥미도 7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재미있었다. 3.43.89 3.43.89 참여도 12 나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였다. 3.86.72 3.86.72 전체 3.52.81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51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평균이 3.52로 보통이다 와 그렇다 의 중간정도를 보여주었 다. 14개의 설문문항을 내용에 따라 5개의 항목, 유용성, 적합성, 자신감, 흥미 도, 참여도로 나누어 본 결과, 유용성은 평균 3.64, 적합성은 3.64, 자신감은 3.03, 흥미도는 3.43, 참여도는 3.86점이다. 각 항목의 평균점수를 비교해 보면 참여도가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여주었고, 그 다음이 유용성과 적합성이다. 그 리고 흥미도 순이며, 자신감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딕토글로스 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 참여를 적극적이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딕토 글로스 활동의 절차는 학습자 중심이며 협동학습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딕토글로스의 특성이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딕토글로스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활동으로 구성되 어 있다고 한 Vasijevic(2010)의 주장을 뒷받침해 준다. 그리고 <표 3>의 결과 를 보면, 유용성과 적합성 항목에서 그렇다 쪽에 가까운 응답을 보였다. 학습자 들이 딕토글로스가 영어학습에 도움이 되고 적합한 활동이라고 인식하는데 긍정 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딕토글로스 활동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준 이 결과는 본 연구의 학업성취도 효과성 에 대한 결과와 일치하여 반영되고 있다.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항목은 다 른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자신감에 해 당하는 항목에서는 보통이다 의 응답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딕토글로스 활동은 듣고 받아 적은 핵심 단어 및 표현들을 이용해 들은 내용을 재구성하고, 오류수 정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과제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절차는 통합적인 학 습과정을 요구하므로 학습자들에게 다소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본 수 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딕토글로스를 처음 접하기 때문에 이 활동과정에 적응 하는 데에도 다소 시간이 걸렸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흥미도 항목 결과에서는 보통이다 와 그렇다 의 중간으로 이 활동이 학 습자들의 흥미를 북돋우는데 매우 긍정적이었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표준편차
252 이 명 관 가 0.89로 큰 편차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활동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 의 선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의 특 성 영향일 수도 있지만, 협동학습 과정을 요구하는 활동이 학습자 개개인의 흥미 도에 차이를 크게 드러나게 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명관 (2012)의 연구에서, 참여형과 협동형의 학습스타일을 지닌 학습자들이 협동학습 에 높은 만족도를 느낀다고 한 결과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즉, 학습자 개인의 학습스타일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방식이 다르므로, 협동학습의 특성을 지닌 딕 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 흥미도 결과가 큰 편차를 보이는 것 같다. 학습자들이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살펴보 기 위해 각 항목에 대한 각 문항의 결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딕토글로스 활동 의 절차는 듣기, 문법, 쓰기 활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와 관련된 문항을 유용성과 자신감 항목에 포함하였다. 유용성 항목에서 학습자들은 2번 문항 딕토글로스 활동이 영어 듣기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에 평균 3.95로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4번 작문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에 평균 3.64로 대체로 그렇다 에 가까운 응답을 하였다. 이 정원과 김귀현(2009)의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형태가 영어 쓰기 학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딕토글로스는 협동학습 형태의 작문활동을 포함하 고 있다. 이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응답은 이정원과 김귀현의 연구 결과를 어느 정도 뒷받침해 준다고 본다. 그리고 3번 문법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에서는 학습자들이 평균 3.12로 보통이다 에 더 가까운 응답을 하였다. 딕토글로스는 원래 문법능력 향 상을 위해 제안된 활동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이 다른 항목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법능력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다. 이는 기존의 학습방식과는 달리, 동료와의 협동학습을 통한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문법에 대 한 명시적인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일 수도 있는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의 딕토 글로스 활동 절차는 문법능력의 유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적 측면에서 긍정 적이라고는 볼 수 없다. 주목해 볼 만한 것은 이와 같은 학생들의 학습효과적 측면인 유용성에서의 인 식이 그들의 자신감에 대한 응답에서도 일치하는 순서의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53 것이다. 8번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영어 듣기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 한다 에 평균 3.24이며, 9번 작문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에 평균 3.02이다. 그리고, 10번 문법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에 평균 2.83 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듣기, 문법, 작문 중 듣기학습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학 습자들은 이 활동 중 들으면서 핵심 단어를 받아 적고, 그것을 동료 학습자와 비 교하는 과정이 작문 및 문법과 관련된 이 활동의 다른 과정보다 그들에게 더 도 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것 같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재의 듣기 텍스트 는 학생들이 토익과 같이 기존에 접하던 듣기 텍스트에 비해 내용이 길고 어려웠 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소 난이도가 있는 텍스트를 재구성하여 작문하는 딕토 글로스 활동을 하는데 있어 학생들은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다. 이러한 면이 학 습들에게 작문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한계점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문법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관한 설문결과에서는 보통이다 수준미만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교수자의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부족한 것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법정확성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했을 수도 있 는 것으로 추측된다. 딕토글로스 활동은 통합적인 학습이므로 전반적인 영어능력에 도움이 되었는 지에 대한 질문(5번)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 문항은 평균 3.88로 대체로 그렇 다 에 가까우므로, 학습자들이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4번 학업성취도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결과도 평균 3.62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적합성 항목의 문항에서 학습자들은 1번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다 에 평균 3.88로 대체로 그렇다 에 가까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 었다. 또한, 13번 앞으로도 이 활동을 통해 영어공부를 하고 싶다 에도 평균 3.60으로 대체로 그렇다 에 가까운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6번 이 활동이 나 에게 적합한 학습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에서는 평균 3.29로 위의 두 문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표준편차 역시 0.97로 위의 두 문항에 비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는 흥미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학습방식
254 이 명 관 에 대한 학습자들 개개인의 선호도에 있어서 차이가 큰 것에 대한 영향인 것 같 다. 그리고 11번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 좋았다 에서 평균 3.79점으로 대체로 그렇다 에 가까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활동은 협동학습을 통해 공동의 과제를 완성해야하므로 동료들간의 피드백을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Stoch(1998)는 동료간의 피드백은 학생들 로 하여금 서로간의 언어지식에서의 차이에 주목하게 하거나 그 지식을 강화시 키는 확실한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또한 Ur(1998)는 읽기나 말하기와는 달리 듣기는 학습자들이 들은 것이 여전히 그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동안에, 그리고 그것을 다시 들을 가능성이 있는 동안에 그들의 듣기 수행에 대한 즉각적 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런 면에 비추어 볼 때, 동료피드백 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딕토글로스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태도에 대한 설문 결과는 전체적으로 평균 3.52점으로 보통이다 와 대체로 그렇다 의 중간이므로 긍정적인 반응에 가깝기는 하나 높은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는 해석할 수 없다. 더욱이 표준편차에서 다소 높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활동에 대한 학 습자들의 의견을 개방형 질문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4.2.2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의견 결과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밝히기 위해 이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1)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유용했던 점은 무엇입니까? 딕토글로스 활동이 유용했던 점에 대해 학생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쓰도록 한 결과 <표 4>와 같이 크게 7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설문조 사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조사해 보고자 한 것이다. 따라 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기준을 제공하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자유롭게 응 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학습자들은 학습절차와 방 식측면에서의 유용성과 학습 효과적 측면에서의 유용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55 에서는 그들의 응답을 그대로 반영하여 분류하였으므로 이 두 가지 측면의 범주 가 혼합되어 분류되었다. <표 4> 딕토글로스 활동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 응답 결과 순위 내용 학생수(%) 1 듣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14(33) 2 그룹활동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10(23) 3 효과적인 학습방법이었다. 5(12) 4 통합학습이 되어 효과적이었다. 4(9) 5 작문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3(7) 6 전반적인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3(7) 7 기타 4(9) 전체 43(100) 딕토글로스 활동이 유용했던 점에 대해 33%에 해당하는 14명의 학생들이 영 어 듣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는 내용으로 답변하였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 인 응답으로 더 집중해서 듣게 되었다., 정확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토익 듣기 점수가 올랐다.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표 3>의 설문결과에서 학습 자들이 딕토글로스 활동이 영어 듣기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에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보인 것과 일관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룹활동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는 내용으로 응답한 학생들이 23%(10명)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응답으로 내가 듣지 못 한 부분에 대한 동료 피드백이 있었던 점이 유용했다, 친구들과 상의하며 완성 해 나가는 과정이 좋았다. 문법과 작문을 친구들과 같이 생각해 보고 좋았다. 등이 있다. 이러한 응답은 학습자들이 그룹활동 동안 협동학습의 장점을 활용하 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Thornton(1999)에 의하면, 교수자가 배경정보를 설명함 으로써 텍스트를 이해시키기 위해 틀(framework)을 제공한 후, 실시하는 협동학 습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더욱 적절한 비교나 예를 발전시 킬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의 절차에서 협동학습의 효율성을 뒷받 침해 준다. 세 번째 순으로 12%(5명)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이 활동의 전반적인 학습방법 이 효과적이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으로 수업내용이 오래 기억
256 이 명 관 남, 영어에 대한 부담감이 사라진다, 학습에 대한 집중력 향상 등이 있다. 네 번째 순으로 9%(4명)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이 활동이 통합학습이 되어 효과적이 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듣기와 작문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 다., 듣고 쓰고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 깊이 공부하는 것 같았다, 작문능력이 향 상되고 문법에 신경쓰게 되고 집중해서 듣기를 하게 된다 와 같이 답변하였다. 그리고 작문실력에 도움이 되었다 와 전반적인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 다 는 내용으로 각각 7%(3명)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답변하였다. 전반적인 영어 능력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으로는 토익 점수가 올랐다., 영어 문제 풀 때 문맥 파악이 더 잘 되었다. 등이 있다. 그리고 기타로 영어단어를 외우는 게 더 수월다., 내 어휘수준을 알 수 있었다 등의 응답이 있다. 결과적으로 딕토글로 스 활동의 유용성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은 협동학습과 통합학습을 포함하고 있 는 딕토글로스 활동의 장점을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2)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흥미로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흥미로웠던 점에 대해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한 결과 <표 5>와 같이 크게 5가지로 분류되었다. <표 5> 딕토글로스 활동의 흥미도에 대한 학습자 응답 결과 순위 내용 학생수(%) 1 그룹활동이 재미있었다. 25(58) 2 듣기활동이 재미있었다. 8(18) 3 통합학습이 재미있었다. 5(12) 4 수업방식이 좋았다. 2(5) 5 기타 3(7) 전체 43(100)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58%(25명)에 해당하는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그룹활 동이 재미있었다 는 내용으로 답변하였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응답으로 조원 들끼리 적은 것을 비교할 때 같은 것을 들었는데 서로 적은 내용이 달라서 신기 했다., 영어를 듣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각자 써 본 내용을 비교해서 작문하는 것이 재미있었다., 내가 몰랐던 부분을 친구가 알고, 그래서 배우고 좋음 등이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57 있다. 이는 학습자들이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영어청취 수업에서 개별학습보다는 협동학습을 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효신(2011)의 연구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그리고 듣기 활동이 재미있었다 는 내용으로 18%(8명)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답하였다. 학생들은 반복해서 들으니 받아쓰기가 잘 되어 재미있었다., 긴 지문 을 듣기만 하면서 받아적어 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흥미로웠다. 등이 있다. 세 번 째로 통합학습이 재미있었다 는 내용으로 응답한 학생이 12%(5명)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학생들은 주로 듣기와 쓰기를 동시에 하는 것이 재미있었 다, 들은 내용을 작문해 보는 것이 재미있었다. 고 하였다. 그리고 일방적인 수 업방식이 아닌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었던 것 같아 좋았다. 와 같이 수업 방식이 재미있었다 는 내용으로 답변한 학생들이 5%(2명)이다. 오영호(2011)의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것을 보면, 딕토글로스 활동의 협동학습 구조는 학습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좀 더 흥미를 갖게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쓰기 및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이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본 연구에서의 딕토 글로스 활동의 흥미도에 대한 학습자 의견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3)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개선되길 바라는 점 대해 학습자들에게 자유롭게 답변하 도록 한 결과 <표 6>과 같이 크게 7가지로 분류되었다. <표 6> 딕토글로스 활동에서의 개선점에 대한 학습자 응답 결과 순위 내용 학생수(%) 1 없다 11(26) 2 그룹 구성원 배정의 고려 7(16) 3 학습 내용 난이도 조절 필요 6(14) 4 학습 활동량의 부담감 5(12) 5 강의식 수업 (문법과 어휘) 요구 4(9) 6 그룹활동보다 개별활동을 했으면 좋겠다 3(7) 7 기타 (세부적인 수업방식의 요구사항) 7(16) 전체 43(100)
258 이 명 관 본 연구에서 실시한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26%에 해당하는 11명의 학생들 은 개선해야 할 점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16%(7명)의 학생 들은 그룹 구성원 배정이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고 하였다. 학생들은 조원들 의 실력을 파악해서 듣기가 약하고 강한 사람들을 한 조에 적절히 배정하면 좋은 결과가 눈에 띄게 나타날 것 같습니다., 구성원을 잘 짜면 좋을 것 같아요. 실력 이 골고루 섞이도록..., 출석번호대로 조 구성하는 것 별로임 등과 같이 수준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그룹 구성원을 배정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는 III장에서 언급하였듯이 출석부 순으로 그룹 구성원을 배정하였다. 그러나 협동 학습 시 구성원 배정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Slavin(1995)의 언급과 같이, 협 동학습을 토대로 하고 있는 딕토글로스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룹 구성원 을 배정할 때 학습자들의 수준과 요구를 신중히 고려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학습 내용의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고 14%에 해당하는 6명의 학생들이 답변하였다. 그들의 구체적인 답변으로 좀 더 쉬운 내용이었으면 좋겠 다., 내용 난이도가 초급-중급-상급과 같이 처음에는 쉬운 것부터 단계별로 했 으면 좋겠다., 책에 있는 지문 이외에도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했으면 좋겠 다. 등이 있다. 또한 12%에 해당하는 5명의 학생들은 학습 활동량의 부담감 을 지적하였다. 그들은 듣기 학습이 너무 많아지면 부담이 된다., 수업시간에 주어 졌던 활동시간이 부족했다, 매번 하는 것이 힘들었다. 등과 같은 답변을 하였 다. 이와 같은 결과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위한 듣기 지문을 선택할 때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듣고 핵심단어를 쓰 고 그 단어들로 내용을 작문하는 과정이 이 활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다소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는 과제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영어능력 수준을 충분히 고 려한 지문을 선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부담을 갖 지 않도록 활동시간에 대해서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개선점에 대해 9%에 해당하는 4명의 학생들은 문법 과 어휘학습을 위한 강의식 수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들은 교수님이 중요한 문법사항과 어휘를 더 많이 짚어주셨으면 좋겠다., 전체수업에서 문법 등의 강 의를 더 많이 듣고 싶다. 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또한 7%(3명)의 학생들은 그룹 활동보다 개별활동을 했으면 좋겠다 는 답변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룹활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59 동인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표 4>와 <표 5>에서 그룹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학생들이 많았다. 그러나 <표 6>에서 보듯이, 몇몇 학생들은 강의식 수업 및 개별활동의 필요성을 나타내 며 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팀원 모두가 한 부분을 함께 듣기보다는 단락별로 나누어서 듣고 맞춰 보는 게 더 효율적일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dictation도 좋지만 듣고 따라하여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는 활동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에 최종적으로 빈칸 받아쓰기를 했으면 좋겠다, 한 학기에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 로 하면 좋을 것 같아요. 등과 같은 기타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기타 의견들은 대체로 수업 방식에 대한 제안이나 요구사항들로 다양하였다. 이와 같은 딕토글 로스 활동의 개선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앞으로의 수업에 이 활동을 적용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V.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 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 보았다. 또한 딕토글로스 활동의 어떤 점이 효과적인 지, 그리고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학생들의 의견을 심층적으 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딕토글로스 활동을 수행한 실험반과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을 한 통제반의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간고사에서는 실험반과 통제반의 평균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말고사에서는 실험반이 통제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정도로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따라 서 딕토글로스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보다 더 효과적인 것
260 이 명 관 으로 밝혀졌다. 중간고사 학업성취도에서 실험반과 통제반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였다는 것은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해 단기간에 학습효과를 기대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그 절차의 특 성상 다소 복합적이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기존의 학습방식과는 다 른 새로운 학습활동에 적응하는 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편에 가까운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 의 설문문항을 내용에 따라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해 본 결과, 참여도에서 가장 긍정적인 응답의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 순으로 유용성과 적합성이 었다. 그리고 흥미도 순이었으며, 자신감이 가장 낮은 순이었다. 딕토글로스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특성을 갖춘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 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또한 유용성과 적합성 면에서의 학생들의 긍정적인 응답은 본 연구의 학업성취도 효과에 대한 결과와 일치하여 반영되고 있으므로 딕토글로스가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입증해 준다.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이 활동 의 유용성, 흥미도, 개선점에 대해 어떠한 기준을 제공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자 유롭게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딕토글로스 활동을 통한 듣기학습 에 대해 유용하고 흥미로운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딕토글로스가 영어 듣기 수 업을 위한 활동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그룹활동과 통합학습적 측면이 유용하고 흥미로운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협 동학습과 통합학습을 포함하고 있는 딕토글로스 활동의 특징을 학습의 장점으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학생들은 협동학습을 위한 그룹 구성원 배정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 하였다. 또한 학습 내용 난이도 조 절 과 학습 활동량에 대한 부담감 등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그 외에도 수업방 식에 대한 요구사항이나 제안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응답은 딕토글로스 활동을 학 습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해 준다.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61 본 연구는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았다. 통합학습과 협동학습의 특성을 갖춘 딕토글로스 활동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효과적이다. 또한 이 활동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보 였다. 이는 이 활동에 대한 유용성과 흥미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에서도 일치하 는 응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활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이 활동의 개선점에 대해 학생들이 응답한 것을 토대로 협동학습의 구성원 고려와 학습내용 난이도, 학습량 등에 대한 세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어 능력이 중급 수준에 해당하는 학 생들이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그 러므로 세부적인 각 수준에 따른 딕토글로스의 효과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학습 자의 의견을 더욱 세밀히 조사하여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 구는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영어 수업에 딕토글로스 활동을 적용함으로, 이 활 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대학 영어의 교수- 학습에 보다 효율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 용 문 헌 김창호. 대학교 교양영어 학습에서 딕토글로스(Dictogl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영어 영문학연구 38.2 (2012): 191-218. 선명진. 영어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딕토글로스. 언어학연구 20 (2011): 111-27. 오영호. Dictogloss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이명관. STAD 협동학습을 통한 토익 독해(RC) 수업의 효과. 현대영어교육 12.2 (2012): 125-48. 이정원, 김귀현. 협동학습을 통한 받아쓰기 작문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 치는 영향. 현대영어영문학 53.2 (2009): 243-62. 이효신. 딕토글로스 활용 대학생 영어뉴스청취 학습의 듣기능력 신장 효과 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8.1 (2011): 225-51. Brown, H. D. Teaching by Principles.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Regents, 2000. Cohen, E. G.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262 이 명 관 Groups. Review for Educational Research 64 (1994): 1-35. Ellis, R.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New York: Oxford UP, 2003. Freeman, D., & Freeman, Y. Whole Language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Portsmouth, NH: Heinemann, 1992. Gardner, H.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1999. Grove, C. Focusing on Form in the Communicative Classroom: An Outputcentered Model of Instruction for Oral Skills Development. Hispania 82 (1999): 817-29. Izumi, 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rocess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 Search of the Psycholinguistic Rationale of the Output Hypothesis. Applied Linguistics 24.2 (2003): 168-96. Jacobs, G. & Farell, T. S. C. Paradigm Shift: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Change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TESL-EJ 5.1 (2001): 126-37. Jacobs, G., & Small, J. Combining Dictogloss and Cooperative Learning to Promote Language Learning. The Reading Matrix 3.1 (2003): 1-15. Johnson, D. W., & Johnson, R. T.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Edina, MN: Interaction Book Company, 1989. Kang, D. The Role of Dictogloss on Both Listening and Grammar. English Language Teaching 21.1 (2009): 1-23. Mackey, A., & Gass, S. Introduc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sition 28 (2006): 169-178. Malmqvist, A. How does Group Discussion in Reconstruction Tasks Affect written Language Output? Language Awareness 14.2-3 (2005): 128-41. Mcdonough, J., & Shaw, C.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A Teacher's Guide. Malden, MA: BlackWell, 2000. Nabei, T. Dictogloss: Is it an Effective Language Learning Task? Working Papers in Educational Linguistics 12.1 (1996): 59-74. Olsen, R. E. W.-B., & Kagan, S. About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A Teacher s Source Book. Ed. C. Kessle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2. 1-30. Shark, J. Children using Dictogloss to Focus on Form. Reflections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5.2 (2005): 47-62. Slavin, R. 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Boston: Allyn & Bacon, 1995. Storch, N. A Classroom-based Study: Insights from a Collaborative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263 Reconstruction Task. ELT Journal 52.4 (1998): 291-300. Swain, M. Intergrating Language and Content Teaching Through Collaborative Tasks. Language Teaching: New Insight for the Language Teacher. Eds. W. A. Renandya & C. S. Ward, Singapore: Regional Language Centre, 1999. 125-47. Thornton, P. Read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Eds. D. Kluge, S. McGuire, D. Johnson & R. Johnson, Japan: JALT Applied Materials, 1999. 95-105. Vasiljevic, Z. Dictogloss as an Interactive Method of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to L2 Learners. English Language Teaching 3.1 (2010): 41-52. Ur, P.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UK: Cambridge UP, 1998. Wajnryb, R. Grammar Dictation. Oxford: Oxford UP, 1990. Willis, J., & Willis, D. Challenge and Change in Language Teaching. London: Heinemann, 1996. 이명관 주소: (430-714)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 5동 708-113 안양대학교 교양학부 전화: 031-467-0828 / 이메일: mklee@anyang.ac.kr 논문접수일: 2014. 03. 29 / 심사완료일: 2014. 04. 25 / 게재확정일: 2014. 0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