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ZDQJMHRUVW.hwp



Similar documents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The Mediating Eff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132C8ABBCF8C7FD2E687770>

- 89 -

- 2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다문화 가정의 부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3 * Effects of 9t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 Strenghening the Cap

歯14.양돈규.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Study on the Pe

¾Æµ¿ÇÐ´ë º»¹®.hwp

Kor. J. Aesthet. Cosmetol., 라이프스타일은 개인 생활에 있어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모든 측면의 생활방식과 차이 전체를 말한다. 이러한 라이프스 타일은 사람의 내재된 가치관이나 욕구, 행동 변화를 파악하여 소비행동과 심리를 추측할 수 있고, 개인의

歯5-2-13(전미희외).PDF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230 한국교육학연구 제20권 제3호 I. 서 론 청소년의 언어가 거칠어지고 있다. 개ㅅㄲ, ㅆㅂ놈(년), 미친ㅆㄲ, 닥쳐, 엠창, 뒤져 등과 같은 말은 주위에서 쉽게 들을 수 있다. 말과 글이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바뀌고, 외 국어 남용과 사이버 문화의 익명성 등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 (, 2013).,.,, (,, 2011). (, 2007;, 2008), (, 2005;,, 2007).,, (,, 2010;, 2010), (2012),,,.. (, 2011:,, 2012). (2007) 26%., (,,, 2011;, 2006;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3, pp DOI: The Effect of Caree

,......

서론 34 2

<31342EBCBAC7FDBFB52E687770>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Kor. J. Aesthet. Cosmetol., 및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만족 정도 에 따라 전반적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체는 갈수록 개 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안희진, 2010). 따라서 외모만족도는 개인의 신체는 타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3, pp DOI: * The Grounds and Con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특수교육논총 * ,,,,..,..,, 76.7%.,,,.,,.. * 1. **


나하나로 5호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전체).hwp

CC hwp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 A basic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An Exploratory Stud

54 한국교육문제연구제 27 권 2 호, I. 1.,,,,,,, (, 1998). 14.2% 16.2% (, ), OECD (, ) % (, )., 2, 3. 3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A Study on the Opti

¾ç¼ºÄÀ-2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02. 서여주 외 2인(최종).hwp

DBPIA-NURIMEDIA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경찰공무원의사회적지지와직무열정과의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 * A Study on the


2002report 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hwp

< FC3BBBCD2B3E2C1A4C3A5C0C720C8AEC0E5B0FA20B9DFC0FC28C3D6C1BE31292E687770>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Parents Percep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한국 출산력의 저하 요인에 관한 연구

»êÇÐ-150È£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4, pp DOI: * A Study on Teache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The Effect of Pare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1, pp DOI: * A Analysi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1, pp DOI: The Effects of Pare

KD hwp

DBPIA-NURIMEDIA

상담학연구 * ,. SAS,,, Sobel test., (,, ), (, ), (, ) (,, ).,,,.,.. *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

<30392EB9DAB0A1B6F72CC1A4B3B2BFEE2E687770>

CC 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DBPIA-NURIMEDIA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353420B1C7B9CCB6F52DC1F5B0ADC7F6BDC7C0BB20C0CCBFEBC7D120BEC6B5BFB1B3C0B0C7C1B7CEB1D7B7A52E687770>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DBPIA-NURIMEDIA

<35BFCFBCBA2E687770>

* ** *** ****

상담학연구,, SPSS 21.0., t,.,,,..,.,.. (Corresponding Author): / / / Tel: /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S

<30382E20B1C7BCF8C0E720C6EDC1FD5FC3D6C1BEBABB2E687770>


도비라

DBPIA-NURIMEDIA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C0DBBEF7C1DF202D20C7D1B1B9BFA9BCBAC0CEB1C7C1F8C8EFBFF85FBFA9BCBAB0FA20C0CEB1C728C5EBB1C736C8A3292DB3BBC1F6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2, pp DOI: * Early Childhood T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27 2, 1-16, * **,,,,. KS,,,., PC,.,,.,,. :,,, : 2009/08/12 : 2009/09/03 : 2009/09/30 * ** ( :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µ¿øÇÑÄ£±¸µé-201È*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Transcription: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0, Vol. 11, No. 4, 1767-1782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and Self-Control,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Kim, Won-Hee Lee, Dong-Hun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self-control and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a sample of 240 the first and second-grad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and interparental conflict. It means the more interparental conflict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the mor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they display.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quency and content,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the interparental conflict. As a result, as students perceive that the interparental conflict happens more frequently and that the content of interparental conflict is much more related with their problems, their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go high. Second, there is a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It means the higher self-control the middle school students display, the lower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they show. Third, in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there is higher negative correlation in self-control than in interparental conflict. The self-control affects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much more than interparental conflict the students perceive. Fourth, there was no moderate effect of self-control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and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Key words :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Self-control,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 1782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A. A., Ureno, G., & Villasenor, V. (1988). Inventory of 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Ingoldsby, E. M., Shaw, D. S., Owens, E. B., & Winslow, E. B. (1999). A Longitudinal Study of Interparental Conflict, Emotional and Behavior Reactivity, and Preschoolers & apos; Adjustment Problems among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7(5), 343-356. Kitzman, K. M., & Cohen, R. (2003). Parent's versus children's friendship qualit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20(5), 687-702. Rohrbeck, C. A. Azar. S. T. & Wagner, P. E., Child self-control Ration Scale; Validation of Child selfreport Measur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0(2), 1991, 179-183. 원고 접수일 : 2010. 9. 15. 게재 결정일 : 2010. 11. 15. - 1781 -

상담학연구 이경은 (1998). 학교생활 부적응 유형과 요인에 따 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대 구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동홍 (2003). 아동의 자기 통제력 관련 변인의 인 과모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이동훈 외 (2007). 위기청소년 반사회적 행동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 개발연구 연구( 총서), 1-92 (92 쪽) Ⅱ. 청소년 상담 이동훈 외 (2009).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 검 사 및LCSI-C 검사와의 관계.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5(B), October 2009. pp.2501-2515. 이민식, 오경자 (2000).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지각 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 리학회지 : 임상, 19(4), 727-745. 이선경 (1999).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 요인과 보호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영미 (2004). 부모간의 갈등 및 성인 애착에 따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천안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조원숙 (2009). 초등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자기효능 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희옥, 문재우, 박재산 (2005). 가족 내 갈등과 학 교부적응간의 관련성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17, 79-106 한난신 (2001). 중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 유형과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연구.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청소년문제론.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학교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 비 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학교주변 유해환경의 실태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Carson, R. (2001). Sex difference in ego function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7, 367-377. Emery, R. E. (1982). Interparental conflict and the children of discord and divorce, Psychol Bull, 92, 310-330. Erel. O. & Burman, B. (1995).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8(1), 108-132.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w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 103-115. Goldfreid, M. R. & Mebaum, M., (1973). Behavior change through self control,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06-156. Gread, J. M., & Buehler, C. (1999). Multiple Risk Factors in the Family Environment and Youth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2), 343-361. Grych, J. H., &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i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 558-572. Grych, J. H. (2005). Interparental conflict as a risk factor for child maladjustment. Family Court Review. 43(1), 97-108. - 1780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권영옥 (1998).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아동행동 문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영옥, 이정덕 (1997).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PIC) 의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19(1), 65-80. 김경연, 김선희 (1999). 아동의 행동문제와 관련변 인간의 인과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55-166. 김동하 (1992), 초등학교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감소 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두섭, 민수홍 (1996). 개인의 자기 통제력이 범죄 억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 형사정책연구원. 김용희 (1988). 중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 과정과 요인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범 (2009).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6(2), 25-48. 김현숙 (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 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김현주, (2000). 학교사회사업 도입을 위한 청소년들 의 학교부적응 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김환복 (1984). 학교생활 부적응 청소년의 가정 환 경적 특성 분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남현미, 옥선화 (2001).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및 친구 특성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7), 37-58. 노길미 (199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비행과 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지형, 송현주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과의 관계. 심리 치료, 7(2), 75-89. 민수홍 (1996). 비행의 조기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박금희(1986). 靑 少 年 期 子 女 가 知 覺 한 父 母 의 和 合 度 와 家 族 의 凝 集 性 및 適 應 性 과 靑 少 年 의 不 安 水 準 간의 關 係.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박수잔 (1997).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 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박현선, 이상균 (2008).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 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37), 399-427. 박희자 (2001). 해결중심 단기상담프로그램이 고등 학생의 충동성 및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성민선 외 (1998).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학 교사회사업 실천모델연구. 학교사회사업, 창간 호. 송명자 (1995).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오승연 (1993). 초등학교 아동의 충동성과 부적응 오승환 행동 및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영향요인- 위 험요인에 대한 학교보호요인의 매개효과 분 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1(1), 161-181. 이경님 (2004). 아동의 개인 및 가족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 변인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833-845. - 1779 -

상담학연구 으로, 자기 통제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 고한 조원숙(2009) 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자기 통제력이 위기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행동을 주 어진 상황에 맞게 잘 통제하여 그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김경 연, 김선희(1999) 의 연구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 문제를 감소시키 고 학교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보호요인이란 비행을 예측하게 하는 위 험요인의 반대개념으로, 문제를 직접 감소시킴으 로써 위험을 줄일 뿐만 아니라 위험요인과 부적 응행동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킨다. 이러한 보호요 인들을 발견해냄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부적응 문제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 을 것이다. 셋째, 부부갈등 지각과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 통 제력,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순으로 학교부적 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요인을 찾아내어 이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보 호요인을 밝혀내어 이를 보강시키는 것이 청소년 의 문제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 임을 보고한 Carson(2001) 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보다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과 영향력을 나타 냈다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위험요인 제거보다 보 호요인을 강화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며, 단순히 자기 통제력을 증진시키는데 힘쓰는 차원이 아니 라 더욱 다양한 보호요인들을 검증하는 연구를 통해 자기 통제력 이외에도 다른 보호요인들을 찾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행동 문제 개입 에 보다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 이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중재효과를 살펴 보면 부부갈등 지각 과 자기 통제력 각각 고유 하게 학교부적응 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뚜렷하 게 나타났지만 부부갈등 지각 과 자기 통제력 의 상호작용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중재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 로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박현선, 이상균(2008) 은 중재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표본수가 적은 경우 검증력이 약화되어 중재효과 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실제 통계분석에 사용된 표집인원수 가 충분하지 않았을 수 있다. 두 번째로, 부부갈 등 지각 과 자기 통제력 의 낮은 상관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부모의 부부 갈등 이 자녀의 자기 통제력 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선행연 구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 지각 과 자기 통제력 의 상관계수(r= -.22, p<.001) 가 3이 하로 낮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중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의 상호작용 값을 통하여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통계처리 절차를 고 려할 때, 이같이 부부갈등 지각 과 자기 통제력 의 낮은 상관을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부산의 2개 중학교의 중학생으로 한정하고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 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자기보고식 척도를 통 해 부부갈등 지각 및 자기 통제력, 학교부적응 행 동의 정도를 측정했으므로 주관적 측정이 사용되 었다. 또한 중재효과 검증에 실패함으로써 부부갈 등과 학교부적응 행동,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를 단선적으로 살펴보는데 그쳤다. 후 속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행동에 좀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중 재변인들을 밝히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 1778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는 원인은 Horowitz(1998) 의 주장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자녀가 부모 불화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 고 생각하게 되면 나는 원래 사랑스럽지 않은 아이 라는 역기능적 신념들을 발달시키게 되고 정서나 행동에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에서도 문제 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자신에 대한 건강하지 않은 신념이나 이미지가 교우관계에 영향을 주어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권영옥(1998) 의 연구에서도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청소년이 부모의 부부갈등 원인이 자신 에게 있다고 지각하게 되면 부모 간의 갈등상황 을 저지하거나 그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행동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으로 인하여 생긴 부모의 부부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녀가 부적응 문제를 일으킴으로 써 부모가 부부갈등의 문제로부터 관심을 약화시 키거나 무관심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 부적응 행동을 설명해주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 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 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힌 이영미 (2004) 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부부갈등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적대감과 상관이 있으며, 결국 자녀 의 외현적 행동 문제와 내현적 문제를 예측하게 한다고 한 선행연구(Harold & Conger, 1997) 를 지 지한다. 이민식(1999) 은 자녀가 부부갈등을 자주 목격하고 심각한 것으로 지각 할수록 자녀의 정 서적 안정을 저해하고 비효율적인 대처반응을 보 인다고 하였다. 또한 Grych(2005) 는 갈등의 빈도와 강도, 갈등 해결의 수준과 갈등의 원인 등이 아동 및 청소년의 지각된 위협 정도와 자책감을 높인 다고 하였다. 이렇게 지각된 위협이 높고 부모의 갈등에 대한 대처효율성이 낮아지게 되면, 자녀는 불안감과 무력감, 슬픔이나 우울이 높아진다고 보 고하였다. 가족 내에서 기본적 욕구를 충족하며 적응 능 력을 배우게 되는 자녀들은 이러한 부모간의 불 화에 매우 민감하여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피해를 입거나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부갈등은 자녀들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Gread & Buehler, 1999), 적응상의 문제를 일으킨 다(Ingoldsby, Shaw, Owens & Winslow, 1999). 또한 부부갈등으로 인해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와 좌 절, 무기력감은 부모와 자녀간 상호작용으로 이어 져 자녀를 부정적으로 대하거나 지나친 간섭과 무관심을 보일 수 있다( 노지형, 송현주, 2007). 민 수홍(1996) 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부간의 갈등과 다툼이 있거나,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무관 심하거나 감독 정도가 낮은 경우 자녀가 자기 통 제력을 개발시키는데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불화는 가족의 통제력을 약화시켜 자녀의 성격 및 정서발달에 장애요인이 되며, 청소년의 불안수 준을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금희, 1986). 그러므로 중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행동 문제를 단 순히 중학생의 개인 내적인 문제로만 접근하기보 다는 부모교육 및 가족 상담 등의 다차원적인 접 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부부간의 갈등이 있을 수 있지만 이 러한 부부갈등이 자녀의 심리적 불안 및 학교부 적응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부모와 자녀간의 활발한 대화를 통해 자녀의 불안감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 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단기 만족 추구, 장 기 만족 추구 순으로 학교부적응 행동과의 상관 을 나타냈으며,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을 설명해주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는 자기 통제력이 학교생활 적응을 높이는 변인 - 1777 -

상담학연구 표 6. 지각된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B SE β t R 2 F 자기 통제력 -.92.13 -.39-7.22 ***.328 59.181 *** 지각된 부부갈등.49.08.35 6.48 *** * p <.05, ** p <.01, *** p <.001 표 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중재효과 종속변인 독립변인 1단계β 2단계β 3단계β 부부갈등(A).43 ***.35 ***.05 자기 통제력(B) -.34 *** -.54 학교부적응 행동 A B.32 R 2.181.290 293 R 2.175.279.276 F 28.588 *** 26.200 *** 17.511 *** * p <.05, ** p <.01, *** p <.001 지각의 학교부적응 행동 설명력은 18.1% 로 유의 하였고, 2단계에서 부부갈등 지각과 자기 통제력 을 함께 투입했을 때 학교부적응 행동 설명력은 29.0% 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부부갈등 지각과 자 기 통제력의 상호작용변인을 추가적으로 투입했 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부부 갈등지각과 학교부적응 행동 관계에서 자기 통제 력의 중재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 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서 자기 통제력의 중재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 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 지각의 하위 요인 중 부부갈등 원인이 자녀 자신에게 있다고 지각하는 자기비 난 은 학교부적응 행동의 외현화( 행동) 문제, 부 모- 자녀관계 문제행동,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 동,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과 각각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친구관계에서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 - 1776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표 4.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간의 상관관계 단기만족추구 장기만족추구 자기 통제력 내재화( 정서) 문제 -.30 *** -.18 ** -.33 *** 외현화( 행동) 문제 -.30 *** -.12 -.29 ***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 -.47 *** -.35 *** -.57 *** 교사 - 학생 관계 문제행동 -.21 ** -.26 *** -.32 *** 부모 - 자녀관계 -.20 ** -.24 *** -.31 ***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19 ** -.19 ** -.26 ***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42 *** -.06 * -.34 *** 학교부적응 행동 전체 -.41 *** -.27 *** -.48 *** * p <.05, ** p <.01, *** p <.001 표 5.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B SE β t R 2 F 단기만족추구 -1.48.21 -.40-7.14 ***.235 37.141 *** 장기만족추구 -1.00.22 -.26-4.65 *** * p <.05, ** p <.01, *** p <.001 행동하기 전에 깊이 생각하고 욕구를 지연시키는 능력이 높을수록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 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3.5% 이며, F값은 37.14, 유 의수준 p<.001 수준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 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 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 통제력 전 체( β= -.39, p<.001), 부부갈등 전체( β=.35, p<.001) 순으로 학교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나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보다 자기 통제력이 더 학교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크게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을 공동으로 설명 하는 설명력은 32.8% 이며, F값은 59.18, p<.001 수준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의 중재효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 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자기 통제력에 의하 여 중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 귀분석을 실시였다. 1단계에서 중학생의 부부갈등 - 1775 -

상담학연구 타내는 빈도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 전 체는 학교부적응 전체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43, p<.001). 즉, 부부 갈등 지각이 높을수록 학교부적응이 높음을 의미 한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 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처효율성, 내용, 삼각 관계 순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에 부부갈등 상황이 어떻게 해결되었 는가에 대한 자녀의 지각을 나타내는 해결 요인 과 부부갈등 원인이 자녀 자신에게 있다고 지각 하는 것을 나타내는 자기비난 요인은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 각한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을 설명하는 설명력 은 22.5% 였다. F값은 8.56으로 유의수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상관관계는 표 4 와 같다.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r= -.48, p<.001), 충동적이고 자신 위주로 생각하며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단기 만족추구 (r=-.41, p<.001) 가 욕구를 지연시키는 능 력을 나타내는 장기만족추구 (r= -.27, p<.001) 보 다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결과는 표 5 와 같다. 단기만족추구( β= -.40, p<.001), 장기만족추구( β= -.26, p<.0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 적이고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낮을수록, 표 3. 중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계수 B SE β t R 2 F 빈도.60.65.08 0.92 강도.54.56.10 0.95 * 해결.18.60.03 0.29 내용 2.25.96.19 2.35 * 자기비난.07.75.01 0.10.225 8.561*** 지각된위협 -.68.49 -.11-1.39 * 대처효율성 1.60.57.20 2.81 ** 삼각관계 1.80.79.16 2.28 * * p <.05, p <.01, p <.001-1774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표 2.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상관관계 빈도 강도 해결 내용 자기 비난 지각된 위협 대처 효율성 내재화( 정서) 문제.31 ***.32 ***.23 ***.23 ***.11.30 ***.36 ***.26 ***.39 **** 외현화( 행동) 문제.12.18 **.15 *.32 ***.27 ***.12.07.28 ***.25 ***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24 ***.24 ***.17 **.22 ***.09.23 ***.28 ***.26 ***.31 *** 교사- 학생 관계 문제행동.19 **.22 ***.20 **.12.06.04.24 ***.13 *.22 ***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49 ***.39 ***.40 ***.32 ***.16 *.19 **.41 ***.20 **.47 ***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26 ***.20 **.30 ***.25 ***.15 **.12.28 ***.18 **.31 ***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19 **.20 **.15 *.32 ***.28 ***.14 *.08.24 ***.27 *** 학교부적응 행동 전체.34 ***.33 ***.31 ***.34 ***.21 **.23 ***.33 ***.30 ***.43 *** * p <.05, ** p <.01, *** p <.001 삼각 관계 부부 갈등 응 행동의 상관관계는 표 2 와 같다. 부부갈등 지 각과 학교부적응 행동(r=.43, p<.001) 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부부갈등 지각이 높을수록 학교부적응 행동이 높음을 의미한다. 하 위 요인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부부갈등 지각의 하위 요인 중 부부갈등의 노출 정도에 대한 자녀 의 지각을 나타내는 빈도 는 학교부적응 하위 요 인 중 내재화( 정서) 문제,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 교사- 학생 관계 문제행동,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 동,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 중에 서도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과 가족 및 부모 자녀 간의 친밀성을 나타내는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 동 (r=.49, p<.001) 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 며, 다음으로 정서 불안정을 설명하는 내재화 문 제 (r=.31, p<.001) 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부부갈등 지각 하위 요인 중 강도, 해결, 내용, 대처효율성, 은 모두 학교부적응의 하위 요인 중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과 가족 및 부모 자녀간의 친밀성을 나타내는 부모- 자녀관계 문제 행동 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학교부적 응의 하위 요인이지만, 측정하는 내용이 가족 관 련 내용이므로 부부갈등 지각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부부갈등의 하위 요인 중 부부갈등 원인이 자녀 자신에게 있 다고 지각하는 자기 비난 (r=.28, p<.001) 은 외 현화( 행동) 문제,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부적응 하위 요인 중 친구관계에서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부부갈등의 하위 요인 중 부부갈등 상황 에서 자녀가 느끼는 두려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각된 위협 은 내재화 문제 와 가장 높은 상관 을 보였고, 대처효율성 은 내재화 문제,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 교사- 학생 관계 문제행동,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 행동,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와 정적인 상관 을 나타냈다. 학교부적응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 인 부부갈등 지각 하위요소는 부부갈등의 내용이 자녀 자신과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자녀의 지각 을 나타내는 내용 과 부부갈등의 노출 정도를 나 - 1773 -

상담학연구 표 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 및 학교부적응 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 (N=248) 영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자기통제력 학교부적응 행동 척도( 문항 수) M SD 빈도(6) 1.73 2.81 강도(7) 1.83 3.53 해결(6) 1.70 2.86 내용(4) 1.36 1.65 자기비난(5) 1.49 2.03 지각된 위협(6) 1.70 3.14 대처효율성(6) 1.91 2.51 삼각관계(4) 1.47 1.76 부부갈등지각(44) 1.68 14.20 단기만족추구(10) 3.40 5.48 장기만족추구(10) 3.06 5.71 자기 통제력(20) 3.23 8.41 내재화( 정서) 문제(10) 1.59 4.20 외현화( 행동) 문제(13) 1.21 3.73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13) 1.63 4.82 교사- 학생 관계 문제행동(9) 1.53 3.03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8) 1.56 3.09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13) 1.42 4.62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10) 1.43 3.27 학교부적응(76) 1.47 19.89 기 통제력, 학교부적응 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평균 은 1.68, 자기 통제력은 3.29 로 나타났다. 하위 요 인별로 살펴보면 단기만족추구의 점수가 3.34로 보통이다 와 그렇지 않다 사이에 위치하는 점 수를 나타냈다. 한편, 장기만족 추구 차원의 평균 점수는 3.03 으로 보통의 수준을 나타냈다. 학교부 적응의 평균점수는 1.47로 학교부적응의 정도가 조금 그렇다(2 점)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교부 적응의 하위 요인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 평균점수가 1.63, 내재화 문제 가 1.59,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이 1.56 순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 - 1772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Conflict Scale) 를 사용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 갈등척도(CPIC) 는 갈등의 빈도, 강도, 해결, 내용, 위협, 대처효율성, 자기비난, 삼각관계, 안정성의 9개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내적합치도가 낮은 안정성(0.32) 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부갈등에 대 해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권영옥 과 이정덕(1997) 의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는 빈도.71, 강도.83, 해결.81, 내용.73, 지각된 위협.79, 대처효율성.68, 자기비난.73, 삼각관계.5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하위척도는.60 ~.92 사 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92 로 나타났다. 자기 통제력 척도 자기 통제력 척도는 Gottfredson과Hirschi(1990) 가 사용한 자기 통제력 척도와 김현숙(1998) 의 자 기 통제력 척도를 참고로 재구성한 남현미와 옥 선화(2001) 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0 문항으로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에 관한 10 개의 문항과,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에 관한 10 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기적인 만족추구에 관한 문항과 단기 만족추구에 관한 각 문항의 점수의 합이 높을수록, 일시적인 충동 에 의하거나 즉각적인 만족을 주는 행동을 회피 하고 인내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남현미, 옥선화의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 계 수는.78 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단기 만족추구는.67, 장기만족 추구는.76, 전체 신뢰 도 계수는.69 로 나타났다. 교부적응 행동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학교부적응 행동 검사는 총 76문항으로 구성되었 고, 크게 7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영역별 문항 수는 내재화( 정서) 문제 10 문항, 외현화( 행동) 문제 13 문항, 수업 및 학업관련 행동 13 문항, 교 사-학생관계 문제행동 9 문항, 부모- 자녀관계 문제 행동 8 문항,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13 문항,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 10 문항이며, 점수가 높 을수록 학교부적응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동훈 등(2007) 의 연구에서 하위척도 신뢰도는 내재화( 정서) 문제.83, 외현화( 행동) 문제.66, 수업 및 학업 문제행동.79, 교사-학생관계 문제행동.77, 부모- 자녀관계 문제행동.73, 회피적 또래관계 문제행동.80, 공격적 또래관계 문제행동.72로 나 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위척도는.67 ~.86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자료처리.94 로 나타났다. 첫째, 각 척도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 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 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부갈등지각과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중학생 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자기 통제력에 의하여 중재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학교부적응 행동 척도 학교부적응 행동을 진단하기 위해서 이동훈 등 (2007, 2009)이 제작한 학교부적응 행동 진단검사 지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개인 인적사항과 학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 및 학교부적응 행동의 평균 표 1 과 같이 전체 학생들의 부부갈등지각, 자 - 1771 -

상담학연구 역할을 한다( 김경연, 김선희 1999). 또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변수인 공격성, 충동성, 자아존중감, 자기 통제력 중에서 문제행 동을 가장 잘 성명할 수 있는 변수로 자기 통제 력을 들고 있다( 김두섭 외, 1996; 김현숙, 1998; 박 희자, 2001). 이처럼 자기 통제력은 청소년의 사회 적 적응과 정서 및 도덕성 발달에 필요한 능력이 며( 이동홍, 2003), 동시에 청소년의 바람직한 사회 적 적응과 학업성취, 정서, 도덕성 등을 비롯한 여러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발달에 가장 필요한 능력의 하나가 자기 통제력으로 지적되고 있다( 송 명자, 1995; Rohrbeck, Azar & Wagner, 1991). 자기 통제력이 낮을수록 개인은 스스로 사회적 요구에 따른 적절한 통제를 하지 못하며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자기 통제력 이 낮은 사람은 여러 가지 행동문제가 나타나며 이러한 문제가 지속될 때 폭력 범죄와 비행으로 연결되기 쉽다. 반면에 자기 통제력이 높은 아동 및 청소년은 행동문제의 발생빈도가 낮고 그 심각 성도 적다고 보고되고 있다( 김두섭, 민수홍, 1996; 이경님, 2004). 이와 같이 자기 통제력이 청소년의 여러 가지 문제행동과 관련된 변인이라는 점을 볼 때,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과도 관련되어 있는 변인이라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자기 통제력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을 중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자기 통제력 의 중재효과란 자기 통제력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으로 인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 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변인으 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까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의 상호작 용효과, 즉 중재효과를 검토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들이 가 정에서의 갈등이나 문제 상황 속에서도 보다 건 강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예방과 개입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방 법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 자기 통 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 년, 부산시내 남자 중학교, 여자 중학 교 한 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학교장 및 담임교 사의 동의를 얻어 1학년과 2학년 중 본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한 학생들 을 대상으로 한 학교에 160 명씩, 총 320명에 대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중 불성실한 설문 12 부와 한부모 가족이거나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는 경우(60 부) 를 제외하고 남학생 133 명, 여학생 145 명, 총 248 명의 응답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에 응한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유 의사항, 비밀보장에 관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였 고, 질문 응답에 걸린 시간은 약 40 분이다. 실시 한 설문지는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자기 통제 력, 학교부적응행동에 관한 질문지였다. 측정도구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 를 측정하기 위하여Grych 와Fincham(1992) 이 제작 하고 권영옥과 이정덕(1997) 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부모갈등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 1770 -

김원희이동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전의 기본 터전이다. 이러한 가정의 중요성은 청소년의 심리ㆍ 사회적 적응 및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심리적, 사회적 부적응과 관련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도 한다. 특히 가정에서 부모의 부부관계는 가족 생활 전체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Erel & Burman, 1995) 라고 할 수 있는데,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부부갈등은 가족이라는 공동체의 상호의존적 인 성격으로 인하여 부부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그 자녀들의 심리적인 측면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다 (Emery, 1982). 다른 선행연구들에서도 부부 친밀 도가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 부간의 갈등 및 불화가 청소년기 자녀들에게 불 안과 긴장을 고조시키고 불만을 증대시킴으로써 부적응 행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길미, 1999). 또한 김환복(1984) 의 연구에서는 학교생활 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은 부모 간 갈등이 많은 것으로 밝혀져, 부부간 친밀도와 청소년의 적응 문제에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부부갈등으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스트레스가 많 은 부모ㆍ 자녀 관계가 형성되고 나아가 자녀의 학업, 정서, 또래관계를 비롯하여 학교생활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Grych와 Fincham(1992) 은 부모의 자기 보 고나 부부간의 상호관찰을 통해 측정된 부부갈등 보다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정도가 자녀의 적응 문제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모가 보 고한 갈등보다 자녀가 보고한 부부갈등의 빈도나 위협정도, 갈등의 내용에 대한 해석 등의 인지적 평가과정이 자녀의 적응수준과 대처행동을 결정 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 증하였다. 박수잔(1997) 의 연구에서도 부부갈등에 대한 자녀의 인지적 평가가 자녀의 대처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Kitzman과 Cohen(2003) 은 부부갈등에 대한 부모의 보고보다 자녀가 지각한 보고가 더 신뢰롭다고 보고했다. 특히, 청소년기가 급격한 신체적, 인지적, 사회ㆍ 정서적인 변화로 인해 불 안정한 시기이며 부모의 높은 교육적 기대로 심 한 스트레스와 긴장이 고조되는 시기(Furman & Buhrmester, 1992)임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모의 부부간의 갈등은 더욱 예민하게 지각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심리적 ㆍ사회적 적응 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부갈등을 부모가 보고한 갈등의 존재 여부보다는 부부갈등 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자녀의 인지적 해석과 평 가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는 것이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트레스나 갈등상황에도 불구하고 모 든 청소년들이 문제행동이나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Block & Block, 1980) 을 통해 학교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이나 중재요인이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갈등상황의 결과로서 빚어지는 문제 행동에서, 문제행동을 중재하는 중재변인의 가능 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문제행동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선행 연구( 김 경연, 김선희, 1999; 이선경, 1997) 에 따르면 자기 통제력이 행동문제의 중요한 완화요인이라고 밝 히고 있다. 자기통제란 스스로 상황적 요구에 적 합한 행동을 할 수 있으며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일시적인 충동이나 만족을 제지하고 인내하 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Goldfreid와 Merbaum (1973)은 자기 통제력을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주는 것을 변화시켜 자신의 행동을 조 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자기 통제력은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서, 위기 상황 속에서도 자 신의 행동을 주어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통제 하여 그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 1769 -

상담학연구 청소년기 전체의 삶의 질을 설명해주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학교생활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인이다. 하루 일과 중 가장 많은 부분을 학교에 서 보내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성 공적으로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게 해주는 초석 이 되기 때문이다( 김현주, 2000). 청소년기 중에서 도 중학교 시기는 정신적인 혼란 및 방황을 겪는 사춘기와 맞물려 변화한 학교 환경에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문제를 빚어낼 수 있는데 이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청소년들이 중학생 시기 에 학교부적응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나타내고 있 다고 보고하고 있다( 김용희, 1988; 이규미, 2004; 한난신, 2001). 또한 청소년에게 중학교 시기는 인 생 전반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많은 부분을 습득 하여 고등학교, 대학교 뿐 아니라 건강한 성인으 로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밑거름이 되기도 하는 시기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중학교 시기의 학교 적응이 그 이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 음( 성민선 외, 1998) 을 감안할 때 중학생의 학교부 적응 행동 문제를 예측해주는 관련 변인들의 탐 색이 학교부적응 행동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중학생들의 학교 생활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부적응 행동이란 여러 가지 부적응적인 행 동 특성이 학교생활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개인의 욕구가 학교 내 환경과의 관계에서 충족되지 못 함으로써 적절하지 못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뜻 한다( 이경은, 1998). 학교부적응 행동은 지속적으 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부적응도 포함되며 특수한 환경에서의 부적응, 특정 교과에 서의 부적응, 특정 활동, 특정 교사에 대한 부적 응 등이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학교부적응 행동의 원인과 관련하여 김 동하(1992) 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구분하 였는데 내적요인으로는 신체적 결함, 정서장애, 지능의 저하를 들었고, 외적요인으로는 가정환경, 학교환경, 지역사회 환경 등을 제안하고 있다. 한 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1995, 1996) 은 학교부적응 행동의 외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가정 환 경적요인, 학교 환경적 요인, 지역사회 환경적 요 인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가정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의 통제, 부모 의 과잉보호, 방임적 태도, 가정 분위기, 자녀에 대한 신체적 ㆍ언어적 학대, 부모의 훈육태도를 들 었고 학교 환경적 요인에는 학교성적, 공부시간, 공부에 대한 흥미, 공부압력, 학교에서 느끼는 소 외감, 교사에 대한 인식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지 역사회 환경적 요인에는 오락업소, 성인업소 및 기타 일반 업소들과 같은 유해환경이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처럼 학교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 인들 중에서 김종범(2009) 은 가정환경이 청소년들 의 학교부적응 행동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들었는데, 부모의 사망과 이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가족 간의 갈등을 꼽았다. 오승연(1993) 의 연구에 의하면 가정에서의 부모- 자녀 관계가 최초의 대인관계인 동시에 가 장 밀접한 사회관계이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어 떠한 존재로 인정받는가 하는 것이 학교생활의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승환(2009) 의 연구에서는 가족위험요소가 학교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학대, 부정적인 부모관계, 부정적인 양육 태도, 반사회적 가족구성원의 존재, 가정결손 등 분석된 모든 가족위험요인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많은 선행연구들이 가정에서의 문제 를 학교부적응 행동의 중요한 유발 요인 중 하나 로 지적하고 있다. 가정은 한 개인의 출발점이며, - 1768 -

상 담 학 연 구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0, Vol. 11, No. 4, 1767-1782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 원 희 이 동 훈 부산대학교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 248 명을 대상으로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 학교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아보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통제력의 중 재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 통제력과 학교부적응 행동 역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충동적이고 자신 위주로 생각하며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단기 만족추구 가 욕구를 지연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장기만족추구 보다 더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기 통제력은 학교부적응 행동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각각 작용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보다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부적응 행동의 관계에 서 자기 통제력의 중재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논의 및 의의가 제시되었다. 주요어 : 부부갈등 지각, 자기 통제력, 학교부적응 행동 * 본 원고는 김원희(2010) 의 석사학위논문을 일부 수정한 것임.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이동훈 /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번지 Tel: 051-510-2656 / E-mail: dhlee07@pusan.ac.kr - 17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