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호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Korea Communications Agency 2014.01.17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개요 N스크린 서비스는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PC, 태블릿, 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 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하는데, 이것 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 다양한 디지털기기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어 떤 기기에서든지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고, 가장 편리하고 좋은 환경의 기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고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N스크린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N스크린 서비스의 태동과 발전과정, 주체별로 차별화된 N스크린 서비스 전략 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 서론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서비스 확대는 스마트폰, 스마트TV의 보급을 빠르게 확산시 킬 뿐 아니라 기업과 개인의 생활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개념 이 접목되면서 동영상 콘텐츠뿐만 아니라, 일정, 연락처, 주소록, 메일 등 다양한 개 인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공유하는 기술이 개발 및 서비스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 미디어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N스크린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기업과 일 상생활에서 높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N스크린이란 공통된 운영체계를 탑재한 다양한 단말기에서 공통된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8]. 예를 들어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 어에서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이를 TV나 PC로 동일하게 이어서 즐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콘텐츠의 내용은 음악, 이미지, 동영상뿐만 아니라 주소, 이메일, 전화 번호 등의 개인콘텐츠, 작업용 문서까지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즉,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 작업이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를 통해 모두 수행, 공유, 체험 할 수 있는 것을 종합하여 N스크린 서비스라 한다. 본고는 이처럼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N스크린(N-Screen)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 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N스크린 서비스의 태동과 발전과정, 관련 기술 및 각 주체별 서비스 전략을 분석해 볼 것이다. 2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2. N스크린 서비스 개요 (1) N스크린의 개념 N스크린 서비스란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PC, 스마트TV, 태블릿PC, 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 인데, 이는 시간ㆍ장소ㆍ디지털기기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콘텐츠를 이 어서 볼 수 있고,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 보거나 태블릿 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N은 부정정수로 여러 개의 디지털 단말을 접속할 수 있다는 의미로, 휴대폰ㆍPCㆍTV 등 3개의 스크 린을 이어 볼 수 있다는 '3-스크린 플레이'의 확대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2]. <그림 1> N스크린 개요도 출처 : 유은재, N 스크린(N-Screen),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추가되는 비용이나 기술적 장애가 없어야 하고, 대상 콘텐츠는 영화나 음악 등 멀티미디어뿐만 아니라 통신 및 응용서비스도 지원 가능해야 한다. 또한, 영화, 음악,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제한되지 않고, 주 소록이나 이메일 등 개인정보로부터 문서작업결과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2) N스크린 작동원리와 필요조건 N스크린은 사용자가 구매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통신사의 미디어 서버에 올 려놓고 필요시 인터넷을 통해 활용하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때문에 컴 3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퓨터나 스마트폰에 상관없이 인터넷과 연결만 된다면 언제 어디서나 편하고 자유롭 게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대표적인 예로는 삼성 전자/SK텔레콤의 호핀(hoppin), KT의 올레웹앱 N스크린, LG U+의 슛앤플레 이 등이 있다. N스크린 서비스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앞서 얘기한 클라우드 환경과 함께, 단방향 의 수동형 방송서비스로부터 진화한 스마트TV도 필요하다. 스마트TV는 인터넷을 통 해 다양한 콘텐츠에 접근, 활용할 수 있는 미래지향형 TV이며, 노트북, 스마트폰, 태 블릿 PC 등과도 쉽고 편리하게 콘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이를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라고 하는데,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등에 담겨진 동영상을 TV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N스크린 서비스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등의 모바 일 기기도 필요하며, 서비스와 모바일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통신 인프라도 준비되어야 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로 이동시 끊김 없는 콘텐츠를 즐기기 위 해서는 풍부한 통신망 대역이 필요한데, 최근 LG U+, SK텔레콤, KT 등의 통신 3사 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4G(혹은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망이 이에 해당 된다.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주목받고 있는 4G 통신망은 N스크린의 활성화 및 대 중화를 이끄는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는데, 급격히 늘어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사용자로 인해 기존의 3G 통신망은 현재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 문이다. 마지막으로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풍부한 콘텐 츠의 확보이다[3]. (3) N스크린 서비스 제공 모델 하나의 소스를 활용해 여러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OSMU(One Source Multi Use) 방식이며, 이는 이용자가 영상, 음악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입하면 TV, 스마트 폰,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끊김 없이 감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OSMU 방식은 콘 텐츠 서비스업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유통업체에서도 사용될 만큼 광 범위하게 이용되고, SCORM 1) 이나 CC 2) 등 콘텐츠 표준화의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OSMU는 점차 한계를 보이기 시작하여,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바이스가 하 1)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의 약자) 웹 기반 학습 콘텐츠의 호환성, 접근성, 재사용을 가능하게 해 주는 포괄적인 이러닝 기능에 대한 여러 규격과 표준들을 다양한 소스를 통해 통합해 놓은 것 2) CC(Common Cartridge의 약자) 차세대 학습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차세대 디지털 학습 서비스를 구성하는 3가지 주요 규격 중 하나 4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나의 소스를 동일한 품질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PC 에서는 잘 작동하는 플래시 파일이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에서는 재생이 안되는 것이다. PC에서 편하게 보았던 콘텐츠 속 문자가 작은 화면의 디바이스로 옮겨지면 문자가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각 디바이스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오히려 하나의 소스를 다른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기술에만 집중하여 비효율적인 콘 텐츠들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자 시장은 콘텐츠의 효율성과 디바이스의 효율성을 고민하게 되었고, 결국 디바이스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가 만들어져야 함을 깨닫기 시작했으 며, 그 결과 탄생한 것이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이다. 이는 콘텐츠 및 기기들의 효율성이 고려되어 각 기기별 특성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인 데, 즉 사용자의 상황이나 여건에 맞는 스크린 선택, 스크린별 적응형 콘텐츠를 제 공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는 최근 스크린 간 공유와 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그림 2> OSMU의 개념 <그림 3> ASMD의 개념 출처 : OSMU? No! ASMD? Yes!, http://mobilist.tistory.com/80, 2011.07.08. 3. N스크린 서비스 발전 과정 N스크린 서비스의 시작은 2007년 미국의 이동통신사업자 AT&T가 발표한 3스크 린 서비스(3 Screen-play Service) 에서 비롯되었다. AT&T는 PC-TV-모바일의 3개 스크린을 자유롭게 연계하겠다는 취지로 모바일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AT&T 비 디오 쉐어 를 미국 내 160개 도시에서 런칭했는데, 이는 기존 통신서비스의 가입자 기반을 유지 및 확대하고 TPS(Triple Play Service) 분야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5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상황으로는 스크린 간 콘텐츠의 진정한 동기 화가 제공되지 못했으며, 단말 사양, 콘텐츠 확보, 데이터 스토리지 부족 등의 기술 적 이유로 아쉽게도 시장의 호응과 반응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3) 이후 성공적으로 N스크린 서비스를 안착시킨 업체는 넷플릭스다. DVD 대여업체로 시작해 온라인 스 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한 넷플릭스는 어느 단말기에서나 온라인 동영상을 끊김 없이 이어서 볼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해 인터넷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 플리케이션, 게임기, 셋톱박스 등에 OTT(Over The Top) 방식의 서비스를 포함시켰다. AT&T의 시도를 넷플릭스가 서비스로 안착한 배경에는 2007년 이후 2014년까지 이어진 네트워크, 단말, 플랫폼 기술의 발전과 성장의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네트워크의 성장으로 대용량 동영상 등 많은 양의 트래픽 전송이 가능해졌 으며, 전송속도 역시 고속화되어 콘텐츠의 업로드와 다운로드 부담이 감소하였다. 예를 들어 유선에서는 사용자 집까지 초고속통신망 FTTH(Fiber To The Home)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졌으며, 무선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상용화로 700MB 동영상 콘텐츠를 2분 이내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다양한 스마트 단말의 보급은 단순 통화, 메시지 송수신에만 그쳤던 기존의 서비스를 웹 검색, SNS, 동영상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로 진화하게 했다. 특히 스마 트 단말의 빠른 확산은 모바일 인터넷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고, 관련 융합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이는 다시 스마트 단말 시장의 규모를 증 가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관련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을 낳았다. 즉 스마트한 N스크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성, 개인화, 고속 전송의 특징을 갖춘 서비스를 보편화 시킨 것이다. 셋째,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데이터 스토리지의 스마트화가 가능하게 되었 다. 즉 개인정보에서부터 영화나 음악과 같은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특정 단말에 담아둘 필요 없이 인터넷 접속만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가능하게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스토리지의 부담 없이 스크린 간 공유가 가능해진 것이다. 4. N스크린 서비스 추진 전략 N스크린 서비스는 통신, 방송 및 콘텐츠 사업자 등 모든 주체가 관심을 가지고 도 3) 같은 해 애플도 비슷한 서비스인 애플TV 를 발표했는데, 애플의 콘텐츠 플랫폼 아이튠즈를 TV화면에서도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역시 시장의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 6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전하거나 준비 중인 차세대 유망분야로, 각사의 핵심역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접 근을 모색하고 있다. <그림 4> N스크린 서비스 개요 출처 : N스크린 서비스 구축기술(1), http://ilsong.tistory.com/15, 2014.01.08 N스크린 서비스는 기술, 서비스, 이용자 관점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우선 기술적 관점은 스크린과 단말기 간 동기화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아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6]. 첫째, 단말기 간 동기화 솔루션을 통한 서비스 방식으로, 이는 주로 제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거나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해 서비스를 구현하며, 별도의 콘텐츠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가정 내 미디어 허브(홈게이트웨이)를 활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으로, 단말기 간 콘텐츠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토콜과 단말기 간 콘텐츠 포맷 차이를 해 결하는 트랜스코딩이 필요하다. 셋째, 외부 스토리지를 활용해 단말기 간 동기화 및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별로 매번 스트리밍을 받아 야 하므로 편의성에서는 약점이나, 반면 단말기 저장용량의 제약이 없는 점에서는 효율적이다. 서비스 관점에서도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누가 주도하느냐와 역할 분화정 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단말기 OS 플랫폼에 따른 N스크 린 서비스 방식이다. 이는 하나의 통일된 단말기 운영체제가 단말기 간 동기화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구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둘째, 통합 콘텐츠 플랫폼에 따 른 서비스 방식으로, 이는 통합 콘텐츠 플랫폼의 사용권한을 특정 단말기 운영체제에 한정하는 폐쇄형 방식과 여러 단말기 운영체제에 개방하는 개방형 방식으로 나뉜다. 끝으로 단말기마다 개별 콘텐츠 플랫폼을 운영하고 자사 가입자에게만 인증을 통 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7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한편, N스크린 전략을 모색 중인 사업자로는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인터넷 및 플랫폼 사업자, 단말기제조사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먼저 통신사업자의 경우 자사 의 네트워크 강점을 이용해 개별 디바이스와의 연계를 중점 실행중이며, 방송사업 중 케이블사업자는 기존 사업모델 유지를 위해 TV-PC 연계를 강화하고, 결합서비스 로 고객이탈을 방지한다. 지상파 사업자는 차별화된 콘텐츠 및 서비스를 내세워 온 라인 유통채널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터넷업체들은 기존 PC분야에서의 경쟁력 을 토대로 모바일과 TV영역에 진출하였다. 한편, 플랫폼사업자는 사업 환경조성 및 타 업체와의 연계를 강구하고 있으며 기기제조업체는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 플 랫폼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고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N스크린 전략을 추진해오고 있다. <표 1> 사업자별 N스크린 전략 특징 구분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CATV 콘텐츠) 인터넷&플랫폼 사업자 기기제조업체 주요 사업자 AT&T 컴캐스트 CBS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애플, 소니, 삼성전자 특징 하드웨어, 네트워크 서비스 간 통합 지향 자사 보유의 방송콘텐츠의 강점을 바탕으로 TV-PC 연계 강화 및 결합서비스 전략 PC에서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을 바탕으로 모바일과 TV영역 진출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 다양한 하드웨어 연계한 서비스 전략 출처 : 김윤화, N스크린 전략과 추진 동향 분석, 초점 제22권 20호 통권 496호, KISDI, 2010.11.01 이처럼 시장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N스크린 서비스 전략의 차별화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기술구현 방식, 서비스 주도 플랫폼 유형, 콘텐츠와 단말기 활용방식 등에 따라 시장참여자의 서비스의 구축 현황과 비즈니스 차별화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 이 가능하다. 여기서 시장참여자는 보다 세분화하여 1 미디어/콘텐츠 사업자(방송 사, 콘텐츠 홀더, 애그리게이터), 2 단말기제조사(모바일, PC, TV), 3 통신사업자(유 무선), 4 포털사업자, 5 소셜네트워크 사업자, N스크린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3자 6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공급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7]. 먼저 미디어/콘텐츠 사업자들의 경우 콘텐츠 판매 확대가 비즈니스 목표이기 때문 에 자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크린(단말기와 기기) 확장에 주력하게 된다. 스 마트폰, 스마트TV, 태블릿 등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 거나 단말기를 통해 웹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통합 서비스 환경을 구축한다. 8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표 2> 미디어/콘텐츠 사업자의 N스크린 서비스 현황 사업자 기술방식 플랫폼 연계/활용 Comcast (NBC) ABC Netflix CJ 헬로비전 애플리케이션: Xfinity App. 애플리케이션: Audio Sync (hulu 서비스 참여) 애플리케이션: Watch Instantly 애플리케이션: Tving 플레이어 통합 콘텐츠 플랫폼: Xfintity (방송사 연합 hulu 참여) 개별 콘텐츠 플랫폼 -웹포털: Fancast.com -소셜TV: tunerfish.com 통합 콘텐츠 플랫폼: hulu 참여 통합 콘텐츠 플랫폼 : Watch Instantly 통합 콘텐츠 플랫폼: Tving 리모콘/녹화 기능 SNS 연동기능 비가입자 허용 부가서비스 제공 SNS 연동기능 가입자 제한 이어보기 지원 비가입자 제한 멀티뷰 동시 시청 타임머신 기능 SNS 연동기능 비가입자 제한 출처 :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 39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9.16 단말기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술방식으로 단말기 간의 동기화를 추구함과 동시에 자 사 단말기가 홈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략을 추진한다. 이들 의 비즈니스 목표는 단말기 판매 확대 및 콘텐츠 서비스로의 사업영역 확대에 있으 므로, 단말기 간 콘텐츠의 이동성 실현을 위한 동기화 모듈(infolink, internet video link)과 콘텐츠 스트리밍 프로토콜(Airplay, Stay in Sync, Allshare, DLNA) 개발ㆍ 활용 에 가장 적극적이다. <표 3> 단말기제조사의 N스크린 서비스 현황 사업자 기술방식 플랫폼 연계/활용 Apple 삼성 MS 소니 애플리케이션: itune, Safari 스트리밍 프로토콜 DLNA: Airplay, Stay in Sync 스토리지/클라우드: icloud, Mobile Me 애플리케이션: Smart TV, Infloink 스트리밍 프로토콜 DLNA : Allshare 애플리케이션: X-Box Kinect 스토리지/클라우드: Live Mesh 애플리케이션: Playstation 3, internet video link 스트리밍 프로토콜 DLNA 사용 단말기 OS 플랫폼: ios 통합 콘텐츠 플랫폼: itune 단말기 OS 플랫폼: 바다 OS 개별 콘텐츠 플랫폼 -콘솔게임: X-box live -PC: Window media player 개별 콘텐츠 플랫폼 -모바일: Mediago -웹VOD포털: Qurlocity 이어보기, 동시보기 리모콘 기능 이어보기, 동시보기 리모콘 기능 SNS 연계 (소셜아바타 제공) 리모콘/녹화 기능 이어보기, 동시보기 출처 :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 39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9.16 9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통신사업자는 기존 가입자를 유지하고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서 비스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통신서비스 기반의 가입자 이탈이 없도록 이용자 경험 향상에 집중한다. 브로드밴드 동영상서비스(Orange TV, U-Verse TV, olleh TV) 를 중심으로 PC나 TV, 모바일, 태블릿 등에서의 콘텐츠 이동성을 강화하고, 아울러 브로드밴드의 장점을 활용한 콘텐츠 이동성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편의성을 향상시 키기 위한 개인 스토리지/클라우드(U-cloud, Mobile share, T-bag) 서비스를 적극적으 로 추진 중이다. <표 4> 통신사업자의 N스크린 서비스 현황 사업자 기술방식 플랫폼 연계/활용 AT&T 애플리케이션: U-Verse App. 스토리지/클라우드:Mobile share 통합 콘텐츠 플랫폼: U-Verse 개별 콘텐츠 플랫폼 PC: U-Verse on the go 웹 포털: Video Crawler 모바일: Cingular Video 리모콘 기능 프로그램 가이드 녹화 기능 FT 홈 게이트웨이: Orange Livebox (Soft At Home) 애플리케이션: Orange TV App. 통합 콘텐츠 플랫폼: Orange everywhere(통합 브랜드) 타임머신 기능 (따라잡기) Start-over KT 애플리케이션: olleh market 스토리지/클라우드: U-cloud 개별 콘텐츠 플랫폼 -TV: olleh TV now -PC/모바일: olleh market 이어보기 기능 가입자 제한 SKT 애플리케이션: Hoppin 콘텐츠 스트리밍 프로토콜: SympleSync 스토리지/클라우드: T-bag 통합 콘텐츠 플랫폼: Hoppin 개별 콘텐츠 플랫폼 PC/모바일: Nate.com 추천 기능 이어보기 기능 가입자 제한 출처 :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 39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9.16 인터넷 포털/SNS사업자는 웹상의 자원(정보, 가입자)을 활용한 N스크린 서비스 전 략에 주력한다. 먼저 포털사업자는 비즈니스 확장 차원에서, SNS사업자는 소셜 네트 워크의 활성화 차원에서 서비스 전략을 구사한다. SNS사업자는 소셜 네트워크와 온 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연계하는 체크인(check-in)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 여 소셜TV 서비스에 집중하고, 인터넷 포털사업자는 웹 콘텐츠 기반의 광고 비즈니 스 모델을 TV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확장하기 위한 환경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10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 <표 5> 인터넷 포털/SNS사업자의 N스크린 서비스 현황 사업자 기술방식 플랫폼 연계/활용 구글 홈 게이트웨이: 구글TV (Dish Network와 Logitech, 소니 등과 제휴) 동영상 압축코덱 개발; ON2의 VP8 스토리지/클라우드:google wave (문서, 영화, 음악 등 웹 애플리케이션 통합 지향) 단말기 운영체계 플랫폼: -모바일: Android OS -PC/웹브라우징: Chrome OS 통합 콘텐츠 플랫폼: Chrome 브라우저 녹화 기능 SNS 연계기능 twitter 애플리케이션: 제3자 애플리케이션 (twitonair.com/twitcam.com 등) - 소셜TV 기능 (추천, 공유) Facebook 애플리케이션: Live Stream Box - 소셜TV 기능 (추천, 공유) 네이버 애플리케이션: N드라이브 App. 스토리지/클라우드: N드라이브 통합 콘텐츠 플랫폼: 네이버 공유 불가 출처 :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 39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9.16 5. 시사점 및 결론 지금까지 N스크린 관점에서 N스크린의 태동과 발전과정, 각 주체별 N스크린 서비 스 전략 및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단말, 스토리지 등 각 분야별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N스크린 서비스는 서서히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스 마트폰과 같은 획기적인 기술의 영향으로 새로운 소비를 창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향후 N스크린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마트 TV, 태블릿과 같은 스크 린에 적합한 킬러 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는 엔지니어 관점에서의 기술적 접근보다는 사용자 관점에서의 잠재적인 소비특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사실 N스크린의 역사는 6년으로 짧고(N스크린은 2007년 AT&T의 3-Screen에서 비 롯됨), 아직까지 많이 보편화되지 못하여 시작단계에 불과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전개될 6년은 N스크린 개념이 태동되었던 2007년 이후 지금까지의 6 년보다는 훨씬 더 큰 변화가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스크린의 등장, 언 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유용하게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게 주변 사물이 스크린이 되 는 환경, 나아가 스크린의 가상화 등 다양한 시도들이 예상되는 가운데, 기술이 소 비를 낳고 소비가 다시 기술을 리드하는 상호작용의 새로운 미래를 기대해 본다. 11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 45 호 [참고문헌] [1] 이종근, 스마트기기 대중화 시대, N 스크린 개념이 현실화되고 있다, LG경제연구원, 2011.05.24. [2] 유은재, N 스크린(N-Screen),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Net Term,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3] 김윤화, N스크린 전략과 추진 동향 분석, 초점 제22권 20호 통권 496호, KISDI, 2010.11.01 [4] 김현숙, Multi Screen 서비스 발전 동향 및 전망, 정보와 통신 제30권 제9호, 한국통신학회, 2013.09 [5] 양승률 외 5인, Machine to Machine 기반의 N 스크린 서비스 기술, 정보와 통신 제30권 제 9호, 한국통신학회, 2013.09 [6] 김아현 외 1인, N스크린 서비스 전략 비교, Technology Hot Issue 제38호, 2011 [7] 최세경,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미래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 39 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9.16. [8] N스크린 기술, http://start_fromus.blog.me/140157405761, 2012.04.19 [9] N스크린이란, http://dinko00.tistory.com/125, 2011.07.24. [10] N스크린 서비스 구축기술(1), http://ilsong.tistory.com/15, 2014.01.08 12
방송통신기술 시장 정책 콘텐츠 발 행 호 2014년 제 45호 발간물명 N스크린 추진과정과 주체별 서비스 전략 분석